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953B1 -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s using assignment allocation for prevention of dementia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s using assignment allocation for prevention of dementi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953B1
KR102528953B1 KR1020200080336A KR20200080336A KR102528953B1 KR 102528953 B1 KR102528953 B1 KR 102528953B1 KR 1020200080336 A KR1020200080336 A KR 1020200080336A KR 20200080336 A KR20200080336 A KR 20200080336A KR 102528953 B1 KR102528953 B1 KR 102528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ask
cognitive function
train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3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1875A (en
Inventor
신대석
염지호
윤주오
정희재
나덕렬
장혜민
진주희
조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다스아이티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다스아이티,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다스아이티
Priority to KR102020008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53B1/en
Publication of KR2022000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는 단계, 관리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종류 및 난이도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종류 및 난이도의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포함된 과제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및 관리자 단말에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과제노출시간을 지정하는 경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ovided is a method for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where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is registered from an administrator's terminal, and the type and level of difficulty of at least one pre-stored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are selected in the administrator's terminal. , generating a task template including at least on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of a selected type and level of difficulty, and designat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manager terminal and a task exposure tim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and allocating content to at least one designated user terminal.

Description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S USING ASSIGNMENT ALLOCATION FOR PREVENTION OF DEMENTIA}A method for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that enables remote home training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S USING ASSIGNMENT ALLOCATION FOR PREVENTION OF DEMENTIA}

본 발명은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인에 최적화된 훈련 콘텐츠를 과제로 생성 및 할당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nd provides a platform capable of generating and allocating training contents optimized for individuals as tasks.

최근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령인구 증가는 혈관성 치매나 알츠하이머 등 노인성 질환의 상대적 증가로 이어짐에 따라 간병 및 재활 등을 위한 사회적 부담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질병을 초기에 예방하고 진행 과정을 늦추기 위한 노인의 신체 운동, 지속적인 보살핌, 일상생활, 건강 관리지원 등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치매 치료는 퇴행하고 있는 뇌세포를 재활성화시킴으로써 뇌기능의 유지나 병진행의 완화 또는 지연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약물치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약물 치료를 통한 치매환자의 언어기능 및 수행기능을 유지,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생성되는 기억기능의 유지 및 향상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자극을 통해 뇌기능 활성화와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Recently,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an aging society has led to a relative increase in geriatric diseases such as vascular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social costs for nursing care and rehabilitation.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physical exercise, continuous care, daily life, and health care support for the elderly to prevent disease at an early stage and slow down the progression of the disease is emerging. Since the main purpose of dementia treatment is to reactivate degenerating brain cells to maintain brain function or to alleviate or delay the progression of disease, maintenance of language and performance functions of patients with dementia through various non-drug treatments as well as drug treatment,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and improve the memory function created through repetitive practice.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utilize a cognitive therapy program that activates brain functions and improves cognitive abilities through stimulation.

이때, 치매 인지치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9-0138416호(2019년12월13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295187호(2013년08월09일 공고)에는, 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인지훈련용 콘텐츠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반복적인 인지훈련을 통해 사용자의 뇌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사용자의 치매 증세에 따라 코스별 인지훈련용 콘텐츠를 제공하여 인지훈련을 시키고,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장시간 지속적으로 인지훈련이 가능하도록 문제풀이게임 형식의 인지훈련용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뇌기능을 다방면으로 훈련시키고, 사용자가 수행한 인지훈련용 콘텐츠의 평가결과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치매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구성과, 인간의 뇌기능 활성화 정도를 판단하는 콘텐츠를 다수의 분류 영역 및 레벨로 세분화하여 저장하고, 뇌기능 향상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는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분류방식에 따라 각 영역별로 선별하며, 사용자가 콘텐츠 선별부에서 선별된 콘텐츠에 대하여 전달한 피드백에 따른 획득점수에 따라 사용자의 성취도를 부여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method for providing dementia cognitive therapy contents was researched and developed. In this regard,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138416 (published on December 13, 2019)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95187 (2013 Announcement on August 09, 2018), content for cognitive training to prevent dementia is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and through repetitive cognitive training, the user's brain function is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and cognitive training by cours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the user's dementia. It provides cognitive training by providing content for cognitive training, provides cognitive training content in the form of a problem-solving game so that users can continue cognitive training for a long time without feeling bored, and trains the user's brain function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information of content for cognitive training, the configuration that can grasp the user's dementia status and the content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human brain function activation are subdivided into a number of classification areas and levels and stored, and brain function enhancement content A configuration in which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re sor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method for each area, and a user's achievement level is given according to an acquisition score according to feedback delivered by the user to the contents selected in the content selection unit is disclosed. .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게임 콘텐츠로 제공되는 인지치료 프로그램의 특성상 강제성이 없고, 반드시 풀지 않아도 되는 임의성으로 인하여 꾸준한 훈련을 유도하기 어렵다. 또, 전두엽 집행, 시공간 인지능력, 주의집중력, 기억력, 언어능력, 및 계산능력을 유지 및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게임 콘텐츠가 존재하지만, 사람은 자신이 잘하는 분야만 계속하려고 하며, 잘하지 못하는 분야는 바로 포기하거나 처음부터 시도조차 하지 않는 등으로 복합적인 게임 진행이 되지 않는다. 만약, 복합적 분야의 게임을 진행한다고 할지라도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은 어느 분야에 대한 훈련이 필요한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고 체계성을 갖추지 못함으로 인하여 중구난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인지치료 프로그램을 체계적이면서 복합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even if the above configuration is used, it is difficult to induce steady training due to the nature of the cognitive therapy program provided as game content, which is not compulsory and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solved.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game contents to maintain and improve frontal lobe execution, visuospatial cognitive ability, attention concentration, memory, language ability, and calculation ability. Complex games are not progressed by giving up or not even trying from the beginning. Even if a game in a complex field is played, the general public, who is not an expert, may proceed with the program in a neutral way due to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lack of systematic training in which field requires training.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can systematically and complexly proceed with cognitive therapy progra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문가인 관리자가 각 사용자를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개인에게 적합한 인지치료에 대응하는 치매예방 훈련 콘텐츠를 선정 및 할당하는 과제할당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인지치료 프로그램의 진행에 강제성을 부여 및 꾸준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진행을 유도할 수 있으며, 전두엽 집행, 시공간 인지능력, 주의집중력, 기억력, 언어능력, 및 계산능력을 유지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어느 한 분야의 능력이 뒤쳐지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고, 그룹 내 사용자가 동일한 문제를 푸는 경우 평가점수 기반으로 순위를 리스트업함으로써 경쟁을 유도할 수 있으며, 문제를 푸는데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함으로써, 산출된 평가점수를 피드백 데이터로 이용하고 단계별 과제를 재할당해줄 수 있는,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n expert manager to register and manage each user, and uses a task assignment function to select and allocate dementia prevention train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cognitive therapy suitable for an individual, thereby using a cognitive therapy program. It can give compulsion to the progress of the program and induce the progress of steady and diverse programs, and can maintain and improve overall cognitive function for maintaining frontal lobe execution, visuospatial cognitive ability, attention concentration, memory, language ability, and calculation ability. When users in a group solve the same problem, competition can be induced by listing the ranking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 and at least one parameter measured in solving the problem By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based 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capable of distance home training, which can use the calculated evaluation score as feedback data and reallocate tasks for each step.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는 단계, 관리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종류 및 난이도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종류 및 난이도의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포함된 과제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및 관리자 단말에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과제노출시간을 지정하는 경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register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the type and difficulty of at least on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pre-stored 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If selected, generating a task template including at least on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of the selected type and level of difficulty and designat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task exposure time,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and allocating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to at least one designated user terminal.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전문가인 관리자가 각 사용자를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개인에게 적합한 인지치료에 대응하는 치매예방 훈련 콘텐츠를 선정 및 할당하는 과제할당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인지치료 프로그램의 진행에 강제성을 부여 및 꾸준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진행을 유도할 수 있으며, 전두엽 집행, 시공간 인지능력, 주의집중력, 기억력, 언어능력, 및 계산능력을 유지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어느 한 분야의 능력이 뒤쳐지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고, 그룹 내 사용자가 동일한 문제를 푸는 경우 평가점수 기반으로 순위를 리스트업함으로써 경쟁을 유도할 수 있으며, 문제를 푸는데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함으로써, 산출된 평가점수를 피드백 데이터로 이용하고 단계별 과제를 재할당해줄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task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sk assignment function that allows an expert administrator to register and manage each user and selects and allocates dementia prevention train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cognitive therapy suitable for the individual By using it, it is possible to give coercion to the progress of cognitive therapy programs and induce the progress of steady and diverse programs, and overall cognitive functions for maintaining frontal lobe execution, visuospatial cognitive ability, attention, memory, language ability, and calculation ability. It can be managed so that the ability in one field is not left behind while maintaining and improving, and when users in the group solve the same problem, it is possible to induce competition by listing the ranking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 and to solve the problem. By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based on at least one measured parameter, the calculated evaluation score may be used as feedback data and tasks for each step may be reassig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are used at or approximating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do not convey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help prevent exploitation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disclosed disclosure. The term "step of (doing)"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terminal's identifying data.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can include However, since the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 in FIG.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200 . Also,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each node,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Long Term LTE Evolution) network, 5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e singular or plural number of each compon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실행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기관 등에 등록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과제로 할당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할당된 과제의 과제노출기간 동안 할당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출력하고, 마감시간이 도과하거나 과제노출기간이 만료한 경우, 할당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노출이 종료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때,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카메라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관리자 단말(400)에 의해 그룹으로 그룹핑 또는 클러스터링된 경우, 그룹 내 다른 사용자의 평가점수와 사용자의 평가점수에 기반하여 순위를 리스트업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과제노출기간이 만료되기 전,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진행률이 기 설정된 진행률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리마인더로 과제완료를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user who executes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In additi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assigned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as a task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when registered with an institution or the like.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outputs the assigned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during the task exposure period of the assigned task, and when the deadline elapses or the task exposure period expires, the assigned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t may be a terminal where exposure is terminated. 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outputs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and receives an input from a user, data collected through at least one sensor or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is transferred to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 Also, whe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grouped or clustered into a group by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t may be a terminal that lists the ranking based on the evaluation scores of other users in the group and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user. there is. In additi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requesting completion of a task as a reminder when the progress rate of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does not satisfy a preset progress rate before the task exposure period expires.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관리자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받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난이도 및 종류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관리자 단말(400)에서 선택한 난이도 및 종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포함하는 과제 템플릿을 생성하고, 과제노출기간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을 지정하여 과제를 할당하는 경우, 할당된 과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과제노출기간 동안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진행한 진행률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 단말(400)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IoT 기반 단말로부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수집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산출된 평가점수에 기반하여 그룹 내 순위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공유받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lso,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gisters the user terminal 100 of at least one user managed by the manager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 In addition,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onverts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to a database by difficulty level and type, and generates an assignment template including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of a difficulty level and type selected by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when assigning a task by specifying the task exposure period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the assigned task is a server that outputs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during the task exposure period i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can Further,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information such as a progress rate of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outpu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manager terminal 400 . In addition,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a server that calculates an evaluation score by collecting at least one event collect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or an IoT-based terminal interworking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can be Further,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allow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to share a rank within a group based on the calculated evaluation score.

