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681B1 - System for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using AI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using A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681B1
KR102543681B1 KR1020220092512A KR20220092512A KR102543681B1 KR 102543681 B1 KR102543681 B1 KR 102543681B1 KR 1020220092512 A KR1020220092512 A KR 1020220092512A KR 20220092512 A KR20220092512 A KR 20220092512A KR 102543681 B1 KR102543681 B1 KR 10254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ibility
data
motion
comprehensiv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학 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9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6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6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76Test management for cover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84Test management for test design, e.g. generating new test c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88Test management for test execution, e.g. scheduling of test su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92Test management for test results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96Methods or tools to render software test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일 등에서 접근시에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한 일반적인 시스템을 이용함과 동시에 접근이 어려운 사용자를 위한 포괄성을 갖도록 포괄적 접근성데이터를 활용한 AI를 이용한 접근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인터넷을 통하여 포괄서버, 금융기관서버, 공공기관서버, 기업서버에 접근하는 일반인 단말기 및 장애인 단말기; 상기 장애인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하여 포괄서버, 금융기관서버, 공공기관서버, 기업서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접근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한 일반적인 시스템을 이용함과 동시에 접근이 어려운 상기 장애인 단말기 사용자를 위한 포괄성을 갖도록 포괄적 접근성데이터를 활용하되, 사용자의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기타표현접근성으로 구분하여 정보에 접근하도록 접근성데이터입력 및 분석이 이루어져 공통의 인식동작접근성 외에 자신의 장애에 따른 개별인식패턴을 인식하여 인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AI 데이터 서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ing AI that utilizes comprehensive accessibility data to have comprehensiveness for users with difficult access while using a general system using data for verification at the time of access in a hair jo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general terminals and handicapped terminals that access a comprehensive server,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a public institution server, and a corporate server through a normal Internet; A general system using data for detecting access of the disabled terminal to comprehensive servers, financial institution servers, public institution servers, and corporate servers through the Internet and verifying access is used,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of the disabled terminal having difficulty in accessing Comprehensive accessibility data is used to ensure comprehensiveness for users, but accessibility data is entered and analyzed to access information by dividing it into user's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on accessibility to achieve common recognition. In addition to motion accessibility, it includes an AI data server that recognizes individual recognition patterns according to one's disability and utilizes the recognized data to facilitate accessibility.

Description

AI를 이용한 접근성 검증 시스템{System for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using AI}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ing AI {System for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using AI}

본 발명은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이용한 접근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일 등에서 접근시에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한 일반적인 시스템을 이용함과 동시에 접근이 어려운 사용자를 위한 포괄성을 갖도록 포괄적 접근성데이터를 활용한 AI를 이용한 접근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ing A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use a general system using data for verification at the time of access in hair days, etc., and to be comprehensive for users with difficult access. It is about an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ing AI using comprehensive accessibility data.

IT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사용자는 점점 많은 정보를 정보 통신망을 통해서 획득하게 된다. 그런데,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정보가 공개되는 것은 아니며, 장애인 등의 사용자들에게는 필연적으로 획득가능한 정보가 제한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정보 접근의 기회를 보장하기 위하여 웹 접근성 관련 지침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웹 접근성은 사용자가 어떠한 브라우저로 접속을 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볼 수 있게 하는 웹 표준과는 다소 상이하며, 장애자,고령자 등도 제한받지 않고 모든 사용자가 모든 웹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users acquire more and more information through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s. However, not all information is disclosed to all users, and the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is inevitably limited to user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guidelines related to web accessibility have been enacted in order to ensure equal access to information for all users. This web accessibility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web standard, which allows users to see the same results no matter what browser they access, and allows all users to use all websites without restrictions, including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이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차별 없이 웹 상의 정보를 공유하고 사용해야 된다는 취지로 발휘된 웹 접근성에 대한 규정은 2007년 제정된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가·공공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각급 학교 등에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서비스 제공자와 개발사가 접근성에 대한 이해 및 관련도구들의 부족으로 웹/모바일 의접근성 구현이 어려운 상황이다.In this way, the regulations on web accessibility, which have been demonstrated to the effect that information on the web should be shared and used without discrimination against users, are governed by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Remedy for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enacted in 2007. Priority is given to groups, schools, etc.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for many service providers and developers to implement web/mobile accessibility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accessibility and related tools.

