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736B1 - Structures of bidirectional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 - Google Patents

Structures of bidirectional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736B1
KR102512736B1 KR1020220184027A KR20220184027A KR102512736B1 KR 102512736 B1 KR102512736 B1 KR 102512736B1 KR 1020220184027 A KR1020220184027 A KR 1020220184027A KR 20220184027 A KR20220184027 A KR 20220184027A KR 102512736 B1 KR102512736 B1 KR 10251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iece
horizontal
finish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성필
문용필
Original Assignee
문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필 filed Critical 문성필
Priority to KR1020220184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7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7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irectional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that can have an excellent shading function for building windows while increas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The structure comprises: a solar panel made of a vertical panel and a horizontal panel; a fixing frame for integrating the vertical panel and the horizontal panel so that an obtuse angle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anel and the horizontal panel; a finishing panel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anel; a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assembled and configured so that an upper bod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horizontal panel and a lower body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are mutually separable; and an upper finishing material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anel.

Description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STRUCTURES OF BIDIRECTIONAL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STRUCTURES OF BIDIRECTIONAL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

본 발명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에 태양광패널이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면적보다 큰 발전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발전효율을 증대시키면서 건물 창호에 대한 우수한 차양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have a larger power generation area than the area in which solar panels are generally installed in a building, thereby increas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excellent shading function for building windows. It relates to a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that allows to have.

건축물의 사용에는 냉난방, 취사, 환기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매우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다. 예컨대 건축물은 전 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40%를 차지한다. 이러한 에너지의 생산을 위해서는 고비용과 함께 많은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Buildings use a lot of energy because they require heating, cooling, cooking, and ventilation. For example, buildings account for 40% of global energy consumption. The production of such energy is expensive and emits a large amount of greenhouse gases.

정부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로드맵을 작성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2023년에는 공공건축물 5,000㎡이상에 대하여 일정비율 이상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하도록 이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2025년 부터는 이를 민간건축물과 공동주택에까지 확대 적용되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2017년부터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도를 시행하여 신재생에너지 자립률 20%이상인 건축물에 대하여는 제로에너지 건축물로 인증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government has prepared and implemented a zero-energy building obligatory roadmap, and according to this, it is obligatory to supply new and renewable energy at a certain rate for public buildings of 5,000㎡ or more in 2023, and from 2025 It is being applied to private buildings and multi-unit dwellings. In addition, since 2017, the zero-energy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has been implemented, and buildings with a renewable energy self-sufficiency rate of 20% or more are certified as zero-energy buildings.

이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이나 창호, 지붕 등 건축물의 외피에 태양광 모듈을 일체화시키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인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판상형의 태양광 패널을 건축물의 외피에 수직으로 부착시키는 방식이어서 태양고도가 높아지면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등 계절에 따라 발전량이 크게 달라진다.Accordingly, development of a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BIPV), which integrates photovoltaic modules with the exterior walls, windows, and roofs of buildings, is continuously being conducted. However, since the general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attaches plate-shaped photovoltaic panels vertically to the outer skin of a build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season, such as lower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when the sun ris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221975호는 가동형 다기능 고효율 태양광 패널을 개시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221975 discloses a movable, multifunctional, high-efficiency solar panel.

상기 가동형 다기능 고효율 태양광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20)의 외부벽면(2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부재(23)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23)의 외측 단부에 회전축(300)을 설치하여, 상호 수직한 제1태양광패널(100과 제2태양광패널(200)로 구성된 태양광패널(10)이 태양의 고도에 따라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in the movable multifunctional high-efficiency solar panel, a fixing member 23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surface 22 of the building 20, and the outer end of the fixing member 23 By installing a rotating shaft 300, the solar panel 10 composed of the first solar panel 100 and the second solar panel 200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s configured to rotat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altitude of the sun. .

이와 같이 구성된 등록번호 10-2221975호의 가동형 다기능 고효율 태양광 패널은 태양의 고도에 따라 회동시키고, 양반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태양광의 흡수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게 한다.The movable multifunctional high-efficiency solar panel of Registration No. 10-222197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the absorption rate of sunlight by rotating it according to the altitude of the sun and making both reflections.

그런데 상기한 태양광패널(10)은,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충분한 회동각도를 가져야 하므로 이를 위한 고정부재(23)이 반드시 건축물(20)의 외부벽면(22)으로부터 돌출되어야 하고, 제2태양패널(200)의 하면이 그대로 노출되므로 건축물의 외관이 저해될 뿐더러, 태양광패널(10)은 상기 고정부재(23)의 외측 단부에서 설치된 회전축(300)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것인 바, 강풍에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다.However, as can be seen in FIG. 1, the solar panel 10 described above must have a sufficient rotation angle, so the fixing member 23 for this must protrude from the outer wall surface 22 of the building 20, and the second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solar panel 200 is exposed as it is,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is impaired, and the solar panel 10 is supported only by the rotating shaft 300 installed at the outer end of the fixing member 23, strong winds structurally very weak.

아울러 태양광패널(10)의 각도에 따라 제1태양광패널(100)에 의한 햇빛이 창호를 통해 실내로 비춰지는 것을 일부 차단할 수도 있으나, 고정부재(23)의 돌출길이 및 태양광패널(100)의 요구되는 각도때문에 햇빛 차단의 효과는 매우 제한될 수 밖에 없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solar panel 10, sunlight by the first solar panel 100 may be partially blocked from shin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window, bu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xing member 23 and the solar panel 100 ), the effect of sun protection is very limited because of the required angle.

더욱이 우기시에는 제2태양광패널(200)과 고정부재(23) 사이에 빗물이 고임되는 공간이 형성되나 이를 처리할 수단이 없어, 상기 공간에 고임된 물은 회전축(300) 등 고정부재(23)의 외측 단부면을 타고, 또는 제1태양광패널(100)의 외측 단부를 타고 하부층의 외벽면으로 흘러가거나 낙하되어 하부층에 불편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Moreover, in the rainy season, a space in which rainwater collects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olar panel 200 and the fixing member 23, but there is no means to treat it, so the water collected in the space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300 or the like ( 23), or along the outer end of the first solar panel 100, it flows or falls to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lower layer,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lower layer.

