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720B1 - Multi-rack without disk weight - Google Patents

Multi-rack without disk w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720B1
KR102528720B1 KR1020220131089A KR20220131089A KR102528720B1 KR 102528720 B1 KR102528720 B1 KR 102528720B1 KR 1020220131089 A KR1020220131089 A KR 1020220131089A KR 20220131089 A KR20220131089 A KR 20220131089A KR 102528720 B1 KR102528720 B1 KR 10252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ear
chain
barbell ba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석
Original Assignee
박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석 filed Critical 박진석
Priority to KR102022013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7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7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63B21/0783Safety features for bar-bells, e.g. drop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쿼트 등의 중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스미스 머신과 케이블 머신을 원판형의 중량판 없이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사용자가 중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중량봉 형상의 바벨 바아; 상기 바벨 바아의 일측이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벨 바아에 중량을 전달하며, 상기 바벨 바아를 이용한 운동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 중량 전달부; 상기 바벨 바아의 타측이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 중량 전달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벨 바아에 중량을 전달하며, 상기 바벨 바아를 이용한 운동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중량 전달부; 및 상기 제1 중량 전달부와 상기 제2 중량 전달부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벨 바아로 전달될 중량을 공급하는 중량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rack without a disk-shaped weight, which is realized so that a Smith machine and a cable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weight exercises such as squats can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without a disk-shaped weight plate, comprising: a frame portion forming an external shape; a barbell bar in the shape of a weight rod provided in the frame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weight exercises; A first weight transmission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unit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barbell bar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transmit weight to the barbell bar, and allows the user to perform an exercise using a cable separately from an exercise using the barbell bar. ; The other side of the barbell ba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unit while facing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in a connected and installed state to transmit weight to the barbell bar, and apart from the exercise using the barbell bar, the user exercises using a cable. A second weight transfer unit to perform; and a weight unit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weight transfer unit to supply weight to be transferred to the barbell bar.

Description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Multi-rack without disk weight}Multi-rack without disk weight {Multi-rack without disk weight}

본 발명은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쿼트 등의 중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스미스 머신과 케이블 머신을 원판형의 중량판 없이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rack without a disc-shaped weigh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c-shaped weight implemented to simultaneously implement a smith machine and a cable machine capable of performing weight exercises such as squats without a disc-shaped weight plate. It's about multi-rack without it.

근래 정크푸드와 같이 영양가 없이 과도한 열량 및 콜레스테롤의 섭취로 인해 건강한 몸과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이 증가됨과 동시에, 헬스장을 찾거나 또는 집에 비치된 헬스기구를 이용해서 운동을 하여 건강한 몸과 삶을 찾으려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interest in a healthy body and life has increased due to the intake of excessive calories and cholesterol without nutritional value, such as junk food. At the same time as this interest increases,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find a healthy body and life by going to a gym or exercising using fitness equipment provided at home is increas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미스머신은 사용자가 바벨을 들어올렸다 내리는 동작을 장시간 반복하다가 팔 힘이 약해져 바벨을 지지하지 못하거나 바벨을 받침대에 올려놓는 도중에 바벨이 사용자의 안면이나 목, 가슴 등으로 낙하해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일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Smith machine, the user cannot support the barbell due to weakened arm strength after repeatedly lifting and lowering the barbell for a long time, or the barbell falls to the user's face, neck, chest, etc. while placing the barbell on the pedestal,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prevented from getting injured.

또한, 바벨의 중량체 변경시, 사용자에 의해 중량이 가변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보조자가 없을 경우, 운동 자세 및 운동 횟수가 정확하지 못해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기가 어려운 것은 물론, 부상의 위험이 존재한다. In addition, when changing the weight of the barbell,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hange the weight, and in the absence of an assistant, it is difficult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because the exercise posture and number of exercises are not accurate, as well as the risk of injury. exist.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5657호 (2020.08.11.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5657 (2020.08.11. Public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2432832호 (2022.08.12.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432832 (2022.08.12. Notice)

