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674B1 - A method for issuancing a self-service docum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keypad, and an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issuancing a self-service docum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keypad, and an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674B1
KR102538674B1 KR1020220031210A KR20220031210A KR102538674B1 KR 102538674 B1 KR102538674 B1 KR 102538674B1 KR 1020220031210 A KR1020220031210 A KR 1020220031210A KR 20220031210 A KR20220031210 A KR 20220031210A KR 102538674 B1 KR102538674 B1 KR 102538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odule
input
menu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빈창범
Original Assignee
한국타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피(주) filed Critical 한국타피(주)
Priority to KR102022003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6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6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7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both tactile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무인민원발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는,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도록 구성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is provided.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includes a mapping module configured to map a specific command; and an input module configured to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pped specific command.

Description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FOR ISSUANCING A SELF-SERVICE DOCUM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KEYPAD, AND AN APPARATUS THEREFOR}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keypad and its device

본 발명은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키패드 등 다양한 종류로 구현되는 입력 모듈에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고,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증명 메뉴 이동, 선택 등을 수행함과 동시에 안내 음성 출력 및/또는 점자디스플레이 출력 등을 수행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민원발급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keypad and an apparatus therefor, and more specifically, a specific command is mapped to an input modul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such as a keypad, and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pped specific command Unattended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keypad that allows visually impaired users to quickly and easily step through the civil application issuance procedure by performing authentication menu movement and selection, as well as outputting voice guidance and/or braille display It is an invention related to a civil petition issuance method and its device.

현재 정부기관에서 발급되는 주민등록등본, 건축물 등기부등본 등과 같은 민원 증명서류나 보험회사 또는 은행에서 발급되는 연말정산용 예금 또는 보험료 납부 증명서류 등의 각종 민원에 관련된 증명서류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동사무소, 구청 또는 법원 민원실, 은행 등을 직접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한 후 신원을 확인 받아야만 한다. 그리고 이렇게 사용자가 직접 증명서류 발급기관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을 감수해야 한다. Currently, in order to obtain certificates related to civil petitions such as resident registration certificates issued by government agencies, certified copies of building registration, etc., or certificates issued by insurance companies or banks for year-end settlement or insurance premium payment, certificates related to various civil complaints are issued. You must visit the civil service office, bank, etc. to fill out an application form and have your identity verified.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user to directly visit the certification document issuing institution in this way, he has to endure a lot of time and space limitations.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관공서 등에는 증명 발급업무를 자동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무인민원발급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자 사이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무인민원발급장치는 주로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어 있어, 시각장애인 등이 관공서 등에 배치된 무인민원발급장치를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s are widely used as a device for automating certification issuance in government offices and are widely used among users. However, since the general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is mainly implemented to provide services to general users, there are still many difficulties in using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deployed in government offices and the like for the visually impaired.

또한, 기존의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 선택을 위해 각 메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음성 안내가 우선적으로 전부 수행되어야만 하므로, 시각장애인의 단순한 제증명 선택 절차에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and its device, all voice guidance including explanations of each menu must be performed first in order to select the certificates to be issued, so excessive There are problems that take time.

또한, 기존의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시각장애인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는 각 메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음성 안내를 전부 기억하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므로, 시각장애인이 메뉴 선택을 위한 키 번호 등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다시 처음부터 안내 음성 전부를 듣고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을 다시 선택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and its device, there is inevitably a limit to remember all voice guidance including descriptions of each menu that is performed by the visually impaired,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can If you do not remember the key number,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you have to listen to all of the guidance voices from the beginning and select the certificates to be issued again.

또한, 기존의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음성을 안내하는 이어폰이 구비되지 않거나 또는 주변에 과도한 소음이 발생하는 등으로 인해 시각장애인에게 안내 음성 전달이 어려운 경우, 시각장애인이 무인민원발급 절차를 밟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and device, when it is difficult to deliver the guidance voice to the visually impaired due to the absence of earphones for guiding voice or excessive noise in the surroundings,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ssues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There ar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follow the procedure.

또한, 기존의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단일한 종류의 버튼식 입력장치가 고정적으로 장착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입력장치와의 호환성 측면에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method and the device, since a single type of button-type input device is fixedly mount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inevitably limited in terms of compatibility with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키패드 등 다양한 종류로 구현되는 입력 모듈에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고,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증명 메뉴 이동, 선택 등을 수행함과 동시에 안내 음성 출력 및/또는 점자디스플레이 출력 등을 수행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민원발급절차를 밟도록 할 수 있는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pecific command is mapped to an input modul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such as a keypad, an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pped specific command, the authentication menu is moved, selected, etc. are performed, and guidance voice is output at the same tim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and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keypad that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us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take the civil application issuance procedure by performing and / or Braille display output. a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키패드 등 다양한 종류의 입력장치로 구현되는 입력 모듈과 호환 가능하고 이러한 입력 모듈에 특정 명령을 매핑시킴으로써, 입력 모듈의 종류, 형식 등에 구애받지 않고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무인민원발급 절차를 밟도록 할 수 있는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tible with input modules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such as keypads, and maps specific commands to these input modules, thereb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and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keypad that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to easily step through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procedure regardless of limitations.

또한, 본 발명은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증명 메뉴 이동, 선택 또는 취소 등을 수행함과 동시에 안내 음성 출력 및/또는 점자디스플레이 출력 등을 수행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을 선택하여 출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oves, selects, or cancels an identification menu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apped command, and at the same time performs a guide voice output and/or braille display output, so that a visually impaired user can quickly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and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keypad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select and print out various certificates to be issue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는,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도록 구성되는 매핑 모듈; 및 상기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mapping module configured to map a specific command; and an input module configured to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pped specific command.

또한, 상기 입력 모듈은, 복수 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매핑 모듈은, 상기 입력 모듈의 상기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module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mapping module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map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uttons of the input module and the specific command.

