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511B1 - 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 Google Patents

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511B1
KR102533511B1 KR1020210001683A KR20210001683A KR102533511B1 KR 102533511 B1 KR102533511 B1 KR 102533511B1 KR 1020210001683 A KR1020210001683 A KR 1020210001683A KR 20210001683 A KR20210001683 A KR 20210001683A KR 102533511 B1 KR102533511 B1 KR 10253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izer
discharge
dust
comb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9441A (en
Inventor
정상훈
Original Assignee
정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훈 filed Critical 정상훈
Priority to KR102021000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511B1/en
Publication of KR2022009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4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03C3/383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using 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는 전기집진장치의 방전수단으로 사용되는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돌기형 이오나이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종래 탄소섬유를 이용하는 이오나이저에 비해 초미세먼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전시킬 수 있고, 함진 농도가 높고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상태에서도 포집대상을 하전시킬 수 있는 빗살형 이오나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된 고전압 공급봉이 관통하여 체결되며, 전기전도도를 갖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얇고 긴 판상의 막대형상의 이오나이저 본체; 및 상기 이오나이저 본체의 길이방향 측면 날에 빗살형태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방전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방전 와이어를 빗살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돌기형 이오나이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포집대상을 충분하게 하전시킬 수 있는 하전영역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고, 탄소섬유를 이용하는 이오나이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로 초미세먼지를 하전시킬 수 있고, 함진 농도가 높고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상태에서도 포집대상을 하전시킬 수 있는 효과, 방전 와이어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 및 성능 저하없이 종래 돌기형 이오나이저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mb-type ionizer for electric precipita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izer used as a discharge means of an electric precipitator, and in particular, discharges at a relatively low voltage compared to protrusion-type ionizers that cause corona discharg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ozone Howev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onizer using carbon fiber, it is possible to charge ultrafine dust more efficiently, and to provide a comb-type ionizer that can charge the collection target even when the dust concentration is high and the flow rate is relatively fast A thin and long plate-shaped bar-shaped ionizer bod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fastened through the high voltage supply rod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supply means;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wires disposed and coupled to the side bla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onizer body in a comb shape; a relatively low voltage compared to the projection-type ionizer by disposing the discharge wires in a comb shape It has the effect of forming a charged area that can sufficiently charge the collection target while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ozone by discharging through the discharge, and can charge ultrafine dust with relatively high efficiency compared to ionizers using carbon fibers,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charge the collecting target even when the dust concentration is high and the flow rate is relatively fast, an effect of facilitating maintenance of the discharge wire, and an effect of replacing the conventional protruding ionizer without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이오나이저와 집진부로 이루어져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먼지를 하전시켜 하전된 먼지가 쿨롱력에 의해 집진전극으로 끌려가서 집진이 되는 전기집진기(Electrostatic Precipitator : ESP)라 일컫는 접기집진장치의 방전수단으로 사용되는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적으로 저전력으로 높은 하전효율을 발휘하는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n ionizer and a dust collection unit, and the dust is charged by corona discharge, and the charged dust is dragged to the dust collection electrode by the Coulomb force to collect dust. It relates to an ionizer used, and in particular, to an ionizer that exhibits high charging efficiency with relatively low power.

통상적으로 전기집진장치(ESP)라고 일컫는 장치의 전기집진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전기집진장치(ESP)는 오염된 기체 내에 포함된 포집 대상인 미세먼지, 분진 내지 수분입자 등을 하전시켜 하전된 포집 대상에 쿨롱력(정전기력)이 작용하여 집진전극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하여 끌려가 포집되는 원리로 작동한다. Briefly explaining the principle of electric dust collection of a device commonly referred to as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charges fine dust, dust or moisture particles, etc. It works on the principle that the coulombic force (electrostatic force) acts on it and attracts it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is attracted and collected.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는 도 1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극(10)은 고전압 인가수단(PS)으로부터 11,000 Volt 이상의 높은 직류전압으로 전하를 공급받고, 이와 같이 높은 전압으로 공급된 전하는 상기 방전극(10)에 충전되어 코로나 방전으로 방전됨으로써 하전영역(A2)을 형성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for explaining the dust collecting principle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in FIG. 1, the electric precipitator using the same principle, the discharge electrode 10 that causes the corona discharge has a high DC voltage of 11,000 Volt or more from the high voltage applying means (PS). The electric charge supplied at a high voltage is charged in the discharge electrode 10 and discharged by corona discharge, thereby forming the charged region A2.

