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846B1 -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en - Google Patents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846B1
KR102502846B1 KR1020220073477A KR20220073477A KR102502846B1 KR 102502846 B1 KR102502846 B1 KR 102502846B1 KR 1020220073477 A KR1020220073477 A KR 1020220073477A KR 20220073477 A KR20220073477 A KR 20220073477A KR 102502846 B1 KR102502846 B1 KR 102502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sonant
keyboard
area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춘형
이성찬
이가은
Original Assignee
이춘형
이성찬
이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형, 이성찬, 이가은 filed Critical 이춘형
Priority to KR102022007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846B1/en
Priority to KR1020230018268A priority patent/KR20230173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846B1/en
Priority to PCT/KR2023/003654 priority patent/WO202324381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which receives characters through a display panel, a consonant input keyboard and a vowel input keyboard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o receive input of letters consisting of an initial consonant, a neutral consonant, and a final consonant, and in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the consonant input keyboard and the vowel input keyboard are provided to be composed of Hangul or phonetic symbols.

Description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en}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en

본 발명은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성, 중성 및 종성 각각을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uble-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capable of effectively inputting initial consonants, neutral consonants, and final consonants, respectively.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PC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정보 단말기의 경우 물리적 키보드 대신에 터치 스크린이 사용되어,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글자 등을 손 또는 터치 펜으로 터치하면, 글자가 입력되거나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게 된다.Recently, various information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smart watches, and tablet PCs are being used. In the case of recent information terminals, a touch screen is used instead of a physical keyboard, and when letters or the like appearing on a screen (screen) are touched with a hand or a touch pen, letters are input or a corresponding application is executed.

특히 글자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를 구성하는 한글의 자모, 또는 외국어의 경우 단어를 이루는 각각의 글자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단어를 입력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 글자 한 글자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경우,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많아 지는 경우 긴 시간이 소요되어 불편하다.In particular, when a character is to be input, a method of inputting a word is adopted by sequentially inputting the consonants of Hangeul constituting the word to be input, or each letter constituting the word in the case of a foreign language. However, in the case of sequentially inputting each letter in this way, it takes a long time and is inconvenient when there are many words to be inpu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8792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87924

본 발명은 문자를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capable of easily and effectively inputting characters.

또한, 본 발명은 종성이 효과적으로 입력될 수 있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barrel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in which the last name can be effectively input.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언어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fac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capable of effectively inputting various languag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문자를 입력 받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 및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표시되어,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문자를 입력 받되, 외국어를 입력함에 있어,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 및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은 한글 또는 발음 기호로 이루어 지도록 제공되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ouble-barrel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that receives characters through a display panel, a keyboard for consonant input and a keyboard for vowel inpu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so that initial consonants and neutral And inputting a character consisting of a final consonant, but in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a keyboard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a keyboard for inputting vowels are Korean or phonetic symbols. A double-bolt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provided can be provided. .

또한, 중성이 입력된 후,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에 있어 하나의 자음 문자가 표시된 영역 중 중앙 영역의 초성 입력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자음 문자는 초성으로 입력되고, 중앙 영역의 초성 입력 영역을 선택한 후 터치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외측으로 밀거나 하나의 자음 문자가 표시된 영역 중 외측 영역의 종성 입력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자음 문자는 종성으로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neutral is input, if the initial consonant input area in the central area is selected among the areas where one consonant character is displayed on the keyboard for consonant input, the selected consonant character is input as an initial consonant, and after selecting the initial consonant input area in the central area If a consonant character is pushed outward while maintaining the touch state or a final consonant input area of an outer region among areas where one consonant character is displayed is selected, the selected consonant character may be input as a final consonant.

또한,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에 있어 하나의 모음 문자가 표시된 영역 터치하여 중성이 입력되게 하고, 터치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터치 된 지점을 처음 터치한 영역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종성이 입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keyboard for vowel input, a neutral character is input by touching an area where one vowel character is displayed, and the final character is input by moving the touched point outward from the first touched area while maintaining the touch state. can

또한, 터치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터치 된 지점의 이동 방향을 달리하면 입력되는 종성이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ouched point is changed while maintaining the touched state, the input species may be selected differently.

또한,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은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에 있어 각각의 자음 입력 영역 내에 위치되게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keyboard for inputting vowels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and displayed within each consonant input area in the keyboard for inputting consonants.

