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403B1 -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403B1
KR102548403B1 KR1020200183100A KR20200183100A KR102548403B1 KR 102548403 B1 KR102548403 B1 KR 102548403B1 KR 1020200183100 A KR1020200183100 A KR 1020200183100A KR 20200183100 A KR20200183100 A KR 20200183100A KR 102548403 B1 KR102548403 B1 KR 102548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reinforcing substrate
display panel
display area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900A (ko
Inventor
윤상수
박찬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4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900A/ko
Priority to KR1020230080130A priority patent/KR20230096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시는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보강기판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다공성 금속재료는 금속재료에 따른 소정의 강성을 가지면서도, 다공성으로 인한 탄성 또는 충격 흡수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보강기판은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표시패널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보강기판으로 인한 표시패널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와치 폰(watch phone),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내비게이션,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텔레비전, 노트북, 및 모니터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의 영상 표시 기능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표시장치의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전계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D) 등을 들 수 있다.
표시장치는 영상 표시를 위한 각 화소영역의 광을 출력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전자기기는 펼쳐진 평면 형태와 접힌 형태로 번갈아 반복 변형될 수 있는 폴더블 전자기기(Foldable appliance)일 수 있다.
폴더블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표시장치는 펼쳐진 형태와 접힌 형태로 번갈아 반복해서 변형되어야 하므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연성으로 마련되는 벤딩표시영역을 포함한다. 더불어, 표시장치 중 벤딩표시영역을 제외한 평면표시영역은 표시장치의 형태 유지 및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한 표시장치의 파손 방지를 위해 소정의 강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평면표시영역에 대응한 강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접힌 형태에 따른 벤딩 스트레스가 발생함에 따라, 강화부재가 비교적 연성인 표시패널이 강화부재로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강화부재는 강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강화부재의 패터닝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강화부재의 두께 조절을 통해 벤딩표시영역에서의 벤딩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연성의 표시패널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기판을 구비하면서도 보강기판으로 인한 표시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벤딩표시영역의 벤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시는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보강기판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다공성 금속재료는 금속재료에 따른 소정의 강성을 가지면서도, 다공성으로 인한 탄성 또는 충격 흡수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보강기판은 벤딩 스트레스로 인한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표시패널에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보강기판으로 인한 표시패널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보강기판은 다공성 금속재료의 단일층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영역 별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보강기판이 비교적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더블 기능을 구현하는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한 보강기판의 일부를 얇은 두께로 마련함으로써, 벤딩표시영역에서의 벤딩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보강기판이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된다. 즉, 보강기판을 이루는 다공성 금속재료는 금속재료에 따른 강성을 가지면서도, 다공성에 따른 탄성 또는 충격 흡수성을 갖는다.
이러한 보강기판으로 표시패널이 보강될 수 있으면서도, 연성의 표시패널이 보강기판으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강기판은 다공성 금속재료의 단일층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영역 별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보강기판이 비교적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더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벤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로 교번하여 반복 변형되는 벤딩표시영역에서 보강기판을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벤딩표시영역에서의 벤딩 스트레스가 경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펼쳐진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접힌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단면에 대한 일 예시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패널 및 패널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서브화소영역에 대응한 등가회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 중 표시영역의 일부에 대응한 단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펼쳐진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접힌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펼쳐진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접힌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단면에 대한 일 예시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는 평면으로 펼쳐진 형태 및 양단이 맞닿도록 접힌 형태로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는 폴더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10)는 도 1에 도시된 펼쳐진 형태와 도 2에 도시된 접힌 형태를 가변할 수 있는 폴더블 기능을 갖는다.
전자기기(10)는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이 출력되는 표시영역(A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AA)은 벤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로 가변되는 벤딩표시영역(BDA; Bending Display Area)과, 벤딩표시영역(BDA)의 양단에 배치되고 평면 형태를 유지하는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FDA1, FDA2; Flat Display Area)을 포함한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벤딩표시영역(BDA)이 언폴딩(unfolding) 상태인 경우, 전자기기(10)는 평면으로 펼쳐진 형태가 된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벤딩표시영역(BDA)이 벤딩(bending) 상태인 경우, 전자기기(10)는 양단 모서리가 상호 마주하도록 접힌 형태가 된다.