또한,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module configured to output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또한, 상기 출력 모듈은,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점자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점자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module may include 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voice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a braill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braill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또한,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방법은,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the steps of mapping a specific command; and output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pped specific command.

또한,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또한,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점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utput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may include outputting audio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ting braill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또한,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erve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무인민원발급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may be combined with a computer that is hardware and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o perform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키패드 등 다양한 종류의 입력장치로 구현되는 입력 모듈과 호환 가능하고 이러한 입력 모듈에 특정 명령을 매핑시킴으로써, 입력 모듈의 종류, 형식 등에 구애받지 않고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무인민원발급 절차를 밟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patible with input modules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such as keypads, and by mapping specific commands to these input modules, Regardless of the type or format of the input module, it is possible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easily go through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procedu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증명 메뉴 이동, 선택 또는 취소 등을 수행함과 동시에 안내 음성 출력 및/또는 점자디스플레이 출력 등을 수행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을 선택하여 출력받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apped command, moving, selecting, or canceling a certification menu is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By performing guidance voice output and/or Braille display output, etc., a visually impaired user can quickly and easily select and output certificates to be issu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40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방법(S1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에 의해 제증명 선택을 위한 메뉴 이동, 선택 또는 취소 등이 수행되고, 안내음성 및/또는 점자디스플레이가 출력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개념도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utput modu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method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describes an example in which menu movement, selection, or cancellation for selecting certificates is performed by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uide voice and / or braille display is output. It is an exemplary conceptual diagram for do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제어 모듈(100), 매핑 모듈(200), 입력 모듈(300), 출력 모듈(400), 통신 모듈(500), 저장 모듈(6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odule 100, a mapping module 200, an input module 300, an output module 400, and a communication module. 500, a storage module 600, and the like.

참고로, 도 1에 도시되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구성요소들(100, 200, 300, 400, 500, 6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동작, 기능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가 도시된 구성요소들(100, 200, 300, 400, 500, 60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전원 모듈, 인쇄 모듈, 알림 모듈 등)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For reference, the components 100, 200, 300, 400, 500, 600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shown in FIG. 1 are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unctions, etc. are merely exemplary components for explaining. That is,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ther components (eg, power module, printing module, notification module, etc.) can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입력 모듈(300)에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고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제증명 선택을 위한 메뉴 이동, 선택 또는 취소 등을 수행함과 동시에 안내 음성 및/또는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maps a specific command to the input module 300 and output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pped specific command, thereby moving and selecting menus for selecting certificates.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guide voice and/or a braille display while performing cancellation.

이에 따라, 기존의 무인민원발급장치에 의해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안내 음성을 모두 듣고 번호를 선택하여 제증명을 발급받는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unlike the conventional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in which a visually impaired user listens to all voice guidance and selects a number to obtain a certificate,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select and print the various certificates to be issued quickly and easi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에 의해 제증명 발급을 위한 메뉴 이동, 선택 또는 취소를 수행함과 동시에 안내 음성 및/또는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는 세부적인 구성 및 방법은 후술할 도 2, 도 3,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configuration and method of outputting a guide voice and/or a braille display while performing menu movement, selection, or cancellation for issuing certificates by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S. 2, 3, and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각 구성요소(200, 300, 400, 500, 6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module 100 configured to control each component (200, 300, 400, 500, 600)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00)은 매핑 모듈(200)에 입력 모듈(300)과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00)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는 통신 모듈(500)을 통해 매핑 모듈(200)에 송신되거나 또는 제어 모듈(100)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가 직접 매핑 모듈(200)에 송신되고, 매핑 모듈(200)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모듈(300)과 특정 명령을 매핑시킬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mapping the input module 300 and a specific command to the mapping module 200 .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the mapping modul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or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module 100 is directly mapped. It is transmitted to the module 200, and the mapping module 200 may map the input module 300 and a specific comman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00)은 입력 모듈(300)에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00)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는 통신 모듈(500)을 통해 입력 모듈(300)에 송신되거나 또는 제어 모듈(100)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가 직접 입력 모듈(300)에 송신되고, 입력 모듈(300)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to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mapped to the input module 300 .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the input modul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or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module 100 is directly input. It is transmitted to the module 300, and the input module 300 may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mapped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00)은 출력 모듈(400)에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100)에 의해 출력된 제어신호는 통신 모듈(500)을 통해 출력 모듈(400)에 송신되거나 또는 제어 모듈(100)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가 직접 출력 모듈(400)로 송신되고, 출력 모듈(400)은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content to the output module 400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from the input module 300 .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module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or th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control module 100 is directly output. It is transmitted to the module 400, and the output module 400 can output content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from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참고로, 제어 모듈(100)은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ntrol modul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 microprocessor, controller, microcontroller, or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도록 구성되는 매핑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may include a mapping module 200 configured to map a specific comma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모듈(200)은 특정 명령을 입력 모듈(300)에 매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모듈(200)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장치(예를 들어, 키패드 등)로 구현되는 입력 모듈(300)과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ap a specific command to the input module 300 . More specifically, 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ap a specific command with the input module 300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eg, keypads). .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00)은 복수 개의 버튼(예를 들어, 상/하/좌/우 버튼, 선택 버튼, 취소 버튼 등)을 구비하는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모듈(200)은 복수 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장치로 구현되는 입력 모듈(300)의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와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eg, up/down/left/right buttons, a select button, a cancel button, etc.) 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ap a specific command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ttons of the input module 300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모듈(200)에 의해 입력 모듈(300)과 매핑되는 특정 명령은 메뉴 이동 명령(예를 들어, 상방향 이동, 하방향 이동, 좌방향 이동, 우방향 이동 등), 메뉴 선택 명령, 메뉴 선택 취소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pecific command mapped to the input module 300 by 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nu movement command (eg, upward movement, downward movement, leftward movement, rightward movement) move, etc.), a menu selection command, a menu selection cancel command, and the lik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모듈(200)은 복수 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 모듈(300)의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사용자의 입력 모듈(300)의 특정 명령이 매핑된 버튼을 누르는 동작 등에 의해 특정 명령에 따른 메뉴 이동, 메뉴 선택, 메뉴 선택 취소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ap a specific command to at least one button among a plurality of buttons of the input module 300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and accordingly The unmanned civil petition issuing device 10 may move a menu, select a menu, cancel a menu selection, and the like according to a specific command by pressing a button to which a specific command of the user's input module 300 is mapp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모듈(200)이 입력 모듈(300)에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는 구성 즉, 매핑 모듈(200)이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특정 명령을 대응시키는 구성은 바람직하게는 일대일 매핑(one-to-one mapping)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연관되는 항목의 수에 따라 일대다 매핑(one-to-many mapping), 다대일 매핑(many-to-one mapping), 다대다 매핑(many-to-many mapp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ps a specific command to the input module 300, that is, the mapping module 200 sends a specific command to at least one of the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The matching configuration may preferably be implemented as one-to-one mapping,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to-many mapp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items associated with each other , many-to-one mapping, and many-to-many mapping.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모듈(200)에 의해 입력 모듈(300)과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는 경우, 입력 모듈(300)의 단일의 입력수단(예를 들어, 단일의 키 또는 버튼 등)에 단일의 특정 명령이 매핑되는 구성, 단일의 입력수단에 복수 개의 특정 명령이 매핑되는 구성, 복수 개의 입력수단에 단일의 특정 명령이 매핑되는 구성, 복수 개의 입력수단에 복수 개의 특정 명령이 매핑되는 구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put module 300 and a specific command are mapped by 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input means (for example, a single key or button) of the input module 300 etc.),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pecific commands are mapped to a single input mean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ingle specific command is mapped to a plurality of input mean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pecific commands are mapped to a plurality of input means It may be implemented as a mapped configur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입력 모듈(300)에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는 과정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상하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버튼 또는 키를 포함하는 입력 모듈(300)에 복수 개의 특정 명령을 순차적으로(예를 들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순서로) 매핑시키도록 안내하는 안내 음성 또는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guide a process of mapping a specific command to the input module 300. For example,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sends a plurality of specific commands to the input module 300 including buttons or keys indicating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for example, a clock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guide voice or braille display for guiding mapping (in a direction or counterclockwise order).

