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234B1 - Patch for cell encapsual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atch for cell encapsual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234B1
KR102540234B1 KR1020210004683A KR20210004683A KR102540234B1 KR 102540234 B1 KR102540234 B1 KR 102540234B1 KR 1020210004683 A KR1020210004683 A KR 1020210004683A KR 20210004683 A KR20210004683 A KR 20210004683A KR 102540234 B1 KR102540234 B1 KR 102540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patch
unit
pocket uni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2692A (en
Inventor
박지종
김동익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34B1/en
Publication of KR20220102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6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2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95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using specific culture conditions, e.g. stimulating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pulsatile flow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specific cells or progenitors thereof, e.g. fibroblasts, connective tissue cells, kidney cells
    • A61L27/3834Cells able to produce different cell types, e.g. h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marrow stromal cells, embryon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60Materials for use in artificial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8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for producing artificial tissue or for ex-vivo cultivation of tissu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6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6Plates; Walls; Drawers; Multilayer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12N5/0606Pluripotent embryonic cells, e.g. embryonic stem cells [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47Haematopoietic stem cells; Uncommitted or multipotent progen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6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e.g. 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담지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복수의 셀 내부에 세포가 담지되는 세포 담지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패치몸체부; 상기 패치 몸체부의 일면에 함몰 형성되는 포켓 유닛; 및 제1 입구 크기를 갖는 제1 포켓 유닛과, 상기 제1 입구 크기와 다른 제2 입구 크기를 갖는 제2 포켓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ch for carrying cel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tch for carrying cells in which cells are supported inside a plurality of cells.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ch bod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 pocket unit recessed into one surface of the patch body; and a first pocket unit having a first inlet size and a second pocket unit having a second inlet size different from the first inlet size.

Description

세포 담지용 패치{PATCH FOR CELL ENCAPSUAL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Patch for cell support {PATCH FOR CELL ENCAPSUAL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세포 담지용 패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복수의 셀 내부에 세포가 담지되는 세포 담지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ch for carrying cell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tch for carrying cells in which cells are supported inside a plurality of cells.

줄기세포(Stem cell)는 한 개의 세포가 여러 종류의 다른 세포를 분화될 수 있는 다중 분화능을 가진 세포로써 손상 받은 신체부위의 세포들을 재생할 수 있다. A stem cell is a cell with multi-potency that allows a single cell to differentiate into many different types of cells, and can regenerate cells in damaged parts of the body.

줄기세포치료는 의학적 수단이 없는 퇴행성 질환이나 심한 외상으로 인한 질병, 손상 받은 조직의 재생분야에 새로운 대안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우리 몸에 손상된 장기나 조직을 줄기세포를 통해서 재생하는 재생의학(regenerative medicine)분야에 차세대 의료분야의 성장동력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장기의 기능이 떨어진 질병에 대한 새로운 의학적 접근 및 재생의학으로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Stem cell therapy is being studied as a new alternative for degenerative diseases without medical means, diseases caused by severe trauma, and regeneration of damaged tissues. In particular, regenerative medicine, which regenerates damaged organs or tissues in our body through stem cells, is expected to be a growth engine for the next-generation medical field. It is getting attention.

줄기세포에는 성체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역분화 줄기세포가 있다.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는 우리 몸의 다양한 장기에 존재하면서 신체가 손상되었을 때 재생작용을 하는 세포로서 대표적으로 골수, 탯줄 등에 있는 조혈줄기세포, 중간엽 기질세포 등이 있다. 이외에도 우리 몸의 거의 모든 장기에는 줄기세포가 존재하는데 이들을 통틀어 성체줄기세포라고 한다. 성체줄기세포는 분화의 방향성이 거의 정해져 있지만 비교적 안전한 세포로 알려져 다양한 임상시험에 사용되고 있다.Stem cells include adult stem cells, embryonic stem cells, and dedifferentiated stem cells. Adult stem cells exist in various organs of the body and have a regenerative effect when the body is damaged. Representatively, there are hematopoietic stem cells in bone marrow, umbilical cord, etc., mesenchymal stromal cells, and the like. In addition, stem cells exist in almost every organ in our body, and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dult stem cells. Although the direction of differentiation of adult stem cells is almost fixed, they are known to be relatively safe cells and are used in various clinical trials.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는 정자와 난자가 수정된 배아조직 중 배반포라는 조직에서 얻어지는 줄기세포로서, 신체를 구성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능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사람의 수정란에서 얻어지기 때문에 세포 치료에 사용하려면 핵치환(세포의 핵 안에 들어있는 유전자를 교체하는 과정, 배아 복제라고도 함) 과정을 거치게 된다. Embryonic stem cells are stem cells obtained from a tissue called a blastocyst among embryonic tissues fertilized by sperm and eggs. Since it is obtained from a fertilized egg, to use it for cell therapy, it must go through a process of nuclear transfer (a process of replacing genes in the nucleus of a cell, also called embryo cloning).

역분화줄기세포(또는 유도만능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는 성인의 피부나 혈액 등 이미 어른이 된 자기 자신의 세포를 거꾸로 되돌려 미분화 상태의 세포로 역분화 시켜서 배아줄기세포와 거의 동등한 전분화능을 가지게 된 세포이다. 이 경우 타인의 난자를 사용하는 데 따른 윤리적인 문제도 없고, 체세포로부터 복제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환자의 유전자와 일치하는 전 분화능을 얻을 수 있어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연구되는 세포이다. Dedifferentiated stem cells (or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reverse their own cells that have already become adults, such as adult skin or blood, and dedifferentiate into cells in an undifferentiated state, resulting in pluripotency almost equivalent to that of embryonic stem cells. is a cell that has In this case, there is no ethical problem associated with using someone else's egg, and it is a cell that is actively researched worldwide because it can obtain the full differentiation potential matching the patient's gene without going through the cloning process from somatic cells.

성체줄기세포는 체외에서 다른 조작을 가하지 않고 환자 몸 안에 존재하는 세포를 얻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해서 다양한 질환에서 가장 활발하게 임상시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백혈병 치료에서 알려진 조혈줄기세포는 이미 환자 치료에 이용되고 있지만, 그 외의 성체줄기세포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진행 중이다. 배아줄기세포의 경우, 이를 얻는 과정에서 환자와 일치하는 유전자를 가진 세포를 얻기가 어려워 발생하는 면역거부 반응을 극복해야 한다. 역분화줄기세포는 환자의 체세포를 역분화시켜 이런 면역거부반응을 해결할 수 있지만, 배아줄기세포와 마찬가지로 기형종과 같은 종양을 일으킬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아직은 대부분이 안전성과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 단계다. 결국은 안전하면서도 효과가 검증된 줄기세포를 개발하는 것이 줄기세포치료를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고 있다.Adult stem cells are relatively safe because they are obtained from cells that exist in the patient's body without any other manipulation outside the body, so clinical trials are being most actively conducted for various diseases. Hematopoietic stem cells, which are known for the treatment of leukemia, are already being used to treat patients, but research on the therapeutic effect and safety of other adult stem cells is still underway. In the case of embryonic stem cells, in the process of obtaining them, it is difficult to obtain cells with genes matching the patient's, and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immune rejection reaction that occurs. Dedifferentiated stem cells can solve this immune rejection reaction by dedifferentiating the patient's somatic cells, but, like embryonic stem cells, the possibility of causing tumors such as teratomas cannot be completely ruled out. Most of them are still in the research stage to measure safety and effectiveness. Ultimately, developing safe and proven stem cells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goal of stem cell therapy research.

