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153B1 - A Survey Mark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A Survey Mark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153B1
KR102521153B1 KR1020220058084A KR20220058084A KR102521153B1 KR 102521153 B1 KR102521153 B1 KR 102521153B1 KR 1020220058084 A KR1020220058084 A KR 1020220058084A KR 20220058084 A KR20220058084 A KR 20220058084A KR 102521153 B1 KR102521153 B1 KR 10252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heat dissipation
survey
ben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0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창희
Original Assignee
조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희 filed Critical 조창희
Priority to KR102022005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1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718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marker information in cadastral survey and a method therefor. A magnetic marker having over certain magnetic force in a survey standard-point marker being a standard of the cadastral survey is included. A QR code which can read a marker serial number and location information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rvey standard-point marker. Accordingly, if a user who makes a survey recognizes the QR code using a smartphone, the smartphone transm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QR code information, using a GPS function, to a cadastral survey display information managing server. The cadastral survey display information managing server brings registered cadastral survey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a cadastral survey display management-register database, compares the same with the cadastral survey displa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information, and provides a comparison result to the smartphone, so that the user who makes the survey can confirm whether the survey standard-point marker is installed in an originally registered place, or is installed by being moved from the original place.

Description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A Survey Mark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 Survey Mark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지적측량 표지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지적 측량에 기준이 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일정 이상의 자기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Magnetic Marker)를 구비하고,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상면에 표지기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QR 코드를 부착하여, 측량하는 사람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면, 스마트폰이 GPS 기능으로 현재 위치 정보와 QR 코드 정보를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가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 지적측량 표지정보를 가져와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지적측량 표지정보와 비교해 그 결과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측량하는 사람이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원래 등록된 제자리에 설치되었는지, 원래의 자리로부터 이동되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anaging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that is a standard for cadastral survey, having a magnetic marker having a certain or more magnetic force, By attaching a QR code that can read the unique number of the marker and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surveyor recognizes the QR code using a smartphone, the smartphone manag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QR code information for cadastral survey marker information using the GPS function server, and the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retrieves the registered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adastral survey mark management ledger database and compares the result with the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information to a smartphone By providing, it relates to a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a surveyor to confirm whether a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is installed in the original registered position or is moved and install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일반적으로 지적 측량 또는 토목 측량과 같은 측량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 정확한 측량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작업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기준점을 지표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통상 일정한 표지물을 지중에 매설하여 두고 이를 이용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준점 표지물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에는 주로 석재 기둥의 형태를 갖는 표석을 지중에 매립 설치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합성 수지제로 된 표지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performing surveying work such as cadastral surveying or civil surveying, in order to obtain accurate surveying results, a reference point serving as a standard for the work is required. In order to mark these reference points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 certain marker is usually buried in the ground and surveying is performed using it. Conventionally, various types of reference point markers have been used, and in the past, markers having the shape of stone pillars were mainly buried and installed in the ground, but recently, markers made of synthetic resin are mainly used.

또한, 종래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 관리에 있어서는 지상에 매립 설치된 도근점과 같은 측량기준점에 대하여 토탈 스테이션(광파 데오도라이트)과 같은 측량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점의 좌표를 산출한 다음, 측정점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종이 도면 상에 수기로 표기하거나 혹은 스케치 방식에 의하여 측정점에 대한 개요도를 작성하고 위치점에 대한 안내 사항을 수기로 표시하고 있었으며, 이렇게 취득된 자료를 별도의 종합적인 대장을 통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었다.In addition, in the management of survey marks using conventional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s, the coordinates of the measurement point are calculated using surveying equipment such as a total station (light wave theodolite) for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such as a ground-mounted guide point, and then the measurement point In order to manage the data, a schematic diagram of the measuring points was drawn up by handwriting on the existing general paper drawing or by a sketch method, and guidanc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points was handwritten. It was a situation that was managed through .

그러나, 종래의 측량 표지 관리 방식의 경우, 본격적인 측량 작업에 앞서 표지점의 위치 확인을 하고자 함에 있어 주변 지역의 지형 지물이나 지명, 기타 제반 상황을 참조로 하여 표지점의 위치를 육안에 의해 개략적으로 추적한 다음 그 확인은 별도의 대장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주로 인력에 의해 표지점의 검색 및 확인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있어 신뢰도 면에서 문제가 있었으며, 그 과정이 번거로우므로 표지점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작업 효율성도 매우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urvey mark management method, in order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mark point prior to the full-scale surveying work, the position of the mark point is roughly visualized with reference to the geographical features, geographical names, and other situations in the surrounding area. After tracking, the confirmation was made by a separate ledger. In the case of this method, since the search and confirmation of marker points are mainly performed by manpower, there is room for error due to operator error, which has a problem in terms of reliability. Since the process is cumbersome, it takes time As a result, the work efficiency was also greatly reduced.

그리고, 지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기준점이 유실 또는 훼손되었을 경우, 해당 기준점이 설치되어 있던 지점을 찾기가 어려워 재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기준점이 눈이나 낙엽 등에 의해 가려졌을 경우에는 해당 기준점을 육안으로 찾기가 어려웠으며, 찾더라도 원래 등록대장에 기재되어 있는 지점인지 누군가에 의해 이동된 것인지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reference point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is lost or damage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point where the reference point was installed, and it is inconvenient to reinstall it. It was difficult to find, and even if it was found, there was a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tell whether it was the point originally listed in the register or moved by someone.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000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116587호(공개일: 2005년12월13일)(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116587 (published on December 13, 2005)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적 측량에 기준이 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일정 이상의 자기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를 구비하고,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상면에 표지기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QR 코드를 부착하여, 측량하는 사람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면, 스마트폰이 GPS 기능으로 현재 위치 정보와 QR 코드 정보를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가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 지적측량 표지정보를 가져와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지적측량 표지정보와 비교해 그 결과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측량하는 사람이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원래 등록된 제자리에 설치되었는지, 원래의 자리로부터 이동되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agnetic marker having a certain or more magnetic force to a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which is a standard for cadastral survey, and to read the marker identification number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By attaching a QR code, when a surveyor recognizes the QR code using a smartphone, the smartphone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QR code information to the cadastral survey cov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using the GPS function, and manages the cadastral survey cover information The server brings the registered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adastral survey mark management ledger database, compares it with the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result to a smartphone, so that the surveyor can use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confirm whether a flag is installed in its original registered location or moved and installed from its original lo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측량 기준 정보가 일정 형태의 코드로 표기되어 있는 QR 코드와, 자기 탐지기로 탐지하기 위한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가진 자기 마커(Magnetic Marker)를 구비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와;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구비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측량표지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측량표지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상기 QR 코드정보에 포함된 측량 기준 정보와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근거해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측량표지 관리서버; 및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되게 등록된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는 방열기능을 위해 방열부(1000)와, 공기 인입부(20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 인입부는 공기 통과용 홀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 통과용 홀은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다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QR code in which measurement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unique number of a point installed in the ground is marked with a code of a certain form, and a magnetic marker with a magnetic force of a certain strength or more to be detected by a magnetic detector A survey reference point indicator having a; The QR code information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QR code provided in the survey datum marker is transmitted to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egistration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survey datum marker corresponding to the QR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indicator is installed in a normal position; When receiving the QR cod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gistered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corresponding to the QR code information is brought from the survey information database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r the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information a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that compares the registered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with the survey result and provides the user terminal with whether or not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is installed in a normal position; And a survey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measurement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marker registered to correspond to the QR code information, and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heat dissipation unit 1000 for a heat dissipation function, an air intake unit ( 2000); The air intake part is formed by further forming an air passage hole, and the air passag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in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또한, 상기 방열부는 전면부 방열패널과, 후면부 방열패널과, 공기 임시저장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부의 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부와과, 제 1 경사부와, 제 2 경사부와,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와, 제 3 절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수직부는 전면부 방열패널의 1/5지점까지 수직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1 경사부는 제 1 수직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우측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경사부는 제 1 경사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좌측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절곡부는 제 1 수직부와 제 1 경사부 사이에 존재하며 전면부 방열패널의 1/5지점에 위치되고 제 1 수직부와 제 1 경사부가 135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절곡부는 제 1 경사부와 제 2 경사부 사이에 존재하며 전면부 방열패널의 3/5 지점에 위치되고 제 1 경사부와 제 2 경사부가 서로 90도 직각으로 꺽이는 지점에 위치되고, 제 3 절곡부는방열부와 공기 인입부 사이에 존재하며 상호 90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되며, 상기 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선과, 제 1 경사선과, 제 2 경사선과, 제 1 절곡선과, 제 2 절곡선, 제 1 마감선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수직선은 후면부 방열패널의 1/5 지점까지 수직하게 배열하되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1 수직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경사선은 제 1 수직선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하되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1 경사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경사선은 제 1 경사선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좌측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하되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2 경사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절곡선은 제 1 수직선과 제 1 경사선 사이에 존재하며 후면부 방열패널의 1/5 지점에 위치되고 제 1 수직선과 제 1 경사선이 135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하되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1 절곡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절곡선은 제 1 경사선과 제 2 경사선 사이에 존재하며 후면부 방열패널의 3/5지점에 위치되고 제 1 경사선과 제 2 경사선이 서로 90도 직각으로 꺽이는 지점에 위치하되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2 절곡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마감선은 제 2 경사선의 하부 끝단부에 위치되며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3 절곡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공기 인입부는 제 3 경사부와, 제 4 경사부와, 제 2 수직부와, 제 4 절곡부와, 제 5 절곡부로 구성하되; 상기 제 3 경사부는 방열부의 제 2 경사부에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90도 꺽어진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4 경사부는 제 3 경사부와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가상의 수평라인으로부터 좌측 하부방향으로 45도 꺽어진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수직부는 제 4 경사부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하부 끝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제 4 절곡부는 제 3 경사부와 제 4 경사부 사이에 위치되며 제 3 경사부와 제 4 경사부가 90도로 꺽이는 지점에 위치되며, 상기 제 5 절곡부는 제 4 경사부는 제 2 수직부 사이에 위치되며 제 4 경사부와 제 2 수직부가 135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composed of a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rear heat dissipation panel, and a temporary air storage space;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a first inclined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a second bent portion, and a third bent portion; The first vertical portion is vertically arranged up to a point of 1/5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tilts downward to the right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a virtual horizontal line. Arranged in the form of a photograph, the second inclined par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part and is arranged in a form inclined in a lower left direction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a virtual horizontal line, and the first bent part I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part and the first inclined part and is located at a point 1/5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nd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first vertical part and the first inclined part are bent at 135 degrees, and the second bent part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first inclined part and the first inclined part are bent. 2 It exists between the inclined parts and is located at the 3/5 point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the first inclined part and the second inclined part are located at a point where each other is bent at a right angle of 90 degrees, and the third bent part is located between the heat radiating part and the air inlet part and is located at a point where each is bent by 90 degrees, and th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is composed of a first vertical line, a first slanting line, a second slanting line, a first bending line, a second bending line, and a first finishing line; The first vertical line is vertically arranged up to a point of 1/5 of the rear heat radiating panel, bu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vertical part of the front heat radiating panel, and the first inclined lin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line. It is arranged in a form inclined to the right at 45 degrees based on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bu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inclined part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nd the second inclined line is integrated with the first inclined line. It is connected to and arranged in a form inclined in the lower left direction at an angle of 45 degrees based on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but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inclined part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nd the first bending line is 1 It exists between the vertical line and the first inclined line and is located at the 1/5 point of the rear heat radiation panel, and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vertical line and the first inclined line are bent at 135 degrees, bu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bent part of the front heat radiation panel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the second bending line exists between the first inclined line and the second inclined line and is located at the 3/5 point of th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and the first inclined line and the second inclined lin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90 degrees. It is located at the bending point, bu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cond bent part of the front heat radiating panel, and the first finishing line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line and is located on the third bent part of the front heat radiating panel.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the air inlet portion is composed of a third inclined portion, a fourth inclined portion, a second vertical portion, a fourth bent portion, and a fifth bent portion; The third inclined par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clined part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but is arranged in a 90 degree bent shape, and the fourth inclined par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third inclined part bu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third inclined part at an angle of 45 degrees in a lower left direction from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Arranged in a bent shape, the second vertical par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ourth inclined part and is arranged at the lower end, the fourth bent part is located between the third inclined part and the fourth inclined part, and the third inclined part The fifth bent part is located between the fourth inclined part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and the fourth inclined part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are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fourth inclined part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are bent at 135 degrees. .