또한,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은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과 함께 표시되도록 제공됨에 따라, 자판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조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 입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keyboard for inputting vowels is provided to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keyboard for inputting consonants, it can be used to input the content of a message to be delivere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keyboard is displayed.

또한, 하나의 모음 문자가 표시된 영역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상태로 제공되어, 각각의 영역은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를 통해 선택되면, 해당 영역에 표시된 문자의 입력과 함께 중국어의 성조 또는 악센트일 수 있는 보조 속성이 함께 입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where one vowel character is displayed is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the center, and when each area is selected through touch for character input, the character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area is input and Chinese language Auxiliary properties, which may be tones or accents, may be provided to be input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문자를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capable of easily and effectively inputting characters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종성이 효과적으로 입력될 수 있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beam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capable of effectively inputting a surnam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다양한 언어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capable of effectively inputting various languages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방법을 실행하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자음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모음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모음 입력 자판에 있어, 사용자가 특정 자음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하는 동작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터치한 영역의 이동 형태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하나의 문자가 표시된 자판에 있어 사용자가 해당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하는 동작이 이루어 지는 영역이 구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자음 입력 자판에 있어, 초성과 종성을 구분하여 사용자가 특정 자음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외측으로 밀거나 터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음 모음 동시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문자 입력 자판에 있어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발음기호 모드로 자음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발음기호 모드로 모음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that executes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sonant input keyboard is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double-beam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owel input keyboard is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double-barrel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direction of a user's touch operation to select a specific consonant character on a vowel input keyboard.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ypes of movement forms of a touched area.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ea in which a user touches to select a corresponding character is partitioned on a keyboard displaying one character.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area in which a user pushes or touches an outside to select a specific consonant character by distinguishing an initial consonant and a final consonant in a consonant input keyboard.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racter input keyboard for simultaneous input of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partial area of the character input keyboard of FIG. 8 .
1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sonant input keyboard is displayed in a phonetic symbol mode o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double-beam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owel input keyboard is displayed in a phonetic symbol mode o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double-bolt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although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s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n the specifica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connection" is used to mean both indirectly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테블릿 PC, 스마트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등 일 수 있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된 자판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된 자판에서 특정 문자를 선택하는 방법은 터치 펜을 사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문자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는 방법, 또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문자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는 방법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선택 영역의 보다 정확한 입력을 위해서는 터치 펜을 이용한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나, 터치 펜을 이용한 입력 방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를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beam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That is, in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which may be a tablet PC, a smartphone, 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it relates to a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through a keyboard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selecting a specific character from a keyboard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is a method of touching an area where a character to be selected is displayed using a touch pen, or a method in which a user uses a hand to select a character to be selected. A method of touching the displayed area and the like may all be used. However, a method using a touch pen is more preferable for more accurate input of the selected area, but is not limited to the input method using a touch pe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 double bee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방법을 실행하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that executes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방법을 실행하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메모리(12) 및 제어부(1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that executes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 a memory 12, and a control unit 13 .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공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방법의 실행을 위한 입력 대상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터치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한 특정 영역의 터치로 해당 영역에 표시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제공된다.A display panel 10 is provided to output information. Accordingly, the display panel 10 is provided to output an input target character for executing the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10 is provided as a touch screen capable of inputting content displayed on a specific area by touching a specific area with a touch pen or a user's finger.

