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244B1 -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 Google Patents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244B1
KR102501244B1 KR1020220036808A KR20220036808A KR102501244B1 KR 102501244 B1 KR102501244 B1 KR 102501244B1 KR 1020220036808 A KR1020220036808 A KR 1020220036808A KR 20220036808 A KR20220036808 A KR 20220036808A KR 102501244 B1 KR102501244 B1 KR 102501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amera
unit
terminal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광현
Original Assignee
윤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광현 filed Critical 윤광현
Priority to KR102022003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2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244B1/en
Priority to PCT/KR2023/003491 priority patent/WO202317722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A continuous mobile live broadcasting device, which broadcasts in real time to a plurality of terminals comprising a host terminal and a guest terminal by using a relay terminal that can broadcast in real time, comprises: a mobile cart having a cart body with a shelf and a wheel unit for moving while supporting the cart body; a communication unit supporting the mobile car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relay terminal; a camera unit consisting of at least one fixed camera supported on the mobile cart and photographing images and at least one mobile camera separated from the mobile cart,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unit, and photographing the images;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images including the photographed images from the camera unit; a user input unit entering user command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s from the camera unit to the relay terminal such that the photographed images can be displayed on the host terminal and guest terminal,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mages of the host terminal, the images of the guest terminal, and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which are received from the relay terminal,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mobile camera such that the at least one mobile camera moves to an area corresponding to input area data and photographs the images when data from any one of the image area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is input from the host terminal, guest terminal, and user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of data provision and the clarity of the provided data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지속 이동형 무선 생중계 및 실시간 화상회의 장치{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본 발명은 이동형 생중계 및 회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실시간 중계할 수 있는 중계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로 실시간 중계 및 회의를 하는 이동형 생중계 장치 "카트라이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live broadcasting and conference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mobile live broadcasting device "Cartlive" that conducts real-time relaying and conferences with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a host terminal and a guest terminal using a relay terminal capable of real-time relaying. It is about.

실시간 중계시스템을 이용하여 화상회의를 하거나 현장을 소개하는 경우 직접 이동하여 현장을 촬영하면서 설명과 함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화상회의는 고정된 회의실에서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회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인터뷰를 하거나 외부, 현장 등과 같은 곳에서 실시간 중계를 하는 경우 중계 장치가 이동형으로 갖춰져야 한다.In the case of a video conference using a real-time relay system or introducing a site, video can be provided along with explanations while filming the site by moving directly. In videoconferencing, it is common to hold a meeting while exchanging data in a fixed conference room, but when conducting an interview or real-time relaying in a place such as outside or on-site, the relay device must be mobile.