이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분진 내지 수분 등과 같은 포집대상인 미세입자(1)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상태이며, 중성인 상태의 미세입자(1)가 상기 하전영역(A2)으로 들어오면 중성인 상태에서 음이온을 띤 기체분자와의 충돌 내지 흡착으로 전기적으로 음성인 상태의 하전된 미세입자(1)가 된다. At this time, the fine particles 1 that are to be collected such as fine dust, dust, or moisture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re in an electrically neutral state, and the fine particles 1 in a neutral state are in the charged area A2 ), it becomes charged microparticles (1) in an electrically negative state due to collision or adsorption with anion-tinged gas molecules in a neutral state.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포집대상인 미세입자(1)가 하전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방전극(10)에서 코로나 방전을 통해 주위에 강한 전계영역(A1)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강한 전계영역(A1)은 주변기체의 내에 존재하는 자유전자를 가속시키고, 가속된 자유전자는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다른 기체분자와 충돌하며, 이렇게 가속된 자유전자와 충돌한 기체분자는 자유전자를 하나 더 배출하면서 양이온이 된다.Briefly explaining the principle of charging the fine particles 1, which are the collection target, contained in the polluted air, a strong electric field area A1 is formed around the discharge electrode 10 through corona discharge, and such a strong electric field area A1 Accelerates the free electrons present in the surrounding gas, and the accelerated free electrons move at high speed and collide with other gas molecules. do.

이와 같이 형성된 양이온이 된 기체분자는 방전극(10)를 향해 이동하면서 방전극(10)을 포위하고 있는 기체분자 또는 방전극(10) 자체에 충돌하고, 이때 발생한 새로운 자유전자는 전기장을 따라 접지된 집진전극(30)을 향해서 이동하고, 이와 같이 이동하는 자유전자는 전계영역(A1)을 벗어나면 전계가 약해져 급격히 이동속도가 떨어지고, 결국 기체분자를 이온화시키지는 못하는 속도로 기체분자와의 충돌로 기체분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음이온을 띤 기체분자를 형성한다. Gas molecules that became positive ions formed in this way collide with gas molecules surrounding the discharge electrode 10 or the discharge electrode 10 itself while moving toward the discharge electrode 10, and the new free electrons generated at this time follow the electric field to the grounded dust collection electrode. (30), and when the free electrons moving in this way leave the electric field region (A1), the electric field weakens and the moving speed drops rapidly. It is adsorbed on the surface to form gaseous molecules with negative ions.

이렇게 음이온을 띤 기체분자는 하전영역(A2)에 있는 미세입자(1)와 충돌 내지 흡착하여 미세입자를 하전시킨다.The negatively charged gas molecules collide with or adsorb to the microparticles 1 in the charge area A2 to charge the microparticles.

이와 동시에 방전극(10)과 나란히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다수의 접지된 판상의 집진전극(30, 30-1)과 상기 집진전극(30, 30-1) 사이에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고전압이 걸리는 판상의 다수의 전압판(20)을 형성하여 양쪽 집진전극(30, 30-1))은 정전유도와 정전방전으로 양극(+)으로 대전된다.At the same time, it is spaced parallel to the discharge electrode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s connected to a high voltage supply means between a plurality of grounded plate-shaped dust collecting electrodes 30, 30-1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s 30, 30-1 so that a high voltage is generated. By forming a plurality of voltage plates 20 in the shape of a hanging plate, both dust collecting electrodes 30 and 30-1 are charged with positive (+) by electrostatic induction and electrostatic discharge.