또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97573호의 다기능 태양광패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부창호 하단에 위치하도록 외부벽면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흡수하는 제1태양광패널(100)과, 상기 제1태양광패널(10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외부벽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태양광을 흡수하고, 상기 제1태양광패널(100)에서 반사된 태양광을 흡수하며,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제2태양광패널(200)과, 상기 제1태양광패널(100) 또는 상기 제2태양광패널(200)에 구비되어 상기 제1태양광패널(100)을 외부벽면에 고정하거나 상기 제1태양광패널(100)과 상기 제2태양광패널(200)의 각도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0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another prior art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umber 10-1997573 multifunctional solar panel is attached to the outer wall surface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xterior window of the building to absorb sunlight. 100 and the first solar panel 100 are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on the outer wall surface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to absorb sunlight and to absorb sun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solar panel 100. A second solar panel 200 that absorbs and blocks sunlight from entering the room, and is provided on the first solar panel 100 or the second solar panel 200 to provide the first solar panel A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100 to an external wall surface or fixing an angle between the first solar panel 100 and the second solar panel 200 is provided.

이와 같이 등록번호 10-1997573호의 다기능 태양광패널은 건축물의 외부벽면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풍하중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창호를 통해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술한 등록번호 10-2221975호의 가동형 다기능 고효율 태양광 패널에서 발생하는 일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다기능 태양광패널 역시 차양기능을 하는 제2태양광패널(200)의 하면이 그대로 노출되고, 우수에 대한 처리수단이 없다는 점에서 등록번호 10-2221975호의 가동형 다기능 고효율 태양광 패널의 나머지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As such, since the multifunctional solar panel of Registration No. 10-1997573 is directly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t can have a more stable structure against wind load, and can more reliably block sunlight entering the building through the windows. In that there is, it is possible to solve some of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movable multifunctional high-efficiency solar panel of registration number 10-2221975. However, the rest of the movable multifunctional high-efficiency solar panel registration number 10-2221975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olar panel 200, which functions as a shading, is exposed as it is and there is no means for treating rainwater. has the same problems as

또한 등록번호 10-2221975호의 가동형 다기능 고효율 태양광 패널은 이를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는 외부로 노출되는 바 제2태양광패널(200)의 하면과 함께 미관이 저해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아울러 제1태양광패널(100)이 건축물의 외벽에 밀착됨으로써 발전 과정중에 제1태양광패널(100)에 발생되는 열이 외벽을 통해 실내로 전도되어 여름철 실내 냉방효율을 저하시킴으로써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게 한다.In addition, in the movable multifunctional high-efficiency solar panel of Registration No. 10-2221975, the fixing member 300 fixing i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is a factor that hinders aesthetics along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olar panel 200. In addition, as the first solar panel 100 adheres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heat generated in the first solar panel 100 during the power generation process is conducted to the room through the outer wall, thereby reducing indoor cooling efficiency in summer. cause energy to be wasted.

KRKR 10-2221975 10-2221975 B1B1 KRKR 10-1997573 10-1997573 B1B1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광패널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호 반사에 의한 태양광 흡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구조적 안정성과 외관의 미려함을 함께 도모할 수 있고, 창호를 통해 햇빛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물론 태양광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이 건축물의 실내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시에도 빗물이 태양광패널에서 낙하되거나 하부층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하부층 거주자에게 불편을 야기시키지 않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solar panels are installed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o maximize solar light absorption by mutual reflection, while promoting structural stability and aesthetics of appearance together. It can block sunlight from entering the room through windows and doors, as well as preven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olar panel from being conducted to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nd even when it rains, rainwater falls from the solar panel or flows to the lower floor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 structure that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to residents of the lower floors by preventing entr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브라켓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패널과 수평패널로 구성된 태양광패널, 수직패널과 수평패널 사이가 둔각이 되도록 상기 수직패널과 수평패널을 일체화시키는 고정프레임, 상기 수평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마감패널, 상기 수평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는 상부체와 마감패널의 전면에 설치되는 하부체가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구성되는 수평마감재, 상기 수직패널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마감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by an installation bracket, so that a solar panel composed of a vertical panel and a horizontal panel, and an obtuse angle between the vertical panel and the horizontal panel A fixing frame integrating the vertical panel and the horizontal panel, a finishing panel installed under the horizontal panel, an upper body installed in front of the horizontal panel, and a lower body installed in front of the finishing panel are assembled and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and an upper finishing material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anel.

상기 고정프레임에 관한 일 실시예는, 수직패널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패널이 설치되는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사각관부와 상기 사각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패널의 측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광패널장착부와, 상기 사각관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수직패널과 건축물의 외벽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시키는 이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사각관부와 상기 사각관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평패널의 측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광패널장착부와 상기 사각관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마감패널의 측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마감패널장착부로 이루어진다.An embodiment of the fixing frame includes a vertical frame on which a vertical panel is installed and a horizontal frame on which a horizontal panel is installed, and the vertical frame is formed on a square tube portion and one side of the square tube portion to form a side end portion of the vertical panel. It is composed of a light panel mounting portion inserted and fixed, and a separation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quare tube portion to form an adiabatic space between the vertical panel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horizontal fram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quare tube portion and the square tube portion. It consists of a light panel mounting portion into which the side end of the horizontal panel is inserted and fixed, and a closing panel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quare tube portion into which the side end of the finishing panel is inserted and fixed.

상기 수평마감재에 관한 일 실시예는, 상기 상부체가 전면상부편과 상기 전면상부편의 상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상면마감편과 상기 상면마감편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상리브 및 상기 전면상부편의 하단부에 구비된 ㄷ자형의 결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체가 전면하부편과 상기 전면하부편의 하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면마감편과 상기 하면마감편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하리브 및 상기 전면하부편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U자형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조립되어 하나의 수평마감재를 형성한다.In one embodiment related to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the upper body is provided with a front upper piece, a top finishing piece horizontally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upper piece, an upper rib bent i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top finishing piece, and a lower end of the front upper piece. It is made of a U-shaped coupling groove, and the lower body is bent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front end piece and the bottom end piece horizont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front end piece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front piece and the lower rib formed It consists of a U-shaped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is assembled by inserting the coupling projection into the coupling groove to form on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상기 전면마감편의 내측에는 배수하편과 배수후편으로 구성된 ㄴ자 단면형상의 배수편이 더 설치된다.On the inside of the front closure piece, a drainage piece having a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consisting of a lower drainage piece and a rear drainage piece is further installed.

또한 수평마감재의 이음 연결을 위한 연결대가 상기 배수편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바, 상기 연결대는 전면마감편에 밀착되는 연결전편과 배수하편에 밀착되는 연결하편 및 배수후편에 밀착되는 연결후편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for joint connection of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may be installed inside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rainage piece, and the connecting ro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finishing piece, and the lower connecting piece and drainage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drain piece. It consists of a connecting back pie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piece.

아울러 상기 배수후편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공에는 배수파이프가 연결된다.In addition, drain hole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rear side of the drain, and a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s.