본 발명의 일측면은 중량 결합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머신용 중량 플레이트를 스미스 머신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rack without a disk-shaped weight implemented so that a weight plate for a cable machine can also be used in a Smith machine by using a weight coupling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은,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사용자가 중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중량봉 형상의 바벨 바아; 상기 바벨 바아의 일측이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벨 바아에 중량을 전달하며, 상기 바벨 바아를 이용한 운동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 중량 전달부; 상기 바벨 바아의 타측이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 중량 전달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벨 바아에 중량을 전달하며, 상기 바벨 바아를 이용한 운동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중량 전달부; 및 상기 제1 중량 전달부와 상기 제2 중량 전달부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벨 바아로 전달될 중량을 공급하는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A multi-rack without a disk-shaped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ortion forming an outer shape; a barbell bar in the shape of a weight rod provided in the frame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weight exercises; A first weight transmission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unit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barbell bar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transmit weight to the barbell bar, and allows the user to perform an exercise using a cable separately from an exercise using the barbell bar. ; The other side of the barbell ba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unit while facing the first weight transmission unit in a connected and installed state to transmit weight to the barbell bar, and apart from the exercise using the barbell bar, the user exercises using a cable. A second weight transfer unit to perform; and a weight unit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weight transfer unit to supply weight to be transferred to the barbell ba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중량 전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고정형 롤러;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 개의 고정형 롤러를 각각 경유한 뒤 상기 중량부에 설치되는 중량 와이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중량 와이어가 경유하고 지나가며, 상승 이동함에 따라 하중이 걸려 있는 상기 중량 와이어를 상승 이동시켜 주는 승강 롤러; 일단이 상기 승강 롤러에 설치되어 상승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승강 롤러를 상승 이동시켜 주는 체인; 상기 체인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에 장력을 형성시켜 주는 체인용 중량체; 상기 바벨 바아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설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체인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체인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바벨 바아를 들어 올림에 따라 상승 이동되어 상기 승강 롤러에 전달되는 중량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체인을 상승 이동시켜 주는 중량 고정 장치; 및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롤러와 상측 배치되는 제2 지지 롤러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중량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경유한 뒤 바로 상기 프레임부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승강 롤러를 경유한 상기 중량 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제2 지지 롤러를 경유하도록 하며, 상기 승강 롤러가 상승 이동함에 따른 상기 승강 롤러의 높이 변위에 따라 상기 승강 롤러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경유하고 있는 상기 중량 와이어에 의해 하강 이동되는 듀얼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a plurality of fixed rollers installed along one side of the frame unit; a weight wir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part and the other end installed to the weight part afte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xed rollers; An elevation roll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frame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through which the weight wire passes, and which lifts and moves the weight wire on which a load is applied as it moves up and down; a chain having one end installed on the elevating roller and moving the elevating roller upward as it moves upward; a chain weight body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to form tension in the chain; One side of the barbell bar is rotatably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engaged with the chain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adjusted, and is moved up and down as the user lifts the barbell bar while fastened to the chain, thereby lifting the barbell bar. a weight fixing device that lifts and moves the chain supporting the weight transmitted to the roller; And the first support roller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support roll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independently rotatable, and one end of the weight wire passes through the first support roller and then the rear end of the frame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weight wire passing through the lifting roller passes through the second support roller, and the lifting roll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roller according to the height displacement of the lifting roller as the lifting roller moves upward. It may include; a dual roller that is moved down by the weight wire passing through the first support roll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듀얼 롤러는, 상기 승강 롤러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 롤러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중량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1 지지 롤러가 하강 이동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함께 하강 이동되는 상기 제2 지지 롤러에 의해 상기 제2 지지 롤러를 경유한 뒤 상기 중량부에 설치되는 상기 중량 와이어의 타단을 승강 이동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ual roller is moved down along with the first support roller when the first support roller is moved down by the weight wire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lift roller as the lift roller moves upward.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pport roller by the second support roller, the other end of the weight wire installed in the weight part may be moved up and dow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 고정 장치는, 상기 바벨 바아를 이용한 중량 운동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체인에서의 설치 위치가 조절된 후 상기 체인에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ight fixing device may be engaged and fastened to the chain aft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hain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type of weight movement using the barbell ba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 와이어는, 상기 승강 롤러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경유한 뒤 다시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ight wire may be mov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roller to the upper side and then to the lower side agai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 롤러는, 상하 수직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승강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vating roller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an elevating slid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frame unit so as to enable vertical sliding movem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 고정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체인이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벨 바아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승강 롤러를 경유한 뒤 상기 체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중량을 상기 바벨 바아로 전달하는 기어 박스; 상기 기어 박스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맞물리면서 경유하고 안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기어 박스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맞물리면서 경유하고 안착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에서 상기 기어 박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맞물리면서 경유하고 안착되는 제3 기어; 상기 제3 기어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4 기어; 상기 제4 기어와 근접하여 상기 기어 박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4 기어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릴 시 상기 제4 기어가 편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4 기어의 기어산으로부터 분리될 시 상기 제4 기어가 자유 회전되도록 하는 레치; 및 상기 레치로부터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바벨 바아의 일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바벨 바아를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레치를 들어 올려 상기 제4 기어의 기어산으로부터 상기 레치를 분리시켜 주는 분리용 캠;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ight fixing device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vertical directions from one side of the frame unit, the chain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and one side of the barbell bar is rotatable. a gear box that is connected to the barbell bar to transmit the weight transmitted from the chain after passing through the elevating roller; A first gear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gear box, the first gear passing through and seat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chain; a second gear that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gea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gear box and passes through and is seated while the chain is engaged; a third gear rotatably connected to the gearbox between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and through which the chain is engaged and seated; a fourth gear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third gear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third gear;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gear box in close proximity to the fourth gear, and when engaged with a gear mountain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fourth gear, the fourth gear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and the fourth gear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a latch allowing the fourth gear to freely rotate when separated from the gear mountain of the gear; And a separation th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rbell bar connected to the lower side from the latch and separates the latch from the gear mountain of the fourth gear by lifting the latch while rotating together as the user rotates the barbell bar. A cam for use;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기어는, 상기 제3 기어보다 큰 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urth gear may form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ird gear.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기어는, 상기 기어 박스가 상기 체인을 따라 하강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레치가 기어산에 맞물린 상태에서도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기어 박스가 상승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레치가 기어산에 맞물린 상태로 체결되어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아니할 수 있도록 각 기어산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urth gear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even when the latch is engaged with the gear mountain when the gear box moves down along the chain, and when the gear box moves upward, the latch engages the gear mountain. Each gear mountai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it is fastened in an engaged state and does not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중량 전달부는, 상기 중량 고정 장치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텐션 와이어에 상기 중량 고정 장치를 상측으로 잡아 당기는 장력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텐션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는 테션용 중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tension wire to form a tension that pulls the weight fixing device upward to the tension wire installed between the weight fixing device Tension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ension wire A weight body; may be further included.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중량 결합 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 머신용 중량 플레이트를 스미스 머신에서도 활용함으로써, 눌림 사고의 발생으로부터 100%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원판 제거로 교체 중 충돌 사고 발생 위험을 제거할 수 있으며, 무게 조절을 핀 형식으로 변경하여 사용 편의성 향상할 수 있고, 원판과 부수적인 관리 용품 제거로 원가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utilizing the weight plate for a cable machine in a smith machine using a weight coupling device, 100% safety from a crushing accident can be ensured, and a collision accident occurs during replacement by removing the disk Risk can be removed,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weight control to a pin type, and cost reduction can be provided by removing the disk and auxiliary management product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중량 전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승강 롤러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중량 전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또는 도 4의 중량 전달부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중량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ulti-rack without a disk-shaped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first weight transfer unit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lifting roller of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of FIG. 1 .
FIG. 5 is a diagram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weight transfer unit of FIG. 2 or 4 .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weight fixing device of FIG. 2 .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llows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on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equivalents as claimed by thos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ulti-rack without a disk-shaped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10)은, 프레임부(100), 바벨 바아(200), 제1 중량 전달부(300), 제2 중량 전달부(400) 및 중량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ulti-rack 10 without a disk-shaped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art 100, a barbell bar 200, a first weight transmission part 300, and a second weight It includes a delivery part 400 and a weight part 500.

