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465B1 -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465B1
KR102525465B1 KR1020210053537A KR20210053537A KR102525465B1 KR 102525465 B1 KR102525465 B1 KR 102525465B1 KR 1020210053537 A KR1020210053537 A KR 1020210053537A KR 20210053537 A KR20210053537 A KR 20210053537A KR 102525465 B1 KR102525465 B1 KR 10252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generator
laundry treatment
drain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6810A (en
Inventor
서진호
박재용
이광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465B1/en
Publication of KR2022014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8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4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9/0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배수로 상에 마련된 밸브와, 상기 배수로에 연결된 배수통과,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급수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급수를 위한 급수펌프와,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급수통과, 상기 급수로 상에 마련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필터부교체코스에 진입하는 (a) 단계, 및 상기 급수통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하고,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b)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배수통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스팀발생장치 사이에 위치한 상기 급수펌프는, 작동에 의해 상기 필터부의 잔수를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급수하여 상기 필터부의 잔수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room accommodating clothes, a steam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steam 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a valve provided on a drain lin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device,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line, and the steam generator.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supply pump provided on a water supply path connected to a generator and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a water supply tub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a filter unit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th, the filter comprising: Step (a) of entering a sub-exchange course, and step (b) of operating the water pump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opening the valve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he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drain container, and the water supply pump located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steam generating device supplies residual water from the filter unit to the steam generating device by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to discharge the remaining water from the filter unit. It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l.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Control method of clothes handl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의류에 대하여 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의 각종 처리를 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treatments such as washing, drying, deodorizing, and wrinkle removal on clothe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젖은 의류를 건조하거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개선하는 등 의류에 대한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A clothes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for performing various treatments on clothes, such as washing clothes, drying wet clothes, removing odors from clothes, and improving wrinkles of clothes.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개선시키는 스티머(steamer) 등이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되도록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Recently, a laundry treatment device has been developed so that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es, a dryer for drying clothes, a refresher for refreshing clothes, and a steamer for improving unnecessary wrinkles of clothes are realized in one device. there is a trend

여기서, 리프레셔는 의류의 상태를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개선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키고, 스티머는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다리미와 다르게 의류에 직접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의류의 구김을 개선 및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Here, the refresher is a device for making clothes pleasant and fresh,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drying clothes, supplying fragrance to clothes,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of clothes, and improving wrinkles of clothes. Pointing to a device, a steamer is a device that removes wrinkles from clothes by supplying steam to clothes, and unlike an iron, it may refer to a devic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improving and removing wrinkles of clothes without directly applying heat to clothes. .

의류처리실 내 수용된 의류를 향하여 스팀(steam)을 분사하기 위해, 스팀발생장치는 급수된 물을 가열하여 끓임으로써 스팀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스팀발생장치 내에는 물이 반복하여 끓여지고 식혀짐에 따라 물 이외에 칼슘, 중탄산염, 황산마그네슘 등과 같은 잔여성분의 농도가 높아져, 스케일에 의한 가열수단인 히터의 수명이 저하되거나, 금속 재질의 수위감지센서 등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감지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spray steam toward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clothes treatment room, the steam generator generates steam by heating and boiling supplied water. As the water is repeatedly boiled and cooled in the steam generator,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components such as calcium, bicarbonate, magnesium sulfate, etc. increases,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lifespan of a heater, which is a heating means due to scale, or a problem of forming a film on the surface of a metal water level sensor and causing a detection error. .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발생장치에 급수되는 물을 정수하거나 필터링(filtering)하기 위해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팀발생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filter unit to purify or filter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of the steam generator.

이러한 필터부를 스팀발생장치의 누적작동횟수나, 누적작동시간 등을 결과한 다음에는 교체가 요구되지만, 이러한 필터부를 사용자가 교체할 때 필터부 내에 남아있는 잔수에 의해 불편해하는 문제가 있다.The replacement of the filter unit is required after the cumulative operation count or accumulated operation time of the steam generator is determined, but when the user replaces the filter un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is uncomfortable due to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filter unit.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필요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a necessary technology for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KR 10-1291276 B1KR 10-1291276 B1 KR 10-1467775 B1KR 10-1467775 B1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처리실에 수용된 의류에 대해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해, 스팀 분사를 위한 스팀발생장치에 급수되는 물을 정수하거나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를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unit for purifying or filtering water supplied to a steam generator for steam spraying can be easily replaced without inconvenience by a user in order to treat various types of clothes stored in a laundry treatment room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is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배수로 상에 마련된 밸브와, 상기 배수로에 연결된 배수통과,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급수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급수를 위한 급수펌프와,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급수통과, 상기 급수로 상에 마련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필터부교체코스에 진입하는 (a) 단계, 및 상기 급수통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하고,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b)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배수통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스팀발생장치 사이의 상기 급수로 상에 위치한 상기 급수펌프는, 작동에 의해 상기 필터부의 잔수를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급수하여 상기 필터부의 잔수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room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supplied to the clothes treatment room, a valve provided on a drain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 water pump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a filter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ipe. In the control method, step (a) of entering a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and step (b) of operating the water pump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opening the valve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Including, but, the steam generator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drain, and the water supply pump located on the water supply path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steam generator, by operation, the remaining water of the filter unit to the Provided is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water is supplied to a steam generator to remove residual water from the filter unit.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a)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필터부교체코스에 진입하되, 상기 밸브는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step (a), the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is entered according to a user input, but the valve may be in a closed stat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필터부 내 잔수를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으로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인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t time may be a time required to withdraw residual water in the filter unit to the steam generator by operating the water pump.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고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고수위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b) may include detecting a high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eed water pump when the high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is detected. .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급수와 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되, 상기 급수로를 통한 급수량이 상기 배수로를 통한 배수량보다 더 많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steam generator, water is supplied and drained at the same time,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배수로 상에 마련된 보조물통과, 상기 보조물통과 상기 배수통 사이의 상기 배수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물통의 배수를 위한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보조물통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물통의 만수위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n auxiliary water container provided on a drainage passag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device, and a drain pump provided on the drainage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and the drainage passage to drain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Further, the step (b) includes detecting the full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water tank, and when the full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water tank is detecte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closing the valve, and closing the drain pump. It may include the step of operating.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는, 상기 배수통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수통의 만수위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배수통의 물비움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b) may include detecting the full water level of the drain contain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when the full water level of the drain container is detected, and emptying the drain container of water.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notifying.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는, 상기 배수통의 만수위가 미감지되었을 때, 상기 보조물통의 만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step (b), when the full water level of the drain bucket is not detected, the full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bucket may be dete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drain pump is operat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급수통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water bottle is separated or not may be further included before step (b).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fter the step (b),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and closing the valve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의 의류처리실에 수용된 의류에 대해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해, 스팀 분사를 위한 스팀발생장치에 급수되는 물을 정수하거나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를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unit for purifying or filtering water supplied to a steam generating device for steam spraying to perform various treatments on clothes accommodated in a laundry treatment room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out inconvenience to the user. can be easily repla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스팀분사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스팀분사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스팀분사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의해 산출된 제2 스팀분사시간에 따른 전체 스팀분사시간을 설명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단계별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lothes treatment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appearance of a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tting a second steam injection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process of setting a first steam injection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process of calculating a second steam injection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process for explaining the total steam injection time according to the second steam injection time calculated in FIG. 7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unit" and "unit" for the constituent elem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have a meaning or role distinc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의류처리장치clothes handl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실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laundry treatment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11)과,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 분리되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제습, 가열 또는 순환시켜, 의류에 잔류하는 먼지,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구비되는 기계실(2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undry treatment room 11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a laundry treatment room 11 separ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 It may include a machine room 20 equipped with various devices for dehumidifying, heating, or circulating the air inside to remove dust, odor, wrinkles, or moisture remaining in clothes.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은 하나의 캐비넷(10)에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의류처리실(11)의 전방에는 의류처리실(11) 개폐를 위한 도어(140)가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the machine room 2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provided in one cabinet 10, and a door ( 140) may be provided.

