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854B1 - 3d printer using bio-ink and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3d printer using bio-ink and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854B1
KR102514854B1 KR1020210039844A KR20210039844A KR102514854B1 KR 102514854 B1 KR102514854 B1 KR 102514854B1 KR 1020210039844 A KR1020210039844 A KR 1020210039844A KR 20210039844 A KR20210039844 A KR 20210039844A KR 102514854 B1 KR102514854 B1 KR 102514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module
printer
bio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4726A (en
Inventor
김백길
조남훈
장연수
강숙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854B1/en
Publication of KR20220134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7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8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29C64/336Feeding of two or mor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8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for producing artificial tissue or for ex-vivo cultivation of tissu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0Means for positioning or orientating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52Mobile; Means for transporting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6Adult fibrobl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Vascular Endothelia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ell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은, 암진행 연구를 위해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모사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으로서,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세포층이 서로 접하는 3차원 출력물을 형성하는 압출모듈과 압출모듈에 의해 형성된 3차원 출력물을 안착시켜 배양하는 배양모듈이 포함된 3D 프린터 및 3D 프린터로부터 이송된 3차원 종양미세환경 출력물에 분류된 스페로이드를 주입하는 주입장치를 포함한다.The microtissue constr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tissue construction system that simulates solid cancer tissues for cancer progression research. It includes a 3D printer including a culture module for seating and culturing the 3D output formed by the 3D printer, and an injection device for injecting the classified spheroids into the 3D tumor microenvironment output transferred from the 3D printer.

Description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3D PRINTER USING BIO-INK AND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3D printer using bio-ink and microtissu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3D PRINTER USING BIO-INK AND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빠르고 균일한 유사생체 조직 형성 및 약물 또는 화합물 반응성 분석을 위해 멀티레이어 3차원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빠르게 “생체조직과 유사한 환경”을 미리 구성한 다음 스페로이드를 조성된 환경 속에서 배양시켜, 유사생체 조직을 구성하여 스페로이드의 반응성을 다양한 시간대 혹은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er using bio-ink and a microtissue constru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pid and uniform biotissue formation and drug or compound reactivity analysis using multi-layer 3D printing technology. , A 3D printer using bio-ink that can analyze the reactivity of spheroids at various times or in real time by quickly construct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living tissue” in advance and culturing spheroids in the created environment to construct similar biological tissues And it relates to a microtissu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종래의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은 암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암세포에 직접 항암제를 투여하거나 생체조직과 유사한 환경을 구성하더라도 그 환경조성에 필요한 과정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microtissue construction system has a disadvantage in that even if an anticancer drug is directly administered to cancer cells or an environment similar to a living tissue is configured to confirm the effect of directly acting on cancer cells, the process required for creating the environment takes a long time.

또한 종래의 스페로이드 주입장치는 상술한 방법으로 조성된 환경에 스페로이드를 배양시킴으로써 종양미세환경을 구성할 때, 원하는 크기의 스페로이드를 다양하게 분류하여 주입할 수 없기 때문에 약물 화합물 반응성 분석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spheroid injection devices are limited in drug compound reactivity analysis because they cannot classify and inject variously desired size spheroids when configuring a tumor microenvironment by culturing spheroids in an environment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빠르고 균일한 유사생체 조직 형성 및 약물 또는 화합물 반응성 분석을 위한 3D 프린터 및 3D 프린터를 통해 구성한 조직과 유사한 환경에 스페로이드를 배양시켜 스페로이드의 반응성을 다양한 시간대 혹은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주입장치를 포함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reactivity of spheroids by culturing spheroids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tissue constructed through a 3D printer and a 3D printer for rapid and uniform formation of similar biological tissues and analysis of drug or compound reactiv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3D printer using bio-ink including an injection device capable of analyzing in various time periods or in real time, and a microtissue constru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압출모듈은, 바이오잉크를 이용하여 3차원 출력물을 형성하는 3D 프린터의 압출모듈로서,제1 물질을 압출하여 내층을 형성하는 제1 압출부; 및 제2 물질을 압출하여 상기 내층을 감싸는 외층을 형성하는 제2 압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usion module is an extrusion module of a 3D printer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output using bioink, and a first extrusion module for forming an inner layer by extruding a first material extrusion part; and a second extrusion unit extruding a second material to form an outer layer surrounding the inner layer.

여기서 압출모듈은 상기 제2 물질을 먼저 압출시켜 상기 외층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물질 및 상기 제2 물질을 동시에 압출시켜 상기 외층의 측면 및 상기 내층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extrusion module may first extrude the second material to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layer, and simultaneously extrude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to form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layer and the inner layer.

상기 제1 압출부는. 상기 제1 물질이 압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중공관을 포함할 수있다.The first extrusion part. It may include a first hollow tube formed lo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aterial is extruded.

또한 상기 제1 압출부는, 상기 제1 물질의 압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1 물질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중공관 상부에 연결되는 제1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trusion unit may include a first supply pip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llow tube so that the first material is su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first material.

상기 제1 공급관은, 상기 제1 중공관 상부에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단위공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ly pipe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supply member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first hollow pipe.

여기서 상기 단위공급부재는, 상기 제1 중공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로가 상기 제1 중공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Here, in the unit supply member, a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llow tube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hollow tube.

상기 제2 압출부는, 상기 제1 압출부의 상기 제1 중공관보다 큰 직경의 제2 중공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xtrusion part may include a second hollow tub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hollow tube of the first extrusion part.

상기 제2 압출부는, 상기 제2 물질의 압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물질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공급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중공관에 연결되는 제2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xtrusion unit may include a second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hollow pipe with the first supply pipe therebetween so that the second material is su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second material. .

상기 제2 공급관은, 상기 제1 공급관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제2 중공관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중공관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ly pipe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connection members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llow pip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llow pip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rst supply pipe. there is.

이때 상기 단위연결부재는, 인접한 두 단위연결부재의 사이공간으로 상기 제1 공급관이 배치될 수 있도록 이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nit connection members may be spaced apart so that the first supply pipe can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wo adjacent unit connection members.

상기 내층 및 외층은, 서로 다른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may include different cells.

예를 들어 상기 제1 물질은,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바이오잉크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material may be bioink containing fibroblasts.

또한 상기 제2 물질은, 혈관내피세포를 포함하는 바이오잉크일 수 있다.Also, the second material may be bioink containing vascular endothelial cell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세포층이 서로 접하는 3차원 출력물을 형성하는 압출모듈; 및 상기 압출모듈에 의해 형성된 상기 3차원 출력물을 안착시켜 배양하는 배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3D printer using bio-ink is an extrusion module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in which different cell lay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bio-ink; And it may include a culture module for culturing the 3-dimensional output formed by the extrusion module.

