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707B1 -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707B1
KR102509707B1 KR1020200181563A KR20200181563A KR102509707B1 KR 102509707 B1 KR102509707 B1 KR 102509707B1 KR 1020200181563 A KR1020200181563 A KR 1020200181563A KR 20200181563 A KR20200181563 A KR 20200181563A KR 102509707 B1 KR102509707 B1 KR 10250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substrate
disposed
thickness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0740A (en
Inventor
신명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707B1/en
Publication of KR2022009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7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7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시는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을 포함하고, 방열완충기판은 그 아래에 배치되는 미들프레임과 마주하고 제 1 두께로 이루어진 제 1 영역, 및 미들프레임과 방열완충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패턴에 마주하고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로 이루어진 제 2 영역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열완충기판으로 인해 표시패널에 대한 방열 및 물리적 충격 완화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구성요소인 방열부재 및 완충부재가 방열완충기판으로 대체됨으로써, 표시장치의 슬림화가 유리해질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and made of a porous metal material,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faces a middle frame disposed thereunder and includes a first reg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region facing the adhesive pattern disposed between the middle frame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and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Since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can dissipate heat and mitigate physical shock to the display panel, the heat dissipation member and the buffer member, which are separate components, can be replaced with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thereby making the display device slimmer.

Figure R1020200181563
Figure R1020200181563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ligh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표시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와치 폰(watch phone), 전자 패드, 웨어러블 기기, 워치 폰, 휴대용 정보 기기, 내비게이션, 차량 제어 디스플레이 기기, 텔레비전, 노트북, 및 모니터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의 영상 표시 기능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 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Display devices inclu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lectronic notebooks, electronic book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systems, ultra mobile PCs (UMPC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personal computers), watch phones, and electronic devices. It is widely used for image display function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pads, wearable devices, watch phones,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navigation devices, vehicle control display devices, televisions, laptop computers, and monitor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e thinning, lightening, and low power consumption of such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표시장치의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전계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D)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d a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EWD)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D).

표시장치는 영상 표시를 위한 각 화소영역의 광을 출력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light of each pixel are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driver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한편, 표시장치의 턴온 동작 시에 표시패널 또는 구동부에서 구동 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구동 열이 지속적으로 집중된 표시패널의 소자 또는 구동부의 소자가 파손 또는 변형됨으로써, 표시장치의 구동 안정성 및 수명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다. Meanwhile, driving heat is generated from the display panel or the driver during a turn-on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n an element of a display panel or an element of a driving unit in which such driving heat is continuously concentrated is damaged or deformed, driving stability and lifespan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rapidly deteriorated.

더불어, 표시패널은 박막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 공정 또는 설치 공정 등으로 인한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취약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panel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it may be vulnerable to external physical impact due to an assembly process or an installation process.

표시장치는 구동 안정성 및 수명의 저하 속도를 늦추기 위해 표시패널의 구동 열 또는 구동부의 구동 열을 분산시키기 위한 방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member for dispersing driving heat of the display panel or driving heat of the driving unit in order to slow down the speed of deterioration of driving stability and lifespan.

또한,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that alleviates external physical impact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이처럼 방열부재 및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슬림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heat dissipation member and the buffer member are provided as suc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slimming the display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패널에 대한 방열 및 물리적 충격 완화가 가능하면서도, 슬림화에 유리해질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adiating heat and mitigating physical shock to a display panel and being advantageous in slimming,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일 예시는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을 포함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and a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and made of a porous metal material.

이와 같이 방열완충기판은 비교적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방열완충기판으로 인해 표시패널에 대한 방열이 가능하다. As such, since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thermal conductivity, it is possible to dissipate heat from the display panel due to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더불어, 방열완충기판은 다공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표시패널에 대한 물리적 충격의 완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is porous, physical impact to the display panel can be buffered.

이와 같이 방열완충기판은 별도의 구성요소인 방열부재 및 완충부재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방열부재 및 완충부재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에 비해 표시장치의 슬림화가 유리해질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can replace the heat dissipation member and the buffer member, which are separate components, a slimming display device can be advantageous compared to having the heat dissipation member and the buffer member separately.

방열완충기판은 그 아래에 배치되는 미들프레임과 마주하고 제 1 두께로 이루어진 제 1 영역, 및 미들프레임과 방열완충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패턴에 마주하고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로 이루어진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includes a first region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facing a middle frame disposed thereunder, and a second reg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and facing an adhesive pattern disposed between the middle frame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It contains 2 areas.

이와 같이 방열완충기판 중 점착패턴과 마주하는 일부 영역은 비교적 작은 두께로 이루어짐으로써, 점착패턴의 두께로 인해 방열완충기판과 미들프레임 간의 간격이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슬림화가 유리해질 수 있다.In this way, a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facing the adhesive pattern is formed with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so that an increas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and the middle frame due to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pattern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slimming of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display device can be advantageou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는 이상의 표시장치와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는 투명커버기판과, 투명커버기판과 체결되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전자기기는 표시패널에 대한 방열 및 물리적 충격 완화를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슬림화에 유리해질 수 있다. And,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above display device, a transparent cover substrat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back cover fastened to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Such an electronic device may be advantageous for slimming while being capable of radiating heat and mitigating physical shock to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이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된다. 즉, 방열완충기판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방열완충기판으로 인해 표시패널에 대한 방열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방열완충기판은 다공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탄성력 또는 충격 흡수력을 가지므로, 방열완충기판으로 인해 표시패널에 대한 물리적 충격 완화가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made of a porous metal material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panel. That is, since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dissipate heat from the display panel due to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In addition, since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is porous and has elasticity or shock absorbing power, physical shock to the display panel can be alleviated by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이와 같이 방열완충기판은 표시패널의 방열을 위한 방열부재 및 표시패널의 보호를 위한 완충부재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의 슬림화가 유리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can replace the heat dissipation member for heat dissipa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buffer member for protection of the display pane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limness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advantageous.

또한, 방열완충기판은 점착패턴을 통해 방열완충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미들프레임과 체결된다. 이러한 방열완충기판 중 점착패턴에 대응되는 일부는 미들프레임에 마주하는 다른 일부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is fastened to the middle frame disposed below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through an adhesive pattern. Among thes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dhesive pattern has a thinner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facing the middle frame.

이로써, 방열완충기판과 미들프레임 간의 간격이 점착패턴의 두께보다 작아질 수 있다. 즉, 방열완충기판과 미들프레임 간의 간격이 점착패턴의 두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슬림화가 유리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and the middle frame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pattern.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and the middle frame may not be limited to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patter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limming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device can be advantageo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X-Y방향 단면에 대한 일 예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X-Y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패널 및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서브화소영역에 대응한 등가회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표시장치 중 표시영역의 일부에 대응한 단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미들프레임 및 점착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방열완충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방열완충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in the XY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
3 is a view showing a XY-direction cross-s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nd a driving unit of FIG. 2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quivalent circuit corresponding to the sub-pixel area of FIG. 4 .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a display area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3 .
FIG. 7 is a view showing a middle frame and an adhesive pattern of FIG. 2 .
8 is a view showing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of FIG.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of FIG. 3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X-Y방향 단면에 대한 일 예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X-Y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n example of an X-Y direction cross s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1 . 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in the X-Y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shown in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는 표시면 중 비교적 긴 길이의 모서리(도 1 중 Y 방향의 모서리)가 하부를 향해 벤딩된 형태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hape in which a relatively long edge (a corner in the Y direction in FIG. 1 ) of the display surface is bent downward.

