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690B1 -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 Google Patents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690B1
KR102517690B1 KR1020160049328A KR20160049328A KR102517690B1 KR 102517690 B1 KR102517690 B1 KR 102517690B1 KR 1020160049328 A KR1020160049328 A KR 1020160049328A KR 20160049328 A KR20160049328 A KR 20160049328A KR 102517690 B1 KR102517690 B1 KR 102517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electrode
signal
pressure sensor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0879A (en
Inventor
최만휴
김비이
김지혜
박용화
박현규
윤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690B1/en
Priority to PCT/KR2017/004235 priority patent/WO2017183922A1/en
Priority to US16/095,428 priority patent/US10955282B2/en
Publication of KR2017012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8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6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8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piezoelectric devices, i.e. electric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3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having piezoelectric or piezoresistive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1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capacitance, i.e. electric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 상기 탄성 유전층 상에 배치되며,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층,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1 금속 전극,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메쉬(mesh) 구조이다.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made of conductive fibers, an elastic dielectr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and made of conductive fibers,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ignal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signal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metal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metal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first metal electrode. and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tal electrode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has a mesh structure.

Description

압력 감지 센서{SENSOR FOR DETECTING PRESSRUE}Pressure detection sensor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본 발명은 압력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sensing sensor.

최근, 전자 기술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헬스 케어(Health Care) 분야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즉,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건강 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일상 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자를 이용하여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의자 내에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착석자의 무게, 연령대, 자세 등을 파악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ield of health care (Health Care) is rapidly developing. That is, there is a demand for a health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measuring a person's body condition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in particular, a technology for obtaining biometric information using a chair mainly used in daily life is being developed. For example, a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to determine the weight, age, posture, and the like of a seated person by mounting a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in a chair.

일반적인 압력 감지 센서는 하부 전극, 탄성 유전층 및 상부 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압력 감지 센서는 상부 전극 상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탄성 유전층의 두께가 변화하게 되며, 탄성 유전층의 두께 변화에 따라 캐패시턴스가 변화하게 되고,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에 따라 상부 전극 상에 가해지는 압력을 산출하게 된다.A typical pressure sens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electrode, an elastic dielectric layer, and an upper electrode are sequentially stacked. In such a pressure sensor,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ressure applied on the upper electrode, the capaci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and the pressure applied on the upper electrode according to the change in capacitance will yield

그런데, 이러한 압력 감지 센서가 흔들리거나, 압력 감지 센서 주변에 전자파가 형성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압력 감지 센서의 캐패시턴스가 변화하게 된다. 흔들림 또는 전자파와 같은 외부 환경의 변화는 압력 감지 센서의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다. However, when such a pressure sensor is shaken or an electromagnetic wave is formed around the pressure sensor, the capacitance of the pressure sensor changes even though no pressure is substantially applied.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shaking or electromagnetic waves, may act as noise in the pressure senso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해진 무게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pressure according to an applied weigh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 상기 탄성 유전층 상에 배치되며,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층,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1 금속 전극,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메쉬(mesh) 구조이다.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made of conductive fibers, an elastic dielectr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and made of conductive fibers, and the first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ignal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signal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metal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metal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the first metal electrode. and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metal electrode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has a mesh structure.

상기 제1 전극층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신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층은 그라운드(ground)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be connected to a ground.

상기 제2 금속 전극은 메쉬 구조일 수 있다.The second metal electrode may have a mesh structure.

상기 제2 금속 전극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metal electrode may include copper.

상기 신호 전달부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fer unit may inclu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상기 메쉬 구조는 상기 FPCB의 양면 중 한 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esh structure may be entirely formed on one of both sides of the FPCB.