상기 상부마감재에 관한 일 실시예는 ㄷ자 단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One embodiment of the upper finishing material is made in the shape of a U-shaped cross section.

상기 설치브라켓에 관한 일 실시예는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고정편과, 태양광패널에 부착되는 설치편으로 이루어지진다. 이때 상기 고정편과 설치편에는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장공의 조정공과, 상기 조정공에 의해 위치가 조정된 설치브라켓과 태양광패널을 고정시키는 고정공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bracket is composed of a fixing piece attached to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an installation piece attached to a solar panel. At this time, the fixing piece and the installation piece may be provided with a long hole adjusting hole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an installation bracket whose position is adjusted by the adjusting hole, and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solar panel.

본 발명은 수직패널과 수평패널 상호간에 양반사 작용을 가지게 하여 태양고도가 높은 하절기는 물론 태양고도가 낮은 동절기에도 태양광의 흡수효율을 극대화시켜 전력생산을 향상시키고, 풍하중에 대한 수압면적을 줄여주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sitive reflection action between the vertical panel and the horizontal panel to maximize the absorption efficiency of sunlight even in the summer when the sun height is high as well as in the winter when the sun height is low, thereby improving power generation and reducing the pressure area for wind load. While ensuring structural stability,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본 발명은 수평패널이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태양광전지모듈의 상면에 물 고임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여지가 없게 되고, 수평패널 상면의 빗물은 수평마감재의 내측에 형성된 배수로 및 배수파이프를 통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므로 햇빛의 차단은 물론 빗물까지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한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rizontal panel is installed at an angle, there is no room for contamination due to pooling of 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hotovoltaic module, and rainwat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nel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channel and drainage pipe formed inside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Since it is discharged, it can completely block out not only sunlight but also rainwater.

둘째, 본 발명은 수직패널과 건축물 외벽 사이에 수직프레임의 이격부에 의한 단열공간이 형성되므로, 발전과정중에 수직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이 건축물의 외벽으로 전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름철 실내 냉방을 위한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insul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anel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y the spaced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heat generated from the vertical panel during power generation is not conduct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refore, there is no loss of energy for indoor cooling in summer.

셋째, 본 발명은 태양광 흡수를 위한 태양광전지모듈의 외면을 제외한 태양광패널의 나머지 부분과 상술한 빗물의 배수수단이 마감패널과 상부마감재 및 수평마감재에 의해 가려져 외관이 미려해 질 뿐 아니라, 태양광패널과 상기 배수수단들이 안전하게 보호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Third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 of the solar panel except for the outer surface of the solar cell module for absorbing sunlight and the above-described rainwater drainage means are covered by the finishing panel, upper finishing material, and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so that the appearance is not only beautiful, The solar panel and the drainage means are safely protected to improve durability.

넷째, 본 발명은 전면마감편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전면상부편과 전면하부편이 조립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면상부편을 제거하여 태양광패널에 대한 보수 내지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하부상부편을 제거하여 마감패널에 대한 보수 내지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의 용이성과 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Fourth,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front upper piece and the lower front piece are assembled so that the front finishing pieces are mutually separabl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air or replace the solar panel by removing the front upper piece, and the lower upper part Since it is possible to easily repair or replace the finishing panel by removing the piece, it is possible to expect ease of maintenance and cost reduction effec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태양광패널의 작용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태양광패널의 설치구조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패널의 사시도 및 일부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태양광패널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조립하는 코너비드의 각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평마감재에 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수평마감재의 분해된 각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수평마감재의 조립구조에 의한 작용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수평마감재에 의한 빗물 배출의 작동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상기 수평마감재에 배수파이프가 설치된 구조에 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연결대에 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상부마감재에 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설치브라켓에 관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a solar panel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xplanatory view of a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solar panel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ve reflection photovoltaic system structure.
5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detailed view of a solar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xing frame for fixing a solar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each embodiment of a corner bead for assembling the fixing frame.
8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each disassembled component of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10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action by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11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rainwater discharge by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a drain pipe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13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lurred or unclear du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configuration,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known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의 외관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상기한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을 분해한 사시도이다.FIG. 3 shows the overall appearance of a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본 발명은 설치브라켓(80)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발전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창호를 통해 건축물의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것은 물론 우기시 빗방울에 대한 배수 처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차양으로써의 제기능이 모두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using the installation bracket 80 to improv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sunlight, to block sunlight from entering the building through windows and doors, as well as to protect against raindrops during the rainy season. By making sure that the drainage treatment is done, all the functions of the awning can be perfectly performed.

이러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생산을 위한 태양광패널(10)과, 상기 태양광패널(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관을 보호하면서 차양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감패널(60) 및, 태양광패널(10)과 마감패널(60)의 단부면을 보호하는 상부마감재(50)와 수평마감재(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ncludes a solar panel 10 for power generation, and a finishing panel installed under the solar panel 10 to protect the exterior and perform a shading function ( 60) and the upper finishing material 50 and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protecting the end surfaces of the solar panel 10 and the finishing panel 60 are included.

본 발명의 태양광패널(10)은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로 구성된다. 수직패널(10A)은 건축물의 외벽에 평행하게 설치되고, 수평패널(10B)은 상기 외벽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은 상호간에 사이각이 둔각이 되도록 고정프레임(20)에 의해 일체가 된다.The solar pane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vertical panel 10A and a horizontal panel 10B. The vertical panel 10A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horizontal panel 10B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outer wall, and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have an obtuse angle between each other. It is integrated by the fixing frame 20 so that it becomes.

도 5는 이러한 태양광패널(1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상기 고정프레임(20)의 구조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상기 고정프레임(20)을 조립하는 코너비드(30)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5 shows the structure of the solar panel 10, FIG.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xing frame 20, and FIG. 7 shows the corner bead 30 for assembling the fixing frame 20. ) is shown about.

태양광패널(10)의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은 각기 별도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들은 태양광전지모듈(11)과 이들의 테두리를 보호하는 패널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다.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of the solar panel 10 have a separately assembled structure, and they are composed of the solar cell module 11 and the panel frame 12 protecting the edges thereof.

고정프레임(20)은 상기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에 대응하여 수직프레임(20A)과 수평프레임(20B)으로 구성되며, 이들 수직프레임(20A)과 수평프레임(20B)은 코너비드(30)에 의해 상호간에 둔각이 되도록 일체화된다.The fixed frame 20 is composed of a vertical frame 20A and a horizontal frame 20B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and these vertical frames 20A and horizontal frames 20B are corners. Beads 30 are integrated so as to be obtuse with each other.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패널(10A)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A)은 사각관부(21a)와 광패널장착부(22a) 및 이격부(23a)로 구성되고, 수평패널(10B)이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0B)은 사각관부(21b)와 광패널장착부(22b) 및 마감패널장착부(23b)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vertical frame 20A on which the vertical panel 10A is installed is composed of a square tube part 21a, a light panel mounting part 22a, and a separation part 23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is The installed horizontal frame 20B is composed of a square tube part 21b, a light panel mounting part 22b, and a finishing panel mounting part 23b.