여기서,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관리자가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과제 템플릿을 생성하여 할당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받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At least one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of a manager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register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of at least one user managed by the manager, creates and allocates a task template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t may be a terminal that receives and outputs the result as feedback.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 administrator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administrator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implementations of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s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생성부(320), 할당부(330), 그룹핑부(340), 산출부(350), 과제관리부(360), 공유부(370) 및 발화관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registration unit 310, a generation unit 320, an allocation unit 330, a grouping unit 340, a calculation unit 350, a task management unit 360, A sharing unit 370 and an ignition management unit 380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로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은,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dministrator terminal 400 can perform remote home training. When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is transmitted,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perform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You can install or open service applications, programs, app pages, web pages, etc. Also,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manager terminal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enables the use of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s and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etc. In addition, an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 기관에서 B 구역의 C 내지 Y 사용자를 관리하고, 이는 Z 관리자의 담당이라고 가정하면, Z 관리자는 C 내지 Y 사용자의 아이디 등 식별자를 기준으로 검색하여 C 내지 Y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또는, C 내지 Y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관리자 생성하여 등록한 후, C 내지 Y 사용자에게 생성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달하여 로그인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registration unit 310 may register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 For example, assuming that organization A manages users C through Y in zone B, and administrator Z is in charge of this, administrator Z searches for users C through Y based on identifiers such as IDs and registers users C through Y. can Alternatively, after administrators create and register IDs and passwords of users C to Y, the generated IDs and passwords may be delivered to users C to Y to log in.

생성부(320)는, 관리자 단말(400)에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종류 및 난이도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종류 및 난이도의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포함된 과제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과제 템플릿은, 과제 템플릿 이름과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과제 템플릿 이름은,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종류 및 난이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과제 템플릿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묶은 세트(Set)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제 템플릿은 템플릿 목록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각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관리자가 선택하지 않더라도, 관리자가 종류 및 난이도만 선택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과제 템플릿의 목록이 출력되고, 관리자는 과제 템플릿의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과제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type and difficulty of at least on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pre-stored in the manager terminal 400 is selected, the generation unit 320 generates a task template including at least on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of the selected type and difficulty. can do. In this case, the task template may include a task template name and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and the task template name may include the type and level of difficulty o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 addition, one task tem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piece of set information in which at least one piece of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s bundled. These task templates can be output as a list of templates, and even if the administrator does not select each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even if the administrator selects only the type and difficulty, the list of task templates is automatically output, and the administrator selects the list of task templates. If any one of them is selected, it can be configured to create an assignment.

할당부(330)는, 관리자 단말(400)에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과제노출시간을 지정하는 경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할당부(330)는 관리자 단말(400)에서 그룹을 생성하고, 그룹에 동일한 과제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그룹 자체를 지정하는 것으로 그 그룹 내에 포함된 사용자를 일일이 지정하는 것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과제노출시간은, 과제가 할당된 시간부터 과제가 마감되는 시점까지로 설정될 수 있으나 관리자 단말(400)에서 임의로 지정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When designat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registered in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he task exposure time, the allocator 330 assigns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designated. ) can be assigned. At this time, when the assigning unit 330 creates a group in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assigns the same task to the group, designating the group itself can replace the designation of each user included in the group. do. In addition, the task exposure time may be set from the time when the task is assigned to the time when the task is finished, but it is not excluded that the manager terminal 400 arbitrarily designates the task exposure time.

그룹핑부(340)는, 등록부(310)에서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받은 후, 관리자 단말(400)에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을 그룹으로 클러스터링하는 경우,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 그룹명을 태깅하여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동일한 과제가 할당된 경우, 과제의 수행결과는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간 공유될 수 있다. 과제의 수행결과는 예를 들어, 후술될 평가점수에 의한 순위일 수 있다.After receiv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in the registration unit 310, the grouping unit 340 groups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registered in the manager terminal 400 into a group. In the case of cluster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group can be identified by tagging a group name. And, when the same task is assign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group,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task may be shared betwee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group.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task may be, for example, a ranking based on an evaluation score to be described later.

산출부(350)는, 할당부(330)에서 관리자 단말(400)에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과제노출시간을 지정하는 경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할당한 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부(350)는,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wL), 정답여부(R), 힌트사용량(H), 과제수행시간(T), 기회사용량(C), 집중도(F), 조력자유무(A) 및 포지티브(Positive) 가산점(E)에 기초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점수는 이하 수학식 1로 산출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른 변형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allocator 330 designat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registered in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he task exposure time, the calculation unit 350 assigns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to at least one of the designated user terminals 100 and the task exposure time. After allocating to one user terminal 100, whe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outputs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at least one event occurring i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can be collected. In addition, the calculation unit 350 calculates the difficulty (wL), correct answer (R), hint usage (H), task performance time (T), opportunity usage (C), and concentration o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The evaluation score can be calculated based on (F), free assistance (A), and positive additional points (E). Here, the evaluation score may be calculated by Equation 1 below, but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not excluded.

Figure 112020067856851-pat00001
Figure 112020067856851-pat00001

이때, 정답여부인 R은 과제를 올바르게 수행했는지의 여부를 의미하며, 과제에 따라 정답과 일치 여부 또는 정답과 유사한 정도를 측정한 값이다. 힌트사용량인 H는, 과제를 수행하는 중에 힌트게 제공될 수 있는데, 제공되는 힌트를 사용했는지의 여부를 의미하고, 사용한 힌트의 양으로 측정한다. 과제수행시간인 T는, 과제를 수행하면서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고, 과제를 시작한 시간부터 완료된 시간까지의 소요시간을 측정한 값이다. 기회사용량인 C는, 과제를 수행하는 중에 주어진 기회를 소모한 양을 의미한다. 이때, C는 사용한 기회의 양으로 측정하며, 반복학습이 가능하므로, 해당 과제가 반복학습과제인지의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집중도인 F는, 과제를 수행하면서 집중도를 보인 정도를 의미하고, 카메라나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을 분석한 후, 화면을 바라보고 있는 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화면을 바라보는 시간 및 집중도는 영상에서 시선분석을 통하여 산출될 수 있다. 조력자유무인 A는, 과제를 수행하면서 타인의 도움을 받았는지의 여부를 의미한다. 이 역시 카메라나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과제를 수행하는 중에 조력자가 있었는지 등을 측정한 결과이다. At this time, R, which is correct answer, means whether or not the task was performed correctly, and is a value measured for matching or similarity with the correct answer according to the task. The amount of hint usage, H, which may be provided while performing a task, means whether or not the provided hint was used, and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hints used. The task execution time, T, means the time required while performing the task, and is a value measured from the time the task was started to the time it was completed. C, the amount of opportunity use, means the amount of consumption of a given opportunity while performing a task. At this time, C is measured by the amount of opportunities used, and since repetitive learning is possible, it can indicate whether the task is a repetitive learning task. The degree of concentration, F, means the degree of concentration while performing the task, and can be measured by the time spent looking at the screen after analyzing the video and audio using a camera or micro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time and concentration of looking at the screen may be calculated through gaze analysis in the image. Freedom of assistance, A, means whether or not the person received help from others while performing the task. This is also the result of measuring whether there was a helper while performing the task using a camera or microphone.

