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576B1 - Back light ui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ck light ui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576B1
KR102551576B1 KR1020160067461A KR20160067461A KR102551576B1 KR 102551576 B1 KR102551576 B1 KR 102551576B1 KR 1020160067461 A KR1020160067461 A KR 1020160067461A KR 20160067461 A KR20160067461 A KR 20160067461A KR 102551576 B1 KR102551576 B1 KR 102551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reflective sheet
display panel
dispose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6120A (en
Inventor
강유진
이인화
장용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576B1/en
Publication of KR20170136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5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2Mechanical guidance or alignment of LCD panel support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부 어두움을 개선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각 프레임 구조를 갖는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반사 시트를 부착하였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 비하여 휘도가 낮은 코너부에서의 반사율 증대에 따른 휘도 향상으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하였다.
Disclosed is a backlight unit capable of improving corner darkness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o this end, in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ive sheets are selectively attached only to oblique surfaces of four corner portions of a reflector having a square frame structure.
As a result,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d the darkness of the four corners by improving the luminance due to the increase in the reflectance at the corners where the luminance is l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BACK LIGHT UI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BACK LIGHT UI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너부 어두움을 개선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unit capable of improving corner darkness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액정표시장치는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과,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필수 구성으로 하며,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 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display panel including an array substrate, a color filter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array substrate and the color filter substrate as essential components, and change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liquid crystal molecules with an electric field in the display panel to change transmittance. implement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추지 못한 관계로 투과율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는 광원의 역할을 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장착되고 있다.Since such a display panel does not have a self-light emitting element, a separate light source is required to display the transmittance difference as an image, and for this, a backlight unit serving as a light source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설치되는 에지형과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서 직접 광을 제공하는 직하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backlight unit may be divided into an edge typ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a direct type providing light directly from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설치되어 반사판과 도광판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로 광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경량 박형화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므로 노트북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The edge type backlight unit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to supply light to the display panel through a reflector and a light guide plate. Since such an edge-type backlight unit has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light weight and thinning, it is mainly used in notebook computers and the like.

그러나,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광하는 광원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위치하므로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광판을 통해 광이 공급되므로 고휘도를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edge-type backlight un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large-area display panel because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high luminance because light is supplied through a light guide plate.

반면,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되므로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휘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is directly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the direct backlight unit can be applied to a large-area display panel and has high brightness.

이러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서 형광램프 대신 LED(Light Emitting Device) 패키지와 같이 자체적으로 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LED 패키지는 R, G, B 단색광을 방출하므로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했을 시 색재현율이 좋고 구동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a light source of the direct type backlight unit,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itself, such as a light emitting device (LED) package, is being used instead of a fluorescent lamp. Since such an LED package emits R, G, and B monochromatic light, when applied to a backlight unit, it has a good color gamut and can save driving power.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LED 패키지로부터 출사된 광이 직접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되므로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휘도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네 측 코너부에 충분한 양의 광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코너부의 휘도가 중앙부의 휘도에 비해 저하되어 코너부가 어둡게 보이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The direct backlight un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to a large-area display panel as well as providing high brightness beca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package is directly supplied to the display panel, but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is supplied to the four corners of the display panel. Therefore, the luminance of the corner portion is lowered compared to the luminance of the central portion,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corner portion looks dark.

최근에는 코너부 어두움을 개선하기 위해, 최외곽에 배치되는 LED 패키지와 반사판의 끝단까지의 간격을 축소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에 대한 한계로 인해 최소 거리를 적용하더라도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darkness of the corners,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most LED package and the end of the reflector, but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backlight unit structure, even if the minimum distance is applied, the darkness There is a limit to improvement.

특히, 브라켓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시킨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들 사이에서 코너부 어두움이 보다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re fixed using brackets, the corner portion is darker between the display panels.

본 발명은 코너부 어두움을 개선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light unit capable of improving corner darkness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각 프레임 구조를 갖는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반사 시트를 부착하였다.To this end, in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ive sheets are selectively attached only to oblique surfaces of four corner portions of a reflector having a square frame structure.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 비하여 휘도가 낮은 코너부에서의 반사율 증대에 따른 휘도 향상으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하였다.
As a result,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d the darkness of the four corners by improving the luminance due to the increase in the reflectance at the corners where the luminance is l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각 프레임 구조를 갖는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에 부착된 반사 시트를 포함한다.A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reflective sheets attached to oblique surfaces of four corner portions of a reflector having a square frame structure.

이때, 반사 시트는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에서 사선면들 상호 간이 만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 구조를 갖는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lective sheet may have a triangular shape having a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 based on boundary lines where oblique planes meet each other at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이러한 반사 시트는 반사판의 경계선을 따라 배치된 제1 변과, 반사판의 안착면을 따라 배열된 제2 변과,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는다.Such a reflective sheet has a first side disposed along a boundary line of the reflective plate, a second side disposed along a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and a third side connecting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이때, 반사 시트의 제1 변은 30 ~ 100mm의 길이를 갖고, 반사 시트의 제2 변은 25 ~ 88mm의 길이를 가지며, 반사 시트의 제3 변은 17 ~ 80mm의 길이를 갖는다.In this case, the first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has a length of 30 to 100 mm,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has a length of 25 to 88 mm, and the thir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has a length of 17 to 80 mm.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 비하여 휘도가 낮은 코너부에서의 반사율 증대에 따른 휘도 향상으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하였다.
As a result,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d the darkness of the four corners by improving the luminance due to the increase in the reflectance at the corners where the luminance is l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반사 시트를 부착하였다.In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ive sheets are selectively attached only to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 비하여 휘도가 낮은 코너부에서의 반사율 증대에 따른 휘도 향상으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하였다.As a result,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d the darkness of the four corners by improving the luminance due to the increase in the reflectance at the corners where the luminance is lower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 시트의 제1 내지 제3 변의 길이를 최적화하여 설계함과 더불어 반사 시트의 제2 변을 반사판의 안착면에 대하여 1 ~ 15°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하였다.In addition,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by optimizing the lengths of the first to third sides of the reflective sheet, and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is tilted at 1 to 15°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placed to hav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코너부에서 빛튐에 의한 끝단부의 휘선이 시인되는 것 없이 최적의 면적 확보 및 기울기 적용으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arkness of the four corner portions by securing an optimal area and applying a slope without the bright line at the end due to light splashing at the corner portion being visually recognized.

