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324B1 - Cloud-based artificail intelligence guide system for muscle strength exercise - Google Patents

Cloud-based artificail intelligence guide system for muscle strength exerc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324B1
KR102518324B1 KR1020200160811A KR20200160811A KR102518324B1 KR 102518324 B1 KR102518324 B1 KR 102518324B1 KR 1020200160811 A KR1020200160811 A KR 1020200160811A KR 20200160811 A KR20200160811 A KR 20200160811A KR 102518324 B1 KR102518324 B1 KR 102518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exercise
user
strength
g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3881A (en
Inventor
황정진
서영대
Original Assignee
(주)로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임시스템 filed Critical (주)로임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60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324B1/en
Priority to PCT/KR2020/017115 priority patent/WO2022114292A1/en
Publication of KR2022007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04Abstract machines for programme code execution, e.g. Java virtual machine [JVM], interpreters, em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0Athle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63B2024/0081Coaching or training aspects related to a group of u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력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근력 강화할 근육을 판별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를 세울 수 있게 하며, 목표 달성을 위한 운동에 대해서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목표에 부합하는 적합한 운동을 추천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전도 측정기(10) 및 개인 단말(20)을 사용하여 근육 상태를 획득한 사용자들을 개인 특성에 따라 분류한 사용자 그룹별로 근육 상태에 대해 통계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근육 상태를 사용자 그룹별 통계정보와 비교 평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그룹의 근육 상태를 근력운동의 목표로 세울 수 있게 하며, 근력운동 목표에 적합한 운동을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추천받아 적합도에 따라 적절한 운동을 선별하여 추천하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objectively evaluates the user's muscular strength to determine muscles to be strengthened, based on this, enables the user to set a desired goal, and objectively evaluates the exercise to achieve the goal to provide an appropriate exercise that meets the goal. It relates to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that can be recommended, and more specifically, a user group in which users who have obtained muscle conditions using an electromyogram meter (10) and a personal terminal (20) are classified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each muscle condition, and the user's muscle condition is compared and evaluated with the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user group,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muscle condition of the desired user group as the goal of strength exercise, and it is suitable for the strength exercise goal. It relates to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that selects and recommends appropriate exercises according to fitness after receiving recommendations from a group of experts.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CLOUD-BASED ARTIFICAIL INTELLIGENCE GUIDE SYSTEM FOR MUSCLE STRENGTH EXERCISE}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CLOUD-BASED ARTIFICAIL INTELLIGENCE GUIDE SYSTEM FOR MUSCLE STRENGTH EXERCISE}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력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근력 강화할 근육을 판별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를 세울 수 있게 하며, 목표 달성을 위한 운동에 대해서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목표에 부합하는 적합한 운동을 추천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objectively evaluates the user's muscular strength to determine muscles to be strengthened, based on this, enables the user to set a desired goal, and objectively evaluates the exercise to achieve the goal to provide an appropriate exercise that meets the goal. It is about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that can be recommended.

인간의 근육 중에 골격근은 600개 이상이고, 헬스 트레이닝을 하는데 관심을 갖는 주요 근육만도 수십 개에 이른다.Among the human muscles, there are more than 600 skeletal muscles, and there are dozens of major muscles that are interested in health training.

이러한 각각의 주요 근육 중에 어느 근육의 근력이 강하고 어느 근육의 근력이 취약한지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어떤 운동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헬스 트레이너의 도움 없이 할 수 없다. It is impossible without the help of a fitness trainer to determine which type of exercise to perform by comprehensively evaluating which muscle strength is strong and which muscle strength is weak among each of these major muscles.

그런데, 헬스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아 주요 근육에 대한 종합 평가를 받고 운동 종목을 추천받아 운동하더라도, 헬스 트레이너로부터 시간, 비용 및 노력을 들이는 개인 트레이닝을 받아가며 운동하여야만 제대로 운동할 수 있고, 운동하며 재평가 받아야만 운동 효과도 얻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However, even if you receive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major muscles with the help of a health trainer and exercise with a recommendation for an exercise event, you must exercise with personal training that requires time, money, and effort from the health trainer to exercise properly, exercise and Because the effect of exercise can only be obtained through re-evalua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it is not possible to exercise continuously.

또한, 헬스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더라도 헬스 트레이너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근육 상태를 평가받게 되므로, 헬스 트레이너마다 평가가 달라질 수 있고, 추천받는 운동도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근육 상태의 목표가 모호하고, 운동을 지속하려는 동기 부여도 충분하지 못하며, 운동 적합성에 대한 의구심도 들어 개인 트레이닝에 대한 신뢰성을 주지 못할 수 있고, 더욱이, 헬스 트레이너의 자격 문턱이 높지 않아 헬스 트레이너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되는 소비자 피해 접수 건수도 해마다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In addition, even with the help of a fitness trainer, since the muscle condition is evaluated according to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fitness trainer, the evalua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fitness trainer, and the recommended exercise may also be different. As a result, the goal of muscle condition is ambiguous, the motivation to continue exercising is not sufficient, and there may be doubts about exercise fitness, which may not give reliability to personal training.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the Consumer Protection Agency, the number of consumer damage complaints filed with the Consumer Protection Agency is increasing every year.

또한, 근육 상태의 목표는 개인마다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숫한 연령대의 상위 수준 수준, 동일 성별의 상위 수준, 관심을 갖는 운동 선수의 상위 수준 등을 운동 목표로 하고 싶은 개인도 있을 수 있고, 상위 수준이 아닌 평균 수준을 목표로 하고 싶은 개인도 있을 수 있다. 즉, 특정 부류의 사람들과의 상대적 평가에 따라 개인차를 줄여 나가는 것을 목표로 세워서 동기 부여를 확실히 받을 수 있으나, 헬스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더라도 이와 같이 목표를 세울수는 없다. 예를 들어, 골다공증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운동이 필요한 노인은 적절한 근력을 유지하는 것을 운동 목적으로 할 수 있으나, 그 적절한 근력을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 정하기 어렵다. In addition, the goal of muscle condition may vary from person to person. For example, there may be individuals who want to target the upper level of the same age group, the upper level of the same gender, the upper level of the athlete they are interested in, etc. There may also be individual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be motivated by setting a goal to reduce individual differences according to a relative evaluation with a specific class of people, but even with the help of a health trainer, it is impossible to set a goal like this. For example, an elderly person who needs exercise to prevent osteoporosis may have the purpose of exercise to maintain appropriate muscle strength, but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how much appropriate muscle strength to do.

한편, 등록특허 제10-1687252호, 등록특허 제10-1715369호 및 공개특허 제10-2020-0032364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르면, 개인의 사용자 정보에 따라 맞춤형 트레이닝 플랜을 제공하여 운동하게 하고, 운동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전문 트레이너가 가르쳐주는 방법으로 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며, 트레이닝 방법을 전문 트레이너로부터 수집하여 적합한 맞춤형 트레이닝 플랜을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687252, Registration Patent No. 10-1715369 and Publication Patent No. 10-2020-0032364, a customized training plan is provided according to individual user information to exercise, By monitoring the exercise status, it guides you to exercise in the way the professional trainer teaches you, and it can provide you with an appropriate customized training plan by collecting training methods from the professional trainer.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개인별 주요 근육의 전반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개인별로 등록한 사용자 정보에 의존하여 운동을 추천받으므로, 객관적 지표에 따라 목표를 세우기 어렵고, 전문 트레이너를 통해 수집한 운동 종류별 운동방법을 사용자 정보와 매칭시켜 제시한 후 해당 운동방법을 따라하게 유도하여 정확한 자세로 운동하게 할 수는 있으나, 근육 전반의 상태에 적합한 운동을 제시하기 어렵고, 개인별 차이가 있는 목표에 부합하는 운동도 제시할 수는 없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recommends exercises based on user information registered for each individual without objectively evaluating the overall major muscles of each individual, it is difficult to set goals according to objective indicators, and exercises collected through professional trainers After matching and presenting the exercise method by type with user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 to follow the exercise method and exercise in the correct posture, but it is difficult to present an exercise suitable for the overall condition of the muscles, and I can't even suggest exercise.

KR 10-1687252 B1 2016.12.12.KR 10-1687252 B1 2016.12.12. KR 10-1715369 B1 2017.03.06.KR 10-1715369 B1 2017.03.06. KR 10-2020-0032364 A 2020.03.26.KR 10-2020-0032364 A 2020.03.26.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별 근육 전반에 대해 전문가의 주관적 평가가 아니닌 객관적 평가에 따라 근육 전반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객관적 평가에 따른 근육 전반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목표를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세울 수 있게 하며, 헬스 트레이별 추천 운동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목표에 부합하는 운동 종목을 제시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general state of muscles for each user according to an objective evaluation rather than subjective evaluation by an expert, and to improve the overall state of muscles according to the objective evaluation as desired by the user. It is to provide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that can objectively evaluate recommended exercises for each health tray and present exercise items that meet the go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각 근육 부위에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근전도 측정기(10); 상기 근전도 측정기(10)로 검출한 근육별 근전도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근육 상태를 획득하고, 사용자 그룹별 근육 상태의 통계 정보를 사용자의 근육 상태와 비교할 수 있게 보여주는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과, 사용자 그룹을 근력운동 목표로 제시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근력운동 목표에 부합하는 목표 근육 상태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추천 운동을 보여주는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 430, 440)을 출력할 수 있게 한 개인 단말(20); 사용자들의 개인 단말(20)로부터 수집한 근육 상태 중에 사용자의 서로 다른 개인 특성에 따라 그룹핑한 사용자 그룹의 근육 상태에 대해 통계정보를 생성한 후 개인 단말(20)에 전송하여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의 출력을 지원하고, 사용자 그룹의 특징에 따라 명명한 근력운동 목표 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근력운동 목표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의 통계정보에 따라 선정한 목표 근육 상태 및 근력운동 목표에 따라 선정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추천 운동을 개인 단말(20)에 전송하여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 430, 440)의 출력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 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comprising: an electromyogram meter (10) for detecting an electromyogram signal from each muscle part of a user;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 (300, 310, 320) that obtains the user's muscle condition according to the muscle-specific EMG signal detected by the EMG meter 10 and shows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muscle condition for each user group to be compared with the user's muscle condition , 330), and after presenting the user group as a strength exercise target, outputting a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430, 440) showing the target muscle state and at least one recommended exercise that meets the strength exercise target selected by the user a personal terminal 20 that enables; Among the muscle conditions collected from users' personal terminals 20, statistical information is generated on the muscle conditions of user groups grouped according to differen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then transmitted to the personal terminal 20 to generate a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 (300, 310, 320, 330), and according to the target muscle condition and strength exercise goal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user group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goal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trength exercise goals na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group. a cloud server 30 that supports output of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s 400, 430, and 440 by transmitting at least one selected recommended exercise to the personal terminal 20; includ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전문가 그룹이 개인 단말(20) 또는 별도의 전문가 단말을 이용하여 근력운동 목표별로 추천한 운동을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 430, 440)에 출력할 추천 운동으로 사용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30 displays exercises recommended by a group of experts for each strength exercise target using the individual terminal 20 or a separate expert terminal on a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430, 440). ) is used as a recommended exercise to be prin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추천 운동의 적합성에 따라 매칭율을 정한 후, 매칭율 순위에 따라 선정한 추천 운동을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 430, 440)에 출력할 추천 운동으로 사용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30 determines the matching rate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of the recommended workout, and then outputs the recommended workout selected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e ranking on the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s 400, 430, and 440. Use it as a recommended exercise to d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근육별로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근육별로 비교하도록 근력 비교 화면의 출력을 지원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30 generates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muscle and supports the output of a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 to compare for each musc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사용자들 중에 운동 종목별 운동 선수의 그룹 또는 헬스 트레이너의 그룹을 사용자 그룹으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30 may use a group of athletes or a group of health trainers for each sport event among users as a user group.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사용자의 개인 특성에 부합하는 사용자 그룹 또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둔 사용자 그룹의 통계정보만 선별하여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30 selects only the user group matching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or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user group pre-determined by the user, and the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 (300, 310, 320, 330 ) can support the output of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절대적 기준이 없는 근력을 다른 사람의 근력과 상대 평가하여 근력 수준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상대 평가할 사람의 그룹을 다양화하여, 사람마다 상이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며, 상대 평가에 따라 근력운동의 목표를 명료하게 세울 수 있으므로, 개인별 근력 수준에 맞춰 근력 운동하여 개인 맞춤형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valuates muscle strength without absolute standards relative to other people's muscle strength, objectively judges the level of muscle strength, diversifies the group of people to be evaluated relative to each other, and presents different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person, Since the goal of strength exercise can be clearly set according to the relative evaluation, it can serve as a guide to achieve a personalized goal by performing strength exercis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trength level.