이와 같은 매핑 모듈(200)에 의한 수행되는 매핑을 통해, 입력 모듈(300), 예를 들어 키패드의 제조사, 종류 등에 무관하게 상/하/좌/우/선택/취소 버튼을 매핑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키패드에 대한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범용성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Through the mapping performed by the mapping module 200,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mapping of the up/down/left/right/select/cancel buttons of the input module 300, for example, regardless of the manufacturer or type of the keypad. And, therefore, the versatility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for the keypad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may include an input module 300 configured to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apped comman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00)은 매핑 모듈(200)에 의해 입력 모듈(300)에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00)은 복수 개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예를 들어, 복수 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등)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입력 동작(예를 들어, 버튼 누르기 등)에 의해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mapped to the input module 300 by the mapping module 200 . That is,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nput means (eg, an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etc.)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mapped by an input operation (eg, pressing a button).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00)은 복수 개의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매핑 모듈(200)에 의해 특정 명령이 입력 모듈(300)의 복수 개의 입력수단에 매핑되고, 특정 명령이 매핑된 복수 개의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의해 동작하면, 동작하는 입력수단에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means, and a specific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input modules 300 by the mapping module 200. Whe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input means mapped to an input means and to which a specific command is mapped is operated by a user's input operatio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mapped to the operating input means may be configured to be output.

