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480B1 -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480B1
KR102536480B1 KR1020180112062A KR20180112062A KR102536480B1 KR 102536480 B1 KR102536480 B1 KR 102536480B1 KR 1020180112062 A KR1020180112062 A KR 1020180112062A KR 20180112062 A KR20180112062 A KR 20180112062A KR 102536480 B1 KR102536480 B1 KR 102536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harging
determined
amount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0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6081A (en
Inventor
이건호
김상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480B1/en
Publication of KR2020003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0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37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연료 탱크; 디스플레이부; 연료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fuel tank; display unit; a sensing unit that senses a charged amount of fuel in the fuel tank;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determined driving distance.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vehicle including a fuel cel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수소를 연료로, 산소를 산화제로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general, a fuel cell is a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generates electrical energy by electrochemically reacting a fuel and an oxidizer. Typically, electric energy can be generated using hydrogen as a fuel and oxygen as an oxidizing agent.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수소를 연료로 이용하는 연료전지 차량은 기체 상태의 수소를 연료탱크에 충전한 후, 이를 연료로 이용하여 구동된다. 수소를 연료탱크에 충전하기 위한 충전 압력은 연료탱크 내부 기체 압력보다 커야 하며, 충전소에 마련된 연료 충전기의 충전 압력에 의해 충전량이 결정될 수 있다. Unlike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fuel cell vehicles using hydrogen as fuel are driven by charging gaseous hydrogen in a fuel tank and then using it as fuel. The charging pressure for charging hydrogen into the fuel tank must be greater than the gas pressure inside the fuel tank, and the charging amount can be determined by the charging pressure of the fuel charger provided at the charging station.

일 측면은 연료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provides a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on a driving distance based on a charged amount of fue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연료 탱크; 디스플레이부; 상기 연료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fuel tank; display unit; a sensing unit that detects a filled amount of fuel in the fuel tank;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e amount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determined driving distanc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when the detected charge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the detected charge amoun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uel is charged. and determine the possibl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을 충전 완료 지점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충전 완료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charge amount detected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as a charging completion point, and determine the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the determined charging completion poin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완료 지점으로부터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까지의 연료량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amount of fuel from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to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Also, if the fuel is not completely charge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또한, 저장부;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 탱크에 상기 연료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소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를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ler determines a location of a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fuel is filled in the fuel tank, and when the fuel is completely filled. It is possible to match the detected charge amount with the location of the determined charging station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a char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충전량으로 상기 저장된 충전량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amount detected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is the same as the charging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 If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when the fuel is fully charged is not the same as the stored charging amou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the stored charging amount may be updated with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and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can decide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연료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의 충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충전압과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를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detect a charging pressure of the fuel charged in the fuel tank, and the control unit may match the detected charging pressure with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nd store the detected charging pressure in the storage unit.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연료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의 충전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detecting an amount of fuel charged in a fuel tank; determining a possibl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charge; and displaying the determined driving distance.

또한,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감지된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fuel is fully charged whe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uel is fully charged, Determining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and determining the possibl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또한,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을 충전 완료 지점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충전 완료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determines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as a charging completion point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and determines the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the determined charging completion point. and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또한,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충전 완료 지점으로부터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까지의 연료량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may include determining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a fuel amount from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to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또한,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may include determining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when the fuel is not completely charged, and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Determining the possible distance; may include.

또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료 탱크에 상기 연료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소의 위치를 판단하고; 및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a location of a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fuel is filled in the fuel tank; and matching and storing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and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또한,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determining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e amount may include determining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a char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charge station location when the determin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s stored; can include

또한,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및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충전량으로 상기 저장된 충전량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stored,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is the same as the charging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charging station location; and updating the stored charge amount with the sensed charge amount if the sensed charge amount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is not the same as the char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또한,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may include determining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whe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may include.

또한, 상기 연료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의 충전압을 감지하고; 및 상기 감지된 충전압과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를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detecting the charging pressure of the fuel charged in the fuel tank; and matching the sensed charging pressure with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charging station to store in the storage unit.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일관성 있는 주행 가능 거리 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의 편의성 및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consistent driving distance. Thus, driver's convenience and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 결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driving dista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omitted. The term 'unit, module, member, o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units, modules, members, or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being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ere i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8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93, 94), 차륜(93, 94)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95),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8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8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91, 92), 차체(80)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90)를 포함하며 차체(80)는 후드(81), 프런트 휀더(82), 도어(84), 트렁크 리드(85), 및 쿼터 패널(86)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80 formin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1, wheels 93 and 94 for moving the vehicle 1, and wheels 93 , 94), a door 84 that shields the inside from the outside, a windshield 87 that provides a front view of the vehicle 1 to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 and a vehicle to the driver. (1) Side mirrors 91 and 92 providing a view to the rear, and a rear window 90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ody 80 to provide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1, and the body 80 includes A hood 81, a front fender 82, a door 84, a trunk lid 85, and a quarter panel 86 may be included.

