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394B1 - Korean learning materials - Google Patents

Korean learning materia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394B1
KR102503394B1 KR1020220089407A KR20220089407A KR102503394B1 KR 102503394 B1 KR102503394 B1 KR 102503394B1 KR 1020220089407 A KR1020220089407 A KR 1020220089407A KR 20220089407 A KR20220089407 A KR 20220089407A KR 102503394 B1 KR102503394 B1 KR 10250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s
vowel
volume
writing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4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언령
Original Assignee
베베구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베구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베구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9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3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3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learning material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chnical field of Hangul learning material which enables a user to first learn vowels or consonants which can serve as standards and use the vowels or consonants as the standards without arranging the vowels and consonants in a matrix according to conventional order and repeatedly writing or reading and memorizing the letters, learn vowels or consonants derived from the vowels or consonants which can be used as the standards, and understand and learn the principles by which letters without consonants or letters with consonants are generated,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easily understand and learn the Hangul system, that is, the principles by which Hangul is generated.

Description

한글학습교재{Korean learning materials}Korean learning materials}

본 발명은 한글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음과 자음을 기존에 통상적인 순서에 따라 행렬로 배열하고 글자들을 그대로 반복하여 쓰거나 읽고 암기하도록 하는 것을 벗어나, 기준이 되는 모음 또는 자음을 먼저 학습하고 상기 기준이 되는 모음 또는 자음으로부터 파생되는 모음 또는 자음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 또는 받침이 있는 글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이해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의 체계 즉, 한글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쉽게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angeul learning textbooks, and more specifically, vowels and consonants that are standard vowels or consonants beyond arranging vowels and consonants in a matrix according to a conventional order and repeatedly writing, reading, and memorizing letters as they are. By first learning and learning vowels or consonants derived from the standard vowels or consonants, and learning the principle of making unsupported characters or supported characters, the system of Hangeul, that is, , It is about Hangeul learning materials that make it easy to understand and learn the principles by which Hangeul is made.

한글은 우리나라 고유 문자의 이름으로 세종대왕이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하여 창제한 훈민정음을 20세기 이후 달리 이르는 것으로, 1446년 반포될 당시에는 28자모 였지만, 현재는 자음 14개와 모음 10개를 쓰고 있다.Hangeul is the name of Korea's unique characters, which is a different way of Hunminjeongeum, which was created by King Sejong to write the Korean language, after the 20th century.

우리들은 우리의 고유 언어인 한글을 통하여 자신의 의사와 감정을 전달하고 서로 소통하고, 우리들의 생활에 절대적인 요소인 한글을 통상적으로 유아시절부터 학습을 통하여 알게 된다.We convey our intentions and emotion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Hangeul, our native language, and learn Hangeul, which is an absolute element in our lives, through learning from childhood.

일반적으로, 한글학습교재는 자음과 모음을 분석적으로 편성하는 방법과 낱말 또는 문장으로 편성하는 방법으로 대별되고 있으나, 현재의 대체적인 추세는 후자를 선호하고 있다. 이는 유아기나 아동기는 분석적 사고보다는 직감적 사고가 발달하는 시기라는 근거에 있다.In general, Hangeul learning textbooks are roughly divided into methods of organizing consonants and vowels analytically and methods of organizing into words or sentences, but the current general trend favors the latter. This is based on the rationale that infancy and childhood are a period in which intuitive thinking rather than analytical thinking develops.

낱말로 학습하는 교재의 경우는 그림과 이에 대응하는 한글이름을 나란히 표시하거나 카드의 전면과 이면에 표시하여 그림과 한글을 동일시하여 익히도록 편성하고 있다. 그러나 유아나 아동은 문자를 사물로 인식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가 있어, 낱말 위주의 한글학습방법에 오류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In the case of textbooks that learn with words, the picture and the corresponding Korean name are displayed side by side or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card, so that the picture and Hangeul are identified and learned. However, as research results have been published that infants and children recognize letters as objects,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word-oriented Hangeul learning method.

한글학습의 다른 방법으로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한글을 익히는 방법이 오래전부터 제시되어 있다. 이는 ㄱ, ㄴ, ㄷ, ㄹ, ㅁ, ... 과 ㅏ, ㅑ, ㅓ, ㅕ, ㅗ, ... 순서이고 받침없는 한글의 14음절을 "가, 나, 다, 라, 마, ... " 또는 "가, 갸, 거, 겨, 고, ... " 등의 글자를 행렬로 배열하고 글자들을 그대로 반복하여 쓰거나 읽게 함으로써, 한글 글자들을 모두 암기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성요소의 이해없이 글자 자체를 외우는 것은 그 과정이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의미없는 글자들을 그대로 외우는 것에 불과하여 학습의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As another method of learning Hangeul, a method of learning Hangeul by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has been suggested for a long time. This is a, b, c, d, m, ... and a, ㅑ, sh, ㅕ, ㅗ, ... in order, and the 14 syllables of Hangul without endings are "ga, me, da, la, ma, .. ." or "Ga, Gya, Geo, Gyeol, Go, ...", etc. are arranged in a matrix and the letters are repeatedly written or read as they are to memorize all Hangul letters, without understanding their components. It is recognized that memorizing the letters themselves is not only a very difficult process, but also memorizing meaningless letters as they are, so the learning effect is not very great.