참고로,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00)은 입력장치 또는 입력수단으로서, 키패드 형상의 입력수단, 회전을 통해 우측 또는 좌측 이동을 구현하는 원형 형상의 입력수단, 상하좌우 표시가 되는 방향키 패드 형상의 입력수단 등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갖는 입력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 4 ,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put device or input means, a keypad-shaped input means, a circular input that implements right or left movement through rotation. It can be implemented as an input means having various shapes and configurations, such as input means, input means in the shape of a directional key pad displaying up, down, left and righ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300)은 상방향 이동 버튼, 하방향 이동 버튼, 좌방향 이동 버튼, 우방향 이동 버튼, 선택 버튼, 취소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형상의 입력장치 또는 입력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고, 키패드에 구비된 각 버튼의 표면에는 시각장애인이 해당 버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odule 300 is a keypad-shaped input device including an upward movement button, a downward movement button, a left movement button, a right movement button, a select button, and a cancel button.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means, and braille character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each button provided on the keypad so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identify the corresponding button.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00)은 1개 또는 2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또는 입력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1개 또는 2개의 버튼은 일방향 또는 양방향 이동을 위한 키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버튼이 눌러지는 시간에 따라 제증명 메뉴 선택 또는 제증명 메뉴 선택 취소 등의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or input means having one or two buttons, and these one or two buttons are for one-way or two-way movement. It can be used as a key and can also be configured to output an input signal such as selecting a proof menu or canceling a proof menu selection according to the time the button is pressed.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사용자의 제스처 인식을 통해 좌방향 또는 우방향 메뉴 이동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사용자의 헤드 제스처(머리 기울임) 또는 핸드 제스처를 인식하여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제증명 메뉴 이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무인민원발급장치(10)에는 카메라와 같은 촬영 모듈(미도시)과,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헤드 제스처 또는 핸드 제스처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manned civil peti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leftward or rightward menu movement through user's gesture recognition. For example, the unmanned civil peti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a user's head gesture (head tilt) or hand gesture to implement a left or right movement of the authentication menu, which To this end,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may additionally include a photographing module (not shown) such as a camera and an analysis module (not shown) for analyzing a head gesture or hand gesture from a photographed imag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입력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400)은 디스플레이출력부(410), 음성출력부(420), 점자출력부(4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may include an output module 400 configured to output conten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 the output modu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output unit 410, an audio output unit 420, a braille output unit 430, and the lik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400)은 입력 모듈(300)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컨텐츠(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메뉴 이동 화면, 안내 음성, 점자디스플레이 등)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utput modu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content (eg, a display menu movement screen, a guide voice, a braille display, etc.)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utput by the input module 300. It can be configured to output.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400)은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출력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output modu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output unit 410 configured to output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는 입력 모듈(30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즉, 매핑 모듈(200)에 의해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에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즉, 제증명 메뉴 이동을 표현하는 화면, 제증명 메뉴 선택을 표현하는 화면, 제증명 메뉴 선택의 취소를 표현하는 화면 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pped to the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module 300, that is, by the mapping module 200. Depending on the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command, it can be configured to output a display screen, that is, a screen expressing the proof menu movement, a screen expressing the proof menu selection, a screen expressing the cancellation of the proof menu selection, and the like. there is.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되어 다양한 종류의 제증명(예를 들어, 주민등록, 토지, 건축, 지적, 차량, 보건복지, 농지원부, 어선원부, 국세증명, 가족관계, 제적부, 병적증명,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여권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to provide various types of certificates (eg, resident registration). , land, construction, cadastral, vehicle, health and welfare, agricultural support department, fishermen's department, national tax certificate, family relationship, registrant, medical certificate, health insurance, national pension, employment insurance, passport, etc.) can be configured to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는 입력 모듈(300)의 조작에 따라 출력되는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증명 메뉴 이동, 제증명 메뉴 선택 또는 제증명 메뉴 선택 취소를 표현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proof menu, selects the proof menu, or removes the proof menu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apped command output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module 300.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screen expressing proof menu selection cancella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는 다양한 종류의 복수 개의 제증명 중 어느 하나에 바운딩 박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명령 중 메뉴 이동 명령이 매핑된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메뉴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는 메뉴 이동 명령(즉, 좌측 이동 명령, 우측 이동 명령, 상측 이동 명령 및 하측 이동 명령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제증명의 바운딩 박스를 우측, 좌측,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제증명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bounding box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various types of proofs, and for example, a menu movement command among specific commands Whe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menu movement command from the input module 300 is output by manipulating the input means of the mapped input module 300,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menu Moves the bounding box of proo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o the proof placed on the right, left, upper or lower side according to a move command (ie, any one of the left move command, the right move command, the upper move command and the lower move command) can make it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특정 명령 중 메뉴 선택 명령이 매핑된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메뉴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는 메뉴 선택 명령에 따라 바운딩 박스가 표시된 제증명의 출력 절차에 관한 화면을 출력시킬 수 있다.Similarly, whe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menu selection command from the input module 300 is output by manipulating an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to which a menu selection command among specific commands is mapp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the menu selection command, the bounding box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related to the output procedure of the proof.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특정 명령 중 메뉴 선택 취소 명령이 매핑된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메뉴 선택 취소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는 메뉴 선택 취소 명령에 따라 표시되는 제증명의 출력 절차에 관한 화면을 이전의 다양한 복수 개의 화면이 표시되는 화면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Likewise, whe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menu selection cancellation command from the input module 300 is output by manipulating an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to which a menu selection cancellation command is mapped among specific commands,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vert a screen related to an output procedure of various certificates displayed according to a menu selection cancellation command to a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previous screens.

참고로, 디스플레이출력부(410)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무인민원발급장치(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인민원발급장치(10)에서 무인민원발급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무인민원발급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isplay output unit 410 may displa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through a display means. For example, when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program or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ay be displayed.