메모리(1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될 문자, 문자의 배열 규칙, 터치를 통한 문자의 선택 규칙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모리(12)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The memory 12 includes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aract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a character arrangement rule, and a character selection rule through to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ore data for implementing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memory 12 collectively refers to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that continuously retains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제어부(13)는 메모리(1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문자를 선택 입력하기 위한 자판이 출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방법에 따라 조합되고, 문자의 조합에 따라 단어, 문장 등이 생성되고, 생성된 단어, 문장 등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되게 한다.The control unit 13 executes a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 and a keyboard for selecting and inputting characters is output on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user selects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using the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method, and words, sentences, etc. are creat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characters, and the generated words, sentences, etc.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자음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sonant input keyboard is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double-beam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문자 입력 실행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클릭 되는 등과 같은 조작을 통해 문자 입력 모드가 실행되면, 먼저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된다. 도 2에는 문자 입력 모드가 한글을 통해 실행되어 한글의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표시된 한글 모드 인 경우가 예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자음의 배열은 예시 적인 것이며, 자음의 상하좌우 배열 순서, 상하 좌우의 행 열의 수 등은 도 2에 예시된 방식과 달라질 수 있다. 메모리(12)는 자음 입력 자판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로 제공된다. 문자 입력 모드가 처음 실행된 후, 자음 입력 자판이 표시되고, 이후 사용자가 특정 자음 문자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자음 문자는 초성으로 입력된다. Referring to FIG. 2 , when a text input mode is executed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clicking an icon of a text input execution program on a double-faced text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first, a keyboard for consonant inpu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displayed In FIG. 2 , a case in which the character input mode is executed through Hangul and a keyboard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is displayed is an example of the Hangul mode. 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s shown in FIG. 2 is exemplary,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consonants up, down, left and right,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in the top, bottom and left and right may be different from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2 . The memory 12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data about the arrangement of consonant input keyboards is stored. After the character input mode is executed for the first time, the consonant input keyboard is displayed, and the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nsonant character by touching it, the selected consonant character is input as an initial consona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모음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owel input keyboard is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double-barrel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초성의 입력이 완료되면,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된다. 또한, 단모음, 이중 모음 등 중성으로 입력될 수 있는 모음 전체가 표시될 수 있다. 모음 입력 자판은 자음 입력 자판에 대응되는 문자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 2의 한글 자음 입력 자판에 대응하여 한글의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표시된 경우가 예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모음의 배열은 예시 적인 것이며, 모음의 상하좌우 배열 순서, 상하 좌우의 행 열의 수 등은 도 3에 예시된 방식과 달라질 수 있다. 메모리(12)는 모음 입력 자판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로 제공된다. 모음 입력 자판이 표시되고, 이후 사용자가 특정 모음 문자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모음 문자는 중성으로 입력된다.Referring to FIG. 3 , when input of an initial consonant is completed, a keyboard for inputting a vowe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 In addition, all vowels that can be input as neutral, such as single vowels and double vowels, may be displayed. The vowel input keyboard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nput keyboard. 3 illustrates a case where a keyboard for inputting Korean vowels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Korean consonant input keyboard of FIG. 2 . The arrangement of the vowels shown in FIG. 2 is exemplary, and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vowels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owel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illustrated in FIG. 3 . The memory 12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data about the arrangement of vowel input keyboards is stored. When a vowel input keyboard is displayed and the user selects a specific vowel letter by touching it, the selected vowel letter is input in neutral.

도 4는 모음 입력 자판에 있어, 사용자가 특정 자음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하는 동작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direction of a user's touch operation to select a specific consonant character on a vowel input keyboard.

도 4를 참조하면, 모음 문자 자판을 통해 중성 입력 및 종성 입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모음 입력 자판에서 특정 모음 문자를 터치하면, 선택된 특정 모음은 중성으로 입력된다. 이후, 터치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터치 된 지점을 처음 터치한 영역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 방향에 따라 종성으로 입력될 내용이 선택된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한 영역의 이동 방향을 처음 터치한 영역의 위 방향(D8), 아래 방향(D4), 왼쪽 방향(D6), 오른쪽 방향(D2) 및 상하좌우의 사선 방향(D1, D3, D5, D7)으로 총 8개의 이동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이동 방향은 서로 상이한 종성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매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neutral input and final consonant input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through the vowel character keyboard. First, similar to the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 when a specific vowel character is touched on the vowel input keyboard, the selected specific vowel is input as neutral. Then, while maintaining the touched state, if the touched point is moved outward from the first touched area, the content to be input is selected as the final voice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ouched area is the upper direction (D8), the lower direction (D4), the left direction (D6), the right direction (D2), and the up, down, left, righ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touched area. A total of eight movement directions can be set in the diagonal directions (D1, D3, D5, D7). In addition, each movement direction can be matched by selecting and inputting different species.

도 5는 터치한 영역의 이동 형태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types of movement forms of a touched area.