따라서 전압판(20)과 집진전극(30) 사이에서는 전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장으로 유입되는 하전된 미세입자(1)는 상기 집진전극(30)과는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전압판(20)과는 척력이 작용하여 상기 집진전극(30)으로 끌려가서 부착된다. Therefore,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voltage plate 20 and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 and the charged fine particles 1 flowing into the electric field have an attractive force with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 and the voltage plate 20 ) is attracted and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30 by the repulsive force.

이렇게 접지된 집진전극(30)으로 끌려가서 부착됨으로써 포집된 미세입자(1)는 전하를 잃게되어 전기적으로 중성인 미세입자(1)가 된다.The microparticles 1 collected by being attracted to and attached to the grounded dust collection electrode 30 in this way lose charge and become electrically neutral microparticles 1 .

이때, 상기 척력과 인력은 쿨롱(Coulomb)의 법칙에 따라 야기되는 힘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다.At this time, the repulsive force and the attractive force are forces caused according to Coulomb's law,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이와 같은 전기집진원리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는 통상적으로 1단형과 2단형으로 구분하는데, 1단형은 방전극을 포함하는 방전부와 집진부를 일체로 한 것으로 코트렐(Cottrell) 집진기라 불리며, 대기오염 방지수단으로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Electric precipitators using such an electric dust collecting principle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a one-stage type and a two-stage type. The first-stage type is a discharge unit including a discharge electrode and a dust collection unit integrated, and is called a Cottrell dust collector, and is an air pollution prevention means. is currently the most commonly used.

통상 3만V ~ 10만V 사이에서 운전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집진성능이 우수하여 현재 각종 산업용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액상 및 고상 입자의 배출을 방지하는 산업용 먼지 배출 방지장치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It is usually operated between 30,000V and 100,000V, and has a simple structure and excellent dust collection performance, so it is widely used as an industrial dust emission prevention device that prevents the discharge of liquid and solid particles generated in various industrial plants.

그러나, 이와 같은 1단형은 반복하여 하전과 집진을 하기 때문에 재비산 방지에는 효과적이지만 역전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집진전극에 높은 전압을 인가해야만 하고, 집진전극에서 방전이 될 시에는 집진능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one-stage type is effective in preventing re-scattering because it repeatedly charges and collects dust, but has a problem in that reverse ionization occurs, and a high voltage must be applied to the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when discharge occurs at the dust collection electrode, dust collection occurs. There is a problem with loss of ability.

또한, 집진전극에 먼지가 포집되어 약 8 ㎜~12.7 ㎜ 두께까지 먼지층이 형성되면, 상기 포집된 먼지를 탈진(Rapping)해야만 지속적으로 집진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살수 장치 내지 기계적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는 추타 장치 등을 부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dust is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a dust layer is formed up to a thickness of about 8 mm to 12.7 mm, the collected dust must be rapped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dust collecting ability, so a watering device or mechanical shock or vibration must b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hammering device or the like must be added.

만일, 탈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역전리 현상이 발생하여 하전된 먼지를 중화시켜 집진성능이 크게 저하되고, 포집된 먼지는 중화되어 재비산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f dedusting is not performed, a reverse ionization phenomenon occurs to neutralize the charged dust,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and the collected dust is neutralized and re-scattered.

상기 2단형은 방전극을 포함하는 방전부와 집진부가 별도로 되어 있는 것으로 방전부의 방전극과 집진부의 집진전극의 전압차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방전부를 거쳐 하전된 입자가 상기 전기장 내로 유입되면 이를 상기 집진부의 집진전극으로 끌어당겨 포집한다. In the two-stage type, the discharge part including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ust collection part are separate, and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y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of the discharge part and the dust collection electrode of the dust collection part, and when charged particles flow through the discharge part into the electric field, the electric field is generated. It is collected by being attract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이와 같은 2단형은 방전부와 집진부와 전계가 분리되어 있어 비교적 함진 농도가 적은 배기 처리에 주로 사용된다.This two-stage type is mainly used for exhaust treatment with a relatively low dust concentration because the discharge part, the dust collection part, and the electric field are separated.

