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278B1 -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on media pannel,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on media pannel,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278B1
KR102516278B1 KR1020220069331A KR20220069331A KR102516278B1 KR 102516278 B1 KR102516278 B1 KR 102516278B1 KR 1020220069331 A KR1020220069331 A KR 1020220069331A KR 20220069331 A KR20220069331 A KR 20220069331A KR 102516278 B1 KR102516278 B1 KR 10251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display
image
display devic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이브이알스튜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브이알스튜디오 filed Critical (주)이브이알스튜디오
Priority to KR102022006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278B1/en
Priority to KR1020230038723A priority patent/KR20230168950A/en
Priority to KR1020230038724A priority patent/KR202301689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4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Abstract

Disclosed is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The present control method comprises: a step of acquiring an image by photographing a display of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 3D image; a step of identifying, based on the acquired image, a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looking at the display; a step of detecting a motion of the user terminal to identify a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step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on the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by transmitting motion information comprising the gaze direction and a motion direction to the display devi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nhancing an interest and interaction of a user.

Description

미디어 패널에 대한 직관적인 컨트롤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 {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ON MEDIA PANNEL,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s, servers, and display devices that provide an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for media panels {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ON MEDIA PANNEL,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과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위치 관계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system including a display device and a user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providing an intuitiv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motion of a user terminal based on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종래 대형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광고나 전시물을 표시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구조물은 공간의 분위기를 조성할 뿐 아니라 특정 장소의 랜드마크로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고 있다.As there are many cases of displaying advertisements or exhibits through a display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large screen, such a display structure not only creates an atmosphere of space, but also serves as a landmark of a specific place.

특히, 대형의 평면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스크린을 통해 3차원의 객체를 정교하게 표현하는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다만, 이 경우 보이는 각도에 따라 그 정교함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다양한 방향에서 대형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사용자들의 흥미를 온전히 충족시키기에 다소 아쉬운 면이 있다.In particular, a method of elaborately expres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through a screen composed of a large flat display is in the spotlight. However, in this case,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sophistication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so it is somewhat disappointing to fully satisfy the interest of users who look at the large display from various directions.

등록특허공보 제10-491432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491432

본 개시는 3D 이미지를 제공하는 대형 스크린 등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user terminal and system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gaze direction of a user looking at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large screen providing 3D images.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시선 방향 및 상기 모션 방향을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cquiring an image by photographing a display of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 3D image through a camera, by a processor, based on the acquired image, the display Identifying a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looking at, detecting mo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t least one motion sensor and identifying a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gaze direction and the motion direction and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on the display by transmitting mo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3D 이미지의 각도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In the identify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angle of the 3D image included in the image,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display may be identified.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도 있다.In the identify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display included in the image may be identified, and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display may be identified based on the shape of the identified display.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통해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도 있다.The step of identify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identifying a location throug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nsor, and when the user terminal is identified as exist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location, the obtaining Based on the image,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relative to the display.

상기 모션의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여 상기 모션의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identifying the direction of motion may include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real time through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image displayed in real time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In this case, the method may include detecting mo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motion sensor and identifying a direction of the motion.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모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이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controlling of th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may be controlled so that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o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based on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이미지의 중심에 나타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좌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상기 좌표를 중심으로 상기 모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이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controlling of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real time through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t least withi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appearing in the center of the image displayed in real time. Identifying one coordinate,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coordinate to the display device so that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mo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around the coordinate It may also include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 appearance is displayed.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3D 이미지가 표시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시선 방향 및 상기 모션 방향을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display a 3D image, receiving, from a user terminal, an image of a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displaying the 3D image captured, the Identifying a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looking at the display based on a received image, identifying a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by transmitting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gaze direction and the motion direction to the display device.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3D 이미지가 일정 횟수만큼 연속으로 변경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control method includes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continuously displaying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may include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the changed 3D imag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3D 이미지가 표시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시선 방향 및 상기 모션 방향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displaying a 3D image includes receiving, from a user terminal, an image captured by a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displaying the 3D image, the received Identifying a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looking at the display based on an image, identifying a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direction and the motion direction.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 단말 내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 전광판/스크린 내지는 전시용 디스플레이의 제어에 있어, 사용자 단말의 촬영 기능만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시선 방향 및 모션에 따라 직관적으로 반응하는 3D 이미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와 상호작용을 강화한다.A user terminal o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can identify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y utilizing only the photographing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in controlling a large electric signboard/screen or exhibition display, and intuitively according to the gaze direction and motion. It provides responsive 3D images to enhance user interest and interaction.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촬영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모션 인식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3D 이미지를 변경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어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perations of a user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performing intera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user terminal for photographing and display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changing and controlling a 3D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based on motion recognition by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a server in association with one or more user terminals and one or mor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First,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general terms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art, legal or technical interpretation, an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some terms ar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These terms may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s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term definition, they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overall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art.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numerals in each drawing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ymbols are used in different embodiments. That is, even if all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shown in a plurality of drawings, the plurality of drawings do not mean one embodim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elements. These ordinal numbers are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the meaning of the term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due to the use of these ordinal numbers. For example, the order of use or arrangement of elements associated with such ordinal number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number. If necessary, each ordinal number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module,” “unit,” and “part” are terms used to refer to component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these components are hardware or software. It may be implemented or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units", "parts", etc. ar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or chip, except for cases where each of them needs to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pecific hardware, so that at least one processor can be implemented as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other medium. In addition, the meaning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perations of a user terminal and a display device performing intera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사용자(user)의 사용자 단말(100) 및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도시한다.1 shows a user terminal 100 of a user and a display device 200 displaying a 3D image.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웨어러블 기기, VR/AR 기기, PDA 등 휴대 가능한 다양한 단말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correspond to various portable terminal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a wearable device, a VR/AR device, and a PDA.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건물 또는 구조물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 전광판,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correspond to various devices including one or more displays.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screen, electronic display board, panel, etc. constituting a building or structure.