도어(84)는 본체(8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Doors 84 are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80 so that the driver can get inside the vehicle 1 when opened, and when closed, the inside of the vehicle 1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can

윈드 스크린(87)은 본체(8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91, 92)는 본체(8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9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92)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The wind screen 87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80 so that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 can obtain visual information of the front of the vehicle 1. In addition, the side mirrors 91 and 92 include a left side mirror 91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80 and a right side mirror 92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80, so that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 can 1) It enables acquisition of visual information from the side and rear.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1 may include a sensing device such as a proximity sensor for detecting an obstacle or another vehicle behind, and a rai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precipitation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차량내부(10)에는 공조장치(16)가 설치 될 수 있다. 공조장치(16)는 차량(1)의 실내 실외의 환경 조건, 공기의 흡/배기, 순환, 냉/난방 상태 등을 포함한 공조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난방과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내부(1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An air conditioner 16 may b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10 . The air conditioner 16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including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vehicle 1, air intake/exhaust, circulation, cooling/heating conditions, etc., or controls in response to a user's control command. means For example, both heating and cooling may be perform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vehicle interior 10 may be controlled by discharging heated or cooled air through a vent.

한편, 차량내부(10)에는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보드(Dashboard)(14), 차량(1)의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5), 차량(1)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클러스터(51, 52)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inside the vehicle 10, a dashboard 14 in which various devices for the driver to operate the vehicle 1 are installed, a driver's seat 15 for the driver of the vehicle 1 to sit, and the vehicle 1 ) may include clusters 51 and 52 capable of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대시보드(14)는 윈드 스크린(11)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보드(14)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ashboard 14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windscreen 11 toward the driver, and allows the driver to operate various devices installed on the dashboard 14 while looking forward.

운전석(15)은 대시보드(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의 전방과 대시보드(14)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driver's seat 15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ashboard 14 so that the driver can drive the vehicle 1 in a stable posture while keeping an eye on the front of the vehicle 1 and various devices on the dashboard 14 .

클러스터(51, 52)는 대시보드(14)의 운전석(15)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5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usters 51 and 52 may be installed on the driver's seat 15 side of the dashboard 14, and include a driving speed gauge 51 displaying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1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wer unit (not shown). It may include an rpm gauge 52 that displays.

이 외에도 클러스터(51, 52)에는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연료 경고등, 배터리 부족 경고등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the clusters 51 and 52 include a tachometer, speedometer, coolant temperature gauge, turn indicator, high beam indicator, warning lamp, seat belt warning lamp, odometer, odometer, automatic shift selector indicator, door open warning lamp, fuel warning lamp, A low battery warning light may be placed.

또한, 클러스터(51, 52)는 전술한 차량 상태, 차량 주행과 관련된 정보, 멀티미디어 장치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usters 51 and 52 may include the cluster display 50 capable of displaying the aforementioned vehicle status, information related to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manipulation of a multimedia device, and the like.

실시 예에 따라서 차량(1)의 대시보드(14)에는 디스플레이(70)가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a display 70 may be installed on the dashboard 14 of the vehicle 1 .

디스플레이(70)는 운전자에게 차량(1)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70)는 센터페시아(6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설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70)는 차량(1)의 센터페시아(6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e display 7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UI)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1 to the driver in the form of images or text. To this end, the display 70 may be formed by being embedded in the center fascia 60 . However, the installation example of the display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70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center fascia 60 of the vehicle 1.

또한, 디스플레이(70)는 내비게이션 장치로도 활용될 수 있다.Also, the display 70 may be utilized as a navigation device.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1)에 설치된 장치들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A navigation device may provide a route to a destination to a user. In addition, the navigation device may display various control screens related to control of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1 or screens related to additional functions executable by the navigation device.

또한, 차량 내부(10)에는 차량의 각종 장치들의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그 다이얼(60)을 포함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60)은 회전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여 구동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도구를 이용하여 구동 조작을 위한 필기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vehicle 10 may include a separate jog dial 60 for manipulating various devices of the vehicle. The jog dial 60 is driven not only by rotating or applying pressure, but also by using a user's finger or a tool with a separate touch recognition function by using a touch pad with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handwriting recognition for

자동차의 운행을 조작하는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 받는 조향 핸들(42), 조향 핸들(42)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93)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The stee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ncludes a steering wheel 42 receiving a driving direction input from a driver, a steering gear (not shown) that converts rotational motion of the steering wheel 42 into reciprocating motion, and a steering gear (not shown). A steering link (not shown) may be included to transmit reciprocating motion to the front wheel 93 . Such a steering device can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

또한, 차량(1)은 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가 저장된 연료 탱크(도 3의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연료 탱크(도 3의 120)에 연료를 충전함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1 may receive power from a fuel cell system, and the fuel cell system may include a fuel tank ( 120 in FIG. 3 ) in which fuel is stored. The vehicle 1 may generate electric energy by charging fuel in a fuel tank ( 120 in FIG. 3 ).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연료를 저장하도록 마련된 연료 탱크(110), 연료 탱크(110)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120), 차량(1)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uel tank 110 prepared to store fuel, a detector 120 for detect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fuel tank 110,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30, a display unit 140,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that control overall functions.

