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573B1 - Seat track rail assembly - Google Patents

Seat track rail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573B1
KR102517573B1 KR1020210061152A KR20210061152A KR102517573B1 KR 102517573 B1 KR102517573 B1 KR 102517573B1 KR 1020210061152 A KR1020210061152 A KR 1020210061152A KR 20210061152 A KR20210061152 A KR 20210061152A KR 102517573 B1 KR102517573 B1 KR 102517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eat track
coupled
track rail
retain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3771A (en
Inventor
조찬기
박건영
황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21006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573B1/en
Publication of KR2022015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7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5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 하부에 충분한 수납 공간이 구비되며, 차량 시트를 이동하였을 때 소음 및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는, 포스트; 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로어레일, 로어레일에 수용되는 어퍼레일, 로어레일과 어퍼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어퍼레일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1 리테이너부재 및 로어레일과 어퍼레일 사이에 구비되되, 제1 리테이너부재와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어퍼레일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2 리테이너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 레일; 및 시트 트랙 레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포함한다.
Provided is a seat track rail assembly having a sufficient storage space under the seat and effectively reducing noise and shaking when the vehicle seat is moved.
A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ost; A lower rail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st, an upper rail accommodated in the lower rail, a first retain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rail and the upper rail to slide the upper rail forward and backward, and provided between the lower rail and the upper rail, A seat track rail including one retainer member and a second retainer member for sliding the upper rail forward and backward on a different horizontal line; and a seat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at track rail.

Description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SEAT TRACK RAIL ASSEMBLY}SEAT TRACK RAIL ASSEMBLY

본 개시(The Disclosure)는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ure relates to a seat track rail assembly.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국내여행이나 해외여행이 제한되면서, 최소한의 장비로 언제든지 떠나 캠핑을 할 수 있는 차박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차박이란 '차에서의 숙박'의 준말로, 자동차에서 잠을 자며 머무를 것을 뜻한다. 즉, 자동차를 이용해 캠핑 등을 하는 행위를 뜻한다.As domestic and overseas travel is restricted due to the corona virus,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go camping at any time with minimal equipment is increasing. Here, car park is an abbreviation of 'staying in a car', meaning to stay while sleeping in a car. In other words, it means the act of camping using a car.

차박이 증가하면서, 차량 내부 공간 확보의 필요성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차량 시트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도 중요해졌다. 또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의 필요성도 증가하였다.As the number of vehicles increases, the need to secure a space inside the vehicle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range in which the vehicle seat can move has also become important. In addition, the need for a storage space capable of storing things has also increased.

하지만 기존의 차량의 경우, 시트 하부에 듀얼 트랙 레일이 사용되기 때문에 시트의 하부 수납 공간이 한정되고 탑승자의 하체의 움직임에도 제한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vehicles, since a dual track rail is used under the seat, the storage space under the seat is limited and the movement of the occupant's lower body is also limited.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2018-7004977호에는 모노포스트 타입의 시트 트랙 레일이 개시되었다. 동 공보에 개시된 시트 트랙 레일로 인해 시트의 하부 공간이 확보되었지만, 시트가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atent Registration No. 10-2018-7004977 discloses a monopost type seat track rail. Although the lower space of the seat was secured due to the seat track rail disclosed in the same publication, left and right shaking occurred in the process of sliding and moving the seat, and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noise was generated accordingly.

KR 10-2018-7004977 B1 (2019. 11. 11. 공고)KR 10-2018-7004977 B1 (2019. 11. 11. Notice) KR 10-2010-0073370 B1 (2016. 09. 28. 공고)KR 10-2010-0073370 B1 (2016. 09. 28. Notice)

