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382B1 - 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 - Google Patents

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382B1
KR102549382B1 KR1020210025539A KR20210025539A KR102549382B1 KR 102549382 B1 KR102549382 B1 KR 102549382B1 KR 1020210025539 A KR1020210025539 A KR 1020210025539A KR 20210025539 A KR20210025539 A KR 20210025539A KR 102549382 B1 KR102549382 B1 KR 102549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hild
vehicle
camera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2814A (en
Inventor
김혜진
김민경
이예은
윤원상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382B1/en
Publication of KR2022012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8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3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66Devices for warning or indicating mode of inhib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8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for image processing, e.g. cameras or sens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4Seat posi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안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안전 장치는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기등록된 단말기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safety device is provided. The safety device includes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children riding in the vehicle; A control unit generating a warning message using a monitoring result and transmitting the warning message to a pre-registered terminal.

Description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와 관련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involving a child riding in a vehicle.

어린이의 키가 작기 때문에 보호자들은 차량에서 어린이가 자고 있는 사실을 모르고 차문을 잠그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창문은 잠겨서 공기의 순환이 안되고, 차량문 역시 외부인이 문을 열지 못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질식 등과 같은 위험한 상황으로 연결될 수 있다.Because children are short, guardians often lock the car doors without realizing that children are sleeping in the car. In this case, since the windows are locked and the air is not circulated, and the vehicle door is also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an outsider, it may lead to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suffocation.

특히, 최근 어린이집 차량 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슬리핑 차일드 시스템'을 도입하여 차량의 뒷부분 하차벨 설치를 의무화했지만, 이는 외국의 스쿨버스 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지 않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a 'sleeping child system' was introduced to prevent accidents in the daycare center vehicle, and it was mandatory to install an exit bell at the rear of the vehicle.

또다른 안전 시스템으로 NFC와 RFID 방식이 있다. 해당 방식들은 어린이가 반드시 태그(TAG)를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잘못 태그되는 상황, 승하차시 복수 회수 태그되는 상황 등과 같은 오류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Another safety system is NFC and RFID. For these methods, the child must have a tag (TAG). In addition, error situations such as a situation of being tagged incorrectly and a situation of being tagged multiple times while getting on and off may occur frequently.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17570호에는 차량에 대한 어린이의 승하차를 감지하고, 차량 내의 어린이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2017570 discloses a technique for detecting a child getting on and off a vehicle and detecting a child's movement within the vehicl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17570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2017570

본 발명은 승하차 정보 외에도 차량 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어린이의 좌석 착석 여부,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함께 확인하고, 확인 사실을 보호자에게 직관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안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o getting on and off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checking whether a child is seated in a seat and whether a seat belt is fastened together to prevent an accident in a vehicle, and intuitively informing the guardian of the confirmation fact.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기등록된 단말기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children riding in a vehicle; A control unit generating a warning message us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transmitting the warning message to a pre-registered terminal.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의 모니터링 정보를 입수하는 획득부;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상기 어린이의 안면 이미지를 이용해서 상기 어린이의 식별 정보를 파악하는 분석부; 상기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monitoring information of a child riding in a vehicle; an analyzer configured to identify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ild using the child's face image included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onitor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안전 방법은 차량의 좌석에 대한 착석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The safet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is seated on a seat;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seat belts are fastened;

상기 좌석에 착석한 어린이의 제1 안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photographing a first facial image of a child seated in the seat;

상기 제1 안면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좌석에 착석한 어린이를 제1 식별하는 단계;first identifying a child seated in the seat through analysis of the first facial image;

제1 식별된 어린이의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착석 여부 및 상기 착용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child is seated and whether the child is worn together with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identified child;

상기 착석 여부 또는 상기 착용 여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알람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n alarm signal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whether the seat is worn or not;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의 제2 안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taking a second facial image of the child getting off the vehicle;

상기 제2 안면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를 제2 식별하는 단계;secondly identifying a child exiting the vehicle through analysis of the second facial image;

제2 식별된 어린이의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구분해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display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identified child separately.