또한, 디스플레이출력부(410)의 디스플레이 수단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means of the display output unit 41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입력 모듈(300)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출력부(410)를 통해 제증명 메뉴 이동, 선택, 취소 등의 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and thus the input module 300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Even if it is not, it is possible to output input signals such as moving, selecting, and canceling the authentication menu through the display output unit 410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는 저시력자를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 확대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출력부(410)에 화면 확대 버튼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저시력자인 사용자가 이러한 화면 확대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출력부(410)에 구비되는 화면 확대 버튼의 위치 등에 관한 안내는 안내 음성 또는 점자디스플레이 등으로 출력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enlargement of a display screen for a person with low vision. For example, a screen enlargement butt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nd the display screen may be enlarged by a user with low vision selecting such a screen enlargement button. For reference, guidance regarding the position of the screen enlargement button provided in the display output unit 410 may be output through a voice guidance or a braille displ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400)은 입력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음성출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modu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420 configured to output audio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부(420)는 입력 모듈(30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즉, 매핑 모듈(200)에 의해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에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바운딩 박스가 이동하는 제증명에 관한 안내 음성, 제증명 메뉴 선택에 관한 안내 음성 또는 제증명 선택 취소에 관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udio output uni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pped to the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module 300, that is, by the mapping module 200. Depending on the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command, the bounding box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guide voice for moving proofs, a guide voice for menu selection, or a guide voice for cancellation of proof selec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부(420)는 입력 모듈(300)의 조작에 따라 출력되는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바운딩 박스가 이동하는 제증명에 관한 안내 음성, 제증명 메뉴 선택에 관한 안내 음성 또는 제증명 선택 취소에 관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voice output uni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voice for proof that the bounding box moves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apped command output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module 300. ,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guide voice for menu selection or a guide voice for cancellation of verification selec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명령 중 메뉴 이동 명령이 매핑된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메뉴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출력부(410)가 메뉴 이동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제증명의 바운딩 박스를 우측, 좌측,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제증명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부(420)는 바운딩 박스가 이동하는 제증명에 관한 안내 음성(예를 들어, “주민등록등본” 등)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menu movement command from the input module 300 is output by manipulating an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to which a menu movement command is mapped among specific commands, the display output unit ( 410) moves the bounding box of the proof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menu movement command to the proofs disposed on the right, left, upper or lower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audio output uni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a guide voice (for example, “resident registration copy, etc.”) regarding the proof to which the bounding box moves.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특정 명령 중 메뉴 선택 명령이 매핑된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메뉴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가 메뉴 선택 명령에 따라 바운딩 박스가 표시된 제증명의 출력 절차에 관한 화면을 출력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부(420)는 제증명 메뉴 선택에 관한 안내 음성(예를 들어, “선택” 등)을 출력할 수 있다.Similarly, whe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menu selection command from the input module 300 is output by manipulating an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to which a menu selection command among specific commands is mapp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the menu selection command outputs a screen related to the output procedure of the proof displaying the bounding box, and at the same time, the audio output uni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proof menu A guide voice (for example, “selection”, etc.) may be output.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특정 명령 중 메뉴 선택 취소 명령이 매핑된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메뉴 선택 취소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가 메뉴 선택 취소 명령에 따라 표시되는 제증명의 출력 절차에 관한 화면을 이전의 다양한 복수 개의 화면이 표시되는 화면으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부(420)는 제증명 선택 취소에 관한 안내 음성(예를 들어, “선택 취소” 등)을 출력할 수 있다.Likewise, whe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menu selection cancellation command from the input module 300 is output by manipulating an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to which a menu selection cancellation command is mapped among specific commands,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verts the screen related to the output procedure of the various certificate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enu selection cancellation command into a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previous screens, and at the same tim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output unit 420 according to the example may output a guide voice (eg, "cancel selection", etc.) for de-certification selection cancellation.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출력부(420)는 출력되는 안내 음성의 속도, 음량, 언어, 목소리, 톤 등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부(420)는 입력 모듈(300)을 통한 사용자 설정 요구에 따라 안내 음성의 속도, 음량 등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output unit 42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peed, volume, language, voice, tone, etc. of the output guidance voice. For example, the voice output unit 42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peed, volume, etc. of the guidance voic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request through the input module 300 .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출력부(420)는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는 초음파가 공간을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왜곡성질을 이용하여 직진이 가능한 초음파를 정교하게 조작하여 음성신호를 실어 송신하는 방법을 이용한 스피커로서, 무인민원발급장치(1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만 안내 음성 등 소리가 전달되므로 주변에 소음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복수 개의 무인민원발급장치(10)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서로 소리가 겹치지 않아 사용자가 혼동하지 않고 무인민원발급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Also,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output unit 420 may be implemented as a super-directional speaker or a sound concentrating speaker. For reference, a super-directional speaker or sound-focused speaker is a speaker using a method of carrying and transmitting a voice signal by precisely manipulating ultrasonic waves capable of going straight using distortion properties generated when ultrasonic waves pass through space, and is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Since the sound such as a guide voice is transmitted only to the user who wants to use (10), it is possible not to cause noise in the surroundings.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부(42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고, 좌방향 또는 우방향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모듈(300)의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각각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는 스피커에서만 소리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입력 모듈(300)을 통한 좌우 방향 제증명 메뉴 이동 조작 시,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제증명 메뉴 이동을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dio output unit 42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two speaker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nd input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module 300, sound may be output only from speaker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ly, when a visually impaired user moves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the input module 300,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and easily recognize the movement of the verification menu.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400)은 입력신호에 따라 점자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점자출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output modu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raille output unit 430 configured to output braille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출력부(430)는 입력 모듈(300)로부터 출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즉, 매핑 모듈(200)에 의해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에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증명 메뉴 이동, 제증명 메뉴 선택, 제증명 메뉴 선택 취소에 관한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raille output unit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pped to the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by 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module 300.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braille display related to moving to the proof menu, selecting the first proof menu, and canceling the first proof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ed comma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출력부(430)는 입력 모듈(300)의 조작에 따라 출력되는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증명 메뉴 이동, 제증명 메뉴 선택 또는 제증명 메뉴 선택 취소에 관한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raille output unit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proof menu, selects the proof menu, or selects the proof menu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mapped command output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input module 300.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braille display related to selection cancella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명령 중 메뉴 이동 명령이 매핑된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메뉴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출력부(410)가 메뉴 이동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제증명의 바운딩 박스를 우측, 좌측,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제증명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출력부(430)는 제증명 메뉴 이동에 관한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menu movement command from the input module 300 is output by manipulating an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to which a menu movement command is mapped among specific commands, the display output unit ( 410) moves the bounding box of the proof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menu movement command to the proofs disposed on the right, left, upper or lower 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braille output unit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braille display related to moving the proof menu.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특정 명령 중 메뉴 선택 명령이 매핑된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메뉴 선택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가 메뉴 선택 명령에 따라 바운딩 박스가 표시된 제증명의 출력 절차에 관한 화면을 출력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출력부(430)는 제증명 메뉴 선택에 관한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imilarly, whe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menu selection command from the input module 300 is output by manipulating an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to which a menu selection command among specific commands is mapp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the menu selection command outputs a screen related to the output procedure of the proof with the bounding box displayed, and at the same time, the braille output unit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proof menu. It can be configured to output a braille display about.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특정 명령 중 메뉴 선택 취소 명령이 매핑된 입력 모듈(3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모듈(300)로부터의 메뉴 선택 취소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출력부(410)가 메뉴 선택 취소 명령에 따라 표시되는 제증명의 출력 절차에 관한 화면을 이전의 다양한 복수 개의 화면이 표시되는 화면으로 변환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출력부(430)는 제증명 선택 취소에 관한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할 수 있다.Likewise, when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menu selection cancellation command from the input module 300 is output by manipulating an input means of the input module 300 to which a menu selection cancellation command is mapped among specific commands,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utput unit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verts the screen related to the output procedure of the various certificate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enu selection cancellation command into a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previous screens, and at the same tim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lle output unit 430 according to the example may output a braille display related to cancellation of selection of proof.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출력부(430)는 재생 가능 점자 디스플레이(refreshable braille display) 또는 점자 단말기(braille terminal)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평평한 표면의 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핀을 이용하여 점자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기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braille output unit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refreshable braille display or a braille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through a hole in a flat surface. It can be implemented as a mechanical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braille characters using protruding pin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가 제증명 메뉴 이동, 제증명 메뉴 선택 또는 제증명 메뉴 선택 취소와 동시에 안내 음성을 출력하거나 또는 점자(즉,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을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안내 음성 및 점자를 모두 출력함으로써 제증명 메뉴 선택에 관한 정확도를 추가로 보장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guide voice or displays braille (ie, a braille display) at the same time as moving to the authentication menu, selecting the authentication menu, or canceling the authentication menu selection. By outputting, the visually impaired user can quickly and easily select and receive the certificates to be issued, and by outputting both the guide voice and braille, accuracy of the certificate menu selection can be additionally guaranteed.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400)을 통해 음성이 출력되는지, 점자가 출력되는지, 또는 음성 및 점자 모두가 출력되는지 여부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구현예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 출력 모드, 점자 출력 모드, 또는 음성/점자 출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마련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whether voice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modu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braille is output, or both voice and braille are output depend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It may be different, and for example, an interface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 voice output mode, a braille output mode, or a voice/braille output mod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500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 signal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erver.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500)은 제증명에 관한 정보를 보유하는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입력 모듈(300)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선택되는(또는, 사용자가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or ,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various certificates that the user wants to be issu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500)이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에 관한 정보를 보유하는 외부의 서버에 선택되는 제증명에 관한 정보의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외부의 서버로부터 선택된 제증명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신한 제증명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의 무인민원발급 즉, 제증명 발급에 활용될 수 있다.That is,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request signal for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certificate to an external server holding information about the certificate that the user wants to be issued or selected, Accordingly,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ertificates from an external server,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ertificates can be used for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of the user, that is, issuance of certificates.