구체적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3D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3D 이미지는, 비록 평면 또는 곡면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의 표면 상에 표시된 개체이지만 3차원 공간 상의 개체로 인식될 수 있을 정도로 표현된 것에 해당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one or more flat or curved display panels, and the one or more display panels may display 3D images. Here, the 3D image may correspond to an object displayed on the surface of a flat or curved display, but expressed enough to be recognized as an object in a 3D space.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및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user terminal 100 may capture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by a user's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the location and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display.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촬영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음을 전제로 또는 사용자 단말(100)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촬영함을 전제로,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동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may directly or in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display device 200 .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00 may interwork with th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captured. At this time, on the premise that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or that the user terminal 100 photographs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100 It may also work with the display device 200.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에 따라 모션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모션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시선 방향, 모션 방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acquire mo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and transmit it to the display device 200 . Here, the mo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 gaze direction, a motion direction, and the like.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및 시선 방향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과 모션 방향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에서 모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움직이도록, 3D 이미지를 재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based on the position and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display device 200 may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gaze direction and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200 may reconstruct and display the 3D image so that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moves o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s eye line and motion.

이렇듯,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지는 3D 이미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시선 방향 및 각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모션 방향에 맞게 변경된 액티브한 3D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촬영하는 것만으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한편,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모션(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장치(200) 상에 제공될 수 있게끔 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UX(User Experience)를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다.As such,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plurality of users with 3D images viewed from various angles, providing an active 3D image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gaze direction of each user and the motion direction of each user's user terminal. can provid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dentifies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only by photographing the display device 200, while the user's motion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s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UX (User Experience) of each user by enabling the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200 to be provided.

이하 도면들을 통해 사용자 단말 내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user terminal or a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drawings.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110), 통신부(120), 모션 센서(130), 프로세서(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 camera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motion sensor 130, a processor 140, and the like.

카메라(110)는 사용자 단말(100)의 주변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1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RGB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ToF(Time of Flight)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amera 110 is a component for obtaining an image by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s of the user terminal 100 . The camera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image sensor,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RGB camera, a stereo camera, a Time of Flight (ToF) camera, or the like.

일 실시 예로, 카메라(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3D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3D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amera 110 may acquire an image by photograp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 When the display device 200 displays a 3D image,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10 may include a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

통신부(120)는 다양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다양한 유무선 통신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회로, 모듈,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a componen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various external devices, and may include circuits, modules, chips, etc.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hrough various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통신부(120)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through various networks.

네트워크는 영역 또는 규모에 따라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따라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일 수 있다.The network may be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etc., depending on the area or size, and an intranet, It may be an extranet or the Internet.

통신부(120)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performs long-term evolution (LTE), LTE Advance (LTE-A), 5th generation (5G) mobile communicat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DMA (WCDMA), an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 WiBro (Wireless Broadband),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etc. It can be connected with external devices through

또한, 통신부(120)는 이더넷(Ethernet),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선더볼트(ThunderBolt)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Ethernet, optical network, universal serial bus (USB), or thunderbolt.

