KR102558389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ation infrastructur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ation infra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389B1
KR102558389B1 KR1020160024489A KR20160024489A KR102558389B1 KR 102558389 B1 KR102558389 B1 KR 102558389B1 KR 1020160024489 A KR1020160024489 A KR 1020160024489A KR 20160024489 A KR20160024489 A KR 20160024489A KR 102558389 B1 KR102558389 B1 KR 10255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user terminal
safety map
disaster safety
evacuation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1657A (en
Inventor
장상훈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주식회사 아이나비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주식회사 아이나비시스템즈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6002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389B1/en
Publication of KR2017010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3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은, 건물 내부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건물 내부에 기구축된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의 소실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상기 재난 안전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are disclosed. A method for providing a computer-implemented disaster safety map may include alloc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terminal that has entered a building, monito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determined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established inside the building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monitored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and providing the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determined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there is

Description

통신 인프라와 연동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ATION INFRASTRUCTURE}Disaster safety map provision method and system linked with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ATION INFRASTRUCTURE}

아래의 설명은 화재, 건물 붕괴 등의 재난 상황 발생 시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역, 기차역, 공항, 백화점, 대형 마트, 복합 쇼핑몰 등의 시설물에서 재난 발생에 따른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s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fire or building collapse, and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s in facilities such as subway stations, train stations, airports, department stores, large marts, and complex shopping malls.

지하철역, 기차역, 공항, 백화점, 대형 마트, 복합 쇼핑몰 등의 공공 시설물의 경우, 건물 내부의 실내 지도가 안내되는 지도 표지판에 소방 대피 지도가 표시되거나 또는 시설물을 안내하는 전자 장치를 통해 해당 시설 내 재난 상황에 대비한 대피 경로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실내 지도는,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층별 업체들의 위치 정보, 비상구 정보, 화장실 정보,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비상 계단 정보 등이 표시된 지도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subway stations, train stations, airports, department stores, large marts, and complex shopping malls, fire evacuation maps are displayed on map signs that guide indoor maps inside the buildings, or evacuation routes in preparation for disaster situations within the facility are provided through electronic devices that guide the facility. For example, the indoor map may refer to a map on which location information, emergency exit information, restroom information, escalator, elevator, and emergency stair information of businesses located inside a building are displayed.

대부분의 경우, 안전 사고에 무관심하거나, 안전 불감증 등의 이유로 인해 방문한 시설물에서 소방 대피 지도 또는 재난 상황에 따른 대피 경로를 확인하는 사용자는 드물다. 소방 대피 지도 또는 대피 경로를 확인했다고 하더라도 확인하는 순간의 일회성에 불과하므로, 재난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사용자가 익숙하지 않은 대피 경로를 기억하여 찾아가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In most cases, it is rare for a user to check a fire evacuation map or an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a disaster situation at a facility visited due to indifference to safety accidents or insensitivity to safety. Even if a fire evacuation map or an evacuation route is confirmed, it is only a one-time moment of confirmation, and thus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remember and find an unfamiliar evacuation route in a crisis situation called a disaster.

이에 따라, 방문한 시설물에서 화재, 건물 붕괴, 폭탄 테러 등의 재난 상황이 실제 발생한 경우, 대피 경로를 찾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도록 안내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 2012-0072838호는 화재나 비상상황 발생시에 현재 위치에서 가장 안전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Accordingly, when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fire, building collapse, bombing, etc. actually occurs in a visited facility, a technique for finding an evacuation route and guiding the person to evacuate to a safe place is require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72838 discloses a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safest evacuation route from a current location in case of fire or emergency.

소방 대피 지도 또는 대피 경로를 확인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방문한 건물 내부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 시에 안전하게 대피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Provided is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that safely provides a user with an evacuation route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side a building visited by the user even if the fire evacuation map or the evacuation route is not checked.

또한,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현재위치에 기초하여 보다 정확한 대피 경로를 제공하고, 시시각각 변동되는 재난 상황을 반영하여 적절한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and system that determines the user's current location using a beacon signal, provides a more accurate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determined current location, and provides an appropriate evacuation route by reflecting the constantly changing disaster situation. Provided.

컴퓨터로 구현되는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은, 건물 내부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건물 내부에 기구축된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니터링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의 소실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상기 재난 안전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providing a computer-implemented disaster safety map may include alloc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terminal that has entered a building, monito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determined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established inside the building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monitored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and providing the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determined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there is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상기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evacuation route. An evacuation rou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whether signals transmitted from beacon transmitters or wireless access point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are received.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는, 상기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signals received from each of beacon transmitters or wireless access points located around the use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방위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onitoring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monito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bear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a pilo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재난 안전 지도는, 상기 건물 내부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전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may be switched from the background of the user terminal to the foreground as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side the building.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재난 안전 지도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 내부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oviding of the disaster safety map to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used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side the building.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재난 상황은, 상기 건물 내부에서 방송되는 방송 음성 신호 및 경보음 신호와 상기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isaster situ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broadcasting voice signal and an alarm sound signal broadcast inside the building and waveforms of the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는, 재난 대비 모의 훈련 또는 실제 재난이 발생 시 방송된 방송 음성 신호 및 경보음 신호를 기초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may be updated by perform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a simulated disaster preparedness drill or a broadcast voice signal and an alarm sound signal broadcast when an actual disaster occurs.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재난 안전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인프라와의 연동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oviding of the disaster safety map to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a message informing tha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activated.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건물 내부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식별 정보 할당부, 상기 건물 내부에 기구축된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모니터링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상기 통신 인프라의 소실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대피 경로 결정부, 및 결정된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상기 재난 안전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지도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the one or more processors includ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location unit that allocat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terminal that has entered a building; a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determined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uilt inside the building; an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nitored user terminal and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A map providing unit providing a safety map to the user terminal may be included.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대피 경로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상기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whether signals transmitted from beacon transmitters or wireless access point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are received.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는, 상기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determined based on signals received from each of beacon transmitters or wireless access points located around the use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방위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onitoring unit may monit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bear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a pilo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재난 안전 지도는, 상기 건물 내부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전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may be switched from the background of the user terminal to the foreground as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side the building.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도 제공부는, 상기 건물 내부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ap provider may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used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side the building to the user termi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재난 상황은, 상기 건물 내부에서 방송되는 방송 음성 신호 및 경보음 신호와 상기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isaster situ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broadcasting voice signal and an alarm sound signal broadcast inside the building and waveforms of the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는, 재난 대비 모의 훈련 또는 실제 재난이 발생 시 방송된 방송 음성 신호 및 경보음 신호를 기초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may be updated by perform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a simulated disaster preparedness drill or a broadcast voice signal and an alarm sound signal broadcast when an actual disaster occurs.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도 제공부는, 상기 통신 인프라와의 연동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map provider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a message informing tha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activated.

건물 내부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에 건물 내부와 관련된 재난 안전 지도를 설치하여 구동함으로써, 소방 대피 지도 또는 대피 경로를 확인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방문한 건물 내부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 시에 안전하게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By installing and operating a disaster safety map related to the inside of a building in a user terminal that has entered the building, even if a fire evacuation map or an evacuation route is not checked, a safe evacuation route can be provid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side the building visited by the user.

