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292B1 - Reposition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 Google Patents

Reposition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292B1
KR102549292B1 KR1020220070332A KR20220070332A KR102549292B1 KR 102549292 B1 KR102549292 B1 KR 102549292B1 KR 1020220070332 A KR1020220070332 A KR 1020220070332A KR 20220070332 A KR20220070332 A KR 20220070332A KR 102549292 B1 KR102549292 B1 KR 102549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mergency switch
film
signal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형순
Original Assignee
임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순 filed Critical 임형순
Priority to KR102022007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2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2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부착부와, 부착부 상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버튼 누름 동작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하는 접점부와, 접점부의 온오프 상태를 무선 신호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갖는 비상 스위치부; 및 비상 스위치부의 송신부로부터 온오프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로부터 온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산업 장비의 정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산업 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장비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장비 정지부를 포함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that can be moved in position, and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orker's work clothe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ttaching unit that is detachable from a worker's working clothes, a contact unit provided on the attaching unit to turn power on or off by a button press operation of a worker, and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on/off state of the contact unit as a wireless signal. an emergency switch unit having; and a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on/off stat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of the emergency switch unit,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on/off state signal from the receiv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o stop the industrial equipment, and equipmen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industrial equipment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Disclosed is a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that includes an equipment stop unit hav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top signal and is movable.

Description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Reposition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Reposition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Reposition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본 발명은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capable of positioning.

일반적인 물류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물품의 신속한 이송 및 운반용으로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는 모터 및 감속기를 포함한 구동부와 고무 벨트 그리고 고무 벨트를 지지하며 물품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많은 롤러가 조립되어 있고, 또한 비상시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general logistics systems, belt conveyors are used for rapid transfer and transportation of various items. Such a belt conveyor is assembled with 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and a reducer, a rubber belt, and numerous rollers to support the rubber belt and move items, and may also include an emergency switch capable of stopping in case of emergency.

한편, 연속적으로 가동되는 컨베이어 시스템은 주기적인 점검 수리가 필요하며, 고장 수리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에는 수리 작업중 돌발적인 위험 상황 발생 등과 같은 작업자의 재해 발생 위험이나, 설비의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 비상 정지 스위치들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conveyor system that operates continuously requires periodic inspection and repair, and malfunctions and repairs occur frequently. Emergency stop switches are installed in such a conveyor system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accidents to workers, such as sudden dangerous situations during repair work, or problems caused by abnormal operation of equipment.

일례로,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 정지 스위치는 컨베이어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가 내장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스위치를 측방향으로 통과하여, 스위치의 중심에서 회전하는 회전축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의 전원을 단락시키는 레버등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용 비상 정지 스위치는 대략 10미터 간격으로 컨베이어 시스템의 주변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컨베이어 시스템의 비상 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대략 10미터 떨어져 있는 비상 정지 스위치를 동작시킨다.For example, the emergency stop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rts the power of the conveyor system to a body portion in which a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veyor system is embedded, and a rotating shaft that passes through the switch of the body portion in a lateral direction and rotates at the center of the switch. It has a lever, etc. Such conventional emergency stop switches for conveyor systems are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conveyor system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10 meters.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top of the conveyor system is necessary, the operator operates an emergency stop switch approximately 10 meters away.

그러나, 작업자가 컨베이어 시스템에 끼임 또는 압착 사고를 당하였을 경우, 작업자와 비상 스위치 사이의 거리가 대략 1미터만 떨어져 있어도, 작업자가 실질적으로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when a worker gets caught in a conveyor system or gets crushed, it is difficult for the worker to actually operate the emergency switch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worker and the emergency switch is approximately 1 meter.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작업복 어디에도 직접 탈부착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나 컨베이어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tha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ny worker's working clothes and can be moved to operate a conveyor emergency switch anytime, anywhere.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은 작업자의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부착부와, 부착부 상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버튼 누름 동작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하는 접점부와, 접점부의 온오프 상태를 무선 신호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갖는 비상 스위치부; 및 비상 스위치부의 송신부로부터 온오프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로부터 온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산업 장비의 정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산업 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장비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장비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capable of positio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ttachment part detachable from a worker's working clothes, a contact part provided on the attachment part and turning on/off power by an operator's button press operation, and an on/off contact part. an emergency switch unit having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 status as a radio signal; and a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on/off stat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of the emergency switch unit,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on/off state signal from the receiv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o stop the industrial equipment, and equipment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industrial equipment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t may include an equipment stop section having an output section for outputting a stop signal.

