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124B1 - Management system of metaverse character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of metaverse character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124B1
KR102515124B1 KR1020220104036A KR20220104036A KR102515124B1 KR 102515124 B1 KR102515124 B1 KR 102515124B1 KR 1020220104036 A KR1020220104036 A KR 1020220104036A KR 20220104036 A KR20220104036 A KR 20220104036A KR 102515124 B1 KR102515124 B1 KR 102515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aracter
user
health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봉두
박호성
Original Assignee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먼아이티솔루션 filed Critical (주)휴먼아이티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04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1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1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status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ystem includes: a charact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character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 on one screen of a user terminal; a character conversion unit for controlling the character output unit to change and output appearance information of a character by reflecting at least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utside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health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character conversion unit.

Description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METAVERSE CHARACTER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METAVERSE CHARACTER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사용자가 모션 인식 장치 등을 이용하여 훈련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되는 사용자의 운동량 값과, 각도 변화 등의 상태 정보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러한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3D 캐릭터에 반영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메타버스 캐릭터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and specifically,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the user's momentum value obtained by the user performing training using a motion recognition device, and the like, and angle change The user's health status can be easily checked by implementing the user's health status as a metaverse character by making a database us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back and reflecting it on the metaverse 3D character using this health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it is related to technology.

치매는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하여 손상 또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 정신 기능이 저하되는 복합적인 증상을 일컫는다.Dementia refers to complex symptoms in which the normally mature brain is damaged or destroy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acquired trauma or disease, and overall cognitive functions such as intelligence, learning, language, and higher mental functions are lowered.

현재 치매는 확실한 치료재가 부재한 상황이고, 치매로 인한 사회,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어, 치매의 예방 혹은, 치매 환자가 안전하게 훈련할 수 있으면서 치매 환자 부양자의 정신적, 육체적 부담이 경감되도록 하는 케어 환경의 구현에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치매 환자에 대한 인지 능력 개선 훈련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치매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유일한 대안으로 손꼽히고 있다.Currently, there is no clear treatment for dementia,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ocial and economic burden caused by dementia will increase, so that dementia patients can safely train and the mental and physical burden of the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s can be reduced. The need to implement a care environment is increasing, and systematic management through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training for dementia patients and continuous monitoring is considered the only alternative to delay the progression of dementia.

이에 한국 공개 특허 제10-2022-0001875호에서는 원격 재가 훈련이 가능한 치매 예방 인지 기능 훈련 서비스에 대한 기술로서, 치매 환자인 사용자에게 인지 치료를 위한 훈련 컨텐츠를 할당하고, 할당된 훈련 컨텐츠의 수행 결과를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간에 공유되도록 하여 원격에서 사용자의 인지 기능 훈련 개선 정도를 파악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Accordingl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01875 discloses a technology for a dementia preventio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service capable of remote home training, in which training contents for cognitive treatment are allocated to a user who is a dementia patient, and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allocated training contents It proposes a technique to remotely determin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training of a user by sharing it among one or more user terminals.

그러나, 상술한 선행 기술의 경우, 단순히 훈련 컨텐츠의 수행 결과를 수치화하여 제공하는 정도의 기능이 수행될 뿐이어서, 사용자의 건강 정보와 상태 정보를 복합적으로 고려한 모니터링 결과를 도출하여 줄 수 없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고, 단순히 수치화된 훈련 컨텐츠 수행 결과를 통해 관리자가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여야 했으므로, 관리자의 역량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에 대한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 function of simply providing a digitized performance result of training content is performed, so the limitation is that it cannot derive a monitoring result that considers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in a complex way. However, since the administrator had to grasp the user's condition through simply quantified training content execution result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iagnosis result for the user's current health condition greatly differed depending on the manager's capability.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사용자가 모션 인식 장치 등을 이용하여 훈련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되는 사용자의 운동량 값과, 각도 변화 등의 상태 정보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러한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3D 캐릭터에 반영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메타버스 캐릭터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database using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the user's momentum value obtained by the user performing training using a motion recognition device, and state information such as angle change, and such health information and status A first object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check the user's health condition by implementing the user's health condition as a metaverse character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metaverse 3D characte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메타버스 캐릭터를 통해 객관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관리자에게 공유될 수 있게 함으로써, 원격에서도 사용자에 대한 모니터링 및 돌봄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enables monitoring and care for a user remotely by objectively implementing the user's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through a metaverse character so that it can be shared with the user's manager. there i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은 유저 단말의 일 화면에 사용자를 대표하는 캐릭터 정보를 출력하는 캐릭터 출력부; 적어도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를 캐릭터 정보에 반영하여 캐릭터 출력부가 캐릭터의 외형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캐릭터 변환부; 및, 사용자마다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캐릭터 변환부에 전송하는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command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user device on one screen of a user terminal. Charact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character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a character conversion unit for controlling the character output unit to change and output the character information by reflecting at least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utside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health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character conversion unit.

