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69B1 -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69B1
KR102520969B1 KR1020150158273A KR20150158273A KR102520969B1 KR 102520969 B1 KR102520969 B1 KR 102520969B1 KR 1020150158273 A KR1020150158273 A KR 1020150158273A KR 20150158273 A KR20150158273 A KR 20150158273A KR 102520969 B1 KR102520969 B1 KR 10252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movable
terminal device
movable pa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7136A (en
Inventor
김경종
홍승교
박양진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협진커넥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협진커넥터(주)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84,901 priority Critical patent/US9768537B2/en
Publication of KR2016011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1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접속 단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구비되어 눌리거나 들림에 따라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및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As various embodiments related to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 movable par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as it is pressed or lifted;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limi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by pressing; and anti-lifting par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In addition,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Description

접속 단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Connection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실장되는 접속 단자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일반적으로,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테블릿 PC, 갤럭시텝, 아이패드 및 전자책 단말기와 다양한 전자 장치들에는 외부 리이드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접속 단자 장치가 적용된다.In general,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is applied to a mobile phone, an MP3 play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tablet PC, a galaxy tab, an iPad, an e-book reader, and various electronic devices to electrically connect to an external lead wire.

이러한 접속 단자 장치는 기판 측에 고정되는 바닥판과, 상하 가동 가능한 구조로 대상물과 접속하는 가동부가 전체적으로 C-클립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는 대상물과 직접 접점을 이루는 접속부와, 접속부에 접속이 가해지는 경우에 접속부에 탄성을 부여해주는 탄성부와, 접속부와 탄성부를 이어주는 흡착면으로 구성된다.This connection terminal device has a C-clip shape as a whole with a bottom plate fixed to a substrate side and a movable part connected to an object in a vertically movable structure. Here, the movable part is composed of a connection part that makes direct contact with the object, an elastic part that gives elasticity to the connection part when the connection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a suction surface connecting the connection part and the elastic part.

상기 접속 단자 장치는 외부 대상물이 접속부에 접속되면 탄성부의 탄성 변형을 통해 변형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접속부의 평형을 유지시켜 원활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전자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When an external objec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can properly distribute the deformation load through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rt, and also electrically connects electronic components while maintaining the balance of the connection part so that smooth connection can be made. function to give.

그러나, 종래 C-클립 형태 접속 단자 장치는 접속부가 바닥판과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한 쪽 끝부분이 구속되지 않은 자유단 형태를 이루고 있어, 접속부의 위에서 아래로 가해지는 외력 또는 아래에서 위로 가해지는 외력 또는 접속부의 앞쪽(정면), 옆쪽(측면)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접속부를 포함한 가동부 전체가 아래로 과도하게 눌려지거나 또는 위로 과도하게 들어 올려지거나 또는 옆으로 과도하게 비틀려짐으로써,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에 따른 접속불량이 자주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clip type connection terminal device, the connection part forms a free end that is not constrain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ttom plate, so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connection part Or,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front (front) or side (side) of the connection, the entire movable part including the connection is excessively pressed downward, or excessively lifted upward, or excessively twisted sideways.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connection failure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frequently occurred.

더욱이, 종래의 접속 단자 장치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눌림 작용에 의해 탄성부의 탄성력이 점차적으로 저하되어 접속부의 복원력이 떨어지면서 안정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나아가 탄성부의 탄성 한계를 넘어서는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탄성부의 소성 변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접속부가 최초 위치로 복원될 수 없게 되어 외부 대상물과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more, in the conventional connection terminal devic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is gradually lowered due to the continuous and repeated pressing action, so that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nnecting part is lowered and stable connection is not made, furthermore, excessive external force exceeding the elastic limit of the elastic part is applied In this case, p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rt occurs, and as a result, the connection part cannot be restored to its initial position,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object is not made.

결국, 접속 단자 장치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향의 외력으로부터 가동부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여 접속 단자 장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접속 단자 장치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눌림 작용에 따른 탄성부의 탄성력 저하 및 상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As a result, the abnormal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is limited from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erminal device in various directions to prevent the terminal device from being deformed, and furthermor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is reduced and lost due to the continuous and repeated pressing action of the terminal device. We want to implement a device that can prevent it in advance.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보호 벽체에 가동부의 눌림 이동 및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방지부들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의 외력으로부터 가동부의 비정상적인 이동을 제한하여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눌림 이동 및 들림 이동에 따른 제품의 탄성력 저하 및 상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접속 단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prevention parts for limiting the pressing and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on the protective wall, abnormal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from external force in various directions is limite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product, and repeated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deterioration and loss of elastic force of a product due to pressing and lifting movement,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구비되어 눌리거나 들림에 따라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및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 movable par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as it is pressed or lifted;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limi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by pressing; and anti-lifting uni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 및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unit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lifting prevention uni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s to prevent the movable par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s;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in a pressing direc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unit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n anti-lifting unit may be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눌림 방지부; 상기 가동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의 일단이 상기 바닥판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눌림 방지부; 및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firs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ntacted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 second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able unit and limiting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by contacting one end of the movable unit with the bottom plate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and anti-lifting par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s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접속 단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 및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unit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lifting prevention uni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s to prevent the movable par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s;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in a pressing direc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접속 단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및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unit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nd anti-lifting par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s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접속 단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눌림 방지부; 상기 가동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의 일단이 상기 바닥판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눌림 방지부;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firs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ntacted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 second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able unit and limiting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by contacting one end of the movable unit with the bottom plate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An anti-lifting unit may be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고정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들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및 상기 측면판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상기 측면판들 및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xing plate; Front plates provided on and coupled to fron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s;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protrudes outwardly to extend within the fixing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nd an anti-lifting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plate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wherei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the side plates, and the front plate are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t may be combin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고정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들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측면판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상기 측면판들 및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xing plate; Front plates provided on and coupled to fron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s;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protrudes outwardly to extend within the fixing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It is provided on the side plate and includes an anti-lifting portion for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and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the side plates, and the front plate are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t may be combin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고정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xing plate;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들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가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상기 측면판들 및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Front plates provided on and coupled to fron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s;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protrudes outwardly to extend within the fixed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 lifting prevention part provided on the fixed plate and the movable part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to prevent the movable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and including the bottom plate, the fixed plate, the side plates, and the front plate. may be combin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고정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들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및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가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상기 측면판들 및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xing plate; Front plates provided on and coupled to fron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s;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protrudes outwardly to extend within the fixed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nd an anti-lifting portion provided on the fixing plate and the movable portion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wherei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the side plates, and the front surface The plates may be coupl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가동부의 전면 및 측면을 보호해 주는 보호 벽체에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서 가동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를 구성하여 가동부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눌림 작용이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눌림 동작이 탄성부에 전달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어, 탄성부의 탄성력이 저하 및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변형 불량 및 접속 불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 protective wall that protects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movable part supports the movable part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part and at the same time forms an anti-pressing part that limits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so that even if the movable part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press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ect of such a pressing operation transmitted to the elastic part, thereby preven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from being lowered or lost, thereby reducing deformation defects and poor connection of the product.

또한, 보호 벽체에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구성하여 가동부가 과도하게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동부의 아래에서 위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가동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movable part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by constructing a lifting prevention part for limit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on the protective wall, and preventing the movable part from being deform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movable part.

또한, 바닥판, 고정판, 측면판들 및 전면판을 서로 요철 구조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외력에 의한 제품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제품의 상부방향(예컨데 Z축방향) 또는 전방방향(예컨데, X축방향)으로 전달되는 외력의 분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the side plates, and the front plate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product due to external force, as well as in the upward direction (eg, Z-axis direction) or forward direction of the product ( For example, the dispers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in the X-axis direction) can be facilitated.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구성 중 눌림 방지부 및 들림 방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동작 후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구성 중 바닥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구성 중 납땜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는 도 19의 B부 확대 사시도.
도 21은 도 19의 A-A'선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ront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pressing preventing part and a lifting preventing part among configurations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after an ope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14;
1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plate among configurations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8 is a view showing a soldering hole among configurations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B of FIG. 19;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9;
22 is a cu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erms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based on the intention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or precedent,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may vary.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erms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overall content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적용예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1 audio layer-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application examples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operate based on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as well as video phones and electronic books. Reader (e-book reader), laptop PC (laptop personal computer), netbook computer (netbook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MPEG-1 audio layer-3) player, mobile Medical devices, cameras, or wearable devices such as head-mounted-devices (HMDs) such as electronic glasses, electronic clothing, electronic bracelets, electronic necklaces, electronic appcessories, electronic tattoos, Alternatively, it may include 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 watches, multimedia devices, and application devices for them.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smart home appliance. Smart appliances include, for example, televisions, digital video disk (DVD) players, audio systems,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vacuum cleaners, ovens, microwave ovens, washing machines, air purifiers, set-top boxes, TV boxes (eg For exam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amsung HomeSync TM , Apple TV TM , or Google TV TM ), game consoles, electronic dictionaries, electronic keys, camcorders, or electronic picture frames.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various medical devices (eg,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mputed tomography (CT), a camera, an ultrasound device, etc.), a navigation device, and a GPS receiver. (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 (event data recorder), FDR (flight data recorder), automotive infotainment device, marine electronic equipment (eg, marine navigation system and gyrocompass), avionic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urity device, a vehicle head unit, an industrial or household robot, an automatic teller's machine (ATM) of a financial institution, or a point of sales (POS) of a store.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piece of furniture or building/structure includ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 electronic board, an 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a projector, or various other device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easuring devices (eg, water, electricity, gas, radio wave measuring devices, etc.).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부품들을 내장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An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one or a combination of the various devices described above. Also,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flexible device. In addi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vices.

도 1은 전자 장치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전자 장치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전자 장치(10)는 스마트 폰이나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가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의 구성 부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an electronic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eg, an electronic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a smart phone or a wearable device. Components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과 같이, 상기 전자 장치(10)의 전면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1)은 전자 장치(10)의 전면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1)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상기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가지고 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 메인메뉴 전환키,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메인메뉴 전환키는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1)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11d;Status Bar)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1)의 하부에는 홈키(11a), 메뉴 버튼(11b), 및 뒤로 가기 버튼(11c)이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a touch screen 11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 The touch screen 11 may occupy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ain home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 . The main home screen is the first scree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 when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turned on. Also, when the electronic device 10 has multiple pages of different home screens, the main home screen may be a first home screen among the multiple pages of home screens. Shortcut icons for executing frequently used applications, a main menu switching key, time, weather,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The main menu conversion key may display a menu screen on the touch screen 11 . In addition, a status bar (11d)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touch screen 11 to display conditions such as a battery charging state, received signal strength, and current time. A home key 11a, a menu button 11b, and a back button 11c may be formed below the touch screen 11 .

상기 홈키(11a)은 터치스크린(11)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11)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11a)이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1)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키(11a)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1)상에는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키(11a)은 상기 터치스크린(11)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메뉴 버튼(11b)은 터치스크린(11)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뒤로 가기 버튼(1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The home key 11a may display a main home screen on the touch screen 11 . For example, when the home button 11a is touched while a home screen different from the main home screen or menu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 the main home screen appears on the touch screen 11. A screen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home key 11a is touched while applications are running on the touch screen 11, the main hom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1. Also, the home key 11a may be used to display recently used applications or a task manager on the touch screen 11 . The menu button 11b may provide a connection menu that can be used on the touch screen 11 . The connection menu may include a widget addition menu, a background screen change menu, a search menu, an edit menu, an environment setting menu, and the like. The back button 11c may display a screen executed immediately before the currently executed screen or terminate the most recently used applica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의 전면 상단영역에는 제 1 카메라(12a)와, 조도 센서(12b), 근접 센서(12c) 또는 스피커(12d)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의 후면에는 제 2 카메라(13a), 플래시(flash)(13b) 또는 스피커(13c)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자 장치(10)가 배터리 팩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면, 상기 전자 장치(10)의 저면은 착탈가능한 배터리 커버(15)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rst camera 12a, an illuminance sensor 12b, a proximity sensor 12c, or a speaker 12d may be included in the upper front area of the electronic device 10. A second camera 13a, a flash 13b, or a speaker 13c may be inclu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 I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ttery pack is detachable, the bottom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a detachable battery cover 15 .

이하에서 설명될 전자 장치(10)는 앞서 언급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노트북, 넷북,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PC, 갤랙시 탭 및 아이패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10 to be described below may include any one of the aforementioned wearable devices, laptops, netbooks, smart phones, tablet PCs, galaxy tabs, and iPads. In this embodiment, it may be made of the smart phone.

더불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베젤 영역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좀더 키우면서 디자인을 고급스럽게 구현하거나,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하거나, 볼록하거나 오목한 디스플레이부를 구현하기도 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of the electronic device minimizes the bezel area to increase the display unit, implements a luxurious design, provides a flexible display unit, or implements a convex or concave display unit.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주변부가 밴딩되어, 화면 영역이 측면부까지 확대하여 사용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영역이 밴딩되어 측면부까지 구비됨에 따라 화면 영역을 확대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측면부에 별도의 화면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으로 고급스러움은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 1 화면 영역(View Area)과, 상기 제 1 화면 영역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제 2 화면 영역(View Area)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unit may be bent so that the screen area may be extended to the side surface. As the screen area of the display unit is bent and provided to the side portion, the screen area can be enlarged and used, or a separate screen can be used on the side portion, and luxury can be realized in terms of desig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includes a first screen area (View Area) and a second screen area (View Are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creen area.

앞서 언급한 상기 전자 장치(10)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270; 도 7에 도시됨)상에 접속 단자 장치(200; 도 4에 도시됨)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 장치는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 접속되는 접속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단자 장치는 앞서 언급한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속 단자 장치는 전기적 접속되는 접속 단자라면, 상기 개시된 전자 장치들이외에 다른 기기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aforementioned electronic device 10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shown in FIG. 4) on a board 270 (shown in FIG. 7)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s externally It may be made of a connection terminal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bject.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aforementioned electronic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s an electrically connected connection terminal, devices other than the disclosed electronic devices may be applied. Her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applying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1 실시예 ')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200)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200)의 후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ide,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200)는 바닥판(210)과, 가동부(220)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230)와, 눌림 방지부(233)와, 들림 방지부(240) 및 스토퍼부(250)를 포한한다.3 to 5,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includes a bottom plate 210, a movable part 220,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230, and an anti-pressing part. 233, a lifting prevention part 240 and a stopper part 250 are included.

상기 바닥판(210)은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된 기판(270; 도 7에 도시됨)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The bottom plate 210 is fixed to a substrate 270 (shown in FIG. 7 )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shown in FIG. 1 ).

상기 가동부(220)는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260; 도 7에 도시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바닥판(210)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어 있다.The movable part 220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1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260 (shown in FIG. 7)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상기 보호 벽체(230)들은 상기 가동부(220)를 보호하도록 상기 바닥판(210)의 측면 둘레에 구비되어 있다.The protective walls 230 are provided a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10 to protect the movable part 220 .

상기 눌림 방지부(233)는 상기 바닥판(210)과 상기 가동부(220)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가동부(220)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220)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보호 벽체(230)들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The anti-pressing part 233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210 and the movable part 220, and contacts as the movable part 220 is pressed to limit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220.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walls 230.

상기 들림 방지부(240)는 상기 가동부(220)가 상기 보호 벽체(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22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보호 벽체(230)들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The lifting prevention part 24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rotective walls 230 to limi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220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 230. .

상기 스토퍼부(250)는 상기 가동부(220)에 구비된 접속부(223)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바닥판(210)에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다.The stopper part 250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21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223 provided in the movable part 220 in the pressing direction.

상기 접속부(223)의 전면에는 상기 가동부(2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속부(223)도 함께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부(250)를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홈(223b)이 형성될 수 있다.A stopper groove 223b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223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23 moves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220 so that the stopper part 250 can be inserted and separated.

예를 들면, 상기 가동부(220)를 누름에 따라 상기 접속부(223)도 눌리고, 상기 접속부(223)의 스토퍼홈(223b)이 상기 바닥판(210)에 구비된 상기 스토퍼부(250)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부(250)는 상기 접속부(223)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한다.For example, as the movable part 220 is pressed, the connection part 223 is also pressed, and the stopper groove 223b of the connection part 223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part 250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210 At the same time, the stopper part 250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223 in the pressing direction.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250)는 ' n '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상기 스토퍼부(250)는 ' n ' 자 형상이외에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토퍼부(250)는 상기 스토퍼홈(223b)에 삽입 및 이탈되는 형성이라면, 다양한 변형실시예도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stopper part 250 may be formed in an 'n'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part 250 may be formed in a shape other than the 'n' shape. For example, if the stopper part 25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d separated from the stopper groove 223b,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may also be applied.