또한, 본 발명은 전문가가 추천한 운동의 적합성을 판단하여, 근력운동 목표에 적합한 운동을 추천하므로, 목표 달성을 위한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suitability of an exercise recommended by an expert and recommends an exercise suitable for a muscle strength exercise goal, the exercise effect for achieving the goal can be increased.

이에, 본 발명은 근력 수준의 평가 기준을 스스로 갱신하고, 추천받는 운동에 대해서도 최적의 운동을 선별하여, 사용자의 근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목표 및 맞춤형 운동을 제시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운동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elf-renews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muscle strength level, selects the optimal exercise for the recommended exercise, evaluates the user's muscle strength level objectively, and presents customized goals and customized exercis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xercise guide servic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에서 근전도 측정기(10)와, 근전도 측정기(10)에 연결할 전극 패치(100)의 단면도.
도 3은 전극 패치(100)를 대신하여 스마트 의복(200)을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2에서 사용자에 착용한 스마트 의복(200) 중에 근전도 측정기(10)를 연결할 부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의 전기 신호적 블록 구성도.
도 6은 개인 단말(20)에서 근육 상태 평가부(21c)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22)에 출력한 근력 비교 화면 중에 기본 화면(300)의 구성도.
도 7은 도 6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화면 전환하여 출력한 상세 화면(310, 320, 330)의 구성도.
도 8은 개인 단말(20)에서 운동 추천부(21d)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22)에 출력한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을 이용하여 드롭다운(410)으로 근력운동 목표를 선정하게 한 화면 구성도.
도 9는 도 8에서 근력운동 목표를 선정한 후의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의 구성도.
도 10은 도 9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화면 전환하여 출력한 상세 화면(430, 440)의 구성도.
1 is a use state diagram of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G measuring device 10 and the electrode patch 100 to be connected to the EMG measuring device 10 in FIG. 1 .
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using smart clothing (200) instead of the electrode patch (100).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to which the EMG meter 10 is connected among the smart clothes 200 worn by the user in FIG. 2 .
5 is an electrical signal block diagram of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ic screen 300 among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s output to the user interface 22 by the muscle state evaluation unit 21c in the personal terminal 20;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detailed screens 310, 320, and 330 outputted after screen conversion according to user selection in FIG. 6;
8 is a screen configuration in which a strength exercise target is selected through a drop-down 410 using a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output to the user interface 22 by the exercise recommendation unit 21d in the personal terminal 20. do.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after selecting a strength exercise target in FIG. 8;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detailed screens 430 and 440 outputted after screen conversion according to user selection in FIG. 9;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다양한 예시들을 보여주며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통해 실시될 수 있음도 분명하므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잘 알려진 부품, 회로, 기능, 방법, 전형적인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자세히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and various examples will be shown and describ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it is clear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becaus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and implement well-known components, circuits, functions, methods, and typical detail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형태는 부품, 모듈, 부 등으로 기술될 수 있고, 기록매체에 구현된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and the form of software and hardware may be described as parts, modules, parts, etc., and in the form of computer-readable program codes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can be implemented as

구성요소 사이의 연결은 데이터, 신호, 정보 등을 전달하기 위해 유선 연결 또는 무선 연결일 수 있고,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may be a wired connection or a wireless connection to transfer data, signals,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n indirect connection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은 근전도 측정기(10), 개인 단말(20) 및 클라우드 서버(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includes an electromyography meter (10), a personal terminal (20), and a cloud server (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은 사용자의 근육들의 상태를 파악하여, 근육들의 상태를 정량적 및 객관적 통계지표(사용자 그룹별 근육 상태의 통계에 따라 얻는 지표)와 비교 평가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그룹의 통계지표에 따라 근력운동 목표를 선정할 시에 강화할 근육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운동을 추천한다. The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the condition of the user's muscles and compares and evaluates the condition of the muscles with quantitative and objective statistical indicators (indices obtained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muscle conditions for each user group). When selecting a target for strength exercise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index of the group desired by the user, an appropriate exercise is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type of muscle to be strengthened.

따라서, 사용자의 여러 근육 상태를 우선적으로 파악하여야 하므로, 도 1에 예시한 사용 상태도는 플랫 바벨 벤치 프레스(Flat Barbell bench press)를 수행하며 대흉근 및 삼각근의 근전도를 검출하는 상황을 보여주지만, 대흉근 및 삼각근이 아닌 다른 근육의 근전도를 검출할 수 있는 운동을 하며 근전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헬스 트레이닝에 있어서 관심을 갖고 관리하는 주요 근육에 대해서 각각 근전도를 검출하는 것으로 한다. Therefore, since the user's various muscle conditions should be identified first, the use state diagram illustrated in FIG. 1 shows a situation in which a flat barbell bench press is performed and the EMG of the pectoralis major and deltoid muscles are detected, but the pectoralis major and EMG can be detected while performing exercises that can detect EMG of muscles other than the deltoid. That is, it is assumed that electromyography is detected for each of the main muscles that are of interest and management in health training.

또한, 근전도 측정기(10) 및 개인 단말(20)은 사용자별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도 1에는 한 사람이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개인 특성이 다양한 복수의 사용자가 각자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myogram measuring device 10 and the personal terminal 20 are used by each user, they are shown as being used by one person in FIG. 1, but are assumed to be used by a plurality of users with various personal characteristics.

예시적으로, 주요 근육은 대흉근, 전거근, 복사근, 복직근, 승모근, 삼각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완요골근, 대퇴사두근, 전경골근 및 하퇴삼두근 중에 일부를 포함하거나 전부를 포함하거나 다른 종류의 근육을 추가할 수도 있다. Illustratively, the major muscles include some or all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serratus anterior muscle, oblique muscle, rectus abdominis muscle, trapezius muscle, deltoid muscle, biceps brachii muscle, triceps brachii muscle, brachioradialis muscle, quadriceps muscle, tibialis anterior muscle, and triceps lower leg muscle, or other types of muscles. can also be added.

예시적으로, 근육 상태는 검출한 근전도를 분석하여 얻을 수 있는 최대 근력, 지구력 및 밸런스(신체의 좌우 근육 상태의 불균형)를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만 포함할 수도 있고, 아니면, 근전도를 분석하여 얻을 수 있는 다른 종류의 근육 상태를 추가할 수도 있다.Illustratively, the muscle state includes all of the maximum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balance (imbalance of the left and right muscle states of the body) that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detected EM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only some, Alternatively, other types of muscle conditions that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EMG can be added.

이와 같이 사용자의 각 근육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근전도 측정기(1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각 근육 부위에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한다.In this way, in order to grasp the state of each muscle of the user, the EMG signal is detected from each muscle part of the user using the electromyogram measuring device 10 .

도 2는 근전도 측정기(10)와, 근전도 측정기(10)에 연결할 전극 패치(100)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G measuring device 10 and the electrode patch 100 to be connected to the EMG measuring device 10 .

상기 근전도 측정기(10)는 사용자 피부에 부착하는 전극 패치(100)에 연결할 커넥터(11)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한다. The EMG measuring device 10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connectors 11 to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patch 100 attached to the user's skin.

전극 패치(10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극(110)과 점착제층(130)을 사용자 피부에 접촉시킬 면에 구비하고, 전극(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 연결부재(120)를 사용자 피부에 접촉되지 않는 면에 구비하여, 점착제층(130)에 의해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피부에 접촉한 생체 전극(110)에서 감지되는 근전도 전위 신호를 커넥터 연결부재(120)를 통해 검출할 수 있게 한다.As is well known, the electrode patch 100 has the electrode 110 and the adhesive layer 130 on the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and the connector connecting member 1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110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It is provided on a surface that is not used to detect the electromyographic potential signal detected by the bioelectrode 110 in contact with the skin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skin by the adhesive layer 130 through the connector connecting member 120.

일반적으로 전극 패치(100)의 커넥터 연결부재(120)는 돌기 형태로 형성하여 스냅 버튼 방식으로 연결하게 하므로, 상기 커넥터(11)는 돌기 형태의 커넥터 연결부재(120)에 끼움 결합할 홈(11a)을 갖도록 구성되고,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를 구비하며, 적어도 2개의 전극 패치(100)를 피부에 부착한 후 상기 커넥터(11)에 일대일 연결되게 하여 근전도를 검출한다. 물론, 전극(110)과 커넥터 연결부재(120)로 구성된 전기적 구성을 복수개 구비한 전극 패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general, since the connector connecting member 120 of the electrode patch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to be connected in a snap button manner, the connector 11 is fitted into the protruding connector connecting member 120, the groove 11a. ), and at least two are provided to detect the EMG signal, and after attaching at least two electrode patches 100 to the skin, they are connected one-to-one to the connector 11 to detect the EMG. Of course, an electrode patch hav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configurations including the electrode 110 and the connector connection member 120 may be used.

상기 근전도 측정기(10)는 후술하는 신호처리부(12) 및 근거리 통신모듈(13)을 내장하는 케이스의 외부에 2개 이상의 커넥터(11)을 부분 노출시키게 설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중에서 커넥터(11)를 설치한 부위 사이는 가요성 을 갖게 하여 구부리거나 신축하게 할 수 있다.The EMG measuring device 10 may be installed so that two or more connectors 11 are partially exposed outside of a case containing a signal processing unit 12 and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3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between the parts of the case where the connector 11 is installed, it can be bent or stretched by having flexibility.

