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394B1 - Easy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t the property - Google Patents

Easy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t the proper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394B1
KR102516394B1 KR1020210092120A KR20210092120A KR102516394B1 KR 102516394 B1 KR102516394 B1 KR 102516394B1 KR 1020210092120 A KR1020210092120 A KR 1020210092120A KR 20210092120 A KR20210092120 A KR 20210092120A KR 102516394 B1 KR102516394 B1 KR 102516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access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1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11641A (en
Inventor
이우상
Original Assignee
이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상 filed Critical 이우상
Priority to KR102021009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394B1/en
Publication of KR20230011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6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3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3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mobile advert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를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시키기 위한 사전등록 요청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접속 서비스 서버;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이 구비된 공중 시설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송신되는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접속 요청신호를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대한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ireless network easy acces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ess service server that receives a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from a user and stor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a signal generator provided in a public facility equipped with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ting a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for check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present in a location accessible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nd receiving the local positio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generating an access request signal for accessing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l positionin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o a service server, wherein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approve access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recep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Figure R1020210092120
Figure R1020210092120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 및 방법{Easy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t the property}Easy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t the property

본 발명은 상업 시설, 사무실, 공공 시설 등의 공중 시설에서의 무선 네트워크 접속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 시설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network access technology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commercial facilities, offices, and public faciliti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network simple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easily using wireless network services in public facilities. .

일반적으로 카페 및 식당, 도서관, 골프장, 헬스클럽, 은행, 쇼핑공간 등의 상업시설 및 관공서, 공항, 버스, 비행기, 선박(여객선), 지하철, 철도, 노인정 등 공공 시설을 포함하는 공중 시설의 경우에, 고객이 해당 공간 내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별도의 무선 접속정보를 전달받아 디바이스 내 무선네트워크 설정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 후, 해당 공간의 인터넷 망의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네트워크에 접속 및 사용이 가능하다. 한 개 이상의 네트워크로 구성된 공간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간 이동시 위와 같은 사용자 행동이 필요하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public facilities including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cafes and restaurants, libraries, golf courses, health clubs, banks, shopping areas, and public facilities such as public offices, airports, buses, airplanes, ships (passenger ships), subways, railroads, senior citizens' centers, etc. In order to access the wireless network for Internet service within the space, the customer must receive separate wireless access information and access the wireless network settings within the device. After that, it is possible to access and use the network by entering the name and password of the Internet network of the corresponding space. If you want to use a space composed of more than one network, the above user action is required when moving the space.

또한 같은 프랜차이즈 매장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매장마다 사용자가 설정을 일일이 해야 하는 번거로운 행동이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또한, 관공서 및 공공 와이파이(화이트스페이스) 방문자(시민)의 경우에, 디바이스 내 설정에서 네트워크 선택 및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하나하나 입력해야 하는 액션을 통해 공공 와이파이를 이용하여야 한다. 또한, 사회적 약자(디바이스 이용이 쉽지 않은 노인 등)의 경우 공공 와이파이(경로당, 관공서.) 등을 이용할 경우 디바이스 이용이 자연스럽지 않아 네트워크 설정 및 비밀번호 입력에 대한 어려움으로 사용이 현저히 떨어진다. In addition, even when using the same franchise store, the cumbersome action of requiring the user to set up each store is continuously repea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public office and public Wi-Fi (whitespace) visitors (citizens), public Wi-Fi must be used through an action that requires checking the network selection and password in the device settings and inputting them one by on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seniors, etc., who are not easy to use devices), when using public Wi-Fi (senior routes, government offices, etc.), use of devices is not natural, and use is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difficulty in setting up networks and entering passwords.

또한, 외국에서 방문한 관광객의 경우 로밍 또는 한국내 사용가능한 유심을 구입하여, 인터넷을 이용하게 되는데, 외국인이 한국 방문 시 상업시설내 네트워크 및 공공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모를 경우 네트워크 사용량 부담으로 한국방문의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ourists visiting from abroad use the Internet by roaming or by purchasing a SIM that can be used in Korea. If a foreigner does not know how to use the network and public Wi-Fi in commercial facilities when visiting Korea, the cost of using the network is high. It can act as a stressor.

