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671B1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671B1
KR102518671B1 KR1020160002392A KR20160002392A KR102518671B1 KR 102518671 B1 KR102518671 B1 KR 102518671B1 KR 1020160002392 A KR1020160002392 A KR 1020160002392A KR 20160002392 A KR20160002392 A KR 20160002392A KR 102518671 B1 KR102518671 B1 KR 10251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wearing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217A (ko
Inventor
황태호
김미영
장민성
이항호
황보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671B1/ko
Priority to US15/213,864 priority patent/US10342427B2/en
Priority to PCT/KR2016/007872 priority patent/WO2017119566A1/en
Publication of KR2017008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82Event detection, e.g. detecting unique waveforms indicative of a medic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61B5/0533Measuring galvanic skin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Dermat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장치로서,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착용부는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할 수 있는 제1측정부; 및 상기 제2착용부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용부는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할 수 있는 제2측정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측정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측정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제2측정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이로 인하여, 서로 분리시, 복수의 신체 부위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서로 보완하거나, 서로 결합시 신체 일 부위에서 고성능의 측정부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며,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착용부를 갖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분리시, 복수의 사용자 신체 부분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결합시, 회로의 공유를 통한 리소스를 활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학의 발전에 힘입어 의료 기술 역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헬스케어 서비스(healthcare service)가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생체정보, 건강 정보 등을 모니터링하여 질병을 예방, 관리하는 형태의 의료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스마트 헬스 시장은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를 제공하고 있으며,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앱, 플랫폼 등이 개발 중에 있다.
또한, 헬스케어를 위한 디바이스들의 등장으로,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을 측정할 뿐 아니라, 웨어러블 장치 등 휴대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 심전도 등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면 휴대의 편의성 및 생활 중 생체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오랜 기간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측정하는 부위가 손목 등의 착용 가능한 부위에 한정되어 하나의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한 부분에서만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어 측정한 생체신호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복수의 웨어러블을 동시에 활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배터리의 사이즈와 소모 수준이 서로 다른 웨어러블 간 상호 결합이 지원되지 않을 경우 각각을 별도로 충전해야 하고 어느 하나를 사용하지 않고 있을 때 이를 보관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착용부를 갖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장치로서,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착용부는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할 수 있는 제1측정부; 및 상기 제2착용부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용부는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할 수 있는 제2측정부와; 상기 제1착용부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측정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측정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제2측정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부 및 상기 제2측정부는 각각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여 센싱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1측정신호 및 상기 제2측정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센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는 뇌파(EEG), 심전도(ECG), 맥파(PPG), 근전도(EMG), 피부전기반사(G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정보를 이미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측정신호 및 상기 제2측정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진단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수면상태임을 알리기 위해 경고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는 각각 전력을 제공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전력송수신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 간에 전력을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정보의 출력, 상기 전력의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측정신호 및 상기 제2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통신부 및 제2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착용부와 상기 제2착용부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측정부를 이용하여 생성된 제1측정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측정부에 의해 생성된 제2측정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여 센싱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제1측정신호 및 상기 제2측정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는 뇌파(EEG), 심전도(ECG), 맥파(PPG), 근전도(EMG), 피부전기반사(G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신호 및 상기 제2측정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진단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단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진단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수면상태임을 알리기 위해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착용부와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되면,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 사이에 전력을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정보의 출력, 상기 전력의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신호 및 상기 제2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복수의 신체부위에서 측정하여 정확하게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착용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착용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 간에 무선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 간에 무선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예를 블록도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측정부의 처리부가 이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측정부의 처리부가 이용되는 예를 블록도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측정부의 처리부 및 센서부가 이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측정부의 처리부 및 센서부가 이용되는 예를 블록도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간에 전력을 송수신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판단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확인을 구하는 유저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로 적절하기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포함하는 구성요소가 아닌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고자 함이 아니라, 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의 전자장치는 착용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건강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이를 위해 사용자의 복수의 신체부위에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착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착용부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자장치와 별도의 기기로 구현되거나 전자장치 내부에 마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생체신호는 측정대상의 신체 표면에서 측정된 측정대상의 반복적인 신체 내부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소리 또는 전위의 변화로서,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여 복수의 주기를 갖는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측정신호는 측정된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파형을 갖는 신호로서, 생체신호의 특성에 대응하도록 생성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건강정보는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상태와 관련된 정보로서, 본 명세서에서 진단정보 또는 건강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착용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제1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제1착용부(10)와 제2신체부위에 착용되는 제2착용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제1착용부(10)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무선 이어폰으로 구현되고, 제2착용부(11)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워치로 구현되는 예를 도시하나 이는 본원 발명을 스마트워치와 이어폰으로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전자장치(1)는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건강상태에 기초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고, 측정된 뇌파로부터 사용자의 수면 상태, 집중상태 등을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경고하거나, 특정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뇌파는 인간의 뇌의 활동 상태를 보여주는 생체신호이다. 