이러한 전자기기(10)는 펼쳐진 형태에 의해 비교적 넓은 표시영역(AA)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접힌 형태에 의해 작은 너비로 이루어질 수 있어 보다 향상된 휴대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는 펼쳐진 형태에서 양단을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도 1의 -Y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접힌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가 접힌 형태인 경우, 광(LIGHT)을 방출하는 표시영역(AA)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는 표시장치(10a), 및 표시장치(10a)를 수납 및 지지하는 하우징(1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장치(10a)는 영상 표시를 위한 광(LIGHT)을 방출하는 표시영역(AA)을 포함한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되는 보강기판(200), 및 표시패널(100)과 보강기판(200)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막(21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AA)은 벤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로 가변되는 벤딩표시영역(BDA)과 벤딩표시영역(BDA)의 양단에 배치되고 평면 형태를 유지하는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FDA1, FDA2)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패널(100)은 벤딩표시영역(BDA)을 포함하기 위해 연성으로 마련된다.
보강기판(200)은 연성의 표시패널(100)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강기판(200)은 표시패널(100)의 형태 유지를 위한 소정의 강성을 부여하고 표시패널(100)에 대한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강기판(2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보강기판(200)은 점착막(210)에 의해 표시패널(100)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점착막(210)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및 OCR(optical clear res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b)은 표시장치(10a) 중 표시패널(100) 위에 배치되고 표시패널(100)의 광(LIGHT)을 투과하는 투명커버(11), 보강기판(200) 아래에 배치되는 미들프레임(12), 및 미들프레임(12) 아래에 배치되고 투명커버(11)와 체결되는 백커버(13)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커버(11), 미들프레임(12) 및 백커버(13) 중 적어도 하나는 표시영역(AA)에 대응한 평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벤딩표시영역(BDA)의 벤딩 상태와 언폴딩(unfolding) 상태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고 변형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연성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투명커버(11)는 표시패널(100)과 투명커버(11) 사이에 배치된 투명점착부재(미도시)에 의해 표시패널(100) 위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점착부재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및 OCR(optical clear res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들프레임(12)은 보강기판(200) 아래에 배치되고, 표시패널(100) 및 보강기판(200)을 지지한다.
미들프레임(12)은 점착패턴(14)에 의해 보강기판(200)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점착패턴(14)은 보강기판(200)과 미들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되고 미들프레임(12)의 가장자리 중 양측 모서리에 대응될 수 있다.
전자기기(10)는 미들프레임(12)과 백커버(13) 사이에 수납되고 표시패널(100)과 연결되는 다양한 회로부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회로부품(15)은 표시패널(100)의 구동부(도 4의 GDR, DDR, TC), 전자기기(10)의 제어를 위한 호스트 시스템, 메모리 및 전원부 등이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 및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미들프레임(12)은 표시패널(100)과 회로부품(15)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미도시)을 인출하기 위한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13)는 투명커버(11)와 함께, 표시장치(10a)에 구비된 표시패널(100)과 보강기판(200), 및 미들프레임(12)을 수납한다.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10b)은 투명커버(11)와 백커버(13)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커버(11)와 백커버(13) 간의 체결을 위한 연결수단(미도시)은 점착제, 볼트와 너트, 및 레일홈과 슬라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표시패널 및 패널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서브화소영역에 대응한 등가회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 중 표시영역의 일부에 대응한 단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0)은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이 출력되는 표시영역(AA)과, 표시영역(AA)에 배열된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Sub-Pixel Area)과,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에 연결된 신호배선들(GL, DL)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의 신호배선들(GL, DL)은 패널 구동부(TC, GDR, DDR)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각 서브화소영역(SPA)에 전달한다.
표시패널(100)이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각각은 서로 다른 복수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에 대응하는 파장영역의 광을 방출한다. 여기서, 복수의 색상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색상은 백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패널(100)은 컬러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신호배선들(GL, DL)은 게이트구동부(GDR)의 스캔신호(SCAN)를 전달하는 게이트라인(GL), 및 데이터구동부(DDR)의 데이터신호(VDATA)를 전달하는 데이터라인(D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이 각 서브화소영역(SPA)에 대응한 발광소자(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패널(100)은 발광소자의 구동을 위한 제 1 및 제 2 구동전원(VDD, VSS)을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구동전원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TC, GDR, DDR)는 표시패널(100)의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되는 게이트구동부(GDR; Gate Driver), 표시패널(100)의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는 데이터구동부(DDR; Data Driver), 및 게이트구동부(GDR)와 데이터구동부(DDR)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TC; Timing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표시패널(100)의 해상도에 맞게 재정렬하고,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구동부(DDR)에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TC)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도트클럭신호(D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등의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구동부(DDR)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DC)와, 게이트구동부(GDR)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DC)를 공급한다.
