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785B1 -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785B1
KR102500785B1 KR1020220008177A KR20220008177A KR102500785B1 KR 102500785 B1 KR102500785 B1 KR 102500785B1 KR 1020220008177 A KR1020220008177 A KR 1020220008177A KR 20220008177 A KR20220008177 A KR 20220008177A KR 102500785 B1 KR102500785 B1 KR 102500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asing
mount
latch
measur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용구
김의중
윤도남
신정훈
진교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계측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계측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자계측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8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785B1/en
Priority to KR1020230019614A priority patent/KR202301132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7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which can be applied to not only a field of monitoring damage to determine the safety of a newly constructed structure and an existing deteriorated structure but also a field of monitoring the deformed state of the structure which is being constructed. The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includes: a mount having an opening to face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a casin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ount, and having a moving path connected to the opening of the mount; and a sensor structure accommodating a control unit and a sensor housing connected to the moving path of the casing by a latch, and measuring the state of the structure by using a measuring sensor while the sensor housing ascends and descends according to push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structure by excluding a drilling work which may reduc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Description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및 그 시공 방법{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기존 노후 구조물과 시공된 신설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해 손상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분야뿐만 아니라 시공중인 구조물의 변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attached measuring terminal and a construction method applicable to the field of monitoring the deformation state of a structure under construction as well as the field of monitoring damage for safety diagnosis of existing old structures and newly constructed structures. will be.

교량, 축대, 터널, 댐, 원자력 발전소, 초고층 빌딩 등에서 구조물 안전진단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장대 교량의 경우 가속도계, 스트레인 게이지 등 수백개의 계측 센서가 케이블 및 상판과 교각에 설치되어 구조물 모니터링에 이용되고 있다.Structure safety diagnosis technology is very important in bridges, embankments, tunnels, dams, nuclear power plants, and skyscrapers. For example, in the case of long-span bridges, hundreds of measurement sensors such as accelerometers and strain gauges are installed on cables, decks, and piers to monitor the structure.

거대한 구조물의 손상을 더욱 정밀하게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많은 개수의 센서가 부착되어야 한다. 센서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에너지 공급과 측정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 각 센서에 해당하는 수만큼 신호 케이블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수백 수천 가닥의 신호 케이블들은 그 부피와 무게도 문제가 되지만 이를 관리하고 유지 보수하는 데도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또한 교량의 재하시험(loading test)에서 측정센서의 부착위치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예를 들어 단면력(section force)이 가장 큰 경간(徑間)이나 외관상 손상이 발생하여 구조적인 거동을 실측을 통해 검증이 필요한 경간(徑間)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해상, 하천 교량 등 실제 시공 현장에서는 유선 방식의 교량 처짐계(bridge deflection)의 설치 어려움으로 인해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한 경간(徑間)으로 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more precisely monitor the damage of a huge structure, a large number of sensors must be attached. As the number of sensors increases, the number of signal cables increases as much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sensor in order to supply energy and transmit measurement data. Hundreds and thousands of signal cables are also problematic in terms of volume and weight, but it is inevitably difficult to manage and maintain them.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properly determin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easurement sensor in the loading test of the bridge.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span that needs to be verified through actual measurement, but in actual construction sites such as sea and river bridges,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wired bridge deflection system. between) is being decided.

아래의 특허문헌 1에서는 신호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계측장비의 제약을 개선하기 위하여 센서측에 무선 송신기를 설치하고, 그 무선 송신기의 검측신호를 수신하는 무선계측장치가 개시된다. 아래의 특허문헌 2에서는 단일의 계측 장비를 이용하여 정적 구조물의 안전 진단에 관련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동특성 계측장비가 개시된다. 아래의 특허문헌 3에서는 하이브리드 센서가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하나의 지점 또는 다수의 지점에 설치되고, 다수의 계측장비(변형률센서, 위치센서, 대기압센서, 가속도센서, 충전배터리, 전력수신기, 제어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구조물의 각 지점에서 상태 진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여 중앙제어부로 전송하고, 중앙 제어부는 하이브리드 센서를 통해 구조물의 각 지점에서 수집된 정보를 근거로 구조물에 대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 및 파손을 예측하도록 하고 있다.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wireless measuring device for installing a wireless transmitter on a sensor side and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wireless transmitter in order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wired measuring equipment using a signal cable. In Patent Document 2 below, a dynamic characteristic measuring device capable of securing data related to safety diagnosis of a static structure using a single measuring device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below, the hybrid sensor is installed at one point or multiple points depending on the scale of th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measurement equipment (strain sensor, position sensor, atmospheric pressure sensor, acceleration sensor, rechargeable battery, power receiver, controller, Communication interface)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dition diagnosis at each point of the structure and transmits it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detects damage that may occur to the structure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each point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hybrid sensor. and damage prediction.

[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0687209호(2007년02월20일 등록)[Document 1]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687209 (registered on February 20, 2007) [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1458025호(2014년10월29일 등록)[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58025 (registered on October 29, 2014) [문헌3] 한국등록특허 제10-1543368호(2015년08월04일 등록)[Documen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43368 (registered on August 4, 2015)

없음doesn't exist

상기 특허문헌 1에서 마운팅 베이스를 구조물에 접착제로 부착시킨 다음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마운팅 베이스에 무선센서장치를 고정시키거나 구조물이 강재로 이루어진 경우 자석을 이용하여 무선센서장치를 구조물에 부착하고 있다. 또한 계측값의 온도 보상을 위하여 온도센서의 측정 온도값을 계측된 센서 데이터와 함께 무선 전송한다. 그러나, 시설물의 계측 위치에 온도센서를 가깝게 배치시키기 위한 설치 구조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측정 온도의 오차 발생으로 구조물 상태 진단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In Patent Document 1, the mounting base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with an adhesive, and then the wireless sensor device is fixed to the mounting base with a fixing means such as a bolt, or if the structure is made of steel, the wireless sensor device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using a magnet. . In addition,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of the measured value, the measured temperature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wirelessly transmitted along with the measured sensor data. However, a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rranging the temperature sensor close to the measuring position of the facility is not disclosed. Accordingly, the occurrence of an error in the measured temperature may be a factor that lowers the reliability of the diagnosis of the state of the structure.

상기 특허문헌 2에서 고정판의 상면에 센서모듈을 배치하고, 이 고정판은 측정 대상이 되는 고정 구조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 설치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에서 하이브리드 센서의 본체 케이싱은 원기둥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변형률센서, 위치센서, 대기압센서, 가속도센서를 수용하며, 케이싱의 외주면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나선이 형성된다. 구조물의 설치 지점에 암나사 구멍을 형성하여 본체의 케이싱 일부를 나사결합으로 삽입하여 하이브리드 센서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서는 계측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온도 보상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구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온도센서의 설치 구조에 대해서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서는 구조물에 계측 장비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 구멍을 형성하는 작업이 요구되며, 구조물에 구멍을 형성함으로 인해 구조물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In Patent Document 2, a sensor module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a fixed plate, and the fixed plat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bottom surface of a fixed structure to be measured. In Patent Document 3, the body casing of the hybrid sensor is made of a member in the form of a cylinder, and a strain sensor, a position sensor, an atmospheric pressure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ar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and a screwable spiral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ing. do. A female screw hole is formed at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structure, and a part of the casing of the main body is inserted through screw coupling to install the hybrid sensor. However, Patent Literature 2 and Patent Literature 3 do not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temperature compensating the data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not disclosed at all. 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and Patent Document 3, an operation of forming a screw hole is required to fix the measurement equipment to the structur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is lower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hole in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구멍 형성 작업을 배제시킴으로써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attached measuring termina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prevent damage to a structure by excluding a hole forming operation that can deteriorate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is i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운트에 케이싱을 결합하고, 평탄한 구조물 표면에 마운트 덮개를 대향시켜 접착제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mounted measurement termina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be easily and simply attached using an adhesive or double-sided adhesive tape by coupling a casing to a mount and facing the mount cover on a flat surface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싱의 이동 통로에 승하강하는 센서 하우징의 위치 제어를 통하여 센서 하우징에 수납된 온도 센서를 구조물에 근접 배치시킬 수 있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mounted measuring termina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apable of placing a temperature sensor housed in a sensor housing close to a structure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housing moving up and down in a moving passage of a cas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운트와 케이싱이 착탈 구조로 연결되고 마운트에서 케이싱의 개별적 분리가 가능하여 구성품 교체 및 고장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attached measuring terminal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n which a mount and a casing are connec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a casing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 so that component replacement and breakdown repair can be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싱에 설치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센서 하우징에 수납된 계측 센서뿐만 아니라 신호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받은 외부 계측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 단말에 무선 송출할 수 있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mounted measurement terminal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measurement data of not only a measurement sensor stored in a sensor housing but also an external measurement sensor transmitted through a signal cable to a remote management terminal using an antenna installed in a casing. And to provide the construction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는, 측정 대상의 구조물에 대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마운트; 상기 마운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운트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이동 통로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이동 통로에 래치 결합된 센서 하우징과 조작부가 수납되고, 상기 조작부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하우징이 승하강되며 계측 센서를 이용하여 구조물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ount formed with an opening facing a structure of a measurement target; a cas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 and having a moving passage communicating with an opening of the mount; A sensor structure in which a latch-coupled sensor housing and an operating unit are accommodated in the moving passage of the casing, the sensor housing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and measures a state of the structure using a measurement sensor. do.

