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7545B1 -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7545B1
KR102517545B1 KR1020180144083A KR20180144083A KR102517545B1 KR 102517545 B1 KR102517545 B1 KR 102517545B1 KR 1020180144083 A KR1020180144083 A KR 1020180144083A KR 20180144083 A KR20180144083 A KR 20180144083A KR 102517545 B1 KR102517545 B1 KR 102517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terminal
timer
information
dangerou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0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7291A (en
Inventor
장광영
Original Assignee
장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1248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80088000A/en
Application filed by 장광영 filed Critical 장광영
Priority to KR102018014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7545B1/en
Publication of KR20180127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2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7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75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a user using a timer,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ime range information for counting down the timer set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countdown execution request of the timer from the user terminal, executing a countdown of the timer during the time range, and from the time when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is terminated When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may include sharing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s.

Figure 112018115928717-pat00003
Figure 112018115928717-pat00003

Description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Method for sharing user's dangerous state using timer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입력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범위 동안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수행하되,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More specifically, when a countdown execution request is input, the timer counts down for a preset time range, but when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until the timer expires,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to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s.

최근 들어, 사회적 약자의 범주에 속하는 여성, 어린이 및 노약자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의 발생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Recently, the incidence of crimes against women, children and the elderly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s rapidly increasing.

특히, 근래에는 강간, 강제 추행과 같이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발생할 확률의 감소폭이 다른 범죄에 비해 가장 적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최근 행정자치부가 공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자료에 따르면, 1인가구의 세대주는 모두 736만106명으로서 이중 20~30대 여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사회적 약자 중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의 발생은 앞으로도 줄어들지 않고 계속해서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t is expected that the decrease in the probability of crimes against women, such as rape and indecent assault, will be the smallest compared to other crimes. A total of 7,360,106 people, among whom women in their 20s and 30s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and it is predicted that crimes against women among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will continue to occur in the future.

과거에는 상기 사회적 약자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의 경우, 일몰 이후의 시간에는 외출을 삼가하거나 혹은 집으로 귀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최근 사회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번화가의 간판 및 구획마다 설치된 가로등의 수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현대 사회의 생활 패턴에 큰 변화를 불러와, 보다 많은 사람들이 늦은 시간까지 외부 활동을 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In the past, most people, including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tended to refrain from going out or return home after sunset. It has increased, and this phenomenon has brought about a big change in the life pattern of modern society, and more people tend to do outside activities until late.

위와 같이, 보다 많은 사람들이 늦은 시간까지 외부 활동을 하게 되는 현상은, 사람들의 외부 활동 가능 시간을 증가시킨다는 장점을 제공하였으나, 그 이면으로는 그들로 하여금 외부에서 발생되는 범죄의 위험성에 노출될 확률 또한 더욱 증가시키는 원인으로서 작용하게 되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phenomenon that more people engage in outdoor activities until late hours provide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people's available time for outdoor activities, but on the other hand, the probability that they are exposed to the risk of crimes occurring outside It also served as a cause of further increase.

결국, 현재의 시대에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폭력, 강도, 살인, 성폭행, 납치 등 위협적인 범죄 사건의 피해자로서 다양한 위험에 빠지게 될 수도 있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는 상태이다.After all, many people living in the present age are victims of threatening crimes such as violence, robbery, murder, sexual assault, and kidnapping, and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may fall into various dangers.

그에 따라, 최근 번화가, 도로 이외에도 주택가, 골목길 등 지역 곳곳에 많은 수의 CCTV가 설치되고 있어, 범죄 발생의 예방에 어느 정도 기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기 CCTV의 경우 범죄 예방 보다는 범죄가 발생된 이후 현장 분석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아 실질적인 범죄 예방의 효과는 아직도 미흡한 상황이다. 한편, 위와 같은 범죄 사건은 주로 심야 시간에 발생되기는 하나, 반드시 그러한 시간적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특히 엘리베이터, 골목길, 택시, 공중화장실, 가정집 등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협소한 노출 범위를 갖는 장소에서는 범죄 사건이 구체적인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large number of CCTVs have been installed all over the area such as residential areas and alleys in addition to downtown streets and road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crime to some extent. It is more often used for analysis, etc., so the actual effect of crime prevention is still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above criminal cases mainly occur in the middle of the night, there is not necessarily such a time limit. This occurs frequently regardless of specific time.

종래에는, 위와 같은 범죄 사건이 발생된 경우, 위급 상황에 놓인 피해자가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소형화 된 구조 요청 장치 등이 제작되어 보급되기도 하였으나, 범죄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급박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피해자가 이러한 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한다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으므로, 그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the above criminal case, a miniaturized rescue request device has been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so that the victim in an emergency can ask for help from others. Since there is a practical difficulty in requesting help from others in real time using such a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its effectiveness is insufficient.

그런데, 위와 같이 피해자가 예상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되는 범죄 사건의 경우에는 그 예방이나 대응이 매우 어려울 수 있으나, 만약 어느 정도 예상이 되는 상황, 즉 어두운 골목길을 걸어가야만 하는 상황, 늦은 밤 택시를 타고 집으로 귀가해야만 하는 상황, 가정집에 정확한 신원을 확인하기 어려운 방문자가 찾아온 상황 등과 같이 범죄 사건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을 어느 정도 예견할 수 있는 상황의 경우에는, 본인 스스로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거나 혹은 미리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놓으면 위와 같은 범죄 사건의 발생 등을 상당 부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며, 혹은 신속한 보호 요청을 통해 빠른 대처가 가능할 수도 있다.By the way, in the case of a crime incident that occurs in a situation where the victim is not expecte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very difficult to prevent or respond to it. In the case of situations where it is possible to predict to some extent that a criminal incident may occur, such as a situation in which a person has to return home or a visitor who is difficult to identify accurately, the individual pays special attention or protects himself in advance. If measures are taken to protect,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above crimes to a large extent, or it may be possible to respond quickly through a quick request for protection.