뇌가 활동을 하면 뇌 신경 사이에서 세포막을 투과하면 지나가는 이온들, 예를 들면,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등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한다. 이 전위차로 인하여 발생된 약한 전기의 흐름이 뇌파이다. 뇌 조직은 전도성 매질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뉴런에서 발생한 전류가 머리 표면까지 전달될 수 있으므로, 두피에 부착된 전극 등을 통해 뇌파가 측정될 수 있다. 뇌파는 그 파형의 주파수에 따라서 delta파(~3Hz), theta파(4Hz~8Hz), alpha파(8Hz~12Hz), beta파(12Hz~30Hz), gamma파(26Hz~100Hz)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또한, 사용자의 뇌파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머리 아래에서 측정된 신호에 기초하여 뇌의 전기적인 활동을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머리 아래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원신호(raw signal)으로 하며, 원신호에서 뇌파를 분석해 내는 것으로, 원신호를 바디웨이브(bodywave)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바디웨이브는 심전도와 같은 전기생리학적(electrophysiological)신호로 파형은 뇌파와 유사하게, theta파(4Hz~8Hz), alpha파(8Hz~12Hz), beta파(12Hz~30Hz)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1)의 측정부가 반드시 사용자의 머리 부위에 위치할 필요 없이, 신체부위 이를 테면 손목 등의 부위에서도 사용자의 뇌의 활동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자장치(1)는 스마트 워치, 이어폰으로 구현된 도면과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전자장치(1)는 휴대폰, 태블릿 PC, PDA, 키오스크, 네비게이션 장치, 디지털 TV, 스마트 글라스,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달리 설명이 있기 전까지, 본 명세서에서의 제1착용부(10)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이어폰으로, 제2착용부(11)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워치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의 블록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면들과 이후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전자장치(1)에 포함되는 개개의 구성요소는 물리적 형태 또는 논리적 형태로 분산되어 배치되거나 하나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10)는 사용자의 제1신체부위에 착용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제2착용부(11)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착용부(10)는 제1측정부(200), 제1통신부(203) 및 제어부(207)를 포함한다. 제1착용부(10)는 또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1출력부(20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착용부가 이어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1출력부(201)는 정보를 음성 또는 소리로 제공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착용부(11)는 사용자의 제2신체부위에 착용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며, 제1착용부(10)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를 함께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착용부(11)는 제2측정부(300), 제2통신부(303), 및 제어부(305)를 포함한다. 제2착용부(11)는 또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출력부(30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착용부가 스마트워치로 구현되는 경우, 제2출력부(301)는 정보를 이미지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200, 30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측정부(200, 300)에 의해 측정 가능한 생체신호는 뇌파, 맥파, 심전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200, 300)는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211, 311)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211, 311)는 뇌파의 경우 EEG(electroencephalogram), EOG(electrooculogram), ECG(electrocardiogram), EMG(electromyogram)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211, 311)는 사용자의 몸과 밀착되어 생체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신호의 종류 마다 다른 센서부(211, 311)가 사용될 수 있다. 측정부(200, 300)는 센서부(211, 311)에서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210, 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의 처리는 모듈레이션, 디모듈레이션, 멀티플렉싱 등 측정된 신호를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변환을 포함하며, 신체에서 측정한 신호를 가용 가능하도록 증폭하는 증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측정부(200)는 사용자의 귀 속, 이마 등에서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도록 전극을 포함하는 제1센서부(211)와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1처리부(2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측정부(300)는 머리 이하의 신체 부위에서 사용자의 바디웨이브를 측정하도록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측정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제2센서부(311)와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2처리부(3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측정에 기초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정부(300)는 바디웨이브, 뇌파뿐 아니라, 심박, 맥파, 움직임 등 다양한 정보를 착용된 사용자 신체부위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센서부(211, 311)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210, 310)는 측정한 생체신호를 전자장치(1) 내부에서 가용할 수 있는 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측정부(200)는 사용자의 뇌파를 직접 측정하도록 구성되는바, 제2측정부(300)에 비해 더 고성능의 제1센서부(211) 및 제1처리부(2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되면, 제어부(305)의 제어에 따라서 신체를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제1측정부(200)가 이용될 수 있다.
통신부(203, 303)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외부 장치와 통신 하도록 구성된다. 통신부(203, 303)는 외부 장치와 직접 결합 또는 신호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접속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송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이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속포트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DDC(display data channel), AUX(auxiliary) 등 다양한 영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제작되는 신호의 데이터핀에 맞는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03, 303)는 또한,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RF(Radio Frequency)신호를 송수신하는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3, 303)는 무선 LAN, WiFi 등과 같은 방식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 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203, 303)는 인터넷 전화, 메시지송수신 등을 위한 통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03, 303)는 또한, 결합된 외부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전력송수신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송수신단자의 결합에 따라 외부장치와 배터리전력을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201, 301)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출력부(201, 301)는 소리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제1착용부(10)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이어폰으로 구현되어, 제1착용부(10)는 소리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제1출력부(2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착용부(11)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워치로 구현되어 문자 또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제2출력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내부 스피커를 포함하여 분석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음성으로 제공하거나,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경우 경고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건강 정보 등을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207, 305)는 전자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7, 305)는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의 분리시,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 각각 착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서 신체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도록 제1측정부(200)와 제2측정부(300)를 제어하고,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시, 제1측정부(200)의 제1센서부(211) 및 제1처리부(21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착용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도록 제1측정부(200) 및 제2측정부를 제어하고, 생성된 측정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의 결합은 물리적인 결합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이어폰인 제1착용부(10)가 스마트워치인 제2착용부(11)에 결합되어 스마트워치가 착용된 사용자의 손목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되, 제1착용부(10)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측정부(200)는 제2측정부(300)의 제2센서부(311) 및 제2처리부(310)보다 더 고성능의 제1센서부(211) 또는 제1처리부(210)를 포함할 수 있는바,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의 결합에 의해 제2착용부(11)가 착용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서 보다 정밀하게 생체신호가 측정될 수 있다.