한편, 서비스 제공자의 경우에, 비밀번호를 변경할 경우 변경된 비밀번호를 사용자들이 쉽게 볼 수 있는 곳에 프린트 또는 수기로 작성하여 변경할 때마다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ervice provider, when changing a password, there is a hassle in that the changed password must be printed or handwritten in a place where users can easily see it, and must be replaced every time the password is chang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96686호 (2002.12.3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96686 (2002.12.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호 발생기의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순한 인증절차만으로 해당 모바일 단말기가 공중 시설에서 제공하는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and method for easy access to a wireless network that enables a mobile terminal to access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provided by a public facility through a simple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a signal of a signal generator. It is abou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를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시키기 위한 사전등록 요청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접속 서비스 서버;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이 구비된 공중 시설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송신되는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접속 요청신호를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대한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ireless network easy acces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access service that receives a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from a user and stor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server; a signal generator provided in a public facility equipped with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ting a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for check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present in a location accessible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nd receiving the local positio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generating an access request signal for accessing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l positionin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o a service server, wherein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approve access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recep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 신호발생기 등록정보, 접속 승인정보, 사용자 방문정보 및 마케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이 유효하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승인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접속 처리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이용해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cess service server may include: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signal generator registration information, access approval information, user visit information, and marketing information; An access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mobile terminal upon recep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valid, transmits acces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 and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the acces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mobile terminal uses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cess service server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connecting to.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공중시설의 방문 시간정보 및 방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방문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생성된 사용자 방문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cess processing unit controls to generate and store user visit information including visit time information and vis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y for the user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signal, and the data storage unit generates and stores the user visit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store the user visit information.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마케팅 정보 및 긴급 공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cess processing unit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marketing inform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fter transmitting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 상기 신호 발생기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gnal generator may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상기 사용자 방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상기 공중시설의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generating a public facility service guide message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 visi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rvice guide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방법은 접속 서비스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를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시키기 위한 사전등록 요청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신호 발생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송신되는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접속 요청신호를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대한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이용해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asy wireless network acces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 access service server receives a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from a user, and transmit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storing; transmitting, by the signal generator, a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exists in a location where it can acces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Upon receiving the local positio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the mobile terminal generates an access request signal for accessing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l positioning signal, and the generated access request signal Transmitting to the access service server; determining, by the access service server, whether to approve access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recep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and accessing, at the mobile terminal,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using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cess service server.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대한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가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 신호발생기 등록정보, 접속 승인정보, 사용자 방문정보 및 마케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있을 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이 유효하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approve access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of the mobile terminal,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determines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signal generator registration information, access approval information, user visit information, and marketing information. When stored,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valid, acces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is stor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a mobile terminal.

상기 수신된 접속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공중시설의 방문 시간정보 및 방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방문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sed o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user visit information including visit time information and vis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y for the user is generated and stored.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마케팅 정보 및 긴급 공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transmitting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marketing inform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 상기 신호 발생기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l positioning signal is transmitted by includ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방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상기 공중시설의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generating, by a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a service guide message of the public facility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 visi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rvice guide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 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공중시설 무선망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절차를 단순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ifying a procedure for accessing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service to a user using a public facility, the user can easily perform wireless network access.

즉, 상업, 공공시설, 사무실 등 오픈 및 보안 공간 등에서의 공중시설 무선망 접속을 위한 정보를 수기로 작성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장소에 일일이 제공하던 종래의 방식과 달리, 사전에 시스템 상으로 공중시설 무선망에 대한 서비스 등록절차를 수행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해당 공중 시설에서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언어적으로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해외에서도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일일이 서비스 제공자에게 문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시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마케팅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서비스 제공시설에서 제공하는 편리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In other words,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information for accessing public facilities wireless networks in open and secure spaces such as commercial, public facilities, offices, etc. is written by hand and provided to a place where users can check,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ublic in advance on the system. The user can easily use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in the public facility by simply performing the service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facility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ontact a service provider individually in order to receive a wireless network service even in a foreign country where language communication is not smooth. In addition, the user has the convenience of effectively using convenient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ing facility by being provided with various market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ing facility.

또한, 무선네트워크 제공 관리자 입장에서는 서비스 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일일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수기로 적어주거나 반복적으로 알려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의 설정을 위해 네트워크 관리 및 제어를 전산적으로 일괄 또는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이용시설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관련한 마케팅 정보를 거부감 없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wireless network provider manag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manually writing down or repeatedly informing setting information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services to users using service facilities. That is, network management and control can be computerized collectively or individually to set up a wireless network service. In addition, marketing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service-using facilities can be effectively provided to users without obj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 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1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wireless network easy acces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shown in FIG. 1 .
3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easily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매장 및 공용서비스 공간 등, 무선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stores and public service spaces, and spaces providing wireless network service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Hereinafter, the provision or arrangement of an arbitrary element on the "upper (or lower)" or "upper (or lower)" of the base material means that the arbitrary element is provided o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means that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not including other components between the substrate and any components provided or disposed on (or under) the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wireless network easy acces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100)은 접속 서비스 서버(110), 신호 발생기(120), 모바일 단말기(130), 공중시설 무선망(140) 및 공중 시설 서비스 서버(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network easy access system 100 includes an access service server 110, a signal generator 120, a mobile terminal 130,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and a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include

접속 서비스 서버(11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30)에 대한 근거리 무선 접속을 위한 사전등록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30)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한다. The access service server 110 stor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130 upon reception of a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for short-range wireless access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130 .