또한, 상기 방열부(1000)의 후면부 방열패널(b)을 1개조 구비하여 접합하도록하되, 하나의 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선(1000g)과, 제 1 경사선(1000h)과, 제 2 경사선(1000i)과, 제 1 절곡선(1000j)과, 제 2 절곡선(1000k)과, 제 1 마감선(1000m)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선(1000g-1)과, 제 1 경사선(1000h-1)과, 제 2 경사선(1000i-1)과, 제 1 절곡선(1000j-1)과, 제 2 절곡선(1000k-1)과, 제 1 마감선(1000m-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 수직선(1000g)은 다른 제 1 수직선(1000g-1)과 접합하고, 제 1 경사선(1000h)은 다른 제 1 경사선(1000h-1)과 접합하며, 제 2 경사선(1000i)은 다른 제 2 경사선(1000i-1)과 접합하고, 제 1 절곡선(1000j)은 다른 제 1 절곡선(1000j-1)과 접합하며, 제 2 절곡선(1000k)은 다른 제 2 절곡선(1000k-1)과 접합하고, 제 1 마감선(1000m)은 다른 제 1 마감선(1000m-1)과 접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on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b)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1000 is provided and bonded, but on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has a first vertical line 1000g, a first oblique line 1000h, and a second It consists of an inclined line (1000i), a first bending line (1000j), a second bending line (1000k), and a first finishing line (1000m), and the other rear heat dissipation panel has a first vertical line (1000g-1). ), the first oblique line 1000h-1, the second oblique line 1000i-1, the first bending line 1000j-1, the second bending line 1000k-1, and the first finish The first vertical line 1000g is joined to another first vertical line 1000g-1, and the first slanted line 1000h is joined to another first slanted line 1000h-1. The second slanting line 1000i joins another second slanting line 1000i-1, the first bending line 1000j joins the other first bending line 1000j-1, and the second bending line 1000j joins (1000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bonding with another second bending line (1000k-1), and the first finishing line (1000m) is joined with another first finishing line (1000m-1).

또한, 상기 방열부(1000)의 전면부 방열패널은 2분할하여 이루어지되, 하나의 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부(1000a)와, 제 1 경사부(1000b)와, 제 2 경사부(1000c)와, 제 1 절곡부(1000d)와, 제 2 절곡부(1000e)와, 제 3 절곡부(1000f)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부(1000a-1)와, 제 1 경사부(1000b-1)와, 제 2 경사부(1000c-1)와, 제 1 절곡부(1000d-1)와, 제 2 절곡부(1000e-1)와, 제 3 절곡부(1000f-1)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1개조(1000, 1000-1) 각각 구비하여 제 1 수직부(1000a)는 다른 제 1 수직부(1000a-1)와 접합하고, 제 1 경사부(1000b)는 다른 제 1 경사부(1000b-1)와 접합하며, 제 2 경사부(1000c)는 다른 제 2 경사부(1000c-1)와 접합하고, 제 1 절곡부(1000d)는 다른 제 1 절곡부(1000d-1)와 접합하며, 제 2 절곡부(1000e)는 다른 제 2 절곡부(1000e-1)와 접합하고, 제 3 절곡부(1000f)는 다른 제 3 절곡부(1000f-1)와 접합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of the heat dissipation part 1000 is made by dividing it into two, and on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has a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a first inclined portion 1000b,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 1000c), a first bent portion 1000d, a second bent portion 1000e, and a third bent portion 1000f, and the other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has a first vertical portion 1000a-1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1000b-1,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000c-1, the first bent portion 1000d-1, the second bent portion 1000e-1, and the third bent portion (1000f-1),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one set (1000, 1000-1) so that the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is joined to the other first vertical portion (1000a-1),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1000b) ) is joined to another first inclined portion 1000b-1,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000c is joined to another second inclined portion 1000c-1, and the first bent portion 1000d is joined to another first bent portion 1000d. The second bent part 1000e is joined to the other second bent part 1000e-1, and the third bent part 1000f is joined to the other third bent part 1000f-1.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in conjunction with.

또한, 상기 공기 인입부(2000)는 2분할하여 이루어지되, 하나의 공기 인입부는 제 3 경사부(2000a)와, 제 4 경사부(2000b)와, 제 2 수직부(2000c)와, 제 4 절곡부(2000d)와, 제 5 절곡부(2000e)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공기 인입부는 제 3 경사부(2000a-1)와, 제 4 경사부(2000b-1)와, 제 2 수직부(2000c-1)와, 제 4 절곡부(2000d-1)와, 제 5 절곡부(2000e-1)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1개조(2000, 2000-1) 각각 구비하여 제 3 경사부(2000a)는 다른 제 3 경사부(2000a-1)와 접합하고, 제 4 경사부(2000b)는 다른 제 4 경사부(2000b-1)와 접합하며, 제 2 수직부(2000c)는 다른 제 2 수직부(2000c-1)와 접합하고, 제 4 절곡부(2000d)는 다른 제 4 절곡부(2000d-1)와 접합하며, 제 5 절곡부(2000e)는 다른 제 5 절곡부(2000e-1)와 접합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air inlet 2000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one air inlet includes the third inclined portion 2000a, the fourth inclined portion 2000b, the second vertical portion 2000c, and the fourth inclined portion 2000a. It is composed of a bent part 2000d and a fifth bent part 2000e, and the other air inlet includes a third inclined part 2000a-1, a fourth inclined part 2000b-1, and a second vertical part. (2000c-1), a fourth bent portion (2000d-1), and a fifth bent portion (2000e-1), each of which is provided in one set (2000, 2000-1) to form a third inclined portion (2000a). ) is joined to another third inclined part 2000a-1, the fourth inclined part 2000b is joined to another fourth inclined part 2000b-1,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2000c is joined to another second vertical inclined part 2000c. The fourth bent part 2000d is joined to the other fourth bent part 2000d-1, and the fifth bent part 2000e is joined to the other fifth bent part 2000e-1.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in conjunction with.

또한, 상기 서버의 주변에 오염물질이 발생할 경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오염물질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은,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임시 저장함과 동시에 산화반응을 일으켜 열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4110)와,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4110)의 하우징 외부 중간지점에 설치되어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로 전자파를 방출함으로써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가열시키는 가열용 전자파 공급수단(4120)과,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의 하우징 외부 하단부에 설치되어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 내부로 전자파를 방출하되 장시간 전자파를 노출시켜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산화용 전자파 공급수단(4130)과,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전자파 공급수단의 전자파를 입력받아 오염물질을 산화시키기 위한 전자파 방열수단(4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In addition, when pollutants are generated around the server, a pollutant treatment means for removing the pollutants is further provided, and the pollutant treatment means temporarily stores the pollutants present therein and simultaneously performs an oxidation reaction. A container for processing pollutants 4110 for generating and converting heat energy into heat energy, and the container for processing pollutants 4110 is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int outside the housing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container for processing pollutants.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4120 for heating, which heats existing pollutants, and is installed at the outer lower end of the housing of the pollutant treatment container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into the pollutant treatment container, but treats the pollutants by exposing electromagnetic waves for a long time.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for oxidation 4130 for oxidizing contaminants present in the container, and electromagnetic wave heat dissipation means for oxidizing pollutants by receiving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4160).

또한, 상기 전자파 방열수단(4160)은, 승하강을 위한 원통형 용기(4161)와; 상기 원통형 용기의 내부에 슬라이딩에 결합되는 수직바 형태이며, 원통형 용기의 작동에 따라 위로 상승하거나 아래로 하강하는 동작을 하는 승하강 수단(4162)과; 상기 승하강 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패널 형태이며, 승하강 수단의 작동에 따라 위로 상승하거나 아래로 하강하는 동작을 하는 수평 지지패널(4163)과; 상기 수평 지지패널에 결합되는 수직바 형태이며, 수평 지지패널의 작동에 따라 위로 상승하거나 아래로 하강하는 수직 지지패널(4164)과; 상기 수직 지지패널에 결합되며 동시에 하부지지판(4167)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원통형 용기의 작동에 의해서 승하강 하면서 하부지지판에 승하강하며, 산화용 전자파 공급수단의 전자파에 영향을 받아 빛에너지를 방출하는 방열핀(4165)과; 상기 수직 지지패널과 발열핀 사이에 결합되어 방열수단 내부를 통해 오염물질에 에어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에어를 펌핑시키는 에어펌프(41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wave heat dissipation means 4160 includes a cylindrical container 4161 for elevating and descending; an elevating unit 4162 having a shape of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sliding inside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and moving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a horizontal support panel 4163 having a shape of a horizontal pane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unit and moving up or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unit; a vertical support panel 4164, which is in the form of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anel and moves up or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anel; It is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panel and at the same time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plate 4167, rises and falls on the lower support plate while moving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and emits light energy by being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for oxidation. (4165)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ir pump 4166 coupl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panel and the heating fin to pump air so that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ollutants through the inside of the heat dissipating means.

또한, 상기 하부 지지판(4167)의 일측에 설치되는 빛감지 센서(4168)와, 상기 빛감지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빛에너지가 기준 시간이상 발열핀에서 발생시에 발열핀을 지지판(4167)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발열핀이 하강하도록 실린더(4161)를 제어하는 제어부(4169)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light sensor 4168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plate 4167, and when light energy is generated from the heating pins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light sensor, the heating pins are mov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4167.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4169 that controls the cylinder 4161 so that the heating fin descends in order to be inserted into.

또한, 본 발명은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일측에 설치되며, 측량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측량 위치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측량위치 표시수단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 또는 하부에 구름용 바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바퀴는 전후 및 좌우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용 대차(3010)와;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뚜껑이 형성되고 하부에 도로 출력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일정 너비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측량 위치표시라인에 사용되는 위치표시 용액이 일정 깊이만큼 담기는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3020)와;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수직패널 및 수평패널을 결합하여 구성하며,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의 외측을 감싸서 이동용 대차가 도로면을 유동할시에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저장용기 장착용 구조물(3030)과; 상기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에 담기는 위치 표시용액을 일정량만큼씩 외부로 출력시키는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3040a, 3040b)와; 상기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의 끝단에 설치되며 출력단이 바닥면으로 향하게 설치되어 위치 표시용액을 도로 바닥면에 분사시키는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3050a, 3050b)와;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면 전단이나 후단에 한개 또는 두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를 고정 설치하여 위치 표시라인이 바닥면에 그려지도록 유도하는 호스 및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 장착용 브라켓(3060a, 3060b)과; 상기 호스 장착용 브라켓의 수평면과 수직면에 장공형태로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를 수납하되 필요한 지점의 장공에 수납이 가능토록하여 위치 표시라인의 너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토록 하는 거리조절 수단(3070)과; 상기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의 하단에 설치되며 위치 표시용액을 공급하거나 또는 위치 표시용액의 공급이 완료되어 차단할 필요가 있을때 밸브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 표시용액의 공급을 진행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위치 표시용액 온오프 밸브(3080)와; 상기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호스를 통해 도로 바닥면으로 제공되는 위치 표시용액의 공급을 진행하거나 또는 차단할 필요가 있을때 밸브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 표시용액을 바닥면에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호스 온오프 밸브(309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rvey reference point indicator and comprises a survey posi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surveyed position, but the survey position display means is mad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or square panel, and both sides or A moving bogie 3010 made by installing wheels for rolling at the bottom, and the wheels are configured to freely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cart, has a cylindrical or polygonal cylinder shape, a lid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 road output port is formed on the lower part, and a space part having a certain width is formed inside, and the space part is used for a survey position display line. a positioning solution temporary storage container 3020 in which the positioning solution is contained by a certain depth;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bogie, and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vertical panels and horizontal panels, and wraps the outside of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ing solution so that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ing solution does not shake when the movable bogie moves on the road surface. A storage container mounting structure 3030 that assists in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without interruption; hoses 3040a and 3040b installed at the output end of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positioning solution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position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positioning solution to the outside; A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3050a, 3050b) installed at the end of the hose for withdrawing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and having an output end facing the floor to spray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to the road surface; One or two are installed on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cart, and a hose and a positioning solution output device mounting bracket (3060a, 3060b) and; A distance that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ong holes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urfaces of the hose mounting bracket, and accommodates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but allows it to be accommodated in the long hole at a necessary point so that the width of the position display line can be freely adjusted adjusting means 3070; I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and when the supply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r the supply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is completed and it is necessary to shut off, the valve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proceed with the supply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a position indicator solution on/off valve 3080 that is turned on or off;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and when it is necessary to proceed or cut off the supply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provided to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hose, rotate the valv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discharge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to the floor.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hose on-off valve 3090 that serves to supply or cut off the supply to the surface.

또한,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적색 위치 표시용액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3120)와; 상기 적색 도로용 용기에 연결 설치되어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로부터 제공되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을 인출하고, 출력단이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에 연결되어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를 통해 적색 위치 표시용액이 분사되도록하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이송용 라인(3130)과; 상기 이동용 대차의 정면에 설치되어 도로면의 색상을 센싱하는 컬러센서(3110)와; 상기 컬러센서의 출력결과 바닥면의 색상이 흑색이면 적색 위치 표시용액의 출력을 차단하고, 흰색이면 적색 위치 표시용액의 출력을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150)와;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 결과에 따라서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를 펌핑하여 적색 위치 표시용액이 출력되어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표시용액과 섞이면서 바닥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펌핑수단(3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In addition, a container 3120 for accommodating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cart and accommodating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It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for the red road and withdraws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provided from the container for storing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and the output end is connected to the hose for withdrawing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and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through the hose for withdrawing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a line 3130 for transporting a red position indicator solution so that the liquid is injected; a color sensor 311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oving bogie to sense the color of the road surface; If the color of the bottom surface is black as a result of the output of the color sensor, the output of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is blocked, and if it is white, a control unit 315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output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cart,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result of the control unit, the container for storing the red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is pumped, and the red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is output, mixed with the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output from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and output to the floo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pumping means 3140 to be.