제어부(207, 305)는 또한, 생성된 측정신호를 처리하며, 처리된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7, 305)는 제2측정부(300)에서 측정된 바디웨이브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뇌의 전기적 활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측정부(300)는 뇌의 활동에 기초하여 신체내부의 전위적 변화인 바디웨이브를 측정하며 처리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바, 제어부(207, 305)는 제2측정부(300)에서 생성되는 측정신호와, 제1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사용자 뇌파와의 비교 등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뇌활동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07, 305)는 검출된 사용자의 뇌활동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상태, 집중상태, 피로상태 및 스트레스상태 등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건강정보 또는 진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건강상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수면 중에 있는지, 사용자의 뇌파가 불안정한지, 사용자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여부 등과 같이 측정한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분석될 수 있는 상태이다. 제어부(305)는 분석된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진단한 진단정보를 제공하도록 출력부(201, 301)를 제어할 수 있다. 건강정보 또는 진단정보는 문자, 이미지 등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되거나, 소리 음성 등 청각적인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에는 각각 제어부(207, 305)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제어부(207, 305)는 착용부(10, 11)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가 제2착용부(11)의 제어부(305)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달리 표시되어 있더라도, 제1착용부(10)는 제어부(207)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어부(305)가 제2착용부(11)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착용부(10) 와 제2착용부(11) 중 적어도 하나에 제어부(207, 305)가 마련되어, 각 착용부(10, 11)의 각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제1측정신호 및 제2측정신호는 단지 달리 생성된 각각의 측정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1측정신호는 제1측정부(200)에서 사용자 신체부위를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신호를 의미하며, 제2측정신호는 제2측정부(300)에서 사용자 신체부위를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신호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4와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가 측정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무선통신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 각 착용부(10, 11)는 착용된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305)가 제2착용부(11)에 위치하는바, 제1착용부(10)는 측정하여 생성한 측정신호를 통신부(203, 303)를 통해 제2착용부(11)에 전송한다.
제1착용부(10)의 제1측정부(200)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신호는 제1통신부(203)와 제2통신부(303)를 거쳐 제2착용부(11)의 제어부(305)에 전달되고, 제2착용부(11)의 제2측정부(300)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신호 역시 제어부(305)에 전달된다. 제어부(305)는 제2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를 전달받으며, 제1착용부(10)에서 전달된 측정신호와 취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한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분리된 경우, 서로 다른 신체 부위에서 생체신호를 동시에 계측하게 되며, 구현에 따라 서로 다른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측정부(200)에는 귀 내부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하는 제1센서부(211)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고, 제2측정부(300)에는 손목의 맥동을 측정함으로 심박의 박동 변화(Heart Rate Variability: HRV)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뇌파와 HRV의 측정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단계, 청각반응 등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측정부(200)와 제2측정부(300)는 서로 다른 생체신호를 측정하거나, 같은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서로 보충 및 보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2측정부(300)가 사용자의 심장을 측정하여 검출된 HRV의 변화량이 많은 경우, 사용자가 운동 중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05)는 제1측정부(200)의 뇌파 측정을 잠시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측정부(200)와 제2측정부(300)가 서로 측정한 생체신호를 비교하여 오류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피크 등을 분석에서 제외하거나, 특정 구간동안 하나의 측정부(200, 300)에서 측정된 신호의 질이 다른 하나의 측정부(200, 300)에서 측정된 신호의 질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특정 구간에서는 더 높은 질의 신호로 해당 구간을 대체할 수 있다.
도 4는 이런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간에 무선으로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예를 도시하며, 도5는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의 측정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을 블록도를 통하여 도시한다.