상기 압출모듈은, 제1 세포가 포함된 제1 바이오잉크를 압출하여 내세포층을 형성하는 제1 압출부; 및 제2 세포가 포함된 제2 바이오잉크를 압출하여 상기 내세포층을 감싸는 외세포층을 형성하는 제2 압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rusion module may include: a first extrusion unit extruding the first bio-ink containing the first cells to form an inner cell layer; and a second extrusion part extruding the second bio-ink containing the second cells to form an outer cell layer surrounding the inner cell layer.

여기서 상기 압출모듈은, 상기 제1 바이오잉크를 압출하여 상기 외세포층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바이오잉크 및 상기 제2 바이오잉크를 동시에 압출시켜 상기 외세포층의 측면 및 상기 내세포층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extrusion module extrudes the first bioink to form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cell layer, and simultaneously extrudes the first bioink and the second bioink to form a side surface of the outer cell layer and the inner cell layer. can do.

상기 제1 압출부는. 상기 제1 바이오잉크가 압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중공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xtrusion part. It may include a first hollow tube formed lo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io-ink is extruded.

또한 상기 제1 압출부는, 상기 제1 바이오잉크의 압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1 바이오잉크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중공관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trud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upply pip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llow tube to supply the first bio-in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xtrusion direction of the first bio-ink.

상기 제2 압출부는, 상기 제1 압출부의 상기 제1 중공관보다 큰 직경의 제2 중공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xtrusion part may include a second hollow tub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hollow tube of the first extrusion part.

또한 상기 제2 압출부는, 상기 제2 바이오잉크의 압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바이오잉크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공급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중공관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2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xtrusion part has a second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hollow pipe with the first supply pipe therebetween so that the second bio-ink is su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second bio-ink. can include

상기 배양모듈은, 상기 3차원 출력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고, 상기 안착공간으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lture module includes a seating portion in which a seating space for seating the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is formed; and a culture unit supporting the seating unit and supplying a culture medium to the seating space.

여기서 상기 안착부는, 내주면에 상기 압출모듈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마련되되, 인입된 상기 압출모듈의 끝단이 3차원 출력물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안착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seating part is provid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rusion modul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end of the retracted extrusion module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3D output is seated, thereby forming the seating space. can

상기 안착부는, 상기 배양부에서 상기 안착공간으로 상기 배양액이 공급되도록, 유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ating portion, an inlet groove may be formed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is supplied from the culture unit to the seating space.

상기 유입홈은,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상기 안착공간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groove may be formed toward the seating space on at least one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상기 배양부는, 내부공간으로 배양액이 유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유입홈이 인입되어 수용된 배양액이 상기 안착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culture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flows into the inner space, and the inflow groove is drawn into the inner space so that the received culture solution can be supplied to the seating space.

상기 배양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개방홀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 일측이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In the culture part, an open hol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so th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may be fixed in contact with it.

상기 배양모듈은, 상기 안착부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배양부가 일방향으로 복수 배열될 수 있다.In the culture module, a plurality of the seating parts and the culture parts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arranged in one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는 형성된 3차원 출력물에 스페로이드를 주입할 수 있는 외부주입공간으로 상기 배양모듈을 이송하는 이송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3D printer using bio-ink as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transfer module for transferring the culture module to an external injection space capable of injecting spheroids into the formed three-dimensional output object.

여기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배양모듈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배양모듈이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transport modul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ulture module can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ulture modul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은 암진행 연구를 위해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모사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으로서, 제1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3D 프린터; 및 외부로부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전달받아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3D 프린터로부터 이송된 상기 3차원 종양미세환경 출력물에 분류된 상기 스페로이드를 주입하는 주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tissue building system is a microtissue building system that simulates solid cancer tissue analogues for cancer progression research, wherein any one of claims 14 to 29 3D printer; and an injection device for receiving the cultured spheroids from the outside,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size, and injecting the classified spheroids into the three-dimensional tumor microenvironment output transferred from the 3D printer.

이때 상기 주입장치는,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수집하고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공급모듈; 및 상기 공급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스페로이드를 상기 3차원 종양미세환경 출력물에 주입하는 주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jection device, a supply module for collecting the cultured spheroids and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size; and an injection module for injecting the spheroids classified by the supply module into the 3D tumor microenvironment output.

여기서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가 수용된 플레이트가 인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플레이트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뒤집어 상기 플레이트에 수용된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상기 수집영역으로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집영역에 수집된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분류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분류영역으로 이동된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분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upply module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plate accommodating the cultured spheroids is introduced, and turns the pl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and the cultured spheroids accommodated in the plate.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into the collection area; And a classif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llection unit to move the cultured spheroid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area to a classification area and classifying the cultured spheroids moved to the classification area by size.

이때 상기 플레이트는, 일측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수용된 상기 스페로이드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ate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received spheroid through an open hole formed on one side.

상기 수집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개방홀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The collection unit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o that the open hole of the plate faces upward in the first position.

또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제2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분류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집영역에 수집된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가 상기 분류부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unit is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and connected to the classification unit, so that the cultured spheroid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area can be delivered to the classification unit.

상기 분류부는, 상기 분류영역을 따라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일방향을 이동시켜 상기 스페로이드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unit may classify the spheroids by size by moving the cultured spheroids in one direction along the classification area.

상기 분류부는, 상기 분류영역을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마련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unit may provide a long classification area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and classify the cultured spheroids by size using gravity.

상기 분류부는, 복수의 홀을 구비하고 상기 분류영역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된 필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hav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rranged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assification area, and the filter members are arranged such that the size of the holes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ltured spheroids. can

본 발명의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에 따르면, 멀티레이어 3차원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빠르게 생체조직과 유사한 환경을 미리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3D printer using the bio-in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icrotissue constru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re is an effect that an environment similar to a living tissue can be rapidly constructed in advance using multi-layer 3D printing technology.