또한,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 일단에는 주변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이면 작업자에 경고하기 위한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오염공기 측정키트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 부재(3510)와; 상기 파이프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여과기(3520)와; 상기 제 1 여과기(3520)와 이격되어 상기 파이프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여과기(3530)와; 상기 제 2 여과기(3530)와 이격되어 상기 파이프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3 여과기(3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여과기(3520)와 제 2 여과기(3530) 사이에는 상기 제 1 여과기(352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1 촉매제(3540)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여과기(3530)와 제 3 여과기(3550) 사이에는 상기 제 2 여과기(353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2 촉매제(3560)가 충진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a polluted air measurement kit 3500 is included at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cart to warn the operator if the ambient air condition is higher than the standard; The contaminated air measuring kit includes a pipe member 3510 having a flow path therein; a first filter 3520 disposed inside the pipe member 3510; a second filter 353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lter 3520 and disposed inside the pipe member 3510; It includes a third filter 3550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lter 3530 and disposed inside the pipe member 3510; A first catalyst 3540 reacting with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3520 is filled between the first filter 3520 and the second filter 35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atalyst 3560 that reacts with the gas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3530 is filled between the second filter 3530 and the third filter 3550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적 측량에 기준이 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일정 이상의 자기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를 구비하고,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상면에 표지기 고유번호와 위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QR 코드를 부착하여, 측량하는 사람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면, 스마트폰이 GPS 기능으로 현재 위치정보와 QR 코드 정보를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서버가 지적측량 표지관리대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등록 지적측량 표지정보를 가져와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지적측량 표지정보와 비교해 그 결과를 스마트폰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측량하는 사람이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원래 등록된 제자리에 설치되었는지, 원래의 자리로부터 이동되어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ic marker having a magnetic force of a certain level or more is provided in the surveying reference point marker, which is a standard for land surveying, and a QR code for reading the marker's unique number and location information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rveying reference point marker. So, when the surveyor recognizes the QR code using a smartphone, the smartphone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QR code information to the cadastral survey cov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using the GPS function, and the cadastral survey cov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erforms cadastral survey By bringing the registered cadastral survey co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over management ledger database and comparing it with the cadastral survey cov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information, the result is provided to the smartphone, so that the surveyor can find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originally registered.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it is installed in place or moved and installed from its original pl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버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열수단을 접합후 배치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열수단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방열수단에 공기가 통과되는 것을 나타낸 작동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방열수단 상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방열수단을 접합하기전 배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염물질 처리수단에 다수개의 전자파 공급수단을 장착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 지지판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하부 지지판 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방열핀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방열핀 동작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방열핀 승하강 제어를 위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대차를 이용한 표시장치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대차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센싱수단을 이용하여 적색도료를 분사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공기오염 측정키트 상세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asurement reference point ind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rv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rrangement state after bonding the heat dissip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a heat dissip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operating view showing that air passes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arrangement state before bonding the heat dissip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is installed in the pollutant treatm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wer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lower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t dissipation fi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radiation fin ope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control of elevating and descending heat dissipation fin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using a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using a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spraying red paint using the sen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ir pollution measurement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However, the drawings shown below and the description below relate to pre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the drawings and description below.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implemented below are already provided in each system functional configur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or system functions commonly provid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f one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e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components already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omitted functional configurations not shown below, and also the omitted configurations as described abov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s and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will be appropriately modified and us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key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reb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ver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asurement reference point ind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서버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rv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방열수단을 접합후 배치 상태도.Figure 4 is an arrangement state after bonding the heat dissip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방열수단 일측면도.Figure 5 is a side view of a heat dissip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방열수단에 공기가 통과되는 것을 나타낸 작동 도면.Figure 6 is an operating view showing that air passes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방열수단 상세 구성도.Figure 7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방열수단을 접합하기전 배치 상태도.Figure 8 is an arrangement state before bonding the heat dissip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오염물질 처리수단에 다수개의 전자파 공급수단을 장착한 도면.9 is a view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is installed in the pollutant treatm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 지지판 구성도.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wer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하부 지지판 요부 단면도.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lower suppor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방열핀 구성도.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t dissipation fi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방열핀 동작도.Figure 13 is a radiation fin ope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방열핀 승하강 제어를 위한 구성도.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control of elevating and descending heat dissipation fi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대차를 이용한 표시장치 구성도.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using a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대차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측면도.16 is a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using a bogi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센싱수단을 이용하여 적색도료를 분사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17 is a view showing spraying red paint using the sen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공기오염 측정키트 상세 구성도로서,18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ir pollution measurement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20), 측량표지 관리서버(130) 및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110, a user terminal 120, a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130, and a survey information database. (140).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는 지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측량 기준 정보가 일정 형태의 코드로 표기되어 있는 QR 코드와, 자기 탐지기로 탐지하기 위한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가진 자기 마커(Magnetic Marker)를 구비한다.Survey reference point indicator 110 is a QR code in which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unique number of a point installed in the ground is marked with a code of a certain form, and a magnetic marker having a magnetic force of a certain intensity or more to be detected by a magnetic detector. (Magnetic Marker) is provided.

사용자 단말기(120)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에 구비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측량표지 관리서버(130)에 전송하고,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로부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표지기(110)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수신하거나,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게 된다.The user terminal 120 transmits the QR code information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QR code provided in the surveying reference point marker 110 to the surveying mark management server 13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QR code from the surveying mark management server 130 Registration of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110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s received, or whether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110 is installed in a normal position is received and displayed.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QR 코드 정보를 수신하면,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가져와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하거나, QR 코드 정보에 포함된 측량 기준 정보와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근거해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하게 된다.When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130 receives the QR cod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20, the user terminal ( 120), or by comparing the measurement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information with the registered measurement reference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result, whether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indicator 110 is installed in a normal position is determined in the user terminal 120 will provide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140)는 QR 코드 정보에 대응되게 등록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The measurement information database 140 stores measurement reference information of a measurement reference point marker registered to correspond to the QR code information.

여기서,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QR 코드와 기준점이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 첨두부(210)와, 기준점 첨두부(210)에 결합된 막대 형상으로 타격에 의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지지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urvey reference point indicator 110, as shown in FIG. 2, has a reference point peak 210 marked with a QR code and a reference point, and a rod shape coupled to the reference point peak 210 to the ground by hitting It may be made of a rod-shaped support 220 to be inserted.

또한, 막대형 지지부(220)는, 일측이 기준점 첨두부(2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지중으로 삽입되기 위해 뾰쪽한 형상을 가지며, 지중으로 삽입되는 부분의 일정 위치에 자기 마커(230)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d-shaped support part 220 has one side coupled to the reference point peak 210 and the other side has a pointed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the magnetic marker 230 is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art inserted into the ground It can be.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GPS 수신 기능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QR 코드 정보를 측량표지 관리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20 may acquir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GPS reception function and transmit QR cod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obta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130.

또한, 등록 측량 기준 정보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 도선등급, 도선명, 설치일, 설치 약도, 조사자, 조사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gistered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and a unique number of a place where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110 is installed, a lead wire grade, a lead wire name, an installation date, an installation schematic, an investigator, and survey details.

또한,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는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DGPS와 연동하여 기준점들의 위치가 표시된 지형도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20)는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로부터 제공받은 등록 측량 기준 정보에 따라 DGPS와 연동하여 지형도 상에 표시된 기준점들의 위치를 현재 위치와 비교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130 provides the registered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DGPS to the user terminal 120 along with a topographical map in which the locations of reference points are displayed, and the user terminal 120 is provided from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130 In conjunction with DGPS according to the registered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provided, the positions of reference points displayed on the topographical map may be compared with the current positions and displayed on the screen.

그리고,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140)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의 측량 기준 정보에 대해, 지적삼각표조점 관리대장이나 도근점 관리대장, 경계점 표지 관리대장을 포함하는 지적측량 표지 관리대장에 기재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vey information database 140 stores the measurement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110 as information described in a cadastral survey mark management ledger including a cadastral triangle mark management ledger, a road point management ledger, and a boundary point sign management ledger. ca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asurement reference point ind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기(110)는 QR 코드와 기준점이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 첨두부(210); 기준점 첨두부에 결합되고, 막대 형상으로 타격에 의해 지중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지지부(220); 및 막대형 지지부에서 지중으로 삽입되는 부분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며, 자기 탐지기로 탐지하기 위한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Magnetic Marker)(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Referring to Figure 2,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mark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erence point peak portion 210 marked with a QR code and the reference point; A rod-type support 220 coupled to the tip of the reference point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by hitting a rod-shaped rod; and a magnetic marker 230 coup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portion inserted into the ground from the rod-shaped support and having a magnetic force of a predetermined strength or higher for detection by a magnetic detector.

여기서, 기준점 첨두부(210)는, 막대형 지지부(220)에 결합된 부분에 일정 세기의 자력을 가지는 자기 마커(230)를 구비하고, 자기 마커(230) 위에 알루미늄 판(216)이 형성되며, 알루미늄 판(216)에 QR 코드(212)와 기준점(214) 및 지적 관련 문구가 표기되며, 그 위에 투명 강화 플라스틱 판(218)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point tip 210 has a magnetic marker 230 having a certain intensity of magnetic force at a portion coupled to the rod-shaped support 220, and an aluminum plate 216 is formed on the magnetic marker 230, , a QR code 212, a reference point 214, and intellectual related phrases are marked on the aluminum plate 216, and a transparent reinforced plastic plate 218 may be formed thereon.

이때, QR 코드는 도로 표지판에 사용하고 있는 QR 코드 인쇄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며, UV 코팅 방식으로 철재판 위에 인쇄되며, 본드로 붙이거나 끼우는 방식으로 상판에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QR code can be applied to the QR code printing technology used for road signs, printed on a steel plate by a UV coating method, and can be provided on the top plate by attaching or fitting with a bond.

상판의 표면에는 QR 코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두께 2 mm의 투명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판이 형성되며, 투명 강화플라스틱 판(218)은 시간이 지나서 긁혀지거나 마모가 되면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교체가 가능하도록 돌려서 빼거나 도구를 사용하여 뺄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surface of the top plate, a plate is formed of transparent reinforced plastic with a thickness of 2 mm to protect the QR code.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removed using tools.

또한, 막대형 지지부(220)가 원기둥 모양의 막대형인 경우에 자기 마커(230)는 링형이나 도넛형 형상으로 기준점 첨두부(2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od-shaped support part 220 has a cylindrical rod shape, the magnetic marker 230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ference point peak 210 in a ring-shaped or donut-shaped shape.

또한, 막대형 지지부(220)에서 지중에 삽입되는 부분의 하부에 마그네틱(240)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 24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rod-shaped support 220 inserted into the ground.

그리고, 기준점 첨두부(210)에 표기되어 있는 기준점(214)은 삼각점, 삼각보조점, 도근점에 따라 산출된 기준점으로 표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point 214 marked on the reference point apex 210 may be marked as a reference point calculated according to a triangular point, a triangular auxiliary point, and an approximate point.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측량표지 관리서버(130)는 방열기능이 최적화되어 있는바, 방열부(1000)와, 공기 인입부(2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measurement mark management server 13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ptimized heat dissipation function, and includes a heat dissipation unit 1000 and an air inlet unit 2000.

상기 방열부(1000)는 전면부 방열패널(a)과, 후면부 방열패널(b)과, 공기 임시저장공간(c)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부 방열패널(a)은 제 1 수직부(1000a)와, 제 1 경사부(1000b)와, 제 2 경사부(1000c)와, 제 1 절곡부(1000d)와, 제 2 절곡부(1000e)와, 제 3 절곡부(1000f)로 이루어진다.The heat dissipation part 1000 is composed of a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a rear heat dissipation panel (b), and a temporary air storage space (c), and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has a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 a first inclined portion 1000b, a second inclined portion 1000c, a first bent portion 1000d, a second bent portion 1000e, and a third bent portion 1000f.