상기 제1 전극층 아래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insulating layer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제2 전극층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전극의 배열과 매칭되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A pattern matching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may be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패턴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layer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atter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장치는 압력 감지 센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 상기 탄성 유전층 상에 배치되며,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층,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신호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1 금속 전극,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메쉬(mesh) 구조이다. A pressure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ressure sensor, a signal processor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and process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or, and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or. and a control unit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a signal processed by the pressure sensor, wherein the pressure sensor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made of conductive fibers, an elastic dielectr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n elastic dielectric layer disposed on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made of fibers, and a signal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wherein the signal transfer unit comprises a first metal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signal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It includes a second metal electrode and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tal electrode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etal electrode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has a mesh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가해진 무게에 따른 압력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압력 분포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ct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applied weight and accurately detect the pressure distribution.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압력 감지 센서의 흔들림으로 인한 노이즈 또는 압력 감지 센서 주변에 형성되는 전자파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noise due to shaking of the pressure sensor or noise caused by electromagnetic waves formed around the pressur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포인트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고, 면 단위로 감지하므로, 자세 판단에 유리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vantageous to determine the posture because it is detected in units of planes rather than a specific poi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대면적화가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고해상도를 가지면서도 모듈화가 간단하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large area, and the user does not feel a foreign body sensation. 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resolution and is simple to modulariz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하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에 적용되는 메쉬 구조의 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에 적용되는 메쉬 구조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의 하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하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의자에 내장된 압력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mesh structure applied to a signal transfer unit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other example of a mesh structure applied to a signal transfer unit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a signal transfer unit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op view of a signal transmission unit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ottom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top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a pressure sensitive cha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of a pressure sensing device built into a pressure sensing cha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and first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and similarly,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하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에 적용되는 메쉬 구조의 한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에 적용되는 메쉬 구조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의 하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신호 전달부의 상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top view of the sensor. 4 is an example of a mesh structure applied to a signal transmission unit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mesh applied to a signal transmission unit of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xample of a struct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top view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압력 감지 센서(100)는 제1 전극층(110), 제1 전극층(110)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120), 탄성 유전층(120)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층(130), 그리고 신호 전달부(140)를 포함한다. 1 to 3, the pressure sensor 1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110, an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130, and a signal transfer unit 140.

여기서, 제1 전극층(110)은 복수의 신호 전극(112) 및 복수의 신호 전극(112)과 연결되는 복수의 배선 전극(114)을 포함한다.Here,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includes a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112 and a plurality of wiring electrodes 114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112 .