캐비넷(10)이나 도어(40)의 외면에는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요소의 작동상태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표시부 및/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An outer surface of the cabinet 10 or the door 40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 informing the operating state of each componen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to the outside and/or an input unit for receiving various operation inputs from a user. .

의류처리실(11)은 내부에 의류를 수용 또는 거치하기 위한 공간을 갖되,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의류처리실(11)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유입구(12a)과, 공기유입구(12a)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다시 의류처리실(11) 내부로 재공급하기 위한 공기토출구(12b)가 의류처리실(11)에 마련될 수 있다.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or holding clothes therein, and includes an air inlet 12a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is sucked in to circulate air inside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An air discharge port 12b for resupplying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12a back to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may be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

이때,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는 기계실(20)과 근접한 의류처리실(11)의 바닥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면은 의류처리실(11)과 기계실(20)을 구분하는 가로면으로서 반드시 수평의 편평한 형태만을 가리키진 않는다.At this time, the air inlet 12a and the air outlet 12b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djacent to the machine room 20 . Here, the floor surface is a horizontal plane that divides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the machine room 20, and does not necessarily indicate only a horizontal flat shape.

공기유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의 의류처리실(11) 내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2a)는 의류처리실(11)의 전방 도어(40)측에 위치할 수 있고, 공기배출구(12b)는 의류처리실(11)의 후방 배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positions of the air inlet 12a and the air outlet 12b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It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front door 40, and the air outlet 12b may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한편, 의류처리실(11) 내부,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의 내측 후면에는, 기계실(20) 내부에 마련된 스팀발생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부(13)가 위치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를 향하여, 일 예로 전방을 향하여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Meanwhile, a steam spraying unit 13 for spraying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100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20 is provided inside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specifically, at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When positioned, steam may be sprayed toward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for example, toward the front.

스팀발생장치(100)와 스팀분사부(13)는 호스나 덕트 따위로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장치(100)에 의해 발생된 스팀은 호스나 덕트를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스팀분사부(13)에 공급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100 and the steam spraying unit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hose or duct, and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ing unit 100 passes through a flow path formed along the hose or duct to the steam spraying unit 13. ) can be supplied.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스팀발생장치가 스팀을 발생할 수 있도록 스팀발생장치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급수통(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급수통(31)은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물채움알림시 급수통(31)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보충한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water supply container 31 accommodating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so that the steam generator can generate steam may be provided below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an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20 . At this time, the water tank 31 is implemented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clothes handling device 1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square box, and when a user informs the user of the water refill, the water tank 31 is detachable and detachable to replenish water, and then the casing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re-install it.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통(31)에서 스팀발생장치의 급수구(17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51)를 포함할 수 있고, 급수펌프(51)는 급수통(31)의 일면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water supply pump 51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to the water supply inlet 170 of the steam generator, and the water supply pump 51 may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through a water supply hos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ter tank 31.

이때, 급수통(31)에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미도시)는 급수통(31)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급수통(31) 내 물이 소정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저수위인 경우 외부로 물채움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s provided in the water tank 31, and the controller (not shown) uses the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 the water tank 31 to fill the water in the water tank 31 to a predetermined height or more. It is desirable to detect or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water level, and to output a water filling notification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level is low.

한편, 의류처리실(11)의 하부, 그리고 기계실(20)의 전방에는 상기 급수통(31) 이외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배수통(32)이 마련될 수 있다. 의류처리실(11) 내부나 기계실(20) 내부에 스팀공급 등으로 발생된 응축수를 보조물통(33)에 집수하고, 응축수를 보조물통(33)에 집수된 응축수는 배수펌프(52)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Meanwhile, in addition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a drain container 32 for collecting condensed water may be provided below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an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20. Condensate generated by supplying steam to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or machine room 20 is collected in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and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is drained by the drain pump 52. Can be directed to the barrel 32.

배수통(32)은 급수통(31)과 마찬가지로, 대략 사각의 상자형태로 의류처리장치(1)에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사용자가 응축수배출알림시 배수통(32)을 탈착 분리하여 물을 버린 후 케이싱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Like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the drain container 32 is implement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to be attachable to and detached from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so that the user can detach and detach the drain container 32 when the condensate discharge notification is receive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refit the casing after draining the water.

또한, 배수통(32) 역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어, 제어부는 배수통(32)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배수통(32) 내 물이 소정 높이 이상 채워져 있는지 여부나 배수통(32) 내 물이 만수위인지 여부를 감지 또는 판단하고, 고수위인 경우 외부로 물배출알림을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ain 32 is also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and the control unit uses the water level sensor provided in the drain 32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water in the drain 32 is fi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higher It is preferable to detect or determine whether the water in the barrel 32 is at a full water level, and to output a water discharge notification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level is high.

한편,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실(11)에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히트펌프장치(100)(또는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heat pump device 100 (or an ai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ir or heated air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may be included in the machine room 20 .

히트펌프장치(100)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히트펌프장치와 유사하게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 의류를 건조하거나 리프레쉬할 수 있다.The heat pump device 100 includes an evaporator, a condenser, a compressor, and a flow rate control valve, similar to a heat pump device used in an air conditioner, etc., to dehumidify and heat the air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so that the clothes are By re-supplying the clothes into the treatment room 11, the clothes in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may be dried or refreshed.

냉매가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유량조절밸브를 순환하고,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통과하여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는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 내부에서 인출된 공기 내 습기는 제거되고 가열될 수 있다. 이때, 공기가 히트펌프장치 내 열교환장치인 증발기 및 응축기를 통과하는 흐름을 갖도록 증발기 및 응축기의 전단 또는 후단, 즉 공기 흐름 기준으로 상류측단 또는 하류측단에는 팬이 마련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the evaporator, the condenser, the compressor, and the flow control valve, and the air drawn from the in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nd circulates along the circulation path supplied back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11) Moisture in the air drawn from the inside can be removed and heated. At this time, a fan may be provided at a front or rear end of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that is, at an upstream end or a downstream end based on air flow, so that air flows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which are heat exchange devices in the heat pump device.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실(11) 내의 공기는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 위치한 공기유입구(12a)를 통해 기계실(20) 내 덕트를 통해 공기유입구로 유입되고, 공기유입구(101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거쳐 공기배출구를 통해 다시 의류처리실(11)의 공기토출구(12b)로 배출되는 유로를 가지며, 이러한 공기유로 상에 마련된 팬의 구동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r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through the duct in the machine room 20 through the air inlet 12a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machine room 20,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01a. Air has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12b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rough the evaporator and the condenser, and an air flow can be formed by driving a fan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

상기 의류처리실(11)로부터 인출되어 다시 의류처리실(11)로 공급되는 공기 유로 상, 특히 의류처리실(11)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덕트 상에는 필터(미도시)가 적어도 하나가 마련되어, 의류처리실(11) 내 공기 중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기계실(20)로 유입되지 않도록 여과함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의류처리실(11)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filter (not shown) is provided on an air path drawn from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supplied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particularly on a duct flowing from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o the machine room 20. It is preferable to re-supply purified air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by filter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in the treatment chamber 11 so that they do not flow into the machine room 20 .

또한, 공기토출구(12b)의 전방에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루버(louver)가 마련되어, 송풍방향을 고정된 전면방향이나 상부방향으로 하거나 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송풍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a louve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air outlet 12b in which long and narrow plat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blowing direction is set to a fixed front or upper direction, or the angle of the plate is adjusted to adjust the blowing direction. can switch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계실(20) 내부에는 급수통(31)으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이용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200)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 steam generating device 200 generating steam us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chine room 20 .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실 내부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apparatus inside a machine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2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진 하우징과, 하우징 내 수용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steam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nd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can do.