게이트구동부(GDR)는 게이트 제어신호(GDC)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를 위한 하나의 프레임기간 동안 복수의 게이트라인(GL)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SCAN)를 공급한다. 즉, 게이트구동부(GDR)는 하나의 프레임기간 중 각 게이트라인(GL)에 대응한 각 수평기간 동안 각 게이트라인(GL)에 스캔신호(SCAN)를 공급한다. 여기서, 게이트라인(GL)은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중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서브화소영역(SPA)들에 대응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DDR)는 데이터 제어신호(DDC)에 기초하여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한다. 데이터구동부(DDR)는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기초하여 각 수평기간 동안 각 게이트라인(GL)에 대응되는 서브화소영역(SPA)들에 각각 대응한 데이터신호(VDATA)를 데이터라인(DL)에 공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화소영역(SPA)은 발광소자(OLED), 및 발광소자(OLED)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화소구동회로(PDC; Pixel Driving Circuit)를 포함한다.
일 예로, 화소구동회로(PDC)는 구동 트랜지스터(DT; Driving Transistor), 스위칭 트랜지스터(ST; Switching Transisto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storage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서브화소영역(SPA)은 구동 트랜지스터(DT) 및 발광소자(OLED) 중 적어도 하나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회로는 열화 정도를 감지하거나 또는 기준전원(미도시)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제 1 구동전원(VDD)을 공급하는 제 1 구동전원라인(VDDL)과 제 1 구동전원(VDD)보다 낮은 전위의 제 2 구동전원(VSS)을 공급하는 제 2 구동전원라인(VSSL) 사이에 발광소자(OLED)와 직렬로 배치된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일단은 제 1 구동전원라인(VDDL)에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다른 일단은 발광소자(OLED)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발광소자(OLED)의 다른 일단은 제 2 구동전원라인(VSSL)에 연결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각 서브화소영역(SPA)의 데이터신호(VDATA)를 공급하는 데이터라인(DL)과 제 1 노드(ND1)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노드(ND1)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과 스위칭 트랜지스터(ST) 사이의 접점이다. 그리고,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 1 노드(ND1)와 제 2 노드(ND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노드(ND2)는 구동 트랜지스터(DT)와 발광소자(OLED) 사이의 접점이다.
이러한 화소구동회로(PDC)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라인(GL)의 스캔신호(SCAN)에 기초하여 턴온된다. 이때,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VDATA)는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T) 및 제 1 노드(ND1)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공급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VDATA)로 충전된다.
그리고, 구동 트랜지스터(DT)는 데이터신호(VDATA)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충전전압에 기초하여 턴온됨으로써, 데이터신호(VDATA)에 대응한 구동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로써, 턴온된 구동 트랜지스터(DT)에 의한 구동전류가 발광소자(OLED)에 공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0)은 지지기판(110), 지지기판(110) 상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120), 트랜지스터 어레이(120) 상에 배치되는 발광 어레이(130), 및 발광 어레이(130) 상에 배치되는 봉지막(140)을 포함한다.
지지기판(110)은 연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지지기판(110)은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MP(polymethylpenten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NB(polynorborneen), PEN(polyethylenapthanate), PES(polyethersulfone) 및 COS(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120)는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각각에 대응한 화소구동회로(도 5의 PDC)를 포함한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화소구동회로(PDC)는 발광소자(OLED)에 연결되는 구동 트랜지스터(DT), 게이트라인(GL)의 스캔신호에 기초하여 턴온-턴오프되고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VDATA)를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으로 전달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 및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120)는 각 서브화소영역(SPC)의 화소구동회로(PDC)에 연결되는 신호배선들(GL, DL)을 더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어레이(120)는 지지기판(110) 상에 배치되고 화소구동회로(PDC)를 평평하게 덮는 평탄화막(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어레이(130)는 트랜지스터 어레이(120)의 평탄화막(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어레이(130)는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각각에 대응한 발광소자(ED; 도 5의 OLED)를 포함한다.