만약,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범죄 사건이 일어날 수도 있음이 어느 정도 예견될 수 있는 상황에서, 만약 본인 스스로 단순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 외에 범죄 사건이 발생되지 않음을 해제조건으로 하여 미리 외부로 보호 요청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범죄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급박한 순간에 피해자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더라도 혹은 타인에게 별도의 보호 요청을 수행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위와 같은 범죄 사건이 발생 될 확률을 최대한 감소시키되, 범죄 사건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위와 같은 해결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f, as mentioned above, in a situation where it can be foreseen to some extent that a criminal incident may occur, if the person himself or she simply pays attention, the request for protection is made to the outside in advance on the condition that no criminal incident occurs. If it is possible, even if the victim does not take any special measures at the urgent moment when the crime is occurring or if he or she fails to make a separate request for protection to others, the probability of the above-mentioned crime will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damage caused by the crime will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will be able to minimize Therefore, the above solu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requir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3378호 (공개일:2015년10월14일)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83378 (published on October 14, 2015)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for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행된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sharing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when the user's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not received until the countdown of the timer execu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ends are do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행된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녹음 기능 및 녹화 기능을 활성화 시켜, 상기 녹음된 음성 및 녹화된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ate the recording function and the recording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s request to release the dangerous state is not received until the countdown of the timer execut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riterion ends, and the recording It is to propose a method of sharing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recorded voice and recorded video with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비밀번호정보 또는 지문정보를 이용하되, 미리 지정된 제1 비밀번호정보 또는 제1 지문정보가 아닌 제2 비밀번호정보 또는 제2 지문정보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password information or fingerprint information as a means for a user to input a request to release a dangerous state, but to use second password information or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other than the first password information or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designated in advance. When information is input, a method of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with an external device is propo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various methods for executing the countdown of a tim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안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above method.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 method for a server to share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to send time range information for countdown of the timer set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countdown execution request of the timer from the user terminal, executing a countdown of the timer during the time range, and from the time when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is terminated When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may include sharing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되, 상기 사용자의 위험 해제를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in which a server shares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ngerous state cancell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is terminated If so,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erminating the timer and displaying, on the user terminal, a risk release message notifying the user of the risk releas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 또는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비밀번호 정보는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제2 비밀번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문 정보는 제1 지문 정보 또는 제2 지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method for a server to share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ngerous state cancellation reques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user, The password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of first password information and second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may include any one of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and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상기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타이머를 종료하고 상기 위험 해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되,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상기 제2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2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a server to share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password information or the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The timer is terminated and the danger release message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but when at least one of the second password information or the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nger state release request, the at least on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share the risk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의 연장 요청을 상기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시간 범위 정보를 미리 정해진 범위의 시간만큼 연장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a server to share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for the countdown from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the countdown is executed to the end of the countdown When a request for extending the range information is received together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the time range information may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range of ti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되는 상기 수신자 단말은, 경찰서, 소방서, 의료 기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전 기관 단말 및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a server to share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terminal sharing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and a medical institu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previously set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음성 녹음 기능 및 영상 녹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 method in which a server shares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ngerous state cancell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is terminated If not, it can be controlled to execute the voice recording function and the video recording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는, 상기 음성 녹음 기능 및 상기 영상 녹화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음성 정보 및 영상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method in which a server shares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ncludes voice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voice recording function and the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기 설정된 특정 시간이 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특정 장소에 진입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과 기 설정된 외부 장치와의 간격이 소정 범위만큼 멀어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외부 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 method in which a server shares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ntdown execution request of the timer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s input or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satisfied.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when a predetermined specific time arrives,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a predetermined specific pla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is farther by a predetermined range, the This may include any one of cases in which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signal from a preset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세기의 위험 알림 소리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울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method for a server to share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s shared, a danger notification sound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sounds through the user terminal. can be controll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sharing a dangerous state of a user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user terminals and a device that shares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ime range information for counting down the timer set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o count down the timer If received, the timer is counted down during the time range for the countdown, and the critical state cancellation reques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when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ends,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share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at least on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이동식 장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시간 범위 동안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는 타이머 및 상기 이동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 mobile device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ternal devices, and for a time range input from the user. A timer for counting dow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device, wherein the controller counts down the timer during the time range, When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until the end of the dangerous state, control may be performed to share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the one or more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s described below can be obtained. However, effects obtainabl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has an effect that can be proposed.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행된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sharing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when the user's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not received until the countdown of the timer execut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terminated is proposed. There are possible effects.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행된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녹음 기능 및 녹화 기능을 활성화 시켜, 상기 녹음된 음성 및 녹화된 영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s request to release the dangerous state is not received until the countdown of the timer execu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terminated, the recording function and recording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are activated, and the recorded A method of sharing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ncluding voice and recorded video with an external device has an effect that can be proposed.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제1 비밀번호정보 또는 제1 지문정보가 아닌 제2 비밀번호정보 또는 제2 지문정보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어, 위험 상태에 놓인 사용자가 가해자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외부 장치로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password information or the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other than the first password information or the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designated in advance is input, a method of sharing the user's risk state with an external device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in a dangerous state can share the user's dangerous state with an external device despite the perpetrator's pressure.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실행된 타이머가 계속되고 있는 중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에 공유하기 전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사용자가 단순 조작 실수로서 위험 상태를 외부 장치에 알리는 행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f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 user request while a timer execu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continuing,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is shared with an external device, thereby sharing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ince a precondition that all timers must be running may be included, an action of notifying an external device of a dangerous state as a user's simple manipulation error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various methods for executing the countdown of the timer can be proposed.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ven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above method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포함된 비밀번호 정보 및 지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외부 장치로 공유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과 서버의 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위치정보가 포함된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타이머가 계속되고 있는 중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로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executing a countdown of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password information and fingerprint information included in a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formation about a user's dangerous state shared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perform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about a user's dangerous stat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haring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a user with an external device when a user requests while a timer is run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Only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only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some cases,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may b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centering on core functions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cribe like compon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comprising" or "including"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do.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 "...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Further, "a or an", "one", and similar related terms,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both singular and plural 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or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It can be used in the meaning including.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intended to support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it pertains. The use of these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및 네트워크(30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 a server 200, and a network 300.

다만, 이하에서 언급되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는 각각 하나의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네트워크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하나 이상의 서버(예를 들어, 관리 서버, 중개 서버, 중계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사용자 단말 및 서버 간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However,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mentioned below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FIG. 1 shows only one user terminal, server, and network, respectively. , In contrast, in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one or more user terminals, one or more servers (eg, management server, mediation server, relay server or client server) and one or more networks may exist, and each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may be connected through different networks.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서버(200)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들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interpreted as a concept meaning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signals with other devices including the server 200 .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는 미리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과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aded Software)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applications may be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in particular, an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related to a method of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r an application including embedded software may be installed.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API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웹사이트(WEBSITE)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That is, the method of sharing the user's dangerous state using the timer described below may be performed through an application including an API or embedded software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website It can also be done through (WEBSITE).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자체적으로 상기 서버(20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혹은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200)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or signals to or from the server 200 by itself, or transmit or receive data or signals to or from the server 200 through the one or more applications. there is.