참고로, 통신 모듈(500)은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5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모듈(500)은 제어 모듈(100), 매핑 모듈(200), 입력 모듈(300), 출력 모듈(400), 저장 모듈(60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제어 모듈(100), 매핑 모듈(200), 입력 모듈(300) 또는 출력 모듈(400)로 전달하거나 저장 모듈(60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에는 텍스트, 이미지, 동화상 등의 컨텐츠 등이 포함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is provided for direct connection to the outside or connection through a network, and may be a wired and/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00.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transmits data from the control module 100, the mapping module 200, the input module 300, the output module 400, the storage module 600, etc.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Data from the outside may be transferred to the wired or wireless control module 100 , mapping module 200 , input module 300 or output module 400 or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600 . The data may include content such as text, image, and moving picture.

또한, 통신 모듈(500)은 랜(LA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Radio Frequency)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유,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is a LAN,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wireless LAN (Wireless LAN),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Wi-Fi (Wireless Fidelity),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infrared communication, and the like. However, this is just an example, and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pplicable in the art may be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각 구성(100, 200, 300, 400, 5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is a storage module 600 in which data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100, 200, 300, 400, 500)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is stored. )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모듈(600)에 입력 모듈(300)과의 호환을 위한 데이터, 입력 모듈(300)과 매핑되는 특정 명령에 관한 데이터, 입력 모듈(300)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신호에 관한 데이터, 디스플레이출력부(410)에 의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관한 데이터, 음성출력부(420)에 의해 출력되는 안내 음성에 관한 데이터, 점자출력부(430)에 의해 출력되는 점자/점자디스플레이에 관한 데이터, 외부의 서버와 송수신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data for compatibility with the input module 300 in the storage module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related to a specific command mapped with the input module 300, and Data related to the input signal output by the display output unit 410, data related to the display screen output by the display output unit 410, data related to the guidance voice output by the audio output unit 420, and outputted by the braille output unit 430 Data related to a braille/braille display to be used, data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and the like may be stored.