각 발광소자(ED)는 상호 대향하는 제 1 전극(131)과 제 2 전극(132),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발광구조물(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 어레이(130)는 평탄화막(121) 상에 배치되고 각 서브화소영역(SPA)에 대응한 제 1 전극(131), 평탄화막(121) 상에 배치되고 각 서브화소영역(SPA)의 외곽에 대응하며 제 1 전극(131)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134), 제 1 전극(131) 상에 배치되는 발광구조물(133), 및 뱅크(134)와 발광구조물(133)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132)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막(140)은 발광 어레이(130) 상에 배치되고 발광 어레이(130)를 밀봉한다.
이러한 밀봉막(140)은 서로 다른 절연재료 또는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호막(141, 142, 143)이 순차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보호막(141, 142, 143)은 제 2 전극(132)을 덮고 무기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제 1 보호막(141), 제 1 보호막(141) 상에 평평하게 배치되고 유기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보호막(142), 및 제 2 보호막(142) 상에 배치되고 무기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제 3 보호막(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밀봉막(140)으로 인해, 발광 어레이(130)에 대한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를 지연시킬 수 있고, 이물질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밀봉막(140) 상에 배치되는 터치전극 어레이(150), 터치전극 어레이(150) 상에 배치되는 편광판(160), 및 지지기판(110) 아래에 배치되는 보조기판(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전극 어레이(150)은 터치감지기능(touch sensing)을 위한 것으로, 터치(touch)에 의해 가변되는 요소를 센싱하여 표시영역(AA) 중 터치 동작이 실시된 위치를 검출한다.
일 예로, 터치전극 어레이(150)는 상호 교차하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터치전극의 교차지점들 중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된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동작이 발생된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편광판(160)은 표시영역(AA)에서의 외부광 반사를 저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기판(170)은 지지기판(11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며, 지지기판(110)의 재료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보강기판(200)은 접착막(210)에 의해 보조기판(170)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표시장치(10a)의 표시패널(100)은 벤딩표시영역(BDA)을 포함할 수 있도록 연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연성의 표시패널(100)은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취약해지므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다.
기존의 표시장치는 폴더블 기능을 위한 연성의 표시패널(100)을 보강하기 위해 강성을 가지면서도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는 스테인레스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판을 구비한다. 이 경우, 벤딩 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에서 발생된 벤딩 스트레스가 금속판과 표시패널(100)에 인가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연성인 표시패널(100)이 금속판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표시패널(100)을 보강하면서도 표시패널(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기판(200)을 구비한 표시장치(EM1, EM2, EM3, EM4, EM5, EM6)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EM1)는 점착막(210)에 의해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되는 보강기판(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강기판(200) 및 점착막(210) 각각은 표시영역(AA) 이상의 너비를 갖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점착막(210)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및 OCR(optical clear res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기판(200)은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진다.
다공성 금속재료(200')는 스폰지 형태의 금속재료(201)와 금속재료(201) 내에 분포된 공극(20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재료(201)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재료이라면 어느 것으로든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금속재료(201)는 구리(Cu)일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금속재료(200')는 금속재료(201) 내에 분포된 공극(202)을 포함함에 따라, 다공성에 따른 탄성 또는 충격 흡수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진 보강기판(200)은 벤딩 스트레스의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탄성 또는 충격 흡수성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벤딩 스트레스를 받는 보강기판(200)에 의한 압력으로 표시패널(10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보강기판(200)으로 인해 표시패널(100)에 대한 외부의 물리적 충격이 완화될 수 있으므로, 연성의 표시패널(100)이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보강기판(200)의 충격 흡수성, 탄성 및 강성을 고려하여, 보강기판(200)을 이루는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공극률은 50%~76%일 수 있다. 여기서, 공극률은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202)의 비율에 대응한다.
보강기판(200)을 이루는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탄성 또는 충격 흡수성은 공극(202)의 절대부피에 대응하고,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강성은 금속재료(201)의 절대부피에 대응하므로, 보강기판(200)은 두께에 대응되는 탄성력과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기판(200)의 탄성력과 강성을 고려하여 보강기판(200)의 두께의 최소값이 도출될 수 있다.