또한, 상기 조작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 통로에 수납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누름 조작시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수축되며, 상기 조작부의 누름 조작해제시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movement passage to elastically support the manipulation unit, the first elastic member contracts when the manipulation unit is pressed, and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is released, the first elastic member characterized by relaxation.

또한, 상기 센서 하우징은 계측 센서가 내장된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에 일체 결합된 래치부를 포함하고, 래치 결합시 상기 센서 하우징이 상기 개구부 안으로 당겨지며, 래치 결합해제시 상기 센서 하우징이 상기 개구부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housing includes a sensor module with a built-in measurement sensor and a latch unit integrally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the sensor housing is pulled into the opening when the latch is engaged, and the sensor housing is pulled out of the opening when the latch is released. It is characterized by protrusion.

또한, 상기 센서 구조체는 상기 래치부와 조작부 사이에 개재된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latch unit and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센서 모듈은 일측이 개구된 센서캡, 상기 센서캡에 설치되는 기판 지지대, 상기 기판 지지대에 안착되고 계측 센서가 구비된 센서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캡의 내부에 센서 고정부재로서 수납홈 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includes a sensor cap with one side opened, a substrate support installed on the sensor cap, and a sensor circuit board seated on the substrate support and equipped with a measurement sensor, as a sensor fixing member inside the sensor ca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ceiving groove or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또한, 상기 센서 회로기판은 구조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캡은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센서캡의 수납홈에 상기 온도 센서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circuit board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tructure, the sensor cap is made of aluminum,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accommodated in a receiving groove of the sensor cap.

또한, 상기 래치부는 래치 홀더, 상기 래치 홀더에 지지되는 래치 하우징, 상기 래치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록킹핀, 상기 래치 하우징 내부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록킹핀 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래치 몸체, 상기 래치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양단이 벌어지는 걸림턱, 상기 래치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일측이 개구된 버튼캡, 상기 버튼캡 내부에 돌출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tch unit includes a latch holder, a latch housing supported by the latch holder, a locking pin hinged to one side of the latch housing, and a guide groove installed in the latch housing to be retractable and guiding movement of an end portion of the locking pin. A latch body formed thereon, a locking jaw formed on one side of the latch body and having both ends widened, and a third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tch body,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button cap having one side opened, and an inside of the button cap.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truding fixing protrusion.

또한, 상기 래치 몸체의 걸림턱에 상기 버튼캡의 고정돌기가 체결됨에 따라 래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 몸체의 걸림턱에 상기 버튼캡의 고정돌기가 분리됨에 따라 래치 결합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tch is coupled as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button cap is fastened to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latch body, and the latch is released as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button cap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latch body. do.

또한, 상기 버튼캡을 연속적으로 누름 조작시 래치 결합과 래치 결합해제이 교번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engagement and latch release are performed alternately when the button cap is continuously pressed.

또한, 상기 케이싱은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케이싱 몸체, 상기 케이싱 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케이싱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몸체와 상기 케이싱 덮개에 상기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중공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ing includes a tubular casing body with an open top and a casing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body, and the casing body and the casing cover are formed so that a hollow providing the movement passage vertically penetrates the casing body and the casing cover.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마운트의 후크에 결합되는 후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ok fixing portion coupled to the hook of the mount.

또한, 상기 후크 고정부는 상기 케이싱 몸체의 상단 일부분을 절개한 절개홈, 상기 케이싱 덮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고정부에 상기 마운트의 후크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ok fixing part includes an incision groove formed by cutting an upper portion of the casing body and a protrusion formed on an edge of the casing cover, and the hook of the mount is fitted into the hook fixing part.

또한, 상기 케이싱 몸체는 외측 가장자리에 돌출된 외측 지지벽, 상기 외측 지지벽에서 이격되어 내측에 돌출된 내측 지지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지지벽과 상기 내측 지지벽에 사이에 배터리를 포함하는 부속품을 수납하는 부속품 수납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ing body includes an outer support wall protruding from an outer edge, an inner support wall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pport wall and protruding inward, and an accessory including a battery between the outer support wall and the inner support wal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ories storage room for storing is formed.

또한, 상기 내측 지지벽의 하단에 상기 센서 구조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prevention bump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pport wall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sensor structure.

또한, 상기 케이싱 몸체에 외부 계측 센서의 측정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속품 수납실의 일측에 상기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조 회로기판이 수납되는 기판 수납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ermina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of a signal cable for transmitting a measurement signal of an external measurement senso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asing body, and an auxiliary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is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accessory storage roo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bstrate storage room is provided.

또한, 상기 부속품 수납실을 구획하는 격벽이 마련되고, 상기 격벽의 상부에 메인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accessory storage room is provided, and a main circuit boar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또한, 상기 케이싱 덮개에 상기 케이싱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홈이 형성되는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ositioning groove for determining a coupling position of the casing is formed in the casing cover.

또한, 상기 마운트는 상부가 평탄하게 형성된 마운트 덮개, 상기 마운트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고 마운트 지지벽에 의해 둘러싸이고 일측이 개구된 케이싱 수납실이 형성된 마운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 덮개와 상기 마운트 몸체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 includes a mount cover having a flat top, a mount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unt cover, surrounded by a mount support wall, and having a casing storage chamber having one side opened, the mount cover and the mount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in.

또한, 상기 케이싱 수납실에 상기 케이싱을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ok for coupling the casing to the casing storage room is formed.

또한, 상기 마운트 몸체는 상기 마운트 지지벽의 일부를 절개시킨 요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 body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concave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mount support wall is cut.

또한, 상기 마운트 덮개에 상기 케이싱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sitioning protrusion for determin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asing is formed on the mount cov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ㅅ시공 방법은,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마운트와 케이싱 및 센서 구조체를 구비한 계측 단말기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센서 구조체의 일측에 마련된 버튼캡의 누름 조작으로 상기 센서 구조체에 마련된 센서 하우징의 센서캡을 상향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구조물 표면에 상기 센서캡을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ttaching a measurement terminal having a mount, a casing, and a sensor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on a surface of a structure to be measured; And moving the sensor cap of the sensor housing provided on the sensor structure upward by pressing the button cap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nsor structure to bring the sensor cap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do.

또한, 상기 계측 단말기는 상기 마운트의 케이싱 수납실에 케이싱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에 연통하는 상기 케이싱의 이동 통로에 상기 센서 구조체가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asuring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a casin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ing storage compartment of the mount, and the sensor structure is movably accommodated in a moving passage of the casing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또한, 상기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상기 마운트의 개구부를 대향시키고 상기 마운트의 상부를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부착하고, 상기 마운트의 케이싱 수납실에 케이싱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f the mount is oppos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arget, the upper part of the moun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arget, and the casing is coupled to the casing storage chamber of the mount.

또한, 상기 상기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상기 케이싱이 결합된 마운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 coupled to the casing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arget.

또한, 상기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마운트에서 상기 케이싱과 센서 구조체를 일괄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llectively separating the casing and the sensor structure from the moun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또한, 상기 마운트과 구조물 표면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설치 지점의 구조물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lanarizing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at the installation point to strengthe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mount and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다음의 장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마운트에 케이싱을 사전에 결합하고 구조물 표면에 마운트 덮개를 접착제나 양면 점착 테이프로 접착함으로써 계측 장치의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구멍 형성 작업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지점에서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by combining the casing with the mount in advance and attaching the mount cover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with adhesive or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measuring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hole formation work that can deteriorate the durability of the structure can be eliminated. Because of this, damage to the structure at the installation point can be prevented.

둘째, 케이싱의 이동 통로에 승하강하는 센서 하우징의 위치 제어를 통하여 센서 하우징에 수납된 온도 센서를 구조물에 근접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오차를 줄여 구조물 상태 진단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다. Second, since the temperature sensor housed in the sensor housing can be placed close to the structure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ensor housing moving up and down in the moving passage of the casing, the reliability of the diagnosis of the state of the structure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measurement error.