가열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명령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물을 직·간접적으로 가열하여 기화시키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 예로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여 물을 가열하고, 기화된 스팀이 하우징의 상부로 상승하여 스팀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heating device is a means for directly or indirectly heating and vaporizing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It rises to the top of the steam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스팀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스팀이 호스나 덕트를 따라 스팀분사부(13)에 공급되어, 스팀분사부(13)가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에 스팀공급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하우징은 스팀토출구 이외에,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물을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멍으로서 배수구가 하우징의 하부, 구체적으로 저면 또는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The steam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outlet is supplied to the steam spraying unit 13 along the hose or duct, and the steam spraying unit 13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housing so that steam can be supplied to the clothes accommodated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Correspondingly, in addition to the steam discharge port, a drain hole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specifically, on the bottom surface or one side of the housing as a hole for discharg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to the outside.

또한, 하우징의 일 측에는 외부에서 급수된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가 마련될 수 있으며, 급수구를 통해 외부의 급수통(31)에 수용된 물이 급수펌프장치에 의해 가압되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supply port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lows i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31 from the outside may be pressurized by a water pump device an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there is.

미설명도면부호 194는 의류처리실(11)에서 기계실(20)의 히트펌프장치(100)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2a)에 마련되어 소정 크기의 슬릿 복수 개를 가진 전방그릴부재이고, 이에 상응하여 미설명도면부호 195는 의류처리실(11)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구(12b)에 마련되어 소정 크기의 슬릿 복수 개를 가진 후방그릴부재로서, 의류처리실(11) 및 히트펌프장치(100)로 유입되는 공기 내 이물질을 거를 수 있으며, 전방그릴부재(194) 및 후방그릴부재(195)는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교체나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ence numeral 194 is a front grill member provided at the air inlet 12a through which air flows from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to the heat pump device 100 of the machine room 20 and having a plurality of slits of a predetermined size, corresponding to this. Accordingly, reference numeral 195 is a rear grill member provided at the air outlet 12b for discharging air to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and having a plurality of slits of a predetermined size, and is provided to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and the heat pump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inflowing ai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grill member 194 and the rear grill member 195 be detachable as needed by the operator so that they can be replaced or cleaned.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급수로와 배수로에 마련된 구성요소들의 구성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component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line and the drain line of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스팀발생장치(200), 이에 연결된 급수로를 따라 마련된 급수통(31), 필터부(41) 및 급수펌프(51)를 포함할 수 있고, 또 스팀발생장치(200)에 연결된 배수로를 따라 마련된 밸브(60), 보조물통(33), 배수펌프(52) 및 배수통(32)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am generator 200, a water supply container 31 provided along a water supply path connected thereto, a filter unit 41, and water supply. It may include a pump 51, and may also include a valve 60, an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a drain pump 52, and a drain pipe 32 provided along a drain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

급수펌프(51)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고, 급수펌프(51)의 작동에 의해 급수통(31)에 수용된 물을 스팀발생장치(200)에 공급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ump 51 may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may supply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31 to the steam generator 200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51 .

이때,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되는 물을 이물질 따위를 거르기 위해 급수로 상에 필터부(41)가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lter unit 41 may be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lin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from th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

필터부(41)는 급수통(31) 내에 수용된 물을 정수하기 위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1)는 물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이온교환수지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4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used to purify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31, but the filter unit 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ion exchange resin filter that removes ionic substances from water. there is.

이온교환수지필터는 이온교환법에 의해 경도물질과 같은 금속성 이온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 미세한 알갱이 형상의 이온교환수지가 대량으로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이온성 물질이 함유된 물을 하우징 내로 계속 통과시켜 이온교환수지와 접촉시킴으로써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ion exchange resin filter is for removing metallic ionic substances such as hardness substances by an ion exchange method, and continues to flow water containing ionic substances into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a large amount of ion exchange resin in the form of fine granules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Ionic substances can be removed by passing through and contacting with an ion exchange resin.

이렇게 이온교환수지필터는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되는 물에 금속성 이온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200)에 스케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on exchange resin filter can prevent scale from being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200 by removing metallic ions from the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41)는 급수통(31)과 급수펌프(51)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필터부(41)는 임의로 교체할 수 있도록 장·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4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water tank 31 and the water pump 51, and the filter unit 41 will be implemented to be attachable and detachable so as to be arbitrarily replaced. can

구체적으로,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막대 형태의 필터부(41)는 일측 단부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필터손잡이(42)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필터손잡이(4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필터손잡이(42)를 파지하여 필터부(41)를 인출한 후 또 다른 필터부(41)를 동일 위치에 다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substantially rod-shaped filter unit 41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handle 42 that can be gripped by a user at one end, and the filter handle 42 is external to the outside. It is preferably arrang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filter handle 42 so that the user can pull out the filter unit 41 by holding the filter handle 42 as needed and then mount another filter unit 41 in the same position again.

스팀발생장치(200)에 연결된 배수로 상에는 밸브(60)가 마련될 수 있다.A valve 60 may be provided on a drainage channel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

밸브(60)는 스팀발생장치(200)의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로 상에 마련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로를 개폐할 수 있으며,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60)는 스팀발생장치(200)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고, 밸브(60)보다 더 낮은 위치에 보조물통(33) 및/또는 배수통(32)이 마련되어, 밸브(60)가 개방되면 스팀발생장치(200)에 저장된 물이 중력에 의해 보조물통(33) 및/또는 배수통(32)으로 유도될 수 있다.The valve 60 is provided on a drain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steam generator 200, and can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s shown in FIGS. 3 and 4,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60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team generator 200, and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and/or the drain container 32 are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valve 60, so that the valve 60 When is opened,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200 may be guided to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and/or the drain container 32 by gravity.

보조물통(33)은, 스팀발생장치(200)는 물론 열교환기(71)가 마련된 열교환기하우징(115) 내, 그리고/또는 의류처리실(11) 내 각종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고, 보조물통(33)에 집수된 응축수는 배수펌프(52)의 작동에 의해 배수통(32)으로 옮겨질 수 있다.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can collect not only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but also various condensed water in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in which the heat exchanger 71 is provided and/or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33) may be transferred to the drain pipe 32 by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52.

즉, 배수펌프(52)는 보조물통(33)과 배수통(32) 사이에 위치하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보조물통(33)에 수용된 물을 빼내어 배수통(32)에 공급할 수 있다.That is, the drain pump 52 is located between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and the drain container 32, and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extract the water contain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33 and supply the water to the drainage container 32. can

여기서, 보조물통(33)의 위치는,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팀발생장치(200) 및/또는 밸브(60)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예로, 기계실(20)의 바닥으로서 필터부(4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position of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team generator 200 and/or the valve 60. As a specific example, the machine room 20 ) as the bottom of the filter unit 41 may be located.

보조물통(33)이 기계실(20)의 바닥, 즉 의류처리장치(1)의 제일 낮은 높이에 위치함으로써, 의류처리실(11)은 물론, 스팀발생장치(200) 및 열교환기하우징(115) 등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Since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chine room 20, that is, at the lowest heigh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the laundry treatment chamber 11 as well as the steam generator 200 and the heat exchanger housing 115, etc. It can be located at a lower heigh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미도시)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의류처리코스를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의류처리코스에 따라 의류처리실(1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의류에 대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의류처리코스는 의류의 종류나 의류의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소정의 동작시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행정구간을 조합할 수 있다. 의류처리코스는 의류에 대한 각종 처리를 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가 운전하는 행정구간을 조합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의류처리코스'는 '운전코스'라는 용어와 혼용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various clothes treatment courses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control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according to the input clothes treatment courses. It is possible to process clothes in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At this time, the clothes treatment course may include the type of clothes or the number of clothes, and accordingly, at least one administrative section hav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may be combined. A clothes treatment course is a combination of administrative sections in which a clothes treatment device operates to perform various treatments on clothes.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clothes treatment course' will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driving course'.

여기서 의류의 종류는 면소재, 울소재, 레이온 소재, 실크 소재, 폴리에스테르 소재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Here, the type of clothing may be classified into cotton material, wool material, rayon material, silk material, polyester material, and the like.