사이토카인(cytokine)은 면역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 면역조절제로서 자가분비형 신호전달(autocrine signaling), 측분비 신호전달(paracrine signaling), 내분비 신호전달(endocrine signaling) 과정에서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여 면역반응에 관여한다. 세포의 증식, 분화, 세포사멸 또는 상처 치료 등에 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사이토카인이 존재하며, 특히 면역과 염증에 관여하는 것이 많다. 분화 능력과 줄기 및 전구 세포의 잠재력은 일반적으로 3D 배양 설정에서 향상된다. 예를 들어, 타액선 유래 선조 세포는 간세포 및 췌도 세포 계통으로 분화할 수 있지만 이러한 분화는 세포가 2D 단층이 아닌 3D 세포 응집체에서 배양 될 때만 발생한다. ESC의 신경 세포 분화는 2D 단층 세포 배양에 비해 배아 체 배양에서 강화된다. 더욱이, 광학 컵과 같은 복잡한 장기 구조의 체외 복제는 ESC의 고유 한 조직자가 조직 능력이 극대화 된 3D 배양에서만 가능하다.(Spheroid Culture of Mesenchymal Stem Cells, Stem Cells Int. 2016; 2016: 9176357. Published online 2015 Nov 16. doi: 10.1155/2016/9176357 )Cytokines are protein immunomodulators secreted from immune cells and bind to specific receptors in the process of autocrine signaling, paracrine signaling, and endocrine signaling to respond to an immune response. get involved in There are various types of cytokines involved in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poptosis, or wound healing, and many of them are particularly involved in immunity and inflammation. Differentiation capacity and potential of stem and progenitor cells are usually enhanced in 3D culture settings. For example, salivary gland-derived progenitor cells can differentiate into hepatocyte and pancreatic islet cell lineages, but this differentiation only occurs when cells are cultured in 3D cell aggregates rather than 2D monolayers. Neuronal differentiation of ESCs is enhanced in embryoid body culture compared to 2D monolayer culture. Moreover, in vitro replication of complex organ structures such as the optic cup is only possible in 3D culture where the unique tissue autologous ability of ESCs is maximized. (Spheroid Culture of Mesenchymal Stem Cells, Stem Cells Int. 2016; 2016: 9176357. Published online 2015 Nov 16. doi: 10.1155/2016/9176357 )

기존의 2D 부착 세포 배양과 비교하여 3D 구형 세포 응집체 또는 구형(스페 로이드)에서 배양 된 중간 엽 줄기 세포 (MSC)는 이식 후 세포 생존율이 향상되어 항 염증, 혈관 신생 및 조직 회복, 재생 효과가 향상되었다.Compared with conventional 2D adherent cell culture, mesenchymal stem cells (MSCs) cultured in 3D spherical cell aggregates or spheres (spheroids) have improved cell viability after transplantation, resulting in improved anti-inflammatory, angiogenesis and tissue repair, regeneration effects It became.

3D 조직 배양의 주요 응용 분야는 약물 효능 또는 독성 스크리닝, 조사 기계적 독성학, 표적 디스코 식별, 약물 재배치 연구, 약동학 및 약력학 분석에 있다. 재생 의학과 같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도 사용할 수 있다.The major applications of 3D tissue culture are in drug efficacy or toxicity screening, investigative mechanistic toxicology, target disco identification, drug rearrangement studies, and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analysis. Other applications such as regenerative medicine could also be used.

본 발명은 상기 종래에 사용하는 방법인 셀 패치의 문제점은 2차원내지 3차원세포배양 cell 패치는 세포를 직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세포를 제공받은 사람에게서 원하지 않는 면역반응이 나타나거나 유전자변형이 일어 날수 있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of the cell patch, which is a method used in the prior art, is that the 2D or 3D cell culture cell patch directly provides cells, so that an unwanted immune response or genetic modification may occur in a person who receives the cells. I have a serious problem.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전자 변형이나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급하지 않고 3D 스페로이드 패치구조체에 줄기세포를 담지하여 세포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과분비되는 사이토카인으로 자가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3차원 스페로이드 구조의 세포재생 플랫폼이다. To solve this problem, instead of directly supplying cells that cause genetic modification or immune response, stem cells are supported on a 3D spheroid patch structure to form cell aggregates, thereby inducing differentiation of autologous stem cells with hypersecreted cytokines. It is a cell regeneration platform with a new 3D spheroid structure.

줄기세포능과 Cytokine 분비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세포 담지용 3차원 스페로이드 패치구조체를 3D프린팅으로 직접 제조하고, 세포를 담지하여 세포 재생(혈관 생성, 항염증성, 조직 재생 등)에 기여하는 Cytokine이 이식된 부위에서 분비되도록 유도하는 새로운 개념에 세포담지 3차원 스페로이드 구조의 세포재생 플랫폼이다.A three-dimensional spheroid patch structure for cell support that can maximize stem cell function and cytokine secretion ability is directly manufactured by 3D printing, and cytokine that contributes to cell regeneration (vascular generation, anti-inflammatory, tissue regeneration, etc.) by supporting cells It is a cell regeneration platform with a cell-supported three-dimensional spheroid structure based on a new concept that induces secretion from the transplanted site.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측면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는, 세포 담지용 패치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패치몸체부; 상기 패치 몸체부의 일면에 함몰 형성되는 포켓 유닛; 및 상기 패치 몸체부의 이면에 함몰 형성되는 슬릿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 유닛은, 제1 입구 크기를 갖는 제1 포켓 유닛과, 상기 제1 입구 크기와 다른 제2 입구 크기를 갖는 제2 포켓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one asp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ch body portion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 pocket unit recessed into one surface of the patch body; and a slit unit reces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atch body, wherein the pocket unit includes a first pocket unit having a first inlet size and a second pocket having a second inlet size different from the first inlet size. units can be formed.

또한, 하나의 상기 슬릿 유닛은, 어느 하나의 상기 포켓 유닛과 이에 인접되는 다른 포켓 유닛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lso, one slit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one pocket unit and another pocket unit adjacent thereto.

또한, 상기 슬릿 유닛의 입구 크기는 상기 제1 포켓 유닛의 제1 입구 크기 또는 제2 포켓 유닛의 제2 입구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size of the inlet of the slit unit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inlet of the first pocket unit or the size of the second inlet of the second pocket unit.

또한, 상기 슬릿 유닛의 높이(h2)는, 상기 패치몸체부의 일면과 상기 슬릿 유닛의 바닥부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h2 of the slit unit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patch body and the bottom of the slit unit.

또한, 상기 제1 포켓 유닛의 측벽과 상기 제1 포켓 유닛의 바닥부가 만나는 제1 하측 코너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lower corner portion where a sidewall of the first pocket unit and a bottom portion of the first pocket unit meet may be formed to be rounded.

또한,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중앙부의 단면 크기는 상기 제2 입구 크기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Also, a size of a cross section of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pocket unit may be larger than a size of the second inlet.