이에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 시트로 93 ~ 97%의 반사율을 갖는 은반사 시트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코너부에서의 휘선이나 휘점의 시인 없이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하였다.
In addition,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y a silver reflective sheet having a reflectance of 93 to 97% as a reflective sheet, thereby reducing the darkness of the four corner portions without viewing bright lines or bright spots at the corner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코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코너부에서의 휘도 향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도 2의 반사 시트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반사 시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광학 이미지.
도 9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의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 ~ 4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특성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1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5 ~ 7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특성 결과를 나타낸 사진.
1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rner por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1;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enhancing luminance at a corner por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flective sheet of FIG. 2 in detail;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reflective sheet of FIG. 5;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luminance measurement results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8 is an optical image showing luminance measurement results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9 is a photograph showing luminance measurement results of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system to which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re applied.
10 is a photograph show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4;
11 is a photograph show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5 to 7;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backlight unit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코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corn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cross section show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메인 서포터(120), 커버 버텀(130), 백라이트 유닛(140) 및 탑 케이스(150)를 포함한다.
1 to 3 ,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a main supporter 120, a cover bottom 130, a backlight unit 140, and a top case 150. ).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도면으로 상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합착되는 제1 및 제2 기판(미도시)과, 제1 및 제2 기판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기판에는 박막트랜지스터와 더불어 각종 배선과 화소 전극이 배치되고, 제2 기판에는 RGB 삼원색을 표시하기 위한 컬러필터층과 블랙매트릭스(BM)가 배치된다.
The display panel 110 plays a key role in realizing an imag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drawings,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strates (not shown)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bonded thereto, and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interposed in a space between the spaced apart first and second substrates. city), including In this case, thin film transistors, various wires and pixel electrodes are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layer and a black matrix (BM) for displaying three primary colors of RGB are disposed on the second substrate.

메인 서포터(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The main supporter 120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panel 110 and supports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110 .

이를 위해, 메인 서포터(120)는 사각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메인 서포터(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120a)와, 수직부(120a)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중첩되는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광학부재(144)를 지지하는 수평부(120b)를 갖는다.
To this end, the main supporter 120 may have a square frame shape. That is, the main supporter 120 includes a vertical portion 120a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display panel 110, and extending in an inward direction overlapping the display panel 110 from the vertical portion 120a, It has a horizontal part 120b supporting the member 144.

커버 버텀(130)은 메인 서포터(120)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커버 버텀(130)은 측면을 갖도록 양측 가장자리가 상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버텀(130)의 측면은 메인 서포터(120)의 측면과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cover bottom 130 is mounted below the main supporter 120 . The cover bottom 130 may have a shape in which both edges of the cover bottom 130 are bent upward to have sides. Accordingly,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bottom 130 may be install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supporter 120 .

백라이트 유닛(140)은 커버 버텀(130)의 상면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140)은 LED 패키지 모듈(142), 광학부재(144), 반사판(146) 및 반사 시트(148)를 갖는다.The backlight unit 14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130 . The backlight unit 140 includes an LED package module 142 , an optical member 144 , a reflector 146 and a reflector sheet 148 .

LED 패키지 모듈(142)은 기판(142a), LED 패키지(142b) 및 렌즈(142c)를 포함한다.The LED package module 142 includes a substrate 142a, an LED package 142b and a lens 142c.

기판(142a)은 PCB(Printed Circuit Board),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알루미나(alumina), 수정(quartz), 칼슘지르코네이트(calcium zirconate), 감람석(forsterite), 실리콘 카바이드(SiC), 흑연, 지르코니아(zirconia), 플라스틱, 금속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ubstrate 142a is made of printed circuit board (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alumina, quartz, calcium zirconate, forsterite, silicon carbide (SiC), Graphite, zirconia, plastic, metal, etc. may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LED 패키지(142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직접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기판(142a) 상에 복수개가 실장된다. 이러한 LED 패키지(142b)는 금속 와이어를 매개로 기판(142a)에 본딩되는 수직형 또는 수평형의 발광 칩 패키지일 수 있다. 이외에도, LED 패키지(142b)는 범프를 매개로 기판(142a)에 플립 본딩되는 플립 칩 패키지일 수 있다.The LED package 142b is a light source for directly irradiating light to the display panel 110, and is mounted in plurality on the substrate 142a. The LED package 142b may be a vertical or horizontal light emitting chip package bonded to the substrate 142a via a metal wire. In addition, the LED package 142b may be a flip chip package that is flip-bonded to the substrate 142a via bumps.

이때, 복수의 LED 패키지(142b)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방향으로 적(R), 녹(G) 및 청(B)의 색을 갖는 빛을 발산한다. 이러한 복수의 LED 패키지(142b)를 동시에 점등시킴으로써, 색 조합에 의해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LED packages 142b emit light having color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toward the display panel 110 . By simultaneously turning on the plurality of LED packages 142b, white light can be implemented by color combination.

도 1에 도시된 직하형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 서로 이웃한 LED 패키지(142b)들로부터 발산된 빛이 서로 중첩 및 혼합된 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직접 입사되어 면광원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직하형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 표현을 위해 복수의 LED 패키지(142b)를 순차적으로 온/오프(on/off) 구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특정영역 별로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분할 구동(local dimmi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밝은 영상을 더 밝게 해주거나 어두운 영상을 더 어둡게 해줌으로써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를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irect-typ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1 , light emitted from adjacent LED packages 142b overlaps and mixes with each other and then is directly incident on the display panel 110 to provide a surface light source. will do At this time, the direct-type display device 100 sequentially turns on/off the plurality of LED packages 142b to express a more lively image, and light is emitted for each specific area of the display panel 110. It can be implemented in a backlight division driving (local dimming) method that supplies . For this reason, a contrast ratio can be improved by making a bright image brighter or a dark image darker, so that a more lively image can be implemented.