그런데, 근전도 신호는 2개 생체 전극으로도 충분히 정확한 신호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할 시에는 2개 커넥터(11)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However, since the EMG signal can be detected as a sufficiently accurate signal even with two bioelectrodes, it will be assumed that two connectors 11 are provided whe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도 3은 전극 패치(100)를 대신하여 스마트 의복(200)을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using smart clothing 200 instead of the electrode patch 100.

도 4는 사용자에 착용한 스마트 의복(200) 중에 근전도 측정기(10)를 연결할 부위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smart clothing 200 worn by the user to which the EMG meter 10 is to be connected.

상기 스마트 의복(200)은 사람이 착용하는 의복(210)에 복수의 생체 전극(220)을 결합하여 일체화하고, 근전도 측정할 부위에 있는 생체 전극(220)에 전극 지지대(230)를 선택적으로 고정한 후 상기 근전도 측정기(10)를 연결할 수 있게 한 의복이다.The smart clothing 200 combines and integrates a plurality of bioelectrodes 220 with the clothing 210 worn by a person, and selectively fixes the electrode support 230 to the bioelectrode 220 at the site to measure EMG It is a garment that allows the EMG meter 10 to be connected afterwards.

상기 생체 전극(220)은 의복(210)의 내측면에서 신체 피부에 접촉되게 하여 근전도 전위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한 검출 전극(221)과, 의복(210)을 사이에 두고 검출 전극(221)과 마주하게 하여 의복(210)의 외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전극 지지대(23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할 부착 부재(222a)를 구비한 단자(222)와, 의복(210)을 관통하여 검출 전극(221)과 단자(22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관통부재(223)를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 전극(221), 단자(222) 및 관통부재(223)는 도전성 재질로서 물리적으로 일체화한 것일 수도 있다. The bioelectrode 220 is a detection electrode 221 that can detect an EMG potential signal by contacting the body ski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ing 210, and a detection electrode 221 with the clothing 210 in between A terminal 222 having an attachment member 222a that is ex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othing 210 and is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electrode support 230, and the detection electrode 221 penetrating the clothing 210 ) and a through member 223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222 to each other. Here, the detection electrode 221, the terminal 222, and the penetrating member 223 may be physically integrated as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검출 전극(221)은 도전성 금속 전극, 도전성 고무 전극, 도전성 섬유 전극 및 도전성 실리콘 전극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의복(210)의 내측면보다 약간 돌출되게 형성하거나 신체 피부의 체모를 고려하여 복수의 돌기(221a)를 구비할 수 있다.The detection electrode 221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conductive metal electrode, a conductive rubber electrode, a conductive fiber electrode, and a conductive silicon electrode, and is formed to slightl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lothing 210 or considering the hair of the body sk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221a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생체 전극(220)은 의복(210)을 사용자가 착용할 시에 각 근육 위치에 적어도 2개씩 쌍을 이루며 놓이도록 의복(210)에 분산 설치된다. 도 3에 예시한 바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의복(200)은 주요 근육 중에 대흉근, 전거근, 복사근, 복직근, 승모근, 삼각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 및 완요골근의 위치에 맞춰 상기 생체 전극(220)을 2개씩 설치한 상의로 되어 있지만, 대퇴사두근, 전경골근 및 하퇴삼두근의 위치에 맞춰 상기 생체 전극(220)을 2개씩 설치한 하의로 할 수도 있고, 상의와 하의의 일체로 하거나, 주요 근육 중에 일부 근육의 위치에 상기 생체 전극(220)을 2개씩 설치할 수도 있고, 다른 근육의 위치에 상기 생체 전극(220)을 2개씩 추가 설치할 수도 있다.The bioelectrodes 2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distributed and installed on the clothing 210 so that at least two pairs are placed at each muscle position when the user wears the clothing 210 .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mart clothing 200 uses the bioelectrode 220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serratus anterior muscle, oblique muscle, rectus abdominis muscle, trapezius muscle, deltoid muscle, biceps brachii muscle, triceps brachii muscle, and brachioradialis muscle among major muscles. Although it is made of two tops,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bottom with two bioelectrodes 220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s of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 tibialis anterior muscle, and triceps lower leg muscle. Two bioelectrodes 220 may be installed at each muscle position, or two additional bioelectrodes 22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at positions of other muscles.

상기 전극 지지대(230)는 상기 근전도 측정기(10)의 커넥터(11)에 스냅 버튼 방식으로 연결할 커넥터 연결부재(231)를 일측 면에 구비하고, 상기 생체전극(220)의 단자(222)에 탈부착할 부착 부재(232)를 타측 면에 구비한 판재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전극 지지대(230)는 전극 패치(100)의 커넥터 연결부재(120)와 동일한 커넥터 연결부재(231)를 구비하여 전극 패치(100)와 동일하게 스냅 버튼 방식으로 상기 근전도 측정기(10)에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생체전극(220)의 단자(222)의 부착 부재(222a)와 탈부착 가능한 부착 부재(232)에 의해 상기 생체전극(220)에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근전도를 측정할 근위의 위치에 놓인 생체 전극(220)에 부착한 후 상기 근전도 측정기(10)를 연결 사용할 수 있게 한다.The electrode support 230 has a connector connection member 231 connected to the connector 11 of the EMG meter 10 in a snap button manner on one side thereof, and is detachable from the terminal 222 of the bioelectrode 220.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split attachment member 232 on the other side. That is, the electrode support 230 is provided with the same connector connecting member 231 as the connector connecting member 120 of the electrode patch 100, and the electromyography measuring instrument 10 by a snap button method in the same way as the electrode patch 100. , and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bioelectrode 220 by the attachment member 222a of the terminal 222 of the bioelectrode 220 and the detachable attachment member 232. After attaching to the bioelectrode 220 placed in position, the EMG 10 can be connected and used.

여기서, 상기 생체 전극(220)의 부착 부재(222a)와 상기 전극 지지대(230)의 부착 부재(232)는 벨크로 결합, 스냅 버튼 결합 및 자석 결합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벨크로 결합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전성 벨크로 후크(hook) 및 도전성 벨크로 루프(loop)로 구성할 수 있다. 스냅 버튼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전성 홈과 돌기로 구성할 수 있다. 자석 결합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접촉시킬 면의 극성의 상이한 도전성 자석으로 구성하거나, 아니면, 도전성 홈과 돌기로 끼움결합하고, 홈과 돌기의 주변을 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attachment member 222a of the bioelectrode 220 and the attachment member 232 of the electrode support 23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n any one of velcro coupling, snap button coupling, and magnet coupling. there is. When using the Velcro coupling method, it can be composed of a conductive Velcro hook and a conductive Velcro loop. In the case of using the snap button method, it can be composed of conductive grooves and protrusions. In the case of using the magnetic coupling method, it may be composed of conductive magnet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f the surfaces to be contacted, or may be fitted into conductive grooves and protrusions, and the periphery of the grooves and protrusions may be constituted by magnets.

이와 같이 구성한 스마트 의복(200)을 착용한 사용자는 각 근육을 전기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운동을 할 때마다 근육 부위에 설치된 생체 전극(220)에 전극 지지대(230)을 결합한 후 전극 지지대(230)에 근전도 측정기(10)를 연결하여,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Whenever a user wearing the smart clothing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an exercise capable of electrically activating each muscle, the electrode support 230 is coupled to the bioelectrode 220 installed on the muscle part, and then the electrode support 230 By connecting the EMG meter 10 to the EMG signal of the muscle can be detect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은 전기 신호적 블록 구성도이다.5 is an electrical signal block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근전도 측정기(10)는 2개 커넥터(11)를 통해 근전도 신호를 얻는 신호처리부(12)와, 검출한 근전도 신호를 상기 개인 단말(20)에게 무선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13)과, 근전도 신호를 얻기 위한 전력 및 무선 전송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전원부(14)를 내장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EMG meter 10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12 that obtains an EMG signal through two connectors 11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that wirelessly transmits the detected EMG signal to the personal terminal 20. (13) and a power supply unit 14 to supply power for obtaining EMG signals and power for wireless transmission.

상기 신호처리부(12)는 2개 커넥터(11)를 통해 검출되는 근전도 전위 신호를 증폭한 후 차동 연산하여 근전도 신호를 얻으며, 잡음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It is well known that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 amplifies the EMG potential signal detected through the two connectors 11 and performs differential operation to obtain the EMG signal, and may include various circuit configurations for suppressing noise. omit the explanation.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3)은 상기 신호처리부(12)에서 검출한 근전도 신호를 근거리 무선 전송하여 상기 개인 단말(20)에게 전달하며, 예를 들어 블투투스 모듈이나 와이파이 모듈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3 wirelessly transmits the EMG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2 and transmits it to the personal terminal 20.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as a Bluetooth module or a Wi-Fi module. It is not limiting.

상기 개인 단말(20)은 사용자 입력과 사용자에게 보여줄 정보의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2), 데이터를 저장하여 둘 수 있는 메모리(23), 상기 근전도 측정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모듈(24)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25)을 포함하는 주변장치와, 사용자 등록부(21a), 근전도 분석부(21b), 근육 상태 평가부(21c), 운동 추천부(21d), 운동 모니터링부(21e) 및 전문가 추천부(21f)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적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서(21)를 구비한다. 물론, 프로세서(21)가 주변장치를 활용하여 각 기능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할 전원부도 구비된다.The personal terminal 20 includes a user interface 22 for user input and output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o the user, a memory 23 capable of storing data,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MG meter 10. A peripheral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24 and a communication module 25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loud server 3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user registration unit 21a, an EMG analyzer 21b, and a muscle condition evaluation unit 21c, a processor 21 including programmatic function blocks including an exercise recommendation unit 21d, an exercise monitoring unit 21e, and an expert recommendation unit 21f. Of cours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processor 21 to perform each function using peripheral devices is also provided.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21)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MCU(Micro Controller Unit) 등으로 불리는 구성으로서, 상기 사용자 등록부(21a), 근전도 분석부(21b), 근육 상태 평가부(21c), 운동 추천부(21d), 운동 모니터링부(21e) 및 전문가 추천부(21f)의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읽어들여 상기 사용자 등록부(21a), 근전도 분석부(21b), 근육 상태 평가부(21c), 운동 추천부(21d), 운동 모니터링부(21e) 및 전문가 추천부(21f)를 기능 블록으로서 구비하여 연산, 데이터 처리, 결과 저장, 주변장치 제어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processor 21 is a component called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and the like, and the user registration unit 21a, the EMG analysis unit (21b), the user registration unit ( 21a), EMG analysis unit 21b, muscle condition evaluation unit 21c, exercise recommendation unit 21d, exercise monitoring unit 21e, and expert recommendation unit 21f are provided as functional blocks to perform calculation, data processing, and result Operations such as storage and peripheral device control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개인 단말(20)은 휴대하며 사용하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로 구성하여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으로 상기 근전도 측정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다.The personal terminal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figured as a smart phone or tablet PC that is carried and used and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MG meter 10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or Wi-Fi communication.