또한,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입구부를 감싸도록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돌출 거리(d)는 이하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surround the inlet of the second pocket unit may be included, and a protruding distance d of the protruding portion may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Figure 112021004514281-pat00001
Figure 112021004514281-pat00001

D : 돌출부의 돌출거리D: Protrusion distance of protrusion

W21 : 제2 포켓 유닛의 중앙부의 단면 너비W21 : Sectional width of the center of the second pocket unit

W22 : 제2 포켓 유닛의 입구의 입구 너비W22 : Entrance width of the entrance of the second pocket unit

여기에서, D는 돌출부의 돌출거리, W21은 제2 포켓 유닛의 중앙부의 단면 너비이며, W22는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입구의 입구 너비이다.Here, D is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protrusion, W21 is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pocket unit, and W22 is the width of the entrance of the second pocket unit.

또한,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돌출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측벽과 연결시키는 상측 코너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코너부는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측코너부의 라운드면의 기울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corner part connected to the side wall of the second pocket uni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art of the second pocket uni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rner part is formed to be rounded. It can be formed that gets bigger as you go.

또한, 상기 포켓 유닛의 높이와 상기 슬릿 유닛의 높이를 합한 값은 상기 패치 몸체부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pocket unit and the height of the slit unit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patch body.

또한, 상기 포켓 유닛의 높이(h1)는, 상기 포켓 유닛의 바닥부와 상기 패치몸체부의 이면과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h1 of the pocket unit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pocket unit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atch body.

또한, 상기 제1 포켓 유닛은 일 방향으로, N+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포켓 유닛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포켓 유닛과 교번하여, N+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되며, N은 0 이상의 정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cket units are arranged in a pattern in which N+1 unit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pocket units are arranged in units of N+1 units alternately with the first pocket units in the one direction. , and N may include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0.

또한, 상기 제1 포켓 유닛은 일 방향으로, N+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포켓 유닛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포켓 유닛과 교번하여, M+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되며, 상기 N 및 상기 M은 0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N 및 상기 M은 서로 다른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ocket units are arranged in a pattern in which N+1 unit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pocket units are arranged in units of M+1 units alternately with the first pocket units in one direction. , wherein N and M are integers greater than or equal to 0, and N and M may b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세포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형성된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revent cells from escaping

세포 담지용 패치가 제공된다.A patch for carrying cells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포켓 유닛의 입구는 개방형(Open type) 과 일부개방형의 비율이 조절되어 제조되는 이식가능한 세포 담지용 패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plantable patch for carrying cells is provided in which the ratio between an open type and a partly open type of the inlet of the pocket unit is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줄기세포능과 다양한 Cytokine 분비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세포 담지용 패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tch for carrying cells capable of maximizing the ability of stem cells and secretion of various cytokines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세포 담지용 패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에서 세포가 담지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에서 세포가 성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tch for supporting cells of FIG. 1 .
3 is a view show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patch for supporting cells of FIG. 1 .
5 is a view show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diagram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ells are loaded in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ells are grown in a patch for support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 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usu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amples shown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세포 담지용 패치의 단면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tch for carrying cells of FIG. 1 .

먼저, 도 1을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1)는 3D 스페로이드 패치구조체에 줄기세포가 세포담지용 패치(1)의 포켓구조물에 담지된다. 그리고, 세포 담지용 패치(1)의 상기 줄기세포들이 세포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과분비되는 사이토카인으로, 세포 담지용 패치(1)가 환자의 신체 표면(예시적으로 심장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자가 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신체의 세포재생을 도울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 in the patch 1 for cell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m cells are supported in the pocket structure of the patch 1 for cell support in a 3D spheroid patch structure. In addition, as a cytokine that is over-secreted by the stem cells of the patch for cell support (1) forming a cell aggregate, the patch for cell support (1) is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surface (eg, the heart surface) It can help the body's cell regeneration by inducing the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이때, 상기 줄기세포는 다양한 조직 배양이 가능한 세포로서, 일 실시예로 사이토카인(cytopkine)으로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섬유아세포 기본성장인자-세포 생존율향상 및 혈관재생관여),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혈관내피 성장인자-세포사 감소 및 혈관 재생에 관여), HGF(간세포 성장인자: hepatocyte growth factor -세포사 감소 및 혈관 재생에 관여) IL (인터루킨; interleukin)계열, 림포카인(limphokine), 모노카인(monokine): 단핵구(monocyte)에 의해 생성인자, 케모카인(chemokine), 인터페론(interferon, IFN)계열, 조혈인자(hematopoietic factor), 상피세포 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EGF),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 FGF), 혈소판유래 성장인자(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간세포 성장인자(hepatocyto growth factor, HGF), 트랜스포밍 성장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인 TNF-α나 TNF-β 등 세포의 사멸(apoptosis)을 유발인자, TNF 슈퍼패밀리(superfamily), 아디포카인(adipokine): 예인 렙틴(leptin), 신경영양인자(neurotrophic factor):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NGF)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stem cells are cells capable of culturing various tissues, and in one embodiment, as cytokines, 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fibroblast basic growth factor-improving cell viability and involved in revascularization),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involved in cell death reduction and vascular regeneration), HGF (hepatocyte growth factor-involved in cell death reduction and vascular regeneration) IL (interleukin) series, lymphokine, Monokine: factor produced by monocyte, chemokine, interferon (IFN) family, hematopoietic factor,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ibroblast growth factor (fibroblast growth factor, FGF),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hepatocyto growth factor (HGF),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tumor necrosis factor ( Tumor necrosis factor (TNF), TNF-α or TNF-β, and other factors that induce cell death (apoptosis), TNF superfamily, adipokine: yes leptin, neurotrophic factor ): nerve growth factor (NGF), etc.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1)는 패치 몸체부(100), 포켓 유닛(110,120), 슬릿 유닛(130)을 포함한다.A patch 1 for support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ch body 100 , pocket units 110 and 120 , and a slit unit 130 .

패치 몸체부(100)는 생분해성 재질로 형성되며,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다. 패치 몸체부(100)는, 예시적으로, 폴리카프로락톤 (PCL: polycaprolactone)계열 수지, PCL과 PET가 합성된 수지, PHA (polydhydroxy alkanoates), phosphagene, polypeptide, Polylactic acid(PLA), Polyglycolic acid(PG), Polycaprolactone (PCL), Polydioxanone, Polyanhydrides, Polycyanoacrylates, Polyorthoester, Poly(γ-ethylglutamate), Pseudo-poly (amino acids) 소재를 주재료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atch body portion 100 is formed of a biodegradable material and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The patch body part 100 is illustratively, a polycaprolactone (PCL)-based resin, a resin obtained by synthesizing PCL and PET, polydhydroxy alkanoates (PHA), phosphagene, polypeptide, polylactic acid (PLA), polyglycolic acid ( PG), Polycaprolactone (PCL), Polydioxanone, Polyanhydrides, Polycyanoacrylates, Polyorthoester, Poly(γ-ethylglutamate), and Pseudo-poly (amino acids) as main materi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켓 유닛(110, 120) 및 슬릿 유닛(1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configurations of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nd the slit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포켓 유닛(110, 120)은 포켓 유닛(110, 120)은 패치 몸체부(100)의 일면(101)에 형성되며, 포켓 유닛(110, 120)에는 상기 줄기세포가 담지된 다음, 성장한 다음, 세포 담지용 패치(1)가 부착되는 조직에 성장된 상기 줄기세포를 직접 공급하거나, 상기 줄기세포에서 생성되는 사이토카인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re formed on one surface 101 of the patch body 100, and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contain the stem cells. Then, after growth, the grown stem cells are directly supplied to the tissue to which the cell support patch 1 is attached, or cytokines produced from the stem cells are provided.

