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215B1 - Apparatus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215B1
KR102502215B1 KR1020200178839A KR20200178839A KR102502215B1 KR 102502215 B1 KR102502215 B1 KR 102502215B1 KR 1020200178839 A KR1020200178839 A KR 1020200178839A KR 20200178839 A KR20200178839 A KR 20200178839A KR 102502215 B1 KR102502215 B1 KR 102502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llar
boarding
unit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8121A (en
Inventor
김동혁
박상만
김재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디아이
Priority to KR102020017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215B1/en
Publication of KR2022008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1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2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12Motion systems for aircraft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5Control of aircraf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16Ambient or aircraft conditions simulated or indicated by instrument or alarm
    • G09B9/165Condition of cabin, cockpit or pilot'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3/00Training of parachut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는, 수직 방향의 기둥을 형성하고 내부 일 영역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견인와이어에 연결된 모터부가 구비된 복수 개의 기둥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기둥 프레임 내의 모터부에 연결된 견인 와이어와 연결되고 체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된 탑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An apparatus for a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having vertical pillars, a storage space formed in an inner region, and a motor unit connected to a traction wi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oard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traction wire connected to the motor unit i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nd to allow the experiencer to be seated.

Figure R1020200178839
Figure R1020200178839

Description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APPARATUS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Device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APPARATUS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본 발명은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실제 헬기에 앉아 있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션 체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ulation experience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experience the same as sitting in a real helicopter.

최근 많은 사람들이 여가를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레포츠를 경험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항공 레포츠이다.Recently, many people are experiencing various types of leports using their leisure time, and among them, air leports are representative.

예를 들어 스카이다이빙은 항공기나 기구 등을 이용하여 높은 곳에 올라간 다음, 낙하산을 착용하고 뛰어내려 자유낙하하거나 여러 가지 동작을 연출하고 정해진 고도에서 낙하산을 펴, 안전하게 착지하는 항공 레포츠이고, 윙슈트(wingsuit) 플라잉은 손과 발 사이에 옷감을 붙이는 활강용 특수 낙하산 강하복인 윙슈트를 입고 절벽 또는 항공기에서 뛰어내려 활강하는 항공 레포츠이다.For example, skydiving is an air leport that climbs to a high place using an airplane or balloon, then jumps down with a parachute, free-falls or directs various motions, opens the parachute at a fixed altitude, and lands safely. wingsuit) Flying is an air leport that involves jumping off a cliff or aircraft while wearing a wingsuit, a special parachute jumpsuit for downhill with cloth attached between the hands and feet.

그러나 이러한 항공 레포츠들은 기본적으로 낙하산이 펴지지 않거나 또는 다른 물체에 부딪히는 경우 큰 부상을 입거나 죽는 등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these air leports basically pose a risk of serious injury or death when the parachute does not open or collides with another object.

뿐만 아니라 항공 레포츠들은 높은 곳에 오르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항공기)이 필요하고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고가의 장비들을 필요로 하므로, 항공 레포츠를 즐기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 투자가 필수적이다.In addition, air leports require a means (for example, an aircraft) to climb to a high place and expensive equipment to ensure stability, so considerable cost investment is essential to enjoy air leports.

이러한 위험성과 상대적으로 고가인 비용 부담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항공 레포츠 경험을 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These risks and relatively high costs are becoming obstacles for more people to experience air leisure sports.

따라서 보다 안전하게 항공 레포츠에 따른 경험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또는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한 시점이고, 따라서 최근에는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항공 레포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Therefore, it is time to provide a device or service that allows you to more safely enjoy the experience of air sports, and therefore devices that allow you to experience air sports using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have recently been proposed.