또한, 상술한 어떠한 한글학습방법도 유아들이 즐겁고 재미있게 한글을 배우기 보다는 주로 반복, 암기, 주입식의 학습으로 인하여 학습효과가 높지 않고, 한글학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아들이 한글의 체계를 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한글을 학습하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any of the above-described Hangeul learning methods have disadvantages in that the learning effect is not high due to repetition, memorization, and injection learning, rather than children learning Hangeul happily and funly,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learn Hangeul.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learning Hangeul so that young children can easily understand and learn the system of Hangeul.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3240호(2020.10.28.)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73240 (2020.10.2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기준이 되는 모음 또는 자음 또는 받침이 없는 글자 또는 받침이 있는 글자를 먼저학습하도록 한 후 상기 기준이 되는 모음 또는 자음 또는 받침이 없는 글자 또는 받침이 있는 글자로부터 파생되는 모음 또는 자음 또는 받침이 없는 글자 또는 받침이 있는 글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한글의 체계를 쉽게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학습교재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first learns a standard vowel or consonant or a letter without a base or a letter with a base, and then the standard vowel or consonant or without a base It is provided through Hangeul learning materials that make it easy to understand and learn the system of Hangeul by enabling students to learn vowels or consonants derived from letters or letters with support, or letters without support or characters with supp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모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제1권(10);과 자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제2권(20);과 받침이 없도록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히는 제3권(30); 및 받침이 있는 글자를 쓰고, 읽으며 익히는 제4권(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권(10)은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의 순서로된 모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권(20)은 자음 "ㅇ, ㄱ, ㅋ, ㄴ, ㄷ, ㅌ, ㄹ, ㅁ, ㅂ, ㅍ, ㅅ, ㅈ, ㅊ, ㅎ, ㄲ, ㄸ, ㅃ, ㅆ, ㅉ"의 순서로된 자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권(30)은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의 순서로된 받침이 없는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4권(40)은 "ㅇ받침, ㄱ(ㅋ)받침, ㄴ받침, ㄹ받침, ㅁ받침, ㅂ(ㅍ)받침, ㅅ(ㅈ, ㅊ)받침, ㄷ(ㅌ)과 ㅎ받침"의 순서로된 받침이 있는 글자를 쓰고, 읽으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를 제시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volume (10) to learn by listening, finding, and writing vowels; and a second volume (20) to learn by listening, finding, and writing consonants; and so that there is no support Book 3 (30) to read, write, search and learn letters that combine consonants and vowels; And the fourth volume (40) to write, read and learn letters with supporting characters; . Listen to and find the consonants in the order of "ㅇ, ㄱ, ㅋ, b, c, t, d, ㅁ, ㄴ, π, ㅅ, ㄴ, ㄴ, ㅎ, ㄲ, ㄸ, ㅃ, ㅆ, ㅆ" , It is characterized by learning by writing, and the third volume (30) is "ㅇ + vowel, a + vowel, ㅋ + vowel, b + vowel, c + vowel, t + vowel, d + vowel, ㅁ + vowel, It is characterized by reading, writing, finding and learning unsupported letters in the order of "b + vowel, phi + vowel, ㅅ + vowel, ㅅ + vowel, ch + vowel, ㅎ + vowel", and the fourth volume (40 ) has supports in the order of "ㅇ support, ㄱ(ㅋ) support, ㄴ support, ㄴ support, ㅁ support, β(π) support, ㅅ(ㅅ, ㅋ) support, ㄴ(ℓ) and ㅎ support" We present Hangeul learning textbooks that are characterized by writing, reading and learning letter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권(10)은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를 듣고, 찾고, 써본 후, 자음 "ㅇ"과 상기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이 결합된 낱말을 듣고 써보는 제1듣고낱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듣고낱말완성단계부 이후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를 듣고, 찾고, 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listens to, searches for, and writes the vowels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and the consonant "ㅇ" and the vowel A first listening word completion step unit for listening to and writing words in which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are combined; and the first listening and word completion step It is characterized by listening, finding, and writing the vowel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after par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권(10)은 상기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를 듣고, 찾고, 써본 후, 사람글자 "ㅣ"와 하늘글자 "ㆍ" 및 땅글자 "ㅡ"로부터 모음이 파생되는 것을 도식화한 사람하늘땅글자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istening to, searching for, and writing the vowel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the human character "ㅣ"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uman sky and earth character table that schematizes the derivation of vowels from " and the sky character "ㆍ" and the ground character "ㅡ".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권(30)은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의 순서로된 받침이 없는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인 후,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으로 이루어진 받침이 없는 글자를 듣고 써보는 제2듣고낱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ㅇ + vowel, ㄱ + vowel, ㅋ + vowel, ㄴ + vowel, C + vowel, TT + vowel, ㄹ + vowel, ㅁ + vowel, ㄴ + vowel, After reading, writing, and finding unsupported letters in the order of "P + vowel, ㅅ + vowel, ㄴ + vowel, CB + vowel, ㅋ + vowel, "ㅇ + vowel, ㄱ + vowel, ㅋ + vowel B+vowels, dra+vowels, t+vowels, d+vowels, e+vowels, b+vowels, p+vowels, ㅅ+vowels, ㅅ+vowels, ch+vowels, heh+vowels without back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listening and word completion step of listening to and writing.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 제4권(40)은 모음 또는 자음 또는 받침이 없는 글자 또는 받침이 있는 글자를 익힌 후, 각각 모눈칸으로 구성되어 스스로 써볼수 있도록 하는 스스로써보는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irst volume (10), the second volume (20), the third volume (30), and the fourth volu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earning vowels or consonants or letters without support or letters with sup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each composed of grid cells so that they can write themselve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 제4권(40)은 각각의 상기 스스로써보는단계부까지 학습이 진행되면, 각각의 학습에 대한 수료의 의미로 상장을 수여할 수 있도록 각각 한글모음상장, 한글자음상장, 한글자음모음상장, 한글받침상장의 양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volume (10), the second volume (20), the third volume (30), and the fourth volu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earning progresses to the self-trying step, eac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orms of Hangeul Vowel Award, Hangul Consonant Award, Hangul Consonant Vowel Award, and Hangul Support Award, respectively, so that the award can be awarded in the sense of completion of learning.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한글학습교재는 모음의 경우 기준이 되는 모음인 사람글자 "ㅣ" 또는 땅글자 "ㅡ"를 먼저 학습하고, 상기 사람글자 "ㅣ"와 하늘글자 "ㆍ"가 결합되어 파생되는 글자 또는 땅글자 "ㅡ"와 하늘글자 "ㆍ"가 결합되어 파생되는 글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음의 체계를 쉽게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Hangeul learning text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as above, in the case of vowels, the human character "ㅣ" or the ground character "ㅡ", which is a standard vowel, is first learned, and the human character "ㅣ" and the sky character "ㆍ" are combined. By making it possible to learn the derived letters or the letters deriv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ground character "ㅡ" and the sky character "ㆍ", the effect of easily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vowel system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자음의 경우 가장 기본이 되고 쉬운 "ㅇ"을 먼저 학습하도록 하고, "ㄱ"과 같이 "ㅋ"이 파생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글자를 먼저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후 파생된 글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파생이 불가능한 "ㄹ"과 같은 자음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자음의 체계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sonants, the present invention first learns the most basic and easy "ㅇ", and first learns the standard letter from which "ㅋ" can be derived, such as "ㄱ", and then the derived character By making it possible to learn and learning consonants such as "ㄹ", which is impossible to deriv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system of consonants more easi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음의 학습 순서를 따르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받침이 없는 글자를 학습하도록 하여 보다 쉽게 받침이 없는 글자가 만들어지는 체계 즉,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와, 상기 자음의 학습 순서를 최대한 따르되, 빈번하게 받침으로 사용되는 자음 받침을 이용한 글자 위주로 받침이 있는 글자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이 있는 글자가 만들어지는 체계 즉,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llows the learning sequence of the consonants, but learns letters without a backing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making it easier to understand and learn the system, that is, the principle, in which a letter without a backing is made , Follow the learning sequence of the consonants as much as possible, but learn letters with supports mainly using consonant supports that are frequently used as supports, and understand and learn the system in which characters with supports are made, that is, the principle effect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학습교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제1권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제2권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제3권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제4권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음모양인지단계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음차이점확인단계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람하늘땅글자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음차이점확인단계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쓰기단계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3쓰기단계부를 나타낸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angeul learning textboo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irst volu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econd volu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third volu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ourth volu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owel shape recognition ste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owel difference confirmation ste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human sky and earth character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sonant difference confirmation ste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writing step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hird writing step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한글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음과 자음을 기존에 통상적인 순서에 따라 행렬로 배열하고 글자들을 그대로 반복하여 쓰거나 읽고 암기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기준이 되는 모음 또는 자음을 먼저 학습하고 상기 기준이 되는 모음 또는 자음으로부터 파생되는 모음 또는 자음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이 없는 글자 또는 받침이 있는 글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이해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의 체계 즉, 한글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쉽게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angeul learning textbooks, and more specifically, vowels and consonants that are standard vowels or consonants, rather than arranging vowels and consonants in a matrix according to a conventional order and repeatedly writing, reading, and memorizing letters as they are. By first learning and learning vowels or consonants derived from the standard vowels or consonants, and learning the principle of making unsupported characters or supported characters, the system of Hangeul, that is, , It is about Hangeul learning materials that make it easy to understand and learn the principles by which Hangeul is ma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모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제1권(10);과 자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제2권(20);과 받침이 없도록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히는 제3권(30); 및 받침이 있는 글자를 쓰고, 읽으며 익히는 제4권(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권(10)은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의 순서로된 모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권(20)은 자음 "ㅇ, ㄱ, ㅋ, ㄴ, ㄷ, ㅌ, ㄹ, ㅁ, ㅂ, ㅍ, ㅅ, ㅈ, ㅊ, ㅎ, ㄲ, ㄸ, ㅃ, ㅆ, ㅉ"의 순서로된 자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권(30)은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의 순서로된 받침이 없는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4권(40)은 "ㅇ받침, ㄱ(ㅋ)받침, ㄴ받침, ㄹ받침, ㅁ받침, ㅂ(ㅍ)받침, ㅅ(ㅈ, ㅊ)받침, ㄷ(ㅌ)과 ㅎ받침"의 순서로된 받침이 있는 글자를 쓰고, 읽으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he first volume (10) to learn by listening to, finding, and writing vowels; and the second volume (20) to learn by listening to, finding, and writing consonants; and consonants and Book 3 (30) to read, write, find, and learn vowel-combined letters; And the fourth volume (40) to write, read and learn letters with supporting characters; . Listen to and find the consonants in the order of "ㅇ, ㄱ, ㅋ, b, c, t, d, ㅁ, ㄴ, π, ㅅ, ㄴ, ㄴ, ㅎ, ㄲ, ㄸ, ㅃ, ㅆ, ㅆ" , It is characterized by learning by writing, and the third volume (30) is "ㅇ + vowel, a + vowel, ㅋ + vowel, b + vowel, c + vowel, t + vowel, d + vowel, ㅁ + vowel, It is characterized by reading, writing, finding and learning unsupported letters in the order of "b + vowel, phi + vowel, ㅅ + vowel, ㅅ + vowel, ch + vowel, ㅎ + vowel", and the fourth volume (40 ) has supports in the order of "ㅇ support, ㄱ(ㅋ) support, ㄴ support, ㄴ support, ㅁ support, β(π) support, ㅅ(ㅅ, ㅋ) support, ㄴ(ℓ) and ㅎ support" It is characterized by writing, reading and learning letter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권(10)은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를 듣고, 찾고, 써본 후, 자음 "ㅇ"과 상기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이 결합된 낱말을 듣고 써보는 제1듣고낱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듣고낱말완성단계부 이후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를 듣고, 찾고, 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listens to, searches for, and writes the vowels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and the consonant "ㅇ" and the vowel A first listening word completion step unit for listening to and writing words in which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are combined; and the first listening and word completion step It is characterized by listening, finding, and writing the vowel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after part.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권(10)은 상기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를 듣고, 찾고, 써본 후, 사람글자 "ㅣ"와 하늘글자 "ㆍ" 및 땅글자 "ㅡ"로부터 모음이 파생되는 것을 도식화한 사람하늘땅글자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istening to, searching for, and writing the vowel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the human character "ㅣ"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uman sky and earth character table that schematizes the derivation of vowels from " and the sky character "ㆍ" and the ground character "ㅡ".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권(30)은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의 순서로된 받침이 없는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인 후,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으로 이루어진 받침이 없는 글자를 듣고 써보는 제2듣고낱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ㅇ + vowel, ㄱ + vowel, ㅋ + vowel, ㄴ + vowel, C + vowel, TT + vowel, ㄹ + vowel, ㅁ + vowel, ㄴ + vowel, After reading, writing, and finding unsupported letters in the order of "P + vowel, ㅅ + vowel, ㄴ + vowel, CB + vowel, ㅋ + vowel, "ㅇ + vowel, ㄱ + vowel, ㅋ + vowel B+vowels, dra+vowels, t+vowels, d+vowels, e+vowels, b+vowels, p+vowels, ㅅ+vowels, ㅅ+vowels, ch+vowels, heh+vowels without back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listening and word completion step of listening to and writing.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 제4권(40)은 모음 또는 자음 또는 받침이 없는 글자 또는 받침이 있는 글자를 익힌 후, 각각 모눈칸으로 구성되어 스스로 써볼수 있도록 하는 스스로써보는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irst volume (10), the second volume (20), the third volume (30), and the fourth volu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earning vowels or consonants or letters without support or letters with sup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each composed of grid cells so that they can write themselve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 제4권(40)은 각각의 상기 스스로써보는단계부까지 학습이 진행되면, 각각의 학습에 대한 수료의 의미로 상장을 수여할 수 있도록 각각 한글모음상장, 한글자음상장, 한글자음모음상장, 한글받침상장의 양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volume (10), the second volume (20), the third volume (30), and the fourth volu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earning progresses to the self-trying step, eac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orms of Hangeul Vowel Award, Hangul Consonant Award, Hangul Consonant Vowel Award, and Hangul Support Award, respectively, so that the award can be awarded in the sense of completion of learning.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1권(10)은Volume 1 (10), which is the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모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것으로,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의 순서로된 모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listening to, finding, and writing vowels, vowels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It is characterized by listening, finding, and learning vowels in the order of ", ㅝ, ㅞ".