이때, 각 배선 전극(114)은 신호 전달부(140)의 제1 금속 전극(142)과 연결되고, 제2 전극층(130)으로부터 인출된 배선은 신호 전달부(140)의 제2 금속 전극(144)과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신호 전달부(140)는 제1 금속 전극(142), 제2 금속 전극(144), 그리고 제1 금속 전극(142) 및 제2 금속 전극(144)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146)을 포함한다. 또한, 제2 금속 전극(144) 상에는 절연층(148)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전달부(140)는 리지드(rigid)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At this time, each wire electrode 114 is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electrode 142 of the signal transfer unit 140, and the wire drawn out from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is the second metal electrode of the signal transfer unit 140 ( 144) are connected. To this end, the signal transfer unit 140 includes the first metal electrode 142, the second metal electrode 144, and the insulating layer 146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tal electrode 142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144. ). In addition, an insulating layer 148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second metal electrode 144 . Here, the signal transfer unit 140 may be a rigid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이때, 제1 금속 전극(142) 및 제2 금속 전극(144) 중 적어도 하나는 메쉬(mesh) 구조일 수 있다. 메쉬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 및 크기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일 수 있다. 또는, 메쉬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덤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그물망 구조일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메쉬 구조는 원형, 사선 형상, 삼각형 형상, 다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메쉬 구조는 은(Ag), 금(Au), 구리(Cu) 및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쉬 구조의 크기, 형상 및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first metal electrode 142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144 may have a mesh structure. As shown in FIG. 4 , the mesh structure may be a mesh structure having regular intervals and sizes. Alternatively, the mesh structure may be a mesh structure having a random shape as shown in FIG. 5 . In addition to this, the mesh structure may have a circular shape, an oblique shape, a triang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mesh structure may be made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Ag), gold (Au), copper (Cu), and aluminum (Al). The size, shape and material of the mesh structur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층(110)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 전극(114)은 도 6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배선 형태인 제1 금속 전극(142)과 연결되고, 제2 전극층(130)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은 도 7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메쉬 구조인 제2 금속 전극(144)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금속 전극(144)은 신호 전달부(140), 즉 FPCB의 양면 중 한 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메쉬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금속 전극(142) 및 제2 금속 전극(144) 중 적어도 하나가 메쉬(mesh) 구조이면, 제1 전극층(110) 또는 제2 전극층(130)으로부터 발생한 전기 신호가 제1 금속 전극(142) 또는 제2 금속 전극(144)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200)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 감지 센서(100) 상의 전자파를 차폐하여 압력 감지의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쉬 구조는 배선과의 접착 성능이 우수하므로, 압력 감지 센서의 흔들림에도 강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ing electrode 114 drawn out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metal electrode 142 in the form of a wiring, as illustrated in FIG. 6,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metal electrode 144 having a mesh structure, as illustrated in FIG. 7 . In this case, the second metal electrode 144 may have a mesh structure formed entirely on one side of the signal transfer unit 140, that is, both sides of the FPCB. As described above,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metal electrode 142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144 has a mesh structure,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or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metal electrode layer 110. Not only can it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through the electrode 142 or the second metal electrode 144, but also noise of pressure sensing can be prevented by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pressure sensor 100. In addition, since the mesh structure has excellent adhesion performance with wir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essure sensor is resistant to shak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극층(130)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144)은 신호 처리부(200)의 그라운드 전극과 연결되며, 압력 감지의 대상, 예를 들어 인체는 제2 전극층(130) 상에 배치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tal electrode 144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is connected to the ground electrod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and the target of pressure sensing, for example, the human body, It may be set to be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

이와 같이, 제2 전극층(130)이 그라운드와 연결되면, 인체가 제2 전극층(130)을 살짝 스치더라도, 제2 전극층(130) 상에 실질적으로 압력이 가해지지는 않으므로,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30) 간의 캐패시턴스가 변화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인체의 터치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전극층(130)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과 신호 처리부(200)의 그라운드 전극을 연결하는 제2 금속 전극(144)이 메쉬 구조인 경우, 압력 감지 센서(100) 상의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으므로, 전자파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is connected to the ground, even if the human body slightly rubs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since no pressure is substantially appli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 and the capacitance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does not chan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caused by a human body touch. In particular, when the second metal electrode 144 connecting the wire drawn out from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and the ground electrod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has a mesh structure, electromagnetic waves on the pressure sensor 100 can be shielded. , noise caused by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prevented.

한편,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30)은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30)은 전도성 섬유로 직조된 전도성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are made of conductive fiber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may be made of conductive fabric woven with conductive fibers.

전도성 섬유는 금속 와이어 또는 표면 상에 금속 막이 피복된 일반 섬유일 수 있다. 전도성 섬유는 금속 입자가 분산된 일반 섬유일 수도 있다. 전도성 섬유가 금속 와이어인 경우, 금속 와이어의 직경은 10㎛ 내지 100㎛일 수 있다. 금속 와이어의 직경이 10㎛ 미만이면 금속 와이어의 강도가 약하여 직물 가공이 어려울 수 있으며, 금속 와이어의 직경이 100㎛를 초과하면 금속 와이어의 강성이 높아 직물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직물의 가공 시 설비에 데미지를 줄 수 있고,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기 쉽다. 이때, 금속 와이어는 Cu, Ni,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일 수 있다. 스테인레스 합금은, 예를 들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2상계 스테인레스 합금, 석출경화계 스테인레스 합금 등일 수 있다. 금속 와이어가 스테인레스 합금인 경우, 압력 감지 센서(100)의 내부식성을 높일 수 있다.The conductive fiber may be a metal wire or a normal fiber coated with a metal film on the surface. The conductive fibers may be ordinary fibers in which metal particles are dispersed. When the conductive fiber is a metal wire, the diameter of the metal wire may be 10 μm to 100 μm. If the diameter of the metal wire is less than 10 μm, the strength of the metal wire is weak and fabric processing may be difficult. If the diameter of the metal wire exceeds 100 μm, the stiffness of the metal wire is high and the flexibility of the fabric may be reduced. It can cause damage to equipment, and it is easy for users to feel a sense of heterogeneity. In this case, the metal wire may be Cu, Ni, or a stainless alloy. The stainless alloy may be, for example, a martensitic stainless alloy, a ferritic stainless alloy, an austenitic stainless alloy, a two-phase stainless alloy, or a precipitation hardening stainless alloy. When the metal wire is a stainless alloy, corrosion resistance of the pressure sensor 100 may be increased.

