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831B1 -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831B1
KR102520831B1 KR1020220084315A KR20220084315A KR102520831B1 KR 102520831 B1 KR102520831 B1 KR 102520831B1 KR 1020220084315 A KR1020220084315 A KR 1020220084315A KR 20220084315 A KR20220084315 A KR 20220084315A KR 102520831 B1 KR102520831 B1 KR 10252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ucation
server
backup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이러닝인재개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이러닝인재개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이러닝인재개발원
Priority to KR1020220084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831B1/ko
Priority to KR1020230044796A priority patent/KR20240007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법정의무교육 수요기업으로부터 기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업 현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에게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은,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는 교육 큐레이팅 서버와 사업주, 근로자가 소지하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와 통신하는 기업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STATUTORY COMPULSORY TRAINING CURATING PLATFORM SYSTEM}
본 발명은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법정의무교육 수요기업으로부터 기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업 현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에게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법정의무교육이란, 우리나라에서 근로자를 대상으로 매년 의무적으로 시행하는 교육으로, 직장인이라면 법률에 따라 필수적으로 받야아 하는 교육을 말한다. 이는 법으로 정해져 있는 강제교육이므로 관련 법령에 따라 처리되며, 미이수를 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된다. 일반적으로 ▷산업안전보건교육 ▷직장 내 성희롱예방교육 ▷개인정보보호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퇴직연금교육 등이 ‘5대 법정의무교육’에 해당한다.
산업안전보건교육(매분기 6시간 이상)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5인 이상 사업장이라면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교육과정으로, 사고의 위험에 노출돼 있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고 현장 노동자들의 건강을 위해 실시된다.
직장 내 성희롱예방교육(연 1회, 1시간 이상)은 ‘남녀 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것으로, 사업주는 직장 내 성희롱을 예방하고 근로자가 안전한 근로환경에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해당 교육을 매년 실시해야 한다.
개인정보보호교육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것으로, 기업 등에서 다루는 고용 노동자를 비롯해 고객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실시하는 교육이다.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교육은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라 2018년부터 실시된 교육으로, 장애인들의 고용환경 개선과 함께 직장 내 처우개선 및 차별을 예방하고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취지로 시행되고 있다.
퇴직연금교육은 ‘근로자 퇴직급여보장법’에 따른 것으로, 퇴직연금은 기업이 근로자가 재직하는 동안 퇴직금을 외부 금융기관에 적립하여 근로자가 퇴직할 때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한편, 법정의무교육은 기업의 현황에 따라 이수하여야 하는 교육 과목이 다양하여 기업의 입장에서는 법정의무교육을 제공하는 전문인력에 상담 등을 요청한 후, 상담 결과에 따라 법정의무교육을 이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8799호 (2020년12월08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법정의무교육 수요기업으로부터 기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업 현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에게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은,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는 교육 큐레이팅 서버 및 사업주 및 근로자가 소지하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와 통신하는 기업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업단말기는,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로 기업 현황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는, 상기 기업 현황 정보를 기초로 기업이 이수해야 할 법정의무 과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은, 외부서버로부터 정부과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보유하는 정부과제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는, 상기 정부과제 서버가 보유하는 정부과제에 대한 정보 중 상기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정부과제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는, 상기 정부과제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할 때, 상기 정부과제를 입찰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하는 교육 과목 또는 가점이 주어지는 교육 과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법정의무 과목에 대한 교육 콘텐츠 정보를 보유하는 교육 콘텐츠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는, 상기 교육 콘텐츠 서버가 보유하는 교육 콘텐츠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교육 콘텐츠 서버는, 서버 이중화를 통해 서버 내 교육 콘텐츠를 관리하는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 복수 개의 교육자단말기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며, 상기 교육자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교육 콘텐츠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 및 상기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교육 콘텐츠를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하는 백업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에 따르면, 법정의무교육 수요기업으로부터 기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업 현황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업에게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전문인력과의 상담 없이도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서버의 각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백업 모듈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업 에이전트부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부하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부하도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부하도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100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도 1을 참조하면,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 및 기업단말기(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보유한다.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일 실시예로서, 제1 외부서버(미도시)로부터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외부서버는, 예를 들어, 교육노동부(www.moel.go.kr), 안전보건공단의 안전보건교육포털(www.koshats.or.kr), 한국인터넷진흥원의 개인정보보호종합포털(www.privacy.go.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포털(edu.kead.or.kr), 근로복지공단의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pension.kcomwel.or.kr)이 관리하는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가 보유하는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는, 각 교육 과목에 대한 이수하여야 하는 대상, 그 교육 횟수 정보 및 미이수시 과태료 등 패널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의 경우 그 대상은 사업주 및 근로자 전 직원이며, 교육 횟수는 연 1회, 1시간 이상(남녀고용평등법 제13조)이고, 미이수시 과태료는 최대 5백만원이다. 개인정보 보호법교육의 경우 그 대상은 개인정보 처리 담당자 및 근로자이며, 교육 횟수는 연 1회, 1시간 이상(개인정보보호법 제28조)이고, 개인정보 유출 시 과징금은 최대 5억원이다.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교육의 경우, 그 대상은 사업주 및 근로자 전 직원이고, 교육 횟수는 연 1회, 1시간 이상(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5조의 2)이고, 미이수시 과태료는 최대 3백만원이다. 산업안전 보건교육의 경우, 그 대상은 사무직, 판매직, 근로자 및 감독자이며, 교육 횟수는 분기당 3~6시간(산업 안전 보건법 제31조)이고, 미이수시 과태료는 최대 5백만원이다. 퇴직연금 교육의 경우, 그 대상은 기업의 경우 사업자 내 연금가입 근로자이며, 공공기관의 경우 공공관리 근로자이고, 교육 횟수는 연 1회, 1시간 이상(퇴직급여법 제32조)이며, 미이수시 과태료는 최대 1천만원이다.