일부 예들에서, 부착부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된 루프면과, 접점부에 부착된 후쿠면을 포함하고, 루프면에 후쿠면이 탈부착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attachment portion includes a loop surface attached to the worker's work clothes and a hook surface attached to the contact portion, and the loop surface may be detachable from the loop surface.

일부 예들에서, 접점부는 상부 스위치 패턴이 형성된 상부 필름, 상부 필름의 하면에 부착되되 상부 스위치 패턴과 대응되는 영역에 중간 개구가 형성된 중간 필름, 및 중간 필름의 하면에 부착되되 상부 스위치 패턴 및 중간 개구와 대응되는 영역에 하부 스위치 패턴이 형성된 하부 필름을 포함하고, 하부 필름의 하면에 부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contact unit includes an upper film having an upper switch pattern, a middle film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lm and having an intermediate opening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witch pattern, and an upper switch pattern and intermediate opening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ilm. A lower film having a lower switch pattern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ower film may be included, and an attachment portion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film.

일부 예들에서, 상부 필름, 중간 필름 및 하부 필름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페트)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s, PA, 나일론)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top, middle and bottom films are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styrene (P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amide ( polyamides, PA, nylon).

일부 예들에서, 비상 스위치부는 온오프 상태 신호와 함께 고유 번호 정보를 장비 정지부로 송신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emergency switch unit may transmit unique number information to the equipment stop unit along with the on-off status signal.

일부 예들에서, 비상 스위치부는 작업자의 버튼 누름 동작전 온 신호를 장비 정지부로 송신하고, 작업자의 버튼 누름 동작후 오프 신호를 장비 정지부로 송신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emergency switch unit may transmit an on signal to the equipment stopping unit before the operator's button pressing operation and an off signal to the equipment stopping unit after the operator's button pressing operation.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복 어디에도 직접 탈부착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나 컨베이어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tha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ny worker's work clothes and can be moved to operate a conveyor emergency switch anytime, anywhere.

일례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복에 루프면을 부착하고, 무선 비상 스위치부의 접점부에 후쿠면을 부착함으로써(즉, 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루프면에 후쿠면이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비상 스위치부를 작업자의 작업복 어디에도 직접 탈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컨베이어 시스템에 끼임 또는 압착 사고를 당하였을 경우, 작업자가 바로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을 즉시 멈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he loop surface to the worker's work clothes and attaches the hook surface to the contact part of the wireless emergency switch unit (ie, by having an attachment part), so that the hook surface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op surface, Accordingly, the wireless emergency switch unit can be directly attached or detached to any part of the worker's work clothes. Therefore, when a worker is caught in a conveyor system or has a crushing accident, the worker immediately operates an emergency switch, thereby immediate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중에서 예시적 비상 스위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 중에서 예시적 접점부 및 예시적 부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중에서 예시적 비상 스위치부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중에서 예시적 비상 스위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중에서 예시적 비상 스위치부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location-movable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emplary emergency switch in a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that is movable in an exemplary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mplary contact portion and an exemplary attachment portion in an exemplary movable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exemplary emergency switch unit in an exemplary movable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emplary emergency switch unit in an exemplary movable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exemplary emergency switch unit in an exemplary movable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can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he following examples It is not limited.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addition, the meaning of "connec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not only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indirectly connected by interposing member C between member A and member B.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when used herein, “comprise, include” and/or “comprising, including” refers to a referenced form, number, step, operation, member, element, and/or group thereof. presence, bu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or portions, but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or portions are limited by these terms. It is self-evident that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in detail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Space-related terms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and “upper” are associated with an element or feature shown in a drawing. It can be used for easy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erminology related to this space is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various process conditions or us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in a figure is turned over, an element or feature described as "lower" or "below" becomes "above" or "above." Accordingly, "below" is a concept encompassing "upper" or "below".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컨트롤러)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컨트롤러)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oller) and/or other related devices o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ny suitable hardware, firmware (eg, application specific semiconductor), software, or a suitable combination of software, firmware, and hardware. can For example, various components of a control unit (controller) and/or other related devices or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one integrated circuit chip or on separate integrated circuit chips. In addition, various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controller) may be implemented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and may be formed on a tape carrier package, a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same substrate as the control unit (controller). In addition, various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controller) may be processes or threads executed in one or more processors in one or more computing devices, which execut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mentioned below. and can interact with other components.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stored in memory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ing device using standard memory devices, such as, for example, random access memor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other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such as, for example, a CD-ROM, flash drive, or the lik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at the functions of various computing device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tegrated into one computing device, or the functions of a particular computing device can be incorporated into one or more other computing devic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can be dispersed in the field.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컨트롤러)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a mass storage device such as a hard disk or a solid-state disk, a volatile memory devic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mouse, and an output device such as a monitor or printer. of commercial comput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100)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location mov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100)은 비상 스위치부(110)와, 유무선 네트워크망(120)과, 장비 정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면에서는 하나의 비상 스위치부(110)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비상 스위치부(110)는 고유 번호를 할당받으며 다수가 작업자가마다 제공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 the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100, which can be moved in an exemplary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switch unit 110, a wired/wireless network 120, and an equipment stop unit 130. can include Although only one emergency switch unit 110 is shown in the drawing, a number of such emergency switch units 110 are assigned a unique number and may be provided for each operator.