한편, 2단형은 역전리가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재비산 먼지를 그대로 배출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wo-stage type has the advantage that reverse ionization does not occur, but there is a problem of discharging re-fugitive dust as it is, and a relatively complicated structure.

상기와 같은 1단형 정전필터 시스템과 2단형 정전필터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05-0127542호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가 개시된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one-stage electrostatic filter system and the two-stage electrostatic filter system as described above, prior art Application No. 10-2005-0127542 "Electric precipitator using induced voltage" has been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집진전극을 접지시키며, 전기적인 연결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돌기형 방전전극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전압을 일으키는 유도전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를 집진전극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정전계를 형성하여 접지된 집진전극으로 쿨롱력에 의해 끌려가는 하전된 먼지에 추진력을 부가함으로써 집진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nduction voltage plate that grounds the dust collection electrode and generates an induced voltage induced by a protruding discharge electrode that exists independently without electrical connection,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dust collection electrodes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Its technical feature is to increase the dust collection capacity by forming a system and adding a driving force to the charged dust that is dragged by the Coulomb force to the grounded dust collection electrode.

상기 종래기술은 방전전극을 톱과 같은 형상의 돌기형 방전전극으로 대체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상대적으로 넓은 하전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or art is characterized in that mechanical strength is increased and a relatively wide charge area is formed by replacing the discharge electrode with a saw-shaped protruding discharge electrode.

상기 종래기술은 도 2 전기집진장치의 돌기형 방전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집진장치(3)의 대전부(4)를 돌기형 방전전극(10)으로 구성함으로써 통상의 봉 타입 또는 와이어 타입의 방전전극(이오나이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인 1만5천 볼트에서 코로나방전이 이루어져 포집대상을 하전시켜 일반적인 전기집진장치에 비해 집진효율이 높고 초미세먼지와 같은 포집대상을 포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하전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1만 볼트 이상의 고압으로 전류를 공급해야하는 문제와 이로 인한 많은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고, 더 나아가 코로나 방전시 오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for explaining the protruding discharge electrode of the electric precipitator in FIG. 2, the prior art configures the charging part 4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3 as a protruding discharge electrode 10, Compared to rod-type or wire-type discharge electrodes (ionizers), corona discharge occurs at 15,000 volts, which is a relatively low voltage, and charges the collection target, resulting in higher dust collection efficiency than general electric dust collectors and collection of ultra-fine dust. Whil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llect the target, the conventional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corona discharge has the problem of supplying current at a high voltage of 10,000 volts or more to form a charged area and the problem of consuming a lot of power.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ozone is generated during corona discharge.

또 다른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09-0012904호 "탄소섬유를 이용한 2단 전기집진기"가 개시된 바 있다.As another prior art, Application No. 10-2009-0012904 "two-stage electric precipitator using carbon fiber" has been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동시에 다량의 산성가스가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처리가능한 탄소섬유를 이용한 2단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art relates to a two-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carbon fiber capable of treating polluted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acid gas while suppressing generation of ozon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더욱 상세하게는 코로나 방전보다 낮은 전압에서도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탄소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오존을 발생을 억제하고,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동시에 산성가스에 내구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탄소섬유를 이용한 2단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two-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carbon fiber that suppresses ozone generation and reduces power consumption by using carbon fiber capable of generating ions even at a voltage lower than corona discharge and having durability against acid gas. It is about.

이러한 탄소섬유를 이용한 2단 전기집진기는, 오염된 공기를 하전시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 기에 있어서, 전압인가장치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탄소섬유가 설치된 하전부와, 상기 하전부에서 하전된 미세입자를 정전기력으로 집진하는 전기집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전부는 오염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온을 발생시키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이온 발생기와, 상기 이온 발생기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다.A two-stage electric precipitator using such carbon fiber is an electric precipitator that collects fine particles by charging contaminated air, and a charging unit in which a carbon fiber generating ions is installed by receiving a high voltage from a voltage application device, and the charging unit It consists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that collects charged microparticles with electrostatic force, and the charging unit includes a body for moving contaminated air, an ion generator made of carbon fiber installed inside the body to generate ions, and the ion It consists of a voltage application device that applies a high voltage to the generator.