또한 상술한 환경에 스페로이드를 배양시켜, 유사생체조직을 구성하여 스페로이드의 반응성을 다양한 시간대 혹은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ulturing the spheroids in the above environ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activity of the spheroids can be analyzed in various time periods or in real time by constructing a similar biological tissu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3D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압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제1 압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제2 압출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3차원 출력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배양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배양모듈이 복수개로 마련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주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수집부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분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필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암진행 연구를 위한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 above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will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3D printer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trusion module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first extrusion portion of a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econd extrusion portion of a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ree-dimensional output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ulture module of the microtissu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ating part of a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ulture modules of the microtissu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jection device of a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llection unit of a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tation of the collection unit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lassification unit of a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ter member of a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olid cancer tissue analogue for cancer progression research using a microtissu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3D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압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제1 압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제2 압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3차원 출력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배양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배양모듈이 복수개로 마련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주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수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수집부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분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의 필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직 구축 시스템의 암진행 연구를 위한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3D printer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trusion module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xtrusion part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extrusion part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ree-dimensional output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ulture module of the microtissu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icrotissu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ulture modules of a microtissu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provided,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jection device of a microtissu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llection unit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tation of the collection unit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lassification unit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lter member of the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olid cancer tissue analogue for cancer progression research of the microtissue buil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10)은 암진행 연구를 위해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모사하는 미세 조직 구축시스템으로서, 크게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100), 주입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icrotissue buil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tissue building system that simulates solid cancer tissue analogues for cancer progression research, and is largely a 3D printer (100) using bio-ink. ), the injection device 200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10)은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모사하기 위한 매체나 버퍼를 순환시키거나 및 사용이 완료된 폐기물 수집하는 순환장치를 후면에 장착하여, 장기간 안정적인 배지, 약물 혹은 화합물 공급을 공급하고 및 사용이 완료된 폐기물을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tissue construc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irculates a medium or buffer for simulating a solid cancer tissue analogue, and a circulation device for collecting used waste is mounted on the rear side, so that a long-term stable medium, You can supply a supply of drugs or compounds and collect used waste.

구체적으로 순환장치는 여러 개의 챔버로 구성된 냉장고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챔버는 개별적인 펌프를 가지고 있어, 독립적으로 용액을 이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circulation device may be provided as a refrigerator composed of several chambers, and each chamber has an individual pump, so that the solution can be moved independently.

또한 순환장치는 커넥터(connect)를 이용하여, 상술한 3D 프린터(100), 주입장치(200) 이외에도 다양한 장비와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l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various equipment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3D printer 100 and injection device 200 by using a connector.

또한 상술한 3D 프린터(100), 주입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바코드 인식기법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플레이트를 연결된 장비로 보낼 수 있는 인큐베이터장치가 더 연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3D printer 100 and injection device 200 may be further connected with an incubator device capable of sending a desired plate to the connected equipment using a barcode recognition technique.

예를 들어 인큐베이터장치는 컨베이어벨트와 스텝퍼모터를 사용하여, 플레이트를 지정된 선반 상에 위치시키거나 꺼낼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cubator devic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plate can be placed on or taken out from a designated shelf using a conveyor belt and a stepper motor.

또한 인큐베이터장치는 측면이 유리로 되어 있어, 인큐베이터 내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커넥팅도어가 형성되어 원하는 플레이트를 연결된 장치로 보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ide of the incubator device is made of glass, so that the inside of the incubator can be checked, and a connecting door is formed so that a desired plate can be sent to the connected device.

여기서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100)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바이오잉크를 이용하여 3차원 출력물을 형성할 수 있다.Here, looking in detail at the 3D printer 100 using bio-ink, a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can be formed using bio-ink.

구체적으로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세포층이 서로 접하는 3차원 출력물을 형성한 다음, 형성된 3차원 출력물을 안착시켜 배양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a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in which different cell layers contact each other is formed using bio-ink, and then the formed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may be placed and cultured.

주입장치(200)는, 외부로부터 배양된 스페로이드(S)를 전달받아 크기에 따라 분류하며, 상술한 바이오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100)로부터 이송된 3차원 종양미세환경 출력물에 분류된 스페로이드(S)를 주입함으로써, 암진행 연구를 위해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모사할 수 있게 된다.The injection device 200 receives the cultured spheroids (S) from the outside and classifies them according to size, and the spheroids classified in the three-dimensional tumor microenvironment output transferred from the 3D printer 100 using the above-described bioink By injecting (S), it is possible to mimic solid cancer tissue analogues for cancer progression research.

도 2를 통해 3D 프린터(100)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detailed look at the 3D printer 100 through FIG. 2 is as follows.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100)는 구체적으로 압출모듈(120), 배양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3D printer 100 using bio-ink may specifically include an extrusion module 120 and a culture module 140.

압출모듈(120)은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세포층이 서로 접하는 3차원 출력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배양모듈(140)은 압출모듈(120)에 의해 형성된 3차원 출력물을 안착시켜 배양할 수 있다.The extrusion module 120 may form a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in which different cell layers contact each other using bio-ink, and the culture module 140 may place and culture the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formed by the extrusion module 120. .

따라서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100)는 압출모듈(120)에 의해 형성된 3차원 출력물을 안착시키고 배양시켜 3차원 종양미세환경 출력물을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3D printer 100 using bio-ink can form a 3D tumor microenvironment output by placing and culturing the 3D output formed by the extrusion module 120.

먼저 압출모듈(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출부(122), 제2압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extrusion module 120 may include a first extrusion unit 122 and a second extrusion unit, as shown in FIG. 3 .

여기서 제1 압출부(122)는 제1 물질을 압출하여 내층(A)을 형성하며, 제2 압출부(124)는 제1 물질과 다른 제2 물질을 압출하여 상술한 내층(A)을 감싸는 외층(B)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first extrusion unit 122 extrudes the first material to form the inner layer (A), and the second extrusion unit 124 extrudes a second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material to wrap the above-described inner layer (A). An outer layer (B) may be formed.

구체적으로 압출모듈(120)은 제2 물질을 먼저 압출시켜 외층(B)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제1 물질 및 상기 제2 물질을 동시에 압출시켜 외층(B)의 측면 및 내층(A)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xtrusion module 120 extrudes the second material first to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layer (B), and simultaneously extrudes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to form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layer (B) and the inner layer (A). can form

또한 압출모듈(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시킨 다음, 마지막으로 제2 물질을 압출하여 내층(A) 전체를 감싸는 외층(B)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trusion module 120 may be oper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n finally extrude the second material to form the outer layer (B) surrounding the entire inner layer (A).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내층(A) 및 외층(B)은, 서로 다른 세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물질은,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바이오잉크이고, 제2 물질은, 혈관내피세포를 포함하는 바이오잉크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ner layer (A) and the outer layer (B)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different cells, the first material is bioink containing fibroblasts, and the second material includes vascular endothelial cells. It may be a bioink that does.

여기서 내층(A)과 외층(B)중 어느 하나를 약물층으로 대치하여 약물에 대한 세포반응성을 확인할 수도 있다.Here, cell reactivity to a drug may be confirmed by replacing either one of the inner layer (A) and the outer layer (B) with a drug layer.