본 발명에서 자음이 아닌 모음을 선행하여 학습하도록 하는 이유는 모음에 생략된 "ㅇ"이라는 자음을 이후에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사람글자 "ㅣ"와 하늘글자 "ㆍ" 및 땅글자 "ㅡ"의 세가지만을 이용하여 모든 모음을 완성할 수 있는 한글의 특성상 보다 쉽게 모음의 체계를 이해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for learning vowels other than consonants in advance is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later the consonant "ㅇ" omitted from the vowel, and the human character "ㅣ" and the sky character "ㆍ" and the ground character "ㅡ"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ystem of vowels more easi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angeul, which can complete all vowels using only three of ".

또한, 본 발명의 제1권(10)은 모음인 사람글자 "ㅣ"를 학습하도록 한 후 상기 사람글자 "ㅣ"로부터 파생된 모음 "ㅏ, ㅑ, ㅓ, ㅕ"를 학습하도록 하고, 모음인 땅글자 "ㅡ"를 학습하도록 한 후 상기 땅글자 "ㅡ"로부터 파생된 모음 "ㅗ, ㅛ, ㅜ, ㅠ"를 학습하도록 한 다음 사람글자 "ㅣ"와 하늘글자 "ㆍ" 및 땅글자 "ㅡ" 중 두가지 이상을 결합함에 따라 파생되는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를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모음의 체계를 보다 쉽게 이해하여 한글이 만들어지는 원리알아가도록 함으로써, 향상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Volume 1 (10) of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the human character "ㅣ", which is a vowel, and then learns the vowels "a, ㅑ, sh, ㅕ" derived from the human character "ㅣ", and the vowel After learning the ground character "ㅡ", learn the vowels "ㅗ, ㅛ, ㅜ, ㅠ" derived from the ground character "ㅡ", and then the human character "ㅣ" and the sky character "ㆍ" and the ground character "ㅡ " By learning the vowel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derived by combining two or more of them, the system of vowels is more easily understood and Hangeul is created. By letting students know the principle of losing, an improved learning effect can be obtained.

이하, 본 발명의 제1권(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1권(10)은 먼저, 모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기 전에 선을 그리는 선긋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line drawing step of drawing lines before learning by listening to, finding, and writing vowels.

상기 선긋기단계부는 가로선, 세로선, 사선, 구부러진선, 곡선을 순차적으로 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가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를 통해 한글을 학습하기 이전에 연필 사용이 친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아들이 글자를 쓰기에 앞서 보다 반듯하고 바른 글자를 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line drawing step unit allows the infants to be familiar with the use of a pencil before learning Hangeul through the Hangeul learning textbook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quentially drawing horizontal lines, vertical lines, oblique lines, curved lines, and curves. Before writing letters, it realizes the effect of writing more straight and correct letters.

본 발명의 제1권(10)은 상기 선긋기단계부 이후, 인쇄된 어느 하나의 모음과,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의 일측에 인쇄된 쓰는 방향의 화살표 및 상기 화살표에 인쇄되어 표기되는 순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살표와 순번을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에 스티커를 부착하고 촉각으로 상기 스티커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의 모양을 느껴보며, 듣는 모음모양인지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one vowel printed after the line drawing step, an arrow in the writing direction printed on one side of the one vowel, and the order printed on the arrow, and a step unit for attaching a sticker to any one of the vowels according to the arrow and the order, feeling the shape of the one vowel through the sticker with a tactile sense, and recognizing the shape of the vowel heard.

상기 모음양인지단계부는 일예로, 인쇄된 어느 하나의 모음이 사람글자 "ㅣ"인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람글자 "ㅣ"가 인쇄되고, 상기 사람글자 "ㅣ"의 측면에 상기 사람글자 "ㅣ"를 올바르게 쓰는 방향으로 화살표가 인쇄되어 있고, 상기 사람글자 "ㅣ"의 내부에 스티커를 붙일 수 있는 공간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어, 상기 화살표를 따라 스티커를 붙이고 상기 화살표를 따라 촉감으로 사람글자 "ㅣ"를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쓰기방향과 올바른 모양을 눈과 촉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The vowel amount recognition step unit, for example, when any one of the printed vowels is the human character “ㅣ”, as shown in FIG. 6A, the human character “ㅣ” is printed, and on the side of the human character “ㅣ” An arrow is prin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uman character “ㅣ” is written correctly, and a space where a sticker can be attached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side the human character “ㅣ”. By allowing the human character "ㅣ" to be felt by touch,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rrect writing direction and correct shape through eyes and touch.