이와 같이, 상기 보호 벽체(230)에 상기 가동부(220)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233)를 구성하고, 상기 보호 벽체(230)에 가동부(22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240)를 구성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바닥판(210)에 상기 가동부(220)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250)를 구성함으로써, 가동부(220)에 반복적인 눌림 동작 및 들림 동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탄성력이 저하 및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의 변형 불량 및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nti-pressing part 233 for limiting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220 is formed in the protective wall 230, and the lifting prevention for limit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220 in the protective wall 230 By constituting the part 240, and additionally configuring the stopper part 25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220 in the pressing direction on the bottom plate 210, the movable part 220 is repeatedly pressed and lifted Even if this is continuously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and loss of elastic force,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defects and poor connection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가동부(220)는 탄성부(221)와, 접속부(223) 및 흡착면(22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221)는 상기 가동부(220)를 눌리거나 들릴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위로 둥굴게 구버려지게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221)는 ' '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223)는 상기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탄성부(221)에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속부(223)는 상기 보호 벽체(230)의 상부에서 돌출됨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흡착면(222)은 상기 탄성부(221)와 상기 접속부(223)를 일체로 어어지게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223)를 지지하도록 상기 탄성부(221)와 상기 접속부(223)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part 220 includes an elastic part 221, a connection part 223, and an adsorption surface 222. The elastic part 221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n an upwardly curved manner so a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movable part 220 can be pressed or lifted. For example, the elastic part 221 is formed in a ' ' shape. The connection part 223 extends upward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elastic part 221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223 protrudes from the top of the protective wall 23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suction surface 222 extends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art 221 and the connection part 223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part 221 and the connection part 223 so as to support the connection part 223. It is available.

상기 탄성부(221)는 타원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위로 둥들게 절곡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221)는 개시된 형상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221)는 가동부(2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다른 형상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탄성부(221)는 원형 또는 반구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lastic part 221 is formed to be bent upward in an elliptical or semi-elliptic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part 22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disclose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elastic part 221 may be variously applied as long as it has a different shape that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movable part 220 . For example, the elastic part 221 may have a circular or hemispherical shape.

상기 눌림 방지부(233)는 상기 탄성부(221)의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눌림 방지부(233)는 상기 탄성부(221)의 내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면(222)의 아래에 구비된다.The anti-pressing part 233 is located inside the elastic part 221 . For example, the anti-pressing part 233 is located inside the elastic part 221 and is provided below the suction surface 222 .

상기 보호 벽체(230)는 측면 벽체(231) 및 전면 벽체(232)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벽체(231)는 상기 가동부(220)의 측면을 보호해 주도록 상기 바닥판(210)의 양측면에 수직,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벽체(232)는 상기 가동부(220)의 전면을 보호해 주도록 상기 바닥판(210)의 전면에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protective wall 230 includes a side wall 231 and a front wall 232 . The side wall 231 is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210 to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part 220 . The front wall 232 is formed to be bent at a right angl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10 to protect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part 220 .

상기 눌림 방지부(233)는 상기 측면 벽체(231)의 일단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220)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측면 지지대로 이루어져 있다.The anti-pressing part 233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side wall 231 and is configured as a side support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part 220 when pressed.

예를 들면, 상기 바닥판(210)의 양측면에 측면 벽체(231)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 벽체(231)들의 일단은 서로 맞주보게 수직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눌림 방지부(233)를 형성한다.For example, side walls 23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210, and ends of the side walls 231 ar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to form the anti-pressing portion 233.

상기 들림 방지부(240)는 절개부(243)와, 걸림부(242) 및 걸림쇠(241)를 포함한다. 상기 절개부(243)는 후술하는 상기 걸림부(242)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벽체(23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42)는 후술하는 상기 걸림쇠(241)로부터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243)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쇠(241)는 상기 접속부(223)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242)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223)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243)는 상기 접속부(223)가 위치한 상기 측면 벽체(231)의 일부분에서 상기 측면 벽체(231)의 위쪽 끝부분을 제외한 상기 측면 벽체(231)와 상기 바닥판(210)의 전체로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anti-lifting part 240 includes a cutout 243, a hooking part 242, and a hooking member 241. The cutout 243 is formed on the side wall 231 to form the hanging portion 242 to be described later. The hooking part 242 is formed in the cutout 243 so that it can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hook 241 to be described later. The clasp 241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223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223 so that it can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clasp 242 . The cutout 243 is the entirety of the side wall 231 and the bottom plate 210 excluding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31 from a portion of the side wall 231 where the connection part 223 is located. It is formed by incising to continuously lead to.

또한, 상기 보호 벽체(230)는 상기 절개부(243)를 통해 전, 후 분할되는 터널(Tunnel)형 보호 벽체(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 벽체(230)는 상기 절개부(243) 앞쪽에 위치한 상기 측면 벽체(231)의 아래쪽 끝부분이 상기 바닥판(210)까지 연장되어 상기 기판(270; 도 7에 도시됨)에 납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wall 230 may be formed of a tunnel-type protective wall 230 divided before and after through the cutout 243 . In the protective wall 230,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31 located in front of the cutout 243 extends to the bottom plate 210 and is soldered and fixed to the board 270 (shown in FIG. 7). it is meant to be

이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10)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stat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앞서 언급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속 단자 장치(200)는 기판(260; 도 6에 도시됨) 측에 고정되는 바닥판(210)과, 외부 대상물(270; 도 6에 도시됨)과의 접속에 따라 상하 가동이 이루어지는 가동부(220)가 전체로 C-클립 형태의 접속 단자 장치(200)의 기본 구조를 이루면서 접속 단자 장치(200)의 전면 및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차단하는 보호 벽체(230)를 더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보호 벽체(230)에는 가동부(220)가 과도하게 아래로 눌리는 것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233)와 가동부(220)가 과도하게 위로 들려지는 것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240)가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mentioned abov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210 fixed to a substrate 260 (shown in FIG. 6) and an external object 270 (shown in FIG. 6).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while the movable part 220, which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with It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wall 230 blocking the. In particular, the protective wall 230 is provided with an anti-pressing part 233 for limiting excessive downward pressing of the movable part 220 and a lifting preventing part 240 for limiting excessive upward lifting of the movable part 220 do.

상기 가동부(220)는 바닥판(210)의 후면에서 위로 절곡되어 바닥판(210)과 서로 마주보는 자세로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 형태를 이루는 구조로 외부 대상물과 접속 및 접속 해제 시에 상하 가동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동부(220)는 탄성부(221), 흡착면(222) 및 접속부(223)가 바닥판(210)의 후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The movable part 220 is bent up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10 to face each other with the bottom plate 21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not fixed and forms a free end, and when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an external object It is a configuration that moves up and down in In this movable part 220, the elastic part 221, the suction surface 222, and the connection part 223 are continuously connec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10.

상기 탄성부(221)는 바닥판(210)의 후면에서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위로 둥글게 구부러진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를 이루면서 접속부(223)에 외부 대상물(260; 도 6에 도시됨)이 접속시에 탄력적으로 변형되고, 접속 해제 시에 접속부(223)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part 221 has a certain radius of curvature at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10 and has a semicircular or semielliptical shape bent upward, and when an external object 260 (shown in FIG. 6)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23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erves to restore the connection part 223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상기 흡착면(222)은 탄성부(221)의 끝부분에서 바닥판(210)과 나란하게 수평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흡착면(222)은 탄성부(221)와 접속부(223)를 수평으로 이어주면서 상기 접속 단자 장치(200)를 기판(270; 도 6에 도시됨)에 실장하는 SMD 공정시에 흡착노즐(미도시)을 통해 흡착되는 면적을 제공한다.The suction surface 222 extends horizontally parallel to the bottom plate 210 at the end of the elastic part 221 . The adsorption surface 222 is an adsorption nozzle during the SMD process of mounting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on a substrate 270 (shown in FIG. 6) while connecting the elastic part 221 and the connection part 223 horizontally. (not shown) to provide an adsorbed area.

상기 접속부(223)는 외부 대상물(260; 도 6에 도시됨)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탄성부(221)로부터 수평 연장되는 흡착면(222)의 끝부분에서 상향 경사진 자세를 취하면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면서 상단이 위로 볼록한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 형상을 가지고 그 끝부분이 바닥판(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The connection part 223 is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260 (shown in FIG. 6), and is inclined upward at the end of the suction surface 22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elastic part 221 while taking an upwardly inclined posture. It has a semicircular or semielliptical shape with an upper end convex upwar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nd its end extends in a direction toward the bottom plate 210.

이러한 상기 접속부(223)의 윗면에는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평탄한 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2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소정의 면적으로 이루어진 평탄한 면, 예를 들면 상기 엠보싱(223a)을 통해 외부 대상물(260; 도 6에 도시됨)측과 접촉하게 되므로서,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접속성능의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게 된다. An embossing 223a protruding to a fla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223, and an external object is formed through the flat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example, the embossing 223a. (260; shown in FIG. 6),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contact area, and eventually lead to improved connection performance.

상술한 흡착면(222)과 접속부(223)는 탄성부(221)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부분이지만 탄성부(221)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이는 상기 바닥판(210)의 양 측면으로부터 보호 벽체(230)가 수직 절곡되더라도 상기 흡착면(222)과 상기 접속부(223)가 보호 벽체(230) 사이에 위치하여 가동부(220)의 가동 시에 보호 벽체(23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가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aforementioned adsorption surface 222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3 are continuously connected from the elastic portion 221, but have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elastic portion 221. This is because even if the protective wall 230 is vertically bent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210, the adsorption surface 222 and the connection part 223 are located between the protective wall 230 and the movable part 220 operates. This is to ensure that it can be operated naturally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by the protective wall 230.

상기 보호 벽체(230)는 상기 바닥판(210)으로부터 위로 일정 높이 수직 절곡되어 가동부(220)로 가해지는 외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동부(220)의 측면을 보호해주는 측면 벽체(231)와 가동부(220)의 전면을 보호해 주는 전면 벽체(232)로 구성된다.The protective wall 230 serves to block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part 220 by being vertically bent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210 at a certain height, and the side wall 231 protecting the side of the movable part 220 and It consists of a front wall 232 that protects the front of the movable part 220.

상기 측면 벽체(231)는 상기 바닥판(210)의 폭 방향 양쪽 끝부분에서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탄성부(221)를 제외한 가동부(220)의 길이 전체를 막아준다. 이때, 상기 측면 벽체(231)는 가동부(220)를 이루는 흡착면(222)을 이루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H)로 연장된다. 상기 측면 벽체(231)의 상면과 흡착면(222)이 동일한 높이로 일치함으로서, 작업자가 흡착면(222)의 평탄도, 예를 들면 상기 흡착면(222)의 수평면을 이루어지는 것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side wall 231 is bent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bottom plate 210 in the width direction, and blocks the entire length of the movable part 220 except for the elastic part 221. At this time, the side wall 231 extends to the same height H as the height of the adsorption surface 222 constituting the movable part 220 . Since the top surface of the side wall 231 and the suction surface 222 coincide at the same height, the flatness of the suction surface 222, for example,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suction surface 222, can be easily seen by the operator. You can check.

이는 상기 흡착면(222)이 수평면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 SMD 공정 시에 노즐의 흡착이 잘 이루어지 않기 때문에 흡착면(222)이 수평하게 제작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it is important that the adsorption surface 222 is manufactured horizontally because adsorption of nozzles does not occur well during the SMD process when the adsorption surface 222 does not form a horizontal surface.

상기 전면 벽체(232)는 측면 벽체(231)의 전면 끝부분에서 접속 단자 장치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접속부(223)의 앞쪽을 막아준다.The front wall 232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wall 231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to block the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223 .

이러한 상기 보호 벽체(230)는 바닥판(2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측면 벽체(231)와 측면 벽체(231)의 앞쪽에서 수직으로 꺽이는 전면 벽체(232)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맞주보게 좌, 우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In the protective wall 230, the side wall 23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210 and the front wall 232 bent vertically in front of the side wall 231 face each other in a symmetrical form. It consists of a pair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이러한 상기 보호 벽체(230)는 가동부(220)를 충분히 가릴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부(220)에서 수평을 이루는 흡착면(222)보다 높은 높이로 접속부(223)의 앞쪽 끝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The protective wall 230 has a height sufficient to cover the movable part 220 . Preferably, the movable part 220 has a height that can cover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art 223 at a height higher than the horizontal adsorption surface 222 .

본 발명은 상술한 보호 벽체(230)를 통해 접속 단자 장치(200)의 여러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가동부(220)를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동부(220)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눌림 작용으로 인해 탄성부(221)가 변형되는 영향을 줄여서 탄성부(221)의 탄성력 저하 또는 상실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movable part 220 from external forces applied in various direction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tective wall 230,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ing action continuously and repeatedly applied to the movable part 220 Therefore, the deterioration or loss of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221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reducing the effect of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rt 221 .

이를 위해, 앞서 언급한 상기 보호 벽체(230)에는 가동부(220)의 아래에 위치하여 가동부(220)의 과도한 눌림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233)가 마련된다. To this end, the above-mentioned protective wall 230 is provided with an anti-pressing part 233 located under the movable part 220 to limit excessive pressing of the movable part 220 .

따라서, 가동부(220)의 눌림 시에 측면 벽체(231)로부터 연장된 상기 눌림 방지부(233)가 탄성부(221)의 위쪽을 일정한 힘으로 받쳐줌으로써, 가동부(220)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눌리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 눌림 작용이 탄성부(221)에 가해지는 영향이 줄어듬에 따라 탄성부(221)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movable part 220 is pressed, the anti-pressing part 233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231 supports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part 221 with a certain force, so that the movable part 220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pressed. Even when force is applied, as the impact of the pressing action on the elastic portion 221 is reduce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22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이러한 상기 눌림 방지부(233)는 바닥판(2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측면 벽체(231)의 뒤쪽에서 수직으로 꺽이는 서로 대칭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탄성부(221)의 안쪽에서 좌, 우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탄성부(221)는 좌우 한쌍을 이루는 눌림 방지부(233)에 좌우 균형을 이루면서 지지될 수 있다. The anti-pressing part 233 is vertically bent at the back of the side wall 23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210 and symmetrically facing each other, and left and right from the inside of the elastic part 221 It is made up of a pair, each of which is placed. Accordingly, the elastic part 221 can be supported while balancing left and right on the anti-pressing part 233 forming a left and right pair.

이때, 상기 눌림 방지부(233)는 측면 벽체(231)의 다른 부분보다는 낮은 높이를 가지고 탄성부(221)의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가동부(220)의 정상적인 가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nti-pressing part 233 has a lower height than other parts of the side wall 231 and is located below the elastic part 221 and does not affec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220. It is preferable to have a height do.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호 벽체(230)들의 측면에 가동부(220)가 과도하게 들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들림 방지부(240)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lifting prevention parts 240 that can prevent the movable part 22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are provided on the sides of the protective walls 230 .

예를 들면, 상기 들림 방지부(240)는 상기 외부 대상물(260; 도 6에 도시됨)이 상기 접속부(223)에 접촉시 상기 접속부(223)의 위에서 아래로 눌려지고, 이때, 다시 상기 외부 대상물을 상기 접속부(223)에서 이탈시 상기 접속부(223)는 탄성부(221)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에서 위로 들려지고, 상기 접속부(223)가 보호 벽체(230)의 걸림으로써, 상기 들림 방지부(240)는 가동부(220)가 과도하게 위로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가동부(220)가 상기 보호 벽체(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object 260 (shown in FIG. 6 ) contacts the connection part 223, the lifting prevention part 240 is pressed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connection part 223, and at this time, the external object 2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223 again. When the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223, the connection part 223 is lift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221, and the connection part 223 is caught by the protective wall 230, and the lifting prevention part 240 may prevent the movable part 22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upward, thereby preventing the movable part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 230 .

상기 들림 방지부(240)는 보호 벽체(230)에 형성된 걸림부(242)와 접속부(223)에 형성된 걸림쇠(241)로 구성된다.The anti-lifting part 240 is composed of a hooking part 242 formed on the protective wall 230 and a hooking member 241 formed on the connecting part 223.

상기 걸림부(242)는 접속부(223)가 위치한 측면 벽체(231)의 일측에서 측면 벽체(231)의 위쪽 끝부분을 제외한 높이 방향 전체로 상하 길게 절개된 절개부(243)를 통해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걸림부(242)는 접속부(223)가 위치한 측면 벽체(231)의 일측으로 상하 길게 절개된 절개부(243)의 위쪽을 이루는, 예를 들면 절개부(243)에서 절개되지 않은 상기 측면 벽체(231)를 위쪽 끝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이다.The hooking part 242 is formed through a cutout 243 that is cut vertically and long in the entire height direction except for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31 at one side of the side wall 231 where the connection part 223 is located. For example, the hooking part 242 forms the upper part of the cutout 243 that is cut vertically and long to one side of the side wall 231 where the connection part 223 is located, for example, It i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31.