더 나아가, 최근 모바일 기기의 급격한 발달에 힘입어,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보급률이 PC의 보급률을 넘어서게 되었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은 PC가 아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정보에 접근하려는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다양한 정보들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받게 되었다.Furthermore, thanks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the penetration rat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has exceeded the penetration rate of PCs. Therefore,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access information using a mobile application rather than a PC as in the prior art has increased rapidly, and various information has been provided through the mobile application.

특히, 은행 창구도 전화와 웹을 지나 모바일 기기 속으로 들어왔지만, 장애인이 스마트폰용뱅킹 애플리케이션을 제대로 사용하는 것은 아직 요원하다. 그 이유는,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음성 안내 기능을 켜도 메뉴를 제대로 읽어주지 않거나 아예 건너뛰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bank counters have entered mobile devices through the phone and the web, but it is still a long way off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properly use banking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The reason is that even if the voice guidance function provided by the smartphone is turned on, the menu is not read properly or skipped altogether.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행정안전부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를 위한 지침을 만들어 공개했다. 2011년 9월22일 고시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은 장애인이나 고령자도 모바일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담은 안내서이다. 행정안전부는 공공기관이나 지자체, 학교 등이 앞으로 애플리케이션 제작시 이 지침을 따르도록 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은 웹 접근성의 원칙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까지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해당 지침에 따르면, 2015년까지는 개인용 웹페이지를 뺀 민간 영역의 모든 웹사이트도 법에 따라 모바일접근성을 보장해야 한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시 꼭 지켜야 할 준수사항 7개와, 되도록 지켜야 할 권고사항 8개로 구성돼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has created and published guidelines for application developers. The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s', announced on September 22, 2011, is a guide that includes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applications so that the disabled or the elderly can conveniently use mobile service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has made public institutions, local governments, and schools follow these guidelines when creating applications in the future. The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s'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nds the principles of web accessibility to mobile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guidelines, by 2015, all websites in the private sector, excluding personal web pages, must be guaranteed mobile accessibility according to the law. The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s' consists of 7 rules that must be observed when developing applications and 8 recommendations that must be followed as much as possible.

통상 검증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소스는 매우 방대하기 때문에 모바일 접근성의 준수 여부를 자동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검증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개발자의 프로그램 소스가 검증 기관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다. 웹 접근성의 경우에도 소스 코드가 노출되지만, 웹 페이지의 소스 코드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소스와는 달리 치명적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소스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알고리즘 및 개발자의 온갖 노력이 포함되기 때문에 프로그램 소스가 노출되는 것은 매우 위험스러운 일이다.Since the program sources of applications that are usually subject to verification are very extensive, several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utomatically verify compliance with mobile accessibility. However, in this verification process, there is a risk that the developer's program source is unavoidably exposed to the verification authority. Even in the case of web accessibility, the source code is exposed, but the source code of a web page does not contain critical information unlike the program source of an application. However, exposing the program source is very dangerous because the program source of the application includes algorithms for operating the application and all efforts of the developer.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1902호(2017년01월25일)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소스가 모바일접근성을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자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모바일접근성 검증 방법을 개시한바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isclosed a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verify whether a program source of a mobile application satisfies mobile accessibility i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01902 (January 25, 2017). .