렌즈(142c)는 LED 패키지(142b)의 상측을 덮도록 기판(142a) 상에 장착된다. 이때, 렌즈(142c)는 LED 패키지(142b)의 광 경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리, 아크릴, 실리콘, 에폭시, 플라스틱, 폴리머 등의 투광성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A lens 142c is mounted on the substrate 142a so as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LED package 142b. At this time, the lens 142c is installed in the light path of the LED package 142b, and a translucent material such as glass, acrylic, silicone, epoxy, plastic, or polymer may be used.

이러한 렌즈(142c)는 LED 패키지(142b)와 마주보는 입사면(I)과, 입사면(I)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출사면(O)을 갖는 굴절형 광학계이다. 렌즈(142c)의 입사면(I)은 광 집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오목한 홈 형태로 설계될 수 있고, 출사면(O)은 광을 최대한 넓게 분산시킬 수 있는 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The lens 142c is a refractive optical system having an incident surface I facing the LED package 142b and an exit surface O disposed opposite to the incident surface I. The entrance surface (I) of the lens 142c may be designed in a concave groove shape to increase light condensing efficiency, and the exit surface (O) may be designed in a dome structure capable of dispersing light as wide as possible.

렌즈(142c)는 렌즈 삽입 홈(142e) 내에 삽입되어 기판(142a)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렌즈(142c)는 렌즈(142c)의 하면에 배치되어 기판(142a)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 돌기(142d)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142c)는 기판(142a)의 렌즈 삽입 홈(142e) 내에 체결 돌기(142d)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기판(142a)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렌즈(142c)의 체결 돌기(142d) 및 렌즈 삽입 홈(142e)은 각각 4개가 설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e lens 142c is inserted into the lens insertion groove 142e and coupled to the substrate 142a. To this end, the lens 142c may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142d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ens 142c and protruding toward the substrate 142a. Accordingly, the lens 142c is stably fixed to the substrate 142a by fastening the fastening protrusion 142d into the lens insertion groove 142e of the substrate 142a in a fitting manner. Four fastening protrusions 142d and lens insertion grooves 142e of the lens 142c may be designed, respectively,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number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광학부재(144)는 메인 서포터(120)의 수평부(120b) 상에 안착되어, LED 패키지 모듈(142)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광학부재(14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시야각을 넓히고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LED 패키지 모듈(142)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굴절 또는 산란시킨다.The optical member 144 is seated on the horizontal portion 120b of the main supporter 120 and mounted on the LED package module 142 . The optical member 144 refracts or scatters light incident from the LED package module 142 in order to widen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increase luminance.

구체적으로, 복수의 광학부재(144)는 확산 시트(diffuser sheet, 144a), 프리즘 시트(prism sheet, 144b), 보호 시트(protection sheet, 144c) 및 휘도 향상 시트(doubl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 DBEF, 144d)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에는 복수의 광학부재(144)로 확산 시트(144a), 프리즘 시트(144b), 보호 시트(144c) 및 휘도 향상 시트(144d)가 차례로 적층된 4층 구조를 일 예로 나타내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optical members 144 include a diffuser sheet (144a), a prism sheet (144b), a protection sheet (144c), and a doubl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DBEF, 144d). )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of them. At this time, FIG. 1 shows an example of a four-layer structure in which a diffusion sheet 144a, a prism sheet 144b, a protection sheet 144c, and a luminance enhancing sheet 144d are sequentially stacked as a plurality of optical members 144 .

확산 시트(144a)는 LED 패키지 모듈(142)로부터 출사된 광을 면을 따라 확산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전체적으로 색상 및 밝기가 균일하게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diffusion sheet 144a serves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package module 142 along the surface so that the color and brightness of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100 are uniform.

프리즘 시트(144b)는 확산 시트(144a)에 의하여 확산된 광을 굴절 또는 집광시켜 휘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rism sheet 144b serves to increase luminance by refracting or condensing the light diffused by the diffusion sheet 144a.

보호 시트(144c)는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확산 시트(144a) 및 프리즘 시트(144b)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시트(144c)는 프리즘 시트(144b)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착된다.The protective sheet 144c serves to protect the diffusion sheet 144a and the prism sheet 144b from external impact or inflow of foreign matter. In addition, the protective sheet 144c is moun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cratches on the prism sheet 144b.

휘도 향상 시트(144d)는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휘도 향상 시트(144d)는 편광 필름의 일종으로 반사형 편광 필름이라고 한다. 이때, 광은 수직편광(P편광)과 수평편광(S편광)으로 구분되는데, 휘도 향상 시트(144d)는 수직편광과 수평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은 거의 통과시키지만, 다른 하나의 편광은 거의 반사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일 예로, 휘도 향상 시트(144d)가 수직편광을 모두 통과시키고, 수평편광을 거의 반사시킨다고 할 때, 반사된 수평편광은 수직편광과 수평편광으로 다시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수직편광은 다시 휘도 향상 시트(144d)를 통과하고, 분리된 수평편광은 다시 반사되며, 반사된 수평편광은 다시 수직편광과 수평편광으로 분리된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휘도 향상 시트(144d)는 광의 휘도를 증가시키게 된다.The luminance enhancing sheet 144d is mounted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luminance. The luminance enhancing sheet 144d is a type of polarizing film and is referred to as a reflective polarizing film. At this time, the light is divided into vertical polarization (P polarization) and horizontal polarization (S polarization), and the luminance enhancing sheet 144d almost transmits either polarization of vertical polarization or horizontal polarization, but mostly reflects the other polarization. has the characteristic of For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luminance enhancing sheet 144d passes all of the vertical polarized light and reflects most of the horizontal polarized light, the reflected horizontal polarized light is further separat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ed light. At this time, the separated vertical polarized light passes through the luminance enhancing sheet 144d again, the separated horizontal polarized light is reflected again, and the reflected horizontal polarized light is again separat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ed light. In this way, the luminance enhancing sheet 144d increases the luminance of light.