상기 모음모양인지단계부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이 모음 "ㅣ, ㅡ" 중 어느 하나에서 파생된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중 어느 하나와 모음 "ㅣ, ㅡ, ㅏ, ㅐ, ㅓ, ㅔ" 중 어느 하나의 결합관계를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의 상부에 나타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음의 체계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B, the vowel recognition step unit recognizes that any one of the vowels is a vowel "a, ㅑ, sh, ㅕ, ㅗ, ㅛ, TT, ㅠ" derived from any one of the vowels "ㅣ, ㅡ". The combination of any one of the vowels "ㅣ, ㅡ, A, ㅐ, sh, ㅔ" is displayed at the top of any one of the vowels so that it can be confirmed, so that the system of vowels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본 발명의 제1권(10)은 상기 모음모양인지단계부 이후, 다수의 모음을 나열하고, 나열된 모음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을 찾아 표시하는 제1모음찾기단계부;와 일측에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이 배치되고, 타측에 다수의 모음이 배치되어 일측에 배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을 타측에 배치된 다수의 모음 중에서 찾아 선으로 연결하는 제2모음찾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lists a plurality of vowels after the vowel shape recognition step, and finds and displays any one of the vowels among the listed vowels; and any one of the above on one sid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a second vowel finding step unit in which the vowels of are arranged, a plurality of vowels are arranged on the other side, and the one vowel arranged on one side is searched for among the plurality of vowels arranged on the other side and connected with a line.

상기 제1모음찾기단계부와 제2모음찾기단계부는 상기 모음모양인지단계부에서 익힌 모음을 다시한번 확인하여 친근해질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vowel finding step unit and the second vowel finding step unit check the vowels learned in the vowel shape recognition step unit once again so that they can become familiar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제1권(10)은 상기 제2모음찾기단계부 이후, 점선 또는 빈칸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을 써보는 제1모음쓰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owel writing step of writing any one of the vowels on either a dotted line or a blank space after the second vowel finding step.

상기 제1모음쓰기단계부는 상기 제1모음찾기단계부와 제2모음찾기단계부에서 눈으로 익힌 모음을 써보면서 더욱 친근해질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vowel writing step unit allows the user to become more familiar while writing the vowels learned visually in the first vowel finding step unit and the second vowel finding step unit.

본 발명의 제1권(10)은 상기 제1모음쓰기단계부 이후, 문장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을 찾아 표시하는 제3모음찾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vowel finding step unit for finding and displaying any one vowel in a sentence after the first vowel writing step unit.

상기 제3모음찾기단계부는 상기 제1모음찾기단계부와 제2모음찾기단계부 및 제1모음쓰기단계부에서 눈으로 익히고 써보면서 익힌 모음을 문장에서 자연스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여 모음에 대한 친근감을 더욱 향상시킨다.The third vowel finding step allows the familiarity with vowels to be naturally found in a sentence while learning and writing them in the first vowel finding step, the second vowel finding step, and the first vowel writing step. improve further

본 발명의 제1권(10)은 상기 제3모음찾기단계부 이후, 그림을 제시하고, 상기 그림에 해당되는 낱말을 제시하되,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이 점선으로 표시된 낱말을 제시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을 써보는 제2모음쓰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hird vowel finding step, a picture is presented, and a word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is presented, but a word in which one of the vowels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s presented, so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vowel writing step unit that writes any one of the vowels.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모음쓰기단계부는 좌측에 그림을 제시하고, 상기 그림의 우측에 상기 그림에 해당되는 낱말을 제시하되, 학습하고 있는 모음을 점선으로 표시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모음을 써보면서 낱말에 사용되는 것을 익히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모음에 대한 체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vowel writing step unit presents a picture on the left side and a word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on the right side of the picture, while displaying the vowel being learned as a dotted line and writing the vowel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By learning what is used in words, it is possible to finally understand the system of vowels.

아울러, 본 발명의 제1권(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이 "ㅣ, ㅡ" 중 어느 하나에서 파생된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인 경우, 상기 모음모양인지단계부와 상기 제1모음찾기단계부의 사이에 모음 "ㅣ, ㅡ" 중 어느 하나와 하늘글자 "ㆍ"의 결합관계를 나타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모음 "ㅣ, ㅡ"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모음 "ㅣ, ㅡ" 중 어느 하나와 하늘글자 "ㆍ"가 결합되어 파생된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를 배치하여 상기 파생된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의 다른 부분을 찾아 표시하는 모음차이점확인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any one of the vowels derived from any one of "ㅣ, ㅡ" is a vowel "a, ㅑ, sh, ㅕ, ㅗ, ㅛ" . Arrange the vowels "a, ㅑ, sh, ㅕ, ㅗ, ㅛ, TT, ㅠ" derived by combining any one of "ㅣ, ㅡ" with any one of the above vowels "ㅣ, ㅡ" and the sky letter "ㆍ"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owel difference confirmation step unit for finding and displaying other parts of the derived vowels "A, ㅑ, sh, ㅕ, ㅗ, ㅛ, TT, ㅠ".

상기 모음차이점확인단계부는 기준이 되는 모음 사람글자 "ㅣ"와 땅글자 "ㅡ"와 하늘글자 "ㆍ"가 결합되어 상기 기준이 되는 모음 사람글자 "ㅣ"와 땅글자 "ㅡ"로부터 파생되는 모음의 체계를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한글의 원리 즉, 모음의 원리를 이해하여 보다 쉽게 학습될 수 있도록 한다.The vowel difference confirmation step unit is a vowel derived from the standard vowel human character "ㅣ" and the ground character "ㅡ" by combining the standard vowel human character "ㅣ", the ground character "ㅡ", and the sky character "ㆍ". By helping to understand the system of Hangeul, that is,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vowel, so that it can be learned more easily.

아울러, 본 발명의 제1권(10)은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이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인 경우, 상기 제1모음찾기단계부와 제2모음찾기단계부를 생략하고, 그림과 상기 그림에 해당되는 낱말을 제시하되,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이 점선으로 표시된 낱말을 제시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을 써보도록 하며, 다수의 글자를 나열하여 나열된 다수의 글자 중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이 포함되어 쓰여진 글자를 찾아 색칠하도록 하는 제4모음찾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in the first volum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of the vowels i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the first vowel finding step The part and the second vowel finding step are omitted, and a picture and a word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are presented, but a word in which one of the vowels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s presented to write any one of the vowel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urth vowel finding step unit for arranging the letters of , and searching for and coloring a written letter including any one vowel among a plurality of letters listed.

상기 제4모음찾기단계부는 사람글자 "ㅣ"와 하늘글자 "ㆍ" 및 땅글자 "ㅡ"중 두개 이상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모음인 경우 단순하게 모음을 찾는 상기 제1모음찾기단계부와 제2모음찾기단계부를 생략하고 색칠을 통해 모음과 익숙해지도록 하여 색칠을 통한 긴 시간동안 모음을 익힐 수 잇도록 한다.The fourth vowel finding step unit and the first vowel finding step unit for simply finding a vowel when two or more of the human character "ㅣ", the sky character "ㆍ", and the ground character "ㅡ" are complexly combined. 2 The vowel finding step part is omitted and the vowels are familiarized through coloring so that the vowels can be learned for a long time through coloring.

한편, 본 발명의 제1권(10)은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를 듣고, 찾고, 써본 후, 자음 "ㅇ"과 상기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이 결합된 낱말을 듣고 써보는 제1듣고낱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듣고낱말완성단계부 이후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를 듣고, 찾고, 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Volume 1 (10) of the present invention listens to, finds, and writes the vowels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and then the consonant "ㅇ" and the vowel "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listens to and writes words combined; a first listening word completion step unit; and the first listening word completion step unit Then, it is characterized by listening, finding, and writing the vowel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상기 제1듣고낱말완성단계부는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를 학습하기 전에 상대적으로 상기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보다 기본이 되는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을 듣고 써보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의 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listening word completion step prior to learning the vowel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relatively vowels "ㅔ, ㅐ, ㅟ, ㅚ, ㅒ , ㅖ, ㅢ, ㅘ, ㅙ, ㅝ, ㅞ" by listening to and writing the vowel "ㅣ,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which is more basic than the vowel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make learning possible smoothly.