포지티브 가산점인 E(Extra Point)는, 과제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는 점수를 의미하는데, 과제수행시 긍정적인 감정상태일 때 가산점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활동 훈련의 경우, 과제를 수행하면서 나눈 대화량이나 측정된 사용자가 발화가 분포하는 정도에 따라 계산된 협력 여부 등에 기반한 점수일 수 있다. 신체적 활동 훈련의 경우, 과제 수행 중 센서에서 측정된, 유도 신체 활동의 정도나 정확도 등에 따른 점수일 수 있다. 감성적 활동 훈련의 경우, 카메라 입력으로 계산된 사용자 표정에 따른 감정 분포 등일 수 있다. 정리하면,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사회적 활동 훈련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음성인식된 대화량에 기반하고,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신체적 활동 훈련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IoT 기반 단말에서 측정된 신체활동량에 기반하고,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감성적 활동 훈련 콘텐츠인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프레임 내 객체인 사용자의 감정분포에 기반할 수 있다. E (Extra Point), which is a positive extra point, means a score that is meas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ask. For example, in the case of social activity training, the score may be based on the amount of conversation exchanged while performing a task or cooperation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utterances measured by the user. In the case of physical activity training, it may be a score according to the degree or accuracy of guided physical activity measured by a sensor during task performance. In the case of emotional activity training, it may be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according to the user's expression calculated by camera input. In summary, i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is social activity training content,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is physical activity training content based on the conversation volume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100. In this case, based on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measured in the user terminal 100 or an IoT-based terminal linked with the user terminal 100, and when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are emotional activity training contents, the user terminal 100 It can be based on the emotion distribution of the user, which is an object in the image frame collected from the camera of the user.

이때, 감정분류는 P.Ekman의 인간의 감정 분류 모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는 이유는, 다중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몸에 장착해야 하는 기구가 많기 때문이며 가장 간단하게 얼굴의 표정을 이용하여 감정을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인데, 다른 감정 분류를 이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emotion classification can use P. Ekman's human emotion classification model. The reason for using this is that the method using multiple sensors is because there are many instruments that need to be attached to the user's body and because emotions can be classified using facial expressions most simply, but the use of other emotion classifications is not excluded. It will be self-evident.

감정상태emotional state 얼굴표정의 변화change in facial expression 놀람(Surprise)Surprise -눈썹이 상승하여 높게 올라가고 구부러짐
-눈썹 밑의 피부가 당겨짐
-이마에 수평적 주름(Horizontal Wrinkles)이 생김
-눈꺼풀이 활짝 열림; 상부 눈꺼풀은 올라가고 하부 눈꺼풀은 내려감. 눈의 공막이 홍채의 위에 보여짐
-턱이 내려가고 입과 이가 서로 벌어지나, 입의 근육 변화는 없음
-Eyebrows rise, raised high and bent
-Tightening of the skin under the eyebrows
-Horizontal wrinkles on the forehead
- Eyelids wide open; The upper eyelid is raised and the lower eyelid is lowered. The sclera of the eye is shown above the iris
-The jaw goes down and the mouth and teeth open, but there is no change in the muscles of the mouth
공포(Fear)Fear -눈썹이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이 함께 일어남
-이마의 주름은 가운데 모이고, 이마 전체로 주름지지 않음
-상부 눈꺼풀이 올라가고 공막이 노출되고 하부 눈꺼풀이 아래로 당겨짐
-입은 벌어지고 입술은 약간 당겨지며 내려가거나 늘어지며 내려감
-Eyebrows rise and fall together
-Wrinkles on the forehead converge in the middle, and wrinkles do not spread over the entire forehead
- The upper eyelid is raised, the sclera is exposed, and the lower eyelid is pulled down
- Mouth open, lips slightly pulled and lowered or drooped down
혐오(Disgust)Disgust -윗입술이 상승
-아랫입술도 함께 올라가고 상부 입술의 상승을 지지하거나 내려가서 약간 돌출됨
-코가 주름짐
-뺨이 상승
-아래 눈꺼풀에서 선이 생기며, 눈꺼풀이 상승하지만 긴장되지는 않음
-눈썹이 내려가고 상부 눈꺼풀도 내려감
- upper lip rises
The lower lip also rises and supports the rise of the upper lip, or it goes down and protrudes slightly.
- Wrinkled nose
- cheeks rise
-A line develops from the lower eyelid, and the eyelid is raised but not tense
-Eyebrows are lowered and upper eyelids are also lowered
화남(Anger)Anger -눈썹이 내려감
-양 눈썹 사이에 세로 주름이 생김
-아래 눈꺼풀이 당겨지고 눈썹에 의해 내려가기도 함
-아래 눈꺼풀이 당겨지고 상승하기도 함
-양 눈이 오래 응시하며 약간 돌출됨
-입술은 굳게 다물어 양 입가가 일자이거나 내려감. 소리친다면 사각형 모양으로 긴장됨
- lowered eyebrows
- Vertical wrinkles between the eyebrows
-Lower eyelid pulled and lowered by eyebrow
- The lower eyelid is pulled and sometimes raised
- Both eyes stare for a long time and protrude slightly
- The lips are tightly closed, and the corners of the mouth are straight or down. Square-shaped and tense when shouting
행복(Happiness)Happiness -입가가 뒤로 말리며 올라감
-입은 벌어질 수도 있고 이가 보일 수도 있음
-코에서부터 입가의 가장자리까지 주름이 생성
-뺨은 상승
-아래 눈꺼풀 아래에서 주름이 생기며, 상승하지만 긴장하지는 않음
-양 눈의 바깥가장자리에서 눈가의 주름(Crow's Feet)이 생성
- Mouth curls back and rises
- Mouth may be open and teeth may be visible
-Wrinkles form from the nose to the corners of the mouth
- Cheeks rise
- Creases under the lower eyelid, rising but not tense
-Wrinkles around the eyes (Crow's Feet) are created at the outer edges of both eyes
슬픔(Sadness)Sadness -눈썹의 안쪽 부분이 아래로 내려감
-눈썹 아래의 피부가 삼각형화되며 안쪽 눈썹 부분은 상승함
-상부 눈꺼풀의 안쪽 부분이 상승
-입가가 내려가거나 입술이 떨림
- The inner part of the eyebrows goes down
-The skin under the eyebrows is triangulated and the inner eyebrows are raised
- the inner part of the upper eyelid rises
- Mouth drooping or lip quivering

이때, 긍정적인 감정상태는, 상술한 감정상태 분류 중 놀람과 행복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술한 얼굴의 특징을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학습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이 질의(Query)로 입력되었을 때, 점수를 부가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복해하는 사람의 얼굴 이미지를 빅데이터를 구축할만큼 충분히 누적하여 저장하고, 이를 상술한 감정상태의 특징을 ROI(Region of Interest), 즉 관심영역 내 특징으로 설정하여 학습 및 훈련을 시키는 경우, 이후에 어떠한 얼굴 이미지가 질의로 입력되었을 때, 질의로 입력된 얼굴이 행복한 얼굴인지의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산출부(350)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모델링할만큼의 충분한 양의 데이터가 누적되는 경우, 누적된 데이터인 로우 데이터(Raw Data)를 병렬 및 분산하여 저장하고,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부(350)는,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산출부(350)는,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한 후, 구축된 빅데이터의 데이터 셋(Set)을 훈련 데이터 및 실험 데이터로 나누어 인공지능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반지도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및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t this time, the positive emotional state may be set to surprise and happiness among the above-described emotional state classifications, but is not limited to those listed. Here, when the above-described facial features are learned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when a user's face is input as a quer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add a score. For example, a happy person's face image is accumulated and stored enough to build big dat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state described above are set as ROI (Region of Interest), that is, a feature within the region of interest, to perform learning and training. If so, when a face image is input as a query later, whether or not the face input as a query is a happy face can be checked. To this end, the calculator 350, when a sufficient amount of data is accumulated to model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stores raw data, which is the accumulated data, in parallel and distributed, and includes the raw data included in the raw data. Unstructured data, structured data, and semi-structured data can be refined, and preprocessing including classification as meta data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calculation unit 350 may build big data by performing analysis including data mining on the preprocessed data. The calculation unit 350 constructs big data by performing analysis including data mining on the preprocessed data, and then divides the data set of the built big data into training data and experimental data to generat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can proceed. Here, learning may consist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Not limited.