반사판(146)은 LED 패키지(142b)로부터 출사된 광을 디스플레이 패널(110)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사판(146)은 기판(142a)의 상면에 배치되는 바닥면(146a)과, 바닥면(146a)의 네 변으로부터 사선 형태로 각각 연장되어 사각 프레임 구조를 갖는 사선면(146b)과, 사선면(146b)으로부터 절곡되어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안착면(146c)을 갖는다. 이때, 반사판의 안착면(146c)은 메인 서포터(120)의 수평부(120b) 상에 배치되어 광학부재(144)의 하부에 장착된다.The reflector 146 serves to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ED package 142b toward the display panel 110 . Specifically, the reflector 146 includes a bottom surface 146a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42a and an oblique surface 146b extending in an oblique shape from fou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146a and having a square frame structure. ), and a seating surface 146c bent from the oblique surface 146b and arrang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the seating surface 146c of the reflector is disposed on the horizontal portion 120b of the main supporter 120 and mounted below the optical member 144 .

반사 시트(148)는 반사판(146)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146b)에 부착된다. 이러한 반사 시트(148)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코너부에서의 광량 부족에 의한 코너부 어두움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착된다.The reflective sheet 148 is attached to the diagonal surfaces 146b of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146 . The reflective sheet 148 is installed to reduce the darkness of the corners of the display panel 110 due to lack of light.

이를 위해, 반사 시트(148)는 반사판(146)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146b)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반사 시트(148)를 반사판(146)의 네측 코너부에만 선택적으로 부착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중앙부에 비하여 휘도가 낮은 코너부에서의 반사율을 증대시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reflective sheet 148 is selectively attached only to the oblique surfaces 146b of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146 . As such, by selectively attaching the reflective sheet 148 only to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or 146, the reflectance at the corner portions having lower luminance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is increased to reduce the darkness of the four corner portions. be able to improve

탑 케이스(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장착되어, 메인 서포터(120)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결합된다. 이때, 탑 케이스(150), 메인 서포터(120) 및 커버 버텀(130)은 각각의 측 벽면을 관통하는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op case 150 is mounted on the display panel 110 and coupled to the main supporter 120 and the display panel 110 . In this case, the top case 150, the main supporter 120, and the cover bottom 130 may be fastened by screws penetrating each side wal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반사 시트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 비하여 휘도가 낮은 코너부에서의 반사율을 증대시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selectively attaching the reflective sheet only to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or, the reflectance is increased at the corner portions having lower luminance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thereby increasing the reflectance at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display panel. Darkness can be improved.

이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코너부에서의 휘도 향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5는 도 2의 반사 시트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반사 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principle of improving luminance at a corner por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flective sheet of FIG. 2 in detail, and FIG. 6 is a reflective sheet of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시트(148)는 반사판(146)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146b)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반사판(146)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146b)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반사 시트(148)를 부착하게 되면, LED 패키지(142b)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반사 시트(148)에 의해 반사 효율이 증대되어 네 측 코너부에서의 광량이 증대되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4 to 6 , the reflective sheet 148 is selectively attached only to the oblique surfaces 146b of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146 . In this way, when the reflective sheet 148 is selectively attached only to the oblique surfaces 146b of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146,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package 142b is reflected efficiently by the reflective sheet 148. This increases the amount of light at the corner portions on the four sides, so that the luminance can be improved.

이를 위해, 반사 시트(148)는 반사판(146)에 비하여 반사율이 높은 은반사 시트가 이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반사 시트(148)는 93 ~ 97%의 반사율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시트(148)의 반사율이 93% 미만일 경우에는 반사율이 낮아 코너부의 휘도 향상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반사 시트(148)의 반사율이 97%를 초과할 경우에는 코너부의 휘도 향상 효과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끝단부 휘선이나 휘점의 시인으로 명암차가 발생하여 화질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To this end, a silver reflective sheet having a higher reflectance than that of the reflective plate 146 may be used as the reflective sheet 148 . More preferably, the reflective sheet 148 has a reflectance of 93 to 97%. When the reflectance of the reflective sheet 148 is less than 93%, it may be difficult to properly exhibit the luminance enhancement effect of the corner portion due to the low reflectance. Conversely, when the reflectance of the reflective sheet 148 exceeds 97%,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luminance enhancement effect of the corner portion, but a contrast difference may occur due to the visibility of a bright line or a bright point at the end portion, resulting in poor image quality.

이러한 반사 시트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flective she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시트(148)는 베이스 기재(148a), 은 반사층(148b) 및 비드(148c)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 the reflective sheet 148 includes a base substrate 148a, a silver reflective layer 148b, and beads 148c.

베이스 기재(148a)는 반사 시트(148)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기재(148a)의 재질로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계열, 폴리술폰(poly sulfone) 계열,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계열, 폴리스티렌(poly styrene) 계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계열,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계열,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계열,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계열의 물질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기재(148a)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 ethylene naphthala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기재(148a)는 10 ~ 30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base substrate 148a is a part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reflective sheet 148, and a transparent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may be used. Materials of the base substrate 148a include polycarbonate, polysulfone, polyacrylate, polystyrene, and polyvinyl chlori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lcohol, polynorbornene, and polyester may be used. Specifically, as the base substrate 148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or the like may be used. The base substrate 148a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0 to 30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은 반사층(148b)은 베이스 기재(148a)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은 반사층(148b)은 베이스 기재(148a) 상에 반사율이 우수한 은(Ag)을 코팅 또는 증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 반사층(148b)은 액상코팅법, 진공증착법, 이온화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플레이팅법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A silver reflective layer 148b is disposed on the base substrate 148a. The silver reflective layer 148b may be formed by coating or depositing silver (Ag) having excellent reflectance on the base substrate 148a. For example, the silver reflective layer 148b may be formed by any one method selected from a liquid coating method, a vacuum deposition method, an ionization deposition method, a sputtering method, and an ion plating method.

