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497B1 - Swich device - Google Patents

Swich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497B1
KR102533497B1 KR1020150176993A KR20150176993A KR102533497B1 KR 102533497 B1 KR102533497 B1 KR 102533497B1 KR 1020150176993 A KR1020150176993 A KR 1020150176993A KR 20150176993 A KR20150176993 A KR 20150176993A KR 102533497 B1 KR102533497 B1 KR 10253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trol
home appliance
switch de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69591A (en
Inventor
김자연
홍윤정
오주현
서우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497B1/en
Publication of KR20170069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5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4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8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making use of an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신호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a user's control command, a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through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module, and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to the home applian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signals of the home appliance.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CH DEVICE}Switch device {SWICH DEVICE}

실시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switch device.

통상적으로, 오피스텔이나 상가건물, 오피스 빌딩 또는 아파트 등과 같은 실내/외에서는 내부 사용자에 대한 이용상의 편의성과 외부의 침입자로부터의 방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는 상태이다.Typically, in indoor/outdoor areas such as officetels, commercial buildings, office buildings, or apartments, a home automation system is introduced as a way to perform security functions from external intruders and convenience for internal users. state of being applied.

종래에 벽에 부착되는 스위치는 단순이 가전기기 중 조명장치의 온/오프만 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Conventionally, a switch attached to a wall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only turn on/off a lighting device among home appliances.

통상적으로 개인이 휴대하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들은 각종 이동통신기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운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기들이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직비(Zigbee), 지웨이브(Z-wave), 블루투스(Blueth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등이 있다.Typically, portable mobile terminals carried by individuals can operate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or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used by mobile terminal devices include Zigbee, Z-wave,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eacon, and the like.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기는 주파수 대역 및 신호 송출주기를 조절할 수 있고, 비교적 적은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낮아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하드웨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mobile terminal device can adjust a frequency band and a signal transmission cycle, and by using a relatively small memory, power consumption is low and long lifespan can be guarante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by adopting a simple hardware configuration.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실내에 위치한 가전기기들도 통신 이동 단말기기의 위치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As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home appliances located indoors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devices.

실시예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가전기기의 제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 가전기기의 제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control of various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 user's location and to provide control of customized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 user.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신호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a user's control command, a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through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module, and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odule to the home appliance.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signals of the home appliance.

실시예는 통신모듈을 내장한 상태에서 벽의 시공홈에 내장되며, 종래의 조명기기의 스위치와 함께 일체로 설치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The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of being built into the construction groove of the wall in a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is embedded, and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switch of the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또한, 실시예는 통시모듈을 내장한 다수의 스위치 장치를 벽에 내장하여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an advantage of accurately recognizing a user's location by embedding a plurality of switch devices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in a wall.

또한, 실시예는 다수의 스위치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맞춤형 가전기기 제어를 제공하는 장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an advantage of recognizing a user's location through a plurality of switch devices and providing customized home appliance control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벽에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Ⅰ - Ⅰ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벽에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벽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센서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들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wall.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witch device shown in FIG. 1 taken along line I-I.
3 is a side view of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wall.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wall.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nvironmental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nclud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switch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component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you flip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component will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Elem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and/or operation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or operations. I never do tha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ngles and directions mentione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embodiment are based on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constituting the embodiment in the specification, i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the angle are not clearly mentioned, refer to the related drawing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벽에 부착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의 Ⅰ - Ⅰ 선을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wall,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the switch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switch devic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0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모듈(120), 입력모듈(120)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통해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39), 제어모듈(39)의 제어신호를 가전기기(700)에 송신하고, 가전기기(700)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150)을 포함한다.1 to 3, the switch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me appliance through an input module 120 receiving a user's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module 120. A control module 39 that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700, and a communication module 150 tha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39 to the home appliance 700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signal of the home appliance 700 ).

또한,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100)는 본체(140)와, 커버(11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witch device 100 of th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main body 140 and a cover 110 .

본체(140)는 적어도 제어모듈(39) 및 통신모듈(150)을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한다. 본체(140)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40)는 내부에 입력모듈(120)의 일부를 수용한다. 즉, 본체(140)는 입력모듈(120)의 일부를 본체(140)의 외부로 노출한 상태에서 입력모듈(120)이 일부를 수용한다.The body 140 defines a space accommodating at least the control module 39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 The main body 14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In addition, the body 140 accommodates a part of the input module 120 therein. That is, the body 140 accommodates a portion of the input module 120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input module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40 .

예를 들면, 본체(140)는 전방에 개구가 형성되고, 전방을 제외한 방향이 닫힌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체(140)는 전방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이다. 여기서, 전방은 도 2에서 좌측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도 2에서 우측방향을 의미한다.For example, the main body 140 has a shap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t the front and directions other than the front are closed. Specifically, the main body 140 has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front. Here, front means a left direction in FIG. 2 , and rear means a right direction in FIG. 2 .

본체(140)는 벽(11)에 형성된 시공홈(12)에 매립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40)는 전방 개구가 벽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벽(11)의 시공홈(12)에 매립된다. The body 140 is embedded in the construction groove 12 formed in the wall 11. Specifically, the body 140 is embedded in the construction groove 12 of the wall 11 so that the front opening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ll.