예를 들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할 때 회귀모형(Regression)과 신경망모형(Neural Networks)을 이용할 수도있고, 일반가산모형(Generalized Additive Model),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s), 부스팅 MARS(Boosted MARS), SVM 등의 비모수 모형을 감정상태 예측에 활용할 수도 있고, 앙상블 학습을 감정상태 추정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는, 웹크롤링으로 크롤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반으로 다중회귀모형, 신경망모형, 의사결정나무모형(Decision Tree)을 적용한 감정상태 예측 모형을 생성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regression models and neural networks can be used, and generalized additive models, random forests, boosted MARS, Non-parametric models such as SVM can be used to predict emotional states, and ensemble learning can be applied to estimate emotional states. Alternatively, based on the data crawled by web crawling, an emotional state prediction model may be created by applying a multiple regression model, a neural network model, or a decision tree model.

이때, 신경망은, 독립변수로 구성되는 입력층(Input Layer)과 종속변수로 구성되는 출력층(Output Layer)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은닉층(Hidden Layer)을 배열한 구조를 가지고, 각 층은 독립적인 노드(또는 뉴런)가 배열되어 있고, 은닉층의 노드들은 이전 층으로부터 받은 수치들과 각각의 가중치들을 가중합(Weighted Sum)으로 입력받아 활성함수(Activation Function)를 통과시켜 다음 층으로 보낸다. 이러한 작업은 은닉층에서 진행되고, 최종적으로 출력층에서 수행된 후 결과값을 도출할 수 있다.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선형 관계를 가정하는 선형회귀와 달리 인공신경망은 데이터의 비선형성을 잘 설명하며 복잡하고 불규칙적인 패턴에 대해서도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가 설정되어야 하는 감정상태 분류에 높은 제어율을 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neural network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hidden layers are arranged between an input layer composed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an output layer composed of dependent variables, and each layer has an independent Nodes (or neurons) are arranged, and the nodes of the hidden layer receive values from the previous layer and each weight as a weighted sum, and pass the activation function to the next layer. This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hidden layer and finally performed in the output layer, and then a result value can be derived. Unlike linear regression, which assume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artificial neural networks explain the nonlinearity of data well and show high explanatory power even for complex and irregular patterns, so they are highly suitable for emotional state classification that requires various variables to be set. control can be shown.

SVR(Support Vector Regression)은, SVM(Support Vector Machine)에 기반한 회귀 모형이다. SVM은 커널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고차원의 벡터 공간에 표현함으로써 이 데이터들을 분류하는 거리(Margin)를 최대화하는 초평면(Hyperplane)을 찾는데, SVR은 이러한 SVM의 아이디어를 회귀 문제에 적용한 방법이다. 기존의 회귀모형은 실제값과 예측값의 차이를 손실함수로 정의하는 반면, SVR은 그 차이가 특정 값 보다 작은 경우는 무시하고 큰 경우만 손실로 계산하는 Insensitive 손실함수를 정의한다. SVR은 데이터를 고차원의 벡터공간에서 표현하기 위해 커널함수를 사용하며, 해당 벡터공간에서 Insensitive 손실함수를 최소화하는 선형회귀모형을 추정하는 형태이다.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is a regression model based on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SVM uses a kernel function to express data in a high-dimensional vector space to find a hyperplane that maximizes the margin for classifying these data. SVR is a method that applies the idea of SVM to a regression problem. Existing regression models def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value and the predicted value as a loss function, whereas SVR defines an insensitive loss function that ignores cases where the difference is smaller than a specific value and calculates it as a loss only when the difference is larger than a specific value. SVR is a form of estimat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that uses a kernel function to express data in a high-dimensional vector space and minimizes an insensitive loss function in the vector space.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s)는, 학습 데이터로부터 여러 개의 부트스트랩(Bootstrap) 표본을 추출하여 각 표본에 대한 독립적인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를 학습하고, 다수의 의사결정나무의 출력값들을 조합하여 최종 출력값으로 결정하는 의사결정나무 기반의 앙상블 방법(Ensemble Method)이다. 각 의사결정나무를 성장시킬 때, 매 분지의 대상이 되는 변수를 무작위로 추출된 일부 변수만을 고려함으로써 학습된 의사결정나무들의 상관관계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예측의 분산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무를 성장시킬 때 분류(Classification)를 목적으로 하는 의사결정나무는 지니계수 또는 엔트로피 등의 데이터 불순도 척도를 사용하여 불순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외에도 다양한 변수 설정, 빅데이터 수집, 전처리 및 학습이 진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것들로 본 실시예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Random forests extract multiple bootstrap samples from training data, learn independent decision trees for each sample, and combine the output values of multiple decision trees to finalize the final decision tree. It is a decision tree-based ensemble method that determines the output value. When growing each decision tree,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rrelation of the learned decision trees and consequently reducing the variance of prediction by considering only some randomly extracted variables that are the target of each branch. When growing a tree, a decision tree for the purpose of classification goes through the process of repeatedly separating data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impurity using a data impurity measure such as the Gini coefficient or entropy. In addition to this, various variable settings, big data collection, preprocessing, and learning may be performed, and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집중도인 P는,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프레임에서 동공의 크기, 동공의 위치, 안구고정(Eye Fixation), 안구도약(Saccade), 응시시간(Fixation Duration) 및 응시횟수(Fixation Count)에 기반한 시선추적(EyeTracking) 알고리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시선추적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므로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집중도, 즉 몰입도에 대한 알고리즘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생성되는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의 연속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카메라에서 사라질 때까지의 얼굴을 추적하고, 시선추적을 통해 콘텐츠의 시간대별 응시여부와 응시시간을 측정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우선, 얼굴을 인식하기 위하여 YOLO-v3를 이용할 수 있고, 얼굴로 인식된 부분은 경계박스(Bounding Box)로 표시되게 된다. 이때, 눈동자 검출을 위해 기 공개된 적응적 임계치 추정 방법을 사용하여 이진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 이후에 눈 동공 영역의 그레이 레벨이 주위 영역보다 낮다는 특성을 이용해 이진화 후 동공을 분리하고, 눈 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흑화소의 무게 중심을 구해 동공의 중심을 구한다. 마지막으로 촬영된 영상에서 동공에 반사된 조명의 위치에 대한 캘리브리에션을 실시하여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The degree of concentration, P, is the pupil size, pupil position, eye fixation, eye leap, saccade, fixation duration, and number of gazes in the image frame input through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 It can be calculated with an eye tracking algorithm based on fixation count). At this time, since various eye tracking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any one may be used, but the algorithm for the degree of concentration, that is, the degree of immers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face from an image generated through a camera, In order to record the continuous information of the face, the face is tracked until it disappears from the camera, and through eye tracking, whether or not to gaze at the content and gaze time are measured and used. First of all, YOLO-v3 can be used to recognize a face, and the part recognized as a face is displayed as a bounding box. In this case, a binariz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previously disclosed adaptive threshold estimation method for pupil detection. Afterwards, using the characteristic that the gray level of the eye pupil area is lower than the surrounding area, the pupil is separated after binarization,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lack pixel is obtained to obtain the center of the pupil in order to remove noise other than the eye. Final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gazing at the screen by performing calibration on the location of the light reflected in the pupil in the captured image.