제1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는 제1통신부(203)와 제2통신부(303)를 거쳐 제어부(305)로 전달되고, 제2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측정신호 역시 제어부(305)로 전달된다. 제어부(305)는 측정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고, 출력부(201, 301)에 출력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건강정보가 제공되도록 출력부(201, 301)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측정부(200)에서 측정되어 생성된 제1측정신호가 제1통신부(203) 및 제2통신부(303)간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어부(305)로 전달되며, 제2측정부(300)에서 측정되어 생성된 제2측정신호 역시 제어부(305)로 전달되고, 제어부(305)는 제1측정신호 및 제2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제2출력부(301)에 출력정보를 전달함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부(305)는 또한, 제2통신부(303)를 통해 출력정보를 제1출력부(201)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가 결합되고, 제1측정부의 처리부가 이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되어 시리얼통신으로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 경우, 무선통신을 할 때보다 전력소모와 딜레이가 적으며, 주파수대역을 소모하지 않아 더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측정부(200)의 제1처리부(210)가 제2측정부(300)의 제2처리부(310)에 비해 성능이 뛰어난 경우, 제어부(305)는 제1착용부(10)가 결합되었다고 판단되면, 제2측정부(300)의 제2센서부(311)에서 측정된 신호를 제1착용부(10)의 제1처리부(210)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된 경우,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신체 일 부위에서 생체신호를 계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측정부(200)의 제1센서부(211)는 사용되지 않도록 제2착용부(11)의 내부로 수납된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05)는 제2측정부(300)의 제2센서부(311)에서 측정한 센싱신호를 처리하도록 제1측정부(200)의 제1처리부(210)를 이용할 수 있다. 제1측정부(200)의 제1처리부(210)는 고성능의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리시 제2측정부(300)에서 측정하여 생성하던 측정신호보다 정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05)는 제1 측정부(200)의 제1 센서부(211)에서 측정한 센싱신호를 처리하도록 제2 측정부(300)의 제2 처리부(310)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측정부(300)의 제2 처리부(310)는 저전력의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리시 제1 층정부(200)에서만 측정할 때보다 저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손목 등 신체 일 부위에서만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어, 복수의 신체 부위에서 측정한 생체신호를 이용한 건강상태의 분석은 할 수 없어진다. 하지만, 착용부(10, 11)들의 결합으로 아날로그 회로를 공유할 수 있어, 일 신체부위에서 정밀한 생체신호의 계측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장치(1)는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된 상태에서, 손목 등 사용자의 일 신체부위에 착용되어, 바디웨이브,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피부전기반사(Galvanic skin reflex: GSR)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량, 수면여부, 피로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도 6은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착용부(10)의 제1센서부(211)는 제2착용부(11)내에 수납되고, 제1착용부(10)의 제1처리부(210)만 이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측정부(300)에서 측정된 제2측정신호가 제2통신부(303) 및 제1통신부(203)를 거쳐 제1측정부(200)에 전달되고, 제1측정부(200)에서는 제2측정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305)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제2측정신호를 처리 및 분석하여 출력정보를 생성하고, 출력정보를 제2출력부(301)에 제공할 수 있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된 상태인바, 출력정보는 제1출력부(201)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된 경우와 달리, 제1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제1측정신호가 제1통신부(203) 및 제2통신부(303)를 거쳐 제2측정부(300)에 전달되고, 제2측정부(300)에서는 제1측정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305)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제1측정신호를 처리 및 분석하여 출력정보를 생성하고, 출력정보를 제1출력부(201) 또는 제2 출력부(30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착용부와 제2착용부가 결합되고, 제1측정부의 센서부와 처리부가 이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되어 제1측정부(200) 및 제2측정부(300)의 제2센서부(311)들이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부위에서 생체신호를 계측하는 경우, 복수의 센서부(211, 311)가 사용됨에 따라 하나의 신체부위에서 다양한 생체신호가 측정되어 측정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즉, 두 가지 이상의 생체신호를 신체 일 부위에서 측정할 수 있게 되며, 둘 이상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가 모두 제2측정부(300)의 제2센서부(311)에 포함될 필요 없이, 제1측정부(200)의 제1센서부(211)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제1측정부(200)의 제1센서부(211)가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의 결합시, 유휴상태로 있지 않고 활용 가능한 상태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서 측정 역할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복수의 센서를 제2측정부(300)의 제2센서부(311)에 구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바디웨이브와 같은 신호 측정은 전극과 살의 안정적인 접촉이 중요한데, 복잡한 귓속에서 안정적인 신호 취득을 위해 제작된 편리한 소재의 이어폰 센서와 유사한 것을 제2측정부(300)의 제2센서부(311)에 중복해서 사용할 필요 없이, 제1측정부(200)의 제1센서부(211)에 마련하고도 손목의 생체신호를 제1측정부(200)의 제1센서부(211)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착용부(11)에 마련된 제어부(305)에 의해 착용부(10, 11)들이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7)는 제1착용부(10)에 마련되며, 제2착용부(1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며, 처리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1출력부(201)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측정부(200)에서 신체를 측정하여 생성한 제1측정신호가 시리얼통신으로 제어부(305)에 전달되며, 제2측정부(300)에서 생성한 제2측정신호가 제어부(305)로 전달되는 예가 도시된다. 제2측정신호는 제어부(305)로 바로 전달되거나, 도 6 및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측정부(200)로 전달되며 제1처리부(210)에서 처리되어 다시 제어부(305)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처리부(210)가 제2처리부(310)에 비해 고성능의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효과적인 신호의 처리가 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착용부간에 전력을 송수신하는 예를 도시한다.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를 동시에 활용하는 경우, 각 착용부(10, 11)의 배터리 사이즈 및 사용에 따른 배터리 소모 수준이 서로 달라, 각 착용부(10, 11) 중 어느 하나를 별도로 외부 전원과 연결하여 충전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부(203) 및 제2통신부(303)는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의 결합시, 상호간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전력송수신단자(1000, 100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력송수신단자(1000, 1001)는 신호선 또는 직접적인 결합에 의해 전력을 제공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는 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 폴리머(Li-ion/polymer)배터리(이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송수신단자(1000, 1001)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으로 충전될 수 있다. 전력송수신단자(1000, 1001)는 충전핀이 외부로 노출되는 USB 등 다양한 규격을 갖는 신호선 또는 장치가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착용부(10)의 제1전력송수신단자(1000)와 제2착용부(11)의 제2전력송수신단자(1001)는 제어부(305)의 제어에 따라서 접속된 신호선을 통해 혹은 직접 결합되어 상호간에 전력을 서로 공급하거나 제공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전력송수신단자(1000, 1001)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전력을 송신하는 1차 코일 및 2차 코일 간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생성되는 변화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다른 코일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전력을 전송하는 자기유도방식 또는 전력 송신측 및 전력 수신측 간에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전자기적 공진이 발생하고, 공진 현상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도록 하는 자기공명장식 또는 전자기파를 방출함으로써 외부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전자기파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으로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간에 전력을 송수신하는 경우,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는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력을 서로 공유하며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 중 하나는 전력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별도의 배터리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는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의 레벨이 변하도록 변조 함으로써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패킷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의 변형 실시예로서, 전력을 다른 기기에 제공하기에 앞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전력을 변조하여 전송하며, 수신측에서도 수신된 전력을 복조하여 포함된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전력의 변조는 진폭 변조(amplitude modification),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ification), 위상 변조(phase mod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진폭 변조에 의하는 경우 전력의 가장 낮은 레벨이 수신측에서 구동에 요구되는 최소 전력 레벨 이상이 되어야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를 도시한다.