본 발명의 따르면,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의 식별 정보를 이용해서, 보호자에게 복수의 어린이를 식별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uitive interface capable of identifying a plurality of children can be provided to a guardian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hildren riding in a vehicle.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어린이의 식별 정보와 함께 어린이의 착석 여부, 안전 벨트 착용 여부, 하차 여부 등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정보를 통해 차량 내 어린이의 잔류 여부가 확실하게 보호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차량 내 잔류로 인한 각종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provide whether the child is seated, whether the child is seated,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and whether the child gets off the vehicle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ild. Through this information, whether or not children remain in the vehicle can be provided to the guardian with certainty,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caused by remaining in the vehicle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단말기에 표시되는 제1 식별 정보 및 좌석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안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ea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a terminal.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afet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showing another safet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ing'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list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안면 인식 기술이 적용된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시스템으로, 차량(10) 내에서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기재된 어린이는 초등학생 이하의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ld accident prevention safety system to which face recognition technology is applied, and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occurring in the vehicle 10 . A child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 person of elementary school age or younger.

본 발명은 좌석(11)에 마련된 카메라를 이용해 어린이의 차량(10) 내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 of a child in the vehicle 10 can be recognized using a camera provided in the seat 11 .

본 발명은 차량(10)의 출입문(19)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해 차량(10)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를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ild getting out of the vehicle 10 can be recognized using a camera installed around the door 19 of the vehicle 10 .

본 발명은 차량(10) 내 좌석(11)에 대한 어린이의 착석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child is seated on the seat 11 in the vehicle 10 .

본 발명은 어린이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child is wearing a seat belt.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afet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안전 장치는 모니터링부(110, 120, 130 ,140), 제어부(150), 단말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device shown in the drawing may include monitoring units 110 , 120 , 130 , and 140 , a control unit 150 , and a terminal 170 .

모니터링부와 제어부(150)는 차량(10)에 내장될 수 있다. 단말기(170)는 차량(10)에 내장되거나 차량(10)과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150 may be built into the vehicle 10 . The terminal 170 may be built into the vehicle 10 or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ehicle 10 .

모니터링부는 차량(10)에 탑승한 어린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제1 카메라(110), 제2 카메라(120), 제1 센서(130), 제2 센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may monitor children riding in the vehicle 10 . The monitoring unit may include a first camera 110 , a second camera 120 , a first sensor 130 , and a second sensor 140 .

제어부(150)는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등록된 단말기(170)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경고 메시지는 차량(10)에 탑승한 어린이의 각종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상태 정보는 착석 여부, 안전 벨트 착용 여부, 하차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generate a warning message using the monitoring result. The controller 150 may transmit a warning message to the pre-registered terminal 170 . The warning message may include various state information of children riding in the vehicle 10 . State information at this time may include whether or not to sit, whether to wear a seat belt, whether to get off, and the like.

단말기(170)에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고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될 수 있다. 단말기(170)는 디스플레이 자체이거나,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태블릿 피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태블릿 피시, 스마트폰에 해당하는 단말기(170)는 자체에 내장된 처리 유닛을 이용해 제어부(150)의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terminal 17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on which a warning message is output and displayed. The terminal 170 may be a display itself or may include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including a display. The terminal 170 corresponding to a tablet PC or a smartphone may perform some functions of the controller 150 using a processing unit built into the terminal 170 .

단말기(170)에는 비상 상황을 나타내는 알람 신호가 청각적으로 출력되는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수단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The terminal 170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with an audio output means such as a speaker for aurally outputting an alarm signal indicating an emergency situation.

차량(10) 내의 좌석(11)마다 좌석(11)에 착석한 어린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11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카메라(110)는 현재 좌석(11)에 대면되는 앞 좌석(11)의 뒷면에 설치될 수 있다.A first camera 110 may be provided for each seat 11 in the vehicle 10 to photograph a child seated on the seat 11 . For example, the first camera 110 may b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front seat 11 facing the current seat 11 .