비상 스위치부(110)는 배터리(111)와, 부착부(112)와, 접점부(또는 스위치부)(113)와, 송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mergency switch unit 110 may include a battery 111, an attachment unit 112, a contact unit (or switch unit) 113, and a transmission unit 114.

배터리(111)는 일차 전지 또는 재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배터리(111)는 산업 장비의 진동이나 떨림에 의해 자가 발전되는 압전 방식의 충전기 등에 의해 자체적으로 충전될 수도 있다. The battery 111 may include a primary battery or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In some examples, the battery 111 may be self-charged by a piezoelectric charger that self-generates due to vibration or shaking of industrial equipment.

부착부(112)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직접 탈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복은 작업자가 입은 옷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컨베이어 시스템이거나 또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설치된 건축물이나 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따라서, 작업복은 콘크리트/시멘트 기둥이나 바닥면도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112)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attachment part 112 can be directly attached or detached from the worker's working clothes. Here, working clothes do not mean only clothes worn by workers. For example, it may be a conveyor system or a concept that includes all buildings or structures in which the conveyor system is installed. Thus, workwear may also include concrete/cement pillars or floors.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attachment part 1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below.

접점부(113)는 작업자의 버튼 누름 동작에 의해 배터리(111)로부터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정상 상태(버튼 누름 동작 수행하지 않음)에서 접점은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로크 상태(버튼 누름 동작 수행함)에서 접점은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접점부(113)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act unit 113 can turn on/off power from the battery 111 by an operator's button-pressing operation. In some examples, in a normal state (not performing a button press operation), the contact may remain off. In some examples, in a locked state (performing a button press operation), the contact may remain on.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contact unit 113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송신부(114)는 접점부(113)의 온오프 상태, 예를 들면, 오프 상태 또는 온 상태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망(120) 및/또는 장비 정지부(130)에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114 may convert the on/off state of the contact unit 113, for example, the off state or the on state into a wireless signal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wired/wireless network 120 and/or the equipment stop unit 130. .