그러나, 프로그램 소스가 검증 기관에 노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자동적으로 방대한 양의 프로그램 소스에 대해 모바일 접근성을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검증하기 위하여 AI가 접목된 모바일 접근성 검증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However,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technology incorporating AI is urgently needed to automatically and more accurately and quickly verify mobile accessibility for a vast amount of program sources while fundamentally preventing exposure of program sources to verification agencies.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701902호(2017년01월25일)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01902 (January 25, 2017)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발일 등에서 접근시에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한 일반적인 시스템을 이용함과 동시에 접근이 어려운 사용자를 위한 포괄성을 갖도록 포괄적 접근성데이터를 활용한 AI를 이용한 접근성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using a general system using data for verification at the time of access in hair days, etc., and at the same time using AI using comprehensive accessibility data to have inclusiveness for users with difficult access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모바일 접근성 검증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보장되어야 하는 활용가능성이 보장되는지 여부를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검증하는 모바일접근성(mobile accessibility) 검증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의 인터넷을 통하여 포괄서버, 금융기관서버, 공공기관서버, 기업서버에 접근하는 일반인 단말기 및 장애인 단말기; 상기 장애인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하여 포괄서버, 금융기관서버, 공공기관서버, 기업서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접근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한 일반적인 시스템을 이용함과 동시에 접근이 어려운 상기 장애인 단말기 사용자를 위한 포괄성을 갖도록 포괄적 접근성데이터를 활용하되, 사용자의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기타표현접근성으로 구분하여 정보에 접근하도록 접근성데이터입력 및 분석이 이루어져 공통의 인식동작접근성 외에 자신의 장애에 따른 개별인식패턴을 인식하여 인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AI 데이터 서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erifies whether the availability of the mobile application is guaranteed to users who want to use the mobile appl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In the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a general terminal and a disabled terminal accessing a comprehensive server,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a public institution server, and a corporate server through a normal Internet; A general system using data for detecting access of the disabled terminal to comprehensive servers, financial institution servers, public institution servers, and corporate servers through the Internet and verifying access is used,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of the disabled terminal having difficulty in accessing Comprehensive accessibility data is used to ensure comprehensiveness for users, but accessibility data is entered and analyzed to access information by dividing it into user's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on accessibility to achieve common recognition. In addition to motion accessibility, it includes an AI data server that recognizes individual recognition patterns according to one's disability and utilizes the recognized data to facilitate accessibility.

상기 AI 데이터 서버는, 상기 장애인 단말기 사용자의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기타표현접근성 모드를 구분하여 AI를 이용한 장애인 접근성 포괄 데이터를 입력하는 접근성 포괄 데이터 입력 모듈; 상기 장애인 단말기로 입력된 사용자의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기타표현접근성 데이터를 구체적인 손동작 및 몸동작으로 분석하는 접근성 데이터 분석 모듈; 상기 장애인 단말기로 입려된 사용자의 안면인식동작접근성 데이터를 구체적인 안구동작, 입동작, 코동작으로 분석하는 안면 인식 동작 접근성 데이터 생성 모듈; 데이터를 활용한 확인 데이터 분석자료, 개인별 접근성 데이터 분석자료, 사용자 접근성 종량분석자료를 통하여 개인별 AI 종합 분석에 따른 성취도 검사 및 추가 접근성을 인식하는 성취도 검사 및 추가 접근성 인식 모드 적응 모듈을 포함한다.The AI data server is an accessibility comprehensive data input module that inputs disabled accessibility comprehensive data using AI by classifying facial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on accessibility modes of the disabled terminal user. ; An accessibility data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the user's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on accessibility data input to the disabled terminal into specific hand and body motions; a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data generation module that analyzes the user's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data applied to the handicapped terminal into specific eye motions, mouth motions, and nose motions; It includes the achievement test and additional accessibility recognition mode adapt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AI comprehensive analysis for each individual through the confirmation data analysis data using data, individual accessibility data analysis data, and user accessibility quantitative analysis data.

상기 AI 데이터 서버는 정량적분석과 정성분석을 포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및 기타표현동작으로 정보를 공유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I data server cover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so that users can share information with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ve motions.

상기 AI 데이터 서버는 AI를 활용하여 새로운 패턴(사용자의 패턴을 활용하여 제공함)으로 접근성에 대한 명령어를 높이고, 자기패턴을 입력하여 자기학습을 하도록 하고, 상기 자기학습에 대한 활용도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그 평가 데이터를 공유하고, 사용자의 상태에 맞게 인식할 수 있는 접근성의 패턴을 인식하도록 하여 공통적 개별적인 포함하여 자기학습을 통한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AI data server uses AI to increase commands for accessibility with new patterns (provided by utilizing user patterns), enter self-patterns to perform self-learning, and receive utilization evaluation for the self-learning It is more desirable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hrough self-learning, including common and individual, by sharing the evaluation data and recognizing patterns of accessibility that can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더욱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features and more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접근성 검증 시스템에 의하면, 접근성의 어려운 장애인들의 포탈, 금융기업, 관공서나, 각종 기업 등의 서버에 정보를 공유하거나 사용시에 정보 접근이 어려운 것을 일반적이 데이터시스템에 사용자가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등 기타표현동작으로 정보에 접근하도록 접근성데이터입력 및 분석이 이루어져 공통의 인식동작접근성 외에 자신의 장애에 따른 개별인식패턴을 인식하여 인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접근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sharing or using information on servers such as portals, financial companies, government offices, and various compan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in accessibility, general data Accessibility data is input and analyzed so that users can access information through other expressive actions such as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etc. In addition to common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individual recognition patterns according to their disabilities By recognizing and utilizing the recognized data, there is an effect of easy accessibility.