상기 제 1 수직부(1000a)는 전면부 방열패널의 1/5지점까지 수직하게 배열된다. 상기 제 1 경사부(1000b)는 제 1 수직부(1000a)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우측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2 경사부(1000c)는 제 1 경사부(1000b)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좌측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절곡부(1000d)는 제 1 수직부(1000a)와 제 1 경사부(1000b) 사이에 존재하며 전면부 방열패널의 1/5지점에 위치되고 제 1 수직부(1000a)와 제 1 경사부(1000b)가 135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제 2 절곡부(1000e)는 제 1 경사부(1000b)와 제 2 경사부(1000c) 사이에 존재하며 전면부 방열패널의 3/5 지점에 위치되고 제 1 경사부(1000b)와 제 2 경사부(1000c)가 서로 90도 직각으로 꺽이는 지점에 위치한다. 제 3 절곡부(1000f)는 방열부(1000)와 공기 인입부(2000) 사이에 존재하며 상호 90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한다.The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is vertically arranged up to a 1/5 point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The first inclined portion 1000b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and is inclined in a lower right direction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The second inclined part 1000c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part 1000b and is arranged in an inclined shape in a lower left direction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a virtual horizontal line. The first bent portion 1000d is present between the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1000b and is located at a 1/5 point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nd the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and the first The inclined portion 1000b is located at a point where it is bent by 135 degrees. The second bent portion 1000e is present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000b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000c and is located at the 3/5 point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1000b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000b The inclined portion 1000c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inclined portions 1000c are bent at right angles of 90 degrees to each other. The third bent portion 1000f exists between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1000 and the air inlet portion 2000 and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y are bent at 90 degrees.

그리고, 상기 후면부 방열패널(b)은 제 1 수직선(1000g)과, 제 1 경사선(1000h)과, 제 2 경사선(1000i)과, 제 1 절곡선(1000j)과, 제 2 절곡선(1000k)과, 제 1 마감선(1000m)으로 이루어진다.And, th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b) has a first vertical line (1000g), a first slanted line (1000h), a second slanted line (1000i), a first bent line (1000j), and a second bent line ( 1000k) and the first finishing line (1000m).

상기 제 1 수직선(1000g)은 후면부 방열패널(b)의 1/5 지점까지 수직하게 배열하되 전면부 방열패널(a)의 제 1 수직부(1000a)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경사선(1000h)은 제 1 수직선(1000g)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하되 전면부 방열패널(a)의 제 1 경사부(1000b)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제 2 경사부로 45도 각도로 좌측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하되 전면부 방열패널(a)의 제 2 경사부(1000c)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절곡선(1000i)은 제 1 수직선(1000g)과 제 1 경사선(1000h) 사이에 존재하며 후면부 방열패널(b)의 1/5 지점에 위치되고 제 1 수직선(1000g)과 제 1 경사선(1000h)이 135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하되 전면부 방열패널(a)의 제 1 절곡부(1000d)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2 절곡선(1000k)은 제 1 경사선(1000h)과 제 2 경사선(1000i) 사이에 존재하며 후면부 방열패널(b) 전체의 3/5지점에 위치되고 제 1 경사선(1000h)과 제 2 경사선(1000i)이 서로 90도 직각으로 꺽이는 지점에 위치하되 전면부 방열패널(a)의 제 2 절곡부(100e)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1 마감선(1000m)은 제 2 경사선(1000i)의 하부 끝단부에 위치되며 전면부 방열패널(a)의 제 3 절곡부(1000e)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된다.The first vertical lines 1000g are vertically arranged up to 1/5 of th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b, but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slanting line 1000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line 1000g and is arranged in an inclined form at an angle of 45 degrees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but the first slanted portion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1000b)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is arranged in a form inclined in the lower left direction at an angle of 45 degrees, but is arrang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000c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curved line 1000i exists between the first vertical line 1000g and the first inclined line 1000h and is located at the 1/5 point of th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b, and the first vertical line 1000g and the first The inclined line 1000h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inclined line 1000h is bent at 135 degrees, bu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bent part 1000d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The second bending line 1000k exists between the first inclined line 1000h and the second inclined line 1000i and is located at the 3/5 point of the entir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b), and the first inclined line 1000h and the second inclined line 1000i are positioned at a point where they are bent at right angles of 90 degrees to each other, but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ent portion 100e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irst finishing line 1000m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line 1000i and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hird bent part 1000e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상기 공기 인입부(2000)는 제 3 경사부(2000a)와, 제 4 경사부(2000b)와, 제 2 수직부(2000c)와, 제 4 절곡부(2000d)와, 제 5 절곡부(2000e)로 구성한다.The air intake part 2000 includes a third inclined part 2000a, a fourth inclined part 2000b, a second vertical part 2000c, a fourth bent part 2000d, and a fifth bent part 2000e. ) is composed of

상기 제 3 경사부(2000a)는 방열부(1000)의 제 2 경사부(1000b)에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90도 꺽어진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4 경사부(2000b)는 제 3 경사부(2000a)와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가상의 수평라인으로부터 좌측 하부방향으로 45도 꺽어진 형태로 배열된다. 제 2 수직부(2000c)는 제 4 경사부(2000b)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하부 끝단부에 배열된다. 상기 제 4 절곡부(2000d)는 제 3 경사부(2000a)와 제 4 경사부(2000b) 사이에 위치되며 제 3 경사부(2000a)와 제 4 경사부(2000b)가 90도로 꺽이는 지점에 위치된다. 제 5 절곡부(2000e)는 제 4 경사부(2000b)과 제 2 수직부(2000c) 사이에 위치되며 제 4 경사부(2000b)과 제 2 수직부(2000c)가 135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된다.The third inclined part 2000a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clined part 1000b of the heat dissipating part 1000 but is arranged in a 90 degree bent form. The fourth inclined portion 2000b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third inclined portion 2000a, but is arranged in a form bent by 45 degrees in a lower left direction from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The second vertical portion 2000c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ourth inclined portion 2000b and is arranged at the lower end. The fourth bent part 2000d is located between the third inclined part 2000a and the fourth inclined part 2000b and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third inclined part 2000a and the fourth inclined part 2000b are bent at 90 degrees. do. The fifth bent portion 2000e is located between the fourth inclined portion 2000b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2000c and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fourth inclined portion 2000b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2000c are bent at 135 degrees. .

아울러, 상기 공기 인입부(2000)의 몸체에는 다수개의 공기 통과용 홀(2100)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쉽게 인입되면서 방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2100 for passing air are formed in the body of the air inlet 2000 so that outside air can be easily introduced and moved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상기 공기 통과용 홀(210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바,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태도 가능하며, 상기 공기 통과용 홀은 공기의 인입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공기의 인입이 자유로울 수 있는 형태이면 된다. Since the hole 2100 for air passing through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it is preferable to manufacture it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Of cours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quadrangle is also possible, and since the main purpose of the hole for air passage is to introduce air, any shape in which air can flow freely is suffici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장 제작이 용이한 원형 형태의 공기 통과용 홀을 예시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타원형 홀 또는 다각형 홀도 무방하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r hole for passing air, which is the easiest to manufacture, is exemplified, and as described above, an elliptical hole or a polygonal hole may be used.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방열부(1000)의 후면부 방열패널(b) 1개조 구비하여 접합을 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방열부의 후면부 방열패널(b)은 제 1 수직선(1000g)과, 제 1 경사선(1000h)과, 제 2 경사선(1000i)과, 제 1 절곡선(1000j)과, 제 2 절곡선(1000k)과, 제 1 마감선(1000m)으로 이루어지는바, 제 1 수직선(1000g)은 다른 제 1 수직선(1000g-1)과 접합하고, 제 1 경사선(1000h)은 다른 제 1 경사선(1000h-1)과 접합하며, 제 2 경사선(1000i)은 다른 제 2 경사선(1000i-1)과 접합하고, 제 1 절곡선(1000j)은 다른 제 1 절곡선(1000j-1)과 접합하며, 제 2 절곡선(1000k)은 다른 제 2 절곡선(1000k-1)과 접합하고, 제 1 마감선(1000m)은 다른 제 1 마감선(1000m-1)과 접합한다.To this end, one heat dissipation panel (b) of the rear side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1000 is provided and bond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heat dissipation panel (b) of the rear part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has a first vertical line (1000g), a first slanted line (1000h), a second slanted line (1000i), a first bent line (1000j), and a second It is composed of a curve 1000k and a first finishing line 1000m, a first vertical line 1000g joins another first vertical line 1000g-1, and a first slanting line 1000h joins another first slanting line. (1000h-1), the second slanting line (1000i) is joined to the other second slanting line (1000i-1), and the first bend line (1000j) is joined to the other first bend line (1000j-1). The second bending line 1000k is joined to another second bending line 1000k-1, and the first finishing line 1000m is joined to another first finishing line 1000m-1.

그리고, 방열부(1000)와 공기 인입부(2000)는 초기에 이분할하여 제작한 다음 중앙을 제봉하여 하나의 입체형태의 방열패널로 제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unit 1000 and the air inlet unit 2000 may initially be divided into two parts and then sewn in the center to form a single three-dimensional heat dissipation panel.

즉, 방열부(1000)의 전면부 방열패널을 살펴보면, 제 1 수직부(1000a)와, 제 1 경사부(1000b)와, 제 2 경사부(1000c)와, 제 1 절곡부(1000d)와, 제 2 절곡부(1000e)와, 제 3 절곡부(1000f)로 이루어지는바, 이들을 1개조(1000, 1000-1) 각각 구비하여 제 1 수직부(1000a)는 다른 제 1 수직부(1000a-1)와 접합하고, 제 1 경사부(1000b)는 다른 제 1 경사부(1000b-1)와 접합하며, 제 2 경사부(1000c)는 다른 제 2 경사부(1000c-1)와 접합하고, 제 1 절곡부(1000d)는 다른 제 1 절곡부(1000d-1)와 접합하며, 제 2 절곡부(1000e)는 다른 제 2 절곡부(1000e-1)와 접합하고, 제 3 절곡부(1000f)는 다른 제 3 절곡부(1000f-1)와 접합한다.That is, looking at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of the heat dissipation part 1000, the first vertical part 1000a, the first inclined part 1000b, the second inclined part 1000c, the first bent part 1000d and , a second bent portion 1000e and a third bent portion 1000f, each of which is provided in one set (1000, 1000-1) so that the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is another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1), the first inclined portion 1000b is joined to another first inclined portion 1000b-1,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000c is joined to another second inclined portion 1000c-1, The first bent part 1000d is joined to another first bent part 1000d-1, the second bent part 1000e is joined to another second bent part 1000e-1, and the third bent part 1000f ) is joined to the other third bent portion 1000f-1.

그리고, 공기 인입부(2000)를 살펴보면 제 3 경사부(2000a)와, 제 4 경사부(2000b)와, 제 2 수직부(2000c)와, 제 4 절곡부(2000d)와, 제 5 절곡부(2000e)로 이루어지는바, 이들을 1개조(2000, 2000-1) 각각 구비하여 제 3 경사부(2000a)는 다른 제 3 경사부(2000a-1)와 접합하고, 제 4 경사부(2000b)는 다른 제 4 경사부(2000b-1)와 접합하며, 제 2 수직부(2000c)는 다른 제 2 수직부(2000c-1)와 접합하고, 제 4 절곡부(2000d)는 다른 제 4 절곡부(2000d-1)와 접합하며, 제 5 절곡부(2000e)는 다른 제 5 절곡부(2000e-1)와 접합한다.Looking at the air inlet 2000, the third inclined portion 2000a, the fourth inclined portion 2000b, the second vertical portion 2000c, the fourth bent portion 2000d, and the fifth bent portion (2000e), each of which is provided in one set (2000, 2000-1) so that the third inclined part (2000a) is bonded to the other third inclined part (2000a-1), and the fourth inclined part (2000b) It is joined to the other fourth inclined portion 2000b-1, the second vertical portion 2000c is joined to the other second vertical portion 2000c-1, and the fourth bent portion 2000d is another fourth bent portion ( 2000d-1), and the fifth bent portion 2000e is joined to another fifth bent portion 2000e-1.

상기와 같이 접합을 하게 되면 방열부(100)의 전면부 방열패널(a)은 반구형 형태로 부풀어 오르며, 방열기능이 최적화된다.When bonding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100 swells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heat dissipation function is optimized.

아울러, 서버의 주변에 오염물질이 발생할 경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오염물질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본 발명의 오염물질 처리수단(4100)은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임시 저장함과 동시에 산화반응을 일으켜 열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4110)와,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4110)의 하우징 외부 중간지점에 설치되어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로 전자파를 방출함으로써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가열시키는 가열용 전자파 공급수단(4120)과,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의 하우징 외부 하단부에 설치되어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 내부로 전자파를 방출하되 장시간 전자파를 노출시켜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산화용 전자파 공급수단(4130)과,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전자파 공급수단의 전자파를 입력받아 오염물질을 산화시키기 위한 전자파 방열수단(4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addition, when contaminants are generated around the server, a pollutant treatment means for removing the pollutants is further provided, and the pollutant treatment means 4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xidizes the pollutants, A container for processing pollutants 4110 for temporarily storing pollutants and converting them into thermal energy by causing an oxidation reaction at the same time, and a container for processing pollutants installed at an intermediate point outside the housing of the container 4110 for processing pollutants to generate electromagnetic waves.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4120 for heating that heats the pollutants present in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by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4120 installed at the outer lower end of the housing for treating pollutants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into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However, an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for oxidation 4130 that oxidizes the pollutants present in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by exposing electromagnetic waves for a long time, and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are input. It includes an electromagnetic wave heat dissipation means 4160 for receiving and oxidizing contaminants.