이러한 은 반사층(148b)은 10 ~ 200n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 반사층(148b)의 두께가 10nm 미만일 경우에는 그 두께가 너무 얇아 충분한 반사율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은 반사층(148b)의 두께가 200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반사율 향상 효과 없이 제조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The silver reflective layer 148b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0 to 200 nm. When the thickness of the silver reflective layer 148b is less than 10 nm,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reflectance because the thickness is too thin. Conversely, when the thickness of the silver reflective layer 148b exceeds 200 nm, it is not economical because it may act as a factor that only increases manufacturing cost without further enhancing the reflectance.

비드(148c)는 은 반사층(148b)의 내부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비드(148c)는 은 반사층(148b) 상에 분산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비드(148c)는 산란 특성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 방향으로 직진하는 광량을 증가시켜 휘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비드(148c)는 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재질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a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스틸렌(PS: polystyrene), 나일론(Nylon)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beads 148c may be distributedly disposed inside the silver reflective layer 148b. In addition, the beads 148c may be distributedly disposed on the silver reflective layer 148b. These beads 148c serve to improve luminance 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traveling straight toward the display panel 110 due to their scattering characteristics. These beads 148c may have a spherical shape, and the material thereof is selected from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carbonate (PC), polystyrene (PS), nylon, and the like. One or mor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반사 시트(148)는 반사판(146)의 네 측 코너부에서 사선면(146b)들 상호 간이 만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 구조를 갖는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 5 , the reflective sheet 148 has a triangular shape having a mutually symmetrical structure based on the boundary lines where the slanted surfaces 146b meet each other at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146 .

구체적으로, 반사 시트(148)는 반사판(146)의 경계선을 따라 배치된 제1 변(S1)과, 반사판(146)의 안착면(146c)을 따라 배열된 제2 변(S2)과, 제1 변(S1)과 제2 변(S2)을 연결하는 제3 변(S3)을 갖는다.Specifically, the reflective sheet 148 includes a first side S1 disposed along the boundary of the reflective plate 146 and a second side S2 disposed along the seating surface 146c of the reflective plate 146, It has a third side (S3) connecting the first side (S1) and the second side (S2).

이때, 반사 시트(148)의 제1 변(S1), 제2 변(S2) 및 제3 변(S3)의 길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100)의 모델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는 하나, 예를 들어 32인치와 100인치 간의 길이 편차가 심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따라서, 반사 시트(146)의 제1 변(S1)은 30 ~ 100mm의 길이를 갖고, 반사 시트(146)의 제2 변(S2)은 25 ~ 88mm의 길이를 갖고, 반사 시트(146)의 제3 변(S3)은 17 ~ 80mm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사 시트(146)의 제1 변(S1)과 제2 변(S2)이 이루는 각도는 35 ~ 60°일 수 있고, 제2 변(S2)과 제3 변(S3)이 이루는 각도는 60 ~ 80°일 수 있으며, 제1 변(S1)과 제3 변(S3)이 이루는 각도는 35 ~ 70°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각도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At this time, although the lengths of the first side S1, the second side S2, and the third side S3 of the reflective sheet 148 may vary depending on the model size of the display device (100 in FIG. 1), For example, the length deviation between 32 inches and 100 inches does not appear significantly. Accordingly, the first side S1 of the reflective sheet 146 has a length of 30 to 100 mm, and the second side S2 of the reflective sheet 146 has a length of 25 to 88 mm. The third side (S3) preferably has a length of 17 ~ 80mm. Accordingly,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side S1 and the second side S2 of the reflective sheet 146 may be 35 to 60°, and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side S2 and the third side S3. may be 60 to 80 °, and the angle formed by the first side (S1) and the third side (S3) may be 35 to 70 °,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angle can be designed in various forms It will be an obvious fact.

이와 같이, 반사 시트(146)의 제1 내지 제3 변(S1, S2, S3)의 길이를 최적화하여 설계하는 것에 의해, 빛튐에 의한 끝단부의 휘선이 시인되는 것 없이 최적의 면적을 확보하여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optimizing and designing the lengths of the first to third sides S1, S2, and S3 of the reflective sheet 146, an optimal area is secured without the bright lines at the ends due to splashing being visually recognized. It becomes possible to improve the darkness of the side corner part.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 시트(146)는 반사판(146)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146b)에 대하여 최적의 형상 및 면적을 갖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반사 시트(148)는 반사판(146)의 네 측 코너부의 휘도 향상을 위해 반사판(146)과의 중첩 면적이 넓을 수록 유리하나, 과도한 면적으로 설계될 경우에는 빛튐에 의해 반사 시트(148)의 끝단부 휘선이 시인되어 화질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sheet 146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diagonal surfaces 146b of the four corners of the reflective plate 146 to have an optimal shape and area. At this time, the reflective sheet 148 is more advantageous as the overlapping area with the reflective plate 146 is wider in order to improve the luminance of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146, but when designed with an excessive area, the reflective sheet 148 is damaged by light splashing. A bright line at the end of the image may be recognized, resulting in poor image quality.