시트 하부에 충분한 수납 공간이 구비되며, 차량 시트를 이동하였을 때 소음 및 흔들림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track rail assembly having a sufficient storage space under the seat and effectively reducing noise and shaking when the vehicle seat is moved.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는, 포스트; 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로어레일, 로어레일에 수용되는 어퍼레일, 로어레일과 어퍼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어퍼레일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1 리테이너부재 및 로어레일과 어퍼레일 사이에 구비되되, 제1 리테이너부재와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어퍼레일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2 리테이너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 레일; 및 시트 트랙 레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포함한다.A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ost; A lower rail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st, an upper rail accommodated in the lower rail, a first retain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rail and the upper rail to slide the upper rail forward and backward, and provided between the lower rail and the upper rail, A seat track rail including one retainer member and a second retainer member for sliding the upper rail forward and backward on a different horizontal line; and a seat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at track rail.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의 어퍼레일은, 판부재와, 앵커 형태의 단면 구조로 형성되되, 판부재의 하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per rail of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plate member and an anchor shape, and includes sliding member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의 로어레일은, 상면에 슬라이딩부재 각각을 수용하는 찬넬(channel)이 구비되는 판부재를 포함하고, 찬넬 각각은, 양측벽이 제이훅 형태의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rail of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plate member provided with a channel for accommodating each sliding member on an upper surface, and each channel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with both side walls of a J-hook sha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and surrounds the sliding member.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의 제1 리테이너부재와 제2 리테이너부재는,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retainer member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of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disposed on different vertical lines.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의 포스트는, 하판, 하판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측벽, 하판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측벽, 일측이 제1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면이 로어레일의 하면에 결합되는 상판 및 일측이 제1 측벽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측벽에 결합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st of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lower plate, a first sidewal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second sidewall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one side coupled to the top of the first sidewall and the other side It includes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wall,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rail, and a reinforcing member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sidewall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econd sidewall.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는, 차량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 일단이 하판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레일에 수용되는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의 타단에 구비되어, 슬라이더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캐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guide rail coupled to a vehicle, a sli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the other end accommodated in the guide rail, and a cast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lider to slide the slider forward and backward. may further include.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는,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시트 트랙 레일과 달리 모노포스트 타입이므로 하부 공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monopost type unlike the conventional seat track rail, it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a lower space.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는, 레일 내에 구비된 볼이 상하좌우에서 슬라이더를 지지해주므로, 유격이 감소되고 좌우 흔들림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소음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balls provided in the rail support the slider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play is reduced and left and right shaking is reduc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noise is reduced.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는, 슬라이더의 양단부가 앵커 형태의 단면을 가지므로, 가이드레일에서 슬라이더가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슬라이더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ends of the slider have anchor-shaped cross sections in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lider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guide rail, and the durability of the slider is improved.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된다.In addition, sinc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are naturally exhibit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described cont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 inventor recognizes them, the above-described effects are only a few effects according to the described contents, and all the effects that the inventors grasp or realize It should not be accepted as written.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additionally grasped by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described in an explicit sentence,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escribed content belongs will have such an effect through this specification If the effect can be recognized as such, it should be regarded as the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시트 트랙 레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시트 트랙 레일의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포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슬라이더와 가이드레일을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track rail of Figure 2;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seat track rail of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t of Figure 2;
6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slider and the guide rail of FIG. 2 are cut.
7 is a side view of a seat track rai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이하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10)'라 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eat track rail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at track rail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일측 방향은 도 1의 1번 화살표 방향이고, 타측 방향은 도 1의 2번 화살표 방향이다. 즉, 탑승자가 시트에 앉았을 때, 탑승자의 왼쪽 방향이 일측 방향이고, 오른쪽 방향이 타측 방향이다.One direction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the direction of arrow 1 in FIG. 1, and the other direction is the direction of arrow 2 in FIG. That is, when the occupant sits on the seat, the occupant's left direction is one direction and the right direction is the other direction.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10)의 사시도인 도 1과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10)의 분해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면,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10)는 포스트(100), 시트 트랙 레일(200), 시트프레임(300) 및 구동 유닛(4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10, and FIG. 2,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10,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10 includes a post 100, a seat track rail 200, It includes a seat frame 300 and a driving unit 400.

포스트(100)의 하부는 차량의 내부 바닥에 결합되고, 포스트(100)의 상부에는 시트 트랙 레일(200)이 결합되고, 시트 트랙 레일(200)에는 구동 유닛(400)이 결합되고, 시트 트랙 레일(200)의 상부에는 시트프레임(300)이 결합된다.The lower part of the post 100 is coupled to the inner floor of the vehicle, the seat track rail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st 100, the driving unit 400 is coupled to the seat track rail 200, and the seat track A seat frame 30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rail 200 .