예를 들어 마치 헬기 조종을 직접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항공 레포츠를 가상의 환경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pparatuses are being proposed that allow users to directly pilot a helicopter or experience air leisure sports in a virtual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 사용자들에게 헬기 조종 등과 같은 상황을 인식시키기 위해서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착용시키고 있고, 이와 더불어 실제 헬기 조종 상황을 몸으로 느끼도록 하기 위해 몸에 견인줄을 달아 모터 등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들이 제시된 바 있다.To this end, users are wearing a Head Mounted Display (HMD) in order to recognize situations such as helicopter control, etc. In addition, a tow rope is attached to the body to allow users to feel the actual helicopter control situation through the body, and movements are generated by motors, etc. Devices to do so have been suggested.

그러한 예가 등록특허 10-2032831호에 개시된 바 있다.Such an example has been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32831.

그런데 등록특허 10-2032831호에 개시된 구성에 의하면 구동 제어 시스템이 사용자(체험자) 상부에 구비됨으로써, 무게 중심이 위쪽으로 쏠린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체험자를 이동시키는 범위가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2032831, since the driving control system is provided above the user (experienc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tilted upward and the range for moving the experiencer is limited.

이는 등록특허 10-1731513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This is also the case of Registered Patent No. 10-1731513.

등록특허 10-2032831호Registered Patent No. 10-203283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헬기 체험을 위해 최소한의 비용으로 안정성 있게, 체험자에 다이내믹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device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that can stably and stably provide a dynamic experience to the experiencer at a minimum cost for the helicopter experienc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는, 수직 방향의 기둥을 형성하고 내부 일 영역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견인와이어에 연결된 모터부가 구비된 복수 개의 기둥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기둥 프레임 내의 모터부에 연결된 견인 와이어와 연결되고 체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된 탑승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a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having vertical pillars, a storage space formed in an inner region, and a motor unit connected to a traction wir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ard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traction wire connected to the motor unit i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nd to allow the experiencer to be seated.

여기서, 상기 기둥 프레임은 3개로 구성되고, 각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는 견인줄 방향 전환부가 구비되며, 상기 견인 와이어는 상기 모터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견인줄 방향 전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탑승부에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pillar frame is composed of three pieces, and a towing 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each pillar frame. The traction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starting from the motor unit and via the towing 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여기서, 상기 3개의 기둥 프레임 각각은 정삼각형의 꼭짓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3개의 기둥 프레임이 형성하는 정삼각형의 무게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three pillar frames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vertex of an equilateral triangle, and the boarding un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enter of gravity of an equilateral triangle formed by the three pillar frames.

여기서, 상기 3개의 기둥 프레임은 상기 탑승부 뒤쪽에 배치되는 제1 기둥 프레임과, 상기 탑승부 앞쪽에 배치되는 제2 기둥 프레임 및 제3 기둥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제2 기둥 프레임과 상기 제3 기둥 프레임을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three pillar frames are composed of a first pillar frame disposed behind the boarding part, a second pillar frame and a third pillar frame disposed in front of the boarding part, and the boarding part is composed of the second pillar frame and the boarding part. It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hird pillar frame.

여기서, 상기 3개의 기둥 프레임은 각각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진행하며 안쪽으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Here, each of the three pillar frames may proceed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and be bent inward.

여기서, 상기 3개의 기둥 프레임의 상단부는 상호 지지를 위한 연결 프레임이 삼각형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Here, a connection frame for mutual support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three pillar frames in a triangular shape.

여기서, 상기 탑승부는, 좌석 프레임과; 상기 좌석 프레임에 얹히는 좌석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oarding unit, the seat fram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at cushion resting on the seat fram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 등과 같은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안정성과 체험 만족도를 모두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device such as a game, it is possible to increase both safety and experience satisfaction at a minimum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 장치의 전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수 개의 기둥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외관면을 제거하고 내부의 모터부와 견인줄 방향 전환부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세 개의 기둥 프레임들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어느 한 개의 기둥 프레임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탑승부의 좌석 프레임과 좌석 쿠션을 나타내 도면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internal motor unit and a tow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after removing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of FIG. 1;
3 is a plan view of the three pillar frames of FIG. 1;
Figure 4 is a side view of any one pillar frame of Figure 1,
5 is a view showing a seat frame and a seat cushion of the boarding unit of FIG. 1;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individual functions included in each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이하,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 장치(1)'라고 함)의 사시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 프레임(100)과 탑승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pillar frame 100 and a boarding unit 200 .