이때 상술한 상태 정보는, 외부 훈련 서버에서 관리되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정보 및, 캐릭터 정보가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 내의 사용자의 활동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정보로서,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에 따른 평가 점수, 모션 인식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운동량 값 및,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각도 변화값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stat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user's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managed by an external training server and user activity information in an application in which character information is output, but As the performance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valuation scor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a value of the user's momentum measured from the motion recognition device, and an angle change value of the user's body part.

또한 상술한 캐릭터 변환부는, 캐릭터의 외형 정보 변경 시, 캐릭터의 형태, 표정, 색상을 변환시키는 제1 변환 형태 및, 캐릭터에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제1 보조 캐릭터 정보를 캐릭터 정보에 추가하여 표현하는 제2 변환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캐릭터 정보를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conversion unit, when changing the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the first conversion form for converting the shape, expression, and color of the character, and the first auxiliary character information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ealth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It is preferable to convert the character information into a form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version forms expressed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또한 상술한 캐릭터 출력부는, 유저 단말의 다른 화면에 캐릭터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로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상태 정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컨텐츠를 가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컨텐츠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output unit, as content using character information on another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 content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and outputs content that can be checked for the user's health condi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

또한 상술한 컨텐츠 가공부는, 외부 훈련 서버에서 관리되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정보에 따라서, 캐릭터 정보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훈련 컨텐츠를 수행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tent processing unit preferably processes video content in which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character information performs training content according to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user's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managed by an external training server.

또한 상술한 컨텐츠 가공부는, 훈련 컨텐츠별로 설정된 핵심 동작 포인트를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content processing unit generates video content using key operation points set for each training content.

또한 상술한 캐릭터 출력부는, 캐릭터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 인근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보조 캐릭터를 함께 출력하도록 하고, 제2 보조 캐릭터에 대한 유저 단말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가이드 정보를 유저 단말의 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하는 가이드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output unit outputs a second auxiliary character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health condi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near the screen on which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output, and the user terminal for the second auxiliary charact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guide provision unit for outputting guide information on one screen of a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of .

또한 상술한 유저 단말과 연동되어 있는 다른 유저 단말로서, 사용자의 관리자에 대응되는 유저의 단말인 타 유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훈련 컨텐츠의 이용 상태에 대한 정보의 공유 요청을 수신 시, 타 유저 단말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훈련 컨텐츠의 이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유 정보로 가공하여 제공하되, 제2 보조 캐릭터가 공유 정보를 타 유저 단말에 브리핑하는 방식으로 공유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공유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another user terminal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above-described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sharing information on the user's health condition or the use status of training contents from another user terminal, which is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manager, other user terminals Shar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user's health status or training content use status to the terminal as shared information, and processing and providing the shared information in such a way that the second auxiliary character briefs the shared information to other user terminal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rovid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캐릭터의 외형을 변화시킴으로써 메타버스 캐릭터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user's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can be visualized through the metaverse character by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metaverse character based on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utside. There are possible effec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메타버스 캐릭터를 통해 구현하여, 사용자의 관리자(또는 보호자)에게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격에서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원격 진료 또는 원격 돌봄이 가능하게 하고, 이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is implemented through the metaverse character and can be shared with the user's administrator (or guardia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obtain the user's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remotely. By making it possible to grasp,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the user's remote medical treatment or remote care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로부터 캐릭터의 외형이 변화하는 것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저 단말의 일 화면에 사용자를 대표하는 캐릭터 정보가 출력되는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캐릭터 변환부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캐릭터 정보의 출력 화면에 제1 보조 캐릭터 정보가 추가되어 표현되는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상태 정보에 대한 컨텐츠가 가공되어 출력되는 예.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가이드 제공부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상태 정보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보조 캐릭터가 출력되는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타 유저 단말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훈련 컨텐츠의 이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유 정보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예.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1 is a block diagram of a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changing the appearance of a character based on health information of a user and statu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in which character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 is output on one scree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in which first auxiliary character information is added and expressed on an output screen of character information by performing a function of a character conver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processing and outputting contents about a user's health condi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examples in which a second auxiliary characte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on a user's health condi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is output by performing a function of a guide provi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a user's health condition or use of training content into shared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to another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now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facilitate a genera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principle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bed descriptions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References to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dicating that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is preferable to or advantageous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not be interpreted as