그러나 실시간 중계를 하는 중에 제품이나 현재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자세하게 보거나 알고 싶은 경우에 음성을 통해서 알고 싶은 것에 대하여 전달하여야 하고 전달받은 이동 중계를 하는 사용자는 이동하여 영상을 촬영하면서 설명을 하여야 한다. 실시간 중계 중에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상호 간의 의사전달이 완전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상호 간에 회의에 대한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이동형 중계 방식은 "이동 -> 설치 -> 중계 및 회의 -> 철수"의 순으로 진행되어 이동식이라고 하나 결국 중계 장치를 정해진 장소에 고정하여 송출하여야 한다.However, if you want to see or know a product or its current status in real time during real-time relaying, you must convey what you want to know through voice, and the user who receives the relay must move and explain while filming the video. If this occurs during real-time relaying, mutual communication may not be complete, which takes a lot of time,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satisfactory results for the meeting. In addition, the existing mobile relay method proceeds in the order of "movement -> installation -> relay and conference -> withdrawal" and is said to be mobile, but in the end, the relay device must be fixed in a fixed place and transmit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1. 이동 -> 2. 설치 -> 3. 중계 및 회의 -> 4. 철수 -> 1. 이동"의 4단계 방식에서 "1. 이동 -> 2. 설치 -> 3. 중계 및 회의 -> 1. 이동"의 3단계 방식으로 간소화하여, 설치 후 고정될 수밖에 없었던 중계시스템을 넓은 지역을 지속 이동할 수 있는 중계 및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형 생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from the four-step method of "1. Move -> 2. Install -> 3. Relay and conference -> 4. Withdrawal -> 1. Move" to "1. Move -> 2. Install -> 3. Relay and conference -> 1. Move" to simplify the three-step method, and to provide a mobile live relay device that provides relay and conference services that can continuously move a relay system over a wide area, which had to be fixed after install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중계할 수 있는 중계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로 실시간 중계하는 이동형 생중계 장치는, 선반이 형성된 카트 본체와 상기 카트 본체에 지지가 되어 이동하기 위한 바퀴부를 갖는 이동 카트; 상기 이동 카트에 지지가 되며 상기 중계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이동 카트에 지지가 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카메라와 상기 이동 카트와 분리되어 이동 통신부를 갖고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카메라로 이루어진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중계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중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영상, 상기 게스트단말기의 영상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기, 상기 게스트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영역 중 어느 한 영역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영역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카메라가 이동되어 촬영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동 카트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중계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로 실시간 중계를 하여 영상을 제공하며, 실시간 영상 중에 중계 영상상에서 영역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동 카메라가 입력된 영역 데이터로 이동하여 촬영하면 촬영 영상을 제공하므로 신속하게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자료 제공의 신속성 및 제공되는 자료의 선명성이 향상될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live relay device for real-time relaying to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a host terminal and a guest terminal using a relay terminal capable of relay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a cart body with shelves and the cart body. A movable cart having wheels for being supported and mov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is supported by the mobile cart and transmits/receives data with the relay terminal; a camera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fixed camera that is supported by the mobile cart to capture an image and at least one mobile camera that ha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separated from the mobile cart and captures an image;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a photograph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an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to the relay terminal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host terminal and the guest terminal, wherein the host terminal's image received from the relay terminal, the guest terminal's image,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nd when data of any one of the image areas captured by the camera unit is input from the host terminal, the guest terminal, and the user input unit, the input area data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mobile camera so that the at least one mobile camera is moved to a corresponding area and takes an image. While moving using a mobile cart, real-time relaying is performed between a host terminal and a guest terminal using a relay terminal to provide video. Since a photographed image is provided, a clear image can be provided quickly, so the speed of providing data and the clarity of provided data can be improved.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 카메라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동 카메라가 입력된 영역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동한 후 적어도 2개 방향에서 입력된 상기 영역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확대 촬영하여 상기 중계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면 입력된 영역 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방향에서의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영상을 받는 사용자, 호스트 및 게스트를 만족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the at least one mobile camera is composed of a plurality, and the control unit moves the plurality of mobile cameras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data, and the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data input in at least two directions. It is preferable to zoom in and transmit to the relay terminal, si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captured image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for the input area data, which satisfies users, hosts, and guests who receive the images.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확대 촬영된 영상에서 반복 이동 동작을 파악하면 상기 반복 이동 동작의 패턴이 동시에 촬영될 수 있도록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이동 카메라를 제어하면 입력된 영역에서 생산 동작 및 작업 동작 등을 하는 경우 동작 전체를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identifies a repetitive movement operation in an enlarged photographed imag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moving cameras to move so that the pattern of the repetitive movement operation can be simultaneously photographed, thereby performing a production operation and a work operation in the input area.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check the entire operation on one screen.