더불어, 보강기판(200)의 두께가 커질수록 표시장치(10a)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므로, 표시장치(10a)의 슬림화를 고려하여 보강기판(200)의 두께의 최대값이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기판(200)의 두께는 70㎛~200㎛의 범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되고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진 보강기판(200)을 구비함에 따라, 연성의 표시패널(100)을 보강할 수 있으면서도, 보강기판(200)으로 인한 표시패널(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폴더블 전자기기(10)에 구비되는 표시장치(10a)는 벤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를 번갈아 반복 변형되는 벤딩표시영역(BDA)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장치(10a)는 벤딩 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으로 인한 벤딩 스트레스를 가진다.
이때, 벤딩표시영역(BDA)의 벤딩 스트레스로 인해, 표시패널(100)에 구비된 절연막들(도 6의 121, 141, 142, 143)의 크랙 및 표시패널(100)에 구비된 신호배선들(도 4의 GL, DL)의 단선 등과 같은 표시패널(100)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는 벤딩표시영역(BDA)의 벤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EM2, EM3, EM4)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EM2)는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하고 표시패널(100)에 마주하는 제 1 홈부(221)를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7의 제 1 실시예(EM1)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EM2)에 따른 제 1 홈부(221)는 점착막(210)을 관통한다.
즉,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점착막(210)의 일부는 제 1 홈부(221)에 의해 제거된다.
이로써,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표시패널(100)과 보강기판(200) 간의 간격이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FDA1, FDA2)에서보다 점착막(210)의 두께만큼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벤딩 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으로 인해 표시패널(100) 및 보강기판(200)에 인가되는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표시패널(100)과 보강기판(200) 간의 간격으로 완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벤딩표시영역(BDA)에서의 벤딩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강기판(200)은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지므로, 서로 상이한 두께로 이루어진 영역들을 포함하도록 마련되기에 금속판보다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그리고, 표시장치(10a)의 전체 두께가 작아질수록 표시장치(10a)에 인가되는 벤딩 스트레스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벤딩표시영역(BDA)이 광이 방출되는 방향(Y 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아우터 벤딩 상태(outer bending state)인 경우, 표시장치(10a) 중 비교적 아래에 배치되는 보강기판(200)에는 압축력의 벤딩 스트레스가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압축력의 벤딩 스트레스는 두께에 비례하므로, 얇은 두께일수록 압축력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의 제 3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EM3)는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하고 표시패널(100)에 마주하는 제 2 홈부(222)를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7의 제 1 실시예(EM1)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EM3)는 제 2 홈부(222)는 보강기판(200)의 일부를 더 관통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8의 제 1 홈부(221)와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 제 1 및 제 2 실시예(EM1, EM2)과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EM3)에 따른 제 2 홈부(222)는 점착막(210) 뿐만 아니라 보강기판(200)의 일부를 더 관통한다.
즉,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하는 보강기판(200)은 점착막(210)에 마주하는 상측의 일부가 제거되고, 하측의 다른 일부가 잔류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제 2 홈부(222)의 배치로 인해,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의 두께는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FDA1, FDA2)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의 두께 미만으로 감소된다.
일 예로,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FDA1, F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의 두께는 70㎛ ~ 200㎛의 범위일 수 있다.
그리고,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의 두께의 최소값은 보강기판(200)의 충격흡수력과 강성을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의 두께는 50㎛ 이상일 수 있다.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은 제 2 홈부(222)로 인해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FDA1, FDA2)에 대응한 보강기판(200)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표시장치(10a)의 전체 두께가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FDA1, FDA2)에서보다 감소됨으로써, 벤딩상태에 따른 벤딩 스트레스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벤딩 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으로 인해 보강기판(200)에 인가되는 압축력이 보강기판(200)의 얇아진 두께로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제 3 실시예(EM3)에 따른 제 2 홈부(222)는 빈 공간이므로, 제 2 홈부(222)로 인해 표시패널(100) 또는 보강기판(200)의 손상이 유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EM4)는 제 2 홈부(222)를 채우는 탄성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9의 제 3 실시예(EM3)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EM4)에 따르면, 제 2 홈부(222)가 탄성부재(230)로 메워짐으로써, 제 2 홈부(222)의 배치로 인해 표시패널(100) 또는 보강기판(200)의 손상이 유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벤딩 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으로 인해 보강기판(200)에 인가되는 벤딩 스트레스가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으로 완화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10은 폴더블 전자기기(10)가 접힌 형태인 경우에 표시영역(AA)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폴더블 전자기기(10)가 접힌 형태로 변형되기 위해, 벤딩표시영역(BDA)은 광이 방출되는 방향(도 1의 Y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아우터 벤딩 상태(outer bending state)로 변형된다.