유무선 네트워크망(120)은 와이파이, 블루트스, 지그비, 4G 또는 5G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무선 스위치부(110)의 송신부(114)는 유무선 네트워크망(120)과 와이파이 통신 방식, 블루트스 통신 방식, 지그비 통신 방식, 4G 통신 방식 또는 5G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망(120)은 또한 장비 정지부(130)의 수신부(131)와 와이파이 통신 방식, 블루트스 통신 방식, 지그비 통신 방식, 4G 통신 방식 또는 5G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망(120)은 장비 정지부(130)와 유선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wired/wireless network 120 may include Wi-Fi, Bluetooth, ZigBee, 4G or 5G communication networks. In this way, the transmission unit 114 of the wireless switch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d/wireless network 120 through a Wi-Fi communication method,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a 4G communication method, or a 5G communication method. In some examples, the wired/wireless network 12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receiver 131 of the equipment stop unit 130 through a Wi-Fi communication method,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a 4G communication method, or a 5G communication method. In some examples, the wired or wireless network 120 may be connected to the equipment stop unit 130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장비 정지부(130)는 수신부(131)와, 제어부(132)와, 출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31)는 비상 스위치부(110)의 송신부(114)로부터 온오프 상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수신부(131)는 유무선 네트워크망(120)을 통해 비상 스위치부(110)의 송신부(114)로부터 오프 상태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온 상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equipment stop unit 130 may include a receiver 131, a control unit 132, and an output unit 133. The receiving unit 131 may receive an on/off state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unit 114 of the emergency switch unit 110 . In some examples, the receiver 131 may receive an off-state signal or an on-stat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14 of the emergency switch 110 through the wired/wireless network 120 .

제어부(132)는 수신부(131)로부터 온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산업 장비의 정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어부(132)는 수신부(131)로부터 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으면 산업 장비를 계속 운전하기로 결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어부(132)는 수신부(131)로부터 온 상태 신호를 입력받으면 산업 장비를 정하기로 결정한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 일부 예들에서, 제어부(132)는 산업 장비를 운전하기로 결정하였으면 운전 신호를 출력부(133)에 전송하고, 산업 장비를 정지하기로 결정하였으면 정지 신호를 출력부(133)에 전송한다.The controller 132 may receive an on/off state signal from the receiver 131 and determine whether to stop the industrial equipment. In some examples, the control unit 132 determines to continue operating the industrial equipment upon receiving the OFF state signal from the receiver 131 . In some examples, the control unit 132 determines to determine the industrial equipment upon receiving the on state signal from the receiver 131 .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In some examples, the control unit 132 transmits a run signal to the output unit 133 if it is determined to operate the industrial equipment, and sends a stop signal to the output unit 133 if it is determined to stop the industrial equipment.

출력부(133)는 제어부(132)의 제어 신호(예를 들면, 정지 신호)에 의해 산업 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장비 정지 신호를 출력한다. 일부 예들에서, 출력부(133)는 산업 장비의 전원을 담당하는 전원부에 정지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원부가 산업 장비에 전원을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출력부(133)의 출력 신호에 의해 산업 장비의 운전이 정지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133)는 컨베이어 벨트를 동작시키는 구동 모터의 전원부에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The output unit 133 outputs an equipment stop signal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industrial equipment by a control signal (eg, a stop signal) of the control unit 132 . In some examples, the output unit 133 outputs a stop signal to the power supply unit responsible for powering the industrial equipment so that the power unit does not apply power to the industrial equipment.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industrial equipment may be stopped by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unit 133 .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33 may stop the operation by outputting a stop signal to a power supply unit of a driving motor that operates the conveyor belt.

일부 예들에서, 비상 스위치부(110)는 온오프 상태 신호와 함께 고유 번호 정보를 장비 정지부(130)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장비 정지부(130)의 관리자는 어느 위치 또는 작업자에 의해 비상 스위치부(110)가 동작되었는지, 또는 어느 위치의 비상 스위치부(110)의 전원에 이상이 있는지 등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제어부(132)는 다양한 모니터링 결과를 관리자용 서버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emergency switch unit 110 may transmit unique number information to the equipment stop unit 130 along with the on/off state signal. Therefore, the manager of the equipment stopping unit 130 can quickly grasp at which position or operator the emergency switch unit 110 has been operated, or at which positio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ower supply of the emergency switch unit 110.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unit 132 may transmit various monitoring results to the manager server computer.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작업자가 컨베이어 시스템에 끼임 또는 압착 사고를 당하였을 경우, 작업자가 바로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을 즉시 멈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by immediate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system by immediately operating the emergency switch when the operator is caught in or crushed by the conveyor system.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100)중에서 예시적 비상 스위치부(11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100) 중에서 예시적 접점부(113) 및 예시적 부착부(112)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emplary emergency switch unit 110 in a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100 capable of movable exemplary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emplary location mov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emplary contact part 113 and an exemplary attachment part 112 among possible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s 100.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비상 스위치부(110)는 배터리(미도시), 부착부(112), 접점부(113) 및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Exemplary emergency switch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ttery (not shown), an attachment unit 112, a contact unit 113, and a transmission unit (not shown).