조력자유무인 A는,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 내 사용자의 대응하는 얼굴특징점을 가지는 얼굴 이외의 얼굴이 인식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인식된 음성 중 사용자의 음성 이외의 조력자 음성이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화자식별 알고리즘으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화자식별(Speaker Identification)은, 개인 성도의 음성학적 특징을 모델링하고 분류하는 기술로, 단기적 주파수 변동, 음의 높이와 같은 저수준 특징과, 단음, 단어, 음절이나 장기적 주파수 변동과 같은 고수준 특징 등의 풍부한 음성학적 특징을 모델링하기 때문에 기계학습 알고리즘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 알고리즘 기반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이나, 환경요소에 대한 잡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학습과 테스트 데이터 사이의 불일치에 민감한 한계를 강건성을 가지는 컨볼루션-풀링(Convolution Pooling) 연산과 STFT(Short-Time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조용한 방 안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이용될 수 있으나 잡음이 큰 환경에는 적절하지 않고, 후자의 경우에는 생활소음과 같은 기타 환경요소에 의한 노이즈에도 강건하다.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실행환경에 기반하여 전자 또는 후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ssisting free unmanned A, a face other than a face having a corresponding facial feature point of the user in the image frame received from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is recognized, or a face other than the user's voice among voice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100 is recognized. Whether or not the assistant's voice is recognized may be determined by classifying the speaker identification algorithm. At this time, speaker identification is a technique for modeling and classifying phonet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voices, low-level features such as short-term frequency fluctuations and pitch, and high-level features such as single sounds, words, syllables, or long-term frequency fluctuations. It is preferable to use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because it models rich phonetic features such as For example, a Gaussian Mixture Model based on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or convolution-pooling operation with robustness that is sensitive to discrepancies between training and test data caused by noise on environmental factors. and STFT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lgorithm may be used. In the case of the former, it can be used simply when performing in a quiet room, but it is not suitable for a noisy environment, and in the case of the latter, it is robust against noise caused by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ving noise.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the former or the latter based on the execution environment of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후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데이터를 학습하는 단계에서는 화자 다수의 스피치 샘플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된 스피치 샘플은 크게 세 단계의 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 과정을 거친다. 첫 번째는, 스피치 고유의 소리맵(SoundMap)을 생성하는 단계, 두 번째는 정규화(Nomalization)한 뒤, 세 번째는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일정 구간으로 샘플링한다. 전처리가 완료된 윈도우는 잡음 강건성 확보를 위해 여러 층(Multi-Layer) 쌓은 컨볼루션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의 내부 가중치를 갱신하고 화자별 일반적인 패턴을 모델링한다. 인식 단계에서는 컨볼루션 신경망의 내부 가중치를 업데이트하지 않고 출력된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 값으로 각 윈도우의 화자를 분류한다. 윈도우 별로 분류하는 화자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학습 단계와는 달리 분류된 결과를 산술평균 내어 최종적으로 화자를 분류한다.Taking the latter case as an example, in the data learning step, speech samples of a plurality of speakers may be input. The input speech sample undergoes a three-step feature extraction process. The first step is to generate a unique sound map of speech, the second step is normalization, and the third step is to sample in a certain interval using a sliding window algorithm. In the preprocessed window, internal weights of the multi-laye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re updated to ensure noise robustness, and general patterns for each speaker are modeled. In the recognition step, the speaker of each window is classified based on the output activation function value without updating the internal weight of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Since the speakers classified for each window may be different, the arithmetic average of the classified results is finally classified unlike the learning step.

상술한 스피치 데이터는 정적 신호가 아닌 시계열 특성을 지니고 있어 각 스피치에 대한 단일 특징이 무의미한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시간, 주파수와 음량간의 상관관계를 손실하지 않고 특징을 추출해 내기 위해서 시간 구간별로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연산을 수행하는 STFT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실제 스피치 데이터는 불연속 함수이므로 STFT 계산시에는 불연속 신호, 시간 측정치, 주파수 측정치, 윈도우의 길이를 변수로 적용한다. 소리맵은 가로축을 시간으로, 세로축을 주파수로, 픽셀강도를 크기로 갖는 3차원 벡터인데, 생성된 소리맵은 시간-주파수가 국소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컨볼루션-풀링 연산의 로컬 연결(Local Connectivity) 속성으로 모델링하기에 적절하다. 생성된 소리맵은 스피치의 길이별로 크기가 다르고 그 차원이 매우 높아 슬라이딩 윈도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균일한 구간으로 샘플링하여 윈도우로 분할할 수 있다.Since the above-described speech data has time-series characteristics rather than static signals, a single feature for each speech tends to be meaningless. Therefore, in order to extract features without lo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ime, frequency, and volume, an STFT algorithm that performs a Fourier transform operation for each time interval can be used. Since actual speech data is a discrete function, the discrete signal, time measurement value, frequency measurement value, and window length are applied as variables when calculating the STFT. A sound map is a 3D vector with time on the horizontal axis, frequency on the vertical axis, and pixel intensity on the size. Since the generated sound map shows a locally high correlation between time and frequency, the local convolution-pooling operation Appropriate for modeling with Local Connectivity properties. The generated sound map has a different size for each length of speech and has a very high dimension, so it can be sampled in uniform sections using a sliding window algorithm and divided into windows.

또, 학습과 테스트 시의 데이터 간에 불일치가 큰 음성 인식 분야에서는 잡음 강건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자식별에는 컨볼루션-풀링연산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잡음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컨볼루션 연산의 일반화 성능은 개인의 음성학적 특징의 변산 요소 모델링에 적절하다. 컨볼루션-풀링연산에서는, 컨볼루션-풀링 모듈, 드롭아웃층(DropOut Layer)과 3겹의 완전-연결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볼루션 연산의 학습은 특징 간의 공간적 관계를 보존하며 상관관계를 추출하는 필터의 가중치를 찾는 과정인데, 컨볼루션 신경망의 풀링 연산은 왜곡되거나 강조된 특징들로부터 가장 분류에 유의미한 특징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계산복잡도를 감소시키는 차원 감소과정을 의미한다. 이렇게 반복하는 경우 생활소음에 강력한 잡음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noise robustnes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field of speech recognition, where there is a large discrepancy between training and test data. Noise robustness can be secured by repeatedly applying a convolution-pooling operation to speaker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lization performance of the convolution operation is suitable for modeling the variance factors of personal phonetic characteristics. The convolution-pooling operat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convolution-pooling module, a DropOut Layer and a 3-layer fully-connected layer. The learning of convolution operation is the process of finding the weight of a filter that preserves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features and extracts the correlation. It is a dimensionality reduction process that reduces complexity. If this is repeated, it is possible to secure strong noise robustness to living noise.

수학식 1의 난이도 가중치(wL)를 제외한 나머지 가중치는, 1 이상의 값을 가지는 + 가중치와, 1 미만의 값을 가지는 - 가중치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 가중치는 말 그대로 + 의 값을 부여하고, - 가중치는 - 값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1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는, 해당 요소가 점수를 더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고, 1 미만의 값을 가지는 경우는, 해당 요소가 점수를 더 낮추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다. + 가중치는, wL, wR, wP, wE이고, - 가중치는, wH, wT, wC, wA이다. 즉, 난이도가 높을수록, 답변이 정답에 가깝거나 정답일수록, 집중도가 높을수록, 포지티브 가산점이 높을수록 최종적인 평가점수는 더 높아지게 된다. 반대로, 힌트사용량이 많을수록, 과제수행시간이 길수록, 기회사용량이 많을수록, 도움을 받을수록 최종적인 평가점수는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 가중치가 부가되는 것들은 크기가 증가할수록 평가점수가 높아지는 파라미터이고, - 가중치가 부가되는 것들은 크기가 증가할수록 평가점수가 낮아지는 파라미터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 가중치 및 - 가중치는 정해진 것이 아니라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나열된 가중치에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The remaining weights except for the difficulty weight (wL) of Equation 1 can be classified into + weights having a value of 1 or more and - weights having a value of less than 1. Alternatively, the + weight can be set in such a way that a + value is literally given, and a - weight is given a - value. That is, when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 the corresponding element acts as an element that increases the score, and when the value is less than 1, the element acts as a factor that lowers the score. The + weights are wL, wR, wP, and wE, and the - weights are wH, wT, wC, and wA. That is, the higher the difficulty, the closer or correct the answer is,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and the higher the positive point, the higher the final evaluation score. Conversely, the more hint usage, the longer task performance time, the greater opportunity usage, and the more help received, the lower the final evaluation score. Therefore, those to which a + weight is added are parameters whose evaluation scores increase as the size increases, and those to which a - weight is added can be defined as parameters whose evaluation scores decrease as the size increases.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 weight and - weight are not determined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Also, it is not limited to the listed weights and is not excluded for reasons not listed.

과제관리부(360)는, 산출부(350)에서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 정답여부, 힌트사용량, 과제수행시간, 기회사용량, 집중도, 조력자유무 및 포지티브(Positive) 가산점에 기초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한 후, 평가점수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단계별 과제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재할당할 수 있다. The task management unit 360 is based on the difficulty, correct answer, amount of hint usage, task execution time, opportunity usage, concentration, freeness of assistance, and positive points o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in the calculation unit 350. After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pre-stored tasks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score may be reassign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과제관리부(360)는, 할당부(330)에서 관리자 단말(400)에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과제노출시간을 지정하는 경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할당한 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진행한 진행률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과제관리부(360)는, 과제노출시간의 잔여과제노출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로 진입하고, 진행률이 기 설정된 완료율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리마인더 호(Call) 또는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강제성을 부여하고 마감기한을 정함으로써 시간에 정해진 상태에서 긴장감을 유지하면서 늘어지지 않게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서, 관리자가 사용자를 그룹별로 또 과제별로 수행정도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과제수행률을 분석 및 시각화할 수 있다.When the task management unit 360 designat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registered in the manager terminal 400 and the task exposure time in the allocating unit 330,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is assigned to the designated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fter allocating to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monitor a progress rate o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and update it in real time. Then, the task management unit 360 sends a reminder call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when the remaining task exposure time of the task exposure time enters the preset time or less and the progress rate does not satisfy the preset completion rate. ) or send a message. Through this, compulsory force is given and deadlines are set so that the task can be performed without delay while maintaining a sense of tension in a fixed state on time. In addition, the task performance rate can be analyzed and visualized so that the manager can check the performance level of each user group and task at a glance.