포스트(100)의 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면, 포스트(100)는 하판(110), 제1 측벽(120), 제2 측벽(130), 상판(140) 및 보강부재(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which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t 100, the post 100 includes a lower plate 110, a first side wall 120, a second side wall 130, an upper plate 140, and a reinforcing member 150. .

하판(110)은 길이가 폭보다 더 긴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차량의 내부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110 may have a plate shape in which the length is longer than the width, and may be coupled to the interior floor of the vehicle.

제1 측벽(120)은 하판(110)의 상면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된다.The first sidewall 120 is vertic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

제1 측벽(120)의 전방 모서리는 삼각형 형태로 후방으로 함몰되고, 후방 모서리는 삼각형 형태로 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된 전방 모서리와 함몰된 후방 모서리에 의해 제1 측벽(120)의 강성이 증가된다.A front edge of the first side wall 120 may be recessed backward in a triangular shape, and a rear edge may be recessed forward in a triangular shape. The stiffness of the first sidewall 120 is increased by the recessed front edge and the recessed rear edge.

제2 측벽(130)은 제1 측벽(120)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하판(110)의 상면 타측에 수직으로 결합된다.The second sidewall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wall 120 in the other direction and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

제2 측벽(130)의 전방 모서리는 삼각형 형태로 후방으로 함몰되고, 후방 모서리는 삼각형 형태로 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된 전방 모서리와 함몰된 후방 모서리에 의해 제2 측벽(130)의 강성이 증가된다.A front edge of the second side wall 130 may be recessed backward in a triangular shape, and a rear edge may be recessed forward in a triangular shape. The stiffness of the second sidewall 130 is increased by the recessed front edge and the recessed rear edge.

상판(140)은 하판(110)의 상측에서 하판(110)과 마주보며, 일측이 제1 측벽(12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측벽(13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 상판(140) 상면의 양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수직 절곡되어 시트 트랙 레일(200)의 양측을 감싸면서 시트 트랙 레일(200)의 하면 및 양측 일부분과 면결합된다.The upper plate 140 faces the lower plate 110 at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110, one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ide wall 12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ide wall 130, respectively. Parts of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140 are vertically bent toward the top to cover both sides of the seat track rail 200 and are surface-coupled with the lower surface and parts of both sides of the seat track rail 200 .

보강부재(150)는 원통이나 'ㄷ'자 형태의 브라켓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이 제1 측벽(120)과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측벽(130)과 결합되어, 제1 측벽(120)과 제2 측벽(130)을 지지한다.The reinforcing member 15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er or a 'c' shaped bracket,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sidewall 12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sidewall 130, so that the first sidewall ( 120) and the second side wall 130 are supported.

제1 측벽(120)과 제2 측벽(130) 사이에 위치한 보강부재(150)에 의해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제1 측벽(120)과 제2 측벽(130)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며, 보강부재(15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150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wall 120 and the second sidewall 130 prevents the first sidewall 120 and the second sidewall 130 from being deformed by the load of the occupant, and the reinforcing member (15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ogs.

또한, 포스트(100)는 슬라이더(160)와 가이드레일(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t 100 may further include a slider 160 and a guide rail 170.

슬라이더(160)는 포스트(100)의 하판(110) 하면에 위치하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slider 160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10 of the post 100, but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가이드레일(170)은 차량의 내부 바닥에 결합되고, 슬라이더(160)가 수용된다.The guide rail 170 is coupled to the inner floor of the vehicle, and the slider 160 is accommodated therein.

슬라이더(160)와 가이드레일(170)을 절단한 사시도인 도 6을 참고하면, 슬라이더(16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캐스터(161)가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캐스터(161)가 구비된 슬라이더(160)의 하부는 가이드레일(170)에 수용된 뒤, 가이드레일(170)을 따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Referring to FIG. 6 , which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slider 160 and the guide rail 170 are cut, a plurality of casters 16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below the slider 160, and the slider with the casters 161 is provided. After the lower part of the 160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rail 170, it slid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170.