사용자는 자신의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130) 등의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를 이용하여 공중 시설에서의 근거리 무선 접속을 위한 정보 등록을 위해 접속 서비스 서버(110)에 접속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접속 서비스 서버(110)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유선 통신망으로서, 이더넷 통신망 또는 시리얼(USB)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망은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2G 내지 5G 이동통신망 등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A user accesses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110 to register information for short-range wireless access in public facilities using a user terminal (not shown) such as his or her PC or mobile terminal 130 .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ccess service server 110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include an Ethernet communication network or a serial (USB)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services such as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and 2G to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전등록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접속 서비스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기(130)의 공중 시설에서의 근거리 무선접속을 위해 필요한 모바일 단말기(130)의 등록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그 후, 접속 서비스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모바일 단말기(130)의 단말기 등록정보를 수신 및 저장한다. 접속 서비스 서버(110)는 단말기 등록정보의 저장에 따른 확인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Upon reception of the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he access service server 110 is a user interface capable of receiving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30 necessary for short-range wireless access of the mobile terminal 130 in public facilities. The screen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n,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110 receives and stor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30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access service server 110 transmits a confirmation message according to the storage o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 서비스 서버(110)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FIG.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110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접속 서비스 서버(110)는 데이터 저장부(110-1), 접속 인증 처리부(110-2) 및 인터페이스부(110-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110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110-1, an access authentication processing unit 110-2, and an interface unit 110-3.

데이터 저장부(110-1)는 단말기 등록정보, 신호발생기 등록정보, 접속 승인정보, 사용자 방문정보, 마케팅 정보 및 긴급 공지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 The data storage unit 110-1 stor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signal generator registration information, access approval information, user visit information, marketing information, emergency notice information, and the like.

단말기 등록정보는 사용자가 공중시설 무선망을 이용하기 원하는 모바일 단말기(130)에 대한 정보로서,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모바일 단말기의 디바이스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terminal 130 that the user wants to use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nd may include 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r information, and the like.

신호발생기 등록정보는 공중시설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신호 발생기들에 대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신호발생기 등록정보는 각각의 신호 발생기들이 배치되어 있는 공중시설 내에서의 발생기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신호 발생기들에 대한 고유식별정보는 각각의 발생기 위치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Signal generato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signal generator deployed in a public facility. In addition, the signal generator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es generator location information in public facilities where each signal generator is locate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ignal generators is match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generator and stored.

접속 승인정보는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망 식별정보 및 비밀번호정보 등을 포함한다. 접속 승인정보는 공중시설의 장소에 대한 공중시설 위치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 승인정보는 공중시설의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접속 승인정보는 공중시설의 관리자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다.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includes wireless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is stored after being matched with public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lace of the public facility. Such access approv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rom a terminal (not shown) of a manager of a public facility, and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is matched with information of a manager of a public facility and stored.

사용자 방문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공중시설에 방문한 경우에, 해당 공중시설에 방문한 기록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자에 대한 공중시설의 방문 시간정보 및 방문 위치정보를 포함한다.The user visit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confirming a record of the visit to the public facility when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130 visits the public facility, and includes visit time information and vis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y for the user.

마케팅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Market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for guiding products or services to be provided to users.

긴급 공지정보는 자연재해와 관련한 대피 메시지, 전염병 등과 관련한 안내 메시지, 사고 발생과 관련한 알림 메시지 등 긴급히 제공되어야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긴급 공지정보는 사용자의 방문 시간정보 및 방문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정보이다.The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provided urgently, such as evacuation messages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guide message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and notification messages related to accidents. This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visit time information and visit location information.

접속 처리부(110-2)는 사전등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기(130)의 등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그 후, 접속 처리부(11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단말기 등록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단말기 등록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10-1)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 등록정보는 데이터 저장부(110-1)에 저장된다.When the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access processing unit 110-2 provides a user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30 to the user terminal. Thereafter, when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screen is received,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110-2 controls the received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10-1. Accordingly,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10-1.

한편, 접속 처리부(110-2)는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접속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30)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이 유효하다면 모바일 단말기(130)가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승인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the access processing unit 110-2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mobile terminal 130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130,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valid, the mobile terminal 130 enter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Control to transmit access approval information for accessing (140) to the mobile terminal (130).