본체(140)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 공(141)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케이블 공(141)은 본체(140)의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다른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40)의 일면이 절개 및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A cable hole 141 through which a cable passes is formed in the main body 140 . For example, the cable ball 141 is formed by penetrating one surface of the body 140 . For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3 ,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40 may be cut and bent.

커버(110)는 본체(140)의 전방 개구를 커버(한다. 커버(110)는 적어도 본체(140)의 전방 개구와 시공홈(12)을 커버(110)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커버(110)는 본체(140)의 개구와, 시공홈(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40)의 전방 개구 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지고, 커버(110)의 배면(111)은 시공홈(12)의 주변의 벽과 접촉된다.
The cover 110 covers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140. The cover 110 has a size and shape that covers at least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140 and the construction groove 12. Therefore, The cover 110 prevent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140 and the construction groove 12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Specifically, it has a larger size than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14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110 (111) is in contact with the wall around the construction groove (12).

통신모듈(150)은 전자기기와 스위치 장치(100)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통신모듈(150)은 가정에 설치되는 가전기기(700), 인터넷 망과 연결된 서버(10) 또는/및 이동 단말기(20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is provided to enabl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and the switch device 100 .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is provided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home appliance 700 installed in a home, the server 10 connected to an Internet network, or/and the mobile terminal 200 .

통신모듈(150)은 제어모듈(39)에서 입력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가전기기(700) 및 이동 단말기(200)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신호를 제어모듈(39)로 출력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5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module 39, receives the information signal of the home appliance 7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and outputs the received informa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39. do.

통신모듈(150)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통신모듈(150)은 비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50 is not only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uch as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and ZigBee may be used, so they are not limited to any one communication method. No. However,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may use a beacon method.

통신모듈(150)은 본체(140)의 내부에 수용된다. 다만, 통신모듈(15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곳에 위치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50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140 . However,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located in various places.

제어모듈(39)은 가전기기(700)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은 입력모듈(120)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통해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The control module 39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the home appliance 700 .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through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module 120 .

입력모듈(120)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것이다. 입력모듈(120)은 입력된 제어명령을 제어모듈(39)로 출력한다. The input module 120 i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The input module 120 outputs the inputted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module 39.

입력모듈(120)은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put module 120 may include a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eg, a dome switch, a jog wheel, a jog switch, etc.) and a touch input means. As an example, the touch input means consists of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on a part other than the touch screen. While it can be composed of a touch key that is placed, a virtual key or visual key can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hile having various forms, for example, graphic, text, It may consist of an icon, a video, or a combination thereof.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듈(120)의 일부는 본체(140)의 외부에 노출되고, 입력모듈(120)의 일부는 본체(140)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입력모듈(120)은 입력모듈(120)은 조작유닛(121a)(121b)(121c)과, 접속단자(122a)(122b)(122c)를 포함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 a part of the input module 1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40, and a part of the input module 1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140. . Specifically, the input module 120 includes operation units 121a, 121b, and 121c, and connection terminals 122a, 122b, and 122c.

조작유닛(121a)(121b)(121c)은 커버(110)의 전면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의 의해 유동된다. 구체적으로, 조작유닛(121a)(121b)(121c)은 커버(110)에 설치되는 푸쉬버튼이거나, 커버(110)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축으로 유동되는 틸트 버튼일 수도 있다. 조작유닛(121a)(121b)(121c)은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s 121a, 121b, and 121c are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110 and are moved by a user's manipula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s 121a, 121b, and 121c may be push buttons installed on the cover 110 or tilt buttons hinged to the cover 110 and moving about the hinge.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121a, 121b, and 121c may be disposed.

접속단자(122a)(122b)(122c)는 조작유닛(121a)(121b)(121c)의 유동에 따라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제어모듈(39)로 출력한다. 접속단자(122a)(122b)(122c)는 조작유닛(121a)(121b)(121c)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설치된다. 접속단자(122a)(122b)(122c)는 본체(140)의 내부에 수용된다. The connection terminals 122a, 122b, and 122c output user control commands to the control module 39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control units 121a, 121b, and 121c. The number of connection terminals 122a, 122b, and 122c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 units 121a, 121b, and 121c is installed. The connection terminals 122a, 122b, and 122c ar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140.

입력모듈(120)에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모듈(39)은 가전기기(700) 또는/이동 단말기(2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When a control command is input to the input module 120, the control module 39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or/or the mobile terminal 200.

커버(110)에는 입력모듈(120)과 상이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보조 입력모듈(130)을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입력모듈(130)은 커버(110)의 전면에 노출된 버튼 또는 틸트버튼으로 구현될수 있다. 보조 입력모듈(130)은 입력모듈(120)과 상이한 제어명령을 제어모듈(39)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보조 입력모듈(130)에 입력된 제어명령 조명기기의 제어에 관한 제어명령이라면, 입력모듈(120)에 입력된 제어명령은 조명기기를 제외한 가전기기(700)에 제어에 관한 제어명령일 수 있다.An auxiliary input module 130 that receives a control comm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put module 12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cover 110 . The auxiliary input modul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button or a tilt button exposed on the front of the cover 110 . The auxiliary input module 130 outputs a control command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put module 120 to the control module 39 . For example, if the control command input to the auxiliary input module 130 is a control command related to control of the lighting device, the control command input to the input module 120 controls the control of the home appliance 700 excluding the lighting device. could be a command.