이에, 전자기기(10) 중 영상 표시를 위한 광(LIGHT)이 출력되는 표시영역(AA)은 평면표시영역(도 2의 FDA) 및 벤딩표시영역(도 2의 BDA)을 포함한다. Accordingly, the display area AA of the electronic device 10 where the light LIGHT for image display is output includes a flat display area (FDA in FIG. 2 ) and a bending display area (BDA in FIG. 2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는 표시장치(10a)와 하우징(10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10a and a housing 10b.

이러한 전자기기(10)를 마련하는 과정은 표시장치(10a)를 마련하는 과정과, 표시장치(10a)와 하우징(10b)을 체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ocess of preparing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include a process of preparing the display device 10a and a process of fastening the display device 10a and the housing 10b.

표시장치(10a)는 투명커버기판(11), 표시패널(100) 및 방열완충기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0a may include a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 a display panel 100 , and a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

일 예로, 표시장치(10a)를 마련하는 과정은 표시패널(100)을 마련하는 과정과, 표시패널(100) 위에 투명커버기판(11)을 배치하는 과정과, 표시패널(100) 아래에 방열완충기판(200)을 배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display device 10a includes preparing the display panel 100, disposing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on the display panel 100, and dissipating heat under the display panel 100. This may be achieved by arranging the buffer substrate 200 .

표시패널(100) 위에 투명커버기판(11)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표시패널(100)은 표시패널(100)과 투명커버기판(11) 사이의 투명점착부재(미도시)를 통해 투명커버기판(11)과 체결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isposing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on the display panel 100, the display panel 100 is attached to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through a transparent adhesive member (not shown)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11) can be concluded.

표시패널(100) 아래에 방열완충기판(200)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표시패널(100)은 표시패널(100)과 방열완충기판(200) 사이의 점착층(미도시)을 통해 방열완충기판(200)과 체결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heat buffer substrate 200 under the display panel 100, the display panel 100 moves through the adhesive layer (not shown)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heat buffer substrate 200. (200) can be concluded.

하우징(10b)은 미들프레임(12)과 백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b may include a middle frame 12 and a back cover 14 .

일 예로, 표시장치(10a)와 하우징(10b)을 체결하는 과정은 표시장치(10a)의 방열완충기판(200) 아래에 미들프레임(12)을 배치하는 과정과, 미들프레임(12) 아래에 배치된 백커버(14)와 표시장치(10a)의 투명커버기판(11)을 체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display device 10a and the housing 10b includes a process of disposing the middle frame 12 under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of the display device 10a, and a process of disposing the middle frame 12 under the middle frame 12. It may be made by a process of fastening the disposed back cover 14 and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of the display device 10a.

표시장치(10a)의 방열완충기판(200) 아래에 미들프레임(12)을 배치하는 과정에서, 방열완충기판(200)은 방열완충기판(200)과 미들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된 점착패턴(13)을 통해 미들프레임(12)과 체결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middle frame 12 under the heat radiation buffer substrate 200 of the display device 10a, the heat radiation buffer substrate 200 has an adhesive pattern disposed between the heat radiation buffer substrate 200 and the middle frame 12. It can be fastened with the middle frame 12 through (13).

점착패턴(13)은 미들프레임(12)의 가장자리 중 Y축 방향에 나란한 장축 모서리의 양단 각각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adhesive pattern 1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edges of the long axis parallel to the Y-axis direction among the edges of the middle frame 12 .

미들프레임(12) 아래에 배치된 백커버(14)와 표시장치(10a)의 투명커버기판(11)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투명커버기판(11)은 투명커버기판(11)과 백커버(14) 사이의 연결수단을 통해 백커버(14)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수단은 점착제, 볼트와 너트, 및 레일홈과 슬라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back cover 14 disposed under the middle frame 12 and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of the display device 10a,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is formed between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and the back cover ( 14) can be fastened to the back cover 14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between them. For example, the connection means may be implemented with adhesive, bolts and nuts, and rail grooves and slide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는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되는 방열완충기판(200), 표시패널(100) 위에 배치되는 투명커버기판(11), 방열완충기판(200) 아래에 배치되는 미들프레임(12), 방열완충기판(200)과 미들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패턴(13), 및 투명커버기판(11)과 체결되는 백커버(1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 the electronic device 10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disposed below the display panel 100, and a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disposed above the display panel 100. , The middle frame 12 disposed under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the adhesive pattern 13 dispos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and the middle frame 12, and the bag fastened with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Cover 14 is included.

즉, 전자기기(10)는 상호 체결된 투명커버기판(11)과 백커버(14) 사이에 수납되는 표시패널(100), 방열완충기판(220) 및 미들프레임(12)을 포함한다.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10 includes the display panel 100,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20, and the middle frame 12 accommodated between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and the back cover 14 fastened to each other.

그리고, 전자기기(10)는 미들프레임(12)과 백커버(14) 사이에 배치되는 다양한 회로부품(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ircuit components 15 disposed between the middle frame 12 and the back cover 14 .

투명커버기판(11)은 플라스틱, 유리 및 강화유리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투명커버기판(11)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EN(polyethylenapthanate) 및 PNB(polynorborneen) 중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may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plastic, glass, and tempered glass. For example,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may be made of any one plastic material selected from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polyethersulfone (PES), polyethylenapthanate (PEN), and polynorborneen (PNB).

투명커버기판(11)은 평평한 형태의 평면커버부(11a) 및 평면커버부(11a)의 양측 각각에 배치되는 휘어진 형태의 곡면커버부(11b)를 포함한다. 각 곡면커버부(11b)는 평면커버부(11a)의 일측으로부터 백커버(12)를 향해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구부려진 곡면 형태이다.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includes a flat cover part 11a and a curved cover part 11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lat cover part 11a. Each curved cover part 11b has a curved surface shape bent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from one side of the flat cover part 11a toward the back cover 12 .

곡면커버부(11a)는 평면커버부(11a)의 장축 모서리(Y 방향의 모서리) 각각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urved cover portion 11a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at each of the long axis edges (edges in the Y direction) of the flat cover portion 11a.

이러한 투명커버기판(11)으로 인해, 전자기기(10)의 미감이 개선될 수 있고, 전자기기(10)의 베젤의 시인성이 낮아질 수 있다. Due to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the aesthetics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improved, and the visibility of the bezel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reduced.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패널(100)과 투명커버기판(11) 사이에 배치된 투명점착부재(미도시)를 통해 표시패널(100)과 투명커버기판(11)이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점착부재는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및 OCR(optical clear res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transparent adhesive member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 For example, the transparent adhesive member may be made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optical clear adhesive (OCA), and optical clear resin (OCR).

표시패널(100)은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표시영역(AA)을 포함한다.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display area AA that outputs light for displaying an image.

표시패널(100)은 연성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표시패널(100)은 투명커버기판(11) 아래에 밀착됨으로써, 투명커버기판(11)과 동일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exible flat plate.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deformed into the same shape as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by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

즉, 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AA)은 투명커버기판(11)의 평면커버부(11a)에 대응되는 평면표시영역(FDA; Flat Display Area) 및 투명커버기판(11)의 곡면커버부(11b)에 대응되는 벤딩표시영역(BDA; Bending Display Area)을 포함한다.That is, the display area AA of the display panel 100 is a flat display area (FDA) corresponding to the flat cover portion 11a of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and the curved cover of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A bending display area (BDA)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11b is included.