접속 요청신호는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로, 해당 모바일 단말기(130)가 특정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접속 승인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이다. 이러한 접속 요청신호는 모바일 단말기(130)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모바일 단말기(130)가 신호 발생기(120)로부터 수신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 내에 포함된 해당 신호 발생기(120)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The access request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30 and is a signal requesting access approv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mobile terminal 130 to access a specific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 This access request signal includ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130, and also includes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ignal generator 120 included in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130 from the signal generator 120. Contain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접속 처리부(110-2)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130)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가 데이터 저장부(110-1)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조회한다. 모바일 단말기(130)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가 데이터 저장부(110-1)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접속 처리부(110-2)는 해당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접속할 수 없음을 안내하는 접속불가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접속불가 안내 메시지가 인터페이스부(110-3)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30 is received,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110-2 inquires whether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130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10-1. . I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130 is not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10-1,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110-2 indicates that access to the corresponding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is not possible. A guide messag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onnection failure guide message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3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10-3.

한편, 모바일 단말기(130)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가 데이터 저장부(110-1)에 저장되어 있다면, 접속 처리부(110-2)는 접속 요청신호에 포함된 해당 신호 발생기(120)의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한다. 접속 처리부(110-2)는 확인된 고유식별정보와 데이터 저장부(110-1)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발생기 등록정보를 조회함으로써, 해당 신호 발생기(120)가 배치되어 있는 공중시설에 대한 공중시설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접속 처리부(110-2)는 공중시설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접속 승인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10-1)로부터 인출한다. 이러한 접속 승인정보는 공중시설 무선망(140)의 고유식별정보 및 비밀번호정보 등을 포함한다. 접속 처리부(110-2)는 인출된 접속 승인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하도록 인터페이스부(110-3)에 접속 승인정보를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130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10-1,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110-2 perform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ignal generator 120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Check the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110-2 inquires the identifi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ignal generato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10-1, and thus the public facility for the public facility where the corresponding signal generator 120 is located. Location information can be checked. After that,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110-2 retrieves connection approval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public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data storage unit 110-1. This access approval information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 The access processing unit 110-2 transfers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interface unit 110-3 to transmit the fetched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30.

또한, 접속 처리부(110-2)는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접속 요청신호에 포함된 단말기 등록정보와 신호 발생기(120)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공중시설에 대한 방문 시간정보 및 방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방문정보를 생성한다. 접속 처리부(110-2)는 공중시설에 대한 방문 시간정보는 상기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한 시간정보를 근거로 생성할 수 있으며, 신호 발생기(120)의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공중시설 위치정보를 방문 위치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접속 처리부(110-2)는 생성된 사용자 방문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10-1)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저장부(110-1)는 생성된 사용자 방문정보를 저장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110-2 receives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130,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120 are used to provide the user's public information. User visit information including visit time information and visi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is generated. The access processing unit 110-2 can generate visit time information for public facilities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and public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120. It can be created as visit location information. The access processing unit 110-2 controls the generated user visit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10-1. Accordingly, the data storage unit 110-1 stores the generated user visit information.

또한, 접속 처리부(110-2)는 접속 승인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한 후에, 모바일 단말기(130)가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접속한 경우에, 다양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안내하기 위한 마케팅 정보 또는 긴급 공지 정보 등을 해당 공중시설 무선망(140)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130 accesse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after transmitting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30, the access processing unit 110-2 guides various products or services. It is possible to control transmission of marketing information or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purpose to the mobile terminal 130 through the corresponding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

인터페이스부(110-3)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전등록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전등록 요청신호를 접속 처리부(110-2)에 전달한다. 그 후, 인터페이스부(110-3)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단말기 등록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저장부(110-1)에 전달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0-3)는 모바일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요청신호를 접속 처리부(110-2)로 전달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0-3)는 접속 승인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0-3)은 접속불가 안내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10-3 receives a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fers the received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110-2. Then, the interface unit 110-3 receives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fers it to the data storage unit 110-1.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10-3 receives an access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130 and transfers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110-2. Also, the interface unit 110 - 3 transmits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30 .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10 - 3 may transmit a connection failure guide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130 .

신호 발생기(120)는 공중시설 무선망(140)이 형성된 공중 시설에 구비되어 있다. 신호 발생기(120)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신호 발생기들은 공중 시설의 복수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발생기(120)로서 비컨(beacon)을 예시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or 120 is provided in a public facility where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is forme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signal generators 120, and the plurality of signal generators may be disposed at a plurality of points in a public facility. A beacon may be exemplified as such a signal generator 120 .

신호 발생기(120)는 모바일 단말기(130)가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는 모바일 단말기(130)가 해당 공중시설에 방문하고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송신되는 신호이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는 해당 신호 발생기(120)에 대한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The signal generator 120 transmits a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130 exists in a location where it can acces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 Here,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to confirm that the mobile terminal 130 is visiting the corresponding public facility, and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signal generator 120.

