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82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nformation of a car, and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nformation of a car, and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826B1
KR102536826B1 KR1020150095724A KR20150095724A KR102536826B1 KR 102536826 B1 KR102536826 B1 KR 102536826B1 KR 1020150095724 A KR1020150095724 A KR 1020150095724A KR 20150095724 A KR20150095724 A KR 20150095724A KR 102536826 B1 KR102536826 B1 KR 102536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bject
unit
image
appro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7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5560A (en
Inventor
김준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826B1/en
Publication of KR2017000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차량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의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2개의 영상 획득 유닛;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피사체를 인식하는 물체 인식부; 상기 인식된 피사체 중에서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를 파악하는 제어부;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에 표시하는 제1 표시 유닛; 및 상기 피사체 방향으로 상기 차량 외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2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image acquisition units disposed in a vehicle and acquiring images of subjects in different directions; an object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subject from the obtained image;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from among the recognized subjects;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the approaching subject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and a second display unit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Description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과, 이 방법을 구현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NFORMATION OF A CAR, AND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HE METHOD}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implementing the method

실시 예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과, 이 방법을 구현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implementing the method.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에서 운전자가 전방, 좌우측, 후방을 정확하게 살필 수 있도록 운전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주정차시에 매우 근접된 위치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In a vehicle traveling at high speed, it is very important to form a driving space so that the driver can accurately look ahead, left and right, and rearward, and also to monitor a very close position when parking or stopping.

즉, 고속 주행시에 차량의 먼 후방을 살필 수 있어야 하고, 주정차시와 같이 저속 주행시 일정한 위치에 차량을 정지시켜야 할 때에는 차량에 근접된 위치를 주시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driving at high spee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look at the far rear of the vehicle, and when driving at low speed, such as when driving at a high spee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keep an eye on a position close to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needs to be stopped at a certain position.

이를 위하여 차량에는 차량 실내에 설치되어 직후방을 주시하게 되는 룸미러와, 상기한 차량 외부에서 좌우측에 설치되어 차량 좌우측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아웃사이드 미러로 차량의 측면과 후방을 주행 시 볼 수 있도록 하고, 주정차시에는 차량의 후방 범퍼에 설치된 후방 감지 센서(근접센서,초음파 센서등)나 후방 카메라로 보이지 않는 근접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To this end, the vehicle has a room mirror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o keep an eye on the rear and rear, and an outside mirror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utside the vehicle so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can be seen, so that the side and rear of the vehicle can be seen while driving. When parking and stopping, a rear detection sensor (proximity sensor, ultrasonic sensor, etc.) installed on the rear bumper of the vehicle or a rear camera detects an invisible proximity position.

즉, 상기한 아웃 사이드 미러는 차량 주행 시 먼 거리의 후방을 주시하거나 차량에 탑승한 뒷좌석 승객을 살피는데 사용되고, 후방 범퍼에 설치된 감지 센서나 후방 카메라는 룸미러 및 아웃사이드 미러로 보이지 않는 차량 후방 낮은 부분에 어린아이, 장애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outside mirror is used to look at the rear of the vehicle from a long distance or to check the passengers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while driving, and the detection sensor or rear camera installed on the rear bumper is not visible to the rear of the vehicle as a room mirror and an outside mirror. It can warn the driver by detecting foreign objects such as children and obstacles in the lower part.

또한, 차량용 후방 카메라는 차량의 기어가 후진 모드(mode)에 놓였을 때 작동하고, 차량의 배터리나 후미등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네비게이션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후진시에 차량 후방의 영상을 네비게이션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rear camera operates when the vehicle gear is in reverse mode, can receive power from the vehicle's battery or taillight, and is connected to the navigation system by wire to image the rear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is in reverse. displayed in the navigation.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후방 카메라 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ar camera for vehicles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차량용 후방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이 네비게이션의 표시장치에 표시되거나 인접한 피사체가 감지되어 경보음이 울릴 때, 운전자는 피사체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고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감안하여 운전할 수 있다.First, when an image captured by a vehicle rear camera i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of a navigation system or an alarm sounds when an adjacent subject is detected, the driver can visually check the subject and drive considering the distance to the subject.

둘째, 야간이나 어두운 환경에서 차량 운행시에, 후방 카메라 등에서 촬영된 영상이 네비게이션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더라고 육안으로 식별이 어려울 수 있다.Second, when driving a vehicle at night or in a dark environment, it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with the naked eye even if an image captured by a rear camera or the like i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of a navigation system.

셋째, 차량의 주행 중에 차량의 후방이나 측방으로부터 다른 차량 등이 접근하더라고 네비게이션 등에서 이를 확인하기 어렵다.Third, even if another vehicle or the like is approaching from the rear or side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it is difficult to confirm it through a navigation system or the like.