이 때, 상기 전송되거나 수신된 데이터 또는 신호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의 실행과 관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In this case, the transmitted or received data or signal may be related to execution of a method of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일례로는, 단말 장치, 터미널(Terminal),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 As an example of the user terminal 100, a terminal device, a terminal, a mobile station (MS), a mobile subscriber station (MSS), a subscriber station (SS), an advanced mobile station (AMS), and a wireless terminal (WT) ), a 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device, a machine-to-machine (M2M) device, and a device-to-device (D2D device) device.

물론, 어디까지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상술한 예시들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또는 향후 개발될 데이터 또는 신호 전송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Of cours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user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including all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or signals that are currently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or develop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서버(20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객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서버(200)는 추가적으로 중개 서버 및/또는 클라이언트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server 200 means an objec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t least one other device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00 additionally includes a mediation server and/or a cli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서버(200)의 일예로 클라우드(Cloud) 서버,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어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20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객체를 지칭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f the server 200, a Cloud server, a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server, a Telephony Application server, an Instant Messaging (IM) server, a 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MGCF) server, MSG ( It may include a Messaging Gateway (CSCF) server and a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 server.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refers to it.

한편, 네트워크(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상기 서버(200) 간의 텍스트(Text), 디지털 이미지, 디지털 영상, 디지털 음성 정보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network 300 means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text, digital image, digital video, and digital voi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The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For example, it may be an IP (Internet Protocol) network that provides larg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s through Internet Protocol (IP) or an All IP network integrating different IP networks.

또한, 상기 네트워크(300)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LTE-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300 includes a wired network, a Wibro (Wireless Broadband)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CDM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network and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LTE advanced ( It may be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LTE-A,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network,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m.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video (A/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d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ncluded.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100)을 이루는 필수적인 것들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용자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to form the user terminal 100, a user terminal 100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100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and the like.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서버(200)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server 200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nd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includes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nd Wideband CDMA (WCDMA) (not limited thereto). It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with on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to or external to the display device 100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 (Long Term Evolution) (but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ike may be used.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From the viewpoint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at performs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t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112).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or the like may be used.

위치정보 모듈(115)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According to the current technology, the GPS module 115 calculates distance information and accurate time information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then applies trigonometry to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obtain a three-dimensional current according to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Currently, a method of calculating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in the calcul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using another satellite is widely used. In addition, the GPS module 115 may calculate speed information by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current location in real time.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가 상기 서버(200)로 하여금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so that the server 200 can sha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with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s. It can be obtain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n audio/video (A/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An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본 발명에서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서버(20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카메라(121)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 주변의 모습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er 200 does not receive a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time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ends, the server 200 detects the camera 121 ) can be controlled to capture the surroundings of the user terminal 100.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through a microphone in a call mode, recording mode,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se of a call mode. Various noise cancellation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2 .

본 발명에서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서버(20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마이크(122)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 주변의 음성을 녹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er 200 does not receive a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time when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ends, the server 200 detects the microphone 122 ) can be controlled to record the voice around the user terminal 100.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constant voltage/capacity),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사용자 단말(100)의 방위, 사용자 단말(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40 controls the user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ing/closing state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whether or not there is contact with the user, th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cceleration/decel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like. )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examples of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gyroscop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In addition, it may sense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ying power and whether or not the interface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Meanwhi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relation to the touch screen.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ouch,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51, a sound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 haptic module 154, and a projector module ( 155), etc. may be included.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와 관련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user terminal 100 . For exampl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a method of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may be displayed using a timer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존재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display) and a 3D display, and the display unit 151 may be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user terminal 100.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a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or a touch pad.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 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or a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touched position and area, but also the pressure upon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s) is sent to a touch controller (not shown).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Thus,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has been touched.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area of the display device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without mechanical contact by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게임 모드 혹은 일정 관리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일정 관리에 입력한 일정이 수행되어야 할 시기가 도래한 경우 출력되는 알림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 game mode, or a schedule management mode. can do.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00 (eg, a notification output when a schedule entered in schedule management arrives).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사용자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 혹은 진동과 알림 신호의 혼합된 형태 등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the user terminal 100 . The alarm unit 153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or a mixed form of vibration and notification signal. Since the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52,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audio output module 152 are a kind of alarm unit 153. may be classified.

본 발명에서 상기 알람부(153)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의 위험 해제를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가 표현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arm unit 153 may also output an alarm notifying the user terminal 100 when a danger release message notifying the user of danger release is expressed.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A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The strength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일정 관리 정보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일정 입력 횟수, 다른 사용자와의 일정 조율 횟수 등)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programs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80, or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output data (eg, schedule management information, etc.). .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the frequency of use of each of the pieces of data (eg, the number of constant inputs, the number of times of constant coordination with other users, etc.).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6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a disk and an optical disk.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100 may operate in relation to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사용자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for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user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user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O (Input/Output) port,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일정 관리,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user terminal 100 . It performs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for example, schedule management,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playing multimedia.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ny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18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은,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method of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a server and a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aded Software)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including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or embedded softwa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may control the application.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그 방법의 실시를 위해 별도로 제작된 이동식 장치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서버 및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내용은 상기 이동식 장치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However,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separately manufactured mobile devic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ethod.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it is performed by a server and a user terminal,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상기 이동식 장치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입력 버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입력 버튼을 클릭하는 횟수 내지 클릭하는 시간에 따라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input button implemented in hardware/software,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may be se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input button is clicked or the time during which the input button is clicked.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사용자는,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시간 범위 정보는 시(hour), 분(minute), 초(second) 등 다양한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참고하면, 타이머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시간 범위 정보가 10분으로 설정된 타이머의 모습(401)이 도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 for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first input time range information for counting down a timer through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time range information includes hours, It is possible to set in various ranges such as minutes and second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referring to FIG. 4 , an example of a timer is shown, and FIG. 4 shows a timer 401 in which the time range information is set to 10 minutes.

한편,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범위 정보는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server may receive time rang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time range information may be for counting down the timer.