신호 발생기(120)는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30)가 신호 발생기(120)가 위치한 공중 시설에 접근하게 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13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or 120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ransmits the local positioning signal. Accordingly, when the mobile terminal 130 approaches a public facility where the signal generator 120 is located, the mobile terminal 130 may receive a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transmitt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예를 들어, 공중시설 중의 하나인 공항이나 상품 스토어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있는 신호 발생기(120)에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하고, 모바일 단말기(130)을 소지한 사용자가 해당 공항이나 상품 스토어 등에 방문하게 되면, 모바일 단말기(130)는 해당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at least one signal generator 120 disposed in an airport or a product store, which is one of public facilities, transmits a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and a user holding a mobile terminal 130 sends a signal to the corresponding airport or product store. Upon visiting, the mobile terminal 130 may receive the local location confirmation signal.

모바일 단말기(130)는 신호 발생기(12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접속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접속 승인정보를 제공받아서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자동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130)는 신호 발생기(1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접속 서비스 서버(110)와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자동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130)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전자 앱세서리 (appcessory), 스마트 와치 (smart watch), 노트북(noteboo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30 can automatically acces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by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120 and receiving access approval information from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110 through this. 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1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120 and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throu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signal with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110. . The mobile terminal 130 includes a smart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PC),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 e-book reader, an electronic appcessory, and a smart phone. It may include a smart watch, a notebook, and the like.

모바일 단말기(130)는 신호 발생기(120)로부터 송신되는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30)는 수신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접속하기 위해 접속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접속 요청신호를 접속 서비스 서버(11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기(130)와 접속 서비스 서버(11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The mobile terminal 130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120 . The mobile terminal 130 generates an access request signal to acces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access service server 110 . 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130 and the access service server 110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모바일 단말기(130)는 접속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접속 승인정보 또는 접속불가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30)는 수신된 접속 승인정보 또는 접속불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13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동의를 철회할 수 있으며, 알림에 대한 철회도 가능하다. The mobile terminal 130 may receiv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or an access failure guide message from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110 . The mobile terminal 130 may output the received connection approval information or connection failure guidance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30 can withdraw the consent to use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and can also withdraw the notification.

모바일 단말기(130)는 수신된 접속 승인정보에 포함된 무선망 식별정보 및 비밀번호정보를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로서 자동 등록한다. 접속 승인정보의 자동 등록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30)는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자동 접속된다.The mobile terminal 130 automatically registers wireless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access approval information as information for accessing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 According to the automatic registration of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30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

모바일 단말기(130)는 자동 접속된 공중시설 무선망(140)을 통해, 접속 서비스 서버(110)에서 제공되는 마케팅 정보 또는 긴급 공지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30 may receive marketing information or emergency not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110 through the automatically connected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and display them on the display screen.

또한, 모바일 단말기(130)는 미리 설치된 공중시설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로부터 공중시설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받고, 사용자 정보의 요청에 따라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정보의 인증 처리 후에, 모바일 단말기(130)는 공중시설 무선망(140)을 통해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공중시설 서비스와 관련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30 receives a request for user information for using a public facility service from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by driving a service application of a public facility installed in advance, and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the user information,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 150) may provide user information. Then, after authentication of user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130 may exchange information related to public facility services provided by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through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

공중시설 무선망(140)은 모바일 단말기(140)와 공중시설 서버(150)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5G 이동통신망, 6G 이동통신망 등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forms a network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40 and the public facility server 150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portable Internet such a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or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or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r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CDMA2000,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LTE (LTE) evolution) network or a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 LTE-Advanced network, a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6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for service.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는 공중 시설(예를 들어, 숙박시설, 오프라인 서비스시설(카페, 스토어 등), 공항 시설 등)에 대한 관련 서비스 업무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숙박 시설인 경우에,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는 숙박예약에 관한 전산 업무를 수행하고, 오프라인 서비스 시설인 경우에, 오프라인 서비스의 결제처리와 관련한 전산 업무를 수행하며, 공항 시설인 경우에는 항공기 탑승과 관련한 전산 업무를 수행한다. 즉,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는 사용자가 공중 시설에 방문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서비스 등록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서비스 등록정보와 방문한 사용자가 동일인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에, 공중시설 무선망(150)을 통해 해당 공중시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processes related service tasks for public facilities (eg, lodging facilities, offline service facilities (cafes, stores, etc.), airport facilities, etc.). For example, in the case of lodging facilities,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performs computer tasks related to lodging reservations, and in the case of offline service facilities, performs computer tasks related to payment processing for offline services, and airport facilities. In the case of , computer work related to boarding the aircraft is performed. That is, when a user visits a public facility,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inquires the user's servic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on whether the inquired service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he visiting user correspond to the same person. Afterwards, the corresponding public facility servic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50 .