또한, AI 데이터서버를 통하여 정량적분석과 정성분석을 분석을 포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등 기타표현동작으로 정보를 공유화하도록 한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AI data server,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so that users can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expressive actions such as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There is also an effect.

또한, 자기패턴을 입력하여 자기학습을 하도록 하고, AI를 활용하여 새로운 패턴(사용자의 패턴을 활용하여 제공함)으로 접근성에 대한 명령어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self-learning by inputting self-patterns and increasing commands for accessibility with new patterns (provided by utilizing user's patterns) using AI.

또한, 사용자의 상태에 맞게 인식할 수 있는 접근성의 패턴을 인식하도록 하여 공통적 개별적인 포함하여 자기학습을 통한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도록 한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hrough self-learning, including common and individual, by recognizing patterns of accessibility that can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모바일 접근성 검증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장애인 접근성 포괄 데이터 분석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접근성 데이터 입력 및 분석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인식 동작 접근성 데이터 생성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AI 종합 분석에 따른 성취도 검사 및 추가 접근성 인석 모드 적응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인식 과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I데이터서버로부터 개별 접근성 자료와 정량분석 정성분석 포괄인식 어플을 제공받는 모바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AI 종합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prehensive data analysis module for disabled accessibility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ccessibility data input and analysis module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cial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data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chievement test and an additional accessibility mode adaptation module according to AI comprehensive analysis for each individu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ce recogni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receiving individual accessibility data and quantitativ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and comprehensive recognition applications from an AI dat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comprehensive AI analysis data for each individu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ber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movement,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movement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 specific embodiment of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detailed descriptions and examples of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and commonly used technique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모바일 접근성 검증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1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모바일 접근성 검증 시스템은 포괄서버(100), 금융기관서버(200), 공공기관서버(300), 기업서버(400), 인터넷(500), AI 데이터 서버(600), 일반인 단말기(700) 및 장애인 단말기(80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hensive server 100,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200, a public institution server 300, a corporate server 400, the Internet 500, and AI data. It includes a server 600, a general terminal 700, and a disabled terminal 800.

상기 일반인 단말기(700) 및 장애인 단말기(800)는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보장되어야 하는 활용가능성이 보장되는지 여부를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검증하기 위하여 통상의 인터넷(500)을 통하여 포괄서버(100), 금융기관서버(200), 공공기관서버(300), 기업서버(400)에 접근할 수 있다.The general public terminal 700 and the handicapped terminal 800 use the normal Internet 500 to verify whether the availability of the mobile application is guaranteed to users who want to use the mobile appl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 the comprehensive server 100,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200, the public institution server 300, and the corporate server 400 can be accessed.

AI 데이터 서버(600)는 상기 장애인 단말기(800)가 인터넷(500)을 통하여 포괄서버(100), 금융기관서버(200), 공공기관서버(300), 기업서버(400)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접근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한 일반적인 시스템을 이용함과 동시에 접근이 어려운 상기 장애인 단말기(800) 사용자를 위한 포괄성을 갖도록 포괄적 접근성데이터를 활용하되, 사용자의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기타표현접근성으로 구분하여 정보에 접근하도록 접근성데이터입력 및 분석이 이루어져 공통의 인식동작접근성 외에 자신의 장애에 따른 개별인식패턴을 인식하여 인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AI data server 600 detects that the disabled terminal 800 accesses the comprehensive server 100,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200, the public institution server 300, and the corporate server 400 through the Internet 500. In addition to using a general system using data for verifying access, comprehensive accessibility data is used to have comprehensiveness for users of the disabled terminal 800 having difficulty in access, but the user's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and language area accessibility Accessibility data is input and analyzed to access information by dividing it into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on accessibility. make this eas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장애인 접근성 포괄 데이터 입력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I를 이용한 접근성 데이터 분석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인식 동작 접근성 데이터 생성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AI 종합 분석에 따른 성취도 검사 및 추가 접근성 인석 모드 적응 모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2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ccessibility data input module for disabled people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ccessibility data analysis module using A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data gene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achievement test according to AI comprehensive analysis for each individual and an additional accessibility recognition mode adapt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상기 AI 데이터 서버(600)는 접근성 포괄 데이터 입력 모듈(610), 접근성 데이터 분석 모듈(620), 안면 인식 동작 접근성 데이터 생성 모듈(630) 및 성취도 검사 및 추가 접근성 인식 모드 적응 모듈(640)을 포함한다.The AI data server 600 includes an accessibility comprehensive data input module 610, an accessibility data analysis module 620, a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data generation module 630, and an achievement test and additional accessibility recognition mode adaptation module 640. do.