이와 달리, 폴더블 전자기기(10')는 접힌 형태에서 표시영역(AA)을 외부로부터 감추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접힌 형태의 폴더블 전자기기(10')를 구현하기 위해, 벤딩표시영역(BDA)은 광이 방출되는 방향(도 1의 Y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도 1의 -Y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이너 벤딩 상태(inner bending state)로 변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펼쳐진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접힌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는 평면으로 펼쳐진 형태에서 양단을 광이 방출되는 방향(도 11의 Y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접힌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가 접힌 형태일 때, 광(도 12의 화살표)을 방출하는 표시영역(AA) 중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도 11의 FDA1, FDA2)이 상호 마주하여 서로를 덮음으로써, 표시영역(AA)이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의 경우, 이너 벤딩 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에 의해, 표시장치(도 3의 10a) 중 비교적 하측에 배치되는 보강기판(도 3의 200)에는 인장력이 인가될 수 있다.
그런데, 도 9에 도시된 제 2 홈부(222)는 보강기판(200) 중 표시패널(100)에 마주하는 상면에 배치되므로,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은 제 2 홈부(222)에 의해 얇아지고 표시패널(100)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제 2 홈부(222)가 배치된 보강기판(200)은 이너 벤딩 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으로 인한 인장력에 취약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 5 및 제 6 실시예는 보강기판(200)의 두께를 이용하여 표시장치(10a)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보강기판(200)이 이너 벤딩 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에 의한 인장력에 취약해지지 않을 수 있는 표시장치(EM5, EM6)을 제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EM5)는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하고 보강기판(200)의 일부를 관통하는 제 3 홈부(223)를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7의 제 1 실시예(EM1)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EM5)에 따르면, 보강기판(200)은 표시패널(100)에 대향하는 상면과, 상면에 반대되는 하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3 홈부(223)는 보강기판(200)의 하면에 배치된다.
즉, 제 3 홈부(223)는 표시패널(100)에 마주하지 않는다.
제 3 홈부(223)의 배치로 인해,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의 두께는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FDA1, FDA2)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의 두께 미만으로 감소된다.
일 예로,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FDA1, F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의 두께는 70㎛ ~ 200㎛의 범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홈부(223)의 배치로 인해,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의 두께는 50㎛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5 실시예(EM5)에 따르면, 제 3 홈부(223)로 인해,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은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FDA1, FDA2)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에 비해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벤딩표시영역(BDA)에서 표시장치(10a)의 전체 두께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벤딩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으로 인해 표시장치(10a)에 인가되는 벤딩 스트레스가 저감될 수 있다.