즉, 반사 시트(148)의 제2 변(S2)과 반사판(146)의 안착면(146c)을 맞닿도록 설계할 시에는 반사 시트(148)와 반사판(146) 간의 중첩 면적이 넓어져 휘도 향상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반사 시트(148)와 반사판(146)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빛튐에 의해 끝단부 휘선이 시인되어 화질 불량을 유발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side S2 of the reflective sheet 148 and the seating surface 146c of the reflective plate 146 are designed t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reflective sheet 148 and the reflective plate 146 is widened to improve luminance. Although it is advantageous from the side, a bright line at the end may be visually recognized due to light splashing at a portion where the reflective sheet 148 and the reflective plate 146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causing poor image quality.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반사 시트(148)의 제2 변(S2)은 반사판(146)의 안착면(146c)과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반사 시트(148)의 제2 변(S2)은 반사판(146)의 안착면(146c)에 대하여 1 ~ 15°의 기울기(θ)를 갖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시트(148)의 제2 변(S2)과 반사판(146)의 안착면(146c)이 이루는 기울기(θ)가 1°미만일 경우에는 반사 시트(148)와 반사판(146) 간의 이격 간격이 협소하여 상기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크다. 반대로, 반사 시트(148)의 제2 변(S2)과 반사판(146)의 안착면(146c)이 이루는 기울기(θ)가 15°를 초과할 경우에는 반사 시트(148)의 제2 변(S2)과 반사판(146)의 안착면(146c) 간의 이격 간격이 멀어지는데 기인하여 반사 시트(148)의 전체 면적이 축소되어 코너부에서의 반사율 저하로 코어부 어두움 개선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in adv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ide S2 of the reflective sheet 148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surface 146c of the reflective plate 146 .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side S2 of the reflective sheet 148 has an inclination θ of 1 to 15°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146c of the reflective plate 146 . When the slope θ between the second side S2 of the reflective sheet 148 and the seating surface 146c of the reflective plate 146 is less than 1°,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flective sheet 148 and the reflective plate 146 is narrow. As a result, there is a high risk that the above effects may not be properly exerted. Conversely, when the inclination θ formed between the second side S2 of the reflective sheet 148 and the seating surface 146c of the reflective plate 146 exceeds 15°, the second side S2 of the reflective sheet 148 ) and the seating surface 146c of the reflector 146, the total area of the reflective sheet 148 is reduc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reflector 146 and the decrease in reflectance at the corner, resulting in a concern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darkness of the core may not be properly exhibited. there is.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반사 시트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 비하여 휘도가 낮은 코너부에서의 반사율 증대에 따른 휘도 향상으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시킬 수 있다.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r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reflective sheet only on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or to increase the reflectance at the corner portion having lower luminance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arkness of the corner portions on the four sides by improving the luminance according to the lumin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 시트의 제1 내지 제3 변의 길이를 최적화하여 설계함과 더불어 반사 시트의 제2 변을 반사판의 안착면에 대하여 1 ~ 15°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코너부에서 빛튐에 의한 끝단부의 휘선이 시인되는 것 없이 최적의 면적 확보 및 기울기 적용으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by optimizing the lengths of the first to third sides of the reflective sheet and extend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at a distance of 1 to 15 from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By arranging them to have an inclination of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arkness of the four corners by securing the optimal area and applying the inclination without the bright line at the end due to light splashing at the corner.

이에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사 시트로 93 ~ 97%의 반사율을 갖는 은반사 시트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 코너부에서의 휘선이나 휘점의 시인 없이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cklight unit and th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y a silver reflective sheet having a reflectance of 93 to 97% as a reflective sheet, so that bright lines or bright spots at the corners are not visually recognized at the four corners. It can improve the darkness of wealth.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is is presented as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in any sense.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Contents not described herein can be technical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광학 이미지이다. 이때, 도 7의 (a) 및 (b)와 도 8의 (a) 및 (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네 측 모서리로부터 가로 21mm 및 세로 21mm의 이격된 코너부에서의 휘도를 각각 측정하여 나타내었다.7 is a plan view showing luminance measurement results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nd FIG. 8 is an optical image showing luminance measurement results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t this time, (a) and (b) of FIG. 7 and (a) and (b) of FIG. 8 show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respectively, 21 mm in width from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our corners of the display panel. and luminance at 21 mm spaced apart corners, respectively.

이때, 실시예 1은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에 95%의 반사율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반사 시트를 각각 부착하였고, 비교예 1은 반사 시트를 부착하지 않았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반사 시트의 제2 변이 반사판의 안착면에 대하여 7°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제1 변, 제2 변 및 제3 변의 길이를 50.89mm, 45mm 및 40.58mm로 각각 설계하였다.At this time, in Example 1, triangular reflective sheets having a reflectance of 95% were attached to the oblique surfaces of the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respectively, and in Comparative Example 1, no reflective sheets were attach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xample 1,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was designed to have an inclination of 7°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s were 50.89 mm, 45 mm and 40.58 mm. each designed.

도 7의 (a) 및 (b)와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서 측정된 휘도 값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이 503 cd/㎡로 동일하였다. 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네 측 코너부에서 측정된 휘도 값의 경우, 비교예 1은 376 ~ 401 cd/㎡에 불과하였으나, 실시예 1은 400 ~ 418 cd/㎡로 측정되어 비교예 1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7 and (a) and (b) of FIG. 8 , the luminance value measur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503 cd/m 2 . was the sam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uminance values measur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display panel, Comparative Example 1 was only 376 to 401 cd/m2, but Example 1 was measured at 400 to 418 cd/m2, which increas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can confirm that

위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최외곽 휘도 균일도가 74.8%로 측정되었는데 반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최외곽 휘도 균일도가 79.5%로 대략 6.3%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최외곽 휘도 균일도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서 측정된 휘도 값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네 측 코너부에서 측정된 휘도 값 중에서 최소 값을 나누는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outermost luminance uniformity was measured at 74.8%, whereas in the case of Example 1, the outermost luminance uniformity was 79.5%, which was approximately 6.3% higher. there is. At this time, the outermost luminance uniformity was evaluated by dividing the minimum value between the luminance value measur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luminance value measur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display panel.

한편, 도 9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의 휘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도 9의 (a)는 실시예 1을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b)는 비교예 1을 나타낸 것이다.Meanwhile, FIG. 9 is a photograph showing a luminance measurement result of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system to which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are applied. At this time, (a) of FIG. 9 shows Example 1, and (b) of FIG. 9 shows Comparative Example 1.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브라켓으로 고정 설치하는 멀티 비전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인접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호 간의 네 측 모서리 부분에서의 어두움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9, in the case of a multi-vision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are fixedly installed with a bracke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arkness at the four corners between adjacent display panels. .