먼저, 연료 탱크(110)는 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연료 탱크(110)에 저장되는 연료로는 수소가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 탱크(110)에는 수소 자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메탄올, 가솔린, LPG 등의 탄화수소 계열의 연료가 연료 탱크(1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은 탄화수소 계열의 연료를 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개질기(reforme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발생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irst, the fuel tank 110 may store fuel. Hydrogen may be used as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110 . In this case, hydrogen itself may be stored in the fuel tank 110 . However, in some cases, hydrocarbon-based fuel such as methanol, gasoline, and LPG may be stored in the fuel tank 110 . In this case, the vehicle 1 may further include a reformer generating hydrogen by decomposing hydrocarbon-based fuel, and the generated hydrogen may be used as fuel.

감지부(120)는 연료 탱크(11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감지할 수 있다. The detector 120 may detect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fuel tank 110 .

구체적으로, 감지부(120)는 연료 탱크(110)에 저장된 연료의 충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연료 탱크(110)에 저장된 연료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nsor 120 may detect the amount of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110 . To this end, the sensor 120 may measure the amount of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110 in real time.

또한, 감지부(120)는 연료 탱크(110)에 충전되는 연료의 충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감지부(120)는 연료 탱크(110)에 충전되는 연료의 실효 충전압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감지부(120)는 압력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Also, the sensing unit 120 may detect a charging pressure of fuel charged in the fuel tank 110 . At this time, the sensor 120 may detect the effective charging pressure of the fuel charged in the fuel tank 110 .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120 may be implemented as a pressure sensor.

감지부(120)는 연료 탱크(110)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내부 여러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정보들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20 may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within the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e fuel tank 110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sensors for sensing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디스플레이부(140)는 차량(1)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40 may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by displaying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1 .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는 차량(1) 내부 구성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차량(1)의 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는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1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1 .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the driving distance of the vehicle 1 .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40)는 전술한 디스플레이(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클러스터 디스플레이(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140 may include the aforementioned display 70 and may also include the cluster display 50 .

한편, 디스플레이부(140)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140 includes a cathode ray tube (CRT),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Electro Luminescence (EL) Panel, Electrophoretic Display (EPD) Panel, Electrochromic Display (ECD) Panel,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ode: OLED) panel, etc. may be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통신부(150)는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GPS 신호와 지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50)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는 제어부(130)가 차량(1)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제어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receive a GPS signal and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GPS signal and map data.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used as a control basis when the controller 130 calculat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1 .

이를 위해, 통신부(150)는 텔레메틱스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통신망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통신부(150)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00)는 무선 통신 모듈 외에 추가적으로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telematics terminal and may also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o this,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WiFi module, a wireless broadband module,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such as Long Term Evolution (LTE).

무선 통신 모듈은 통신망(2)과 제어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신호, 예를 들면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Transmitter) 및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모듈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할 수 있는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은 후술할 제어부(200)와 동일한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제어부(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 communication port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2 and the control modul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providing a telematics service, for example, a signal for executing an IVR (Interactive Voice Response) service )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ing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related to the provision of the telematics servic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modulate the digital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to an analog type wireless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and convert the analog typ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to a digital control signal. A signal conversion module capable of demodulation into a digital control signal may be further included.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may be the same component as the control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00.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 communication module, an NFC communication module, and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signals at a short distance. It may include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that transmit and receive.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Wired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 various wired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modules, Local Area Network (LAN) modules, Wide Area Network (WAN) modules, or Value Added Network (VAN) modules.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modules, various cable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Universal Serial Bus (USB),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nd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may be included.

또한, 통신부(150)는 차량내부(10)에는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텔레메틱스(Telematics) 단말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텔레메틱스는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의 합성어로, 자동차 안에서 이메일(E-mail)을 주고 받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telematics terminal (not shown) for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n the vehicle interior 10 . Telematics is a compound word of telecommunication and informatics.

제어부(130)는 연료 탱크(110)의 연료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들을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상황들에 기초하여 차량(1) 내부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various conditions related to fuel charging of the fuel tank 110 and may control internal components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determined conditions.