그러나, 위와 같은 탄소섬유를 이용하는 종래기술은 코로나방전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비해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소비전력도 낮추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함진 농도가 높은 경우 집진 성능의 저하가 쉽게 발생하고, 유속이 빨라짐에 따라 집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고, 특히 초미세먼지에 대한 집진 성능이 충분하게 보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using carbon fiber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ozone and lowering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prior art using corona discharg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decreases as the speed increases,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 collection performance for ultrafine dust is not sufficiently guaranteed.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소비전력도 낮추면서도 함진 농도가 높은 오염 공기, 유속이 빠른 오염 공기, 초미세먼지가 포함된 오염 공기 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집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이오나이저가 요구되고 있다.Due to this problem, the discharge is made at a relatively low voltage,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ozon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while effectively collecting dust against polluted air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dust, polluted air with a fast flow rate, and polluted air containing ultra-fine dust. There is a demand for an ionizer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that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위와 같은 종래 탄소섬유를 이용하는 이오나이저와 돌기형 방전극(이오나이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돌기형 이오나이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종래 탄소섬유를 이용하는 이오나이저에 비해 초미세먼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전시킬 수 있고, 함진 농도가 높고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상태에서도 포집대상을 하전시킬 수 있는 빗살형 이오나이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ionizer and the protruding discharge electrode (ionizer) using the conventional carbon fiber as described above, discharges at a relatively low voltage compared to the protruding ionizer that causes corona discharge,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ozone. It is to provide a comb-type ionizer that can charge ultrafine dust more efficiently than conventional ionizers using carbon fibers while suppressing it, and can charge the collection target even when the dust concentration is high and the flow rate is relatively fast. The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known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shown in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technical features.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는 전기집진장치에 설치되고,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전하를 방출하는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된 고전압 공급봉이 관통하여 체결되며, 전기전도도를 갖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얇고 긴 판상의 막대형상의 이오나이저 본체; 및 상기 이오나이저 본체의 길이방향 측면 날에 빗살형태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방전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comb-type ionizer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nizer installed in an electric precipitator and connected to a high voltage supply means to discharge electric charges, wherein a high voltage supply rod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supply means is fastened through and passed throug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 thin and long plate-shaped rod-shaped ionizer bod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wires disposed in a comb shape and coupled to the side bla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onizer body.

또한,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상기 방전 와이어는 상기 이오나이저 본체의 양쪽 측면 날에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wire of the comb-type ionizer for the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both side blades of the ionizer body; a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상기 방전 와이어는 5 ~ 15 mm 길이로, 1 ~ 10 mm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wire of the comb-type ionizer for the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ngth of 5 to 15 mm and is disposed at intervals of 1 to 10 mm; a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상기 방전 와이어는 텅스텐, 구리, 철, 스테인레스 금속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wire of the comb-type ionizer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y one metal material among tungsten, copper, iron, and stainless metal; a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상기 방전 와이어는 탄소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wire of the comb-type ionizer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carbon material; a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상기 방전 와이어는 상기 이오나이저 본체의 측면과 끼움결합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다수 방전 와이어가 결합하는 방전 결합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wire of the comb-type ionizer for the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coupling band in which a slit is formed to be fitt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ionizer body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wires are coupled .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는 방전 와이어를 빗살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돌기형 이오나이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포집대상을 하전시킬 수 있는 하전영역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고, 탄소섬유를 이용하는 이오나이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로 초미세먼지를 하전시킬 수 있고, 함진 농도가 높고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상태에서도 포집대상을 하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Comb-type ionizer for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technical features is discharged at a relatively low voltage compared to protrusion-type ionizer by arranging the discharge wire in a comb-like shape, there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ozone while charging the collection target It has the effect of forming a charging area that can be charged, can charge ultrafine dust with relatively high efficiency compared to ionizers using carbon fiber, and can charge the collection target even when the dust concentration is high and the flow rate is relatively fast. There are possible effects.