또한, 건물 내부에 구축된 비콘 송신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현재위치에 기초하여 보다 정확한 대피 경로를 제공하고, 시시각각 변동되는 재난 상황을 반영한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determined using signals received from a beacon transmitter, a wireless access point, etc. built inside the building, a more accurate evacuation route is provided based on the determined current location, and an evacuation route that reflects the ever-changing disaster situation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실내 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 인프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 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이 수행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이 포그라운드로 전환하여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대피 경로를 재난 안전 지도 상에 표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모르는 경우에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BLE 비콘의 통신 인프라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콘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현재 위치 및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door map in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which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ervic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a processor of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ocess of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further including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by switching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to the fore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n example of displaying an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on a disaster safety map using an inerti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n example of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using an inertial sensor when a user's location is not kn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of a BLE bea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ocess of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current location and an evacuation route in conjunction with a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방문한 건물 내부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 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안전한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건물 내부의 실내 지도 상에 대피 경로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것이며,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통신 인프라의 소실 시에도 안전하게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은 통신 인프라가 소실되더라도 사용자 단말이 독립적(Stand Alone)으로 동작하여 대피 경로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 evacuation route through a user terminal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side a building visited by a user carrying a user terminal.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displayed on an indoor map inside a building, and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using an inertial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ereby providing a safe evacuation route even whe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destroyed due to a disast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a user terminal to operate independently to provide an evacuation route even if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또한, 본원발명은 재난으로 인해 기존의 통신 인프라(예컨대, LTE, WiFi, 비콘 기반 통신 인프라)가 소실되기 이전까지 건물 내부에 기구축된 기존 통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재난이 발생한 지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수정하거나 또는 대체 경로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ore accurately determines the point where the disaster occurred by utilizing the existing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uilt inside the building until the existing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eg, LTE, WiFi, beacon-bas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due to a disaster, and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odifying an evacuation route or providing an alternative route.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은, 이동형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면,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나타낼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에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서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 및/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는 시설물 관제 센터에 배치된 전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user terminal is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navigation device, a notebook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tablet PC,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may indicate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or may indicate a server that provides a disaster safety map to a user terminal. These user terminals may communicate with other user terminals and/or servers through a network using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The server may refer to an electronic device disposed in a facility control center. Also, the user may refer to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실내 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ndoor map inside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면, 서버는 건물 내부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들을 식별하기 위해 각 사용자 단말에 서로 다른 식별 정보(예컨대, 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등)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할당된 IP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재난 안전 지도는 대피 경로를 포함하는 실내 지도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when a user terminal enters a building, the server assigns differ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IP,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etc.) to each user terminal to identify the user terminals entering the building. And, the server may provide a disaster safety map to each user terminal based on the allocated IP information. Here, the disaster safety map may represent an indoor map including an evacuation route.

일례로, 서버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코드를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고,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은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이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제공된 코드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과 같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건물 내부(예컨대, 건물 내부 중 사용자가 위치하는 특정 층)에 해당하는 실내 지도 상에 대피 경로가 맵핑된 히트맵(Heat Map)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rver may provide a code for configuring a screen for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service to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rough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and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may provide a disaster safety map to the user by configuring and displaying a screen according to the provided code using a program included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displays a heat map on which an evacuation route is mapped on an indoor map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a building where the user is located (eg, a specific floor on which the user i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It can be displayed and provided to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200) 또는 서버(201) 형태로 구현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은, 메모리(210, 211), 프로세서(220, 221), 통신 모듈(230, 231)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40, 24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200)로 동작하는 관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user terminal 200 or a server 201 may include memories 210 and 211, processors 220 and 221, communication modules 230 and 231, and input/output interfaces 240 and 241. In FIG. 2 ,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viewpoint of operating as the user terminal 200 .

메모리(210, 21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ies 210 and 211 a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and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disk drive.

또한, 메모리(210, 21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0, 21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 231)을 통해 메모리(210, 21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201))이 네트워크(202)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0, 211)에 로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ies 210 and 211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and at least one program code (for example, a code for a browser installed and driven in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or an application for a disaster safety map service). These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fro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eparate from the memories 210 and 211 using a drive mechanism. The separat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floppy drive, a disk, a tape, a DVD/CD-ROM drive, and a memory card. In another embodiment, software components may be loaded into the memories 210 and 211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s 230 and 231 rather tha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For example, at least one program may be loaded into the memories 210 and 211 based on a program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installed by files provided by developers or a file distribution system (eg, the above-described server 201) that distributes installation files of applications through the network 202.

프로세서(220, 221)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211) 또는 통신 모듈(230, 231)에 의해 프로세서(220, 221)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 221)는 메모리(210, 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s 220 and 221 may be configured to process commands of a computer program by performing basic arithmetic, logic, and input/output operations. Instructions may be provided to the processors 220 and 221 by the memories 210 and 211 or the communication modules 230 and 231 . Processors 220 and 221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program codes stored in recording devices such as memories 210 and 211 .

통신 모듈(230, 231)은 네트워크(202)를 통해 다른 기기 또는 서버(201)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30, 231)은 유선 및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의 맥(MAC) 주소,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로는 와이파이(WiFi)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비콘 모듈, IOT(Internet Of Things) 센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s 230 and 231 may provide function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devices or servers 201 through the network 202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s 230 and 231 may include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nd may provide a communication link for receiving wireless access point (AP) information including a MAC address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 and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Fi module, a Zigbee module, a Bluetooth module, a beacon module, an Internet Of Things (IOT) sensor module, and the like.

입출력 인터페이스(240, 241)는 입출력 장치(203)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201)로부터 다운받은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interfaces 240 and 241 may be means for interface with the input/output device 203 .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mouse, and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device such as a display for displaying a communication session of an application. As another example, the input/output interface 240 may be a means for interface with a device in which functions for input and output are integrated into one, such as a touch screen. As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the processor 220 processes the command of the computer program loaded into the memory 210, a screen or content for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service using map data downloaded from the server 201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240.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03)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의 관선 센서,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Also, in other embodiments,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than those of FIG. 2 . However, there is no need to clearly show most of the prior art components. For example,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aforementioned input/output devices 203, or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such as a transceive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a camera, various sensors, and a database. As a more specific example, whe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is a smartphone, various components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 camera, a speaker, a microphone, various physical buttons, buttons using a touch panel, an input/output port, and a vibrator for vibr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서비스가 제공되는 통신 인프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which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ervice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공공시설 서비스와 일반적인 사설 시설 서비스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공공 시설물에서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LTE(Long Term Evolution, 301), WiFi(302), ANDSF(Access Network Discovery & Selection Function, 303)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304), PDN(Packet Data Network, 305) 등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통신 인프라에 기초하여 서버와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을 통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공공 시설물이 아닌 나머지 시설물(예컨대, 백화점, 복합 쇼핑몰 등의 민간 시설물)에 대해서는 각 시설물 내에 배치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306), WiFi(307),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308),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309) 등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통신 인프라에 기초하여 서버와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을 통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disaster safety guidance service may be provided based on different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according to public facility services and general private facility services. At this time, when the disaster safety map service is provided in public facilities, LTE (Long Term Evolution, 301), WiFi (302), ANDSF (Access Network Discovery & Selection Function, 303) PGW (Packet Data Network Gateway, 304), PDN (Packet Data Network, 305), etc. Based on a standardiz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ervice may be provided through a server and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In addition, for facilities other than public facilities (for example, private facilitie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complex shopping malls), a wireless access point (AP, 306), WiFi 307,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308),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309), etc., and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a server and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based on a standardiz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이하, 재난 안전 제공 시스템인 사용자 단말 관점에서 재난 발생에 따른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servic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disaster from the viewpoint of a user terminal, which is a disaster safety providing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 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이 수행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a processor of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된 프로세서(220)는 구성요소들로서, 정보 수신부(410), 매칭부(420), 재난 상황 결정부(430), 및 지도 활성화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도 5의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510 내지 550 단계)을 수행하도록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가 상술한 제어 명령에 따라 재난 안전 지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동작하는 기능적 표현으로서 지도 활성화부(440)가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rocessor 220 included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may include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a matching unit 420, a disaster situation determining unit 430, and a map activating unit 440 as components. Components of the processor 220 may control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to perform steps 510 to 550 included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of FIG. 5 . In addition, elements of the processor 220 may represent different fun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220 according to control commands provided by program codes stored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 For example, the map activating unit 440 may be used as a functional expression in which the processor 220 operates to activate a disaster safety map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command.