제어부(130)는 차량(1)이 급유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유 모드는 연료 탱크(110)에 연료가 충전되는 모드를 의미하며, 제어부(130)은 연료 탱크(110)에 연료가 충전되기 시작하는 경우, 차량(1)이 급유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 is in a refueling mode. In this case, the refueling mode means a mode in which fuel is charged in the fuel tank 110, and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1 enters the refueling mode when fuel starts to be charged in the fuel tank 110. can be judged to be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연료 탱크(110)에 저장된 연료의 충전량이 증가하는 경우, 차량(1)이 급유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1 has entered a refueling mode when the amount of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110 detected by the sensor 120 increases.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연료 탱크(110)에 대한 연료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즉 연료가 충전 완료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감지된 충전량과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고, 감지된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연료 탱크(110)에 연료가 충전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fuel is completely filled in the fuel tank 110 , that is, whether the fuel is completely filled, based on the amount of fue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120 .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30 may compare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with a first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uel tank 110 is completely filled with fuel.

이 때, 제1기준값은 연료가 충전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는 기준 연료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준값은 연료 탱크(110)의 용량의 7/8에 해당하는 연료량일 수 있고, 차량(1)은 충전량이 연료 탱크(110)의 용량의 7/8에 해당하는 연료량 이상이면, 연료 탱크(110)에 대한 연료가 충전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refer to a reference fuel amount that is considered to be filled with fuel. For example, 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an amount of fuel corresponding to 7/8 of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110, and the vehicle 1 has a charging amount equal to or greater than an amount of fuel corresponding to 7/8 of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110. ,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uel for the fuel tank 110 is completely filled.

또한, 제어부(130)는 연료 탱크(110)에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연료량인 충전 완료 지점, 즉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에서의 연료 탱크(110)에 저장된 연료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충전 완료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충전 완료 지점은 연료 탱크(110)에 대한 연료의 충전이 완료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연료량, 즉 연료의 충전이 완료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시점에서의 충전량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완료 지점은 연료 탱크(110)에 연료가 100% 충전되는 지점뿐만 아니라, 100% 충전이 아니더라도 연료가 100% 충전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amount of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1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uel tank 110 is completely filled, that is, the fuel amount stored in the fuel tank 110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fuel is completely filled. A charging completion poin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charging amount. In this case,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may refer to the amount of fuel at which the filling of the fuel into the fuel tank 110 is considered to be completed, that is, the filling amount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filling of the fuel is considered to be completed. Accordingly,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may include not only a point where the fuel tank 110 is 100% filled, but also a point where the fuel is considered to be 100% filled even if the fuel tank 110 is not 100% filled.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1 .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e driving distance of the vehicle 1 .

주행 가능 거리는 저장된 연료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가능 거리는 현재 지점에서부터 연료 부족 지점까지의 연료량에 학습된 주행 연비를 적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연료 부족 지점이란 차량(1)이 정지할 것으로 추정되는 연료량을 의미할 수 있다. 연료 부족 지점은 차량(1)이 주행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연료량을 의미할 수 있다. 연료 부족 지점은 반드시 0이 아닐 수 있고, 0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The drivable distan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tored fuel amount. For example, the drivable distance may be determined by applying the learned driving fuel efficiency to the amount of fuel from the current point to the point of fuel shortage. In this case, the fuel shortage point may mean an estimated fuel amount at which the vehicle 1 will stop. The fuel shortage point may refer to a minimum amount of fuel required for the vehicle 1 to drive. The fuel shortage point may not necessarily be zero, and may have a value greater than zero.

제어부(130)는 이러한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를 전술한 차량(1)의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 및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e driving distance of the vehicle 1 based on various situations and information related to charging of the vehicle 1 described above.

제어부(130)는 연료 탱크(110)에 저장된 연료량, 즉 감지부(120)에 의해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e driving distance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amount of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110 , that is, the amount of charge detected by the detector 120 .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a fuel shortage point, and determine a possible driving distance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차량(1)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30 uses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data on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in the vehicle 1 or a program that reproduces the algorithm, 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 (not shown) that performs an operation. In this cas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이 외에도, 차량(1)은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차량(1)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the vehicle 1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not shown). A storage unit (not shown)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1 .

이를 위해, 저장부(미도시)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미도시)는 제어부(13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o this end, the storage unit (not shown) includes nonvolatile memory such as cache,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flash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memory device or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not shown) may be a memory implemented as a separate chip from the processor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controller 130,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 결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driving distan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의 (a)는 종래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 결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의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의 주행 가능 거리 결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4(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riving range determining operation of a conventional vehicle, and FIG. 4(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riving distance determining operation of a vehicl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에서 표시되는 주행 가능 거리는 고정된 연료 부족 지점(X1)이 적용된다.As shown in (a) of FIG. 4 , a fixed fuel shortage point X1 is applied to the displayed driving distance in a conventional vehicle.

구체적으로, 차량이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충전 완료 지점에서부터 연료 부족 지점(X1)까지의 구간(S1)에 대한 연료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연료가 충전 완료되지 않고, 특정 충전량(X2)을 갖는 경우, 해당 충전량(X2)에서부터 연료 부족 지점(X1)까지의 구간(S2)에 대한 연료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fully charged, the drivable distan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uel amount for the section S1 from the charging complete point to the fuel shortage point X1. In addition, when the fuel is not completely charged and has a specific charge amount X2, the drivable distanc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mount of fuel for the section S2 from the charge amount X2 to the fuel shortage point X1.