상기 사용자 등록부(21a)는 성별, 연령, 운동 선수 여부, 운동 선수인 경우에 운동 종목 및 헬스 트레이너 여부를 포함하는 개인 특성 정보와, 전문가 참여 의사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30)에 등록하여 계정을 생성한다. The user registration unit 21a transmits personal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age, whether or not an athlete, and in the case of an athlete whether or not an exercise event and fitness trainer, and user information including expert participation intention to the cloud server 30. Register to create an account.

즉, 상기 클라우드 서버(30)에 등록하는 사용자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들을 성별로 구분하며, 연령대별 그룹과, 운동 종목별 운동 선수 그룹 및 헬스 트레이너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운동 추천할 전문가 그룹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전문가 참여는 운동 선수 또는 헬스 트레이너로 등록한 사용자에게 허용하거나, 또는 스포츠 의학에 관련 자격을 갖고 있어 운동 추천에 대해 전문성 있는 사용자에게 관련 자격증 등록하는 등의 절차에 따라 허용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30 includes information capable of classifying users by gender, grouping by age group, athlete group by sport event, and fitness trainer group, as will be described later. ,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form an expert group to recommend exercise. Here, expert participation may be allowed to a user registered as an athlete or fitness trainer, or may be permitted according to a procedure such as registration of related qualifications to users who have relevant qualifications in sports medicine and thus have expertise in recommending exercises.

상기 근전도 분석부(21b)는 상기 근전도 측정기(10)에서 전송하는 근전도 신호에 대해 분석하여 근육 상태를 획득하고, 근육 상태를 근육별로 구분하도록 메모리(23)에 저장하고, 클라우드 서버(30)에도 제공한다. The EMG analyzer 21b analyzes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MG meter 10 to obtain a muscle state, stores the muscle state in the memory 23 so as to classify it by muscle, and stores it in the cloud server 30. to provide.

이를 위해서, 상기 근전도 분석부(21b)는 상기 근전도 측정기(10)를 착용한 신체 부위의 근육 명칭을 사용자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입력하게 하거나, 아니면, 사용자가 운동하는 종목에 따라 근육을 특정하고 상기 근전도 측정기(10)의 착용 부위를 안내함으로써, 상기 근전도 측정기(10)에서 전송하는 근전도 신호가 어느 근육의 근전도 신호인지 구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EMG analysis unit 21b allows the user to input the name of the muscle of the body part wearing the EMG meter 10 through the user interface 22, or specifies the muscle according to the event the user exercises By guiding the worn part of the EMG meter 10,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ich muscle the EMG signal is from which the EM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MG meter 10 is.

여기서, 상기 근육 상태는 최대 근력, 지구력 및 밸런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정 개수의 근육에 대한 근육 상태가 저장된 경우에 클라우드 서버(30)에 제공할 수도 있고, 새로운 근육의 근육 상태를 획득한 경우 또는 근육 상태가 변경된 경우에 클라우드 서버(30)에 제공할 수도 있다.Here, the muscle state may include maximum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balance, and may be provided to the cloud server 30 when muscle states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muscles are stored, or when a muscle state of a new muscle is acquired. Alternatively, when the muscle condition is changed, it may be provided to the cloud server 30 .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근력을 추정하고, 근육을 이완 수축하는 타이밍 및 횟수를 추정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근력 및 횟수(운동 시간)에 따라 최대 근력, 지구력 및 밸런스를 산정한다.Techniques for estimating muscle strength by analyzing EMG signals and estimating the timing and frequency of muscle relaxation and contraction are known technique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ximum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balance are calculated according to muscle strength and number of times (exercise time).

최대 근력(1RM : one Repetition Maximum)은 근력 운동을 완전한 운동 동작으로 1회만 수행할 수 있는 근력이지만, 최대 근력 이하의 근력으로 최대한 반복한 횟수에 따라 산정할 수도 있으므로, 근력 운동을 최대한 반복하도록 안내하며 측정한 근력 및 횟수에 따라 산정할 수 있다.Maximum muscle strength (1RM: one repetition maximum) is the muscle strength that can be performed only once as a complete exercise, but it can also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repetitions with less than the maximum muscle strength. It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muscle strength and number of times.

지구력은 근력 운동을 일정한 속도와 강도로 지속하도록 안내하며 측정한 근력과 횟수(또는 지속 시간)에 따라 산정할 수 있다.Endurance guides strength training to be continued at a constant speed and intensity, and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strength and number of times (or duration).

밸런수는 신체에 좌우 대칭적으로 존재하는 근육의 최대 근력 차이 또는 지구력 차이에 따라 산정할 수 있다. 최대 근력 차이와 지구력 차이를 모두 적용할 시에는 차이 값을 가중 평균하여 산정할 수도 있다.The number of balances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maximum strength or endurance of the muscles that exist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When both the maximum muscle strength difference and the endurance difference are applied, the weighted average of the difference values can be calculated.

상기 근육 상태 평가부(21c)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통계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근육 상태와 비교할 수 있게 보여주는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을 출력한다.The muscle state evaluation unit 21c receives statistical information from the cloud server 30 and outputs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s 300 , 310 , 320 , and 330 for comparison with the user's muscle state.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전달받는 상기 통계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가 사용자들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그룹핑한 후, 각각의 사용자 그룹에 대해 생성한 근육 상태의 통계이다. 이러한 사용자 그룹별 통계 정보는 근육별로 세분화하여서, 근육별로 비교할 수 있게 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tatistica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loud server 30 is statistics of muscle conditions generated for each user group after the cloud server 30 groups users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user group is subdivided for each muscle group so that it can be compared for each muscle group.

상기 근육 상태 평가부(21c)는 사용자 그룹별 통계 정보 중에 프로그램적으로 미리 정해둔 기본 사용자 그룹의 통계 정보와 비교하는 기본 화면을 먼저 출력하고, 기본 화면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그룹별 통계 정보와 비교하는 상세 화면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The muscle state evaluation unit 21c first outputs a basic screen for comparison with statistical information of a basic user group pre-determined programmatically among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user group, and statistical information for various user groups according to user selection on the basic screen. By switching to a detailed screen to be compared with, user convenience can be promoted.

여기서, 기본 화면에서 비교 출력하는 기본 사용자 그룹은 사용자의 개인 특성에 부합하는 사용자 그룹 중에 미리 정해 둔 것으로 하고,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그룹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하며, 상세 화면에서 비교 출력하는 사용자 그룹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여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basic user group for comparison output on the basic screen is pre-determined among user groups that match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llows the user to change to another user group, and the user group for comparison output on the detailed screen is also determined by the user. By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a user-customized service.

상세 화면에서는 근육별로 세분화하여서 사용자 그룹과 차이나는 근육을 알 수 있게 한다.In the detailed screen, it is subdivided by muscle so that the muscles that differ from the user group can be identified.

상기 근육 상태 평가부(21c)에 의해 출력하는 구체적인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며 설명한다.Specific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s 300, 310, 320, and 330 output by the muscle condition evaluation unit 21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도 6은 상기 근육 상태 평가부(21c)에 의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2)에 출력한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 중에 기본 화면(300)의 구성도이다.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asic screen 300 among the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s 300, 310, 320, and 330 output to the user interface 22 by the muscle condition evaluation unit 21c.

도 7은 도 6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화면 전환하여 출력한 상세 화면(310, 320, 330)의 구성도이다.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detailed screens 310, 320, and 330 outputted after screen conversion according to user selection in FIG. 6. Referring to FIG.

도 6의 기본 화면(300)을 참조하면, 상기 근육 상태 평가부(21c)는 근육 상태를 최대 근력, 지구력 및 밸런스로 구분하여 최대 근력 및 지구력에 대해서 사용자의 근육 상태를 기본 사용자 그룹(사용자의 성별과 연령에 부합하는 그룹)의 근육 상태와 개별적으로 비교하여 어느 수준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상대평가 안내문(301, 303)과, 밸런스에 대해서 사용자의 근육 상태를 절대 평가한 절대평가 안내문(305)과, 근육 상태별로 평가한 결과에 따라 종합평가한 종합평가 안내문(307)과, 각각의 안내문(301. 303, 305, 307)의 내용을 상세하게 볼 수 있는 버튼(302, 304, 306, 308)을 출력된다.Referring to the basic screen 300 of FIG. 6 , the muscle condition evaluation unit 21c divides the muscle condition into maximum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balance, and determines the user's muscle condition for the maximum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in a basic user group (user's Relative evaluation guideline (301, 303) that informs the muscle condition of the group corresponding to gender and age) and which level it is compared to individually, and absolute evaluation guideline (305) that absolutely evaluates the user's muscle condition for balance and buttons (302, 304, 306, 308) for viewing in detail the contents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guide (307) and each guide (301, 303, 305, 307), which were comprehensively evaluat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for each muscle condition. ) is output.

여기서, 기본 사용자 그룹은 성별 및 연령대별로 선별한 사용자 그룹 중에 사용자가 속한 그룹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어서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40대 남성' 그룹과 비교한 상대평가 안내문(301, 303)을 출력한다. 도면을 첨부하진 아니하였지만, 클라우드 서버(30)에서 선정한 다양한 사용자 그룹의 목록을 출력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그룹을 선택하여 변경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basic user group is preset as a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among user groups selected by gender and age group, and as illustrated in FIG. do. Although a drawing is not attached, after outputting a list of various user groups selected by the cloud server 30, the user can select and change a desired group.

근육 상태 중에 최대 근력 및 지구력에 대한 상대평가 안내문(301, 303)은 도 7(a, b)의 상세 화면(310, 320)으로 보여주는 근육별 차이값에 대한 종합 평가에 따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육별 차이값의 평균치에 따라 어느 수준인지를 안내할 수 있다. Relative evaluation guides 301 and 303 for maximum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among muscle conditions can be created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difference values for each muscle shown in the detailed screens 310 and 320 of FIG. 7 (a, b).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uide which level it is according to the average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for each muscle.

도 7(a, b)의 상세 화면(310, 320)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좌 이두근', '우 이두근' 및 '좌 승모근'에 대해서 사용자 그룹과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지만 화면 스크롤하여 다른 근육의 비교 결과도 보여준다. 예시적으로, 사용자 그룹의 통계 정보는 사용자 '전체'의 평균치(312, 322)와, 사용자가 속한 '40대'의 평균치(313, 323)와, 사용자가 속한 '40대'의 '상위 10%'의 평균치(314, 324)를 사용자의 측정치(311, 321)와 함께 보여줌으로서 사용자가 비교하며 볼 수 있게 하였다.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사용자 그룹의 통계와 차이나는 값을 출력할 수도 있고, 이때의 사용자 그룹도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하게 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the detailed screens 310 and 320 of FIG. 7 (a, b), the results of comparison with the user group for 'left biceps', 'right biceps' and 'left trapezius' are exemplarily shown, but by scrolling the screen Comparative results of other muscles are also shown. Exemplarily,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user group is the average value (312, 322) of 'all' users, the average value (313, 323) of '40's' to which the user belongs, and the 'top 10' of '40' to which the user belongs. By showing the average values (314, 324) of '%' together with the user's measured values (311, 321), the user can compare and view them. As an example, a value different from the statistics of the user group may be output, and the user group may also be arbitrarily changed by the user.