한편,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가 보유하는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정보들 외에 다른 정보들도 포함될 수 있다.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업장 내 근로자의 수, 업태, 업종, 근로자 특이사항, 주력 서비스 및 주력 상품 등 기업 현황 정보에 따라 달라지는 교육에 대한 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정의무교육은, 근로자 5인 이상 일반 사업장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성희롱 예방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교육, 개인정보 보호법교육,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퇴직연금 교육을 포함하는 5과목으로 지정되어 있고, 일반 사업장 외 의료기관, 공공기관, 사회복지시설은 5과목 외에도 4대 신고의무자 교육을 추가로 실시해야 한다. 이때 산업안전 보건교육의 경우 일부 업태에 따른 사업장은 의무교육에서 제외되며, 그 일부 업태는, 부동산업, 임대업, 소프트웨어개발업, 금융업, 사회복지업, 단체, 협회, 의원 등의 업태를 포함한다. 또한 퇴직연금 교육의 경우, 퇴직연금상품에 가입되어 있는 사업장에 한하여 실시해야할 의무가 있으며, 미가입 사업장은 의무교육이 아니다. 성희롱 예방교육의 경우 10인 미만 소규모사업장 또는 100% 동성으로만 구성된 사업장은 자체적으로 교육자료를 배포, 게시하는 것으로 교육을 대체 할 수 있다. 한편, 상시 고용하는 근로자 수가 300명 이하인 경우 사업주가 자체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것도 인정되고, 근로자 수가 300명 이상인 경우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사내 강사 양성과정을 수료한 자가 실시해야 한다.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전술한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각 정보를 저장하여 보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업단말기(10)는, 사업주 및/또는 근로자가 소지하며 통신망을 통해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업단말기(10)는 통신망을 통해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로 사업주 및/또는 근로자의 기업에 대한 기업 현황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기업단말기(10)가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로 송신하는 기업 현황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업장 내 근로자의 수, 업태, 업종, 근로자 특이사항, 주력 서비스 및 주력 상품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기업단말기(10)로부터 기업 현황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기업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기업이 이수해야할 법정의무 과목에 대한 정보를 기업단말기(10)로 송신한다. 즉,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수신한 기업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근로자의 수가 5인 이상이고, 일반 사업장인 경우, 성희롱 예방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교육, 개인정보 보호법교육,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퇴직연금 교육을 포함하는 5과목을 법정의무교육에 따른 법정의무 과목에 대한 정보를 기업단말기(10)로 송신하며, 해당 기업의 업태가 부동산업, 임대업, 소프트웨어개발업, 금융업, 사회복지업, 단체, 협회, 의원 등일 경우, 산업안전 보건교육은 의무교육에서 제외된다는 정보를 함께 기업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기업단말기(10)로부터 사업장 내 근로자의 수, 업태, 업종, 근로자 특이사항, 주력 서비스 및 주력 상품 등을 포함하는 기업 현황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기업의 기업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기업이 이수하여야 하는 법정의무교육의 각 과목에 대한 정보를 기업단말기(10)로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0)은, 일 실시예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정부과제 서버(200)를 더 포함한다. 정부과제 서버(200)는, 제2 외부서버(미도시)로부터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보유한다. 이때 제2 외부서버는, 나라장터(https://www.g2b.go.kr), 기업마당(https://www.bizinfo.go.kr), 한국특허전략개발원(https://www.kista.re.kr) 등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 등에 관한 공고를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정부과제 서버(200)가 보유하는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 등에 관한 정보를 기업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기업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기업 현황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에 관한 정보만을 기업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정부과제 서버(200)가 보유하는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는 각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마다 서로 다른 참가자격 또는 신청자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참가자격 또는 신청자격은, 예를 들어, 지원대상, 지원기관 규모, 지원 자격 등과 그 세부 자격요건들을 포함한다.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기업 현황 정보에 포함된 사업장 내 근로자의 수, 업태, 업종, 근로자 특이사항, 주력 서비스 및 주력 상품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자격 요건에 부합하는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을 선별한 후, 그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기업단말기(10)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만일 어느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의 자격 요건 중, 참여 인력 구성에 대한 자격 요건이 있고, 참여 인력 구성 시 책임연구원과 연구원 각 1인 배정이 필수이며, 변리사 자격을 보유한 참여 인력은 변리사법 제5조 및 제11조에 따라 특허청장에게 등록 및 변리사회에 가입되어 있을 것, 참여 인력 중 반드시 1인은 변리사 자격을 가진 자일 것에 대한 자격 요건이 있을 때,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기업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기업 현황 정보 내 근로자 특이사항 정보에서 변리사 자격을 가진 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술한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해당 기업 현황 정보를 송신한 기업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기업단말기(10)로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때, 정부과제 또는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 내 정부과제에 입찰하거나 지원사업에 선정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하는 교육 과목(이하, ‘필수과목’이라 함) 또는 가점이 주어지는 교육 과목(이하, ‘가점과목’이라 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필수과목 또는 가점과목에 대한 정보를 함께 기업단말기(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0)은, 일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법정의무 과목, 필수과목 및 가점과목에 대한 교육 콘텐츠 정보를 보유하는 교육 콘텐츠 서버(300)를 더 포함한다. 교육 콘텐츠 서버(300)가 보유하는 교육 콘텐츠 정보는, 법정의무 과목, 필수과목 및 가점과목에 따른 동영상 파일 및 문서 파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는, 기업단말기(10)로 교육 콘텐츠 서버(300) 내 저장된 법정의무 과목, 필수과목 및 가점과목에 해당하는 동영상 파일 및 문서 파일을 통신망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0)은, 교육 콘텐츠 서버(300)가 보유하는 교육 콘텐츠 정보를 생성, 수정 및 삭제 등 관리하는 복수 개의 교육자단말기(20)를 더 포함한다. 교육자단말기(20)는 전술한 법정의무 과목, 필수과목 및 가점과목에 대한 교육과 관련있는 문서 데이터 파일, 이미지 데이터 파일, 영상 데이터 파일 및 음향 데이터 파일 등 교육 콘텐츠(이하, ‘데이터’라 함)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교육 콘텐츠 서버(300) 내 로컬 저장소에 저장한다. 교육자단말기(20)는 교육 콘텐츠 서버(300)에 접속하여 생성한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교육자단말기가 생성 및 수정하는 데이터는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를 통해 기업단말기(1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3110, 3120, 3130, 3140, 도 6 참조)를 포함하는 중앙집중형의 스토리지 시스템일 수 있고, 교육 콘텐츠 서버(300)가 포함하는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스토리지 시스템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쓰거나 읽는다. 이때 서로 연결된 서버(3110, 3120, 3130, 3140)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가 발생한 서버(3110, 3120, 3130, 3140) 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어 큰 불편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다른 서버(3110, 3120, 3130, 3140)에도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저장하여 어느 서버(3110, 3120, 3130, 314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데이터의 접근이 가능한 교육 콘텐츠 서버(300)를 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서버(300)의 각 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서버(300)는, 도 5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 및 백업 모듈(330)을 포함한다. 각 모듈(310, 320, 330)들은 서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일 실시예로서, 교육자단말기(20)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과 연결되고,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은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과 연결되며,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백업 모듈(3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가상화 기술을 바탕으로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이 보장된 서버 이중화를 통해 데이터를 관리한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서버(3110, 3120, 3130, 3140) 및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가 포함하는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를 포함한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이 포함하는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들은 서로 연결되어 물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들을 그룹화(3101, 3102)하여 관리하며, 동일 그룹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들은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다. 즉,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들을 가상 네트워크를 통해 그룹화하여 통합 관리한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각 그룹(3101, 3102)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저장하여 서버를 이중화한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으로 다른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 또는 교육자단말기(20)로 제공한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예를 들어, 제1 서버(3110)의 제1 로컬 저장소(3111)와 제2 서버(3120)의 제2 로컬 저장소(3121)가 제1 서버그룹(3101)일 경우, 제1 로컬 저장소(3111)와 제2 로컬 저장소(3121)의 각 데이터를 서로 교차하여 중복저장한다. 즉,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제1 로컬 저장소(3111)에 a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제2 로컬 저장소(3121)에 b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제1 로컬 저장소(3111)의 a 데이터를 제2 로컬 저장소(3121)에 복사하여 저장하고, 제2 로컬 저장소(3121)의 b 데이터를 제1 로컬 저장소(3111)에 복사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제1 서버그룹(3101)의 제1 로컬 저장소(3111)와 제2 로컬 저장소(3121)는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저장한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어느 한 서버의 점검 또는 장애 등이 발생한 경우, 동일한 데이터를 중복저장한 제1 서버그룹(3101)의 각 로컬 저장소(3111, 3121) 중 어느 한 로컬 저장소(3111, 3121), 즉 동일 그룹의 다른 서버의 로컬 저장소에 중복저장된 데이터를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 또는 교육자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어 데이터 사용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의 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은, 도 7을 참조하면, 교육자단말기(20)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 및 교육자단말기(20)가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이 포함하는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공유 스토리지부(3213)를 포함한다. 한편, 이때 공유 스토리지부(3213)는, 전술한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이 포함하는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각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일 수 있고, 또는 각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의 데이터가 복사된 별도의 저장소일 수 있다.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저장된 데이터가 변경되면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각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 내 데이터도 변경된다.