이러한 주행 가능 거리는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 운전자에게 더욱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는데,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 충전소의 수가 현재까지 많지 않기 때문이다. This driving distance may be more important information to the driver in the case of a fuel cell vehicle, because the number of charging stations for a fuel cell vehicle is not very large.

연료전지 차량의 경우, 충전소에 마련된 충전기 압력에 의해 충전량이 결정되나, 이러한 충전기 압력은 충전소마다 상이하다. 이 경우, 차량이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도 충전소마다 상이한 충전압, 즉 상이한 충전기 압력을 가지므로, 충전 완료 지점이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 동작에 따르면, 주행 가능 거리가 충전소마다 상이하게 결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the case of a fuel cell vehicle, a charging amount is determined by a charger pressure provided at a charging station, but the charger pressure is different for each charging station. In this case, even when the vehicle is fully charged, since each charging station has a different charging pressure, that is, a different charger pressure,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is different. Therefo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istanc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driving distance is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charging station.

충전소마다 주행 가능 거리가 상이하게 되면,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차량의 기능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행 가능 거리가 보다 일관성을 갖도록 충전소마다 상이한 충전 완료 지점을 고려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If the driving range is different for each charging station,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driver and decrease reliability of vehicle func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drivable distance by considering different charging completion points for each charging station so that the drivable distance is more consistent.

도 4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충전소마다 상이한 충전압을 고려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b) of FIG. 4 ,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rmine a fuel shortage point by considering different charging pressures for each charging station.

제어부(130)는 차량(1)이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 즉 충전 완료 지점이 낮아지는 경우 연료 부족 지점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충전 완료 지점이 높아지는 경우 연료 부족 지점을 높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1 is fully charged.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may lower the fuel shortage poi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is completed, that is,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is lower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increase the fuel shortage point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increases.

예를 들어, 특정 충전소에서 차량(1)이 급유하는 경우, 충전 완료 되는 경우의 충전량, 즉 충전 완료 지점은 100%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연료 부족 지점은 Y2로 결정할 수 있고, 100% 충전 완료 지점에서부터 연료 부족 지점(Y2)까지의 구간(S3)에 대한 연료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1 refuels at a specific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amount when charging is completed, that is,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may be 100%.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e fuel shortage point as Y2 and determine the possibl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amount of fuel for the section S3 from the 100% charging completion point to the fuel shortage point Y2.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소마다 차량이 충전 완료 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충전 완료 지점은 상이할 수 있고, 다른 충전소에서 차량(1)이 급유하는 경우, 충전 완료 지점은 Y3로 100%가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연료 부족 지점을 Y1으로 결정할 수 있고, 차량이 충전 완료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충전 완료 지점(Y3)에서부터 연료 부족 지점(Y1)까지의 구간(S4)에 대한 연료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at which the vehicle is estimated to be fully charged may be different for each charging station, and when the vehicle 1 refuels at another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may not be 100% (Y3).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fuel shortage point as Y1, based on the amount of fuel for the section S4 from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Y3 to the fuel shortage point Y1 where the vehicle is considered to be fully charged. Thus, the driving distance can be determined.

이 경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 완료 지점에서부터 연료 부족 지점까지의 구간(S3, S4)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충전 완료 지점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값을 감산한 연료량을 연료 부족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tervals S3 and S4 from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to the fuel shortage point for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may be the same, and the control unit 130 calculates the amount of fuel obtained by subtracting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It can be determined as a shortfall point.

또는, 제어부(130)는 충전 완료 지점에 대한 미리 정해진 비율의 연료량을 연료 부족 지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amount of fuel at a predetermined ratio to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as the fuel shortage point.

이를 통해, 충전소마다 상이한 충전압 및 충전 완료 지점에도 불구하고, 일관성 있는 주행 가능 거리 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의 편의성 및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rough this, despite different charging pressures and charging completion points for each charging st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consistent driving range. Thus, driver's convenience and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또한, 제어부(130)는 충전소별 충전압 또는 충전 완료 지점을 학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의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 학습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충전량, 즉 충전 완료 지점과 충전소의 위치를 매칭시킬 수 있고, 이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함으로써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을 학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learn the charging pressure or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130 describes the learning of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the controller 130 can match the charging amount at the time of fuel charging completion, that is,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and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nd store it. It is possible to learn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by storing it in a sub (not shown).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통신부(150)에 의해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연료가 충전되는 경우의 차량(1)의 위치를 충전소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충전소를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에 기초하여 구분할 수 있으며, 충전소의 위치 및 해당 충전소에서의 충전 완료 지점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 when fuel is being charged as the location of a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50 . The controller 130 may classify the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nd may store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nd a charging completion point at the corresponding charging station together.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된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특정 충전소에서의 충전 완료 지점이 저장된 해당 충전소에서의 충전 완료 지점과 상이한 경우, 해당 충전소에 대한 저장된 충전 완료 지점을 감지된 충전 완료 지점으로 변경함으로써 저장된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30 may update the stored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0 changes the stored charge completion point for the corresponding charging station to the detected charge completion point when the charge completion point at the specific charging station is different from the stored charge completion point at the corresponding charging station, thereby completing charging for each stored charging station. You can update your branch.