또한 내층(A) 또는 외층(B)중 어느 하나를 주화인자층으로 대치함으로써, 주화인자에 대한 세포이동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placing either the inner layer (A) or the outer layer (B) with the chemotaxis factor layer, it is possible to confirm cell mobility for the chemotaxis factor.

뿐만 아니라 내층(A)을 형성하지 않고 외층(B)만을 형성함으로써, 속이 빈 원기둥 형태의 세포배양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only the outer layer (B) without forming the inner layer (A),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cell culture body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예를 들어 외층(B)의 제2 물질이 혈관내피세포를 포함할 경우에 혈관과 유사한 구조형성도 가능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cond material of the outer layer (B) includes vascular endothelial cells, a structure similar to a blood vessel may be formed.

다음으로 도 3 내지 5를 통해 압출모듈(120)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Next, looking in detail at the structure of the extrusion module 120 through Figures 3 to 5,

제1 압출부(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물질이 압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중공관(122a)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first extrusion part 122 may include a first hollow tube 122a that is elong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aterial is extruded.

또한 제1 압출부(122)는, 제1 중공관(122a) 상부에 연결되는 제1 공급관(122b)을 포함함으로써, 제1 물질의 압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제1 물질이 공급되어 제1 중공관(122a)을 통해 압출되어 상술한 내층(A)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trusion unit 122 includes a first supply pipe 122b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llow tube 122a, so that the first material is su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first material, It is extruded through the hollow tube (122a) to form the above-described inner layer (A).

예를 들어 제1 공급관(122b)은, 제1 중공관(122a) 상부에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단위공급부재(122ba)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upply pipe 122b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supply members 122ba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bove the first hollow pipe 122a.

여기서 단위공급부재(122ba)는, 제1 중공관(122a)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제1 유로(122ba1)가 복수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유로(122ba1)는 각각 제1 중공관(122a)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Here, in the unit supply member 122ba, a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122ba1 having a length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llow tube 122a may be arrang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122ba1 may have a first flow path 122ba1. Each may be connected to one hollow tube (122a).

여기서 제1 공급관(122b)은 제1 유로(122ba1)가 복수 배열됨으로써, 공급되는 제1 물질의 양을 조절함이 가능하며, 제1 물질의 양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위공급부재(122ba)의 개수를 늘리거나, 단위공급부재(122ba)에 포함된 제1 유로(122ba1)의 수를 더 확장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supply pipe 122b has a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122ba1 arranged so that the amount of the first material supplied can be controlled. The number of unit supply members 122ba may be increased, or the number of first flow paths 122ba1 included in the unit supply member 122ba may be further increased.

다음으로 제2 압출부(1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출부(122)의 제1 중공관(122a)보다 큰 직경의 제2 중공관(124a)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econd extrusion part 124 may include a second hollow tube 124a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hollow tube 122a of the first extrusion part 122, as shown in FIG.

여기서 제2 압출부(124)는 내층(A)을 감싸는 외층(B)을 형성할 수 있다면, 길이, 내경 및 외경을 다양할 수 변경하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Here, if the second extrusion part 124 can form an outer layer (B) surrounding the inner layer (A), it will be said that even if the length, inner diameter and outer diameter are variously changed, they 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제2 중공관(124a)은 중심축 방향으로 내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hollow tube 124a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inner diameter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나아가 제2 중공관(124a)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제2 중공관(124a)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second hollow tube 124a is provided to be stretched or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second hollow tube 124a may be adjusted.

또한 제2 압출부(124)는, 제1 공급관(122b)을 사이에 두고 제2 중공관(124a)에 연결되는 제2 공급관(124b)을 포함함으로써, 제2 물질의 압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2 물질이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xtrusion part 124 includes a second supply pipe 124b connected to the second hollow pipe 124a with the first supply pipe 122b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second material. As the second material may be supplied.

다시 말하면, 제2 압출부(124)는 제2 공급관(124b)과 제2 중공관(124a) 사이에 제1 공급관(122b)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압출부(122)와 제2 압출부(124)에 의해 내층(A)과 외층(B)이 형성될 수 있다면, 이격되는 거리, 연결되는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econd extrusion part 12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so that a space in which the first supply pipe 122b can be disposed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upply pipe 124b and the second hollow pipe 124a. If the inner layer (A) and the outer layer (B) can be formed by the first extruding part 122 and the second extruding part 124, the spaced distance and the connected form can be varied, all of which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상술한 도 5를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2 공급관(124b)은, 제2 중공관(124a)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연결부재(124ba)를 포함함으로써, 복수로 배열되는 제1 공급관(122b)에 간섭되지 않고 제2 중공관(124a)의 상부에 연결되어 제2 물질이 이동될 수 있다.However, for more detailed description, referring to FIG. 5 described above, the second supply pipe 124b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connecting members 124ba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llow pipe 124a. By including), the second material can be moved by being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econd hollow tube 124a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rst supply tubes 122b arranged in plurality.

예를 들어 단위연결부재(124ba)는, 인접한 두 단위연결부재(124ba)의 사이공간으로 상술한 제1 공급관(122b)이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nit connection members 124b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bove-described first supply pipe 122b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wo adjacent unit connection members 124ba.

따라서 압출모듈(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출부(122)가 제1 세포가 포함된 제1 바이오잉크를 압출하여 내세포층, 즉 내층(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세포가 포함된 제2 바이오잉크를 압출하여 내세포층을 감싸는 외세포층 즉, 외층(B)을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xtrusion module 120, as shown in FIG. 6, the first extrusion unit 122 extrudes the first bio-ink containing the first cells to form an inner cell layer, that is, an inner layer A, By extruding the second bioink containing the second cells, an outer cell layer surrounding the inner cell layer, that is, the outer layer (B) may be formed.

구체적으로 압출모듈(120)은, 제1 바이오잉크를 압출하여 외세포층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제1 바이오잉크 및 상기 제2 바이오잉크를 동시에 압출시켜 외세포층의 측면 및 내세포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마지막으로 제2 바이오잉크만을 압출시켜 외세포층이 내세포층을 완전히 감싸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extrusion module 120 may extrude the first bioink to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ell layer, and simultaneously extrude the first bioink and the second bioink to form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cell layer and the inner cell layer. As described above, only the second bio-ink is finally extruded so that the outer cell layer completely covers the inner cell layer.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공간을 통해 압출모듈(120)에서 출력된 3차원 출력물을 배양하기 위한 배양모듈(140)은, 안착부(142), 배양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culturing module 140 for cultivating the three-dimensional output output from the extrusion module 120 through the seating space may include a seating unit 142 and a cultivating unit 144. can

구체적으로 안착부(142)는 3차원 출력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142 may form a seating space for seating a 3D output object.