이때,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반사 시트의 미적용으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이 2 부분으로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반사 시트의 적용으로 네 측 코너부의 어두움이 1 부분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darkness of the corner portions on the four sides clearly appears in two parts due to the non-application of the reflective shee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arkness of the corner portions on the four sides is reduced to one part by applying the reflective sheet.

도 10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2 ~ 4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특성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비교예 2는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에 95%의 반사율을 갖는 사각형 형상의 반사 시트를 각각 부착하였다. 이때, 비교예 2의 경우, 반사 시트의 제2 변이 반사판의 안착면과 맞닿도록 설계하였으며, 제1 변, 제2 변, 제3 변 및 제4 변의 길이를 50.89mm, 122mm, 51.25mm 및 27mm로 각각 설계하였다.10 is a photograph show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2 to 4. In Comparative Example 2, square-shaped reflective sheets having a reflectance of 95% were attached to oblique surfaces of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respectively. At this tim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was design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ides were 50.89 mm, 122 mm, 51.25 mm, and 27 mm. were designed respectively.

비교예 3은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에 95%의 반사율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반사 시트를 각각 부착하였다. 이때, 비교예 3의 경우, 반사 시트의 제2 변이 반사판의 안착면에 대하여 37°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제1 변, 제2 변 및 제3 변의 길이를 50.89mm, 63mm 및 30.25mm로 각각 설계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3, triangular reflective sheets having a reflectance of 95% were attached to oblique surfaces of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respectively. At this tim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was designed to have an inclination of 37°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s were 50.89 mm, 63 mm and 30.25 mm, respectively. each designed.

비교예 4는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에 95%의 반사율을 갖는 삼각형 형상의 반사 시트를 각각 부착하였다. 이때, 비교예 4의 경우, 반사 시트의 제2 변이 반사판의 안착면에 대하여 35°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제1 변, 제2 변 및 제3 변의 길이를 50.89mm, 29.25mm 및 26.58mm로 각각 설계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4, triangular reflective sheets having a reflectance of 95% were attached to oblique surfaces of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respectively. At this tim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4,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was designed to have an inclination of 35°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and the length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s were 50.89 mm, 29.25 mm and 26.58 mm, respectively. were designed respectively.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끝단부 휘선 시인 없이 코너부의 휘도 향상으로 코너부 어두움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in the case of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arkness of the corner portion is improved due to the luminance improvement of the corner portion without the end bright line visibility.

반면,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코너부 어두움은 개선되었으나, 끝단부 휘점이 시인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although the darkness of the corner was improved,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bright spot at the end was recognized.

또한, 비교예 3의 경우에는 코너부 어두움 개선 효과가 미미하였으며, 코너부의 안쪽에 휘점이 시인되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the effect of reducing the darkness of the corner portion was insignificant, and a bright spot was recognized inside the corner portion.

또한, 비교예 4의 경우에는 코너부 휘점이 시인되지는 않았으나, 코너부 어두움 개선 효과가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4, it can be confirmed that although the corner bright spot was not visually recognized, the corner darkening effect was insignificant.

한편, 도 1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5 ~ 7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특성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실시예 1은 95%의 반사율을 갖는 반사 시트를 적용한 것이고, 비교예 5 ~ 7은 99%, 90% 및 86%의 반사율을 갖는 반사 시트를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사 시트를 적용하였다.Meanwhile, FIG. 11 is a photograph show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5 to 7. In this case, Example 1 applies a reflective sheet having a reflectance of 95%, and Comparative Examples 5 to 7 have the same reflection as Example 1 except for applying a reflective sheet having a reflectance of 99%, 90%, and 86%. A sheet was appli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에는 끝단부 휘선 시인 없이 코너부의 휘도 향상으로 코너부 어두움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in the case of Example 1,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arkness of the corner portion is improved due to the luminance improvement of the corner portion without the end bright line visibility.

반면, 비교예 5의 경우에는 코너부 어두움은 개선되었으나, 끝단부 휘점 시인으로 명암차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5, although the darkness of the corner portion was improved, it could be confirmed that a contrast difference was generated by viewing the bright point at the end portion.

그리고, 비교예 6 ~ 7의 경우에는 낮은 반사율로 인하여 코너부 어두움 개선 효과가 미미하였다.
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6 and 7,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arkening of the corner part was insignificant due to the low reflectan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it will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 패널
120 : 메인 서포터 130 : 커버 버텀
140 : 백라이트 유닛 142 : LED 패키지 모듈
142a : 기판 142b : LED 패키지
142c : 렌즈 144 : 광학부재
144a : 확산 시트 144b : 프리즘 시트
144c : 보호 시트 144d : 휘도 향상 시트
146 : 반사판 146a : 반사판의 바닥면
146b : 반사판의 사선면 146c : 반사판의 안착면
148 : 반사 시트 148a : 베이스 기재
148b : 은 반사층 148c : 비드
150 : 탑 케이스
100: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120: main supporter 130: cover bottom
140: backlight unit 142: LED package module
142a: substrate 142b: LED package
142c: lens 144: optical member
144a: diffusion sheet 144b: prism sheet
144c: protection sheet 144d: luminance enhancement sheet
146: reflector 146a: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or
146b: oblique surface of the reflector 146c: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or
148: reflective sheet 148a: base substrate
148b: silver reflective layer 148c: bead
150: Top Case