즉, 교육자단말기(20)가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가 제공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이 포함하는 각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 등을 수행하면, 그 결과들은 실시간으로 공유 스토리지부(3213) 또는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의 각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의 데이터에 반영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교육자단말기(20)는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의 각 로컬 저장소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의 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백업 모듈(330)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업 모듈(330)은, 도 8을 참조하면,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이 관리하는 서버(3110, 3120, 3130, 3140) 내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의 데이터를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한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이 포함하는 서버(3110, 3120, 3130, 3140)들은 각각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를 더 포함한다.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는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 내 데이터의 접근권한을 기 설정된 백업 스케줄에 따라 백업 에이전트부(3311)에 부여한다. 백업 모듈(330)은 백업 에이전트부(3311)를 포함하며, 백업 에이전트부(3311)는,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의 데이터를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부(3113, 3123, 3133, 3143)에 접근하여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의 데이터를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백업한다.
한편, 서버 이중화에서는 실시간으로 각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의 데이터가 서로 중복저장됨에 따라 실수로 반영된 데이터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도 복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백업 모듈(330)은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즉 시간차를 두고 데이터를 백업함에 따라 실수로 반영된 데이터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을 원복할 수 있다. 백업 모듈(330)의 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 및 백업 모듈(33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복수 개의 서버(3110, 3120, 3130, 3140) 및 물리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서버(3110, 3120, 3130, 3140)는 물리 스위치(미도시)를 통해 물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는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인터페이스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슈퍼바이저(supervisor)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구성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을 위한 서버의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 내지 제3 서버(3110, 3120, 313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포함하고, 제4 서버(3140)는 가상머신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서버(3110, 3120, 3130, 3140)는,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가 각각 포함하는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를 통합 관리하는 가상머신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를 통합 관리하는 가상머신을 '관리가상머신'이라고 하고, 이 외의 일반적인 가상머신을 '일반가상머신'이라고 한다.
관리가상머신은 복수 개의 서버(3110, 3120, 3130, 3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 서버 사이를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반가상머신(미도시), 관리가상머신(미도시),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 물리포트(미도시) 및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를 포함한다. 관리가상머신은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다.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는 서버(3110, 3120, 3130, 3140) 내에 위치하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저장매체이다.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HDD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S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가상머신 및 관리가상머신의 데이터는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저장된다.
일반가상머신의 데이터가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저장되므로,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점검이나 장애 등이 발생하면 서버(3110, 3120, 3130, 3140) 내 가상머신의 동작이 일시 중지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는 가상머신의 마이그레이션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끊김없는 가상머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서버를 서버그룹(3101, 3102)으로 그룹화한 후 서버그룹(3101, 3102) 내 데이터를 중복저장한다.
서버(3110, 3120, 3130, 3140) 내 복수 개의 가상머신이 존재하는 경우 각 가상머신의 데이터 읽기/쓰기에 병목현상이 발생하거나, 외부 서버의 가상머신과의 데이터 송수신에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관리가상머신이 복수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저장소(3111, 3121, 3131, 3141)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명령이나 데이터를 병목현상없이 신속하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 신속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본 실시 예는 복수 개의 물리포트를 포함한다.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물리포트는 가상스위치(미도시)를 통해 관리가상머신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관리가상머신은 물리포트를 통해 복수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저장소(3111, 3121, 3131, 3141)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명령이나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물리포트는 가상스위치와 연결되어 가상머신의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110)에 위치한 제1 가상머신이 제2 서버(3120)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경우, 제1 서버(3110)의 물리포트와 제2 서버(3120)의 물리포트를 통해 가상머신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물리포트는 가상스위치와 연결되어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버(3110, 3120, 3130, 3140) 내 일반가상머신의 데이터는 물리포트를 통해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전달되어 저장된다.
물리포트는 가상스위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반가상머신과 연결된다.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는, 후술하게 될 백업 서버(3310)의 백업 에이전트부(3311)와 연결되며 백업 에이전트부(3311)의 요청에 따라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저장된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백업 저장할 수 있도록 백업 에이전트부(3311)로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 내 데이터의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는 매번 로컬저장소(3111, 3121, 3131, 3141)의 전체 데이터를 백업하거나, 이전 백업시점부터 현시점까지 변경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백업할 수 있다. 백업부(3113, 3123, 3133, 3143) 및 백업 서버(331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일반가상머신 및 관리가상머신은 가상스위치를 통해 가상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일반가상머신 및 관리가상머신에는 가상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사설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할당되며, 각 가상머신은 사설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이 제1 서버(3110) 및 제2 서버(3120)의 두 서버로 구성된 경우에, 제1 서버(3110) 및 제2 서버(3120)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일반가상머신과 관리가상머신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스위치를 통해 가상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그룹(3101 또는 3102)을 포함하고, 각 서버그룹(3101 또는 3102)은 적어도 둘 이상의 서버(3110, 3120, 3130, 314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제1 서버(3110) 및 제2 서버(3120)를 포함하는 제1 서버그룹(3101)과, 제3 서버(3130) 및 제4 서버(3140)를 포함하는 제2 서버그룹(3102)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 예로서, 서버그룹별 포함되는 서버의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그룹은 2개의 서버로 구성되고, 제2 서버그룹은 3개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가상머신은 복수 개의 서버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를 서버그룹의 그룹핑 정보에 따라 통합 관리한다. 예를 들어, 관리가상머신은 제1 내지 제4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의 자원정보를 파악한 후 이를 하나의 통합저장소(3111, 3121, 3131, 3141)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관리가상머신은 일반가상머신의 데이터를 서버 그룹(3101, 3102) 내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중복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1 서버그룹(3101)의 제1 서버(3110)에 위치한 제1 가상머신의 데이터쓰기요청이 있으면, 관리가상머신은 제1 가상머신의 데이터쓰기요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1 가상머신이 위치한 제1 서버(3110)의 제1 로컬 저장소(3111)에 저장할 뿐만 아니라 제1 서버(3110)와 동일한 서버그룹(3101)에 존재하는 제2 서버(3120)의 제2 로컬 저장소(3121)에 중복 저장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 관리가상머신은 일반가상머신 및 관리가상머신의 메타데이터를 서버 그룹(3101, 3102) 내 중복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3110)의 제1 가상머신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제1 서버(3110)의 제1 로컬 저장소(3111) 및 제2 서버(3120)의 제2 로컬 저장소(3121)에 중복 저장된다. 일 예로,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에 가상머신이 생성될 때,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는 서버 그룹핑 정보에 따라 동일 서버 그룹(3101, 3102) 내 각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가상머신 메타정보를 중복 저장할 수 있다.
서버 그룹(3101, 3102) 내 각 가상머신의 일반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등이 중복저장되므로, 서버 그룹(3101, 3102) 내 가상머신 마이그레이션은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를 통합한 통합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는 일반가상머신 및 관리가상머신의 일반데이터와 메타데이터가 저장된다. 일반데이터는 가상머신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여러 데이터를 의미하고, 메타데이터는 가상머신 식별자, 가상머신 IP 주소, 운영체제 등 가상머신을 정의하는 각종 데이터를 의미한다. 일반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는 서버 그룹(3101, 3102)별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서버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중복 저장된다.
일 실시예로서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은 하나의 서버그룹(3101)을 포함하고, 해당 서버그룹(3101)은 제1 서버(3110) 및 제2 서버(3120)를 포함한다. 제1 서버(3110)에는 관리가상머신과 제1 및 제2 일반가상머신이 존재하고, 제2 서버(3120)에는 제3 및 제4 일반가상머신이 존재한다.