본 발명은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사용자가 모션 인식 장치 등을 이용하여 훈련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되는 사용자의 운동량 값과, 각도 변화 등의 상태 정보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러한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메타버스 3D 캐릭터에 반영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메타버스 캐릭터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메타버스 캐릭터를 통해 객관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관리자에게 공유될 수 있게 함으로써, 원격에서도 사용자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부양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and specifically,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the user's momentum value obtained by the user performing training using a motion recognition device, etc., angle change, etc. A technology that makes it easy to check the user's health condition by creating a database using health information and reflecting the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on the metaverse 3D character to implement the user's health condition as a metaverse character The first purpose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objectively implements the user's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through a metaverse character so that it can be shared with the user's manager, thereby enabling monitoring and support for the user remotely. There is a second purpose to providing.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 plurality of drawings are simultaneously referenced to describe one or more technical features o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nvention. It could be.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in FIG. 1,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은 주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 유저 단말의 일 화면에 사용자를 대표하는 캐릭터 정보를 출력하는 캐릭터 출력부(11)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component, preferably a character output unit 11 that outputs character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 on one screen of a user terminal. ) may be included.

이때 상술한 캐릭터 정보라 함은, 현실 세계의 사용자를 가상 세계에서 객체화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현실 세계의 사용자 이미지를 토대로 유사한 외형을 갖도록 모델링됨이 바람직할 것이나, 사용자의 선호에 따른 사람의 외형에 따른 별도의 캐릭터로 구현되어, 상술한 도 3의 100과 같이 캐릭터 출력부(11)를 통해 사용자의 캐릭터(C)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information can be understood as an objectification of a user in the real world in the virtual world, and it is desirable to model a user image in the real world to have a similar appearance, but a person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It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character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and the user's character (C) may be output through the character output unit 11 as shown in 100 of FIG. 3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은 주요 구성으로서, 적어도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를 캐릭터 정보에 반영하여 상술한 캐릭터 출력부(11)에서 출력되는 캐릭터의 외형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캐릭터 변환부(12)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component, and reflects at least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condi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utside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output unit 11 ) may include a character conversion unit 12 that controls to change and output the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output from.

이때 상술한 사용자의 건강 정보라 함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심박수, 심전도, 혈압, 체온 및 체지방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러한 사용자의 건강 정보는 생체 정보 측정 수단을 이용하여 현실 세계의 사용자에 대해 측정된 수치 정보가 수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health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include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and body fat percentage. It can be understood that numerical information measured about a user in the real world is collected using a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means.

또한 상술한 상태 정보는, 외부 훈련 서버(20)에서 관리되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정보 및 캐릭터 정보가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 내의 사용자의 활동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tat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user's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managed by the external training server 20 and activity information of the user in an application in which character information is output.

구체적으로 상술한 외부 훈련 서버(20)란 사용자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컨텐츠들이 관리되는 훈련 플랫폼 서버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detail, the above-described external training server 20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a training platform server in which training contents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of a user are managed.

또한 상술한 사용자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정보라 함은, 외부훈련 서버(즉, 훈련 플랫폼 서버)에서 사용자가 수행한 훈련 컨텐츠의 수행 기록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인데, 상세하게는 훈련 컨텐츠의 종목 정보,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 정보, 훈련 컨텐츠의 수행 결과 정보, 단위 기간 동안의 훈련 횟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와 함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 수행 시, 모션 인식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운동량 값 및,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예를 들어 팔 관절 및 다리 관절)에 대한 각도 변화값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user's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s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a record of the user's performance of training contents in an external training server (ie, a training platform server). Specifically, the training contents In addition to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tem information of training content, difficulty information of training content, performance result information of training content,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training during a unit period, when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is performed, the user's It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 momentum value and an angular change value for a specific body part (for example, an arm joint and a leg joint) of a user.