셋째, 마운트와 케이싱이 착탈 구조로 연결되고 마운트에서 케이싱의 개별적 분리가 가능하여 구성품 교체 및 고장 수리 작업이 용이하고, 분리된 구성품을 선별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mount and the casing are connec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the casing can be individually separated from the mount, it is easy to replace components and repair work, and since the separated components can be reused selectively, cost can be reduced.

넷째, 센서 하우징의 계측 센서 뿐만 아니라 신호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받은 외부 계측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 단말에 무선 전송할 수 있어 측정 대상 구조물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외부 계측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뛰어난 확장성을 가진다.Fourth, measurement data from external measurement sensors transmitted through signal cables as well as measurement sensors in the sensor housing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a management terminal in a remote location, so measurement data from various external measurement sensors can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It has excellent extensi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에서 케이싱을 분리하여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에서 케이싱을 분리하여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의 케이싱 덮개를 분리하여 센서 구조체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의 이동 통로에 센서 구조체와 제1 탄성부재를 삽입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부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결합에 의해 센서캡이 개구부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록킹핀의 단부가 래치 몸체의 걸림턱에 걸려 래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결합해제시 센서캡이 개구부 밖으로 돌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록킹핀의 단부가 래치 몸체의 걸림턱에서 안내홈으로 빠져 나와 래치 결합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시공 방법으로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마운트와 케이싱을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시공 방법으로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케이싱이 결합된 마운트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케이싱을 마운트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다수의 측점에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를 시공한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below by separating the casing from th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by separating the casing from the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ccommodation state of the sensor structure by separating the casing cover of the ca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inserting a sensor structure and a first elastic member into a moving passage of a ca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ns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la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cap is accommodated in an opening by coupling a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locking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oked to the latch body and coupled to the latch;
10A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cap protrudes out of an opening when a latch is relea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locking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eased from the latch body through the guide groove and the latch is disengage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quentially constructing a mount and a casing on the surface of a structure of a measurement target in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mount in which a casing is coupled to a surface of a structure of a measurement target by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casing of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from a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structure-mounted measurement terminals are constructed at a plurality of measurement points of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에서 케이싱을 분리하여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에서 케이싱을 분리하여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with a casing separated from a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mou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with the casing removed fro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1)는 계측 센서가 내장된 센서 구조체(10), 센서 구조체(10)를 수납하는 케이싱(30), 센서 구조체(10)와 케이싱(30)을 지지하는 마운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마운트(50)를 이용하여 손상 여부를 모니터링하려는 측정 대상의 구조물에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1)가 설치될 수 있다.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structure 10 with a built-in measurement sensor, a casing 30 accommodating the sensor structure 10, and the sensor structure 10 and the casing 30. It may include a mount 50 for supporting.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1 may be installed on a structure of a measurement target to be monitored for damage using the mount 50 .

도 3을 참고하여, 마운트(50)는 상부가 평탄하고 대체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마운트 덮개(580), 마운트 덮개(580)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운트 몸체(51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 덮개(580)와 마운트 몸체(510)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일체 결합된다. Referring to FIG. 3 , the mount 50 may include a mount cover 580 having a flat top and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a mount body 51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unt cover 580 . The mount cover 580 and the mount body 510 are integrally coupled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마운트 덮개(580)와 마운트 몸체(510)에는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570)가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부(570)는 마운트 덮개(580)와 마운트 몸체(510)의 중앙에 원형 중공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중앙에서 외측으로 치우친 편심위치에 개구부(57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57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The mount cover 580 and the mount body 510 are formed with openings 570 penetrating vertically. Here, the opening 570 is formed as a circular hollow at the center of the mount cover 580 and the mount body 5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pening 570 may be formed at an eccentric position biased outward from the center. Also, the shape of the opening 570 may be variously modified.

마운트 몸체(510)는 대체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마운트 지지벽(540)이 하향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일측이 개구되고 마운트 지지벽(540)에 둘러싸이는 케이싱 수납실(520)이 형성된다. The mount body 510 is generally formed in a disk shape, and the mount support wall 540 protrudes downward at the edge, and a casing storage chamber 520 is formed at one side and surrounded by the mount support wall 540 at the bottom. .

케이싱 수납실(520)에는 후크(530)를 형성할 수 있다. 후크(530)는 케이싱(30)을 결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마운트 몸체(510)의 저면이나 마운트 지지벽(540) 내측면에 대략 L자 형상으로 꺽인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 수납실(520)에 삽입된 케이싱(3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술하는 케이싱(30)의 후크 고정부(360)에 후크(530)가 끼워져 상호 체결이 이루어진다. 후크(530) 및 후크 고정부(360)가 하나의 쌍을 이루게 되는데, 실시예에서 3쌍의 후크 및 후크 고정부가 일정 간격 이격설치되어 있으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면 후크와 후크 고정부의 형상과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A hook 530 may be formed in the casing storage room 520 . The hook 530 is for binding the casing 30, and may be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bent in an L shap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 body 51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 support wall 540. When the casing 30 inserted into the casing storage chamber 5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hook 530 is inserted into the hook fixing part 360 of the casing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mutual fastening is performed. The hook 530 and the hook fixing part 360 form a pair. In the embodiment, the three pairs of hooks and the hook fixing part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but if they can be detachably coupled, the hook and the hook fixing part Shape and number can be changed.

케이싱 분리는 체결 동작의 역순으로 케이싱(30)을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크(530)가 후크 고정부(360)에서 이탈되어 케이싱 수납실(520)에서 케이싱(3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In case of casing separation, when the casing 3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astening operation, the hook 530 is separated from the hook fixing part 360, and the casing 3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sing storage chamber 520.

마운트 몸체(510)의 저면에 케이싱(3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돌기(560)가 형성된다. 마운트(50)에 케이싱(30) 결합시 위치 결정돌기(560)가 후술할 케이싱 덮개(380)의 위치 결정홈(381)에 삽입된다.A positioning protrusion 560 for determin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asing 3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 body 510 . When the casing 30 is coupled to the mount 50, the positioning protrusion 56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381 of the casing cover 380 to be described later.

마운트 몸체(510)에는 마운트 지지벽(540) 일부를 절개한 요홈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수납실(520)에 케이싱(30)을 결합시 케이싱(30)의 측면 일부분이 요홈부(55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mount body 510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550 in which a portion of the mount support wall 540 is cut. When the casing 30 is coupled to the casing storage chamber 520,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asing 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cave portion 550.

접착제나 양면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구조물 표면에 마운트 덮개(58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570)를 제외한 상부 부착면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 다음 마운트 덮개(580)를 설치 지점에 밀착시키면 구조물 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여기서 구조물 표면과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설치 지점의 구조물 표면을 평탄화하는 준비를 사전에 실시할 수도 있다. The mount cover 580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using an adhesive or double-sided adhesive tape. For example, if adhesive is applied to the upper attachment surface except for the opening 570, and then the mount cover 580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stallation point, it is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Here, preparation for flattening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at the installation point may be performed in advance in order to strengthen the adhesive force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마운트(50)가 부착되더라도 마운트 덮개(580)의 개구부(570)에 대응하는 구조물의 일부분은 마운트 덮개(580)의 상부와 밀착되지 않아 노출된다.Even when the mount 50 is attached, a portion of 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570 of the mount cover 580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of the mount cover 580 and is exposed.

도 4를 참고하여, 케이싱(30)은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케이싱 몸체(310), 케이싱 몸체(3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케이싱 덮개(38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 덮개(380)는 상부가 평탄한 대체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싱 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casing 30 may include a tubular casing body 310 having an open top and a casing cover 380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body 310 . The casing cover 380 may be formed in a generally disk shape with a flat top and coupled to the casing body 310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케이싱 덮개(380) 후면에는 센서 구조체(10)의 조작부(160)를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턱(384)이 형성된다.A protrusion 384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0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ntrol unit 160 of the sensor structure 1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cover 380 .

케이싱 몸체(310)와 케이싱 덮개(380) 각각에 원형 중공이 중앙에 형성된다. 이 때 케이싱 몸체(310)의 원형 중공이 케이싱 덮개(380)의 원형 중공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 몸체(310)와 케이싱 덮개(380)의 결합에 의해 원형 중공들이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동 통로(370)를 형성할 수 있다. A circular hollow is formed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casing body 310 and the casing cover 380 . In this case, the circular hollow of the casing body 310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e circular hollow of the casing cover 380 . By coupling the casing body 310 and the casing cover 380, circular hollows may be disposed in the axial direction to form the moving passage 370.

케이싱(30)에는 마운트(50)의 후크(530)가 끼움 결합되는 후크 고정부(360)를 형성할 수 있다. 후크 고정부(360)는 후크(5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A hook fixing part 360 into which the hook 530 of the mount 50 is fitted can be formed in the casing 30 . A plurality of hook fixing parts 360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hooks 530 .