근육 상태 중에 밸런스는 인체의 좌우에 대칭적으로 존재하는 근육의 근력 또는 지구력의 차이를 나타내므로, 그 차이가 없는 것이 좋다. 이에,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 7(c)에서 보여준 사용자의 근육별 밸런스의 평균치를 절대평가 안내문(305)으로 보여줄 수 있다. Among the muscle conditions, balance represents the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or endurance of the muscles that exist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dy, so it is good that there is no such difference. 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6 , the average value of the user's muscle-specific balance shown in FIG. 7 (c) can be displayed as an absolute evaluation guide 305 .

도 7(c)의 상세 화면(330)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이두근', '삼두근', '승모근', '대퇴근' 의 좌우 근육의 측정치를 막대 그래프(331)로 보여주고, 좌우 근육의 측정치 차이를 백분율(332)로 보여주었지만, 화면 스크롤에 따라 다른 근육의 밸런스도 보여줄 수 있다. 도 6에서 밸런스에 대한 절대평가 안내문(305)은 근육 종류별 밸런스 오차의 평균치를 알려줄 수 있다.Referring to the detailed screen 330 of FIG. 7(c), illustratively, measurement values of the left and right muscles of 'biceps', 'triceps', 'trapezius', and 'trapezius' are shown in a bar graph 331, and the left and right muscles Although the difference in measured values is shown as a percentage (332), the balance of other muscles can also be shown according to the scrolling of the screen. In FIG. 6 , the absolute evaluation guide 305 for balance may inform the average value of balance errors for each muscle type.

종합평가 안내문(307)은 최대근력, 지구력 및 밸런스를 근육 상태의 평가 항목으로 하여 상대평가 안내문(301, 303)과 절대평가 안내문(305)으로 출력한 평가 결과를 종합한 내용을 담는다. 종합평가 안내문(307)에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목표 근육 상태 중에 기본 사용자 그룹에 대응되는 목표 근육 상태를 운동 목표로 하여 목표 근육 상태에 도달하기 위한 추천 운동을 담을 수 있다. 종합평가 안내문(307)에 딸린 버튼(308)을 클릭하면, 하기의 도 9에서 출력하는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추천 운동(426) 및 매칭율(427)을 보여주게 할 수 있다.The comprehensive evaluation guide 307 contains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results output by the relative evaluation guides 301 and 303 and the absolute evaluation guide 305 with maximum muscle strength, endurance, and balance as evaluation items for muscle conditions.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guide 307 may include a recommended exercise for reaching a target muscle state by setting a target muscle state corresponding to a basic user group as an exercise goal among target muscle states described below. When the button 308 attached to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guide 307 is clicked, as shown in the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output in FIG. 9 below, the recommended exercise 426 and matching rate 427 can be displayed. there is.

이와 같이 사용자 근육 상태에 대해 다양한 사용자 그룹의 근육 상태와 비교하며 상대 평가한 결과의 화면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근육 상태가 어느 수준에 있는지를 사용자별로 각기 다른 관심 그룹과 비교하며 스스로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자신의 근육 상태 수준에 따라 근력운동 목표도 명료하게 선정할 수 있다. In this way, by comparing the user's muscle condition with that of various user groups and showing the screen of the result of relative evaluation,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the level of his or her muscle condition by comparing it with different interest groups for each user. You can also clearly select the goal of strength training according to your muscle condition level.

상기 운동 추천부(21d)는 사용자별 관심 사항에 따라 근력운목 목표를 선정하게 하고, 선정한 근력운동 목표에 부합하는 세부적인 상대평가를 보여주어 근력 강화할 근육의 상태를 파악하게 하며, 매칭율과 함께 제시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추천 운동 중에 원하는 추천 운동을 사용자가 선택할 권한을 준다. The exercise recommendation unit 21d selects a muscle strength exercise goal according to each user's interests, shows a detailed relative evalu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uscle strength exercise goal, and identifies the state of muscles to be strengthened, along with a matching rate. Authorizes the user to select a desired recommended exercise from among at least one suggested exercise.

이를 위한 상기 운동 추천부(21d)는 서로 다른 복수의 근력운동 목표와, 근력운동 목표에 부합하는 근육별 목표 근육 상태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추천 운동과, 추천 운동별 매칭율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로부터 제공받아, 목표 지향 추천 화면을 출력한다.For this purpose, the exercise recommendation unit 21d transmits a plurality of different strength exercise goals, a target muscle state for each muscle that meets the strength exercise target, at least one recommended exercise, and a matching rate for each recommended exercise to the cloud server ( 30), and outputs a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도 8은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에서 드롭다운(410)으로 근력운동 목표를 선정하게 한 화면 구성도이다.8 is a screen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a strength exercise target is selected through a drop-down 410 on the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도 9는 근력운동 목표를 선정한 후의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의 구성도이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after selecting a strength exercise target.

도 10은 도 9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화면 전환하여 출력한 상세 화면(430, 440)의 구성도이다.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detailed screens 430 and 440 outputted after screen conversion according to user selection in FIG. 9 .

상기 운동 추천부(21d)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에 마련한 드롭다운(410)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복수의 근력운동 목표를 제시한다. 이때 제시한 근력운동 목표는 각각 세부화한 목표(412, 414)를 포함하는 전문 선수 목표(411)와 일반인 목표(413)로 분류된다. 여기서, 전문 선수 목표(411)의 세부 목표(412)는 '골프 프로 선수', '축구 선수', '마라톤 선수', '농구 선수', '수영 선수' 및 '헬스 트레이너'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30)에 등록하여 계정을 생성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반인 목표(413)의 세부 목표(414)는 성별 상위와 연령대 상위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성별 평균이나 연령대 평균을 포함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8 , the exercise recommendation unit 21d presents a plurality of different strength exercise goals using a drop-down 410 provided on the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 At this time, the proposed strength exercise goals are classified into professional athlete goals 411 and general people goals 413 including detailed goals 412 and 414, respectively. Here, the detailed goals 412 of the professional player goal 411 are 'golf pro player', 'soccer player', 'marathon player', 'basketball player', 'swimmer' and 'health trainer', but this There is no need to limit it,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user information of users who have created accounts by registering in the cloud server 30 . Although the detailed target 414 of the target 413 for the general public consists of a difference in gender and a difference in age,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including an average of gender or an average of age.

예를 들어, 전문 선수 목표(411) 중에 '골프 프로 선수'를 선택하면, 골프 프로 선수의 근육 상태를 목표로 하고, 일반인 목표(413) 중에 '연령 상위 10%'를 선택하면, 사용자와 성별이 같으면서 동일 연령대의 상위 10%의 근육 상태를 목표로 한다. For example, if 'professional golf player' is selected from the professional player goal 411, the muscle condition of a professional golf player is selected as a goal, and if 'top 10% of age' is selected from the general goal 413, the user and gender While this is the same, we aim for the muscle condition of the top 10% of the same age group.

드롭다운(410)에서 사용자가 근력운동 목표를 선택하면, 도 9에 예시한 바와같이 근력운동 목표에 부합하는 내용을 표출한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을 보여준다.When the user selects a strength exercise goal from the drop-down 410, as illustrated in FIG. 9, a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display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goal is displayed.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을 참조하면, 근력운동 목표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과 비교하여 근육 상태의 세부 항목별로 어느 수준에 있는지를 알려주는 상대평가 안내문(421, 423)과, 각각의 상대평가 안내문(421, 423)의 내용을 상세하게 볼 수 있는 버튼(422, 424)과, 권장운동 안내문(425)과, 복수의 추천운동(426)과, 각각의 추천운동(426)에 대한 매칭율(427)을 출력한다.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 중에 기본 화면(300)과 비교하면, 근력운동 목표에 부합하는 사용자 그룹을 비교 대상으로 한정하여 상대평가 안내문(421, 423)을 출력하고, 권장 운동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이다. 밸런스에 대한 절대평가 안내문은 보여주지 하니하였지만, 보여줄 수도 있다.Referring to the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relative evaluation guides 421 and 423 that inform you of which level you are at for each detailed item of muscle condition compared to the user group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goal, and each relative evaluation guide The matching rate for the buttons 422 and 424 for viewing the contents of 421 and 423 in detail, the recommended exercise guide 425, a plurality of recommended exercises 426, and each recommended exercise 426 ( 427) is output. Compared to the basic screen 300 among the strength comparison screens 300, 310, 320, and 330, relative evaluation guides 421 and 423 are output by limiting the user group that meets the strength exercise goal as the comparison target, and recommended exercise is that it specifically presents The absolute evaluation guide for balance was not shown, but it can be show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근육 상태 중에 비교할 세부 항목은 최대근력과 지구력이므로, 상세 버튼(422, 424)을 클릭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육 종류별 최대근력과 지구력에 대해 사용자 측정값(432, 442), 목표 근육 상태(433, 443), 및 사용자 측정값(432, 442)과 목표 근육 상태(433, 443)의 차이(434, 444)를 보여준다. 근육 종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순서를 정하여 출력하게 할 정렬 버튼(431, 441)이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차이(434, 444)가 큰 순서와 작은 순서로 정렬할 수 있게 하여서, 사용자 근육 상태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 중에 상세 화면(310, 320)과 비교하면, 비교 대상의 사용자 그룹을 근력운동 목표에 따라 한정하였다는 점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ailed items to be compared among muscle conditions are maximum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when the detailed buttons 422 and 424 are clicked, as shown in FIG. 10, the user's measurement values 432 , 442), the target muscle state (433, 443), and the difference (434, 444) between the user measurement value (432, 442) and the target muscle state (433, 443). The muscle types are provided with sorting buttons 431 and 441 to output in order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Easy to figure out. Compared with the detail screens 310 and 320 among the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s 300, 310, 320, and 330, the comparison target user group is limi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goal.

복수의 추천 운동(426)은 매칭율(427)의 크기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서, 가능하면 매칭율(427)이 큰 추천 운동(426)을 권장하지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두었다. 여기서, 매칭율(427)은 추천 운동(426)이 어느 정도 근력운동 목표에 부합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근력운동 목표에 따라 정한 목표 근육 상태에 도달하는데 기여하는 정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ecommended exercises 426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size order of the matching rate 427, so that the recommended exercise 426 with the largest matching rate 427 is recommended if possible, but there is room for the user to select. Here, the matching rate 427 is a value indicating how much the recommended exercise 426 meets the strength exercise goal, and can be said to mean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reaching the target muscle stat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goal.

여기서, 추천 운동(426)은 특정 신체 부위 또는 근육을 강화하라는 내용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선택할 시에 근력 강화할 수 있는 운동 종목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도 있다.Here, the recommended exercise 426 is displayed as content to strengthen a specific body part or muscle, but may also specifically show an exercise event that can be strengthened when the user selects it.