또한, 본 발명은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의 하부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에어홀(4160a)을 갖는 전자파 방열핀(4165)을 구비하는바, 상기 에어홀(4160a)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전자파 방열핀(4165)을 구비하여 전자파가 집중되면서 오염공기가 빛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fin 4165 having an air hole 4160a for supplying ai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 is provided to induce the conversion of polluted air into light energy as electromagnetic waves are concentrated.

즉, 본 발명의 전자파 방열핀(4165)은 뾰족한 피뢰침 형태로 구성하여 날카로운 끝부분에 전자파가 집중되도록 유도하며, 상기와 같이 전자파 방열핀(4165)에 전자파가 집중되게 되면 주변영역이 빛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오염공기가 타면서 변환된다.That is,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fin 416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harp lightning rod to induce electromagnetic waves to be concentrated on the sharp end. Contaminated air is converted as it burns.

그리고, 상기 전자파 방열핀(4165)의 내부에는 통공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전자파 방열핀(4165)의 내부 공간부를 통하여 오염공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오염공기를 희석시키면서 태울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fin 4165 so that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supplied to the contaminated air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fin 4165. It was allowed to burn while diluting.

본 발명의 전자파 방열핀(4165)을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계하는바, 최초 오염공기를 빛에너지로 변환시에만 상승시켜 작동시키고, 오염공기의 빛에너지 변환이 이루어지고 나면 하강시켜 외부에 노출되지 않토록함으로서 전자파 방열핀이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고 장시간 사용가능하도록 한다.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fin 416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be able to go up and down, so that it is operated by rising only when the first contaminated air is converted into light energy, and after the light energy conversion of the contaminated air is completed, it is lowered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prevents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fin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being contaminated, and allows them to be used for a long time.

즉, 전자파 방열핀(4165)에 전자파가 집중되게 되면 열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소실되기 때문에 장시간 노출시킬 필요가 없다.That is, when electromagnetic waves are concentrated on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fins 4165, they are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and lost, so there is no need to expose them for a long tim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오염공기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파 발열핀(4165)을 수직 하강시켜 더이상 전자파에 반응하지 않토록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minated air is removed, the electromagnetic wave heating fin 4165 is vertically lowered so that it does not react to the electromagnetic wave any longer.

본 발명에서 전자파 방열수단(4160)의 승하강 작동을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승하강을 위한 원통형 용기(4161)와; 상기 원통형 용기의 내부에 슬라이딩에 결합되는 수직바 형태이며, 원통형 용기의 작동에 따라 위로 상승하거나 아래로 하강하는 동작을 하는 승하강 수단(4162)과; 상기 승하강 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패널 형태이며, 승하강 수단의 작동에 따라 위로 상승하거나 아래로 하강하는 동작을 하는 수평 지지패널(4163)과; 상기 수평 지지패널에 결합되는 수직바 형태이며, 수평 지지패널의 작동에 따라 위로 상승하거나 아래로 하강하는 수직 지지패널(4164)과; 상기 수직 지지패널에 결합되며 동시에 하부지지판(4167)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원통형 용기의 작동에 의해서 승하강 하면서 하부지지판에 승하강하며, 산화용 전자파 공급수단의 전자파에 영향을 받아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전자파 방열핀(4165)과; 상기 수직 지지패널과 방열핀 사이에 결합되어 방열핀 내부를 통해 오염공기에 에어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에어를 펌핑시키는 에어펌프(4166)와; 하부 지지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오염감지 센서(4168)와; 상기 오염감지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전자파 방열핀(4165)을 지지판(4167)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원통형 용기를 제어하는 제어부(4169)를 포함하여 구성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for the elevation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heat dissipation means 4160 in the present invention, a cylindrical container 4161 for elevation; an elevating unit 4162 having a vertical bar shape coupled to sliding inside the cylindrical container and moving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a horizontal support panel 4163 having a shape of a horizontal pane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means and moving up or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ans; a vertical support panel 4164, which is in the form of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anel and moves up or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anel;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fins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panel and slidingly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plate 4167 to move up and down on the lower support plate while being moved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and releasing thermal energy by being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for oxidation. (4165) and; an air pump 4166 coupl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panel and the radiating fins to pump air so that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contaminated air through the radiating fins; a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4168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pl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4169 that controls the cylindrical container to insert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fin 4165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4167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contamination detection sensor.

이때, 본 발명의 전자파 방열수단(4160)의 동작을 살펴보면, 산화용 전자파 공급수단(4130)을 작동시키게 되면 승하강 원통형 용기(4161)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승하강 원통형 용기(4161)를 작동시키게 되면, 원통형 용기(4161)에 결합된 승하강 수단(4162)이 수직 상승하게 된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radiating means 416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4130 for oxidation is operated, the elevating cylindrical container 4161 is operated, and the elevating cylindrical container 4161 is operated. When this is done, the elevating means 4162 coupled to the cylindrical container 4161 rises vertically.

그러면, 방열핀(4165)이 상승하면서 산화용 전자파 방열수단(4130)에서 출력된 전자파를 집중 끌어당겨서 빛에너지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방열수단에 접촉된 오염물질이 산화된다.Then, while the radiating fin 4165 rises, it intensively attracts the electromagnetic waves output from the oxidizing electromagnetic wave radiating means 4130 to output light energy, and accordingly, the contaminants in contact with the radiating means are oxidized.

그리고, 일정시간 방열핀(4165)이 작동하게 되며, 더이상 작동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소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산화용 전자파 공급수단(4130)의 작동을 중단시킴과 동시에 방열핀(4165)을 하강시켜 지지판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adiation fins 4165 oper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since there is no need to operate anymore, in order to prevent los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4130 for oxidation is stopped and the radiation fins 4165 are lower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to be inserted into

이를 위해 제어부(4169)는 원통형 용기(4161)를 작동시켜 승하강 수단이 하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승하강 수단에 끝단부에 위치한 방열핀(4165)이 하강하여 작동이 중단됨으로서 더이상 소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4169 operates the cylindrical container 4161 so that the elevating means descends, and accordingly, the heat radiation fin 4165 located at the end of the elevating means descends to stop the operation, thereby preventing further loss. there will be

즉, 본 발명은 방열핀(4165)이 빛에너지를 발산하는 과정에서 소실되는 것을 막을 수 없는바, 작동시간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 가능하도록 유도한다.That i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prevent the heat dissipation fin 4165 from being lost in the process of emitting light energy, the operation time is minimized to induce long-term use.

이를 위해 빛감지 센서(4168)를 설치하여 작동이 마무리된 방열핀(4165)이 지지판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light sensor 4168 is installed to induce the heat dissipation fin 4165 to be fully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또한, 본 발명은 지지판에 다수개의 에어홀(4160a)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홀(4160a)을 통해 에어를 공급하면서 오염물질이 산화시키는 것을 촉진시키게 되며, 방열핀(4165)을 작동시키는 도중에서 방열핀(4165)이 내측을 통해 에어가 공급되어서 오염물질의 산화가 촉진되록하고, 상기 방열수단의 내측을 통해 제공되는 에어는 방열수단이 지지판의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계속적으로 진행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air holes 4160a are installed in the support plate,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holes 4160a to promote oxidation of contaminants, and while the radiating fins 4165 are operated, the radiating fins 4165 are operated. Air is supplied through the inside of 4165 to promote oxidation of contaminants, and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inside of the heat dissipation means continues to flow even when the heat dissipation means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결국, 본 발명은 방열수단의 작용으로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게 가능하고, 또한, 승하강 작동에 의해서 필요할 때에만 적극적으로 방열수단이 사용되도록함으로서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oxidize contaminants by the action of the heat dissipation means, and also provides the advantage of easy maintenance and long-term use by actively using the heat dissipation means only when necessary by the lifting operation. .

한편, 본 발명은 측량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측량 위치 표시수단을 더 부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량 위치 표시수단은 크게 이동용 대차(3010)와,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3020)와, 저장용기 장착용 구조물(3030)과,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3040a, 3040b)와,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3050a, 3050b)와, 호스 및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 장착용 브라켓(3060a, 3060b)과, 거리 조절 수단(3070)과, 위치 표시용액 온오프 밸브(3080)와, 호스 온오프 밸브(3090)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add a survey position display means to display the survey position. The measurement position display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moving cart 3010, a temporary storage container 3020 for position display solution,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storage container 3030, hoses 3040a and 3040b for withdrawing position display solution,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s (3050a, 3050b), hose and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mounting brackets (3060a, 3060b), distance adjusting means (3070), position display solution on/off valve (3080), hose on It consists of an off valve 3090.

상기 이동용 대차(301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 또는 하부에 구름용 바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 4개의 바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바퀴는 전후 및 좌우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도록 설계된다.The moving cart 3010 is mad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or square panel, and is made by installing wheels for rolling on both sides or at the bottom, preferably by installing four wheels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wheels ar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esigned to flow freely.

상기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3020)는 이동용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뚜껑이 형성되고 하부에 도로 출력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일정 너비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측량 위치표시에 사용되는 위치 표시용액이 일정 깊이만큼 담기도록 제작된다.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3020 for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ovable cart, has a cylindrical or polygonal cylinder shape, a lid is formed on the top, a road outlet is formed on the bottom, and a space having a certain width is formed therein, The space portion is manufactured so that the location display solution used for survey location display is contained by a certain depth.

상기 저장용기 장착용 구조물(3030)은 이동용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수직패널 및 수평패널을 결합하여 구성하며,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의 외측을 감싸서 이동용 대차가 도로면을 유동할시에 도료 임시 저장용기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The storage container mounting structure 303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ovable cart, and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vertical panels and horizontal panels,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when the movable cart moves on the road surface. It assists the paint temporary storage container to maintain a stable posture without shaking.

상기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3040a, 3040b)는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에 담기는 위치 표시용액을 일정량만큼씩 외부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withdrawal hoses 3040a and 3040b are installed at the output end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temporary storage container and serve to output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contained in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temporary storage container to the outside.

상기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3050a, 3050b)는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의 끝단에 설치되며 출력단이 바닥면으로 향하게 설치되어 있어 측량 위치표시를 형성하기 위한 도료를 도로 바닥면에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3050a, 3050b)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hose for withdrawing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and the output end is installed toward the floor, so that the paint for forming the survey location display is installed on the road floor. .

상기 호스 및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 장착용 브라켓(3060a, 3060b)은 이동용 대차의 상부면 전단이나 후단에 한개 또는 두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를 고정 설치하여 필요한 너비만큼 도로 측량 위치표시라인이 바닥면에 그려지도록 유도한다.The hose and positioning solution output device mounting brackets (3060a, 3060b) are made of one or two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bogie, and the positioning solution output device is fixed to the road survey positioning line by the required width Induce it to be drawn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거리조절 수단(70)은 호스 장착용 브라켓의 수평면과 수직면에 장공형태로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를 수납하되 필요한 지점의 장공에 수납이 가능토록하여 측량 위치표시라인의 너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토록 한다.The distance adjusting means 7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long holes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urfaces of the hose mounting bracket, and accommodates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long hole at the required point, so that the measurement position display line The width can be freely adjusted.

상기 위치 표시용액 온오프 밸브(3080)는 도료 임시 저장용기의 하단에 설치되며 위치 표시용액을 공급하거나 또는 위치 표시용액의 공급이 완료되어 차단할 필요가 있을때 밸브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료의 공급을 진행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킨다.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n/off valve 308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aint temporary storage container and rotates the valv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hen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r to shut off the supply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when the supply is completed. The supply of paint is advanced or blocked.

상기 호스 온오프 밸브(3090)는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호스를 통해 도로 바닥면으로 제공되는 위치 표시용액의 공급을 진행하거나 또는 차단할 필요가 있을때 밸브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 표시용액을 바닥면에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hose on/off valve 309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and when it is necessary to proceed or cut off the supply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provided to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hose, turn the valv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es to supply the position indicator solution to the bottom surface or to cut off the supply.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본 발명은 측량 위치표시라인을 형성할 위치로 이동용 대차(3010)를 옮기고, 이동용 대차가 자리 잡으면 거리 조절 수단(3070)을 활용하여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3050a, 3050b)의 위치를 적절히 맞추도록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he movable cart 3010 to the position where the measurement position display line is to be formed, and when the movable cart is positioned,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3050a, 3050b is appropriately positioned by utilizing the distance adjusting means 3070. make it fit

즉, 먼저 설계도를 참조하여 제 1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3050a)와 제 2 도료 위치 표시용액출력장치(3050b)를 각각 움직여서 호스 및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 장착용 브라켓(3060a, 3060b)에 고정시키되 필요로 하는 지점에 고정시킨다.That is, first, referring to the design drawing, move the first position indicator solution output device (3050a) and the second paint position indicator solution output device (3050b), respectively, and fix them to the hose and position indicator solution output device mounting brackets (3060a, 3060b) Fix it to the required point.