방열완충기판(200)은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된다.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panel 100 .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방열완충기판(200)은 표시패널(100)과 방열완충기판(200)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미도시)을 통해 표시패널(100)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점착층은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및 OCR(optical clear resin)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may be fixed under the display panel 100 through an adhesive layer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may be made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optical clear adhesive (OCA), and optical clear resin (OCR).

방열완충기판(200)은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짐으로써, 표시패널(100)을 열 손상 및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is made of a porous metal material 200', thereby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100 from thermal damage and physical impact.

다공성 금속재료(200')는 스폰지 형태의 금속재료(201)와 금속재료(201) 내에 분포된 공극(20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재료(201)는 열전도율이 비교적 높은 금속이라면 어느 것으로든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금속재료(201)는 구리(Cu)일 수 있다.The porous metal material 200' may include a sponge-like metal material 201 and pores 202 distributed in the metal material 201. The metal material 201 may be any metal having relatively high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metal material 201 may be copper (Cu).

다공성 금속재료(200')는 비교적 높은 열전도율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짐에 따라, 열을 신속히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은 표시패널(100)에서 발생된 구동 열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구동 열의 집중으로 인한 표시패널(100)의 파손 또는 특성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As the porous metal material 20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relatively high thermal conductivity, heat can be quickly dispersed. Accordingly, since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made of the porous metal material 200' can disperse driving heat generated from the display panel 100, damage or characteristic deforma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due to concentration of driving heat is prevented. can be prevented

그리고, 다공성 금속재료(200')는 다공성 형태이므로, 다소의 탄성력 및 다소의 충격 흡수력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은 표시패널(100)로 향하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100)이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Also, since the porous metal material 200' is porous, it may have some elasticity and some shock absorption. Accordingly, since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made of the porous metal material 200' can buffer external physical impact toward the display panel 100,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physical impact. there is.

예시적으로, 외부의 물리적 충격은 순간적인 타격을 가하는 드롭 방식(drop type)과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압력을 가하는 드래그 방식(drag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external physical impact may be divided into a drop type that applies an instantaneous blow and a drag type that continuously moves and applies pressure.

드롭 방식의 물리적 충격은 소정의 충격 흡수력을 가지는 엠보싱 형태의 완충부재로 저지될 수 있다.A drop-type physical impact may be prevented by an embossed buffe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impact absorbing power.

드래그 방식의 물리적 충격은 소정의 강성과 탄성을 가지는 다공성 형태의 완충부재로 저지될 수 있다. A drag-type physical impact may be prevented by a porous buffer member having predetermined rigidity and elasticity.

이에, 기존의 전자기기(10)는 물리적 충격 완화를 위한 엠보싱 형태의 완충부재와 다공성 형태의 완충부재, 및 방열을 위한 방열부재를 구비한다. 그로 인해, 슬림화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 existing electronic device 10 includes an embossed buffer member for mitigating physical shock, a porous buffer member, and a heat dissipation member for heat dissipa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 to slimming.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완충기판(200)는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지고, 다공성 금속재료(200')는 다공성 형태에 따른 소정의 충격 흡수력과 소정의 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금속재료에 의한 소정의 강성과 소정의 열전도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방열완충기판(200)는 기존의 전자기기(10)에 구비되었던 다수의 완충부재와 방열부재를 대체할 수 있다. In contra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is made of a porous metal material 200', and the porous metal material 200' has a predetermined shock absorption capacity and a predetermined elasticity according to the porous form. In addition, it has a certain stiffness and a certain thermal conductivity due to the metal material. Therefore,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can replace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and heat dissipation members provided in the existing electronic device 10 .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10)는 다공성 금속재료(200')로 이루어진 방열완충기판(200)을 포함함에 따라, 표시패널(100)에 대한 물리적 충격 완화 및 방열이 가능하면서도, 다수의 완충부재와 방열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슬림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Accordingly, since th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made of the porous metal material 200', it is possible to mitigate physical impact and dissipate heat from the display panel 100. However, since a plurality of buffer members and heat dissipation members can be removed, there is an advantage in slimming.

방열완충기판(200)의 충격 흡수력, 탄성, 열전도성 및 강성을 고려하여, 방열완충기판(200)을 이루는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공극률은 50%~76%일 수 있다. 여기서, 공극률은 전체 부피에 대한 공극(202)의 비율에 대응한다.In consideration of shock absorption, elasticity, thermal conductivity, and rigidity of the heat radiation buffer substrate 200, the porosity of the porous metal material 200' constituting the heat radiation buffer substrate 200 may be 50% to 76%. Here, the porosity corresponds to the ratio of the voids 202 to the total volume.

방열완충기판(200)은 점착패턴(13)을 통해 미들프레임(12)과 체결된다.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is fastened to the middle frame 12 through the adhesive pattern 13 .

이러한 방열완충기판(200)은 미들프레임(12)과 마주하고 제 1 두께로 이루어진 제 1 영역(200a)과 점착패턴(13)과 마주하고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로 이루어진 제 2 영역(200b)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영역(200a, 200b)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has a first area 200a facing the middle frame 12 and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area facing the adhesive pattern 13 and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 200b).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200a and 200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미들프레임(12)은 방열완충기판(200) 아래에 배치되고, 표시패널(100) 및 방열완충기판(200)을 지지한다.The middle frame 12 is disposed below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and supports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

투명커버기판(11)에 마주하는 미들프레임(12)의 일면은 투명커버기판(11)의 평면커버부(11a)에 대향하는 평면지지부(12a), 및 투명커버기판(11)의 곡면커버부(11b)에 대응하고 평면지지부(12a)의 양측 각각에 배치되는 곡면지지부(12b)를 포함한다. One side of the middle frame 12 facing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has a flat support portion 12a facing the flat cover portion 11a of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and a curved cov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Corresponds to (11b) and includes curved support portions 12b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lat support portion 12a.

이와 같이, 미들프레임(12)의 일면이 투명커버기판(11)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투명커버기판(11)과 미들프레임(12) 사이에 개재되는 표시패널(100)이 투명커버기판(11)에 대응되는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As such, since one surface of the middle frame 1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the display panel 100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and the middle frame 12 is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It may be easy to maintain the shape corresponding to (11).

즉, 투명커버기판(11)과 미들프레임(12) 사이에 개재되는 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AA)은 평면커버부(11a)와 평면지지부(12a) 사이에 배치되는 평면표시영역(FDA), 및 곡면커버부(11b)와 곡면지지부(12b) 사이에 배치되는 벤딩표시영역(BDA)을 포함한다. That is, the display area AA of the display panel 100 inter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and the middle frame 12 is a flat display area disposed between the flat cover portion 11a and the flat support portion 12a ( FDA), and a bending display area BDA disposed between the curved cover part 11b and the curved surface support part 12b.

점착패턴(13)은 미들프레임(12)의 곡면지지부(12b)와 방열완충기판(200)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점착패턴(13)은 미들프레임(12)의 평면지지부(12a)와 방열완충기판(200)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면, 미들프레임(12)의 다른 일면 중 평면지지부(12a)와 대응되는 일부(12c) 아래에 배치된 회로부품(15)의 구동 열이 방열완충기판(2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표시패널(100)에 대한 회로부품(15)의 구동 열의 영향이 작아질 수 있다. The adhesive pattern 13 is disposed between the curved surface support 12b of the middle frame 12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 That is, the adhesive pattern 13 is not disposed between the flat support 12a of the middle frame 12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 In this way, the driving heat of the circuit component 15 disposed under the part 12c corresponding to the flat support part 12a among the other surfaces of the middle frame 12 can be blocked by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driving heat of the circuit component 15 on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reduced.