상기 운동 모니터링부(21e)는 상기 운동 추천부(21d)에 의한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에서 어느 하나의 추천 운동(426)을 선택한 후 운동할 시에, 상기 근전도 측정기(10)에서 전달하는 근전도 신호를 분석하여 근육 상태를 실시간 획득하고, 근력운동 목표에 따른 목표 근육 상태와 비교하여 진척도를 화면으로 보여준다. 물론, 근육별로 세분화하여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진척도는 목표 근육 상태와 현재 사용자 근육 상태의 차이를 실시간으로 비교하는 그래프로 할 수 있다.The exercise monitoring unit 21e selects one recommended exercise 426 from the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by the exercise recommendation unit 21d and transmits information from the EMG meter 10 when exercising. The muscle condition is obtained in real time by analyzing the EMG signal, and the progress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comparing it with the target muscle condition accor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goal. Of course, it can be shown subdivided by muscle. Here, the degree of progress may be a graph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muscle state and the current user muscle state in real time.

한편, 근육 상태 평가부(21c)에 의해서 근육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운동 추천부(21d)에 의해서 적합한 운동을 추천받기 위해서는 주요 근육 모두에 대해 사용자의 근육 상태를 파악하여야 한다. Meanwhile, in order to accurately evaluate the muscle condition by the muscle condition evaluation unit 21c and to recommend a suitable exercise by the exercise recommendation unit 21d, the user's muscle condition must be grasped for all major muscles.

이에, 근육 상태 평가부(21c) 및 운동 추천부(21d)를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근육 상태를 파악한 근육의 개수 또는 근육 종류가 평가 또는 추천하는 데 충분하지 아니할 경우에, 추가로 근육 상태를 파악할 근육을 안내하여, 해당 근육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근육 상태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muscle state evaluation unit 21c and the exercise recommendation unit 21d, when the number or type of muscles whose muscle state is determined is not sufficient for evaluation or recommendation, the muscle state is additionally determined. By guiding a muscle, an EMG signal of the corresponding muscle may be detected to determine a muscle state.

상기 전문가 추천부(21f)는 사용자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30)에 등록하여 계정을 생성한 사용자들 중에, 운동 선수, 헬스 트레이너 또는 스포츠 의학 관련 유자격자로 등록한 사용자들을 전문가 그룹으로 분류하여 운동 추천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The expert recommendation unit 21f categorizes users registered as athletes, fitness trainers, or sports medicine-related qualifications among users who have created an account by registering user information in the cloud server 30 as an expert group, and makes exercise recommendations. enable them to participate

운동 추천하는 방식은 근력운동 목표별로 추천할 운동을 입력하게 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개인 맞춤형으로 운동 추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별 근육 상태를 열람한 후 각각의 사용자의 근육 상태에 따라 근력운동 목표별로 추천 운동을 개별 입력하게 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The exercise recommend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by inputting an exercise to be recommended for each strength exercise target. In order to recommend an exercise in a personalized manner, a user-specific muscle condition may be viewed, and then a recommended exercise may be individually input for each muscle strength exercise target according to each user's muscle condition.

추천할 운동을 입력할 시에는 근력운동 목표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를 나타내는 적합도를 함께 입력하게 할 수 있다.When inputting an exercise to be recommended, a degree of fitness indicating how much it meets the strength exercise target may be input together.

근력운동 목표별로 입력한 추천 운동 또는 적합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30)에 등록된다.The recommended exercise or fitness input for each strength exercise goal is registered in the cloud server 30 .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부(36)와, 개인 단말(20)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게 하여 계정 생성하고 사용자 정보에 따라 그룹핑하는 유저 관리부(31)와, 개인 단말(20)을 통해 사용자별로 각 근육의 근육 상태를 수집하고 전문가가 등록한 운동 추천 사항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부(36)에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 수집부(32)와, 다양한 사용자 그룹별로 근육 상태의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36)에 저장하는 통계부(33)와, 전문가가 등록한 운동 추천에 대해 평가하여 근력운동 목표별로 추천 운동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추천 운동 평가부(34)와, 사용자 맞춤형 통계정보 및 사용자 맞춤형 운동 추천 사항을 각 개인 단말(20)에 전달하는 사용자 지원부(35)를 포함한다.The cloud server 30 registers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database unit 36 and the personal terminal 20 to create an account and group the us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manager 31 and the personal terminal 20. A user data collection unit 32 that collects the muscle condition of each muscle for each user and also collects exercise recommendations registered by experts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unit 36; Statistical unit 33 that stores in 36, recommended exercise evaluation unit 34 that evaluates exercise recommendations registered by experts and prioritizes recommended exercises for each strength exercise goal, and user-customized statistical information and user-customized It includes a user support unit 35 that transmits exercise recommendations to each personal terminal 20 .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근력 수준의 평가 기준을 스스로 갱신하고, 추천받는 운동에 대해서도 최적의 운동을 선별하여, 사용자의 근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한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목표 및 맞춤형 운동을 제시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운동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loud server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news the evaluation criteria of the muscle strength level by itself, selects the optimal exercise for the recommended exercise, evaluates the user's muscle strength level objectively, and then sets a goal customiz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xercise guide service that presents a customized exercise.

상기 유저 관리부(31)는 계정 생성한 사용자들을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개인 특성에 따라 그룹핑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36)에 저장한다. 즉, 성별, 연령 및 운동 선수 여부에 따라 추출한 사용자들의 그룹 정보를 저장한다. 운동 선수의 경우는 운동 종목에 따라 세분화하여 그룹핑하고, 헬스 트레이너도 별도의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물론, 남녀의 근육 상태는 차이가 있으므로, 연령대별 그룹, 운동 종목별 운동 선수 그룹 및 헬스 트레이너 그룹은 성별로 그룹핑한다. 성별만으로 분류한 그룹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의 그룹은 운동 선수 및 헬스 트레이너를 제외할 수도 있다.The user management unit 31 stores in the database unit 36 information obtained by grouping users who have created account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ed in user information. That is, group information of users extracted according to gender, age, and whether they are athletes is stored. Athletes may be subdivided and grouped according to exercise events, and fitness trainers may also be grouped into separate groups. Of course, since there are differences in muscle conditions between men and women, groups by age group, athlete groups by sport event, and fitness trainer groups are grouped by gender. A group classified only by gender can also be used, and in this case, the group may exclude athletes and fitness trainers.

상기 유저 관리부(31)는 이와 같이 다양한 사용자 그룹에 대해 각각 사용자 그룹의 특징에 따라 근력운동 목표의 명칭을 명명하여 할당한다. 즉, 도 8의 드롭다운(410)으로 보여준 예시와 같이 골프 프로 선수, 축구 선수, 마라톤 선수, 농구 선수, 수영 선수, 헬스 트레이너 등으로 근력운동 목표의 명칭을 할당할 수 있다.The user management unit 31 names and assigns the names of strength exercise targets to various user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group. That is, as 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opdown 410 of FIG. 8 , names of strength training goals may be assigned to professional golf players, soccer players, marathon players, basketball players, swimmers, fitness trainers, and the like.

사용자들 중에 운동 선수 및 헬스 트레이너를 제외한 일반인 그룹에 대해서는 기설정한 그룹 정보를 사용하고, 기설정한 근력운동 목표의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성별 또는 연령대별 상위 그룹에 대해 근력운동 목표의 명칭을 부여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물론, 성별 평균 또는 연령대별 평균을 근력운동 목표의 명칭을 사용할 수도 있다.Pre-set group information and the name of a pre-set strength training target may be used for a group of ordinary people excluding athletes and fitness trainers among users.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8 , the name of the strength exercise target is assigned to the upper group by gender or age group and used. Of course, the gender average or the average by age group may be used as the name of the strength exercise target.

상기 유저 관리부(31)는 전문가 참여 의사가 있는 사용자들에 대해서, 전문가 그룹으로 등록할 시에 전문가임을 입증할 수 있는 관련 서류를 업로드하게 하는 등의 검증 절차를 수행하게 하여, 관련 서류에 따라 전문가 그룹에 포함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The user management unit 31 allows users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experts to perform verification procedures, such as uploading relevant documents that can prove that they are experts when registering as experts.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include them in a group.

상기 유저 데이터 수집부(32)는 사용자별 개인 단말(20)에서 전송하는 근육별 근육 상태를 데이터베이스부(36)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근육 상태 중에 최대 근력 및 근 지구력을 상대 평가할 항목으로 하고, 밸런스는 사용자 개인에 대해 절대 평가할 항목으로 하므로, 최대 근력 및 근 지구력만 수집 저장하여도 좋지만, 밸런스도 운동 추천할 시에 고려할 수 있으므로, 수집 저장한다. 물론, 밸런스에 대해서 상대 평가할 항목으로 취급하여도 좋다.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2 stores muscle conditions for each muscle transmitted from the personal terminal 20 for each user in the database unit 36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ximum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are items to be evaluated relative to each other during muscle conditions, and balance is an item to be evaluated absolutely for each user. You can consider it when you do, so collect and save. Of course, balance may be treated as an item to be evaluated relative to each other.

상기 유저 데이터 수집부(32)는 전문가 집단이 개인 단말(20)을 통해 근력운동 목표별로 추천한 운동을 데이터베이스부(36)에 저장한다. 여기서, 전문가 집단은 근전도 측정기(10) 및 개인 단말(20)을 사용하는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별도의 전문가 단말을 이용하여 운동을 추천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2 stores in the database unit 36 an exercise recommended by a group of experts for each muscular strength exercise target through the personal terminal 20 . Here, even if the expert group is not an expert using the EMG measuring device 10 and the personal terminal 20,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n exercise using a separate expert terminal.

전문가가 운동을 추천할 시에는 근력운동 목표에 도달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적합도도 추천 운동과 함께 입력하여, 상기 유저 데이터 수집부(32)에서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전문가가 적합도와 매칭시킨 복수의 운동을 추천할 수 있게 하여서, 사용자가 선택할 운동 종목의 수를 많게 할 수도 있다.When the expert recommends an exercise, the degree of fitness indicating the degree of help in reaching the muscular strength exercise goal may be input together with the recommended exercise, and stored in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2 . By allowing the expert to recommend a plurality of exercises matched with the degree of fitness, the number of sports items to be selected by the user may be increased.

사용자별 근육 상태에 따라 적합한 운동을 추천하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처방을 허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별 각 근육에 대한 근육 상태를 무기명으로 열람할 수 있게 한 후, 각 사용자별로 각 근력운동 목표에 부합하는 운동을 추천하게 한다. 아니면, 사용자별로 수집한 근육별 근육 상태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각 유형을 대표하는 근육별 근육 상태를 선별하고, 선별한 근육별 근육 상태에서 각 근력운동 목표에 도달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운동을 추천하게 한다. A user-customized exercise prescription that recommends an appropriate exercise according to each user's muscle condition may be allowed. To this end, the muscle condition for each muscle of each user can be browsed anonymously, and then an exercise that meets each muscle strength exercise goal is recommended for each user. Alternatively, the muscle conditions of each muscle group collected by user are classified by type, and the muscle conditions of each muscle group representing each type are selected. let it

상기 통계부(33)는 사용자 그룹의 근육 상태에 대해 근육별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36)에 저장한다. The statistical unit 33 generates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muscle with respect to the muscle condition of the user group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unit 36 .