접근성 포괄 데이터 입력 모듈(610)은 상기 장애인 단말기(800) 사용자의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기타표현접근성 모드를 구분하여 AI를 이용한 장애인 접근성 포괄 데이터를 입력한다.Accessibility-inclusive data input module 610 classifies facial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on accessibility modes of the user of the disabled terminal 800, and inputs disabled accessibility comprehensive data using AI. do.

접근성 데이터 분석 모듈(620)은, 상기 장애인 단말기(800)로 입려된 사용자의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기타표현접근성 데이터를 구체적인 손동작 및 몸동작으로 분석한다.The accessibility data analysis module 620 analyzes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on accessibility data of the user entered into the disabled terminal 800 into specific hand and body motions.

안면 인식 동작 접근성 데이터 생성 모듈(630)은 상기 장애인 단말기(800)로 입려된 사용자의 안면인식동작접근성 데이터를 구체적인 안구동작, 입동작, 코동작으로 분석한다.The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data generation module 630 analyzes the user's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data entered into the handicapped terminal 800 into specific eye motion, mouth motion, and nose motion.

더욱 구체적인 예로서, 안구동작패턴은 깜박동작1,2-온/오프, 눈크기동작-화면 줌, 눈커풀동작-next page, 눈근육떨림동작- move 등으로 분석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eyeball motion pattern can be analyzed by blinking motion 1,2-on/off, eye size motion-screen zoom, eyelid motion-next page, eye muscle shaking motion-move, and the like.

또한, 입동작패턴은 입술동작모드, 이(이빨)동작모드 등으로 분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th motion pattern can be analyzed in terms of a lip motion mode, a tooth (tooth) motion mode, and the like.

또한, 코동작입력패턴은 코씰룩1,2, 코벌렁1,2, 등으로 구체적인 실시예로 분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ose motion input pattern may be analyzed in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nose seal look 1 and 2, nose bulleung 1 and 2, and the like.

성취도 검사 및 추가 접근성 인식 모드 적응 모듈(640)은 데이터를 활용한 확인 데이터 분석자료, 개인별 접근성 데이터 분석자료, 사용자 접근성 종량분석자료를 통하여 개인별 AI 종합 분석에 따른 성취도 검사 및 추가 접근성을 인식한다.The achievement test and additional accessibility recognition mode adaptation module 640 recognizes the achievement test and additional accessibility according to the AI comprehensive analysis for each individual through data-using confirmation data analysis data, individual accessibility data analysis data, and user accessibility quantitative analysis data.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인식 과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I데이터서버로부터 개별 접근성 자료와 정량분석 정성분석 포괄인식 어플을 제공받는 모바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AI 종합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ce recogni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implementation of a mobile device receiving individual accessibility data and quantitativ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and comprehensive recognition applications from an AI dat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and FIG. 8 is a diagram showing AI synthetic analysis data for each individu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AI 데이터 서버(600)는 정량적분석과 정성분석을 포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및 기타표현동작으로 정보를 공유화하도록 할 수 있다.The AI data server 600 covers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so that users can share information with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ve motions.