여기서 복수 개의 기둥 프레임(100)은 수직 방향의 기둥을 형성하고 내부 일 영역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모터부(150)와 견인줄 방향 전환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100 form vertical pillars and have a storage space formed in one inner region, and may include a motor unit 150 and a tow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160 therein.

우선, 도 2에는 도 1의 기둥 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에서 외부면을 제거한 상태와, 그 내부에 구비되어 있던 모터부(150)와 견인줄 방향 전환부(160)를 도시한 상태이다.First,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is removed from any one of the pillar frames 100 of FIG. 1 and the motor unit 150 and the tow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160 provided therein are shown.

도 2를 참조하면, 기둥 프레임(100)은 크게 하단부와 상단부로 구분되고, 여기서 하단부에는 지면에 수직하는 지지 기둥(111)이 복수 개 구비되고,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단부에는 지면에 수직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체험자 쪽으로 기울어진 지지 기둥(112)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illar frame 100 is largely divided into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11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end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support pillars 112 inclined toward the experiencer based on a straight line may be provided.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부 지지 기둥(112)은 네 개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한다,In this embodiment, as an example, the upper end support pillar 112 is composed of four,

상단부에는 각 지지 기둥(112)들 간에는 보조 연결바(122)에 의해 중간 지점에서 서로 연결되고, 상단부와 하단부를 구분하는 구분 연결바(121)에 의해서도 각 지지 기둥(112)들은 서로 연결된다.At the upper end, each support pillar 112 is connected to each other at an intermediate point by an auxiliary connecting bar 122, and each support pillar 112 is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dividing connecting bar 121 dividing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한편, 기둥 프레임(100)의 하단부 내에는 모터부(150)가 구비되고, 기둥 프레임(100)의 상단부에는 견인줄 방향 전환부(16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여기서 모터부(150)는 후술하는 바와 소정의 견인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외부의 제어에 따라 견인줄을 풀거나 감는 역할을 수행한다.Meanwhile, a motor unit 150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end of the pillar frame 100, and a tow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160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pillar frame 1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r and a predetermined towline, and performs a role of unwinding or winding the towline according to external control.

또한 견인줄 방향 전환부(160)는 모터부(150)에 의해 풀리거나 감기는 견인줄의 진행 방향을 바꾸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롤러나 도르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wing line direction changing unit 160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owing line unwound or wound by the motor unit 15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roller or a pulley.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 견인줄을 감거나 푸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터부(150)는 기둥 프레임(1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데, 이러한 모터부(150)와 연결되는 견인줄을 기둥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견인줄 방향 전환부(160)에서 다시 사선방향 아래쪽으로 방향을 바꿔 탑승부(200)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기둥 프레임(100)의 무게중심이 하단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tor unit 150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winding or unwinding the actual towlin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illar frame 100, and the towline connected to the motor unit 150 is moved to the base of the pillar frame 100.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towline direction changing unit 160 provided at the upper end again in an oblique direction downward to be 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20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illar frame 100 is moved to the lower end, thereby increasing stability. .

이러한 모터부(150)와 견인줄 방향 전환부(160)는 각 기둥 프레임(100)마다 구비되어야 한다.The motor unit 150 and the towing 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160 should be provided for each pillar frame 100.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둥 프레임(100)은 세 개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pillar frame 100 is an example that is composed of three.

이러한 각 기둥 프레임(100) 각각은 정삼각형의 꼭짓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Each of these pillar frames 100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vertex of an equilateral triangle.