아울러, 본 발명의 제1권(10)은 상기와 같이 상기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를 듣고, 찾고, 써본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글자 "ㅣ"와 하늘글자 "ㆍ" 및 땅글자 "ㅡ"로부터 모음이 파생되는 것을 도식화한 사람하늘땅글자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Volume 1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listening to, finding, and writing the vowel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as described above, Figure 8 As shown in , it is composed of a human sky and earth character table that schematizes the derivation of vowels from the human character "ㅣ", the sky character "ㆍ", and the ground character "ㅡ".

상기 사람하늘땅글자표는 다시한번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의 체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above human sky and earth character table is once again a collection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 By making it possible to check the system of ㅞ", the effect of learning can be improved.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2권(20)은Volume 2 (20), which is the main component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자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것으로, 자음 "ㅇ, ㄱ, ㅋ, ㄴ, ㄷ, ㅌ, ㄹ, ㅁ, ㅂ, ㅍ, ㅅ, ㅈ, ㅊ, ㅎ, ㄲ, ㄸ, ㅃ, ㅆ, ㅉ"의 순서로된 자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listening to, finding, and writing consonants, the consonants "ㅇ, a, ㅋ, b, c, t, d, ㅁ, f, p, ㅅ, ㄴ, ㄴ, ㅎ, ㄲ, ㄸ, ㅃ, ㅆ, ㅆ It is characterized by listening to, finding, and learning consonants in the order of ".

본 발명의 제2권(20)에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배우는 이유는 자음 "ㄱ"이 아닌 자음 "ㅇ"을 먼저 학습하는 이유는 앞서 제1권(10)에서 모음과 함께 생략된 자음 "ㅇ"을 자연스럽게 학습하였으므로 먼저 학습되도록 함으로써, 자음에 대한 이해가 보다 쉬울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second volu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for learning in general is the consonant "ㅇ" rather than the consonant "a" first, the reason for learning the consonant "ㅇ" that was omitted along with the vowel in volume 1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consonants by making them learn first because they have learned naturally.

이하, 본 발명의 제2권(2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volu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2권(20)은 먼저, 제1권(10)과 마찬가지로 인쇄된 어느 하나의 자음과,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의 일측에 인쇄된 쓰는 방향의 화살표 및 상기 화살표에 인쇄되어 표기되는 순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살표와 순번을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에 스티커를 부착하고 촉각으로 상기 스티커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의 모양을 느껴보며 듣는 자음모양인지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second volu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in the first volume (10), any one consonant printed, an arrow in the writing direction printed on one side of the one consonant, and the arrow are printed and mark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quence number, attach a sticker to any one of the consonants according to the arrow and the sequence number, and feel the shape of the one consonant through the sticker with a tactile sense. A consonant shape recognition step unit to hear do.

본 발명의 제2권(20)은 상기 자음모양인지단계부 이후, 다수의 자음을 나열하고, 나열된 자음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을 찾아 표시하는 제1자음찾기단계부;와, 일측에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이 배치되고, 타측에 다수의 자음이 배치되어 일측에 배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을 타측에 배치된 다수의 자음 중에서 찾아 선으로 연결하는 제2자음찾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volu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lists a plurality of consonants after the consonant shape recognition step, and finds and displays any one of the consonants among the consonants; A second consonant finding step unit in which one consonant is arranged, a plurality of consonants are arranged on the other side, and the one consonant arranged on one side is found among a plurality of consonants arranged on the other side and connected with a line. .

상기 자음모양인지단계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이 자음 "ㄲ, ㄸ, ㅃ, ㅆ, ㅉ" 중 어느 하나인 경우 자음 "ㄱ, ㄷ, ㅂ, ㅅ, ㅈ"의 결합관계를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 상부에 나타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음의 체계 즉, 된소리 자음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sonant shape recognition step unit, when any one of the consonants is any one of the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ㅆ", the consonant "a, c, f, ㅅ, ㄴ" is associated with any one of the consonants By displaying it at the top so that it can be checked, it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the consonant system, that is, the consonant consonant.

상기 제1자음찾기단계부와 제1자음찾기단계부는 상기 자음모양인지단계부에서 익힌 자음을 다시한번 확인하여 친근해질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consonant finding step unit and the first consonant finding step unit check the consonants learned in the consonant shape recognition step unit once again so that they can become familiar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제2권(20)은 상기 제2자음찾기단계부 이후, 점선 또는 빈칸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을 써보는 제1자음쓰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volu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sonant writing step of writing any one of the consonants on either a dotted line or a blank space after the second consonant finding step.

상기 제1자음쓰기단계부는 상기 제1자음찾기단계부와 제2자음찾기단계부에서 눈으로 익힌 자음을 써보면서 더욱 친근해질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consonant writing step unit allows the user to become more familiar with the consonants learned by eye in the first consonant finding step unit and the second consonant finding step unit.

본 발명의 제2권(20)은 상기 제1자음쓰기단계부 이후, 문장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을 찾아 표시하는 제3자음찾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volu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consonant finding step unit for finding and displaying any one of the consonants in a sentence after the first consonant writing step unit.

상기 제3자음찾기단계부는 상기 제1자음찾기단계부와 제2자음찾기단계부 및 제1자음쓰기단계부에서 눈으로 익히고 써보면서 익힌 자음을 문장에서 자연스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여 자음에 대한 친근감을 더욱 향상시킨다.The third consonant finding step allows you to naturally find the consonants learned in the sentence while learning and writing them in the first consonant finding step, the second consonant finding step, and the first consonant writing step, so that you feel familiar with the consonants. improve further

본 발명의 제2권(20)은 상기 제3자음찾기단계부 이후, 그림을 제시하고, 상기 그림에 해당되는 낱말을 제시하되,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이 점선으로 표시된 낱말을 제시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을 써보는 제2자음쓰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second volu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hird consonant finding step, a picture is presented, and a word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is presented, but a word in which one of the consonants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s presented, so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consonant writing step unit that writes any one of the consonants.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자음쓰기단계부는 좌측에 그림을 제시하고, 상기 그림의 우측에 상기 그림에 해당되는 낱말을 제시하되, 학습하고 있는 자음을 점선으로 표시하여 점선으로 표시된 자음을 써보면서 낱말에 사용되는 것을 익히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자음에 대한 체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nsonant writing step unit presents a picture on the left side and a word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on the right side of the picture, but displays the consonant being learned as a dotted line while writing the consonant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By learning what is used in words, it is possible to finally understand the system of consonants.

아울러, 본 발명의 제2권(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자음이 자음 "ㄱ, ㄴ, ㄷ, ㅁ, ㅂ, ㅅ, ㅈ" 중 어느 하나에서 파생된 자음 "ㅋ, ㄷ, ㅌ, ㅂ, ㅍ, ㅈ, ㅊ"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이 생성되는 원리를 나타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자음 "ㄱ, ㄴ, ㄷ, ㅁ, ㅂ, ㅅ, ㅈ"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자음 "ㄱ, ㄴ, ㄷ, ㅁ, ㅂ, ㅅ, ㅈ" 중 어느 하나에서 파생된 자음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ㄲ, ㄸ, ㅃ, ㅆ, ㅉ" 중 어느 하나를 배치하여 상기 파생된 자음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ㄲ, ㄸ, ㅃ, ㅆ, ㅉ"의 다른 부분을 찾아 표시하는 자음차이점확인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volum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ny one of the consonants is a consonant derived from any one of the consonants "a, b, c, ㅁ, f, ㅅ, ㄴ" It shows the principle of generating any one consonant among ㅋ, ㄴ, ㄴ, ㄴ, ㄴ, ㄴ, ㅎ" so that it can be confirmed, and any one of the consonants "a, b, c, ㅁ, f, ㅅ, ㄴ" Consonants derived from any one of the consonants "a, b, c, ㅁ, f, ㅅ, ㄴ" among the consonants "ㅋ, c, t, f, p, j, ch, ㄲ, ㄸ, ㅃ, ㅆ, ㅆ" A consonant difference confirmation step unit for finding and displaying other parts of the derived consonants "ㅋ, c, ℓ, f, π, ㄴ, ㄴ, ㄲ, ㄸ, ㅃ, ㅆ, ㅆ" by arranging any one; including It consists of