건물 내부에 사용자가 진입하면,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AP)는 사용자가 소지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액세스 포인트는 건물 내부에 진입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이 감지되었음을 해당 건물의 관제 센터인 서버(201)에 알릴 수 있다. 서버(201)는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201)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으로 IP 등의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When a user enters the building, an access point (AP) located inside the building may detect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possessed by the user. Then, the access point may notify the server 201, which is the control center of the building, that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entering the building has been detected. The server 201 may alloc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s located inside a building. For example, the server 201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IP to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through the access point.

그러면, 510 단계에서, 정보 수신부(410)는 서버(201)로부터 식별 정보인 IP를 수신할 수 있다. Then, in step 51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may receive IP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01.

이때, 정보 수신부(41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건물과 관련된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예컨대, 지도설치메시지)를 서버(2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1)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각 재난 안전 제공 시스템에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may receive a message (eg, a map installation message) from the server 201 asking whether to install an application for receiving a disaster safety map service related to a building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The server 201 may transmit the message to each disaster safety providing system located inside the building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그리고, 520 단계에서, 메시지를 확인한 후, 메시지에 마련된 설치 동의를 위한 조작 버튼 또는 표시 정보 등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정보 수신부(410)는 서버(201)로부터 해당 건물의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n, in step 520, after confirming the message, if the user selects an operation button or display information for installation consent provided in the message,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may receive a disaster safety map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from the server 201.

예를 들어, 정보 수신부(410)는 해당 건물의 실내 지도에 기설정된 대피 경로가 맵핑된 재난 안전 지도와 관련된 지도 데이터를 서버(201)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비콘(beacon)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정보 수신부(410)는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각 비콘 송신기의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서버(201)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송신기의 위치 정보는 비콘 송신기가 건물 내부에 설치된 GPS 좌표 정보로서 위도 및 경도 좌표 정보를 포함하며, 식별 정보는 비콘 송신기들을 식별하기 위해 기부여된 비콘 ID를 나타낼 수 있다. 정보 수신부(410)는 비콘 이외에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서버(201)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may receive and store map data related to a disaster safety map in which a preset evacuation route is mapped to an indoor map of a corresponding building from the server 201 and store it. At this time, when a disaster safety map service is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a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may receive an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beacon transmitter located inside a building from the server 201.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eacon transmitter includes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 information as GPS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the beacon transmitter i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dicate a beacon ID contributed to identify the beacon transmitters.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may receive, store, and man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access point from the server 201 in addition to the beacon.

이때, 서버(201)로부터 제공받은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실행되어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재난 안전 지도가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구동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구동됨에 따라, 정보 수신부(410)는 관성 센서를 통해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에 탑재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수신되는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gram code for providing the disaster safety map service provided from the server 201 may be executed and the application may be driven. For example, a disaster safety map may run in the background. As such, as the application is executed and drive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may obtain orient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ertial sensor. For example, orient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 geomagnetic sensor, a gyro sensor, etc. mounted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may be received.

530단계에서, 매칭부(420)는 방위 정보를 재난 안전 지도에 매칭(matching)할 수 있다. In step 530, the matching unit 420 may match the orientation information to the disaster safety map.

예를 들어, 방위 정보는 동서남부 등의 방위 값을 포함하며, 재난 안전 지도의 좌표정보는 지도 상에서 입력할 수 있는 X, Y, Z축값, 경도 및 위도를 포함하는 좌표 정보, 방향 및 방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매칭부(420)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을 소지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변경되는 방향 및 방위 정보가 지도에 반영되도록 지도 상의 방위 정보와 관성 센서를 통해 수집한 방위 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이동에 적응적으로 지도의 방위 및 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관성 센서를 통해 수신된 방위 정보와 지도의 방위 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zimuth information includes azimuth values such as southeast, west, and the like, and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afety map includes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ing X, Y, Z axis values, longitude and latitude that can be input on the map, and direction and orientation information. Then, the matching unit 420 may match the bearing information on the map with the bearing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ertial sensor so that the direction and bearing inform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carrying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is reflected on the map. That is, the bear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ertial sensor may be matched with the bearing information of the map so that the bearing and direction of the map are adap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이처럼, 방위 정보가 매칭된 재난 안전 지도는 배터리 절감 및 시스템 효율을 위해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정보 수신부(410)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에 탑재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계속하여 수신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신호는, 건물 내부에서 방송되는 방송 음성 신호, 경보음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201)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받을 때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disaster safety map matched with bearing information may be driven in the background for battery saving and system efficiency. At this time, in a state of being driven in the background,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may continuously receive and monitor an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mounted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 For example, the audio signal may include a broadcasting voice signal broadcast inside a building, an alarm sound signal, and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together when map data is received from the server 201 .

540 단계에서, 재난 상황 결정부(430)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와 기정의된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의 파형을 분석하여 해당 건물에 재난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재난 상황 결정부(43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와 사운드 신호에 대해 동기 검출, 멀티 트리거(multi-trigger) 제거, 디모듈레이션(demodulation), 오류 정정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두 신호의 파형을 분석할 수 있다. In step 540, the disaster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30 may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by analyzing the au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and the waveform of the predefined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The disaster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30 performs at least one signal processing of synchronization detection, multi-trigger removal, demodulation, and error correction on the received audio signal and sound signal to analyze the waveforms of the two signals.

또한, 정보 수신부(410)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온도센서측정값, 산소농도측정값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근거로 재난 상황 결정부(430)는 현재 재난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410 may receive information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measurement value and an oxygen concentration measurement value from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and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disaster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30 may determine whether a current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재난 상황 결정부(430)는 상기 수신된 방송 음성 신호와 기정의된 음성 신호의 파형을 비교하여 기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파형이 일치하는 경우,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수신된 경보음 신호와 기정의된 경보음 신호의 파형을 비교하여 기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파형이 일치하는 경우,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재난 상황 결정부(430)는 경보음 신호와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아닌, 경보음 신호와 음성 신호 둘 다 일치해야지만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The disaster situation determining unit 430 compares the received broadcasting voice signal with a predefined audio signal waveform and determines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when the waveforms match within a preset error range, or compares the received alarm sound signal with a predefined alarm sound signal waveform and determines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when the waveforms match within a preset error range. At this time, the disaster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430 may determine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only when both the alarm sound signal and the voice signal match, rather than either one of the alarm sound signal and the voice signal.