넷째, 후방 카메라 등에서 촬영된 영상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제공되어 운전자의 편의를 제공하나, 차량에 접근하는 보행자 등에게는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는다.Fourth, the image taken by the rear camera is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provide the driver's convenience, but no information is provided to pedestrians approaching the vehicle.

실시 예는 차량의 운행 중에 운전자가 접근하는 피사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운전자 편의를 증가시키고, 또한 보행자에게도 위험성을 알리고자 한다.The embodiment is intended to prevent accidents and increase driver convenience by enabling a driver to easily recognize an approaching subject while driving a vehicle, and to inform pedestrians of danger.

실시 예는 차량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의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2개의 영상 획득 유닛;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피사체를 인식하는 물체 인식부; 상기 인식된 피사체 중에서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를 파악하는 제어부;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에 표시하는 제1 표시 유닛; 및 상기 피사체 방향으로 상기 차량 외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2 표시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two image acquisition units disposed in a vehicle and acquiring images of subjects in different directions; an object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subject from the obtained image;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from among the recognized subjects;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the approaching subject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and a second display unit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영상 획득 유닛은, 상기 차량의 전방과 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include a camera disposed on at least one of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vehicle.

영상 획득 유닛은 상기 각각의 카메라의 개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unit that moves the aperture of each of the cameras.

제어부는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move the camera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approaching subject.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는 피사체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거리 측정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unit that transmits a signal to a subject and receives a signal reflected from the subject.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는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의 화질 및/또는 밝기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image quality and/or brightness of the image of the approaching subject.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PIP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may display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on a main screen and display an image of the approaching subject in a PIP manner.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차량의 주행 맵을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driving map of the vehicle as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제어부는, 상기 PIP 방식으로 표시되는 영상과 대응하여 상기 PIP 방식으로 표시되는 영상과의 거리를 전달하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PIP 방식으로 표시되는 영상과 인접하여 상기 PIP 방식으로 표시되는 영상과의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transmits a distance to the image displayed in the PIP metho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mage displayed in the PIP method, and the first display unit is adjacent to the image displayed in the PIP method and displayed in the PIP method. The distance to the image can be displayed.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에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may output the approaching subject information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s a sound.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는 차량 외부에 배치된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유닛은,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 방향으로 상기 차량 외부의 조명 유닛을 켜거나 또는 깜빡일 수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and the second display unit may turn on or blink the lighting unit outside the vehicle in the direction of the approaching subject.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는 차량 외부에 배치된 음성 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유닛은, 상기 차량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and the second display unit may output an alarm soun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다른 실시예는 차량 외부의 복수 개의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방향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 방향으로 상기 차량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includes obtaining images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outside the vehicle; recognizing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from the images of the plurality of directions; displaying the approaching subject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and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vehicle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영상의 획득은, 상기 차량의 전방과 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카메라의 촬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quisition of the image may be performed by taking a picture of a camera disposed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and side of the vehicle.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의 개구부를 이동시켜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The subject may be photographed by moving the opening of the camera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의 파악은, 상기 복수 개의 영상에 대응하여 신호를 송신하고 반사되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각각의 영상 정보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To identify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images may be transmitted and a distance of each image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from a signal received after being reflected.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의 상기 차량 내부에의 표시는, 상기 차량의 표시 장치에 상기 피사체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In order to display the approaching subject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an image of the subject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of the vehicle.

차량의 주행 정보를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를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b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information on the approaching subject may be displayed in a picture in picture (PIP) method.

차량의 주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주행 맵(map)을 나타낼 수 있다.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y indicate a driving map of the vehicle.

PIP 방식으로 표시되는 영상 정보와 인접하여, 상기 PIP 방식으로 표시되는 영상 정보와의 거리가 표시될 수 있다.Adjacent to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PIP method, a distance to the imag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PIP method may be displayed.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의 상기 차량 내부에의 표시는, 상기 차량 내부에 상기 피사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approaching su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inside the vehicle, the subject information may be output as a soun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피사체 방향으로의 상기 신호의 전달은, 상기 차량 외부의 조명 유닛을 켜거나 또는 깜빡일 수 있다.Transmission of the signal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may turn on or blink a lighting unit outside the vehicle.