방문한 이력이 있는 충전소를 재방문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이러한 학습된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When revisiting a charging station that has been visited,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a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learned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 중 차량(1)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가 있는 경우, 해당 충전소를 재방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된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 중 해당 충전소에 대응하는 충전 완료 지점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if there is a location identical to that of the vehicle 1 among the locations of the stored charging stations,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charging station has been revisited.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a charging completion point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charging station among stored charging completion points for each charging station, and may determine a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제어부(130)의 충전소별 충전압의 학습 동작과 관련하여는 전술한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의 학습 동작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learning operation of the charging pressure for each charging station by the control unit 13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learning operation of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를 통해, 충전소마다 상이한 충전압 및 충전 완료 지점을 학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주행 가능 거리 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의 편의성 및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rough this, since it is possible to learn different charging pressures and charging completion points for each charging st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more accurate driving distance. Thus, driver's convenience and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급유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10). 구체적으로, 차량(1)은 연료 탱크(110)에 저장된 연료의 충전량이 증가하는 경우, 급유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heck whether or not it is in a refueling mode (510). Specifically, the vehicle 1 may determine that the fueling mode has been entered when the amount of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110 increases.

급유 모드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510의 예), 차량(1)은 최초 방문한 충전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20). 구체적으로, 차량(1)은 외부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고,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 중 현재 위치와 동일한 위치가 없는 경우, 해당 충전소를 최초 방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ueling mode is in place (YES in 510),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charging station is the first visited (520). Specifically, the vehicle 1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if there is no location identical to the current location among the locations of the stored charging station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station has been visited for the first time.

최초 방문한 충전소가 아닌 경우(520의 아니오), 즉, 방문 이력이 있는 충전소를 재방문한 경우, 차량(1)은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P)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30). 이 때,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P)은 차량(1)이 충전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는 기준 연료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P)은 연료 탱크(110)의 용량의 7/8에 해당하는 연료량일 수 있고, 차량(1)은 충전량이 연료 탱크(110)의 용량의 7/8에 해당하는 연료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f it is not the first charging station visited (No in 520), that is, if a charging station with a history of visits is revisited,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harging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P (530). .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P may refer to a reference fuel amount for which the vehicle 1 is considered to be fully charged.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P may be a fuel amount corresponding to 7/8 of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110, and the vehicle 1 has a charging amount of 7/8 of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1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fuel corresponding to

감지된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P) 이상인 경우(530의 예), 차량(1)은 충전 완료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540). 이 때, 충전 완료 지점은 차량(1)이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에 감지되는 충전량을 의미할 수 있고, 차량(1)은 차량(1)이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시점에서의 연료 충전량을 충전 완료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P (YES in 530), the vehicle 1 may determine a charging completion point (540). At this time,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may mean a charging amount detected when the vehicle 1 is considered to be charged, and the vehicle 1 is a fuel charging amount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1 is considered to be charged. can be determined as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구체적으로, 감지된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P) 이상인 경우(530의 예), 차량(1)은 학습된 충전 완료 지점 및 현재 충전량에 기초하여 충전 완료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차량(1)은 감지된 충전량을 학습된 충전 완료 지점과 비교할 수 있고, 감지된 충전량이 학습된 충전 완료 지점에서의 충전량보다 작은 경우, 학습된 충전 완료 지점을 충전 완료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차량(1)은 감지된 충전량이 학습된 충전 완료 지점에서의 충전량 이상인 경우, 감지된 충전량을 충전 완료 지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etected charge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P (Yes in 530), the vehicle 1 may determine the charge completion point based on the learned charge completion point and the current charge amount. The vehicle 1 may compare the detected charge amount with the learned charge completion point, and when the detected charge amount is smaller than the charge amount at the learned charge completion point, determine the learned charge completion point as the charge completion point. Alternatively, the vehicle 1 may determine the detected charge amount as the charge completion point when the detected charge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harge amount at the learned charge completion point.

이후, 차량(1)은 판단된 충전 완료 지점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550). 이 때, 연료 부족 지점은 차량이 정지할 것으로 추정되는 연료량을 의미할 수 있다. 연료 부족 지점은 차량(1)이 주행하는데 필요한 최소의 연료량을 의미할 수 있다. 연료 부족 지점은 반드시 0이 아닐 수 있고, 0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Thereafter, the vehicle 1 may determine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the determined charging completion point (550). In this case, the fuel shortage point may mean an amount of fuel estimated to stop the vehicle. The fuel shortage point may refer to a minimum amount of fuel required for the vehicle 1 to drive. The fuel shortage point may not necessarily be zero, and may have a value greater than zero.