모션 센서(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모션 센서(130)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은 모션 센서(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자세(ex. 서로 수직인 3개의 축 각각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각도),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을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The motion sensor 130 is a component for detecting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The motion senso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the user terminal 100 uses the motion sensor 130 to determine the posture of the user terminal 100 (ex. three mutually perpendicular positions). Rotation angle based on each axis of the dog), movement direction, movement speed, etc. can be identified in real time.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단말(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와 연결되는 한편 메모리(11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100 as a whole. Specifically, the processor 120 may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11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memory 110 .

프로세서(140)는 CPU, AP,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과 같은 범용 프로세서, GPU, VPU(Vision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 또는 NPU와 같은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는, 특정 인공지능 모델의 훈련 내지는 이용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40 may include a general-purpose processor such as a CPU, AP, or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graphics-only processor such as a GPU or a vision processing unit (VPU),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only processor such as an NPU. An artificial intelligence-only processor may be designed as a hardware structure specialized for training or use of a specific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110)를 통해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310).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100 may obtain an image by photographing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displaying a 3D image through the camera 110 (S310).

일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촬영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카메라(1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activate a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 user input. Here, the camera 110 may obtain an image by capturing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the corresponding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0 .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페어링은, 사용자 단말(100)과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직접 통신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ex. 중계 장치, 서버 등)를 통한 간접 통신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may perform pairing with the display device 200 . This pairing may be performed by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or by indirect communication through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ex. relay device, server, etc.).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스크린을 식별하도록 훈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ex. CNN)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의 형상,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주변 모습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식별 번호,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디스플레이의 형상, 크기, 주변 모습 등에 대한 정보가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와 매칭되도록 사용자 단말(100)의 메모리 상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may extract the display device 200 within the image.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by utilizing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ex. CNN) trained to identify at least one display/screen in an image. Here, the user terminal 1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size of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and the surroundings of the display device 200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n identification number, location, and the like of the display device 200 . To this end, information on the shape, size, and surroundings of the display of one or more display devices may be pre-stored in the memory of the user terminal 100 to mat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 device.

또는,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식별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 장치(ex. 와이파이 중계기)의 위치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기저장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 정보 중 사용자 단말(100)의 현 위치와 근접한 위치 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위치 정보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 장치(ex. 100)의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it is identified that at least one display device is included in the image, the user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identifi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ensor, or the location of at least one relay device (ex. Wi-Fi repeat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i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can be identified. Here, the user terminal 100 selects location information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from among the pre-stored location information of one or more display devices, and identifies the display device (ex. 100) matching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Pairing can be performed based on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S320).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함을 전제로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GPS 센서를 통해 식별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와 비교될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3 , based on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110,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relative to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S320). ).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the gaze direction on the premise that the user terminal 100 exist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 . Her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dentified through the GPS sensor may be compared with the loc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

일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에 포함된 3D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의 각도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angle of the 3D image (: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included in the image,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 100) can be identified.

이 경우, 먼저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에 포함된 3D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3D 이미지 내지는 움직이는 영상을 식별하도록 훈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ex. CNN)이 활용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내 디스플레이/스크린을 식별하도록 훈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추출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가 식별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first, the user terminal 100 may extract a 3D image included in the image. Here,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ex. CNN) trained to identify 3D images or moving images may be utilized. Alternatively,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identified as the display is extracted through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to identify the display/screen within the image.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된 3D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된 이미지 내 3D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이미지 내 3D 이미지의 각도를 식별하고, 식별된 각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3D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에 기저장된 것일 수 있고,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후술할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00 identifies the angle of the 3D image in the image by comparing the image data for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with the 3D image in the acquired image, and the user terminal ( 100) can determine the gaze direction. Here, the image data for the 3D image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received from the paired display device 200, or may be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described later.

또는, 일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스크린의 형상을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shape of the display/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0 included in the image.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내 디스플레이/스크린을 식별하도록 훈련된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이미지 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스크린을 추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00 may extract the display/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0 within the image by utilizing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rained to identify the display/screen within the image.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추출된 디스플레이/스크린의 형상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스크린을 바라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방향 각각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스크린의 형상이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 내 디스플레이/스크린의 형상을 시선 방향 별로 기저장된 디스플레이/스크린의 형상과 비교하여, 이미지 내 디스플레이/스크린을 바라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the gaze direction (of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100 looking at the display/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the extracted shape of the display/screen.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display/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pre-stored for each of various gaze directions toward the display device 200 .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compares the shape of the display/screen in the image with the shape of the display/screen previously stored for each gaze direction to determine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looking at the display/screen in the image. can

한편, 도 3의 S320과 달리, 사용자 단말(100)은 GPS 센서를 바탕으로 획득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GPS 센서를 통해 식별된 사용자 단말(100)의 현 위치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위치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바라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Meanwhile, unlike S320 of FIG. 3 , the user terminal 100 may determine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cquired based on the GPS sensor. 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00 is the user terminal 100 looking at the display device 200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dentified through the GPS sensor and the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direction of gaze can be identified.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시선 방향이 식별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모션 센서(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을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S330).When the gaze direction is identifi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user terminal 100 detects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motion sensor 130 to identify the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t can (S33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상태를 전제로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 감지가 수행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motion det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per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is being photographed by the user terminal 100 .