부착부(112)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된 루프면(1122)과, 접점부(113)에 부착된 후쿠면(11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후쿠면(1121)이 루프면(1122)에 자유롭게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루프면(1122)는 작업자의 작업복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시스템 또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설치된 건축물이나 구조물, 콘크리트/시멘트 기둥이나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attachment part 112 may include a loop surface 1122 attached to a worker's work clothes and a hook surface 1121 attached to the contact part 113 . In this way, the hook face 1121 can be fre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op face 1122. Here, the loop surface 1122 may be attached to a conveyor system, a building or structure in which the conveyor system is installed, a concrete/cement pillar, or a floor surface, as well as a worker's working clothes.

한편, 접점부(113)는 상부 필름(1131), 중간 필름(1132) 및 하부 필름(1133)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act portion 113 may include an upper film 1131 , a middle film 1132 , and a lower film 1133 .

상부 필름(1131)은 하면에 상부 스위치 패턴(1134)이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스위치 패턴(1134)은 구리, 금 또는 은 등이 상부 필름(1131)의 하면에 증착, 인쇄 또는 도금되어 제공될 수 있다. An upper switch pattern 1134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lm 1131 . The upper switch pattern 1134 may be provided by depositing, printing, or plating copper, gold, or silv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lm 1131 .

중간 필름(1132)은 상부 필름(1131)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중간 필름(1132)은 상부 스위치 패턴(1134)과 대응되는 영역에 중간 개구(1136)가 제공될 수 있다. The middle film 1132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lm 1131 . An intermediate opening 1136 may be provid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witch pattern 1134 of the intermediate film 1132 .

하부 필름(1133)은 중간 필름(1132)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하부 필름(1133)은 상면에 상부 스위치 패턴(1134) 및 중간 개구(1136)와 대응되는 영역에 하부 스위치 패턴(1135)이 제공될 수 있다. 하부 스위치 패턴(1135)은 구리, 금 또는 은 등이 하부 필름(1133)의 상면에 증착, 인쇄 또는 도금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부(112)는 하부 필름(1133)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lower film 1133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iddle film 1132 . A lower switch pattern 1135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lm 1133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witch pattern 1134 and the middle opening 1136 . The lower switch pattern 1135 may be provided by depositing, printing, or plating copper, gold, or silv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lm 1133 . Here, the attachment part 112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ilm 1133 .

일부 예들에서, 상부 필름(1131), 중간 필름(1132) 및 하부 필름(1133)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페트)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s, PA, 나일론)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부 필름(1131), 중간 필름(1132) 및 하부 필름(1133)은 각각 양면 접착제에 의해 상호간 접착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top film 1131, middle film 1132, and bottom film 1133 may be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styrene (PS),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PET) or polyamides (PA, nylon). In some examples, the top film 1131, the middle film 1132, and the bottom film 1133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by a double-sided adhesive, respectively.

일부 예들에서, 상부 필름(1131), 중간 필름(1132), 하부 필름(1133), 상부 스위치 패턴(1134) 및 하부 스위치 패턴(1135)의 두께는 대략 1㎛ 내지 대략 1000㎛일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upper film 1131 , the middle film 1132 , the lower film 1133 , the upper switch pattern 1134 and the lower switch pattern 1135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 μm to about 1000 μm.

일부 예들에서, 작업자가 상부 필름(1131)을 가압하기 전에는 상부 필름(1131) 및 상부 스위치 패턴(1134)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부 스위치 패턴(1134) 및 하부 스위치 패턴(1135)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송신부(114)는 이러한 오프 상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before the operator presses the upper film 1131, the upper switch pattern 1134 and the lower switch pattern 1135 are electrically separ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upper film 1131 and the upper switch pattern 1134. Maintaining the OFF state, the transmission unit 114 may transmit such an OFF state signal.