후크 고정부(360)는 케이싱 몸체(310)의 상단 일부분을 절개한 절개홈(361)과 케이싱 덮개(38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362)로 이루어지는데, 케이싱 몸체(310)에 케이싱 덮개(380)를 결합시 절개홈(361)과 돌기(362)가 합체되어 대체로 후크 형상에 대응하는 후크 삽입용 걸이홈을 형성한다. 이 걸이홈은 입구가 넓고 출구가 막힌 홈구조로 형성되어 L자 형상의 후크(540)가 쉽게 끼워질 수 있다.The hook fixing part 360 is composed of a cutout groove 361 cut into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asing body 310 and a protrusion 362 formed on the edge of the casing cover 380, and the casing cover on the casing body 310 ( 380), the incision groove 361 and the protrusion 362 are combined to form a hook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a hook shape. This catching groove is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with a wide inlet and a closed outlet, so that the L-shaped hook 540 can be easily inserted therein.

케이싱 덮개(380) 상부에 일정 깊이의 원호형 위치 결정홈(381)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홈(381)에 마운트(50)의 위치 결정돌기(560)가 삽입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케이싱(30)이 잘못된 위치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 arc-shaped positioning groove 381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cover 380 . By inducing the positioning protrusion 560 of the mount 50 to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groove 38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ing 30 from being inserted in an incorrect position.

케이싱 몸체(310)는 몸체 하부에서 기립되어 동심원 형태로 형성되는 외측 지지벽(320)과 내측 지지벽(340)을 포함한다. 외측 지지벽(320)은 케이싱 몸체의 외측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내측 지지벽(340)은 외측 지지벽(320)에서 이격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된다. The casing body 310 includes an outer support wall 320 and an inner support wall 340 formed in a concentric circle shape by standing up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The outer support wall 320 protrudes to a certain height from the outer edge of the casing body, and the inner support wall 340 protrudes from the outer support wall 320 to a certain height.

케이싱 몸체(310)에는 외측 지지벽(320)과 내측 지지벽(340)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속품 수납실(35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속품 수납실(350)에는 배터리(356) 등의 부속품을 수납하기 위한 환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 환형의 내부 공간은 다수의 격벽(35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The casing body 310 may include an accessory storage room 350 surrounded by an outer support wall 320 and an inner support wall 340 . An annular internal space for accommodating accessories such as a battery 356 is formed in the accessory storage room 350 , and the annular internal space may be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51 .

격벽(351) 상부에는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홈(352))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351)의 나사홈(352)은 케이싱 덮개(380)의 후면에 형성된 나사홈(382)에 대응하여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격벽(351)의 나사홈(352)에 원호형 메인 회로기판(390)의 나사홈(391)과 케이싱 덮개(380)의 나사홈(382)을 정렬시키고 볼트 체결하면, 케이싱 덮개(380)가 케이싱 몸체(310) 상부에 결합될 수 있고, 격벽(351) 상부에 견고히 고정된 메인 회로기판(390)은 케이싱 덮개(380) 하부에 수납될 수 있다. 메인 회로기판(390)에는 계측 센서의 계측값을 신호처리하기 위한 제어모듈과 측정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된다.A screw groove 352 into which a bolt is screwed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51 . The number of screw holes 352 of the bulkhead 351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crew holes 382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ing cover 380 . 5, when the screw hole 391 of the arc-shaped main circuit board 390 and the screw hole 382 of the casing cover 380 are aligned with the screw hole 352 of the bulkhead 351 and bolted, The casing cover 38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body 310 , and the main circuit board 390 firm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351 may be accommodated under the casing cover 380 . The main circuit board 390 is provided with a control module for signal processing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measurement sensor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measurement data.

부속품 수납실(350)에는 플레이트 형상의 보조 회로기판(392)을 수납하는 기판 수납실(353)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지지벽(330) 일부는 기판 수납실(353)에 대향하여 평판형 외측 수직벽(330)이 형성되고, 외측 수직벽(330)의 내측에는 보조 회로기판(39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격벽(354)이 형성된다. 보조 격벽(354) 상부의 나사홈(355)에 케이싱 덮개(380)의 나사홈(383) 또는 메인 회로기판(390)의 나사홈(391)을 정렬시키고 볼트로 체결하게 된다.A board storage room 353 for accommodating the plate-shaped auxiliary circuit board 392 may be formed in the accessory storage room 350 . A portion of the outer support wall 330 faces the board storage chamber 353 to form a flat outer vertical wall 330, and inside the outer vertical wall 330 to prevent the auxiliary circuit board 392 from moving. An auxiliary barrier rib 354 is formed. The screw hole 383 of the casing cover 380 or the screw hole 391 of the main circuit board 390 is aligned with the screw hole 355 of the auxiliary bulkhead 354 and fastened with bolts.

구조물의 변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외부 계측 센서(80)로서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사용된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 설치하므로,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해 수집된 측정 데이터를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1)의 통신 모듈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 단말에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외측 수직벽(330)에는 기판 수납실(353)에 연통하는 단자 삽입홈(331)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삽입홈(331)에 보조 회로기판(392)의 케이블 접속포트가 위치하게 된다. 스트레인게이지의 신호 케이블(70)에 접속 단자가 마련되고, 신호 케이블(70)의 접속단자가 단자 삽입홈(331)을 통하여 케이블 접속포트에 삽입되어 보조 회로기판(39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1)에는 구조물 표면에 설치된 외부 계측센서의 측정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As an external measurement sensor 80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state of a structure, as illustrated in FIG. 14, a strain gauge capable of measuring strain is used. Since the strain gauge is closely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transmit measurement data collected by the strain gauge to a remot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1. In consideration of this, a plurality of terminal insertion grooves 331 communicating with the substrate storage chamber 353 may be formed on the outer vertical wall 330 . The cable connection port of the auxiliary circuit board 392 is located in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331 . A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to the signal cable 70 of the strain gaug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ignal cable 70 is inserted into the cable connection port through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33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circuit board 392. In this way, a signal cable for transmitting a measurement signal of an external measurement sensor installed on a surface of a structure may be connected to the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1 .

도 6을 참고하여, 이동 통로(370)는 내측 지지벽(340)에 의해 둘러싸여 부속품 수납실(350)과 격리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대체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 the moving passage 370 is surrounded by an inner support wall 340 and is isolated from the accessory storage room 350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센서 구조체(10)는 래치 구조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되는 센서 하우징(110)과 조작부(160)를 포함한다.The sensor structure 10 includes a sensor housing 110 and a manipulation unit 160 coupled or separated by a latch structure.

센서 구조체(10)는 제1 탄성부재(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이통 통로(370)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부재(2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sensor structure 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20 and can be stored in the passageway 370 to be moved up and down. Here, the first elastic member 20 may be implemented as a coil spring.

도 7을 참고하여, 센서 하우징(110)은 계측 센서가 내장된 센서 모듈(120), 센서 모듈(120)에 일체 결합된 래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구조체(10)는 래치부(140)와 조작부(160) 사이에 개재된 제2 탄성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sensor housing 110 may include a sensor module 120 in which a measurement sensor is embedded and a latch unit 140 integrally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120 . The sensor structure 10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150 interposed between the latch unit 140 and the control unit 160 .

조작부(160)는 버튼캡(161), 걸림구(162), 고정돌기(163), 안내벽(164)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a button cap 161 , a hook 162 , a fixing protrusion 163 , and a guide wall 164 .

버튼캡(161)은 일측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버튼캡(161)의 하부는 누름 조작을 위하여 케이싱(30) 밖으로 돌출된다. 걸림구(162)는 버튼캡(161)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걸림구(162)가 이탈 방지턱(34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버튼캡(161)은 이동 통로(370) 밖으로 이탈되지 않는다.The button cap 16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button cap 161 protrudes out of the casing 30 for a pressing operation. The hook 162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cap 161 . Since the hook 162 is supported by the breakaway bump 341, the button cap 161 does not come out of the moving passage 370.

고정돌기(163)는 버튼캡(161) 내부에 돌출 형성되고, 첨두 부분은 대체로 화살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ing protrusion 163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button cap 161, and the tip portion may be generally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head.

안내벽(164)은 래치 홀더(141)의 외주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며, 누름 조작시 버튼캡(161)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향 이동하는 버튼캡(161)의 고정돌기(163)가 래치몸체(144)에 접근하여 래치몸체(144)의 조임구(147)에 정확하게 결합되게 된다.The guide wall 164 slid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tch holder 141 and serves to guide the button cap 161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out tilting during a pressing operation. Accordingly, the fixing protrusion 163 of the button cap 161 that moves upward approaches the latch body 144 and is accurately coupled to the fastener 147 of the latch body 144 .