배양부(144)는 상술한 안착부(142)를 지지하고, 안착공간으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ulture unit 144 may serve to support the above-described seating unit 142 and supply a culture medium to the seating space.

도 8을 통해 안착부(142)의 형상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안착부(142)는, 내주면에 압출모듈(120)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hape of the seating portion 142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 the seating portion 14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rusion module 12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때 안착부(142)는 인입된 압출모듈(120)의 끝단이 내측 안착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인입된 압출모듈(120)의 끝단에서 지면을 향해 소정거리 이격되어 3차원 출력물이 안착되는 내측 안착면과, 안착부(142)의 내주면에 의해 압출된 3차원 출력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ating portion 142 is provided so that the end of the retracted extrusion module 120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inner seating surface, so that the 3D output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retracted extrusion module 120 towards the ground.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extruded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is seated by the inner seating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42 may be formed.

이때 안착부(142)는, 유입홈(14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양부(144)에서 상기 안착공간으로 배양액이 이동됨으로써, 3차원 출력물로 배양액이 공급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ating portion 142 may have an inlet groove 142a formed, and through this, the culture solution is moved from the culture unit 144 to the seating space,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can be supplied as a three-dimensional output.

여기서 유입홈(142a)은, 안착부(142)의 외주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안착공간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nlet groove 142a may be formed toward the seating space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42 .

예를 들어 유입홈(142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4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인접한 유입홈(142a)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될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inlet grooves 142a may be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42, and a constant interval between adjacent inlet grooves 142a may be formed.

또한 유입홈(142a)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착부(142)의 외측 하부면에서 3차원 출력물이 안착되는 안착면까지 추가로 형성되어, 공급되는 배양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형성된 유입홈(142a)은 각각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let groove 142a is additionally formed from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142 to the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3-dimensional output product is seated, so that the amount of culture solution supplied can be adjusted. The formed inlet grooves 142a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respectively.

배양부(144)는, 전술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으로 배양액이 유입되도록 마련되며, 내부공간에 유입홈(142a)이 인입되어 수용된 배양액이 안착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described above, the culture unit 144 is provided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flows into the inner space, and the inflow groove 142a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so that the received culture solution can be supplied to the seating space.

또한 배양부(144)는, 내부공간의 상부에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개방홀이 형성되어 안착부(142)의 외주면 일측이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ulture unit 144, an open hol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so th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42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it.

구체적으로 안착부(142)는, 유입홈(142a)이 형성된 외주 측면을 기준으로, 그 상부측 외주 측면의 직경을 더 크게 마련함으로써 안착부(142)의 외측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단턱이 배양부(144)의 개방홀에 접하게 됨으로써, 안착부(142)가 배양부(144)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ting portion 142, ba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n which the inlet groove 142a is formed, by providing a larger diamet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upper side, a step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ating portion 142, as described above. As one step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pen hole of the culture unit 144, the seating portion 142 can be stably fixed to the culture unit 144.

또한 안착부(142)를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단계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단턱을 마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배양부(144)의 개방홀에 직경크기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teps may be provided by providing the seating portion 142 in a form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accordingly, it is stably fixed to the opening holes of the various culturing units 144 in accordance with the diameter size. You can also make arrangements for it.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배양모듈(1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42) 및 이에 대응하는 배양부(144)가 일방향으로 복수 배열되도록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3차원 출력물을 배양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ulturing module 140 as described above can cultivate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outputs by providing a seating unit 142 and a plurality of cultivating units 144 corresponding thereto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9 . there is.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100)는, 3차원 출력물을 배양시켜 형성된 3차원 종양미세환경 출력물에 스페로이드(S)를 주입할 수 있는 외부주입공간으로 배양모듈(140)을 이송하는 이송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3D printer 100 using bio-ink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s a culture module 140 as an external injection space capable of injecting spheroids (S) into the 3D tumor microenvironment output formed by culturing the 3D output. ) may further include a transport module 160 for transporting.

따라서 상술한 3D 프린터(100)는 외부주입공간에 배치된 주입장치(200)로 배양모듈(140)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3D printer 100 described above can transfer the culture module 140 to the injection device 200 disposed in the external injection space.

예를 들어 이송모듈(160)은, 배양모듈(140)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양모듈(14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nsport module 160 may be provided in a conveyor belt manner so that the culture module 140 can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ulture module 140 .

따라서 이송모듈(160)은 일방향으로 벨트를 이동시켜 상부에 마련된 배양모듈(140)을 주입장치(200)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술한 준비된 배양모듈(140)을 3D 프린터(100) 장치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transfer module 160 can move the belt in one direction to move the culture module 140 provided on the top to one side of the injection device 200, and mov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ne direction so that the above-described prepared culture module 140 The 3D printer 100 may be moved to one side of the device.

한편 주입장치(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공급모듈(220), 주입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jection device 200 may largely include a supply module 220 and an injection module 240 as shown in FIG. 10 .

공급모듈(220)은 배양된 스페로이드(S)를 수집하고 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술한 인큐베이터장치에서 스페로이드(S)가 배양된 플레이트를 전달받아 플레이트 내의 스페로이드(S)를 수집하고 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The supply module 220 may collect the cultured spheroids (S)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size, and specifically receive the plate in which the spheroids (S) are cultured in the above-described incubator device, and spheroids (S) in the plate can be collected and sorted according to size.

이때 주입모듈(240)은 상술한 공급모듈(220)에 의해 분류된 스페로이드(S)를 상술한 이동모듈에 의해 이동된 배양모듈(140)에서 형성된 3차원 종양미세환경 출력물에 주입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jection module 240 may inject the spheroids (S) classified by the above-described supply module 220 into the three-dimensional tumor microenvironment output formed in the culture module 140 moved by the above-described movement module.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모듈(220)은, 수집부(222), 분류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the supply module 220 may include a collection unit 222 and a classification unit 224 .

수집부(222)는 배양된 스페로이드(S)가 수용된 플레이트가 인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Collecting unit 222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plate containing the cultured spheroids (S) is drawn.

또한 수집부(222)는 삽입공간에 삽입된 플레이트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뒤집어 플레이트에 수용된 배양된 스페로이드(S)를 수집영역으로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unit 222 may collect the cultured spheroids (S) accommodated in the plate into the collection area by inverting the pl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이때 분류부(224)는 수집부(222)와 연결되어 수집영역에 수집된 배양된 스페로이드(S)를 분류영역(224a)으로 이동시키고, 분류영역(224a)으로 이동된 배양된 스페로이드(S)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lassification unit 224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unit 222 to move the cultured spheroids (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area to the classification area 224a, and the cultured spheroids moved to the classification area 224a ( S) can be classified by size.