제어부(150)는 제1 카메라(110)로부터 제1 카메라(110)의 고유 정보와 함께 어린이의 제1 안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acquire a first face image of the child together with unique information of the first camera 110 from the first camera 110 .

제어부(150)는 제1 안면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좌석(11)에 착석한 어린이를 제1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50)는 제1 식별을 통해 좌석(11)에 착석한 어린이가 누구인지 파악할 수 있다. 어린이를 식별하기 위해, 사전에 차량(10)에 탑승할 수 있는 모든 어린이의 식별 정보가 제어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식별을 통해 제1 안면 이미지를 기등록된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사진 정보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사진 정보에 매칭된 어린이의 이름 등을 파악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first identify a child seated in the seat 11 through analysis of the first facial image.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150 can determine who the child is seated in the seat 11 through the first identification. In order to identify childr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ll children who can ride in the vehicle 10 may be stored in the controller 150 in advance. Through the first identification, the controller 150 may extract the first facial image from pre-registe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photo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name of a child matched with the extracted photo information.

제어부(150)는 제1 카메라(110)의 고유 정보를 이용해 어린이가 착석한 좌석(11)을 식별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제1 카메라(110)는 좌석(11)마다 마련되고, 좌석(11)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관계를 갖기 때문이다.The controller 150 may identify the seat 11 in which the child sits by using unique information of the first camera 110 . This is because the first camera 110 is provided for each seat 11 and has a one-to-one relationship with the seat 11 .

제어부(150)는 제1 식별을 통해 파악된 어린이의 제1 식별 정보 및 좌석(11)의 식별 정보를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 안전 장치에는 단말기(170)와 통신할 수 있는 각종 유무선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단말기(170)는 차량(10)의 운전석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운전사의 스마트폰, 어린이들과 함께 차량(10)에 탑승하고 어린이들의 승하차를 감독하는 교사의 스마트폰, 어린이의 부모의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장치의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 WiFi, 3G, LTE, 4G, 5G 통신망, 클라우드망 등을 통해 단말기(170)와 통신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transmit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il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at 11 identified through the first identification to the terminal 170 .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170 may be provided in the safety device. The terminal 170 includes a display installed in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10, a driver's smartphone, a teacher's smartphone for boarding the vehicle 10 together with children and supervising children getting on and off, a smartphone for parents of children, and the like. can include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afety device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7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WiFi, 3G, LTE, 4G, 5G communication networks, cloud networks, and the like.

도 3은 단말기(170)에 표시되는 제1 식별 정보 및 좌석(11)의 식별 정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erminal 17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at 11 .

좌석(11)의 식별 정보는 단말기(170)에 문자 또는 기호로 표시되거나, 도 2와 같이 차량(10) 내 좌석(11) 배치도 p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at 11 may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170 as letters or symbols, or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layout diagram p of the seat 11 in the vehicle 10 as shown in FIG. 2 .

배치도 p에서 구분된 각 칸 s는 좌석(11)을 나타낼 수 있다. 어린이가 착석한 좌석(11)에는 해당 어린이의 식별 정보 a, b, c 등이 표시될 수 있다.Each compartment s divided in the layout p may represent a seat 11 .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b, c, etc. of the child may be displayed on the seat 11 in which the child is seated.

도 3의 배치도 p 및 식별 정보, a, b, c를 이용하면, 차량(10) 내 어린이의 위치가 직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각 좌석(11)별로 누가 앉았는지 파악될 수 있다. 각 좌석(11)별로 착석한 어린이의 식별 정보는 추후 누가 차량(10)으로부터 하차하고, 누가 차량(10) 안에 남았는지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Using the layout diagram p of FIG. 3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b, and c, the position of the child in the vehicle 10 can be intuitively grasp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o sat on each seat 11 .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children seated in each seat 11 may be used to determine who gets off the vehicle 10 and who remains in the vehicle 10 later.