프레임부(100)은, 스미스 머신 또는 케이블 머신 등의 운동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며, 바벨 바아(200), 제1 중량 전달부(300), 제2 중량 전달부(400) 및 중량부(5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The frame part 100 forms the outer shape of an exercise device such as a smith machine or a cable machine, and includes a barbell bar 200, a first weight transmission part 300, a second weight transmission part 400, and a weight part 500. ) and the like are installed.

바벨 바아(200)는, 사용자가 중량 운동(예를 들어, 벤치 프레스, 스쿼트, 데드리프트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0)에 구비되는 중량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중량 전달부(300)와 제2 중량 전달부(400)에 의해 지지되어 프레임부(100)에 설치된다.The barbell bar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weight bar provided in the frame unit 100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weight exercises (eg, bench press, squat, deadlift, etc.), and is a first weight transfer unit. 300 and the second weight transmission unit 400 are supported and installed in the frame unit 100.

제1 중량 전달부(300)는, 바벨 바아(200)의 일측이 연결 설치된 상태로 프레임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바벨 바아(200)에 중량을 전달하며, 바벨 바아(200)를 이용한 운동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예를 들어, 케이블 플라이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3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unit 100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barbell bar 200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transmit weight to the barbell bar 200 supplied from the weight unit 500, In addition to the exercise using the barbell bar 200, the user performs an exercise using a cable (eg, cable fly).

제2 중량 전달부(400)는, 바벨 바아(200)의 타측이 연결 설치된 상태로 제1 중량 전달부(300)와 대향하면서 프레임부(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중량부(500)로부터 공급되는 바벨 바아(200)에 중량을 전달하며, 바벨 바아(200)를 이용한 운동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예를 들어, 케이블 플라이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second weight transfer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unit 100 while facing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300 in a state where the other side of the barbell bar 200 is connected and installed, and is supplied from the weight unit 500. The weight is transferred to the barbell bar 200, and the user performs an exercise using a cable (eg, cable fly, etc.) apart from an exercise using the barbell bar 200.

중량부(500)는, 제1 중량 전달부(300)와 제2 중량 전달부(400)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바벨 바아(200)로 전달될 중량을 공급한다.The weight part 500 is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first weight transmission part 300 and the second weight transmission part 400 to supply weight to be transferred to the barbell bar 200 .

일 실시예에서, 중량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 운동을 위한 중량 플레이트의 체결 수를 핀을 이용하여 조절 가능한 중량 조절 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 the weight unit 500 may include a weight control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number of fastenings of weight plates for weight exercise using pin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10)은, 후술하는 중량 고정 장치(360)를 이용하여 케이블 머신용 중량 플레이트를 스미스 머신에서도 활용함으로써, 눌림 사고의 발생으로부터 100%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원판 제거로 교체 중 충돌 사고 발생 위험을 제거할 수 있으며, 무게 조절을 핀 형식으로 변경하여 사용 편의성 향상할 수 있고, 원판과 부수적인 관리 용품 제거로 원가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multi-rack 10 without a disk-shaped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uses a weight fixing device 360 to be described later to utilize a weight plate for a cable machine in a Smith machine, 100% safety can be ensured from occurrence of crushing accidents, the risk of collision accidents during replacement can be eliminated by removing the disc,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weight control to a pin type, and the disc and auxiliary management products Removal can provide cost savings.