이때, 패치 몸체부(100)의 일면(101)은 상기 조직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이며, 패치 몸체부(100)의 이면(102)은 상기 부착면의 반대면, 즉 바깥면일 수 있다.At this time, one surface 101 of the patch body 100 may be an adhesive surfac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issue, and the back surface 102 of the patch body 100 may be the opposite surface of the adhesive surface, that is, the outer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켓 유닛(110,120)은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일정 간격은 포켓 유닛(110,12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포켓 유닛(110, 120)의 서로 간의 간격이 작으면 작을수록 단위면적당 세포수가 많아지며 사이토카인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 As the distance between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decreases, the number of cells per unit area increases, and cytokines can be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 몸체부(100)의 포켓 유닛(110, 120)은 내부 공간의 단면적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큰 입구 크기를 갖는 제1 포켓 유닛(110)과, 제2 포켓 유닛(110) 보다 작은 입구 크기를 갖는 제2 포켓 유닛(120)을 포함한다. 제1 포켓 유닛(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성장된 상기 줄기 세포는 제1 포켓 유닛(110)의 입구를 통하여 조직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반면, 제2 포켓 유닛(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성장된 상기 줄기 세포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제2 포켓 유닛(110)의 입구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2 포켓 유닛(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이토카인을 상기 조직에 전달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1)는, 동일한 상기 줄기 세포가 담지된 상태에서, 세포 담지용 패치(1)가 부착된 상기 조직에 상기 줄기세포를 직접 전달하면서 동시에 상기 사이토카인을 전달할 수 있더, 보다 효율적인 조직의 재생을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ocket units 110 and 120 of the patch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pocket unit 110 having an entrance size similar to or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space, and a second pocket unit ( 110) and a second pocket unit 120 having a smaller inlet size. The stem cells grown while accommodated in the first pocket unit 110 may be directly delivered to tissues through the inlet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 On the other hand, the stem cells grow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pocket unit 110 do not pass through the entrance of the second pocket unit 110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but remain inside the second pocket unit 110. In the received state, it delivers cytokines to the tissue. That is, the cell-supporting patch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transfers the stem cells to the tissue to which the cell-supporting patch 1 is attached in a state in which the same stem cells are supported, while at the same time It can deliver cytokines and has the effect of helping more efficient tissue regeneration.

본 실시예에서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은 상호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이 배치되는 구성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may be alternately disposed, bu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disposed may vary. can be formed

제1 포켓 유닛(110)의 상기 입구의 크기는 성장된 상기 줄기 세포가 제1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을 크기로 형성된다. 반면, 제2 포켓 유닛(110)의 상기 입구의 크기는 성장된 상기 줄기 세포가 제2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The size of the inlet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is such that the grown stem cells can flow out through the inlet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1 . 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inlet of the second pocket unit 110 is formed to a size capable of suppressing the outflow of the grown stem cells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21. .

제1 포켓 유닛(110)의 측벽과 제1 포켓 유닛(110)의 바닥부가 만나는 제1 하측 코너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포켓 유닛(110)의 상기 제1 하측 코너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경우, 상기 줄기 세포가 제1 포켓 유닛(110)의 제1 수용 공간(111)으로부터 용이하게 상기 조직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corner portion where the sidewall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meet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hat is, when the first lower corner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is formed to be rounded, the stem cells can be easily supplied from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1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to the tissue. there is.

본 실시예에서 제1 포켓 유닛(110)의 제1 수용 공간(110)의 내부 단면(제1 수용공간(110)의 중앙부 기준)의 너비(W11)는 제1 수용 공간(110)의 상기 입구의 너비(W12)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다만, 제1 수용 공간(110)의 내부 단면(제1 수용공간(110)의 중앙부 기준)의 너비(W11)보다 제1 수용 공간(110)의 상기 입구의 너비(W12)가 크게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In this embodiment, the width W11 of the inner cross s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0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0) is the entran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0. It is formed in the same size as the width (W12) of. 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dth W12 of the entran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0 is greater than the width W11 of the inner cross s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0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0). Also includ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제2 포켓 유닛(120)의 제2 수용 공간(121)의 중앙부의 단면 크기는 제2 포켓 유닛(120)의 입구 크기인 제2 입구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입구 크기는 제2 수용 공간(121)의 상기 중앙부의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Meanwhile,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21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is larger than the second entrance size, which is the entrance size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 That is, the size of the second entrance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21 .

그리고, 제2 포켓 유닛(120)은, 제2 포켓 유닛(120)의 상기 입구를 감싸도록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122)를 포함하고, 돌출부가 상기 입구측으로 돌출된 거리인 돌출 거리(D)는 이하의 관계식을 만족한다.Further, the second pocket unit 120 includes a protrusion 122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surround the inlet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and the protrusion distance D, which is the distance the protrusion protrudes toward the inlet. )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관계식) (relational expression)

Figure 112021004514281-pat00002
Figure 112021004514281-pat00002

D:돌출부의 돌출거리D: Protrusion distance of the protrusion

W21: 제2 포켓 유닛의 중앙부의 단면 너비W21: cross-sectional width of the center of the second pocket unit

W22: 제2 포켓 유닛의 입구의 너비W22: Width of the entrance of the second pocket unit

제2 포켓 유닛(120)의 돌출부(122)에 의하여 제2 포켓 유닛(120)의 상기 제2 입구 크기(즉, 제2 입구 너비(W22))는 제1 포켓 유닛(110)의 상기 제1 입구 크기(즉, 제1 입구 너비(W12))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 포켓 유닛(120)의 상기 제2 입구 크기는 상기 세포가 상기 포켓 유닛(110, 120)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설정되어, 제2 포켓 유닛(120)의 제2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 상기 줄기세포의 사이토카인 유도분비 능력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ize of the second entrance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ie, the width of the second entrance W22) is determined by the protrusion 122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let size (ie, the first inlet width W12). The size of the second entrance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is set to prevent the cells from escaping from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so that the cell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21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It can play a role in maximizing the ability of stem cells to induce and secrete cytokines.

한편, 제2 포켓 유닛(120)의 돌출부(122)의 하면에는, 제2 포켓 유닛(120)의 측벽과 돌출부(122)를 연결시키는 상측 코너부(123)가 형성되고, 상측코너부(123)는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측코너부(123)의 라운드면의 기울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2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an upper corner portion 123 connecting the side wall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and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and the upper corner portion 123 ) may be formed such that the outer surface is rounded, and the slope of the round surface of the upper corner portion 123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포켓 유닛(110)의 제1 입구 너비(W12)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제2 입구 너비(W22)는 예시적으로 200 ~ 1000㎛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 포켓 유닛(110)의 제1 입구 너비(W12)는 400 ~ 800㎛의 범위로 형성되며, 제2 포켓 유닛(120)의 제2 입구 너비(W22)는, 200 ~ 500㎛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치는 예시적인 범위를 의미할 뿐, 상기 줄기 세포의 선택적인 유출입 및 사이토카인 분비효율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first entrance W12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width of the second entrance W22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illustratively in the range of 200 to 1000 μm. can be formed as More preferably, the first entrance width W12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is formed in the range of 400 to 800 μm, and the second entrance width W22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is 200 to 500 μm. It can be formed in the range of μm. However, the numerical value only means an exemplary range, and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lective inflow and outflow of the stem cells and the cytokine secretion efficiency.