공유부(370)는, 등록부(310)에서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받은 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인지 스크리닝 테스트(Cognitive Screening Test) 결과를 등록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400)로 인지 스크리닝 테스트 결과를 공유할 수 있다. 물론, 인지 스크리닝 테스트 이외에도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하세가와 치매척도(Hasegawa Dementia Scale), 7분 선별검사(7-Minute Screening), 시계 그리기 검사(Clock Drawing Test), 간이 Blessed 검사(Short Blessed Test, 이하 SBT), 간이 기억 검사(Mini-Memory Test), 한국어판 지역 사회 치매선별검사도구(CSID-K),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한국판 MMSE(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한글판 CERAD 평가집의 MMSE(MMSE-KC), 한국어판 하세가와 치매척도 개정본(Korean Version of Hasegawa Dementia Scale Revised) 또는 IADL(일상생활수행능력평가) 등일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이 외에도 다양한 검사가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수신되어 통합될 수 있고 관리자에게 공유될 수도 있다. The sharing unit 370 register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in the registration unit 310, and then receives a cognitive screening test result from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n case of registration, the cognitive screening test result may be shared with the manager terminal 400 . Of course, in addition to cognitive screening tests,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Hasegawa Dementia Scale, 7-Minute Screening, Clock Drawing Test, and Blessed Test (Short Blessed Test, SBT), Mini-Memory Test, Korean Version of Community Dementia Screening Tool (CSID-K),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of MMSE (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of CERAD assessment book’s MMSE (MMSE-KC), Korean version of Hasegawa Dementia Scale Revised, or IADL (Assessment of Daily Living), etc., but those listed is not limited to and is not excluded for reasons not listed. In addition to this, various inspections can be received from various institutions and integrated, and can be shared with administrators.

발화관리부(380)는, 등록부(310)에서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을 등록받는 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동된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로부터,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와 사용자 간의 음성담화를 수집하고, 수집된 음성담화를 분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자연어처리(N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반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동될 수 있다. 혼자사는 노인이나 사회활동이 거의 없는 노인의 인지능력 중 가장 먼저 퇴보하는 것이 언어능력이다. 노령화로 인하여 언어능력이 낮아지는 이유도 존재하지만, 이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것은 말할 상대가 없고 말할 기회가 점점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상적인 대화를 대화형 에이전트(Chatting Agent)를 통하여 시도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수집함으로써 앞으로 어떠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제공해야 할지를 파악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registration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from the manager terminal 400 in the registration unit 310, the speech management unit 380 receives a conversation from an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linked with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Voice conversations betwee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nd the user may be collected, and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voice conversations may be mapped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stored. In this cas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nterlocked with a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based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mong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or those with little social activity, language ability is the first to deteriorate. There is a reason why language ability is lowered due to aging, but what accelerates this is that there is no one to talk to and opportunities to speak are gradually decreas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what kind of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to provide in the future by making a daily conversation attempt through a conversational agent and collecting the result.

우선, 말을 할 상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반려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저녁부터 장시간 이용하지 않다가 아침에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취침을 한 후 기상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에는 "안녕히 주무셨어요? 오늘 날씨는 XX이고 뉴스는 XX가 있습니다. 오늘은 어떤 일을 하실 계획이신가요?"와 같이 기 설정된 멘트를 제공하는 선제발화를 수행할 수 있다. 자율성의 정도에 따른 에이전트의 상호작용 전략이 고령자에게 어떻게 수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에서, 선제발화가 수용가능하며 특히 고령자의 실질적인 안전과 건강 측면에 대한 대화가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이 높은 발화 전략을 선제발화(Proactive)로, 자율성이 낮은 발화 전략을 요청에 따른 발화(On-Demand)로 보며, 선제발화란, 고령자의 대화 개시가 없이도 자동적으로 상호작용을 주도하는 것을 말하며, 요청에 따른 발화는 고령자의 발화가 있을 때에만 반응하는 발화를 말한다. 인간의 뇌는 질문을 듣는 순간 반사적으로 이에 대한 답을 생각하기 시작하므로, 대답을 하지 않더라도 외부자극에 의한 두뇌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First of all, if there is no other person to talk to, it can be made to perform the role of a partner. For example, when the user uses the user terminal 100 in the morning after not using the user terminal 100 for a long time from evenin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wakes up after going to b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eemptive speech providing a preset comment, such as "Good night? Today's weather is XX and news is XX. What are you planning to do today?" In a study to find out how the agent's interac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degree of autonomy could be accepted by the elderly, it was found that preemptive speech was acceptable, and conversations about practical safety and health aspects of the elderly were preferred. Speech strategy with high autonomy is considered as preemptive speech (Proactive), and speech strategy with low autonomy is regarded as speech on demand (On-Demand). In other words, speech upon request refers to speech that responds only when there is speech by the elderly. Since the human brain reflexively thinks of an answer as soon as it hears a ques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brain rotation by external stimuli even if an answer is not given.

이를 위하여, 대화형 에이전트(Agent)는, 캐릭터 기반 대화형 인공지능을 이용할 수 있다. 맥락(Context) 기반으로 상황을 인지하는 대화형 인공지능을 이용할 수 있는데, 연속대화 수행을 통해 대화의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관적인 의견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대화형 에이전트는, 복수의 단위 에이전트를 포함하고, 각 에이전트는 다시 지식 베이스와 추론 엔진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각 단위 에이전트로 구성된 대화형 에이전트는, 상대방의 대화를 읽어내고, 파악하며, 자신의 감정 상태를 고려한 전반적인 대화 상황을 인지한다. 이를 통해 대응 전략을 구상하고, 실행 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하는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teractive agent may use character-based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t is possible to use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recognizes situations based on context, and through continuous conversation,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conversation and express subjective opinions and emotions based on this. In this case, the interactive agent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agents, and each agent may be further subdivided into a knowledge base and an inference engine. The interactive agent composed of each unit agent reads and comprehends the conversation of the other party, and recognizes the overall conversation situation considering its own emotional state. Through this, it can proceed in the order of devising a response strategy, establishing an action plan, and executing it.

첫 번째로,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는,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받은 문장을 통해 대상이 전하고자하는 의미와 대상의 감정을 분석하는 에이전트이다. 이 에이전트에서는 의사 결정 에이전트의 피드백과 상대방의 발언으로부터 단편 분석과 심층 분석을 통하여 상대방이 전하고자하는 의미와 감정을 파악하여 이를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에 전달한다. 단편 분석은 현재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받은 문장을 통해 의미적·감정적인 분석을 의미한다. 심층 분석은 상황인지 에이전트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통해 업데이트 받은 상대의 의도와 감정을 누적시킴으로써 상대의 실제 의도와 감정을 유추하기 위한 분석 모듈이다. 심층 분석은 대화의 초기에는 단편 분석의 값만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선입견이 반영되며 이는 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실제 대상의 의도와 감정에 맞게 업데이트된다.First, the target language analysis agent is an agent that analyzes the meaning the target wants to convey and the emotions of the target through the sentence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This agent identifies the meaning and emotion that the other party wants to convey through fragmentary analysis and in-depth analysis from the decision-making agent's feedback and the other party's remarks, and delivers them to the dialogue situation judging agent. Fragment analysis means semantic and emotional analysis through the sentences currently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In-depth analysis is an analysis module to infer the other person's actual intention and emotion by accumulating the other person's intention and emotion updated through the feedback received from the context-aware agent. Since the in-depth analysis consists of only fragment analysis values at the beginning of the conversation, preconceived notions about the target are reflected, which are updated to match the intentions and emotions of the actual target as the conversation progresses.

두 번째는, 자기감정 파악 에이전트인데, 자기감정 파악 에이전트는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받은 문장을 통해 인공지능 스스로의 감정의 변화를 모델링하기 위한 에이전트이다. 이 에이전트 또한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와 마찬가지로 단편 분석과 심층 분석을 통해 상대방의 발언으로 부터 인공지능 스스로의 감정을 파악하여 이를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에 전달한다. 단편적 반응을 통한 모델링은 상대방의 일정 수준이상의 강한 반응을 통해 일어나는 순간적인 감정적 변화이다. 이는 강한 자극으로 인한 갑작스런 감정의 변화 혹은 순간적인 감정의 표출에 영향을 미친다. 심층적 반응을 통한 모델링은 상대방과의 대화가 진행되어가는 상황으로부터 발생하여 누적되는 감정적 변화를 모델링한다.The second is a self-emotion identification agent, which is an agent for modeling the change of emo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tself through sentences transmitted from the other party. Like the target language analysis agent, this agent also identifies its own emotions from the other party's remarks through fragment analysis and in-depth analysis and delivers them to the conversation situation judgment agent. Modeling through fragmentary reactions is an instantaneous emotional change that occurs through the other person's strong reaction above a certain level. This affects sudden emotional changes or momentary emotional expressions caused by strong stimuli. Modeling through in-depth reactions models the cumulative emotional changes that occur from the situation in which a conversation with the other party is progressing.