관련하여, 일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 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또는 3D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추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모션 센서(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을 감지하여 모션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의 카메라(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스크린이 촬영되는 동안에만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 감지가 활성화될 수 있다.In this regard, as an example,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110 may be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100 . Here, when the image displayed in real time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 when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or a 3D image is extracted from the image), the user terminal 100 ) may detect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motion sensor 130 and identify the direction of the motion. That is, motion det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ctivated only while the display/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0 i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10 of the user terminal 100 .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기, 상/하/좌/우로 움직이기, 회전시키기, 상하/좌우로 흔들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otions include, for example, pushing the user terminal 100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display device 200, pulling the user terminal 10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splay device 200, moving up/down/left/right, rotating, up and down. /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shaking left and right.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상술한 시선 방향 및 모션 방향을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S340).And, referring to FIG. 3 ,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gaze direction and motion direction to the display device 200 to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controlled to do so (S340).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모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이 표현될 수 있다.For example,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mo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based on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expressed.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이미지의 중심에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내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식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10 in real time, and identify at least one coordinate i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appearing in the center of the image displayed in real time. can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식별된 좌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상술한 좌표를 중심으로 모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이 표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d coordinates to the display device 200 . As a result,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moves along the direction of motion around the above-described coordinates can be expressed.

도 4 내지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촬영하여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및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4 to 5 are drawing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user terminal for photographing and displaying a display device and an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a motion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4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이미지(41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an image 410 captured through the camera 110 .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image 410 may include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210 of the display device 200 .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이미지(410)의 중심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210) 내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중심선(411)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210) 내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좌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at least one coordinate within the display 210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image 41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select at least one coordinate in the display 210 that matches the center line 411 . And,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coordinates to the display device 200 .

도 4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상술한 이미지(410)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거나 또는 반대로 당기는 등의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above-described image 410 as shown in FIG. 4 , the user pushes the user terminal 100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display device 200 or pulls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 5 . of motion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이 감지될 수 있으며, 모션의 방향(: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가까워지는 방향) 및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포함하는 모션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push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display device 200,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detected, and the direction of the motion (: the direction closer to the display device 200) ) and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200 .

그 결과,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 상에 표시되는 3D 이미지 내 개체(ex. 물방울들, 물에 해당하는 입자들)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중심으로 모션의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시선 방향에 따라 밀리는 모션이 감지되었으므로, 시선 방향(: 모션 방향)을 중심으로 물 입자들이 마치 모세의 기적처럼 좌우로 밀리는 3D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장치(200) 상에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410) 내 중심선(411)에 매칭되는 디스플레이(210) 상의 좌표들을 중심으로 하여 물방울들이 좌우로 밀릴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 objects i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ex. water droplets, particles corresponding to water) may mov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around the user's gaze direction. . Referring to FIG. 5 , since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being pushed along the gaze direction is detected, a 3D image in which water particles are pushed left and right like Moses' miracle centered on the gaze direction (motion direc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 can be expressed on At this time, water droplets may be pushed left and right with coordinates on the display 210 that match the center line 411 in the image 410 captu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as the center.

그 결과, 사용자는 마치 본인이 3D 이미지 내 개체(ex. 물에 해당하는 입자들)들을 밀어낸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직관적인 인터랙션에 따른 흥미와 관심이 증대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user can feel as if he or she has pushed objects (eg, particles corresponding to water) in the 3D image, and interest and interest according to intuitive interaction can be increased.

한편, 일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획득된 모션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된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통해 표시되는 3D 이미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Meanwhile, as an embodiment, after the mo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100 may monitor a 3D imag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0.

구체적으로, 모션 정보가 전송된 이후에도,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스크린을 계속적으로 촬영하여 순차적으로 복수의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순차적으로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3D 이미지의 변경 여부, 변경되는 정도, 변경되는 형상/태양 등을 식별할 수 있다.Specifically, even after the mo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user terminal 100 may sequentially acquire a plurality of images by continuously photographing the display/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camera 110 .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may identify whether or not the 3D image is changed, the degree of change, and the changed shape/shape by analyzing the plurality of images acquired sequentially.