예를 들어, 제2 포켓 유닛(120)의 제2 입구 너비(W22)가 50 ~ 800㎛의 범위로 형성되었을 경우, 종래 부착 세포 배양과 비교하여 세포가 패치 몸체부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못하여 이식 후 세포 생존율이 향상되어 항 염증, 혈관 신생 및 조직 회복, 재생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entrance width W22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is formed in the range of 50 to 800 μm, compared to conventional adherent cell culture, cells can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patch body, so after transplantation Anti-inflammation, angiogenesis, tissue recovery, and regeneration effects were confirmed by improving cell viability.

그리고,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형성 높이(h1,h22)는,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바닥부와 패치몸체부(100)의 이면(102)과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형성 높이(h1,h2)는,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하측에 위치되는 패치 몸체부(1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And, the formation heights (h1, h2 2 )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the bottom part and the patch body part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It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back surface 102 of (100). That is, the formation heights (h1, h2)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the patch body parts located below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100).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상기 입구의 형상은 예시적으로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이때,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은 서로 다른 입구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shapes of the inlets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illustratively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quare, but configurations formed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are also included 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At this time,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inlet areas.

한편, 슬릿 유닛(130)은 패치 몸체부(100)의 이면(102)에 함몰 형성되며, 패치 몸체부(100)의 일면(101)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조직의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조직의 표면에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패치 몸체부(100)가 원활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슬릿 유닛(130)은 어느 포켓 유닛(110, 120)과 이에 인접되는 다른 포켓 유닛(110, 12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슬릿 유닛(10)의 형성 너비(W3)는 제1 포켓 유닛(110)의 제1 입구 너비(W12)및 제2 포켓 유닛(120)의 제2 입구 너비(W21)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제2 포켓 유닛(120)의 제2 입구 너비(W2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it unit 130 is recessed on the back surface 102 of the patch body 100, and when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issue where one surface 101 of the patch body 100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the The patch body 100 can be smoothly bent so that it can be more closely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tissue. At this time, the slit unit 130 is disposed between one pocket unit 110 and 120 and another pocket unit 110 and 120 adjacent thereto. Further, the formation width W3 of the slit unit 10 is smaller than the first entrance width W12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entrance width W21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It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trance width W21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

슬릿 유닛(130)은 패치 몸체부(100)가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외력을 받는 경우, 패치 몸체부(100)가 보다 원활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따라서, 패치 몸체부(100)가 상기 조직의 표면에 부착될 때, 패치 몸체부(100)의 일면(101)의 들뜸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패치 몸체부(100)의 보다 완전한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lit unit 130 allows the patch body 100 to be more smoothly bent when the patch body 100 receives an external force in the horizontal and/or vertical directions. Thus, the patch body 100 When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issue, lifting of one surface 101 of the patch body 100 is prevented from occurring, so that the patch body 100 can be more completely attached.

슬릿 유닛의 높이(h2)는, 패치 몸체부(100)의 일면(101)과 슬릿 유닛(130)의 바닥부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켓 유닛(110,120)의 높이(h1,h2)와 슬릿 유닛(130)의 높이(h3)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포켓 유닛(110, 120)의 높이(h1,h2)와 슬릿 유닛(130)의 높이(h2)를 합한 값은 패치 몸체부(100)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번갈아 형성되는 포켓 유닛(110, 120) 및 슬릿 유닛(130)의 형성 높이(h1,h2)들이 패치 몸체부(100)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패치 몸체부(100)가 보다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height (h 2 ) of the slit unit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101 of the patch body 100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slit unit 130 . In one embodiment, the heights h1 and h2 of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nd the height h 3 of the slit unit 13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t this time, the sum of the heights h1 and h2 of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nd the height h2 of the slit unit 130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patch body 100 . That is, the alternate heights h1 and h2 of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nd the slit unit 130 ar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patch body 100, so that the patch body 100 is It can be made more flexibl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2 포켓 유닛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세포 담지용 패치의 제2 포켓 유닛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present embodiment has only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ocket unit, but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ocket unit of the cell carrying patch shown in FIGS. 1 and 2. Hereinafter, fea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t is explained by focusing on the critical part.

도 3을 참조하면, 제2 포켓 유닛(120)은, 입구 형태에 따라 제2 포켓 유닛A(120A) 및 제2 포켓 유닛B(120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pocket unit 120 includes a second pocket unit A 120A and a second pocket unit B 120B according to an inlet shape.

제2 포켓 유닛A(120A)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제2 포켓 유닛(120)의 구성과 동일하다.The second pocket unit A 120A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econd pocket unit 120 shown in FIGS. 1 and 2 .

제2 포켓 유닛B(120B)는, 제2 포켓 유닛B(120B)의 상기 입구를 가로 지르는 커버부(125)를 포함한다. 즉, 커버부(125)는, 상기 입구에서 연장된 제2 포켓유닛A(120A)의 돌출부(122)와 달리 상기 입구의 중앙을 가로지른다, 커버부(125)가 지나가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입구의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제2 포켓 유닛B(120B)의 제2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 상기 줄기세포로부터 사이토카인이 분비되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second pocket unit B 120B includes a cover part 125 crossing the inlet of the second pocket unit B 120B. That is, unlike the protruding part 122 of the second pocket unit A (120A) extending from the entrance, the cover part 125 crosses the center of the entrance, except for the area through which the cover part 125 passes. Through the open area, cytokines can be secreted from the stem cell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21 of the second pocket unit B 120B and supplied to the outsid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포켓 유닛(110), 제2 포켓 유닛A(120A) 및 제2 포켓 유닛B(120B)이 모두 형성되는 구성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제1 포켓 유닛(110)과 제2 포켓 유닛A(120A) 및 제2 포켓 유닛B(120B) 중 어느 하나의 제2 포켓 유닛(120A, 120B)가 형성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ocket unit 110, the second pocket unit A 120A, and the second pocket unit B 120B are all formed, but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B are formed.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of the two pocket units A 120A and the second pocket unit B 120B is formed is also possible.

도 4는 도 1의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patch for supporting cells of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1)의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들은, 상호 교번하여 배치되는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은 복수의 열로 배치된 상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본 실시예에서, 제1 포켓 유닛(110)은 일 방향으로, N+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포켓 유닛(120)은 상기 일 방향으로, 제1 포켓 유닛(110)과 교번하여, N+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된다. 이때, N은 0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제1 포켓 유닛(110)이 1개 이상의 열로 배치된 다음, 연속하여 제2 포켓 유닛(110)이 동일한 수 만큼의 열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of the cell-loading patch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and The pocket units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s 12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ocket units 110 are arranged N+1 in one direction. arranged in a pattern that In addition, the second pocket units 120 are arranged in a pattern in which N+1 units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first pocket units 110 in the one direction. In this case, N may be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0.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ocket units 110 may be arranged in one or more rows, and then the second pocket units 11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same number of rows consecutively.