그룹별 통계정보는 사용자 그룹 내의 사용자들의 근육 상태를 근육별로 분류하여 근육별 확률분포에 따라 생성하여, 각 사용자 그룹에 대해 근육별로 세분화한 통계정보로서, 상위 10% 값, 상위 30% 값, 그룹 평균값 등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성별로 구분한 각 연령대별 그룹에 대해서, 상위 10% 값, 상위 30% 값 및 그룹 평균값을 근육별로 산정하여 그룹 내의 근육별 통계정보로 할 수 있고, 운동 종목별 운동 선수 그룹 및 헬스 트레이너 그룹에 대해서, 평균값을 균육별로 산정하여 그룹 내의 근육별 통계정보로 할 수 있다.Statistical information by group is statistical information subdivided by muscle for each user group by generating the muscle conditions of users in the user group by muscle and generating them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by muscle. average value, etc. As a specific example, for each age group classified by gender, the top 10% value, the top 30% value,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group are calculated for each muscle to be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muscle within the group, and the athlete group and For the fitness trainer group, an average value may be calculated for each muscle mass to be used as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muscle within the group.

다시 말해서, 상대평가할 근육 상태는 최대 근력과 근 지구력을 세부 항목으로 하므로, 각 그룹의 통계정보는 각 근육에 대해 최대 근력의 통계정보와 근 지구력의 통계정보를 포함한다.In other words, since the muscle condition to be relative evaluated includes maximum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as detailed items,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each group includes statistical information of maximum muscular strength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f muscular endurance for each muscle.

그런데, 운동 선수는 운동 종목에 따라 상이한 특정 근육 상태가 일반인보다 좋으므로, 운동 종목별 운동 선수 그룹에 대해서는 운동 종목에 따라 특정한 근육의 통계정보만 생성할 수도 있다.However, since athletes have a better specific muscle state than ordinary people, which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exercise event, only statistical information on a specific muscle may be generated for the athlete group for each exercise event.

또한, 상기 통계부(33)는 근력운동 목표별로 목표 근육 상태를 선정하여, 데이터베이스부(36)에 저장한다. 물론, 목표 근육 상태도 근육별로 세분화한다.In addition, the statistical unit 33 selects target muscle states for each strength exercise goal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unit 36 . Of course, the target muscle condition is also subdivided by muscle.

목표 근육 상태는 근력운동 목표에 대응되는 그룹의 통계정보에 따라 선정하며, 예를 들어 해당 그룹의 근육 상태의 평균치로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운동 종목별 근력운동 목표에 대해서는 각 운동 종목별 운동 선수 그룹의 근육 상태의 통계정보에 따라 목표 근육 상태를 선정할 수 있고, 일반인 그룹을 세분화한 각 그룹에 대해서도 해당 그룹의 근육 상태의 통계정보에 따라 목표 근육 상태를 선정한다. The target muscle stat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group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target, and may be, for example, the average value of the muscle state of the corresponding group. As a specific embodiment, as illustrated in FIG. 8 , for the strength exercise target for each exercise event, the target muscle stat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muscle condition of the athlete group for each exercise event, and each group subdivided into the general public group Also, the target muscle stat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muscle state of the corresponding group.

한편, 목표 근육 상태가 상기에서 언급한 그룹별 통계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그룹별 통계정보에서 추출할 수도 있다. 하지만, 목표 근육 상태는 근력운동 목표로 하는 근육 상태이므로, 근력운동 목표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 내에서 하위 근육 상태의 값 또는 상위 근육 상태의 값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제외하여서, 너무 낮게 책정되거나 너무 높게 책정되지 않게 하는 등의 교정을 할 수 있다. 이에, 목표 근육 상태는 별도로 산정하게 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the target muscle state may be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group, it may be extracted from the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group. However, since the target muscle state is a muscle state targeted for strength training, the value of the lower muscle state or the upper muscle state value within the user group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target is exclud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so it is set too low or too low. Corrections such as not being set too high can be made. Accordingly, the target muscle state may be calculated separately.

상기 추천 운동 평가부(34)는 전문가 그룹에 의해 추천받은 근력운동 목포별 추천 운동을 평가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운동의 우선 순위를 정한다.The recommended exercise evaluator 34 evaluates the recommended exercise for each muscle strength exercise goal recommended by the expert group, and determines the priority of the exercise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추천할 운동의 우선 순위는 전문가 그룹이 추천한 운동에 대해 매칭율을 산정하여, 매칭율의 순위(크기)에 따라 정할 수 있다.The priority of the exercise to be recommend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nking (size) of the matching rate by calculating the matching rate for the exercise recommended by the expert group.

여기서, 매칭율은 운동별로 추천한 횟수로 할 수 있다. 즉, 전문가 그룹에 속한 각각의 전문가가 추천하는 운동은 전문가의 추천 성향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추천한 운동에 대해 추천 빈도를 산정하여, 전문가별로 추천 성향이 상이하더라도 추천 빈도가 큰 운동을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게 한다.Here, the matching rate may be the number of times recommended for each exercise. That is, since the exercises recommended by each expert in the expert group may differ according to the expert's recommendation tendency, the frequency of recommendation for the recommended exercise is calculated, and even if the recommendation tendency is different for each expert, the exercise with a high recommendation frequency is given priority. to make recommendations to users.

아니면, 매칭율은 전문가 그룹에 속한 각각의 전문가가 추천 운동에 매칭시켜 등록한 적합도의 분포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즉, 전문가는 추천한 운동이 근력운동 목표에 도달하는 데 어느 정도 적합하는 지를 경험이나 근력운동에 대한 지식에 따라 평가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가 입력하여 등록한 적합도에 따라 매칭율을 산정할 수 있다. 이때의 매칭율은 적합도의 확률분포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전문가가 등록한 적합도로 할 수 있다.Otherwise, the matching rat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fitness registered by each expert belonging to the expert group by matching with the recommended exercise. That is, since the expert can evaluate how suitable the recommended exercise is to reach the strength exercise goal based on experience or knowledge of the strength exercise, the matching rate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itness level input and registered by the expert. At this time, the matching rate may be the fitness registered by relatively many experts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fitness.

한편, 상기 유저 데이터 수집부(32)에서 사용자별 근육 상태를 열람한 후 사용자별 근육 상태에 따라 운동을 추천한 경우에는, 사용자 개개인에 대해 근력운동별로 추천한 운동이 저장되어 있다. 이에, 상기 추천 운동 평가부(34)는 사용자 개개인에 대해 추천한 운동을 매칭율 순위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사용자 개인의 계정에 매칭되게 저장하고, 하기에서 개인 단말(20)을 통해 운동 추천할 시에 사용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ata collection unit 32 reads the muscle condition of each user and then recommends an exercise according to the muscle condition of each user, the recommended exercise for each muscular strength exercise for each user is stored. Accordingly, the recommended exercise evaluation unit 34 prioritizes the recommended exercise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e ranking and stores the exercise as matched to the user's individual account, and recommends the exercise through the personal terminal 20 in the following. can be used at the time.

상기 사용자 지원부(35)는 개인 단말(20)에서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을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그룹별 통계정보를 개인 단말(20)에 전달하여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을 출력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전달하는 통계정보는 근육 상태 중에 상대평가 할 최대 근력 및 지구력에 대해 근육별로 세분화한 통계정보로 하므로, 최대 근력 및 지구력에 대해 각각 근육별로 상대평가 할 수 있게 한다. The user support unit 35 supports the personal terminal 20 to output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s 300 , 310 , 320 , and 330 . To this end,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user group is transmitted to the personal terminal 20 so that the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s 300, 310, 320, and 330 can be output. Statistical information transmitted at this time is statistical information subdivided by muscle for the maximum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to be relative evaluated during the muscle condition, so that the maximum muscular strength and endurance can be relative evaluated for each muscle.

한편, 개인 단말(20) 사용자의 개인 특성에 부합하는 사용자 그룹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그룹의 통계정보만 선별하여 개인 단말(20)에 전달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근육 상태 평가부(21c)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개인 특성에 부합하는 기본 사용자 그룹의 통계정보 및 사용자가 관심을 두고 선택한 사용자 그룹의 통계정보를 선별하여, 기본 화면(300)과 상세 화면(310, 320, 330)에 출력할 통계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only statistical information of a user group match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of the personal terminal 20 or a user group selected by the user may be se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personal terminal 20 . That is, as described for the muscle state evaluation unit 21c, statistical information of a basic user group that meets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f a user group selected with interest by the user are selected, and the basic screen 300 and Statistical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etailed screens 310, 320, and 330 may be delivered.

또한, 상기 사용자 지원부(35)는 개인 단말(20)에서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 430, 440)을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그룹별로 할당한 근력운동 목표의 리스트를 개인 단말(2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근력운동 목표를 선택할 권한을 주고, 개인 단말(2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근력운동 목표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의 통계정보에 따라 선정하였던 근육별 목표 근육 상태와, 근력운동 목표에 부합하는 추천 운동과, 추천 운동에 대해 산정한 매칭율을 개인 단말(2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user support unit 35 supports the personal terminal 20 to output the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s 400 , 430 , and 440 . To this end, a list of strength exercise goals allocated for each user group is delivered to the personal terminal 20 to give the user the authority to select a strength exercise goal, and a user group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goal selected by the user in the personal terminal 20 The target muscle condition for each muscle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 a recommended exercise that meets the strength exercise goal, and a matching rate calculated for the recommended exercise are transmitted to the personal terminal 20 .

이에 따라 개인 단말(20)은 상기에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며 설명한 바와 같이, 근력운동 목표의 리스트를 드롭다운(410)으로 보여주어 사용자가 근력운동 목표를 선택하게 하고, 선택한 근력운동 목표에 부합하는 근육별 목표 근육 상태를 사용자의 근육별 근육 상태와 비교하여 종합 평가한 결과와, 매칭율 순위에 따라 나열한 복수의 추천 운동을 보여주는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을 출력할 수 있고, 근육별로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상세 화면(430, 440)도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the personal terminal 20 shows a list of strength exercise goals in a drop-down 410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 strength exercise goal, and select the selected strength exercise goal. It is possible to output a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showing a result of comprehensive evaluation by comparing the target muscle state for each muscle corresponding to the muscle state for each muscle of the user and a plurality of recommended exercises listed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e ranking, Detailed screens 430 and 440 showing the result of comparison for each category can also be output.