또한,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는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한 방전 와이어 부분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mb-type ionizer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asily replacing a discharge wire portion having relatively low durability.

또한,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는 종래 돌기형 이오나이저를 이용하는 다양한 전기집진장치에 돌기형 이오나이저를 대체하여 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mb-type ionizer for the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by replacing the protrusion-type ionizer in various electric precipitators using the conventional protrusion-type ionizer.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seen through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exhibited by means and combinations shown in the claims.

도 1은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전기집진장치의 돌기형 방전전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방전 와이어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방전 결합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ust collecting principle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truding discharge electrode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omb-type ionizer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comb ionizer for the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wire of a comb-type ionizer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ischarge coupling band of the comb-type ionizer for the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llows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Al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equivalents as claimed by thos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도 3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빗살형 이오나이저(100)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와 구조의 전기집진장치(3)에 설치되어 대전부(4)를 형성하여 고전압 공급수단(PS)에 연결되어 전하를 방출하는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이다.FIG. 3 The comb-type ioniz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omb-type ionizer for the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rm and structure shown in FIG. It relates to an ionizer that is installed in a device (3) to form a charging unit (4) and is connected to a high voltage supply means (PS) to discharge electric charge.

구체적으로 상기 도 3과 도 4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살형 이오나이저(100)는 관통공(111)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111)을 통해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된 고전압 공급봉(5)이 관통하여 체결되며, 구리합금이나 텅스텐과 같이 전기전도도를 갖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얇고 긴 판상의 막대형상의 이오나이저 본체(110)와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오나이저 본체(110)의 길이방향 측면 날에 빗살형태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방전 와이어(12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 and 4 showing installation examples of the comb-type ionizer for the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type ioniz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hrough hole 111 to , The high voltage supply rod 5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supply means is fasten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1, and the ionizer body is a thin and long plate-shaped rod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lectric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alloy or tungsten. 11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wires 120 disposed in the form of comb teeth on the longitudinal side blades of the ionizer body 110 as shown in FIG. 3 and coupled thereto.

상기 방전 와이어(120)는 상기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오나이저 본체(110)의 일측 날에만 결합되어 일측 방전 와이어부(120A)를 형성하거나, 상기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오나이저 본체(10)의 일측 방전 와이어부(120A)의 타측에 타측 방전 와이어부(120B)를 형성하여 양쪽 측면 날에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3, the discharge wire 120 is coupled only to one blade of the ionizer body 110 to form one discharge wire part 120A, or in (b) of FIG. As shown, the other side discharge wire portion 120B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ne side discharge wire portion 120A of the ionizer body 10 and installed on both side blades.

또한,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100)의 상기 방전 와이어(120)는 도 5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방전 와이어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 와이어(120)의 높이(h)는 5 ~ 15 mm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치 간격(i)은 1 ~ 10 mm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charge wire 120 of the comb-type ionizer 100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charge wire ( The height (h) of 120) is preferably 5 to 15 mm long, and the installation interval (i) is preferably arranged at intervals of 1 to 10 mm.

상기 방전 와이어(120)의 높이(h)는 설치 간격(i)에 비례하여 설치 간격(i)이 넓어질 수록 높이(h)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h) of the discharge wire 120 is preferab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stallation distance (i) as the installation distance (i) widens.

한편, 방전 와이어(120)의 설치 간격(i)은 오염된 공기의 함진 농도와 유속에 따라 결정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stallation distance (i) of the discharge wire 1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ust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the polluted air.

예를 들어 함진 농도가 높거나 유속이 빠른 경우 설치 간격(i)을 좁게하고, 상대적으로 함진 농도가 낮거나 유속이 상대적으로 느린 경우 설치 간격(i)을 상대적으로 넓게 한다.For example, when the dust concentration is high or the flow rate is high, the installation distance (i) is narrowed, and when the dust concentration is relatively low or the flow rate is relatively low, the installation distance (i) is relatively wide.