상기 절개부(243)는 측면 벽체(231)와 바닥판(210) 전체로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절개된다. 이에 따라, 접속 단자 장치(200)는 절개부(243)를 기준으로 측면 벽체(231)와 바닥판(210)이 전후 분할된다.The cutout 243 is continuously cut throughout the side wall 231 and the bottom plate 210 . Accordingly,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the side wall 231 and the bottom plate 210 are divided forward and backward based on the cutout 243.

상기 절개부(243) 앞쪽에 위치한 측면 벽체(231)의 아래쪽 끝부분은 바닥판(210)까지 연장되어 SMD 실장 시에 상기 기판(270; 도 6에 도시됨)에 납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 벽체(230)는 분할된 앞쪽과 뒤쪽이 모두 기판에 납땜 고정됨으로써, 걸림쇠(241)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31 located in front of the cutout 243 extends to the bottom plate 210 and is soldered and fixed to the board 270 (shown in FIG. 6) during SMD mounting. In this way,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protective wall 230 are both soldered and fixed to the board, so that the clamp 241 can be fixed more firmly.

상기 걸림쇠(241)는 접속부(223)의 끝부분에서 접속부(223)의 폭 방향 외측, 예를 들면 측면 벽체(2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쇠(241)의 양쪽 끝부분이 걸림부(242) 아래의 절개부(243)에 위치한다.The latch 241 extends horizontally for a certain length from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23 to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223, for example, in a direction toward the side wall 231. Both ends of the clasp 241 are located in the cutout 243 below the clasp 242 .

본 발명은 접속부(223)와 측면 벽체(231)가 서로 걸리는 구조로 연계되어 있어, 예를 들면 상기 걸림부(242)와 걸림쇠(241)로 이루어진 들림 방지부(240)를 통해 가동부(220)의 아래에서 위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가동부(220)가 일정 높이 상승하다가 접속부(223)의 걸림쇠(241)가 측면 벽체(231)의 걸림부(242)의 아래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의 상승이 제한되고, 상기 가동부(220)의 과도한 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속부(223)의 걸림쇠(241)가 들림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242)에 걸림으로써, 상기 접속부(223)는 상기 측면 벽체(2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223 and the side wall 2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ructure that hangs, for example, the movable part 22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movable part 220 rises to a certain height, and then the hook 241 of the connection part 223 is caught under the hook part 242 of the side wall 231, further rising It is limited, and excessive lifting of the movable part 220 can be prevented.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22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ide wall 231 by lifting the hook 241 of the connection part 223 and being caught by the hooking part 242 at the same time.

또한, 접속부(223)의 끝단에 마련된 걸림쇠(241)가 측면 벽체(231)에서 개방부를 형성하는 절개부(243)를 통해 외측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부(220) 끝단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atch 241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23 can be easi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utout 243 forming the open part in the side wall 231,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movable part 220 can be easily confirmed. can

예를 들면, 가동부(220)가 보호 벽체(230)에 의해 둘려 쌓여 있는 경우에 외부에서 가동부(220) 끝단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242)를 구현하기 위한 측면 벽체(231)의 절개부(243)가 개방된 창문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때 접속부(223)의 끝단을 이루는 걸림쇠(241)가 절개부(243)에 위치됨으로써, 작업자가 가동부(220)의 끝단의 위치를 통해 접속 단자 장치(200)의 불량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movable part 220 is surrounded by the protective wall 230,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movable part 220 cannot be easi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but in this embodiment, the hooking part 242 is implemented. The cutout 243 of the side wall 231 may serve as an open window, and at this time, the catch 241 forming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23 is located in the cutout 243, so that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movable part ( 220),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is defective or not.

예를 들어, 접속부(223)의 끝단을 이루는 걸림쇠(241)가 절개부(243)의 상면을 이루는 걸림부(242)에 근접하게 위치된 경우에는 충분한 가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정상제품으로 판별할 수 있고, 또한 걸림쇠(241)가 절개부(243)의 너무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가동 거리를 확보할 수 없는 불량 제품으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hook 241 forming the end of the connecting part 223 is located close to the hooking part 242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utout 243,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product that can secure a sufficient operating distance. In addition, if the latch 241 is located too far below the cutout 243, it can be easily determined as a defective product that cannot secure a sufficient operating distance.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부(220)에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가동부(220)가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부(250)(50)가 더 포함된다.Meanwhile,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topper parts 250 and 50 for preventing the movable part 220 from being excessively pressed due to an abnormal external force being applied to the movable part 220 are further included.

예를 들면, 상기 스토퍼부는 접속부(223)를 밑에서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접속부(223) 바로 아래의 바닥판(210)에서 전체적으로 볼 때 ' n ' 자 형상을 갖도록 바닥판(210)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stopper part is a part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part 223 from below, and is integrally bent in the bottom plate 210 to have an 'n' shape when viewed as a whole from the bottom plate 210 immediately below the connection part 223 do.

이에 따라, 상기 가동부(220)에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져서 가동부(220)가 과도하게 하강하는 경우에는 접속부(223)가 스토퍼부(250)의 상단에 걸림에 따라 가동부(220)의 하강이 제한된다. Accordingly, when an abnorm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movable part 220 and the movable part 220 descends excessively, the descending of the movable part 220 is restricted as the connection part 223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part 250. .

이러한 스토퍼부(250)는 바닥판(210) 폭 전체로 절곡 형성될 수도 있지만 측면 벽체(231)의 간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절곡 형성할 수 있도록 바닥판(21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stopper portion 250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entire width of the bottom plate 210, but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210 so that it can be easily bent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side wall 231. desirable.

그리고 상기 접속부(223)의 전면에는 접속부(223)의 폭 방향 가운데에서 아래가 터진 구조로 상하 절개되어 상기 스토퍼부(250)의 간섭을 방지하는 스토퍼홈(223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접속부(223)는 가동 시에 스토퍼홈(223b)을 통해 스토퍼부(250)에 간섭을 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가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opper groove 223b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223, which is cut up and down in a structure where the bottom is opened in the middle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223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stopper part 250. Accordingly, the connection part 223 can move naturally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by the stopper part 250 through the stopper groove 223b during operation.

이때, 접속부(223)에 마련된 걸림쇠(241)는 스토퍼홈(223b)의 양 측면을 이루는 접속부(223)의 양 끝부분에서 측면 벽체(2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atches 241 provided on the connection part 223 extend horizontally from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art 223 forming both sides of the stopper groove 223b in a direction toward the side wall 231.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1 실시예 ' )에 의한 접속 단자 장치(200)에서 외부 대상물과 접속이 이루어지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in which a connection is made with an external object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6(a)는 접속 단자 장치(200)의 접속 초기 시점을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접속 단자 장치(20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c)는 접속 단자 장치(200)가 과도하게 들려지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6(a) shows the initial point of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FIG. 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is made, and FIG. 6(c) shows the connection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200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도 6(a)의 초기 시점의 경우, 접속 단자 장치(200)는 그 전체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바닥판(210)을 통해 상기 기판에 납땜 고정되어, 외부 대상물, 예를 들어 스마트폰 후면 커버에 내장된 NFC 안테나와 같은 외부 대상물과 초기 접속이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the initial point of FIG. 6 (a),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is soldered and fixed to the board through the bottom plate 210 in a state where the entirety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attached to an external object, for example, the rear surface of a smartphone. An initial connection is made with an external object such as an NFC antenna embedded in the cover.

도 6(b)의 접속 단자 장치(20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접속 시점)의 경우, 기판에 실장된 접속 단자 장치(200)의 가동부(220)는 접속부(223)와 외부 대상물이 접속이 이루어지면서 일정 높이 아래로 가동된다. 이때 탄성부(221)는 접속부(223)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면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다가 가동부(220)의 가동이 완료된 시점에는 측면 벽체(231)의 후면 끝부분에서 절곡된 눌림 방지부(233)의 상단에 지지된다. 6(b)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is connected (connection time point), the movable part 220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mounted on the boar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23 and an external object. As it is done, it is operated below a certain height.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221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absorbing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part 223,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220 is completed, the anti-pressing part 233 bent at the rear end of the side wall 231 ) is supported on top of

이와 같이, 외부 대상물과 접속부(223)의 접속에 따른 가동부(220)의 눌림 시에 눌림 방지부(233)가 탄성부(221)의 위쪽을 일정한 힘으로 지지해줌으로써, 상기 가동부(220)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눌리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 눌림 작용이 탄성부(221)에 가해지는 영향이 줄어듬에 따라 탄성부(221)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movable part 220 is pressed due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object and the connection part 223, the anti-pressing part 233 supports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part 221 with a constant force, so that the movable part 220 Even if a pressing force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applied, as the effect of the pressing action on the elastic part 221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221 from being lowered.

나아가, 도 6(b)의 접속 상태에서 가동부(220)에 비정상적인 외력,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지면에 떨어지는 충격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가동부(220)가 더 하강하는 경우에도, 가동부(220)는 그 뒤쪽이 상기 눌림 방지부(233)에 지지된 상태로 하강하기 때문에 가동부(220)에 가해지는 비정상적인 외력이 탄성부(221)로 전달되는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탄성부(221)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가동부(220)는 눌림 방지부(233)를 지지점으로 하여 눌림 방지부(233)의 앞쪽에 위치한 가동부(220)는 아래로 더 하강하면서 스토퍼부(250)의 상단에 걸리면서 더 이상의 하강이 제한된다.Furthermore, even when the movable part 220 further descends as an abnormal external force, for example, an abnormal external force, such as an impact of a smartphone falling to the ground, is applied to the movable part 220 in the connected state of FIG. 6 (b), the movable part Since the back of the 220 descend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anti-pressing part 233, the effect of an abnormal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part 220 being transmitted to the elastic part 221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effect of the elastic part Excessive deformation of (221) can be prevented. In this state, the movable part 220 uses the anti-pressing part 233 as a support point, and the movable part 220 located in front of the anti-pressing part 233 descends further downward while being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part 250, further descending this is limited

한편, 도 6(c)와 같이, 탄성부(221)에 의해 접속부(223)가 아래에서 위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보호 벽체(230)들의 측면에는 상기 가동부(22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24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들림 방지부(240)는 절개부(243)와, 걸림부(242) 및 걸림쇠(241)로 구성되고, 이 상태에서, 가동부(220)가 일정 높이 상승하다가 상기 접속부(223)의 끝단에 마련된 걸림쇠(241)가 측면 벽체(231)에서 절개부(243) 윗면을 이루는 걸림부(242)의 아래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의 상승이 저지되됨에 따라 가동부(220)가 과도하게 들어 올려지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c),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connection part 223 by the elastic part 221,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220 is appli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230. Since the lifting prevention part 240 is provided, the lifting prevention part 240 is composed of the cutting part 243, the holding part 242 and the holding part 241, and in this state, the movable part 220 While rising to a certain height, the hook 241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223 is caught under the hook part 242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utout 243 on the side wall 231, so that further rise is prevented. Accordingly, excessive lifting of the movable part 220 is preven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동부(220)의 전면 및 측면을 보호해 주는 보호 벽체(230)에 가동부(220)의 과도한 눌림을 방지하는 눌림 방지부(233)와 가동부(220)의 과도한 들림을 방지하는 들림 방지부(240)를 마련함으로써, 접속 단자 장치의 사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접속 단자 장치(2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탄성부(221)의 탄성력이 저하 및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변형 불량이 발생되는 않게 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nti-pressing part 233 that prevents excessive pressing of the movable part 220 to the protective wall 230 that protects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movable part 220 and prevents the movable part 22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By providing the anti-lifting portion 2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200 from being deformed from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all direction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and furthermore, to preven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221 from being reduced or lost. This can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deformed or defectiv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3과 같이,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구비되어 눌리거나 들림에 따라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및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mentioned above,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 movable par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as it is pressed or lifted;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limi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by pressing; and anti-lifting uni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 및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unit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lifting prevention uni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s to prevent the movable par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s;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in a pressing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위로 둥글게 구부려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부를 눌리거나 들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를 일체로 이어지게 연장되는 흡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part, as well as being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be bent upwards, as well as an elastic part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press or lift the movable part; a connecting portion that extends upward to the elastic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and a suction surface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extends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는 타원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위로 둥글게 절곡되고, 상기 눌림 방지부는 상기 탄성부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art may be bent upward in an elliptical or semi-elliptic shape, and the anti-pressing part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elastic part.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벽체는, 상기 바닥판의 양측면에 수직,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의 측면을 보호해 주는 측면 벽체; 및 상기 바닥판의 전면에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의 전면을 보호해 주는 전면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wall is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side wall of the movable portion; and a front wall that is formed to be bent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protects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unit.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눌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의 일단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측면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pressing part may be formed as a side support that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side wall of the side wall and comes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part.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들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접속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prevention unit, the incision formed in the side wall; a holding portion formed in the incision; and a shackl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extending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catch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접속부가 위치한 상기 측면 벽체의 일부분에서 상기 측면 벽체의 위쪽 끝부분을 제외한 상기 측면 벽체와 상기 바닥판의 전체로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ision is formed by cutting continuously from a portion of the side wall where the connection is located to the entire side wall and the bottom plate except for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can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부의 전면에는 상기 접속부의 이동시 상기 스토퍼부를 삽입 및 이탈시키는 스토퍼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opper groov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to insert and detach the stopper part when the connection part moves.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부는 '∩'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pper portion may be formed in a '∩' shape.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벽체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전 후 분할되는 터널(Tunnel)형 보호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 벽체는 상기 절개부 앞쪽에 위치한 상기 측면 벽체의 아래쪽 끝부분이 바닥판까지 연장되어 상기 기판에 납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wall is made of a tunnel-type protective wall that is divided in front and rear through the incision, and the protective wall is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located in front of the incision. A portion may extend to the bottom plate and be soldered to the boar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 및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unit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lifting prevention uni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s to prevent the movable par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s;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in a pressing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 제 2 실시예 ' )에 따른 스토퍼부(250; 도 4에 도시됨)가 없는 접속 단자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250; 도 4에 도시됨)가 없는 접속 단자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300 without a stopper portion 250 (shown in FIG. 4) according to other various embodiments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300 without the stopper portion 250 (shown in FIG. 4) according to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300)는 바닥판(310)과, 가동부(320)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330)와, 눌림 방지부(333) 및 들림 방지부(340)를 포한한다. 7 and 8,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300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310, a movable part 320,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330, and an anti-pressing part 333. and a lifting prevention unit 340 .

상기 바닥판(310)은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된 기판(370; 도 9에 도시됨)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The bottom plate 310 is fixed to a substrate 370 (shown in FIG. 9 )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shown in FIG. 1 ).

상기 가동부(320)는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360; 도 9에 도시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바닥판(310)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어 있다.The movable part 320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1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360 (shown in FIG. 9)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상기 보호 벽체(330)들은 상기 가동부(320)를 보호하도록 상기 바닥판(310)의 측면 둘레에 구비되어 있다.The protective walls 330 are provided a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10 to protect the movable part 320 .

상기 눌림 방지부(333)는 상기 바닥판(310)과 상기 가동부(320)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가동부(320)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320)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보호 벽체(330)들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The anti-pressing part 333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310 and the movable part 320, and contacts as the movable part 320 is pressed to limit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320.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walls 330.

상기 들림 방지부(340)는 상기 가동부(320)가 상기 보호 벽체(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32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보호 벽체(330)들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The lifting prevention part 34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330 to limi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320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 3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 330. .

이와 같이, 추가적으로 스토퍼부(250; 도 4에 도시됨)가 없이 상기 보호 벽체(330)에 상기 가동부(320)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333)를 구성하고, 상기 보호 벽체(330)에 가동부(32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340)를 구성함으로써, 가동부(320)에 반복적인 눌림 동작 및 들림 동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탄성력이 저하 및 상실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의 변형 불량 및 접속 불량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an anti-pressing part 333 for limiting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320 is configured in the protective wall 330 without an additional stopper part 250 (shown in FIG. 4), and the protective wall 330 ) By configuring the lifting prevention unit 340 to limi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320, even if repetitive pressing and lifting operations ar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ovable unit 320, the reduction and loss of elastic force can be further preven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deformation defects and connection defects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가동부(320)는 탄성부(321)와, 접속부(323) 및 흡착면(322)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320)들의 구성들은 이미 앞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1 실시예 ' )에서 설명하여 생략한다.In addition, the movable part 320 includes an elastic part 321, a connection part 323, and an adsorption surface 322, and the configurations of the movable part 320 have already been previously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embodiment). Example ') to explain and omit.