즉, 제1 포켓 유닛(110)과 제2 포켓 유닛(120)을 교번하여 배치되게 형성되어 인체의 부위의 손상이 심한 조직과 손상이 적은 조직을 분리하여 재생할 수 있고, 각 부위에 맞게 조직의 재생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alternately arranged, severely damaged tissues and less damaged tissues of the human body can be separated and regenerated.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regeneration and treatme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제1 포켓 유닛(110)은 일 방향으로, N+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되며, 제2 포켓 유닛(120)은 상기 일 방향으로, 제1 포켓 유닛(110)과 교번하여, M+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되며, 상기 N 및 상기 M은 0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N 및 상기 M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cket unit 110 is arranged in a pattern of N+1 units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is arrang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pocket unit Alternating with (110), M+1 is arranged in a pattern, the N and the M are integers greater than or equal to 0, and the N and the M may be form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제1 포켓 유닛(110)이 1개 열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포켓 유닛(120)이 2개 열로 배치되고, 다시 제1 포켓 유닛(110)이 1개 열로 배치된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상대적인 수량을 조절함으로써, 치료가 필요한 조직에 대하여 줄기세포의 공급량 및 사이토카인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ocket units 110 are arranged in one row, the second pocket units 120 are arranged in two rows, and the first pocket units 110 are arranged in one row ag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in the examples of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adjusting the relative quantity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pply amount of stem cells and cytokine to the tissue in need of treatmen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입구 형상이 정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입구 형상이 정사각형 이외에 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inlet shapes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s being square, the inlet shapes ar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or rectangular in addition to square. A configuration that is also inclu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이 배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도 5를 참조하면,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은 유닛 단위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조밀한 영역에 동시에 상기 줄기세포의 공급 및 상기 사이토카인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only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disposed, and in other configurations, it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1, 2, and 4. , 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alternately arranged in units of unit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pply of the stem cells and the supply of the cytokine can be made at the same time in a more dense area.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패치 몸체부(100)의 일면(101)에는 제1 포켓 유닛(110)이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지 않으며 제2 포켓 유닛(120)이 배치되는 제2 영역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제1 포켓 유닛(110)의 개수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제2 포켓 유닛(120)의 개수는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one surface 101 of the patch body 100 has a first area where the first pocket unit 110 is disposed and a second pocket unit 120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area. A second area is formed. In this case, the number of first pocket units 110 disposed in the first area and the number of second pocket units 120 disposed in the second area may be differently disp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은 치료가 필요한 부위에 따라 다르게 배치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줄기세포 및 사이토카인의 공급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arr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rea in need of treatment, so that more efficient supply of stem cells and cytokines can be performed. there is.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패치 몸체부(100)의 일면(101)에는, 제1 포켓 유닛(110)이 배치되는 제1 영역만을 형성(A)하거나 제2 포켓 유닛(120)이 배치되는 제2 영역만이 형성(B)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only the first area where the first pocket unit 110 is disposed is formed (A) or the second area where the second pocket unit 120 is disposed is formed on one surface 101 of the patch body 100. Only regions can be formed (B).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8 and 9 are diagrams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의 제조 방법은, 먼저, 트레이(500)을 제공하는 트레이 제공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세포 담지용 패치(1)는 예시적으로 3D 프린터에 의하여 복수의 레이어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레이(500)는 3D 프린터에서 세포 담지용 패치(1)가 제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step of providing a tray 500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cell-bearing patch 1 may be exemplarily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by a 3D printer, and the tray 50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ell-bearing patch 1 can be manufactured by the 3D printer. to provide.

상기 3D프린터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레이어가 적층 형성되는 방식은 상기 3D 프린터의 출력 방식과 출력 재료에 따라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광경화수지조형)방식,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 소결 조형)방식,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융합수지압출적층조형) 또는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방식 등으로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그 다음, 트레이(102)의 일 면에 포켓 유닛(110, 120) 및 포켓 유닛(110, 120)과 다른 면에 형성되는 슬릿 유닛(130)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410, 420)를 배치키는 제1 레이어 그룹 배치 단계가 수행된다. The method in which the plurality of layers are stacked and formed by the 3D printer is a 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method or 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depending on the output method and output material of the 3D printer. method,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or FFF (Fused Filament Fabrication) metho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120) and a first layer group arrangement step of disposing at least one layer 410 or 420 for forming any one of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nd the slit unit 130 formed on the other surface is performed. .

이때, 포켓 유닛(110,120)은 서로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일정 간격은 포켓 유닛(110,12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포켓 유닛(110, 120)의 서로 간의 간격은 조밀할수록 단위면당 세포수가 많아지며 사이토카인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re dispos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 The denser the spacing between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is, the more cells per unit surface is,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producing a large amount of cytokines.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 유닛(130)가 트레이(500)의 일면에 배치되는 형상, 즉 패치 몸체부(100)의 이면(102)이 트레이(500)의 상기 일면, 즉 상면에 배치되도록 하여 제조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1 레이어 그룹(G1)은 제1 레이어(410) 및 제2 레이어(420)를 포함하며, 슬릿 유닛(130)의 형성에만 관여한다. 이때, 제1 레이어 그룹(G1)이 하나의 레이어 만을 포함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hape in which the slit unit 13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tray 500, that is, the rear surface 102 of the patch body 100 is disposed on the one surface of the tray 500, that is, the upper surface Manufactured do Also, the first layer group G1 includes the first layer 410 and the second layer 420 and is involved only in forming the slit unit 130 . In this cas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layer group G1 includes only one layer is also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 다음, 제1 레이어 그룹(401) 의 레이어(410,420)가 배치된 상태에서, 배치된 제1 레이어 그룹(410)의 레이어(420), 즉 제2 레이어(420) 상에 포켓 유닛(110, 120) 및 슬릿 유닛(130)을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430)를 배치시키는 제2 레이어 그룹 배치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제2 레이어 그룹(G2)는 제3 레이어(430)를 포함하며, 포켓 유닛(110, 120) 및 슬릿 유닛(130)의 형성에 관여한다. 즉, 상기 제2 레이어 그룹 배치 단계에서, 포켓 유닛(110, 120)의 하부 및 슬릿 유닛(130)의 상부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레이어 그룹(G2)이 둘 이상의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Next, in a state where the layers 410 and 420 of the first layer group 401 are disposed, the pocket unit 110, 120) and a second layer group arrangement step of disposing at least one layer 430 for forming the slit unit 130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second layer group G2 includes the third layer 430 and is involved in forming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nd the slit unit 130 . That is,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second layer group, the lower portions of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lit unit 130 may be simultaneously formed. At this tim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layer group G2 includes two or more layers is also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 다음, 제2 레이어 그룹(G2) 의 레이어(430),가 배치된 상태에서, 배치된 상기 레이어, 즉 제3 레이어(3) 상에 포켓 유닛(110,120) 및 슬릿 유닛(130) 중 다른 하나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440,450)를 배치시키는 제3 레이어 그룹 배치 단계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레이어 그룹 배치 단계에서 포켓 유닛(110, 120)들이 형성되며, 제3 레이어 그룹(G3)은 제4 레이어(440) 및 제5 레이어(450)를 포함한다. 이때, 제3 레이어 그룹(G3)는 포켓 유닛(110, 120)의 형성에만 관여한다. 이때, 제3 레이어 그룹(G3)이 하나의 레이어 만을 포함하는 구성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Next, in a state where the layer 430 of the second layer group G2 is disposed, another one of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nd the slit unit 130 is placed on the disposed layer, that is, the third layer 3. A third layer group arrangement step of arranging at least one layer 440 or 450 to form is per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are formed in the third layer group arrangement step, and the third layer group G3 includes the fourth layer 440 and the fifth layer 450 . At this time, the third layer group G3 is involved only in forming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 At this tim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ird layer group G3 includes only one layer is also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 다음, 제3 레이어 그룹 배치 단계에서 제3 레이어 그룹(G3)의 레이어(440,450)가 배치된 상태에서, 배치된 레이어, 즉 제5 레이어(450) 상에 포켓 유닛들의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입구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460,470)를 배치시키는 제4 레이어 그룹배치 단계가 수행된다. 이때, 제4 레이어 그룹(G4)는 제6 레이어(460) 및 제7 레이어(4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레이어 그룹(G1)이 하나의 레이어 만을 포함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Next, in a state in which the layers 440 and 450 of the third layer group G3 are arranged in the third layer group arrangement step, the first pocket unit 110 of the pocket units is placed on the arranged layer, that is, the fifth layer 450. ) and a fourth layer group arrangement step of disposing at least one layer 460 or 470 so that the inlet size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is formed differently. In this case, the fourth layer group G4 may include the sixth layer 460 and the seventh layer 470, 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layer group G1 includes only one layer is also possible.