도 5를 참조하면, 터치한 영역의 이동 형태는, 처음 터치한 영역에서 특정 방향으로 기 설정 거리 이상 이동하면서 끝 부분을 삣치는 형태 인 제1 이동 형태(C1), 처음 터치한 영역에서 특정 방향으로 제1 이동 형태 보다 짧도록 기 설정 거리 미만 이동하면서 끝 부분을 삣치는 형태 인 제2 이동 형태(C2), 처음 터치한 영역에서 특정 방향으로 기 설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제3 이동 형태(C3), 처음 터치한 영역에서 특정 방향으로 제3 이동 형태 보다 짧도록 기 설정 거리 미만 이동하는 제4 이동 형태(C4)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동 형태 내지 제4 이동 형태는 도 4의 8개의 이동 방향 각각에 대해 이루어 질 수 있고, 이 경우 이동 방향 및 이동 형태의 조합에 의해 최대 32개의 상이한 선택 동작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선택 동작은 특정 종성 입력으로 매칭될 수 있다. 메모리(12)는 각각의 선택 동작 및 이에 매칭되어 입력되는 종성의 조합을 저장한 상태로 제공된다.Referring to FIG. 5, the movement form of the touched area is the first movement form (C1), which is a form of mov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area and cutting the end, and The second movement form (C2), which is a form of moving at the end while moving less than a preset distance so as to be shorter than the first movement form (C2), and a third movement form (C3) that moves more than a preset distance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area , there may be a fourth movement type (C4) that moves less than a preset distance so as to be shorter than the third movement type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the first touched area. Also, the first to fourth movement patterns may be performed for each of the eight movement directions of FIG. 4 , and in this case, a maximum of 32 different selection operations may be performed by a combination of the movement direction and the movement pattern. Accordingly, each selection operation can be matched with a specific final input. The memory 12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each selection operation and a combination of matched and input species are stored.

도 6은 하나의 문자가 표시된 자판에 있어 사용자가 해당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터치하는 동작이 이루어 지는 영역이 구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rea in which a user touches to select a corresponding character is partitioned on a keyboard displaying one character.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모음 문자가 표시된 영역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예를 들어, S1 내지 S4의 영역)으로 구획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영역은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를 통해 선택되면, 해당 영역에 표시된 문자의 입력과 함께 보조 속성이 함께 입력되도록 한다. 일 예로, 보조 속성은 중국어에서 음의 높낮이 변화를 나타내는 성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영역은 서로 상이한 성조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매칭되게 제공되어(즉, S1은 1성, S2는 2성, S3은 3성, S4는 4성), 사용자는 하나의 문자가 표시된 자판에 있어 구획된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영역의 문자 입력과 함께 보조 속성으로 성조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속성은 영어 등에서 사용되는 악센트로 제공되어, 사용자는 하나의 문자가 표시된 자판에 있어 구획된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영역의 문자 입력 입력과 함께 보조 속성으로 악센트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n area where one vowel letter is displayed may be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areas (eg, areas S1 to S4) based on the center. In addition, when each area is selected through a touch for text input, auxiliary attributes are input together with the text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area. For example, the secondary attribute may be a tone indicating a change in pitch in Chinese. Accordingly, a plurality of areas are provided to be matched by selecting and inputting different tones (ie, S1 is 1 tone, S2 is 2 tones, S3 is 3 tones, and S4 is 4 tones), and the user can select one character If one of the partitioned areas is selected on the displayed keyboard, tones can be input as auxiliary properties along with character input in the area. In addition, the auxiliary property is provided as an accent used in English, etc.,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accent as an auxiliary property together with the character input of the corresponding area when selecting one of the partitioned areas on the keyboard where one character is displayed. there is.

또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문자가 표시된 영역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 경우에도, 도 4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처음 터치한 영역에서 터치 영역의 이동 방식을 통해 중성, 보조 속성과 종성이 함께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6 , even when an area where one character is displaye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the center, as described above in FIGS. Through the movement method, it is possible to enter neutral, secondary attributes and species together.

도 7은 자음 입력 자판에 있어, 초성과 종성을 구분하여 사용자가 특정 자음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외측으로 밀거나 터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area in which a user pushes or touches an outside to select a specific consonant character by distinguishing an initial consonant and a final consonant in a consonant input keyboard.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모음 입력 자판을 통해 중성의 입력이 완료되면,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자음 입력 자판에서 특정 자음 문자를 선택하여 자음을 입력한다. Referring to FIG. 7 , in another embodiment, when neutral input is completed through the vowel input keyboard, a keyboard for consonant inpu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 The user inputs a consonant by selecting a specific consonant character on the consonant input keyboard.