상기 눌림 방지부(333)는 상기 탄성부의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눌림 방지부(333)는 상기 탄성부(321)의 내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면(322)의 아래에 구비된다.The anti-pressing part 333 is located inside the elastic part. For example, the anti-pressing part 333 is located inside the elastic part 321 and is provided under the suction surface 322 at the same time.

상기 보호 벽체(330)는 측면 벽체(331) 및 전면 벽체(332)를 포함한다.The protective wall 330 includes a side wall 331 and a front wall 332 .

상기 측면 벽체(331)는 상기 가동부(320)의 측면을 보호해 주도록 상기 바닥판(310)의 양측면에 수직,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side wall 331 is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310 to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part 320 .

상기 전면 벽체(332)는 상기 가동부(320)의 전면을 보호해 주도록 상기 바닥판(310)의 전면에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wall 332 is formed to be bent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310 so as to protect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part 320 .

상기 눌림 방지부(333)는 상기 측면 벽체(331)의 일단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320)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측면 지지대로 이루어져 있다.The anti-pressing part 333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side wall 331 and is formed as a side support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part 320 when pressed.

예를 들면, 상기 바닥판의 양측면에 측면 벽체(331)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 벽체(331)들의 일단은 서로 맞주보게 수직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눌림 방지부(333)를 형성한다.For example, side walls 33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ends of the side walls 331 ar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to form the anti-pressing portion 333 .

상기 들림 방지부(340)는 절개부(343)와, 걸림부(341) 및 걸림쇠(342)를 포함한다. 상기 절개부(343)는 후술하는 상기 걸림부(34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310) 및 상기 측면 벽체(33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341)는 후술하는 상기 걸림쇠(342)로부터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343)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쇠(342)는 상기 접속부(323)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341)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323)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The lifting prevention part 340 includes a cutout 343, a locking part 341, and a locking member 342. The cutout 343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310 and the side wall 331 to form the hanging portion 341 to be described later. The hooking part 341 is formed in the cutout 343 so that it can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hook 342 to be described later. The clasp 342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23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323 so that it can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clasp 341 .

상기 절개부(343)는 상기 바닥판(310)과 상기 측면 벽체(331)의 전, 후 분할시킬 수 있도록 분할홈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분할홈은 상기 바닥판(310)과 상기 측면 벽체(331)의 사이에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바닥판(310)과 상기 측면 벽체(331)을 측방향으로 관통시키는 터널형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utout 343 is made of a dividing groove so that the bottom plate 310 and the side wall 331 can be divided in front and back. For example, the divid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310 and the side wall 331 and at the same time, a tunnel-shaped groove passing through the bottom plate 310 and the side wall 331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be made with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300)의 구성 중 눌림 방지부(380) 및 들림 방지부(39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Also,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pressing prevention unit 380 and a lifting prevention unit 390 among configuration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various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눌림 방지부(380)는 상기 측면 벽체(331)의 상단면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320)를 누름에 따라 상기 가동부(320)의 아래면과 접촉되도록 상면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0, the anti-pressing part 380 is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331, and as the movable part 320 is pressed,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part 320 It may be made of an upper surface support so that it is in contact.

예를 들면, 상기 눌림 방지부(380)는 상기 측면 벽체(331)의 상단면에 수평 방향을 꺽임과 동시에 서로 대칭으로 맞주보게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눌림 방지부(333)의 상부에 상기 가동부(320)의 흡착면(322)이 놓여지고, 상기 흡착면(322)의 아래에는 상기 한쌍의 눌림 방지부(333)가 배치됨과 동시에 좌, 우 균형을 이루면서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ti-pressing part 380 is made of a pair so as to symmetrically face each other while bending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331. The suction surface 322 of the movable part 32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anti-pressing parts 333, and the pair of anti-pressing parts 333 are disposed below the suction surface 322, and the left , it can be supported in balance.

따라서, 상기 가동부(320)의 눌림 시에 측면 벽체(331)로부터 연장된 상기 눌림 방지부(333)가 흡착면(322)의 아래에서 일정한 힘으로 받쳐줌으로써, 가동부(320)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눌리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 눌림 작용이 흡착면(322)에 가해지는 영향이 줄어듬에 따라 상기 흡착면(322)에 연장으로 형성된 상기 탄성부(321)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movable part 320 is pressed, the anti-pressing part 333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331 supports the bottom of the suction surface 322 with a constant force, so that the movable part 320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Even if a pressing force is applied, as the effect of the pressing action on the adsorption surface 322 is reduce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321 formed as an extension of the adsorption surface 32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상기 들림 방지부(390)는 절개부(393)와, 제 1, 2 걸림부(391)(392) 및 걸림쇠(394)를 포함한다.The lifting prevention part 390 includes a cutout part 393, first and second hooking parts 391 and 392, and a hooking member 394.

상기 절개부(393)는 후술하는 상기 걸림부(394)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 벽체(331)에 형성되어 있다.The cutout 393 is formed on the side wall 331 to form the hanging portion 39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 1 걸림부(391)는 상기 접속부(323)가 들릴 경우 후술하는 상기 걸림쇠(394)로부터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393)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hooking part 39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utout 393 so that when the connection part 323 is lifted, it can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hook 394 described later.

상기 제 2 걸림부(391)는 상기 접속부(323)가 눌릴 경우 후술하는 상기 걸림쇠(394)로부터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개부(393)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hooking part 39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utout 393 so that when the connection part 323 is pressed, it can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hook 39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걸림쇠(394)는 상기 접속부(323)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속부(323)가 눌리거나 들림 이동시 상기 제 1, 2 걸림부(391)(392)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323)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The latch 394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323,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323 is pressed or lifted, the first and second hooks 391 and 392 may be caught or released. I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323 so as to be.

상기 절개부(393)는 상기 걸림쇠(394)를 관통 결합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쇠(394)는 상기 관통홀내에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The cutout 393 may be formed as a through hole so that the lock 394 can be coupled therethrough. The latch 394 may rise and fall within the through hole.

예를 들면, 상기 접속부(323)가 외력에 의해 눌리면, 상기 접속부(323)가 상기 관통홀내에서 하강하고, 상기 접속부(323)의 걸림쇠(394)도 함께 하강한다. 이때, 상기 걸림쇠(394)는 상기 관통홀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제 2 걸림부(392)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part 323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connection part 323 descends in the through hole, and the latch 394 of the connection part 323 also descends together. At this time, the clasp 394 is caught by the second clasp 39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through hole and does not descend any further.

마찬가지로, 상기 접속부(323)가 외력에 의해 들리면, 상기 접속부(323)가 상기 관통홀내에서 상승하고, 상기 접속부(323)의 걸림쇠(394)도 함께 상승한다. 이때, 상기 걸림쇠(394)는 상기 관통홀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제 1 걸림부(391)에 걸려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Similarly, when the connection part 323 is lifted by an external force, the connection part 323 rises in the through hole, and the latch 394 of the connection part 323 also rises. At this time, the clasp 394 is caught by the first clasp 39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hrough hole and does not rise any further.

이와 같이, 상기 걸림쇠(394)가 상기 제 1, 2 걸림부(391)(392)에 걸려 상기 접속부(323)의 과도한 눌림이나 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접속부(323)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가동부(320)의 변형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탄성부(321)의 탄성력이 저하 및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hook 394 is hooked o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arts 391 and 392 to prevent excessive pressing or lifting of the connecting part 323, thereby preventing the connecting part 323 from being deformed, and further Deformation of the movable part 320 may be prevented, and reduction or loss of elasticity of the elastic part 321 may be preven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2 실시예 ')에 의한 스토퍼부가 없는 접속 단자 장치(300)의 동작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300 without a stopp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9(a)는 접속 단자 장치(300)의 접속 초기 시점을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접속 단자 장치(30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c)는 접속 단자 장치(300)가 과도하게 들려지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9(a) shows the initial point of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300, FIG. 9(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300 is made, and FIG. 9(c) shows the connection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300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앞서 언급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제 2 실시예 ')는 기판(370; 도 9에 도시됨)측에 고정되는 바닥판(310)과, 외부 대상물(360; 도 9에 도시됨)과의 접속에 따라 상하 가동이 이루어지는 가동부(320)가 전체로 C-클립 형태의 접속 단자 장치(300) 기본 구조를 이루면서 접속 단자 장치(300)의 전면 및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차단하는 측면 벽체 및 전면 벽체(332)로 이루어진 보호 벽체(33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Referring to FIGS. 7 and 8 mentioned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cond embodiment') include a bottom plate 310 fixed to a substrate 370 (shown in FIG. 9) and an external object (360; shown in FIG. 9), the movable part 320, which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constitutes the basic structure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300 in the form of a C-clip as a whole, and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300 It has a configuration further including a protective wall 330 made of a side wall and a front wall 332 to block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그리고, 상기 측면 벽체에는 가동부(320)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눌림 작용에 따른 탄성부의 탄성력 저하 및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부(320)를 아래에서 지지해주는 눌림 방지부(333)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접속부와 측면 벽체에는 가동부(320)가 과도하게 위로 들려지는 것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34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n anti-pressing part 333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to support the movable part 320 from below in order to prevent the elastic part from deteriorating or losing its elastic force due to continuous and repeated pressing of the movable part 320. In addition, a lifting prevention part 340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ide wall to limit excessive lifting of the movable part 320 upwar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2 실시예 ')에 따른 들림 방지부(340)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들림 방지부(340)와 비교시 접속부의 끝단에 마련된 걸림쇠(342)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anti-lifting unit 34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con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latch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when compared to the aforementioned anti-lifting unit 34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he same except for the structure of (342).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2 실시예 ')는 측면 벽체에서 절개된 절개부(343)의 윗면을 이루는 걸림부(341)의 저면에 걸림쇠(342)가 걸리면서 가동부(320)가 위로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절개부(343)가 측면 벽체와 바닥판(310) 전체로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절개되어 절개부(343)를 기준으로 측면 벽체와 바닥판(310)이 전후 분할된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cond Embodiment'), the movable part 320 is lifted up while the latch 342 is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king part 341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utout 343 cut from the side wall. To prevent losing, the cutout 343 is continuously cut through the entire side wall and the bottom plate 310, and the side wall and the bottom plate 310 are divided forward and backward based on the cutout 343.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2 실시예 ')는 바닥판(310)에서 위로 'n' 모양으로 절곡된 스토퍼부(250; 도 4에 도시됨)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접속부의 끝부분에 스토퍼부(250; 도 4에 도시됨)와의 간섭을 없애기 위한 스토퍼홈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Here,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cond embodiment'), the stopper portion 250 (shown in FIG. 4) bent upward in an 'n' shape from the bottom plate 310 is not formed, and accordingly A stopper groove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with the stopper portion 250 (shown in FIG. 4) is not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이에 따라, 접속부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쇠(342)는 접속부의 끝부분 전체의 폭을 가지면서 외측으로 더 연장된 형태, 접속부의 위에서 볼 때 대략 ' T ' 자 형태를 갖는다. Accordingly, the latch 342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s outward while having the entire width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has an approximate 'T'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2 실시예 ' )에 의한 접속 단자 장치(300)에서 외부 대상물(360; 도 9에 도시됨)과 접속이 이루어지는 동작은 앞서 언급한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토퍼부(250; 도 4에 도시됨)에 걸리는 동작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동작, 예를 들면 상기 눌림 방지부(333)를 통해 가동부(320)가 과도하게 아래로 눌려져서 탄성부의 변형이 방지되는 동작과 들림 방지부(340)를 통해 가동부(320)가 위로 과도하게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 등에 있어서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making a connection with an external object 360 (shown in FIG. 9)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described above.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movable part 320 moves downward excessively through the rest of the operation, for example, the anti-pressing part 333, except for the operation caught on the stopper part 250 (shown in FIG. 4). Since the operation of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rt by being pressed and the operation of preventing the movable part 32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upward through the lifting prevention unit 340 are the same,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below.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7과 같이,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및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mentioned above,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part, and is contacted by pressing the movable part to be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also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to move to an external object an anti-press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able unit to limit the pressing movement; and anti-lifting par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s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벽체는, 상기 바닥판의 양측면에서 수직,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동부의 측면을 보호해 주는 측면 벽체; 및 상기 바닥판의 전면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동부의 전면을 보호해 주는 전면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wall, the side wall is be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side of the movable portion; and a front wall that is bent at right angl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un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눌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의 일단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측면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pressing part may be formed as a side support that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side wall of the side wall and comes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par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들림 방지부는,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측면 벽체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접속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lifting portion may include cutouts formed in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wall; a hold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cision; and a shackl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extending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catching por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면 벽체의 전, 후 분할시키는 분할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ision may be made of a dividing groove for dividing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wall before and aft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눌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의 상단면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상기 가동부의 아래면과 접촉되도록 상면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pressing part may be formed as an upper surface support that is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comes into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part as the movable part is press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들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1 걸림부; 상기 절개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걸림부; 및 상기 접속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가 눌리거나 들림이동시 상기 제 1, 2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lifting portion may include a cutout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wall; a first hold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cision; a second hold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cision; and a shackl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engaging or disengag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catching portions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pressed or lift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는 상기 걸림쇠를 관통 결합시키는 관통홀로 이어질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olding member is coupl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및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unit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nd anti-lifting par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s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s.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 제 3 실시예 ')에 따른 스토퍼부(250; 도 4에 도시됨)가 없이 추가로 제 2 눌림 방지부(433a)를 구비한 접속 단자 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11 is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second anti-pressing part 433a without a stopper part 250 (shown in FIG. 4) according to another various embodiment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400.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400)는 바닥판(410)과, 가동부(420)와,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430)와, 제 1, 2 눌림 방지부(433)(433a) 및 들림 방지부(440)를 포한한다.Referring to FIG. 11 ,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410, a movable part 420,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430, and first and second anti-pressing parts 433. ) (433a) and lifting prevention unit 440.

상기 바닥판(410)은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된 기판(470; 도 13에 도시됨)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The bottom plate 410 is fixed to a substrate 470 (shown in FIG. 13 )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shown in FIG. 1 ).

상기 가동부(420)는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460; 도 13에 도시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바닥판(410)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어 있다.The movable part 420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460 (shown in FIG. 13)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상기 보호 벽체(430)들은 상기 가동부(420)를 보호하도록 상기 바닥판(410)의 측면 둘레에 구비되어 있다.The protective walls 430 are provided a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0 to protect the movable part 420 .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433)는 상기 바닥판(410)과 상기 가동부(420)의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가동부(420)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420)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보호 벽체(430)들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410 and the movable part 420, and contacts as the movable part 420 is pressed to limit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420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430.

상기 제 2 눌림 방지부(433a)는 상기 가동부(420)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420)의 일단이 상기 바닥판(410)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420)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동부(4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The second anti-pressing part 433a is the movable part 420 so that one end of the movable part 4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410 to limit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420 as the movable part 420 is pressed. 420) is provided at one end.

상기 들림 방지부(440)는 상기 가동부(420)가 상기 보호 벽체(4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42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보호 벽체(430)들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The lifting prevention part 44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430 to limi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420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 4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 430. .

이와 같이, 추가적으로 스토퍼부 없이 상기 보호 벽체(430)에 상기 가동부(420)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2 눌림 방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보호 벽체(430)에 가동부(42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440)를 구성함으로써, 가동부(420)에 반복적인 눌림 동작 및 들림 동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탄성력이 저하 및 상실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의 변형 불량 및 접속 불량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anti-pressing parts that limit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420 to the protective wall 430 are additionally formed without the stopper part, and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420 to the protective wall 430 is configured. By configuring the lifting prevention unit 440 to limit, even if repeated pressing and lifting operations ar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ovable unit 420,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deterioration and loss of elasticity, resulting in product deformation and connection failure. Defects can be further prevented.

또한, 상기 가동부(420)는 탄성부(421)와, 접속부(423) 및 흡착면(422)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420)들의 구성들은 이미 앞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1 실시예 ' )에서 설명하여 생략한다.In addition, the movable part 420 includes an elastic part 421, a connection part 423, and an adsorption surface 422, and the configurations of the movable part 420 have already been previously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embodiment). Example ') to explain and omit.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433)는 상기 탄성부(421)의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433)는 상기 탄성부(421)의 내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흡착면(422)의 아래에 구비된다.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is located inside the elastic part 421 . For example, 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is located inside the elastic part 421 and is provided below the suction surface 422 .

상기 제 2 눌림 방지부(433a)는 상기 가동부(420)의 접속부(423)의 일단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바닥판(410)의 상부에 위치한다.The second anti-pressing part 433a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23 of the movable part 420 and at the same time as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410 .

상기 보호 벽체(430)는 측면 벽체(431) 및 전면 벽체(432)를 포함한다.The protective wall 430 includes a side wall 431 and a front wall 432 .