예를 들어, 모션 정보가 전송되었음에도 일정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촬영된 이미지들을 통해 3D 이미지의 변경이 식별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후술할 서버(300)로 통신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에 대한 점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현재 통신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에 이상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hange in a 3D image is not identified through images sequentially captu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though mo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user terminal 100 sends the display device 200 and/or the server 300 to be described later. A request for checking the communication state or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 may output a message informing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urrent communication state or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200 .

예를 들어, 모션 정보가 전송된 이후 3D 이미지의 변경이 식별되기는 하나, 모션 정보에 매칭되는 모션의 방향/속도가 실제 변경된 3D 이미지의 변경 속도와 맞지 않는 경우, 역시 사용자 단말(1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또는 후술할 서버(300)로 통신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에 대한 점검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hange of the 3D image is identified after the mo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but the direction/speed of the motion matching the motion information does not match the change speed of the actually changed 3D image, the user terminal 100 also displays A request for checking the communication state or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200 and/or the server 300 to be described later.

관련하여, 일 실시 예로, 모션 정보가 전송된 이후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내에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스크린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의 방향(카메라(110)의 방향)을 디스플레이 장치(200) 쪽으로 유지해달라는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션 정보가 전송된 이후에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상술한 모니터링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this regard, as an example, when the display/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0 is not included in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110 after the mo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A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at the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110) be maintained toward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output.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monitoring of the display device 200 performed after mo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can be smoothly performed.

다만, 모션 정보가 전송된 이후 모니터링된 3D 이미지의 변경이, 일정 횟수(ex. 2회) 이상의 연속적인 모션(: 각 모션은, 기준 단위에 해당하는 일 모션)에 대해 문제 없이 매칭되는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모션 정보에 매칭되는 3D 이미지의 변경이 나타남), 사용자 단말(100)은 이후 연속으로 이어지는 모션에 대해서는 모션 정보가 전송된 이후 3D 이미지를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모션 정보가 전송된 직후 일정 시간(: 3D 이미지의 변경이 나타나는 시간)에 대해 계속적인 촬영(카메라(110))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사후 모니터링 과정에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 및 로드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However, it is identified that the change of the 3D image monitored after the mo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is matched without problems for continuous motions (e.g., one motion corresponding to a standard unit) of a certain number of times (eg, twice) or more. (: A change in the 3D image that matches the motion information appears), the user terminal 100 may not monitor the 3D image after the mo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or the subsequent motion. That is, in this case, continuous shooting (camera 110) may not be performed for a certain time immediately after the mo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time when the 3D image is changed). As a result,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and load consumption in the post-monitoring process can be minimized.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110), 통신부(120), 모션 센서(130), 프로세서(140) 외에 사용자 입력부(150), 디스플레이(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user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150, a display 160, and the like in addition to a camera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motion sensor 130, and a processor 140. .

사용자 입력부(150)는 다양한 명령 또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구성이다. 사용자 입력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마이크, 카메라,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 구성된 별도의 사용자 입력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150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various commands or information from a user. The user input unit 150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button,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microphone, a camera, a sensor,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user input device composed of a mouse, keyboard, or the like.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상술한 도 3의 과정 전반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내지는 프로그램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100)과 디스플레이 장치(200) 간의 페어링이 시작될 수도 있다.For example, based on the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50, at least one instruction or program for executing the entire process of FIG. 3 described above may be driven. Also, pairing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initiated based on a user input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50 .

디스플레이(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OLED(Transparent OLED), Micro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밖에 종래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160 may be implement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Transparent OLED (TOLED), Micro LED,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known types of displays may be included. The display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touch manipulation, or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display capable of being folded or bent.

일 실시 예로,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ex.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terminal 100 may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10 (eg,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displaying a 3D image) on the display 160 .

한편,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Meanwhile,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10), 통신부(220), 프로세서(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display device 200 may include a display 210, a communication unit 220, a processor 230, and the like.

디스플레이(210)는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 예로, 디스플레이(210)는 대형 전광판 내지는 대형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3D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따라 비디오의 형태로 3D 이미지가 표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210 is a component for displaying various images. As an example, the display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for constituting a large electric signboard or a large screen, and may display the above-described 3D image. In this case, the 3D image may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video according to a plurality of image frames provided sequentially.

통신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서버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e display device 200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user terminals and servers.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술한 구성들(디스플레이(210), 통신부(220))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processor 23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e display 21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20) of the display device 200.