Claims (8)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복수의 LED 패키지를 갖는 LED 패키지 모듈;
상기 LED 패키지 모듈 상에 장착된 광학부재;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네 변으로부터 사선 형태로 각각 연장되어 사각 프레임 구조를 갖는 사선면들과, 상기 사선면들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안착면을 갖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들에 각각 부착된 반사 시트들;
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 시트들은 상기 반사판의 사선면들이 만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으로 부착되고,
각각의 반사시트는
상기 반사판의 경계선을 따라 배치된 제1 변과,
상기 반사판의 안착면을 따라 배열된 제2 변과,
상기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는 삼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반사 시트의 제2 변은 상기 반사판의 안착면과 이격 배치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제2 변은 상기 반사판의 안착면에 대하여 1 ~ 15°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사 시트는
베이스 기재와,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배치된 은 반사층과,
상기 은 반사층의 내부 또는 상부에 분산 배치된 비드들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An LED package module hav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ED packages mounted on the substrate;
an optical member mounted on the LED package module;
A bottom surfac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oblique surfaces each extending in an oblique shape from fou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 square frame structure, and a seat bent from the oblique surfaces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 reflector having a surface; and
reflective sheets attached to oblique surfaces of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respectively;
including,
The reflective sheets are symmetrically attached to each other based on a boundary line where the oblique surfaces of the reflective plate meet,
Each reflective sheet
A first side disposed along the boundary of the reflector;
A second side arranged along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or;
Has a triangular shape having a third side connecting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is disposed to have an inclination of 1 to 15°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the reflective sheet
base material,
A silver reflective layer disposed on the base substrate;
A backlight unit including beads distributed in or on the silver reflective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의 제1 변은 30 ~ 100mm의 길이를 갖고,
상기 반사 시트의 제2 변은 25 ~ 88mm의 길이를 갖고,
상기 반사 시트의 제3 변은 17 ~ 80mm의 길이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has a length of 30 to 100 mm,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has a length of 25 to 88 mm,
The backlight unit of claim 1 , wherein a thir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has a length of 17 to 80 m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시트는 93 ~ 97%의 반사율을 갖는 백라이트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light unit wherein the reflective sheet has a reflectance of 93 to 97%.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메인 서포터;
상기 메인 서포터의 하부에 장착된 커버 버텀;
상기 커버 버텀의 상면 상에 장착된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 서포터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결합되는 탑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복수의 LED 패키지를 갖는 LED 패키지 모듈과,
상기 LED 패키지 모듈 상에 장착된 광학부재와,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네 변으로부터 사선 형태로 각각 연장되어 사각 프레임 구조를 갖는 사선면들과, 상기 사선면들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안착면을 갖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네 측 코너부의 사선면들에 각각 부착된 반사 시트들을 갖고,
상기 반사 시트들은 상기 반사판의 사선면들이 만나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으로 부착되고,
각각의 반사시트는
상기 반사판의 경계선을 따라 배치된 제1 변과,
상기 반사판의 안착면을 따라 배열된 제2 변과,
상기 제1 변과 제2 변을 연결하는 제3 변을 갖는 삼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반사 시트의 제2 변은 상기 반사판의 안착면과 이격 배치되되,
상기 반사 시트의 제2 변은 상기 반사판의 안착면에 대하여 1 ~ 15°의 기울기를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사 시트는
베이스 기재와,
상기 베이스 기재 상에 배치된 은 반사층과,
상기 은 반사층의 내부 또는 상부에 분산 배치된 비드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panel;
a main supporter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to support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a cover bottom mounted under the main supporter;
a backlight unit moun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ttom; and
A top case mounted on the display panel and coupled to the main supporter and the display panel; includes,
The backlight unit
An LED package module hav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LED packages mounted on the substrate;
An optical member mounted on the LED package module;
A bottom surfac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oblique surfaces each extending in an oblique shape from fou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having a square frame structure, and a seat bent from the oblique surfaces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A reflector having a surface;
having reflective sheets attached to oblique surfaces of four corner portions of the reflective plate, respectively;
The reflective sheets are symmetrically attached to each other based on a boundary line where the oblique surfaces of the reflective plate meet,
Each reflective sheet
A first side disposed along the boundary of the reflector;
A second side arranged along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or;
Has a triangular shape having a third side connecting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is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sheet is disposed to have an inclination of 1 to 15°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ive plate,
the reflective sheet
base material,
A silver reflective layer disposed on the base substrate;
A display device comprising beads distributed in or on the silver reflective lay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학부재를 지지하는 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반사판의 안착면은 상기 메인 서포터의 수평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 부재의 하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main supporter
a vertical portion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wardly from the vertical portion to support the optical member;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a seating surface of the reflector is disposed on a horizontal portion of the main supporter and is mounted below the optical member.
KR1020160067461A 2016-05-31 2016-05-31 Back light ui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5515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61A KR102551576B1 (en) 2016-05-31 2016-05-31 Back light ui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61A KR102551576B1 (en) 2016-05-31 2016-05-31 Back light ui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20A KR20170136120A (en) 2017-12-11
KR102551576B1 true KR102551576B1 (en) 2023-07-05

Family

ID=6094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461A KR102551576B1 (en) 2016-05-31 2016-05-31 Back light ui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57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9248A1 (en) * 2009-06-15 2012-03-22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6324A (en) * 2013-12-06 2015-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45820B1 (en) * 2014-04-23 2020-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69248A1 (en) * 2009-06-15 2012-03-22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120A (en)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6824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6062083B2 (en) Lighting system
JP6061513B2 (en) Light unit and lighting system using the same
JP6164868B2 (en) Lighting unit and lighting system using the same
US8908124B2 (en) Light guide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015884B1 (en)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a lens,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apparatus
KR102621126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55896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back light having improved light concentration efficiency
KR102130517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0108601A (en) Planar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20110104634A (en) Display apparatus
KR102551576B1 (en) Back light ui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32308B1 (en) Display apparatus
KR20220075846A (en) Display device
KR101731641B1 (en) Display apparatus
KR101948144B1 (en) backlight unit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120039405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48139B1 (en) backlight unit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776318B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32307B1 (en) Display apparatus
KR101850436B1 (en) display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731642B1 (en) Display apparatus
KR101868536B1 (en) Illumination system
KR2017007848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14585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