즉, 각 기둥 프레임(100)들 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서 제1 프레임 연결바(130)에 의해 상호 연결됨과 아울러 하단부에서 제2 프레임 연결바(14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이때 제1 프레임 연결바(130)들과 제2 프레임 연결바(140)들이 서로 이루는 각도가 60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pillar frames 100 are interconnected at the upper end by the first frame connecting bar 130 and also at the lower end by the second frame connecting bar 140. At this time, The first frame connecting bars 130 and the second frame connecting bars 140 form an angle of 60 degrees.

이처럼 각 기둥 프레임(100)들을 정삼각형의 꼭짓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탑승부(200)에 연결된 견인줄을 감거나 푸는 경우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 장치(1) 전체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는 각 기둥 프레임(100)을 4 개로 구성하여 정사각형을 구성하는 것과 비교해서도 안정성에서 전혀 손색이 없을 뿐만 아니라 공간의 효율화와 다이내믹한 제어가 가능해지는 장점도 있다.As such, by arranging each pillar frame 1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ex of an equilateral triangle, the stability of the entire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device 1 can be maintained when the towline 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200 is wound or unwou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 is. This not only has no inferiority in stability compared to configuring each pillar frame 100 with four to form a square,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space efficiency and dynamic control.

특히 각 3개의 기둥 프레임(100)은 각각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진행하며 안쪽으로 절곡(꺾임 구조)되어 있는데, 이때 수직으로 연장되지 않고 안쪽으로 꺾이면서 연장된 기둥 프레임(100)의 상단부들은 제1 프레임 연결바(130)에 의해 서로 지지되게 되고, 이러한 제1 프레임 연결바(130)에 의한 힘 평형에 의해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 장치(1) 전체의 안정성에 높아지게 된다. 즉, 제1 프레임 연결바(130)는 각 기둥 프레임(100)의 절곡 상태에 대해 상호 지지를 하는 연결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each of the three pillar frames 100 proceed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and is bent inward (folding structure). They are mutually supported by the connecting bars 130, and the stability of the entire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device 1 is increased by force balancing by the first frame connecting bars 130. That is, the first frame connecting bar 130 serves as a connecting frame for supporting each other in a bent state of each pillar frame 100 .

도 4에는 이러한 어느 하나의 기둥 프레임(100)의 측면도가 도시되었다.4 shows a side view of any one of these pillar frames 100.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프레임(100)은 하단부 프레임(101)과 상단부 프레임(10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하단부 프레임(101)은 모터부(150)(150) 등의 수납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지면에 수직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반해 상단부 프레임(102)은 하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안쪽(도 4에서는 좌측)으로 꺾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illar frame 100 may be composed of a lower frame 101 and an upper frame 102, and the lower frame 101 secures space for accommodating motor units 150 and 150. Maintaining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for, on the other hand, the upper frame 102 is formed in a shape bent inward (left side in FIG. 4) by a predetermined angle upward from the lower end.

이렇게 상단부 프레임(102)이 안쪽으로 꺾인 형상을 하는 이유는 견인줄을 감고 푸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힘을 골고루 분산시키고, 또한 체험자에 대한 운동 반경을 확보함과 아울러 견인줄 방향 전환부(160)에 걸리는 부하를 줄이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upper frame 102 is bent inward is that it evenly distributes the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winding and unwinding the towline, secures a radius of motion for the experiencer, and loads on the tow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160 is to reduce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본 실시예에의 상단부 프레임(102)의 상단 끝부분으로부터 지면에 수직하게 기둥 프레임(100)이 형성되는 경우 체험자의 운동 가능 반경이 좁아지거나 또는 체험 중에 체험자 또는 탑승부(200)가 기둥 프레임(100)에 부딪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예로써, 상단부 프레임(102)이 절곡되지 않고 하단부 프레임(101)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경우에는 체험자 체험 중에 상단부 프레임(102) 위쪽 및 견인줄 방향 전환부(160)에 가해지는 부하가 상당하여 안전에 위험 요소로써 작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illar frame 100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from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102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the radius of movement of the experiencer is narrowed or the experiencer Alternatively,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the boarding unit 200 collides with the pillar frame 100.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pper frame 102 extends vertically from the lower frame 101 without being bent, the upper frame during the experiencer's experience. (102)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 part and towline direction changing part 160 is considerable, which may act as a risk factor for safety.