전도성 섬유가 표면 상에 금속 막이 피복된 일반 섬유인 경우, 금속 막은 금속 입자가 도금 방식 또는 증착 방식으로 일반 섬유의 표면 상에 피복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금속 입자는 Cu, Ni,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일 수 있으며, 금속 막의 두께는 1㎛ 내지 50㎛일 수 있다. 금속 막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전도율이 낮으므로 신호 전송 시에 손실을 유발할 수 있으며, 금속 막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면 섬유의 표면에서 금속 막이 쉽게 이탈될 수 있다.When the conductive fiber is a normal fiber coated with a metal film on the surface, the metal film may be formed by a method in which metal particles ar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normal fiber by a plating method or a vapor deposition method. In this case, the metal particles may be Cu, Ni, or a stainless alloy, and the metal film may have a thickness of 1 μm to 50 μm. If the thickness of the metal film is less than 1 μm, the conductivity is low, which may cause loss in signal transmission, and if the thickness of the metal film exceeds 50 μm, the metal film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fiber.

그리고, 탄성 유전층(120)은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 변형이 되며,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의 유전체이다. 탄성 유전층(120)은, 예를 들어, 발포폼, 부직포, 나노웹 등의 랜덤한 섬유 배열을 가지는 섬유 기재, 폴리우레탄, 나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또는 천연 섬유, 엘라스토머, 고무, 우레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 유전층(120)의 두께는 50㎛ 내지 30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is a dielectric material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storing force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ber substrate having random fiber arrangement such as foam, nonwoven fabric, nanoweb, polyurethane, nyl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ster. fibers or natural fibers, elastomers, rubbers, urethanes,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may be 50 μm to 300 μm.