또한, 행정구간은 의류처리실(11)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행정구간, 의류처리실(11)에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행정구간, 의류처리실(11)을 쿨링하거나 의류처리실(11) 내 수용된 의류에 진동을 부여하는 송풍행정구간, 의류처리실(11) 내 의류가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안정화행정구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ministrative sections include a steam administration section for spraying steam in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 drying treatment section for supplying hot air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cooling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or drying clothes accommodated in the clothes treatment room 11. It may include a blowing operation section for imparting vibrations, a stabilization operation section for keeping clothes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in a static state, and the like.

각 구간에서 동작의 일 예시를 살펴보면, 스팀행정구간에서는 제어부가 스팀발생장치를 구동하여 물을 가열하고 발생된 스팀을 스팀분사부(13)를 통해 의류처리실(11)로 분사할 수 있고, 건조행정구간에서는 제어부가 히트펌프장치(100) 및 팬을 구동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공기토출구(12b)로 공급할 수 있으며, 송풍행정구간에서는 제어부가 의류처리실(11)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팬 및/또는 의류처리실(11)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팬을 구동하되 가열되지 않은 공기를 의류처리실(11)로 공급하여 의류처리실(11) 내 온도(또는 의류의 온도)를 낮추거나, 의류처리실(11)에 수용된 의류에 진동을 부여할 수 있고, 안정화행정구간에서는 제어부가 의류처리실(11) 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의류를 정적인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Looking at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each section, in the steam stroke sectio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steam generating device to heat water and spray the generated steam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through the steam spraying unit 13, and drying In the stroke sectio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heat pump device 100 and the fan to heat the air and supply the heated air to the air outlet 12b. The temperature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or the temperature of clothes) is lowered by driving a fan and/or a lower fan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and supplying unheated air to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Vibration can be applied to the clothes accommodated in (11), and in the stabilization operation section, the control unit can maintain the clothes in a static state without generating air flow in the laundry treatment room 11.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clothes handling devi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 내 잔수를 배출하는 제어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6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in a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의류처리장치의 운전코스 시작(S140) 전에 밸브(60)를 개방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수통(32)로 유도하는 단계(S110 ~ S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pens the valve 60 before the operation cours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tarts (S140), and the steam generator 200 ) It may include steps (S110 to S130) of inducing the residual water in the drain container 32.

여기서, 배수통(32)은 내부에 응축수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배수통(32)에 한하지 않고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함체를 가진 보조물통(33)을 가리킬 수도 있다.Here, the drainage tube 3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for accommodating condensate therein, and may refer to an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having a housing for collecting condensate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rain tube 32.

또한, 밸브(60)는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일 예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valve 60 is a means for performing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may be, for example, a solenoid val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이나 다른 행정과 연속하여 운전코스를 시작할 수 있으며, 운전코스를 시작(S140) 또는 운전코스에 진입하기 이전에 밸브(60)를 기 설정된 시간, 즉 제1 설정시간 동안 개방(S110)한 다음 밸브(60)를 폐쇄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start the driving course continuously with user input or other strokes, and before starting the driving course (S140) or entering the driving course, the control unit may turn the valve 60 for a preset time, that is, After the valve 60 is closed after opening for the first set time (S110),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may be discharged and removed.

이에 따라, 제어부는 운전코스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행정구간에서 의류처리장치(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운전코스에 스팀행정구간을 포함하는 경우 미리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출하여 제거하였기 때문에, 운전코스에 따라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장치(200)는 항상 일정한 스팀발생량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 at least one administrative section along the driving course. At this time, when the driving course includes a steam operating section,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in advance Since residual water is discharged and removed, the steam generator 200 that generates steam according to the driving course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steam generation amount.

여기서, 제1 설정시간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스팀발생장치(200) 내 또는 스팀발생장치(200)의 배수로 상에 남아있는 잔수가 배수통(32)으로 배출되는데 걸리는 시간 이상, 일 예로 1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set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long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steam generator 200 or on the drain of the steam generator 200 to be discharged to the drain 32, for example, 1 minute. It is preferable to be more than

이후, 제어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코스 내 스팀행정구간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S150)할 수 있다.Th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a steam administration section is included in the driving course (S150).

만약 의류처리장치(1)의 운전코스 내 스팀행정구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는 해당 운전코스의 코스 종료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즉 제2 설정시간만큼 이전에 밸브(60)를 개방(S170 ~ S190)할 수 있다.If the operation course of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 includes a steam administration section, the control unit opens the valve 60 before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end of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urse, that is, a second set time (S170). ~ S190).

즉, 의류처리장치(1)가 스팀행정구간이 포함된 운전코스를 운전할 때, 스팀발생장치(200)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기화시켜 스팀을 발생할 수 있으며, 스팀발생장치(200)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모두 스팀으로 발생하지 않고 잔수가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는 운전코스를 종료하기 이전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밸브(60)를 개방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runs an operation course including a steam stroke section,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may generate steam by vaporizing water stored therein, and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may generate steam by vaporizing water stored therein. Since residual water may remain without generating all of the stored water into steam, the control unit opens the valve 60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ending the driving course to discharge and remov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can

이때, 운전코스 종료 전 기 설정된 시간은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출하여 제거만 하는 행정구간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운전코스 종료 전 기 설정된 시간이 스팀과 무관한 행정구간이라면, 해당 행정구간에서 제어부는 병렬적으로 또는 동시에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 배출하여 제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ime set before the end of the driving course may be an administrative section for only discharging and removing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but preferably, if the time set before the end of the driving course is an administrative section unrelated to steam, the corresponding stroke In the section,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 removal operation by discharging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in parallel or simultaneously.

여기서, 제2 설정시간은 그 길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스팀발생장치(200)가 스팀행정구간에서 운전을 한 이후 남은 잔수와, 스팀발생장치(200)의 배수로 상의 잔수 모두가 배수통(32)으로 배수되는데 걸리는 시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ength of the second set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after the steam generator 200 operates in the steam stroke section and the residual water on the drain of the steam generator 200 are both drained into the drain 32 ), which is preferably more than the time it takes to drain.

다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설정시간은 이전 운전코스의 종료 전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의 배출이 이미 이루어진 다음에 새로운 운전코스를 시작하기 이전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출하는 시간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설정시간은 상기 제2 설정시간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set time is set in the steam generator 200 before starting a new driving course after discharge of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has already occurred before the end of the previous driving course. Since it may be a time for discharging residual water, the first set time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second set tim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의류처리장치(1)가 설치되었을 때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1)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치검사코스를 따라 운전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s normally installed when it is installe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s installed in an installation inspection course by a user input. can drive along

이때,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설치검사코스 운전시, 밸브(60)를 개방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수통(32) 또는 보조물통(33)으로 유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open the valve 6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installation inspection course of the steam generator 200 to guide th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to the drain container 32 or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

의류처리장치(1) 제조시 의류처리장치(1)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운전할 수 있으며, 시험운전시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가 발생할 수 있다.When manufactur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 test run may be performed to check whethe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s normally operated, and residual water may be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200 during the test operation.

따라서, 의류처리장치(1)가 설치되었을 때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치검사코스를 따라 운전할 수 있으며, 이때 밸브(60)를 개방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is installed, it can be operated along the installation inspection course by a user input, and at this time, the remaining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can be discharged and removed by opening the valve 60 .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가 각종의 운전코스에 따라 운전을 시작할 때(S210), 제어부는 현재로부터 이전에 미리 카운팅된 스팀발생장치(200)의 누적작동횟수나 누적작동시간을 근거로 밸브(60)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즉 제3 설정시간(S240) 동안 개방(S230)하고, 폐쇄(S250)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whe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starts operating according to various driving courses (S210), the control unit counts in advance from now. The valve 60 may be opened (S230) and closed (S250) for a preset time, that is, for a third preset time (S240), based on the cumulative operating count or cumulative operating time of the steam generator 200. .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작동시 작동횟수나 작동시간을 누적적으로 카운팅하고 저장수단을 이용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umulatively count the number of operations or operation time of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and store them using a storage means.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이나 다른 행정과 연속하여 운전코스에 따라 운전을 시작할 때, 먼저 스팀발생장치(200)의 누적작동횟수나 누적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값 이상(S220)인지 판단하고, 만약 스팀발생장치(200)의 누적작동횟수나 누적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값 이상(S220)이라면, 밸브(60)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개폐(S230 ~ S250)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starts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urse continuously with user input or other strokes, it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cumulative operation number or accumulated operation time of the steam generator 200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S220), and if the steam generator ( 200), if the cumulative operation count or cumulative operation time is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S220), the valve 60 is opened and closed for a preset time (S230 to S250) to discharge and remov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can

즉, 의류처리장치(1)가 운전코스에 따른 최초 행정구간에 진입(S210)하기 전에 미리 밸브(60)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개방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출하여 제거할 수 있다.That is, by opening the valve 60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 enters the first stroke sec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course (S210),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can be discharged and removed. there is.