한편, 비록 상술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는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실시 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과정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mainly described for the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0 identifies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s a display device ( 200) may be performed.

일 실시 예로,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3D 이미지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가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isplay device 200 including the display 210 displaying a 3D image may receive,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 image captured by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200 on which the 3D image is displayed. .

수신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10)를 바라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수신된 이미지 내 디스플레이(210)의 형상, 수신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3D 이미지의 각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Based on the received image, the display device 200 may identify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looking at the display 210 .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200 utilizes at least one of the shape of the display 210 in the received image, the angle of the 3D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direction of gaze can be determined.

또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의 모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모션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의 방향, 모션의 속도, 사용자 단말(100)의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display device 200 may identify the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In this case, the mo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of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speed of motion, and the posture of the user terminal 100.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 및 모션 방향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에 따라 3D 이미지를 재구성(변경)하고,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재구성된 3D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Here, based on the gaze direction and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display device 200 reconstructs (changes) the 3D imag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displays the reconstructed 3D image through the display 210. images can be displayed.

한편,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어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Meanwhile,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a server in association with one or more user terminals and one or mor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시스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server 100 is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user terminals and one or more display devices, may include one or more computers,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ystem.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연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과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연동을 지원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interwork with one or more user terminals through at least one web page, application, or the like, and may support interworking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한편,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상술한 과정이, 서버(100)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process of identify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erver 100 .

일 실시 예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하여금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3D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기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서버(100) 상에 기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server 100 may control at least one display device 200 to display a 3D image. Here, the 3D image may be pre-stored in the display device 200 or pre-stored on the server 100 .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3D 이미지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10)가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100 may receive, from the user terminal 100 , an image captured by the display 210 of the display device 200 on which the 3D image is displayed.

이 경우, 수신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서버(300)는 디스플레이(210)를 바라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된 이미지 내 디스플레이(210)의 형상, 수신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3D 이미지의 각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시선 방향이 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based on the received image, the server 300 may identify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looking at the display 210 . Similarly,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alculat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hape of the display 210 in the received image, the angle of the 3D image included in the received image, and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또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 정보를 바탕으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300)의 모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모션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의 방향, 모션의 속도, 사용자 단말(100)의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lso,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server 300 may identify a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The mo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 direction of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 speed of the motion, and a posture of the user terminal 100.

여기서, 서버(300)는 시선 방향 및 모션 방향을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자체적으로 생성한 뒤, 생성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Here, the server 300 transmits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a gaze direction and a motion direction to the display device 200 to control the display device 200 to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can Alternatively, the server 300 may generate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by itself and then transmit the generated 3D image to the display device 200 .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1, 2, … , n)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 2, … , m)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30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연동시켜 모션 기반의 3D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8 , the server 300 may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1, 2, ..., n and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200-1, 2, ..., m. there is. Here, the server 300 may provide motion-based 3D images by linking one or more user terminals to each display device.

이때,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모션이 동시에 반영된 결과 3D 이미지가 변경될 수도 있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모션만 반영된 결과 3D 이미지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3D image may be changed as a result of simultaneously reflecting the motions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on one display device, or the 3D image may be changed as a result of reflecting only the motion of one user terminal on one display device.

이 경우, 서버(300)는 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각 사용자 단말이 3D 이미지를 모션 제어하는 과정을 시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rver 300 may temporally separate a process of motion control of a 3D image by each user terminal with respect to one display device.

일 실시 예로,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1)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근접한 순서, 디스플레이 장치(200-1)와 페어링이 수행된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바탕으로, 사용자 단말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서버(300)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1)에 대한 모션 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킨 순서에 따라, 사용자 단말들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As an embodiment, the server 300 sets the priority of user terminal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rder of proximity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200-1 and the order of pairing with the display device 200-1. can Alternatively, the server 300 may execute applications provided by the server 300 to prioritize user terminals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motion control functions for the display device 200-1 are activated.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1)이 사용자 단말(100-2)보다 더 빠르게 디스플레이 장치(200-1)에 근접하여 모션 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킨 경우를 가정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user terminal 100-1 approaches the display device 200-1 faster than the user terminal 100-2 and activates a motion control function.

이 경우, 서버(300)는 우선적으로 사용자 단말(100-1)을 주 제어 기기로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100-1)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00-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1)은, 현재 사용자 단말(100-1)의 모션에 따라 3D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음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말(100-2)은, 현재 다른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3D 이미지가 변경되고 있기 때문에 대기가 필요함을 안내할 수 있으며, 예상 대기 시간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erver 300 first sets the user terminal 100-1 as a main control device, and sets the display device 200-1 to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1. You can control it.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100-1 may provide a message informing that the 3D ima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urrent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1. 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100 - 2 may inform that waiting is necessary because the 3D image is currently being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another user terminal, and may also provide an expected waiting time.