서버의 점검 또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가상머신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가상머신은 주기적으로 핑(PING) 신호를 각 서버에 전송하여 어느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서버(3110)에 대한 점검 요청이 있거나 장애가 발생한 경우, 먼저 관리가상머신은 제1 서버(3110)에서 제2 서버(3120)로 마이그레이션된다. 그리고 제1 서버(3110)의 제1 및 제2 일반가상머신이 제1 서버(3110)에서 제2 서버(3120)로 마이그레이션된다. 데이터는 제1 서버(3110)와 제2 서버(3120)의 로컬저장소(3111, 3121)에 중복저장되므로 별도의 데이터 송수신 없이 마이그레이션이 신속하게 완료될 수 있어, 가상머신 서비스의 끊김없는 제공이 가능하다.
제1 서버(3110)의 점검이 완료되거나 장애가 해소되면, 일반가상머신은 다시 제1 서버(3110)로 마이그레이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3110)에는 일반가상머신의 데이터가 그대로 존재하므로, 제2 서버(3120)에서 일반가상머신이 새롭게 저장한 데이터만 제1 서버(3110)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서버그룹(3101)은 제1 서버(3110) 및 제2 서버(3120)로 구성되고, 제2 서버그룹(3102)은 제3 서버(3130) 및 제4 서버(3140)로 구성되며, 제1 서버그룹(3101)의 점검 또는 장애가 발생하면, 제1 서버그룹(3101) 내 존재하는 관리가상머신과 일반가상머신은 제2 서버그룹(3102)의 각 서버(3130, 3140)에 마이그레이션되고, 또한 제1 서버그룹(3101)의 로컬저장소(3111, 3121)에 저장된 데이터는 제2 서버그룹(3102)의 로컬저장소(3131, 3141)에 저장된다.
제1 서버그룹(3101)의 점검이 완료되거나 장애가 해소되면, 일반가상머신이 다시 제1 서버그룹(3101)으로 마이그레이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서버그룹(3101)에는 일반가상머신의 데이터가 그대로 존재하므로, 제2 서버그룹(3102)에서 일반가상머신이 새롭게 저장한 데이터만 제1 서버그룹(3101)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은,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 및 공유 스토리지부(3213)를 포함한다.
한편,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는, 복수 개의 교육자단말기(2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는,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의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와 연결될 수 있다.
법정의무교육의 각 과목, 필수과목 및 가점과목의 교육자는 교육자단말기(2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에 연결을 요청하고, 교육자단말기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가 포함하는 공유 스토리지부(3213)의 각 스토리지 또는 공유 스토리지부(3213)와 연결된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이 포함하는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 내 데이터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제공받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는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 및 공유 스토리지부(3213)를 포함한다.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와 복수개의 교육자단말기(20)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공유 스토리지부(3213)는 교육자단말기(20)의 사용자에 따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제공하는 저장공간을 포함하며, 이때의 저장공간은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이 포함하는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 내 저장된 데이터가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저장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공유 스토리지부(3213) 자체가 전술한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 내 각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자단말기(20)는 교육자가 이용하는 PC, 노트북, 넷북, 태블릿PC, PDA, 모바일, 스마트폰 등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이다. 교육자단말기(2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단말기용 로컬 저장매체(미도시)를 구비하며, 교육자단말기(20)에는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OS, 미도시)가 설치되어 운영된다.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OS)는 단말기용 로컬 저장매체 등에 저장된 데이터 등 데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데이터 탐색기를 제공한다. 데이터 탐색기는 윈도우(창) 형태의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방식의 탐색기로서, 디렉토리 구조를 폴더 방식의 계층구조로 표시한다. 또한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OS)는 저장매체를 드라이브로 마운트하여, 디렉토리 구조로 데이터를 탐색하게 한다.
즉, 단말기용 로컬 저장매체 외에도 외부 저장매체나 네트워크 상의 저장공간 등을 드라이브로 마운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 단말의 저장매체를 드라이브로 연결할 때, 이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라 부른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는,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저장되거나 공유 스토리지부(3213)와 연결된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 내 데이터를 교육자단말기(20)로 제공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는, 다수의 교육자가 하나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공동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즉, 한 교육자가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에 대하여 체크아웃(check-out)을 하면 해당 데이터를 잠금(Lock) 상태로 설정하여 다른 교육자가 데이터를 수정하지 못하도록 설정한다. 또한, 교육자가 데이터의 사용을 마쳐 체크인(check-in)을 하면 해당 데이터의 잠금(Lock) 상태를 해제하여 다른 교육자가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정할 수 있게 설정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는,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공유 스토리지부(3213)는, 공지의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및/또는 리포지터리(Repository) 등을 포함한다.
한편,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저장되거나 연결된 데이터들은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를 통해서 관리되고 접근되거나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를 통해서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 내 각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에 접근함에 따라, 이하에서 공유 스토리지부(3213)의 언급없이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는, 교육자단말기(20)가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를 더 포함한다.
특히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공유 스토리지부(3213)를 교육자단말기(20)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교육자단말기(20)의 운영체제(또는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의 데이터 시스템으로 전환한다.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전환된 데이터 시스템을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마운트하여 제공한다. 즉,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교육자단말기(20)로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공유 서버 기능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는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교육자단말기(20)가 구비한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의 데이터 시스템 구조에 대응되도록 변환한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저장된 데이터의 목록을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요청하고, 그 데이터의 목록을 수신한다. 수신된 데이터 목록에는 각 데이터의 고유 식별자(또는 데이터ID)가 부여되고, 특정 데이터가 선택되면 그 특정 데이터의 고유 식별자를 통해 특정 데이터의 내용을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교육자단말기(20)의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는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하여,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이때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은 다른 컴퓨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자신의 컴퓨터 단말의 데이터 탐색기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다루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즉,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을 통해 교육자단말기(20)가 공유 스토리지부(3213)를 드라이브로 마운트하면, 마치 단말기용 로컬 저장매체를 마운트한 것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인 경우,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은 삼바(SMB) 프로토콜이다.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공유 서버 기능을 제공하여, 교육자단말기(20)에서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로 공유 스토리지부(3213)의 마운트를 요청하고,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데이터 목록에 대응되는 데이터 시스템 구조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마운트한다.
교육자단말기(20)는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의 데이터 탐색기의 쉘(Shell)을 확장하는 인터페이스부(21)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21)는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의 데이터 시스템 기능 외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의 고유 기능을 처리한다. 즉, 앞서 설명한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의 데이터 공동작업 수행 기능을 처리한다.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의 데이터 탐색기의 쉘(Shell)은 사용자의 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말한다. 예를 들어, 쉘(Shell)에 의해, 데이터 탐색기에 특정 폴더를 더블 클릭하면 해당 폴더로 이동하거나, 특정 데이터나 폴더를 선택하면 선택된 데이터 등과 관련된 컨텍스트 메뉴 등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21)는 데이터 탐색기의 쉘(Shell)을 확장하여, 데이터의 공유에 관한 정보(이하 공유정보)를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로부터 수신하여 컨텍스트 메뉴로서 표시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1)에 의한 확장 쉘은 데이터가 다른 사용자에 의해 편집 중인 상태이면 잠금 상태를 컨텍스트 메뉴로서 표시하거나, 데이터의 버전 정보 등을 간략하게 모두 표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확장 쉘은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의 고유 기능을 컨텍스트 메뉴로 표시하고, 컨텍스트 메뉴에서 해당 메뉴가 선택되면 그 명령 사항을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에 전송한다.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명령사항을 해석하고, 그 명령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교육자단말기(20)에 전송한다.