센서 모듈(120)은 일측이 개구된 센서캡(130), 센서캡(130)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 지지대(133), 기판 지지대(133)에 안착되는 센서 회로기판(1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20 may include a sensor cap 130 having one side opened, a substrate support 133 installed inside the sensor cap 130, and a sensor circuit board 135 seated on the substrate support 133. .

기판 지지대(133)는 사각틀 양측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볼트를 이용하여 센서캡(130)에 체결될 수 있다. 기판 지지대(133)에는 센서 회로기판(135)과 메인 회로기판(390) 사이를 연결하는 신호 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 구멍(134)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bstrate support 133 may have screw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quare frame, and may be fastened to the sensor cap 130 using bolts. A cable hole 134 into which a signal cable connecting between the sensor circuit board 135 and the main circuit board 39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ubstrate support 133 .

센서 회로기판(135)에는 적어도 하나의 계측 센서 예를 들어 온도 센서(136), 가속도 센서(137), 기울기 센서(138), 자이로 센서(139)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온도 센서(136), 가속도 센서(137), 기울기 센서(138), 자이로 센서(139)는 센서용 반도체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one measurement sensor, for example, a temperature sensor 136, an acceleration sensor 137, a tilt sensor 138, and a gyro sensor 139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circuit board 135. Here, the temperature sensor 136, the acceleration sensor 137, the tilt sensor 138, and the gyro sensor 139 may be implemented as a sensor semiconductor chip.

센서 회로기판(135)에 연결된 계측 센서들은 서로 다른 높이 단차가 있을 수 있고, 이를 고려하여 센서캡(130)의 내부 바닥면에 센서 고정부재로서 수납홈(131) 또는 지지돌기(132)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캡(130)의 수납홈(131)에 온도 센서(136)가 수납된다. 온도 센서(136)보다 낮은 단차의 가속도 센서(137), 기울기 센서(138), 자이로 센서(139)는 대응하는 지지돌기들(132)에 지지된다.Measurement sensors connected to the sensor circuit board 135 may have different height steps, and in consideration of this, a receiving groove 131 or a support protrusion 132 is formed as a sensor fixing member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nsor cap 130. has been The temperature sensor 136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 131 of the sensor cap 130 . The acceleration sensor 137 , the inclination sensor 138 , and the gyro sensor 139 having a step lower than the temperature sensor 136 are supported by corresponding support protrusions 132 .

센서캡(130) 재질은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캡(130)의 상부는 개구부(570)에 노출된 구조물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납홈(131)의 온도 센서(136)가 구조물 표면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ensor cap 130 is preferably made of an aluminum alloy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temperature sensor 136 of the receiving groove 131 can accurate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while the top of the sensor cap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570 .

래치부(140)는 래치 홀더(141), 래치 홀더(14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박스 형상의 래치 하우징(142), 래치 몸체(144), 록킹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tch unit 140 may include a latch holder 141 , a box-shaped latch housing 142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atch holder 141 , a latch body 144 , and a locking pin 143 .

래치 홀더(141) 상부는 볼트를 이용하여 센서캡(130) 하부에 일체로 결합된다. 래치 홀더(141) 하부에 래치 하우징(142)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The upper part of the latch holder 141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nsor cap 130 using bolt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latch housing 142 is inserted is formed below the latch holder 141 .

도 8을 참고하여, 래치 몸체(144)는 래치 하우징(142) 내부 공간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된다. 록킹핀(143)은 래치 하우징(142) 내부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록킹핀(143)은 금속 재질의 핀을 U자 형태로 밴딩하고 양측 단부가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다. 래치 하우징(142)과 래치 몸체(144)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latch body 144 is installed to be retractable in the inner space of the latch housing 142 . The locking pin 143 is hinged to one side inside the latch housing 142 . The locking pin 143 bends a pin made of metal in a U-shape, and both ends thereof are bent to face each other. The latch housing 142 and the latch body 144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래치 하우징(142)의 입구(142a)는 래치몸체(144)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확장될 수 있다. 래치 하우징(142)의 양측면에 결합돌기(142c)가 형성되고, 래치 홀더(141)의 삽입홈에 래치 하우징(142)의 결합돌기(142c)가 결합되어 래치홀더(141)와 래치 하우징(142)은 일체화된다.The inlet 142a of the latch housing 142 may be extended so that the latch body 144 can easily enter. Engagement protrusions 142c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atch housing 142,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s 142c of the latch housing 142 are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s of the latch holder 141 to form the latch holder 141 and the latch housing 142. ) is integrated.

래치 하우징(142)의 상부에는 내부 공간에 연통하는 슬릿(142b)이 형성된다. 슬릿(142a)에 래치몸체(144)의 상면에 돌출된 안내 돌기(144a)가 삽입된다. 슬릿(142b)에 삽입된 안내 돌기(144a)에 의해 래치몸체(144)는 래치 하우징(142) 내부에 안정적으로 진퇴 이동하게 된다. A slit 142b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atch housing 142 . A guide protrusion 144a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atch body 144 is inserted into the slit 142a. The latch body 144 is stably moved back and forth inside the latch housing 142 by the guide protrusion 144a inserted into the slit 142b.

래치 몸체(144)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록킹핀(143)의 양측 단부가 대향하여 록킹핀(143)의 양측 단부가 이동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홈(145)이 형성된다. 안내홈(145)에는 록킹핀(143) 단부가 걸려지는 걸림턱(146)이 형성된다.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latch body 144, both ends of the locking pin 143 face each other, and guide grooves 145 guiding a path along which both ends of the locking pin 143 move are formed. A locking jaw 146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145 to which the end of the locking pin 143 is hooked.

래치 몸체(144) 일측에 조임구(147)가 형성되고, 래치 몸체(144)의 타측에 제3 탄성부재(148)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149)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임구(147)는 양단이 벌어진 집게 형태로 형성되고 래치 몸체(144)에 연결되는 부위가 가늘게 형성될 수 있다. A fastening hole 147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atch body 144 , and an accommodation groove 149 for accommodating the third elastic member 148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atch body 144 . The fastener 147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lamp with both ends wide open, and a portion connected to the latch body 144 may be formed thin.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결합에 의해 센서캡이 개구부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록킹핀의 단부가 래치 하우징에 삽입된 래치 몸체의 걸림턱에 걸려 래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9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cap is accommodated in an opening by coupling a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nd of a locking pin inserted into a latch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atch is engaged with the latch body by being hooked on the protrusion of the latch body.

이동 통로(370) 출구는 개구부(570)에 연통되고, 이에 따라 이동 통로(370)에 수납된 센서 구조체(10)의 상부가 승강 이동하여 개구부(570)에 노출된 구조물 표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동 통로(370) 입구에 이탈 방지턱(341)이 형성된다. 이탈 방지턱(341)은 내측 지지벽(340)의 하부에서 이동 통로(370)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동 통로(370)의 출구를 통해 삽입된 센서 구조체(10)의 하부 일측이 이탈 방지턱(341)에 걸려 이동 통로(370)의 입구 밖으로 이탈되지 않는다.The outlet of the moving passage 370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570, and accordingly, the upper part of the sensor structure 10 accommodated in the moving passage 370 moves up and down so that it can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570. . A separation barrier 341 is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moving passage 370 . The breakaway bump 341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support wall 340 toward the center of the moving passage 370 . One lower side of the sensor structure 10 inserted through the exit of the moving passage 370 is caught on the release barrier 341 and does not escape out of the entrance of the moving passage 370 .

제1 탄성부재(20) 상부는 케이싱 덮개(380)의 돌출턱(384)에 지지되고 제1 탄성부재(20)의 하부는 버튼캡(161)의 걸림구(162)에 지지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0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384 of the casing cover 38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0 is supported by the hook 162 of the button cap 161 .