제4 레이어 그룹(G4)에 의하여,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이 서로 다른 입구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한편, 상기 제4 레이어 그룹 배치 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레이어 상에 포켓 유닛들(110,120)의 입구 크기에 따라 상기 레이어 폭을 조정하여 상기 레이어를 배치시킬 수 있다.By the fourth layer group G4,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inlet sizes. Meanwhile, in the fourth layer group arrangement step, the arrangement The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layer by adjusting the layer width according to the inlet size of the pocket units 110 and 120.

도 10은 도 3의 세포 담지용 패치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atch for supporting cells of FIG. 3 .

도 10을 참조하면, 제4 레이어 그룹(G4)이 배치되는 형태에 따라, 제2 포켓 유닛A(120A) 및 제2 포켓 유닛B(120B)가 형성될 수 있다.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가 제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10 ,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ourth layer group G4, a second pocket unit A 120A and a second pocket unit B 120B may be formed. It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patch for carrying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트레이(500)의 상면에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이 먼저 형성되도록 제1 레이어 그룹(G1)이 배치된다. 즉,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세포 담지용 패치 제조 방법에서, 세포 담지용 패치(1)가 제조되는 순서와 역순으로 세포 담지용 패치(1)가 제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first layer group G1 is disposed so that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firs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500 . That i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ell-bearing patch shown in FIGS. 8 and 9 , the cell-bearing patch 1 may be manufactured in the reverse order to the order in which the cell-bearing patch 1 is manufactured.

보다 상세히, 상기 제1 레이어 그룹 배치 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레이어 상에 상기 포켓 유닛들의 제1 포켓 유닛(110) 및 상기 제2 포켓 유닛(120)의 입구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410, 420)를 배치시킨다.More specifically,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first layer group, the at least one layer is formed so that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of the pocket units have different inlet sizes on the arranged layer. Place (410, 420).

이때, 트레이(500) 상에 배치되는 제1 레이어(410)의 제2 포켓 유닛(120)의 단면 크기는, 제1 레이어(410) 상에 배치되는 제2 레이어(420)의 제2 포켓 유닛(120)의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제1 레이어(410)는 제2 포켓 유닛(120)의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레이어이므로, 제1 레이어(410)가 형성하는 제2 포켓 유닛(120)의 단면 크기는 제2 레이어(420)의 제2 포켓 유닛(120)의 단면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of the first layer 410 disposed on the tray 500 is the second pocket unit of the second layer 420 disposed on the first layer 410.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size of (120). That is, since the first layer 410 is a layer forming the inlet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formed by the first layer 410 is equal to that of the second layer 420. ) to be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포 담지용 패치에서 세포가 담지 및 성장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2 to 13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supporting and growing cells in a patch for supporting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제작된 세포 담지용 패치(1)를, 상기 줄기세포가 함유된 줄기세포 배양액에 침지시키면, 성장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줄기세포가 세포 담지용 패치(1)의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수용 공간(111, 121)들에 담지된다. 이때, 상기 줄기세포는 성장되기 전의 세포인 바,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입구 크기에 제한받지 않고, 제1 포켓 유닛(110) 및 제2 포켓 유닛(120)의 수용 공간(111, 121)에 인입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2, when the fabricated patch 1 for carrying cells is immersed in a stem cell culture solution containing the stem cells, the ungrown stem cells are removed from the patch 1 for carrying cells. It is carried in the accommodation spaces 111 and 121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 At this time, since the stem cells are cells before growth,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are not limited by the size of the entrance of the first pocket unit 110 and the second pocket unit 120. ) can be drawn into the receiving spaces 111 and 121.

그 다음, 도 13을 참조하면, 세포 담지용 패치(1)에 상기 줄기세포가 담지된 상태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줄기세포가 성장하면, 제1 포켓 유닛(110)의 제1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상기 줄기세포는 여전히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반면, 제2 포켓 유닛(120)의 제2 수용 공간(121)에 수용된 상기 줄기 세포는, 성장된 상태에서는 제2 포켓 유닛(120)의 입구를 통과하지 못하고, 제2 수용 공간(121)의 외부로 사이토카인 만을 공급하게 된다.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줄기세포 및 상기 줄기세포에서 유래된 사이토카인을 동시에 생체 조직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세포 재생 등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일정 입구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패턴의 포켓 유닛을 구비하여 개방형(Open type) 과 일부개방형으로 제조되어 상기 일부 개방형인 포켓유닛은 개방형(Open type)인 포켓유닛에 비해 입구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줄기세포가 상기 일부 개방형인 포켓 유닛의 입구를 통과하지 못하고 외부로 사이토카인만을 공급하게 할 수 있는 세포를 담지 하는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n, referring to FIG. 13 , in a state in which the stem cells are supported on the cell carrying patch 1,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d the stem cells grow, the first pocket unit 110 The stem cell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1 may still be supplied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the stem cell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21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do not pass through the entrance of the second pocket unit 120 in a grown state. Only cytokines are supplied externally.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tem cells and cytokines derived from the stem cells are simultaneously provided to biological tissue, thereby providing a therapeutic effect such as more effective cell regeneration. . That is, pocket units of various patterns having a certain inlet size are provided and manufactured in open type and partially open type, so that the partially open type pocket unit is formed with a smaller inlet size than the open type pocket unit, so that the stem cell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tch carrying cells capable of supplying only cytokines to the outsid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inlet of the partially open pocket unit.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divers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1: 세포담지용패치1: Patch for cell support

Claims (15)