이 때, 자음 문자는 초성 입력 모드 및 종성 입력 모드 중 하나로 선택적으로 선택되어 입력된다. 즉, 하나의 자음 문자가 표시된 영역에 있어, 중앙 영역은 초성 입력 영역(ICA)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초성 입력 영역(ICA)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자음을 선택하면 선택된 자음은 초성으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중성 입력을 위한 모음 입력 자판이 표시된다. 반면, 하나의 자음 문자가 표시된 영역에서 외측 영역은 종성 입력 영역(FCL)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종성 입력 영역(FCL)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자음을 선택하면 선택된 자음은 종성으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에는 자음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가 유지되고, 다시 사용자가 특정 자음 문자를 선택하면, 선택된 자음 문자는 초성으로 입력된다. 종성 입력 영역(FCL)은 하나의 자음 문자가 표시된 영역에서 사각형 모서리 영역, 초성 입력 영역(ICA)의 좌측 영역, 초성 입력 영역(ICA)의 우측 영역, 초성 입력 영역(ICA)의 위쪽 영역, 초성 입력 영역(ICA)의 아래쪽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sonant character is selectively selected and input into one of the initial consonant input mode and the final consonant input mode. That is, in an area where one consonant character is displayed, the central area is provided as an initial consonant input area (ICA), and when a user selects a consonant by touching the initial consonant input area (ICA), the selected consonant is input as an initial consonant. Accordingly, a vowel input keyboard for neutral inpu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 On the other hand, the area outside of the area where one consonant character is displayed is provided as a final input area FCL, and when a user selects a consonant by touching the final consonant input area FCL, the selected consonant is input as a final consonant. Accordingly, the state in which the consonant input keyboard is displayed is maintained on the display panel 10, and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consonant character again, the selected consonant character is input as an initial consonant. The final consonant input area (FCL) is a square corner area in the area where one consonant character is displayed, the left area of the initial consonant input area (ICA), the right area of the initial consonant input area (ICA), the upper area of the initial consonant input area (ICA), the initial consonant It may be at least one of areas below the input area ICA.

또한, 다른 종성 입력 방법으로 초성 입력 영역(ICA)을 터치한 후 도 4에서 상술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터치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터치 된 지점을 처음 터치한 영역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선택된 자음은 종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선택된 문자가 자음임에 따라 이동 방향은 상술한 8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와는 무관하게 선택된 자음이 종성으로 선택된다.In addition, after touching the initial consonant input area (ICA) with another final consonant input method,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touched state in a manner similar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FIG. 4, if the touched point is moved outward from the first touched area, , the selected consonant can be entered as a final consonant. In this case, since the selected character is a consonant, the selected consonant is selected as the final consonant regardless of which direction is moved among the eight directions described above.

또한, 종성 입력 영역(FCL)을 터치한 후, 도 4 및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된 지점 이동을 통한 추가 입력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이동 방향 및 이동 형태의 조합은 이중 자음과 매칭되도록 제공되어, 이중 자음이 종성으로 입력될 수 있다.Also, after touching the final input area FCL, additional input may be performed by moving the touched point as described above in FIGS. 4 and 5 . In this case, a combination of each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type is provided to match a double consonant, so that the double consonant can be input as a final consonant.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음 모음 동시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문자 입력 자판에 있어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racter input keyboard for simultaneous input of consonants and vowe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and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partial region of the character input keyboard of FIG. 8 .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문자 입력 자판은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 및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함께 표시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자음 입력을 위한 영역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음이 영역을 달리하여 배열되게 제공된다. 그리고 모음 입력을 위한 영역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음 입력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이 때, 각각의 모음은 하나의 자음 입력 영역 내에서 영역을 달리하여 배열되게 제공된다. 자음 입력 영역 및 해당 자음 입력 영역 내에 위치되는 모음 입력 영역은 도 9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일측에 해당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자음이 표시되고, 나머지 영역에 모음들이 모음 그물망을 형성하여 배열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모음, 이중 모음 등 중성으로 입력될 수 있는 모음 전체가 그물 형태로 표시되어, 모음 그물망 구조로 모음 입력 영역이 표시된다. 도 9에는 자음이 좌측 상단에 표시된 것이 예시되었다. 그러나, 자음의 표시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측 하단, 우측 상단 또는 우측 하단 등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모음의 배열은 예시 적인 것이며, 모음의 상하좌우 배열 순서, 상하 좌우의 행 열의 수 등은 도 9에 예시된 방식과 달라질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input keyboard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keyboard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a keyboard for inputting vowels are displayed together. At this time, the area for inputting each consonant is provided so that each consonant is arranged in a different area, as illustrated in FIG. 2 . Also, regions for vowel input are provided to be located within each consonant input region as shown in FIG. 9 . At this time, each vowel is provided to be arranged in a different area within one consonant input area. As shown in FIG. 9, the consonant input area and the vowel input area located within the consonant input area display the consonants input through the corresponding area on one side, and the vowels are displayed in a form arranged in a vowel network in the remaining area. It can be. In addition, all vowels that can be input neutrally, such as single vowels and double vowels, are displayed in a mesh form, and the vowel input area is displayed in a vowel mesh structure. 9 illustrates that consonants are displayed in the upper left corner. However, the display position of consonants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layed at the bottom left, top right, or bottom right. The arrangement of the vowels shown in FIG. 9 is exemplary, and the order of arrangement of the vowels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owel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illustrated in FIG. 9 .