이때, 상술한 모션 인식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착용되거나, 사용자의 훈련 모습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하는 장치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In this case, it is preferred that the above-described motion recognition device be understood as a device that is worn on one or more regions of the user's body or detects the user's movement from an image of the user's training.

또한 다음으로 상태 정보로 수집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내의 사용자의 활동 정보라 함은, 메타버스 서버 내에서의 사용자 계정의 활동 정보가 수집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타 유저와의 교류를 통한 사회성 수치 및, 메타버스 서버에 구축된 인지 능력 향상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체험 서비스 이용 내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activity information in the application, which can then be collected as status information, is that th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user account in the metaverse server is collected, for example, the social value through exchanges with other users and the metaverse. 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one or more experience service use details related to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built in the bus server.

한편 상술한 캐릭터 변환부(12)에서는 상기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의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캐릭터 출력부(11)에서 출력되는 캐릭터의 외형 정보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conversion unit 12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the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output from the character output unit 11 based on the collection result of the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한 실시 예로서 상기 캐릭터 변환부(12)는 캐릭터의 외형 정보를 변경 시, 캐릭터의 형태, 표정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요소를 변환시키는 제1 변환 형태로 캐릭터 정보를 변환 처리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character conversion unit 12 converts character information into a first conversion form for converting element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hape, expression, and color of the character when changing the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this can be done

도 2를 동시 참조하여 보면, 도 2에서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가 매우 나쁨, 나쁨, 보통, 좋음, 매우 좋음 순으로 캐릭터의 표정이 변화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t the same time, in FIG. 2 , based on the results of comprehensively evaluating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an example in which the character's expression changes in the order of very bad, bad, normal, good, and very good health status is shown. It can be seen that shown

다만 도 2에서는 캐릭터의 표정 변화에 한정한 실시 예를 도시하였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캐릭터 외형 자체를 변경시키거나, 캐릭터의 색상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캐릭터에 액세서리를 추가하는 등의 출력 제어가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However, although FIG. 2 shows an embodiment limited to the change in the character's express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appearance itself is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health condition, the character's color is changed, or the character's accessories are changed. Output control, such as adding , may be perform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술한 캐릭터 변환부(12)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제1 보조 캐릭터 정보를 캐릭터 출력부(11)에 출력되는 사용자의 캐릭터 정보에 추가하여 표현하는 제2 변환 형태로 사용자의 캐릭터를 변환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conversion unit 12, the first auxiliary character information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the user's state information is added to the user's character information output to the character output unit 11. The user's character may be transformed in the second transformation form that is additionally expressed.

도 4의 200을 동시 참조하여 보면, 사용자의 캐릭터(C)에 제1 보조 캐릭터(201, 202) 정보가 추가되어 출력되는 예가 도시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200 of FIG. 4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an example in which information on the first auxiliary characters 201 and 202 is added to the user's character C and then output is shown.

이때, 상술한 제1 보조 캐릭터(201, 202)는,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종합 평가하여 통합적으로 구현하도록 하는 캐릭터일 수도 있을 것이나, 도 4의 2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 정보와 상태 정보에 대한 제1 보조 캐릭터(201, 202)를 각각 구현하여 제1 보조 캐릭터(201, 202)로부터 건강 정보와 상태 정보에 대한 확인이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first auxiliary characters 201 and 202 may be characters that comprehensively evaluate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and implement them integrally, but as shown in 200 of FIG. 4 , the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first auxiliary characters 201 and 202 respectively to make it easier to check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auxiliary characters 201 and 202 .

또한 상술한 제1 보조 캐릭터(201, 202) 역시, 전술한 캐릭터(C)의 변환과 유사한 매커니즘으로, 제1 보조 캐릭터(201, 202)의 형태, 표정 및 색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요소를 변환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정보 또는 상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first auxiliary characters 201 and 202 also have a mechanism similar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C, and an ele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hape, expression, and color of the first auxiliary characters 201 and 202 By transforming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or conditio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visually.