세포 담지용 패치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패치몸체부;
상기 패치 몸체부의 일면에 함몰 형성되는 포켓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 유닛은, 제1 입구 크기를 갖는 제1 포켓 유닛과, 상기 제1 입구 크기보다 작은 제2 입구 크기를 갖는 제2 포켓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패치 몸체부의 이면에 함몰 형성되는 슬릿 유닛;을 더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슬릿 유닛은, 어느 하나의 상기 포켓 유닛과 이에 인접되는 다른 포켓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슬릿 유닛의 입구 크기는 상기 제1 포켓 유닛의 상기 제1 입구 크기 또는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상기 제2 입구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슬릿 유닛의 높이는, 상기 패치몸체부의 일면과 상기 슬릿 유닛의 바닥부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포켓 유닛의 높이와 상기 슬릿 유닛의 높이를 합한 값은 상기 패치 몸체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중앙부의 단면 크기는 상기 제2 입구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입구부를 감싸도록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치몸체부는 복수의 레이어들이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포켓 유닛 및 제2 포켓 유닛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레이어와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레이어는 서로 다른 레이어이며,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에는 상기 제1 포켓 유닛의 일부,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일부 및 상기 슬릿의 일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In the cell support patch,
A patch body portion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t includes a pocket unit recessed on one side of the patch body,
The pocket unit includes a first pocket unit having a first inlet size and a second pocket unit having a second inlet size smaller than the first inlet size,
Further comprising a slit unit recess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atch body,
One of the slit units is disposed between one of the pocket units and another pocket unit adjacent thereto,
The inlet size of the slit unit is smaller than the first inlet size of the first pocket unit or the second inlet size of the second pocket unit,
The height of the slit unit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one surface of the patch body and the bottom of the slit unit,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pocket unit and the height of the slit unit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tch body,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pocket unit is formed larger than the second inlet size,
And a protrusion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surround the inlet of the second pocket unit,
The patch body portion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The layer form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pocket unit and the second pocket unit and the layer forming the protrus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patch for carrying cells,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first pocket unit, a part of the second pocket unit, and a part of the slit are position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켓 유닛의 측벽과 상기 제1 포켓 유닛의 바닥부가 만나는 제1 하측 코너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tch for carrying cell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lower corner portion where a sidewall of the first pocket unit and a bottom portion of the first pocket unit meet is formed to be rou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중앙부의 단면 크기는 상기 제2 입구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tch for carrying ce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pocket unit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inl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돌출 거리는 이하의 수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관계식)
Figure 112022123906571-pat00003

D:돌출부의 돌출거리
W21: 제2 포켓 유닛의 중앙부의 단면 너비
W22: 제2 포켓 유닛의 입구의 입구 너비
According to claim 6,
A patch for carrying cell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distance of the protrusions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relational expression)
Figure 112022123906571-pat00003

D: Protrusion distance of the protrusion
W 21 : Sectional width of the center of the second pocket unit
W 22 : width of the entrance of the second pocket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돌출부의 하면에는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측벽과 연결시키는 상측 코너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코너부는 외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측코너부의 라운드면의 기울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According to claim 7,
An upper corner portion connected to a side wall of the second pocket unit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ocket unit,
The patch for cell carry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orner portion is formed to be rounded, and the slope of the rounded surface of the upper corner portion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유닛의 높이는, 상기 포켓 유닛의 바닥부와 상기 패치몸체부의 이면과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According to claim 7,
The patch for cell carry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pocket unit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of the pocket unit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atch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켓 유닛은 일 방향으로, N+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포켓 유닛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포켓 유닛과 교번하여, N+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되며, N은 0 이상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cket units are arranged in a pattern in which N+1 unit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The cell-loading pa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ocket units are arranged in a pattern in which N+1 units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first pocket units in the one direction, where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켓 유닛은 일 방향으로, N+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포켓 유닛은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포켓 유닛과 교번하여, M+1 개씩 배치되는 패턴으로 배치되며,
상기 N 및 상기 M은 0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N 및 상기 M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ocket units are arranged in a pattern in which N+1 unit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The second pocket units are arranged in a pattern in which M+1 units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first pocket units in the one direction;
The N and the M are integers greater than or equal to 0,
The N and the 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ch for carrying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몸체부의 일면에는 상기 제1 포켓 유닛이 배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제2 포켓 유닛이 배치되는 제2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ell-loading patch of claim 1 , wherein a first area where the first pocket unit is dispos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second pocket unit is disposed do not overlap with the first area on one surface of the patch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포켓 유닛의 개수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2 포켓 유닛의 개수는 다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patch for cell carry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pocket units disposed in the first area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pocket units disposed in the second area are differently dispos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켓 유닛은, 입구 형태가 폐곡선의 형상으로 개방되는 제2 포켓유닛A 및 입구를 가로지르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2 포켓유닛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담지용 패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pocket unit includes a second pocket unit A having an open inlet in the shape of a closed curve and a second pocket unit B including a cover part crossing the inlet.

KR1020210004683A 2021-01-13 2021-01-13 Patch for cell encapsual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402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83A KR102540234B1 (en) 2021-01-13 2021-01-13 Patch for cell encapsual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683A KR102540234B1 (en) 2021-01-13 2021-01-13 Patch for cell encapsual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692A KR20220102692A (en) 2022-07-21
KR102540234B1 true KR102540234B1 (en) 2023-06-08

Family

ID=8261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683A KR102540234B1 (en) 2021-01-13 2021-01-13 Patch for cell encapsual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23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8116A1 (en) 2008-05-30 2009-12-03 Ye Fang Cell culture apparatus having different micro-well topography
KR101637083B1 (en) * 2014-09-18 2016-07-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ell culture plate installed on cell culture device
US20170253844A1 (en) * 2016-03-04 2017-09-07 Corning Incorporated Bowl shaped microwel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9262878B2 (en) * 2008-05-30 2013-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isotropic drapes and systems
KR101412083B1 (en) * 2012-07-24 2014-06-26 주식회사 새한마이크로텍 Cell culture unit, cell culture device and cell culture system
KR102219852B1 (en) * 2018-12-07 2021-02-25 주식회사 메디팹 Biocompatible structure comprising a hollow c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8116A1 (en) 2008-05-30 2009-12-03 Ye Fang Cell culture apparatus having different micro-well topography
KR101637083B1 (en) * 2014-09-18 2016-07-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ell culture plate installed on cell culture device
US20170253844A1 (en) * 2016-03-04 2017-09-07 Corning Incorporated Bowl shaped microw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692A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rma et al. Upgrading prevascularization in tissue engineering: a review of strategies for promoting highly organized microvascular network formation
Laschke et al. Life is 3D: boosting spheroid function for tissue engineering
Qu et al. Roles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spinal cord injury
CN106039414B (en) Preparation method of biological brick and biological brick prepared by same
KR102298147B1 (en) Culture method and cell mass
US9301925B2 (en) Inkjet printing of tissues and cells
JP6462897B2 (en) Compositions for cell-based three-dimensional printing
JP5013584B2 (en) Chondrocyte culture method and chondrocyte
Duffy et al. Engineered skeletal muscle tissue for soft robotics: Fabrication strategies, 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challenges
CN108079384B (en) Biological brick containing endothelial cells and application thereof
US20170049821A1 (en) Encapsulat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uses thereof
WO2010124207A1 (en) Interactive microenvironment system
JP6690001B2 (en) Cell tissue manufacturing method and porous film
Hesari et al. A hybrid microfluidic system for regulation of neural differentiation i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JP2015089433A (en) Tissue regeneration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caffold for tissue regeneration material
CN10784953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SC and application thereof
KR20210052328A (en) Artificial tissues or organ analogs prepared using three-dimensional cell printing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540234B1 (en) Patch for cell encapsual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103075A (en) Cell mass, cell structure, and stereoscopic tissue
Leberfinger et al. 3D printing for cell therapy applications
Harff et al. Tissue engineering of the lymphoid organs
CN114728025A (en) Cell cultures for the treatment of lower limb diseases
Mandla et al. Cardiac tissue
CN216738387U (en) Microfluidic multi-cell co-culture chip
Zhu et al. Engineered biomaterials in stem cell-based regenerative medic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