다만, 사용자 단말(100-1)의 모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1)에 표시된 3D 이미지가 일정 횟수만큼 연속으로 변경된 경우(ex. 기준 단위의 모션이 순차적으로 일정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 서버(300)는 다음 순서인 사용자 단말(100-2)을 주 제어 기기로 설정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1 is continuously changed a certain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1 (ex. when the motion of the reference unit is sequentially detect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server 300 may set the next step, the user terminal 100-2, as the main control device.

이 경우,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2)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00-1)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rver 300 may control the display device 200-1 to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100-2.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로 저촉되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두 개 이상의 실시 예가 서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wo or more embodiments as long as they do not conflict or contradict each other.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r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itself. According to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서버(300)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서버(300)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computer instructions or computer programs for performing processing operations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display device 200, or the server 3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n-temporary computer It may be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A computer instruction or computer program stored in such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is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specific device in the user terminal 100, the display device 200, or the server 3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pecific device described above.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is readable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Specific examples of th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belong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사용자 단말 200: 디스플레이 장치
300: 서버
100: user terminal 200: display device
300: server

Claims (10)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 방향 및 상기 모션 방향을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모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이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이미지의 중심에 나타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좌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상기 좌표를 중심으로 상기 모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이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Obtaining an image by photographing a display of a display device displaying a 3D image through a camera;
identifying, by a processor, a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looking at the display, based on the acquired image;
detecting a mo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at least one motion sensor and identifying a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on the display by transmitting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gaze direction and the motion direction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is,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so that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mov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tion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s gaze;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is,
displaying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in real time through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identifying at least one coordinate i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appearing at the center of the image displayed in real time; and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coordinates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so that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mo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around the coordinates, the display device A control method of a user terminal, including; controll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3D 이미지의 각도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dentify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angle of the 3D image included in the image, the user terminal control method of identifying a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디스플레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dentify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identify the display included in the image;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terminal, wherein a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display is identified based on the shape of the identified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통해 위치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된 경우,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dentifying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Identify location through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nsor,
When the user terminal is identified as exist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location, based on the acquired image, the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to identify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display.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의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을 감지하여 상기 모션의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dentifying the direction of the motion,
displaying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in real time through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When the image displayed in real time inclu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detecting motion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motion sensor and identifying a direction of the motion;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includ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3D 이미지가 표시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 방향 및 상기 모션 방향을 포함하는 모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모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이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이미지의 중심에 나타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좌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상기 좌표를 중심으로 상기 모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이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In the server control method,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to display a 3D image;
Receiving, from a user terminal, an image of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on which the 3D image is displayed;
Identifying a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looking at the display based on the received image;
identifying a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by transmitting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gaze direction and the motion direction to the display device;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is,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so that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mov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tion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s gaze;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is,
displaying the captured image in real time through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identifying at least one coordinate i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appearing at the center of the image displayed in real time; and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coordinates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so that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mo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around the coordinates, the display device Controlling the; includ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ser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제어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3D 이미지가 일정 횟수만큼 연속으로 변경된 경우, 제2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control method of the serve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o display the changed 3D image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whe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is continuously chang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 how to control the server.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3D 이미지가 표시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 방향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 방향 및 상기 모션 방향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션에 따라 변경된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모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이 표현되도록 표시하며,
상기 3D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촬영된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표시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이미지의 중심에 나타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 적어도 하나의 좌표를 식별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식별된 좌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3D 이미지 내 적어도 하나의 개체가 상기 좌표를 중심으로 상기 모션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displaying a 3D image,
Receiving, from a user terminal, an image of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on which the 3D image is displayed;
Identifying a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looking at the display based on the received image;
identifying a motion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e gaze direction and the motion direction, displaying a 3D image changed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3D image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is displayed so that a moving state is express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based on the gaze direc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step of displaying the 3D image,
As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dentifies at least one coordinate i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appearing at the center of the image displayed in real time,
Of the display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coordinates from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bject in the 3D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display device mov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around the coordinates control method.
KR1020220069331A 2022-06-08 2022-06-08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on media pannel,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KR102516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331A KR102516278B1 (en) 2022-06-08 2022-06-08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on media pannel,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KR1020230038723A KR20230168950A (en) 2022-06-08 2023-03-24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based on gaze direction according to gps information,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KR1020230038724A KR20230168951A (en) 2022-06-08 2023-03-24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based on gaze direction and motion direction of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331A KR102516278B1 (en) 2022-06-08 2022-06-08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on media pannel,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724A Division KR20230168951A (en) 2022-06-08 2023-03-24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based on gaze direction and motion direction of user terminal
KR1020230038723A Division KR20230168950A (en) 2022-06-08 2023-03-24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based on gaze direction according to gps information,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278B1 true KR102516278B1 (en) 2023-03-30