일부 예들에서, 작업자가 상부 필름(1131)을 누르면 가압되면서 상부 스위치 패턴(1134) 및 하부 스위치 패턴(1135)이 상호간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온 상태를 유지하고, 송신부(114)는 이러한 온 상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while the operator presses the upper film 1131, the upper switch pattern 1134 and the lower switch pattern 1135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intain an on state, and the transmitter 114 transmits such an on state signal can be sent

한편, 부착부(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루프면(1122)과 후크면(1121)을 포함하고, 루프면(1122)에 후크면(1121)이 결합되면 비상 스위치부(110)가 작업복에 부착되고, 루프면(1122)으로부터 후크면(1121)이 분리되면 비상 스위치부(110)가 작업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ttachment part 112 includes a loop surface 1122 and a hook surface 1121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hook surface 1121 is coupled to the loop surface 1122, the emergency switch unit 110 is attached to work clothes. When attached and the hook surface 1121 is separated from the loop surface 1122, the emergency switch unit 110 can be separated from the work clothes.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작업자가 컨베이어 시스템에 끼임 또는 압착 사고를 당하였을 경우, 작업자가 바로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을 즉시 멈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by immediate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system by immediately operating the emergency switch when the operator is caught in or crushed by the conveyor system.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100)중에서 예시적 비상 스위치부(110)의 동작을 도시한 평면도이다.4A and 4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exemplary emergency switch unit 110 in an exemplary movable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스위치부(110)는 작업자의 누름 동작전에는 상부 스위치 패턴(1134) 및 하부 스위치 패턴(1135)이 상호간 분리되어 오프 신호를 장비 정지부(130)로 송신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누름 동작후에는 상부 스위치 패턴(1134) 및 하부 스위치 패턴(1135)이 상호간 접촉되어 온 신호를 장비 정지부(130)로 송신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4A, in the emergency switch unit 110, the upper switch pattern 1134 and the lower switch pattern 113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efore the operator presses the switch to transmit an off signal to the equipment stop unit 130, As shown in FIG. 4B , after the operator's pressing operation, the upper switch pattern 1134 and the lower switch pattern 1135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equipment stop 130 as the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f course,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일부 예들에서, 본 발명에서는 메인접점(a 접점: Normally Open-평소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는(open) 상태이고 스위치가 동작하면 연결(close)됨)이 오프 상태에서 산업 장비의 운전이 가능하고, 메인접점(a 접점)이 온 상태에서 산업 장비의 운전이 불가능할 수 있다. 그 반대도 가능하다(b 접점).In some exampl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industrial equipment is possible with the main contact (a contact: Normally Open-normally unconnected (open) and closed when the switch operates) in an off state, and the main Operation of industrial equipment may be impossible while the contact (a contact) is on.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contact b).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복 어디에도 직접 탈부착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나 컨베이어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복에 루프면을 부착하고, 무선 비상 스위치부의 접점부에 후쿠면을 부착함으로써(즉, 부착부를 구비함으로써), 루프면에 후쿠면이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선 비상 스위치부를 작업자의 작업복 어디에도 직접 탈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컨베이어 시스템에 끼임 또는 압착 사고를 당하였을 경우, 작업자가 바로 비상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을 즉시 멈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that can be direct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ny worker's work clothes and can be moved to operate a conveyor emergency switch anytime, anywher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he loop surface to the worker's work clothes and attaches the hook surface to the contact part of the wireless emergency switch unit (ie, by having an attachment part), so that the hook surface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loop surface, Accordingly, the wireless emergency switch unit can be directly attached or detached to any part of the worker's working clothes. Therefore, when a worker is caught in a conveyor system or has a crushing accident, the worker immediately operates an emergency switch, thereby immediate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yor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orker.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100)중에서 예시적 비상 스위치부(11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exemplary emergency switch unit 110 in an exemplary location-movabl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비상 스위치부(110)는 하우징(115) 내에 배터리(111)(미도시), 접점부(113), 스프링(116) 및 송신부(114)(미도시)가 구비되고, 하우징(115)의 상부에 접점부(113)를 동작시키는 푸시 버튼(117)이 제공되며, 하우징(115)의 하부에 비상 스위치부(110)를 작업복에 부착시키는 부착부(112)가 제공될 수 있다.An exemplary emergency switch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111 (not shown), a contact unit 113, a spring 116 and a transmission unit 114 (not shown) in a housing 115, A push button 117 for operating the contact part 113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115, and an attachment part 112 for attaching the emergency switch part 110 to work clothes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15. can