한편, 확장 쉘에서 공유정보가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로부터 수신될 때, 공유정보는 데이터공유 프로토콜에 의해 송수신한다.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인 경우, 공유정보는 대체 데이터 스트림(ADS, Alternate data stream)의 일종인 NTFS 스트림에 의해 전송된다.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을 통해 교육자단말기(20)와 데이터공유 세션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로컬 데이터 시스템 형태의 데이터로 공유시킨다. 즉,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의 공유 스토리지부(3213) 내 데이터들을 로컬 데이터 시스템 형태로 공유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은 다른 컴퓨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자신의 컴퓨터 단말의 데이터 탐색기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다루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매체를 드라이브로 마운트하면 마치 단말기용 로컬 저장매체를 마운트한 것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들을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용 로컬 운영체제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인 경우,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은 삼바(SMB) 프로토콜이다.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공유 서버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윈도우의 경우,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삼바(SMB)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의 데이터들을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마운트하여 네트워크 상의 공유 데이터로서 공유시킨다. 즉,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데이터공유 세션을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한다.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데이터의 공유에 관한 정보(이하 공유정보)를 인터페이스부(21)로 송신하고, 인터페이스부(21)로부터 데이터의 공유에 관한 명령(이하 공유명령)을 수신한다.
인터페이스부(21)는 데이터의 공유정보를 데이터의 컨텍스트 메뉴로서 표시한다. 이때, 공유정보는 공유명령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스부(21)는 컨텍스트 메뉴에 의해 선택된 공유명령을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관리의 고유기능 중 데이터의 공유 기능을 설명한다.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기능은 체크인/체크아웃 및 데이터 잠금 등의 기능들을 말한다.
데이터는 수정되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에 의해 버전 별로 저장된다. 인터페이스부(21)는 데이터에 대하여 버전별 정보를 공유정보로서 표시한다.
인터페이스부(21)에서 데이터의 데이터들 중 특정 버전이 선택되어 수신을 요청하면,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에 저장된 특정 버전의 데이터데이터를 불러와서 교육자단말기(20)로 전송한다.
데이터는 여러 교육자에 의해 공유되어, 각 교육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이때, 동시에 여러 교육자가 데이터를 수정하여 저장하면 최종적으로 저장한 교육자의 데이터만 저장되고, 그 외 교육자의 데이터는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간에 단 한 교육자만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것이 체크인/체크아웃이다.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데이터의 공유정보 중 체크아웃 공유명령이 선택되면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는 잠금(Lock) 상태로 설정하고, 체크인 공유명령이 선택되면 잠금(Lock) 상태를 해제한다. 즉, 데이터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면, 그 이후의 교육자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고, 한 교육자가 특정 데이터에 체크아웃 명령을 내리면, 데이터는 잠금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다른 교육자는 특정 데이터를 열람할 수 없다. 교육자는 데이터의 수정이 완료되면 해당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교육자가 원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이 포함하는 어느 서버(3110, 3120, 3130, 3140)에 점검 또는 장애 등이 발생한 경우, 즉, 예를 들어, 교육자가 접근하길 원하는 데이터 a가 제1 서버(3110)의 제1 로컬 저장소(3111)에 위치하고, 교육자단말기(20)의 인터페이스부(21)가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로 제1 서버(3110)에 위치한 데이터를 수신하길 원하여, 데이터 수신 요청 신호를 송신할 때, 제1 서버(3110)에 점검 또는 장애 등이 발생한 경우,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는 공유 스토리지부(3213)에 연결된 제1 서버(3110)가 아닌 제1 서버(3110)와 동일한 서버그룹(3101)인 제2 서버(3120)의 제2 로컬 저장소(3121) 내 포함된 데이터 a를 교육자단말기(2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서버(300)은, 데이터 사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백업 모듈(33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업 모듈(330)은, 백업 서버(3310)를 포함하며, 백업 서버(3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백업 에이전트부(3311) 및 백업 스토리지부(3317)를 포함한다.
백업 에이전트부(3311)는, 백업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백업 프로그램 실행 시에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 내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기초로 백업 데이터로 형성한다. 백업 에이전트부(3311)는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백업 스토리지부(3317)로 송신한다. 한편, 백업 프로그램은 교육자단말기(20)로 제공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의 백업부(3113, 3123, 3133, 3143)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백업 프로그램이 교육자단말기(20)로 제공됨에 따라 교육자단말기(20)는 백업 프로그램을 통해 백업 스케줄을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백업 프로그램은 별도의 시스템 관리자가 소지하는 관리자단말기(미도시)로 제공되고, 관리자단말기에 의해 백업 스케줄이 지정될 수도 있다. 또한 백업 프로그램이 백업부(3113, 3123, 3133, 3143)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백업 스케줄은 백업부(3113, 3123, 3133, 3143)에 의해 자동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백업부(3113, 3123, 3133, 3143)의 백업 스케줄 지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백업 대상 데이터는, 교육자단말기(20) 또는 서버(3110, 3120, 3130, 3140)에 의해 생성, 삭제 및 수정되는 데이터로서 교육자단말기(20) 또는 서버(3110, 3120, 3130, 3140) 내에서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 파일이 될 수 있다.
백업 스토리지부(3317)는, 백업 에이전트부(3311)를 통해 서버(3110, 3120, 3130, 3140)로부터 백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백업 스토리지부(3317)는, 백업 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 해당 백업 데이터의 복사본을 형성시켜 원본과는 별도로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원본 백업 데이터가 손상을 받는 등에 의해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한다.
백업 서버(3310)는,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백업을 실행하고, 누적된 백업 데이터 중 설정용량 초과 여부를 감지하여 백업데이터의 생성일자를 비교하여 먼저 생성된 데이터의 초과된 용량부분만큼을 삭제하여 여분의 디스크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도록 설계함으로써, 교육 콘텐츠 서버(300) 가동 후 자동으로 백업을 실시하여 누적된 데이터로 인해 디스크 공간 부족 시 설정된 용량 초과여부를 스스로 판단하여 디스크공간을 확보한다.
백업 서버(3310)는, 다수의 백업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개별 저장하여 해당 백업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에도 누적된 백업 데이터로부터 선별적하여 본래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업 에이전트부(3311)의 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백업 에이전트부(3311)는, 도 9를 참조하면, 백업 메모리부(3312), 백업 입력부(3313), 백업 제어부(3314) 및 백업 디스플레이부(3315)를 포함한다.
백업 메모리부(3312)에는, 교육자단말기(20), 관리자단말기 또는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로 제공되는 백업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거나 백업부(3113, 3123, 3133, 3143)가 자동적으로 설정한 백업스케줄, 다수 개의 백업데이터 폴더, 백업 사전작업 프로세서, 백업 사후작업프로세서, 백업 완료 후 종료여부 등의 설정사항들이 저장된다.