세 번째는,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인데,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는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와 자기감정 파악 에이전트로부터 전달받은 의미와 감정 상태, 의사결정 에이전트의 피드백 통해 대화의 상황을 파악하며 이를 의사 결정 에이전트에 전달한다. 또한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와 자기감정 파악 에이전트에 파악된 상황에 대하여 피드백을 해주어 각각의 심층 분석 모듈의 업데이트를 위해 제공한다. 네 번째는, 의사 결정 에이전트인데, 의사 결정 에이전트는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를 통해 파악한 상황에 인공지능의 발화 목적을 포함하여 다음 발언의 의도를 결정하는 에이전트이다. 의사 결정 에이전트는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 및 대화 상황 판단 에이전트의 추론 엔진에 피드백을 주어 주어진 상황에 대해 주관적인 해석을 이루도록 한다. 인공지능 스스로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대상 언어 분석 에이전트와 자기감정 파악 에이전트를 통해 만들어진 감정 모델을 통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의사를 결정한다.The third is a conversation situation judgment agent. The conversation situation judgment agent identifies the conversation situation through the meaning and emotional state delivered by the target language analysis agent and the self-emotion recognition agent, and the feedback from the decision-making agent, and delivers it to the decision-making agent. do. In addition, it gives feedback on the identified situation to the target language analysis agent and self-emotion identification agent, and provides them for updating of each in-depth analysis module. Fourth, a decision-making agent is an agent that determines the intention of the next utterance, including the purpo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utterance, in the situation identified through the dialogue situation judgment agent. The decision-making agent gives feedback to the reasoning engines of the target language analysis agent and dialog situation judgment agent to achieve a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given situation. In order to achieve its own purpose, artificial intelligence makes decisions through simulation through emotion models created through target language analysis agents and self-emotion recognition agents.

다섯 번째는, 응답 생성 에이전트인데, 응답 생성 에이전트는 의사 결정 에이전트를 통해 결정된 다음 발언의 의도를 문장의 수준으로 생성해주는 에이전트이다. 여섯 번째는, 문장 표현 에이전트인데, 문장 표현 에이전트는 응답 생성 에이전트의 결과 문장을 문법과 특정 어투(Accent)에 맞도록 변형해주는 에이전트이다. 이러한 각각의 에이전트를 학습 및 훈련시키는 경우, 재학습 및 재훈련된 내용에 의해 점진적으로 심층적인 대화가 가능하도록 모델링될 수 있고, 기 설정된 선제대화도 동일한 문장 이외에도 계속적인 훈련 및 재학습으로 앵무새처럼 동일한 말만 하는 인공지능 스피커가 아닌 실제 사람과 같은 다양함이 느껴질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Fifth, a response generation agent is an agent that generates the intention of the next utterance determined through the decision-making agent at the level of a sentence. The sixth is a sentence expression agent. The sentence expression agent is an agent that transforms the sentence resulting from the response generation agent to conform to grammar and a specific accent. In the case of learning and training each of these agents, it can be modeled so that progressively in-depth conversations are possible by relearning and retraining contents, and pre-set preemptive conversations are like parrots through continuous training and relearning in addition to the same sentences. A database can be built so that you can feel the diversity like a real person, not an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who only speaks the same thing.

이하, 상술한 도 2의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example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서비스의 화면이 도시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인지중재치료, 즉 관리자가 복수의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 3c와 같이 작업치료사(관리자)와 환자(사용자) 간의 관계구조가 형성된다. 도 3d 및 도 3e에는 다양한 분야의 인지능력을 훈련하기 위한 콘텐츠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f와 같은 과제할당기능을 통하여 과제를 각 개인에 최적화된 콘텐츠로 부여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이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3A , a screen of a trai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Referring to FIG. 3B, cognitive interventional therapy, that is, a service in which a manager can manage a plurality of users is provided. As shown in FIG. 3C, a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an occupational therapist (manager) and a patient (user) is formed. 3D and 3E show content for training cognitive abilities in various fields, and through a task assignment function as shown in FIG. 3F, a platform capable of assigning tasks to content optimized for each individual and analyzing the results thereof. is provided.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서비스는, 인적자원과 시간자원을 절감할 수 있고,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며, 스스로 반복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고, 시간 측정과 같은 정밀 측정을 기반으로 객관적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체계적으로 각 사용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사용자(개인사용자) 및 관리자(기관사용자)로 구분한 것을 도시하며, 관리자의 사용자 관리 흐름 체계는 도 4c에 도시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개인 훈련 또는 그룹 훈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하며, 도 4e는 훈련의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4f부터는 관리자의 실행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4g와 같이 관리자는, 각 사용자(참가자)의 ID를 발급하고, 도 4h와 같이 과제 템플릿을 생성하고 각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다. 도 4i는 과제 템플릿을 관리하는 화면을 도시하는데, 복수의 템플릿을 생성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도 4j와 같이 과제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고, 도 4k와 같이 각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으며, 그 결과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l와 같이 과제를 할당할 수 있으며, 도 4m과 같이 그룹을 생성하여 그룹별로 관리도 할 수 있다. 그룹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도 4n과 같이 그룹명을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o와 같이 하나의 문제를 한 그룹의 복수의 사용자가 푼 경우에는, 평가점수에 의해 리스트업된 순위가 출력될 수 있으며, 도 4p와 같이 사용자가 인지능력 훈련 콘텐츠를 실행한 결과를 도시할 수 있다. 도 4q에는 과제 진도를 관리할 수 있는 화면이 도시되는데, 과제를 완료한 완료율이 표로 출력되고 완료를 하지 못한 사용자에게 도 4r과 같이 문자나 메신저를 통한 메세지 보내기 기능이 포함되어 관리가 수월하도록 구성된다. 도 4s에는 관리자가 사용자에 대해 알고자 하는 문항을 설문조사포맷으로 생성 및 발송할 수 있는 기능이 도시되며, 도 4t에는 개인계정과 기관계정의 서로 다른 로그인 및 과금방법, 또 각 기관에 소속된 경우의 가입방법이 달리 진행될 수 있는 점이 도시된다. 다만, 이는 정책상의 문제이므로 나열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관리자가 과제할당을 하게 되면, 도 4v와 같이 금일 사용자가 해야할 과제가 출력되고, 이를 클릭하면 바로 인지능력 훈련 콘텐츠가 실행되게 된다. 도 4w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의 메뉴를 정리한 것인데, 나열된 메뉴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4a, the trai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human resources and time resources, enable immediate feedback, enable self-repetitive learning, and precisely measure such as time measurement. Based on this, objective data can be created and each user can be efficiently managed systematically. Figure 4b shows that users using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vided into users (individual users) and managers (institutional users), and the user management flow system of the manager is shown in Figure 4c. Referring to FIG. 4D , which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provided as an individual training or group training, FIG. 4E illustrates the process of training. From FIG. 4F, an example of the administrator's execution screen is shown. As shown in FIG. 4G, the manager issues IDs for each user (participant), and creates and assigns task templates to each user as shown in FIG. 4H. 4i shows a screen for managing task templates, a plurality of templates can be created or deleted, task templates can be created as shown in FIG. 4j, and assigned to each user as shown in FIG. 4k, and the results are also shown.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asks can be assigned as shown in FIG. 4L, and groups can be created and managed by group as shown in FIG. 4M. To create a group, a simple method of inputting a group name and then pressing an OK button can be used as shown in FIG. 4n. When a plurality of users of a group solve one problem as shown in FIG. 4o, the ranking listed by the evaluation score can be output, and the result of the user executing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will be shown as shown in FIG. 4p. can 4q shows a screen for managing the progress of the task. The completion rate of the task is output in a table, and a function to send a message via text message or messenger to users who have not completed the task is included as shown in FIG. 4r, so that management is easy. do. Figure 4s shows a function for creating and sending questions that the administrator wants to know about the user in a survey format, and Figure 4t shows different login and billing methods for personal and institutional accounts, and when belonging to each institution It is shown that the subscription method of can proceed differently. However, since this is a matter of policy, it is not limited to the listed methods. When the administrator assigns the task in this way, as shown in FIG. 4V, the task to be performed by the user today is output, and when the user clicks on it,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content is immediately executed. 4w is a summary of the menus o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obvious that the listed menus are not limited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in the method of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of FIGS. 2 to 4 are described in the method of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through FIG. 1 above.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distance home training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는다(S5100).Referring to FIG. 5 ,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registers at least one user terminal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S5100).