물론, 이와 다르게, 제어부가 미리 카운팅된 스팀발생장치(200)의 누적작동횟수나 누적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값 미만(S220)이면, 밸브(60)를 개폐시키지 않고 운전코스에 따라 운전하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해당 운전코스를 종료(S260)할 수 있다.Of course, differently from this, if the cumulative operation number or cumulative operation time of the steam generator 200 counted in adva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S220), each configuration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urse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6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lements and end the corresponding driving course (S260).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1)의 초기설치시, 의류처리장치(1)의 각종 운전코스 직후, 또는 의류처리장치(1)의 각종 운전코스 시작 전에, 밸브(60)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방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 또는 스팀발생장치(200)의 배수로 내의 잔수를 배출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배수통(32) 및/또는 보조물통(33)의 수위를 감지하거나, 배수로 상의 유량을 감지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200)의 배수 동작이 원활하게 정상 동작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on initial install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right after various operation course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r before starting various operation courses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valves By opening the 60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or in the drain of the steam generator 200,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can be solved. In addi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rainage operation of the steam generator 200 is smoothly and normally operated by detecting the water level in the drain container 32 and/or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or by detecting the flow rate on the drainage channel. .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급수통(31)에 저장된 물을 스팀발생장치(200)에 제공하기 위해, 제어부는 급수펌프(51)를 작동하여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provid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1 to the steam generator 200,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water pump 51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not shown). city) may be further included.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급수펌프(51)를 작동하여 급수통(31)에 수용된 물을 급수로를 따라 이에 연결된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할 때, 스팀발생장치(200)에 연결된 급수로 상에 마련된 필터부(41)를 거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whe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water supply pump 51 to supply w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31 to the steam generator 200 connected thereto along the water supply path, steam is generated. It is preferable to supply water through a filter unit 41 provided on a water supply path connected to the device 200 .

필터부(41)가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시 피능동형으로 물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스팀발생장치(200)에 정수된 물이 급수됨으로써, 스팀발생장치(200) 내 스케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filter unit 41 actively removes ionic substances from water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thereby reducing scale in the steam generator 200.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급배수유로를 플러싱하기 위한 제어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Meanwhile, FIG. 8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flushing a water supply and drainage passage of a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유로플러싱 운전코스에 진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의류처리장치(1)의 설치이후 설치검사코스 운전시, 설치검사코스에 따라 유로플러싱 운전코스에 진입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8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an enter a euro flushing operation course by a user input,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fter install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the controller can enter the euro flushing course. When driving the inspection course, it is possible to enter the euro flushing operation cours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inspection course.

유로플러싱 운전코스에 진입시, 제어부는 먼저, 급수펌프(51)를 작동(S320)하여 급수통(31)에 저장된 물을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할 수 있다.Upon entering the euro flushing operation course, the control unit first operates the water supply pump 51 (S320)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1 to the steam generator 200.

이때, 급수펌프(51)에 의해 급수되는 물은 급수통(31)에 저장된 것이되,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시 급수통(31)과 스팀발생장치(200) 사이, 또는 급수통(31)과 급수펌프(51) 사이에 필터부(41)에 의해 이온성 물질이 걸러진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supplied by the water pump 51 is stored in the water tank 31, an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it is between the water tank 31 and the steam generator 200, or the water tank ( 31) and the water pump 51, the ionic material may b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41.

이후, 제어부는 밸브(60)를 기 설정된 시간, 즉 제4 설정시간 동안 개방(S350, S360, S370)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가 배수통(32) 또는 보조물통(33)으로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발생장치(200)가 배수통(32) 또는 보조물통(33)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60) 개방만으로 자중에 의해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는 배수통(32) 또는 보조물통(33)으로 배수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opens the valve 60 for a preset time, that is, a fourth preset time (S350, S360, S370), so that the remaining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flows into the drain container 32 or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can be induced. That 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eam generator 200 is provid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drain container 32 or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th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caused by its own weight only by opening the valve 60. It may be drained into the drain container 32 or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여기서, 제4 설정시간은 스팀발생장치(200) 내 고수위까지 채워진 물이 배수로를 따라 배수통(32) 또는 보조물통(33)으로 모두 배출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Here, the fourth set time may be the time required until the water filled up to the high level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drain container 32 or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along the drainage channel.

이렇게 급수펌프(51)를 이용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로 급수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200)에 연결된 급수로를 플러싱(flushing)할 수 있고, 그 다음 스팀발생장치(200) 내 저장된 물을 밸브(60)를 개방하여 배수통(32) 또는 보조물통(33)으로 배수함으로써 스팀발생장치(200)에 연결된 배수로를 플러싱할 수 있다.In this way, by supplying water into the steam generator 200 using the water pump 51, the water supply path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can be flushed, and then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The drain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can be flushed by opening the 60 and draining the water to the drain trough 32 or the auxiliary trough 33.

다만, 플러싱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가 급수펌프(51)를 작동하여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를 할 때, 스팀발생장치(200) 내 고수위까지 급수(S331)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반대로 제어부가 밸브(60)를 개방하여 스팀발생장치(200)에 잔수를 배출할 때 스팀발생장치(200) 내 저수위 미만까지 배수(S371)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flushing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water supply pump 51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water is supplied to the high level in the steam generator 200 ( S331) may be performed, and conversely, when the control unit opens the valve 60 to discharge residual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drainage (S371) may be performed to less than the low water level in the steam generator 200. there is.

즉, 제어부는 유로플러싱 운전코스에 진입하여 급수펌프(51)를 작동(S320)한 다음,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 및 고수위가 감지되는지 판단(S331)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may enter the euro flushing operation course, operate the feed water pump 51 (S320), and then determine whether the low and high water lev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are detected (S33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200)는 하우징 내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 고수위와 저수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해 둘 이상의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water level sensor to detect the water level in the housing, and preferably two or more water level sensors to detect the high and low water levels in the housing, respectively. A water level sensor may be included.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하우징의 고수위에 위치한 제1 수위감지센서와 스팀발생장치(200)의 하우징의 저수위에 위치한 제2 수위감지센서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steam generator 200 by using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located at the high level of the housing of the steam generator 200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located at the low level of the housing of the steam generator 200, respectively. ) can judge my water level.

이에 따라, 제어부가 급수펌프(51)를 작동하여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S320), 제어부가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각각에서 물이 감지되는지 판단(S331 ~ S333)할 수 있고, 만약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모두에서 물이 감지(S331)되는 경우,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 내 급수가 고수위까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급수펌프(51)의 작동을 정지(S340)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operates the water pump 51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S320),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water is detected at each of the low and high water lev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S331). ~ S333), and if water is detected at both the low and high lev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S331),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water supply in the steam generator 200 has reached the high level, and the water pump ( 51) can be stopped (S340).