차량(10)의 출입문(19) 주변에 설치되고, 차량(10)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12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카메라(120)는 출입문(19) 위의 천장에 설치되거나, 출입문(19) 위의 측벽에 설치되거나, 출입문(19) 양측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A second camera 120 may be installed around the door 19 of the vehicle 10 and take pictures of children getting off the vehicle 10 . For example, the second camera 120 may be installed on a ceiling above the door 19 , on a side wall above the door 19 , or on side walls on both sides of the door 19 .

제어부(150)는 차량(10)에 탑승한 모든 어린이의 식별 정보 a, b, c가 단말기(170)에 표시되도록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transmit a warning message so tha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b, and c of all children riding in the vehicle 10 are displayed on the terminal 170 .

제어부(150)는 제2 카메라(120)로부터 차량(10)에서 하차하는 어린이의 제2 안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obtain a second facial image of a child getting off the vehicle 10 from the second camera 120 .

제어부(150)는 제2 안면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차량(10)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를 제2 식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secondly identify a child getting off the vehicle 10 through analysis of the second facial image.

제어부(150)는 제2 식별을 통해 파악된 어린이의 제2 식별 정보를 단말기(170)의 표시 항목에 구분해서 표시하거나 표시 항목에서 배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서 a가 하차하면, 도 3에 도시된 a의 옆에 하차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 '하차' 등을 표시하거나, 도 3에 도시된 a를 삭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separately display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ild identified through the second identification as a display item of the terminal 170 or may exclude it from the display item. For example, when 'a' in FIG. 3 gets off, a symbol 'get off' indicating the getting off state may be displayed next to 'a' shown in FIG. 3, or 'a' shown in FIG. 3 may be deleted.

차량(10) 내의 좌석(11)에 설치되고 어린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센서(130)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린이가 좌석(11)에 착석하면 좌석(11)에 압력이 가해지고, 압력 센서는 해당 압력을 인식할 수 있다.A first sensor 130 installed on the seat 11 in the vehicle 10 and detecting whether a child is seated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13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When a child sits on the seat 11,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at 11, and the pressure sensor can recognize the pressure.

좌석(11)의 안전 벨트에 설치되고 좌석(11)에 착석한 어린이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14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센서(140)는 안전 벨트가 록킹(locking)되면 서로 대면되는 연결 부재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센서, 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sensor 140 installed on the seat belt of the seat 11 and detecting whether or not a child seated in the seat 11 is wearing the seat belt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second sensor 140 may include a magnetic sensor, a hall sensor, etc. installed on connecting members that face each other when the seat belt is locked.

제어부(150)는 좌석(11)에 대한 어린이의 착석 여부 및 어린이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모두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transmit to the terminal 170 both whether the child is seated on the seat 11 and whether the child is wearing a seat belt.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량(10) 내의 좌석(11)마다 마련되고 좌석(11)에 착석한 어린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110)가 마련될 수 있다. 하차하는 어린이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1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카메라(110)와 제2 카메라(120)가 항상 동작하면, 심각한 전력 소모가 유발될 수 있다.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제2 카메라(120)는 차량(10)의 출입문(19)이 개방된 경우에 한해서 전원을 공급받고 동작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 first camera 110 may be provided for each seat 11 in the vehicle 10 and photograph a child seated on the seat 11 . A second camera 120 may be provided to take pictures of children getting off the vehicle. At this time, if the first camera 110 and the second camera 120 always operate, serious power consumption may be induced.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e second camera 120 may receive power and operate only when the door 19 of the vehicle 10 is open.