Family

ID=859859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331A KR102516278B1 (en) 2022-06-08 2022-06-08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on media pannel,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KR1020230038724A KR20230168951A (en) 2022-06-08 2023-03-24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based on gaze direction and motion direction of user terminal
KR1020230038723A KR20230168950A (en) 2022-06-08 2023-03-24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based on gaze direction according to gps information,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724A KR20230168951A (en) 2022-06-08 2023-03-24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based on gaze direction and motion direction of user terminal
KR1020230038723A KR20230168950A (en) 2022-06-08 2023-03-24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based on gaze direction according to gps information,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16278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432B1 (en) 2002-11-06 2005-05-25 주식회사 유씨티코리아 Interactive exhibition system using multi-modal user interface
KR20110128322A (en) * 2009-03-03 2011-11-29 디지맥 코포레이션 Narrowcasting from public displays, and related arrangements
KR20120092469A (en) * 2011-02-11 2012-08-21 문지은 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
KR101692267B1 (en) * 2016-08-25 2017-01-04 지스마트 주식회사 Virtual reality contents system capable of interacting between head mounted user and peop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09310B1 (en) * 2015-11-25 2017-02-23 (주) 피디케이리미티드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3 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deo for cylindrical screen
KR20190026267A (en) * 2017-09-04 2019-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KR20190114574A (en) * 2018-03-30 2019-10-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ethod for adjusting image on cylindrical screen device
KR102103726B1 (en) * 2019-11-26 2020-04-23 (주)코리아 싸인 Ai digital signage
KR102344580B1 (en) * 2021-05-18 2021-12-29 주식회사 아이엠파인 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providing a content control interface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open type display device and a user terminal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432B1 (en) 2002-11-06 2005-05-25 주식회사 유씨티코리아 Interactive exhibition system using multi-modal user interface
KR20110128322A (en) * 2009-03-03 2011-11-29 디지맥 코포레이션 Narrowcasting from public displays, and related arrangements
KR20120092469A (en) * 2011-02-11 2012-08-21 문지은 Access system of termina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connection apparatus
KR101709310B1 (en) * 2015-11-25 2017-02-23 (주) 피디케이리미티드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3 dimensional virtual reality video for cylindrical screen
KR101692267B1 (en) * 2016-08-25 2017-01-04 지스마트 주식회사 Virtual reality contents system capable of interacting between head mounted user and peop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26267A (en) * 2017-09-04 2019-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KR20190114574A (en) * 2018-03-30 2019-10-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Method for adjusting image on cylindrical screen device
KR102103726B1 (en) * 2019-11-26 2020-04-23 (주)코리아 싸인 Ai digital signage
KR102344580B1 (en) * 2021-05-18 2021-12-29 주식회사 아이엠파인 Provid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providing a content control interface through interworking with an open type display device and a user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950A (en) 2023-12-15
KR20230168951A (en)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2503B2 (en) Surface aware lens
JP6214828B1 (en) Docking system
US9563272B2 (en) Gaze assisted object recognition
JP6090879B2 (en) User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devices
US11625841B2 (en) Localization and tracking method and platform,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160993B1 (en) Using projection for visual recognition
US10073541B1 (en) Indicators for sensor occlusion
KR1023814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ssion control support for angle-of-view virtual reality streaming
EP2983140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356393B1 (en) High resolution 3D content
US111328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augmented reality devices to a virtual reality device
US11016559B2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of display system
US107769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3D association of detected objects
CN109565548B (en) Method of controlling multi-view imag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21119408A1 (en) Skeletal tracking using previous frames
CN111553196A (en)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etecting hidden camera
CN106201284B (en) User interface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US9760177B1 (en) Color maps for object tracking
US10139925B2 (en) Causing specific location of an object provided to a device
WO2023064719A1 (en) User interactions with remote devices
US9423886B1 (en) Sensor connectivity approaches
US20210201586A1 (en) Augmented reality remote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ity function for 3d space
KR102516278B1 (en) User terminal for providing intuitive control environment on media pannel, server, and display apparatus
EP31129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application grouping in virtual reality
CN109804408B (en) Consistent spherical photo and video orientation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