더불어, 제 3 홈부(223)가 보강기판(200)의 하면에 배치됨에 따라,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한 보강기판(200)은 제 3 홈부(223)에 의해 표시패널(100)로부터 이격되지 않는다. 즉, 벤딩표시영역(BDA)에 대응하고 비교적 얇은 두께의 보강기판(200)이 표시패널(100) 및 점착막(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이너 벤딩 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으로 인한 인장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 3 홈부(223)로 인한 보강기판(200)의 손상이 유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3 홈부(223)는 탄성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EM6)는 제 3 홈부(223)를 채우는 탄성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13의 제 5 실시예(EM5)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EM6)에 따르면, 제 3 홈부(223)가 탄성부재(230)로 메워짐으로써, 제 3 홈부(223)의 배치에 의해 표시패널(100) 또는 보강기판(200)의 손상이 유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벤딩 상태의 벤딩표시영역(BDA)으로 인해 보강기판(200)에 인가되는 변형 스트레스가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으로 완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10': 전자기기 AA: 표시영역
BDA: 벤딩표시영역 FDA1, FDA2: 제 1, 제 2 평면표시영역
10a: 표시장치 10b: 하우징
100: 표시패널 200: 보강기판
210: 점착막
11: 투명커버 12: 미들프레임
13: 백커버 14: 점착패턴
15: 회로부품
200': 다공성 금속재료 202: 공극
221, 222, 223: 제 1, 제 2, 제 3 홈부
230: 탄성부재

Claims (12)

  1.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표시영역을 포함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평판 형태의 금속재료와 상기 금속재료 내에 분포된 복수의 공극을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기판;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보강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상기 보강기판을 고정하는 점착막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은 벤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를 교번하여 반복 변형되는 벤딩표시영역과, 상기 벤딩표시영역의 양단에 배치되고 평면 형태를 유지하는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보강기판은, 상기 표시패널과 마주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 반대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가지는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홈부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제1 및 제2 평면표시영역에서는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홈부가 배치된 상기 벤딩표시영역에서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가지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금속재료는 구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성 금속재료의 공극률은 50%~76%인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막 및 상기 보강기판 각각은 상기 표시영역 이상의 너비를 갖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에서 상기 보강기판의 제1 두께는 70㎛ ~ 200㎛의 범위이고,
    상기 벤딩표시영역에서 상기 보강기판의 제2 두께는 50㎛ 이상이고 상기 보강기판의 제1 두께를 넘지 않는 두께를 가지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를 채우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표시영역을 포함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평판 형태의 금속재료와 상기 금속재료 내에 분포된 복수의 공극을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보강기판;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보강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상기 보강기판을 고정하는 점착막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은 벤딩 상태와 언폴딩 상태를 교번하여 반복 변형되는 벤딩표시영역과, 상기 벤딩표시영역의 양단에 배치되고 평면 형태를 유지하는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보강기판은, 상기 표시패널과 마주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 반대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표시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기 보강기판의 일부를 관통하는 홈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홈부가 배치되지 않은 상기 제1 및 제2 평면표시영역에서는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홈부가 배치된 상기 벤딩표시영역에서는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가지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평면표시영역에서 상기 보강기판의 제1 두께는 70㎛ ~ 200㎛의 범위이고,
    상기 벤딩표시영역에서 상기 보강기판의 제2 두께는 50㎛ 이상이고 상기 보강기판의 제1 두께를 넘지 않는 두께를 가지는 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를 채우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평면표시영역의 보강기판의 하면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 중 상기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광을 투과하는 투명커버;
    상기 보강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미들프레임; 및
    상기 미들프레임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커버와 체결되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200183100A 2020-12-24 2020-12-24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548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100A KR102548403B1 (ko) 2020-12-24 2020-12-24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230080130A KR20230096949A (ko) 2020-12-24 2023-06-22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100A KR102548403B1 (ko) 2020-12-24 2020-12-24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130A Division KR20230096949A (ko) 2020-12-24 2023-06-22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900A KR20220091900A (ko) 2022-07-01
KR102548403B1 true KR102548403B1 (ko) 2023-06-26

Family

ID=823966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100A KR102548403B1 (ko) 2020-12-24 2020-12-24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230080130A KR20230096949A (ko) 2020-12-24 2023-06-22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130A KR20230096949A (ko) 2020-12-24 2023-06-22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84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793B1 (ko) *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324B1 (ko) * 2015-05-04 2022-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46422A (ko) * 2016-10-27 2018-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76772B1 (ko) * 2018-01-09 2023-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68821B1 (ko) * 2019-01-22 2023-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793B1 (ko) * 2017-07-28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949A (ko) 2023-06-30
KR20220091900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58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48666B1 (ko) 표시장치와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KR102279707B1 (ko) 표시 장치
KR10261597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10143147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13665A (ko) 표시모듈
KR20180030325A (ko) 표시장치
KR102549692B1 (ko)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공백 영역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주사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233458A1 (en) Display device
CN111628100A (zh) 显示设备
KR102496467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94393B1 (ko) 표시장치
KR101296862B1 (ko) 양방향 표시장치
US11423833B2 (en) Pixel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2548403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20230345807A1 (en) Display apparatus
US10078389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23664B1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KR102572965B1 (ko) 표시장치
KR102509707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180078413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230319172A1 (en) Display device
KR20180112920A (ko) 표시장치
US20220208877A1 (en) Display device
KR2021007725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