여기서 플레이트는, 수집부(222)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뒤집어진 경우에만 수용된 스페로이드(S)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late may have an open hole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collection unit 222 can discharge the accommodated spheroids (S) only when the first position is turned over to the second position.

다시 말하면 수집부(222)는, 제1 위치에서, 플레이트의 개방홀이 상부를 향하도록 플레이트가 삽입공간에 삽입되었다가, 제2 위치로 뒤집어진 경우에 개방홀이 하부를 향하며, 수집영역에 스페로이드(S)가 수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ollection unit 222, when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o that the open hole of the plate faces upward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n turned over to the second position, the open hole faces downward, Spheroids (S) can be accommodated.

예를 들어 수집부(2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22b)를 통해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동하여 뒤집히도록 마련되고 수집영역은 호퍼(222a)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collection unit 222 is provided to be turned ove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rough the rotation member 222b, and the collection are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pper 222a. It can be.

또한 수집부(222)는, 제2 위치에서 상술한 분류부(224)와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됨으로써, 호퍼(222a)형태의 수집영역에 수집된 배양된 스페로이드(S)가 연결된 분류부(224)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unit 222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classification unit 224 described above at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cultured spheroids (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area in the form of a hopper 222a are connected to the classification unit 224 ) can be transmitted.

이때 회동부재(222b)와 호퍼(222a)형태의 수집영역 사이는 진동부재가 형성되어 수집부(222)가 제2 위치로 회동하여 뒤집힌 상태에서 의해 분류부(224)의 상단에 연결된 커넥터부재(222c)에 장착된 다음 진동함으로써, 수집영역에 수집된 스페로이드(S)를 분류부(224)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도 있다.A connector member ( 222c) by vibrating after being mounted, it is also possible to smoothly pass the spheroids (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area to the classification unit 224.

다음으로 분류부(224)는, 분류영역(224a)을 따라 배양된 스페로이드(S)를 일방향을 이동시켜 스페로이드(S)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Next, the classification unit 224 may classify the spheroids (S) by size by moving the cultured spheroids (S) in one direction along the classification area (224a).

따라서 주입모듈(240)에서는 원하는 크기의 스페로이드(S)를 3차원 종양미세환경 출력물에 주입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injection module 240, it is possible to inject the spheroid (S) of a desired size into the three-dimensional tumor microenvironment output.

도 13을 통해 분류부(224)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detailed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lassification unit 224 through FIG. 13 is as follows.

분류부(224)는 분류영역(224a)을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마련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배양된 스페로이드(S)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unit 224 may provide a classification area 224a lo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and classify the cultured spheroids S by size using gravity.

구체적으로 분류부(224)는, 필터부재(224b)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lassification unit 224 may include a filter member 224b.

필터부재(224b)는 복수의 홀을 구비하고 분류영역(224a)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224b may have a plurality of holes and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assification area 224a.

이때 필터부재(224b)는 배양된 스페로이드(S)의 이동방향을 따라 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배열됨으로써, 배양된 스페로이드(S)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ter member 224b is arranged so that the size of the hole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ltured spheroids (S), so that the cultured spheroids (S) can be classified by size.

구체적으로 필터부재(224b)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을 기준으로, 상측에 통과하지 못한 스페로이드(S)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며, 이 공간에서 외부로 수용된 스페로이드(S)가 유출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과 동일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4, the filter member 224b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pheroids S that did not pass through the upper side based on the hole, and the spheroids S accommodated to the outside in this space The same flow path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flow can flow out.

따라서 유로에 펌프를 연결하여 수용된 스페로이드(S)를 외부로 전달하여 스페로이드(S) 크기별로 저장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저장된 스페로이드(S) 중 원하는 크기의 스페로이드(S)를 주입모듈(240)로 보낼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connecting a pump to the flow path, the accommodated spheroids (S) can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and stored by size of spheroids (S), and spheroids (S) of the desired size among the spheroids (S) stored in the same way as described above can be sent to the injection module 240.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모듈(240)은 3D 프린트(100)에서 이송된 배양모듈(140) 내에 형성된 3차원 종양미세환경 출력물에 원하는 크기의 스페로이드(S)를 주입함으로써, 암진행 연구를 위해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모사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5, the injection module 240 injects spheroids (S) of a desired size into the three-dimensional tumor microenvironment output formed in the culture module 140 transferred from the 3D printer 100, so that cancer progresses. It will be possible to simulate solid tumor tissue analogues for research.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은 멀티레이어 3차원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빠르게 생체조직과 유사한 환경을 미리 구성할 수 있으며, 상술한 환경에 스페로이드를 배양시켜, 유사생체조직을 구성하여 스페로이드의 반응성을 다양한 시간대 혹은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Therefore, the 3D printer using the bio-in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icrotissue constru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an quickly configure an environment similar to a living tissue in advance using multi-layer 3D printing technology, and cultivate spheroids in the above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activity of spheroids at various times or in real time by constructing a similar biological tissu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is a matter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 내층
B: 외층
S: 스페로이드
P: 플레이트
10: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100: 3D 프린터
120: 압출모듈
122: 제1 압출부
122a: 제1 중공관
122b: 제1 공급관
122ba: 단위공급부재
122ba1: 제1 유로
124: 제2 압출부
124a: 제2 중공관
124b: 제2 공급관
124ba: 단위연결부재
140: 배양모듈
142: 안착부
142a: 유입홈
144: 배양부
160: 이송모듈
200: 주입장치
220: 공급모듈
222: 수집부
222a: 호퍼
222b: 회동부재
222c: 커넥터부재
224: 분류부
224a: 분류영역
224b: 필터부재
240: 주입모듈
A: inner layer
B: outer layer
S: spheroid
P: plate
10: microtissue building system
100: 3D printer
120: extrusion module
122: first extrusion unit
122a: first hollow tube
122b: first supply pipe
122ba: unit supply member
122ba1: 1st euro
124: second extrusion part
124a: second hollow tube
124b: second supply pipe
124ba: unit connection member
140: culture module
142: seating part
142a: inlet groove
144: culture unit
160: transfer module
200: injection device
220: supply module
222: collection unit
222a: hopper
222b: rotation member
222c: connector member
224: classification unit
224a: classification area
224b: filter member
240: injection module

Claims (38)