실시예는 통신모듈(150)을 내장한 상태에서 벽의 시공홈(12)에 내장되며, 종래의 조명기기의 스위치와 함께 일체로 설치되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실시예는 통시모듈을 내장한 다수의 스위치 장치(100)를 벽에 내장하여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In th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is embedded in the construction groove 12 of the wall,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integrally installed with a switch of a conventional lighting device. In addition, the embodiment has an advantage of accurately recognizing a user's location by embedding a plurality of switch devices 100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in a wall.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벽에 부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벽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센서 모듈(170)의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wall, FIG.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a wall, and FI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vironment sensor modul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100)는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환경센서 모듈(170)과, 냉난방 컨트롤러(16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4 to 6 , the switch device 100 of another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and a heating/cooling controller 160 compared to the embodiment of FIG. 1 .

환경센서 모듈(170)은 스위치 장치(100)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여 제어모듈(39)로 출력한다. 환경센서 모듈(170)은 환경센서 모듈(170) 주위의 공기의 오염여부, 습도, 온도, 먼지, 이산화탄소 값을 측정하여 제어모듈(39)로 출력한다.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detects the environment around the switch device 100 and outputs the detected environment to the control module 39 . The environment sensor module 170 measures whether or not the air around the environment sensor module 170 is contaminated, humidity, temperature, dust, and carbon dioxide values, and outputs the values to the control module 39 .

환경센서 모듈(170)은 커버(110)의 측면에 연결된다. 여기서, 커버(110)의 측면은 커버(110)의 배면과 교차되는 면이다. 환경센서 모듈(170)의 측면은 커버(110)의 측면과 연결되고, 환경센서 모듈(170)의 배면은 시공홈(12) 주변의 벽(11)과 접촉된다.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ver (110). Here,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110 is a surface crossing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110 . The side of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ver 1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is in contact with the wall 11 around the construction groove 12.

예를 들면, 환경센서 모듈(170)은 공기에 함유된 각각 상이한 특성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군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6을 참조하면, 환경센서 모듈(170)은 일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토출되는 공기 유동 공간이 구비된 센서 케이스(171)와, 센서 케이스(171)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유동 팬(178)과, 센서 케이스(171)의 내부에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직렬 배치되고, 공기에 함유된 각각 상이한 특성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that detect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air.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is disposed inside the sensor case 171 provided with an air flow spac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in one direction, and the sensor case 171, and the air It may include a flow fan 178 forcibly flowing, and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disposed in series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sensor case 171 and detect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the air.

센서 케이스(171)의 일측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172)가 구비되고, 센서 케이스(171)의 타측에는 복수의 센서군에 의하여 측정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77)가 구비된다. 유입구(172) 및 토출구(177)는 복수의 센서군의 설치 방향에 대하여 일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시료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군의 위치 편차를 줄이기 위함이다.An inlet 172 for introducing ai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nsor case 171, and an outlet 177 through which air measured by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is discharge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nsor case 171. The inlet 172 and the outlet 177 are preferably disposed i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ensor groups. This is to reduce a positional deviation of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sample air.

센서 케이스(171)의 배면(179)은 시공홈(12) 주위의 벽(11)과 접촉된다. 센서 케이스(171)의 일측면은 커버(110)의 측면과 연결된다. 이 때, 센서 케이스(171)의 유입구(172)와, 토출구(177)는 커버(110) 보다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센서 케이스(171)의 유입구(172)와 토출구(177)는 커버(110)의 측면과 연결되는 센서 케이스(171)의 일측면을 제외한 다른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179 of the sensor case 171 is in contact with the wall 11 around the construction groove 12 . One side of the sensor case 171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ver 110 . At this time, the inlet 172 and the outlet 177 of the sensor case 171 may protrude beyond the cover 110 . Of course, the inlet 172 and the outlet 177 of the sensor case 17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nsor case 171 other than one sid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ver 110 .

복수의 센서군은 공기 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감지 센서(173)와,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 센서(174)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75)와, 공기 중의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를 감지하는 매연 감지 센서(1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nsor groups include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73 for detec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air, a fine dust sensor 174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and a carbon dioxide sensor 175 for detect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 the air. ),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175 for detecting nitric oxide (NO x ), sulfur oxide (SO x )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in the air.

냉난방 컨트롤러(160)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모듈(39)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냉난방 컨트롤러(16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난방 컨트롤러(160)는 온도조절이 용이한 조그 휠로 구현된다.The heating/cooling controller 160 receives a control command for the air conditioner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module 39 .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160 may include a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eg, a dome switch, a jog wheel, a jog switch, etc.) and a touch input means. . Preferably, as shown in FIG. 4 , the heating/cooling controller 160 is implemented as a jog wheel for easy temperature control.

냉난방 컨트롤러(160)는 커버(110)의 측면에 연결된다. 냉난방 컨트롤어의 배면은 시공홈(12)의 주변을 형성하는 벽과 접촉된다.
The cooling/heating controller 16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ver 110 . The rea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wall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groove 12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ncluding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장치(100)와 스위치 장치(100)와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 가전기기(7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witch device 100 and a home appliance 700 connected to the switch device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스위치 장치(100)와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 가전기기(700)는 스위치 장치(100)의 제어모듈(39)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제어된다.The home appliance 700 connected to the switch device 10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controlled based on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odule 39 of the switch device 100 .