시트 트랙 레일(200)의 분해사시도인 도 3과 시트 트랙 레일(200)의 전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시트 트랙 레일(200)은 어퍼레일(210), 로어레일(220), 제1 리테이너부재(230) 및 제2 리테이너부재(2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which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track rail 200, and FIG. 4, which is a front view of the seat track rail 200, the seat track rail 200 includes an upper rail 210, a lower rail 220, a first A retainer member 230 and a second retainer member 240 are included.

슬라이더(210)는 판부재(211), 제1 슬라이딩부재(212) 및 제2 슬라이딩부재(213)를 포함한다.The slider 210 includes a plate member 211 , a first sliding member 212 and a second sliding member 213 .

판부재(211)는 길이가 폭보다 더 긴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시트프레임(300)의 하부에 결합된다. 판부재(211)의 하면 양측에는 제1 슬라이딩부재(212)와 제2 슬라이딩부재(213)가 구비된다.The plate member 211 may have a plate shape in which the length is longer than the width, a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frame 300 . A first sliding member 212 and a second sliding member 21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211 .

제1 슬라이딩부재(212)는 수직판 형상으로 판부재(211)의 하면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가 양측으로 분기된 후, 분기된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제1 슬라이딩부재(212)는 앵커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The first sliding member 212 has a vertical plate shape and extends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211, and after the lower part is branched to both sides, the branche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each bent upward. . That is,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has an anchor-shaped cross section.

제2 슬라이딩부재(213)는 수직판 형상으로 판부재(211)의 하면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가 양측으로 분기된 후, 분기된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제2 슬라이딩부재(213)는 앵커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has a vertical plate shape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211, and after the lower part is branched to both sides, the branched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each bent upward. . That is,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has an anchor-shaped cross section.

로어레일(220)은 판부재(221), 제1 찬넬(222) 및 제2 찬넬(223)을 포함한다.The lower rail 220 includes a plate member 221, a first channel 222 and a second channel 223.

판부재(221)는 길이가 폭보다 더 긴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포스트(100)의 상판(140)에 결합된다. 판부재(221)의 상면 양측에는 제1 찬넬(222)과 제2 찬넬(223)이 구비된다.The plate member 221 may have a plate shape in which the length is longer than the width, and is coupled to the top plate 140 of the post 100 . A first channel 222 and a second channel 22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221 .

제1 찬넬(222)은 판부재(221)의 상면 일측에서 전후방으로 구비되며, 2개의 벽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찬넬이 판부재(221)의 상면 일측에 결합된다.The first channel 222 is provided front and rear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221, and two walls are formed extending upward. That is, a channel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221.

제1 찬넬(222)의 양측벽(222a, 222b) 상단은 서로를 향해 절곡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어, 제1 슬라이딩부재(212)의 하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 찬넬(222)의 양측벽(222a, 222b) 각각은 제이훅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제1 찬넬(222)의 절곡된 양측벽(222a, 222b)은 제1 슬라이딩부재(212)가 제1 찬넬(222)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The upper ends of the side walls 222a and 222b of the first channel 222 are bent toward each other and then bent downward to accommodat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 That is, each of the side walls 222a and 222b of the first channel 222 has a J-hook-shaped cross section. The curved side walls 222a and 222b of the first channel 222 effectively block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channel 222 .

또한, 제1 슬라이딩부재(212)의 하부의 분기된 타단부를 분기된 일단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 형성하고, 제1 찬넬(222)의 내측벽(222b)을 제1 찬넬(222)의 외측벽(222a)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 형성함으로써, 제1 슬라이딩부재(212)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branched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is extended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branched end, and the inner wall 222b of the first channel 222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hannel 222. By extending to a position lower than (222a), the weigh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can be reduced.

제1 찬넬(222)의 하부에는 상판(140)을 사이에 두고 제1 찬넬(222)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제1 측벽(120)이 배치되어 제1 찬넬(222)에 가해지는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At the bottom of the first channel 222, the first sidewall 120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first channel 222 with the upper plate 140 interposed therebetween is disposed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channel 222 is stable. is supported by

제2 찬넬(223)은 판부재(221)의 상면 타측에서 전후방으로 구비되며, 2개의 벽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찬넬이 판부재(221)의 상면 타측에 결합된다.The second channel 223 is provided front and rear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221, and has two walls extending upward. That is, a channel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221.