특정 좌석(11)에 마련된 제1 카메라(110)는 제1 센서(130)에 의해 어린이가 특정 좌석(11)에 착석한 것으로 파악되고, 어린이가 특정 좌석(11)에 마련된 안전 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 한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어린이를 촬영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10)는 좌석(11)에 착석한 어린이의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좌석(11)에 위치하더라도 어린이가 제1 카메라(110)에 대면하는 위치에 가만히 있지 않으면 정상적인 촬영이 어렵다. 어린이가 좌석(11)에 착석하고 안전 벨트를 메면, 제1 카메라(110)의 정상적인 촬영이 가능한 정도로 어린이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불필요한 전력 소모 없이 어린이의 안면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 카메라(110)에서 촬영한 어린이의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단말기(170)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camera 110 provided in the specific seat 11 determines that the child is seated in the specific seat 11 by the first sensor 130, and when the child wears the seat belt provided in the specific seat 11,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mera is damaged, power can be supplied and children can be photographed. The first camera 110 may be for acquiring a face image of a child seated in the seat 11 . Even if the child is located on the seat 11, it is difficult to take a picture normally unless the child remains in a position facing the first camera 110. When a child sits on the seat 11 and wears a safety belt, the movement of the child may be restricted to the extent that normal photography by the first camera 110 is possible.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child's face image can be acquired withou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The controller 150 may analyze the captured image of the child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110 and transmit the analysis result to the terminal 170 .

제어부(150)는 차량(10)의 시동 오프 상태를 입수할 수 있다. 차량(10)의 시동 오프 상태는 차량(10)의 운행이 중단되고, 차량(10)의 운전자 또는 교사가 차량(10)으로부터 하차할 것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10)의 시동 오프 상태는 차량(10)에 남아있을지 모르는 어린이를 확인할 수 있는 보호자가 퇴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별다른 조치없이 보호자가 퇴장하면 차안에 남아있는 어린이는 심각한 안전 문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어린이의 보호를 위해 보호자에게 경각심을 일깨우는 추가 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좋다.The control unit 150 may obtain an ignition off state of the vehicle 10 . The ignition-off state of the vehicle 10 may mean that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 is stopped and the driver or teacher of the vehicle 10 will get off the vehicle 10 . In other words, the ignition-off state of the vehicle 10 means that a guardian who can check children who may remain in the vehicle 10 leaves. If the guardian leaves without taking any action, children remaining in the car may face serious safety problem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it is good to have additional means of alerting caregivers.

일 예로, 제어부(150)는 차량(10)에 탑승한 어린이가 미하차한 상태, 좌석(11)의 압력 센서가 설정값 이상의 압력을 감지한 상태, 안전 벨트의 록킹(locking)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만족한 상태에서 시동 오프 상태가 입수되면, 단말기(170)를 통해 출력되는 알람 신호를 단말기(170)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70)를 통해 출력되는 알람 신호를 인지한 보호자는 차량(10) 내에 남아있는 어린이를 재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may select any one of a state in which a child in the vehicle 10 has not exited,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sensor of the seat 11 detects a pressure higher than a set value, and a state in which a seat belt is locked. When the ignition off state is obtained in a satisfactory state, an alarm signal output through the terminal 170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70 . A guardian recognizing the alarm signal output through the terminal 170 can reconfirm the children remaining in the vehicle 10 .

설사 어린이가 남아있지 않더라도 설정값 이상의 압력을 감지한 압력 센서를 통해 좌석(11) 위에 놓고 내린 가방 등을 습득하여 관리하거나, 장난 등으로 체결된 안전 벨트를 사전에 연결 해제시켜 두는 관리 작업이 가능하므로 별다른 손해는 없다.Even if there are no children left, it is possible to acquire and manage a bag placed on the seat 11 through a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a pressure higher than the set value, or to disconnect a seat belt fastened by mischief in advance. so there is no damage whatsoever.

한편, 스마트폰, 태블릿 피시와 같이 각종 신호 처리 수단이 마련된 단말기(170)의 경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정보만 입수하면 독자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terminal 170 equipped with various signal processing means,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 warning message can be independently generated and displayed by obtaining only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monitoring unit.

일 예로, 단말기(170)에 해당하는 안전 장치는 획득부(171), 분석부(173), 표시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 safet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170 may include an acquisition unit 171 , an analysis unit 173 , and a display unit 175 .