상기 입력된 시간 범위가 타이머에 설정된 이 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할 수 있다. (S301 내지 S302)After the input time range is set in the timer, if the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counting down the timer from the user terminal, the server may count down the timer during the time range. (S301 to S302)

이 때, 상기 카운트 다운은, 만약 상기 시간 범위가 1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10:00으로부터 시작하여 09:59, 09:58, 09:57, 09:56과 같이 1초 단위로 차감되면서 00:00이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time range is set to 10 minutes, the countdown starts from 10:00 and is subtracted by 1 second, such as 09:59, 09:58, 09:57, and 09:56 It can go on until 00:00.

한편,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은, 상기 사용자가 그에 대한 별도의 입력을 수행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미리 정해진 기준이 충족될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별도 입력이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necessary for the countdown to be execute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server when the user performs a separate input thereto, and in addition, if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me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by the user terminal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input from the user.

즉,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가 있는데, 이는 상기 사용자가 머지 않아 범죄 사건이 발생될 수도 있다는 느낌이 든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가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서 상기 타이머를 실행시키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That is,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which is for the user to protect himself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feels that a criminal incident may occur in the near future. It can be seen as a case of executing the timer as a measure.

위와 같이, 머지 않아 범죄 사건이 발생될 수도 있다는 느낌이 든 상황이라 함은, 이를 테면, 어두운 골목길을 걸어가야만 하는 상황, 늦은 밤 택시를 타고 집으로 귀가해야만 하는 상황, 공중 화장실에 들어가야만 하는 상황, 누군가 뒤?i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한 상황, 인적이 드문 곳에 위치한 차에 타거나 내려야만 하는 상황, 가정집에 정확한 신원을 확인하기 어려운 방문자가 찾아온 상황 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As above, situations in which there is a feeling that a criminal incident may occur in the near future are, for example, a situation in which you have to walk down a dark alley, a situation in which you have to take a taxi home late at night, and a situation in which you have to enter a public toilet , a situation in which someone is aware that someone is behind them, a situation in which they have to get in or out of a car located in an unoccupied place, or a situation in which a visitor who is difficult to identify accurately has come to a home.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을 가하면,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서버는 상기 타이머를 실행시켜 상기 사용자가 기 입력한 시간 범위 동안 카운트 다운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applies an input for executing the countdown of the timer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accordingly, the server executes the timer so that the user It can be controlled to count down during a previously entered time range.

또한,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에도 상기 서버로 전송될 수가 있다. Also,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even when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satisfied, as described below.

도 5(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전송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기준을 설정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a) , as a method for executing a countdown of a ti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for setting a predetermined criterion to which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can be transmitted is shown.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위험 예측 순간에 별도의 입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전송될 수 있도록 기준 내지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가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5(a), in the present invention, criteria or conditions can be set in advance so that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even if the user does not apply a separate input at a predetermined risk prediction moment. there is.

이 때, 설정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기준은, (1) 기 설정된 특정 시간이 된 경우 (501), (2)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정된 특정 장소에 진입한 경우(혹은 기 설정된 특정 장소를 기준점으로 할 때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진입한 경우, 502), (3) 기 설정된 외부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 연동이 이루어진 후 양자의 간격이 소정 범위만큼 멀어진 경우, (4) 기 설정된 외부 장치의 신호(예를 들어, 비콘(Beacon), 블루투스 신호, QR 코드 인식 등)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503), (5) 갑작스런 속도 변화(예를 들어, 1분 사이에 시속 50km 이상의 속도 변화가 발생한 경우 등)가 일어난 경우, (6) 상기 사용자 단말을 미리 정해진 횟수 및/또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흔드는 경우, (7)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사용자와 친구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또 다른 방법에 의해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준 내지 조건을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criteria that can be set are (1) when a predetermined specific time arrives (501), (2) when the user terminal enters a predetermined specific place (or a predetermined specific place is used as a reference point) 502), (3)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reset external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becomes farther by a predetermined range after interworking between the preset external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4) a signal from the preset external device (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beacon, Bluetooth signal, QR code recognition, etc. (503), (5) sudden speed change (eg, speed change of 50 km/h or more in 1 minute) (6) shaking the user terminal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o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7) other users having a friend relationship with the user within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It can be done including any of the cases where there is a request.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form,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criteria or conditions for transmitting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may be set by another method.

이 때, 상기 외부 장치는 엘리베이터, 골목길, 택시, 공중화장실, 가정집 등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협소한 노출 범위를 갖는 특정 장소 혹은 미리 설정된 특정 영역에 설치된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장치는 블루투스, 비콘 또는 QR 코드 등 통신 신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내지 도구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device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having a narrow exposure range from people's eyes, such as an elevator, an alley, a taxi, a public toilet, or a home, or a devic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pecific area,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Bluetooth, beacon or It may be a device or tool capable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signal such as a QR code.

따라서, 상기 외부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예컨대,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특정 장소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입하게 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여금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user of the user terminal enters a specific place classified as a dangerous area where the external device is installed, and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user terminal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may be set to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또한,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장소로의 진입이 예상될 수 있는 특정 영역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지나치게 될 때, 상기 특정 영역에 설치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그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외부 장치와의 간격이 소정 범위만큼 멀어질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of the user terminal passes a specific area in which entry into a place classified as a dangerous area can be expected, interworking between the external device installed in the specific area and the user terminal is made, and then the Lat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becomes farther by a predetermined range,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may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외부 장치와의 간격이 소정 범위만큼 멀어졌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특정 장소로의 진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can enter a specific place classified as a dangerous area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range.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장치는 고유의 식별 번호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장치가 엘리베이터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고유 번호(504)가 상기 외부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xample, if the external device is attached to an elevator, the unique number 504 of the elevator may be set as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ternal device as shown in FIG. 5(b).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이 입력되지 않아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될 경우, 상기 외부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와 함께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not input until the timer expires and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s shared with at least one receiver terminal,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ternal device is the user's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one or more receiver terminals together with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이와 같이, 외부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In this way, the reason why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ternal device is included is as follows.

예를 들어,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까지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이 입력되지 않는 상황, 즉, 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가 위험 상태에 놓여진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실외(outside)라면, GPS 등을 통하여 식별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자 단말 측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s dangerous state cancellation request is not input until the timer expires, that i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or user terminal) is in a dangerous state, if the user's location is outside, GPS, etc.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dentified through may be included in the risk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shared with one or more receiver terminals, and in this case, the receiver terminal will be able to easily grasp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

그러나, 만약 위험 상태에 놓여진 상기 사용자의 위치가 실내(inside)라면, GPS 등을 통해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정확하게 확인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수신하더라도, 상기 수신자 단말 측에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손쉽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location of the user in a dangerous state is insid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GPS or the like. Even if status information is received,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it may be difficult for the receiver terminal to easil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와 함께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위험 상태에 놓인 상기 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가 실내에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수신자 단말 측에서 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ternal device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so that even if the user (or user terminal) in a dangerous state is indoors, the receiver terminal side You can pinpoint its location.