참고로, 저장 모듈(60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외부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저장 모듈(600)이 인터넷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대체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storage module 600, a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cludes a hard disk drive (HDD),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flash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flash memory, CF (Compact Flash) card, SD (Secure Digital) card, SM (Smart Media) card, MMC (Multimedia) card, or Memory Stick It may be implemented as, and as shown in FIG. 1,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or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external device. Alternatively, the storage module 600 may be replaced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n the Internet.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 입력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음성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별도의 마이크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음성을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음성 발음을 갖는 제증명을 안내 음성 또는 점자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제안하고, 사용자가 제안된 제증명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증명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input unit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and may be configured to select various certificates to be issued by the user through voice recognition. . That is,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voice recognized through a separate microphone input unit and proposes a proof having a voice pronunciation with a high degree of similarity through a guide voice or braille display, etc. , by the user selecting the proposed proofs, the proof selection can be made easily.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별도의 필기 입력부 또는 점자 입력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필기인식 또는 점자인식을 통해 사용자가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별도의 필기 입력부 또는 점자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필기 또는 점자를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필기 형상을 갖는 제증명 또는 인식된 점자와 일치하는 제증명을 안내 음성 또는 점자디스플레 등을 통해 제안하고, 사용자가 제안된 제증명을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증명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handwriting input unit or braille input unit, and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certificate to be issued through handwriting recognition or braille recognition. can be configured. That is,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handwriting or braille recognized through a separate writing input unit or braille input unit to match the proof or recognized braille having a writing shape with a high degree of similarity. [0041] [24] Proposal is made through a guide voice or Braille display, and the user selects the proposed proof, so that the selection of proof can be easily made.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예를 들어, 동공 정보, 지문 정보 등)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인증된 개인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 장애 보유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각 장애 보유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사용자에 따라 안내 음성 또는 점자디스플레이 출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uthentication o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by recogniz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eg, pupil information, fingerprint information, etc.), and authenticated It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has a visual impairment through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a visual impairment and select whether to output a guide voice or a braille display according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과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사용자의 시각 장애 보유 여부, 수수료 결제 여부,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 선택 등의 판단에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terwork with a user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for interlocking is installed, an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application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a visual impairment, payment of a fee. It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selection of certificates to be issued, etc.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별도의 리모콘 장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무인민원발급장치(10)로부터 소정의 거리(예를 들어, 1미터 이내 등) 이내에서 리모콘 장치를 감지할 경우 해당 사용자를 시각장애인으로 판단하고, 안내 음성 및/또는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separate remote control device possessed by the user,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eg, When detecting a remote control device within 1 meter, etc.), the corresponding user may be determined as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a guidance voice and/or braille display may be output.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별도의 리모콘 장치 감지 시 리모콘을 보유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시각장애인이 소유하는 리모콘 장치에 구비되는 버튼을 입력 모듈(300)로, 즉 메뉴 이동, 선택, 취소 등을 구현하는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매핑 모듈(200)을 통해 리모콘 장치의 버튼과 특정 명령을 매핑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user's location holding the remote control when a separate remote control device is detected. In addition, i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tton provided on a remote control device owned by a visually impaired person is converted to an input module 300, that is, a button implementing menu movement, selection, cancellation, etc. Button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may be mapped to specific commands through the mapping module 200 so that they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사용자의 안구운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안구 운동을 분석하여 시각장애인 여부를 판단하여, 시각장애인으로 판단 시 메뉴 이동, 선택 또는 취소를 위한 안내 음성 및/또는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eye movement of the user and analyzes the detected eye movemen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visually impaired.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guide voice and/or braille display for cancell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방법(S10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method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방법(S100)에 의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모듈(200)이 입력 모듈(300)에 특정 명령을 매핑시킬 수 있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모듈(200)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장치(예를 들어, 키패드 등)로 구현되는 입력 모듈(300)과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method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p a specific command to the input module 300 (S110). More specifically, 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ap a specific command with the input module 300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eg, keypads). .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00)은 복수 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 모듈(200)은 복수 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장치로 구현되는 입력 모듈(300)의 복수 개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와 특정 명령을 매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and the mapping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urality of buttons. It may be configured to map a specific command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ttons of the input module 300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having the input device.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00)은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2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00)은 매핑 모듈(200)에 의해 입력 모듈(300)에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pped specific command (S120). More specifically,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mapped to the input module 300 by the mapping module 200 .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300)은 복수 개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입력장치(예를 들어, 복수 개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장치 등)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입력 동작(예를 들어, 버튼 누르기 등)에 의해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input modul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nput means (eg, an inpu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etc.) I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command mapped by an input operation (eg, pressing a button).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400)은 입력신호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13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모듈(400)은 입력 모듈(300)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컨텐츠(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메뉴 이동 화면, 안내 음성, 점자디스플레이 등)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output modu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conten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S130). More specifically, the output modu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content (eg, a display menu movement screen, a guide voice, a braille display, etc.)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output by the input module 300. It can be configured to output.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500)은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S140).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500)은 제증명에 관한 정보를 보유하는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입력 모듈(300)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선택되는(또는, 사용자가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 signal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erver (S140).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or ,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bout various certificates that the user wants to be issu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500)이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에 관한 정보를 보유하는 외부의 서버에 선택되는 제증명에 관한 정보의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이에 따라 외부의 서버로부터 선택된 제증명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수신한 제증명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의 무인민원발급 즉, 제증명 발급에 활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That is, the communication modul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request signal for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certificate to an external server holding information about the certificate that the user wants to be issued or selected,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ertificates from an external server,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ertificates can be used for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of the user, that is, issuance of the certificates.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송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증명 발급 즉, 무인민원발급을 완료할 수 있다(S150).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장치(10)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증명 정보를 기반으로 별도의 인증 과정 및 인쇄 과정을 거쳐 제증명을 발급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인민원발급방법(S100)에 의한 제증명 발급을 완료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lete issuance of certificates, that is,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based on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information (S150). For example,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sues various certificates through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ss and printing process based on the ver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thereby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certificate issuance by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S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키패드 등 다양한 종류의 입력장치로 구현되는 입력 모듈과 호환 가능하고 이러한 입력 모듈에 특정 명령을 매핑시킴으로써, 입력 모듈의 종류, 형식 등에 구애받지 않고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무인민원발급 절차를 밟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blind using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patible with input modules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such as keypads, and is specific to these input modules. By mapping the commands, it is possible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easily go through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procedure regardless of the type or format of the input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제증명 메뉴 이동, 선택 또는 취소 등을 수행함과 동시에 안내 음성 출력 및/또는 점자디스플레이 출력 등을 수행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인 사용자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발급받고자 하는 제증명을 선택하여 출력받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specific mapped command, moving, selecting, or canceling a certification menu is performed, and at the same time By performing guidance voice output and/or Braille display output, etc., a visually impaired user can quickly and easily select and output certificates to be issued.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middleware, microcode, software, and/or combinations thereof. For example,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other electronic units designed to perform the functions presented herein,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various embodiments may be embodied or enco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Instructions embodied or enco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can cause a programmable processor or other processor to perform a method, eg, when the instructions are executed.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s computer storage media, which may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For example, such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RAM, ROM, E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edia, magnetic disk storage media or other magnetic storage devices.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Such hardware, software, firmware, etc.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same device or within separate devices to support the various operation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Additionally, the elements, units, modules, components, etc., described as "-unit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gether or separately as interoperable logic devices. Depiction of different features for modules, units, etc. is intended to highlight different functional embodiments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must be realized by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Rather, functionality associated with one or more modules or units may be performed by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or integrated within common or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While ac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se actions need to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shown, or in a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depicted actions need to be performed to achieve a desired result. . In some circumstanc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Moreover, the division of various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divis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components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or defining the meaning. Therefo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무인민원발급장치
100: 제어 모듈
200: 매핑 모듈
300: 입력 모듈
400: 출력 모듈
410: 디스플레이출력부
420: 음성출력부
430: 점자출력부
500: 통신 모듈
600: 저장 모듈
10: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0: control module
200: mapping module
300: input module
400: output module
410: display output unit
420: audio output unit
430: braille output unit
500: communication module
600: storage module