또한,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정보 이용 동의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보로 별도의 마케팅 및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 요청신호를 접속 서비스 서버(110)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서비스 서버(110)는 마케팅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공중시설 무선망(150)의 이용시간 및 장소에 따른 서비스 이용을 제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transmits a marketing request signal to the access service server 110 to provide separate marketing and services with the user's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consent to use the information requesting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can request Accordingly, the access service server 110 may transmit market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130 . In addition,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may limit the use of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use time and place of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50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manager providing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또한,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는 사용자 방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공중시설의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140)에 접속된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generates a public facility service guide message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 visit information, and sends the generated service guide message to the mobile connected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30.

즉,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는 접속 서비스 서버(110)에 사용자 방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사용자 방문정보가 수신되면,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는 사용자 방문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방문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공중시설 서비스 중에서 해당 사용자를 위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공중시설 무선망(140)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at is,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may request user visit information from the access service server 110 . Accordingly, when user visi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ccess service server 110,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checks the user's visit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visit information, and provides it for the user among public facility services. A possible service guid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130 through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

서비스 안내 메시지는 모바일 단말기(130)의 방문 위치정보에 따라 확인된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가 특정위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위치 안내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중 시설로서 항공기 터미널을 예시하는 경우에, 항공기 터미널의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는 사용자를 특정 탑승 게이트로 안내하기 위해, 해당 사용자가 위치하는 현재 위치를 접속 서비스 서버(11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방문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150)는 사용자를 특정 탑승 게이트로 안내하기 위한 탑승 게이트로 이동하도록 하는 위치 안내 메시지를 공중시설 무선망(140)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rvice guide message may be a location guide message for guiding the user to move to a specific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checked according to the vis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3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exemplifying an aircraft terminal as a public facility,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of the aircraft terminal connec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o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110 in order to guide the user to a specific boarding gate. It can be confirmed through user visit information provided from After that,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150 may transmit a location guidance message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130 through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40 to direct the user to a specific boarding gate.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3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imply accessing a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접속 서비스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를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시키기 위한 사전등록 요청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한다(S200 단계). 단말기 등록정보는 사용자가 공중시설 무선망을 이용하기 원하는 모바일 단말기(130)에 대한 정보로서,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번호정보, 모바일 단말기의 디바이스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access service server receives a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for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from a user and stor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step S200).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terminal 130 that the user wants to use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nd may include 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user information, and the like.

접속 서비스 서버는 사전등록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기의 등록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그 후, 접속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입력된 단말기 등록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한다.When the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access service server provides a user interface screen for receiving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Thereafter, when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screen is received,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stores the received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S200 단계 후에, 신호 발생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한다(S202 단계). 신호 발생기는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 상기 신호 발생기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한다.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는 모바일 단말기가 해당 공중시설에 방문하고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송신되는 신호이다. 신호 발생기는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가 신호 발생기가 위치한 공중 시설에 접근하게 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기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After step S200, the signal generator transmits a local positioning signal to confirm whether the mobile terminal exists in a location where it can acces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step S202). The signal generator includ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and transmits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to confirm that the mobile terminal is visiting a corresponding public facility. The signal generator transmits the local positioning signal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Accordingly,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a public facility where the signal generator is located, the mobile terminal may receive a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transmitte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S202 단계 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송신되는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접속 요청신호를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S204 단계). 이러한 접속 요청신호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모바일 단말기가 신호 발생기로부터 수신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 내에 포함된 해당 신호 발생기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After step S202, when receiving the local positio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the mobile terminal generates an access request signal for accessing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l positioning signal, and generates the The connected access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step S204). This access request signal includ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and also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ignal generator included in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S204 단계 후에,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공중시설의 방문 시간정보 및 방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방문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S206 단계).After step S204, the access service server generates and stores user visit information including visit time information and visi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y for the user based on the access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step S206). ).

접속 서비스 서버는 공중시설에 대한 방문 시간정보는 상기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한 시간정보를 근거로 생성할 수 있으며, 신호 발생기의 고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공중시설 위치정보를 방문 위치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The access service server may generate visit time information for public facilities based on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and may generate public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as visit location information. there is.

S206 단계 후에,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대한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S208 단계).After step S206, the access service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approve access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recep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step S208).

접속 서비스 서버는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조회한다.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접속 서비스 서버는 해당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없음을 안내하는 접속불가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접속불가 안내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access service server inquires whether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a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I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is not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the access service server generates a connection failure guide message informing that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cannot be accessed, and sends the generated connection failure guide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send to

한편,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면, 접속 서비스 서버는 접속 요청신호에 포함된 해당 신호 발생기의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한다. 접속 서비스 서버는 확인된 고유식별정보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발생기 등록정보를 조회함으로써, 해당 신호 발생기가 배치되어 있는 공중시설에 대한 공중시설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접속 서비스 서버는 공중시설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접속 승인정보를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인출한다. 이러한 접속 승인정보는 공중시설 무선망의 고유식별정보 및 비밀번호정보 등을 포함한다. 접속 서비스 서버는 인출된 접속 승인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Meanwhile, i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the access service server check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ignal generator included in the access request signal.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may check the public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ublic facility where the corresponding signal generator is located by inquiring the identifi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ignal generator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fter that, the access service server retrieves access approval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public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data storage unit. This access approval information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of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The access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fetched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S208 단계 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이용해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한다(S210 단계).After step S208,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using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cess service server (step S210).