더불어, 미들프레임(12)은 백커버(14)와 마주하는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홈부(1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ddle frame 12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portion 12c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back cover 14 .

홈부(12c)는 전자기기(10)의 각종 회로부품들(15)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미들프레임(12)이 홈부(12c)를 포함하는 경우, 회로부품(15)의 두께가 전자기기(10)의 전체 두께에 미치는 영향이 저감될 수 있다. 즉, 전자기기(10)의 슬림화에 유리해질 수 있다. The groove portion 12c is for accommodating various circuit components 15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n this way, when the middle frame 12 includes the groove portion 12c, the effect of the thickness of the circuit component 15 on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electronic device 10 can be reduced. That is, it may be advantageous for slimming the electronic device 10 .

회로부품(15)은 미들프레임(12)과 백커버(14) 사이에 배치된다. 일 예로, 회로부품(15)은 표시패널(100)의 구동부(도 4의 GDR, DDR, TC), 전자기기(10)의 제어를 위한 호스트 시스템, 메모리 및 전원부 등이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 및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it component 15 is disposed between the middle frame 12 and the back cover 14. As an example, the circuit component 15 includes at least one circuit in which a driving unit (GDR, DDR, TC in FIG. 4) of the display panel 100, a host system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 a memory and a power supply unit, etc. are mounted. It may include a substrate and a battery.

더불어,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미들프레임(12)은 표시패널(100)과 회로부품(15)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미도시)을 인출하기 위한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FIG. 3 , the middle frame 12 may further include a hole for drawing out a flexible circuit board (not shown) connecting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circuit component 15 .

백커버(14)는 플라스틱, 금속 및 글라스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ck cover 14 may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plastic, metal, and glass.

도 3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백커버(14)는 투명커버기판(11)의 평면커버부(11a)에 마주하는 평면부와, 평면부의 단축 모서리(X축 모서리) 양측으로부터 투명커버기판(11) 측으로 절곡된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FIG. 3 , the back cover 14 is formed from a flat surface facing the flat cover part 11a of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and a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from both sides of the minor edge (X-axis edge) of the flat surface. ) may include a side portion bent to the side.

또는, 도 3의 도시와 달리, 전자기기(10)는 투명커버기판(11)과 백커버(14) 사이에 배치되는 사이드커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unlike the illustration of FIG. 3 ,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side cover (not shown) disposed between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and the back cover 14 .

도 4는 도 2의 표시패널 및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서브화소영역에 대응한 등가회로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표시장치 중 표시영역의 일부에 대응한 단면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panel and a driving unit of FIG. 2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quivalent circuit corresponding to the sub-pixel area of FIG. 4 .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a display area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3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0)은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이 출력되는 표시영역(AA)과, 표시영역(AA)에 배열된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Sub-Pixel Area)과,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에 연결된 신호배선들(GL, DL)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의 신호배선들(GL, DL)은 패널 구동부(TC, GDR, DDR)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각 서브화소영역(SPA)에 전달한다.As shown in FIG. 4 ,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display area AA where light for displaying an image is output, and a plurality of sub-pixel areas (SPA)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AA. and signal lines GL and DL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b-pixel areas SPA. The signal wires GL and DL of the display panel 100 transfer driving signals supplied from the panel driving units TC, GDR, and DDR to each sub-pixel area SPA.

표시패널(100)이 컬러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각각은 서로 다른 복수의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에 대응하는 파장영역의 광을 방출한다. 여기서, 복수의 색상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색상은 백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패널(100)은 컬러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00 displays a color image,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 areas SPA emits light in a wavelength range corresponding to one color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t colors. Here, the plurality of colors may include red, green, and blue.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colors may further include white. To this end,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color filter (not shown).

표시패널(100)의 신호배선들(GL, DL)은 게이트구동부(GDR)의 스캔신호(SCAN)를 전달하는 게이트라인(GL), 및 데이터구동부(DDR)의 데이터신호(VDATA)를 전달하는 데이터라인(DL)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lines GL and DL of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 a gate line GL that transmits the scan signal SCAN of the gate driver GDR and a data signal VDATA of the data driver DDR. A data line DL may be included.

표시패널(100)이 각 서브화소영역(SPA)에 대응한 발광소자(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 표시패널(100)은 발광소자의 구동을 위한 제 1 및 제 2 구동전원(VDD, VSS)을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구동전원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light emitting devices (not shown) corresponding to each sub-pixel area SPA,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first and second driving power sources VDD and VSS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s. )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driving power lines for transmitting.

패널 구동부(TC, GDR, DDR)는 표시패널(100)의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되는 게이트구동부(GDR; Gate Driver), 표시패널(100)의 데이터라인(DL)에 연결되는 데이터구동부(DDR; Data Driver), 및 게이트구동부(GDR)와 데이터구동부(DDR)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TC; Timing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drivers TC, GDR, and DDR include a gate driver (GDR)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a data driver connected to the data line DL of the display panel 100. A Data Driver (DDR) and a Timing Controller (TC) controlling driving timings of the gate driver (GDR) and the data driver (DDR).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표시패널(100)의 해상도에 맞게 재정렬하고,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구동부(DDR)에 공급한다. The timing controller TC rearranges the digital video data RGB input from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supplies the rearranged digital video data RGB' to the data driver DDR.

타이밍 컨트롤러(TC)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도트클럭신호(D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등의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구동부(DDR)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DC)와, 게이트구동부(GDR)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DC)를 공급한다.The timing controller TC determines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er DDR based on timing signals such as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the dot clock signal DCLK, and the data enable signal DE. A data control signal (DDC) for controlling and a gate control signal (G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er (GDR) are supplied.

게이트구동부(GDR)는 게이트 제어신호(GDC)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를 위한 하나의 프레임기간 동안 복수의 게이트라인(GL)에 순차적으로 스캔신호(SCAN)를 공급한다. 즉, 게이트구동부(GDR)는 하나의 프레임기간 중 각 게이트라인(GL)에 대응한 각 수평기간 동안 각 게이트라인(GL)에 스캔신호(SCAN)를 공급한다. 여기서, 게이트라인(GL)은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중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서브화소영역(SPA)들에 대응될 수 있다. The gate driver GDR sequentially supplies the scan signal SCAN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 during one frame period for displaying an image based on the gate control signal GDC. That is, the gate driver GDR supplies the scan signal SCAN to each gate line GL during each horizontal period corresponding to each gate line GL during one frame period. Here, the gate line GL may correspond to sub-pixel areas SPA disposed side by s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among a plurality of sub-pixel areas SPA.