메모리(12)는 자음 입력 영역 및 자음 입력 영역 내에 표시되는 모음 입력 영역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로 제공된다. 자음 입력 영역 및 해당 자음 입력 영역 내에 위치된 특정 모음을 선택하면, 이에 대응되는 자음 및 모음이 동시에 입력된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ㄱ' 자음 영역 내에 위치되는 모음 'ㅗ'를 선택하면, 초성으로 자음 'ㄱ' 중성으로 모음 'ㅗ'가 동시에 입력된다. 또한, 모음을 선택함에 있어, 선택한 모음을 중성으로 입력함과 함께, 도 4 내지 도 5에 상술한 방법을 통해 종성으로 입력될 자음이 함께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모음을 선택함에 있어, 선택한 모음을 중성으로 입력함과 함께, 도 6에서 상술한 방법을 통해 중국어의 성조, 영어의 악센트 등일 수 있는 보조 속성이 함께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즉, 한번의 터치 및 터치 형태의 조작을 통해, 초성, 중성 및 종성이 모두 입력될 수 있다.The memory 12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data about a consonant input area and an arrangement of vowel input areas displayed in the consonant input area are stored. When a consonant input area and a specific vowel located in the consonant input area are selected, the corresponding consonant and vowel are simultaneously input. For example, when the vowel 'ㅗ' located in the 'ㄱ' consonant region is selected as shown in FIG. 9, the initial consonant 'ㄱ' and the neutral vowel 'ㅗ' are simultaneously input. In addition, in selecting a vowel, a consonant to be input as a final consonant can be input together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in FIGS. 4 to 5 while inputting the selected vowel as a neutral. In addition, in selecting a vowel, the selected vowel is input as neutral, and auxiliary properties such as Chinese tones and English accents can be input together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in FIG. 6 . That is, through a single touch and touch-type manipulation, all initial consonants, neutral consonants, and final consonants may be input.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자판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입력 영역으로 선택되는 자음 및 자음 입력 영역 내에 위치되는 모음 입력 영역이 모두 표시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character input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plays the consonant selected as the consonant input area and the vowel input area located within the consonant input area on the display panel 10. can be displayed on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자판은 도 2에 유사하게, 자음 입력 영역으로 선택되는 자음만 표시되고, 해당 자음 입력 영역 내에 위치되는 모음 입력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similar to FIG. 2, the character input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plays only the consonant selected as the consonant input area, and the vowel input area located within the consonant input area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can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자판은 사용자의 조작에 선택에 따라(예를 들어, 자음 입력 영역을 길게 누름에 따라) 자음 입력 영역 내에 위치되는 모음 입력 영역이 표시되는 상태와 자음만 표시되는 상태가 서로 전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plays a state in which the vowel input area located in the consonant input area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or example, by long pressing the consonant input area) and only consonants are displayed. States can be switched to each other.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자판은 청각 장애인이 휴대하여 의사 전달을 보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자판이 표시되는 영역을 조절하여 충분히 크게 하면, 청각 장애인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본 실시 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자판을 통해 빠르게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의사 전달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in a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to be carried by the hearing impaired and used to assist communication. That is, if the area where the keyboard is displayed is adjusted to be sufficiently large, the hearing impaired can quickly input the content of the message to be delivered through the character input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by increasing communication efficiency.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발음기호 모드로 자음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sonant input keyboard is displayed in a phonetic symbol mode o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double-beam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자음 입력 자판은 자음 선택을 위한 문자가 발음 기호 형태로 표시되는 발음 기호 모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음 입력 자판은 도 2에 예시된 한글 모드에 의한 자음 입력 자판, 또는 도 10의 발음 기호 모드에 의한 자음 입력 자판이 선택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자음의 배열은 예시 적인 것이며, 자음의 상하좌우 배열 순서, 상하 좌우의 행 열의 배열 수 등은 도 10에 예시된 방식과 달라질 수 있다. 메모리(12)는 발음 기호를 통한 자음 입력 자판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로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consonant input keyboard may be provided in a phonetic symbol mode in which characters for selecting consonants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phonetic symbols. In addition, as the consonant input keyboard, the consonant input keyboard according to the Korean mode illustrated in FIG. 2 or the consonant input keyboard according to the phonetic symbol mode of FIG. 10 may be selected. The arrangement of consonants shown in FIG. 10 is exemplary, and the order of arrangement of consonants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arranged in up, down, left and right may be different from the method illustrated in FIG. 10 . The memory 12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data about the arrangement of consonant input keyboards through phonetic symbols is store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발음기호 모드로 모음 입력 자판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owel input keyboard is displayed in a phonetic symbol mode on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 double-bolt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초성의 입력이 완료되면,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표시된다. 모음 입력 자판은 자음 입력 자판에 대응되는 문자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는 도 10의 발음 기호 모드에 의한 발음기호 자음 입력 자판에 대응하여 발음기호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표시된 경우가 예시되었다. 도 11에 도시된 모음의 배열은 예시 적인 것이며, 모음의 상하좌우 배열 순서, 상하 좌우의 행 열의 수 등은 도 11에 예시된 방식과 달라질 수 있다. 메모리(12)는 발음 기호를 통한 모음 입력 자판의 배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 상태로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11 , when input of an initial consonant is completed, a keyboard for inputting a vowe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 . The vowel input keyboard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input keyboard. In FIG. 11, a case where a keyboard for inputting phonetic symbol vowels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phonetic symbol consonant input keyboard according to the phonetic symbol mode of FIG. 10 is illustrated. The arrangement of the vowels shown in FIG. 11 is exemplary, and the order of arrangement of the vowels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i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vowel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illustrated in FIG. 11 . The memory 12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data about the arrangement of vowel input keyboards through phonetic symbols is stored.