한편 이때 제1 보조 캐릭터(201, 202)에 대한 유저 단말의 인터랙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본 발명에서는 도 5의 210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제1 보조 캐릭터(201, 202)에서 구현하는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2010, 2020)를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when an interaction event of the user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first auxiliary characters 201 and 202 occurs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210 of FIG. 5, health implemented in the first auxiliary characters 201 and 202 Detailed information (2010, 2020) for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may be provided.

즉 본 발명에서는 제1 보조 캐릭터(201. 202)의 외형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개략적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대한 수치 등이 기록된 상세 정보(2010, 2020)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보다 면밀히 확인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first auxiliary characters 201 and 202 goes beyond roughly providing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2010 , 2020) to provide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more closely.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은 주요 구성으로서, 사용자마다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캐릭터 변환부(12)에 전송하는 정보 수집부(13)를 포함한다.Returning to FIG. 1, the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component,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transmits them to the character conversion unit 12. (13).

이때 상술한 정보 수집부(13)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하도록 기능하여, 캐릭터 변환부(12)에 기 설정된 주기마다 수집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의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 functions to collect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at each preset period, and provid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character conversion unit 12 at each preset period, thereby providing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Ensure that status information is continuously updated.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정보 수집부(13)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현실 세계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되는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통해, 가상 세계인 메타버스 캐릭터에 대한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수행함으로써, 현실 세계의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변화를 신속히 반영하는 메타버스 캐릭터를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 through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users in the real world, by continuously updating the metaverse character, which is a virtual world, users in the real world It has the effect of implementing a metaverse character that quickly reflects changes in the health status of the pers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9를 동시 참조하여 설명을 개진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캐릭터 출력부(11)가 유저 단말의 다른 화면에 캐릭터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로서,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대한 확인 가능한 컨텐츠를 가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컨텐츠 가공부(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simultaneous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output unit 11 is content using character information on another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a content processing unit 14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confirmable content for status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구체적으로 상술한 컨텐츠 가공부(14)에서는 외부 훈련 서버(20)에서 관리되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정보에 따라서, 캐릭터 정보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상기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를 수행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가공하도록 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above-described content processing unit 14,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user's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managed by the external training server 20, video content in which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performs the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A function to process can be performed.

바람직하게 상술한 컨텐츠 가공부(14)에서는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별로 설정된 핵심 동작 포인트를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above-described content processing unit 14 generates video content using key operating points set for each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일 예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를 수행 시, 카메라 모듈의 모션 캡쳐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도록 하고, 메타버스 캐릭터가 인식된 사용자의 동작을 메타버스 캐릭터가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erforms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the user's motion is recognized by the motion capture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and the metaverse character implements the recognized user's motion. By doing,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check the performance history of his/her own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다만 이때, 사용자가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 수행 시, 주변에 별도의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션 인식 컨트롤러를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하나 이상 착용되게 하고, 모션 인식 컨트롤러에 기록된 사용자의 동작을 메타버스 캐릭터가 구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도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However, at this time, when the user performs the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if a separate camera module is not provided nearby, one or more motion recognition controllers capable of recognizing the user's motion are worn on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the motion recognition controller By enabling the metaverse character to implement the user's motion recorded in, it will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check the performance history of his or her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캐릭터 출력부(11)가 캐릭터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 인근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보조 캐릭터를 도 6의 300과 같이 구현하여, 캐릭터 정보와 함께 제2 보조 캐릭터(301)를 출력시키고, 제2 보조 캐릭터(301)에 대한 유저 단말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가이드 정보(3010)를 유저 단말의 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하는 가이드 제공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haracter output unit 11 assists the second auxiliary character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health condi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near the screen on which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output. 6, 300 is implemented to output the second auxiliary character 301 together with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for the second auxiliary character 301, the guide information 301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 guide providing unit 15 for outputting on one screen may be further included.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제2 보조 캐릭터(301)에 의해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3010)에서 유저 단말에 추천되는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추천 정보가 존재하고, 유저 단말에서 추천 정보에 대한 인터랙션 이벤트가 발생(3001)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도 7의 3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천되는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uide information 3010 provided by the second auxiliary character 301, there is recommendation information of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s recommend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provides the recommended information. When an interaction event for 3001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ist of recommended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s as shown in 310 of FIG. 7 .