상기 자음차이점단계부는 기준이되는 자음 "ㄱ, ㄴ, ㄷ, ㅁ, ㅅ, ㅈ"으로부터 파생되는 자음의 체계를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한글의 원리 즉, 자음의 원리를 이해하여 보다 쉽게 학습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sonant difference step unit understands the system of consonants derived from the standard consonants "a, b, c, ㅁ, ㅅ, ㄴ", so that the principle of Hangul, that is, the principle of consonants, can be understood and learned more easily do.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3권(30)은Volume 3 (30), which is the main component to achieve the present invention,

받침이 없도록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히는 것으로,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의 순서로된 받침이 없는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ading, writing, finding, and learning letters that combine consonants and vowels so that there is no support, "ㅇ + vowels, ㄱ + vowels, ㅋ + vowels, ㄴ + vowels, ㄴ + vowels, Т + vowels, ㄹ + vowels, ㅁ+ It is characterized by reading, writing, finding and learning unsupported letters in the order of "vowels, ㄴ + vowels, π + vowels, ㅅ + vowels, ㅅ + vowels, ㅋ + vowels, ㅎ + vowels.

이하, 본 발명의 제3권(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3권(30)은 먼저,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 "ㅣ, ㅏ, ㅑ, ㅓ, ㅕ"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된 글자를 나타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된 글자를 쓰는 순서에 따라 써볼수 있도록 인쇄된 제1글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hows that any one consonant and vowel "ㅣ, A, ㅑ, ㅑ, ㅕ" is combined so that it can be confirmed, and the combined letter is displayed so that it can be confirmed, and the combin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letter completion step unit printed so that the written letters can be written according to the order of writing.

또한, 본 발명의 제3권(30)은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 "ㅡ, ㅗ, ㅛ, ㅜ, ㅠ"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된 글자를 나타내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된 글자를 쓰는 순서에 따라 써볼수 있도록 인쇄된 제2글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any one consonant and vowel "ㅡ, ㅗ, ㅛ, TT, ㅠ" is combined to be confirmed, and the combined letters are shown to be confirmed, and the combin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letter completion step unit printed so that the written letters can be written according to the order of writing.

상기 제1글자완성단계부와 제2글자완성단계부는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는 체계를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자음과 모음에 의해 생성되는 글자의 원리를 알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character completion step unit and the second character completion step unit allow understanding of the system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so that the principles of letters generated by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understood.

아울러, 본 발명의 제3권(30)은 일측에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의 결합관계를 나타내어 배치하고, 타측에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이 결합된 글자를 배치하여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다시한번 자음과 모음의 결합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3글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combination of any one consonant and vowel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on one side, and arranges it on the other side By arranging letters in which any one consonant and vowel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are connected with a line, the consonant and vowel coupling relationship can be confirmed once agai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letter completion step unit to enable.

아울러, 본 발명의 제3권(30)은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결합된 글자를 찾아 색칠하거나, 다수의 그림을 제시하고, 상기 그림과 해당되는 글자를 제시하여 그림에 해당되는 글자를 상기 그림의 하단에 찾아 써볼수 있도록 하거나,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결합된 글자를 찾아 길을 찾아가도록 하거나, 일측에 그림과 함께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결합된 글자가 생략된 낱말을 다수 배치하고, 타측에 생략된 낱말을 다수 배치하여 해당되는 글자를 쓰고 선으로 연결하는 등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결합된 글자를 찾거나 쓰거나 선으로 연결하거나 색칠하거나 표시하여 자음과 모음이 결합됨에 따라 완성된 받침이 없는 글자가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응용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finds a letter in which any one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is combined Coloring, presenting a number of pictures, and presenting the picture and the corresponding letter so that the letter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can be found and written at the bottom of the picture, or any one consonant and vowel "ㅣ, A, ㅑ, ㅋ . ㅕ, ㅡ, ㅗ, ㅛ, TT, ㅠ" by arranging a number of words in which the letter combined with any one vowel is omitted, and arranging a number of omitted words on the other side to write the corresponding letter and connect it with a line. Consonants and vowel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application step unit that allows the completed characters without a backing to become familiar as the combination.

아울러, 본 발명의 제3권(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후 파생되는 글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제1자음모음글자표(32)를 제시하고, 글자의 쓰는 순서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글자를 써보도록 하는 제1쓰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Volume 3 (3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a first consonant-vowel character table 32 that can identify letters derived after any one consonant and vowel are combin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writing step unit for writing letters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writing order of letters.

상기 제1쓰기단계부는 다시한번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는 체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한글의 원리를 알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writing step unit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system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once again, so that the principle of Hangeul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아울러, 본 발명의 제3권(30)은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고 상기 결합관계에 따라 결합된 글자를 써볼 수 있도록 하는 제2쓰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e combination of any one consonant and vowel "ㅣ, ア,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and combined according to the above combination relationship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제2쓰기단계부는 제1쓰기단계부의 복습의 개념으로 받침이 없는 글자가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writing step unit allows the user to become familiar with characters without backing as a concept of review of the first writing step unit.

아울러, 본 발명의 제3권(30)은 어느 하나의 자음과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결합된 글자를 찾거나 쓰거나 선으로 연결하거나 색칠하거나 표시하여 자음과 모음이 결합됨에 따라 완성된 받침이 없는 글자가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하는 제2응용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finds a letter in which any one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is combin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application step unit that allows the completed unsupported letters to become familiar as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by writing, connecting with lines, coloring, or marking.

즉, 본 발명의 제3권(30)은 제1권(10)과 제2권(20)에서 이미 학습된 모음과 자음을 다시한번 학습하면서 받침이 없는 글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the vowels and consonants already learned in the first volume (10) and the second volume (20)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making unsupported letters, Make learning more smooth.

한편, 본 발명의 제3권(30)은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의 순서로된 받침이 없는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인 후,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으로 이루어진 받침이 없는 글자를 듣고 써보는 제2듣고낱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hird volum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ㅇ + vowel, a + vowel, ㅋ + vowel, b + vowel, c + vowel, t + vowel, d + vowel, ㅁ + vowel, ㄴ + vowel, π + vowel, ㅅ + vowel, ㅅ + vowel, ㅋ + vowel, ㅎ + vowel" after reading, writing, and finding unsupported letters in the order of "ㅇ + vowel, ㄱ + vowel, ㅋ + vowel, ㄴ + Vowels, C + Vowels, T + Vowels, ㄹ + Vowels, ㅁ + Vowels, ㄴ + Vowels, π + Vowels, ㅅ + Vowels, ㅣ + Vowels, Ch + Vowels, Heh + Vowel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listening and word completion step of listening and writing.

상기 제2듣고낱말완성단계부는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으로 이루어진 받침이 없는 글자를 듣고 써보도록 함으로써, 받침이 없는 글자의 학습의 완성도를 향상시킨다.The second listening word completion step "ㅇ + vowel, a + vowel, ㅋ + vowel, b + vowel, c + vowel, t + vowel, ㄹ + vowel, ㅁ + vowel, ㄴ + vowel, π + vowel, ㅅ + Vowels, JB+ vowels, CB+ vowels, and ㅎ+ vowels," improve the completeness of learning unsupported letters by listening to and writing unsupported letters.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4권(40)은Volume 4 (40), which is a major component to achieve the present invention,

받침이 있는 글자를 쓰고, 읽으며 익히는 것으로, "ㅇ받침, ㄱ(ㅋ)받침, ㄴ받침, ㄹ받침, ㅁ받침, ㅂ(ㅍ)받침, ㅅ(ㅈ, ㅊ)받침, ㄷ(ㅌ)과 ㅎ받침"의 순서로된 받침이 있는 글자를 쓰고, 읽으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writing, reading, and learning letters with supports, "ㅇ support, ㄱ(ㅋ) support, ㄴ support, ㄹ support, ㅁ support, ㄴ(P) support, ㅅ(ㅅ, ㅋ) support, ㄴ(ℓ) and ㅎ It is characterized by writing, reading and learning letters with supports in the order of "support".