결국,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위험 예측 순간에 별도의 입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상기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이 전송될 수 있도록 기준 내지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가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각각 마다 개별적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standards or conditions in advance so that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can be automatically transmitted even if the user does not apply a separate input at a predetermined risk prediction moment. Each can be individually set differently.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위험이 예측되는 순간에 미리 타이머가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머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이 없는 경우 제3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timer may be executed in advance at the moment when danger is predic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or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when there is no request from the user to release the dangerous state until the timer expires The risk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shared with a third party.

일반적으로, 범죄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급박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에는 피해자가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한다는 것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범죄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 급박한 상황 속에서 사용자가 특정 행동(예를 들어, 소리 지르기, 전화 신고, 구조 요청 장치 버튼 클릭, 도움 요청 등)을 하지 않더라도 혹은 할 수 없더라도, 범죄 사건이 발생되지 않음을 해제조건으로 하여 외부에 도움 요청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각별한 효과가 존재할 수 있다.In general, in an urgent and confusing situation in which a criminal incident is occurring, it may be difficult for a victim to ask for help from another person. For example, shouting, reporting a phone call, clicking a rescue request device button, requesting help, etc.) even if you do not or cannot do so, you can request help in real time on the condition that no criminal incident occurs. There may be special effects.

한편,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이후,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 (S309)Meanwhile, after the countdown of the timer is executed, if a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until the countdown is terminated, the server transmits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to at least on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 can be shared with (S309)

이 때,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되는 상기 수신자 단말은, 경찰서, 소방서, 의료 기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전 기관 단말일 수 있다. 그 뿐 아니라 상기 수신자 단말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가족, 친구, 친척, 남자친구 등, 70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receiver terminal sharing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a safety institution termi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and a medical institu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the receiver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ther user terminal (eg, family, friend, relative, boyfriend, etc., 701 ) previously set by the user. .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수신자 단말로서 상기 안전 기관 단말 및 상기 사용자의 지인 등을 상기 사용자가 미리 등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ossible for the user to pre-register the safety agency terminal and the user's acquaintance as a receiver terminal through which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shar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음성 녹음 기능 및 영상 녹화 기능을 실행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S308)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er does not receive a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when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ends, the voice recording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it can be controlled to execute the video recording function. (S308)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되는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녹음 기능 및 상기 영상 녹화 기능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음성 정보 및 영상 정보(예를 들어, 동영상 정보 및/또는 사진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702 내지 704)In this case, the risk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shared by at least on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 is, as shown in FIG. 7 , audio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voice and video recording functions (eg For example, video information and/or photo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702 to 704)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연결 중인 AP(Access Point) 등을 통해 측정된 정보일 수도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s mentioned above, may be information measured using GP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access point (AP)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It may also b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lik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1)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이머가 실행되는 시점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2) 상기 위험 상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전송되는 시점(혹은 전송되기 직전)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one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es (1)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at the time the timer runs and (2)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at the time (or immediately before transmission) when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one or more receiver terminals There may be.

본 발명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각각은 설정에 따라 서로 다른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각각은 그 측정이 이루어진 때마다 개별적으로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위험 상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전송되는 시점에 상기 측정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한꺼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각각은 그 측정 및 전송 시점 각각마다 전부 또는 일부가 서로 같은 수신자 단말 혹은 서로 다른 수신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one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may be location information measured according to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according to settings. In addition, each of the one or mor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dividually transmitted to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s each time the measurement is made. However, unlike this,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one or more receiver terminals. may include all of the one or more pieces of the measured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 them all at once. In addition, all or part of the one or more pieces of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same receiver terminal or to different receiver terminals at each measurement and transmission time point.

본 발명에서 수신자 단말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가 전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The reason why one or mor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되는 특정 시점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만을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할 경우, 만약 상기 사용자 단말(또는 사용자)이 정확한 위치 측정이 어려운 장소(예를 들어, 실내, 엘리베이터, 지하주차장 등)에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면, 상기 수신자 단말로 공유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그 정확도가 떨어져 구조 행위 등 원활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For example, if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when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is shared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if the user terminal (or user) is in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location (eg For example, indoors, in an elevator,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et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hared with the receiver terminal has low accuracy, making it difficult to perform follow-up measures such as a rescue operation.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최초로 위험 상태를 인지하거나 혹은 최초로 위험 상태에 놓이게 된 장소(901)와 실제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되는 장소(902) 간에는 다양한 외부 상황(예를 들어, 자동차를 이용한 납치 등)에 따라 일정한 거리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various external situations (for example, , hijacking by car, etc.), a certain distance interval may exist.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1)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이머가 실행되는 시점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와 (2) 상기 위험 상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전송되는 시점(혹은 전송되기 직전)에 측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모두가 상기 수신자 단말로 전송될 경우, 보다 정확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위험 상태에 놓인 상기 사용자 단말(또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 이동 경로 등이 추적될 수 있어 구조 행위 등 후속 조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refore, a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at the time the timer of the user terminal runs and (2)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the one or more receiver terminals. When al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measured at the time (or immediately before transmission)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o detect the user terminal (or user) in a dangerous state. Movement speed, movement path, etc. can be tracked, so that follow-up actions such as rescue actions can be carried out smoothl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세기의 위험 알림 소리(예를 들어, 사이렌 소리 등)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울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705)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rver does not receive a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when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ends, as shown in FIG. A danger notification sound (eg, a siren sound, etc.)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may be controlled to sound through the user terminal. (705)

이 때, 상기 위험 알림 소리의 미리 정해진 세기는 86 데시벨(dB)이상의 세기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intensity of the danger notification sound is preferably set to an intensity of 86 decibels (dB) or mo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according to user settings.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imer is counted down, the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imer has started counting down to another user's terminal previously set by the user.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를 통해 혹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직접, 상태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혹은 온라인 대화방 개설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 소정의 시간 범위가 추가적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other user terminal receiv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untdown of the timer has started may transmit a status sharing request message or open an online chat room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rver or directly to transmit the message,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time range may be additionally set.

이 때, 상기 상태 공유 요청 메시지 혹은 온라인 대화방을 통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버튼 클릭 또는 답변 메시지를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상태 공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status sharing request message or the message through the online chat room may respond to the status sharing request by transmitting a button click or a response message to the other user terminals.