이때, 신호 파형의 비교 이외에, 재난 상황 결정부(430)는 음성 인식 처리 모듈에 기초하여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방송 음성 신호를 인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재난 상황 결정부(430)는 음성 인식을 통해 방송 음성 신호가 나타내는 단어를 결정하고, 결정된 단어가 기정의된 재난 관련 단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재난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addition to comparing signal waveforms, the disaster situation determining unit 430 may recognize a broadcasting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module. For example, the disaster situation determining unit 430 may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occurs by determining a word represented by a broadcasting voice signal through voice recogniti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etermined word corresponds to a predefined disaster-related word.

상기 기정의된 사운드 신호의 파형과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파형이 일치하지 않거나, 음성 인식된 단어가 재난 관련 단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난 상황 결정부(430)는 해당 건물에 재난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재난 안전 지도는 계속하여 백그라운드로 구동될 수 있다.If the waveform of the predefined sound signal does not match the waveform of the received audio signal or if the voice recognition word does not match the disaster-related word, the disaster situation determining unit 430 may determine that no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building. Then, the disaster safety map may continue to be driven in the background.

여기서, 사운드 신호는, 대피, 화재, 긴급상황, 붕괴 등의 재난을 나타내는 단어를 발성함에 따라 발생하는 음성 신호, 재나 상황 시 주로 이용되는 싸이렌 등의 경보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신호는, 상기 재난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긴급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발성되는 키 톤(tone)을 고려하여 기정의될 수도 있다. 기정의된 음성 신호는 재난 대비 모의 훈련 또는 다른 장소나 다른 건물 등에서 실제 재난 발생 시 방송된 방송 음성 신호와 경보음 신호를 기초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Here, the sound signal may include a voice signal generated by uttering a word representing a disaster such as evacuation, fire, emergency, or collapse, and an alarm sound signal such as a siren that is mainly used in an ashes or situation.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may be predefined in consideration of key tones in which the words representing the disaster are uttered differently according to emergency situations. The predefined voice signal may be automatically updated by perform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a broadcast voice signal and an alarm sound signal broadcast during a simulated disaster preparedness drill or when an actual disaster occurs in another place or other building.

다시 540 단계를 참고하여,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550 단계에서, 지도 활성화부(440)는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재난 안전 지도를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전환하여, 재난 안전 지도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지도 활성화부(440)는 재난 안전 지도를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step 540, if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in step 550, the map activation unit 440 may activate the disaster safety map by switching the disaster safety map driven in the background to the foreground. That is, the map activation unit 440 may display the disaster safety map on the screen of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

아래의 표 1은 재난이 발생함에 따라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재난 안전 지도가 포그라운드로 전환되는 프로그램 코드의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a program code in which a disaster safety map driven in the background is switched to the foreground when a disaster occurs.

boolean check = false;

if (!check){
Intent intent = this.getPackageManager().getLaunchIntentForPackage(getPackageName());
intent.setAction(Intent.ACTION_MAIN);
startActivity(intent);
} else {
ActivityManager am = (ActivityManager)getSystemService(Context.ACTIVITY_SERVICE);
List<RunningTaskInfo> tasks = am.getRunningTasks(100);
if (!tasks.isEmpty()) {
inttaskSize = tasks.size();
for (inti=0;i<taskSize; i ++) {
RunningTaskInfotaskInfo = tasks.get(i);
if (taskInfo.topActivity.getPackageName().equals(getPackageName())) {
check = true;
am.moveTaskToFront(taskInfo.id, 0);
}
}
}
}
boolean check = false;

if (!check){
Intent intent = this.getPackageManager().getLaunchIntentForPackage(getPackageName());
intent.setAction(Intent.ACTION_MAIN);
startActivity(intent);
} else {
ActivityManager am = (ActivityManager)getSystemService(Context.ACTIVITY_SERVICE);
List<RunningTaskInfo> tasks = am.getRunningTasks(100);
if (!tasks.isEmpty()) {
inttaskSize = tasks. size();
for (inti=0; i<taskSize; i ++) {
RunningTaskInfotaskInfo = tasks.get(i);
if (taskInfo.topActivity.getPackageName().equals(getPackageName())) {
check = true;
am.moveTaskToFront(taskInfo.id, 0);
}
}
}
}

표 1에 따르면, 지도 활성화부(650)는 재난 안전 지도가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재난이 발생하면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재난 안전 지도를 포그라운드로 전환하여 활성화 함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able 1, the map activator 650 can check whether a disaster safety map is being driven in the background, and if a disaster occur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saster safety map being driven in the background is switched to the foreground and activ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이 포그라운드로 전환하여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ocess of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further including a location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by switching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to the foregr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된 프로세서(220)는 구성요소들로서, 정보 수신부(610), 매칭부(620), 재난 상황 결정부(630), 위치 결정부(640) 및 지도 활성화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도 7의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710 내지 740 단계)을 수행하도록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프로세서는 도 4의 프로세서에서 위치 결정부(64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6의 정보 수신부(610), 매칭부(620), 재난 상황 결정부(630), 및 지도 활성화부(650)는 도 4의 정보 수신부(410), 매칭부(420), 재난 상황 결정부(430), 및 지도 활성화부(44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shown in FIG. 6, the processor 220 included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may include, as components,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a matching unit 620, a disaster situation determining unit 630, a location determining unit 640, and a map activating unit 650. Components of the processor 220 may control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to perform steps 710 to 740 included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of FIG. 7 . The processor of FIG. 6 further includes the location determiner 640 in the processor of FIG. 4, and since the information receiver 610, the matcher 620, the disaster situation determiner 630, and the map activator 650 of FIG.

도 7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재난이 발생하면 결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실시예에 해당되며, 재난 안전 지도가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상태에서 최초 한번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재난 상황 발생으로 인해 통신 인프라가 소실되더라도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최초 한번 또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다.In FIG. 7,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determined when a disaster occurs, but this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and the user's current location can be determined once for the first time while the disaster safety map is running in the background. That is, even if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due to a disaster situati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may be determined initially or every preset time period in order to provide an evacuation route corresponding to the user's current location.

710 단계에서,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된 재난 안전 지도가 포그라운드에서 구동되면, 위치 결정부(64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710, when the disaster safety map determined to have occurred is driven in the foreground, the location determiner 640 may determine the user's current location based on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예를 들어, 정보 수신부(610)는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기 이전까지는 무선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가,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건물 내부의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비콘 송신기들 중 재난 안정 지도 제공 시스템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비콘 송신기들로부터 신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정보 수신부(610)는 배터리 절감 등을 이유로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신호 정보를 수신하지 않다가 포그라운드로 전환되면 상기 신호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비콘 송신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 재난 안전 지도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설치 시 사용자가 통신 모듈 활성화에 동의하지 않음에 따라, 통신 모듈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신호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 활성화에 비동의 하였다 하더라도, 재난 상황이 발생하여 재난 안전 지도가 포그라운드에서 구동되면, 정보 수신부(610)는 긴급 상황으로 결정하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상기 신호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위치 결정부(640)는 수신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을 소지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deactiv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ntil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does not receive a signal,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activat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signal information from access points in the building or access points or beacon transmitters located around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among beacon transmitters. That is,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may not receive the signal information while operating in the background for reasons such as battery saving, but may receive the signal information from the access point or the beacon transmitter when switched to the foreground. In addition, when installing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if the user does not agree to activate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eactivated and the signal information may not be received. At this time, even if you do not agree to activate the communication module, if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nd the disaster safety map is driven in the foreground,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determines an emergency situation, activates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the signal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n,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640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who has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information.