데이터구동부(DDR)는 데이터 제어신호(DDC)에 기초하여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한다. 데이터구동부(DDR)는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에 기초하여 각 수평기간 동안 각 게이트라인(GL)에 대응되는 서브화소영역(SPA)들에 각각 대응한 데이터신호(VDATA)를 데이터라인(DL)에 공급한다.The data driver (DDR) converts the rearranged digital video data (RGB') into an analog data voltage based on the data control signal (DDC). The data driver DDR transmits data signals VDATA corresponding to sub-pixel areas SPA corresponding to each gate line GL during each horizontal period based on the rearranged digital video data RGB' to the data line. (DL).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화소영역(SPA)은 발광소자(OLED), 및 발광소자(OLED)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화소구동회로(PDC; Pixel Driving Circuit)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 each sub-pixel area SPA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OLED and a pixel driving circuit (PDC) for supplying a driving signal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일 예로, 화소구동회로(PDC)는 구동 트랜지스터(DT; Driving Transistor), 스위칭 트랜지스터(ST; Switching Transistor)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storage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ixel driving circuit PDC may include a driving transistor (DT), a switching transistor (ST), and a storage capacitor (Cst).

더불어,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서브화소영역(SPA)은 구동 트랜지스터(DT) 및 발광소자(OLED) 중 적어도 하나의 열화를 보상하기 위한 보상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회로는 열화 정도를 감지하거나 또는 기준전원(미도시)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5 , each subpixel area SPA may further include a compensation circuit (not shown) for compensating for deterio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The compensation circuit may include at least one transistor (not shown) for sensing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r supplying a reference power source (not shown).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제 1 구동전원(VDD)을 공급하는 제 1 구동전원라인(VDDL)과 제 1 구동전원(VDD)보다 낮은 전위의 제 2 구동전원(VSS)을 공급하는 제 2 구동전원라인(VSSL) 사이에 발광소자(OLED)와 직렬로 배치된다. The driving transistor DT includes a first driving power line VDDL supplying the first driving power supply VDD and a second driving power supply supplying the second driving power supply VSS having a lower potential than the first driving power supply VDD. It is arranged in series with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between the lines VSSL.

즉,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일단은 제 1 구동전원라인(VDDL)에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다른 일단은 발광소자(OLED)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발광소자(OLED)의 다른 일단은 제 2 구동전원라인(VSSL)에 연결된다.That is, one end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power line VDDL,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And, the other end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power supply line VSSL.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각 서브화소영역(SPA)의 데이터신호(VDATA)를 공급하는 데이터라인(DL)과 제 1 노드(ND1)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노드(ND1)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과 스위칭 트랜지스터(ST) 사이의 접점이다. 그리고, 스위칭 트랜지스터(S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L)에 연결된다. The switching transistor ST is disposed between the data line DL supplying the data signal VDATA of each sub-pixel area SPA and the first node ND1. The first node ND1 is a contact point between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switching transistor ST. Also, the gate electrode of the switching transistor ST is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 1 노드(ND1)와 제 2 노드(ND2)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노드(ND2)는 구동 트랜지스터(DT)와 발광소자(OLED) 사이의 접점이다.The storage capacitor Cs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node ND1 and the second node ND2. The second node ND2 is a contact point between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이러한 화소구동회로(PDC)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of the pixel driving circuit (PDC) will be described below.

스위칭 트랜지스터(ST)는 게이트라인(GL)의 스캔신호(SCAN)에 기초하여 턴온된다. 이때,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VDATA)는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T) 및 제 1 노드(ND1)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공급된다. The switching transistor ST is turned on based on the scan signal SCAN of the gate line GL. At this time, the data signal VDATA of the data line DL is su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storage capacitor Cst through the turned-on switching transistor ST and the first node ND1.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신호(VDATA)로 충전된다.The storage capacitor Cst is charged with the data signal VDATA.

그리고, 구동 트랜지스터(DT)는 데이터신호(VDATA)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충전전압에 기초하여 턴온됨으로써, 데이터신호(VDATA)에 대응한 구동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로써, 턴온된 구동 트랜지스터(DT)에 의한 구동전류가 발광소자(OLED)에 공급될 수 있다.The driving transistor DT is turned on based on the data signal VDATA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thereby generating a driving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data signal VDATA. As a result, the driving current by the turned-on driving transistor DT can be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OL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00)은 지지기판(110), 지지기판(110) 상에 배치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120), 트랜지스터 어레이(120) 상에 배치되는 발광 어레이(130), 및 발광 어레이(130) 상에 배치되는 봉지막(14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support substrate 110, a transistor array 120 disposed on the support substrate 110, a light emitting array 130 disposed on the transistor array 120, and an encapsulation film 140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array 130 .

지지기판(110)은 연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지지기판(110)은 PI(polyimide), PC(polycarbonat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PMP(polymethylpentene), PMMA(polymethylmethacrylate), PNB(polynorborneen), PEN(polyethylenapthanate), PES(polyethersulfone) 및 COS(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pport substrate 110 may be made of a flexible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support substrate 110 may include polyimide (PI),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polymethylpentene (PMP),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norborneen (PNB), polyethylenapthanate (PEN), polyethersulfone (PES), and COS. (cycloolefin copolymer).

트랜지스터 어레이(120)는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각각에 대응한 화소구동회로(도 5의 PDC)를 포함한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화소구동회로(PDC)는 발광소자(OLED)에 연결되는 구동 트랜지스터(DT), 게이트라인(GL)의 스캔신호에 기초하여 턴온-턴오프되고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VDATA)를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으로 전달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T) 및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120)는 각 서브화소영역(SPC)의 화소구동회로(PDC)에 연결되는 신호배선들(GL, DL)을 더 포함한다.The transistor array 120 includes a pixel driving circuit (PDC in FIG. 5 )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 areas SPA. As shown in FIG. 5 , the pixel driving circuit PDC is turned on and off based on the scanning signal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the gate line GL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OLED, and the data line DL A switching transistor ST transmitting the data signal VDATA to a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and a storage capacitor Cst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DT may be included. The transistor array 120 further includes signal wires GL and DL connected to the pixel driving circuit PDC of each sub-pixel area SPC.

트랜지스터 어레이(120)는 지지기판(110) 상에 배치되고 화소구동회로(PDC)를 평평하게 덮는 평탄화막(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istor array 120 may further include a planarization layer 121 disposed on the support substrate 110 and flatly covering the pixel driving circuit PDC.

발광 어레이(130)는 트랜지스터 어레이(120)의 평탄화막(121)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array 130 may be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121 of the transistor array 120 .

발광 어레이(130)는 복수의 서브화소영역(SPA) 각각에 대응한 발광소자(ED; 도 5의 OLED)를 포함한다. The light emitting array 130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ED; OLED in FIG. 5 )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ub-pixel areas SPA.

각 발광소자(ED)는 상호 대향하는 제 1 전극(131)과 제 2 전극(132),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발광구조물(133)을 포함할 수 있다.Each light emitting element ED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131 and a second electrode 132 facing each other, and a light emitting structure 133 disposed between them.

일 예로, 발광 어레이(130)는 평탄화막(121) 상에 배치되고 각 서브화소영역(SPA)에 대응한 제 1 전극(131), 평탄화막(121) 상에 배치되고 각 서브화소영역(SPA)의 외곽에 대응하며 제 1 전극(131)의 가장자리를 덮는 뱅크(134), 제 1 전극(131) 상에 배치되는 발광구조물(133), 및 뱅크(134)와 발광구조물(133)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132)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array 130 is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film 121 and the first electrode 131 corresponding to each sub-pixel area SPA is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film 121 and corresponds to each sub-pixel area SPA. )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bank 134 covering the edge of the first electrode 131,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33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131, and on the bank 134 and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133 It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132 disposed thereon.

밀봉막(140)은 발광 어레이(130) 상에 배치되고 발광 어레이(130)를 밀봉한다. The sealing film 140 is disposed on the light emitting array 130 and seals the light emitting array 130 .