예를 들면, 가전기기(700)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가전기기(700)는 TV, 세탁기, 보안장치, 에어컨, 가습기, 제습기, 공기청정기, 조명, 환기장치, 도어락, 보일러, 가스밸브 및 인터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home appliance 700 includes electronic devices used at home. Specifically, the home appliance 700 includes at least one of a TV, washing machine, security device, air conditioner, humidifier, dehumidifier, air purifier, lighting, ventilator, door lock, boiler, gas valve, and intercom.

또한,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스위치 장치(100)와 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물론 이동 단말기(200)는 가전기기(700)와 직접 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되고,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때,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200)의 정확한 위치측정을 위해 서로 이격된 적어도 3개의 스위치 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ncludes a mobile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switch device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course,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7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 At this tim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three switch devices 1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200)는 휴대용기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이동 단말기(200)는 스위치 장치(100) 또는/및 가전기기(7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mobile terminal 200 of the embodiment may be a portable device. However, the mobile terminal 2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obile terminal 200 is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the switch device 100 and/or the home appliance 700, and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휴대용기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device will be described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용 기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휴대용 기기를 이동 단말기(200)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휴대용 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 단말기(200)는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용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devices such as folder type, bar type, swing type, slider type, etc., a bar type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a front touch screen will be described as the mobile terminal 2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ar-type portable devices, and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ll types of portable devices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typ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동 단말기(200)는 빛을 감지하는 카메라(421a), 각종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421a that detects light and a display unit 240 that displays information necessary for various controls.

디스플레이부(240)는 레이어 구조로 중첩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touch panels overlapping in a layer structure and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스피커(4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광감지장치(421a)는 카메라일 수 있다. 마이크(4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peaker 453a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The light sensing device 421a may be a camera. The microphone 423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r other sounds.

이동 단말기(200)의 일 실시예인 휴대용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기기는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는 통화, 마우스 포인트 이동이나 화면 스크롤,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A portable device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input unit 260 . For example, the portable device may include first to third input units 260a, 260b, and 260c. In terms of functionality, the first to third input units 260a, 260b, and 260c are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call, mouse point movement, screen scroll, start, end,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 입력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60 may include a touch panel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럭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240)와, 가전기기(700) 또는/및 스위치 장치(100)의 통신모듈(150)과 통신되는 단말기 통신모듈(230)과,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260) 및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제어부(210)와,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인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for example, a mobile terminal 200 is a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a display unit 240 on which an image is implemented and a communication module 150 of a home appliance 700 or/and a switch device 100. A communication module 230, a user input unit 260 for inputting a user's control command, a main controller 210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and a main memory 220 for storing information data can include

또한, 이동 단말기(200)는 전원부(280)에서 전원을 공급 받아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의 메인 메모리(220)에 저장된 관리 어플리케이션(270)을 실행하여서 가전기기(7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후에,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이를 실행하여서 가전기기(7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80 . The user can control the home appliance 700 by executing the management application 270 stored in the main memory 220 of the mobile terminal 200 . After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the user can download and install a management application, and execute it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 700.

디스플레이부(24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The display unit 240 is a device that outputs an image that a user can visually recognize.

디스플레이부(240)는 메인 제어부(2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한 시각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may displa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ain control unit 210 as visual information recognizable by a user.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가전기기(7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검색된 가전기기(700)들과 가전기기(700)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에는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리모컨 오브젝트가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40 may display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 The display unit 240 may display the searched home appliances 700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s 700 . A remote control object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240 .

디스플레이부(240)는 실시예에 따라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may detect a touch input by including a touch panel that detects a tou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display unit 240 includes a touch panel, it may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control command by a user's touch.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3D displays.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40)에는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전기기(700)의 정보와 가전기기(700)의 제어정보를 표시되는 UI(USER INTERFACE)화면이 구현되고, 터치패널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Specifically, a UI (USER INTERFACE) scree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700 and control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700 is implemented on the display unit 240 by a management application, and when a touch panel is used, the user An object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may be displayed.

메인 메모리(2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Main memory 220 may includ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The main memory 220 may also include non-volatile memory such as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flash memory devices, or other non-volatile solid-state memory devic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 readable storage medium.

예를 들어, 메인 메모리(2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메인 제어부(210)의 동작 중,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제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memory 220 may include 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EEP-ROM, information can be written and erased by the main controller 210 during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ler 210 . The EEP-ROM may be a storage device in which information stored therein is maintained without being erased even when the control apparatus is turned off and power supply is stopped.

메인 메모리(220)에는 메인 제어부(210)와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220)는 메인 제어부(210)가 가전기기(700)를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10)는 메인 메모리(220)가 저장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가전기기(700)를 검색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Various programs or data may be stored in the main memory 220 in association with the main control unit 210 . The main memory 220 may store programs necessary for the main controller 210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 700 . The main controller 210 may search for or control the home appliance 700 based on a program stored in the main memory 220 .

메인 메모리(220)에는 가전기기(700)를 동작시키는 방식에 관한 동작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220)에는 기존에 사용자 입력부(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가전기기(700)를 제어했던 방식에 관한 히스토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Operation information about how to operate the home appliance 700 may be stored in the main memory 220 . In addition, the main memory 220 may store history information abou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based on a control command of the user input unit 260 in the past.