한편, 탑승부(2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체험할 사용자(즉, 체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기둥 프레임(100) 내의 모터부(150)에 연결된 견인 와이어와 연결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arding unit 200 is configured so that a user (ie, an experiencer) who will experience the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eated, and a traction wire connected to the motor unit 150 i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100 will be connected with

이러한 탑승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프레임(210)과, 좌석 쿠션(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좌석 쿠션(220)은 체험자가 체험시 느끼는 충격을 최소화시키고 안락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의자 쿠션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the boarding unit 200 may include a seat frame 210 and a seat cushion 220. The seat cushion 220 minimizes the impact experienced by the experiencer and provides comfort.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structure as a chair cushion so that you can experience it.

그리고 좌석 프레임(210)은 이러한 좌석 쿠션(220)이 안착되도록 하는 프레임(예를 들어 철제 프레임)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데, 좌석 프레임(210)과 좌석 쿠션(220)은 소정의 체결부(일 예로 볼트, 너트 등)에 의해 착탈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 frame 210 may be made of a frame (for example, a steel frame) on which the seat cushion 220 is seated. Bolts, nuts, etc.) can be detachably fastened.

한편, 좌석 프레임(210)의 손잡이 부분 프레임(212)의 앞쪽 아래와, 등받이 부분 프레임(213)의 뒤쪽 아래에는 견인줄 연결부(21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처럼 견인줄 연결부(211)는 체험자가 탑승부(200)에 앉았을 때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부분 보다 앞쪽 아래에 해당하는 위치(앉는 위치보다는 더 높은 위치)와 등받이 부분 프레임(213)의 뒤쪽 아래(앉는 위치보다는 더 높은 위치)에 견인줄 연결부(211)가 구비됨으로써, 체험자에게 최적의 체험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towline connection part 211 may be provided below the front of the handle part frame 212 of the seat frame 210 and below the rear part of the backrest part frame 213. As such, the towline connection part 211 allows the experiencer to board the boarding part. Towline connection part 2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ont than the handle part that can be held when sitting on (200) (higher than the sitting position) and lower back of the backrest part frame 213 (higher than the sitting position) By being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al experience to the experiencer.

예를 들어 견인줄 연결부(211)가 좌석 프레임(210)의 손잡이 부분 프레임(212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 역동적인 움직임이 발생하기가 어렵고, 그렇다고 좌석 프레임(210)의 For example, when the towline connection part 211 is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portion frame 212 of the seat frame 210, it is difficult to generate dynamic movement, but the seat frame 210

예를 들어 견인줄 연결부(211)가 좌석 프레임(210)의 손잡이 부분 프레임(212) 위치에 구비되는 경우 역동적인 움직임이 발생하기가 어렵고, 또한 견인줄 연결부(211)의 위치가 착석 프레임(214) 위치까지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체험 중 탑승부(200) 자체가 뒤집어질 가능성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towline connection part 211 is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portion frame 212 of the seat frame 210, dynamic movement is difficult to occur, and the position of the towline connection part 211 is the position of the seat frame 214. In the case of going down to ,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oarding unit 200 itself is overturned during the experience.

따라서 견인줄 연결부(211)는 실제 체험자가 탑승부(200)에 앉았을 때 허리와 배꼽 사이의 높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wline connection part 211 is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waist and the navel when the actual experiencer sits on the boarding part 200 .

또한, 탑승부(200)는 3개의 기둥 프레임(100)이 형성하는 정삼각형의 무게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미세하고 정확한 제어를 위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arding unit 200 is preferably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quilateral triangle formed by the three pillar frames 100 for fine and accurate control.