이러한 밀봉막(140)은 서로 다른 절연재료 또는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호막(141, 142, 143)이 순차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aling film 1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41, 142, and 143 having different insulating materials or different thicknesses are sequentially stacked.

일 예로, 복수의 보호막(141, 142, 143)은 제 2 전극(132)을 덮고 무기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제 1 보호막(141), 제 1 보호막(141) 상에 평평하게 배치되고 유기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제 2 보호막(142), 및 제 2 보호막(142) 상에 배치되고 무기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제 3 보호막(143)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protective films 141, 142, and 143 cover the second electrode 132 and are flatly disposed on the first protective film 141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the first protective film 141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a third protective layer 143 disposed o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42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이러한 밀봉막(140)으로 인해, 발광 어레이(130)에 대한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를 지연시킬 수 있고, 이물질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Due to the sealing film 140 , penetration of moisture or oxygen into the light emitting array 130 may be delayed, and the influence of foreign substances may be reduced.

표시패널(100)은 밀봉막(140) 상에 배치되는 터치전극 어레이(150), 터치전극 어레이(150) 상에 배치되는 편광판(160), 및 지지기판(110) 아래에 배치되는 보강기판(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touch electrode array 150 disposed on a sealing film 140, a polarizer 160 disposed on the touch electrode array 150, and a reinforcing substrate disposed under the support substrate 110 ( 170) may be further included.

터치전극 어레이(150)는 터치감지기능(touch sensing)을 위한 것으로, 터치(touch)에 의해 가변되는 요소를 센싱하여 표시영역(AA) 중 터치 동작이 실시된 위치를 검출한다. The touch electrode array 150 is for touch sensing, and detects a position where a touch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display area AA by sensing an element that is changed by a touch.

일 예로, 터치전극 어레이(150)는 상호 교차하는 제 1 및 제 2 터치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터치전극의 교차지점들 중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된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동작이 발생된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ouch electrode array 15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touch electrodes that cross each other. In this case, the location where the touch operation occurred may be detected by detecting the location where the capacitance change occurred among the intersection points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electrodes.

편광판(160)은 표시영역(AA)에서의 외부광 반사를 저감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The polarizer 160 may be provided to reduc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in the display area AA.

보강기판(170)은 표시패널(10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며, 지지기판(110)의 재료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substrate 170 is for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upport substrate 110 .

방열완충기판(200)은 접착층(210)을 통해 보강기판(170)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may be fixed under the reinforcing substrate 170 through the adhesive layer 210 .

한편, 전자기기(10)의 하우징(10b) 중 미들프레임(12)은 표시장치(10a)와 백커버(14) 사이에 배치된다.Meanwhile, the middle frame 12 of the housing 10b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s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device 10a and the back cover 14.

도 7은 도 2의 미들프레임 및 점착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middle frame and an adhesive pattern of FIG. 2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커버기판(11)과 마주하는 미들프레임(12)의 일면은 평평한 형태의 평면지지부(12a)와 평면지지부(12a)의 장축 모서리(Y축 모서리) 각각에 배치되고 구부러진 형태의 곡면지지부(12b)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one surface of the middle frame 12 facing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1 is disposed on the flat support 12a and the long axis edge (Y axis edge) of the flat support 12a, respectively. and includes a curved support portion 12b.

미들프레임(12)은 백커버(14)와 마주하는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홈부(1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홈부(12c)는 평면지지부(12a)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The middle frame 12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12c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back cover 14 . The groove portion 12c may correspon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t support portion 12a.

미들프레임(12)이 홈부(12c)를 구비하는 경우, 회로부품(15)의 수납이 용이해지고, 전자기기의 슬림화에 유리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middle frame 12 includes the groove portion 12c, the circuit component 15 can be accommodated easily and has advantages in slimming the electronic device.

점착패턴(13)은 미들프레임(12)을 표시장치(10a) 아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adhesive pattern 13 is for fixing the middle frame 12 below the display device 10a.

점착패턴(13)은 미들프레임(12)의 일면 중 곡면지지부(12b) 내에 배치된다. The adhesive pattern 13 is disposed within the curved surface support 12b of one surface of the middle frame 12 .

즉, 미들프레임(12)의 평면지지부(12a)에는 점착패턴(13)이 배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면, 미들프레임(12)의 다른 일면에 배치되는 회로부품(15)으로 인한 충격이 점착패턴(13)에 의해 가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the adhesive pattern 13 is not disposed on the flat support portion 12a of the middle frame 12 . In this way, the impact caused by the circuit component 15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iddle frame 1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ggravated by the adhesive pattern 13 .

다음,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열완충기판(20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방열완충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of FIG. 3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EM1)에 따른 방열완충기판(200)은 미들프레임(12)과 마주하고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200a)과, 방열완충기판(200)과 미들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된 점착패턴(13)과 마주하고 제 1 두께(TH1)보다 작은 제 2 두께(TH2)로 이루어지는 제 2 영역(200b)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M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region 200a facing the middle frame 12 and having a first thickness TH1 and and a second region 200b facing the adhesive pattern 13 dispos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and the middle frame 12 and having a second thickness TH2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TH1. .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2 영역(200b)에는 점착패턴(13)이 배치된다. 그러므로, 점착패턴(13)의 용이한 배치를 위해, 제 2 영역(200b)의 너비(200bW)는 점착패턴(13)의 너비(13W) 이상일 수 있다. An adhesive pattern 13 is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200b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 Therefore, for easy arrangement of the adhesive pattern 13, the width (200bW) of the second region 200b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13W) of the adhesive pattern 13.

일 예로, 제 2 영역(200b)의 너비(200bW)는 점착패턴(13)의 너비(13W)와 공정오차를 합한 값으로 도출될 수 있다. 여기서, 공정오차는 0.2㎜ 이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width 200bW of the second region 200b may be derived as a sum of the width 13W of the adhesive pattern 13 and a process error. Here, the process error may be 0.2 mm or more.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로부품(15)은 비교적 큰 무게를 가지며 미들프레임(12)의 다른 일면 중 평면지지부(12a)에 대응하는 일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미들프레임(12)과 방열완충기판(20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GAP)이 배치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비교적 무거운 회로부품(15)이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흔들리는 경우, 회로부품(15)의 무게로 가중된 물리적 충격이 표시패널(100)에 인가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circuit component 15 has a relatively large weight and is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other surface of the middle frame 12 corresponding to the flat support portion 12a. Also, a predetermined gap (GAP)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iddle frame 12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 Therefore, when the relatively heavy circuit component 15 is shaken due to an external physical shock, a physical shock weighted by the weight of the circuit component 15 may be applied to the display panel 100 .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완충기판(200) 중 미들프레임(12)의 평면지지부(12a)에 마주하는 제 1 영역(200a)은 충분한 물리적 충격 완화가 가능할 정도의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진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gion 200a facing the flat support 12a of the middle frame 12 among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is sufficient to relieve physical shock. It is made of a first thickness (TH1) of.

즉, 방열완충기판(200)을 이루는 다공성 금속재료(200')의 충격 흡수력은 공극의 부피에 대응하므로, 방열완충기판(200)은 두께에 대응되는 충격흡수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회로부품(15) 등으로 인해 표시패널(100)의 평면표시영역(FDA)에 인가되는 물리적 충격의 크기를 고려하여,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1 두께(TH1)의 최소값이 도출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hock absorbing power of the porous metal material 200 ′ constituting the heat radi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corresponds to the volume of the air gap, the heat radi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can provide shock absorbing power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herefore, the minimum value of the first thickness TH1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is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magnitude of physical impact applied to the flat display area FDA of the display panel 100 due to the circuit component 15 and the like. It can be.