사용자 입력부(26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다. 사용자의 제어명령은 메인 제어부(210)에서 제어신호로 생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260 receives a user's control command. The user's control command may be generated as a control signal by the main control unit 210 .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60)는 이동 단말기(200)에 버튼 방식으로 구현된 제1 내지 제3 입력부(260a, 260b, 26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구비된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260 may include first to third input units 260a, 260b, and 260c implement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in a button manner. Also, the user input unit 260 may include a touch panel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240 .

단말기 통신모듈(230)은 제어모듈(39)과 통신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단말기 통신모듈(230)은 스위치 통신모듈(150) 또는.및 가전기기(700)의 통신유닛과 통신을 할 수 있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230 may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module 39 .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230 may communicate with the switch communication module 150 or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home appliance 700 .

통신모듈(150)은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등의 무선 인터넷 통신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어,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단말기 통신모듈(230)은 비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50 is not only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such as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 (Ultra Wideband), and ZigBee may be used, so they are not limited to any one communication method. No. However, preferably,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230 may use a beacon method.

또한, 모션 감지부(290)와 조도감지 센서(295)는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tion detector 290 and the illuminance sensor 295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

모션 감지부(290)는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출력한다.The motion detection unit 29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outputs a detection result.

구체적으로, 모션 감지부(290)는 이동 단말기(200)의 가속도, 이동 단말기(200)의 가속도의 방향,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인 시간을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메인 제어부(210)로 출력한다.Specifically, the motion sensor 290 detects the ac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direction of the ac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moving time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main control unit 210. print out

더욱 구체적으로, 모션 감지부(290)는 이동 단말기(200)가 기설정된 가속도 값을 초과하게 움직이는 경우, 감지결과를 메인 제어부(210)에 제공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motion detector 290 provides a detection result to the main controller 210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moves beyond a predetermined acceleration value.

예를 들면, 모션 감지부(290)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 및 중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센서(142)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관성센서,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이로스코프에는 기계식 자이로스코프, 고리형 레이저 자이로스코프, 광섬유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다. 자이로센서는 이동 단말기(2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중력센서는 이동 단말기(20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중력센서는 무게추를 가변저항에 연결하고 회전에 따른 저항의 변화로 현재 이동 단말기(20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거나, 중심부에 도전성 물체를 두고, 회전에 대응하여 도전성 물체가 접촉된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tion sensor 29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nd a gravity sensor. The gyroscope 142 is a concept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using a gyroscope, an inertial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Gyroscopes include mechanical gyroscopes, ring laser gyroscopes, and fiber optic gyroscopes. The gyro senso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provid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200 . Also, the gravity sensor is a concept including all types of sensors that detect the rot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gravity sensor connects a weight to a variable resistance and detects the current rotatio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a change in resistance according to rotation, or places a conductive object in the center and 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ductive object is contacted in response to rotation. Thus, the rotation state can be detected.

조도감지 센서(295)는 이동 단말기(2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출력하게 된다.The illuminance sensor 295 detects the ambient illuminance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outputs a detection result.

예를 들면, 조도감지 센서(295)는 이동 단말기(200) 또는 각각의 가전기기(70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조도감지 센서(295)는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lluminance sensor 295 may be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or each home appliance 700 . However, preferably, the illuminance sensor 295 may be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

구체적으로, 조도감지 센서(295)는 이동 단말기(200)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 값에 대한 신호를 메인 제어부(210)에 제공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illuminance sensor 295 detects the ambient illuminance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provides a signal for the illuminance value to the main controller 210 .

메인 제어부(210)는 통상적으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멀티미디어 재생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part. For example, it may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multimedia playback, and the like.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부(260)와, 모션 감지부(290)의 감지된 감지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21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home appliance 700 based on the detected result of the user input unit 260 and the motion detection unit 290 .

메인 제어부(21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ler 210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가전기기(700)의 통신모듈(150)을 검색하면, 여러 개의 장치가 검색되게 된다. 일반 가정의 경우 가전기기(700) 이외에도 근접한 이웃집의 조명기기(미도시)가 검색될 수도 있다. 또한 근접통신 모듈이 장착된 모든 장치가 검색되므로, 보안 페어링이 필요하게 된다.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home appliance 700 is searched using the mobile terminal 200, several devices are searched. In the case of a general household, a lighting device (not shown) of a neighboring house may be searched in addition to the home appliance 700 . In addition, since all devices equipped with a proximity communication module are searched for, secure pairing is required.

따라서, 이러한 보안 페이링을 위해 가전기기(700) 또는/및 스위치 장치(100)에는 보안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보안모듈은 이동 단말기(200)와의 보안 페어링(pairing)과정을 통해 제어권한이 있는 이동 단말기(200)의 가전기기(700)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하게 된다.Accordingly, a security modul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home appliance 700 or/and the switch device 100 for such secure pairing. The security module grants control authority for the home appliance 700 of the mobile terminal 200 having control authority through a secure pairing process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

구체적으로, 보안 페어링을 위한 인증 버튼이 디스플레이부(240)에 오브젝트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보안 페어링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Specifically, an authentication button for secure pairing may be implemented as an object on the display unit 240 . A secure pairing procedure may be performed by touching the authentication button.