백업 입력부(3313)는, 교육자단말기(20) 또는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로부터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 백업시간,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종료시켜 줄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 후 실행시켜 줄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 지정된 개수의 폴더 및 백업 후 백업 에이전트부(3311)의 자동 종료 여부를 수신한다.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입력부(3313)가 교육자단말기(20), 관리자단말기 또는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로부터 수신한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 및 백업 스케줄을 판독하고 판독한 스케줄에 따라 서버(3110, 3120, 3130, 3140) 내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백업 스토리지부(3317)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로서, 백업 제어부(3314)는,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함에 있어, 백업 대상 데이터의 원본 그대로 백업 데이터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줄여서 백업 스토리지부(3317)로 전달함으로써, 백업 스토리지부(3317)의 저장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기 위한 영구 메모리 공간과 영구 저장 외의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일반 메모리 공간을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할당하고, 형성된 백업 데이터의 영구 저장 여부를 확인하며,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영구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 영구 메모리 공간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로서,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누적 저장된 백업 데이터 중 설정된 용량을 초과하여, 초과된 부분을 삭제할 시, 일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만 삭제하고 영구 메모리 공간에 별도로 저장된 백업 데이터는 삭제하지 아니함으로써, 사용자가 계속해서 보유하여야만 하는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백업 디스플레이부(3315)는, 백업 제어부(3314)에서 구동시킨 백업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백업 디스플레이부(3315)는,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 상의 작업표시줄(예를 들어, Windows PC의 경우에는 화면 하단의 작업표시줄 등)에 백업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백업 디스플레이부(3315)는, 백업 프로그램의 설정값(예를 들어, 백업시간 또는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종료시켜 줄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 등)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창을 교육자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백업 디스플레이부(3315)는,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이 시작된 후 또는 종료된 후 팝업창(즉, 특정 웹 사이트가 어떠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갑자기 생성되는 새 창)에 의해 교육자 또는 관리자에게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를 시각적인 수단에 의해 알려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에 구비되는 소리 재생 수단(예를 들어, 외장 스피커 또는 내장 스피커 등)을 통해 청각적인 수단에 의해서도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데이터를 백업 스토리지부(3317)로 송신한다.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기 저장되어 있는 백업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한 기준용량을 설정하여 백업 메모리부(3312)에 저장하며,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판독하여, 백업 메모리부(3312)로부터 판독한 기준용량과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비교한다. 백업 제어부(3314)는 비교 결과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이 기준 용량을 초과할 시,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 중 가장 먼저 생성된 백업데이터 중 설정용량을 초과한 부분만큼을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이 백업 스토리지부(3317)의 가용 저장 용량의 일정 비율(예를 들어, 백업 스토리지부(3317)의 가용 저장 용량의 80%)을 초과하게 되면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 중 생성된 날짜를 비교하여 먼저 생성된 데이터 중 용량이 초과한 부분만큼을 삭제함으로써, 백업 스토리지부(3317)가 새로이 들어오는 백업 데이터를 위한 가용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를 삭제할 시, 기 기정된 용량(예를 들어, 백업 스토리지부(3317)의 가용 저장 용량의 10% 등)을 삭제하거나, 새롭게 들어오는 백업 데이터 용량 만큼의 그 용량을 삭제하는 방법에 의해, 백업 스토리지부(3317)가 새로이 들어오는 백업 데이터를 위한 가용 저장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스토리지부(3317)에 백업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예를 들어, 교육자 또는 관리자의 필요에 의해서 저장해 놓은 영상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 등)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백업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와 백업 데이터를 합산된 용량을 기준으로 기준용량을 판독하도록 함으로써, 새롭게 들어오는 백업 데이터를 위한 가용 저장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입력부(3313)로부터 백업시간을 입력받고 백업시간 예약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시간 예약 요청에 따라 입력된 백업시간을 백업 메모리부(3312)에 설정한다.
일 실시예로서,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시간을 설정함에 있어, 매일 같은 시간에 백업 프로그램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어 업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데이터를 기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기 위한 지정 폴더명을 백업 입력부(3313)로부터 입력받고 지정 백업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지정 백업 설정 요청에 따라 입력된 지정 폴더명을 백업 메모리부(3312)에 설정한다.
백업 제어부(3314)는, 지정 백업을 함에 있어, 각각의 지정된 폴더별로 별도의 백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폴더별로 다른 시간에 백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지정된 데이터 폴더의 백업작업을 수행한 후 백업데이터가 저장되는 폴더명의 설정된 값에 날짜와 시간을 추가하여 저장함으로써, 매일 누적백업 시 동일한 폴더명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백업된 데이터를 복구할 시에, 백업이 생성된 날짜와 시간을 구별하여, 선별적으로 복구 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데이터를 기 지정된 개수만큼 기 지정된 폴더에 각각 저장하기 위한 다수 개의 폴더명을 백업 입력부(3313)로부터 입력받고 다중 백업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다중 백업 설정 요청에 따라 입력된 다수 개의 폴더명을 백업 메모리부(3312)에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서버(300)에 따른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부하를 분석하고, 교육 콘텐츠 서버(300)의 부하가 가장 적은 요일과 시간대를 백업 입력부(3313)에 입력하여 백업 스케줄을 지정할 수 있다.
이때 백업부(3113, 3123, 3133, 3143)의 서버 부하 분석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을 통해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의 각 서버에 접속한 교육자단말기(20)의 개수 또는 교육자단말기(20)의 인터페이스부(21)가 드라이브 에이전트부(3211)에 송신한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개수 등을 종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접속한 교육자단말기(20)의 개수 및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개수는 교육 콘텐츠 서버(300) 내 로그를 분석하여 도출될 수도 있다.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는 연속적으로 과거의 서버 부하의 정도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백업 제어부(3314)로 송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부하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로부터 수신한 서버 부하의 정도를, 도 10을 참조하면, 요일 별, 시간대 별로 나뉘어진 복수 개의 셀의 형태로 정리하여 서버 부하도를 생성한다. 이때의 셀은 복수 개의 사각형이 연속된 형태일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가 생성한 서버 부하도는 백업 디스플레이부(3315)에 의해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에 표시되어 교육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복수 개의 셀에 서버 부하의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버 부하가 작을 때 셀을 진하게 채색하고, 서버 부하가 클 때 셀을 연하게 채색하여 백업 디스플레이부(3315)가 교육자단말기(2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서버 부하도의 각 요일과 시간에 따른 셀의 채색은, 복수 주의 요일과 시간에 대한 서버 부하의 정도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서버 부하의 정도에 따른 채색 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부하도는, 전술한 셀을 밑면으로 하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서버 부하의 정도를 나타낼 수도 있으며, 이때 서버 부하의 정도는 사각기둥의 높이가 될 수 있다. 백업 디스플레이부(3315)는 사각 기둥 형태의 셀을 가진 서버 부하도를 교육자단말기(2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 각 셀의 가로길이는, 일 실시예로서, 1 시간을 의미하도록 도시하였으며, 도시의 편의상 오전 0시부터 오전 12시까지 자정부터 정오까지의 시간만을 도시하였으나, 서버 부하도 내 각 셀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언제든지 변동가능하다. 한편, 백업부(3113, 3123, 3133, 3143)는 과거 서버 부하 정도의 분석뿐만 아니라 백업 시 소요되는 시간도 추적하여 분석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복수 개의 셀의 형태로 정리한 서버 부하도에서 요일별로 가장 부하가 작은 시간대에 따른 셀의 중심 간을 연결하는 직선을 생성하고, 생성한 직선의 길이를 연산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서버(300) 내 데이터의 백업 시 소요되는 시간이 단일 셀의 시간 내, 일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셀의 가로길이와 같이 한 시간 내 끝나는 경우, 백업 제어부(3314)는, 과거의 백업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백업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백업 제어부(3314)는 부하가 적은 시간대에 해당하는 셀의 중심을 이은 직선의 길이 중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진 요일 및 시간대를 선택하고, 그 요일과 시간대를 백업 입력부(3313)에 입력하여 백업 스케줄을 자동으로 지정하여 백업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요일과 수요일의 오전 5시의 각 셀의 중심을 잇는 선분의 길이가 1이고, 목요일과 금요일의 오전 4시의 각 셀의 중심을 잇는 선분의 길이가 1인 경우, 화요일과 수요일에는 오전 5시에 백업을 수행하고, 목요일과 금요일에는 오전 4시에 백업을 수행하도록 백업 스케줄을 지정할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이처럼 과거의 백업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을 경우, 연속하여 부하가 적은 시간대를 잇는 선분의 길이를 구하고, 그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을 선택한다. 거리가 짧은 시간대가 동일한 시간대가 연속된다면 그 시간대에서의 부하가 적다는 것의 정확도를 보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백업 입력부(3313)는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백업 시간대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백업 시간대는, 백업 제어부(3314)의 연산에 따라 동일한 길이의 선분이 도출되는 경우, 입력받은 백업 시간대와 가장 가까운 시간대를 백업 스케줄로 지정할 수 있다. 즉,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백업 시간대가 오전 2시일 경우, 도 6과 같이 선분의 길이가 1로 동일한 화요일 및 수요일의 오전 5시와, 목요일 및 금요일의 오전 4시 중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시간대를 목요일 및 금요일의 오전 4시로 지정하여 백업 스케줄을 지정할 수 있다. 이처럼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백업 시간대를 입력받아 동일한 선분의 길이를 가진 요일 및 시간대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 다른 요일에서도 지정된 시간대, 즉 오전 4시에 백업을 진행하도록 백업 스케줄이 지정될 수 있다.