일부 예들에서, 버튼(117)을 가압하기 전에는 스프링(116)의 탄성력에 의해 접점부(113)가 연결되어(상하부의 접점부가 상호간 연결됨) 온 상태를 유지하고, 송신부(114)는 이러한 온 상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버튼(117)을 누르면 스프링(116)이 가압되면서 접점부(113)가 분리되어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송신부(114)는 이러한 오프 상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before pressing the button 117, the contact part 113 is connec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16 (upper and lower contact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maintain an on state, and the transmitter 114 is in this on state signal can be transmitted. In some examples, when the button 117 is pressed, the spring 116 is pressurized and the contact unit 113 is separated to maintain an off state, and the transmission unit 114 may transmit such an off state signal.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100)중에서 예시적 비상 스위치부(110)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exemplary emergency switch unit 110 in an exemplary location-movabl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스위치부(110)는 작업자의 버튼(117) 누름 동작전에는 접점부(113)의 온 신호를 장비 정지부(130)로 송신하고, 작업자의 버튼(117) 누름 동작후에는 접점부(113)의 오프 신호를 오프 신호를 장비 정지부(13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메인접점(b 접점)이 온 상태에서 산업 장비의 운전이 가능하고, 메인접점(b 접점)이 오프 상태에서 산업 장비의 운전이 불가능하다.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emergency switch unit 110 transmits an on signal of the contact unit 113 to the equipment stop unit 130 before the operator's button 117 is pressed, and the operator's button ( 117) After the pressing operation, the OFF signal of the contact unit 113 may be transmitted to the equipment stop unit 130.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industrial equipment is possible while the main contact (contact b) is on, and the operation of the industrial equipment is impossible when the main contact (contact b) is off.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an exemplary location-movable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laims in the following claims As such, anyon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100;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
110; 비상 스위치부 111; 배터리
112; 부착부 1121; 후크면
1122; 루프면 113; 접점부
1131; 상부 필름 1132; 중간 필름
1133; 하부 필름 1134; 상부 스위치 패턴
1135; 하부 스위치 패턴 1136; 중간 개구
114; 송신부 120; 유무선 네트워크망
130; 장비 정지부 131; 수신부
132; 제어부 133; 출력부
100; Remov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110; Emergency switch unit 111; battery
112; Attachment 1121; hook side
1122; loop surface 113; Contact part
1131; top film 1132; medium film
1133; bottom film 1134; upper switch pattern
1135; lower switch pattern 1136; middle opening
114; Transmitter 120; wired/wireless network
130; equipment stop 131; receiver
132; control unit 133; output

Claims (6)