이와 같이, 제1 전극층(110) 및 제2 전극층(130) 사이에 탄성 유전층(120)이 배치되는 경우, 제2 전극층(130) 상에 압력이 가해지면 탄성 유전층(120)의 두께(d)가 감소하며, 제1 전극층(120) 및 제2 전극층(130) 간의 캐패시턴스가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100)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장치는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제2 전극층(130) 상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when pressure is appli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the thickness (d) of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decreases, and the capacit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changes. The pressure sensor 100 and the pressure sensing device including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based on the capacitance vari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신호 전극(112)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각 신호 전극은 각 배선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전극 별로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을 얻을 수 있으며, 압력 감지 센서(100) 상 캐패시턴스 변화량의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즉, 각 신호 전극은 하나의 센싱 포인트로 작용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112 ar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each signal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each wiring electrode. Accordingly, capacitance change amount can be obtained for each signal electrode, and capacitance change amount distribution on the pressure sensor 100 can be obtained. That is, each signal electrode can act as one sensing poi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극층(130)은 전체적으로 연결되되, 제2 전극층(130)에는 제1 전극층(110)의 복수의 신호 전극(112)의 배열과 매칭되는 패턴(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턴(122)에 의하여 제2 전극층(130)이 복수 개로 서로 분리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극층(130)에 형성된 패턴(132)으로 인하여 제2 전극층(130)의 일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거나, 빈 공간이 절연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전극층(130)의 패턴이 제1 전극층(110)의 복수의 신호 전극(112)의 배열과 매칭되는 경우, 신호 전극 별로 압력 감지의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is connected as a whole,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has a pattern 132 matching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112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 can be formed.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 layers 13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attern 122 .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due to the pattern 132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or the empty space may be fill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 this way, when the pattern of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matches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112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the sensitivity of pressure sensing can be improved for each signal electro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 내지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극층(110)의 각 신호 전극(112)에는 패턴(112-1)이 형성되며, 제2 전극층(130)에는 제1 전극층(110)의 각 신호 전극(112)에 형성되는 패턴과 매칭되는 패턴(132-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전극층(110)에 형성되는 패턴으로 인하여 제1 전극층(110)의 일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거나, 형성된 빈 공간이 절연 물질로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신호 전극(112)에 패턴(112-1)이 형성되고, 각 신호 전극(112)에 형성된 패턴(112-1)과 매칭되도록 제2 전극층(130)에도 패턴(132-1)이 형성되는 경우, 캐패시턴스 변화량을 세분화하여 감지할 수 있으므로, 압력 감지의 민감도 및 분해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 to 9, a pattern 112-1 is formed on each signal electrode 112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has A pattern 132-1 matching the pattern formed on each signal electrode 112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may be further formed. Here, due to the pattern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or the formed empty space may be fill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 this way, the pattern 112-1 is formed on each signal electrode 112, and the pattern 132-1 is also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to match the pattern 112-1 formed on each signal electrode 112. When is formed, since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can be subdivided and sensed, the sensitivity and resolution of pressure sensing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압력 감지 센서(100)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은 제1 전극층(1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신호 전극(112)을 포함하는 제1 전극층(110)이 압력 감지 센서(100)의 하면에 배치되고,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제2 전극층(130)이 압력 감지 센서(100)의 상면, 즉 압력 감지의 대상이 놓여지는 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전극층(110)의 아래에 절연층(160)을 접합하면, 복수의 신호 전극(112)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the pressure sensor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The insulating layer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112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 sensor 10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connected to the ground detects pressure. Whe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100,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target for pressure sensing is placed, when the insulating layer 160 is bonded under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112 is minimized. can do.

표 1은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캐패시턴스 변화량을 나타낸다. 비교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복수의 신호 전극(112)을 포함하는 제1 전극층(110), 제1 전극층(110) 상의 탄성 유전층(120) 및 탄성 유전층(120) 상의 제2 전극층(130)을 포함하고, 제1 전극층(110)은 신호 전달부(140)의 배선 형태의 금속 전극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200)의 신호 전극과 연결되었고, 제2 전극층(130)은 신호 전달부(140)의 배선 형태의 금속 전극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200)의 그라운드 전극과 연결되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복수의 신호 전극(112)을 포함하는 제1 전극층(110), 제1 전극층(110) 상의 탄성 유전층(120) 및 탄성 유전층(120) 상의 제2 전극층(130)을 포함하고, 제1 전극층(110)은 신호 전달부(140)의 배선 형태의 금속 전극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200)의 신호 전극과 연결되었고, 제2 전극층(130)은 신호 전달부(140)의 메쉬 구조의 금속 전극을 통하여 신호 처리부(200)의 그라운드 전극과 연결되었다.Table 1 shows capacitance change amounts of pressure sensor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The pressure sensing sensor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112, an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130 on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is connected to the signal electrod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through a wire-shaped metal electrod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4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is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40 was connected to the ground electrod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through a metal electrode in the form of a wire. 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layer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112, an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and a second electrode layer on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120 ( 130), the first electrode layer 110 is connected to the signal electrod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through a wire-shaped metal electrod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40,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130 is a signal transmission unit ( 140) connected to the ground electrode of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through the metal electrode having a mesh structur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초기(0g)Initial (0g) 300g300g 흔들림시 변화량Change amount when shake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24pF124pF 155pF155pF 3pF3pF 실시예Example 132pF132pF 165pF165pF 0pF0pF