모바일 단말기는 접속 서비스 서버로부터 접속 승인정보 또는 접속불가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수신된 접속 승인정보 또는 접속불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 동의를 철회할 수 있으며, 알림에 대한 철회도 가능하다. The mobile terminal may receiv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or an access failure guide message from the access service server. The mobile terminal may output the received connection approval information or connection failure guide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can withdraw the consent to use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and can also withdraw the notification.

모바일 단말기는 수신된 접속 승인정보에 포함된 무선망 식별정보 및 비밀번호정보를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로서 자동 등록한다. 접속 승인정보의 자동 등록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는 공중시설 무선망에 자동 접속된다.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registers wireless network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access approval information as information for accessing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automatic registration of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S210 단계 후에,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마케팅 정보 또는 긴급 공지정보 등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S212 단계).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는 자동 접속된 공중시설 무선망을 통해, 접속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마케팅 정보 또는 긴급 공지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After step S210,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n transmits the marketing information or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step S212).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may receive marketing information or emergency noti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through the automatically connected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screen.

S212 단계 후에,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방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상기 공중시설의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S214 단계).After step S212,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generates a public facility service guide message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 visit information, and sends the generated service guide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Transmit (step S214).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는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정보 이용 동의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보로 별도의 마케팅 및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 요청신호를 접속 서비스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서비스 서버는 마케팅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may request a marketing request signal for providing a separate marketing and servic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consent of the user requesting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to the access service server. Accordingly, the access service server may transmit marketing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또한,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는 접속 서비스 서버에 사용자 방문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 서비스 서버로부터 사용자 방문정보가 수신되면,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방문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방문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공중시설 서비스 중에서 해당 사용자를 위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공중시설 무선망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안내 메시지는 모바일 단말기의 방문 위치정보에 따라 확인된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가 특정위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위치 안내 메시지일 수 있다. Also,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may request user visit information from the access service server. Accordingly, when user visi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access service server, the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checks the user's visit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visit information, and sends a service guide message that can be provided for the user among public facility services. It can be transmitted to a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through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The service guide message may be a location guide message for guiding the user to move to a specific loc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checked according to the visi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convey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
110: 접속 서비스 서버
120: 신호 발생기
130: 모바일 단말기
140: 공중시설 무선망
150: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
100: wireless network easy access system
110: connection service server
120: signal generator
130: mobile terminal
140: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150: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Claims (12)