그리고,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리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종류 및 난이도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종류 및 난이도의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포함된 과제 템플릿을 생성하고(S5200) 관리자 단말에서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과제노출시간을 지정하는 경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할당한다(S5300).Then, when the type and difficulty of at least on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pre-stored in the manager terminal is selected,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creates a task template including at least on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of the selected type and difficulty (S5200 ) When at least one user terminal registered in the manager terminal and the task exposure time are designated,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are allocated to the at least one designated user terminal (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not described in the method of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in FIG. 5 are described in the method of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through FIGS. Since i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same or described conten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an also be implemented.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for prevention of dementia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t can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in the master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is installed on the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훈련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종류 및 난이도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종류 및 난이도의 적어도 하나의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포함된 과제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과제노출시간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상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 정답여부, 힌트사용량, 과제수행시간, 기회사용량, 집중도, 조력자유무 및 포지티브(Positive) 가산점에 기초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executed in the training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ing registration of at least one user terminal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generating a task template including at least on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of the selected type and difficulty when the type and difficulty of at least on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pre-stored in the manager terminal are selected; and
allocating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to the at least one designated user terminal when the administrator terminal designates the at least one registered user terminal and a task exposure time;
collecting at least one event occurring i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whe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outputs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and
Calculating an evaluation score based on the difficulty o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correct answers, hint use amount, task performance time, opportunity use amount, concentration level, freeness of assistance, and positive points A method of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that can be trai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그룹으로 클러스터링하는 경우, 상기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그룹명을 태깅하여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동일한 과제가 할당된 경우, 상기 과제의 수행결과는 상기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간 공유되는 것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register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when the manager terminal clusters the at least one registered user terminal into a group, identifying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group by tagging a group name;
Including more,
When the same task is assign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group,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task is shared between at least on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group,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How We Provide Our Servic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가산점은,
상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사회적 활동 훈련 콘텐츠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음성인식된 대화량에 기반하고,
상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신체적 활동 훈련 콘텐츠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된 IoT 기반 단말에서 측정된 신체활동량에 기반하고,
상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가 감성적 활동 훈련 콘텐츠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 프레임 내 객체인 사용자의 감정분포에 기반한 것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ve points are,
I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is social activity training content, based on the amount of speech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I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is physical activity training content, based on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measured in the user terminal or an IoT-based terminal linked with the user terminal,
I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is emotional activity training content,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that can be performed remotely, based on the emotional distribution of the user, which is an object in the image frame collected from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How We Provide Our Ser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 프레임에서 동공의 크기, 동공의 위치, 안구고정(Eye Fixation), 안구도약(Saccade), 응시시간(Fixation Duration) 및 응시횟수(Fixation Count)에 기반한 시선추적(EyeTracking) 알고리즘으로 산출되는 것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egree of concentration,
Eye tracking based on pupil size, pupil position, eye fixation, saccade,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count in the image frame input through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EyeTracking) A method of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which is calculated by an algorith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력자유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프레임 내 사용자의 대응하는 얼굴특징점을 가지는 얼굴 이외의 얼굴이 인식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인식된 음성 중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이외의 조력자 음성이 인식되는지의 여부를 화자식별 알고리즘으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것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resence of assistance, a face other than a face having a corresponding facial feature of the user is recognized in an image frame received from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or an assistant's voice other than the user's voice is recognized among voices recognized by the user terminal. A method for providing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which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perform remote home training by using a speaker identification algorith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의 난이도, 정답여부, 힌트사용량, 과제수행시간, 기회사용량, 집중도, 조력자유무 및 포지티브(Positive) 가산점에 기초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평가점수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단계별 과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재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calculating the evaluation score based on the difficulty, correct answer, hint usage, task performance time, opportunity usage, concentration, free assistance, and positive points o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reassigning a pre-stored step-by-step task corresponding to the evaluation score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method for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과제노출시간을 지정하는 경우, 상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상기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할당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과제 템플릿 내 포함된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진행한 진행률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과제노출시간의 잔여과제노출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하로 진입하고, 상기 진행률이 기 설정된 완료율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리마인더 호(Call) 또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상기 인지기능 훈련 콘텐츠를 진행한 진행률을 모니터링할 때 사용자별, 그룹별 및 과제별로 과제수행정도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것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anager terminal designates the at least one registered user terminal and the task exposure time, after allocating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s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to the at least one designated user terminal,
monitoring and updating in real time a progress rate o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cluded in the task template in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reminder call or message to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when a remaining task exposure time of the task exposure time enters a preset time or less and the progress rate does not satisfy a preset completion rate;
Including more,
When monitoring the progress rate of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content in the manager terminal, the degree of task performance by user, group, and task is visualized and display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지 스크리닝 테스트(Cognitive Screening Test) 결과를 등록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로 상기 인지 스크리닝 테스트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step of register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sharing the cognitive screening test result with the administrator terminal when registering a cognitive screening test result from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method for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은 자연어처리(N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반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동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등록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연동된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로부터, 상기 대화형 인공지능 스피커와 사용자 간의 음성담화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음성담화를 분석한 결과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원격재가훈련이 가능한 치매예방 인지기능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is interlocked with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natural Language Processing) based convers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fter the step of register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from the manager terminal,
collecting a voice conversation between the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and a user, from an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interlocked with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mapping and storing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voice conversation with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method for providing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KR1020200080336A 2020-06-30 2020-06-30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s using assignment allocation for prevention of dementia KR1025289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336A KR102528953B1 (en) 2020-06-30 2020-06-30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s using assignment allocation for prevention of dement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336A KR102528953B1 (en) 2020-06-30 2020-06-30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s using assignment allocation for prevention of dementi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75A KR20220001875A (en) 2022-01-06
KR102528953B1 true KR102528953B1 (en) 2023-05-08

Family

ID=7934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336A KR102528953B1 (en) 2020-06-30 2020-06-30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s using assignment allocation for prevention of dementi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9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908B1 (en) * 2022-03-30 2022-11-04 주식회사 캐어유 Method for Adjusting the Difficulty of the Game for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KR102621001B1 (en) * 2022-08-09 2024-01-08 주식회사 이모코그 Method for implementing an application for MCI patients and apparatus thereof
KR102645578B1 (en) * 2023-10-17 2024-03-11 메타테라퓨틱스 주식회사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service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brainwave entrainment and light therap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431B1 (en) * 2018-12-14 2020-04-01 주식회사 투엠비게임 System for providing group-based contents for prevention and diagnosis of dementia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2955A (en) * 2008-11-11 2010-05-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otivating a user by using biofeedback to adhere to health promotion activities
KR20170127123A (en) * 2016-05-11 2017-11-21 (주)메디즈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KR20200056864A (en) * 2018-11-15 2020-05-25 웰니스인텔리전스(주) Method for providing home care service for people with dementia using home care platfo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431B1 (en) * 2018-12-14 2020-04-01 주식회사 투엠비게임 System for providing group-based contents for prevention and diagnosis of dementia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75A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21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ntal health assessment
US111208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ntal health assessment
JP7199451B2 (en) Emotional interac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based on emotional computing user interface
Zucco et al. Sentiment analysis and affective computing for depression monitoring
KR102528953B1 (en)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s using assignment allocation for prevention of dementia
US202003652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physiological state
US10376197B2 (en) Diagnosing system for consciousness level measurement and method thereof
JP2022009339A (en) Platform and system for digital personalized medical treatment
CN11500430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activity recommendations
Mody et al. Mental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 Review
CN108175425A (en) A kind of analysis processing device and the cognition index analysis method of latent energy value test
Kavakli et al. Towards the development of a virtual counselor to tackle students' exam stress
Tomicic et al. Vocalization–Silence Dynamic Patterns: A system for measuring coordination in psychotherapeutic dyadic conversations
Son et al. A novel approach to diagnose ADHD using virtual reality
Sawada et al. A module-based framework to emotion recognition by speech: a case study in clinical simulation
US20190374150A1 (en) Diagnosing system for consciousness level measurement and method thereof
CN117412702A (en) System and method for psychological treat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wen et al. Facial movements have over twenty dimensions of perceived meaning that are only partially captured with traditional methods
KR20200141863A (en)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 recording data based ai chatting service
Madanian et al. Automatic speech emotion recognition using machine learning: Mental health use case
Stavrianos et al. Enabling speech emotional intelligence as a service in homecare platforms
Kempe et al. Speech Rhythm Auto-Recurrence is Negatively Linked to Quality of Mental-Health
Zepf Real-Time Emotion-Sensitive User Interfaces
Mora Facultad de Ciencias Sociales/Escuela de Psicología Programa de Doctorado en Psicoterapia
Mellado Mora Dynamic patterns in voices and the personal positions of a patient diagnosed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and the therapist in different contexts of long-term psychotherapy, and the association with the change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