발음 기호 모드에 있어,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입력 방법은 도 4 내지 도 7에서 상술한 한글 모드에 의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In the phonetic symbol mode, the input method for initial consonants, neutral consonants, and final consonants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according to the Hangul mod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

또한, 발음 기호 모드를 통한 문자 입력 자판의 경우도, 도 8 및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 및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함께 표시되는 형태로 제공되어, 도 8 및 도 9에서 상술한 방법을 통해 입력이 이루어 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haracter input keyboard through the phonetic symbol mode, as described above in FIGS. 8 and 9, the keyboard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the keyboard for inputting vowels are provided in a form that is displayed together, and FIGS. 8 and 9 Input may be made through the method described above in .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방법은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입력되는 모든 언어가 한글 모드 또는 발음 기호 모드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즉, 한국어를 한글 모드를 통해 입력하고자 할 경우, 한글 맞춤법에 따라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입력하여 입력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한국어 이외의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를 한글 모드 또는 발음 기호 모드를 통해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의 발음에 따라 한글 모드 또는 발음 기호 모드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2)는 외국 단어 및 해당 단어의 한글 발음(또는 발음 기호)을 저장한 상태로 제공되어, 제어부는 입력된 한글 발음 또는 발음 기호에 매칭되는 외국어 단어로 자동 변환을 수행하고, 자동 변환된 외국 단어가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입력 단어로 표시되게 한다.In the double-barrele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languages input to the double-barrel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can be input in the Korean mode or the phonetic symbol mode. That is, when trying to input Korean through the Hangul mode, input can be made by inputting initial consonants, neutral consonants, and final consonants according to the Korean spelling. In addition, if you want to input a foreign language, including English other than Korean, through the Korean mode or phonetic symbol mode, you can input it through the Korean mode or phonetic symbol mode according to the pronunciation of the word you want to input. In this case, the memory 12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foreign words and Korean pronunciations (or phonetic symbols) of the words are stored, an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nverts foreign words into foreign words matching the input Korean pronunciations or phonetic symbols, The automatically converted foreign words are displayed as input words on the display panel 10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는 초성, 중성 및 종성 각각의 하나의 음가가 한번에 입력되거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2개 이상의 음가가 한번에 입력되게 제공되어, 문자 입력 속도가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double-beam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one sound of each of the initial, neutral, and final consonant is input at once, or two or more consonants among the initial consonant, neutral, and final consonant are input at once, so that character input The speed is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ior art.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디스플레이 패널 12: 메모리
13: 제어부
10: display panel 12: memory
13: control unit