이때, 본 발명에서는 유저 단말에 추천된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 목록 중, 일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 목록에 대한 유저 단말의 선택 입력이 있을 시, 외부 훈련 서버(20)로 연결하여 유저 단말에서 즉각적으로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컨텐츠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for one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list among the list of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s recommended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onnects to the external training server 20 and immediately recognizes the ability of the user terminal. Training content for improvement may be perform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유저 단말과 연동되어 있는 다른 유저 단말로서, 사용자의 관리자에 대응되는 유저의 단말인 타 유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훈련 컨텐츠의 이용 상태에 대한 정보의 공유 요청을 수신 시, 타 유저 단말에 사용자의 건강 정보 또는 훈련 컨텐츠의 이용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의 공유 요청을 수신 시, 타 유저 단말에 사용자의 건강 정보 또는 훈련 컨텐츠의 이용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공유 정보로 가공하여 제공하는 공유 정보 제공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user terminal linked with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sharing information on the user's health condition or the use status of training contents from another user terminal, which is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manager, When receiving a request to share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n the use status of training contents to another user terminal,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or use status of training contents is processed into shared information and provided to the other user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a sharing information providing unit (not shown).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공유 정보 제공부의 기능 수행 시, 제2 보조 캐릭터가 공유 정보를 타 유저 단말에 브리핑하는 방식으로 공유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실시 예를 도 8의 320에서 살펴보기로 한다.At this tim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shared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e second auxiliary character may process and provide the shared information in a manner of briefing the shared information to other user terminals. Let's take a look at 320 of FIG.

도 8의 320을 참조하여 보면, 제2 보조 캐릭터(301)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대한 공유 정보(321)가 가공되어, 타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실시 예가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320 of FIG. 8 , an embodiment in which shared information 321 on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is processed by the second auxiliary character 301 and provided to other user terminals is shown.

이때, 이러한 브리핑 정보는, TTS(Text to speech) 기술을 기반으로 텍스트 형식으로 가공된 공유 정보(321)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 서비스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briefing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voice service by converting the shared information 321 processed in text format based on TTS (Text to Speech) technology into voice.

또한 도 8의 32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브리핑 형식으로 제공되는 공유 정보(321)를 타 유저 단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는 저장 메뉴(3201)가 구비되거나, 상기의 공유 정보(321)를 타 유저 단말에서 또 다른 유저의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여 공유하는 공유 메뉴(3202)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In addition, as schematically shown in 320 of FIG. 8,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menu 3201 is provided to store the shared information 321 provided in the form of a briefing in the database of other user terminals, or the shared information ( 321)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아울러, 상술한 공유 정보(321)는 타 유저 단말에서의 설정값에 따르거나, 또는 설정값과 무관하게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사용자의 관리자 측에 주기적으로 전달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hared information 321 is generated according to a set value in another user terminal or at a predetermined period regardless of the set value, and functions to periodically deliver the user's health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s manager. You may.