피사체 방향으로의 상기 신호의 전달은, 상기 차량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Transmission of the signal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may output an alarm soun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차량의 주행 정보 제공 방법들을 구현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provides a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implements the aforementioned vehicl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s.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과, 이 방법을 구현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차량의 전방이나 측방 또는 후방 등의 영상을 측정하고 그로부터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를 파악하고,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의 밝기와 화질을 개선하고 차량 내부의 네비게이션 등에 PIP 방식과 음성으로 표시하면, 운전자는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PIP 방식의 영상과 음성을 통하여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를 파악하여 피사체와의 충돌 없이 안전하게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implementing the method measure an image of the front, side, or rear of the vehicle, identify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and If the brightness and image quality of the image of the subject are improved and displayed in the PIP method and voice on the navigation inside the vehicle, the driver identifies the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through the PIP method displayed on the navigation and collides with the subject. You can safely drive your vehicle without it.

또한, 차량 외부의 조명 유닛이나 경음기를 통하여 보행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하여 차량의 접근을 인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a lighting unit or a horn outside the vehicle, pedestrians may be visually or audibly aware of the approach of the vehicle.

또한, 차량의 외부에 구비된 스마트 기기에 무선 통신으로 상술한 피사체의 보정된 영상과 음성 등이 제공되면, 차량 외부의 스마트 기기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차량이 영업용 차량인 경우 사측에서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 수칙 준수 여부 등을 수시로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rrected image and audio of the above-described subject are provided to a smart device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can be grasped by the smart device outside the vehicle. In the case of commercial vehicles, the management can frequently check whether the driver complies with safe driving rules through a smart device.

도 1은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방법의 제1 실시 예의 흐름도이고,
도 2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차량과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차량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주행 정보와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일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피사체 방향으로의 카메라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방법의 제2 실시 예의 흐름도이고,
도 8은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는 조명 유닛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조명 유닛 중 차량의 전조등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조명 유닛 중 차량의 도어등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2 is a view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ubject in FIG. 2;
4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exemplary embodiments in which driv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of a vehicle are displayed;
6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camera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7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9 is a view showing lighting unit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10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headlight of a vehicle among the lighting units of FIG. 9;
FIG. 11 is a view showing an action of a door light of a vehicle among the lighting units of FIG. 9 .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amples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lational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pper" and "lower" used below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As such, i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도 1은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방법의 제1 실시 예의 흐름도이고, 도 2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차량과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차량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주행 정보와 영상 정보가 표시되는 일실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피사체 방향으로의 카메라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of a vehicle, and FIG. 3 is a method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a vehicle and a subject in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FIGS. 5A and 5B show one embodiment in which drivin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a vehicle display device are displayed. FIG. 6 is a diagram showing movement of a camera in the direction of a subject.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획득 유닛(210)과 거리 측정 유닛(220)과 제어 유닛(300) 및 표시 유닛(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 an apparatus for display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unit 210 , a distance measurement unit 220 , a control unit 300 , and a display unit 400 .

영상 획득 유닛(210)은 차량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의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2개의 영상 획득부(211~2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영상 획득부(211~218)들은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may include at least two image acquisition units 211 to 218 disposed in a vehicle and acquiring images of subjects in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image acquisition units 211 to 218 are image sensors. can be

거리 측정 유닛(220)은 상기 영상 내의 각각의 피사체의 차량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sensor, 221~2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220 may include distance measurement units 221 to 228 that measure distances from the vehicle of each subject in the image.

제어 유닛(300)은 물체 인식부(310)와 연산부(320)와 보정부(330)와 제어부(340) 및 통신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n object recognition unit 310, a calculation unit 320, a correction unit 330, a control unit 340, and a communication unit 350.

물체 인식(Moving Object Detection)부(310)는 영상 획득 유닛(210)에서 촬영된 영상 내에 피사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며, 촬영된 영상의 화소의 변화를 통하거나 기타 공지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되, 반드시 그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moving object detection unit 310 checks whether a subject is included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and may proceed through a change in pixels of the captured image or by other known method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연산부(320)는 물체 인식부(310)에서 인식된 피사체의 운동 상태를 확인하고, 피사체의 이동을 예측할 수 있다. 보정부(330)는 상술한 피사체의 영상의 화질 및/또는 밝기를 보정할 수 있고, 제어부(340)는 영상 정보 획득부(211~218)들을 인식된 피사체의 운동 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통신부(350)는 영상 획득 유닛(210)과 거리 측정 유닛(220)으로부터 상술한 자료를 전송받고 표시 유닛(400)으로 보정된 영상 등을 전송할 수 있다.The calculation unit 320 may check the movement state of the subject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zing unit 310 and predict the movement of the subject. The correction unit 330 may correct the image quality and/or brightness of the image of the subject described above, and the control unit 340 may move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s 211 to 218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ecognized subject. . The communication unit 350 may receive the above-described data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220 and transmit the corrected image to the display unit 400 .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차량 외부의 복수 개의 방향의 영상을 획득한다(S100).First, images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outside the vehicle are acquired (S100).