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정보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의 MAC 주소,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AP가 배치된 GPS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비콘 신호 정보는, 비콘 ID, 비콘 신호의 신호 세기, 비콘 송신기가 배치된 GPS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위치 결정부(640)는 수신된 신호 정보에 포함된 신호 세기가 가장 센 AP 또는 비콘 송신기 주변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결정부(640)는 신호 세기가 가장 센 AP 또는 비콘 송신기가 배치된 GPS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위치 결정부(640)는 복수의 신호 정보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센 순서로 3개의 신호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3개의 신호 정보와 삼각측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ignal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includes the MAC address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AP), the signal strength of the wireless access point,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where the AP is located, and the beacon signal information includes a beacon ID, signal strength of the beacon signal,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where the beacon transmitter is located. Then, the location determining unit 6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is located near an AP or a beacon transmitter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information. Also, the location determiner 640 may determine the user's location based on GPS coordinate information where the AP or beacon transmitter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is located. As another example, the location determiner 640 may determine three pieces of signal information in the order of highest signal strength among a plurality of pieces of signal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user's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three pieces of signal information and triangulation.

그러면, 지도 활성화부(650)는 대피 경로가 표시되는 재난 안전 지도 상에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n, the map activation unit 650 may display and provide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n the disaster safety map on which the evacuation route is displayed.

720 단계에서, 정보 수신부(610)는 관성 센서를 통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의 방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방위 정보가 획득되고,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가속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In step 720,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may obtain bearing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through an inertial sensor. For example, orient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using a gyro sensor, a geomagnetic sensor, or the like,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730 단계에서, 위치 결정부(640)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획득된 가속도 정보,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사용자 이동에 따른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결정부(640)는 상기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가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결정된 이동 방향으로 상기 현재 위치부터 얼만큼 사용자가 이동했는지 여부를 계산할 수 있다.In step 730, the location determiner 640 may calculate a movement distance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from the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the obtained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the orient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position determining unit 640 determines a movement direc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based on the orientation information, and calculates how far the user has moved from the current position in the determined movement direction based on the acceleration information.

740 단계에서, 지도 활성화부(650)는 대피 경로가 표시되는 재난 안전 지도 상에 계산된 상기 이동 거리에 따라 변경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In step 740, the map activating unit 650 may display the user's loc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ement distance on the disaster safety map on which the evacuation route is displayed.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대피 경로를 재난 안전 지도 상에 표시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n example of displaying an evacuation route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on a disaster safety map using an inerti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대피 경로(802)가 표시된 재난 안전 지도 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80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관성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거리가 계산됨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표시 정보(803)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대피 경로(802)를 따라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대피 경로(802) 상의 이동된 위치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803)가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display information 801 indicating a user's current location may be displayed on a disaster safety map on which an evacuation route 802 is displayed. In this case, as the user's moving distance is calculated through the inertial sensor, display information 803 may be displayed at the user's position that is changed based on the user's moving distance. For example, as the user moves along the evacuation route 802 , display information 803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may be displayed at the moved location on the evacuation route 802 .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를 모르는 경우에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n example of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using an inertial sensor when a user's location is not kn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건물 내부의 재난 등으로 인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전혀 알 수 없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재난으로 인해 통신 인프라가 소실되기 이전에 파악하지 못한 경우, 관성 센서를 통해 수신된 방위 정보가 매칭된 재난 안전 지도가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대피 경로(901)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신부(610)는 관성 센서를 통해 계속하여 방위 정보,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 매칭부(620)는 사용자의 이동으로 인해 변경되는 방위 정보를 지도에 매칭할 수 있다. 그러면, 지도 활성화부(650)는 변경된 방위가 적용된 재난 안전 지도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이15도 오른쪽으로 방향을 회전한 경우,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15도 회전된 재난 안전 지도가 제공될 수 있다.If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not known at all due to a disaster inside the building, or if the user's current location is not known before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destroyed due to a disaster, the disaster safety map matched with the bear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ertial senso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That is, a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an evacuation route 901 may be displayed.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continuously collects direction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ertial sensor, and the matching unit 620 may match the direction information changed due to the user's movement to the map. Then, the map activation unit 650 may display the disaster safety map to which the changed bearing is applied on the screen. For example, whe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is rotated 15 degrees to the right, a disaster safety map rotated by 15 degree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may be provided.

이처럼,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은 재난 발생 시 최초 한번 현재 위치를 결정하거나 또는 현재 위치를 알지 못하더라도 대피 경로를 포함하는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함으로써, 재난으로 인해 통신 인프라가 소실되는 위기 상황에서도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대피 경로가 표시되는 재난 안전 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 인프라에 독립적인(stand alone) 형태로 재난 안전 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nce for the first time in the event of a disaster or provides a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an evacuation route even if the current location is not known,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a disaster safety map displaying an evacuation route using an inertial sensor even in a crisis situation in which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due to a disaster. That is, the disaster safety map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form independent of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stand alone).

그리고,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은 통신 인프라가 재난으로 소실되기 이전까지 최대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콘 송신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에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대피 경로 상에 재난이 발생한 경우에는 대체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Also,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may provide a more accurate evacuation route by utilizing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s much as possible until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due to a disaster. For example, based on whether a signal is received from a beacon transmitter or a wireless access point (AP),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disaster such as a fire has occurred on an evacuation route, and an alternative route may be provided if a disaster occurs on the provided evacuation route.

이하에서는 비콘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대피 경로가 표시된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실시예에 해당되며, 비콘 통신 인프라 이외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하는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될 수도 있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with an evacuation route displayed in conjunction with a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will be described, but this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and in addition to a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 wireless access point and an Internet of Things (IoT). It may also be linked with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BLE 비콘의 통신 인프라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provided to explain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of a BLE bea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고하면,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은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에 이용되는 것으로,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은 BLE 비콘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기 위해 블루투스 기능을 사용해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수신부(610)가 서버(201)로부터 IP를 할당받고,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BLE beacon (Bluetooth Low Energy Beacon) is used for an online to offline (O2O) service, and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may need to use a Bluetooth function to interwork with the BLE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ccordingly, whe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is allocated an IP from the server 201 and installs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service, it may receive a message notifying that the Bluetooth function is activated.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되면, 정보 수신부(610)는 통신 모듈(230)을 통해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비콘 송신기는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가지며, 데이터 전달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음에 따라, 정보 수신부(610)는 재난 안전 지도를 다운받고, IP를 할당 받는 등의 데이터 업/다운(DATA UP/DOWN)과 관련된 동작은 WiFi/LTE 표준 인프라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수신부(610)는 IP 할당, 지도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의 IP를 서버(201)로 전송하는 것은 WiFi/LTE 표준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Bluetooth function is activated,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may receive a beacon signal from beacon transmitters located around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30 . At this time, the beacon transmitter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ignal and does not perform a function of data transmission, so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610 downloads a disaster safety map and allocates an IP. Operations related to DATA UP / DOWN can be performed based on WiFi / LTE standard infrastructur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ceiver 610 receives IP allocation, map data, etc., and transmits the IP of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to the server 201 based on WiFi/LTE standard infrastructure. It can be performed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AP).