특히, 3개의 기둥 프레임(100)에 대해 각각 탑승부(200) 뒤쪽에 배치되는 기둥 프레임(100)을 제1 기둥 프레임(100), 탑승부(200) 앞쪽에 배치되는 기둥 프레임(100)을 제2 기둥 프레임(100) 및 제3 기둥 프레임(100)이라 명명하는 경우, 탑승부(200)는 제2 기둥 프레임(100)과 제3 기둥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for each of the three pillar frames 100, the pillar frame 100 disposed behind the boarding part 200 is the first pillar frame 100 and the pillar frame 100 disposed in front of the boarding part 200 When naming the second pillar frame 100 and the third pillar frame 100, the boarding part 200 is disposed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second pillar frame 100 and the third pillar frame 100. desirable.

즉, 도 4의 탑승부(200) 좌석 프레임(210)의 착석 프레임(214)의 가로 방향과 제2 기둥 프레임(100)과 제3 기둥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제1 프레임 연결바(130)의 가로 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frame connecting bar 130 connecting the second pillar frame 100 and the third pillar frame 100 with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ating frame 214 of the seat frame 210 of the boarding unit 200 of FIG. 4 . ) are parallel to each other.

이 경우 체험자에 대한 정밀 제어는 물론이고, 체험 중 발생하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더 나아가 다이내믹한 체험이 가능해 질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experiencer, as well as to minimize the risk occurring during the experience, and to further enable a dynamic experience.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모터부(15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상술한 기둥 프레임(100)의 하단부에 같이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 장치(1)와는 별도로 외부에 구비되어 모터부(150)에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tor unit 15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bove-described pillar frame 100, or provided outside separately from the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device 1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unit 150.

모터부(150)의 제어와 관련된 것은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control of the motor unit 150 is no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he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 장치 100 : 기둥 프레임
200 : 탑승부 150 : 모터부
160 : 견인줄 방향 전환부 210 : 좌석 프레임
220 : 좌석 쿠션
1: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device 100: Pillar frame
200: boarding unit 150: motor unit
160: towing 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210: seat frame
220: seat cushion

Claims (7)

수직 방향의 기둥을 형성하고 내부 일 영역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견인와이어에 연결된 모터부가 구비된 복수 개의 기둥 프레임과;
상기 복수 개의 기둥 프레임 내의 모터부에 연결된 견인 와이어와 연결되고 체험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된 탑승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 프레임은 3개로 구성되고, 각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는 견인줄 방향 전환부가 구비되며, 상기 견인 와이어는 상기 모터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견인줄 방향 전환부를 경유하여 상기 탑승부에 연결되며,
상기 3개의 기둥 프레임 각각은 정삼각형의 꼭짓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3개의 기둥 프레임이 형성하는 정삼각형의 무게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3개의 기둥 프레임은 상기 탑승부 뒤쪽에 배치되는 제1 기둥 프레임과, 상기 탑승부 앞쪽에 배치되는 제2 기둥 프레임 및 제3 기둥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탑승부는 상기 제2 기둥 프레임과 상기 제3 기둥 프레임을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탑승부는 좌석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석 프레임은 좌석 쿠션이 안착되는 착석 프레임, 체험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손으로 잡는 손잡이 부분 프레임, 착석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 부분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견인와이어와 연결되는 2 개의 견인줄 연결부가 상기 좌석 프레임의 좌우측 손잡이 부분 프레임의 앞쪽 각각에 해당 손잡이 부분 프레임의 최상단보다 낮으면서 상기 착석 프레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고, 또 다른 견인줄 연결부가 상기 등받이 부분 프레임의 뒤쪽에 해당 등받이 부분 프레임보다 아래이면서 상기 착석 프레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
A plurality of pillar frames having vertical pillars, a storage space formed in one inner region, and a motor unit connected to a traction wire;
A board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traction wire connected to a motor unit in the plurality of pillar frames and to allow an experiencer to be seated,
The pillar frame is composed of three pieces, and a tow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each pillar frame, and the traction wire is connected to the boarding unit starting from the motor unit and via the towline direction conversion unit,
Each of the three pillar frames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ex of an equilateral triangle,
The boarding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quilateral triangle formed by the three pillar frames,
The three pillar frames are composed of a first pillar frame disposed behind the boarding unit, a second pillar frame and a third pillar frame disposed in front of the boarding unit,
The boarding part is disposed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second pillar frame and the third pillar frame,
The boarding unit includes a seat frame,
The seat frame includes a seating frame on which a seat cushion is seated, a handle part frame held by the hand while the user is seated, and a backrest part frame on which the seated person can lean their back, and two towline connection parts connected to a tow wire. Is provided at the front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handle subframes of the seat fram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corresponding handle subframe and higher than the seating frame, and another towline connection portion at the rear of the backrest subframe lower than the corresponding backrest subframe A device for a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ating fra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기둥 프레임은 각각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진행하며 안쪽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ree pillar frames progress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respectively, and are bent inwar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기둥 프레임의 상단부는 상호 지지를 위한 연결 프레임이 삼각형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
According to claim 5,
Device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frame for mutual support is connected in a triangular 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three pillar frames.
삭제delete
KR1020200178839A 2020-12-18 2020-12-18 Apparatus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KR1025022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839A KR102502215B1 (en) 2020-12-18 2020-12-18 Apparatus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839A KR102502215B1 (en) 2020-12-18 2020-12-18 Apparatus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121A KR20220088121A (en) 2022-06-27
KR102502215B1 true KR102502215B1 (en) 2023-02-23