전자장치(1)는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되고, 사용자가 충전모드를 선택하면, 충전모드임을 알리는 안내(1100), 각 착용부(10, 11)의 전력상태(1101),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메뉴항목(1103)을 포함하는 UI를 출력부(201, 301)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 하는 경우,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되지 않더라도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충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되면,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출력부(201, 3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배터리 충전상태를 확인하고, UI를 통해 충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1착용부(10)에서 제2착용부(11)로 전력을 전달하거나, 제2착용부(11)에서 제1착용부(10)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제1전력송수신단자(1000) 및 제2전력송수신단자(1001)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는 각각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각 착용부(10, 11)의 전력사용 효율, 사용자가 각 전자장치(1)를 사용하는 방식, 각 착용부(10, 11)에 포함된 배터리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한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각 착용부(10, 11)의 배터리의 전압의 레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착용부(10)인 이어폰의 남은 전력량이 13%, 제2착용부(11)인 워치의 남은 전력량이 80%로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어폰을 더 오래 사용하기 위해 워치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과 워치의 남은 전력량이 균형을 이룰 때까지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이어폰의 남은 전력량이 워치의 남은 전력량보다 많다면, 이어폰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워치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착용부(10)인 이어폰의 남은 전력량이 13%, 제2착용부(11)인 워치의 남은 전력량이 80%로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워치를 더 오래 사용하기 위해 이어폰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워치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의 남은 전력이 0%가 될 때까지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착용부(10)인 이어폰과 제2 착용부(11)인 워치의 예상 사용시간을 고려하여, 전력이 이동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착용부(10)인 이어폰의 남은 전력량이 13%, 제2착용부(11)인 워치의 남은 전력량이 80%일 때, 기존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이어폰과 워치의 남은 사용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의 남은 사용 시간이 27시간이고, 워치의 남은 사용 시간이 38시간인 경우, 워치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이어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11) 사이의 전력의 이동은,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11)가 결합될 때,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방식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착용부(10)와 제2 착용부(11) 사이의 전력의 이동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결정된 방식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되면, 전자장치(1)는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간 제1전력송수신단자(1000)와 제2전력송수신단자(1001)를 통해 전력을 송수신하여 각 착용부(10, 11)의 배터리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며, 출력부(201, 301)를 통해 전력충전을 위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메뉴항목(1103)을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1착용부(10)에서 제2착용부(11)로 전력이 전달되거나, 제2착용부(11)에서 제1착용부(10)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도면 및 상술된 설명은 단지 예시일 뿐으로,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장치(1)는 서로 결합된 복수의 장치간에 전력을 송수신하도록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설정하기 위한 UI역시 도면에 도시된 UI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예를 도시한다.
전자장치(1)는 제1 및 제2 착용부(10, 11)가 착용된 신체 부위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1)는 사용자의 뇌파, 심박, 맥파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즉,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운동 중인지 등 다양한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다양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중 하나인 사용자가 수면 중인지 여부에 대해서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구하는 예를 도시한다.
제1측정부(200) 및 제2측정부(300)가 각각 착용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한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분리시 복수의 신체부위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서로 보완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시 회로모듈의 공유를 통해 정밀하게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 있다.
제어부(305)는 제1측정부(200) 및 제2측정부(3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건강상태의 분석은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의 뇌파가 기 저장된 사람의 수면 중 뇌파와 임계범위 이상 일치한다면, 사용자가 수면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심박수가 임계레벨 이상 올라간다면, 사용자가 운동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하며, 사용자에게 분석된 결과가 맞는지 확인을 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출력부(201, 301)를 통해 사용자가 수면상태인지 확인을 구하는 안내(1200) 및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메뉴항목(1201)을 포함하는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가 도시된다. 사용자가 수면상태이면 UI를 볼 수 없으므로, 일정 시간 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수면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수면상태로 변경된 후, 제어부(305)는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전자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305)는 사용자가 수면상태에 있는 동안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등을 보관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변경되면 이를 알려줄 수 있으며, 스피커 등 출력부(201, 301)를 통해 소리가 출력되지 않도록 음소거 모드로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제어되는 전자장치(1)의 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겠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소리 등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다.