그러나, 만약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에게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However, if no response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server may share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at least one receiver terminal including the other user terminal.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이후 상기 타이머의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정보 공유 요청(또는 위험 상태 정보 알림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imer counts down and before the timer counts down, receiving a dangerous state information sharing request (or a dangerous state information notific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server may share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at least on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

즉, 사용자가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이후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에 이미 위험 상태에 놓여짐을 인지하거나 확신하는 경우에는 보다 신속하게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필요가 있으므로, 아직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이라도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라면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user recognizes or is convinced that the timer is already in a dangerous state after the timer counts down and before the timer counts down,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needs to be shared more quickly, so the timer counts down. Even before the download is finished, if there is a request from the user,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shared with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s.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머가 12시 시침의 위치(1001)에서 시작되어 다시 12시 시침의 위치(1001)로 돌아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1분으로 시간 설정된 경우를 상정하면,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이후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되도록 설정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아직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 즉 타이머가 2시 시침의 위치(1002)에 근접하여 아직 카운트 다운의 종료까지 50초의 시간이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만약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라면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it is assumed that the timer is set to 1 minute, which is the time required for the timer to start at the position of the 12 o'clock hour hand (1001) and return to the position of the 12 o'clock hour hand (1001). If, after the timer counts down,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is shared with the one or more receiver terminals only when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until the timer counts down. Not only can it be set, but even before the timer's countdown ends, that is, even if the timer is close to the position 1002 of the 2 o'clock hour hand and 50 seconds are still left until the countdown ends, if the user's If there is a request,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shared with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s.

종래에도 위와 같이 위급 상황에 놓인 사용자(또는 피해자)가 외부의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형화 된 구조 요청 장치 등이 존재하였으나, 이러한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구조 요청을 위한 버튼 등을 실수로 잘못 누른 경우에도 외부의 수신자 단말로 구조 요청 등이 이루어져, 잘못된 구조 요청이 전송되는 상황을 종종 발생시키곤 하였으며, 그에 따라 반복된 실수 후 진정한 구조 요청이 있는 때에도 이를 실수에 의한 구조 요청으로 취급하여 실제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서도 구조를 받지 못하게 되버리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타이머가 계속되고 있는 중에 상기 사용자가 별도로 위험 상태 정보 공유 요청을 하면, 그 때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 장치에 공유하기 전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Conventionally, there has been a miniaturized rescue request device for allowing a user (or victim) in an emergency situation to request help from an outside person, but such a device is such that the user accidentally presses a button for rescue request. Even when a wrong press is made, a rescue request is made to the external receiver terminal, which often causes a situation in which an erroneous rescue request is transmitted. As a result, even when there is a true rescue request after repeated mistakes, it is treated as a rescue request due to a mistake and the actual rescue request is made. There was a case where a serious problem occurred where rescue was not received even in a situation where rescue was required.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separately requested to shar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while the timer was running, At this time, by sharing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the external receiver terminal, a precondition that a timer must be running before sharing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may be further included.

따라서, 사용자가 단순 조작 실수로서 위험 상태를 외부의 수신자 단말에 알리는 행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타이머 기능이 존재하지 않은 종래의 구조 요청 장치 등에 비해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user from notifying the external receiver terminal of a dangerous state as a simple operation mistake, and through this, an error can be reduced compared to a conventional rescue request device having no timer function. It work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를때, 상기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별도로 위험 상태 정보 공유 요청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미리 설정된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미리 정해진 횟수 및/또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흔드는 경우, 미리 정해진 단어(예를 들어, 도와줘, 구해줘, 살려줘 등)에 대한 음성 표현이 있는 경우, 상기 타이머 실행 시 설정 가능한 미리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외에 설정에 따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thod for the user to separately request risk state information sharing in a state in which the timer is running, when a preset button is clicked, the user terminal is sent to a predetermined When shaking the number of times and / o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n there is a voice expression for a predetermined word (eg, help, save, help me, etc.), when the timer runs, when the timer deviates from a settable predetermined path, etc. There may be a method, and other method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settings.

한편,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한 이후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이머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상기 타이머의 종료와 함께 위험 상태가 무사히 해제 되었음을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receiving a dangerous state cancell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after the timer counts down and before the countdown ends, the server may control the timer of the user terminal to end. At this time, the server may also display a danger releas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danger state is safely released on the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expiration of the timer.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 또는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밀번호 정보는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제2 비밀번호 정보와 같이 복 수개의 비밀번호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지문 정보 또한 제1 지문 정보 또는 제2 지문 정보와 같이 복 수개의 지문이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user's password information or fingerprint information, as shown in FIGS. 6 (a) and 6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passwords may be set as the password information, such as first password information or second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passwords such as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or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Fingerprints can be set.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사용자가 제1 비밀번호 정보는 1004, 제1 지문정보는 왼쪽 엄지손가락의 지문을 설정한 것으로 가정하고, 제2 비밀번호 정보는 2580, 제2 지문정보는 오른속 검지손가락의 지문을 설정한 것으로 가정한다.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 more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below. If it is assumed that the user sets 1004 as the first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of the left thumb as the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and sets 2580 as the second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fingerprint of the right index finger as the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Assume.

이 경우, 상기 제1 비밀번호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각각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별다른 범죄 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기 위한 해석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비밀번호 또는 상기 제2 지문 정보 각각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범죄 상황이 발생하였으나, 상기 사용자가 가해자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외부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한 해석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일 뿐 설정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더 많은 수의 비밀번호 정보 내지 지문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password or the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may be preset to be recognized as an interpretation to indicate that no criminal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and the second password or the second fingerprint For each piece of information, a criminal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but since the user is under threat from the perpetrator, it is preset to be recognized as an interpretation for requesting sharing of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to an external receiver terminal. ca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settings, and a larger number of password information or fingerprint information may be set.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포함되어 상기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별다른 범죄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취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이머를 종료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위험 상태가 무사히 해제 되었음을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password information or the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ngerous state cancellation request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 server informs the user of a different criminal situation. Recognizes/handles that this has not occurred, controls to terminate the timer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s a danger release message informing the user terminal that the dangerous state has been safely releas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의 연장 요청이 상기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별다른 범죄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취급하고,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연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간 범위 정보의 연장 요청이 상기 제1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1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전송된 경우에 한해 상기 시간 범위 정보를 연장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quest for extension of time range information for the countdow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before the countdown ends, the server determines that no criminal situation has occurred to the user. Recognized/handled as such, the time range information for counting down the timer may be extended. In this case, the time range information may be extended only when the request for extension of the time rang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또한, 상기 연장되는 시간 범위는 미리 설정된 범위만큼의 시간(예를 들어, 1분)일 수 있으나, 만약, 사용자가 상기 연장 요청에 자신이 원하는 연장 시간 범위(예를 들어, 3분)를 포함하여 전송할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시간 범위만큼(3분) 상기 시간 범위를 연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tended time range may be a preset range of time (eg, 1 minute), but if the user includes the extended time range (eg, 3 minutes) desired by the user in the extension request. and transmit, the time range may be extended by a corresponding time range (3 minutes).