도 2는 도 1의 제1 중량 전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first weight transfer unit of FIG. 1 .

도 2를 차?▤玖?, 제1 중량 전달부(300)는, 다수 개의 고정형 롤러(310), 중량 와이어(320), 승강 롤러(330), 체인(340), 체인용 중량체(350), 중량 고정 장치(360) 및 듀얼 롤러(370)를 포함한다.2, the first weight transmission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rollers 310, a weight wire 320, a lifting roller 330, a chain 340, and a weight body 350 for a chain. ), a weight fixing device 360 and a dual roller 370.

여기서, 제2 중량 전달부(400)는, 후술하는 제1 중량 전달부(3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중량 전달부(300)의 다수 개의 고정형 롤러(310), 중량 와이어(320), 승강 롤러(330), 체인(340), 체인용 중량체(350), 중량 고정 장치(360) 및 듀얼 롤러(37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second weight transmission unit 4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weight transmission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rollers 310, a weight wire 320, Components such as the elevating roller 330, the chain 340, the chain weight 350,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and the dual roller 370 can be equally applied, so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the description to be omitted.

다수 개의 고정형 롤러(310)는, 중량 와이어(320)가 경유되면서 프레임부(100)를 따라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100)의 일측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The plurality of fixed rollers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along one side of the frame part 100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along the frame part 100 while passing the weight wire 320 .

중량 와이어(320)는, 일단이 프레임부(100)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다수 개의 고정형 롤러(310)를 각각 경유한 뒤 중량부(500)에 설치된다.One end of the weight wire 320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unit 100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to the weight unit 500 after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fixed rollers 310,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서, 중량 와이어(320)는, 사용자가 케이블 플라이 등의 케이블 운동을 위한 블록(B)이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ight wire 320, a block (B) for the user to exercise the cable, such as a cable fly may be installed.

승강 롤러(33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부(100)의 일측에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중량 와이어(320)가 경유하고 지나가며, 상승 이동함에 따라 하중이 걸려 있는 중량 와이어(320)를 상승 이동시켜 준다.The lifting roller 330 is installe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frame unit 10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eight wire 320 passes through it, and the weight wire on which the load is applied as it moves upward. 320 is moved upward.

일 실시예에서, 중량 와이어(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롤러(33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경유한 뒤 다시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ight wire 320 may be mov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roller 330 to the upper side and then to the lower side again, as shown in FIG. 3 .

일 실시예에서, 승강 롤러(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수직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부(100)의 일측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승강 슬라이더(39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vating roller 3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levating slider 390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frame unit 100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 can be installed

체인(340)은, 일단이 승강 롤러(330)에 설치되고 타단이 체인용 중량체(350)에 설치되며, 중량 고정 장치(360)에 의해 상승 이동됨에 따라 승강 롤러(330)를 상승 이동시켜 준다.The chain 340 has one end installed on the lifting roller 330 and the other end installed on the chain weight body 350, and as it is moved upward by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the lifting roller 330 is moved upward. give.

체인용 중량체(350)는, 체인(340)의 타단에 설치되어 체인(340)에 장력을 형성시켜 준다.The chain weight body 35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340 to form tension in the chain 340 .

중량 고정 장치(360)는, 바벨 바아(20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설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체인(34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체인(34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벨 바아(200)를 들어 올림에 따라 상승 이동되어 승강 롤러(330)에 전달되는 중량을 지지하고 있는 체인(340)을 상승 이동시켜 준다.The weight fixing device 360 is connected so that one side of the barbell bar 200 is rotatable, is connected to the chain 340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adjusted, and is connected to the chain 340, and the user is fastened to the chain 340. As the barbell bar 200 is lifted, the chain 340 supporting the weight transferred to the lifting roller 330 is moved upward.

듀얼 롤러(370)는,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롤러(371)와 상측 배치되는 제2 지지 롤러(372)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중량 와이어(320)의 일단이 제1 지지 롤러(371)를 경유한 뒤 바로 프레임부(100)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고 승강 롤러(330)를 경유한 중량 와이어(320)의 타단이 제2 지지 롤러(372)를 경유하도록 하며, 승강 롤러(330)가 상승 이동함에 따른 승강 롤러(330)의 높이 변위에 따라 승강 롤러(330)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지지 롤러(371)를 경유하고 있는 중량 와이어(320)에 의해 하강 이동된다.The dual roller 370 is formed by connecting and installing a first support roller 371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a second support roller 372 disposed on the upper side to independently rotate, and one end of the weight wire 320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upport roller 371, the other end of the weight wire 320, which is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unit 100 and passed through the lifting roller 330, passes through the second support roller 372, , Moving down by the weight wire 320 passing through the first support roller 371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roller 330 according to the height displacement of the lifting roller 330 as the lifting roller 330 moves upward. do.