도 10을 참고하면, BLE 비콘 통신 인프라(1001)는 건물의 시설 관제 센터인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클라우드 비콘(cloud beacon) 및 복수의 BLE 비콘(즉, 비콘 송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클라우드 비콘은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과의 통신을 제공하는 복수의 BLE 비콘과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WiFi/LTE 기반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1002)와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 및 서버(201)가 통신 연결되어, 서버와 재난 안전 시스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0)은 서버(201)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각 비콘 송신기들의 식별 정보(예컨대, 비콘 ID), 위치 정보(GPS 좌표 정보)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BLE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100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loud beacons and a plurality of BLE beacons (ie, beacon transmitters) that communicate with a server that is a facility control center of a building. In this case, each cloud beacon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LE beacons that provide communication with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In addition, the WiFi/LTE-based wireless access point (AP, 1002),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and the server 201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provid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server and the disaster safety system. For example,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0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beacon ID) and location information (GPS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beacon transmitter stored and managed by the server 201 through a wireless access point (AP).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대피 경로를 제공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건물 내부의 통신 인프라로서, 비콘 송신기 및 무선 액세스 포인트(AP)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11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rocess of a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an evacuation route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n FIGS. 11 and 12 , a case in which a beacon transmitter and a wireless access point (AP) are used a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side a buildin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1)에 포함된 프로세서(221)는 구성요소들로서, 식별 정보 할당부(1110), 모니터링부(1120), 대피 경로 결정부(1130) 및 지도 제공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processor 221 included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1 may includ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location unit 1110, a monitoring unit 1120, an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1130, and a map providing unit 1140 as components.

1210 단계에서, 식별 정보 할당부(1110)는 사용자가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서비스가 기구축된 건물 내부에 진입함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IP, URI 등이 식별정보로 서 할당될 수 있다.In step 121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locator 1110 may alloc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as the user enters the building where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ervice is established. For example, IP, URI, etc. may be assign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일례로, 사용자(즉,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가 건물 내부에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 주변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AP)가 사용자 단말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AP)는 건물 내부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였음을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201)에 알릴 수 있다. 그러면, 식별 정보 할당부(1110)는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IP, URI 등)를 사용자 단말에 할당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ie,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enters a building, an access point (AP) located around the user terminal may detect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access point (AP) may notify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201 that it has detected a user terminal entering the building. T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location unit 1110 may alloc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P, URI, etc.) for identifying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access point (AP).

1220 단계에서, 식별 정보가 할당되면, 지도 제공부(1140)는 할당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각 지점(예컨대, 화장실, 입점 업체, 비상구,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을 포함하는 재난 안전 지도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제공부(1140)는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In step 1220,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llocated, the map providing unit 1140 includes each point located inside the building (e.g., restrooms, stores, emergency exits, escalators, elevators, etc.) based on the alloca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may provide a disaster safety map to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map providing unit 1140 may provide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service to a user terminal.

이때,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되면,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관성 센서를 통해 센싱된 방위 정보가 상기 재난 안전 지도에 매칭될 수 있다. 이때, 방위 정보가 재난 안전 지도에 매칭되는 동작은 도 4및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when th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driven in the user terminal, bearing information sensed through an inertial sensor mounte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matched with the disaster safety map.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of matching the azimuth information to the disaster safety map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FIGS. 4 and 5,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1230 단계에서. 모니터링부(1120)는 건물 내부에 기구축된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부에서의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At 1230 steps. The monitoring unit 112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y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stored inside the building from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in the buil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an be monitored.

일례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는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부(1120)는 상기 결정된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비콘 통신 인프라, IoT 사물 인터넷 기반의 통신 인프라, WiFi/LTE 기반의 통신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비콘 송신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the monitoring unit 112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termined current lo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ser's current location may be determined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of a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 IoT-bas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a WiFi/LTE-bas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at is, the user's current loc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sig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eacon transmitter or access point.

이때, 모니터링부(1120)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처럼, 모니터링부(1120)는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예컨대, 식별 정보가 할당되어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리하고 있는N개의 사용자 단말들)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nitoring unit 1120 may monit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t each predetermined time period. As such, the monitoring unit 1120 may monitor the locations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eg, N user terminals assign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naged to provide a disaster safety map service).

그리고, 모니터링부(1120)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방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링부(1120)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된 관성 센서에서 센싱된 방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의 이동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외에, 모니터링부(1120)는 사용자 단말에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파일럿(pilot)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상기 파일럿 신호를 추적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 방향을 예측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전 주기에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와 현재 주기에 수신된 파일럿 신호(pilot signal)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이 1시 방향 또는 3시 방향 등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1120 may receive orient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in order to monit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monitoring unit 1120 may receive bearing information sensed by an inertial sensor mounted in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edict a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bear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1120 may monitor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a pilot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and may predic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y tracking the pilot signal. For exampl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firmed through the pilot signal received in the previous period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firmed through the pilot signal received in the current period, it is possible to predict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moving in the 1 o'clock direction or the 3 o'clock direction.

1240 단계에서,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모니터링부(1120)에서 모니터링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및 통신 인프라의 소실 여부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대피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1240,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1130 may continuously determine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nitored by the monitoring unit 1120 and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예컨대, 재난 상황 발생 여부는 사용자 단말에서 결정될 수도 있고, 서버인 재난 안전 제공 시스템(201)에서 결정될 수도 있고, 둘 다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서버인 재난 안전 제공 시스템(201)에서 건물 내부의 재난 상황이 결정되는 경우,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건물 내부에서 방송되는 방송 음성 신호, 경보음 신호 등을 모니터링하여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외에,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상기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 이외에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동작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or example, whether or not a disaster situation occurs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terminal, by the disaster safety providing system 201 as a server, or by both. Since the case where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 the user terminal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a disaster situation inside the building is determined by the disaster safety providing system 201, which is a server,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1130 can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by monitoring a broadcasting voice signal, an alarm signal, etc. broadcast inside the building, and can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waveform of the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In addition,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1130 may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addition to the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An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in conjunction wit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n optimal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

1250 단계에서, 지도 제공부(1140)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는 대피 경로가 포함된 재난 안전 지도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In step 1250, the map providing unit 1140 may provide a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가 결정될 때 마다, 지도 제공부(1140)는 대피 경로가 포함된 재난 안전 지도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은 대피 경로가 포함된 재난 안전 지도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재난 상황이 발생하기 이전까지는 재난 안전 지도가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며,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백그라운드에서 구동되는 재난 안전 지도가 포그라운드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ever an evacuation rout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map providing unit 1140 may provide a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Then, the user terminal may continuously update the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In this case, the disaster safety map is driven in the background of the user terminal until a disaster situation occurs, and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the disaster safety map driven in the background may be switched to the foregroun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비콘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의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n evacuation path of a user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a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각 단계들(1310 내지 1340 단계)은 도 11의 모니터링부(1120), 대피 경로 결정부(1130), 및 지도 제공부(1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비콘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및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실시예에 해당되며, 비콘 통신 인프라 이외에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반의 통신 인프라, IoT 기반의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현재 위치 및 대피 경로가 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은 도 6의 위치 결정부(6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Each step (steps 1310 to 1340) of FIG. 13 may be performed by the monitoring unit 1120,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1130, and the map providing unit 1140 of FIG. 11 . In FIG. 13, the case of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and evacuation route of the user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the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and in addition to the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 current location and evacuation route may be determined in conjunction with the wireless access point-bas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IoT-bas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lso, the operation of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may be performed by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640 of FIG. 6 .

건물 내부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됨에 따라,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모니터링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건물 외부로 탈출하기 위한 대피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대피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inside the building,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1130 may determine an evacuation route for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nitored user terminal. At this time, a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may exist.