표 1을 참조하면, 비교예와 실시예 모두 0g의 무게가 가해진 경우와 300g의 무게가 가해진 경우의 캐패시턴스 변화량이 각각 31pF와 33pF로 유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다만, 신호 연결부, 즉 인쇄회로기판이 흔들린 경우, 비교예의 압력 감지 센서에 대한 캐패시턴스의 변화량은 3pF이나, 실시예의 압력 감지 센성에 대한 캐패시턴스 변화량은 0pF로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전달부의 모든 금속 전극이 배선 형태로 구성되는 비교예에 비하여, 하나의 금속 전극이 메쉬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의 압력 감지 성능이 낮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배선 간 접합에 의한 비교예에 비하여, 배선과 메쉬 간 접합에 의한 실시예에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흔들림으로 인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both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show similar capacitance changes of 31 pF and 33 pF when a weight of 0 g and a weight of 300 g are applied, respectively. However, when the signal connection part, that is,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shaken,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for the pressure sensor of the comparative example is 3 pF, but the capacitance change amount for the pressure sensor of the embodiment is 0 pF.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pressure sensing performance of the embodiment in which one metal electrode has a mesh structure is not low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all the metal electrodes of the signal transfer unit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wire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noise due to vibration can be prevented by being more firmly coupled in the embodiment using the bonding between the wires and the mesh,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using the bonding between the wir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자세 교정용 압력 감지 의자, 재실 감지 매트, 낙상 방지 매트 등에 적용될 수 있다. A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pressure-sensing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a room-sensing mat, a fall prevention mat, and the like.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의자에 내장된 압력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10 is a side view of a pressure-sensing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block diagram of a pressure-sensing device built into the pressure-sensing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11을 참조하면, 압력 감지 의자(1000)는 좌판(1100), 팔걸이(1200), 등받이(1300), 그리고 다리(1400) 등을 포함한다. 좌판(1100)에 사람이 착석하면, 압력 감지 의자(1000)에 내장된 압력 감지 장치(300)는 사람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고, 착석에 따른 상대적 압력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장치(300)는 측정한 압력 분포에 따라 무게, 연령대, 앉은 자세 등을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 a pressure sensing chair 1000 includes a seat 1100 , armrests 1200 , a backrest 1300 , and legs 1400 . When a person is seated on the seat 1100, the pressure sensing device 300 built into the pressure sensing chair 1000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person is seated and measure a relative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eated positio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300 may detect weight, age, sitting posture, etc. according to the measured pressure distribution.

압력 감지 장치(300)는 압력 감지 센서(100), 신호 처리부(200), 제어부(310) 및 통신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100)는 좌판(1100)에 대한 사람의 착석 여부 및 착석에 따른 상대적 압력 분포 등을 감지할 수 있다. The pressure sensing device 300 may include a pressure sensing sensor 100 , a signal processing unit 200 , a control unit 310 and a communication unit 320 . The pressure sensor 100 may detect whether a person is seated on the seat 1100 and a relative pressur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seated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감지 센서(100)는 좌판(1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200)는 압력 감지 센서(100)와 연결되며, 압력 감지 센서(100)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신호 처리부(200)와 연결되며, 신호 처리부(200)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예로, 제어부(310)는 압력 감지 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압력 감지 장치(30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310)는 압력 감지 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자세에 관한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310)는 압력 감지 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처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자세 교정을 위한 알람 신호 등을 생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or 100 may be disposed within the seat 1100 . Also, the signal processor 200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100 and may process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pressure sensor 100 . Also, the control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and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200 . For example, the controller 310 may control on/off of the pressure sensing device 300 using a result of processing a signal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100 .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310 may generate diagnostic information about the seated person's posture using a result of processing a signal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100 .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310 may generate an alarm signal for correcting a seated person's posture by using a result of processing a signal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100 .