일 실시예에서, 듀얼 롤러(370)는, 승강 롤러(330)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승강 롤러(330) 방향으로 이동되는 중량 와이어(320)에 의해 제1 지지 롤러(371)가 하강 이동할 경우, 제1 지지 롤러(371)와 함께 하강 이동되는 제2 지지 롤러(372)에 의해 제2 지지 롤러(372)를 경유한 뒤 중량부(500)에 설치되는 중량 와이어(320)의 타단을 승강 이동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ual roller 370, when the first support roller 371 moves down by the weight wire 320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roller 330 as the lifting roller 330 moves upward, By the second support roller 372 moving down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roller 371, the other end of the weight wire 320 installed in the weight part 500 is moved up and down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support roller 372. can do it

일 실시예에서, 중량 고정 장치(360)는, 바벨 바아(200)를 이용한 중량 운동의 종류에 대응하여 체인(340)에서의 설치 위치가 조절된 후 체인(340)에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may be engaged and fastened to the chain 340 aft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hain 340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type of weight exercise using the barbell bar 2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중량 전달부(300)에 의한 작동 방법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method by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30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체인(340)에서의 중량 고정 장치(360)의 위치를 조절시킨 뒤 중량 고정 장치(360)를 체결 고정시켜 운동 준비를 마친 뒤, 사용자가 바벨 바아(200)를 도 6의 "D"만큼 들어 올리면 승강 롤러(330) 역시 "D"만큼 들어올려 지고, 체인용 중량체(350)은 "D"만큼 하강하게 되면서 운동이 수행되는 것이다.First, after the us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in the chain 340,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is fastened and fixed to prepare for exercise, and then the user sets the barbell bar 200 at "D" in FIG. When lifted by ", the lifting roller 330 is also lifted by "D", and the weight for chain 350 is lowered by "D", and the exercise is performed.

이때, 중량 와이어(320)는 그 배치 위치에 따라 이동 여부가 달라지는데, 도 6의 L2의 경우에는 이동되지 아니하고 정지한 상태로 유지되나, 도 6의 L1의 경우에는 승강 롤러(330)에 의해 잡아당겨짐에 따라 체인용 중량체(350)의 하중이 걸려있는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서 중량체(350)의 하중을 승강 롤러(33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ther or not the weight wire 320 moves depends on its placement position. In the case of L2 in FIG. 6, it does not move and remains stationary, but in the case of L1 in FIG. As it is pulled, the load of the weight body 350 for the chain is moved to a state where the load is applied, and the load of the weight body 350 is transmitted to the lifting roller 33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중량 전달부(300)는, 중량판 등과 같이 종래의 스미스 머신 등에 사용하던 중량체를 중량 플레이트에 통합하여 불필요한 중량판을 제거함으로써, 멀티랙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켜 멀티랙 구성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켜 줌은 물론, 중량 운동 중 중량판의 교체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weight transmission unit 30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reduces the overall weight of the multi-rack by integrating a weight used in a conventional smith machine, such as a weight plate, into a weight plate and removing unnecessary weight plates.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ccording to the multi-rack configuration and fundamentally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in the replacement of the weight plate during weight exercise.

도 4는 도 1의 제1 중량 전달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of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중량 전달부(300a)는, 다수 개의 고정형 롤러(310), 중량 와이어(320), 승강 롤러(330), 체인(340), 체인용 중량체(350), 중량 고정 장치(360), 듀얼 롤러(370) 및 테션용 중량체(380)를 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3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rollers 310, a weight wire 320, an elevating roller 330, a chain 340, and a weight body for a chain. 350, a weight fixing device 360, a dual roller 370, and a test weight 380.

여기서, 다수 개의 고정형 롤러(310), 중량 와이어(320), 승강 롤러(330), 체인(340), 체인용 중량체(350), 중량 고정 장치(360) 및 듀얼 롤러(370)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plurality of fixed rollers 310, the weight wire 320, the elevating roller 330, the chain 340, the weight body 350 for the chain,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and the dual roller 370 are shown in FIG. Since it is the same as the component of 2,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테션용 중량체(380)는, 중량 고정 장치(360)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텐션 와이어에 중량 고정 장치(360)를 상측으로 잡아 당기는 장력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텐션 와이어(380a)의 단부에 설치된다.The tension weight body 38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ension wire 380a to form tension to pull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upward in the tension wire installed between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중량 전달부(300a)는, 테션용 중량체(380)의 중량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고 있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중량 고정 장치(360)를 상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줌으로써, 중량 고정 장치(360)가 승강 롤러(330)의 하중에 의해 불필요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3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uses the weight of the weight body 380 for testing, even when the user is not exercising,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 by pulling it up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from being unnecessarily lowered by the load of the lifting roller 330 .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중량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weight fixing device of FIG. 2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중량 고정 장치(360)는, 기어 박스(361), 제1 기어(362), 제2 기어(363), 제3 기어(364), 제4 기어(365), 레치(366) 및 분리용 캠(367)을 포함한다.6 and 7,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gear box 361, first gear 362, second gear 363, third gear 364, fourth gear 365 , a latch 366 and a cam 367 for separation.

기어 박스(361)는, 프레임부(100)의 일측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체인(340)이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바벨 바아(20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승강 롤러(330)를 경유한 뒤 체인(340)으로부터 전달되는 중량을 바벨 바아(200)로 전달하며, 제1 기어(362), 제2 기어(363), 제3 기어(364), 제4 기어(365), 레치(366) 및 분리용 캠(367)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The gearbox 36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ame unit 100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nd the chain 340 is disposed vertically along the inner side, and one side of the barbell bar 200 The weight transmitted from the chain 340 is transmitted to the barbell bar 200 after passing through the elevating roller 330 by being rotatably connected, and the first gear 362, the second gear 363, and the third Components such as a gear 364, a fourth gear 365, a latch 366 and a separating cam 367 are installed.