상기와 같이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3050a, 3050b)의 세팅이 마무리되면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의 덮개를 개방하고, 필요한 색상의 위치 표시용액을 삽입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tting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s 3050a and 3050 b is completed, the cover of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is opened, and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f the required color is inserted.

그리고, 상기과 같이 위치 표시용액의 삽입이 완료되면 위치 표시용액 온오프 밸브(3080)를 열어서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에 담긴 위치 표시용액이 중력작용에 의해서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insertion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n/off valve 3080 is opened so that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contained in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can move along the hose for withdrawing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by the action of gravity. do.

그리고, 이어 호스 온오프 밸브(3090)를 작동시켜 호스를 타고 이동하는 위치 표시용액이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를 통해 도로 바닥면으로 일정량만큼 연속적으로 출력되도록 하였다.Then, the hose on/off valve 3090 was operated so that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moving along the hose was continuously output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대차(3010)를 이송시키는 동작만으로 도로의 표시라인의 표시가 가능함으로 측량 표시 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display line of the road can be displayed only by the operation of transporting the bogie 3010, so the measurement display operation can be performed very efficiently.

한편, 아스팔트와 같은 검은색의 도로 바닥면은 백색의 위치 표시용액을 통상 적용할 수 있으나, 흰색의 시멘트와 같은 도로 바닥면은 백색의 위치 표시용액이 잘 안보일 수 있기 때문에 적색의 위치 표시용액을 바닥면에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 white positioning solution can be usually applied to a black road surface such as asphalt, but a red positioning solution is used for a road surface such as white cement because the white positioning solution may be difficult to see. It is preferable to spray on the floor surface.

그러나, 도로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위치 표시용액을 수시로 바꾸어주며 위치 표시용액을 탈부착시키기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in that various positioning solutions are freque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road environment and the positioning solution is attached and detached.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용 대차의 정면에 도로 바닥면 감지용 컬러센서를 장착하고, 아울러, 대차의 상부면에는 적색의 위치 표시용액을 담는 용기를 더 구비한후 컬러 센서에 의해서 센싱결과 통상의 아스팔트와 같은 흑색의 도로면이 감지되면 백색의 위치 표시용액이 바닥면에 분사되도록하고, 시멘트와 같이 흰색의 도로면이 감지되면 적색의 위치 표시용액을 펌핑시켜 흰색의 위치 표시용액이 출력될시 적색의 위치 표시용액이 섞이면서 출력되도록하여 흰색의 시멘트에 적색의 측량 위치 표시라인이 표시되어 있어 보다 쉽게 라인을 인식하면서 표시할 수 있도록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olor sensor for detecting the road bottom surface on the front of the moving bogie, and further provided with a container containing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gie, and then the sensing result by the color sensor is normal asphalt. When a black road surface is detected, the white position indicator solution is sprayed on the floor. By mixing and outputting the position indicator solution, the red measurement position indicator line is marked on the white cement so that the line can be recognized and displayed more easily.

물론, 시멘트 영역을 지나서 다시 아스팔트와 같은 흑색의 영역이 나타나면 컬러센서로 이를 인식하여 적색의 위치 표시용액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Of course, if a black area such as asphalt appears again after passing through the cement area, it can be recognized by the color sensor and the output of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can be blocke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컬러센서(3110)와,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3120)와, 적색 위치 표시용액 이송용 라인(3130)과, 펌핑수단(3140)과, 제어부(3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로 바닥면의 색상에 따라서 출력되는 위치 표시용액의 색상을 달리 하였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lor sensor 3110,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storage container 3120,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transfer line 3130, a pumping means 3140, and a control unit 3150. and the color of the output positioning solution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road surfac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동용 대차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적색 위치 표시용액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3120)와;In more detail,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cart and includes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storage container 3120 made of receiving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상기 적색 위치 표시용액 용기에 연결 설치되어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로부터 제공되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을 인출하고, 출력단이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에 연결되어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를 통해 적색 위치 표시용액이 분사되도록하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이송용 라인(3130)과;It is connected to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container and withdraws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provided from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storage container, and the output end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withdrawal hose to display the red position through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withdrawal hose.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transfer line 3130 for spraying the solution;

이동용 대차의 정면에 설치되어 도로면의 색상을 센싱하는 컬러센서(3110)와;A color sensor 311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oving bogie to sense the color of the road surface;

상기 컬러센서의 출력결과 바닥면의 색상이 흑색이면 적색 위치 표시용액의 출력을 차단하고, 흰색이면 적색 위치 표시용액의 출력을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150)와;If the color of the bottom surface is black as a result of the output of the color sensor, the output of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is blocked, and if it is white, a control unit 315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output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 결과에 따라서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를 펌핑하여 적색 위치 표시용액이 출력되어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표시용액과 섞이면서 바닥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펌핑수단(31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cart,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result of the control unit, the container for storing the red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is pumped, and the red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is output, mixed with the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output from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and output to the flo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pumping means 3140 to b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컬러센서(3110)를 작동시켜 도로 바닥면을 센싱하고 그 센싱결과 흰색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150)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펌핑수단(3140)을 작동시켜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3120)에 탑재된 적색 위치 표시용액을 출력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color sensor 3110 is operated to sense the road surface, and when the sensing result is determined to be white, the control unit 3150 operates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pumping means 3140 to obtain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loaded in the storage container 3120 is output.

그러면 적색 위치 표시용액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이송용 라인(313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적색 위치 표시용액은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3040a, 3040b)에 도달하여 백색의 위치 표시용액과 섞이면서 적색의 위치 표시용액이 도로에 분사되도록 한다.Then,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moves along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transfer line 3130, and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reaches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withdrawal hoses 3040a and 3040b and is mixed with the white position display solution to reach the red position. Let the marking solution be sprayed on the road.

다시말해서, 본 발명은 도로면의 색상을 센싱하여 이에 적절하게 적색을 부가하여 분사시킴으로서 별도로 위치 표시용액 색상에 신경쓰지 않고 표시라인 표시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displaying the display line without separately paying attention to the color of the location display solution by sensing the color of the road surface and appropriately adding and spraying red.

한편, 본 발명은 작업구간에 오염요인이 있는 경우 이를 채크하는 장치를 이동용 대차의 상부 일단에 더 부가설치할 수 있는바,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부재(3510)와, 상기 파이프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여과기(3520)와, 상기 제 1 여과기(3520)와 이격되어 상기 파이프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여과기(3530)와, 상기 제 2 여과기(3530)와 이격되어 상기 파이프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3 여과기(3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여과기(3520)와 제 2 여과기(3530) 사이에는 상기 제 1 여과기(352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1 촉매제(3540)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여과기(3530)와 제 3 여과기(3550) 사이에는 상기 제 2 여과기(353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2 촉매제(356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 contamination factor in the work section, a device for checking it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trolley for transportation. And, a first filter 3520 disposed inside the pipe member 3510, a second filter 3530 disposed inside the pipe member 351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lter 3520, It includes a third filter 3550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lter 3530 and disposed inside the pipe member 3510, and between the first filter 3520 and the second filter 3530, the first filter 3520 ) is filled with a first catalyst 3540 that reacts with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and between the second filter 3530 and the third filter 3550 there is a second filter that reacts with 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 35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talyst 3560 is filled.

상기 파이프부재(3510)는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 1 여과기(3520)와 제 2 여과기(3530)와, 제 3 여과기(3550) 및 제 1, 2 차 촉매제(3540, 3560)를 수용한다.The pipe member 3510 is formed in a hollow pipe shape, and has the first filter 3520, the second filter 3530, the third filter 3550, and the first and second catalysts 3540 and 3560 therein. accept

여기서, 상기 파이프부재(3510)는 투명하게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제 2 촉매제(3560)가 변색되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Here, since the pipe member 3510 is formed transparently,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second catalyst 3560 accommodated therein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상기 여과기(3520, 3530, 3550)들은 통기성 고분자 화합물, 폴리우레탄 폼, 불소수지, 테프론 수지, 유리섬유, 폴리프로필렌 필터, 실리콘 플러그 등의 재질로 구성된다.The filters 3520, 3530, and 3550 ar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breathable polymer compound, polyurethane foam, fluororesin, Teflon resin, glass fiber, polypropylene filter, or silicone plug.

여기서, 상기 제 1 여과기(3520)는 상기 1 차 촉매제(3540)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 미세먼지, 간섭가스와 같은 불순물들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Here, the first filter 3520 serves to filter out impurities such as moisture, fine dust, and interference ga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first catalyst 3540.

또한, 제 2 여과기(3530)는 상기 제 1 여과기(3520)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촉매제(3540)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 3 여과기(3550)는 상기 제 2 여과기(3530)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촉매제(3560)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3530 serves as a support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first catalyst 3540 between the first filter 3520 and the third filter 3550. It is a configuration that serves as a support member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catalyst 3560 between the two filters 3530.

상기 제 1 촉매제는 수은, 염화수은, 황화수은, 수산화수은과 같은 수은 화합물 또는 황산구리, 초산납, 염화주석, 황화납, 아세트산납, 요오드 등과 같은 물질로 구성되며, 메틸머캡탄 가스와 만나게 될 경우 산 또는 염기성 기체를 생성하며,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산 또는 염기성 기체가 상기 제 2 촉매제(3060)쪽으로 스며들게 된다.The first catalyst is composed of a mercury compound such as mercury, mercury chloride, mercuric sulfide, or mercury hydroxide, or a material such as copper sulfate, lead acetate, tin chloride, lead sulfide, lead acetate, iodine, or the like. Alternatively, a basic gas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acid or basic gas permeates into the second catalyst 3060.

또한, 상기 제 2 촉매제(3060)는 브로모페놀블루(Bromophenol Blue), 브로모크레졸그린(Bromocresol Green), 브로모크레졸 퍼플, 메틸레드(Methyl Red), 페놀프탈레인(Phenolphthalein), 메틸오렌지, 티몰 블루(Thymol Blue), 페놀 레드(Phenol Red), 콩고 레드(Congo Red) 등과 같은 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1 차 촉매제가 메틸머캡탄 가스와 만나 생성된 산 또는 염기성 기체와 만날 경우 색깔의 변화를 일으키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atalyst 3060 is bromophenol blue, bromocresol green, bromocresol purple, methyl red, phenolphthalein, methyl orange, thymol blue It is composed of components such as (Thymol Blue), Phenol Red, Congo Red, etc., and when the primary catalyst meets acid or basic gas generated by meeting methyl mercaptan gas, it causes a color change. is composed of

여기서, 상기 제 2 촉매제(3060)는 글루코스, 실리카 겔, 실리카 샌드, 제올라이트, 규조토, 기능성 고분자 시브등으로 구성되는 다공성 지지체에 도포된 상태로 상기 제 2 여과기(3030)와 제 3 여과기(3050) 사이에 배치된다.Here, the second catalyst 3060 is coated on a porous support composed of glucose, silica gel, silica sand, zeolite, diatomaceous earth, functional polymer sieve, etc., and the second filter 3030 and the third filter 3050 placed between

상기 다공성 지지체로서는 상기와 같은 물질 이외에도 산-염기 반응에 있어서 안정한 무기화합물이나 유기화합물들이 이용될 수 있다.As the porous support, 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that are stable in acid-base reactions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제 1 촉매제가 메틸머캡탄 가스와 만나 생성되는 산 또는 염기성 기체가 상기 제 2 촉매제(3060)와 만나서 변색되는 범위(3062)를 확인함으로써, 악취 중에 포함된 메틸머캡탄 가스의 농도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hecking the range 3062 in which the acid or basic gas generated when the first catalyst meets the methyl mercaptan gas meets the second catalyst 3060 and discolors, the concentration of the methyl mercaptan gas included in the odor is determined. can be easily checked.

상기와 같이 변색되는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부재(3010)의 외부에 기준선(미도시)을 표시하여 변색되는 범위가 상기 기준선을 넘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함으로써, 악취의 농도가 기준 농도를 초과하는지를 간단히 알 수 있다.In order to check the range of discoloration as described above, a reference line (not shown) is marked on the outside of the pipe member 3010 to visually identify whether or not the range of discoloration exceeds the reference line, there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the odor to the reference concentration. It is easy to see if it exceeds .