1310 단계에서, 지도 제공부(1140)는 현재 위치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 지도 제공부(1140)는 복수개의 대피 경로 중 최적화된 대피 경로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복수개의 대피 경로 중 최적화된 대피 경로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로부터 건물 외부로 최단 시간 내에 탈출이 가능한 대피 경로가 최적화된 경로로서 제공될 수 있다.In step 1310, the map providing unit 1140 may provide a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to the user terminal. other than that. The map providing unit 1140 may provide an optimized evacuation route among a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to the user terminal. Then, an optimized evacuation route among a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an evacuation route capable of escaping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the shortest time may be provided as an optimized route.

1320 단계에서, 대피 경로가 제공된 이후에도 모니터링부(1120)는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비콘 송신기들로부터 비콘 신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신호 정보는 비콘 ID, 비콘 송신기가 설치된 위치의 GPS 좌표 정보, 신호 세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1320, even after the evacuation route is provided, the monitoring unit 1120 may receive beacon signal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beacon transmitter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Here, the beacon 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a beacon ID, GPS coordinate information of a location where the beacon transmitter is installed, signal strength, and the like.

1330 단계에서,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수신된 비콘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대피 경로 상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재난으로 인해 대피 경로 상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에 장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1330,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1130 may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on the evacuation route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beacon signal information. That is,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1130 may determine whether a failure has occurred in a beacon transmitter located on an evacuation route due to a disaster.

이때,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수신되는 복수의 비콘 신호 정보들의 비콘 ID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 상에 위치하는 각 비콘 송신기들의 비콘 ID를 비교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1130 may compare beacon IDs of respective beacon transmitters located on the evacuation route based on beacon IDs of a plurality of pieces of received beacon signal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a failure has occurred.

일례로,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대피 경로 상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중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기준 반경 이내에 해당하는 비콘 송신기의 비콘 ID와 수신되는 비콘 신호 정보에 포함된 비콘 ID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기준 반경 이내에 속하는 비콘 ID가 수신되는 비콘 ID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존재하지 않는 비콘 ID에 해당하는 비콘 송신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장애가 발생한 비콘 송신기가 배치된 지점(장소, 위치)으로 재난이 확산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1130 may compare a beacon ID of a beacon transmitter within a preset reference radius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mong beacon transmitters located on the evacuation route with a beacon ID included in the received beacon signal information. At this time, when the beacon ID belonging to the reference radius does not exist in the received beacon ID,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1130 may determine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beacon transmitter corresponding to the non-existent beacon ID. That i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disaster has spread to the point (place, location) where the beacon transmitter where the failure occurred is disposed.

다른 예로,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대피 경로 상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중 사용자 단말의 방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 방향에 해당하는 비콘 송신기들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추출된 비콘 송신기들의 ID와 건물 내부에 설치된 비콘 송신기들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송신기들의 ID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의 이동 방향에 해당하는 비콘 송신기들의 ID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상기 이동 방향에 해당하는 특정 영역에 재난이 발생하여 비콘 송신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영역 내에 인접하게 설치된 비콘 송신기들 또는 이웃하는 복수의 비콘 송신기들의 ID가 모두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비콘 송신기들이 설치된 영역에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evacuation path determining unit 1130 may extract beacon transmitters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bear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mong beacon transmitters located on the evacuation route. Also, the evacuation path determination unit 1130 may compare the extracted IDs of beacon transmitters with IDs of beacon transmitters received from beacon transmitters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t this time, when the IDs of the beacon transmitters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are not received,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1130 may determine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a specific area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beacon transmitter has failed. For example, when IDs of beacon transmitters installed adjacent to a certain area or IDs of a plurality of neighboring beacon transmitters are not all received, it may be determined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in the area where the corresponding beacon transmitters are installed.

1340 단계에서, 대피 경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됨에 따라,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대체 대피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지도 제공부(1140)는 결정된 대체 대피 경로가 포함된 재난 안전 지도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는 상기 대체 대피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In step 1340, as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evacuation route,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unit 1130 may determine an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And, the map providing unit 1140 may provide a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determined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Then, the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예를 들어, 대체 경로 결정부(1130)는 복수개의 대피 경로들 중 최적화된 대피 경로가 제공된 이후, 나머지 대피 경로들을 대체 대피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대체 경로 결정부(1130)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탈출까지의 시간이 짧은 순서로 대체 대피 경로에 높은 우선순위를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최적화된 대피 경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로 대체 대피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이동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가 계속 변경되며, 재난으로 인해 비콘 송신기들이 랜덤하게 유실될 수 있으므로, 변경되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대체 대피 경로와 최적화된 대피 경로는 계속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an optimized evacuation route is provided among a plurality of evacuation routes, the alternative route determination unit 1130 may determine the remaining evacuation routes as alternative evacuation routes. At this time, the alternative route determination unit 1130 may apply a high priority to the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in the order of a short tim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escape. For example,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optimized evacuation route, an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may be provided in order of highest priority. Sinc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continues to change du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terminal, and beacon transmitters may be randomly lost due to disasters, alternative evacuation routes and optimized evacuation routes may continue to chan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moving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이때,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비콘 송신기들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의 이상 여부뿐만 아니라 대체 대피 경로의 이상 여부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대체 대피 경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대체 대피 경로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복수의 대체 대피 경로 중 이상이 발생한 대피 경로를 대체 대피 경로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때, 최적화된 대피 경로 및 모든 대체 대피 경로에 모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대체 대피 경로 결정부(1130)는 모니터링되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건물 내부의 비상구 정보, 하늘 공원, 옥상 등의 정보와 대피 경로 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건물 외부의 대피 장소까지의 대피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지도 제공부(1140)는 결정된 대피 경로가 포함된 재난 안전 지도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1130 may determine whether an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is abnormal as well as whether the evacuation route is abnormal based on the beacon sign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eacon transmitter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the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1130 may correct the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For example,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1130 may exclude an evacuation route in which an abnormality occurs among a plurality of alternative evacuation routes from the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At this time, if an error occurs in both the optimized evacuation route and all alternative evacuation routes, the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1130 may determine an evacuation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an evacuation site outside the building using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nitored user terminal, emergency exit information inside the building, sky park, rooftop, etc., and an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algorithm. Then, the map providing unit 1140 may provide a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determined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건물 내부에 진입 시 서버(201)와의 통신을 통해 재난 안전 지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구동되면,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통신 인프라에 독립적으로(stand alone)으로 대피 경로가 표시되는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비콘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대피 경로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대체 대피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비콘 신호의 경우, 블루투스 4.0에 기반하여 통신 범위가 70m 이상에 도달하므로, 전력 소모가 많고 통신 거리가 짧으며, 전용 리더기가 필요한NFC 모듈보다 안전한 대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데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등에 이미 탑재된 NFC 모듈 및 블루투스 모듈 중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비콘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대체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안전한 대피 경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기 상황에서 스마트폰의 전력을 절감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disaster safety map service is installed and opera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201 upon entering a building,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and system can provide a disaster safety map in which an evacuation route is displayed independently on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using an inertial senso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r evacuation route by providing an alternative evacuation route by checking whether the evacuation route is abnormal in conjunction with the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eacon signal, since the communication range reaches 70 m or more based on Bluetooth 4.0, power consumption is high, the communication distance is short, and it is used to provide a safer evacuation route than an NFC module that requires a dedicated reader. It may be more suitable. That is, providing an alternative route in conjunction with a beac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using a Bluetooth module among NFC modules and Bluetooth modules already mounted on smartphones, etc. not only provides a safe evacuation route, but also saves power of the smartphone in a crisis situation. It can be advantageous to save.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controller, arithmetic logic unit (ALU), digital signal processor, microcomputer,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may configure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direct a processing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or transmitted signal wav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and flash memory.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even if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replaced or substituted by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8)