제1 기어(362)는, 기어 박스(36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체인(340)이 맞물리면서 경유하고 안착된다.The first gear 36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gear box 361, and the chain 340 is engaged and seated thereon.

제2 기어(363)는, 제1 기어(362)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기어 박스(36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체인(340)이 맞물리면서 경유하고 안착된다.The second gear 363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gear 362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gear box 361 so that the chain 340 is engaged and seated thereon.

제3 기어(364)는, 제1 기어(362)와 제2 기어(363) 사이에서 기어 박스(3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체인(340)이 맞물리면서 경유하고 안착되며, 제4 기어(365)와 축결합되어 제4 기어(365)와 함께 회전 또는 정지된다.The third gear 36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gear box 361 between the first gear 362 and the second gear 363, and the chain 340 is engaged and seated via the chain 340, and the fourth gear ( 365) and rotates or stops together with the fourth gear 365.

제4 기어(365)는, 제3 기어(364)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설치되어 제3 기어(364)와 함께 회전되며, 기어산에 레치(366)가 맞물림에 따라 편방향(도 6의 경우에는 시계 방향)으로만 회전된다.The fourth gear 365 is shaft-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third gear 364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third gear 364, and as the latch 366 is engaged with the gear mountain, one direction (Fig. 6) in a clockwise direction only).

일 실시예에서, 제4 기어(365)는, 제3 기어(364)보다 큰 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urth gear 365 may form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ird gear 364 .

일 실시예에서, 제4 기어(365)는, 기어 박스(361)가 체인(340)을 따라 하강 이동할 경우에는 레치(366)가 기어산에 맞물린 상태에서도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기어 박스(361)가 상승 이동할 경우에는 레치(366)가 기어산에 맞물린 상태로 체결되어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아니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어산(365a)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ourth gear 365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even when the latch 366 is engaged with the gear mountain when the gear box 361 moves down along the chain 340, and the gear box 361 When moving upward, each gear mountain 365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latch 366 is engaged with the gear mountain and is not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레치(366)는, 제4 기어(365)와 근접하여 기어 박스(3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4 기어(365)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릴 시 제4 기어(365)가 편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고, 회전하는 분리용 캠(367)에 의해 제4 기어(365)의 기어산으로부터 분리될 시 제4 기어(365)가 자유 회전되도록 한다.The latch 366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gear box 361 in close proximity to the fourth gear 365, and when engaged with the gear mountain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fourth gear 365, the fourth gear ( 365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and when separated from the gear mountain of the fourth gear 365 by the separating cam 367, the fourth gear 365 rotates freely.

분리용 캠(367)은, 레치(366)로부터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바벨 바아(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바벨 바아(200)를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레치(366)를 들어 올려 제4 기어(365)의 기어산으로부터 레치(366)를 분리시켜 준다.The separation cam 367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rbell bar 200 connected to the lower side from the latch 366, and lifts the latch 366 while rotating together as the user rotates the barbell bar 200. The latch 366 is separated from the gear mountain of the fourth gear 365.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량 고정 장치(360)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바벨 바아(200)를 회전시켜(도 6의 경에는 반시계 방향) 레치(366)를 제4 기어(365)로부터 분리시켜 체인(340)에서의 중량 고정 장치(36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한 뒤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6의 경에는 시계 방향) 체인(340)에서 중량 고정 장치(360)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using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rotates the barbell bar 200 (counterclockwise in FIG. 6) to move the latch 366 from the fourth gear 365. After separating and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in the chain 340, when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clockwise in the case of FIG. 6), the position of the weight fixing device 360 in the chain 340 is fixed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the exercis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량 고정 장치(360)는, 체인(340)에서의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운동에 대응하여 바벨 바아(2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The weight fixing device 360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can fre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arbell bar 200 in response to an exercise the user wants to perform by freely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hain 340 .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

10: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100: 프레임부
200: 바벨 바아
300: 제1 중량 전달부
400: 제2 중량 전달부
500: 중량부
10: Multi-rack without disc-shaped weight
100: frame part
200: barbell bar
300: first weight transfer unit
400: second weight transfer unit
500: parts by weight