반면에, 전술한 바와 달리 본 교육 콘텐츠 서버(300) 내 데이터의 백업 시 소요되는 시간이 단일 셀의 시간 내, 일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셀의 가로길이에 따른 한 시간 내 끝나지 않는 경우, 백업 제어부(3314)는, 과거의 백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부하도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처럼 과거의 백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백업 제어부(3314)는, 도 11을 참조하면, 연속하여 부하가 적은 시간대의 셀의 중심을 연결한 선분의 거리를 구한다. 백업 제어부(3314)가 구한 선분의 길이가 길수록 백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서버(300) 내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의 부하가 적게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백업 제어부(3314)는, 연속하여 부하가 적은 시간대의 셀을 선택할 때, 각 요일에서 가장 부하가 적은 시간대의 셀을 먼저 도출하고, 그 셀의 다음으로 부하가 적은 시간대의 셀을 도출한다. 이때 가장 부하가 적은 시간대의 셀과 그 셀의 다음으로 부하가 적은 시간대의 셀이 서로 인접한 경우, 백업 제어부(3314)는 서로 인접한 양 셀의 중심을 잇는다. 다시 백업 제어부(3314)는 그 다음으로 부하가 적은 시간대의 셀을 도출하고, 도출한 셀이 선분으로 중심을 이은 양 셀과 인접한 지 판단한다. 만일 도출한 셀이 선분으로 중심을 이은 양 셀과 인접한 경우 또 다시 중심을 잇고, 양 셀과 인접하지 않은 경우 백업 제어부(3314)는 해당 요일의 부하가 적은 시간대를 더 이상 도출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업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 백업 제어부(3314)가 도출한 각 셀의 중심을 이은 모습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백업 제어부(3314)는, 과거의 백업시간이 얼마나 걸리는 지 도출하고, 도출한 백업시간과 각 셀의 중심을 이은 선분의 길이를 서로 비교한다. 만일 도출한 백업시간이 2 ~ 3 시간일 경우, 백업에 따른 교육 콘텐츠 서버(300) 내 각 서버(3110, 3120, 3130, 3140)에 대한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 7의 수요일과 금요일에는 백업 스케줄에서 제외된다. 이는 도 7의 수요일과 금요일의 각 셀의 중심 간 이은 선분 길이가 2 이기 때문에 제외되도록 결정된다. 또한 도출한 백업시간의 2 ~ 3 시간을 모두 포함하는 월요일의 오전 2시 ~ 오전 6시, 화요일의 오전 2시 ~ 오전 5시, 목요일의 오전 3시 ~ 오전 6시, 토요일의 오전 9시 ~ 오전 12시, 일요일의 오전 5시 ~ 오전 11시 간 각각 백업이 이루어지도록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스케줄을 지정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백업 입력부(3313)는 교육자단말기(20)로부터 백업 시간대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교육자단말기(20)로부터 입력받은 백업 시간대에 따라 백업이 시작되는 시간대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자단말기(20)로부터 입력받은 백업 시간대가 오전 2시인 경우, 월요일 및 화요일은 백업이 오전 2시부터 시작하고, 목요일에는 입력받은 시간대와 가장 가까운 오전 3시에 백업이 시작하며, 토요일에는 오전 9시, 일요일에는 오전 5시에 백업이 시작될 수 있다. 반면에, 교육자단말기(20)로부터 입력받은 백업 시간대가 오전 7시인 경우, 월요일에는 오전 7시에 가장 가까운 시간대에 백업이 끝날 수 있도록 오전 3시에 백업이 시작하고, 화요일에는 오전 2시에 백업이 시작하고, 목요일에는 오전 3시에 백업이 시작하고, 토요일에는 오전 9시, 일요일에는 오전 5시에 백업이 시작하도록 백업 스케줄이 지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부하도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시간대에 따라 서버 부하도 내 셀의 가로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 즉,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가 입력한 시간대에 따른 셀의 가로길이에 가중치를 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가 입력한 시간대가 오전 5시일 경우, 서버 부하도 내 오전 5시에 해당하는 가로 길이는 그 두 배에 해당하도록 가로 길이가 변형될 수 있다. 이처럼 가로 길이가 변형될 경우, 오전 5시에 해당하는 셀의 중심을 지나치는 선분의 길이도 1이 증가한 2만큼의 길이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받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전 5시에 해당하는 셀의 가로길이가 두 배가 됨에 따라 오전 5시의 중심과 이어지는 선분의 길이도 함께 증가하고, 백업 제어부(3314)는 길이가 증가한 선분을 기초로 전술한 바와 같은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시간대를 고려하여 백업 스케줄이 지정될 수 있으며, 금요일의 경우, 도 7에서는 선분의 길이가 2였기 때문에 금요일에는 백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도 8에서와 같이 오전 5시에 해당하는 셀의 가로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금요일의 선분 길이가 3이 되었고, 따라서 금요일에도 백업이 이루어지도록 백업 스케줄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시간대는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 개의 시간대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각 시간대는 우선순위에 따라 가로길이가 5배, 4배, 3배, 2배 등 길어진 후, 각 셀의 중심을 잇는 선분의 길이에 따라 백업 스케줄이 지정될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프로그램의 실행 시 백업 메모리부(3312)에 저장된 백업 프로그램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고, 백업 프로그램이 정품이 아닌 경우 백업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시킬 수 있다.