수직프레임(20A)의 사각관부(21a)와 수평프레임(20B)의 사각관부(21b) 사이에는 코너비드(30)가 설치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고정프레임(20)을 형성시킨다.A corner bead 30 is installed between the square tube portion 21a of the vertical frame 20A and the square tube portion 21b of the horizontal frame 20B to form one fixed frame 20 as described above.

코너비드(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0A)의 사각관부(21a)에 삽입되는 수직고정대(31)와 수평프레임(20B)의 사각관부(21b)에 삽입되는 수평고정대(32)로 구성되며, 수직고정대(31)와 수평고정대(32)의 사이각은 둔각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7, the corner bead 30 is a vertical fixture 31 inserted into the square tube portion 21a of the vertical frame 20A and a horizontal frame inserted into the square tube portion 21b of the horizontal frame 20B. Consisting of a fixing table 32, the angle between the vertical fixing table 31 and the horizontal fixing table 32 is made of an obtuse angl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코너비드(30)는, 도 7의 (a)에서와 같이 알루미늄 소재 등을 압출 성형하여 일체적으로 제작되게 할 수도 있으나, 도 7의 (b)에서와 같이 규격품으로 널리 공급되는 ㄷ 절곡물을 용접하여 구성시킬 수도 있다.The corner bead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by extruding an aluminum material or the like as shown in FIG. 7 (a), but is widely supplied as a standard product as shown in FIG. 7 (b). c It can also be configured by welding a bent object.

예컨대 후자의 ㄷ 절곡물로 코너비드(30)를 구성시킬 경우에는 요구되는 각도에 따라 절단 후 내부에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너비드에 피스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더 부가할 경우, 3면 모두에 대한 고정수단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고정수단의 설치면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rner bead 30 is configured with the latter c-bend, it is manufactured by welding it from the inside after cutting it according to the required angle,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 fixing means such as pieces or bolts are added to the corner bead In this case, since the fixing means can be used on all three surfac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or can select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fixing means as needed.

수직고정대(31)와 수평고정대(32) 사이의 둔각 형성은, 수직프레임(20A)과 수평프레임(20B) 사이가 둔각이 되도록 하면서, 이들 수직프레임(20A)과 수평프레임(20B)에 설치되는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 사이 역시 둔각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이각이 서로 다른 코너비드(30)를 단순 교체하는 것만으로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 사이의 각도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Forming an obtuse angle between the vertical fixing unit 31 and the horizontal fixing unit 32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frame 20A and the horizontal frame 20B while making the obtuse angle between the vertical frame 20A and the horizontal frame 20B An obtuse angle is also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angle between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by simply replacing the corner beads 30 having different angle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광패널(10)은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의 사이가 둔각이 됨으로써 우기시 수평패널(10B)의 상면으로 낙하된 빗방울이 외측으로 흘러 후술하는 배수로(47) 및 배수파이프(48b)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평패널(10B)의 태양광전지모듈(11) 상면은 빗물 고임으로 인한 오염이 방지되어 태양광패널(10)의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As such, the solar pane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tuse angle between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so that during the rainy season, raindrops fal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nel 10B flow outward through a drainage channel described later ( 47) and a slope that enables quick dischar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48b is formed.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photovoltaic module 11 of the horizontal panel 10B is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by rain water, so that the problem of lower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solar panel 10 does not occur.

그런데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 사이의 각이 너무 커지게 되면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 사이의 양반사 효과가 저하될 여지가 있게 된다. 따라서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 사이의 둔각은 빗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의 각을 가지게 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92°이하가 되도록 하나, 그의 구체적인 각도는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되는 위치의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However, if the angle between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is too large, there is room for deterioration of the positive reflection effect between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Therefore, the obtuse angle between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should have a minimum angle within the range in which rainwater can flow smoothly, preferably one to be 92 ° or less, the specific angle is It depends on the environment of the location where the solar panel 10 is installed.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고정대(31)와 수평고정대(32)의 각 단부 외면은 내측으로 경사진 단면을 가지게 함으로써 사각관부(21a,21b)에 대한 초기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직고정대(31)와 수평고정대(32)의 적어도 일면에는 굴곡을 줌으로써 하중의 분산효과를 가지게 하여 휨변형 등의 형태변형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7, the outer surfaces of each end of the vertical fixture 31 and the horizontal fixture 32 have cross-sections inclined inward, thereby facilitating initial insertion into the square tube parts 21a and 21b. It is desirable to make it happen. In additi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vertical fixing table 31 and the horizontal fixing table 32 may be bent to have a load dispersion effect to prevent shape deformation such as bending deformation.

또한 수직프레임(20A)과 수평프레임(20B)의 각 사각관부(21a,21b)에 대한 코너비드(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이들 사이를 피스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더 부가하여 조립된 고정프레임(20)에 높은 구조적 일체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sertion of the corner bead 30 into each of the square tube parts 21a and 21b of the vertical frame 20A and the horizontal frame 20B is completed, fixing means such as pieces or bolts are added between them. It is possible to make the frame 20 have high structural integrity.

수직프레임(20A)의 광패널장착부(22a)는 상술한 사각관부(21a)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패널(10A)의 측단부를 삽입 고정시킨다. 수평프레임(20B)의 광패널장착부(22b) 역시 사각관부(21b)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평패널(10B)의 측단부를 삽입 고정시킨다.The light panel mounting portion 22a of the vertical frame 20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bove-described square tube portion 21a and inserts and fixes the side end of the vertical panel 10A. The light panel mounting portion 22b of the horizontal frame 20B is also formed on one side of the square tube portion 21b to insert and fix the side end of the horizontal panel 10B.