Family

ID=8224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839A KR102502215B1 (en) 2020-12-18 2020-12-18 Apparatus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21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0115A1 (en) * 2014-07-07 2017-02-23 Tait Towers Manufacturing, LLC Ride system
KR101783714B1 (en) * 2016-09-01 2017-11-06 주식회사 쓰리디아이 Apparatus for virtual experience related to flight lepor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831B1 (en) 2017-12-18 2019-10-16 (주)아레스 Simulator system for emergency escape training of pilot by using parachu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50115A1 (en) * 2014-07-07 2017-02-23 Tait Towers Manufacturing, LLC Ride system
KR101783714B1 (en) * 2016-09-01 2017-11-06 주식회사 쓰리디아이 Apparatus for virtual experience related to flight lep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121A (en)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8457T3 (en) Motion Simulation Amusement Park Attraction
JP2622336B2 (en) Roller coaster type entertainment vehicle
US5527223A (en) Swing type amusement ride
US9486135B1 (en) Amusement park ride with adjustable thrill level
US6354954B1 (en) Amusement apparatus and method
IL106739A (en) Amusement ride
US5931740A (en) Module-type amusement ride
US9120023B1 (en) Human flying apparatus
US9751022B1 (en) Amusement park ride with adjustable thrill levels
US20180257773A1 (en) System for Tethered Airboarding
AU768764B2 (en) Multi-bay bungee-cord acrobatic suspension and trampoline structure
CN101945776B (en) Vehicle occupant support
KR102502215B1 (en) Apparatus for helicopter simulation experience
CN107600437A (en) A kind of VR parachuting trainings simulator
JPH09508836A (en) Steerable swing device
KR102361036B1 (en) Sporting apparatus having virtual space effect
CN211454887U (en) Manned motion platform for parachuting simulation training
KR101934233B1 (en) VR Based Lift and Gliding Simulation System Using Head Mount Display
CN212854616U (en) Rocking boat
JP7201285B1 (en) Flying object, cabin with seat fitting for flying object, cabin for flying object, and seating fitting for flying object
CN218662374U (en) Balance training platform for simulating actual parachute jumping and landing
CN201201715Y (en) Airplane passenger cabin
WO2001026764A1 (en) Sideshow attraction
KR20190000699U (en) The swing chair Swing chair swingy by the magnetism
KR20230168451A (en) Wheel para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