여기서, 상기 복수의 이동 카메라는, 장거리 영역을 촬영하는 망원렌즈를 갖는 망원카메라와 넓은 영역을 촬영하는 광각렌즈를 갖는 광각카메라를 포함하면 망원카메라를 이용하여 입력된 영역 데이터를 바로 촬영하면서 이동된 광각카메라로 입력된 영역을 촬영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Here, if the plurality of mobile cameras include a telephoto camera having a telephoto lens for photographing a long-distance area and a wide-angle camera having a wide-angle lens for photographing a wide area, the movement is performed while directly photographing the input area data using the telephoto camera.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photograph the input area with a wide-angle camera.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이동 카메라 각각은,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성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더 포함하면 입력된 영역의 음성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Preferably, each of the plurality of mobile cameras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including a user's voice, so that the voice of the input reg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카트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다수의 카메라와 중계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로 실시간 중계를 하여 영상을 제공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는 기존 "1. 이동 -> 2. 설치 -> 3. 중계 및 회의 -> 4. 철수 -> 1. 이동"의 4단계 방식에서 "1. 이동 -> 2. 설치 -> 3. 중계 및 회의 -> 1. 이동"의 3단계 방식의 특성을 이용하여 지속 이동이 가능하므로 여러 장소에 각각의 중계 시스템을 설치하지 않고 단일 중계 이동 카트 시스템으로 지속 이동하면서 중계 및 실시간 회의를 할 수 있어 장소의 제한 없이 신속하게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자료 제공의 신속성 및 제공되는 자료의 선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al-time relaying is provided to a host terminal and a guest terminal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and relay terminals while moving using a mobile cart, and therefo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1. Move -> 2. Installation -> 3. Relay & Conference -> 4. Withdrawal -> 1. Move” in the 4-step method “1. Move -> 2. Install -> 3. Relay & Conference -> 1. Move” in the 3-step method Sinc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ov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 relay and real-time conferences can be held while continuously moving with a single relay mobile cart system without installing separate relay systems in various places, providing clear images quickly without restrictions in plac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peed of providing data and the clarity of provided dat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속 이동형 생중계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입력 영역의 영상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복수의 방향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입력 영역의 영상 예시도이다.
도 5는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지속 이동형 생중계 장치의 실제 구성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현장의 생산 라인을 이동하면서 실시간 중계를 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구획된 사무실, 공장, 창고 및 연구실을 이동하며 실시간 중계하는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continuous mobile live broadca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providing an image of an input area.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providing image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4 is an exemplary view of an image of an input area.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actual configuration of a continuous mobile live broadcasting device.
7 is an exemplary view of real-time relaying while moving a production line in the field.
8 is an exemplary view of moving and relaying partitioned offices, factories, warehouses, and laboratories in real tim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속 이동형 생중계 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inuous mobile live relay device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기존의 중계 장치는 실외에서 실시간 중계를 하는 경우 베이스캠프에 중계 장비가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만이 이동하면서 현장 등을 이동하여 영상 및 오디오를 베이스캠프의 중계 장비로 전송하는데 이때에도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가 각각 다르므로 영상과 오디오의 싱크를 맞추기 어렵다. 이에 실시간으로 중계하지 못하고 신호를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후 싱크를 맞추는 등의 기술적인 작업을 해야 하므로 전송의 지연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중계차를 이용하나 이 중계차는 이동할 수 있는 장소가 매우 제한적이다.Existing relay devices transmit video and audio to the base camp relay equipment by moving only the camera while moving the site while relay equipment is present in the base camp when real-time relay is performed outdoors. Since the wireless signals used are different, it is difficult to synchronize video and audio. Accordingly, transmission delay occurs because it cannot be relayed in real time, and technical operations such as synchronization after receiving signals from a plurality of cameras have to be performed. In order to improve this, a movable relay truck is used, but this relay truck has very limited movable places.

지연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선 통신을 유선 통신으로 교체하면 지연 현상을 없애며 중계를 할 수 있으나 이 또한 고정된 장소에서 이동할 수 없는 문제로 인하여 중계의 제한이 매우 많다.In order to improve the delay phenomenon, if wireless communication is replaced with wired communication, the delay phenomenon can be eliminated and relaying can be performed. However, this also has many limitations in relaying due to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move from a fixed place.

비대면 회의가 활성화되면서 실시간 화상회의를 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장소를 방문하며 이동해야 하는 방문 실사를 수행하기 위해선 고정식 중계 시스템은 공간의 한계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As non-face-to-face meetings are activated, real-time video conferences are being held. However, in order to perform inspection visits that require moving while visiting various places, fixed relay systems have difficulties due to space limitations.

또한, 해외의 기업과의 제품 소개 등의 회의를 실시간으로 하는 중에 제품을 보려고 하거나 공정을 보려고 하거나 바이어들이 원하는 현장에 대한 영상 정보 등이 있는 경우 신속하게 영상 자료를 제공하고 자세한 영상 및 음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지속 이동식 실시간 화상회의의 효과가 현저하게 증대될 것이 기대된다.In addition, if you want to see a product or process during a real-time meeting such as product introduction with overseas companies, or if there is video information about the site that buyers want, we provide video data quickly and provide detailed video and audio information. If information is provided,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f continuous mobile real-time videoconferencing will be significantly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생중계 장치(1)의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obile live re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형 생중계 장치(1)는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중계 단말기(4)에 연결되고, 중계 단말기(4)에는 호스트 단말기(2) 및 게스트 단말기(3)의 복수의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연결되어 실시간 중계 및 화상회의 등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중계 단말기(4)는 서버로 이루어져 이동형 생중계 장치(1), 호스트 단말기(2) 및 게스트 단말기(3)로 저장하고 있던 각종 자료를 전송할 수도 있다.The mobile live relay device 1 is connected to a relay terminal 4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of a host terminal 2 and a guest terminal 3 are connected to the relay terminal 4. By being connected in this way, real-time relaying and video conferences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Here, the relay terminal 4 consists of a server and may transmit various data stored in the mobile live relay device 1, the host terminal 2, and the guest terminal 3.