Claims (10)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사용자가 중량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는 중량봉 형상의 바벨 바아;
상기 바벨 바아의 일측이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벨 바아에 중량을 전달하며, 상기 바벨 바아를 이용한 운동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1 중량 전달부;
상기 바벨 바아의 타측이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 중량 전달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바벨 바아에 중량을 전달하며, 상기 바벨 바아를 이용한 운동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2 중량 전달부; 및
상기 제1 중량 전달부와 상기 제2 중량 전달부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벨 바아로 전달될 중량을 공급하는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량 전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고정형 롤러;
일단이 상기 프레임부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다수 개의 고정형 롤러를 각각 경유한 뒤 상기 중량부에 설치되는 중량 와이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중량 와이어가 경유하고 지나가며, 상승 이동함에 따라 하중이 걸려 있는 상기 중량 와이어를 상승 이동시켜 주는 승강 롤러;
일단이 상기 승강 롤러에 설치되어 상승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승강 롤러를 상승 이동시켜 주는 체인;
상기 체인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에 장력을 형성시켜 주는 체인용 중량체;
상기 바벨 바아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설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체인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체인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바벨 바아를 들어 올림에 따라 상승 이동되어 상기 승강 롤러에 전달되는 중량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체인을 상승 이동시켜 주는 중량 고정 장치; 및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롤러와 상측 배치되는 제2 지지 롤러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중량 와이어의 일단이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경유한 뒤 바로 상기 프레임부의 후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승강 롤러를 경유한 상기 중량 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제2 지지 롤러를 경유하도록 하며, 상기 승강 롤러가 상승 이동함에 따른 상기 승강 롤러의 높이 변위에 따라 상기 승강 롤러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제1 지지 롤러를 경유하고 있는 상기 중량 와이어에 의해 하강 이동되는 듀얼 롤러;를 포함하는,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A frame portion forming an outer shape;
a barbell bar in the shape of a weight rod provided in the frame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weight exercises;
A first weight transmission uni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ame unit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barbell bar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transmit weight to the barbell bar, and allows the user to perform an exercise using a cable separately from an exercise using the barbell bar. ;
The other side of the barbell bar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unit while facing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in a connected and installed state to transmit weight to the barbell bar, and apart from the exercise using the barbell bar, the user exercises using a cable. A second weight transfer unit to perform; and
A weight unit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and the second weight transfer unit to supply a weight to be transferred to the barbell bar,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A plurality of fixed rollers installed along one side of the frame unit;
a weight wir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part and the other end installed to the weight part afte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xed rollers;
An elevation rolle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frame unit so as to move up and down vertically, through which the weight wire passes, and which lifts and moves the weight wire under a load as it moves up and down;
a chain having one end installed on the elevating roller and moving the elevating roller upward as it moves upward;
a chain weight body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to form tension in the chain;
One side of the barbell bar is rotatably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engaged with the chain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adjusted, and is moved up and down as the user lifts the barbell bar while fastened to the chain, thereby lifting the barbell bar. a weight fixing device that lifts and moves the chain supporting the weight transmitted to the roller; and
A first support roller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a second support roll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independently rotatable, and one end of the weight wire passes through the first support roller and is immediately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frame unit. It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other end of the weight wire passing through the lifting roller passes through the second support roller, and the lifting roll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roller according to the height displacement of the lifting roller as the lifting roller moves upward. Dual rollers that are moved down by the weight wire passing through one support roller; Multi-rack with no disk-shaped weight,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롤러는,
상기 승강 롤러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승강 롤러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중량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1 지지 롤러가 하강 이동할 경우, 상기 제1 지지 롤러와 함께 하강 이동되는 상기 제2 지지 롤러에 의해 상기 제2 지지 롤러를 경유한 뒤 상기 중량부에 설치되는 상기 중량 와이어의 타단을 승강 이동시켜 주는,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According to claim 1,
The dual roller,
When the first support roller is moved down by the weight wire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lifting roller as the lifting roller moves upward, the second support roller moves down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roller. A multi-rack without a disk-shaped weight that lifts and moves the other end of the weight wire installed in the weight part after passing through the support 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고정 장치는,
상기 바벨 바아를 이용한 중량 운동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체인에서의 설치 위치가 조절된 후 상기 체인에 맞물려 체결되는,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According to claim 1,
The weight fixing device,
A multi-rack without a disc-shaped weight that is engaged with the chain aft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hain is adjusted in response to the type of weight movement using the barbell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와이어는,
상기 승강 롤러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경유한 뒤 다시 하측으로 이동되는,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According to claim 1,
The weight wire,
A multi-rack without disc-shaped weight that mov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roller to the upper side and then to the lower side agai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롤러는,
상하 수직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승강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According to claim 4,
The lifting roller,
A disc-shaped weightless multi-rack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an elevating slider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frame unit to enable vertical sliding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고정 장치는,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에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체인이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벨 바아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승강 롤러를 경유한 뒤 상기 체인으로부터 전달되는 중량을 상기 바벨 바아로 전달하는 기어 박스;
상기 기어 박스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맞물리면서 경유하고 안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기어 박스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맞물리면서 경유하고 안착되는 제2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에서 상기 기어 박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맞물리면서 경유하고 안착되는 제3 기어;
상기 제3 기어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3 기어와 함께 회전되는 제4 기어;
상기 제4 기어와 근접하여 상기 기어 박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4 기어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릴 시 상기 제4 기어가 편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제4 기어의 기어산으로부터 분리될 시 상기 제4 기어가 자유 회전되도록 하는 레치; 및
상기 레치로부터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바벨 바아의 일측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바벨 바아를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레치를 들어 올려 상기 제4 기어의 기어산으로부터 상기 레치를 분리시켜 주는 분리용 캠;을 포함하는,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According to claim 1,
The weight fixing device,
At one side of the frame unit, it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vertical directions, the chain is dispos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long the inside, and one side of the barbell bar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rotatable, passing through the lifting roller a gear box that transmits the weight transmitted from the chain to the barbell bar;
A first gear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gear box, the first gear passing through and seated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chain;
a second gear that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gea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gear box and passes through and is seated while the chain is engaged;
a third gear rotatably connected to the gearbox between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and through which the chain is engaged and seated;
a fourth gear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third gear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third gear;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gear box in close proximity to the fourth gear, and when engaged with a gear mountain form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fourth gear, the fourth gear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and the fourth gear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a latch allowing the fourth gear to freely rotate when separated from the gear mountain of the gear; and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rbell bar connected to the lower side from the latch, and separates the latch from the gear mountain of the fourth gear by lifting the latch while rotating together as the user rotates the barbell bar. A multi-rack with no disk-shaped weight, including a ca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어는,
상기 제3 기어보다 큰 직경을 형성하는,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According to claim 6,
The fourth gear,
A disk-shaped weightless multi-rack form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ird gea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어는,
상기 기어 박스가 상기 체인을 따라 하강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레치가 기어산에 맞물린 상태에서도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기어 박스가 상승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레치가 기어산에 맞물린 상태로 체결되어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아니할 수 있도록 각 기어산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According to claim 6,
The fourth gear,
When the gear box moves down along the chain, the latch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even when engaged with the gear mountain, and when the gear box moves upward, the latch is engaged with the gear mountain and cannot be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 multi-rack without disk-shaped weight, in which each gear mountain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량 전달부는,
상기 중량 고정 장치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텐션 와이어에 상기 중량 고정 장치를 상측으로 잡아 당기는 장력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텐션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는 테션용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원판형 중량이 없는 멀티랙.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eight transfer unit,
A weight for tension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ension wire to form tension to pull the weight fixing device upward in the tension wire installed between the weight fix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k-shaped weight Multi-rack without.
삭제delete
KR1020220131089A 2022-10-13 2022-10-13 Multi-rack without disk weight KR1025287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089A KR102528720B1 (en) 2022-10-13 2022-10-13 Multi-rack without disk w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089A KR102528720B1 (en) 2022-10-13 2022-10-13 Multi-rack without disk we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720B1 true KR102528720B1 (en) 2023-05-03