100 :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110 : 측량 기준점 표지기
120 : 사용자 단말기
130 : 측량표지 관리서버
140 :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
210 : 기준점 첨두부
220 : 막대형 지지부
230 : 자기 마커
100: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10: survey reference point indicator
120: user terminal
130: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140: survey information database
210: reference point apex
220: bar support
230: magnetic marker

Claims (11)

지중에 설치된 지점의 위치 정보와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측량 기준 정보가 일정 형태의 코드로 표기되어 있는 QR 코드와, 자기 탐지기로 탐지하기 위한 일정 세기 이상의 자력을 가진 자기 마커(Magnetic Marker)를 구비하는 측량 기준점 표지기와;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에 구비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획득한 QR 코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측량표지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측량표지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QR 코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된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상기 QR 코드정보에 포함된 측량 기준 정보와 등록 측량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근거해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가 정상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측량표지 관리서버;
및 상기 QR 코드 정보에 대응되게 등록된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측량 기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측량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는 방열기능을 위해 방열부(1000)와, 공기 인입부(20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 인입부는 공기 통과용 홀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 통과용 홀은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다각형 형태로 제작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부는 전면부 방열패널과, 후면부 방열패널과, 공기 임시저장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부의 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부와과, 제 1 경사부와, 제 2 경사부와, 제 1 절곡부와, 제 2 절곡부와, 제 3 절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수직부는 전면부 방열패널의 1/5지점까지 수직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 1 경사부는 제 1 수직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우측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경사부는 제 1 경사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좌측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절곡부는 제 1 수직부와 제 1 경사부 사이에 존재하며 전면부 방열패널의 1/5지점에 위치되고 제 1 수직부와 제 1 경사부가 135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절곡부는 제 1 경사부와 제 2 경사부 사이에 존재하며 전면부 방열패널의 3/5 지점에 위치되고 제 1 경사부와 제 2 경사부가 서로 90도 직각으로 꺽이는 지점에 위치되고,
제 3 절곡부는방열부와 공기 인입부 사이에 존재하며 상호 90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되며,

상기 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선과, 제 1 경사선과, 제 2 경사선과, 제 1 절곡선과, 제 2 절곡선, 제 1 마감선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수직선은 후면부 방열패널의 1/5 지점까지 수직하게 배열하되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1 수직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경사선은 제 1 수직선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하되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1 경사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경사선은 제 1 경사선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가상의 수평라인을 기준으로 45도 각도로 좌측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배열하되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2 경사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절곡선은 제 1 수직선과 제 1 경사선 사이에 존재하며 후면부 방열패널의 1/5 지점에 위치되고 제 1 수직선과 제 1 경사선이 135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하되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1 절곡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절곡선은 제 1 경사선과 제 2 경사선 사이에 존재하며 후면부 방열패널의 3/5지점에 위치되고 제 1 경사선과 제 2 경사선이 서로 90도 직각으로 꺽이는 지점에 위치하되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2 절곡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마감선은 제 2 경사선의 하부 끝단부에 위치되며 전면부 방열패널의 제 3 절곡부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공기 인입부는 제 3 경사부와, 제 4 경사부와, 제 2 수직부와, 제 4 절곡부와, 제 5 절곡부로 구성하되;
상기 제 3 경사부는 방열부의 제 2 경사부에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90도 꺽어진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4 경사부는 제 3 경사부와 일체형으로 연결하되 가상의 수평라인으로부터 좌측 하부방향으로 45도 꺽어진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수직부는 제 4 경사부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하부 끝단부에 배열되고,
상기 제 4 절곡부는 제 3 경사부와 제 4 경사부 사이에 위치되며 제 3 경사부와 제 4 경사부가 90도로 꺽이는 지점에 위치되며,
상기 제 5 절곡부는 제 4 경사부는 제 2 수직부 사이에 위치되며 제 4 경사부와 제 2 수직부가 135도 꺽이는 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A QR code in which measurement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unique number of a point installed in the ground is marked in a code of a certain form, and a magnetic marker having a magnetic force of a certain strength or more to be detected by a magnetic detector (Magnetic Marker) a measurement datum marker;
The QR code information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QR code provided in the survey datum marker is transmitted to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egistration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survey datum marker corresponding to the QR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or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indicator is installed in a normal position;
When receiving the QR cod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gistered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corresponding to the QR code information is brought from the survey information database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or the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information a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that compares the registered survey reference information with the survey result and provides the user terminal with whether or not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is installed in a normal position;
And a survey information database that stores measurement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registered to correspond to the QR code information,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further includes a heat dissipation unit 1000 and an air inlet unit 2000 for a heat dissipation function; The air intake part is formed by further forming a hole for passing air, and the hole for passing air is made in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shape;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composed of a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 rear heat dissipation panel, and a temporary air storage space;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a first inclined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a first bent portion, a second bent portion, and a third bent portion;
The first vertical portion is vertically arranged up to 1/5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The first inclined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is arranged in a form inclined in a lower right direction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a virtual horizontal line,
The second inclined par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part and is arranged in a form inclined in a lower left direction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a virtual horizontal line,
The first bent portion is present between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is located at a point 1/5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nd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are bent at 135 degrees,
The second bent portion is present between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is located at a point 3/5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and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first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re bent at right angles of 90 degrees to each other,
The third bent portion exists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and the air inlet portion and is located at a point where each is bent at 90 degrees,