본 발명에서 "ㄱ(ㅋ)받침, ㅂ(ㅍ)받침, ㅅ(ㅈ, ㅊ)받침, ㄷ(ㅌ)과 ㅎ받침"과 같이, 한번에 두개 이상의 받침을 학습하도록 하는 이유는 파생될 수 있는 자음임과 동시에 받침으로 사용되는 빈도가 낮은 자음인 경우 유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단어들이 한정적이므로 보다 쉬운 단어로 받침이 있는 글자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son for learning two or more supports at once, such as "a (ㅋ) support, ㅅ (P) support, ㅅ (ㅅ, ㅅ) support, c (T) and ㅎ support" is a consonant that can be derived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consonants that are used as supports with low frequency, since the words that young children can easily understand are limited, this is to help them understand the letters with supports with easier words.

이하, 본 발명의 제4권(4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volu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4권(40)은 먼저, 앞서 설명된 제3권의 제1쓰기단계부와 유사하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받침이 없는 글자와 어느 하나의 자음이 받침으로 결합된 후 파생되는 글자를 확인할 수 있는 제2자음모음글자표(42)를 제시하고, 글자의 쓰는 순서에 따라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글자를 써보도록 하는 제3쓰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fourth volu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11, similar to the first writing step of the third volume described above, a letter without any one support and any one consonant as a support A third writing step unit that presents a second consonant-vowel character table 42 that can check the letters derived after combining, and writes letters in which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writing order of letters; do.

상기 제3쓰기단계부는 받침이 없는 글자에 자음이 받침으로 결합되는 체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받침이 없는 글자에 자음이 받침으로 결합된 한글의 원리를 알 수 있도록 한다.The third writing step unit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system in which consonants are combined with bases in letters without bases, so that it is easier to know the principle of Hangeul in which consonants are combined with bases in letters without bases.

아울러, 본 발명의 제4권(40)은 그림을 제시하고 상기 그림에 해당되는 받침이 있는 글자를 제시한 후 4등분된 빈칸에 받침이 있는 글자를 써볼 수 있도록 하는 제4쓰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urth writ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40) presents a picture and presents a letter with a base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and then writes a letter with a base in the blank space divided into 4 parts; composed of

상기 제4쓰기단계부는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의 교육을 마친 유아의 글자체가 바르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The fourth writing step unit enables the correct formation of fonts for infants who have completed the education of the first volume (10), the second volume (20), and the third volume (30).

아울러, 본 발명의 제4권(40)은 상기 제4쓰기단계부와 유사하게 그림을 제시하고 상기 그림에 해당되는 받침이 있는 글자를 제한 후 빈칸에 받침이 있는 글자를 써볼 수 있도록 하는 제5쓰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urth volu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a picture similar to the fourth writing step, and after limiting the letters with a base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the fifth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writing step unit.

상기 제5쓰기단계부는 다시한번 유아의 쓰기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반복하여 연습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fth writing step unit allows children to practice repeatedly so as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아울러, 본 발명의 제4권(40)은 일측에 받침이 있는 다수의 단어을 배치하고, 타측에 상기 배치된 단어에 해당되는 그림을 배치한 후 단어를 읽고 해당되는 단어와 그림을 선으로 연결하도록 하는 제1읽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urth volu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plurality of words with a support on one side, arranges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d word on the other side, reads the word and connects the corresponding word and picture with a lin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reading step unit to do.

또한, 본 발명의 제4권(40)은 받침이 들어간 글자를 써볼수 있도록 점선 또는 연한선으로 받침이 들어간 글자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림과 점선 또는 연한선으로 받침이 들어간 글자를 제시하여 다시한번 읽고 써볼수 있도록 하는 제2읽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urth volu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letters with dotted lines or soft lines so that you can write letters with supports, and at the same time presents characters with supports with pictures and dotted lines or soft line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reading step unit that enables reading and writing.

또한, 본 발명의 제4권(40)은 받침이 있는 글자 또는 단어가 들어간 문장을 제시하고, 상기 문장을 읽고 써볼수 있도록 하는 제3읽기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ourth volum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reading step unit that presents a sentence containing a letter or word with a support and allows the sentence to be read and written.

상기 제1읽기단계부와 제2읽기단계부 및 제3읽기단계부는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의 교육을 마친 유아의 한글 학습을 종료하기 위해 읽고 쓰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받침이 있는 글자를 익힐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reading step, the second reading step, and the third reading step are to end the Korean learning of children who have completed the education of the first volume (10), the second volume (20), and the third volume (30). It allows students to practice reading and writing, and at the same time to learn the letters with the support.

한편, 상기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 제4권(40)은 모음 또는 자음 또는 받침이 없는 글자 또는 받침이 있는 글자를 익힌 후, 각각 모눈칸으로 구성되어 스스로 써볼수 있도록 하는 스스로써보는단계부;와, 각각의 상기 스스로써보는단계부까지 학습이 진행되면, 각각의 학습에 대한 수료의 의미로 상장을 수여할 수 있도록 각각 한글모음상장, 한글자음상장, 한글자음모음상장, 한글받침상장의 양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volume (10), the second volume (20), the third volume (30), and the fourth volume (40), after learning vowels or consonants or letters without a base or letters with a base, each grid A self-writing step portion that is composed of cells and allows you to write yourself; and, when learning progresses to each of the self-writing step portions, each Hangeul vowel certificate is awarded in the sense of completion of each learning , Korean consonant certificate, Korean consonant vowel certificate, and Korean support certificate.

상기 스스로써보는단계부는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 제4권(40) 각각의 학습을 종료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유아가 스스로 써보도록 함으로써, 학습의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self-writing step unit allows the infant to write the last one before completing the learning of each of the first volume (10), the second volume (20), the third volume (30), and the fourth volume (40), thereby learning to realiz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erfection of

상기 한글모음상장의 양식, 한글자음상장의 양식, 한글자음모음상장의 양식, 한글받침상장의 양식은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 제4권(40) 각각의 학습을 종료하고, 성취감을 향상시켜 학습의 기억이 특별하게 남을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습의 완성도를 더욱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e above Korean vowel certificate form, Korean consonant certificate form, Korean consonant vowel certificate form, and Hangul support certificate form are Volume 1 (10), Volume 2 (20), Volume 3 (30), Volume 4 (40) It realize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completeness of learning by terminating each learning and inducing the memory of learning to remain special by improving the sense of achievement.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underst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change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10 : 제1권
20 : 제2권
30 : 제3권
32 : 제1자음모음글자표
40 : 제4권
42 : 제2자음모음글자표
10 : Volume 1
20 : Volume 2
30 : Volume 3
32: first consonant vowel letter table
40: Volume 4
42: second consonant vowel letter table

Claims (6)