보안모듈은 스위치 장치(100)와 기설정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200)에 대하여 보안 페어링을 실행할 수 있다.The security module may perform secure pairing with the switch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having a preset radio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다른 페어링 방법으로는 이동 단말기(200)를 통신모듈(150)에 근접시켜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일정레벨이상 강하게 인식되는 가전기기(700)가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고, 사용자 입력부(260)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의 가전기기(700)에 대한 제어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As another pairing method, the mobile terminal 200 is brought close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and the home appliance 700 whose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is strongly recognized above a certain leve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user input unit When the password entered in 260 matches the preset password, control authority for the home appliance 700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granted.

이러한 비밀번호는 메모리(38)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This password may be encrypted and stored in memory 38 .

이러한 페어링 방법을 이용한 등록시에는 비밀번호를 전송하여 등록하고 제어권이 없는 다른 사람의 등록을 제한할 수 있다.When registering using this pairing method, a password can be transmitted and registered, and registration of other people who do not have the right to control can be restricted.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 입력부(260)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가전기기(700)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10)는 가전기기(700)의 온(On)/오프(Off) 시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38)에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ain controller 21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n/off time of the home appliance 700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of the user input unit 260 .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21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the on/off time of the home appliance 700 in the memory 38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스위치 장치(100)는 가전기기(700)들과 직접 또는 서버(10)를 통해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0 , the switch device 100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s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s 700 directly or through the server 10 .

스위치 장치(100)는 게이트 웨이(35)를 통해 서버(10)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장치(100)는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38)를 더 포함한다. 또한, 스위치 장치(10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34)를 더 포함한다.The switch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10 through the gateway 35 . The switch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memory 38 in which information data is stored. In addition, the switch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display 34 that outputs an image visually recognizable by a user.

스위치 장치(100)의 메모리(38)에는 스위치 장치(100) 및 가전기기(700)의 위치정보와 보안 페어링을 위한 비밀번호가 저장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witch device 100 and the home appliance 700 and a password for secure pairing are stored in the memory 38 of the switch device 100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들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switch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스위치 장치(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위치 장치(100)들은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에 위치된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와의 무선 통신 감도 값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감지한다.Referring to FIG. 11 ,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 devices 100 . These switch devices 100 are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to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o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detect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위치 장치(100)는 다수의 공간(room)(R1-R3)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독립된 공간(room)(R1-R3)에 스위치 장치(100)가 단수로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다수의 스위치 장치(100)의 위치정보는 메모리(38)에 저장된다.Specifically, one or more switch devices 100 may be disposed in a plurality of rooms R1 to R3. In addition, a single switch device 100 may be disposed or a plurality of switch devices 100 may be disposed in the rooms R1 to R3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switch devices 100 is stored in the memory 38 .

제어모듈(39)은 입력모듈(120)에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가전기기(700)들을 제어한다. 제어모듈(39)은 입력모듈(120)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제어신호로 변경하여 통신모듈(150)로 출력한다. 통신모듈(150)은 가전기기(700)에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제어신호를 가전기기(700)에 수신되어 가전기기(700)가 제어된다.The control module 39 controls the home appliances 700 based on a control command to the input module 120 . The control module 39 converts the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module 120 into a control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700 . This control signal is received by the home appliance 700 and the home appliance 700 is controlled.

예를 들면, 제어모듈(39)은 입력모듈(120)의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가전기기(700)들이 독립적으로 온(on)/오프(off)되도록 제어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39 controls the home appliances 700 to be independently turned on/off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of the input module 120 .

다른 예를 들면, 제어모듈(39)은 환경센서 모듈(170)에서 입력된 주변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가전기기(700)들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은 온습도 감지 센서(173)에서 감지된 온습도 정보를 바탕으로 가습기, 제습기 및 에어컨을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은 스위치 장치(100)의 온습도 감지 센서(173)에서 감지된 온도, 습도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스위치 장치(100)에서 인접한 가습기, 제습기 및 에어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모듈(39)에 제어신호에 의해 온도 및 습도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유지하도록 가습기, 제습기 및 에어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따라서,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쾌적한 주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 module 39 controls the home appliances 700 based on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put from the environment sensor module 170 .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controls the humidifier, dehumidifier, and air conditioner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73 .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detected b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73 of the switch device 100 are out of a preset range, the switch device 100 detects among adjacent humidifiers, dehumidifiers and air conditioner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is output.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humidifier, dehumidifier, and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39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are maintained within a preset range. Accordingly, the embodiment may provide a pleasant surrounding environment to the user.

또한, 제어모듈(39)은 미세먼지 감지 센서(174)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정보를 바탕으로 공기 청정기를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은 스위치 장치(100)의 미세먼지 감지 센서(174)에서 감지된 미세먼지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미세먼지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스위치 장치(100)에서 인접한 공기 청정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39 controls the air purifier based on the fine dus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ne dust detection sensor 174.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controls the switch device 100 so that the fine dust value is within the preset range when the fine dust value detected by the fine dust detection sensor 174 of the switch device 100 is out of the preset range. )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djacent air purifier.