영상 획득 유닛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전방과 측방과 후측방 및 측방에 배치된 복수 개의 영상 획득부(211~218)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도시된 승용차 외에 전기 자동차나 버스 기타 2륜차 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units 211 to 218 disposed at the front, side, rear, and side of the vehicle 100 . The vehicle 100 may be an electric vehicle, a bus, or a two-wheeled vehicle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passenger vehicle.

영상 획득부(211~218)은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어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camera) 등일 수 있으며,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을 촬영할 수도 있다.The image acquisition units 211 to 218 may be cameras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to capture images of the surroundings, or may capture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후방에 2개의 영상 획득부(211, 212)가 구비되고, 차량의 후측방에 2개의 영상 획득부(213, 214)가 구비되며, 차량의 측방에 2개의 영상 획득부(215, 216)가 구비되며, 차량의 전방에 2개의 영상 획득부(217, 218)가 구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wo image acquisition units 211 and 212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two image acquisition units 213 and 214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wo image acquisition units are provided at the side of the vehicle. 215 and 216 are provided, and two image acquisition units 217 and 218 are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술한 영상 획득부(211~218)는 차량의 주행 중 또는 시동이 온(on)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각각의 영상 획득부(211~218)는 회전하거나 개구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image acquisition units 211 to 218 may operate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or while the engine is turned on, and each image acquisition unit 211 to 218 is provided to rotate or move an opening. It can be.

그리고, 복수 개의 영상에서 차량 방향으로 전급하는 피사체를 파악한다(S110).In addition, a subject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s identified in a plurality of images (S110).

피사체의 파악은 물체 인식(Moving Object Detection)부(310)에서 상술한 영상의 화소의 변화 등을 통하여 피사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320)는 물체 인식부(310)에서 인식된 피사체의 운동 상태를 확인하고, 피사체의 이동을 예측할 수 있다.The subject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hange of pixels of the image described above in the moving object detection unit 310 . Also, the calculation unit 320 may check the motion state of the subject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zing unit 310 and predict the movement of the subject.

그리고, 거리 측정 유닛(220)에서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에서 거리 측정 유닛(220)은 복수 개의 거리 측정부(221~228)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영상 획득부(211~218)에는 각각 1개의 거리 측정부(221~228)가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measuring unit 220 may measure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n FIG. 4 ,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220 includes a plurality of distance measurement units 221 to 228 . In this embodiment, each image acquisition unit 211 to 218 includes one distance measurement unit 221 to 228 . may be arrang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도 3에서 하나의 영상 획득부(211) 위에 하나의 거리 측정부(221)가 배치되나, 거리 측정부(221)는 영상 획득부(211)와 대응되어 영상 획득부(211)에서 촬영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면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FIG. 3, one distance measurement unit 221 is disposed on one image acquisition unit 211, but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221 corresponds to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1 and is photograph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1. If the distance to can be measured, it may be placed in another location.

도 3에서 보행자가 영상 획득부(211)에서 촬영되고 있으며, 거리 측정부(221)에서 피사체인 보행자 방향으로 신호(signal)를 전송하고 보행자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보행자와 차량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신호는 초음파 등일 수 있다.In FIG. 3 , a pedestrian is photographed by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1,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221 transmits a signal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the pedestrian, receives a signal reflected from the pedestrian, and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pedestrian and the vehicle. can do.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signal may be an ultrasonic wave or the like.

도 3의 거리 측정은 도 2에 도시된 8개의 영상 획득부(211~218)에 구비된 거리 측정부(221~228)들에서 각각 이루어질 수 있고, 연산부(320)는 상술한 피사체의 운동 상태를 확인과 이동 예측 외에 거리 측정부(221~228)들에서 측정된 거리들을 상호 비교하여 차량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피사체를 판단할 수 있다.The distance measurement in FIG. 3 may be performed in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s 221 to 228 provided in the eight image acquisition units 211 to 218 shown in FIG. In addition to checking and predicting the movement, a subject disposed closest to the vehicle may be determined by mutually comparing distances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s 221 to 228 .

그리고,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의 화질 및/또는 밝기를 보정한다(S120). 이때, 영상의 보정과 함께 피사체 부분만을 확대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다.Then, the image quality and/or brightness of the image of the approaching subject is corrected (S120). In this case, only the subject portion may be enlarged along with image correction, and the same applies to embodiments described later.