한편, 이와 같은 방전 와이어(120)의 굵기는 약 0.1 ~ 0.5 mm 직경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로 텅스텐, 구리, 철, 스테인레스 금속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탄소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discharge wire 120 is a wire having a diameter of about 0.1 to 0.5 mm, and may be made of any one metal material among tungsten, copper, iron, and stainless metal, or made of a carbon material.

이와 같이 방전 와이어(120)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약 1만 V(볼트)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주변 공기를 이온화시켜 하전 영역을 형성하되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탄소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는 스테인레스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더 낮은 전압인 약 5천 V에서도 오존의 발생없이 주변 공기를 이온화시켜 하전 영역을 형성한다.In this way, when the discharge wire 1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discharge is made at about 10,000 V (volts) to ionize the surrounding air to form a charged region, but does not generate ozone, and when made of a carbon material, a stainless metal material Even at about 5,000 V, which is a lower voltage than the case of ionization, a charged region is formed by ionizing the surrounding air without generating ozone.

특히, 탄소 소재로 이루어진 방전 와이어(120)의 경우, 종래 돌기형 이오나이저와 비슷한 수준의 이온화 농도를 갖는 하전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에서 방전이 이루어져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소비전력도 낮추면서도 함진 농도가 높은 오염 공기, 유속이 빠른 오염 공기, 초미세먼지가 포함된 오염 공기 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집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ischarge wire 120 made of carbon material, by forming a charged region having an ionization concent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conventional protruding ionizer, discharge is performed at a relatively low voltage to suppress ozone generation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However, it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dust collection performance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against polluted air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dust, polluted air with a high flow rate, and polluted air containing ultra-fine dust.

또한,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100)의 상기 방전 와이어(120)는 도 6 본 발명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의 방전 결합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오나이저 본체(110)의 측면과 끼움결합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다수 방전 와이어(120)가 결합하는 방전 결합대(12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charge wire 120 of the comb-type ionizer 100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the drawing for explaining the discharge coupling zone of the comb-type ionizer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ischarge coupling band 125 in which a slit is formed to be fitt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ionizer body 11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wires 120 are coupled.

이와 같은 방전 결합대(125)는 이오나이저 본체(110)에서 방전 와이어(120)를 탈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전 와이어(120)의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경우 방전 와이어(120)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오나이저 본체(110)의 측면 날 부분을 감싸면서 끼움결합이 되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방전 와이어(120)가 결합되어 있어, 방전 결합대(125)와 이오아니저 본체(110)의 탈부착에 의해 방전 와이어(120)가 이오나이저 본체(110)에 탈부착된다.The discharge coupling band 125 is a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discharge wire 120 from the ionizer body 110, and can simply replace the discharge wire 120 when maintenance of the discharge wire 120 is required. As shown in FIG. 6, a slit is formed so as to be fitted while wrapping the side edge of the ionizer body 11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wires 120 are coupled to discharge The discharge wire 120 is detached from the ionizer main body 110 by detaching the coupling band 125 and the ionizer main body 11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obvious, and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1 : 전계영역
A2 : 하전영역
PS : 고전압 공급수단
1 : 미세입자
3 : 전기집진장치
4 : 대전부
5 : 고전압 공급봉
10 : 방전극(돌기형 방전극)
12 : 삽입틀
20 : 전압판
30 : 집진전극
100 : 본 발명에 따른 빗살형 이오나이저
110 : 이오나이저 본체
111 : 관통공
120 : 방전 와이어
125 : 방전 결합대
A1: Electric field area
A2: charge area
PS: high voltage supply means
1: fine particles
3: electric dust collector
4: Daejeon
5: high voltage supply rod
10: discharge electrode (protruding discharge electrode)
12: insertion frame
20: voltage plate
30: dust collecting electrode
100: comb-type io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0: ionizer body
111: through hole
120: discharge wire
125: discharge coupling band

Claims (6)