암진행 연구를 위해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모사하기 위한 3D 프린터의 압출모듈로서,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바이오잉크인 제1 물질을 압출하여 내층을 형성하는 제1 압출부; 및
혈관내피세포를 포함하는 바이오잉크인 제2 물질을 압출하여 상기 내층을 감싸는 외층을 형성하는 제2 압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물질을 먼저 압출시켜 상기 외층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물질 및 상기 제2 물질을 동시에 압출시켜 상기 외층의 측면 및 상기 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압출부 및 상기 제2 압출부는,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압출부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압출부의 직경이 가변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진 고형암 조직유사체의 모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모듈.
As an extrusion module of a 3D printer to simulate solid cancer tissue analogues for cancer progression research,
a first extrusion unit extruding a first material, which is bioink containing fibroblasts, to form an inner layer; and
A second extrusion unit extruding a second material, which is bioink containing vascular endothelial cells, to form an outer layer surrounding the inne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aterial is first extruded to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layer, and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are simultaneously extruded to form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layer and the inner layer,
The first extrusion part and the second extrus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length is variable,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extruded part is provided to be vari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ameter of the first extruded part, so that a solid cancer tissue-like body having at least one shape can be simulated,
extrusion modu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출부는,
상기 제1 물질이 압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중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xtrus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hollow tube formed elong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aterial is extruded,
extrusion mo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출부는,
상기 제1 물질의 압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1 물질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중공관 상부에 연결되는 제1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모듈.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extrus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irst hollow tube so that the first material is su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first material,
extrusion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관은,
상기 제1 중공관 상부에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단위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모듈.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supply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unit supply members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top of the first hollow tube,
extrusion mo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공급부재는,
상기 제1 중공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로가 상기 제1 중공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모듈.
According to claim 5,
The unit supply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rst flow passag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llow tub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hollow tube,
extrusion modu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부는,
상기 제1 압출부의 상기 제1 중공관보다 큰 직경의 제2 중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모듈.
According to claim 4,
The second extrus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llow tube of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hollow tube of the first extrusion part,
extrusion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부는,
상기 제2 물질의 압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물질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공급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중공관에 연결되는 제2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모듈.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extrus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hollow pipe with the first supply pipe therebetween so that the second material is su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second material,
extrusion modu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급관은,
상기 제1 공급관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제2 중공관의 상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 중공관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모듈.
According to claim 8,
The second supply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unit connecting members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ollow pip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llow pip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rst supply pipe.
extrusion modu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연결부재는,
인접한 두 단위연결부재의 사이공간으로 상기 제1 공급관이 배치될 수 있도록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모듈.
According to claim 9,
The unit connect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aced apart so that the first supply pipe can b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wo adjacent unit connection members,
extrusion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암진행 연구를 위해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모사하기 위한 3D 프린터로서,
바이오 잉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세포층이 서로 접하는 3차원 출력물을 형성하는 압출모듈; 및
상기 압출모듈에 의해 형성된 상기 3차원 출력물을 안착시켜 배양하는 배양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압출모듈은,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바이오잉크인 제1 물질을 압출하여 내층을 형성하는 제1 압출부; 및
혈관내피세포를 포함하는 바이오잉크인 제2 물질을 압출하여 상기 내층을 감싸는 외층을 형성하는 제2 압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물질을 먼저 압출시켜 상기 외층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물질 및 상기 제2 물질을 동시에 압출시켜 상기 외층의 측면 및 상기 내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압출부 및 상기 제2 압출부는,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압출부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압출부의 직경이 가변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가진 고형암 조직유사체의 모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s a 3D printer to simulate solid cancer tissue analogues for cancer progression research,
An extrusion module for forming a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in which different cell lay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bio-ink; and
Including a culture module for seating and culturing the three-dimensional output formed by the extrusion module,
The extrusion module,
a first extrusion unit extruding a first material, which is bioink containing fibroblasts, to form an inner layer; and
A second extrusion unit extruding a second material, which is bioink containing vascular endothelial cells, to form an outer layer surrounding the inne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aterial is first extruded to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layer, and the first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are simultaneously extruded to form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 layer and the inner layer,
The first extrusion part and the second extrus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length is variable,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extruded part is provided to be vari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ameter of the first extruded part, so that a solid cancer tissue-like body having at least one shape can be simulated,
3D printer using bio-in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출부는,
상기 제1 바이오잉크가 압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중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14,
The first extrus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hollow tube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ioink is extruded,
3D printer using bio-ink.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출부는,
상기 제1 바이오잉크의 압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1 바이오잉크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중공관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17,
The first extrus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hollow pipe so that the first bio-ink is su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first bio-ink.
3D printer using bio-ink.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부는,
상기 제1 압출부의 상기 제1 중공관보다 큰 직경의 제2 중공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18,
The second extrus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llow tube of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hollow tube of the first extrusion part,
3D printer using bio-ink.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출부는,
상기 제2 바이오잉크의 압출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바이오잉크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 공급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중공관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2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19,
The second extrusion part,
And a second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hollow pipe with the first supply pipe therebetween so that the second bio-ink is su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of the second bio-ink. ,
3D printer using bio-ink.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모듈은,
상기 3차원 출력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고, 상기 안착공간으로 배양액을 공급하는 배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14,
The culture module,
a seating portion in which a seating space for seating the three-dimensional output product is form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ulture unit for supporting the seating unit and supplying a culture solution to the seating space,
3D printer using bio-ink.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내주면에 상기 압출모듈의 외주면이 접하도록 마련되되, 인입된 상기 압출모듈의 끝단이 3차원 출력물의 하부면이 안착되는 안착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21,
the attachment part,
It is provid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rusion modul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end of the retracted extrusion module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eating surface o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output is seated, thereby forming the seating space. Characterized in that,
3D printer using bio-ink.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배양부에서 상기 안착공간으로 상기 배양액이 공급되도록, 유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The method of claim 22,
the attachment part,
Characterized in that an inlet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culture solution is supplied from the culture unit to the seating space,
3D printer using bio-ink.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홈은,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서 상기 안착공간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23,
The inlet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toward the seating space,
3D printer using bio-ink.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부는,
내부공간으로 배양액이 유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유입홈이 인입되어 수용된 배양액이 상기 안착공간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23,
The culture depart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lture solution is provided to flow into the inner space, and the inlet groove is drawn into the inner space to supply the received culture solution to the seating space.
3D printer using bio-ink.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상기 내부공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개방홀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외주면 일측이 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25,
The culture de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an open hol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so th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is fixed in contact.
3D printer using bio-ink.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모듈은,
상기 안착부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배양부가 일방향으로 복수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21,
The cultur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portion and the corresponding culturing portion are arranged in a plurality in one direction,
3D printer using bio-ink.
제14항에 있어서,
형성된 3차원 출력물에 스페로이드를 주입할 수 있는 외부주입공간으로 상기 배양모듈을 이송하는 이송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14,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ransfer module for transferring the culture module to an external injection space capable of injecting spheroids into the formed three-dimensional output.
3D printer using bio-ink.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상기 배양모듈의 이송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배양모듈이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잉크를 이용한 3D 프린터.
According to claim 28,
The transf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lture module is provided to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culture module,
3D printer using bio-ink.
암진행 연구를 위해 고형암 조직유사체를 모사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으로서,
제14항, 제1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3D 프린터; 및
외부로부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전달받아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3D 프린터로부터 이송된 상기 3차원 출력물에 분류된 상기 스페로이드를 주입하는 주입장치를 포함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As a microtissue construction system that mimics solid cancer tissue analogues for cancer progression research,
The 3D prin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and 17 to 29; and
Including an injection device for receiving the cultured spheroids from the outside,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size, and injecting the classified spheroids into the three-dimensional output transferred from the 3D printer,
Microtissue Building System.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장치는,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수집하고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공급모듈; 및
상기 공급모듈에 의해 분류된 상기 스페로이드를 상기 3차원 출력물에 주입하는 주입모듈을 포함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31. The method of claim 30,
The injection device,
A supply module for collecting the cultured spheroids and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size; and
Including an injection module for injecting the spheroids classified by the supply module into the three-dimensional output,
Microtissue Building System.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가 수용된 플레이트가 인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플레이트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뒤집어 상기 플레이트에 수용된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수집영역으로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집영역에 수집된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분류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분류영역으로 이동된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1,
The supply module,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plate accommodating the cultured spheroids is inserted, and the pl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is turned over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to collect the cultured spheroids accommodated in the plate into a collection area collection department;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ssif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llection unit to move the cultured spheroid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area to a classification area and classify the cultured spheroids moved to the classification area by size,
Microtissue Building System.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일측에 형성된 개방홀을 통해 수용된 상기 스페로이드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spheroid accommodated through an open hole formed on one side,
Microtissue Building System.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개방홀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34. The method of claim 33,
The collection unit,
In the first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o that the open hole of the plate faces upward.
Microtissue Building System.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제2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분류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수집영역에 수집된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가 상기 분류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35. The method of claim 34,
The colle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ultured spheroids collected in the collection area are transferred to the classification unit by being rotated to the second position and connected to the classification unit,
Microtissue Building System.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분류영역을 따라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일방향을 이동시켜 상기 스페로이드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33. The method of claim 32,
The classif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by moving the cultured spheroids in one direction along the classification area to classify the spheroids by size,
Microtissue Building System.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분류영역을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마련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37. The method of claim 36,
The classific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ssification area is provid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cultured spheroids are classified by size using gravity.
Microtissue Building System.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복수의 홀을 구비하고 상기 분류영역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된 필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배양된 스페로이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홀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조직 구축 시스템.
38. The method of claim 37,
The classification unit,
It has a plurality of hol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lassification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ember is arranged so that the size of the holes gradually decreases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ltured spheroid ,
Microtissue Building System.
KR1020210039844A 2021-03-26 2021-03-26 3d printer using bio-ink and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5148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844A KR102514854B1 (en) 2021-03-26 2021-03-26 3d printer using bio-ink and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844A KR102514854B1 (en) 2021-03-26 2021-03-26 3d printer using bio-ink and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726A KR20220134726A (en) 2022-10-05
KR102514854B1 true KR102514854B1 (en) 2023-03-28