제2 찬넬(223)의 양측벽(223a, 223b) 상단은 서로를 향해 절곡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어, 제2 슬라이딩부재(213)의 하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2 찬넬(223)의 양측벽(223a, 223b) 각각은 제이훅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제2 찬넬(223)의 절곡된 양측벽(223a, 223b)은 제2 슬라이딩부재(213)가 제2 찬넬(223)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The upper ends of the side walls 223a and 223b of the second channel 223 are bent toward each other and then bent downward to accommodate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 That is, each of the side walls 223a and 223b of the second channel 223 has a J-hook-shaped cross section. The bent side walls 223a and 223b of the second channel 223 effectively block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channel 223 .

또한, 제2 슬라이딩부재(213)의 하부의 분기된 일단부를 분기된 타단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 형성하고, 제2 찬넬(223)의 내측벽(223b)을 제2 찬넬(223)의 외측벽(223a)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 형성함으로써, 제2 슬라이딩부재(213)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nched one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is extended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branched other end, and the inner wall 223b of the second channel 223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channel 223 ( By extending to a position lower than 223a), the weight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can be reduced.

제2 찬넬(223)의 하부에는 상판(140)을 사이에 두고 제2 찬넬(223)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제2 측벽(130)이 배치되어 제2 찬넬(223)에 가해지는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The second sidewall 130 located directly below the second channel 223 with the upper plate 140 interposed therebetween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hannel 223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second channel 223 is stable. is supported by

제1 리테이너부재(230)는 제1 찬넬(222)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며, 복수 개의 볼(231)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복수 개의 볼(231)은 시트 트랙 레일(200)의 작동의 안정성을 위해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리테이너(230)의 폭 방향 양측에도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is locat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first channel 222, and has a plurality of balls 2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balls 231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at track rail 200 for operational stability, and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retainer 230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복수 개의 볼(231)의 상부는 제1 슬라이딩부재(212)의 하부와 밀착되고, 복수 개의 볼(231)의 하부는 제1 찬넬(222)의 내부 바닥과 밀착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한다.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balls 2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and the lower part of the plurality of balls 2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first channel 222 to support the load of the occupant.

제1 리테이너부재(230')는 제2 찬넬(223)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며, 복수 개의 볼(231')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복수 개의 볼(231')은 시트 트랙 레일(200)의 작동의 안정성을 위해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리테이너(23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is locat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second channel 223, and has a plurality of balls 2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balls 231'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at track rail 200 to stabilize the operation, and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retainer 230'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복수 개의 볼(230')의 상부는 제2 슬라이딩부재(213)의 하부와 밀착되고, 복수 개의 볼(230')의 하부는 제2 찬넬(223)의 내부 바닥과 밀착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한다.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balls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and the lower part of the plurality of balls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second channel 223 to support the load of the occupant. do.

제2 리테이너부재(240)는 제1 찬넬(222)의 외측벽(222a) 상단 내부와 제1 슬라이딩부재(212)의 하부의 분기된 일단부의 상측 사이에 비스듬하게 위치하며, 복수 개의 볼(241)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복수 개의 볼(241)은 시트 트랙 레일(200)의 작동의 안정성을 위해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is obliquely located between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222a of the first channel 222 and the upper side of the branched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alls 241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balls 241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for the stability of operation of the seat track rail 200.

복수 개의 볼(241)의 상부는 제1 찬넬(222)의 외측벽(222a) 상단 내부와 밀착되고, 하부는 제1 슬라이딩부재(212)의 하부의 분기된 일단부의 상측과 밀착된다.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balls 24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222a of the first channel 222, and the lowe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branched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제2 리테이너부재(240')는 제2 찬넬(223)의 외측벽(223a) 상단 내부와 제2 슬라이딩부재(213)의 하부의 분기된 타단부의 상측 사이에 비스듬하게 위치하며, 복수 개의 볼(241')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복수 개의 볼(241')은 시트 트랙 레일(200)의 작동의 안정성을 위해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is obliquely positioned between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223a of the second channel 223 and the upper side of the other branched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alls ( 2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balls 241'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for stability of operation of the seat track rail 200.