이동형 생중계 장치(1)는 이동하면서 복수의 장소에서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동형 생중계 장치(1)는 고정 카메라(31)와 이동 카메라(32)를 모두 구성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이동하면서 화상회의를 진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다양한 장소에서 촬영한 다양한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mobile live relay device 1 can provide various images in a plurality of locations while moving, and can also provide images captured in various locations. Since the mobile live broadcast device 1 has both a fixed camera 31 and a mobile camera 32, it can conduct a video conference while moving and provide various images captured in various places at the same time.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형 생중계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live relay device 1 will be described.

이동형 생중계 장치(1)는 이동 카트(10), 통신부(20), 카메라부(30), 디스플레이부(40), 사용자 입력부(50), 마이크(60), 스피커(70), 드론(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The mobile live relay device 1 includes a mobile cart 10, a communication unit 20, a camera unit 30, a display unit 40, a user input unit 50, a microphone 60, a speaker 70, and a drone 80. and a control unit 90.

이동 카트(10)는 선반이 형성된 카트 본체(11)와 카트 본체(11)에 지지가 되어 이동하기 위한 바퀴부(12)를 갖는다. 이동 카트(10)는 후술할 통신부(20), 카메라부(30), 디스플레이부(40), 사용자 입력부(50), 마이크(60), 스피커(70), 드론(80) 및 제어부(90)를 지지한다.The mobile cart 10 has a cart body 11 on which shelves are formed and wheel parts 12 supported by the cart body 11 to move. The mobile cart 1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0, a camera unit 30, a display unit 40, a user input unit 50, a microphone 60, a speaker 70, a drone 80, and a control unit 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upport

통신부(20)는 이동카트(10)에 지지가 되며 중계 단말기(4)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20 is supported by the mobile cart 10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relay terminal 4.

카메라부(30)는 고정된 장소 및 다양하고 넓은 장소를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카메라부(30)는 고정 카메라(31)와 이동 카메라(32)를 포함한다. The camera unit 30 is provided to take pictures of a fixed place and various and wide places. The camera unit 30 includes a fixed camera 31 and a moving camera 32 .

고정 카메라(31)는 이동 카트(10)에 지지가 되어 영상을 촬영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 카메라(31)는 망원 고정 카메라(311), 광각 고정 카메라(312) 및 고정통신부(313)를 포함한다.The fixed camera 31 is supported by the movable cart 10 to take images, and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The fixed camera 31 includes a telephoto fixed camera 311 , a wide-angle fixed camera 312 and a fixed communication unit 313 .

망원 고정 카메라(311)는 이동 카트(10)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를 줌인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telephoto fixed camera 311 is provided to zoom in and photograph a place far away from the mobile cart 10 .

광각 고정 카메라(312)는 이동 카트(10)에서 가까운 장소를 넓은 광각으로 촬영하여 넓은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The wide-angle fixed camera 312 may capture a wide area by taking a wide-angle view of a place close to the mobile cart 10 .

고정통신부(313)는 망원 고정 카메라(311)와 광각 고정 카메라(312) 각각에 마련되어 촬영 영상을 중계 단말기(4)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xed communication unit 313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telephoto fixed camera 311 and the wide-angle fixed camera 312 to transmit captured images to the relay terminal 4 .

이동 카메라(32)는 이동 카트(10)와 분리되어 멀리 떨어진 곳 등 다양한 장소를 촬영한다. 이동 카메라(32)는 제1 이동 카메라(321)과 제2 이동 카메라(322)의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mobile camera 32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cart 10 and takes pictures of various places such as distant places. The mobile camera 32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mobile cameras 321 and second mobile cameras 322 .

제1 이동 카메라(321)는 제1 이동통신부(321-1)와 제1 이동 광각 카메라(321-2)를 포함한다. 제1 이동통신부(321-1)는 제1 이동 광각 카메라(321-2)에서 촬영된 영상을 중계 단말기(4)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이동 광각 카메라(321-2)는 넓은 광각으로 촬영하여 넓은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The first mobile camera 321 includes a first mobile communication unit 321-1 and a first mobile wide-angle camera 321-2.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unit 321-1 may transmit an image captured by the first mobile wide-angle camera 321-2 to the relay terminal 4. The first moving wide-angle camera 321-2 can capture a wide area by taking a picture with a wide angle.