모바일 단말기를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시키기 위한 사전등록 요청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접속 서비스 서버;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이 구비된 공중 시설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신호 발생기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송신하는 상기 신호 발생기; 및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송신되는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접속 요청신호를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대한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 신호발생기 등록정보, 사용자 방문정보 및 마케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인증이 유효하다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 승인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접속 처리부;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이용해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고,
상기 접속 요청신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 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 내에 포함된 상기 신호 발생기의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접속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조회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접속 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신호 발생기의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신호발생기 등록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신호 발생기가 배치되어 있는 공중시설에 대한 공중시설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공중시설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인출하고, 인출된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고, 또한, 수신된 상기 접속 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와 상기 신호 발생기의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공중시설에 대한 방문 시간정보 및 방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방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
an access service server for receiving a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for accessing a mobile terminal to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from a user and storing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It is provided in the public facility equipped with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nd transmits a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together wit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exists in a location where it can acces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the signal generator to; and
Receiving the local positio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generating an access request signal for accessing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l positioning signal, and converting the generated access request signal to the access service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to the server,
The access service serv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approve access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recep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signal generator registration information, user visit information, and marketing information;
An access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the mobile terminal upon recep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if the authentication is valid, transmits access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 and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the access request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using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cess service server;
The access request signal includ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included in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Whe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it is inquired whether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i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the Inquiry of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and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to confirm public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for a public facility where the signal generator is located;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matching the public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is fetched from the data storage unit, the fetched access approv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erminal registr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performed. and generating the user visit information including visit time information and visit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s public facility using information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마케팅 정보 및 긴급 공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rocessing unit,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marketing inform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fter transmitting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방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상기 공중시설의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generating a public facility service guide message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 visi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rvice guide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 wireless network easy access system comprising:
접속 서비스 서버는 모바일 단말기를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시키기 위한 사전등록 요청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신호 발생기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상기 신호 발생기의 고유식별정보와 함께 송신하는 단계;
상기 신호 발생기에서 송신되는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근거리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접속 요청신호를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접속 요청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대한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된 접속 승인정보를 이용해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는,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 신호발생기 등록정보, 사용자 방문정보 및 마케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고,
상기 접속 요청신호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신호 발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근거리 위치확인신호 내에 포함된 상기 신호 발생기의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접속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조회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접속 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신호 발생기의 상기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신호발생기 등록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신호 발생기가 배치되어 있는 공중시설에 대한 공중시설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공중시설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인출하고, 인출된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또한, 수신된 상기 접속 요청신호에 포함된 상기 단말기 등록정보와 상기 신호 발생기의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공중시설에 대한 방문 시간정보 및 방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방문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방법.
The access service server receives a pre-registration request signal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from the user and stor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transmitting a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together wit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to determine whether the signal generator exists in a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can access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Upon receiving the local position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generator, the mobile terminal generates an access request signal for accessing a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l positioning signal, and the generated access request signal Transmitting to the access service server;
determining, by the access service server, whether to approve access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reception of the access request signal; and
the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using access approva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access service server;
The connection service server,
storing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signal generator registration information, user visit information, and marketing informatio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ncludes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included in the short-range positioning signal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signal generator,
When the access request signal is received, it is inquired whether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is stored, and if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mobile terminal is stored, the signal generator included i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ignal generator registration information are inquired, public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public facility where the signal generator is located is checked, and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public facility location information is retrieved and retrieved. transmits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also, using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access request signal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ignal generator, visit time information for the user's public facility and A wireless network simple access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the user visit information including visit location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속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접속 승인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마케팅 정보 및 긴급 공지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방법.
The method of claim 7,
After the access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access approva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marketing informati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
삭제delete 청구항 7에 있어서,
공중시설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방문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한 상기 공중시설의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서비스 안내 메시지를 상기 공중시설 무선망에 접속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간편 접속방법.
The method of claim 7,
generating, by a public facility service server, a service guide message of the public facility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 visi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rvice guide message to the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ublic facility wireless network; A wireless network simple access method further comprising a.
KR1020210092120A 2021-07-14 2021-07-14 Easy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t the property KR1025163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120A KR102516394B1 (en) 2021-07-14 2021-07-14 Easy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t the proper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120A KR102516394B1 (en) 2021-07-14 2021-07-14 Easy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t the proper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641A KR20230011641A (en) 2023-01-25
KR102516394B1 true KR102516394B1 (en) 2023-03-30

Family

ID=8510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120A KR102516394B1 (en) 2021-07-14 2021-07-14 Easy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t the proper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39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713B1 (en) 2011-07-08 2013-03-13 이광민 Wireless lan access point and method for accessing wireless la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686A (en) 2001-06-21 2002-12-31 프로모바일테크 주식회사 Network system for customer
KR101102663B1 (en) * 2009-02-13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auto wireless connection between mobile terminal and digital device
KR101916342B1 (en) * 2016-10-13 2018-11-19 주식회사 공간에이앤디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Marketing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 AP
KR101912834B1 (en) * 2017-01-31 2018-10-30 주식회사 이랜텍 Wlan auto regist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713B1 (en) 2011-07-08 2013-03-13 이광민 Wireless lan access point and method for accessing wireless l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641A (en)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46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among mobile applications
US20130040654A1 (en) Location-based automated check-in to a social network recognized location using a token
CN111164707A (en) Infectious disease spread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20160048640A1 (en) Patient management service method, treat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node and server applied thereto
KR20150000353A (en) Security entrance system using Identification mean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GB2511887A (en) Transportation boar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1946053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tching travellers
KR102004132B1 (en) Method for providing available seats information service using beacon
US10057713B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enhanced services by using machine-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of portable computing devices
KR102516394B1 (en) Easy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t the property
KR101143612B1 (en) Image data management system using binary CDMA and method thereof
KR20160086679A (en) A dating service method based on local network
KR102569561B1 (en) Electronic business card generating and managing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20170006550A (en) Method for blocking selectively beacon message and user terminal therefor
KR101928294B1 (en) System for managing reservation of counseling service based on tex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4548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coupon using advertisement display based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436791B1 (en) Indoor location-based non-face-to-face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QR code
US20200082430A1 (en) Terminal devic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6099679A (en) Taxi booking method and device, and taxi booking system
KR100952255B1 (en) Regional tour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binary cdma and method thereof
JP2022037491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490933B1 (en) Group ticket network system of offline event and method for managing thereof
KR102293119B1 (en) Easy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t the property
AU2015101271A4 (en) A hotel management system adapted for interfacing with authoris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6303634B2 (en) Transportation application system, transportation application server, transportation application metho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