예를 들어 공유 정보(321)는 일주일 주기로 타 유저 단말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가 일주일 단위로 모니터링하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촘촘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ared information 321 is provided to other user terminals on a weekly basis, so that a manager can monitor information on the user's health condition on a weekly basis, thereby performing tight management of the user.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관리자 단말인 타 유저 단말에 공유 정보(321)가 제공되었으나, 공유 정보(321)의 열람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될 경우, 타 유저 단말에 공유 정보(321)의 수신 알람을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모니터링이 적극적으로 수행되도록 기능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More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hared information 321 is provided to another user terminal, which is an administrator terminal, but it is determined that the shared information 321 has not been viewed, the other user terminal receives an alarm for receiving the shared information 321. By providing, it may function so that monitoring for the user is actively perform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종합적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캐릭터의 외형을 변화시킴으로써 메타버스 캐릭터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ehensively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user's health through the metaverse character by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metaverse character based on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utside. It has the effect of visualizing state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메타버스 캐릭터를 통해 구현하여, 사용자의 관리자(또는 보호자)에게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리자가 원격에서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원격 진료 또는 원격 돌봄이 가능하게 하고, 이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is implemented through the metaverse character and can be shared with the user's administrator (or guardia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obtain the user's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remotely. By making it possible to grasp,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the user's remote medical treatment or remote care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thereof.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또 다른 한편,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0, FIG. 10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9 and Descriptions of redundant and unnecessary embodiments will be omitted.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a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 input/output subsystem ( It may include at least an I/O subsystem (11400), a power circuit (11500),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correspon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A) or the aforementioned computing device (B).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magnetic disk, SRAM, DRAM, ROM,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there is.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a command set, or other various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 to the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s of computing device 10000 to processor 11100 and memory 11200 .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process data by executing software modules or command sets stored in the memory 11200 .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Input/output subsystem 11400 can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touch screen or sensor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as need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put/output peripherals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some of the terminal's components. For exampl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a battery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power It may contain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and transmit/receive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FIG. 10 is just one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omit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10,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combining two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0 ,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including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computer readable media.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 mobile terminal-only application. An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a request of a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run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re are cases in which one processing device is us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can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tangible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intended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 단말의 일 화면에 사용자를 대표하는 캐릭터 정보를 출력하는 캐릭터 출력부;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외부로부터 수집된 상태 정보를 상기 캐릭터 정보에 반영하여 상기 캐릭터 출력부가 캐릭터의 외형 정보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캐릭터 변환부; 및,
사용자마다의 상기 건강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캐릭터 변환부에 전송하는 정보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 출력부는,
상기 유저 단말의 다른 화면에 상기 캐릭터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로서, 사용자의 건강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한 컨텐츠를 가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컨텐츠 가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가공부는,
외부 훈련 서버에서 관리되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정보에 따라서, 상기 캐릭터 정보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상기 훈련 컨텐츠를 수행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가공하되, 훈련 컨텐츠별로 설정된 핵심 동작 포인트를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도록 하고,
상기 캐릭터 출력부는,
상기 캐릭터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 인근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제공되는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보조 캐릭터를 함께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제2 보조 캐릭터에 대한 상기 유저 단말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가이드 정보를 상기 유저 단말의 일 화면에 출력하도록 하는 가이드 제공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추천되는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추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유저 단말에 추천된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 중 일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에 대한 유저 단말의 선택 입력이 있을 시, 외부 훈련 서버로 연결하여 즉각적인 훈련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유저 단말과 연동되어 있는 다른 유저 단말로서, 사용자의 관리자에 대응되는 유저의 단말인 타 유저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정보 또는 훈련 컨텐츠의 이용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의 공유 요청을 수신 시, 상기 타 유저 단말에 상기 사용자의 건강 정보 또는 훈련 컨텐츠의 이용 상태에 대한 상태 정보를 공유 정보로 가공하여 제공하되,
상기 제2 보조 캐릭터가 상기 공유 정보를 타 유저 단말에 브리핑하는 방식으로 공유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공유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유 정보는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어, 상기 타 유저 단말에 주기적으로 전달되되, 상기 타 유저 단말에서 제공된 공유 정보의 열람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타 유저 단말에 공유 정보의 수신 알람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
In the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implemented in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a character output unit for outputting character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 on one screen of a user terminal;
a character converting unit which controls the character output unit to change and output the external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by reflecting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utside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health information and the state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transmits them to the character conversion unit;
The character output unit,
As content us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on another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 conten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content capable of confirming health informa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e content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user's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s managed by the external training server, video contents in which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performs the training contents are processed, but the video contents are set using key operation points set for each training contents. to create,
The character output unit,
A second auxiliary character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r's health condition and condition information is output together near the screen on which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output,
Health management training recommended to the user terminal by further comprising: a guide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guide information on on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when a selection input of the user terminal for the second auxiliary character is received Provides content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re is a selec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for one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among the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s recommended to the user terminal, connects to an external training server so that immediate training is performed,
As another user terminal interworking with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sharing state information on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or usage status of training contents from another user terminal, which is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manager, the other user terminal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or status information on the use status of training contents is processed into shared information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A sharing information provider configured to process and provide the shared information in such a way that the second auxiliary character briefs the other user terminals with the shared information;
The shared information is genera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other user terminals, but when the share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other user terminals is not viewed, an alarm for receiving the share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other user terminals.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외부 훈련 서버에서 관리되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정보 및, 상기 캐릭터 정보가 출력되는 어플리케이션 내의 사용자의 활동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수행 정보로서, 상기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의 종목, 난이도, 훈련 횟수 및 평가 점수와 함께, 상기 건강 관리 훈련 컨텐츠 수행 시, 모션 인식 디바이스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운동량 값 및,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각도 변화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us information is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of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s of a user managed by an external training server and activity information of a user in an application in which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output,
As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along with the category, difficulty, number of training, and evaluation score of the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the user's momentum value measured from the motion recognition device when the health management training content is performed, and the user's A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gle change values for body par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변환부는,
상기 캐릭터의 외형 정보 변경 시, 상기 캐릭터의 형태, 표정, 색상을 변환시키는 제1 변환 형태 및,
상기 캐릭터에 상기 건강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현되는 제1 보조 캐릭터 정보를 상기 캐릭터 정보에 추가하여 표현하는 제2 변환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캐릭터 정보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정보 공유를 위한 메타버스 캐릭터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acter conversion unit,
A first conversion form for converting the shape, expression, and color of the character when the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character is changed;
Converting the character information into a for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econd conversion form in which the character information is expressed by adding first auxiliary character information implem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ealth information and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Metaverse character management system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04036A 2022-08-19 2022-08-19 Management system of metaverse character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KR1025151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036A KR102515124B1 (en) 2022-08-19 2022-08-19 Management system of metaverse character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036A KR102515124B1 (en) 2022-08-19 2022-08-19 Management system of metaverse character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5124B1 true KR102515124B1 (en) 2023-03-29