복수 개의 볼(241')의 상부는 제2 찬넬(223)의 외측벽(223a) 상단 내부와 밀착되고, 하부는 제2 슬라이딩부재(213)의 하부의 분기된 타단부의 상측와 밀착된다.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balls 24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223a of the second channel 223, and the lowe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other branched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구동 유닛(400)은 모터의 구동축에 기어 연결되고, 어퍼레일(210)의 내부에 제자리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리드스크류가 회동되면, 리드스크류는 로우레일(220)에 결합되는 너트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시트프레임(300)은 하부가 시트 트랙 레일(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어퍼레일(210)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 어퍼레일(210)과 함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The drive unit 400 is gear-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and when the lead screw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rail 210 is rotated, the lead screw is screwed with a nut coupled to the low rail 220 It slides forward and backward while The lower part of the seat frame 30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at track rail 200, and when the upper rail 210 slides forward and backward, it slides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upper rail 210.

제1 리테이너부재(230)의 볼(231)과 제2 리테이너부재(240)의 볼(241)은 제1 슬라이딩부재(2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비스듬히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1 리테이너부재(230)의 볼(231)은 제2 리테이너부재(240)의 볼(241)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즉, 제1 리테이너부재(230)와 제2 리테이너부재(240)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그리고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어 제1 슬라이딩부재(212)에 밀착되므로,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어퍼레일(210)이 하강하는 경우 제1 리테이너부재(230)의 볼(231)이 안정적으로 제1 슬라이딩부재(212)를 지지하고, 제2 리테이너부재(240)의 볼(241)은 제1 슬라이딩부재(212)의 하부의 분기된 일단부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balls 231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and the balls 241 of 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are disposed obliquely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The ball 231 of )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ball 241 of 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That is, since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are disposed on different horizontal lines and on different vertical lines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the upper rail 210 is affected by the load of the occupant. ) is descending, the ball 231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stably supports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and the ball 241 of 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stably supports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 the branched end of the lower part moves in the other direction and prevents deformation.

마찬가지로, 제1 리테이너부재(230')의 볼(231')과 제2 리테이너부재(240')의 볼(241')은 제2 슬라이딩부재(2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비스듬히 마주보며 배치되고, 제1 리테이너부재(230')의 볼(231')은 제2 리테이너부재(240')의 볼(241')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즉, 제1 리테이너부재(230')와 제2 리테이너부재(240')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그리고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어 제2 슬라이딩부재(213)에 밀착되므로,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어퍼레일(210)이 하강하는 경우 제1 리테이너부재(230')의 볼(231')이 안정적으로 제2 슬라이딩부재(213)를 지지하고, 제2 리테이너부재(240')의 볼(241')은 제2 슬라이딩부재(213)의 하부의 분기된 타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Similarly, the balls 231'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and the balls 241' of 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are disposed obliquely facing each other with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interposed therebetween, The ball 231'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ball 241' of 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That is, since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are disposed on different horizontal lines and on different vertical lines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the upper rail is moved by the load of the occupant. When the 210 descends, the ball 231'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stably supports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and the ball 241' of 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The other branched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is moved in one direction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또한, 제1 슬라이딩부재(212)의 하부는 제1 리테이너부재(230)의 볼(231)과 경사지게 밀착되고, 제1 슬라이딩부재(212)의 하부의 분기된 일단부의 상측은 제2 리테이너부재(240)의 볼(241)과 경사지게 밀착되고, 제2 슬라이딩부재(213)의 하부는 제1 리테이너부재(230')의 볼(231')과 경사지게 밀착되고, 제2 슬라이딩부재(213)의 하부의 분기된 타단부의 상측은 제2 리테이너부재(240')의 볼(241')과 경사지게 밀착되므로, 어퍼레일(210)의 양측에 위치한 슬라이딩부재(212, 213)는 제1 리테이너부재(230, 230')와 제2 리테이너부재(240, 240')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에 대한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좌우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며 소음이 감소된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is obliqu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ball 231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and the upper side of the branched end of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212 is the second retainer member ( 240) is obliqu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ball 241,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is obliqu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ball 231' of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213 Since the upper side of the branched other end part obliquely adheres to the ball 241' of the second retainer member 240', the sliding members 212 and 213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rail 210 are the first retainer member 230 , 230')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s 240 and 240', there is no play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left and right shaking is prevented and noise is reduced.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10)의 측면도인 도 7을 참조하면, 제1 측벽(120)의 전방의 높이는 후방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측벽(130)의 전방의 높이도 후방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차이로 인해, 시트 트랙 레일(200)은 전방의 높이가 후방의 높이보다 높고, 시트프레임(300)은 상측 전방에서 하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슬라이딩된다. 탑승자가 시트프레임(300)에 앉았을 때, 등과 허리가 등받이 밀착되어 편안감을 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ich is a side view of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10, the front height of the first side wall 120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rear height, and the front height of the second side wall 130 is also the rear height. can be made higher.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the height of the front of the seat track rail 200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rear, and the seat frame 300 slides obliquely from the upper front to the lower rear. When the occupant sits on the seat frame 300, the back and the wais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rest to provide comfort.