또한, 제어모듈(39)은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75) 또는 매연 감지 센서(175)에서 감지된 이산화탄소 또는 매연 정보를 바탕으로 환기장치를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은 스위치 장치(100)의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175) 또는 매연 감지 센서(175)에서 감지된 이산화탄소 값 또는/및 매연 값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산화탄소 값 또는/및 매연 값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스위치 장치(100)에서 인접한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39 controls the ventilation system based on carbon dioxide or smok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sensor 175 or the smoke detection sensor 175 .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controls the carbon dioxide value or the carbon dioxide value or the smoke value detected by the carbon dioxide sensor 175 or the smoke sensor 175 of the switch device 100 when the carbon dioxide value or/and the smoke value i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And/or the switch device 10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adjacent ventilation device so that the smoke level is within a preset range.

다른 예를 들면,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 맞춤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may provide user location alignment control based on the user's loc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정보에 따른 가전기기(700)의 제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control of the home appliance 700 according t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 정보에 따라 가전기기(700)를 제어한다.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detects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controls the home appliance 700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and user information.

예를 들면,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스위치 장치(100)들의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 정보에 따라 가전기기(700)를 제어한다.For exampl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detects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switch devices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user's location and user The home appliance 7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스위치 장치(100)들의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연산한다.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클수록 스위치 장치(100)와 이동 단말기(200)는 가깝게 위치된다.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200 based on the radio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switch devices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Calculate the location. The higher the radio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is, the closer the switch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are.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연산된 이동 단말기(200)의 주변의 가전기기(700)를 제어하거나,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이동 단말기(200) 주변의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리모컨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200) 주변은 이동 단말기(200)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 1미터 내지 3미터로 설정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ler 210 controls the home appliance 700 around the calculated mobile terminal 200, or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ler 210 controls the surroundings of the mobile terminal 200.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remote control object that controls the home appliance 700 may be output. Here, the periphery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set to a radius of 1 meter to 3 meters centered on the mobile terminal 200 .

이 때,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연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3개의 스위치 장치(100)의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각각의 스위치 장치(100)와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연산한다.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3개의 스위치 장치(100)와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 값을 삼각측량법을 통해 위치를 연산한다. 메모리에는 무선 통신 감도 값(RSI)에 따른 거리 정보가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based on the radio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is as follows.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three switch devices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he distance between each switch device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is calculated. .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 unit 210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distance values between the three switch devices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riangulation. Dist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radio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is stored in the memory.

더욱 구체적으로,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외출하는 경우 보안장치를 온시키고,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하며, 조명을 오프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스위치 장치(100)들의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제1감도값을 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가 외출했다고 판단한다.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외출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보안장치를 온시키고, 도어락을 잠금상태로 전환하며, 조명을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More specifically,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executes control of turning on a security device, converting a door lock into a locked state, and turning off lights when users go out. When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 unit 210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switch devices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smaller than the first sensitivity value, the user Assume that you are out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 unit 21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the security device, converting the door lock into a locked state, and turning off the light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gone out.

또한,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보안장치를 오프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스위치 장치(100)들의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이 제1감도값을 보다 큰 경우, 사용자가 실내에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실내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보안장치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executes control to turn off the security device when the user is located indoors. When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ler 210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switch devices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greater than the first sensitivity value, the user It is judged that it exists indoors.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 unit 21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ff the security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doors.

다른 예를 들면,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위치되는 재실공간을 감지하여서,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온시키고, 재실공간 외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오프시키게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스위치 장치(100)들의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감지하고, 미리 저장된 실내의 지도정보와 비교하여서,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되는 재실공간을 판단한다. 여기서, 재실공간은 실내가 벽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공간 중에 이동 단말기(200)기 위치되는 공간이다.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재실공간을 판단하고,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환경센서 모듈(170)의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조명기기를 온시키고, 재실공간 외에 위치되는 조명기기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에어컨, 공기청정기, 가습기, 제습기 등을 환경센서 모듈(170)에서 입력된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조명기기에 부착된 음향출력모듈(미도시)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For another exampl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detects the living space where users are located, controls to turn on the home appliance 700 located in the living space, and turns off the home appliance 700 located outside the living spac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200 based on the radio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switch devices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he location is detected and compared with map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to determine the living space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Here, the living space is a spac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in a spac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walls.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ler 210 determines the user's living space and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located in the living spac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 unit 21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lighting devices located within the user's living space and turning off lighting devices located outside the living space.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 unit 21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a dehumidifier, etc. located in the user's occupied spac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print out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 unit 21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output sound from an audio output module (not shown) attached to a lighting device located in the user's living space.

또 다른 예를 들면,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인지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가전기기(700)의 제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이동 단말기(200)의 등록된 설정에 따라 가전기기(7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스위치 장치(100)들의 통신모듈(150)과 이동 단말기(200) 사이의 무선 통신 감도 값(RSI)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감지하고, 미리 저장된 실내의 지도정보와 비교하여서,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되는 재실공간을 판단한다.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재실공간을 판단하고, 재실공간 내에 위치되는 가전기기(700)를 환경센서 모듈(170)의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환경센서 모듈(170)의 센싱정보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용자기 미리 이동 단말기(200)에 등록된 판단기준에 따른다.For another example,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provides control of the user-customized home appliance 700 through user recogni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ler 21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according to the registered settings of the mobile terminal 200 .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200 based on the radio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RSI)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50 of the switch devices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he location is detected and compared with map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to determine the living space where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ler 210 determines the user's living space and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700 located in the living spac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At this time,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ensing information of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170 is based on the criterion register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beforehand by the user.