어두운 환경 특히 야간 등의 경우 영상 획득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은 어둡거나 화질이 좋지 않을 수 있는데, 보정부(320) 내의 화질 개선부(321)와 밝기 개선부(322)에서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의 화질과 밝기를 개선할 수 있다. 영상의 화질과 밝기의 개선은 공지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되, 반드시 그에 한정하지는 않는다.In a dark environment, especially at night,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may be dark or of poor quality. Image quality and brightness can be improved. Improvement of the image quality and brightness of an image may be performed by a known metho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그리고, 차량의 표시 유닛에 차량의 주행 정보와 상술한 보정된 영상을 표시(S130)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340)는 영상 정보 획득부(211~218)들을 인식된 피사체의 운동 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카메라나 이미지 센서 등의 개구부가 이동하는 피사체를 따라 움직여서, 차량 방향으로 근접하는 피사체를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bove-described correct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ehicle (S130). can be moved That is, an opening such as a camera or an image sensor moves along a moving subject, so that a subject approaching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continuously photographed.

통신부(350)는 영상 획득 유닛(210)과 거리 측정 유닛(220)으로부터 상술한 자료를 전송받고 표시 유닛(400)으로 보정된 영상 등을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50 may receive the above-described data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220 and transmit the corrected image to the display unit 400 .

표시 유닛(400)은 차량의 내부에 표시된 네비게이션일 수 있으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맵(map) 등 차량의 주행 정보와 함께 전달받은 보정된 피사체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차량의 주행 정보를 메인 화면으로 하고 전달받은 보정된 피사체의 영상을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PIP 방식의 영상은 전달받은 피사체의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하여, 운전자의 인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0 may be a navigation device displayed inside a vehicle, and as shown in FIG. 5A , may display a corrected image of a subject transmitted together with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uch as a driving map, for example. For example,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y be used as the main screen and the corrected image of the subject may be displayed in a picture in picture (PIP) method. At this time, the image of the above-described PIP method enlarges and displays the received image of the subject, so that the driver's perception can be facilitated.

여기서, '주행 맵'이라 함은 도 5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주변의 지도 및/또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한 지도일 수 있다.Here, the 'driving map' may be a map displaying a map around the vehicle and/or a route to a destination, as shown in FIG. 5A and the like.

도 5a에서 주행 맵이 메인 화면으로 표시되되 차량에 가장 인접한 피사체의 보정된 영상이 PIP 방식으로 표시되어, 운전자는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을 밝기와 화질이 개선된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In FIG. 5A, the driving map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but the corrected image of the subject closest to the vehicle is displayed in PIP,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the image of the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with improved brightness and quality.

도 5b는 도 5a와 동일하되, 피사체의 보정된 영상과 인접하여 상술한 피사체의 차량으로부터의 거리가 표시되어, 운전자의 편의를 더욱 제공할 수 있다.FIG. 5B is the same as FIG. 5A , but the distance of the above-described subject from the vehicle is displayed adjacent to the corrected image of the subject, so that the driver's convenience can be further provided.

즉, 도 5a에서는 PIP 방식의 영상만이 표시되고, 도 5b에서는 PIP 방식의 영상 하부에 표시되는 영상 내의 피사체와 차량과의 거리 정보(1m)가 표시되고 있다.That is, in FIG. 5A, only the PIP-type image is displayed, and in FIG. 5B, distance information (1m) between the subject and the vehicle in the image displayed under the PIP-type image is displayed.

도 6은 피사체 방향으로의 카메라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movement of a camera in the direction of a subject.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40)에서 영상 정보 획득부(211~218)들을 인식된 피사체의 운동 방향에 따라 이동시켜서, 피사체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40)는 피사체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영상 정보 획득부(211~218)들을 별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40 moves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s 211 to 218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ecognized subjec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ubject may be continuously photographed and display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40 may separately move each of the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s 211 to 218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그리고, 차량의 표시 유닛 등을 통하여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S140)할 수 있는데, 본 단계는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bject information approaching the vehicle may be output as voice through a display unit of the vehicle (S140), but this step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피사체 정보의 음성 출력은 예를 들면, '차량의 우측 후방 1미터에 물체 접근' 등의 음성이 표시 유닛(400)에 배치된 스피커(speaker, 410)를 통하여 차량 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네비게이션 등의 표시 장치를 보지 않고도 피사체의 접근 방향과 거리 등을 파악할 수 있다.As an audio output of subject information, for example, a voice such as 'approaching an object 1 meter from the right rear of the vehicle' may b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rough a speaker 410 disposed in the display unit 400 . At this time, the driver can grasp the approaching direction and distance of the subject without looking at a display device such as a navigation device.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차량의 전방이나 측방 또는 후방 등의 영상을 측정하고 그로부터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를 파악하고,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의 밝기와 화질을 개선하고 차량 내부의 네비게이션 등에 PIP 방식과 음성으로 표시하면, 운전자는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PIP 방식의 영상과 음성을 통하여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를 파악하여 피사체와의 충돌 없이 안전하게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 image such as the front, side, or rear of the vehicle is measured,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is identified therefrom, brightness and image quality of the image of the approaching subject are improved, and the PIP method is used for navigation inside the vehicle. If indicated by voice, the driver can safely drive the vehicle without colliding with the subject by recognizing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through the picture-in-picture (PIP) video and audio displayed on the navigation system.