버튼캡(161)의 누름 조작으로 버튼캡(161)이 이동 통로(370)의 상부 방향으로 올라가면 제1 탄성부재(20)가 수축된다. 수축 상태에서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제1 탄성부재(20)가 이완되면서 걸림구(162)에 탄성력이 가해져 버튼캡(161)을 하향 이동시키고 걸림구(162)가 이탈 방지턱(341)에 의해 저지될 때까지 하강이 지속된다. When the button cap 161 goes up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moving passage 370 by pressing the button cap 161, the first elastic member 20 is contracted. When the pressing operation is released in the contracted state, the first elastic member 20 is relaxed, and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locking member 162 to move the button cap 161 downward, and the locking member 162 is prevented by the departure prevention bump 341 The descent continues until

래치 결합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The latch coupl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래치 몸체(144)의 조임구(147)와 버튼캡(161)의 고정돌기(163)가 분리된 경우(도 10a 참고), 누름 조작으로 버튼캡(161)을 상향 이동시키면 고정돌기(163)가 래치몸체(144)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제1 탄성부재(20)와 제2 탄성부재(150)가 수축될 수 있다. 센서캡(130)의 하단은 이동 통로(370)의 출구측에 배치된 케이싱 덮개(380)에 의해 이동 제한되고 상향 이동하는 고정돌기(163)에 의해 래치 몸체(144)에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 고정돌기(163)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래치 몸체(144)가 래치 하우징(142)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홈(149)에 수납된 제3 탄성부재(148)가 수축되고, 록킹핀(143)의 단부는 안내홈(145)을 따라 이동하여 걸림턱(146)에 걸려지고 래치 몸체(144)의 조임구(147)는 래치 하우징(142)의 입구(142a)에 위치하게 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하우징(142)의 입구(142a)에서 고정돌기(163)와 래치 몸체(144)의 조임구(147)는 맞물려 결합되고, 조임구(147)는 크게 벌어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록킹핀(143) 단부가 걸림턱(146)에 걸리면 고정돌기(163)와 조임구(147)의 결합이 유지되고, 제2 탄성부재(150)의 수축 상태는 유지된다. 이때 버튼캡(161)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여 버튼캡(16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1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캡(161)이 하향 이동되고, 래치 홀더(141)와 일체 결합된 센서 하우징(110)의 센서캡(130)이 하향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fastener 147 of the latch body 144 and the fixing protrusion 163 of the button cap 161 are separated (see FIG. 10A), when the button cap 161 is moved upward by a pressing operation, the fixing protrusion 163 moves toward the latch body 144.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member 2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50 may contract. The lower end of the sensor cap 130 is restricted in movement by the casing cover 380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movement passage 370, and a pressing force acts on the latch body 144 by the upwardly moving fixing protrusion 163. The latch body 144 pushed up by the fixing protrusion 163 enters the inside of the latch housing 142, and as shown in FIG. 9B, the third elastic member 148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49 Contracted, the end of the locking pin 143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45 and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146, and the fastener 147 of the latch body 144 is the inlet 142a of the latch housing 142 will be located in As shown in FIG. 9A, at the inlet 142a of the latch housing 142, the fixing protrusion 163 and the fastener 147 of the latch body 144 are interlocked and coupled, and the fastener 147 is not wide open. do. In this way, when the end of the locking pin 143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146,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163 and the fastener 147 is maintained, and the contraction stat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50 is maintained. At this time, if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button cap 161 by releasing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cap 161, the button cap 161 is mov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0, and the latch holder 141 and The sensor cap 130 of the integrally coupled sensor housing 110 moves downward.

이렇게 래치 결합으로 센서 하우징(110)과 조작부(160)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에서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제1 탄성부재(20)에 의해 버튼캡(161)이 하향 이동함에 따라 센서 하우징(110)의 센서캡(130)이 개구부(570) 안으로 끌려 당겨져 수납된다.In this way, when the pressing operation is released in a state where the gap between the sensor housing 110 and the control unit 160 is narrowed by the latch coupling, the button cap 161 is moved downwar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20, thereby moving the sensor housing 110. The sensor cap 130 is pulled into the opening 570 and received therein.

다음으로 래치 결합해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latch disengagement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래치 몸체(144)의 조임구(147)와 버튼캡(161)의 고정돌기(163)가 결합된 경우(도 9a 참고), 누름 조작으로 버튼캡(161)을 상향 이동시키면 제1 탄성부재(20)가 수축되고, 고정돌기(144)와 조임구(147)가 래치 결합된 상태로 래치 홀더(141)와 센서캡(130)은 함께 상향 이동한다. 이때 제2 탄성부재(150)는 수축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fastener 147 of the latch body 144 and the fixing protrusion 163 of the button cap 161 are coupled (see FIG. 9A), when the button cap 161 is moved upward by a pressing opera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 20) is contracted, and the latch holder 141 and the sensor cap 130 move upward together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144 and the fastener 147 are latched. 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member 150 maintains a contracted state.

상향 이동되는 센서캡(130)의 하단이 케이싱 덮개(380)에 의해 이동 제한되면 고정돌기(163)에 의해 래치 몸체(144)에 가압력이 작용한다. 이 고정돌기(163)에 의해 래치 몸체(144)가 래치 하우징(142) 안쪽으로 조금 더 진입하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143)의 단부는 걸림턱(146)에서 안내홈(145)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때 버튼캡(161)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면, 수납홈(149)에 수납된 제3 탄성부재(148)가 이완되어 래치 몸체(144)의 조임구(147)는 래치 하우징(142)의 입구(142a) 밖으로 위치하게 된다. 조임구(147)와 고정돌기(163)의 결합력이 느슨해지고 수축되었된 제2 탄성부재(150)가 이완되어 고정돌기(163)와 조임구(147)는 분리되고, 래치 홀더(141)와 버튼캡(161)의 간격은 멀어지게 된다. 또한 버튼캡(16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아 수축되었던 제1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캡(161)이 하향 이동된다. 이에 따라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재(20)에 의해 하향 이동하는 버튼캡(161)과 무관하게 래치 결합해제되어 센서 하우징(110)의 센서캡(130)은 개구부(570) 밖으로 돌출된다.When the lower end of the upwardly moving sensor cap 130 is restricted by the casing cover 380,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body 144 by the fixing protrusion 163. The latch body 144 enters the inside of the latch housing 142 a little further by the fixing protrusion 163, and as shown in FIG. 10B, the end of the locking pin 143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145) to exit. At this time,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cap 161 is released, the third elastic member 148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149 is relaxed, and the fastening hole 147 of the latch body 144 opens at the entrance of the latch housing 142. (142a) is located outsid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astener 147 and the fixing protrusion 163 is loosened and the contracted second elastic member 150 is relaxed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163 and the fastener 147 are separated, and the latch holder 14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utton caps 161 becomes farther apart. In addition, the button cap 161 is mov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0, which was contracted when no external force was applied to the button cap 161.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A, the latch is released regardless of the button cap 161 moving downward by the first elastic member 20, and the sensor cap 130 of the sensor housing 110 moves out of the opening 570. it protrudes

이와 같이 버튼캡(161)의 누름 조작에 따라 고정돌기(163)와 조임구(147)의 래치 결합과 래치 결합해제가 번갈아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누름 조작하여 래치 결합과 래치 결합해제를 교번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latch coupling and latch disengagement of the fixing protrusion 163 and the fastener 147 are alternat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cap 161, the latch coupling and latch disengagement are alternately performed by continuously pressing the button cap 161. can be done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시공 방법으로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마운트와 케이싱을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시공 방법으로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케이싱이 결합된 마운트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quentially constructing a mount and a casing on the surface of a structure of a measurement target in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mount in which a casing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a structure to be measured as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according to FIG.

도 11을 참고하여,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케이싱(30)이 분리된 마운트(50)를 부착한다. 예를 들어 마운트 덮개(580) 상부 부착면에 접착제를 바르거나 양면 점착 테이프를 붙이고, 이 마운트 덮개(580)의 상부 부착면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에 밀착시키면 구조물(60) 표면에 마운트(50)가 견고하게 부착된다. 여기서 구조물 표면과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설치 지점의 구조물 표면을 평탄화하는 작업을 사전에 실시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mount 50 from which the casing 30 is separated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For example, if adhesive is applied or double-sided adhesive tape is applied to the upper attachment surface of the mount cover 580, and the upper attachment surface of the mount cover 580 is closely adhered to the point to be installed, the mount 50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60 is firmly attached. Here, in order to strengthen the adhesion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a planariz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at the installation point in advance.

그런 다음 마운트(50)의 케이싱 수납실(520)에 케이싱(30)을 결합한다. 예를 들어 케이싱 수납실(520) 안으로 삽입되는 케이싱(30)을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마운트 몸체(510)의 후크(530)에 케이싱(30)의 후크 고정부(360)가 체결됨에 따라 케이싱(30)이 마운트(50)에 일체 결합된다. 이때 개구부(570)에 수납된 센서캡(130)은 노출된 구조물 표면에 대향하게 된다. 그런 다음 버튼캡(161)을 누름 조작하여 래치 결합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개구부(570)에 수납된 센서캡(130)이 상향 이동하여 노출된 구조물 표면에 밀착된다. 이후 구조물의 손상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센서캡(130)에 수납된 계측 센서들에 의해 획득된 측정 데이터를 신호 처리한 후 안테나(40)를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 단말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Then, the casing 30 is coupled to the casing storage chamber 520 of the mount 50. For example, when the casing 30 inserted into the casing storage chamber 520 is rotated in the coupling direction, the hook fixing part 360 of the casing 30 is fastened to the hook 530 of the mount body 510 so that the casing ( 3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mount 50. At this time, the sensor cap 130 accommodated in the opening 570 faces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Then, the button cap 161 is pressed to release the latch coupling. Accordingly, the sensor cap 130 accommodated in the opening 570 moves upward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Thereafter, in order to monitor whether or not the structure is damaged, measurement data acquired by measurement sensors housed in the sensor cap 130 may be signal-processed and then wirelessly transmitted to a remot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antenna 40 .