상기 측면 벽체(431)는 상기 가동부(420)의 측면을 보호해 주도록 상기 바닥판(410)의 양측면에 수직,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side walls 431 are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410 to protect the side surfaces of the movable part 420 .

상기 전면 벽체(432)는 상기 가동부(420)의 전면을 보호해 주도록 상기 바닥판(410)의 전면에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wall 432 is formed to be bent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0 so as to protect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part 420 .

상기 전면 벽체(432)에는 상기 가동부(420)를 누르거나 들림에 따라 상기 접속부(423)를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삽입홀(432a)이 형성되어 있다.An insertion hole 432a is formed in the front wall 432 so that the connection part 423 can be inserted and separated by pressing or lifting the movable part 420 .

예를 들면, 상기 접속부(423)가 상기 외부 대상물에 눌려서 하강할 경우, 상기 접속부(423)가 상기 삽입홀(432a)에 삽입되고, 상기 접속부(423)가 외력에 의해 다시 들릴 경우, 상기 접속부(423)가 상기 삽입홀(432a)에서 이탈된다.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part 423 is pressed by the external object and descends, the connection part 42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32a,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423 is lifted again by an external force, the connection part 423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432a.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433)는 상기 측면 벽체(431)의 일단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420)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측면 지지대로 이루어져 있다.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side wall 431 and is configured as a side support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part 420 when pressed.

예를 들면, 상기 바닥판의 양측면에 측면 벽체(431)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 벽체(431)들의 일단은 서로 맞주보게 수직방향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433)를 형성한다.For example, side walls 43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ends of the side walls 431 ar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to form the first anti-pressing portion 433 .

상기 제 2 눌림 방지부(433a)는 상기 가동부(420)를 누름에 따라 상기 접속부(423)가 상기 바닥판(410)의 상면에 접속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곡선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anti-pressing part 433a may be made of a curved support so that the connecting part 423 can slide when the connecting part 423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0 by pressing the movable part 420 .

예를 들면, 상기 가동부(420)를 누르면, 상기 가동부(420)의 접속부(423)도 함께 눌려지고, 상기 접속부(423)의 일단이 상기 바닥판(410)의 상면에 접촉시 상기 제 2 눌림 방지부(433a)는 곡선에 의해 미끄럼 이동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눌림 방지부(433a)는 곡선 지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선 지지대의 곡선 부분이 상기 바닥판(410)의 상면과 접촉된다.For example, when the movable part 420 is pressed, the connection part 423 of the movable part 420 is also pressed, and when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23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0, the second pressing The prevention part 433a slides along a curved l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anti-pressing part 433a is made of a curved support, and a curved portion of the curved suppor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0 .

상기 들림 방지부(440)는 절개부(443)와, 걸림부(441) 및 걸림쇠(442)를 포함하고, 상기 들림 방지부의 구성들은 이미 앞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1 실시예 ' )에서 설명하여 생략한다.The lifting prevention part 440 includes a cutout 443, a holding part 441, and a holding member 442, and the components of the lifting prevention part have already been previously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omitted.

이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400)의 동작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stat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앞서 언급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속 단자 장치(400)는 기판 측에 고정되는 바닥판(410)과, 외부 대상물과의 접속에 따라 상하 가동이 이루어지는 가동부(420)가 전체로 C-클립 형태의 접속 단자 장치(400) 기본 구조를 이루면서 접속 단자 장치(400)의 전면 및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차단하는 보호 벽체(430)를 더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보호 벽체(430)에는 가동부(420)가 과도하게 아래로 눌리는 것을 제한하는 제 1, 2 눌림 방지부(433)(433a)와 가동부(420)가 과도하게 위로 들려지는 것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440)가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 11 mentioned above,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410 fixed to the substrate side and the movable part 420 that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object are as a whole C - It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wall 430 that blocks external forces applied from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while forming a basic structure of the clip-shaped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 In particular, the protective wall 430 includes first and second anti-pressing parts 433 and 433a which limit excessive downward pressing of the movable part 420 and lifting which limits excessive lifting of the movable part 420 upward. A prevention unit 440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3 실시예 ')에 따른 눌림 방지부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눌림 방지부(233; 도 3에 도시됨)와 비교시 접속부(423)의 끝단에 마련된 제 2 눌림 방지부(433a)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revention uni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the above-mentioned pressing prevention unit 233 (shown in FIG. 3)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unit 423 It is the same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second anti-pressing part 433a provided at the end of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3 실시예 ')의 들림 방지부(440)는 측면 벽체(431)에서 절개된 절개부(443)의 윗면을 이루는 걸림부(441)의 저면에 걸림쇠(442)가 걸리면서 가동부(420)가 위로 들려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anti-lifting part 440 of various embodiments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tch 44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oking part 441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utout 443 cut from the side wall 431. ) is caught to prevent the movable part 420 from being lifted up.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 제 3 실시예 ')는 바닥판(410)에서 위로 'n' 모양으로 절곡된 스토퍼부(250; 도 4에 도시됨)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접속부(423)의 끝부분에 상기 스토퍼부와의 간섭을 없애기 위한 스토퍼홈도 형성되어 있지 않다.For example,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rd embodiment'), the stopper portion 250 (shown in FIG. 4) bent upward in an 'n' shape from the bottom plate 410 is not formed, Accordingly, a stopper groove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with the stopper portion is not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423 .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410)에는 상기 스토퍼부(250; 도 4에 도시됨)가 없고, 상기 제 2 눌림 방지부(433a)의 미끄럼 이동을 위해 평면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ttom plate 410 does not have the stopper portion 250 (shown in FIG. 4 ), and is formed of a flat plate for sliding of the second anti-pressing portion 433a.

따라서, 가동부(420)의 눌림 시에 측면 벽체(431)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433)가 탄성부(421)의 위쪽을 일정한 힘으로 받쳐줌으로써, 가동부(420)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눌리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 눌림 작용이 탄성부(421)에 가해지는 영향이 줄어듬에 따라 탄성부(421)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movable part 420 is pressed, 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431 supports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part 421 with a constant force, so that the movable part 420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Even if a pressing force is applied, as the effect of the pressing action on the elastic part 421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421 from being lowered.

이러한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433)는 바닥판(4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측면 벽체(431)의 뒤쪽에서 수직으로 꺽이는 서로 대칭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탄성부(421)의 안쪽에서 좌, 우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탄성부(421)는 좌우 한쌍을 이루는 제 1 눌림 방지부(433)에 좌우 균형을 이루면서 지지될 수 있다. 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is vertically bent at the back of the side wall 43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410 and symmetrically facing each other, and left at the inside of the elastic part 421 , it consists of a pair arranged respectively on the right. Accordingly, the elastic part 421 can be supported while balancing left and right on 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forming a left and right pair.

이때,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433)가 눌려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눌림 방지부(433a)는 과도하게 눌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and additionally the second anti-pressing part 433a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pressed.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호 벽체(430)들의 측면에 가동부(420)가 과도하게 들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들림 방지부(440)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s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lifting prevention units 440 ar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430 to prevent the movable unit 42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예를 들면, 상기 들림 방지부(440)는 상기 외부 대상물이 상기 접속부(423)에 접촉시 상기 접속부(423)의 위에서 아래로 눌려지고, 이때, 다시 상기 외부 대상물을 상기 접속부(423)에서 이탈시 상기 접속부(423)는 탄성부(421)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에서 위로 들려지고, 상기 접속부(423)가 보호 벽체(430)의 걸림으로써, 가동부(420)가 과도하게 위로 들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가동부(420)가 상기 보호 벽체(4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fting prevention unit 440 is pressed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connection unit 423 when the external object contacts the connection unit 423, and at this time, the external object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unit 423 again.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423 is lifted up from the bottom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421, and the connection part 423 is caught by the protective wall 430 to prevent the movable part 42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u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able part 4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 430 .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제 3 실시예 ')에 의한 접속 단자 장치(400)에서 외부 대상물과 접속이 이루어지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in which a connection is made with an external object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12는 접속 단자 장치(400)의 접속 초기 시점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접속 단자 장치(40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상태 및 과도하게 눌려지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12 shows an initial point of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and 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is connected and a state in which excessive pressing is prevented.

도 12의 초기 시점의 경우, 접속 단자 장치(400)는 그 전체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바닥판(410)을 통해 상기 기판에 납땜 고정되어, 외부 대상물, 예를 들어 스마트폰 후면 커버에 내장된 NFC 안테나와 같은 외부 대상물과 초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접속 단자 장치(40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접속 시점)의 경우, 기판에 실장된 접속 단자 장치(400)의 가동부(420)는 접속부(423)와 외부 대상물이 접속이 이루어지면서 일정 높이 아래로 가동된다. 이때 탄성부(421)는 접속부(423)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면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다가 가동부(420)의 가동이 완료된 시점에는 측면 벽체(431)의 후면 끝부분에서 절곡된 제 1 눌림 방지부(433)의 상단에 지지된다. In the case of the initial view of FIG. 12 ,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is fixed by soldering to the board through the bottom plate 410 in a state where the entirety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embedded in an external object, for example, a rear cover of a smartphone. An initial connection is made with an external object such as an NFC antenna.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is connected (connection time point), the movable part 420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mounted on the substrate moves down a certain height while the connection part 423 and the external object are connected. It works.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421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absorbing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part 423,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420 is completed, the first anti-pressing part bent at the rear end of the side wall 431 It is supported on top of (433).

이와 같이, 외부 대상물과 접속부(423)의 접속에 따른 가동부(420)의 눌림 시에 제 1 눌림 방지부(433)가 탄성부(421)의 위쪽을 일정한 힘으로 지지해줌으로써, 상기 가동부(420)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눌리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 눌림 작용이 탄성부(421)에 가해지는 영향이 줄어듬에 따라 탄성부(421)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movable part 420 is pressed due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object and the connection part 423, 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supports the upper part of the elastic part 421 with a constant force, so that the movable part 420 ) Even if a pressing force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applied to the elastic part 4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421 from being lowered as the effect of the pressing action on the elastic part 421 is reduced.

나아가, 도 13의 접속 상태에서 가동부(420)에 비정상적인 외력,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지면에 떨어지는 충격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가동부(420)가 더 하강하는 경우에도, 가동부(420)는 그 뒤쪽이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433)에 지지된 상태로 하강하기 때문에 가동부(420)에 가해지는 비정상적인 외력이 탄성부(421)로 전달되는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탄성부(421)의 과도한 변형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가동부(420)는 제 1 눌림 방지부(433)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 1 눌림 방지부(433)의 앞쪽에 위치한 가동부(420)는 아래로 더 하강하면서 상기 접속부(423)의 일단에 구비된 제 2 눌림 방지부(433a)가 상기 바닥판(410)의 상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접속부의 더 이상 하강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의 추가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even if the movable part 420 further descends as an abnormal external force, for example, an abnormal external force such as an impact from a smartphone falling to the ground, is applied to the movable part 420 in the connected state of FIG. 13, the movable part 420 Since the back side is lower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the effect of an abnormal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part 420 being transmitted to the elastic part 421 can be reduced, and thereby the elastic part ( 421) can be further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deformed. In addition, the movable part 420 uses 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as a support point, and the movable part 420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anti-pressing part 433 descends further downward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23 The second anti-pressing part 433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410 and simultaneously slides to limit further downward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Therefore, additional deformation of the movable part can be prevented.

한편, 도 12와 같이, 탄성부(421)에 의해 접속부(423)가 아래에서 위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보호 벽체(430)들의 측면에는 상기 가동부(42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44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들림 방지부(440)는 절개부(443)와, 걸림부(441) 및 걸림쇠(442)로 구성되고, 이 상태에서, 가동부(420)가 일정 높이 상승하다가 상기 접속부(423)의 끝단에 마련된 걸림쇠가 측면 벽체(431)에서 절개부(443) 윗면을 이루는 걸림부(441)의 아래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의 상승이 저지되됨에 따라 가동부(420)가 과도하게 들어 올려지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423 from the bottom to the top by the elastic part 421, the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430 limi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420. Since the prevention part 440 is provided, the lifting prevention part 440 is composed of the cutout 443, the locking part 441, and the holding member 442, and in this state, the movable part 420 is at a certain height. While rising, the hook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art 423 is caught under the hooking part 441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utout 443 on the side wall 431, so that further rising is prevented, so that the movable part 420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동부(420)의 전면 및 측면을 보호해주는 보호 벽체(430)에 가동부(420)의 과도한 눌림을 방지하는 제 1, 2 눌림 방지부(433)(433a)와 가동부(420)의 과도한 들림을 방지하는 들림 방지부(440)를 마련함으로써, 접속 단자 장치(400)의 사방으로 가해지는 외력을부터 접속 단자 장치(400)가 변형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고, 나아가 탄성부(421)의 탄성력이 저하 및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 수 있어 제품의 변형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irst and second anti-pressing parts 433, 433a and movable part 420 to prevent excessive pressing of the movable part 420 to the protective wall 430 that protects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movable part 420. ) By providing a lifting prevention unit 440 for preventing excessive lifting,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is further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from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all direction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400, and furthermore, the elastic part 421 )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on and loss of elasticity, so that deformation defects of the product do not occu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11과 같이, 접속 단자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눌림 방지부; 상기 가동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의 일단이 상기 바닥판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눌림 방지부; 및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mentioned above,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firs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ntacted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 second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able unit and limiting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by contacting one end of the movable unit with the bottom plate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and anti-lifting par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s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위로 둥굴게 구부려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부를 눌리거나 들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를 일체로 이어지게 연장되는 흡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part, as well as being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be bent upward, the elastic par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press or lift the movable part; a connecting portion that extends upward to the elastic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and a suction surface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extends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벽체는, 상기 바닥판의 양측면에 수직,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의 측면을 보호해 주는 측면 벽체; 및 상기 바닥판의 전면에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의 전면을 보호해 주는 전면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wall is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side wall of the movable portion; and a front wall that is formed to be bent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protects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un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벽체에는 상기 가동부를 누르거나 들림에 따라서 상기 접속부를 삽입 및 이탈시키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front wall to insert or detach the connecting part according to pressing or lifting the movable par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의 일단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측면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ti-pressing part may be formed as a side support that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side wall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part as it is press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눌림 방지부는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촉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곡선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nti-pressing part may be made of a curved support so that the contact part can slide when the contact part contacts the bottom plate as the movable part is press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보호 벽체들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눌림 방지부; 상기 가동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의 일단이 상기 바닥판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눌림 방지부; 및 상기 보호 벽체들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first anti-pressing units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otective wall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ntacted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 second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able unit and limiting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by contacting one end of the movable unit with the bottom plate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and anti-lifting parts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ve walls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s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s.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 ' 제 4 실시예 ')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15는 도 14의 A부 확대 사시도 이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14 .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500)는 바닥판(510), 고정판(520), 측면판(530), 전면판(540), 가동부(550) 및 들림 방지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14 and 15,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bottom plate 510, a fixing plate 520, a side plate 530, a front plate 540, a movable part 550, and a lifter. A prevention unit 560 may be included.

상기 바닥판(510)은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된 기판(590; 도 16에 도시됨)에 고정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510 may be fixed to a substrate 590 (shown in FIG. 16 )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shown in FIG. 1 ).

상기 고정판(520)은 후술하는 상기 측면판(530)의 상일단에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판(520)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판(5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52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ide plate 53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provided above the bottom plate 510 to support the fixing plate 520 .

상기 측면판(530)은 상기 바닥판(510)과 상기 고정판(520)을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판(510) 및 상기 고정판(520)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ide plate 53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510 and the fixing plate 520 to integrally connect and simultaneously support the bottom plate 510 and the fixing plate 520 .

상기 전면판(540)은 상기 고정판(520)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굴곡되어 상기 바닥판(510)의 일단과 상기 측면판(530)들의 일단을 각각 결합하도록 상기 바닥판(510), 상기 고정판(520) 및 상기 측면판(530)들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540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ing plate 520 and is bent at the same time so that one end of the bottom plate 510 and one end of the side plates 530 ar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510, It may be provided on front surfaces of the fixing plate 520 and the side plates 530 .

상기 가동부(550)는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591; 도 16에 도시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고정판(520)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동부(550)는 상기 고정판(520)의 후면의 하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판(520)의 돌출 관통홀(521)에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The movable part 550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52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591 (shown in FIG. 16)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For example, the movable part 550 may be curved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520 and at the same time pass through the protruding through hole 521 of the fixing plate 520 to protrude to the outside.

상기 들림 방지부(560)는 상기 가동부(550)가 상기 고정판(5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55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측면판(530)들에 구비될 수 있다.The lifting prevention part 56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plates 530 to limi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550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 5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520 .