그리고, 제어 유닛(300) 내의 통신부(350)에서 차량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등의 표시 유닛에 전달되는 상술한 피사체의 보정된 영상과 음성 등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는 스마트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rected image and audio of the subject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350 in the control unit 300 to a display unit such as a navigation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are transferred to a smart device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an be conveyed

이때, 차량의 외부에 구비된 스마트 기기에 무선 통신으로 상술한 피사체의 보정된 영상과 음성 등이 제공되면, 차량 외부의 스마트 기기에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차량이 영업용 차량인 경우 사측에서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운전자의 안전 운전 수칙 준수 여부 등을 수시로 파악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corrected image and audio of the above-described subject are provided to a smart device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can be grasped by the smart device outside the vehicle. In the case of commercial vehicles, the management can frequently check whether the driver complies with safe driving rules through a smart device.

도 7은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방법의 제2 실시 예의 흐름도이고, 도 8은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는 조명 유닛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조명 유닛 중 차량의 전조등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조명 유닛 중 차량의 도어등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displaying driving inform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lighting units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FIG. 10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vehicle headlight among the lighting units of FIG. 9 , and FIG. 11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 door lamp of the vehicle among the lighting units of FIG. 9 .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되, 상술한 실시예들과의 중복되는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 but configurations overlapping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omitted.

먼저, 차량 외부의 복수 개의 방향의 영상을 획득하고, 복수 개의 영상에서 차량 방향으로 전급하는 피사체를 파악한다(S210).First, images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outside the vehicle are obtained, and a subject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s identified from the plurality of images (S210).

영상 획득 유닛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전방과 후방과 후측방 및 측방에 복수 개의 영상 획득부(211~218)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4 , 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be a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units 211 to 218 at the front, rear, rear, side, and side of the vehicle 100 .

피사체의 파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물체 인식(Moving Object Detection)부(310)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연산부(320)는 물체 인식부(310)에서 인식된 피사체의 운동 상태를 확인하고, 피사체의 이동을 예측할 수 있으며, 거리 측정 유닛(220)에서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dentification of the subject may be performed in the moving object detection unit 310, and the operation unit 320 checks the movement state of the subject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tion unit 310 and moves the subject. may be predicted, and the distance to the subject may be measured by the distance measuring unit 220 .

그리고,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의 화질 및/또는 밝기를 보정한다(S220). 이때, 영상의 보정과 함께 피사체 부분만을 확대할 수도 있다.Then, the image quality and/or brightness of the image of the approaching subject is corrected (S220). In this case, only the subject portion may be enlarged along with image correction.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정부(330) 내의 화질 개선부(331)와 밝기 개선부(332)에서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의 화질과 밝기를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기타 다른 피사체의 영상들에 대하여도 상술한 화질 및 밝기의 개선 내지 보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A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image quality and brightness of the image of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can be improved by the picture quality improvement unit 331 and the brightness improvement unit 332 in the correction unit 330, and also of other subjects. The above-described improvement or correction of image quality and brightness may also be performed on images.

그리고, 차량의 표시 유닛에 차량의 주행 정보와 상술한 보정된 영상을 표시(S230)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340)는 영상 정보 획득부(211~218)들을 인식된 피사체의 운동 방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통신부(350)는 영상 획득 유닛(210)과 거리 측정 유닛(220)으로부터 상술한 자료를 전송받고 표시 유닛(400)으로 보정된 영상 등을 전송할 수 있다.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above-described correcte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ehicle (S230). The communication unit 350 may receive the above-described data from the image acquisition unit 210 and the distance measurement unit 220 and transmit the corrected image to the display unit 400 .

표시 유닛(400)은 차량의 내부에 표시된 네비게이션일 수 있으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맵(map) 등 차량의 주행 정보와 함께 전달받은 보정된 피사체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40)에서 영상 정보 획득부(211~218)들을 인식된 피사체의 운동 방향에 따라 이동시켜서, 피사체의 이동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0 may be a navigation device displayed inside the vehicle, and as shown in FIGS. 5A and 5B , it may display a corrected image of a subject transmitted together with vehicle driving information such as a driving map.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40 moves the image information obtaining units 211 to 218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ecognized subjec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ubject may be continuously photographed and displayed.

그리고, 차량의 표시 유닛 등을 통하여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S240)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음성 출력의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할 수 있으며 본 단계는 실시 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bject information approaching the vehicle may be output as voice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vehicle (S240). .