아울러 사각관부(21b)의 타측에 형성되는 수평프레임(20B)의 마감패널장착부(23b)에는, 수평패널(10B)의 하부에 설치되는 마감패널(60)의 측단부가 삽입 고정된다. 이에 반하여 사각관부(21a)의 타측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20A)의 이격부(23a)는 수직패널(10A)을 건축물의 외벽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켜 이들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태양광전지모듈(11)에 의한 전력 생산의 과정중에 발생되는 열이 건축물의 외벽을 통해 실내로 전도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ide end of the closing panel 60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panel 10B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closing panel mounting portion 23b of the horizontal frame 20B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quare tube portion 21b. In contrast, the spaced portion 23a of the vertical frame 20A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quare tube portion 21a sufficiently separates the vertical panel 10A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form an adiabatic space therebetween, thereby forming a solar cell module ( 11) to prevent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power generation from being conducted to the interior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이러한 수평프레임(20B)의 마감패널장착부(23b)와 수직프레임(20A)의 이격부(23a)는 구조적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으나, 이들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수직프레임(20A)과 수평프레임(20B)의 제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nishing panel mounting portion 23b of the horizontal frame 20B and the separation portion 23a of the vertical frame 20A may have different structural shapes, but by having them have the same shape, the vertical frame 20A and the horizontal frame (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manufacturability of 20B).

또한 광패널장착부(22a,22b)와 마감패널장착부(23b) 내지 이격부(23a)는 ㅜ자 단면의 형상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도 6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더욱 높은 구조적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ㅠ자 단면의 형상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ight panel mounting parts 22a and 22b and the finishing panel mounting part 23b or spacer 23a may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U-shaped cross section, but as illustrated in FIG. 6, to have higher structural rigidity It can also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ㅠ-shaped cross section.

도 8은 수평패널(10B)과 마감패널(60)의 전면에 설치되는 수평마감재(40)를 도시한 것이고, 도 9은 상기 수평마감재(40)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수평마감재(40)의 조립구조에 의한 작용효과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8 shows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rizontal panel 10B and the finishing panel 60, and 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is separated, and FIG. It is shown with respect to the action effect by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마감패널(60)은 판상부재로 구성되어 수평패널(10B)의 하면과 그 하부를 가려줌으로써 수평패널(10B)이 차양수단으로의 완벽한 기능과 함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The finishing panel 60 is composed of a plate-like member and covers the lower surface and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anel 10B so that the horizontal panel 10B has a perfect function as a shading means and makes the appearance beautiful.

수평마감재(40) 역시 상부에 위치한 수평패널(10B)과 그 하부에 위치한 마감패널(60)의 전면을 미려하게 마감시켜 외관을 보호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평패널(10B)의 상면을 통해 흘러내린 빗물이 하층으로 낙하되거나 흘러내리지 않고 그 내부에서 집수되게 한 다음 후술하는 배수파이프(48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also protects the exterior by beautifully finish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rizontal panel 10B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finishing panel 60 located below it, and as described lat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nel 10B Rainwater flowing down through the rainwater is collected in the interior without falling or flowing down to the lower layer,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 pipe 48b to be described later.

아울러 상기 수평마감재(40)는 태양광패널(10) 또는 마감패널(60)의 보수 내지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들에 대한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한 수평마감재(40)는 수평패널(10B)의 전면에 설치되는 상부체(40A)와 마감패널(60)의 전면에 설치되는 하부체(40B)가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is configured to easily repair or replace the solar panel 10 or the finishing panel 60,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maintenance for them.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for this purpose is assembled so that the upper body 40A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rizontal panel 10B and the lower body 40B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inishing panel 60 are mutually separable.

이에 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

수평패널(10B)의 전면에 위치한 상부체(40A)는, 전면상부편(41a)과, 상기 전면상부편(41a)의 상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상면마감편(42)과, 상기 상면마감편(42)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상리브(44) 및, 상기 전면상부편(41a)의 하단부에 구비된 ㄷ자형의 결합홈(41c)으로 이루어진다.The upper body 40A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rizontal panel 10B includes a front upper piece 41a, an upper surface finishing piece 42 horizontally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upper piece 41a, and the upper surface finishing piece ( 42) and an upper rib 44 bent inwardly from the upper end of 42) and a U-shaped coupling groove 41c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upper piece 41a.

마감패널(60)의 전면 위치한 하부체(40B)는, 전면하부편(41b)과, 상기 전면하부편(41b)의 하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면마감편(43)과, 상기 하면마감편(43)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하리브(45) 및, 상기 전면하부편(41b)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41c)에 삽입되는 U자형의 결합돌기(41d)로 이루어진다.The lower body 40B located in front of the closing panel 60 includes a lower front piece 41b, a lower surface finishing piece 43 horizont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front piece 41b, and the lower surface finishing piece 43 It consists of a lower rib 45 bent in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 and a U-shaped engaging protrusion 41d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front piece 41b and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41c.

보다 구체적으로 상면마감편(42)과 하면마감편(43)은 각각 단부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된 단부수직편(42a,43a)이 형성되고, 상기 상리브(44)와 하리브(45)는 각각의 단부수직편(42a,43a)으로부터 다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수평패널(10B)는 상리브(44) 직하부의 상부체(40A) 내측에 위치하고 마감패널(60)은 하리브(45) 직상부의 하부체(40B)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finishing piece 42 and the lower surface finishing piece 43 are formed with end vertical pieces 42a and 43a vertically bent inward at the ends, respectively, and the upper rib 44 and the lower rib 45 are It is formed agai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each end vertical piece (42a, 43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is located inside the upper body (40A) directly under the upper rib (44), and the closing panel (60) is the lower rib (45). ) is located inside the lower body 40B of the upper part.

따라서 도 10의 (a)에서와 같이 하부체(40B)를 존치시킨 상태에서 상부체(40A)를 제거하면 태양광패널(10)을 보수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며,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상부체(40A)를 존치시킨 상태에서 하부체(40B)를 제거하면 마감패널(60)을 보수하거나 교체하는 작업 역시 쉽게 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0 (a), if the upper body 40A is removed while the lower body 40B is left, it is possible to easily repair or replace the solar panel 10, As in (b), if the lower body 40B is removed while the upper body 40A is left,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repair or replace the finishing panel 60.

도 11과 도 12는 상기 수평마감재(40)를 이용하여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그의 작동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11 and 12 show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one embodiment for discharging rainwater to the outside using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수평마감재(4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패널(10B)의 상면을 통해 흘러내린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배수편(46)이 설치된다.As described above, a drainage piece 46 for treating rainwater flowing down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nel 10B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상기 배수편(4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하부편(41b)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수하편(46b)과 배수후편(46a)으로 구성되어 ㄴ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면하부편(41b)과 함께 배수로(47)를 형성함으로써 빗물을 집수하여 후술하는 배수파이프(48b)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배수하편(46b)와 하면마감편(43)의 사이에는 지지편(43b)를 설치하여 배수로(47)가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the drain piece 46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lower front piece 41b, and is composed of a lower drain piece 46b and a rear drain piece 46a and has an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By forming a drain 47 together with the lower front piece 41b, rainwater is collec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 pipe 48b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support piece (43b) between the lower drainage piece (46b) and the bottom closing piece (43) so that the drainage channel (47) can maintain a structurally stable state.