Family

ID=8359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844A KR102514854B1 (en) 2021-03-26 2021-03-26 3d printer using bio-ink and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85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7579A1 (en) 2013-07-31 2015-02-05 Organovo, Inc. Autom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fabrication of tissue
WO2018185755A1 (en) 2017-04-02 2018-10-11 Mazor Robotics Ltd. Three dimensional robotic bioprinter
KR102083788B1 (en) 2018-09-04 2020-03-03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3D printing system for artificial blood vessel manufactu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blood vessel using same
KR102189844B1 (en) * 2018-11-27 2020-12-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olymer cell mixed spheroids,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147B1 (en) * 2012-06-18 2014-09-02 주식회사 싸이토젠 System for Culturing and Monitoring 3 Dimensional Spheroid
KR101627184B1 (en) * 2013-11-08 2016-06-07 한국기계연구원 The preparing method of core-shell structured scaffold for hard tissue regeneration and the scaffold for hard tissue regeneration thereb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7579A1 (en) 2013-07-31 2015-02-05 Organovo, Inc. Autom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fabrication of tissue
WO2018185755A1 (en) 2017-04-02 2018-10-11 Mazor Robotics Ltd. Three dimensional robotic bioprinter
KR102083788B1 (en) 2018-09-04 2020-03-03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3D printing system for artificial blood vessel manufactu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rtificial blood vessel using same
KR102189844B1 (en) * 2018-11-27 2020-12-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olymer cell mixed spheroids,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726A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3649A1 (en) Three dimensional microtissue bioprinter
US8748180B2 (en) Microfluidic device for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study of drugs and uses thereof
CN103476920B (en) Apparatuses for and methods of processing cells and related structures
EP3119870B1 (en) Dynamic multi organ plate
US10744505B2 (en) Microfluidic device for in vitro 3D cell culture experimentation
US20070122897A1 (en) Micro device for cell culture
US20160324991A1 (en) Multiplexed In Vivo Screening Of Biological Samples
CN106047690A (en) Cell culture device
US202203330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tissue
CN109868256A (en) A kind of kidney organ's chip and kidney organ's drug test model
JP2017501745A (en) Fluidic device and perfusion system for the reconstruction of complex biological tissue outside the body
KR102514854B1 (en) 3d printer using bio-ink and microstructure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Yau et al. Biosensor integrated tissue chips and their applications on Earth and in space
CN107236668B (en) Microfluidic chip for breast cancer stem cell culture and drug analysis
US11273445B2 (en) Biomimetic chip device
CN115678778A (en) Micro-fluidic chip device for culturing three-dimensional cell clusters
KR20210005606A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lane vasculature
US2022006289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Organotypic Lumen Models In A Microwell Plate
Mantecón-Oria et al. On the quest of reliable 3D dynamic in vitro blood-brain barrier models using polymer hollow fiber membranes: Pitfalls, progress, and future perspectives
US20240150692A1 (en) Organ crosstalk in vitro chamber to simulate multi organ tissues
WO2023033337A1 (en) Spheroid or organoid microfluidic chip and method for forming spheroid or organoid in vitro model by using same
SU1671681A1 (en) A chamber for cultivating and investigating cells and tissues
US20230011168A1 (en) Bio-Chip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Lohasz Gravity-driven perfusion systems for the physiological culturing of arrays of microtissues
KR20220086395A (en) Organ on a chip for prediction of human medical re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