그리고, 차량 외부의 조명 유닛을 켜거나 깜빡일 수 있는데(S250), 보행자는 조명 유닛의 켜짐이나 깜빡임으로부터 차량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lighting unit outside the vehicle may be turned on or blinked (S250), and the pedestrian may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vehicle by turning on or blinking the lighting unit.

차량 외부의 조명 유닛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전조등(110)이나 도어등(120)이나 후미등(130)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lighting unit outside the vehicle may be a front light 110 , a door light 120 , or a tail light 130 of the vehicle 100 .

제어부(340)에서는 거리 인식부(220)에서 측정된 차량과 피사체와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일 때, 도 10의 전조등이나 도 11의 도어등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후미등을 켜거나 깜빡여서 보행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340)는 상술한 카메라의 이동을 제어하는 작용 외에 조명 유닛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subject measured by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220 is within a certain range, the controller 340 turns on or blinks the headlights of FIG. 10 or the door lights of FIG. may draw attention. That is, the controller 3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uni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camera.

또한, 차량 외부의 경음기 등으로부터 경보음을 출력(S260)하여, 보행자는 청각을 통하여 차량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outputting an alarm sound from a horn outside the vehicle (S260), the pedestrian can recognize the approach of the vehicle through hearing.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전방이나 측방 또는 후방 등의 영상을 측정하고 그로부터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를 파악하고,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의 밝기와 화질을 개선하고 차량 내부의 네비게이션 등에 PIP 방식과 음성으로 표시하면, 운전자는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PIP 방식의 영상과 음성을 통하여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를 파악하여 피사체와의 충돌 없이 안전하게 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n image such as the front, side, or rear of the vehicle is measured,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is identified therefrom, the brightness and image quality of the image of the approaching subject are improved, and the PIP method and voice are used for navigation inside the vehicle. If so, the driver can identify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through the picture-in-picture (PIP) video and audio displayed on the navigation system, and safely drive the vehicle without colliding with the subject.

또한, 차량 외부의 조명 유닛이나 경음기를 통하여 보행자에게 시각 또는 청각을 통하여 차량의 접근을 인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a lighting unit or a horn outside the vehicle, pedestrians may be visually or audibly aware of the approach of the vehicle.

그리고, 제어 유닛(300) 내의 통신부(350)에서 차량에 구비되는 네비게이션 등의 표시 유닛에 전달되는 상술한 피사체의 보정된 영상과 음성 등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차량의 외부에 구비되는 스마트 기기로 전달될 수 있음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corrected image and audio of the subject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350 in the control unit 300 to a display unit such as a navigation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are transferred to a smart device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it can be delivered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방법, 즉 도 1과 도 7 등에 도시된 방법은 기록 매체에 프로그램으로 저장될 수 있다.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the method shown in FIGS. 1 and 7 may be stored as a program in a recording medium.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차량 210: 영상 획득 유닛
211~218: 영상 획득부 220: 거리 측정 유닛
221~218: 거리 측정부 300: 제어 유닛
310: 물체 인식부 320: 연산부
330: 보정부 331: 화질 개선부
332: 밝기 개선부 340: 제어부
330: 통신부 400: 표시 유닛
410, 510: 스피커 500: 조명 유닛
100: vehicle 210: image acquisition unit
211 to 218: image acquisition unit 220: distance measuring unit
221 to 218: distance measuring unit 300: control unit
310: object recognition unit 320: calculation unit
330: correction unit 331: image quality improvement unit
332: brightness improvement unit 340: control unit
330: communication unit 400: display unit
410, 510: speaker 500: lighting unit

Claims (16)