이오나이저가 양측에 설치되고 양측 사이에 집진수단이 위치하는 양방향 전기집진장치(3)의 고전압 공급수단(PS)에 연결되어 전하를 방출하는 상기 이오나이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된 고전압 공급봉(5)이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관통공(111)을 형성하고, 구리합금 소재 또는 텅스텐 소재로 이루어진 얇고 긴 판상의 막대형상을 갖는 이오나이저 본체(110);와
상기 이오나이저 본체(110)의 길이방향 양쪽 측면 날에 각 끼움결합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다수 방전 와이어가 결합하는 방전 결합대(125);와
상기 이오나이저 본체(110)의 양쪽 측면 날에 결합된 각 방전 결합대(125)에 빗살형태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방전 와이어(120A, 120B);를 포함하되,
상기 방전 와이어는 5 ~ 15 mm 길이로, 1 ~ 10 mm 간격으로 상기 이오나이저 본체의 양쪽 측면 날에 설치되는 것으로, 텅스텐, 구리, 철, 스테인레스 금속, 탄소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
The ionizer is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supply means (PS) of the bi-directional electric precipitator (3) in which the ionizer is installed on both sides and the dust collecting means is located between the two sides to discharge electric charges,
An ionizer body 110 having a thin and long plate-like rod shape made of a copper alloy material or a tungsten material and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 through which the high voltage supply rods 5 connected to the high voltage supply means are fastened through. ;and
A discharge coupling table 125 in which slits are formed on both side bla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onizer body 11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wires are coupled;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wires (120A, 120B) disposed and coupled in the form of comb teeth to each discharge coupling band 125 coupled to both side blades of the ionizer body 110; including,
The discharge wire has a length of 5 to 15 mm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 blades of the ionizer body at intervals of 1 to 10 mm, and is made of any one of tungsten, copper, iron, stainless metal, and carbon. A comb-type ionizer for an electric precipit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01683A 2021-01-06 2021-01-06 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KR102533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683A KR102533511B1 (en) 2021-01-06 2021-01-06 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683A KR102533511B1 (en) 2021-01-06 2021-01-06 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441A KR20220099441A (en) 2022-07-13
KR102533511B1 true KR102533511B1 (en) 2023-05-17

Family

ID=8240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683A KR102533511B1 (en) 2021-01-06 2021-01-06 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51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735A (en) * 1998-08-06 2000-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purifier
US20110229376A1 (en) * 2010-03-17 2011-09-22 Isaac Ray Electrostatic filter and non-thermal plasma system for air pollution control of hydrocarbon combustion engin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3270B2 (en) * 1994-10-17 2003-04-07 増田 佳子 Corona discharge unit
JP3004938B2 (en) * 1997-03-07 2000-01-31 株式会社オーデン Electric dust coll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735A (en) * 1998-08-06 2000-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purifier
US20110229376A1 (en) * 2010-03-17 2011-09-22 Isaac Ray Electrostatic filter and non-thermal plasma system for air pollution control of hydrocarbon combustion eng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441A (en)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554B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multi-cross pin ionizer
US395896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0724556B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405637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12320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cle agglomeration
KR920004208B1 (en) Dust collector for a air cleaner
EP0665061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O1987006501A1 (en) An arrangement for generating an electric corona discharge in air
KR101287915B1 (en) Two-way induction electrostatic filter having honey comb electic charge part
KR102221735B1 (en) Variable bidirectional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system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ging part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is controlled
CA2985468C (en) Method and arrangement
JPS6097061A (en)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KR101287913B1 (en) Two-way induction electrostatic filter using multi-cross pin ionizer
US4326861A (en) Dust-collecting assembly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180035B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multi-cross pin ionizer
KR20080023802A (en) Discharge board for electric dust collector
JP3254134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2533511B1 (en) Comb tooth type ioniz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RU2431785C2 (en) Ion fan filter
EP3884551A1 (en) An ionizing unit for negatively charging airborne particles present in an airflow, an air-purifying device and a vehicle-adapted device
KR102405895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composite charging unit to improve fine dust removal function
KR200410985Y1 (en) Inductio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12512695A (en) Electric dust collector
CN112566727B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2530863B1 (en) Center discharge type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