Claims (10)

무인민원발급장치(10)로서,
메뉴 이동 명령, 메뉴 선택 명령 및 메뉴 선택 취소 명령을 포함하는 특정 명령을 입력 모듈(300)의 각 버튼에 매핑시키도록 구성되는 매핑 모듈(200);
상기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300); 및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바운딩 박스가 이동하는 제증명에 관한 안내 음성, 제증명 메뉴 선택에 관한 안내 음성 또는 제증명 선택 취소에 관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음성출력부(420)와,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제증명 메뉴 이동, 제증명 메뉴 선택 또는 제증명 메뉴 선택 취소에 관한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점자출력부(430)로 구성되는 출력 모듈(400)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할지, 점자를 출력할지, 음성 및 점자 모두를 출력할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출력되는 안내 음성이 상기 무인민원발급장치(10)의 사용자에게만 전달되도록 상기 음성출력부(420)가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
As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a mapping module 200 configured to map a specific command including a menu move command, a menu selection command, and a menu selection cancel command to each button of the input module 300;
an input module 300 configured to output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pped specific command; and
An audio output unit 420 configured to output a guide voice for the moving of the bounding box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 guide voice for selecting a menu for authentication, or a guide voice for canceling the selection of the first certificate; and the input signal An output module 400 composed of a braille output unit 430 configured to output a braille display related to moving the proof menu, selecting the proof menu, or canceling the proof menu selection according to
An interface is provided to the user to allow the user to select whether to output voice, braille, or both voice and braille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output unit 420 is implemented as a super-directional speaker or a sound-focused speaker so that the output guidance voice is delivered only to the user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500)을 더 포함하는,
무인민원발급장치(10).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500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10).
무인민원발급방법으로서,
메뉴 이동 명령, 메뉴 선택 명령 및 메뉴 선택 취소 명령을 포함하는 특정 명령을 입력 모듈의 각 버튼에 매핑시키는 단계;
상기 매핑된 특정 명령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바운딩 박스가 이동하는 제증명에 관한 안내 음성, 제증명 메뉴 선택에 관한 안내 음성 또는 제증명 선택 취소에 관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제증명 메뉴 이동, 제증명 메뉴 선택 또는 제증명 메뉴 선택 취소에 관한 점자디스플레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할지, 점자를 출력할지, 음성 및 점자 모두를 출력할지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출력되는 안내 음성이 무인민원발급장치의 사용자에게만 전달되도록 상기 안내 음성의 출력이 초지향성 스피커 또는 음향집중 스피커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민원발급방법.
As an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mapping a specific command including a menu move command, a menu selection command, and a menu selection cancel command to each button of the input module;
output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pped specific command; and
outputting a voice guide for moving the bounding box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Outputting a braille display related to moving to the proof menu, selecting the first proof menu, or canceling the first proof menu selec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 interface is provided to the user to allow the user to select whether to output voice, braille, or both voice and braille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guidance voice is implemented as a super-directional speaker or a sound-focused speaker so that the output guidance voice is delivered only to the user of th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ing device,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외부의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인민원발급방법.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server.
Unmanned civil application issuance method.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 6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Combined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or 9,
computer program.
KR1020220031210A 2022-03-14 2022-03-14 A method for issuancing a self-service docum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keypad, and an apparatus therefor KR1025386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210A KR102538674B1 (en) 2022-03-14 2022-03-14 A method for issuancing a self-service docum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keypad, and an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210A KR102538674B1 (en) 2022-03-14 2022-03-14 A method for issuancing a self-service docum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keypad, and an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674B1 true KR102538674B1 (en) 2023-06-01

Family

ID=8677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210A KR102538674B1 (en) 2022-03-14 2022-03-14 A method for issuancing a self-service docum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keypad, and an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67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10A (en) * 2014-07-02 2016-01-12 이태훈 Automatic system for blind pers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70004058A (en) *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A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for blind
KR20170128196A (en) * 2017-11-15 2017-11-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Tactile Interfac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10A (en) * 2014-07-02 2016-01-12 이태훈 Automatic system for blind pers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70004058A (en) *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A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for blind
KR20170128196A (en) * 2017-11-15 2017-11-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Tactile Interface Devic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4010호 (2016.01.12.)*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4058호 (2017.01.11.)*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8196호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237B1 (en) Terminal and handsfree device for servicing handsfree automatic interpretation, and method thereof
US10643164B2 (en) Touchless mobile applications and context-sensitive workflows
KR102354415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261083A1 (en) Gesture-based user interface
US95211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asswords using key inputs and contextual inputs
US9093070B2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a preset control command based on a recognized sound and its input direction
JP2018074366A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6018711A (en) Communicat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animated representation of time remaining for input to recognizer
CN103477342B (en) Device access using voice authentication
KR102041984B1 (en) Mobile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face recognition with additional component
KR102203144B1 (en) A self-service document issuance device
KR20220147546A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00040362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osition displaying on map thereof
US20040203411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576557B1 (en) Apparatus for anti-hacking fingerprint recognition means of cell-phone and surface means and method of the same
KR102501245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key
KR102538674B1 (en) A method for issuancing a self-service docum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keypad, and an apparatus therefor
KR20180099423A (en)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function execution based on speech command in Locked st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251710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anaging content of external device using wearable glass device
KR20190101100A (en) Voice input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the same
KR1024531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rivate information to automatic response system
KR102178175B1 (en) User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KR20220089871A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digital i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2005583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22232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