획득부(171)는 모니터링부로부터 차량(10)에 탑승한 어린이의 모니터링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획득부(171)는 차량(10)에 마련된 통신 모듈을 통해 모니터링 정보를 원격으로 입수할 수 있다. 획득부(171)에는 모니터링부 또는 차량(10) 내에 마련된 통신 모듈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The acquisition unit 171 may obtain monitoring information of children riding in the vehicle 10 from the monitoring unit. In some cases, the acquisition unit 171 may obtain monitoring information remotely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vehicle 10 . A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monitoring unit or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vehicle 10 may be provided in the acquisition unit 171 .

분석부(173)는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된 어린이의 안면 이미지를 이용해서 어린이의 식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73 may determine the chil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child's face image included in the monitoring information.

모니터링 정보의 종류에 따라 분석부(173)는 좌석(11)에 착석한 어린이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제1 식별 정보를 파악하거나, 차량(10)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제2 식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분석부(173)는 어린이의 착석 여부를 파악하거나,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type of monitoring information, the analyzer 173 identifies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hild sitting in the seat 11 or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hild getting off the vehicle 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lternatively, the analyzer 173 may determine whether a child is seated or not, or whether a seat belt is worn.

표시부(175)는 식별 정보와 함께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75)를 통해 표시되는 식별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배치도 p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75 may display monitor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75 may include a layout diagram p shown in FIG. 3 .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안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safet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 chart showing another safet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안전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safety method shown in FIGS. 4 and 5 may be performed by the safety device shown in FIG. 1 .

차량(10)의 좌석(11)에 대한 착석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 610)가 수행될 수 있다.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sit on the seat 11 of the vehicle 10 (S610) may be performed.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 620)가 수행될 수 있다.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seat belt is worn (S620) may be performed.

좌석(11)에 착석한 어린이의 제1 안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S 510)가 수행될 수 있다.A step of capturing a first face image of a child seated on the seat 11 (S510) may be performed.

제1 안면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좌석(11)에 착석한 어린이를 제1 식별하는 단계(S 520)가 수행될 수 있다.A step of first identifying a child seated in the seat 11 through analysis of the first facial image (S520) may be performed.

제1 식별된 어린이의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착석 여부 및 상기 착용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S 530, S 630)가 수행될 수 있다.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child is seated and whether or not the child is worn together with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identified child (S 530 and S 630) may be performed.

좌석(11)에 대한 착석 여부 또는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알람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whether the seat 11 is seated or whether a seat belt is worn, an alarm signal may be displayed.

차량(10)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의 제2 안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S 540)가 수행될 수 있다.A step of capturing a second facial image of a child getting off the vehicle 10 (S540) may be performed.

제2 안면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차량(10)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를 제2 식별하는 단계(S 550)가 수행될 수 있다.A second step of identifying a child getting off the vehicle 10 through analysis of the second facial image (S550) may be performed.

제2 식별된 어린이의 제2 식별 정보를 구분해서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A step of distinguishing and display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identified child may be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안전 장치 등) 일 수 있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of FIG. 6 may be a device (eg, a safety device,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6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6 ,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N110, a transceiver TN120, and a memory TN130.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TN140, an input interface device TN150, and an output interface device TN160. Elements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connected by a bus TN170.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TN110 may execute program commands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The processor TN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Processor TN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procedures, functions, methods, and the like described in relation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TN11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TN100.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TN110.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TN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TN120 may transmit or receive a wired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TN120 may perform communication by being connected to a network.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devices and/or methods described so far,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차량 11...좌석
19...출입문 110...제1 카메라
120...제2 카메라 130...제1 센서
140...제2 센서 150...제어부
170...단말기 171...획득부
173...분석부 175...표시부
10 ... vehicle 11 ... seat
19 ... Door 110 ... First camera
120 ... second camera 130 ... first sensor
140 ... second sensor 150 ... control unit
170 ... Terminal 171 ... Acquisition unit
173 ... analysis unit 175 ... display unit