한편 케이싱(30)이 결합된 마운트(50)를 구조물에 바로 시공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여, 마운트(50)에 케이싱(30)과 센서 구조체(10)가 결합되어 있고, 래치 결합에 의해 센서캡(130)이 개구부(570) 안에 수납되어 있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1)를 준비한다.Meanwhile, the mount 50 to which the casing 30 is coupled can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structure. Referring to FIG. 12 ,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in which the casing 30 and the sensor structure 10 are coupled to the mount 50 and the sensor cap 130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570 by the latch coupling ( 1) prepare

그런 다음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1)의 마운트 덮개(580) 상부 부착면에 접착제를 바르거나 양면 점착 테이프를 붙이고, 이 마운트 덮개(580)의 상부 부착면을 설치 지점에 밀착시키면 구조물(6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센서캡(130)은 노출된 구조물 표면에 대향하게 된다. 그런 다음 버튼캡(161)을 누름 조작하여 래치 결합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개구부(570)에 수납된 센서캡(130)이 상향 이동하여 노출된 구조물 표면에 밀착된다. 이후 구조물의 손상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센서캡(130)에 수납된 계측 센서들에 의해 획득된 측정 데이터를 신호 처리한 후 안테나(40)를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 단말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Then, by applying adhesive or attaching double-sided adhesive tape to the upper attachment surface of the mount cover 580 of the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1, and attaching the upper attachment surface of the mount cover 580 to the installation point, the structure 60 firmly attached to The sensor cap 130 faces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Then, the button cap 161 is pressed to release the latch coupling. Accordingly, the sensor cap 130 accommodated in the opening 570 moves upward and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xposed surface of the structure. Thereafter, in order to monitor whether or not the structure is damaged, measurement data acquired by measurement sensors housed in the sensor cap 130 may be signal-processed and then wirelessly transmitted to a remote management terminal through the antenna 40 .

한편, 측정 대상의 구조물에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1)가 부착된 이후 고장 점검과 수리를 위하여 마운트(50)에서 케이싱(30)과 센서 구조체(10)를 분리할 수 있고, 구조물을 철거하거나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모니터링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어 정상으로 동작하는 케이싱(30)과 센서 구조체(10)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마운트(50)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Meanwhile, after the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1 is attached to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the casing 30 and the sensor structure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nt 50 for failure inspection and repair, and the structure can be removed or Since monitoring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is no longer necessary, the normally operating casing 30 and the sensor structure 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 50 for reuse.

도 13을 참고하여, 버튼캡(161)을 누르면 고정 돌기(163)와 조임구(147)가 래치 결합되고, 이후 버튼캡(161)의 누름 조작을 해제하여 버튼캡(16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제1 탄성부재(2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캡(161)이 하향 이동되고, 래치 홀더(141)와 일체 결합된 센서 하우징(110)의 센서캡(130)이 하향 이동하여 개구부(570) 안으로 당겨져 수납된다.Referring to FIG. 13, when the button cap 161 is pressed, the fixing protrusion 163 and the fastener 147 are latched, and t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cap 161 is released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button cap 161 If not, the button cap 161 moves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20, and the sensor cap 130 of the sensor housing 110 integrally coupled with the latch holder 141 moves downward to open the opening 570. ) is pulled in and stored.

그런 다음 마운트 몸체(510)의 케이싱 수납실(520)에 수납된 케이싱(30)을 결합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마운트 몸체(510)의 후크(530)가 케이싱(30)의 후크 고정부(360)에서 이탈됨에 따라 케이싱 수납실(520)에서 케이싱(3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Then, when the casing 30 accommodated in the casing storage chamber 520 of the mount body 510 is rotated in the disengagement direction, the hook 530 of the mount body 510 engages the hook fixing part 360 of the casing 30.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casing 30 from the casing storage chamber 520 as it is separated from the .

이와 같이 마운트(50)와 케이싱(30)이 착탈 구조로 연결되고 마운트(30)에서 케이싱(30) 및 센서 구조체(10)의 개별적 분리가 가능하여 구성품 교체 및 고장 수리 작업이 용이하고, 분리된 구성품을 선별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mount 50 and the casing 30 are connec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the casing 30 and the sensor structure 10 can be individually separated from the mount 30, so that component replacement and troubleshooting work is easy, and the separated Components can be selectively re-used, reducing cos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는 하나의 지점 또는 다수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t one point or at multiple points.

도 14를 참고하여, 장대 교량의 상판 하부에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1)가 설치될 수 있다.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1)는 외부 계측 센서(80)와 신호 케이블(70)을 통해 연결되고 내장된 계측 센서와 외부 계측 센서에서 획득된 측정 데이터를 원격지의 관리 단말에 무선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a structure-mounted measurement terminal 1 may be installed under the top plate of a long-span bridge. The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1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measurement sensor 80 through a signal cable 70 and wirelessly transmits measurement data obtained from the built-in measurement sensor and the external measurement sensor to a remote management terminal.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대상 구조물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외부 계측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measurement data of various external measurement sensors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structure to be measur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 : 센서 구조체 20 : 제1 탄성부재 30 : 케이싱
40 : 안테나 50 : 마운트
10: sensor structure 20: first elastic member 30: casing
40: antenna 50: mount

Claims (27)