이와 달리,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중 저수위에서만 물이 감지(S332)되는 경우, 급수펌프(51)의 작동을 지속하여,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가 연속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Unlike this, the control unit continues to operate the water supply pump 51 when water is detected only at the low water level and the high water level among the low and high water lev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S332)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you can make it

또한, 이와 달리,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중 고수위에서만 물이 감지(S333)되는 경우, 저수위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았음에도 고수위에서 물이 감지되었기 때문에 둘 중 적어도 하나의 수위감지센서에 고장이 있음을 판단하여, 수위감시센서에 대한 고장알림(S334)을 출력하고, 급수펌프(51)의 작동을 정지함으로써, 유로플러싱 운전코스를 종료할 수 있다.Also, unlike this, when water is detected only at the high level among the low and high water lev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S333), since water is detected at the high level even though water is not detected at the low level, at least one of the two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has a failure, outputs a failure notification (S334) for the water level monitoring sensor,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51, thereby ending the flow path flushing operation course.

제어부가 급수펌프(51)를 작동하여 스팀발생장치(200)에 고수위까지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제어부는 급수펌프(51)의 작동을 정지(S34)할 수 있고, 이후 밸브(60)를 개방(S350)할 수 있다.After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feed water pump 51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to a high level, the control unit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feed water pump 51 (S34), and then turn the valve 60 on. It can be opened (S350).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 내 물이 모두 빠질때까지 밸브(60)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어부는 밸브(60)를 기 설정된 시간, 즉 제4 설정시간 동안 개방한 다음,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모두에서 물이 미감지(S371)되는 경우, 스팀발생장치(200) 내 배수가 저수위 미만까지 모두 이루어져 배수로 플러싱 행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밸브(60)를 폐쇄하고 유로플러싱 운전코스를 종료할 수 있다.Since it is preferable for the control unit to open the valve 60 until all the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drained, the control unit opens the valve 60 for a preset time, that is, a fourth set time, and then generates steam. When water is not detected at both the low and high water level of the device 200 (S371),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inage in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is all made below the low water level, and the drain flushing process is completed, and the valve 60 is closed. You can end the Euro Flushing driving course.

이와 달리,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중 고수위에서만 물이 미감지(S372)되는 경우, 배수로의 플러싱 행정이 계속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밸브(60)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Unlike thi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flushing process of the drain is continuing when no water is detected at only the high level among the low and high lev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S372), and the valve 60 maintains the open state. can do.

또한, 이와 달리,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중 저수위에서만 물이 미감지되는 경우, 고수위에서 물이 감지되었음에도 저수위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둘 중 적어도 하나의 수위감지센서에 고장이 있음을 판단하여, 수위감시센서에 대한 고장알림(S373)을 출력하고, 밸브(60)를 폐쇄하고 유로플러싱 운전코스를 종료할 수 있다.Also, unlike this, when water is not sensed only at the low level of the low level and the high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since water is not detected at the low level even though water is detected at the high level, the control unit detects at least one of the two water level sensors. Upon determining that there is a failure, a failure notification (S373) for the water level monitoring sensor is output, the valve 60 is closed, and the flow path flushing operation course can be end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유로플러싱 운전코스에 진입하여, 급수펌프(51)를 작동하여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하고자 할 때, 급수통(31)의 장착 여부나 급수통(31)의 수위를 감지(S311)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unit enters the euro flushing operation course and operates the water pump 51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00, whether or not the water tank 31 is installe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bottle 31 may be detected (S311).

급수통(31)은 소정 수위의 물이 채워져있는지 감지하기 위해 하나 또는 둘 이사의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급수통(31)의 수위가 소정 수위 이상으로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급수통(31)에 물을 채우도록 급수알림(S312)을 출력하고, 반복하여 급수통(31)의 장착 여부 및 급수통(31)의 수위를 감지(S311)할 수 있다.The water tank 31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water level sensors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water tank 31 is filled with water of a predetermined water level. It is possible to output a water supply notification (S312) to fill the water tank 31 with water, and repeatedly detect whether or not the water tank 31 is mounted and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ank 31 (S311).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의 급배수 유로를 플러싱하기 위한 제어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Meanwhile, FIG. 9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for flushing a water supply and drainage passage of a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유로플러싱 운전코스에 진입할 때, 스팀발생장치(200)가 기 설정된 미사용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S410)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has elapsed a preset unused time when entering the euro flushing operation course (S410). .

의류처리장치는 통상 여름에 운전 빈도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오랜시간 동안 운전하지 않으면 스팀발생장치(200) 내에는 각종의 원인으로 응축수가 발생하거나, 스팀 발생하고 남은 물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급수로 및 배수로를 플러싱하기 전에, 오랜 시간 저류되어 오염된 물을 먼저 배수하고 오염되지 않고 깨끗한 물로 유로를 플러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frequency of operation of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s usually very low in summer, if it is not operated for a long time, condensed water may be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200 for various reasons, or water remaining after steam is generated may remain. Before flushing the furnace and the drainage channel, it is preferable to first drain contaminated water that has been stored for a long time and flush the channel with uncontaminated and clean water.

따라서, 제어부는 현재로부터 이전에 미리 카운팅된 스팀발생장치(200)의 누적작동횟수나 누적작동시간을 근거로 스팀발생장치(200)의 미사용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만약 스팀발생장치(200)가 기 설정된 미사용시간을 경과하였다면,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를 배출하기 위해 밸브(60)를 기 설정된 시간, 즉 제5 설정시간 동안 개방(S425)하고, 폐쇄(S427)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non-use time of the steam generator 200 has elapsed based on the cumulative operation count or accumulated operation time of the steam generator 200 previously counted from the present, and if the steam generator 200 If the valve 200 has elapsed the preset non-use time, the valve 60 is opened (S425) and closed (S427) for a preset time, that is, a fifth preset time, to discharg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can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유로플러싱 운전코스에 진입할 때, 스팀발생장치(200)의 누적작동횟수나 누적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 판단하고, 만약 스팀발생장치(200)의 누적작동횟수나 누적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라면,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가 모두 빠질때까지 밸브(60)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제어부는 밸브(60)를 기 설정된 시간, 즉 제5 설정시간 동안 개방(S425)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entering the euro flushing operation cours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umulative operation count or accumulated operation time of the steam generator 200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and if the cumulative operation count or accumulated operation time of the steam generator 200 If the operating time is longer than the preset value, since it is preferable for the controller to open the valve 60 until all the remaining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drained, the controller opens the valve 60 for a preset time, that is, the fifth It can be opened (S425) for the set time.

먼저,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모두에서 물이 미감지(S421)되는 경우,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가 저수위 미만이기 때문에, 급수로 플러싱을 위해 급수펌프(51)를 작동(S440)할 수 있다.First, when water is not detected at both the low and high lev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S421), the control unit uses the water supply pump 51 for flushing as the feed water, since th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less than the low water level. can operate (S440).

이와 달리,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중 저수위에서만 물이 감지(S422)되는 경우, 스팀발생장치(200) 내 잔수가 있지만 그 양이 많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는 밸브(60)를 기 설정된 시간, 즉 제5 설정시간 동안 개방(S425 ~ S427)할 수 있다.In contrast, when water is detected only at the low level of the low water level and the high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S422),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stil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but the amount is not large,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alve ( 60) may be opened (S425 to S427) for a preset time, that is, a fifth preset time.

또한, 이와 달리,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모두에서 물이 미감지되지 않지만,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에서만 물이 미감지되는 경우,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중 고수위에서만 물이 감지(S423)되는지 판단할 수 있고,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중 고수위에서만 물이 감지되는 경우, 고수위에서 물이 감지되었음에도 저수위에서 물이 감지되지 않았기 때문에 둘 중 적어도 하나의 수위감지센서에 고장이 있음을 판단하여, 수위감시센서에 대한 고장알림(S424)을 출력하고, 유로플러싱 운전코스를 종료할 수 있다.Also, unlike this, when water is not sensed at both the low and high water lev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but water is not detected only at the low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the control unit detects water only at the low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water is detected only at the high level among the high level and the high level (S423).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two water level detection sensors has a failure, a failure notification (S424) for the water level monitoring sensor is output, and the euro flushing operation course can be ended.