Claims (7)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해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고, 기등록된 단말기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내의 좌석마다 상기 좌석에 착석한 어린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상기 제1 카메라의 고유 정보와 함께 어린이의 제1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안면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좌석에 착석한 어린이를 제1 식별하고, 상기 고유 정보를 이용해 상기 어린이가 착석한 좌석을 식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식별을 통해 파악된 상기 어린이의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좌석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의 출입문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탑승한 모든 어린이의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상기 차량에서 하차하는 어린이의 제2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안면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를 제2 식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식별을 통해 파악된 상기 어린이의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단말기의 표시 항목에 구분해서 표시하거나 상기 표시 항목에서 배제하고,
상기 차량 내의 좌석에 설치되고 어린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좌석의 안전 벨트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에 착석한 어린이의 상기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석 여부 및 상기 안전 벨트 착용 여부를 모두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며,
특정 좌석에 마련된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어린이가 상기 특정 좌석에 착석한 것으로 파악되고, 상기 특정 좌석에 마련된 안전 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 한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어린이를 촬영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출입문이 개방된 경우에 한해서 전원을 공급받고 동작하는 안전 장치.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children in the vehicle;
A control unit generating a warning message using the monitoring result and transmitting the warning message to a pre-registered terminal;
A first camera is provided for each seat in the vehicle to photograph a child sitting on the seat,
The control unit acquires a first face image of a child from the first camera together with unique information of the first camera,
The controller first identifies a child seated in the seat through analysis of the first facial image, and identifies a seat in which the child is seated using the uniqu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il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at identified through the first identification to the terminal,
A second camera installed around the door of the vehicle and photographing children getting off the vehicle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warning message so that the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ll children riding in the vehicle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The control unit obtains a second facial image of a child getting off the vehicle from the second camera,
The control unit secondly identifies a child getting off the vehicle through analysis of the second facial image;
The control unit separately displays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ild identified through the second identification on a display item of the terminal or excludes it from the display item,
A first sensor installed on a seat in the vehicle and detecting whether a child is seated, and a second sensor installed on a seat belt of the seat and detecting whether a child seated in the seat is wearing the seat belt are provided,
The control unit transmits both whether the seat is seated and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to the terminal,
The first camera provided in a specific seat receives power only when it is recognized by the first sensor that a child is seated in the specific seat and is wearing a seat belt provided in the specific seat,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child. filming,
The second camera is a safety device that receives power and operates only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를 입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가 미하차한 상태, 좌석의 압력 센서가 설정값 이상의 압력을 감지한 상태, 안전 벨트의 록킹 상태 중에서 어느 하나가 만족한 상태에서 상기 시동 오프 상태가 입수되면, 상기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알람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안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start-off state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obtains the ignition-off state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a state in which a child in the vehicle has not exited the vehicle, a state in which a pressure sensor of a seat detects a pressure higher than a set value, and a state in which a seat belt is locked is satisfied, A safety device for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output through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삭제delete 안전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안전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좌석에 대한 착석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좌석에 착석한 어린이의 제1 안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1 안면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좌석에 착석한 어린이를 제1 식별하는 단계;
제1 식별된 어린이의 제1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착석 여부 및 상기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착석 여부 또는 상기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알람 신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의 제2 안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2 안면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어린이를 제2 식별하는 단계;
제2 식별된 어린이의 제2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좌석에 대한 착석 여부는 상기 차량 내의 좌석에 설치된 제1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것이며,
상기 안전 벨트의 착용 여부는 상기 좌석의 안전 벨트에 설치된 제2 센서에 의해 감지된 것이고,
상기 제1 안면 이미지는 상기 차량 내의 좌석마다 마련된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것이며,
상기 제2 안면 이미지는 상기 차량의 출입문 주변에 설치된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것이고,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어린이가 특정 좌석에 착석한 것으로 파악되고 상기 특정 좌석에 마련된 안전 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파악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특정 좌석에 마련된 상기 제1 카메라에 상기 어린이를 촬영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차량의 출입문이 개방된 경우에 한해서, 상기 제2 카메라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2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안전 방법.
In the safety method performed by the safety device,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seat is occupied;
determining whether seat belts are fastened;
photographing a first facial image of a child seated in the seat;
first identifying a child seated in the seat through analysis of the first facial image;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child is seated and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worn together with fir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identified child;
displaying an alarm signal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whether the seat is seated or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taking a second facial image of the child getting off the vehicle;
secondly identifying a child exiting the vehicle through analysis of the second facial image;
Including; display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identified child;
Whether or not the seat of the vehicle is occupied is detected by a first sensor installed in the seat in the vehicle,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worn is detected by a second sensor installed on the seat belt of the seat,
The first facial image is taken by a first camera provided for each seat in the vehicle,
The second facial image is taken by a second camera installed around the door of the vehicle,
Power required to photograph the child with the first camera provided in the specific seat only when it is determined by the first sensor that the child is seated in a specific seat and is wearing a seat belt provided in the specific seat. supply,
The safety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camera so that the second camera operates only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KR1020210025539A 2021-02-25 2021-02-25 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 KR102549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39A KR102549382B1 (en) 2021-02-25 2021-02-25 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539A KR102549382B1 (en) 2021-02-25 2021-02-25 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814A KR20220122814A (en) 2022-09-05
KR102549382B1 true KR102549382B1 (en) 2023-06-30