그러나, 상기 제2 비밀번호 정보 또는 상기 제2 지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포함되어 상기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범죄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취급하고,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However, when at least one of the second password information or the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 server recognizes/treats the user as having committed a criminal situation, and determines a predetermined At least one or more recipient terminals may be configured to share the user's dangerous state information.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의 타이머는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위험 상태가 무사히 해제 되었음을 알리는 위험 해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rver may share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s, but may control the timer of the user terminal to terminate, and furthermore, send a danger release message informing that the dangerous state is safely released to the user. It can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포함될 수 있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 또는 지문 정보가 복 수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처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In this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why the user's password information or fingerprint inform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pieces, but different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each of them is as follows.

즉, 범죄 사건이 발생된 경우를 상정해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피해자에 해당할 것이므로, 상기 범죄 사건의 가해자에게 신체적 혹은 정신적으로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일 수 있다.That is, assuming a case in which a criminal incident occurs, since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corresponds to a victim, it may be a situation where the perpetrator of the criminal incident is physically or mentally threatened.

이 때, 만약 상기 가해자가 상기 타이머가 실행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할 것을 강요한다면, 상기 사용자로서는 어쩔 수 없이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외부에 별다른 도움 요청을 수행할 수도 없을 것이며, 결국 상기 가해자로부터 위해를 당할 수 밖에 없게 될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perpetrator recognizes that the timer is running and forces the user to input the dangerous state cancellation request, the user will have no choice but to input the dangerous state cancellation request.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user will not be able to request help from the outside, and will inevitably suffer harm from the perpetrator.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에 포함될 수 있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 또는 지문 정보가 복 수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에 따라 서로 다른 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경우라면,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한다.However,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s password information or fingerprint inform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pieces, but can be set to perform different processing according to eac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즉, 상기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해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입력할 것을 강요받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2 비밀번호 정보 또는 제2 지문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가해자를 안심시키되, 동시에 상기 가해자에게 노출됨이 없이 자신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하게 된다.That is, even if the user is forced to input a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from the assailant as described above, by inputting the second password information or the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the assailant is reassured, but at the same time,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assailant.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share its risk state information with at least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s.

한편, 앞서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설치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또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aded Software)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may be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including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or embedded software pre-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이 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미리 회원 가입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전제될 수 있으나, 이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to use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emised that the user should perform membership registration in advance for the application controlled by the server as necessary,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setting. there is.

이 때, 상기 회원 가입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개인 프로필 등)를 입력/인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회원 가입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미리 연계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포털 서비스(Portal Service)의 기 가입된 사용자 정보를 직/간접적으로 연동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방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mbership registration may include a process of inputting/authenticating at leas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application (eg, a personal profile including ID and passwor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application is linked in advance with pre-registered user information of a social network service or portal service linked directly or indirectly so that at leas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are automatically entered. It can also be done in a way.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회원 가입을 수행할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본 시간(예를 들어, 60분)이 제공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 registers as a member of the application, a basic time (eg, 60 minutes) for inputting time range information for counting down the timer may be provided to the user.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사용자는,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상기 서버로 입력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시간 범위 정보는 상기 기본 시간의 범위 내에서 입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input time range information for counting down the timer to the server through the user terminal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ime range information can be input within the range of the basic time.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본 시간을 넘어서는 범위만큼 상기 시간 범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별도의 결제를 수행하여 추가 시간을 구입하거나(예를 들어, 10분에 1달러, 10분에 1,000원 등), 혹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가입된 다른 사용자로부터 추가 시간을 제공(예를 들어, 선물 하기 등)받아야만 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상기 사용자가 특정 미션(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광고 등)을 시청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서 출석이 인정되는 경우, 다른 사용자를 추천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회원 가입을 수행하는 경우 등)을 완료하는 경우 소정의 추가 시간이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If, in order for the user to input the time range information by a range exceeding the basic time, a separate payment is made within the application to purchase additional time (eg, 1 dollar per 10 minutes, 10 minutes per 10 minutes) 1,000 won, etc.), or additional time (eg, gift giving) from other users subscribed to the application. When viewing content (advertisement, etc.) that is intended, when attendance is recognized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n other users are recommended to perform membership registration for the application, etc.) to complete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additional time may be provided.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 때 카운트 다운 된 시간 범위에 대응하여 상기 기본 시간 내지 추가 시간의 차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executing a countdown of the timer from the user terminal, the server may execute a countdown of the timer during the time range, corresponding to the counted down time range Thus, the basic time and the additional time may be subtracted.

다만,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의 연장 요청이 상기 서버로 전송된 경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연장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연장되는 시간 범위인 연장 시간에 대해서는 상기 기본 시간 내지 추가 시간의 차감이 없도록 설정될 수 있다.However, if a request for extension of the time range information for the countdow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before the countdown ends, the time range information for the countdown of the timer may be extended. In this case, the extended time For the range of extended time, it may be set 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basic time and the additional time.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가입된 다른 사용자들과 일정한 관계(예를 들어, 친구 관계, 일촌, 팔로잉, 팔로우 등)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일정한 관계를 맺은 다른 사용자를 탐색하여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수신자 단말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서로 간의 기본 시간 내지 추가 시간 등의 잔여량, 사용 내역 등을 확인하되, 이를 공유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ithin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the user may form a certain relationship (eg, friend relationship, first degree, following, follow, etc.) with other users subscribed to the application, and the user may It is also possible to search for other users who have a certain relationship and set at least one of them as a receiver terminal that can share the user's risk status information, and check the remaining amount such as basic time or additional time between each other, usage history, etc. , you can share it.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및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nfigurations of a user terminal and a server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가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user terminal 100 and a server 200 that can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상기 서버(200)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부(Radio Communication unit, 820)와 메모리부(821), 디스플레이부(822) 및 제어부(또는 프로세서, 8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도 에 도시된 구성 외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 8에 도시된 구성 중 일부를 생략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rver 200 include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Radio Communication unit, 820) including a transmission unit and a reception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ccess information necessary for wired or wireless access, a memory unit 821, a display unit 822, and a control unit (or processor 823), which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또한, 서버(200)의 신호 처리, 계층 처리 등 사용자 단말(100)과의 데이터 통신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은 메모리(821) 및 제어부(82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메모리부(821), 유무선 통신부(820) 및 제어부(823) 간에는 연결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all process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such as signal processing and layer processing of the server 200, is controlled by the memory 821 and the control unit 823, and the memory unit 821 and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onnection relationship may be formed between the 820 and the control unit 823.