한편 수평패널(10B)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단부가 상기 배수후편(46a)의 상단부에 거치되는데, 이때 수평패널(10B)과 상리브(44) 내지 상면마감편(42)의 단부수직편(42a)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수평패널(10B)의 경사진 상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은 상기의 간극(△)을 통해 전면마감편(41)과 배수편(46)에 의해 형성된 배수로(47)에 집수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1, the horizontal panel 10B has an outer end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drainage back piece 46a, and at this time, the horizontal panel 10B and the upper rib 44 to the upper surface finishing piece 42 A gap Δ is formed between the end vertical pieces 42a. Rainwater flowing along the inclined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anel 10B is collected in the drainage channel 47 formed by the front finishing piece 41 and the drainage piece 46 through the gap Δ.

배수로(47)에 집수된 빗물은 수평패널(10B)과 마감패널(60) 사이 공간에 설치된 배수파이프(48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배수후편(46a)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수공(48a)이 형성된다. 배수공(48a)에는 상기 배수파이프(48b)가 연결된다.Rainwater collected in the drain 47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 pipe 48b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rizontal panel 10B and the finishing panel 60. To this end, as shown in FIG. 12, drainage holes 48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rainage back piece 46a. The drain pipe 48b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 48a.

상기 배수파이프(48b)는 상기 배수후편(46a)에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하부체(40B)에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고정와셔(49)를 이용한 조립방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in pipe 48b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back piece 46a by welding, but it is preferable to connect it in an assembly method using a fixing washer 49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lower body 40B.

또한 배수파이프(48b)의 하면은 배수하편(46b)의 상면과 일치시킴으로써 배수로(47) 내에서의 빗물 고임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 고정와셔(49)는 배수로(47)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바, 배수파이프(48b)에 체결된 고정와셔(49)의 돌출부분은 배수공(48a)과 배수파이프(48b)를 배수하편(46b)으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수후편(46a)에 접하는 배수하편(46b)의 단부에 오목한 끼움홈(46c)을 구비시킴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lower surface of the drainage pipe 48b coincid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drainage piece 46b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rainwater in the drainage channel 47. However, in the latter case, the fixed washer 49 is located inside the drain pipe 47, and the protruding part of the fixed washer 49 fastened to the drain pipe 48b connects the drain hole 48a and the drain pipe 48b.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drain piece 46b,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problem is solved by providing a concave fitting groove 46c at the end of the drain lower piece 46b in contact with the drain rear piece 46a.

예컨대 상기 끼움홈(46c)에 고정와셔(49)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배수후편(46a)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배수공(48a)에 배수파이프(48b)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와셔(49)에 의해 체결 고정되게 함으로써, 배수파이프(48b)의 하면을 배수하편(46b)의 상면에 일치시키면서도 배수후편(46a)에 대한 배수파이프(48b)의 분리가 가능한 조립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with the fixing washer 49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46c, the drain pipe 48b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48a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rain back piece 46a and fastened by the fixing washer 49. By fixing, it is possible to have an assembly structure in which the drain pipe 48b can be separated from the drain back piece 46a while match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rain pipe 48b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drain piece 46b.

상기의 끼움홈(46c)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대(70)에 대한 고정수단의 역할을 함께 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tting groove 46c serves as a fixing means for the connector 70.

태양광패널(10)은 다수개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평마감재(40) 역시 이음 연결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게 된다. 도 13은 이러한 이음 연결구조를 위한 연결대(70)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A plurality of solar panels 10 may be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used. In this case,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also inevitably has a joint connection structure. 13 shows a connecting rod 70 for such a joint connection structure.

상기 연결대(70)는 배수편(46)에 의해 형성된 배수로(47)를 이용하여 인접한 태양광패널(10)간의 이음 연결이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감춰진 구성을 가지게 하여 수평마감재(40)의 외관이 저해될 여지가 없게 한다.The connecting rod 70 has a hidden configuration in which the joint connection between adjacent solar panels 10 is made inside using the drainage channel 47 formed by the drainage piece 46,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is inhibited. leave no room

이러한 연결대(7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전편(71)과 연결하편(72) 및 연결후편(73)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대(70)가 배수로(47)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전편(71)은 전면마감편(41)에 밀착되고 상기 연결하편(72)은 배수하편(46b)에 밀착되며 상기 연결후편(73)은 배수후편(46a)에 밀착되는 되는 구조를 가진다.As shown in FIG. 13 , the connecting rod 70 includes a front connecting piece 71, a lower connecting piece 72, and a rear connecting piece 73.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ing rod 70 is installed in the drain 47, the front connecting piece 7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finishing piece 41, and the lower connecting piece 7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draining piece 46b, and the connecting rear piece 73 has a structure that adheres to the drainage back piece 46a.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하편(46b)에 끼움홈(46c)이 형성된 경우에는, 연결후편(73)에 접하는 연결하편(72)의 단부에 상기 끼움홈(46c)에 삽입되는 고정돌기(72a)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대(70)는 고정돌기(72a)가 끼움홈(46c)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tting groove 46c is formed in the lower drainage piece 46b, the fixing protrusion 72a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46c at the end of the lower connecting piece 72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rear piece 73. ) may be further provided. Accordingly, the connecting rod 70 can be installed more stably as the fixing protrusion 72a is fixed by the fitting groove 46c.

이와 같이 구성된 연결대(70)는 배수편(46)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수평마감재(40)가 이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necting rod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side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rainage piece 46 so that a plurality of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s 40 can be jointly connected.

도 14는 수직패널(10A)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마감재(50)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마감재(50)는 ㄷ자 단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직패널(10A)의 상부단면을 감싸주면서 이를 보호한다.14 shows the upper finishing material 5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anel 10A. The upper finishing material 50 has a U-shaped cross section and protects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vertical panel 10A while covering it.

고정프레임(20)에 의해 일체로 조립된 태양광패널(10)은 설치브라켓(80)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된다. 도 15는 상기 설치브라켓(80)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The solar panel 10 integrally assembled by the fixing frame 20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y the installation bracket 80. 15 shows an embodiment of the installation bracket 80.

상기 설치브라켓(80)은,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고정편(81)과, 상기 고정편(81)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태양광패널(10)에 부착되는 설치편(82)으로 이루어진다.The installation bracket 80 is composed of a fixing piece 81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n installation piece 82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fixing piece 81 and attached to the solar panel 10 .