구체적으로, 차량(1)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 즉 충전 완료 지점이 낮아지는 경우 연료 부족 지점을 낮출 수 있고, 충전 완료 지점이 높아지는 경우 연료 부족 지점을 높일 수 있다. 차량(1)은 충전 완료 지점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값을 감산한 연료량을 연료 부족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충전 완료 지점에 대한 미리 정해진 비율의 연료량을 연료 부족 지점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vehicle 1 may lower the fuel shortage point when the detected amount of charge, that is, the charge completion point, when charging is completed, may decrease, and may increase the fuel shortage point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increases. The vehicle 1 may determine the fuel amount obtained by subtracting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as the fuel shortage point, and may determine the fuel amount at a predetermined ratio to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as the fuel shortage point.

연료 부족 지점이 결정되면, 차량(1)은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560). 구체적으로, 차량(1)은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고, 충전 완료 지점에서부터 연료 부족 지점까지의 구간에 대한 연료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When the fuel shortage point is determined, the vehicle 1 may determine a driving distance (560). Specifically, the vehicle 1 may determine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and may determine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the amount of fuel for a section from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to the fuel shortage point.

차량(1)은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을 학습할 수 있다(570). The vehicle 1 may learn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570).

구체적으로, 차량(1)은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시점에서의 충전량, 즉 충전 완료 지점과 충전소의 위치를 매칭시킬 수 있고, 이를 저장함으로써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을 학습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vehicle 1 may match the charging amount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that is,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and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nd store the result to learn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또한, 차량(1)은 저장된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을 학습할 수 있다. 차량(1)은 특정 충전소에서의 충전 완료 지점이 저장된 해당 충전소에서의 충전 완료 지점과 상이한 경우, 해당 충전소에 대한 저장된 충전 완료 지점을 감지된 충전 완료 지점으로 변경함으로써 저장된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1 may learn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by updating the stored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When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at a specific charging station is different from the stored charging completion point at the corresponding charging station, the vehicle 1 updates the stored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each charging station by changing the stored charging completion point for the corresponding charging station to the detected charging completion point. can do.

이후, 차량(1)은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580). Thereafter, the vehicle 1 may display the driving distance (580).

다른 예로, 최초 방문한 충전소인 경우(520의 예) 또는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P) 이상이 아닌 경우(530의 아니오), 차량(1)은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Q)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590). 이 때,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Q)은 연료가 부족한 것으로 간주되는 기준 연료량을 의미할 있다.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Q)은 차량(1)의 설계시에 최초로 설정되는 기준값 또는 차량(1)의 충전 시스템이 리셋되었을 때 기본으로 설정되는 디폴트(default)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Q)은 연료 탱크(110)의 용량의 1/8에 해당하는 연료량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량(1)은 연료 탱크(110)의 용량의 1/8에 해당하는 연료량을 연료 부족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고, 충전량이 연료 탱크(110)의 용량의 1/8 이하이면, 연료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charging station is visited for the first time (Yes in 520) or if the charging amount is not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P) (No in 530), the vehicle 1 is based on the second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Q) A fuel shortage point may be determined (590).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Q may mean a reference fuel amount that is considered to be insufficient in fuel. The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Q may be a reference value initially set when designing the vehicle 1 or a default value basically set when the charging system of the vehicle 1 is reset.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Q may be a fuel amount corresponding to 1/8 of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110 . In this case, the vehicle 1 may determine the amount of fuel corresponding to 1/8 of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110 as the fuel shortage point, and if the filled amount is 1/8 or less of the capacity of the fuel tank 110, the fuel is can be judged to be insufficient.

이 경우, 차량(1)은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560). 주행 가능 거리가 결정되면, 차량(1)은 충전소별 충전 완료 지점을 학습할 수 있고(570),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580).In this case, the vehicle 1 may determine a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560). When the drivable distance is determined, the vehicle 1 may learn charging completion points for each charging station (570) and display the drivable distance (580).

이를 통해, 충전소마다 상이한 충전압 및 충전 완료 지점에도 불구하고, 일관성 있는 주행 가능 거리 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운전자의 편의성 및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Through this, despite different charging pressures and charging completion points for each charging st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consistent driving range. Thus, driver's convenience and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s,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re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instructions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10: 연료 탱크
120: 감지부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통신부
110: fuel tank
120: sensing unit
130: control unit
140: display unit
150: communication department

Claims (20)