제2 이동 카메라(322)는 제2 이동통신부(322-1)와 제2 이동 망원 카메라(322-2)를 포함한다. 제2 이동통신부(322-1)는 제2 이동 망원 카메라(322-2)에서 촬영된 영상을 중계 단말기(4)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이동 망원 카메라(322-2)는 넓은 광각으로 촬영하여 넓은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The second mobile camera 322 includes a second mobile communication unit 322-1 and a second mobile telephoto camera 322-2.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unit 322-1 may transmit an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mobile telephoto camera 322-2 to the relay terminal 4. The second mobile telephoto camera 322-2 may capture a wide area by taking a picture with a wide angle.

디스플레이부(40)는 카메라부(3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중계 단말기(4)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40 may display an image including a captur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30 and an image received from the relay terminal 4 .

사용자 입력부(5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한다. The user input unit 50 inputs a user's command.

마이크(60)는 이동 카트(10) 및 이동 카메라(32)에 설치되어 이동 카트(10) 및 이동 카메라(32)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The microphone 60 may be installed on the mobile cart 10 and the mobile camera 32 to receive voice generated around the mobile cart 10 and the mobile camera 32 .

스피커(70)는 이동카트(10) 또는 이동카메라(32)에 설치되어 이동카트(10) 또는 이동카메라(32)의 주변으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The speaker 70 is installed on the mobile cart 10 or the mobile camera 32 and can output audio to the surroundings of the mobile cart 10 or the mobile camera 32 .

드론(80)은 복수로 마련되며, 제1 드론(81)와 제2 드론(82)을 포함한다.A plurality of drones 80 are provided, and include a first drone 81 and a second drone 82 .

제1 드론(81)은 제1 비행구동부(811)의 구동에 의해 비행을 할 수 있다. 제1 비행구동부(811)는 모터와 프로펠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rone 81 may fly by driving the first flight drive unit 811 . The first flight drive unit 811 may include a motor and a propeller.

제2 드론(82)은 제2 비행구동부(821)의 구동 때문에 비행을 할 수 있다. 제2 비행구동부(821)는 모터와 프로펠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drone 82 can fly due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flight drive unit 821 . The second flight drive unit 821 may include a motor and a propeller.

제어부(90)는 카메라부(3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호스트 단말기(2)와 게스트 단말기(3)에 표시되도록 중계 단말기(4)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0)를 제어하며, 중계 단말기(4)로부터 수신되는 호스트 단말기(3)의 영상, 게스트 단말기의 영상(3) 및 카메라부(3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40)를 제어하고, 호스트 단말기(2), 게스트 단말기(3) 및 사용자 입력부(50)로부터 카메라부(30)에서 촬영된 영상 영역 중 어느 한 영역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영역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카메라(32)가 이동되어 촬영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동 카메라(32)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9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20 to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aken by the camera unit 30 to the relay terminal 4 so that it is displayed on the host terminal 2 and the guest terminal 3, and the relay terminal 4 The display unit 40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image of the host terminal 3 received from the host terminal 3, the image 3 of the guest terminal, and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unit 30, and the host terminal 2 and the guest terminal ( 3) and at least one mobile camera 32 is moved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data to take a picture when any one of the area data captured by the camera unit 30 is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50 Controls one moving camera (32).

제어부(90)는 복수의 이동 카메라(32)가 입력된 영역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동한 후 적어도 2개 방향에서 입력된 영역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확대 촬영하여 중계 단말기(4)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After the plurality of mobile cameras 32 mov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data, the control unit 90 enlarges and capture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data in at least two directions, and transmits the pictures to the relay terminal 4. Control.

제어부(90)는 확대 촬영된 영상에서 반복 이동 동작을 파악하면 반복 이동 동작의 패턴이 동시에 촬영될 수 있도록 이동하도록 복수의 이동 카메라(32)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plurality of moving cameras 32 to move so that a pattern of the repeated movement can be simultaneously photographed when recognizing a repetitive movement in an enlarged photographed image.

도 2는 입력 영역의 영상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providing an image of an input area.