또 다른 예를 들면, 가전기기 제어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200)가 유동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의 주변의 가전기기(700)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39) 또는 메인 제어부(210)는 모션 감지부(290)에서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200)가 일정 가속도 또는 속도 이상으로 움직이는 경우 이동 단말기(200)가 유동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 단말기(200)와 스위치 장치(100)의 무선 통신 감도값을 기준으로 파악한 이동 단말기(200) 의 위치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의 주변(반경 2미터 내지 5미터)에 위치된 가전기기(700)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For anothe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200 is in motion, the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controls the home appliances 700 around the mobile terminal 200 to be turned off.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39 or the main controller 21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moves at a certain acceleration or speed based on the signal input from the motion sensor 290. and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value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switch device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round the mobile terminal 200 (radius of 2 to 5 meter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ocated home appliance 700 to be turned off is output.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ese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4)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모듈;
상기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신호를 상기 가전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스위치 장치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센서 모듈;
적어도 상기 제어모듈 및 통신모듈을 수용하고, 전방에 개구가 형성되며, 벽에 형성된 시공홈에 매립되는 본체; 및
공기조화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모듈로 출력하는 냉난방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제어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은 공간을 구획하는 벽에 매립되며,
커버의 배면은 상기 시공홈의 주변의 벽과 접촉되며, 상기 본체에는 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공이 형성되고,
상기 냉난방 컨트롤러는 상기 커버의 측면에 연결되는 스위치 장치.
an input module that receives a user's control command;
a control module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through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module;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to the home appliance and receiving an information signal of the home appliance;
An environment sensor module for sensing an environment around the switch device;
a main body that accommodates at least the control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has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and is embedded in a construction groove formed in a wall; and
A cooling/heating controlle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air conditioner and outputting the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module;
At least the control modul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embedded in a wall dividing the space,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is in contact with a wall around the construction groove, and a cable hole through which a cable passes is formed in the main body,
Th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is a switch device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cov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커버의 전면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의 의해 유동되는 조작유닛과,
상기 조작유닛의 유동에 따라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module,
An operating unit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and moved by a user's manipulation;
A switch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terminal for outputting a user's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oper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장치 주변의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환경센서 모듈은 상기 커버의 측면에 연결되는 스위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nvironment sensor module for sensing the environment around the switch device,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is a switch devic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cov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센서 모듈의 배면은 상기 시공홈의 주변을 형성하는 벽과 접촉되는 스위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switch devic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environment sensor module is in contact with a wall forming a periphery of the construction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센서 모듈은 공기에 함유된 각각 상이한 특성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군을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is a switch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for detect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contained in the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센서 모듈은,
공기 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감지 센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 센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공기 중의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를 감지하는 매연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that detects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air, a fine dust sensor that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a carbon dioxide sensor that detect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 the air, nitrogen oxides (NOx), sulfur oxides (SOx) and volatility in the air A switch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smoke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organic compounds (VOC).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센서 모듈은 상기 복수의 센서군을 수용하고,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센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The environmental sensor module further comprises a sensor case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sensor groups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internal air flows out at one side formed therein.

삭제delete
KR1020150176993A 2015-12-11 2015-12-11 Swich device KR1025334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93A KR102533497B1 (en) 2015-12-11 2015-12-11 Swich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993A KR102533497B1 (en) 2015-12-11 2015-12-11 Swich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91A KR20170069591A (en) 2017-06-21
KR102533497B1 true KR102533497B1 (en) 2023-05-17

Family

ID=5928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993A KR102533497B1 (en) 2015-12-11 2015-12-11 Swich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4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020178A1 (en) * 2019-07-29 2021-02-04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06B1 (en) * 2011-02-17 2013-02-21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The wall pad
KR101858610B1 (en) * 2011-12-01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95802B1 (en) * 2012-07-02 2014-06-30 (주)한성테크놀러지 auto control typ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91A (en)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1372B1 (en) Contextual based gesture recognition and control
US988357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US10401138B2 (en) Guided installation feedback for an opening sensor
US9262913B2 (en) Communication device
CN104854815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 device in domestic network system
KR102607554B1 (en) Methods for determining and controlling a piece of equipment to be controlled, and device, use and system implementing said methods
KR202000424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me device remotely in a home network system
US10074248B2 (en) Guided installation for an opening sensor
EP3113070B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cal user recognition
CN106094768A (en) A kind of Smart Home robot and intelligent home furnishing control method
US20170098356A1 (en) Opening Sensor with Magnetic Field Detection
KR2017007607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umerelectronics
KR20200094738A (en) Fine dust measuring device and fine dust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18088349A1 (en) Information output system, device control system,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program
KR102533497B1 (en) Swich device
US11127170B1 (en) Multi-level premise mapping with security camera drone
KR20200102240A (en) A controll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230018297A (en) System Including Home Terminals and Using Method Thereof
JP2023022673A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WO2023048720A1 (en) Hierarchical mobile application launch
KR20240076524A (en) IoT control system using metaverse
US20180025599A1 (en) Determining sensor installation characteristics from camera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