Family

ID=8327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539A KR102549382B1 (en) 2021-02-25 2021-02-25 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38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124B1 (en) * 2022-09-28 2023-04-14 한태환 Auxiliary devices for play facilities to ensure safety
KR102522120B1 (en) * 2022-09-28 2023-04-14 한태환 A method of monitoring amusement facilities for safety manag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613B1 (en)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세일테크놀러지 Emergency alert apparatus in the inside of vehicle
KR101870916B1 (en) * 2017-11-15 2018-07-19 (주)디 넷 Apparatus for sensing and alarming remainer in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919B1 (en) * 2017-12-28 2019-07-17 이정일 Getting off confirming system of vehicle
KR102017570B1 (en) 2018-01-25 2019-09-05 나래아이시티 주식회사 System for preventing negligent accident of children school bus
KR102157074B1 (en) * 2018-09-19 2020-09-17 이상수 Safe system for prevention of left-behind child using face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613B1 (en)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세일테크놀러지 Emergency alert apparatus in the inside of vehicle
KR101870916B1 (en) * 2017-11-15 2018-07-19 (주)디 넷 Apparatus for sensing and alarming remainer i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814A (en)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9382B1 (en) Safety devic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children's accidents
CN107871351B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vehicle exit
KR101478053B1 (en) Vehicular Safety System for Children School Bus
KR101869391B1 (en) Intelligent parking management system
JP5191658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KR101297187B1 (en) Method for protecting passenger of a vehicles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US20160049061A1 (en) Integrated vehicle sensing and warning system
KR101768847B1 (en) Black box equipped with gas sensitive function
US2015028688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safety sensing and alerting
US107338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securing an enclosure of a vehicle, in particular of an aircraft
KR1017929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vehicle passenger
KR101948249B1 (en) Vehicle alarm system and method to protect children and elderly
WO20161813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bjects have been left in unattended vehicles
KR102367399B1 (en) Device and method to inform the condition of infants and toddlers
KR20200068090A (e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s School Vehicles Based on IoT
KR20190116778A (en) A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hild safety accident using an intelligent boarding and alerting apparatus
KR101482189B1 (en) Safety system for child transport vehicles
KR100910313B1 (en) Children safeguard system for children transport vehicle using image information
US11348347B2 (en) In-vehicle device
KR20160028542A (en) an emergency management and crime prevention system for cars and the method thereof
WO2021144786A1 (en) An intelligent vehicle sea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KR1021440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 Occupant
CN111724573A (en) Vehicle interior monitor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thereof
KR101437406B1 (en) an emergency management and crime prevention system for cars and the method thereof
KR102289306B1 (en) Infant smart seat and infant prot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