측정 대상의 구조물에 대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마운트;
상기 마운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운트의 개구부와 연통되는 이동 통로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이동 통로에 래치 결합된 센서 하우징과 조작부가 수납되고, 상기 조작부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하우징이 승하강되며 계측 센서를 이용하여 구조물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 mount formed with an opening facing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arget;
a cas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mount and having a moving passage communicating with an opening of the mount;
A sensor structure in which a latch-coupled sensor housing and an operating unit are accommodated in the moving passage of the casing, the sensor housing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and measures a state of the structure using a measurement sensor.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that do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 통로에 수납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누름 조작시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수축되며,
상기 조작부의 누름 조작해제시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the moving passage to elastically support the manipulation unit;
When the operation unit is pressed, the first elastic member is contracted,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is relaxed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is rele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하우징은 계측 센서가 내장된 센서 모듈, 상기 센서 모듈에 일체 결합된 래치부를 포함하고,
래치 결합시 상기 센서 하우징이 상기 개구부 안으로 당겨지며,
래치 결합해제시 상기 센서 하우징이 상기 개구부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housing includes a sensor module in which a measurement sensor is embedded, and a latch unit integrally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When the latch engages, the sensor housing is pulled into the opening,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housing protrudes out of the opening when the latch is relea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구조체는 상기 래치부와 조작부 사이에 개재된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3
The sensor structure includes a second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latch unit and the control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일측이 개구된 센서캡, 상기 센서캡에 설치되는 기판 지지대, 상기 기판 지지대에 안착되고 계측 센서가 구비된 센서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캡의 내부에 센서 고정부재로서 수납홈 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3,
The sensor module includes a sensor cap having one side opened, a substrate support installed on the sensor cap, and a sensor circuit board seated on the substrate support and having a measurement sensor,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 accommodation groove or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as a sensor fixing member inside the sensor ca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회로기판은 구조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캡은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센서캡의 수납홈에 상기 온도 센서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5,
The sensor circuit board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tructure,
The sensor cap is made of aluminum,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sensor ca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래치 홀더, 상기 래치 홀더에 지지되는 래치 하우징, 상기 래치 하우징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록킹핀, 상기 래치 하우징 내부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록킹핀 단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래치 몸체, 상기 래치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양단이 벌어지는 걸림턱, 상기 래치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일측이 개구된 버튼캡, 상기 버튼캡 내부에 돌출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3,
The latch unit includes a latch holder, a latch housing supported by the latch holder, a locking pin hinged to one side of the latch housing, and a guide groove installed in the latch housing to be retractable and guiding movement of an end portion of the locking pin. A latch body, a locking jaw formed on one side of the latch body and widened at both ends, and a third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latch body,
The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includes a button cap with one side opened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button ca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몸체의 걸림턱에 상기 버튼캡의 고정돌기가 체결됨에 따라 래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 몸체의 걸림턱에 상기 버튼캡의 고정돌기가 분리됨에 따라 래치 결합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7,
The latch is coupled as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button cap is fastened to the locking jaw of the latch body,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is released as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button cap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jaw of the latch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캡을 연속적으로 누름 조작시 래치 결합과 래치 결합해제이 교번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8,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coupling and latch release are performed alternately when the button cap is continuously pres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의 케이싱 몸체, 상기 케이싱 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케이싱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몸체와 상기 케이싱 덮개에 상기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중공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asing includes a tubular casing body with an open top and a casing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body,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which provides the movement passage through the casing body and the casing cover is formed to penetrate vertical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마운트의 후크에 결합되는 후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0,
The casing comprises a hook fixing part coupled to the hook of the mou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고정부는 상기 케이싱 몸체의 상단 일부분을 절개한 절개홈, 상기 케이싱 덮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고정부에 상기 마운트의 후크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1,
The hook fixing part includes a cutout groov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casing body and a protrusion formed on an edge of the casing cover,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of the mount is fitted to the hook fixing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몸체는 외측 가장자리에 돌출된 외측 지지벽, 상기 외측 지지벽에서 이격되어 내측에 돌출된 내측 지지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지지벽과 상기 내측 지지벽에 사이에 배터리를 포함하는 부속품을 수납하는 부속품 수납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0,
The casing body includes an outer support wall protruding from an outer edge and an inner support wall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pport wall and protruding inwardly,
A structure-mount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n accessory storage room for accommodating accessories including a battery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pport wall and the inner support wal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벽의 하단에 상기 센서 구조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3,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breakaway barrier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pport wall to prevent the sensor structure from coming off.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몸체에 외부 계측 센서의 측정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케이블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부속품 수납실의 일측에 상기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조 회로기판이 수납되는 기판 수납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3,
A termina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of a signal cable for transmitting a measurement signal of an external measurement senso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asing body,
A structure-mount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board storage room in which an auxiliary circuit board to which the connection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accessory storage roo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 수납실을 구획하는 격벽이 마련되고,
상기 격벽의 상부에 메인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5,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accessory storage room is provided,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circuit boar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덮개에 상기 케이싱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홈이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0,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ositioning groove for determining a coupling position of the casing is formed in the casing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부가 평탄하게 형성된 마운트 덮개, 상기 마운트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고 마운트 지지벽에 의해 둘러싸이고 일측이 개구된 케이싱 수납실이 형성된 마운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 덮개와 상기 마운트 몸체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 includes a mount cover having a flat top, a mount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unt cover, surrounded by a mount support wall, and having a casing storage chamber having one side opened,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mount cover and the mount body.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수납실에 상기 케이싱을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8,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hook for coupling the casing to the casing storage room is form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몸체는 상기 마운트 지지벽의 일부를 절개시킨 요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8,
The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 body forms a concave portion in which a portion of the mount support wall is cu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덮개에 상기 케이싱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
According to claim 18,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 positioning protrusion for determining a coupling position of the casing is formed on the mount cover.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마운트와 케이싱 및 센서 구조체를 구비한 계측 단말기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센서 구조체의 일측에 마련된 버튼캡의 누름 조작으로 상기 센서 구조체에 마련된 센서 하우징의 센서캡을 상향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구조물 표면에 상기 센서캡을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시공 방법.
attaching a measurement terminal having a mount, a casing, and a sensor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on a surface of a structure to be measured;
And moving the sensor cap of the sensor housing provided on the sensor structure upward by pressing the button cap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nsor structure to bring the sensor cap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to be performe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단말기는 상기 마운트의 케이싱 수납실에 케이싱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에 연통하는 상기 케이싱의 이동 통로에 상기 센서 구조체가 승강 가능하게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In the measurement terminal, a casing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sing storage compartment of the mount, and the sensor structure is movably accommodated in a moving passage of the casing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metho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상기 마운트의 개구부를 대향시키고 상기 마운트의 상부를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부착하고, 상기 마운트의 케이싱 수납실에 케이싱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Construction of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f the mount is oppos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arget, the upper part of the moun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arget, and the casing is coupled to the casing storage room of the mount. method.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의 구조물 표면에 상기 케이싱이 결합된 마운트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ttaching a mount to which the casing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measurement targe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표면에 부착된 마운트에서 상기 케이싱과 센서 구조체를 일괄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ing the casing and the sensor structure collectively from a moun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과 구조물 표면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설치 지점의 구조물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부착형 계측 단말기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22,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ructure-attached measurement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flattening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at the installation point to strengthe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mount and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KR1020220008177A 2022-01-20 2022-01-20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5007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177A KR102500785B1 (en) 2022-01-20 2022-01-20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0230019614A KR20230113200A (en) 2022-01-20 2023-02-14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177A KR102500785B1 (en) 2022-01-20 2022-01-20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614A Division KR20230113200A (en) 2022-01-20 2023-02-14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785B1 true KR102500785B1 (en) 2023-02-17

Family

ID=853277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177A KR102500785B1 (en) 2022-01-20 2022-01-20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0230019614A KR20230113200A (en) 2022-01-20 2023-02-14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614A KR20230113200A (en) 2022-01-20 2023-02-14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0785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09B1 (en) 2003-11-27 2007-02-2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Wireless measuring system with modularized sensor for measuring institution
KR20120092966A (en) * 2011-02-14 2012-08-22 박도경 Digital measuring instrument of concrete strength
KR101458025B1 (en) 2013-08-29 2014-11-12 주식회사 풍산 A dynamic feature measuring apparauts for a static structure and a sensor module used to it
KR101543368B1 (en) 2013-12-12 2015-08-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ybrid sensor for structure and condition diagnosis system using it
KR20200106757A (en) * 2019-03-05 2020-09-1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Non-destructive strength field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to utilize sound signal energy
WO2020189243A1 (en) * 2019-03-20 2020-09-24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Sensor insertion device
KR102165782B1 (en) * 2020-05-29 2020-10-14 (주)한국건설안전진단 Portable structure crack measuring site for safety diagnosis
KR102176748B1 (en) * 2020-06-12 2020-11-09 탄탄안전 주식회사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for bridge load test
KR102325801B1 (en) * 2021-04-21 2021-11-12 주식회사 한국시설물안전연구원 Crack depth measuing device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09B1 (en) 2003-11-27 2007-02-27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Wireless measuring system with modularized sensor for measuring institution
KR20120092966A (en) * 2011-02-14 2012-08-22 박도경 Digital measuring instrument of concrete strength
KR101458025B1 (en) 2013-08-29 2014-11-12 주식회사 풍산 A dynamic feature measuring apparauts for a static structure and a sensor module used to it
KR101543368B1 (en) 2013-12-12 2015-08-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Hybrid sensor for structure and condition diagnosis system using it
KR20200106757A (en) * 2019-03-05 2020-09-1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Non-destructive strength field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to utilize sound signal energy
WO2020189243A1 (en) * 2019-03-20 2020-09-24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Sensor insertion device
KR102165782B1 (en) * 2020-05-29 2020-10-14 (주)한국건설안전진단 Portable structure crack measuring site for safety diagnosis
KR102176748B1 (en) * 2020-06-12 2020-11-09 탄탄안전 주식회사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for bridge load test
KR102325801B1 (en) * 2021-04-21 2021-11-12 주식회사 한국시설물안전연구원 Crack depth measuing device for structure safety diagnosi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200A (en)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9808B2 (en) Concrete pile monitoring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AU2019202658B2 (en) Land based unit for seismic data acquisition
US10401169B2 (en) Enhanced power transmission towe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overhead power systems
CA2768769C (en) Monitoring system for concrete pilings and method of installation
EA027580B1 (en) Ocean bottom seismic cable recording apparatus
KR102500785B1 (en) Structure-Attached Measu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US105787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ubsea sensor field
CN114467041A (en) Wireless seismic acquisition node and method
RU2486547C2 (en) Data collection module and cable connector
CN109898487B (en) Automatic recording equipment for standard penetration test
AU8926498A (en) Underwater device with a sacrificial latch mechanism
KR20230112757A (en) Wireless Measuring And Monitoring System Of Bridge Structure With Attached Measuring Device
CN214216855U (en) Sensor fixing structure of spliced tank body and liquid nitrogen tank
CN214009640U (en) Intelligent liquid nitrogen tank
AU2012205171A1 (en) Monitoring system for concrete pilings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09914377B (en) Standard penetration test recording equipment based on sensor and laser measurement
KR102092275B1 (en) Device for examining bridge safety
CN209854690U (en) Data box
CN209816809U (en) Penetrating depth rope measuring structure
CN114135094B (en) Plug pin fastening device of socket type disc buckle type steel pipe support and fastening state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2563494B1 (en) 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managing geographical feature by synthesizing 3d numerical value and geodetic data
CN217811148U (en) Open caisson deviation correcting device
CN115493552A (en) Immersed tube tunnel disease detection equipment
CN117404586A (en) Passive RFID tag fixing device, mechanism, system and installation method
CN113192309A (en) Smoke alarm detects fr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