이와 같이, 상기 바닥판(510), 상기 고정판(520), 상기 측면판(530)들 및 상기 전면판(540)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5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570)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속 단자 장치(500)의 전면에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고정판(520)의 상부에서 외부 충격(예컨데, Z축 방향; 도 16에 도시됨)으로 충격을 가할시 접속 단자 장치(500)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측면도 보호하여 접속 단자 장치(500)에 가해지는 다양항 방향의 외력으로부터 가동부(55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550)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여 가동부(550)의 반복적인 눌림 동작 및 들림 동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탄성력이 저하 및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의 변형 불량 및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ottom plate 510, the fixing plate 520, the side plates 530, and the front plate 540 have a concavo-convex structure 57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By configuring to be coupled, it is protected from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and an external impact (eg, Z-axis direction; shown in FIG.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terminal device 500 from being deformed, the movable part 550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forces applied to the terminal device 500 in various directions by protecting the side surface. In addition, by limiting the abnormal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550,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and loss of elastic force even when repetitive pressing and lifting operations of the movable part 550 are continuously applied, resulting in poor product deformation and poor connection. can prevent

또한, 상기 요철 구조(570)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앞서 언급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요철 구조(570)는 예를 들면, 바닥측 돌기(571), 측면 돌기(572) 및 측면홈(573) 및 복수의 제 1 결합 돌기(574) 및 복수의 제 1, 2 결합홈(575)(576)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avo-convex structure 5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referring to FIGS. 14 and 15 mentioned above, the concavo-convex structure 570 includes, for example, a bottom protrusion 571, a side protrusion 572 and a side groove 573, an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 574)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575 and 576.

상기 바닥측 돌기(571)는 후술하는 상기 전면판(540)의 복수의 제 1 결합홈(575)과 결합되도록 상기 바닥판(5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side protrusion 571 may be formed on one end of the bottom plate 510 to be coupl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575 of the front plate 5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측면 돌기(572) 및 측면홈(573)은 후술하는 상기 전면판(540)의 복수의 제 1 결합 돌기(574) 및 복수의 제 2 결합홈(576)과 결합되도록 상기 측면판(530)들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protrusions 572 and the side grooves 573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57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grooves 576 of the front plate 5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formed at one end of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홈(575)은 상기 바닥측 돌기(571)와 결합되로록 상기 전면판(540)의 하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575 may be formed at one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540 to be coupled with the bottom protrusion 571 .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 돌기(574) 및 복수의 제 2 결합홈(576)은 상기 측면 돌기(572) 및 상기 측면홈(573)과 결합되도록 상기 전면판(54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57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oupling grooves 576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late 540 to be coupled with the side protrusions 572 and the side grooves 573. .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510), 상기 고정판(520), 상기 측면판(530) 및 전면판(540)이 서로 요철 구조(570)로 결합할 경우, 상기 전면판(540)의 하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결합홈(575)은 상기 바닥판(510)의 바닥측 돌기(571)와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54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 1 결합 돌기(574)는 상기 측면판(530)의 측면 돌기(572)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54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 2 결합홈(576)은 상기 측면판(530)의 측면홈(573)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bottom plate 510, the fixing plate 520, the side plate 530 and the front plate 54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570, the front plate 540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575 formed at the lower end are coupled to the bottom side protrusions 571 of the bottom plate 510,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57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late 540 are The second coupling grooves 576 coupled to the side protrusions 572 of the side plate 530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late 540 may be coupled to the side grooves 573 of the side plate 530. .

또한, 상기 바닥판(510)에는 상기 기판(590)에 접속 단자 장치(500)를 납땜시 납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납땜홀(5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납땜홀(580)은 원형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납땜홀(580)은 원형홀이외에 납을 삽입시키는 다앙한 다른 형상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납땜홀(580)은 사각 형상, 마름모 형상 및 타원 형상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oldering holes 580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late 510 to insert lead when soldering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to the board 590 . The solder hole 580 may be formed as a circular hole. For example, the solder hole 580 may be applied in various other shapes in which lead is inserted in addition to the circular hole. For example, the solder hole 580 may be formed in any one of a rectangular shape, a diamond shape, and an elliptical shape.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 및 도 18과 같이, 상기 접속 단자 장치(500)를 상기 기판(590)의 상면에 실장하고, 상기 접속 단자 장치(50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기판(590)과 상기 접속 단자 장치(500)의 바닥판(510)을 납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판(510)의 복수의 납땜홀(580)에 납이 삽입됨과 동시에 모여서 상기 기판(590)과 상기 바닥판(510)의 납땜시킴과 동시에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7 and 18 ,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59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is mounted on the substrate 590 and The bottom plate 510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may be soldered. At this time, lead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oldering holes 580 of the bottom plate 510 and gather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substrate 590 and the bottom plate 510 are soldered and solderability can be improved.

따라서, 상기 바닥판(510)의 복수의 납땜홀(580)에 납이 삽입되어 기판(590)과 납땜됨으로써, 상기 접속 단자 장치(500)와 기판(590)과의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접속 단자 장치(500)의 상부방향(예컨데, Z축방향; 도 16에 도시됨)의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기판(590)과 바닥판(5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solderability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and the board 590 can be improved by inserting lead into the plurality of soldering holes 580 of the bottom plate 510 and soldering the board 590. , Prevents the substrate 590 and the bottom plate 510 from being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in the upper direction (eg, Z-axis direction; shown in FIG. 16)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as well as deformation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또한, 상기 고정판(520)의 구성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앞서 언급한 도 16을 참조 하면, 상기 고정판(520)의 전면은 상기 전면판(540)과 일체로 굴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520)의 후면은 상기 가동부(550)와 굴곡지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판(520)의 상면에는 상기 가동부(550)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판(52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가능하게 하도록 돌출 관통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late 5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referring to FIG. 16 mentioned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520 is integrally bent and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54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520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550. A protruding through hole 521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520 so as to penetrate the movable part 550 and protrude from the fixed plate 520 to a predetermined height.

예를 들면, 상기 전면판(540)의 상일단은 상기 고정판(520)의 전면과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직각으로 굴곡되고, 상기 전면판(540)의 하일단에 형성된 제 1 결합홈(575)이 상기 바닥판(510)에 형성된 바닥측 돌기(571)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5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520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57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540 This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protrusion 571 formed on the bottom plate 510 .

상기 돌출 관통홀(521)은 상기 가동부(550)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판(520)의 상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 관통홀(521)을 통해 돌출된 가동부(550)는 외부 대상물(591)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protruding through hole 521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fixing plate 520 by penetrating the movable part 550 . For example, the movable part 550 protruding through the protruding through hole 52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591 .

또한, 앞서 언급한 도 16과 같이, 상기 가동부(550)는 탄성부(551), 접속부(552) 및 지지대(553)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16 mentioned above, the movable part 550 may include an elastic part 551, a connection part 552, and a support 553.

상기 탄성부(551)는 상기 가동부(550)를 눌리거나 들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551)는 상기 고정판(520)의 후면에 아래로 둥굴게 구부려지게 연결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지지대(55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553)는 상기 탄성부(551)와 상기 접속부(552)를 일체로 이어짐과 동시에 연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551)와 상기 접속부(552)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551 may provide elastic force to press or lift the movable part 550 . The elastic part 551 may be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520 to be bent downward and simultaneously connected to a support 553 to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55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art 551 and the connection part 552 so that the elastic part 551 and the connection part 552 can be integrally connected and extended at the same time.

상기 접속부(552)는 상기 외부 대상물(59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탄성부(551)에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속부(552)는 상기 지지대(553) 및 상기 탄성부(551)에 의해 상기 돌출 관통홀(521)에 관통되어 외부에 돌출되어 상기 외부 대상물(591)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552 may extend to the elastic part 551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591 .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552 penetrates the protruding through hole 521 by the support 553 and the elastic part 551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591. there is.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551)는 상기 고정판(520)의 후면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552)는 상기 탄성부(551)와 연결된 지지대(553)에 의해 상기 돌출 관통홀(521)에 관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astic part 551 is disposed under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520, and the connection part 552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art 551 by a support 553 connected to the protruding through hole ( 521) can be penetrated.

또한, 앞서 언급한 도 14와 같이, 상기 들림 방지부(560)는 절개부(561)와, 제 1 , 2 걸림부(562)(563) 및 걸림쇠(56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절개부(561)는 후술하는 상기 걸림쇠(564)와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쇠(564)를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측면판(530)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mentioned above, the anti-lifting part 560 may include a cutout 561, first and second hooking parts 562 and 563, and a hook 564. For example, the cutout 561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plate 530 so as to engage or release the latch 564 at the same time as being penetrated with the latch 564 to be described later. .

상기 제 1 걸림부(562)는 상기 걸림쇠(564)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쇠(564)가 상기 고정판(5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절개부(56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lasp 562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utout 561 to contact the clasp 564 and prevent the clasp 56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520 .

상기 제 2 걸림부(563)는 상기 걸림쇠(564)와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쇠(564)가 과도하게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절개부(56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lasp 563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cutout 561 to contact the clasp 564 and prevent the clasp 564 from being excessively pressed.

상기 걸림쇠(564)는 상기 접속부(552)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속부(552)가 눌리거나 들림이동시 상기 제 1, 2 걸림부(562)(563)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55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latch 564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552,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552 is pressed or lifted, the first and second hooks 562 and 563 can be caught or released. It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552 .

상기 절개부(561)는 상기 걸림쇠(564)를 관통 결합시킬 수 있도록 걸림 관통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 관통홀은 상기 걸림쇠(564)를 관통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걸림 관통홀내에서 상기 걸림쇠(564)가 상,하로 가동이동가능하도록 한다.The cutout 561 may be formed as a catching through hole so that the catching member 564 can be coupled therethrough. For example, the catching through-hole penetrates the catching member 564 and at the same time allows the catching member 564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in the catching through-hole.

이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500)의 동작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stat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앞서 언급한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속 단자 장치(500)는 기판(590) 측에 바닥판(510)을 실장시킨다. 이때, 상기 기판(590)과 바닥판(510)은 납땜하고, 납땜시 상기 바닥판(510)에 형성된 복수의 납땜홀(580)에 납이 삽입되어 고정시킨다. 상기 접속 단자 장치(500)는 바닥판(510)의 복수의 납땜홀(580)에 의해 기판(590)에서의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mentioned above,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plate 510 is mounted on a board 590 side. At this time, the substrate 590 and the bottom plate 510 are soldered, and during soldering, solder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older holes 580 formed in the bottom plate 510 to fix them.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can improve solderability on the board 590 by the plurality of soldering holes 580 of the bottom plate 510 .

이 상태에서, 상기 외부 대상물(591)이 상기 접속 단자 장치(500)의 접속부(552)에 접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부(552)는 스마트폰 후면 커버에 내장된 NFC 안테나와 같은 외부 대상물(591)과 초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접속 단자 장치(50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접속 시점)의 경우, 기판(590)에 실장된 접속 단자 장치(500)의 가동부(550)는 접속부(552)와 외부 대상물(591)이 접속이 이루어지면서 일정 높이의 상기 고정판(520)의 아래로 가동된다. 이때 탄성부(551)는 접속부(552)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면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다가 가동부(550)의 가동이 완료된 시점에는 상기 가동부(550)의 걸림쇠(564)가 상기 절개부(561)의 제 2 걸림부(563)에 접촉되어 상기 고정판의 아래로 가동을 제한한다.In this state, the external object 591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552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unit 552 is initi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591 such as an NFC antenna embedded in a rear cover of a smartphone.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is connected (connection time point), the movable part 550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mounted on the board 59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552 and the external object 591. While being made, it moves under the fixing plate 520 at a certain height.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551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absorbing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part 552,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part 550 is completed, the latch 564 of the movable part 550 moves to the incision part 561. I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oking part 563 to limi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ixing plate.

이와 같이, 외부 대상물(591)과 접속부(552)의 접촉에 따라 가동부(550)가 눌리고, 이때, 탄성부(551)는 일정한 힘으로 상기 가동부(550)를 지지해줌으로써, 상기 가동부(550)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눌리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 눌림 작용이 탄성부(551)에 가해지는 영향이 줄어듬에 따라 탄성부(551)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In this way, the movable part 550 is pressed according to the contact between the external object 591 and the connection part 552, and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551 supports the movable part 550 with a constant force, so that the movable part 550 Even if a pressing force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applied to the elastic part 55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551 from being lowered as the effect of the pressing action on the elastic part 551 is reduced.

나아가, 도 16의 접속 상태에서 가동부(550)에 비정상적인 외력,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지면에 떨어지는 충격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Furthermore, even when an abnormal external force, for example, an abnormal external force such as a shock from a smartphone falling to the ground, is applied to the movable unit 550 in the connected state of FIG. 16,

상기 바닥판(510), 상기 고정판(520), 상기 측면판(530)들 및 상기 전면판(540)들은 요철 구조(570)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속 단자 장치(500)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동부(550)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551)의 과도한 변형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bottom plate 510, the fixing plate 520, the side plates 530, and the front plate 540 are combin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570,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is prevented. At the same tim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movable part 550 can be reduced. Due to this,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rt 551 can be further prevented.

한편, 앞서 언급한 도 16과 같이, 탄성부(551)에 의해 접속부(552)가 아래에서 위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측면판(530)들의 측면에는 상기 가동부(55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56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들림 방지부(560)는 절개부(561)와, 제 1, 2 걸림부(562)(563) 및 걸림쇠(564)로 구성되고, 이 상태에서, 가동부(550)가 일정 높이 상승하다가 상기 접속부(552)의 끝단에 마련된 걸림쇠(564)가 상기 절개부(561)에 형성된 제 1 걸림부(562)에 접촉됨과 동시에 걸려 고정되고, 이때, 상기 가동부(550)는 더 이상의 상승이 저지됨에 따라 가동부(550)가 과도하게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6 mentioned abov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connection part 552 by the elastic part 551,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550 is per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ide plates 530. Since the lifting prevention unit 560 is provided, the lifting prevention unit 560 is composed of a cutout 561, first and second hooking parts 562 and 563, and a hook 564. In this state, while the movable part 550 rises to a certain height, the latch 564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art 552 contacts the first hooking part 562 formed in the cutout 561 and is caught and fixed at the same time. , As the movable part 550 is prevented from being raised 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able part 55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이와 같이, 상기 바닥판(510), 상기 고정판(520), 상기 측면판(530)들 및 상기 전면판(540)은 접속 단자 장치(5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570)로 결합함으로써, 제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전방위(예컨데, X축방향)에서의 외력으로부터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고정판(520)에 의해 상기 가동부(550)의 과도한 가동을 막아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수 있다. 이로인해 제품의 변형 불량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ottom plate 510, the fixing plate 520, the side plates 530, and the front plate 540 are combin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57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produc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deformation from external forces in all directions (eg, in the X-axis direction), and also prevent excessiv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550 by the fixing plate 52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product. there is.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defects of the product from occurr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14와 같이, 접속 단자 장치(500)는, 바닥판(510); 상기 바닥판(5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520); 상기 바닥판(510) 및 상기 고정판(52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530); 상기 바닥판(510), 상기 고정판(520) 및 상기 측면판(530)들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540); 상기 고정판(520)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520)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59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550); 상기 측면판(530)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550)가 상기 고정판(5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55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56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510), 상기 고정판(520), 상기 측면판(530)들 및 상기 전면판(540)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5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570)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4 mentioned abov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includes a bottom plate 510; a fixing plate 520 provided on top of the bottom plate 510; Side plates 5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510 and the fixing plate 520; The bottom plate 510, the fixing plate 520, and the front plate 540 coupled with being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ide plate 530; A movable part 550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520, protrudes outward to extend within the fixing plate 5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591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It is provided on the side plate 530 and includes a lifting prevention part 560 for limit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550 to prevent the movable part 5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520, The bottom plate 510, the fixing plate 520, the side plates 530, and the front plate 540 may be combined in a concave-convex structure 57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500.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바닥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바닥측 돌기; 상기 측면판들의 일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측면 돌기 및 복수의 측면홈; 상기 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측 돌기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측면 돌기 및 복수의 측면홈과 결합되는 복수의 제 1 결합 돌기 및 복수의 제 1, 2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o-convex structure may include a bottom protrusion formed on one end of the bottom plate; a plurality of side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side grooves formed on one end of the side plates;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formed on the front plate and coupled to the bottom side projections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ide projections and the plurality of side groov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에는 납땜시 납을 삽입시키는 복수의 납땜홀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oldering holes into which lead is inserted during soldering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lat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의 전면은 상기 전면판과 일체로 굴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의 후면은 상기 가동부와 굴곡지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는 상기 가동부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가능하게 하는 돌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plate is integrally curved and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plate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has the movable part passing through the fixed plate. A protruding through hole capable of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form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아래로 둥굴게 구부려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부를 눌리거나 들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연장되어 상기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를 일체로 이어지게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part, as well as being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to be bent downward, the elastic part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press or lift the movable part;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o the elastic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and a support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extends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들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판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1 걸림부; 상기 절개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걸림부; 및 상기 접속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가 눌리거나 들림이동시 상기 제 1, 2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lifting portion may include a cutout formed through the side plate; a first hold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cision; a second hold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cision; and a shackl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engaging or disengag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catching portions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pressed or lift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는 상기 걸림쇠를 관통 결합시키는 걸림 관통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of a catching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atching member is penetrated and coupl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고정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들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및 상기 측면판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상기 측면판들 및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xing plate; Front plates provided on and coupled to fron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s;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protrudes outwardly to extend within the fixing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nd an anti-lifting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plate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wherei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the side plates, and the front plate are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t may be combin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 ' 제 5 실시예 ')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6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0는 도 19의 B부 확대 사시도 이다.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according to another various embodiment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section B of FIG. 19 .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600)는 바닥판(610), 고정판(620), 측면판(630), 전면판(640), 가동부(650) 및 들림 방지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19 and 20,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shown in FIG. 1) includes a bottom plate 610, a fixing plate 620, a side plate 630, and a front plate ( 640), a movable part 650 and a lifting prevention part 660 may be included.