도 2 (a) 중계 단말기(4)를 이용하여 이동형 생중계 장치(1), 호스트 단말기(2) 및 게스트 단말기(3)가 화상회의를 하는 중에 A지점과 B지점을 선택하거나 C 영역을 드래그하는 것을 나타낸다.2 (a) during a video conference between the mobile live relay device 1, the host terminal 2, and the guest terminal 3 using the relay terminal 4, selecting point A and point B or dragging the area C indicates that

도 2 (b) 이렇게 사용자, 호스트 및 게스트가 촬영 영상상에서 손으로 터치하거나 마우스로 클릭 및 드래그 입력을 하면 이동 카메라(321, 322)가 수용된 제1 드론(81)과 제2 드론(82)이 A 지점, B 지점 및 C 영역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방향에서 지점, B 지점 및 C 영역을 촬영을 하여 촬영 영상을 제공하도록 한다.2 (b) In this way, when the user, host, and guest touch with their hand or click and drag input with the mouse on the captured image, the first drone 81 and the second drone 82 in which the moving cameras 321 and 322 are accommodated are It moves to point A, point B, and area C, and captures points, point B, and area C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to provide captured images.

도 3은 복수의 방향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providing images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도 3 (a) 도 2에서 복수의 방향에서 지점, B 지점 및 C 영역을 촬영한 영상 중 하나로 한 방향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 이동형 생중계 장치(1), 호스트 단말기(2) 및 게스트 단말기(3)에서 표시되고 있다.FIG. 3 (a) One of the images of point, point B, and region C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in FIG. ) is displayed.

도 3 (b) 도 2에서 복수의 방향에서 지점, B 지점 및 C 영역을 촬영한 영상 중 하나로 한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이 이동형 생중계 장치(1), 호스트 단말기(2) 및 게스트 단말기(3)에서 표시되고 있다.FIG. 3 (b) One of the images of point, point B, and area C in FIG. 2 taken from a plurality of directions, and the captured images taken from one direction and the other are captured by the mobile live relay device 1, the host terminal 2, and the guest. It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3).

도 4는 입력 영역의 영상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an image of an input area.

사용자, 호스트 및 게스트가 촬영 영상 위에서 손으로 터치하거나 마우스로 클릭 및 드래그 입력을 하면 이동 카메라(321, 322)가 입력된 장소로 이동하여 촬영을 하는데 제어부(90)는 수신된 촬영 영상에서 반복 이동 동작을 파악하며, 반복 이동 동작의 패턴이 동시에 촬영될 수 있도록 이동 카메라(321, 322)가 수용된 제1 드론(81)과 제2 드론(82)을 이동시키거나 이동 카메라(321, 322)의 줌 기능을 이용하여 한 화면상에 반복 이동 동작의 패턴이 담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a user, host, or guest touches a captured image with their hand or clicks and drags an input with a mouse, the moving cameras 321 and 322 move to the input location and take a photo. The controller 90 repeatedly moves in the received image The first drone 81 and the second drone 82 in which the mobile cameras 321 and 322 are accommodated are moved or the mobile cameras 321 and 322 are moved so that the motion is grasped and the pattern of the repeated movement motion can be captured at the same time. A pattern of repetitive movement may be included on one screen by using the zoom function.

도 6은 지속 이동형 생중계 장치(1)의 실제 구성되는 예시도이고, 도 7은 현장의 생산 라인을 이동하며 실시간 중계를 하는 예시도이며, 도 8은 구획된 사무실, 공장, 창고 및 연구실을 이동하며 실시간 중계하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actual configuration of the continuous mobile live broadcasting device 1, FIG. 7 is an exemplary view of real-time relaying while moving a production line in the field, and FIG. 8 is an example of moving a partitioned office, factory, warehouse, and laboratory. It is an example of real-time relaying.

위에 적은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Modifiable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제어부(90)는 각 현장에서의 공정에 대한 자료 및 제품 등의 자료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 호스트 및 게스트가 촬영 영상상에서 손으로 터치, 마우스로 클릭 및 마우스로 드래그 입력을 하면 이동 카메라(321, 322)가 입력된 장소로 이동하여 촬영하도록 함과 동시에 입력된 장소에 대한 공정에 대한 자료 및 제품 등의 자료를 이동형 생중계 장치(1), 호스트 단말기(2) 및 게스트 단말기(3)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90 stores data on processes and products at each site, and when a user, host, or guest touches, clicks, or drags with a mouse on a captured image, the moving camera 321 , 322) is moved to the input location and taken, and at the same time, data such as process data and products for the input location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live relay device 1, the host terminal 2, and the guest terminal 3. can make it