더불어,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1 두께(TH1)가 커질수록 전자기기(10)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므로, 전자기기(10)의 슬림화를 고려하여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1 두께(TH1)의 최대값이 도출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electronic device 10 increases as the first thickness TH1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increases, the first thickness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is reduced in consideration of slimm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 The maximum value of (TH1) can be derived.

일 예로, 제 1 두께(TH1)는 70㎛~200㎛의 범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hickness TH1 may be in the range of 70 μm to 200 μm.

더불어, 점착패턴(13)은 미들프레임(12)의 곡면지지부(12b)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점착패턴(13)에 마주하는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2 영역(TH2)은 표시영역(AA)의 벤딩표시영역(BDA)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된다. In addition, the adhesive pattern 13 is disposed on the curved support portion 12b of the middle frame 12 . Accordingly, the second area TH2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facing the adhesive pattern 13 corresponds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bending display area BDA of the display area AA.

일 예로, 점착패턴(13)의 두께(13T)는 30㎛~300㎛의 범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ckness 13T of the adhesive pattern 13 may be in the range of 30 μm to 300 μm.

점착패턴(13)이 미들프레임(12)과 방열완충기판(20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점착패턴(13)의 두께(13T)는 미들프레임(12)과 방열완충기판(200) 사이의 간격(GAP)에 대응된다. 그러므로, 점착패턴(13)의 두께(13T)는 전자기기(10)의 전체 두께에 영향을 미친다.As the adhesive pattern 13 is disposed between the middle frame 12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the thickness 13T of the adhesive pattern 13 is the distance between the middle frame 12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GAP). Therefore, the thickness 13T of the adhesive pattern 13 affects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electronic device 10 .

그런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EM1)에 따르면, 방열완충기판(200) 중 점착패턴(13)에 마주하는 제 2 영역(TH2)이 제 1 두께(TH1)보다 작은 제 2 두께(TH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미들프레임(12)과 방열완충기판(200) 사이의 간격(GAP)이 점착패턴(13)의 두께(13T)보다 작아질 수 있으므로, 점착패턴(13)의 두께(13T)가 전자기기(10)의 전체 두께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M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rea TH2 facing the adhesive pattern 13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has a second thickness TH2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TH1. ) is made up of Accordingly, since the gap (GAP) between the middle frame 12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13T of the adhesive pattern 13, the thickness 13T of the adhesive pattern 13 may be The effect on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evice 10 can be reduced.

표시패널(100)의 평면표시영역(FDA)과 달리, 표시패널(100)의 벤딩표시영역(BDA)은 회로부품(15)의 흔들림으로 인한 충격의 영향이 비교적 작다. 그러므로,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2 두께(TH2)가 제 1 두께(TH1)보다 작아지더라도, 표시패널(100)은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 Unlike the flat display area FDA of the display panel 100 , the bending display area BDA of the display panel 100 is relatively less affected by shock caused by shaking of the circuit component 15 . Therefore, even if the second thickness TH2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i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TH1,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sufficiently protected.

일 예로,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2 두께(TH2)는 50㎛ 이상 및 제 1 두께(TH1) 미만의 범위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thickness TH2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may be in a range of 50 μm or more and less than the first thickness TH1.

더불어, 물리적 충격에 의해 미들프레임(12)이 흔들리는 폭이 방열완충기판(200)과 미들프레임(12) 간의 간격(GAP)보다 작다면, 방열완충기판(200)과 미들프레임(12) 간의 간격(GAP)은 물리적 충격을 완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width at which the middle frame 12 is shaken by the physical impact is smaller than the gap (GAP)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and the middle frame 12, the gap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and the middle frame 12 (GAP) can be a factor in mitigating physical impact.

그러므로, 미들프레임(12)의 강성 등을 고려하여, 방열완충기판(200)과 미들프레임(12) 간의 간격(GAP)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 1 두께(TH1)와 제 2 두께(TH2) 간의 차이(THD)는 점착패턴(13)의 두께(13T) 대비 50% 이상 및 100% 미만일 수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gap (GAP)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and the middle frame 12 in consideration of the stiffness of the middle frame 12 . To this end, the difference THD between the first thickness TH1 and the second thickness TH2 may be 50% or more and less than 100% of the thickness 13T of the adhesive pattern 13 .

또는, 미들프레임(12)의 강성이 물리적 충격을 가중시키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경우, 제 1 두께(TH1)와 제 2 두께(TH2) 간의 차이(THD)는 점착패턴(13)의 두께(13T)와 동일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rigidity of the middle frame 12 is sufficient not to increase the physical impact, the difference THD between the first thickness TH1 and the second thickness TH2 is equal to the thickness 13T of the adhesive pattern 13 can be the sam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완충기판(200) 중 점착패턴(13)에 대응되는 제 2 영역(200a)은 미들프레임(12)의 평면지지부(12a)에 마주하는 제 1 영역(200a)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방열완충기판(200)과 미들프레임(12) 간의 간격(GAP)이 점착패턴(13)의 두께(13T)보다 작아질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10)의 슬림화가 더욱 유리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gion 200a corresponding to the adhesive pattern 13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faces the flat support 12a of the middle frame 12. It is made of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first region 200a. Accordingly, since the gap (GAP)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and the middle frame 12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13T of the adhesive pattern 13, slimm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be further advantageous.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2 영역(200b)이 제거되지 않고, 제 1 두께(TH1)보다 작은 제 2 두께(TH2)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전자기기(10)의 슬림화에 유리하면서도, 표시패널(100)의 벤딩표시영역(BDA)에 대한 물리적 충격 완화 및 방열이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열완충기판(200)의 유무가 시인되는 것에 따른 표시품질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gion 200b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is not removed and is maintained at a second thickness TH2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TH1.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for the slimming of the electronic device 10, physical shock mitigation and heat dissipation for the bending display area BDA of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perform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can be recognized. This can prevent display quality deterioration.

한편, 도 8에 도시된 제 1 실시예(EM1)에 따르면, 방열완충기판(200)의 제 2 영역(200b)은 방열완충기판(200)의 가장자리 중 미들프레임(12)의 곡면지지부(12b)에 대응한 양측 모서리에 배치된다. 즉, 제 1 실시예(EM1)에 따른 방열완충기판(200)은 장측 모서리 각각에 인접한 일부로 이루어진 제 2 영역(200b)과, 나머지 일부로 이루어진 제 1 영역(200a)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M1) shown in FIG. 8, the second area 200b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is the curved support portion 12b of the middle frame 12 among the edges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 are placed on both edges corresponding to That is,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M1) includes a second region 200b formed of a part adjacent to each long side corner and a first region 200a formed of the remaining part.