연료 탱크;
디스플레이부;
상기 연료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되,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을 충전 완료 지점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충전 완료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는 차량.
fuel tank;
display unit;
a sensing unit that detects a filled amount of fuel in the fuel tank;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e amount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determined driving distance;
The control unit,
Whe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a fuel shortage poi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and the determined fuel Determine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shortfall point;
A vehicle that determines a charged amount detected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as a charging completion point, and determines the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the determined charging completion poi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완료 지점으로부터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까지의 연료량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determines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the amount of fuel from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to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when the fuel is not completely charged, and determining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제1항에 있어서,
저장부;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 탱크에 상기 연료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소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를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
storage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fuel is filled in the fuel tank,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is matched with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so that the storage unit to store on vehicl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vehicle determining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a charging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충전량으로 상기 저장된 충전량을 업데이트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when the fuel is fully charged is the same as the charging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fuel is fully charged. If the sensed charge amount and the char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re not the same, the vehicle updating the stored charge amount with the sensed charge amou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Whe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determining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연료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의 충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충전압과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를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6,
the sensor,
Detecting the charging pressure of the fuel charged in the fuel tank;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matches the detected charging pressure with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연료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의 충전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주행 가능 거리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감지된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제1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을 충전 완료 지점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충전 완료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detecting the amount of fuel charged in the fuel tank;
determining a possibl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amount of charge; and
Including; displaying the determined driving distance;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e amount,
Whe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irst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a fuel shortage poi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cted charging amount, and the determined fuel Determining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a shortfall point; including,
Determining a charge amount detected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as a charging completion point, determining the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the determined charging completion point, and determining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Vehicle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충전 완료 지점으로부터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까지의 연료량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1,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e amount,
and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amount of fuel from the charging completion point to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1,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e amount,
and determining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when the fuel is not completely charged, and determining the possibl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제11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연료 탱크에 상기 연료가 충전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소의 위치를 판단하고; 및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를 매칭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1,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a location of a charging station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fuel is filled in the fuel tank; and
and matching the detected charge amount with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and storing the result in a storage un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6,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e amount,
and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a charging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whe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stor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및
상기 연료가 충전 완료되는 경우에 감지된 충전량과 상기 저장된 충전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충전량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감지된 충전량으로 상기 저장된 충전량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6,
Whe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store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harging amount detected when the fuel is completely charged is the same as the charging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nd
and updating the stored charge amount with the detected charge amount if the sensed charge amount when the fuel is fully charged is not the same as the char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tor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 미리 정해진 제2기준값에 기초하여 연료 부족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연료 부족 지점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가능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6,
Determining the driving distance based on the detected charge amount,
When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determining a fuel shortage point based on a predetermined second reference value, and determining the drivable distance based on the determined fuel shortage point. A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comprising: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에 충전되는 연료의 충전압을 감지하고; 및
상기 감지된 충전압과 상기 판단된 충전소의 위치를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6,
detecting a charging pressure of the fuel charged in the fuel tank;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matching the sensed charging pressure with the determined location of the charging station and storing the matched location in the storage unit.
KR1020180112062A 2018-09-19 2018-09-19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536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62A KR102536480B1 (en) 2018-09-19 2018-09-19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062A KR102536480B1 (en) 2018-09-19 2018-09-19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081A KR20200036081A (en) 2020-04-07
KR102536480B1 true KR102536480B1 (en) 2023-05-26

Family

ID=7029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062A KR102536480B1 (en) 2018-09-19 2018-09-19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48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2407A (en) * 2010-02-19 2011-09-01 Fuji Heavy Ind Ltd Distance-to-empty calculation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1755504B1 (en) * 2016-04-01 2017-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erver of providing battery display state of electric vehic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tting battery display state of electric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497B1 (en) * 2003-07-10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ip system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KR20150012776A (en) * 2013-07-26 2015-02-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riving distance display method of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2407A (en) * 2010-02-19 2011-09-01 Fuji Heavy Ind Ltd Distance-to-empty calculation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1755504B1 (en) * 2016-04-01 2017-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Server of providing battery display state of electric vehic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tting battery display state of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081A (en)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941B1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08592B2 (en) Automatically selecting a charging station for an electric vehicle
CN106657204B (en) Termina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55682B1 (en) Vehicle, server and telematics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5698806A (en) Method and device for forecasting the range of a vehicle with an at least partially electric drive
KR101752159B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807904A (en) Human machine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US116999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mobile device in vehicle
US10988037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07913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164824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KR20160099344A (en) Interface device, vehicle examining device connecting with the interfac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ehicle examining device
US10549636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s and method for display an efficiency gauge and target
KR102536480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00692B1 (en) Vehicle,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2019039278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display brightness
KR20220007807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lar power generating for vehicle based on sunshine
KR101837413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30029389A1 (en) Charge time estimation
CN111688702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nd vehicle system
US20230194296A1 (en) Gas fuel-based moving object capable of checking the amount of gas filling according to filling specif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filling amount using the same
US20230406152A1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server communicating with vehicle
KR102556619B1 (en) Cell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cell system
KR20210119681A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6873048A (en) Intelligent vehicle threshold, intelligent vehicle threshold control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