그리고, 통신부(320)는 제어부(310)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를 외부 장치로 송신한다.Then, the communication unit 32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10 to an external devi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압력 감지 센서
110: 제1 전극층
120: 탄성 유전층
130: 제2 전극층
112: 신호 전극
114: 배선 전극
100: pressure detection sensor
110: first electrode layer
120: elastic dielectric layer
130: second electrode layer
112: signal electrode
114: wiring electrode

Claims (10)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탄성 유전층,
상기 탄성 유전층 상에 배치되며,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신호 전달부,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층 아래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제1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1 금속 전극,
상기 제2 전극층과 연결되는 제2 금속 전극,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전극 및 상기 제2 금속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금속 전극은 메쉬(mesh) 구조이고,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제2 금속 전극을 통하여 그라운드(ground)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층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신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층에는 상기 복수의 신호 전극의 배열과 매칭되는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층은 상기 패턴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압력 감지 센서.
A first electrode layer made of conductive fibers;
an elastic dielectr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electrode layer disposed on the elastic dielectric layer and made of conductive fibers;
A signal transfer uni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 first insulating layer disposed under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ignal transfer unit,
A first metal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A second metal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layer,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metal electrode and the second metal electrode,
The second metal electrode has a mesh structure,
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connected to ground through the second metal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attern matching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signal electrodes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layer,
The second electrode layer is form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atter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센서.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transfer unit is a pressure sensing sensor includ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구조는 상기 FPCB의 양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압력 감지 센서.
According to claim 3,
The mesh structure is entirely form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FPCB.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
상기 압력 감지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 처리부에 의하여 처리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장치.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 signal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pressure sensor and process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A control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unit.
A pressure sensing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49328A 2016-04-22 2016-04-22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KR1025176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28A KR102517690B1 (en) 2016-04-22 2016-04-22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PCT/KR2017/004235 WO2017183922A1 (en) 2016-04-22 2017-04-20 Pressure detecting sensor
US16/095,428 US10955282B2 (en) 2016-04-22 2017-04-20 Pressure detecting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328A KR102517690B1 (en) 2016-04-22 2016-04-22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79A KR20170120879A (en) 2017-11-01
KR102517690B1 true KR102517690B1 (en) 2023-04-04

Family

ID=6038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328A KR102517690B1 (en) 2016-04-22 2016-04-22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69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163A (en) * 2001-04-24 2002-10-31 Toshiba Chem Corp Pressure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1513830A (en) * 2008-02-28 2011-04-28 ニューヨーク・ユニバーシティ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 to processing apparatus, and sensor pa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8163A (en) * 2001-04-24 2002-10-31 Toshiba Chem Corp Pressure sens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1513830A (en) * 2008-02-28 2011-04-28 ニューヨーク・ユニバーシティ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 to processing apparatus, and sensor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879A (en)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5282B2 (en) Pressure detecting sensor
KR102553036B1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US10555609B2 (en) Pressure-sensing chair, including first elastic body having lower elastic modulus than second elastic bodies arranged therein
US20070049837A1 (en) Acoustic sensor
EP3244179B1 (en) Pressure-sensitive element and pressure sensor
US9574955B2 (en) Pressure sensing element having an insulating layer with an increased height from the substrate towards the opening
US10918156B2 (en)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pressure detection insole including same
KR20180117893A (en) Pressure sensor
KR20180049677A (en) Insol of sensing pressure
US11553753B2 (en) Pressure sensing insole
EP3769674A1 (en) Hear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2517690B1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WO2019138153A1 (en) A force and/or pressure sensor with at least two layers of electrodes
KR102492375B1 (en) Chair of sensing pressure
JP2020060478A (en) Touch detecting sensor
KR102467998B1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KR102568540B1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KR20170074045A (en) Chair of sensing pressure
KR102472286B1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rue
KR20170131988A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and insol of sensing pressure including the same
KR20170077514A (en) Chair of sensing pressure
KR20170081482A (en) Chair of sensing pressure
KR20180011622A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KR20180002302A (en) 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KR102461696B1 (en) Chair of sensing pres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