모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제1권(10);과
자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제2권(20);과
받침이 없도록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히는 제3권(30); 및
받침이 있는 글자를 쓰고, 읽으며 익히는 제4권(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권(10)은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의 순서로된 모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권(20)은
자음 "ㅇ, ㄱ, ㅋ, ㄴ, ㄷ, ㅌ, ㄹ, ㅁ, ㅂ, ㅍ, ㅅ, ㅈ, ㅊ, ㅎ, ㄲ, ㄸ, ㅃ, ㅆ, ㅉ"의 순서로된 자음을 듣고, 찾고, 써보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권(30)은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의 순서로된 받침이 없는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4권(40)은
"ㅇ받침, ㄱ(ㅋ)받침, ㄴ받침, ㄹ받침, ㅁ받침, ㅂ(ㅍ)받침, ㅅ(ㅈ, ㅊ)받침, ㄷ(ㅌ)과 ㅎ받침"의 순서로된 받침이 있는 글자를 쓰고, 읽으며 익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권(10)은 모음을 듣고, 찾고, 써보기 전에 선을 그리는 선긋기단계부;를 포함하고, 인쇄된 어느 하나의 모음과,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의 일측에 인쇄된 쓰는 방향의 화살표 및 상기 화살표에 인쇄되어 표기되는 순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살표와 순번을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에 복수 개의 스티커를 부착하고 촉각으로 상기 스티커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모음의 모양을 느껴보며, 듣는 모음모양인지단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Listening to, finding, and writing vowels, Volume 1 (10); and
Listening to, finding, and writing consonants Volume 2 (20);
Book 3 (30) to read, write, find, and learn letters combining consonants and vowels so that there is no support; and
4th volume (40) to write, read and learn letters with supports;
The first volume (10) above
Vowels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It is characterized by listening, searching, writing and learning,
The second volume (20) above
Listen to and find consonants in the order of consonants "ㅇ, a, ㅋ, b, c, t, d, ㅁ, f, p, ㅅ, ㅅ, ch, heh, ㄲ, ㄸ, ㅃ, ㅆ, ㅆ" It is characterized by writing and learning,
The third volume (30) above
"ㅇ+vowels, a+vowels, k+vowels, b+vowels, c+vowels, t+vowels, d+vowels, ㅁ+vowels, b+vowels, p+vowels, ㅅ+vowels, ㅅ+vowels, ch It is characterized by reading, writing, finding and learning letters without backing in the order of + vowel, heh + vowel,
The fourth volume (40) above
Letters with bases in the order of "ㅇ base, ㄱ(ㅋ) base, ㄴ base, ㄴ base, ㅁ base, ㄴ(P) base, ㅅ(ㄴ, ㅎ) base, ㄴ(ℓ) and ㅎ base" Characterized by writing, reading and learning,
The first volume (10) includes a line drawing step for drawing a line before listening to, finding, and writing a vowel; a printed vowel and an arrow in the direction of writing printed on one side of the vowel. And a plurality of stickers are attached to any one vowel according to the arrow and the order number, and the shape of any one vowel is felt through the sticker with a tactile sense, Listening vowel shape recognition step unit; Hangul learning textbook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10)은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를 듣고, 찾고, 써본 후,
자음 "ㅇ"과 상기 모음 "ㅣ, ㅏ, ㅑ, ㅓ, ㅕ, ㅡ, ㅗ, ㅛ, ㅜ, ㅠ"이 결합된 낱말을 듣고 써보는 제1듣고낱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듣고낱말완성단계부 이후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를 듣고, 찾고, 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volume (10) above
After listening to, searching for, and writing the vowels "ㅣ, ㄱ,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A first listening and word completion step unit for listening to and writing words in which the consonant "ㅇ" and the vowel "ㅣ, A, ㅑ, sh, ㅕ, ㅡ, ㅗ, ㅛ, TT, ㅠ" are combined;
Hangeul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by listening, finding, and writing the vowel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after the first listening word completion ste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10)은
상기 모음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를 듣고, 찾고, 써본 후,
사람글자 "ㅣ"와 하늘글자 "ㆍ" 및 땅글자 "ㅡ"로부터 모음이 파생되는 것을 도식화한 사람하늘땅글자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volume (10) above
After listening to, finding, and writing the vowels "ㅔ, ㅐ, ㅟ, ㅚ, ㅒ, ㅖ, ㅢ, ㅘ, ㅙ, ㅝ, ㅞ",
Hangeul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권(30)은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의 순서로된 받침이 없는 글자를 읽고, 쓰고, 찾으며 익인 후,
"ㅇ+모음, ㄱ+모음, ㅋ+모음, ㄴ+모음, ㄷ+모음, ㅌ+모음, ㄹ+모음, ㅁ+모음, ㅂ+모음, ㅍ+모음, ㅅ+모음, ㅈ+모음, ㅊ+모음, ㅎ+모음"으로 이루어진 받침이 없는 글자를 듣고 써보는 제2듣고낱말완성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According to claim 3,
The third volume (30) above
"ㅇ+vowels, a+vowels, k+vowels, b+vowels, c+vowels, t+vowels, d+vowels, ㅁ+vowels, b+vowels, p+vowels, ㅅ+vowels, ㅅ+vowels, ch After reading, writing, and finding unsupported letters in the order of + vowels, heh + vowels,
"ㅇ+vowels, a+vowels, k+vowels, b+vowels, c+vowels, t+vowels, d+vowels, ㅁ+vowels, b+vowels, p+vowels, ㅅ+vowels, ㅅ+vowels, ch Hangeul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 제4권(40)은
모음 또는 자음 또는 받침이 없는 글자 또는 받침이 있는 글자를 익힌 후,
각각 모눈칸으로 구성되어 스스로 써볼수 있도록 하는 스스로써보는단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volume (10), the second volume (20), the third volume (30), and the fourth volume (40)
After learning vowels or consonants or letters without a base or letters with a base,
Hangeul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10), 제2권(20), 제3권(30), 제4권(40)은
각각의 상기 스스로써보는단계부까지 학습이 진행되면, 각각의 학습에 대한 수료의 의미로 상장을 수여할 수 있도록 각각 한글모음상장, 한글자음상장, 한글자음모음상장, 한글받침상장의 양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volume (10), the second volume (20), the third volume (30), and the fourth volume (40)
When the learning progresses to each of the above self-writing steps, the forms of the Korean vowel certificate, the Korean consonant certificate, the Korean consonant certificate, and the Hangul support certificate are included so that the certificate can be awarded in the sense of completion of each learning. Hangul learning textbook,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by.
KR1020220089407A 2022-07-20 2022-07-20 Korean learning materials KR1025033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407A KR102503394B1 (en) 2022-07-20 2022-07-20 Korean learning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407A KR102503394B1 (en) 2022-07-20 2022-07-20 Korean learning materia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394B1 true KR102503394B1 (en) 2023-02-24

Family

ID=8533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407A KR102503394B1 (en) 2022-07-20 2022-07-20 Korean learning materia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39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27A (en) * 2018-09-10 2020-03-18 성유선 Hangeul learning teaching material and Hangeul teaching using them
KR102265255B1 (en) * 2020-07-21 2021-06-16 주식회사 한글이나르샤 Systmem for educating Hangeul using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for foreigner lear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27A (en) * 2018-09-10 2020-03-18 성유선 Hangeul learning teaching material and Hangeul teaching using them
KR102173240B1 (en) 2018-09-10 2020-11-03 성유선 Hangeul learning teaching material
KR102265255B1 (en) * 2020-07-21 2021-06-16 주식회사 한글이나르샤 Systmem for educating Hangeul using english pronunciation symbol for foreigner learn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9127호(2020.3.18. 공개) 1부.*
뽀조개스토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palding et al. The writing road to reading
US4030211A (en) Instructional system for teaching and testing word pronunciation and spelling
US20080206724A1 (en) Vowel based method of teaching the reading of English
WO20000300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language fluency
KR102173240B1 (en) Hangeul learning teaching material
Chan et al. Chinese preschool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from emergent to conventional writing
Al-Jumaily Improving my students’ writing skill: An intensive course for ESL learners by using process-approach to writing with the assistance of computer word processor
Blake et al. Literacy and learning: A reference handbook
KR102503394B1 (en) Korean learning materials
DiObilda et al. Beginning reading instruc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path towards eclecticism
Czerniewska Learning to read and write in English
Cho et al. The relation of maternal literate mediation strategies and socioemotional comments to Korean children's Hangul reading
Huriyah Using ICT Programs to Support Students with Dyslexia in Aquiring Literacy
Tao et al. Oral reading practice in China's elementary schools: A brief discussion of its unique roots in language, culture, and society
Yu Learning to read in late Imperial China
KR20020046464A (en) Learning way of chinese character using computer
Bear et al. The Literacy Development of Emergent Bilinguals
Elliott Montessori's reading principles involving sensitive period method compared to reading principles of contemporary reading specialists
KR200194261Y1 (en) Link memory teaching tools having advanced learning efficiency
Nisreen The Perception of EFL Libyan University Students Towards the Potential Advantages of Phonetic Symbols
KR20220046764A (en) Material for learning Hangeul
Sanseri Part 1: Identifying the Need
Jiménez Fernández Learning disabilities in writing: a learning guide
Xurramova METHODOLOGY OF FORMING STUDENTS'WRITING SKILLS DURING PRIMARY CLASS LITERACY TEACHING
Moody et al. Print-Rich Speech Sound Therapy Sessions: The Theory Behind It and Plans for Imple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