컴퓨터로 구현되는 재난 안전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물 내부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건물 내부에 기구축된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관성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방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방위 정보 및 가속도 정보, 및 상기 통신 인프라의 소실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상기 재난 안전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재난 안전 지도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 내부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재난 상황은,
상기 건물 내부에서 방송되는 방송 음성 신호 및 경보음 신호 모두의 파형이 상기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의 파형과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는,
재난 대비 모의 훈련 또는 실제 재난이 발생 시 방송된 방송 음성 신호 및 경보음 신호를 기초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하여 업데이트되는 것인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A method for providing a computer-implemented disaster safety map,
Alloc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terminal that has entered the building;
Monito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uilt into the building;
Monitor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n inertial sensor;
Determining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orientation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and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and
Providing the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including,
Providing the disaster safety map to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used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side the building to the user terminal;
The disaster situation is
It is determined when the waveforms of both the broadcast voice signal and the alarm sound signal broadcast inside the building match the waveform of the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within an error range,
The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It is updated by perform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a broadcast voice signal and an alarm signal broadcast in the event of a simulated disaster preparedness drill or an actual disaster.
How to Provide Disaster Safety Ma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상기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ing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whether signals transmitted from beacon transmitters or wireless access point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are received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는,
상기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based on signals received from each of the beacon transmitters or wireless access points located around the user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방위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Monito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Monito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bear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pilo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재난 안전 지도는,
상기 건물 내부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전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Switching from the background of the user terminal to the foreground as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side the building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 안전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인프라와의 연동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oviding the disaster safety map to the user terminal,
Providing a message informing tha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activated to the user terminal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by.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건물 내부에 진입한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할당하는 식별 정보 할당부;
상기 건물 내부에 기구축된 통신 인프라와 연동하여 결정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관성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방위 정보 및 가속도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방위 정보 및 가속도 정보, 및 상기 통신 인프라의 소실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대피 경로 결정부; 및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상기 재난 안전 지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지도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도 제공부는,
상기 건물 내부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재난 상황은,
상기 건물 내부에서 방송되는 방송 음성 신호 및 경보음 신호 모두의 파형이 상기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의 파형과 오차범위 내에서 일치하는 경우,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재난 관련 사운드 신호는,
재난 대비 모의 훈련 또는 실제 재난이 발생 시 방송된 방송 음성 신호 및 경보음 신호를 기초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을 수행하여 업데이트되는 것인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
In the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The one or more processo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llocation unit for alloc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terminal that has entered the building;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determined by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uilt into the building, and monitoring azimuth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n inertial sensor;
an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zimuth information and accel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whether or not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lost; and
Map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to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map provider,
To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used to determine whether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side the building to the user terminal;
The disaster situation is
It is determined when the waveforms of both the broadcast voice signal and the alarm sound signal broadcast inside the building match the waveform of the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within an error range,
The disaster-related sound signal,
It is updated by perform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a broadcast voice signal and an alarm signal broadcast in the event of a simulated disaster preparedness drill or an actual disaster.
Disaster safety map provision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경로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상기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evacuation rout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n evacuation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whether signals transmitted from beacon transmitters or wireless access point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are received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는,
상기 사용자 주변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들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Determined based on signals received from each of the beacon transmitters or wireless access points located around the user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의 방위 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monitoring unit,
Monito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bear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the pilot signal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경로가 포함된 재난 안전 지도는,
상기 건물 내부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전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disaster safety map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Switching from the background of the user terminal to the foreground as a disaster situation occurs inside the building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제공부는,
상기 통신 인프라와의 연동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이 활성화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안전 지도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0,
The map provider,
Providing a message informing that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activated to the user terminal
Disaster safety map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by.

KR1020160024489A 2016-02-29 2016-02-2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ation infrastructure KR1025583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89A KR102558389B1 (en) 2016-02-29 2016-02-2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ation infra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489A KR102558389B1 (en) 2016-02-29 2016-02-2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ation infra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657A KR20170101657A (en) 2017-09-06
KR102558389B1 true KR102558389B1 (en) 2023-07-24

Family

ID=5992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489A KR102558389B1 (en) 2016-02-29 2016-02-29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ation infra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3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538B1 (en) * 2018-01-17 2019-04-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Indoor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CN108346269A (en) * 2018-02-13 2018-07-31 山东顺国电子科技有限公司 Visualize interconnection platform and civil air defense constructions and installations evacuation method
KR102108963B1 (en) 2018-04-30 2020-05-11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Method for actively guiding emergency evacuation route
US11272500B2 (en) * 2018-09-20 2022-03-08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Unified facility communications system with device lo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17B1 (en) 2013-06-04 2013-12-09 에이큐 주식회사 Emergency path navig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529443B1 (en) 2014-11-21 2015-06-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scape pat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854B1 (en) * 2010-02-17 2012-01-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Disaster shelter guide system
KR101147351B1 (en) * 2010-09-30 2012-05-23 (주) 에이스뷰테크 Emergency Information Terminal and Emergency Enformation System
KR20140120762A (en) * 2013-04-04 2014-10-14 우현호 Method and terminal for danger-alarming by using voice
KR101629549B1 (en) * 2014-04-23 2016-06-21 유비링크(주)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escaping direction, and user device
KR101583586B1 (en) * 2014-06-10 2016-01-08 최장식 Solution for providing real-time positioning and escaping route correspond to disa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17B1 (en) 2013-06-04 2013-12-09 에이큐 주식회사 Emergency path navig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529443B1 (en) 2014-11-21 2015-06-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escape pa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657A (en)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2980B2 (en) Indoor positioning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system
US10206069B2 (en) Electronic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or absence of user within specific space
EP2962066B1 (en) Indoor positioning using disambiguation information from other mobile devices
KR1025583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 in association with the communiation infrastructure
EP2681581B1 (en) Rssi-based indoor positioning in the presence of dynamic transmission power control access points
US9277524B2 (en) Cooperative local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1170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JP6470247B2 (en)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setting of mobile terminal using cell identifier information
AU2016204744A1 (en) Passenger conveyance way finding beacon system
JP20161260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location service using beacon signal
CN106537963A (en) Localization based on network of wireless nodes
JP6135672B2 (en) Method for reconstructing a map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device implementing the method
CN105359002A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beling crowd sourced data
EP35403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dential- based pedestrian routing
TW201641916A (en) A navigation system,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ndoor escaping
KR20190010121A (en) Fire disaster early warning system using beacon
US202400078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KR20140097426A (en) Mechanism for employing and facilitating geodetic triangulation for determining global positioning of computing devices
KR1025343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saster safety map
KR101730539B1 (en) Providing method for active information based on position and system thereof
KR202100554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US20210329407A1 (en) Constrained user device location using building topology
KR10161844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g indoor plac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JP6121579B2 (en) Wireless positioning service system, wireless positioning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n a computer, and file distribution system
KR20170000362A (en)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Customer Using Terminal Positio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