서버(200)에 포함된 유무선 통신부(8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820 included in the server 200 may include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nd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are not shown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server 200 or FIG. 8, but at least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or signals to and from one or more external devices.

제어부(823)는 유무선 통신부(820) 내 송신부 및 수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 간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가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23 may be functionally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reception unit i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820, and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reception unit control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r signals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It can be.

또한, 제어부(823)는 전송할 데이터에 대한 각종 전처리를 수행한 후 송신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외 수신부가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23 may perform various pre-processing on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n transmit the data to the transmitter, and may perform post-processing on data received by the receiver.

필요한 경우 제어부(823)는 송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메모리부(821)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control unit 823 may sto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in the memory unit 821. With such a structure, the server 200 may perform the method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도 8의 사용자 단말(100)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부(810), 메모리부(811), 디스플레이부(812) 및 제어부(8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the user terminal 100 of FIG. 8 ,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unit 810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 memory unit 811, a display unit 812, and a control unit 813.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in detail in FIG. 2 , so it will be omitted below.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의 제어부(813, 823)는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의 동작들을 지시(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어부들(813, 823)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811, 821)들과도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s 813 and 823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may instruct (eg, control, adjust, manage, etc.) operations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respectively. The controllers 813 and 823 may also be connected to memories 811 and 821 capable of storing program codes and data.

메모리(811, 821)는 제어부(813, 823)에 연결되어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어플리케이션, 및 일반 파일(general files)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ies 811 and 821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s 813 and 823 to store an operating system, applications, and general files.

본 발명의 제어부(813, 823)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813, 823)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s 813 and 823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processor, controller, microcontroller, microprocessor, microcomputer, or the like. Meanwhile, the controllers 813 and 823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811, 821)에 저장되어 제어부(813, 82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or function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s 811 and 821 and driven by the controllers 813 and 823 .

이 때, 메모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813, 823)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mory unit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controllers 813 and 823 by various known means.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data used in the above method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Computer-readable media storing executable computer codes for performing various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optical readable media (eg, CD-ROM, DVD) etc.).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limiting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인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방법 및 그 장치는 사용자의 위험 상태를 공유하는 다양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using a ti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a user's dangerous state.

Claims (1)

서버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위한 시간 범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시간 범위 동안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단말로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문 정보는 제1 지문 정보 또는 제2 지문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위험 상태 해제 요청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카운트 다운이 실행된 시점부터 기록된 사용자 단말의 음성 녹음 정보 및 영상 녹화 정보가 상기 수신자 단말로 공유되는 위험 상태 정보에 포함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타이머의 카운트 다운 실행 요청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은,
소정 시간동안 임계치 이상의 속도 변화가 발생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을 미리 정해진 횟수 및/또는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흔드는 경우,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상기 사용자와 친구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A method in which a server shares user risk state information using a timer,
Receiving time range information for counting down of the timer set by the user from a user terminal;
counting down the timer during the time range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counting down the timer from the user terminal; and
Sharing the dangerous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with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eiver terminals when a dangerous state cancellation reques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ends ,
The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ncludes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ncludes either first fingerprint information or second fingerprint information,
If a dangerous state release request is no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from the time the countdown is executed until the countdown is ended, voice and video recording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orded from the time the countdown is executed Control to be included in risk state information shared with the receiver terminal,
The countdown execution request of the timer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the preset criterion,
When a speed change of more than a threshold value occurs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user terminal is shake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o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request from another user who has a friend relationship with the user within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Including any of the cases,
A method of sharing user's risk status information using a timer.
KR1020180144083A 2017-01-26 2018-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KR1025175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083A KR102517545B1 (en) 2017-01-26 2018-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480A KR20180088000A (en) 2017-01-26 2017-01-26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KR1020180144083A KR102517545B1 (en) 2017-01-26 2018-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480A Division KR20180088000A (en) 2017-01-26 2017-01-26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291A KR20180127291A (en) 2018-11-28
KR102517545B1 true KR102517545B1 (en) 2023-04-03

Family

ID=8593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083A KR102517545B1 (en) 2017-01-26 2018-11-21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754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5743A (en) 2003-07-25 2005-02-17 Secom Co Ltd Mobile terminal and mover's safety confirm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839B1 (en) * 2010-05-26 2012-04-16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ing of a mobile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KR101583378B1 (en) 2014-04-04 2016-01-19 김명환 Individual protec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150116178A (en) * 2014-04-07 2015-10-15 주식회사 더클레버 System for safety home-coming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and ala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5743A (en) 2003-07-25 2005-02-17 Secom Co Ltd Mobile terminal and mover's safety confirm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291A (en)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66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and 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US10692314B2 (en) Security and public safety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US9418537B2 (en) Mobile computing device including personal security system
US9454889B2 (en) Security and public safety application for a mobile device
US20200346751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emergency dispatch and diagnostics data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113990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dispatch
US10142814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US20130040596A1 (en) Method for using smartphones as public and personal security devices based on trusted social networks
US10701540B2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mergency communication
WO2013184180A2 (en) Escort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KR1022077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formation on status of user
US1174909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arm and sensor data to emergency networks
KR1020527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formation on status of user
KR202000156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KR201900491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KR1025175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KR101927755B1 (en) Personal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protection
KR201800880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angerous status of user by using timer
US10432774B2 (en) Personal alarm system and method
KR1016345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larm message based on beacon
RU2757158C1 (en) Personal safety system
AU2023237212A1 (en) SECURITY SYSTEM, DEVICE and API
AU2021290391A1 (en) A safety activation means
CN115002932A (en) Portable device, positioning detection device, epidemic disease investigation method and system
WO2018064527A1 (en) Caller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