또한, 상기 AI 데이터 서버(600)는 AI를 활용하여 새로운 패턴(사용자의 패턴을 활용하여 제공함)으로 접근성에 대한 명령어를 높이고, 자기패턴을 입력하여 자기학습을 하도록 하고, 상기 자기학습에 대한 활용도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그 평가 데이터를 공유하고, 사용자의 상태에 맞게 인식할 수 있는 접근성의 패턴을 인식하도록 하여 공통적 개별적인 포함하여 자기학습을 통한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 data server 600 utilizes AI to increase commands for accessibility with a new pattern (provided by utilizing a user's pattern), inputs a self-pattern to perform self-learning, and utilizes the self-learn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hrough self-learning, including common and individual, by allowing users to receive evaluation, sharing the evaluation data, and recognizing patterns of accessibility that can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분산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clud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store computer-readable code that can be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by distributed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100 : 포괄서버
200 : 금융기관서버
300 : 공공기관서버
400 : 기업서버
500 : 인터넷
600 : AI 데이터 서버
610 : 접근성 포괄 데이터 입력 모듈
620 : 접근성 데이터 분석 모듈
630 : 안면 인식 동작 접근성 데이터 생성 모듈
640 : 성취도 검사 및 추가 접근성 인식 모드 적응 모듈
700 : 일반인 단말기
800 : 장애인 단말기
100: comprehensive server
200: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300: public institution server
400: corporate server
500: Internet
600: AI data server
610: accessibility comprehensive data input module
620: Accessibility data analysis module
630: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data generation module
640: Achievement check and additional accessibility awareness mode adaptation module
700: general terminal
800: disabled terminal

Claims (4)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보장되어야 하는 활용가능성이 보장되는지 여부를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검증하는 모바일접근성 검증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의 인터넷을 통하여 포괄서버, 금융기관서버, 공공기관서버, 기업서버에 접근하는 일반인 단말기 및 장애인 단말기;
상기 장애인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하여 포괄서버, 금융기관서버, 공공기관서버, 기업서버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접근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활용한 일반적인 시스템을 이용함과 동시에 접근이 어려운 상기 장애인 단말기 사용자를 위한 포괄성을 갖도록 포괄적 접근성데이터를 활용하되, 사용자의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기타표현접근성으로 구분하여 정보에 접근하도록 접근성데이터입력 및 분석이 이루어져 공통의 인식동작접근성 외에 자신의 장애에 따른 개별인식패턴을 인식하여 인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AI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AI 데이터 서버는
정량적분석과 정성분석을 포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및 기타표현동작으로 정보를 공유화하며,
상기 AI 데이터 서버는
AI를 활용하여 새로운 패턴(사용자의 패턴을 활용하여 제공함)으로 상기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및 기타표현동작의 접근성에 대한 명령어를 높이고, 자기패턴을 입력하여 자기학습을 하도록 하고, 상기 자기학습에 대한 활용도평가를 받아 평가 데이터를 공유하고, 사용자의 상태에 맞게 인식할 수 있는 접근성의 패턴을 인식하도록 하여 상기 공통의 인식동작접근성 외에 자신의 장애에 따른 개별인식패턴이 인식된 데이터의 공통적이고 개별적인 것을 포함하여 자기학습을 통한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를 이용한 모바일 접근성 검증 시스템.
In the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for verifying whether the availability of the mobile application is guaranteed to users who want to use the mobile appl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General terminals and handicapped terminals that access comprehensive servers, financial institution servers, public institution servers, and corporate servers through the normal Internet;
A general system using data for detecting access of the disabled terminal to comprehensive servers, financial institution servers, public institution servers, and corporate servers through the Internet and verifying access is used,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 of the disabled terminal having difficulty in accessing Comprehensive accessibility data is used to ensure comprehensiveness for users, but accessibility data is entered and analyzed to access information by dividing it into user's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on accessibility to achieve common recognition. In addition to motion accessibility, it includes an AI data server that recognizes individual recognition patterns according to one's disability and utilizes the recognized data to facilitate accessibility,
The AI data server
By covering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users share information with facial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ve motions,
The AI data server
Using AI, a new pattern (provided by utilizing a user's pattern) increases commands for the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ve motion accessibility, and inputs a self-pattern Let them do self-learning, share the evaluation data by receiving the evaluation of the utilization of the self-learning, and recognize the pattern of accessibility that can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A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ing AI,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gnition pattern increases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hrough self-learning, including common and individual data recogniz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I 데이터 서버는
상기 장애인 단말기 사용자의 안면인식동작접근성,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기타표현접근성 모드를 구분하여 AI를 이용한 장애인 접근성 포괄 데이터를 입력하는 접근성 포괄 데이터 입력 모듈;
상기 장애인 단말기로 입려된 사용자의 언어영역접근성, 손동작영역접근성, 제스처영역접근성, 기타표현접근성 데이터를 구체적인 손동작 및 몸동작으로 분석하는 접근성 데이터 분석 모듈;
상기 장애인 단말기로 입려된 사용자의 안면인식동작접근성 데이터를 구체적인 안구동작, 입동작, 코동작으로 분석하는 안면 인식 동작 접근성 데이터 생성 모듈;
데이터를 활용한 확인 데이터 분석자료, 개인별 접근성 데이터 분석자료, 사용자 접근성 종량분석자료를 통하여 개인별 AI 종합 분석에 따른 성취도 검사 및 추가 접근성을 인식하는 성취도 검사 및 추가 접근성 인식 모드 적응 모듈을 포함하는 AI를 이용한 모바일 접근성 검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AI data server
An accessibility comprehensive data input module that inputs disabled accessibility comprehensive data using AI by classifying facial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on accessibility modes of the disabled terminal user;
An accessibility data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language area accessibility, hand motion area accessibility, gesture area accessibility, and other expression accessibility data of the user entered into the disabled terminal into specific hand and body motions;
a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data generation module that analyzes the user's face recognition motion accessibility data applied to the handicapped terminal into specific eye motions, mouth motions, and nose motions;
Through data-based verification data analysis data, individual accessibility data analysis data, and user accessibility quantitative analysis data, AI including achievement inspection and additional accessibility recognition mode adaptation module according to individual AI comprehensive analysis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system u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92512A 2022-07-26 2022-07-26 System for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using AI KR1025436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512A KR102543681B1 (en) 2022-07-26 2022-07-26 System for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using A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512A KR102543681B1 (en) 2022-07-26 2022-07-26 System for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using A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681B1 true KR102543681B1 (en) 2023-06-16