상기 고정편(81)과 설치편(82)에는 피스 또는 볼트가 삽입되는 고정공(84)이 구비된다.The fixing piece 81 and the installation piece 82 are provided with fixing holes 84 into which pieces or bolts are inserted.

한편 태양광패널(10)의 설치공정은, 고정편(81)을 이용하여 설치브라켓(80)을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시킨 후 태양광패널(10)을 설치브라켓(80)의 설치편(82)에 고정시키거나, 반대로 설치편(82)을 이용하여 태양광패널(10)에 설치브라켓(80)을 먼저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편(81)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바, 현장 상황에 따라 시공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시공오차는 작업을 번잡하게 할 뿐 아니라 시공품질을 저하시킨다.Meanwhile,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olar panel 10, the installation bracket 80 is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using the fixing piece 81, and then the solar panel 10 is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piece 82 of the installation bracket 80. ), or conversely, in a state where the installation bracket 80 is first fixed to the solar panel 10 using the installation piece 82, the fixing piece 81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ar, construction errors may occur depending on site conditions, and these construction errors not only complicate work but also degrade construction quality.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편(81)과 설치편(82)에 건축물 외벽에 대한 설치브라켓(80)의 설치 위치 또는 태양광패널(10)에 대한 설치브라켓(8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장공의 조정공(83)이 더 구비된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bracket 80 with respect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stallation bracket 80 with respect to the solar panel 10 on the fixing piece 81 and the installation piece 82 An adjustment hole 83 of a long hole for adjusting is further provided.

이에 따라 조정공(83)을 이용하여 태양광패널(10)의 설치위치를 조정하여 태양광패널(10)이 정확한 위치에 가설치 되게 하고, 상기 조정공(83)에 의해 조정된 설치브라켓(80)과 태양광패널(10)이 고정공(84)에 대한 피스 또는 볼트체결로 본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바, 태양광패널(10)의 정밀한 설치에 의한 시공품질의 향상가 더불어 작업성이 향상되어 공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olar panel 10 is adjusted using the adjustment hole 83 so that the solar panel 10 is temporarily installed in an accurate position, and the installation bracket adjusted by the adjustment hole 83 ( 80) and the solar panel 10 can be finalized by fastening pieces or bolts to the fixing hole 84, so that the construction quality is improved by the precise installation of the solar panel 10, as well as workability Improved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ince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10; 태양광패널 10A; 수직패널
10B; 수평패널 11; 태양광전지모듈
12; 패널프레임 20; 고정프레임
20A; 수직프레임 20B; 수평프레임
21a,21b; 사각관부 22a,22b; 광패널장착부
23a; 이격부 23b; 마감패널장착부
30; 코너비드 31; 수직고정대
32; 수평고정대 40; 수평마감재
40A; 상부체 40B; 하부체
41; 전면마감편 41a; 전면상부편
41b: 전면하부편 41c; 결합홈
41d; 결합돌기 42; 상면마감편
42a,43a; 단부수직편 43; 하면마감편
43b: 지지편 44; 상리브
45; 하리브 46; 배수편
46a; 배수후편 46b; 배수하편
46c; 끼움홈 47; 배수로
48a; 배수공 48b; 배수파이프
49; 고정와셔 50; 상부마감재
60; 마감패널 70; 연결대
71; 연결전편 72; 연결하편
72a; 고정돌기 73; 연결후편
80; 설치브라켓 81; 고정편
82; 설치편 83; 조정공
84; 고정공
10; solar panel 10A; vertical panel
10B; horizontal panel 11; solar cell module
12; Panel frame 20; fixed frame
20A; vertical frame 20B; horizontal frame
21a, 21b; Square tube parts 22a, 22b; Light panel mounting part
23a; spaced part 23b; Finish panel mounting part
30; corner bead 31; vertical stand
32; horizontal fixture 40;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A; upper body 40B; lower body
41; Front closure piece 41a; front top
41b: front lower part 41c; bonding groove
41d; coupling protrusion 42; top end
42a, 43a; End vertical piece 43; bottom end
43b: support piece 44; upper rib
45; harib 46; drain
46a; Drainage back piece 46b; Drainage
46c; fitting groove 47; drain
48a; drain hole 48b; drain pipe
49; fixed washer 50; upper finishing material
60; Closing panel 70; connecting rod
71; Linked prequels 72;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72a; fixing protrusion 73; connection sequel
80; installation bracket 81; fixed piece
82; installation 83; rower
84; fixer

Claims (9)