제어부(305)는 측정부(200, 300)에서 측정된 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정보를 출력부(201, 301)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5)는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험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운전중에 건강상태가 수면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후로도 여전히 수면상태인 경우, 및 사용자가 공부중에 집중력이 흐트러진 경우 등 사용자를 환기할 필요가 있는 상태가 되면, 출력부(201, 301)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소리(1300)을 출력할 수 있다.
소리(1300)는 기 설정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태 변화에 따라 다른 소리(1300)가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사용자의 잠을 깨우기 위해서는 날카롭고 듣기 싫은 높은 레벨의 소리(1300)가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면을 원할 때는 부드럽고 잔잔한 소리(1300)가 출력될 수 있고, 집중이 흐트러진 상태라면,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리(1300)가 출력될 수 있다.
소리(1300)는 제2착용부(11)인 이어폰을 통해서 출력되거나, 제1착용부(10)인 워치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예를 도시한다.
전자장치(1)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203, 303)를 각 착용부(10, 11)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워치로 구현될 수 있는 제2착용부(11)의 경우, 제1착용부(1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LAN 등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제2통신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5)가 측정신호로에 기초하여 판단한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한 상태라면, 제어부(305)는 제2통신부(303)를 통해 외부로 사용자의 상태가 위험함을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신을 잃는 등 문제가 발생할 경우, 외부 병원 또는 구조대의 외부 장치(1400)와 통신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불안정함을 알리고,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1401)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305)가 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이를 확인하기 위한 안내(1500)와 사용자가 승인을 위한 메뉴항목(1501)을 포함하는 UI를 출력부(201, 301)를 통해 출력하는 예가 도시된다.
사용자는 UI를 통해 건강상태에 문제가 있음을 YES를 눌러 승인하거나 문제가 없는 경우, NO를 눌러 거절할 수 있다. 제어부(305)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승인 또는 거절하지 못한다면, 사용자 건강상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외부 장치(1400)에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건강상태가 위험함을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생활 중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축적된 사용자의 심전도(ECG), 맥파(PPG)등을 전송하며, 외부에서 사용자의 심장질환 등을 판단하도록 외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심장질환은 쉽게 드러나지 않고 생활 중 또는 가벼운 운동 중에 발생하는 이상 현상에 의해 발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병원에서 오랜 시간 측정하는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휴대 가능한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압축하여 저장하며, 이를 분석할 수 있는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병원 등의 외부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압축된 생체신호를 복원하여 사용자에게 질환이 의심되는지 또는 치료로부터 회복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진단하고, 진단정보를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스마트폰 등 휴대장치(1600), 휴대장치(1600)와 유선으로 연결된 제1착용부(10) 및 스마트워치 등 사용자의 신체 일 부위에 착용되는 제2착용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휴대장치(16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1착용부(10)는 휴대장치(1600)와 신호선을 통해 연결되는바, 유선통신으로 측정신호를 제공하며, 제2착용부(11)는 휴대장치(1600)와 블루투스 통신 등 무선통신으로 측정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휴대장치(1600)는 수신된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분석된 정보를 휴대장치(1600)의 디스플레이(1601)를 통해 제공하거나,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출력부(201, 301)를 통해 제공하도록 출력정보를 출력부(201, 30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휴대장치(1600)는 또한,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서 외부에 사용자의 건강정보 및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생활 중 측정한 생체신호를 압축 저장하여 주기적으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에서는 휴대장치(16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구조하거나,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질병을 진단하고, 사용자에게 진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1)는 이어폰, 스마트워치 뿐 아니라 이마에 착용되어 뇌파를 직접 측정하는 제1착용부(10), 발목에 착용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제2착용부(11) 및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로부터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분석하는 휴대장치(1600)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면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라, 본원 발명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는 상술한대로,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에에게 건강정보 또는 진단정보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 생체신호를 인증정보로서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생체신호는 사용자마다 개인의 생체적 특성에 따라 달리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을 위해서는 지문, 얼굴인식, 목소리 및 홍채인식 등과 같이 신체 외부로 노출되는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고, 심전도(ECG), 맥파(PPG), 근전도(EMG)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인증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8에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가 도시되며, 제2착용부(11)는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인증정보를 외부 장치들(1800, 1801, 1802)에 제공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자동차(1801) 시동을 걸기 위해, 자동차(1801)의 버튼을 눌러 조작하면, 자동차(1801)의 인증모듈에서 전자장치(1)에 인증을 요청하고, 제어부(305)는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에서 측정된 측정신호를 분석하여 인증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인증정보를 자동차의 인증모듈에 제공하도록 통신부(203, 303)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거래행위를 함에 있어, POS(point of sale)기계(1802)가 전자장치(1)에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1)는 요청에 따라 측정한 생체신호에 기초하여 인증정보를 POS기계(1802)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OS기계는 사용자 인증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은행, 카드회사 등에 제공하여 사용자와의 거래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동작 S1900에서, 제1착용부(10) 및 제2착용부(11)에서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동작 S1901에서,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는 정보를 서로 교환하기 위해 통신한다. 