작업자의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한 부착부와, 부착부 상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버튼 누름 동작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하는 접점부와, 접점부의 온오프 상태를 무선 신호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갖는 비상 스위치부; 및
비상 스위치부의 송신부로부터 온오프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로부터 온오프 상태 신호를 입력받아 산업 장비의 정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산업 장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장비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장비 정지부를 포함하고,
접점부는 상부 스위치 패턴이 형성된 상부 필름, 상부 필름의 하면에 부착되되 상부 스위치 패턴과 대응되는 영역에 중간 개구가 형성된 중간 필름, 및 중간 필름의 하면에 부착되되 상부 스위치 패턴 및 중간 개구와 대응되는 영역에 하부 스위치 패턴이 형성된 하부 필름을 포함하고, 하부 필름의 하면에 부착부가 형성된,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
An emergency switch unit having an attaching unit detachable from a worker's working clothes, a contact unit provided on the attaching unit to turn on and off power by an operator's button press operation, and a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n on/off state of the contact unit as a wireless signal; and
A receiving unit receiving the on/off stat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of the emergency switch unit,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on/off state signal from the receiving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o stop the industrial equipment,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industrial equipment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ncludes an equipment stop having an output for outputting a signal;
The contact part includes an upper film on which an upper switch pattern is formed, an intermediate film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lm and having an intermediate opening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switch pattern, and an area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ilm and corresponding to the upper switch pattern and the intermediate opening. A Velcro-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comprising a lower film having a lower switch pattern formed thereon, and having an attachment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ilm.
제 1 항에 있어서,
부착부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부착된 루프면과, 접점부에 부착된 후쿠면을 포함하고, 루프면에 후쿠면이 탈부착되는,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ttachment part includes a loop surface attached to the worker's work clothes and a hook surface attached to the contact part, and the hook surfac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op surfa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필름, 중간 필름 및 하부 필름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페트)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s, PA, 나일론)를 포함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op film, middle film and bottom film are made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styrene (P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amides (PA, Nylon), a mov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 스위치부는 온오프 상태 신호와 함께 고유 번호 정보를 장비 정지부로 송신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switch unit transmits the unique number information along with the on/off state signal to the equipment stop unit, a mov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 스위치부는 작업자의 버튼 누름 동작전 온 신호를 장비 정지부로 송신하고, 작업자의 버튼 누름 동작후 오프 신호를 장비 정지부로 송신하는, 위치 이동 가능한 벨크로 타입 무선 비상 스위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switch unit transmits an on signal to the equipment stop before the operator presses the button and transmits an off signal to the equipment stop after the operator presses the button.
KR1020220070332A 2022-06-09 2022-06-09 Reposition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KR1025492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332A KR102549292B1 (en) 2022-06-09 2022-06-09 Reposition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332A KR102549292B1 (en) 2022-06-09 2022-06-09 Reposition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292B1 true KR102549292B1 (en) 2023-06-30

Family

ID=8695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332A KR102549292B1 (en) 2022-06-09 2022-06-09 Reposition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29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1822B2 (en) * 1983-11-30 1988-11-30
JP2000222981A (en) * 1999-01-27 2000-08-11 Alps Electric Co Ltd Membrane switch
JP2007107305A (en) * 2005-10-14 2007-04-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
KR20090034203A (en) * 2007-10-02 2009-04-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ttachable and removable switch apparatus
JP6361822B2 (en) * 2015-05-11 2018-07-25 村田機械株式会社 Automatic operation equipment system, emergency stop terminal, and oper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JP2020044625A (en) * 2018-09-20 2020-03-26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Emergency stop switch and robot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1822B2 (en) * 1983-11-30 1988-11-30
JP2000222981A (en) * 1999-01-27 2000-08-11 Alps Electric Co Ltd Membrane switch
JP2007107305A (en) * 2005-10-14 2007-04-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
KR20090034203A (en) * 2007-10-02 2009-04-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ttachable and removable switch apparatus
JP6361822B2 (en) * 2015-05-11 2018-07-25 村田機械株式会社 Automatic operation equipment system, emergency stop terminal, and oper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JP2020044625A (en) * 2018-09-20 2020-03-26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Emergency stop switch and robo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3857B2 (en) Safety systems to protect collaborative work between humans, robots and machines
US9460574B2 (en) Bluetooth zone control using proximity detection
RU2546081C2 (e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haptic technology for controlling railway vehicle
KR102549292B1 (en) Repositionable Velcro Typ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CN103261067B (en) Elevator control systems
US9734446B2 (en) Post application editing of multiresonator chipless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WO2022080884A1 (en) Smart bolt
KR102420771B1 (en) Industrial Wireless Sensor System
JP6436980B2 (en) Work system
US11491596B2 (en) Power tool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tool
KR102417244B1 (en) Positionable wireless emergency switch system
JP2014213400A (en) Robot device and robot device control method
KR102459316B1 (en) Smart bolt
US20080136622A1 (en) Wireless Signal Light System Based on Wireless Network and Portable Signal Light
KR20020094547A (en) Conveyer system of safet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745893B2 (en) Elevator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1465783B1 (en) Apparatus for alarming danger
US10152855B1 (en) Wireless tamper system
KR102504815B1 (en) Smart bolt repeater system
Fukui et al. Development of devices applied to collaborative robot production system based on Collaborative Safety/Safety2. 0
TW393433B (en) Electric device for moving shelves
KR101924562B1 (en)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apparatus of Elevator
JP2010044007A (en) System for detecting crack of movable object
JP2000264426A (en) Carrier and carrier unit used therefor
KR20110094533A (en) System and method for stand-by power shut off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