개인 단말(20)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관심을 갖는 종목의 운동 선수 또는 헬스 트레이너의 근육 상태를 근력운동의 목표로 할 수 있고, 운동 선수 및 헬스 트레이너를 포함한 전문 선수 이외의 일반인의 근육 상태 중에 원하는 수준의 근육 상태를 근력운동의 목표로 할 수 있어서, 사용자마다 상이한 근력운동의 목표를 세울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근력운동 목표에 비해 부족한 근력에 대해 정량적 수치로 인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생활 여건에 맞는 운동을 함에 있어서 매칭율에 따라 필요한 운동량을 예상하여 운동 계획을 세우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ser of the personal terminal 20, the muscle condition of an athlete or fitness trainer of an event of interest may be the target of muscle strength exercise, and a desired level among muscle conditions of ordinary people other than professional athletes including athletes and fitness trainers Since the muscle condition of the muscle can be a target for strength exercise, it is possible to set different goals for strength exercise for each user. 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recognize the lack of muscle strength compared to the strength exercise goal as a quantitative value, it can be used to make an exercise plan by predicting the amount of exercise required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e in exercising suitable for the user's living conditions.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specific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 : 근전도 측정기
11 : 커넥터 11a : 홈
12 : 신호처리부 13 : 근거리 통신모듈
14 : 전원부
20 : 개인 단말
21 : 프로세서
21a : 사용자 등록부 21b : 근전도 분석부
21c : 근육 상태 평가부 21d : 운동 추천부
21e : 운동 모니터링부 21f : 전문가 추천부
22 : 사용자 인터페이스 23 : 메모리
24 : 근거리 통신모듈 25 : 통신모듈
30 : 클라우드 서버
31 : 유저 관리부 32 : 유저 데이터 수집부
33 : 통계부 34 : 추천 운동 평가부
35 : 사용자 지원부 36 : 데이터베이스부
100 : 전극 패치
110 : 전극 120 : 커넥터 연결부재
130 : 점착제층
200 : 스마트 의복
210 : 의복
220 : 생체 전극 221 : 검출 전극
221a : 돌기 222 : 단자
222a : 부착 부재 223 : 관통부재
230 : 전극 지지대 231 : 커넥터 연결부재
232 : 부착 부재
10: EMG meter
11: connector 11a: groove
12: signal processing unit 13: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4: power supply
20: personal terminal
21: Processor
21a: user registration unit 21b: EMG analysis unit
21c: muscle condition evaluation unit 21d: exercise recommendation unit
21e: exercise monitoring unit 21f: expert recommendation unit
22: user interface 23: memory
24: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25: communication module
30: cloud server
31: user management unit 32: user data collection unit
33: statistics unit 34: recommended exercise evaluation unit
35: user support unit 36: database unit
100: electrode patch
110: electrode 120: connector connecting member
130: adhesive layer
200: smart clothing
210: clothes
220: bio-electrode 221: detection electrode
221a: projection 222: terminal
222a: attachment member 223: penetrating member
230: electrode support 231: connector connecting member
232: attachment member

Claims (11)

사용자의 각 근육 부위에서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근전도 측정기(10);
상기 근전도 측정기(10)로 검출한 근육별 근전도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근육 상태를 획득하고, 사용자 그룹별 근육 상태의 통계 정보를 사용자의 근육 상태와 비교할 수 있게 보여주는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과, 사용자 그룹을 근력운동 목표로 제시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근력운동 목표에 부합하는 목표 근육 상태 및 적어도 1개 이상의 추천 운동을 보여주는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 430, 440)을 출력할 수 있게 한 개인 단말(20);
사용자들의 개인 단말(20)로부터 수집한 근육 상태 중에 사용자의 서로 다른 개인 특성에 따라 그룹핑한 사용자 그룹의 근육 상태에 대해 통계정보를 생성한 후 개인 단말(20)에 전송하여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의 출력을 지원하고, 사용자 그룹의 특징에 따라 명명한 근력운동 목표 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근력운동 목표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룹의 통계정보에 따라 선정한 목표 근육 상태 및 근력운동 목표에 따라 선정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추천 운동을 개인 단말(20)에 전송하여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 430, 440)의 출력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
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근육별로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근육별로 비교하도록 근력 비교 화면의 출력을 지원하고,
상기 개인 단말(20)은 사용자 근육 상태의 진척도를 근력운동 목표에 따른 목표 근육 상태와 비교하되 근육별로 세분화하여 비교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게 한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
an electromyogram meter (10) for detecting an electromyogram signal from each muscle part of the user;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 (300, 310, 320) that obtains the user's muscle condition according to the muscle-specific EMG signal detected by the EMG meter 10 and shows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muscle condition for each user group to be compared with the user's muscle condition , 330), and after presenting the user group as a strength exercise target, outputting a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430, 440) showing the target muscle state and at least one recommended exercise that meets the strength exercise target selected by the user a personal terminal 20 that enables;
Among the muscle conditions collected from users' personal terminals 20, statistical information is generated on the muscle conditions of user groups grouped according to differen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then transmitted to the personal terminal 20 to generate a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 (300, 310, 320, 330), and according to the target muscle condition and strength exercise goal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user group correspon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goal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trength exercise goals na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group. a cloud server 30 that supports output of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s 400, 430, and 440 by transmitting at least one selected recommended exercise to the personal terminal 20;
including,
The cloud server 30 generates statistical information for each muscle and supports output of a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 to compare for each muscle,
The personal terminal 20 compares the progress of the user's muscle state with the target muscle state according to the strength exercise goal, but can output a screen for subdividing and comparing each muscle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전문가 그룹이 개인 단말(20) 또는 별도의 전문가 단말을 이용하여 근력운동 목표별로 추천한 운동을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 430, 440)에 출력할 추천 운동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server 30 uses the exercise recommended by the expert group for each strength exercise goal using the individual terminal 20 or a separate expert terminal as a recommended exercise to be output on the goal-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 400, 430, 440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추천 운동의 적합성에 따라 매칭율을 정한 후, 매칭율 순위에 따라 선정한 추천 운동을 목표 지향 추천 화면(400, 430, 440)에 출력할 추천 운동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cloud server 30 determines the matching rate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of the recommended exercise, and then uses the recommended exercise selected according to the matching rate ranking as a recommended exercise to be output on the target-oriented recommendation screens 400, 430, 440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추천 운동별 전문가의 추천 빈도를 매칭율의 값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loud server 30 uses the recommendation frequency of experts for each recommended exercise as the value of the matching rate.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전문가가 등록한 추천 운동의 적합도의 분포에 따라 매칭율의 값을 선정하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loud server 30 selects the value of the matching rate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fitness of the recommended exercise registered by the expert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성별 및 연령을 개인 특성으로 하는 사용자 그룹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server 30 uses a user group having gender and age as personal characteristics.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사용자들 중에 운동 종목별 운동 선수의 그룹 또는 헬스 트레이너의 그룹을 사용자 그룹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server 30 uses a group of athletes or a group of health trainers for each exercise event among users as a user group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30)는 사용자의 개인 특성에 부합하는 사용자 그룹 또는 사용자가 미리 정해둔 사용자 그룹의 통계정보만 선별하여 근력 비교 화면(300, 310, 320, 330)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loud server 30 selects only statistical information of a user group matching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or a user group predefined by the user to support the output of the muscle strength comparison screens 300, 310, 320, 330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 상태는 최대 근력 및 근 지구력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근력운동 가이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uscle condition includes maximum muscle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KR1020200160811A 2020-11-26 2020-11-26 Cloud-based artificail intelligence guide system for muscle strength exercise KR102518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11A KR102518324B1 (en) 2020-11-26 2020-11-26 Cloud-based artificail intelligence guide system for muscle strength exercise
PCT/KR2020/017115 WO2022114292A1 (en) 2020-11-26 2020-11-27 Cloud-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muscular strength exercise guid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11A KR102518324B1 (en) 2020-11-26 2020-11-26 Cloud-based artificail intelligence guide system for muscle strength exerc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881A KR20220073881A (en) 2022-06-03
KR102518324B1 true KR102518324B1 (en) 2023-04-06

Family

ID=8175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811A KR102518324B1 (en) 2020-11-26 2020-11-26 Cloud-based artificail intelligence guide system for muscle strength exerci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8324B1 (en)
WO (1) WO2022114292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140A1 (en) * 2015-07-31 2017-02-09 株式会社FiNC Health management server, control method therefor, and health management message application program
KR101715369B1 (en) * 2016-11-29 2017-03-22 (주)프로차일드 Exercise guide feed back system using multi sensors and the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6226B2 (en) * 2006-09-22 2012-02-15 特定非営利活動法人熟年体育大学リサーチセンター Exercise effect prediction system, exercise effect prediction program, and exercise effect prediction method
KR101687252B1 (en) 2014-11-06 2016-12-16 장재윤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for customized personal training
KR101845323B1 (en) * 2016-07-12 2018-04-04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The exercise managing method and system using emg sensors
KR101940032B1 (en) * 2017-08-11 2019-01-21 주식회사 플라이업 Customized smart health care system for measuring momentum
KR20200032364A (en) 2018-09-18 2020-03-26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The exercise managing method and system
KR20200115376A (en) * 2019-03-28 2020-10-07 주식회사 에이치에이치에스 Personal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lectromyographic signal
KR20200119991A (en) * 2019-04-11 2020-10-21 (주) 로임시스템 Exercise support device using guide ui for displaying real time muscle strength and program stored i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140A1 (en) * 2015-07-31 2017-02-09 株式会社FiNC Health management server, control method therefor, and health management message application program
KR101715369B1 (en) * 2016-11-29 2017-03-22 (주)프로차일드 Exercise guide feed back system using multi sensors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881A (en) 2022-06-03
WO2022114292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4304B2 (en) Fitness monitoring method, system, program product and application thereof
Carling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for field sports
KR101680972B1 (en) Indoor exercise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US20190046839A1 (en) Muscle stress measurement in a sensor equipped garment
US11413501B2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fitness courses
US9495880B2 (en) Self correcting fitness test
US20190046107A1 (en) Exercise application based on muscle stress measurement
US9433823B2 (en) Training apparatus for guiding user to improve fitness
CN104424537A (en) Body-building management service method and related system
KR20080028577A (en) System for consulting exercise and method the same
Pino et al. Wearable EMG shirt for upper limb training
US8996446B2 (en) Sensory testing data analysis by categories
CN113241147B (en) Fitness plan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80015995A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represent intensity of exercise at the same
KR101628713B1 (en) The exercize management system to use sensor information and health avatar
Akpa et al. Gift: glove for indoor fitness tracking system
KR102518324B1 (en) Cloud-based artificail intelligence guide system for muscle strength exercise
WO2015064837A1 (en) Method for analysing sports-compatibility
KR20160080347A (en) Body composition analyzer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940032B1 (en) Customized smart health care system for measuring momentum
CN113808704A (en) Exercise prescription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KR20180111063A (en) Provide information for exercise using glove
Fox et al. The concurrent validity of session-rating of perceived exertion workload obtained face-to-face versus via an online application: a team case study
CN107016227B (en) Intelligent equipment linkage type real-time operation data-based exercise prescription operation guidance system
US20240123289A1 (en) Automated Athletic Evaluation and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