차량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의 피사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2개의 영상 획득 유닛;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피사체를 인식하는 물체 인식부;
상기 인식된 피사체 중에서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피사체를 파악하는 제어부;
상기 물체 인식부에서 인식된 상기 피사체의 운동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피사체의 이동을 예측하는 연산부;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의 영상의 화질과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하는 보정부;
상기 피사체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거리 측정부들을 포함하는 거리 측정 유닛;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에 표시하는 제1 표시 유닛;
상기 피사체 방향으로 상기 차량 외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2 표시 유닛; 및
상기 보정된 피사체의 영상과 음성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차량 외부의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획득 유닛은, 상기 차량의 전방과 후방 및 측방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획득 유닛은 상기 각각의 카메라의 개구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된 상태에서 회전하거나 개구부를 이동하여 상기 피사체를 파악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복수의 거리 측정부들에서 측정된 거리들을 상호 비교하여, 상기 차량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피사체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차량의 주행 맵(map)을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보정된 상기 피사체의 영상과 함께 메인 화면으로 표시하고, 상기 피사체의 보정된 영상을 PIP 방식으로 확대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PIP 방식으로 표시되는 영상과 대응하여 상기 PIP 방식으로 표시되는 영상과의 거리를 전달하고,
상기 제1 표시 유닛은 상기 PIP 방식으로 표시되는 영상과 인접하여 상기 PIP 방식으로 표시되는 영상과의 거리를 표시하고,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 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에 음성으로 출력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
at least two image acquisition units disposed in the vehicle to acquire images of subjects in different directions;
an object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subject from the obtained image;
a control unit for recognizing a subject approaching the vehicle from among the recognized subjects;
a calculator configured to determine a motion state of the subject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zing unit and to predict a movement of the subject;
a correction unit correcting at least one of image quality and brightness of the image of the approaching subject;
a distance measur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units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subject and receiving a signal reflected from the subject;
a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the approaching subject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a second display unit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corrected image and audio of the subject to a smart device outside the vehic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image acquisition unit includes a camera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and side of the vehicle,
The image acquisi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moving unit for moving the opening of each camera,
The camera recognizes the subject by rotating or moving an opening while the vehicle is turned on,
The calculation unit compares the distances measured by the plurality of distance measurement units to determine a subject disposed closest to the vehicle,
The first display unit display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a driving map of the vehicle along with a corrected image of the subject on a main screen, enlarges and displays the corrected image of the subject in a PIP metho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distance to the image displayed in the PIP metho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mage displayed in the PIP method,
The first display unit is adjacent to the image displayed in the PIP method and displays the distance to the image displayed in the PIP method, and outputs the approaching subject information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s a sound.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moves the camera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approaching subje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에 배치된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유닛은, 상기 접근하는 피사체 방향으로 상기 차량 외부의 조명 유닛을 켜거나 또는 깜빡이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The second display unit turns on or blinks a lighting unit outside the vehicle in the direction of the approaching subjec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에 배치된 음성 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유닛은, 상기 차량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차량의 주행 정보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dio output unit disposed outside the vehicle;
The second display unit outputs an alarm soun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95724A 2015-07-06 2015-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nformation of a car, and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he method KR102536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724A KR102536826B1 (en) 2015-07-06 2015-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nformation of a car, and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724A KR102536826B1 (en) 2015-07-06 2015-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nformation of a car, and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560A KR20170005560A (en) 2017-01-16
KR102536826B1 true KR102536826B1 (en) 2023-05-25

Family

ID=57993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724A KR102536826B1 (en) 2015-07-06 2015-07-06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nformation of a car, and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8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141B1 (en) * 2019-11-04 2021-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 method for surrounding lamp system of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5761A (en) * 2009-02-12 2010-08-26 Toyota Motor Corp Navigation system, road map display method
JP4795253B2 (en) * 2007-01-18 2011-10-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riving support device, driving support method, and driving support program
JP5622986B2 (en) * 2010-07-27 2014-11-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Image display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140685C (en) * 1977-06-06 1979-10-17 Thune Eureka As ROLLER.
KR20040035147A (en) * 2002-10-18 2004-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monitoring forward of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5253B2 (en) * 2007-01-18 2011-10-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riving support device, driving support method, and driving support program
JP2010185761A (en) * 2009-02-12 2010-08-26 Toyota Motor Corp Navigation system, road map display method
JP5622986B2 (en) * 2010-07-27 2014-11-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Image display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560A (en)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3016B2 (en) Parking spac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KR102309316B1 (en) Display apparatus for vh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778624B1 (en) Surround camera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US10713501B2 (en) Focus system to enhance vehicle vision performance
JP2008193339A (en) Rear monitoring system
US108468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ibility enhancement
US9981598B2 (en) Alighting notification device
US20190135169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projected light
JP2009265842A (en) Warning device for vehicle and warning method
KR20180065527A (en) Vehicle side-rear warn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TW201600376A (en) Image based intelligent security system for vehicle combined with sensor
JP4848644B2 (en) Obstacle recognition system
JP4906437B2 (en) Perimeter monitoring system
JP4751894B2 (en) A system to detect obstacles in front of a car
WO2016194144A1 (en) Vehicle door opening warning device and vehicle door opening warning system
JP2009116394A (en) Alarm device for vehicle
JP2019188855A (en) Visual confirmation device for vehicle
KR1025368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nformation of a car, and program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performing the method
KR20170069645A (en)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KR102010407B1 (en) Smart Rear-view System
US20200119474A1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system
CN106627149B (en) Automobile instrument panel and control method
KR102268106B1 (en) Wireless signal receiving unit, rear sensor for vehicle and method for sensing rear
JP2022100852A (en) Attention evocation device and attention evocation method
JP2017531268A (en) Traffic sign suppor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