Family

ID=85799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036A KR102515124B1 (en) 2022-08-19 2022-08-19 Management system of metaverse character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12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409A (en) *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avata for representing state of health
KR20200122828A (en) * 2019-04-19 2020-10-28 지우솔루션주식회사 Simultaneous multi-user brushing education method and system
KR20210022944A (en) * 2019-08-21 2021-03-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Biosignal-based avatar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429630B1 (en) * 2021-12-16 2022-08-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that creates communication NPC avatars for healthcare
KR102429627B1 (en) * 2021-12-16 2022-08-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ystem that Generates Avatars in Virtual Reality and Provides Multiple Cont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2409A (en) *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avata for representing state of health
KR20200122828A (en) * 2019-04-19 2020-10-28 지우솔루션주식회사 Simultaneous multi-user brushing education method and system
KR20210022944A (en) * 2019-08-21 2021-03-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Biosignal-based avatar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429630B1 (en) * 2021-12-16 2022-08-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that creates communication NPC avatars for healthcare
KR102429627B1 (en) * 2021-12-16 2022-08-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System that Generates Avatars in Virtual Reality and Provides Multiple Cont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Toward human-centric smart manufacturing: A human-cyber-physical systems (HCPS) perspective
Shengli Is human digital twin possible?
Mano et al. Exploiting IoT technologies for enhancing Health Smart Homes through patient identification and emotion recognition
Preum et al. A review of cognitive assistants for healthcare: Trends, prospects, and future directions
US9734301B2 (en) Intelligent presentation of alarms and messages in mobile health systems
Patil et al.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IoT
KR2021011329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and flexible data presentation
Serhani et al. SME2EM: Smart mobile end-to-end monitoring architecture for life-long diseases
CN107610744A (en) Nobody a kind of self-service interrogation equipment
Keroglou et al. A survey on technical challenges of assistive robotics for elder people in domestic environments: the aspida concept
Ilievski et al. Interactive voice assisted home healthcare systems
Choi et al. Longitudinal Healthcare Data Management Platform of Healthcare IoT Devices for Personalized Services.
Mishra et al. Cognitive inference device for activity supervision in the elderly
KR102144938B1 (en) A effect measuring method for family history using personal health records
KR102515124B1 (en) Management system of metaverse character for sharing health condition information
Jeong et al. Visual scheme monitoring of sensors for fault tolerance o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with cloud service infrastructure
Tekemetieu et al. Context modelling in ambient assisted living: Trends and lessons
He et al. From Digital Human Modeling to Human Digital Twin: Framework and Perspectives in Human Factors
US20230053474A1 (en) Medical care system for assisting multi-diseases decision-making and real-time information feedback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Xu et 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elemedicine-based psychiatric extended care and care of psychiatric patients
Ktistakis et al. Applications of ai in healthcare and assistive technologies
JP74314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pport method and program
Jáuregui et al. Robot mirroring: Improving well-being by fostering empathy with an artificial agent representing the self
Levonevskiy et al. A conceptual model of a smart medical ward for patient care in inpatient facilities
CN112997136A (en) Interface operation method applied to monitoring equipment and monito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