그리고, 동작 S1902에서, 제어부(305)는 결합상태에서 제1착용부(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측정하며, 제1측정신호를 생성하여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동작 S1903에서, 분리 및 결합된 상태에서 제어부(305)는 제2착용부에 의해 생성된 제2측정신호를 처리한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어부(305)는 제2통신부(303)를 통해 수신되는 제1측정부(200)에서 생성된 측정신호와 제2측정부(300)에서 생성된 측정신호를 수신하며,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어부(305)는 제2측정부(300)에서 생성된 측정신호를 제1측정부(200)로 전달하여 제1측정부(200)의 제1처리부(210)에서 처리되거나, 제1측정부(200)에서 생성된 측정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결합상태에서, 제어부(305)는 결합된 제1측정부(200)를 이용하여 제2측정부(300)에서 보다 정밀하게 생체신호를 측정하거나, 제1측정부(200)와 제2측정부(300)가 동시에 사용자의 같은 신체부위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흐름도를 도시한다. 먼저, 동작 S2000에서, 제어부(305)는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서로 결합되어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서로 분리된 경우, 동작 S2001에서, 제1측정부(200)와 제2측정부(300)는 각각 착용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한다. 이어서, 동작 S2002에서, 제1측정부(200)에서 측정한 신호를 제1통신부(203)를 통해 제2착용부(11)에 전달한다. 그리고, 동작 S2003에서, 제어부(305)는 제2통신부(303)를 통해 수신되는 제1측정부에서 생성한 측정신호와 제2측정부에서 생성한 측정신호를 처리하며, 분석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와 관련된 진단정보를 생성한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서로 결합된 경우, 동작 S2004에서, 제어부(305)는 제1측정부(200)를 이용하여 제2측정부(300)가 사용자 신체 일부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305)는 제2측정부(300)에서 생성된 측정신호를 처리,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상태와 관련된 진단정보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동작 S2006에서, 제어부(305)는 생성된 진단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출력부(201, 301)를 제어한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분리되어 각각 사용자 신체 일부에 착용된 경우, 각각의 측정부(200, 300)는 착용된 위치에서 사용자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305)는 제2착용부(11)에 위치하는바, 제1착용부(10)에서 측정되어 생성된 측정신호는 통신부(203, 303)들을 통해 제어부(305)로 전달된다. 제2측정부(300)에서 생성된 측정신호는 제어부(305)에 직접 전달되며, 제어부(305)는 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결합된 경우, 전자장치(1)는 제2착용부(11)가 착용된 신체 부위에서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측정신호를 생성하되, 제1측정부(200)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가 서로 결합되면, 제1측정부(200)의 센서가 사용되거나 제2착용부(11)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제1측정부(200)의 센서가 수납되는 경우, 제2측정부(300)의 센서에서 측정한 신호를 제1측정부(200)의 제1처리부(210)에서 처리되도록 제1측정부(200)를 이용할 수 있다. 제1측정부(200)의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 같은 신체 부위에서 제1측정부(200) 및 제2측정부(300)가 동시에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측정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측정부(200)는 제2측정부(300)보다 고성능의 제1처리부(210)를 포함할 수 있어, 제1착용부(10)와 제2착용부(11)의 결합에 따라 제2착용부(11)는 제1측정부(200)에 포함된 고성능의 제1처리부(210)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고 처리할 수 있다.
1 - 전자장치
10 - 제1착용부
11 - 제2착용부
200 - 제1측정부, 210 - 제1처리부, 211-제1센서부
201 - 제1출력부
203 - 제1통신부
300 - 제2측정부, 310 - 제2처리부, 311 - 제2센서부
301 - 제2출력부
303 - 제2통신부
305 - 제어부

Claims (35)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장치로서,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 및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착용부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제1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제1센서부;
    상기 제1생체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부; 및
    상기 제2착용부와 통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착용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제2생체신호를 획득하는 제2센서부;
    상기 제2생체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부; 및
    상기 제1착용부와 통신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생체신호를 상기 제1증폭부가 증폭하게 하여 제1측정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생체신호를 상기 제2증폭부가 증폭하게 하여 제2측정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생체신호를 상기 제1증폭부가 증폭하게 하여 제3측정신호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생체신호 및 상기 제2생체신호는 뇌파(EEG), 심전도(ECG), 맥파(PPG), 근전도(EMG), 피부전기반사(G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1착용부 또는 상기 제2착용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전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정보를 이미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측정신호 및 상기 제2측정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진단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수면상태임을 알리기 위해 경고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는 각각 전력을 제공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전력송수신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 간에 전력을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정보의 출력, 상기 전력의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인 전자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 및 상기 제2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전자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측정신호 및 상기 제2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통신부 및 제2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19.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서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착용부 및 제2착용부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제1생체신호 및 제2생체신호를 각각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생체신호 또는 상기 제2생체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생체신호를 상기 제1착용부의 제1증폭부가 증폭하여 제1측정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생체신호를 상기 제2착용부의 제2증폭부가 증폭하여 제2측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생체신호를 상기 제1증폭부가 증폭하여 제3측정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생체신호 및 상기 제2생체신호는 뇌파(EEG), 심전도(ECG), 맥파(PPG), 근전도(EMG), 피부전기반사(GS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부 또는 상기 제2착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이미지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신호 및 상기 제2측정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진단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수면상태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진단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수면상태임을 알리기 위해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1착용부 및 상기 제2착용부 사이에 전력을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설정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정보의 출력, 상기 전력의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것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부 또는 상기 제2착용부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3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신호 및 상기 제2측정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02392A 2016-01-08 2016-01-08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1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92A KR102518671B1 (ko) 2016-01-08 2016-01-08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5/213,864 US10342427B2 (en) 2016-01-08 2016-07-19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6/007872 WO2017119566A1 (en) 2016-01-08 2016-07-20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92A KR102518671B1 (ko) 2016-01-08 2016-01-08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17A KR20170083217A (ko) 2017-07-18