전술한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10)는,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시트 트랙 레일과 달리 모노포스트 타입이므로 하부 공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Unlike the conventionally used seat track rail assembly 10,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10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a lower space because it is a monopost type.

또한, 전술한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10)는, 시트 트랙 레일(200) 내에 구비된 볼(231, 231', 241, 241')이 상하좌우에서 어퍼레일(210)을 지지해주므로, 유격이 감소되고 좌우 흔들림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소음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seat track rail assembly 10, the balls 231, 231', 241, and 241' provided in the seat track rail 200 support the upper rail 210 from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play is reduced. and left-right shaking is reduc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noise is reduced.

또한, 전술한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10)는, 어퍼레일(210)의 양단부가 앵커 형태의 단면을 가지므로, 로어레일(220)에서 어퍼레일(210)이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어퍼레일(210)의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seat track rail assembly 10, since both ends of the upper rail 210 have anchor-shaped cross sections, the upper rail 21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lower rail 220, and the upper rail 210 )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durability.

또한, 전술한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10)는, 포스트(100)의 상하부에 2개의 레일이 구비되므로, 종래의 시트 트랙 레일보다 더 넓은 이동 범위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above-described seat track rail assembly 10 is provided with two rails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post 100, it has a wider movement range than the conventional seat track rail.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Expressions (terms, visualized images, etc.) us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merely selected for instrumental purpose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by a limited number of embodiment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reate new embodiments based on the described embodiments within a scop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본원적인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Therefore, the claims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limited by some expressions sh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drawings', and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based on the original technical idea inherent in the entire specification.

10...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
100... 포스트
110... 하판
120... 제1 측벽
130... 제2 측벽
140... 상판
150... 보강부재
160... 가이드레일
170... 슬라이더
171... 캐스터
200... 시트 트랙 레일
210... 어퍼레일
211... 판부재
212... 제1 슬라이딩부재
213... 제2 슬라이딩부재
220... 로어레일
221... 판부재
222... 제1 찬넬
223... 제2 찬넬
230... 제1 리테이너부재
240... 레2 리테이너부재
300... 시트프레임
400... 구동 유닛
10... seat track rail assembly
100... post
110... lower plate
120... first side wall
130... second side wall
140... Top
150... reinforcing member
160... guide rail
170... Slider
171... Caster
200... seat track rail
210... upper rail
211... plate member
212... first sliding member
213... second sliding member
220... lower rail
221... plate member
222... first channel
223... 2nd channel
230... first retainer member
240... level 2 retainer member
300... seat frame
400... drive unit