Family

ID=8638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089A KR102528720B1 (en) 2022-10-13 2022-10-13 Multi-rack without disk w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72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362A (en) * 1993-12-29 1997-04-29 Wilson; Thomas I. Punching handle accessory
US20070135276A1 (en) * 2005-11-25 2007-06-14 Nerio Alessandri Gymnastic machine
CN104225876A (en) * 2013-06-11 2014-12-24 梦景有限责任公司 Exercise apparatus
JP2019534135A (en) * 2016-11-15 2019-11-28 スペシャルティ フィットネス システムズ,エルエルシーSpecialty Fitness Systems, LLC High and low pulley rack system for weight machine
KR20200095657A (en) 2019-02-01 2020-08-1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Smith machine using air pressure
KR102432832B1 (en) 2022-02-15 2022-08-12 윤순용 Smith machine with a separate barbell stic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362A (en) * 1993-12-29 1997-04-29 Wilson; Thomas I. Punching handle accessory
US20070135276A1 (en) * 2005-11-25 2007-06-14 Nerio Alessandri Gymnastic machine
CN104225876A (en) * 2013-06-11 2014-12-24 梦景有限责任公司 Exercise apparatus
JP2019534135A (en) * 2016-11-15 2019-11-28 スペシャルティ フィットネス システムズ,エルエルシーSpecialty Fitness Systems, LLC High and low pulley rack system for weight machine
KR20200095657A (en) 2019-02-01 2020-08-1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Smith machine using air pressure
KR102432832B1 (en) 2022-02-15 2022-08-12 윤순용 Smith machine with a separate barbell sti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1481B1 (en) High-low pulley rack system for weight machine
US11565144B2 (en) Slidable bar and carriage exercise assembly
EP0416783A2 (en) Compact multi-function weight training exerciser
US4390179A (en) Multi-station exercising apparatus
US4836535A (en) Upper body building machine
US5151071A (en) Isoinertial lifting device
US5447480A (en) Weight lifting machine
CN108785963B (en) Exercise apparatus
US4199139A (en) Exercising apparatus
CN2472753Y (en) Full function weight training body building device
JP2003508136A (en) Self-assisting device for free weight
CN109821199B (en) Training device for squatting and rising training and auxiliary arm muscle training and using method
US20070093365A1 (en) Path adjustable exercise arms
US20060063649A1 (en) Adjustable load dynamic active resistance training system
KR102528720B1 (en) Multi-rack without disk weight
GB2201606A (en) Weight-lifting exercise devices
US4826155A (en) Accessory equipment for exercise apparatus
CN110711356A (en) Rehabilitation device used after leg operation
US20060252611A1 (en) Exercise apparatus with weight stacks and elastic bands
KR100515686B1 (en) Sporting goods for weight training
US20180104525A1 (en) Weight Selecting Mechanism for Exercise Equipment
CN107320896A (en) A kind of physical education practises multi-function composite accessory
CN212700255U (en) Rope belt linkage structure for fitness equipment
JPH0246928Y2 (en)
CN115025444B (en) Physical arm exerci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