상기 바닥판(610)은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된 기판(680; 도 23에 도시됨)에 고정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610 may be fixed to a substrate 680 (shown in FIG. 23 )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shown in FIG. 1 ).

상기 고정판(620)은 후술하는 상기 측면판(630)의 상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판(6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plate 620 may be provided above the bottom plate 610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ide plate 6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측면판(630)은 상기 바닥판(610)과 상기 고정판(620)을 일체로 연결함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상기 바닥판(610) 및 상기 고정판(620)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ide plate 63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610 and the fixing plate 620 to integrally connect and simultaneously support the bottom plate 610 and the fixing plate 620 .

상기 전면판(640)은 상기 고정판(620)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굴곡되어 상기 바닥판(610)의 일단과 상기 측면판(630)들의 일단을 각각 결합하도록 상기 바닥판(610), 상기 고정판(620) 및 상기 측면판(630)들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640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xing plate 620 and is bent at the same time so that one end of the bottom plate 610 and one end of the side plates 630 ar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610, It may be provided on front surfaces of the fixing plate 620 and the side plates 630 .

상기 가동부(650)는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690; 도 23에 도시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바닥판(610)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동부(650)는 상기 바닥판(610)의 후면의 상측방향으로 굴곡지게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판(620)에 형성된 돌출 관통홀(621)에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The movable part 650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61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690 (shown in FIG. 23)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For example, the movable part 650 may be curvedly connected upwardly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610 and at the same time pass through a protruding through hole 621 formed in the fixing plate 620 to protrude to the outside.

상기 들림 방지부(660)는 상기 가동부(650)가 상기 고정판(6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65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판(620) 및 상기 가동부(65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들림 방지부(660)는 상기 가동부(650)에 형성된 걸림쇠(662)가 상기 고정판(620)에 형성된 걸림부(661)에 걸려 상기 가동부(65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The lifting prevention part 660 is provided on the fixed plate 620 and the movable part 650 to limi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650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part 6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620. It can be. For example, the lifting prevention part 660 is such that the hook 662 formed on the movable part 650 is caught on the hooking part 661 formed on the fixing plate 620 to limi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650. can

이와 같이, 상기 바닥판(610), 상기 고정판(620), 상기 측면판(630)들 및 상기 전면판(640)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6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670)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속 단자 장치(600)의 전면에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더불어, 상기 고정판(620)의 상부에서 외부 충격(예컨데 Z축 방향; 도 23에 도시됨)으로 충격을 가할시 접속 단자 장치(600)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측면도 보호하여 접속 단자 장치(600)에 가해지는 다양항 방향(예컨데, X축 방향; 도 23에 도시됨)의 외력으로부터 가동부(650)를 보호하고, 또한, 가동부(650)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제한하여 가동부(650)의 반복적인 눌림 동작 및 들림 동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탄성력이 저하 및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의 변형 불량 및 접속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ottom plate 610, the fixing plate 620, the side plates 630, and the front plate 640 have a concavo-convex structure 67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By configuring to be coupled, it protects from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and in addition, from an external impact (eg, Z-axis direction; shown in FIG. 23) from the top of the fixing plate 620 When applied, it not only prevents the terminal device 600 from being deformed, but also protects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part (for example, in the X-axis direction; shown in FIG. 23 ) from external forces applied to the terminal device 600 in various directions. 650), and also, by limiting the abnormal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650, even if the movable part 650 is repeatedly pressed and lifted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erioration and loss of elasticity, thereby preventing product Deformation failure and connection failure of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요철 구조(670)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앞서 언급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요철 구조(670)는 예를 들면, 제 1 돌기(671)(671a), 복수의 제 2 돌기(672), 복수의 제 1, 2 홈(673)(674) 및 복수의 제 1 결합 돌기(675) 및 복수의 제 1, 2 결합홈(676)(677)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avo-convex structure 67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referring to FIGS. 19 and 20 mentioned above, the concavo-convex structure 670 includes, for example, first protrusions 671 and 671a,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672,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grooves. (673) (674),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675),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676, 677).

상기 제 1 돌기(671)는 후술하는 상기 전면판(640)의 복수의 제 1 결합홈(676)과 결합되도록 상기 바닥판(61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돌기(671a; 도 22에 도시됨)는 상기 측면판(630)의 복수의 제 2 홈(674)과 결합되도록 상기 바닥판(6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671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plate 610 to be coupled with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676 of the front plate 6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protrusion 671a; 22)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610 to be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674 of the side plate 630.

상기 복수의 제 2 홈(674)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돌기(671a; 도 22에 도시됨)와 결합되도록 상기 측면판(630)들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 홈(673)은 상기 전면판(640)에 형성된 제 1 결합 돌기(675)와 결합되도록 상기 측면판(630)들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grooves 674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ide plates 630 to be coupled with second protrusions 671a (shown in FIG. 22)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and One groove 673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plates 630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675 formed on the front plate 640 .

상기 복수의 제 1 결합 돌기(675)는 상기 측면판(630)들의 복수의 제 1 홈(673)과 결합되도록 상기 전면판(64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홈(676)은 상기 바닥판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돌기(671)와 결합되도록 상기 전면판(640)의 하일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결합홈(677)은 상기 측면판(630)들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제 2 돌기(672)와 결합되도록 상기 전면판(64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675 may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ront plate 640 to be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grooves 673 of the side plates 630. The first coupling groove 676 )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640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protrusion 671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plat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677 is one end of the side plates 630 I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late 640 so as to be coupl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672 formed on the.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판(610), 상기 고정판(620), 상기 측면판(630) 및 전면판(640)이 서로 요철 구조(670)로 결합할 경우, 상기 전면판(640)의 하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결합홈(676)은 상기 바닥판의 제 1 돌기(671)와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64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 1 결합 돌기(675)는 상기 측면판(630)의 제 2 결합홈(677)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640)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 2 결합홈(677)은 상기 측면판(630)들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제 2 돌기(672)에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bottom plate 610, the fixing plate 620, the side plate 630 and the front plate 64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670, the front plate 640 The plurality of first coupling grooves 676 formed at the lower end are coupled to the first projections 671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rst coupling projections 67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late 640 are the side plates ( 630), the second coupling grooves 677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late 640 ar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672 formed on one end of the side plates 630 can be coupled to

또한, 상기 고정판(620)의 구성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1은 도 19의 A-A' 선단면도로서, 들림 방지부(660)의 걸림쇠(662)가 걸림부(661)에 걸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600)의 동작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된 사시도 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 장치(6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late 6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9,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member 662 of the lifting prevention unit 660 is caught by the holding member 661. 22 is a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according to still oth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및 도 22를 참조 하면, 상기 고정판(620)의 전면은 상기 전면판(640)과 일체로 굴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620)의 하부에는 상기 가동부(650)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620)에는 상기 가동부(650)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판(62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가능하게 하도록 돌출 관통홀(621)이 형성될 수 있다. 21 and 22,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plate 620 is integrally bent and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640, the movable part 650 is disposed below the fixed plate 620, and the fixed plate A protrusion through hole 621 may be formed in 620 so as to penetrate the movable part 650 and protrude from the fixing plate 620 to a predetermined height.

예를 들면, 상기 전면판(640)의 상일단은 상기 고정판(620)의 전면과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직각으로 굴곡되고, 상기 전면판(640)의 하일단에 형성된 제 1 결합홈(676)이 상기 바닥판(610)에 형성된 제 1 돌기(671)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6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620 and is bent at a right angle,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67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late 640 This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671 formed on the bottom plate 610 .

상기 돌출 관통홀(621)은 상기 가동부(650)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판(620)의 상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 관통홀(621)을 통해 돌출된 가동부(650)는 외부 대상물(69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protruding through hole 621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fixing plate 620 by penetrating the movable part 650 . For example, the movable part 650 protruding through the protruding through hole 62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690 .

또한, 앞서 언급한 도 22 및 도 23과 같이, 상기 가동부(650)는 탄성부(651), 접속부(652) 및 지지대(653)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S. 22 and 23 mentioned above, the movable part 650 may include an elastic part 651 , a connection part 652 and a support 653 .

상기 탄성부(651)는 상기 가동부(650)를 눌리거나 들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651)는 상기 고정판(620)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610)의 후면에서 둥굴게 구부려지게 연결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지지대(65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653)는 상기 탄성부(651)와 상기 접속부(652)를 일체로 이어짐과 동시에 연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651)와 상기 접속부(652)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651 may provide elastic force to press or lift the movable part 650 . The elastic part 651 may be disposed under the fixing plate 620, and may be connected to a support 653 to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connected in a round shape at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610. The support 65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art 651 and the connection part 652 so that the elastic part 651 and the connection part 652 can be integrally connected and extended at the same time.

상기 접속부(652)는 상기 외부 대상물(69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탄성부(651)에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속부(652)는 상기 지지대(653) 및 상기 탄성부(651)에 의해 상기 돌출 관통홀(621)에 관통되어 외부에 돌출되어 상기 외부 대상물(69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652 may extend to the elastic part 651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69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652 penetrates the protruding through hole 621 by the support 653 and the elastic part 651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690. there is.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651)는 상기 고정판(620)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652)는 상기 탄성부(651)와 연결된 지지대(653)에 의해 상기 돌출 관통홀(621)에 관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astic part 651 is disposed below the fixing plate 620, and the connection part 652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art 651 by a support 653 connected to the protruding through hole 621. ) can penetrate.

또한, 앞서 언급한 도 21 및 도 22와 같이, 상기 들림 방지부(660)는, 걸림부(661) 및 걸림쇠(6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부(661)는 후술하는 상기 걸림쇠(662)와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쇠(662)와 접촉에 따라서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62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1 and 22 mentioned above, the lifting prevention unit 660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661 and a locking member 662 . For example, the locking portion 661 may be formed on the fixing plate 62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member 662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be caught or released according to contact with the locking member 662 at the same time. .

상기 걸림쇠(662)는 상기 접속부(652)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속부(652)가 눌리거나 들림이동시 상기 걸림부(661)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65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clasp 662 extend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652, and when the connector 652 is pressed or lifted, the connector 652 can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clasp 661. can be formed at once.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661)는 상기 고정판(620)의 돌출 관통홀(62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쇠(662)가 상기 걸림부(661)의 하부에 걸려 상기 가동부(650)의 접속부(652)가 상기 돌출 관통홀(6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부(652)가 눌려지면, 상기 접속부(652)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쇠(662)가 상기 걸림부(661)에서 이탈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oking portion 661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through hole 621 of the fixing plate 620 . For example, the hook 662 is hooked on the bottom of the locking part 661 to prevent the connecting part 652 of the movable part 6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ruding through hole 621 .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on part 652 is pressed, the connection part 652 moves downward, and the latch 662 is separated from the hook part 661 .

이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10; 도 1에 도시됨)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600)의 동작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is state,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1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앞서 언급한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속 단자 장치(600)는 기판(680) 측에 바닥판(610)을 실장시킨다. 이때, 상기 기판(680)과 바닥판(610)은 납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3 mentioned above,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610 is mounted on the board 680 side. In this case, the substrate 680 and the bottom plate 610 may be fixed by soldering.

이 상태에서, 도 23과 같이, 상기 외부 대상물(690)이 상기 접속 단자 장치(600)의 접속부(652)에 접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부(652)는 스마트폰 후면 커버에 내장된 NFC 안테나와 같은 외부 대상물(690)과 초기 접속이 이루어진다. 접속 단자 장치(60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시점(접속 시점)의 경우, 기판(680)에 실장된 접속 단자 장치(600)의 가동부(650)는 접속부(652)와 외부 대상물(690)이 접속이 이루어지면서 일정 높이 상기 고정판(620)의 아래로 가동된다. 이때 탄성부(651)는 접속부(652)로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면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부(650)는 상기 고정판(620)의 아래로 가동됨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650)와 함께 접속부(652)도 함께 고정판(620)의 아래로 가동되고, 상기 접속부(652)의 걸림쇠(662)도 함께 상기 고정판(620)의 아래로 가동된다. 상기 걸림쇠(662)는 상기 고정판(620)의 걸림부(661)에서 분리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23 , the external object 690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652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unit 652 is initi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690 such as an NFC antenna built into a rear cover of a smartphone. At the point of time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is connected (connection time point), the movable part 650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mounted on the board 68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652 and the external object 690. While being made, it moves under the fixing plate 620 at a certain height.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651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absorbing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part 652 . The movable part 650 is moved under the fixed plate 620, and at the same time, the movable part 650 and the connection part 652 are also moved under the fixed plate 620, and the hook 662 of the connection part 652 It also moves under the fixing plate 620. The hook 662 is separated from the hook part 661 of the fixing plate 620 .

이와 같이, 외부 대상물(690)과 접속부(652)의 접촉에 따라 가동부(650)가 눌리고, 이때, 탄성부(651)는 일정한 힘으로 상기 가동부를 지지해줌으로써, 상기 가동부(650)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눌리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 눌림 작용이 탄성부(651)에 가해지는 영향이 줄어듬에 따라 탄성부(651)의 탄성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In this way, the movable part 650 is pressed according to the contact between the external object 690 and the connection part 652, and at this time, the elastic part 651 supports the movable part with a constant force, so that the movable part 650 is continuously Even if a pressing force is repeatedly applied, as the effect of the pressing action on the elastic part 651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651 from being lowered.

나아가, 도 23의 접속 상태에서 가동부(650)에 비정상적인 외력,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지면에 떨어지는 충격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상기 바닥판(610), 상기 고정판(620), 상기 측면판(630)들 및 상기 전면판(640)들은 요철 구조(670)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접속 단자 장치(600)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동부(650)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651)의 과도한 변형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Furthermore, even when an abnormal external force, such as an abnormal external force such as a shock from a smartphone falling to the ground, is applied to the movable part 650 in the connected state of FIG. 23, the bottom plate 610, the fixing plate 620, and the side surface Since the plates 630 and the front plate 640 are coupled by the concavo-convex structure 670,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can be prevented and impact transmitted to the movable part 650 can be reduced. Due to this, excessive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rt 651 can be further prevented.

한편, 앞서 언급한 도 23과 같이, 상기 외부 대상물(690)과 상기 접속부(652)가 분리될 경우, 탄성부(651)에 의해 접속부(652)가 아래에서 위로 외력이 가해지고, 상기 측면판(630)들의 측면에는 상기 가동부(65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66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들림 방지부(660)는 걸림부(661) 및 걸림쇠(662)로 구성되고, 이 상태에서, 가동부(650)가 일정 높이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부(652)의 끝단에 마련된 걸림쇠(662)가 상기 고정판(620)에 형성된 걸림부(661)에 접촉되어 걸려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가동부(650)는 더 이상의 상승이 저지됨에 따라 가동부(650)가 과도하게 들어 올려지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3 mentioned above, when the external object 690 and the connection part 652 are separate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652 from the bottom to the top by the elastic part 651, and the side plate Since the lifting prevention part 66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part 650 to limit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650, the lifting prevention part 660 is composed of a locking part 661 and a locking member 662, In this state, the movable part 650 rises to a certain height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 662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65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ok part 661 formed on the fixing plate 620 and is caught and fixed. At this time, as the movable part 650 is prevented from rising 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able part 650 from being excessively lifted.