Claims (6)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로어레일, 상기 로어레일에 수용되는 어퍼레일, 상기 로어레일과 상기 어퍼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어퍼레일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1 리테이너부재 및 상기 로어레일과 상기 어퍼레일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와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서 상기 어퍼레일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제2 리테이너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트랙 레일; 및
상기 시트 트랙 레일의 상부에 결합되는 시트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레일은,
판부재와,
앵커 형태의 단면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판부재의 하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는,
복수 개의 볼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
post;
A lower rail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ost, an upper rail accommodated in the lower rail, a first retain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rail and the upper rail and sliding the upper rail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lower rail and the upper a seat track rail provided between the rails and including a second retainer member that slides the upper rail forward and backward on a different horizontal line from the first retainer member; and
A seat fram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at track rail; includes,
The upper rail,
plate member,
It is formed in an anchor-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includes sliding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he first retainer member,
A seat track rai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al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은,
상면에 상기 슬라이딩부재 각각을 수용하는 찬넬(channel)이 구비되는 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찬넬 각각은,
양측벽이 제이훅 형태의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rail,
It includes a plate member provided with a channel on an upper surface for accommodating each of the sliding members,
Each of the channels,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both side walls are formed in a J-hook-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to surround the slid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테이너부재와 상기 제2 리테이너부재는,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tainer member and the second retainer member,
Seat track rai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on different vertical li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측벽,
상기 하판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는 제2 측벽,
일측이 상기 제1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되, 상면이 상기 로어레일의 하면에 결합되는 상판 및
일측이 상기 제1 측벽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측벽에 결합되는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said post,
lower plate,
A first sidewal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 second sidewall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 upper plate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idewall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idewall, the upper surface being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rail; and
A seat track rai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reinforcing member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side wall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econd side wall.
제5항에 있어서,
차량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
일단이 상기 하판의 하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수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트랙 레일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5,
guide rail coupled to the vehicle,
A slid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the other end accommodated in the guide rail; and
The seat track rail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caste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lider and sliding the slider forward and backward.
KR1020210061152A 2021-05-12 2021-05-12 Seat track rail assembly KR102517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152A KR102517573B1 (en) 2021-05-12 2021-05-12 Seat track rail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152A KR102517573B1 (en) 2021-05-12 2021-05-12 Seat track rail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771A KR20220153771A (en) 2022-11-21
KR102517573B1 true KR102517573B1 (en) 2023-04-05

Family

ID=8423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152A KR102517573B1 (en) 2021-05-12 2021-05-12 Seat track rail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573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027A (en) * 2002-12-16 2004-06-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Seat with double sliding structure
KR20100073370A (en) 2008-12-23 2010-07-01 김이슬 Double can
US9688164B2 (en) * 2015-08-25 2017-06-27 Tesla, Inc. Movable vehicle seat with monopost
KR102527253B1 (en) * 2018-12-17 2023-04-2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seat
KR102613446B1 (en) * 2018-12-20 2023-12-1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seat
KR20210052739A (en) * 2019-10-31 2021-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eat apparatu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771A (en) 202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1431B2 (en) Seat track assembly having load absorption features
AU2011201237A1 (en) Slide device for vehicle seat
US6497397B2 (en) Seat slide apparatus
CN102725175B (en) Seat track system
US10434919B2 (en) Vehicle seat
JP7345294B2 (en) Changing the seating arrangement in the cabin
US20180339628A1 (en) Vehicle seat
CN112224098B (en) Sliding rail with enhanced rigidity modulus
KR102517573B1 (en) Seat track rail assembly
CN104139715A (en) Vehicle seat supporting device
JP4349116B2 (en) Vehicle fuel tank arrangement structure
KR200406635Y1 (en) Automobile Power Seat Rail
JP2022046167A (en) Vehicle bottom part structure
WO2018020767A1 (en) Vehicle seat
KR100925953B1 (en) Seat-Linked footrest
JP3137381B2 (en) Car seat slide structure
JP4581388B2 (en) Lowe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JP7182081B2 (en) vehicle cab structure
JP7145408B2 (en) Vehicle interior structure
US20170291509A1 (en) Passenger support
KR100502232B1 (en) Slide track of seat for automobile
KR20080054990A (en) Center floor reinforcing structure in vehicle
JPH04127020U (en) seat truck
JPH0525314Y2 (en)
JP2022035430A (en) Vehicle lower pa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