설치브라켓(80)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로 구성된 태양광패널(10);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 사이가 둔각이 되도록 상기 수직패널(10A)과 수평패널(10B)을 일체화시키는 고정프레임(20); 상기 수평패널(10B)의 하부에 설치되는 마감패널(60); 상기 수평패널(10B)의 전면에 설치되는 상부체(40A)와 마감패널(60)의 전면에 설치되는 하부체(40B)가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구성되는 수평마감재(40); 상기 수직패널(10A)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마감재(5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체(40A)는, 전면상부편(41a)과, 상기 전면상부편(41a)의 상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상면마감편(42)과, 상기 상면마감편(42)의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상리브(44) 및, 상기 전면상부편(41a)의 하단부에 구비된 ㄷ자형의 결합홈(41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체(40B)는, 전면하부편(41b)과, 상기 전면하부편(41b)의 하단부에서 수평 절곡된 하면마감편(43)과, 상기 하면마감편(43)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하리브(45) 및, 상기 전면하부편(41b)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홈(41c)에 삽입되는 U자형의 결합돌기(41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
A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by the installation bracket 80,
A solar panel 10 composed of a vertical panel 10A and a horizontal panel 10B; a fixing frame 20 that integrates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such that an obtuse angle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horizontal panel 10B; A closing panel 60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panel 10B; A horizontal finishing material 40 in which an upper body 40A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horizontal panel 10B and a lower body 40B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finishing panel 60 are assembled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It consists of; an upper finishing material 5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anel 10A,
The upper body 40A includes a front upper piece 41a, an upper surface finishing piece 42 horizontally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upper piece 41a, and an inwardly bent upper surface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finishing piece 42. It consists of a formed upper rib 44 and a U-shaped coupling groove 41c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upper piece 41a,
The lower body 40B includes a front lower piece 41b, a bottom finishing piece 43 horizontally bent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lower piece 41b, and an inward bending 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finishing piece 43. A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comprising a formed harib 45 and a U-shaped coupling protrusion 41d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front lower piece 41b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1c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0)은, 수직패널(10A)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A)과, 수평패널(10B)이 설치되는 수평프레임(2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20A)은, 사각관부(21a)와, 상기 사각관부(21a)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직패널(10A)의 측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광패널장착부(22a)와, 상기 사각관부(21a)의 타측에 형성되어 수직패널(10A)과 건축물의 외벽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시키는 이격부(23a)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프레임(20B)은, 사각관부(21b)와, 상기 사각관부(21b)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평패널(10B)의 측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광패널장착부(22b)와, 상기 사각관부(21b)의 타측에 형성되어 마감패널(60)의 측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마감패널장착부(23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frame 20 is composed of a vertical frame 20A on which a vertical panel 10A is installed and a horizontal frame 20B on which a horizontal panel 10B is installed,
The vertical frame 20A includes a square tube part 21a, an optical panel mounting part 22a formed on one side of the square tube part 21a and into which the side end of the vertical panel 10A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square tube part (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21a) and is made of a separation portion 23a for forming an insulating space between the vertical panel 10A and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he horizontal frame 20B includes a square tube part 21b, an optical panel mounting part 22b formed on one side of the square tube part 21b and inserting and fixing the side end of the horizontal panel 10B, and the square tube part ( 21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nish panel 60, the side end of the finish panel 6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nish panel mounting portion (23b),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ositive reflectio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하부편(41b)의 내측에는 배수하편(46b)과 배수후편(46a)으로 구성된 ㄴ자 단면형상의 배수편(4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A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drainage piece 46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a drain lower piece 46b and a drain rear piece 46a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lower piece 41b.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후편(46a)에 접하는 배수하편(46b)의 단부에는 오목한 끼움홈(46c)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4,
A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 fitting groove (46c)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drain lower piece (46b) in contact with the drain rear piece (46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후편(46a)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수공(48a)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48a)에는 배수파이프(48b)가 삽입되어 상기 끼움홈(46c)에 삽입된 고정와셔(49)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5,
Drainage holes 48a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rain back piece 46a, and a drain pipe 48b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48a and fixed by a fixing washer 49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46c A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system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편(46)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의 내부에는 연결대(70)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대(70)는, 전면마감편(41)에 밀착되는 연결전편(71)과, 배수하편(46b)에 밀착되는 연결하편(72)과, 배수후편(46a)에 밀착되는 연결후편(73) 및, 연결후편(73)에 접하는 연결하편(72)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홈(46c)에 삽입되는 고정돌기(72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5,
A connecting rod 70 is installed inside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rainage piece 46,
The connecting rod 70 has a front connection piece 71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finishing piece 41, a connection lower piece 72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age lower piece 46b, and a connection rear piece 73 in close contact with the drainage rear piece 46a. ) and a fixing protrusion 72a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46c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lower piece 72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ack piece 7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감재(50)는 ㄷ자 단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finishing material 50 is a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U-shaped cross-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라켓(80)은,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되는 고정편(81)과, 태양광패널(10)에 부착되는 설치편(8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편(81)과 설치편(82)에는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장공의 조정공(83)과, 상기 조정공(83)에 의해 위치가 조정된 설치브라켓(80)과 태양광패널(10)을 고정시키는 고정공(84)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반사 태양광 발전 시스템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installation bracket 80 is composed of a fixing piece 81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an installation piece 82 attached to the solar panel 10,
In the fixing piece 81 and the installation piece 82, an adjustment hole 83 of a long hole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an installation bracket 80 whose position is adjusted by the adjustment hole 83, and a solar panel 10 ) A positive reflectio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fixing hole 84 for fixing is provided.
KR1020220184027A 2022-12-26 2022-12-26 Structures of bidirectional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 KR1025127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027A KR102512736B1 (en) 2022-12-26 2022-12-26 Structures of bidirectional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027A KR102512736B1 (en) 2022-12-26 2022-12-26 Structures of bidirectional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736B1 true KR102512736B1 (en) 2023-03-21

Family

ID=8580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027A KR102512736B1 (en) 2022-12-26 2022-12-26 Structures of bidirectional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73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792A (en) *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 만상 Rotary type supporting structure of solar cell module for outer wall of building
JP2013194433A (en) * 2012-03-19 2013-09-30 Hitachi Appliances Inc Structure for fixing solar cell modul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US20140238489A1 (en) * 2013-02-28 2014-08-28 Robert Bosch Gmbh Frame for a Solar Module
KR101997573B1 (en) 2018-10-04 2019-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ultifunctional solar panel
KR20200071911A (en) * 2018-12-11 2020-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ovable multifunction high efficiency solar panel
KR102221975B1 (en) 2018-12-11 2021-03-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ovable multifunction high efficiency solar pan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6792A (en) * 2008-11-20 2010-05-28 주식회사 만상 Rotary type supporting structure of solar cell module for outer wall of building
JP2013194433A (en) * 2012-03-19 2013-09-30 Hitachi Appliances Inc Structure for fixing solar cell modul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US20140238489A1 (en) * 2013-02-28 2014-08-28 Robert Bosch Gmbh Frame for a Solar Module
KR101997573B1 (en) 2018-10-04 2019-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ultifunctional solar panel
KR20200071911A (en) * 2018-12-11 2020-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ovable multifunction high efficiency solar panel
KR102221975B1 (en) 2018-12-11 2021-03-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ovable multifunction high efficiency solar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0120B1 (en) Double-skin and moveable- sunshade facade system
CA2345588C (en) Sunshade for building exteriors
US8291652B2 (en) Device for holding photovoltaic panels on a roof, including holding means allowing an air flow between a base plane and the photovoltaic panel
US8898969B2 (en) Net-zero energy curtain wall
KR101640195B1 (en) Adiabatic curtain wall system
KR20030005260A (en) Framing system for solar panels
CA2717471C (en) Unitized overhead glazing systems
KR102260055B1 (en) Ceiling Integrated Photovoltaic Roof Structure with Drainway
KR101242137B1 (en) Curtain wall structure
JP6028430B2 (en) Solar power generation unit
CN201933666U (en) Overall unit type double-layer external circulating curtain wall
KR102512736B1 (en) Structures of bidirectional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
KR102512761B1 (en) Structures of bidirectional reflective photovoltaic system
JP5707441B2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solar cell module
KR102443129B1 (en) Spandrel Ventilation BIPV System
CN212317337U (en) Roof structure and photovoltaic sunshine room
JP3414711B2 (en) Balcony with solar panels
CN220014162U (en) Sunlight room system with long waterproof service life
JPH03905B2 (en)
JP2015094124A (en) Natural lighting roof device
JP2592400B2 (en) Building roof ridge structure
CN216787404U (en) Curtain wall structure
CN220014163U (en) Waterproof and leakproof sunlight room structure
CN220598866U (en) Ultralow-energy-consumption modularized building house system
CN215759905U (en) Sunshine room cei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