이와 같이, 상기 바닥판(610), 상기 고정판(620), 상기 측면판(630)들 및 상기 전면판(640)은 접속 단자 장치(6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670)로 결합함으로써, 제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전방위(예컨데, X축방향)에서의 외력으로부터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고정판(620)에 의해 상기 가동부(650)의 과도한 가동되는 것을 막아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수 있다. 이로인해 제품의 변형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In this way, the bottom plate 610, the fixing plate 620, the side plates 630, and the front plate 640 are combin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67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By doing so, it protects the produc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deformation from external forces in all directions (eg, X-axis direction), and also prevents excessive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650 by the fixing plate 62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product. can do. As a result, deformation defects of the product do not occu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19와 같이, 접속 단자 장치(600)는, 바닥판(610); 상기 바닥판(6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620); 상기 바닥판(610) 및 상기 고정판(62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630); 상기 바닥판(610), 상기 고정판(620) 및 상기 측면판(630)들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640); 상기 바닥판(610)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620)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69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650); 상기 고정판(620) 및 상기 가동부(650)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650)가 상기 고정판(6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650)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66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610), 상기 고정판(620), 상기 측면판(630)들 및 상기 전면판(640)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6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670)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9 mentioned abov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includes a bottom plate 610; A fixing plate 620 provided on top of the bottom plate 610; Side plates 6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610 and the fixing plate 620; The bottom plate 610, the fixing plate 620 and the front plate 640 provided and combin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ide plate 630; A movable part 650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610, protrudes to the outside to extend within the fixing plate 6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690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 lifting prevention part 660 provided on the fixed plate 620 and the movable part 650 and limit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650 to prevent the movable part 6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620 Including, the bottom plate 610, the fixing plate 620, the side plates 630 and the front plate 640 have a concavo-convex structure 67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600. can be combined with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바닥판의 일단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2 돌기; 상기 측면판들의 일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돌기 및 복수의 제 1 홈; 상기 측면판들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돌기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 2 홈; 및 상기 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의 제 1 돌기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 및 복수의 제 1 홈과 결합되는 복수의 제 1 결합 돌기 및 복수의 제 1 ,2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o-convex structur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formed on one end or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formed on one end of the side plates;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ide plates and coupled with second protrusions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and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formed on the front plate, coupled to the first proj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and the plurality of first grooves. ca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의 전면은 상기 전면판과 일체로 굴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가동부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가능하게 하는 돌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plate is integrally bent and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and a protruding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xed plate to allow the movable part to protrude from the fixed plate to a predetermined height. ca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를 눌리거나 들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연장되어 상기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를 일체로 이어지게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part is disposed below the fixed plate, the elastic part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be bendable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press or lift the movable part;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o the elastic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and a support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extends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들림 방지부는,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접속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가 눌리거나 들림이동시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쇠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lifting portion includes a holding portion formed on the fixing plate; I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extends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and may include a latch that is caught or released from the locking part when the connection part is pressed or lift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판의 돌출 관통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through hole of the fixing plat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고정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들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및 상기 측면판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상기 측면판들 및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xing plate; Front plates provided on and coupled to fron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s;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protrudes outwardly to extend within the fixed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nd an anti-lifting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plate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wherei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the side plates, and the front plate are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t may be combin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접속 단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전자 장치: 10 바닥판: 210, 310, 410, 510, 610
가동부 : 220, 320,420, 550, 650 보호 벽체 : 23, 33, 430
눌림 방지부 : 233, 333, 380 들림 방지부: 240, 340, 440, 560,660
스토퍼부 : 250 탄성부 : 221, 321, 421
접속부 : 223, 323, 423 흡착면 : 222, 322, 422
측면 벽체 : 231, 331, 431 전면 벽체 : 232, 332, 432
절개부 : 243, 343, 443 걸림부 : 242, 342, 442
걸림쇠 : 241, 341, 441 스토퍼홈: 223b
제 1, 2 눌림 방지부 : 433, 433a 고정판 : 520, 620
요철 구조 : 570, 670
Electronics: 10 Baseplate: 210, 310, 410, 510, 610
Movable parts: 220, 320,420, 550, 650 Protection walls: 23, 33, 430
Anti-pressing part: 233, 333, 380 Anti-lifting part: 240, 340, 440, 560,660
Stopper part: 250 Elastic part: 221, 321, 421
Connection: 223, 323, 423 Adsorption surface: 222, 322, 422
Side walls: 231, 331, 431 Front walls: 232, 332, 432
Incision: 243, 343, 443 Catch: 242, 342, 442
Catch: 241, 341, 441 Stopper Home: 223b
1st, 2nd anti-pressing part: 433, 433a fixing plate: 520, 620
Concave-convex structure: 570, 670

Claims (43)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구비되어 눌리거나 들림에 따라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적어도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bottom plate;
A movable par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as it is pressed or lifted;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an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at least one end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ntacted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nd
and a lifting prevention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리도록 형성되어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들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 및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bottom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side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n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ntacted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 lift prevention uni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to prevent the movable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and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in a pressing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위로 둥글게 구부려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부를 눌리거나 들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를 일체로 이어지게 연장되는 흡착면을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ovable part includes an elastic part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be bent upward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press or lift the movable part;
a connecting portion that extends upward to the elastic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and
and a suction surface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타원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위로 둥글게 절곡되고, 상기 눌림 방지부는 상기 탄성부 안쪽에 위치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elastic part is bent upward in an elliptical or semi-elliptic shape, and the anti-pressing part is positioned inside the elastic par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는, 상기 바닥판의 양측면에 수직,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의 측면을 보호해 주는 측면 벽체; 및
상기 바닥판의 전면에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의 전면을 보호해 주는 전면 벽체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may include a side wall that is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part; and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front wall that is formed to be bent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protects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의 일단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측면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anti-pressing part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side wall and is formed as a side support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들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에 형성되는 걸림부; 및
접속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lifting prevention part may include a cutout formed in the side wall;
a holding portion formed in the incision; and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catch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접속부가 위치한 상기 측면 벽체의 일부분에서 상기 측면 벽체의 위쪽 끝부분을 제외한 상기 측면 벽체와 상기 바닥판의 전체로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by continuously cutting a portion of the sidewall where the connection portion is located to the entirety of the sidewall and the bottom plate except for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idewal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전면에 형성된 스토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스토퍼홈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부가 결합될 때 상기 스토퍼홈에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형성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groov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topper portion is received inside the stopper groove, and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stopper groove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coupled.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 which the stopper part is formed in a '∩' sha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는 상기 절개부를 통해 전 후 분할되는 터널(Tunnel)형 보호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는 상기 절개부의 앞쪽에 위치한 상기 측면 벽체의 아래쪽 끝부분이 바닥판까지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 고정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is composed of a tunnel-type protective wall that is divided in front and rear through the incision, and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located in front of the incision to the bottom plate. A connecting terminal device that is extended and fixed by soldering to a board.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bottom plat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part, and is contacted by pressing the movable part to be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n anti-pressing unit for limiting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and
and an anti-lift porti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는, 상기 바닥판의 양측면에서 수직, 수평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동부의 측면을 보호해 주는 측면 벽체; 및
상기 바닥판의 전면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가동부의 전면을 보호해 주는 전면 벽체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may include a side wall that is be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part; and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front wall that is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part.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의 일단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측면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anti-pressing part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side wall and is formed as a side support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pressing the movable part.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들림 방지부는, 상기 바닥판 및 상기 측면 벽체에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부; 및
접속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3,
The lifting prevention part may include cutouts formed in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wall;
a hold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cision; and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catch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exten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be caught or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portion.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면 벽체의 전방 및 후방으로 분할시키는 분할홈으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of a dividing groove dividing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wall into front and rear portions.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의 상단면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상기 가동부의 아래면과 접촉되도록 상면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anti-pressing part is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is formed as an upper surface support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part as the movable part is pressed.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들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1 걸림부;
상기 절개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걸림부; 및
상기 접속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가 눌리거나 들림이동시 상기 제 1, 2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lifting prevention part may include a cutout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wall;
a first hold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cision;
a second hold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cision; and
and a catch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engaging or disengaging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ortions when the connection portion is pressed or lifted.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9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걸림쇠를 관통 결합시키는 관통홀로 이어지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8,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utout leads to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latch is penetrated.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0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눌림 방지부;
상기 가동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의 일단이 상기 바닥판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눌림 방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bottom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 first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ntacted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 second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able unit and limiting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by contacting one end of the movable unit with the bottom plate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and
and an anti-lift porti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1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위로 둥굴게 구부려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부를 눌리거나 들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일정 높이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를 일체로 이어지게 연장되는 흡착면을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movable part includes an elastic part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be bent upward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press or lift the movable part;
a connecting portion that extends upward to the elastic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and
and a suction surface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2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는, 상기 바닥판의 양측면에 수직, 수평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의 측면을 보호해 주는 측면 벽체; 및
상기 바닥판의 전면에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의 전면을 보호해 주는 전면 벽체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21,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may include a side wall that is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side surface of the movable part; and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front wall that is formed to be bent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protects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part.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3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벽체에는 상기 가동부를 누르거나 들림에 따라서 상기 접속부를 삽입 및 이탈시키는 삽입홀이 더 형성되는 접속 단자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further formed in the front wall has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and detached as the movable portion is pressed or lifted.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눌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 벽체의 일단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도록 측면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first pressure-preventing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end of the side wall and is formed as a side support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portion when pressed.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5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눌림 방지부는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접속부가 상기 바닥판에 접촉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곡선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 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econd pressure-preventing portion is formed of a curved support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can slide when the connecting portion contacts the bottom plate when the movable portion is pressed.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 및
상기 바닥판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n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ntacted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 lifting prevention unit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to prevent the movable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 and
and a stopper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in a pressing direction.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7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눌림 방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n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ntacted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nd
and an anti-lift porti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wall.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동부를 보호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과 상기 가동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눌림 방지부;
상기 가동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의 일단이 상기 바닥판과 접촉되어 상기 가동부의 눌림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눌림 방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벽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movable part that is bent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movable part;
a first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movable unit, and contacted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to limit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a second anti-pressing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able unit and limiting the pressing movement of the movable unit by contacting one end of the movable unit with the bottom plate as the movable unit is pressed; and
and an anti-lift porti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t least one protective wall.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9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고정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및
상기 측면판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상기 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로 결합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bottom plate;
a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xing plate;
a front plate provided on and coupled to fron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protrudes outwardly to extend within the fixing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nd
It is provided on the side plate and includes an anti-lifting portion for limit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the side plate, and the front plate are coupl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0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바닥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바닥측 돌기;
상기 측면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측면 돌기 및 측면홈;
상기 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측 돌기와 결합되고, 상기 측면 돌기 및 측면홈과 결합되는 복수의 제 1 결합 돌기 및 복수의 제 1, 2 결합홈을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9,
The uneven structure,
a bottom side protrusion formed on one end of the bottom plate;
a side protrusion and a side groove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plate;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formed on the front plate and coupled to the bottom side projections and coupled to the side projections and side grooves.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1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납땜시 납을 삽입시키는 복수의 납땜홀이 형성되는 접속 단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9,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soldering holes are formed in the bottom plate to insert lead during soldering.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2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전면은 상기 전면판과 일체로 굴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의 후면은 상기 가동부와 굴곡지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는 상기 가동부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가능하게 하는 돌출 관통홀이 형성되는 접속 단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9,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is integrally bent and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having a protruding through-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to allow the movable part to pass through and protrude from the fixing plate to a predetermined height.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3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아래로 둥굴게 구부려지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부를 눌리거나 들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연장되어 상기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를 일체로 이어지게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9,
The movable part may include an elastic part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to be bent downward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press or lift the movable part;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o the elastic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and
and a support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들림 방지부는, 상기 측면판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1 걸림부;
상기 절개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2 걸림부; 및
접속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가 눌리거나 들림이동시 상기 제 1, 2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29,
The lifting prevention part may include a cutout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plate;
a first holding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cision;
a second holding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incision; and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catch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engaging or disenga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portions when the connection portion is pressed or lifted.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5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걸림쇠를 관통 결합시키는 걸림 관통홀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 장치.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of a catching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atching member penetrates and engages.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고정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
상기 고정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상기 측면판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상기 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로 결합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xing plate;
a front plate provided on and coupled to fron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protrudes outwardly to extend within the fixing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It is provided on the side plate and includes an anti-lifting portion for limit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ortion to prevent the movabl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plat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the side plate, and the front plate are coupl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7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고정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및
상기 고정판 및 가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상기 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로 결합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bottom plate;
a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xing plate;
a front plate provided on and coupled to fron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protrudes outwardly to extend within the fixed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nd
A lifting prevention part provided on the fixed plate and the movable part and limit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to prevent the movable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the side plate, and the front plate are coupl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구조는,
상기 바닥판의 일단 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2 돌기;
상기 측면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돌기 및 복수의 제 1 홈;
상기 측면판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돌기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 2 홈; 및
상기 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의 제 1 돌기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돌기 및 복수의 제 1 홈과 결합되는 복수의 제 1 결합 돌기 및 복수의 제 1, 2 결합홈을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38. The method of claim 37,
The uneven structure,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formed on one end or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formed on one end of the side plate;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coupled with second protrusion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A connec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formed on the front plate and coupled to the first proj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and the plurality of first grooves terminal device.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9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전면은 상기 전면판과 일체로 굴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가동부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가능하게 하는 돌출 관통홀이 형성되는 접속 단자 장치.
39. The method of claim 38,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is integrally bent and connected to the front plate,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wherein a protruding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fixing plate to penetrate the movable part so as to be able to protrude from the fixing plate to a predetermined height.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0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를 눌리거나 들리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연장되어 상기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와 상기 접속부를 일체로 이어지게 연장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38. The method of claim 37,
The movable part may include: an elastic part disposed under the fixing plate and bentably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press or lift the movable part;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o the elastic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object; and
and a support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and extending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1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들림 방지부는,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걸림부;
접속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접속부가 눌리거나 들림이동시 상기 걸림부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는 걸림쇠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장치.
38. The method of claim 37,
The anti-lifting portion may include a holding portion formed on the fixing plate;
A connection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catch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out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engaging or releasing the engagement portion when the connection portion is pressed or lifted.
◈청구항 4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2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판의 돌출 관통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접속 단자 장치.
42. The method of claim 41,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holding port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protruding through hole of the fixing plate.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3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판;
상기 바닥판 및 상기 고정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판;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의 전면에 구비됨과 아울러 결합되는 전면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굴곡지게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내에서 연장되게 외부로 돌출되어 탄성력에 의해 눌리거나 들림 이동하여 외부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가동부; 및
상기 고정판 및 상기 가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동부의 들림 이동을 제한하는 들림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상기 고정판, 상기 측면판 및 상기 전면판은 상기 접속 단자 장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구조로 결합되는 접속 단자 장치.
In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substrat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a bottom plate fixed to the substrate;
a fixing plate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fixing plate;
a front plate provided on and coupled to front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
a movable part that is curved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protrudes outwardly to extend within the fixed plat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object by being pressed or lifted by an elastic force; and
A lifting prevention part provided on the fixed plate and the movable part and limiting lifting movement of the movable part to prevent the movable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plate, the side plate, and the front plate are coupled in a concavo-convex structur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device.
KR1020150158273A 2015-03-31 2015-11-11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5209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84,901 US9768537B2 (en) 2015-03-31 2016-03-30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717 2015-03-31
KR20150045717 2015-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36A KR20160117136A (en) 2016-10-10
KR102520969B1 true KR102520969B1 (en) 2023-04-13

Family

ID=5714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273A KR102520969B1 (en) 2015-03-31 2015-11-11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9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009B1 (en) 2017-06-09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2419402B1 (en) 2017-06-12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KR102582689B1 (en) * 2018-08-13 2023-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Dual contact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89923Y (en) * 2008-09-28 2009-08-12 Fci连接器新加坡有限公司 Contact terminal and electric connector
KR20130122160A (en) * 2012-04-30 2013-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20140002022U (en)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Connection Terminal of Cellular Phone
KR20150024760A (en) * 2014-01-14 2015-03-09 박진우 Pcb cut type cont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36A (en)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8537B2 (en)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75971B1 (en)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39820B1 (en) Protecting cover
EP327057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eal member
EP2955604B1 (en) Accessory device
US964092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043366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 button
KR102520969B1 (en) Connecting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777920B2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70373431A1 (en) Sealed circuit board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0111321B2 (en) Printed circuit board
KR102483702B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multi receiving part
KR102149443B1 (en) Socket device
EP2908508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ening
KR102251317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housing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US9728870B2 (en)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39999A (en) Electronic device
EP2993875B1 (en) Co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over device
KR102371856B1 (en) Structure for Detachable connector integrated on apparatus
KR20150083567A (en) Sim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55943B1 (en) Multi connecting device
JPWO2017111018A1 (en) Protective equipment
KR102575671B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lcuding the same
US1118194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elf-aligning accessory
KR20150108605A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