이 경우, 방열완충기판(200)과 점착패턴(13) 간의 정렬에서의 공정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감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a process error occurs in alignment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and the adhesive pattern 13, it may be difficult to easily detect it.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제공한다.To solve this problem,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방열완충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of FIG. 3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EM2)는 방열완충기판(200)이 제 3 영역(200c)을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도 8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9, the second embodiment EM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f FIG. 8 except that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further includes a third region 200c.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EM2)에 따른 방열완충기판(200)은 방열완충기판(200)의 가장자리 중 미들프레임(12)의 곡면지지부(12b)에 대응한 양측 모서리에 배치되고 제 1 두께(TH1)로 이루어진 제 3 영역(200c)을 더 포함한다. 즉, 제 2 영역(200b)은 제 1 영역(200a)과 제 3 영역(200c) 사이에 배치된다.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EM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both edges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pport parts 12b of the middle frame 12 among the edges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200 and has a first thickness A third region 200c made up of (TH1) is further included. That is, the second region 200b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gion 200a and the third region 200c.

이와 같이 하면, 점착패턴(13)이 제 2 영역(200b) 내에 위치되는지 여부를 통해, 방열완충기판(200)과 점착패턴(13) 간의 정렬에서의 공정오차가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다.In this way, a process error in alignment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200 and the adhesive pattern 13 can be easily detected through whether or not the adhesive pattern 13 is positioned within the second region 200b.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ntionally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 전자기기 AA: 표시영역
10a: 표시장치 10b: 하우징
100: 표시패널 200: 방열완충기판
11: 투명커버기판 12: 미들프레임
13: 점착패턴 14: 백커버
FDA: 평면표시영역 BDA: 벤딩표시영역
15: 회로부품
200': 다공성 금속재료 202: 공극
10: electronic device AA: display area
10a: display device 10b: housing
100: display panel 200: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11: transparent cover substrate 12: middle frame
13: adhesive pattern 14: back cover
FDA: flat display area BDA: bending display area
15: circuit component
200 ': porous metal material 202: voids

Claims (15)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표시영역을 포함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금속재료와 상기 금속재료 내에 분포된 공극을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완충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완충기판은
상기 방열완충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미들프레임과 마주하고 제 1 두께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 및
상기 미들프레임과 상기 방열완충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패턴에 마주하고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로 이루어진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area for outputting light for image display;
a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and made of a porous metal material including a metal material and pores distributed in the metal material;
The heat dissipation buffer board
a first region facing the middle frame disposed under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and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and a second region facing the adhesive pattern disposed between the middle frame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and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금속재료는 구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재료의 전체 부피에 대해 상기 금속재료 내에 공극이 분포된 비율은 50%~76%인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rous metal material is made of copper,
A display device in which a distribution ratio of voids in the metal material to the total volume of the metal material is 50% to 7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두께는 50㎛ 이상 및 상기 제 1 두께 미만의 범위인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thickness is in a range of 50 μm or more and less than the first thicknes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두께와 상기 제 2 두께 간의 차이는 상기 점착패턴의 두께의 50% 이상인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50% or more o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patter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두께는 70㎛ ~ 200㎛의 범위인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thickness is in the range of 70 μm to 200 μ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광을 투과하는 투명커버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커버기판은
평평한 형태의 평면커버부; 및
상기 평면커버부의 양측 각각에 배치되는 휘어진 형태의 곡면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커버기판에 대향하는 상기 미들프레임의 일면은
상기 평면커버부에 대응하는 평면지지부; 및
상기 곡면커버부에 대응하고 상기 평면지지부의 양측 각각에 배치되는 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transparent cover substrat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transmitting light of the display panel;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A flat cover portion of a flat shape; and
Including a curved cover portion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flat cover portion,
One side of the middle frame facing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is
a flat suppor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lat cover portion;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urved suppor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cover portion an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lat support por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평면커버부와 상기 평면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평면표시영역과,
상기 곡면커버부와 상기 곡면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벤딩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is
a flat display area disposed between the flat cover part and the flat support part;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ending display area disposed between the curved surface cover part and the curved surface support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패턴은 상기 곡면지지부와 상기 방열완충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adhesive pattern is disposed between the curved support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완충기판의 상기 제 2 영역의 너비는 상기 점착패턴의 너비 이상인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width of the second region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width of the adhesive patter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방열완충기판의 가장자리 중 상기 미들프레임의 상기 곡면지지부에 대응한 양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second region is disposed at both edges of the middle fram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pport part among edges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완충기판은
상기 방열완충기판의 가장자리 중 상기 미들프레임의 상기 곡면지지부에 대응한 양측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두께로 이루어진 제 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heat dissipation buffer board
A third region disposed at both edges of the middle fram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pport portion among the edges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ing substrate and having the first thickness;
The second area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영상 표시를 위한 광을 출력하는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아래에 배치되고 금속재료와 상기 금속재료 내에 분포된 공극을 포함하는 다공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방열완충기판;
상기 방열완충기판 아래에 배치되는 미들프레임;
상기 표시패널 위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의 광을 투과하는 투명커버기판; 및
상기 미들프레임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커버기판과 체결되는 백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완충기판은, 상기 미들프레임과 마주하며 제1 두께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 및 상기 미들프레임과 상기 방열완충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패턴에 마주하고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로 이루어진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패널, 상기 방열완충기판 및 상기 미들프레임은 상기 투명커버기판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수납되는 전자기기.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 area outputting light for displaying an image;
a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and made of a porous metal material including a metal material and pores distributed in the metal material;
a middle frame disposed under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a transparent cover substrat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transmitting light of the display panel; and
A back cover disposed below the middle frame and coupled to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may include a first region facing the middle frame and having a first thickness; and a second region facing the adhesive pattern disposed between the middle frame and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and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The display panel,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and the middle frame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transparent cover substrate and the back cov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완충기판의 상기 제 2 영역의 너비는 상기 점착패턴의 너비 이상인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2,
A width of the second region of the heat-absorbing subst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width of the adhesive patter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방열완충기판의 가장자리 중 상기 미들프레임의 양측 모서리에 배치되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2,
The second region is disposed at both corners of the middle frame among edges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완충기판은
상기 방열완충기판의 가장자리 중 상기 미들프레임의 양측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두께로 이루어진 제 3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3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기기.
According to claim 12,
The heat dissipation buffer board
A third region disposed at both edges of the middle frame among edges of the heat dissipation buffer substrate and having the first thickness;
The second area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KR1020200181563A 2020-12-23 2020-12-23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KR1025097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63A KR102509707B1 (en) 2020-12-23 2020-12-23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63A KR102509707B1 (en) 2020-12-23 2020-12-23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740A KR20220090740A (en) 2022-06-30
KR102509707B1 true KR102509707B1 (en) 2023-03-14

Family

ID=8221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563A KR102509707B1 (en) 2020-12-23 2020-12-23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70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557B1 (en) * 2013-07-26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t-transfer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2636883B1 (en) * 2018-08-17 2024-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00129646A (en) * 2019-05-09 2020-1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Having Heat Radiation Seat And Bending Fix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740A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86846B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455049B2 (en) Display device with compensating film
US10230062B2 (en) Display device
KR102009670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037694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CN107886848B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686883B2 (en) Display device having bendable area
CN108255357B (en) Touch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40122595A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2595102B1 (en) Display device
US20170202094A1 (en) Display device
US20240032325A1 (en) Display device
US20230345807A1 (en) Display apparatus
KR20180058283A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70038338A (en) Display device
KR102509707B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KR102548403B1 (en) Display apparatus and electrical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KR20230101074A (en) Display apparatus
KR102423664B1 (en) Display modu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electrical appliance
KR102651805B1 (en) Display apparatus
US20230319172A1 (en) Display device
US20220201904A1 (en) Heat dissipation lay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965179A1 (en) Display device
KR20180078413A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14695437A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