Th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includes a first vertical line, a first slanting line, a second slanting line, a first bending line, a second bending line, and a first finishing line;
The first vertical line is vertically arranged up to a point of 1/5 of th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bu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vertical part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The first slanting lin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vertical line and is arranged in a form inclined to the right at 45 degrees relative to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bu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inclined part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
The second slanting lin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slanting line and is arranged in an inclined form in a lower left direction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horizontal line,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lanted portion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ranged in a state
The first bending line exists between the first vertical line and the first inclined line and is located at the 1/5 point of the rear heat radiation panel, and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vertical line and the first inclined line are bent at 135 degrees, but the front heat radiation panel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first bent part,
The second bending line exists between the first inclined line and the second inclined line and is located at the 3/5 point of the rear heat radiation panel, and i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inclined line and the second inclined line are bent at right angles of 90 degrees to each other, but the front part Arrang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second bent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panel,
The first finishing line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lanting line and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hird bent part of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The air inlet includes a third inclined portion, a fourth inclined portion, a second vertical portion, a fourth bent portion, and a fifth bent portion;
The third inclined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but is arranged in a 90 degree bent form,
The fourth inclined par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third inclined part, but is arranged in a form bent by 45 degrees in the lower left direction from a virtual horizontal line,
The second vertical par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ourth inclined part and is arranged at the lower end,
The fourth bent part is located between the third inclined part and the fourth inclined part and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third inclined part and the fourth inclined part are bent at 90 degrees,
The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fth bent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ourth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and is located at a point where the fourth inclined portion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are bent at 135 degre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1000)의 후면부 방열패널(b)을 1개조 구비하여 접합하도록하되, 하나의 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선(1000g)과, 제 1 경사선(1000h)과, 제 2 경사선(1000i)과, 제 1 절곡선(1000j)과, 제 2 절곡선(1000k)과, 제 1 마감선(1000m)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선(1000g-1)과, 제 1 경사선(1000h-1)과, 제 2 경사선(1000i-1)과, 제 1 절곡선(1000j-1)과, 제 2 절곡선(1000k-1)과, 제 1 마감선(1000m-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 수직선(1000g)은 다른 제 1 수직선(1000g-1)과 접합하고, 제 1 경사선(1000h)은 다른 제 1 경사선(1000h-1)과 접합하며, 제 2 경사선(1000i)은 다른 제 2 경사선(1000i-1)과 접합하고, 제 1 절곡선(1000j)은 다른 제 1 절곡선(1000j-1)과 접합하며, 제 2 절곡선(1000k)은 다른 제 2 절곡선(1000k-1)과 접합하고, 제 1 마감선(1000m)은 다른 제 1 마감선(1000m-1)과 접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n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b)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1000 is provided and bonded, but one rear heat dissipation panel has a first vertical line 1000g, a first slanted line 1000h, and a second slanted line. (1000i), a first bending line (1000j), a second bending line (1000k), and a first finishing line (1000m),
The other rear heat dissipation panel has a first vertical line 1000g-1, a first slanted line 1000h-1, a second slanted line 1000i-1, a first bent line 1000j-1, It consists of a second bending line (1000k-1) and a first finishing line (1000m-1),
The first vertical line 1000g is joined to another first vertical line 1000g-1, the first slanted line 1000h is joined to another first slanted line 1000h-1, and the second slanted line 1000i is It is joined to another second inclined line (1000i-1), the first bending line (1000j) is joined to another first bending line (1000j-1), and the second bending line (1000k) is joined to another second bending line ( 1000k-1), and the first finish line (1000m) is characterized in that manufactured by bonding with the other first finish line (1000m-1)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1000)의 전면부 방열패널은 2분할하여 이루어지되, 하나의 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부(1000a)와, 제 1 경사부(1000b)와, 제 2 경사부(1000c)와, 제 1 절곡부(1000d)와, 제 2 절곡부(1000e)와, 제 3 절곡부(1000f)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전면부 방열패널은 제 1 수직부(1000a-1)와, 제 1 경사부(1000b-1)와, 제 2 경사부(1000c-1)와, 제 1 절곡부(1000d-1)와, 제 2 절곡부(1000e-1)와, 제 3 절곡부(1000f-1)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1개조(1000, 1000-1) 각각 구비하여 제 1 수직부(1000a)는 다른 제 1 수직부(1000a-1)와 접합하고, 제 1 경사부(1000b)는 다른 제 1 경사부(1000b-1)와 접합하며, 제 2 경사부(1000c)는 다른 제 2 경사부(1000c-1)와 접합하고, 제 1 절곡부(1000d)는 다른 제 1 절곡부(1000d-1)와 접합하며, 제 2 절곡부(1000e)는 다른 제 2 절곡부(1000e-1)와 접합하고, 제 3 절곡부(1000f)는 다른 제 3 절곡부(1000f-1)와 접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of the heat dissipation unit 1000 is made by dividing it into two parts, and one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1000a, a first inclined portion 1000b,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1000c. and a first bent portion 1000d, a second bent portion 1000e, and a third bent portion 1000f.
The other front heat dissipation panel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1000a-1, a first inclined portion 1000b-1, a second inclined portion 1000c-1, and a first bent portion 1000d-1. and a second bent portion 1000e-1 and a third bent portion 1000f-1,
Each of them is provided in one set (1000, 1000-1) so that the first vertical part (1000a) is joined to the other first vertical part (1000a-1), and the first inclined part (1000b) is the other first inclined part (1000b). -1), the second inclined part 1000c is joined to the other second inclined part 1000c-1, and the first bent part 1000d is joined to the other first bent part 1000d-1, , The second bent portion 1000e is joined to another second bent portion 1000e-1, and the third bent portion 1000f is made by joining another third bent portion 1000f-1.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인입부(2000)는 2분할하여 이루어지되, 하나의 공기 인입부는 제 3 경사부(2000a)와, 제 4 경사부(2000b)와, 제 2 수직부(2000c)와, 제 4 절곡부(2000d)와, 제 5 절곡부(2000e)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공기 인입부는 제 3 경사부(2000a-1)와, 제 4 경사부(2000b-1)와, 제 2 수직부(2000c-1)와, 제 4 절곡부(2000d-1)와, 제 5 절곡부(2000e-1)로 이루어지며,
이들을 1개조(2000, 2000-1) 각각 구비하여 제 3 경사부(2000a)는 다른 제 3 경사부(2000a-1)와 접합하고, 제 4 경사부(2000b)는 다른 제 4 경사부(2000b-1)와 접합하며, 제 2 수직부(2000c)는 다른 제 2 수직부(2000c-1)와 접합하고, 제 4 절곡부(2000d)는 다른 제 4 절곡부(2000d-1)와 접합하며, 제 5 절곡부(2000e)는 다른 제 5 절곡부(2000e-1)와 접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inlet 2000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one air inlet includes the third inclined part 2000a, the fourth inclined part 2000b, the second vertical part 2000c, and the fourth bent part. (2000d) and a fifth bent portion (2000e),
The other air inlet includes a third inclined portion 2000a-1, a fourth inclined portion 2000b-1, a second vertical portion 2000c-1, a fourth bent portion 2000d-1, It consists of a fifth bent portion (2000e-1),
Each of these is provided in one set (2000, 2000-1), so that the third inclined part (2000a) is joined to the other third inclined part (2000a-1), and the fourth inclined part (2000b) is joined to the other fourth inclined part (2000b). -1), the second vertical portion 2000c is joined to the other second vertical portion 2000c-1, and the fourth bent portion 2000d is joined to the other fourth bent portion 2000d-1, , The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fth bent portion (2000e) is formed by bonding with another fifth bent portion (2000e-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표지 관리서버의 주변에 오염물질이 발생할 경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오염물질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오염물질 처리수단은,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임시 저장함과 동시에 산화반응을 일으켜 열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4110)와,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4110)의 하우징 외부 중간지점에 설치되어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로 전자파를 방출함으로써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가열시키는 가열용 전자파 공급수단(4120)과,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의 하우징 외부 하단부에 설치되어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 내부로 전자파를 방출하되 장시간 전자파를 노출시켜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 내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산화용 전자파 공급수단(4130)과, 상기 오염물질 처리용 용기의 바닥면에 위치되어 전자파 공급수단의 전자파를 입력받아 오염물질을 산화시키기 위한 전자파 방열수단(4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is made by further comprising a pollutant treatment means for removing pollutants when pollutants are generated around the survey mark management server,
The pollutant treatment unit includes a pollutant treatment container 4110 for temporarily storing pollutants existing therein and converting them into thermal energy by causing an oxidation reaction at the same time, and a housing outer middle of the pollutant treatment container 4110. An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for heating (4120) installed at a point to heat pollutants present in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by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into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and installed at the outer lower end of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oxidizing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4130 that emits electromagnetic waves into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and exposes the electromagnetic waves for a long time to oxidize the pollutants present in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and the bottom of the container for treating pollutants. The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omagnetic wave heat dissipation means (4160) for oxidizing contaminants by receiving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located on the surfa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방열수단(4160)은,
승하강을 위한 원통형 용기(4161)와;
상기 원통형 용기의 내부에 슬라이딩에 결합되는 수직바 형태이며, 원통형 용기의 작동에 따라 위로 상승하거나 아래로 하강하는 동작을 하는 승하강 수단(4162)과;
상기 승하강 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패널 형태이며, 승하강 수단의 작동에 따라 위로 상승하거나 아래로 하강하는 동작을 하는 수평 지지패널(4163)과;
상기 수평 지지패널에 결합되는 수직바 형태이며, 수평 지지패널의 작동에 따라 위로 상승하거나 아래로 하강하는 수직 지지패널(4164)과;
상기 수직 지지패널에 결합되며 동시에 하부지지판(4167)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원통형 용기의 작동에 의해서 승하강 하면서 하부지지판에 승하강하며, 산화용 전자파 공급수단의 전자파에 영향을 받아 빛에너지를 방출하는 방열핀(4165)과;
상기 수직 지지패널과 발열핀 사이에 결합되어 방열수단 내부를 통해 오염물질에 에어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에어를 펌핑시키는 에어펌프(41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electromagnetic wave heat dissipation means 4160,
a cylindrical container 4161 for elevating and descending;
an elevating unit 4162 having a shape of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sliding inside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and moving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a horizontal support panel 4163 having a shape of a horizontal panel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unit and moving up or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unit;
a vertical support panel 4164, which is in the form of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anel and moves up or dow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anel;
It is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panel and at the same time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support plate 4167, rises and falls on the lower support plate while moving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rical container, and emits light energy by being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 of the electromagnetic wave supply means for oxidation. (4165) and;
An air pump 4166 coupled between the vertical support panel and the heating fin to pump air so that ai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ollutants through the inside of the heat dissipation means is includ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판(4167)의 일측에 설치되는 빛감지 센서(4168)와, 상기 빛감지 센서의 측정 결과에 따라 빛에너지가 기준 시간이상 발열핀에서 발생시에 발열핀을 지지판(4167)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위해 발열핀이 하강하도록 실린더(4161)를 제어하는 제어부(4169)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The light sensor 4168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pport plate 4167, and when light energy is generated from the heating pins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light sensor, the heating pins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upport plate 4167.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4169 for controlling the cylinder 4161 so that the heating fin descends in order to do s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기의 일측에 설치되며, 측량된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측량위치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측량위치 표시수단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측 또는 하부에 구름용 바퀴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바퀴는 전후 및 좌우로 자유롭게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용 대차(3010)와;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부에 뚜껑이 형성되고 하부에 도로 출력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일정 너비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측량 위치표시라인에 사용되는 위치표시 용액이 일정 깊이만큼 담기는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3020)와;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수직패널 및 수평패널을 결합하여 구성하며,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의 외측을 감싸서 이동용 대차가 도로면을 유동할시에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저장용기 장착용 구조물(3030)과;
상기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에 담기는 위치 표시용액을 일정량만큼씩 외부로 출력시키는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3040a, 3040b)와;
상기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의 끝단에 설치되며 출력단이 바닥면으로 향하게 설치되어 위치 표시용액을 도로 바닥면에 분사시키는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3050a, 3050b)와;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면 전단이나 후단에 한개 또는 두개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를 고정 설치하여 위치 표시라인이 바닥면에 그려지도록 유도하는 호스 및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 장착용 브라켓(3060a, 3060b)과;
상기 호스 및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 장착용 브라켓의 수평면과 수직면에 장공형태로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를 수납하되 필요한 지점의 장공에 수납이 가능토록하여 위치 표시라인의 너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토록 하는 거리조절 수단(3070)과;
상기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의 하단에 설치되며 위치 표시용액을 공급하거나 또는 위치 표시용액의 공급이 완료되어 차단할 필요가 있을때 밸브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 표시용액의 공급을 진행시키거나 또는 차단시키는 위치 표시용액 온오프 밸브(3080)와;
상기 위치 표시용액 출력장치의 일단에 설치되며, 호스를 통해 도로 바닥면으로 제공되는 위치 표시용액의 공급을 진행하거나 또는 차단할 필요가 있을때 밸브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 표시용액을 바닥면에 공급하거나 또는 공급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호스 온오프 밸브(309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rveying reference point marker and includes a surveying posi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surveyed position,
The measurement position display means,
It is mad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or square panel, and it is made by installing wheels for rolling on both sides or at the bottom, and the wheels are configured to freely move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cart, has a cylindrical or polygonal cylinder shape, a lid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 road output port is formed on the lower part, and a space part having a certain width is formed inside, and the space part is used for a survey position display line. a positioning solution temporary storage container 3020 in which the positioning solution is contained by a certain depth;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bogie, and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vertical panels and horizontal panels, and wraps the outside of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ing solution so that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ing solution does not shake when the movable bogie moves on the road surface. A storage container mounting structure 3030 that assists in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without interruption;
hoses 3040a and 3040b installed at the output end of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positioning solution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positioning solution contained in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positioning solution to the outside;
A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3050a, 3050b) installed at the end of the hose for withdrawing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and having an output end facing the floor to spray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to the road surface;
One or two are installed on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cart, and a hose and a positioning solution output device mounting bracket (3060a, 3060b) and;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long holes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urfaces of the bracket for mounting the hose and the positioning solution output device, and accommodates the positioning solution output device, but allows it to be accommodated in the long hole at the required point, there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positioning line. a distance adjusting unit 3070 that is freely adjustable;
I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and when the supply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r the supply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is completed and it is necessary to shut off, the valve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proceed with the supply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a position indicator solution on/off valve 3080 that is turned on or off;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output device, and when it is necessary to proceed or cut off the supply of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provided to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hose, rotate the valv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discharge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to the floor.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se on-off valve 3090 that serves to supply or block supply to the surfa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적색 위치 표시용액을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3120)와;
상기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에 연결 설치되어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로부터 제공되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을 인출하고, 출력단이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에 연결되어 위치 표시용액 인출용 호스를 통해 적색 위치 표시용액이 분사되도록하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이송용 라인(3130)과;
상기 이동용 대차의 정면에 설치되어 도로면의 색상을 센싱하는 컬러센서(3110)와;
상기 컬러센서의 출력결과 바닥면의 색상이 흑색이면 적색 위치 표시용액의 출력을 차단하고, 흰색이면 적색 위치 표시용액의 출력을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150)와;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제어부의 제어 결과에 따라서 적색 위치 표시용액 수납용 용기를 펌핑하여 적색 위치 표시용액이 출력되어 위치 표시용액 임시 저장용기로부터 출력되는 위치 표시용액과 섞이면서 바닥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적색 위치 표시용액 펌핑수단(3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storage container 312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cart and accommodating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It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for storing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and withdraws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provided from the container for storing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a line 3130 for transferring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to spray the position display solution;
a color sensor 311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oving bogie to sense the color of the road surface;
If the color of the bottom surface is black as a result of the output of the color sensor, the output of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is blocked, and if it is white, a control unit 315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output the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It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cart,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result of the control unit, the container for storing the red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is pumped, and the red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is output, mixed with the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output from the temporary storage container for the position indication solution, and output to the floor A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d position display solution pumping means 3140 to ensure tha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대차의 상부 일단에는 주변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여 기준 이상이면 작업자에 경고하기 위한 오염공기 측정키트(350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오염공기 측정키트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 부재(3510)와;
상기 파이프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여과기(3520)와;
상기 제 1 여과기(3520)와 이격되어 상기 파이프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여과기(3530)와;
상기 제 2 여과기(3530)와 이격되어 상기 파이프부재(35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3 여과기(35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여과기(3520)와 제 2 여과기(3530) 사이에는 상기 제 1 여과기(352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1 촉매제(3540)가 충진되고;
상기 제 2 여과기(3530)와 제 3 여과기(3550) 사이에는 상기 제 2 여과기(3530)를 통과한 기체와 반응하는 제 2 촉매제(3560)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적측량 표지정보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At one end of the upper part of the mobile cart, a polluted air measurement kit 3500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air condition and warn the operator if the air condition is higher than the standard;
The contaminated air measurement kit,
a pipe member 3510 having a flow path therein;
a first filter 3520 disposed inside the pipe member 3510;
a second filter 353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ilter 3520 and disposed inside the pipe member 3510;
It includes a third filter 3550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lter 3530 and disposed inside the pipe member 3510;
A first catalyst 3540 reacting with the gas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3520 is filled between the first filter 3520 and the second filter 3530;
Between the second filter 3530 and the third filter 3550, the second catalyst 3560 reacting with the gas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3530 is filled, characterized in that cadastral survey ma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20220058084A 2022-05-11 2022-05-11 A Survey Mark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2521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084A KR102521153B1 (en) 2022-05-11 2022-05-11 A Survey Mark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084A KR102521153B1 (en) 2022-05-11 2022-05-11 A Survey Mark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153B1 true KR102521153B1 (en) 2023-04-12

Family

ID=8598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084A KR102521153B1 (en) 2022-05-11 2022-05-11 A Survey Mark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153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04Y1 (en) * 2011-10-21 2013-03-18 주식회사 윌디앤테크 Positional information marker using qr-code
KR20140028335A (en) * 2012-08-28 2014-03-10 (주)코어다임 Server cooling control system using network
KR20160015341A (en) * 2016-01-20 2016-02-12 김평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arker information of cadastral survey
KR101994003B1 (en) * 2017-12-28 2019-06-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type tunnel lighting control method
KR102034122B1 (en) * 2018-11-23 2019-10-29 김민규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of design target equipment
KR102128540B1 (en) * 2020-03-06 2020-06-30 주식회사 에스피엔이 Cable array bracket of internet data center
KR102236153B1 (en) * 2020-08-05 2021-04-06 주식회사 하나엔지니어링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road using cloud server
CN216209941U (en) * 2021-11-06 2022-04-05 中科飞特(山东)科技有限公司 Accurate measurement positioning device for underground target objec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04Y1 (en) * 2011-10-21 2013-03-18 주식회사 윌디앤테크 Positional information marker using qr-code
KR20140028335A (en) * 2012-08-28 2014-03-10 (주)코어다임 Server cooling control system using network
KR20160015341A (en) * 2016-01-20 2016-02-12 김평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arker information of cadastral survey
KR101994003B1 (en) * 2017-12-28 2019-06-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type tunnel lighting control method
KR102034122B1 (en) * 2018-11-23 2019-10-29 김민규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implementation of design target equipment
KR102128540B1 (en) * 2020-03-06 2020-06-30 주식회사 에스피엔이 Cable array bracket of internet data center
KR102236153B1 (en) * 2020-08-05 2021-04-06 주식회사 하나엔지니어링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road using cloud server
CN216209941U (en) * 2021-11-06 2022-04-05 中科飞特(山东)科技有限公司 Accurate measurement positioning device for underground target obj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8107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aerial drone parcel transfers
US10801965B2 (en) Gas measurement system
US10162057B2 (en) Portable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relative positions
CN105874883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that automation for encoded light source comes into operation
AU2013292006B2 (en) Gas measurement system
JP3676342B2 (en) Spatial positioning
US1057058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grading operations based on data captured from site markers distributed across a worksite
CN102842013A (en) Rfid based guidance in remote locations
WO2015007929A1 (en) Signal for identifying traffic lights for computer vision
KR102521153B1 (en) A Survey Mark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N107202821A (en) The comprehensive detection machine people that imflammable gas for underground pipe gallery is monitored
WO2019117097A1 (en) Marker installation method and marker installation system
KR20160015341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arker information of cadastral survey
WO2012163081A1 (en) Intelligent road sign network system
KR101789208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ement platform for ground utilities and underground utilities with exploration and measurement
CN105180906B (en) Underground photogrammeter and its mapping method
JP4389814B2 (en) Pipeline search position specifying method, portable terminal, and pipeline search position specifying program
KR102412666B1 (en) A drawing machine for a road cutting line
KR20230158367A (en) control point instrumentation system
US20190361145A1 (en) Electronic marker with integral level indicator
KR20230158368A (en) Real Time Manuagemint System of Surveying Data
CN109669221B (en) Oil field underground metal pipeline detection system
KR20220154870A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underground pipe facilities
US202001424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tonomous marking apparatus
KR102564159B1 (en) System for measuring in civil engineering 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