Claims (7)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문자를 입력 받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 및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표시되어,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이루어지는 문자를 입력 받되,
외국어를 입력함에 있어,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 및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은 한글 또는 발음 기호로 이루어 지도록 제공되되,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은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에 있어 각각의 자음 입력 영역 내에 위치되되, 각각의 모음은 하나의 자음 입력 영역 내에서 영역을 달리하여 배열되어, 중성으로 입력될 수 있는 모음 전체가 그물 형태로 표시되어,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 및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이 함께 표시되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In the double-beam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that receives characters through a display panel,
A keyboard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a keyboard for inputting vowel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o receive input of characters consisting of initial consonants, neutral consonants, and final consonants,
In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a keyboard for inputting consonants and a keyboard for inputting vowels are provided in Korean or phonetic symbols,
The keyboard for inputting vowels is located within each consonant input area in the keyboard for inputting consonants, but each vowel is arranged in a different area within one consonant input area, so that all vowels that can be input neutrally are netted. A double-beam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displayed in the form of a touch pen in which a keyboard for consonant input and a keyboard for vowel input are displayed toge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모음 입력을 위한 자판은 자음 입력을 위한 자판과 함께 표시되도록 제공됨에 따라, 자판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조절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 입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터치펜을 이용한 겹벌식 문자 입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s the keyboard for vowel input is provided to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keyboard for consonant input, double-layered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touch pen that can be used to input the message to be delivere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keyboard is displayed .
삭제delete
KR1020220073477A 2022-06-16 2022-06-16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en KR102502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77A KR102502846B1 (en) 2022-06-16 2022-06-16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en
KR1020230018268A KR20230173009A (en) 2022-06-16 2023-02-10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PCT/KR2023/003654 WO2023243818A1 (en) 2022-06-16 2023-03-20 Double layer-type character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477A KR102502846B1 (en) 2022-06-16 2022-06-16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e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8268A Division KR20230173009A (en) 2022-06-16 2023-02-10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846B1 true KR102502846B1 (en) 2023-02-23

Family

ID=8532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477A KR102502846B1 (en) 2022-06-16 2022-06-16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84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924A (en) 2005-01-31 200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Korean literature input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KR20090105864A (en) * 2008-04-01 2009-10-07 오의진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KR20100128065A (en) * 2009-05-27 2010-12-07 정수현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using it
KR101747037B1 (en) * 2016-06-21 2017-06-14 장순길 Letters Input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7924A (en) 2005-01-31 200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Korean literature input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KR20090105864A (en) * 2008-04-01 2009-10-07 오의진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KR20100128065A (en) * 2009-05-27 2010-12-07 정수현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using it
KR101747037B1 (en) * 2016-06-21 2017-06-14 장순길 Letters Inpu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8437A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computer
JP6000385B2 (en) Multilingual key input device and method
JP41188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inpu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40170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ictographic languages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US7707515B2 (en) Digital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Indic scripts
JP2013515295A (en)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JP2013520878A (en) Configurable multilingual keyboard
JP2019530101A (en) Multilingual character input device
US8589145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CN104808807A (en) Method and device for Chinese phonetic input
KR101791930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JP2005078211A (en) Chinese input program
JP2017509080A (en) Kanji input device, kanji input method, and kanji search method using the same
TWI475405B (en) Electronic device and text-input interface displaying method thereof
US8922492B2 (en)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JP3344992B2 (en) Portable character input device
KR102502846B1 (en)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en
KR101204151B1 (en) Letter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KR20230173009A (en)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KR20130004648A (en) Multi-language text input device with word processing function on touch screen panel
KR101904599B1 (en) Keypad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using touch-screen on terminal
KR20150088974A (en) QWERTY keypad applied method to raise accuracy according to input key usage frequency
KR101328554B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