제어부(90)는 입력된 장소에 대한 공정에 대한 자료 및 제품 등의 자료를 촬영 영상과 함께 전송하기 위한 전송 양식을 저장하고 있어서 사용자, 호스트 및 게스트가 촬영 영상상에서 손으로 터치, 마우스로 클릭 및 마우스로 드래그 입력을 하면 전송 양식에 입력된 장소에 대한 공정에 대한 자료 및 제품 등의 자료를 로딩하고 이동 카메라(321, 322)로부터 촬영 영상이 수신되면 기설정된 선명도 이상의 영상 프레임만을 전송 양식에 로딩하여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90 stores a transmission form for transmitting data such as process data and products for the input place along with the captured image, so that the user, host, and guest can touch, click, and use the mouse on the captured image. When a drag input is performed with the mouse, data such as process data and products for the place entered in the transmission form are loaded, and when a photographed image is received from the moving camera (321, 322), only image frames with a preset sharpness or higher are loaded into the transmission form. and send it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중 계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영상 연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영상 연결기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음성은 선택되는 카메라에 대응하여 복수의 마이크 중 해당 마이크가 선택되도록 제어부는 제어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video connector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image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and transmitting it to the stair terminal. This video connector may have a button that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 plurality of voices to be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corresponding to a selected camera.

이동 카트에 지지된 모든 구성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ll components supported on the mobile cart may be further included.

복수의 카메라, 복수의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영상과 오디오는 신호처리부가 마련되어 있어 영상을 처리하여 실시간 중계되도록 할 수 있다. Images and audio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and a plurality of microphones can be relayed in real time by processing the images with a signal processing unit provided.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을 분할하여 현장의 영상과 호스트와 게스트의 영상을 분리 영역에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divide an area of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on-site image and host/guest images in separate areas.

카메라 외에 기존 자료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비디오 플레이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amera, a video player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existing data images may be further included.

출연자의 오디오와 시청자의 오디오를 실시간으로 융합하여 소리 딜레이가 없는 화상회의가 가능하게 하는 오디오 믹싱 기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mixing device unit for enabling a video conference without sound delay by converging the performer's audio and the viewer's audio in real time.

상기의 이동형 생중계 장치(1)로 인하여, 이동 카트(10)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중계 단말기(4)를 이용하여 호스트 단말기(2)와 게스트 단말기(3)로 실시간 중계를 하여 영상을 제공하며, 실시간 영상 중에 중계 영상상에서 영역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동 카메라(321, 322)가 입력된 영역 데이터로 이동하여 촬영하면 촬영 영상을 제공하므로 신속하게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자료 제공의 신속성 및 제공되는 자료의 선명성이 향상될 수 있다.Due to the mobile live broadcasting device 1, real-time relaying is performed to the host terminal 2 and the guest terminal 3 using the relay terminal 4 while moving using the mobile cart 10 to provide video, When region data is input on the relay image during real-time video, the moving camera (321, 322) moves to the input area data and takes a picture. Since it provides a captured image, it can quickly provide a clear image, so the promptness of data provision and the provided data clarity can be improved.

1: 이동형 생중계 장치 2: 호스트 단말기
3: 게스트 단말기 4: 중계 단말기
10: 이동 카트 11: 카트 본체
12: 바퀴부 20: 통신부
30: 카메라부 31: 고정 카메라
311: 망원 고정 카메라 312: 광각 고정 카메라
313: 고정통신부 32: 이동 카메라
321: 제1 이동카메라 322: 제2 이동카메라
40: 디스플레이부 50: 사용자 입력부
60: 마이크 70: 스피커
80: 드론 81: 제1 드론
82: 제2 드론 90: 제어부
1: mobile live relay device 2: host terminal
3: guest terminal 4: relay terminal
10: mobile cart 11: cart body
12: wheel part 20: communication part
30: camera unit 31: fixed camera
311 Telephoto fixed camera 312 Wide angle fixed camera
313: fixed communication unit 32: mobile camera
321: first mobile camera 322: second mobile camera
40: display unit 50: user input unit
60: microphone 70: speaker
80: drone 81: first drone
82: second drone 90: control unit

Claims (5)