또한, 이와 달리,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모두에서 물이 미감지되지 않지만,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에서만 물이 미감지되는 경우,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중 고수위에서만 물이 감지(S423)되는지 판단할 수 있고, 이때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중 고수위에서만 물이 미감지되는 경우 스팀발생장치(200)의 저수위와 고수위 모두에서 물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밸브(60)를 기 설저오딘 시간, 즉 제5 설정시간 동안 개방(S425 ~ S427)할 수 있다.Also, unlike this, when water is not sensed at both the low and high water lev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but water is not detected only at the low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the control unit detects water only at the low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water is detected (S423) only at the high level of the high level and the high level, and at this time, if water is not detected only at the high level of the low level and the high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both the low water level and the high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Determining that water is detected in , the valve 60 may be opened (S425 to S427) for a preset time, that is, a fifth set time.

여기서, 제5 설정시간은 스팀발생장치(200) 내 고수위까지 채워진 물이 배수로를 따라 배수통(32) 또는 보조물통(33)으로 모두 배출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거나, 스팀발생장치(200) 내 저수위까지 채우진 물이 배수로를 따라 배수통(32) 또는 보조물통(33)으로 모두 배출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Here, the fifth set time is the time required until the water filled up to the high level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drain trough 32 or the auxiliary water trough 33 along the drain, or the steam generator 200 It may be the time required until the water filled up to my low water level is discharged all along the drain into the drain trough 32 or the auxiliary trough 33.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급수로 및 배수로를 효과적으로 플러싱할 수 있으며, 스팀발생장치(200)가 오랜 시간 미사용되었을 때에는 스팀발생장치(200) 내 오염된 잔수를 배출하도록 전처리함으로써, 오염된 물로 스팀발생장치(200)의 급수로 및 배수로가 플러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an effectively flush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hann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and when the steam generator 200 is not used for a long time, contamination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prevented. By pre-processing the residual water to be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flushing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hannels of the steam generator 200 with contaminated water.

도 9의 도면부호 S431 이하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이에 상응하는 도 8의 도면부호 S311 이하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에 갈음하기로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each step below reference numeral S431 in FIG. 9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each step below reference numeral S311 of FIG. 8, it will be substituted therefor.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 교체시 제어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Meanwhile, FIG. 10 is a step-by-step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when replacing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필터부교체코스에 진입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하지 않고, 스팀발생장치(200)의 누적작동횟수나 누적작동시간을 근거로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필터부교체코스에 진입할 수 있으며, 이때 필터부교체알림을 외부에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enter a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by a user input.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f the cumulative operation count or cumulative operation time of the steam generator 2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may be entered, and at this time, a filter unit replacement notification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

필터부교체코스는 사용자가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는 필터부(41)를 교체하기 위한 운전코스로서, 사용자는 필터부(41)를 교체하기 전에 필터부교체코스를 입력하고 의류처리장치(1)가 필터부교체코스에 진입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is an operation course for the user to replace the filter unit 41 that purifies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and the user inputs the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before replacing the filter unit 41. and allow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to enter and operate the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필터부교체코스는 사용자가 필터부(41)를 교체하기 이전에 필터부(41) 내에 남아있는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가 한 번이라도 이루어졌다면 필터부(41) 내에는 잔수가 남아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교체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필터부교체코스에서 제어부는 필터부(41) 내 잔수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filter unit 41 may be removed before the user replaces the filter unit 41 . That is, if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even once, residual water remains in the filter unit 41, so in order to promote user replacement convenience, in the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lter unit 41 in the filter unit 41. It is desirable to remove residual water.

이에 따라, 필터부교체코스에 진입하였을 때, 제어부는 먼저 급수통(31)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밸브(60)의 상태는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entering the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the control unit can first determine whether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31 or not. At this time, the valve 60 may be in a closed state.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분리가능한 급수통(31)이 분리되었는지 판단(S511)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detachable water bottle 31 is separated (S511).

즉, 제어부는 급수통(31)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고, 급수통(31)이 감지되어 장착된 상태로 판단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급수통(31)을 분리하도록 급수통분리알림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S512).That is, the control unit detects whether or not the water bottle 31 is separat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bottle 31 is detected and mounted, it outputs a water bottle separation notification to the outside to allow the user to separate the water bottle 31. It can be done (S512).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급수통(31) 내 수용된 물이 없거나, 급수통(31) 내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지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가 급수통(31) 내 수용된 물이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급수통을 비우도록 급수통물비움알림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detect whether there is no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bottle 31 or whether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bottle 31 is less than the low water level, and the control unit may detect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bottle 3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tank is empty, the water tank empty notification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to allow the user to empty the water tank.

이후,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즉 기 설정된 제6 설정시간 동안(S2550) 급수펌프(51)를 작동하여,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이때 밸브(60)도 개방할 수 있다(S520).Thereafter,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water supply pump 51 for a preset time, that is, for a preset sixth preset time (S2550),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but at this time, the valve 60 is also opened. It can (S520).

여기서, 상기 제6 설정시간은 필터부(41) 내 물이 가득 채워져 있을 때, 급수펌프(51)의 작동으로 필터부(41) 내 물을 모두 스팀발생장치(200)로 인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Here, the sixth set time is the time required to withdraw all the water in the filter unit 41 to the steam generator 200 by the operation of the feed water pump 51 when the filter unit 41 is filled with water. it could be time

급수통(31)이 분리된 상태에서 급수펌프(51)가 작동하기 때문에, 필터부(41)와 스팀발생장치(200) 사이의 급수로 상에 위치한 급수펌프(51)가 작동함으로써, 급수펌프(51)에 의해 필터부(41) 내 잔수는 인출되어 제거되고, 필터부(41) 내 잔수는 스팀발생장치(200)로 유입될 수 있다.Since the water pump 51 operates while the water tank 31 is separated, the water pump 51 located on the water supply path between the filter unit 41 and the steam generator 200 operates, thereby operating the water pump. Residual water in the filter unit 41 is withdrawn and removed by operation 51, and the residual water in the filter unit 41 may flow into the steam generator 200.

급수펌프(51)의 작동과 함께, 밸브(60)를 개방하였기 때문에,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에 연결된 급수로와 배수로를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필터부(41) 내 잔수가 스팀발생장치(200)로 급수될 수 있다.Since the valve 60 is opened along with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51, the control unit opens both the water supply line and the drain lin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so that the residual water in the filter unit 41 is steam generator 200. (200).

이때,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고수위의 감지여부를 판단(S531)하고, 만약 스팀발생장치(200)의 수위가 고수위가 되면, 급수펌프(51)의 작동을 정지(S532)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high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is detected (S531), and if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is high, stop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51 (S532). there is.

급수펌프(51)의 작동으로 스팀발생장치(200)에 급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스팀발생장치(200)의 배수구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나, 스팀발생장치(200)의 급수로를 통한 단위시간당 급수량이 스팀발생장치(200)의 배수로를 통한 단위시간당 배수량보다 더 많을 수 있기 때문에, 스팀발생장치(200)의 수위가 고수위가 되면, 급수펌프(51)의 작동을 정지(S532)하여, 스팀발생장치(200) 내 수용된 물이 급수구를 통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00 by the operation of the feed water pump 51 and drained through the drain of the steam generator 200 at the same time, bu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per unit time through the water supply line of the steam generator 200 Since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per unit time through the drain of the steam generator 200 may be greater,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00 becomes high,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51 is stopped (S532), and the steam generator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water contained in 200 from flowing back through the water inlet.

스팀발생장치(200)에서 급수와 배수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는 스팀발생장치(200)의 수위가 고수위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보조물통(33)이 만수위인지 판단(S541)할 수 있다.Since water is supplied and drained together in the steam generator 200,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the auxiliary water tank 33 is full when determining that the water level in the steam generator 200 is not high (S541).