백업 제어부(3314)는, 백업 프로그램의 실행 시 백업 스토리지부(3317)의 저장된 특정 키 값을 읽어와 백업 메모리부(3312)에 저장된 백업 프로그램의 키 값과 비교하며, 비교된 두 값이 상이할 경우 오류 메시지를 나타내고, 백업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함으로써, 백업 프로그램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여 프로그램 개발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백업 제어부(3314)는, 하드디스크의 특성키값을 저장하여 프로그램의 정품여부를 판단하고, 실행여부를 결정하여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업단말기(10),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망을 통해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 및/또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검색 정보 및 선택 정보의 입력과, 검색된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디지털 정보의 처리가 가능한 구성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업단말기(10)는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에, 교육자단말기(20) 또는 관리자단말기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3210)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desktop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무인단말기(kiosk)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업단말기(10), 교육자단말기(20), 관리자단말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 정부과제 서버(200), 교육 콘텐츠 서버(300)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 및 백업 모듈(330)은 각각이 구비한 통신부 및 통신망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망은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통신망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업단말기(10), 교육자단말기(20), 관리자단말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 정부과제 서버(200), 교육 콘텐츠 서버(300)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320),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310) 및 백업 모듈(330)이 각각 구비한 통신부는, 전술한 통신망을 통한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통신망을 위해 구비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교육 큐레이팅 서버(100), 정부과제 서버(200), 교육 콘텐츠 서버(300) 및 그의 각 구성은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4 로컬 저장소(3111, 3121, 3131, 3141), 공유 스토리지부(3213) 및 백업 스토리지부(3317)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하, DBMS)을 포함할 수 있다. DBMS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이다. DBMS는 IMS, CODASYL DB, DB2, ORACLE, INFORMIX, SYBASE, INGRES, MS-SQL, Objectivity, O2, Versanat, Ontos, Gemstone, Unisql, Object Store, Starburst, Postgres, Tibero, MySQL 또는 MS-access등을 포함할 수 있다. DBMS는 특정 명령어의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특정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 기업단말기 20 : 교육자단말기
21 : 인터페이스부 100 : 교육 큐레이팅 서버
200 : 정부과제 서버 300 : 교육 콘텐츠 서버
310 :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 3101 : 제1 서버그룹
3102 : 제2 서버그룹 3110 : 제1 서버
3111 : 제1 로컬 저장소 3113 : 백업부
3120 : 제2 서버 3121 : 제2 로컬 저장소
3123 : 백업부 3130 : 제3 서버
3131 : 제3 로컬 저장소 3133 : 백업부
3140 : 제4 서버 3141 : 제4 로컬 저장소
3143 : 백업부 320 :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
3210 : 네트워크 드라이브 서버 3211 : 드라이브 에이전트부
3213 : 공유 스토리지부 330 : 백업 모듈
3310 : 백업 서버 3311 : 백업 에이전트부
3312 : 백업 메모리부 3313 : 백업 입력부
3314 : 백업 제어부 3315 : 백업 디스플레이부
3317 : 백업 스토리지부
1000 :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Claims (5)

  1.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는 교육 큐레이팅 서버; 및
    사업주 및 근로자가 소지하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와 통신하는 기업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기업단말기는,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로 기업 현황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는, 상기 기업 현황 정보를 기초로 기업이 이수해야 할 법정의무 과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하되,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는,
    교육노동부, 안전보건공단,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및 근로복지공단이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법정의무교육에 대한 정보는, 상기 법정의무 과목에 대한 이수하여야 하는 대상, 상기 법정의무 과목에 대한 교육 횟수 정보 및 상기 법정의무 과목에 대한 미이수시 패널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업 현황 정보는, 사업장 내 근로자의 수, 업태, 업종 및 근로자 특이사항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법정의무 과목에 대한 정보는,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개인정보 보호법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교육,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퇴직연금 교육을 포함하고,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는,
    상기 사업장이 근로자 5인 이상 일반 사업장인 경우, 상기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개인정보 보호법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교육,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퇴직연금 교육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사업장이 근로자 5인 이상 일반 사업장이며, 업태가 부동산업, 임대업, 소프트웨어개발업, 금융업, 사회복지업, 단체, 협회 및 의원일 경우에는, 상기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개인정보 보호법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교육,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퇴직연금 교육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개인정보 보호법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교육 및 퇴직연금 교육에 대한 정보만을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사업장이 근로자 5인 이상 일반 사업장이고, 상기 사업장이 퇴직연금상품 미가입 사업장일 경우에는, 상기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개인정보 보호법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교육, 산업안전 보건교육 및 퇴직연금 교육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개인정보 보호법교육, 직장 내 장애인 인식 개선교육 및 산업안전 보건교육에 대한 정보만을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사업장이 근로자 5인 이상 일반 사업장이고, 상기 사업장이 근로자 수 10인 미만 사업장 또는 모든 근로자가 동성으로만 구성된 사업장인 경우, 상기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교육자료를 배포 및 게시하는 것으로 교육을 대체할 수 있다는 정보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서버로부터 정부과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보유하는 정부과제 서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는,
    상기 정부과제 서버가 보유하는 정부과제에 대한 정보 중 상기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정부과제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는,
    상기 정부과제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할 때,
    상기 정부과제를 입찰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수하여야 하는 교육 과목 또는 가점이 주어지는 교육 과목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법정의무 과목에 대한 교육 콘텐츠 정보를 보유하는 교육 콘텐츠 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육 큐레이팅 서버는,
    상기 교육 콘텐츠 서버가 보유하는 교육 콘텐츠를 상기 기업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육 콘텐츠 서버는,
    서버 이중화를 통해 서버 내 교육 콘텐츠를 관리하는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
    복수 개의 교육자단말기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며, 상기 교육자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통해 상기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교육 콘텐츠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모듈; 및
    상기 교육 콘텐츠 통합 관리 모듈이 관리하는 교육 콘텐츠를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하는 백업 모듈;
    을 포함하는,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KR1020220084315A 2022-07-08 2022-07-08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KR10252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15A KR102520831B1 (ko) 2022-07-08 2022-07-08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KR1020230044796A KR20240007584A (ko) 2022-07-08 2023-04-05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15A KR102520831B1 (ko) 2022-07-08 2022-07-08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796A Division KR20240007584A (ko) 2022-07-08 2023-04-05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831B1 true KR102520831B1 (ko) 2023-04-13

Family

ID=859790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315A KR102520831B1 (ko) 2022-07-08 2022-07-08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KR1020230044796A KR20240007584A (ko) 2022-07-08 2023-04-05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796A KR20240007584A (ko) 2022-07-08 2023-04-05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0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170B1 (ko) * 2023-08-11 2024-04-24 한국재난안전정보협회 주식회사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888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단말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0651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코렘프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KR102188799B1 (ko) 2020-03-03 2020-12-08 주식회사 렛유인 직원 교육 및 업무 시간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4888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단말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0651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코렘프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KR102188799B1 (ko) 2020-03-03 2020-12-08 주식회사 렛유인 직원 교육 및 업무 시간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170B1 (ko) * 2023-08-11 2024-04-24 한국재난안전정보협회 주식회사 공공기관 연계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584A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7358B2 (en) Assessing user performance in a community of users of data storage resources
JP5524870B2 (ja) グループデータの管理および分類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80133300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enterprise resilience
US20080046433A1 (en) Role template objects for network account lifecycle management
US20170041391A1 (en) Data sharing in a cloud
CA2744390C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parently interfacing with legacy line of business applications
KR102520831B1 (ko)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US10990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argeted data within an enterprise
US8793213B2 (en) Embedded data marts for central data warehouse
Jones et al. Remembering is a form of honouring: preserving the COVID-19 archival record
JP2008052337A (ja) デジタルデータファイル多属性評価分類操作管理プログラム
US11714828B2 (en) Aligned purpose disassociation in a multi-system landscape
US2004004952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revision control databases
US9467452B2 (en) Transferring services in a networked environment
Feldman et al. The information lifecycle management imperative
KR20230173351A (ko) 서버 이중화를 통한 데이터 관리, 공유 스토리지 제공 및 데이터 백업 서비스가 가능한 데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Gialinou et al. Study and analysis of a ‘disaster recovery’information system using cloud-computing technology
Nazneen Cloud computing and the legal arena: digitization of courts during Covid-19
Várföldi Opportunities and Major Risks of Implementing Cloud-computing and IOT in Public Healthcare
KR20240040931A (ko) 모듈형 해상교통 혼잡도 예측 시스템
Hanoselina et al. The Improvement of Digital Service Capacity in Immigration Office Class I Tpi Padang
Rogers et al.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for the medical examiner
Trewin Managing technology effectively in large public organisations
Mauzy et al. Avoid the pitfalls: Benefits of formal Part C data system governance
CN116472695A (zh) 基于场景的访问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