실시간 중계할 수 있는 중계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스트 단말기와 게스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기로 실시간 중계하는 이동형 생중계 장치에 있어서,
선반이 형성된 카트 본체와 상기 카트 본체에 지지가 되어 이동하기 위한 바퀴부를 갖는 이동 카트;
상기 이동 카트에 지지가 되며 상기 중계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이동 카트에 지지가 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카메라와, 상기 이동 카트와 분리되어 이동통신부를 갖고 영상을 촬영하는 복수의 이동 카메라로 이루어진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게스트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상기 중계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중계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의 영상, 상기 게스트 단말기의 영상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기, 상기 게스트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영역 중 어느 한 영역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영역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상기 복수의 이동 카메라가 이동되어 촬영하도록 상기 복수의 이동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동 카메라가 입력된 영역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동한 후 적어도 2개 방향에서 입력된 상기 영역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확대 촬영하여 상기 중계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 카메라는, 장거리 영역을 촬영하는 망원렌즈를 갖는 망원카메라와 넓은 영역을 촬영하는 광각렌즈를 갖는 광각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 이동형 생중계 장치.
A mobile live relay device for real-time relaying to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a host terminal and a guest terminal using a relay terminal capable of real-time relaying,
A movable cart having a cart body on which shelves are formed and wheels supported by the cart body to move;
a communication unit that is supported by the mobile cart and transmits/receives data with the relay terminal;
a camera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fixed camera supported by the mobile cart to capture an image and a plurality of mobile cameras separated from the mobile cart and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unit to capture an image;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a photographe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and
The 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to the relay terminal so as to be displayed on the host terminal and the guest terminal, and the video of the host terminal received from the relay terminal, the video of the guest terminal, and the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nd responds to the input area data when any one area data among the image areas captured by the camera unit is input from the host terminal, the guest terminal, and the user input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mobile cameras so that the plurality of mobile cameras are moved to an area to take picture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lurality of mobile cameras to enlarge and captur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data in at least two directions after moving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input area data, and transmit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relay terminal;
The plurality of mobile cameras include a telephoto camera having a telephoto lens for capturing a long-distance area and a wide-angle camera having a wide-angle lens for capturing a wide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 카메라 각각은,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는 음성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속 이동형 생중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moving cameras,
A continuous mobile live broadcas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including a user's voice.
KR1020220036808A 2022-03-15 2022-03-24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KR1025012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808A KR102501244B1 (en) 2022-03-24 2022-03-24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PCT/KR2023/003491 WO2023177223A1 (en) 2022-03-15 2023-03-15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808A KR102501244B1 (en) 2022-03-24 2022-03-24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244B1 true KR102501244B1 (en) 2023-02-16

Family

ID=8532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808A KR102501244B1 (en) 2022-03-15 2022-03-24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2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223A1 (en) * 2022-03-15 2023-09-21 윤광현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518A (en) * 2012-06-22 2014-01-0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Method of video control using touch screen
US20180249368A1 (en) * 2015-02-02 2018-08-30 Accelerated Media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news gathering
KR20210092620A (en) * 2020-01-16 2021-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 movement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518A (en) * 2012-06-22 2014-01-0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Method of video control using touch screen
US20180249368A1 (en) * 2015-02-02 2018-08-30 Accelerated Media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news gathering
KR20210092620A (en) * 2020-01-16 2021-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 movement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223A1 (en) * 2022-03-15 2023-09-21 윤광현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4476A (en) System and method for teleinteraction
US88966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pth adaptive video conferencing
US7643064B1 (en) Predictive video device system
CN110349456B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terminal and classroom terminal of interactive classroom
JPH09247637A (en) Video audio communication system, video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s
US20190373216A1 (en) Videoconferencing device and method
US1107612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raming conversations in a meeting or a video conference
CN107809609B (en) Video monitoring conference system based on touch equipment
CN114827517A (en) Projection video conference system and video projection method
CN104144315A (en) Displaying method of multipoint videoconference and multipoint videoconference system
KR102501244B1 (en)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CN105635785A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nd controlling subframes in multiple frames, and multi-point control unit
US2022007834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205378084U (en) With no paper video conferencing system of accuse in intelligence
JP2007158680A (en) Tracking imaging apparatus and tracking imaging system utilizing it
JP200503357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body image
US10764535B1 (en) Facial tracking during video calls using remote control input
JPH0918849A (en) Photographing device
EP4106326A1 (en) Multi-camera automatic framing
CN104954730A (en) Video playing method and device
JP2007221437A (en) Remote conference system
JPH07135646A (en) Video conference system
JPH10136246A (en) Camera control system, camera management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system, camera operation device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800924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ing multiple video
WO2023177223A1 (en) Continuous mobile wireless live broadcasting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