KR102518671B1 true KR102518671B1 (ko) 2023-04-07

Family

ID=59274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392A KR102518671B1 (ko) 2016-01-08 2016-01-08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42427B2 (ko)
KR (1) KR102518671B1 (ko)
WO (1) WO2017119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7743A (zh) * 2015-10-30 2022-03-11 安定宝公司 用于控制受控电器的可穿戴控制装置、控制系统及方法
KR102486660B1 (ko) * 2017-09-29 2023-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협력하여 작동하는 복수의 전자 장치 및 복수의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0755064A (zh) * 2019-09-12 2020-0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102527944B1 (ko) * 2021-03-04 2023-05-02 주식회사 레오테크 착탈식 아이오티 기반 스마트 수도미터
KR20220161955A (ko) * 2021-05-31 2022-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운동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4745013A (zh) * 2022-04-09 2022-07-12 深圳腾信百纳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控制方法、系统、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US11918368B1 (en) * 2022-10-19 2024-03-05 Epite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encephalogram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8338B1 (en) 1999-07-19 2001-05-29 Altec, Inc. Biosign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0592934B1 (ko) 2004-05-21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착용형 생체신호 검출모듈 및 이를 포함한 측정장치
US7529155B2 (en) 2005-01-04 2009-05-05 Global Watch Industries Srl Wristwatch with earphone function
KR100642310B1 (ko) 2005-08-22 200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KR20080084879A (ko) * 2007-03-17 2008-09-22 주식회사 에스씨티 무선통신을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장치
JP5550077B2 (ja) 2007-09-07 2014-07-16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運動機能性を有する装着可能な装置アセンブリ
US9750462B2 (en) * 2009-02-25 2017-09-05 Valencell, Inc.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and/or environmental conditions
KR101038434B1 (ko) * 2009-07-31 2011-06-01 주식회사 바이오넷 벨트형 심전도 측정장치와 밴드형 맥파 측정장치를 이용한 심장의 수축기 혈압 변화 측정장치
KR101859101B1 (ko) * 2011-09-09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셋을 이용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010304B1 (ko) * 2012-06-14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심전도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EP2849414B1 (en) 2013-12-13 2022-04-20 Huawei Device Co., Ltd.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US9332338B2 (en) 2013-12-25 2016-05-03 1More Inc. Bluetooth communication bracelet
KR102340794B1 (ko) 2014-05-01 2021-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KR101521539B1 (ko) 2015-01-13 2015-05-27 조동훈 이어폰 일체형 스마트 와치
US20160339300A1 (en) * 2015-05-21 2016-11-24 Ebay Inc. Controlling user devices based on biometric readings
KR101564073B1 (ko) 2015-06-04 2015-10-29 주식회사 휴이노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해 구비된 복수의 전극을 터치 센서로 활용하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
US10383568B2 (en) * 2015-09-30 2019-08-20 Apple Inc. Confirming sleep based on secondary indicia of user a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17A (ko) 2017-07-18
US20170196456A1 (en) 2017-07-13
WO2017119566A1 (en) 2017-07-13
US10342427B2 (en)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671B1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99281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vital signal
US10548500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bioelectrical signals
JP6503347B2 (ja) 電界脳波を含む脳の電気的活動測定用のセンサアセンブリ
US10874356B2 (en) Wireless EEG headphones for cognitive tracking and neurofeedback
TW201434437A (zh) 個人生物感測器附屬配件
JP2016526972A5 (ko)
KR20160044811A (ko)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웨어러블 센서 및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KR20160060535A (ko) 생체신호 측정 장치
KR20170012459A (ko) 생체 신호 검출 및 분석 시스템 및 장치
KR102173725B1 (ko)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335947A1 (en) Sports device and system
TWI681753B (zh) 可穿戴式心臟監測裝置、心臟監測系統及其方法
US10049184B2 (en) Software application transmission via body interface using a wearable device in conjunction with removable body sensor arrays system and method
US11363989B2 (en) Electronic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biological signal measur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200103350A (ko)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20200345287A1 (en) Mental fitness assessment systems and methods using physiologic signal inputs
Frey et al. BioGAP: A 10-core FP-capable ultra-low power IoT processor, with medical-grade AFE and BLE connectivity for wearable biosignal processing
JP2019201995A (ja) 生体信号取得用電極及び生体信号測定システム
WO2019225244A1 (ja) 生体信号取得用電極、生体信号取得用電極対及び生体信号測定システム
US9282909B2 (en) Measurement device with electroencephalography and electrocardiography functionalities
KR102471204B1 (ko) 인체 신호 검출 헤드셋 장치
KR20120085065A (ko) 착용형 신체진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신체진단시스템
CN104622462A (zh) 一种新型心电信号测量功能的心血管监测装置
US1173038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blood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