스팀발생장치(200)의 배수로에는, 스팀발생장치(200)에서 밸브(60)와 보조물통(33)이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보조물통(33)이 만수위인 경우, 스팀발생장치(200)는 내부에 수용된 물을 보조물통(33)으로 더 이상 배수하지 않도록 밸브(60)를 폐쇄(S542)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스팀발생장치(200)에도 더 이상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급수펌프(51)의 작동을 정지(S542)할 수 있다.Since the valve 60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33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steam generator 200, when the auxiliary water tank 33 is full, the steam generator 200 ) may close (S542) the valve 60 so that the water contained therein is no longer drained to the auxiliary water tank 33,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supply pump ( 51) can be stopped (S542).

또한, 이와 동시에 보조물통(33) 내에 수용된 물을 배수통(32)으로 빼내기 위해, 제어부는 배수펌프(52)를 작동(S542)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same time,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drain pump 52 (S542) to dra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to the drain container 32.

다만, 연쇄적으로 보조물통(33)에 연결된 배수통(32)의 수위가 만수위일 수 있으며, 제어부가 배수통(32)의 수위를 감지(S543)하여, 배수통(32)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 배수통(32) 뿐 아니라 보조물통(33) 역시 만수위이기 때문에, 배수펌프(52)의 작동을 정지(S544)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배수통(32)을 비우도록 배수통비움알림을 외부로 출력(S545)할 수 있다.However, the water level of the drain container 32 connected to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in chain may be the full water level, 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water level of the drain container 32 (S543)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drain container 32 is the full water level. In this case, since not only the drain container 32 but also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33 is at a full water level,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52 is stopped (S544), and the drain container empty notification is sent to the user to empty the drain container 32. It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S545).

만약, 배수통(32)의 수위가 만수위가 아니어서 배수통의 만수위가 미감지되었을 때, 제어부는 밸브(60)가 개방된 상태에서 급수펌프(51)의 작동을 지속하도록 유지하되, 보조물통(33)의 수위가 만수위인지 계속 감지하여, 배수펌프(52)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f the water level in the drain trough 32 is not the full water level and the full water level in the drain trough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maintain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51 while the valve 60 is open, but maintains the auxiliary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rainage pump 52 is operated by continuously detecting whether the water level in 33 is full.

한편, 제어부는 필터부교체코스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밸브(60)를 개방한 상태에서 급수펌프(51)를 작동함으로써, 필터부(41) 내 잔수를 스팀발생장치(200)로 급수하여 제거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내부에 잔수가 제거왼 필터부(41)를 교체하도록 필터부교체알림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removes residual water in the filter unit 41 by feeding it to the steam generator 200 by operating the water supply pump 51 with the valve 60 open for a preset time in the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 A filter unit replacement notification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replace the filter unit 41 from which residual water has been removed inside.

물론, 급수펌프(51)를 작동하여 필터부(41) 내 잔수를 제거한 다음, 제어부는 급수펌프(51)의 작동을 정지하고, 밸브(60)를 폐쇄하여, 필터부교체코스 이전의 상태로 원복할 수 있다.Of course, after removing residual water in the filter part 41 by operating the water supply pump 51,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51, closes the valve 60, and returns to the state prior to the filter part replacement course. can be revers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넷
11: 의류처리실 11a: 이너케이스
12a: 공기유입구 12b: 공기토출구
13: 배면공기토출구 15a: 상부공기유입구
15b: 상부공기토출구 20: 기계실
30, 30a: 물통안착부 31: 급수통
32: 배수통 33: 보조물통
40: 도어 41: 필터부
42: 필터손잡이 51: 급수펌프
52: 배수펌프 60: 밸브
71: 열교환기 100: 히트펌프장치
115: 열교환기하우징 140: 유량조절밸브
151: 흡입덕트 194: 전방그릴부재
195: 후방그릴부재 200: 스팀발생장치
1: clothes handling device 10: cabinet
11: clothing processing room 11a: inner case
12a: air inlet 12b: air outlet
13: rear air outlet 15a: upper air inlet
15b: upper air outlet 20: machine room
30, 30a: water bottle seating part 31: water bottle
32: drain 33: auxiliary bucket
40: door 41: filter unit
42: filter handle 51: water pump
52: drain pump 60: valve
71: heat exchanger 100: heat pump device
115: heat exchanger housing 140: flow control valve
151: suction duct 194: front grill member
195: rear grill member 200: steam generator

Claims (10)

의류가 수용되는 의류처리실과, 상기 의류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배수로 상에 마련된 밸브와, 상기 배수로에 연결된 배수통과,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급수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급수를 위한 급수펌프와,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급수통과, 상기 급수로 상에 마련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필터부교체코스에 진입하는 (a) 단계; 및
상기 급수통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하고, 상기 밸브를 개방하는 (b)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상기 배수통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필터부와 상기 스팀발생장치 사이의 상기 급수로 상에 위치한 상기 급수펌프는, 작동에 의해 상기 필터부의 잔수를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급수하여 상기 필터부의 잔수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clothes treatment room accommodating clothes, 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supplied to the clothes treatment room, a valve provided on a drain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and a drain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 control method for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supply pump provided on a water supply line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a filter unit provided on the water supply path,
Step (a) of entering a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and
(b) operating the water supply pump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opening the valve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not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Including,
The steam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drain container,
The water supply pump located on the water supply path between the filter unit and the steam generator supplies residual water from the filter unit to the steam generator by operation, thereby removing the remaining water from the filter unit. contro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필터부교체코스에 진입하되, 상기 밸브는 폐쇄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a),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unit replacement course is entered according to a user input, but the valve is in a close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필터부 내 잔수를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으로 상기 스팀발생장치로 인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predetermined time period is a time required to withdraw residual water in the filter unit to the steam generator by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고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스팀발생장치가 고수위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b),
detecting a high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eed water pump when the steam generator detects a high level;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급수와 배수가 동시에 이루어지되, 상기 급수로를 통한 급수량이 상기 배수로를 통한 배수량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steam generator supplies and drains water at the same time, an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연결된 배수로 상에 마련된 보조물통과, 상기 보조물통과 상기 배수통 사이의 상기 배수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보조물통의 배수를 위한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보조물통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물통의 만수위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4,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water container provided on a drainage passag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ing device, and a drainage pump provided on the drainage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and the drainage passage to drain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In step (b),
detecting a full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ump, closing the valve, and operating the drain pump when the full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water tank is sensed;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배수통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수통의 만수위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배수통의 물비움을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6,
In step (b),
Detecting a full water level in the drain containe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ain pump when the full water level of the drain container is sensed; and
Notifying the emptying of the drain container;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배수통의 만수위가 미감지되었을 때, 상기 보조물통의 만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7,
In step (b),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rainage pump is operated by detecting the full water level of the auxiliary water container when the full water level of the drain container is not sen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상기 급수통의 분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Before step (b),
detecting whether the water bottle is separated;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step (b),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and closing the valve;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KR1020210053537A 2021-04-26 2021-04-26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KR1025254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37A KR102525465B1 (en) 2021-04-26 2021-04-26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537A KR102525465B1 (en) 2021-04-26 2021-04-26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10A KR20220146810A (en) 2022-11-02
KR102525465B1 true KR102525465B1 (en) 2023-04-24

Family

ID=8404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537A KR102525465B1 (en) 2021-04-26 2021-04-26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465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276B1 (en) 2007-03-05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366265B1 (en) * 2007-08-03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430478B1 (en) * 2008-04-01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467775B1 (en) 2008-04-01 201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578442B1 (en) * 2016-11-24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367886B1 (en) * 2017-04-14 2022-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810A (en)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773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185766B1 (en) Controlling method of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467776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8418509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EP202732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dryer
US823061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435810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40095741A (en) Laundry Machine
KR101430478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1967640B1 (en) Fabric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2213781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52546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KR100964692B1 (en) Landa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220146809A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KR20080107787A (en) Landa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220147170A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KR101467775B1 (en) Control method of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30459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090083325A (en) Landa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080107788A (en) Landa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2483448B1 (en) Apparatus for laundary treatment
KR102505495B1 (en)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10251342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ment
KR102450230B1 (en) Apparatus for laundary treatment
KR102464964B1 (en) Apparatus for laundary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