Family

ID=8694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512A KR102543681B1 (en) 2022-07-26 2022-07-26 System for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using AI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68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487A (en) * 2009-10-28 2012-07-06 디지맥 코포레이션 Sensor-based mobile search,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101701902B1 (en) 2013-10-31 2017-02-06 주식회사 에스크레인 Method and system of verifying mobile accessibility
KR20220004639A (en) * 2019-03-22 2022-01-11 코그노아, 인크. Personalized digital treatment methods and devices
US11381563B1 (en) * 2020-09-29 2022-07-05 Parallels International Gmbh Automated methods and systems for granting complex permiss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5487A (en) * 2009-10-28 2012-07-06 디지맥 코포레이션 Sensor-based mobile search, related methods and systems
KR101701902B1 (en) 2013-10-31 2017-02-06 주식회사 에스크레인 Method and system of verifying mobile accessibility
KR20220004639A (en) * 2019-03-22 2022-01-11 코그노아, 인크. Personalized digital treatment methods and devices
US11381563B1 (en) * 2020-09-29 2022-07-05 Parallels International Gmbh Automated methods and systems for granting complex permiss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baidat et al. Biometric-based physical and cybersecurity systems
US93239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factor biometric authentication
KR20220016873A (en) Identity verif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US201302672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factor biometric authentication based on different device capture modalities
CN105659250B (en) World driven access control
Blanco-Gonzalo et al. Biometrics: Accessibility challenge or opportunity?
Bragg et al. Exploring collection of sign language datasets: Privacy, participation, and model performance
US10978078B2 (en) Synthesized voice authentication engine
Kaur et al. Crowdmask: Using crowds to preserve privacy in crowd-powered systems via progressive filtering
Zimmermann et al. “If it wasn’t secure, they would not use it in the movies”–security perceptions and user acceptance of authentication technologies
US202300582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Authentication
US10049673B2 (en) Synthesized voice authentication engine
Blanco-Gonzalo et al. Time evolution of face recognition in accessible scenarios
Archilles et al. Vision: a web service for face recognition using convolutional network
Nguyen et al. Measuring user perception for detecting unexpected access to sensitive resource in mobile apps
Musambo et al. Student facial authentication model based on openCV’s object detection method and QR code for Zambian higher institutions of learning
Castellano et al. Automatic facial emotion recognition at the COVID-19 pandemic time
KR102458338B1 (en) Method for inputing information to computing apparatus and computing apparatus thereof
KR102543681B1 (en) System for mobile accessibility verification using AI
Binder et al. Biometric technology in “no-gate border crossing solutions” under consideration of privacy, ethical, regulatory and social acceptance
Roundtree Ethics and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An integrative review
Bano et al. AI for All: Operationalising Diversity and Inclusion Requirements for AI Systems
Konyavsky et al. New method for digital economy user’s protection
JP2020154778A (en) Document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He et al. Using face recognition to detect “Ghost Writer” cheating in exa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