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21B1 - 위탁 판매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위탁 판매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21B1
KR102498821B1 KR1020220066191A KR20220066191A KR102498821B1 KR 102498821 B1 KR102498821 B1 KR 102498821B1 KR 1020220066191 A KR1020220066191 A KR 1020220066191A KR 20220066191 A KR20220066191 A KR 20220066191A KR 102498821 B1 KR102498821 B1 KR 10249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ler
product
order
order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커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커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커머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서버는,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집하고, 상기 상품이 상기 위탁 상품인 경우 상기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참조해 제1 판매자로부터 상품 판매를 위탁 받은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제2 주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제1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탁 판매 관리 서버{consignment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은 위탁 판매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판매자들의 수동 작업이 자동화 되도록 하고, 상품의 주문/판매/배송 등에 대한 통합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일관된 데이터로 모두에게 혼동을 주지 않도록 하는 등 서비스 품질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구현된, 위탁 판매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탁 판매가 진행되는 경우, 제2 판매자 단말기(4)가 쇼핑몰 서버(2)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정보를 다시 제2 판매자가 다시 제1 판매자 단말기(3)로 수동 전송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제1 판매자 단말기(3)를 통해 배송 정보가 제2 판매자 단말기(4)로 전송되어도, 다시 제2 판매자에 의해 쇼핑몰 서버(2)로 해당 정보를 수동 전송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하듯, 종래의 시스템에 따르면 판매자의 수동 작업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존재하면서, 제대로된 재고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재고 파악이 용이하지 않고, 이에 따른 시스템 관리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수동 작업은 많은 인력이 투입되야 하므로(상품 등록, 주문서 전달, 송장번호 재입력 등), 이에 따른 비용이 상당히 발생된다는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삭제
KR 10-1748342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판매자들의 수동 작업이 자동화 되도록 하고 상품의 주문/판매/배송 등에 대한 통합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일관된 데이터로 모두에게 혼동을 주지 않도록 하는 등 서비스 품질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서버는,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집하고, 상기 상품이 상기 위탁 상품인 경우 상기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참조해 제1 판매자로부터 상품 판매를 위탁 받은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제2 주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제1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1 주문 정보 생성 이후, 상기 제1 판매자가 보유한 제1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탁 상품에 대한 발주 관련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발주 관련 상태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1 주문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1-1 주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1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2 주문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2-1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업데이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1 주문 정보 생성 이후, 상기 제2 판매자가 보유한 제2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탁 상품의 판매 취소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2 주문 정보가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2 주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1 주문 정보가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2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취소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는 위탁 상품의 묶음번호, SKU(Stock Keeping Unit)코드, 제1 판매자 아이디, 재고단위상품명, 옵션, 판매가, 공급원가, 및 재고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는 제2 판매자 아이디, 제2 판매자가 가입한 쇼핑몰 정보, 상기 쇼핑몰에서의 상품 번호, 판매가, 판매상태, 및 상품등록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자들의 수동 작업이 자동화되고, 상품의 주문/판매/배송 등에 대한 통합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일관된 데이터로 모두에게 혼동을 주지 않는 등 서비스 품질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위탁 판매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b는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의 블록도이
도 3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제1 판매자 단말기(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의 예시이고, 도 6은 제1 판매자 단말기(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의 예시이다.
도 7은 제1 판매자 단말기(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의 예시이다.
도 8은 제2 판매자 단말기(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제2 주문 정보의 예시이다.
도 9는 제1 판매자 단말기(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제1 주문 정보의 예시이다.
도 10은 제1 판매자 단말기(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제1-1 주문 정보의 예시이다.
도 11은 제2 판매자 단말기(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제2-1 주문 정보의 예시이다.
도 12는 제2 판매자 단말기(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제2-2 주문 정보의 예시이다.
도 13은 제1 판매자 단말기(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제1-2 주문 정보의 예시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b는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시스템은 위탁 판매 관리 서버(1), 쇼핑몰 서버(2), 제1 판매자 단말기(3), 및 제2 판매자 단말기(4)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는 소정의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품의 주문, 판매 등에 활용되는 다양한 서버들(웹서버, DB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는 쇼핑몰 서버(2), 제1 판매자 단말기(3), 및/또는 제2 판매자 단말기(4)와의 데이터 통신으로 상품의 위탁, 수탁 등의 상품 관리, 주문 관리(주문 수집, 수정, 취소 등)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는 관리자 모드, 제1 판매자 모드, 및 제2 판매자 모드에 따른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판매자와 제2 판매자는 제1 판매자 단말기(3)와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에 로그인함으로써,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에서 제공하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각각 제공받고, 관리자는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에 접속하여 제1 판매자와 제2 판매자 관리(권한 설정, 변경 등), 위탁 판매 관리(상품 관리, 주문 관리 등) 등을 위한 명령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쇼핑몰 서버(2)는 고객이 접속하여 상품을 주문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다. 쇼핑몰 서버(2)는 고객의 상품 주문이 입력되면, 해당 주문 정보를 보관하고 있다가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의 요청에 의해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판매자 단말기(3)는 제1 판매자가 생산 및/또는 공급하고 있는 상품을 위탁 판매하기 위해 제1 판매자가 보유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제1 판매자의 위탁 상품을 제2 판매자를 통해 판매를 수행하기 위해 제1 판매자가 보유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판매자 단말기(3)는 제1 판매자가 생산 및/또는 공급하는 상품의 정보를 제1 판매자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등록하거나, 제1 판매자 단말기(3)는 해당 상품의 정보를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에 전송하여 등록할 수 있다.
제2 판매자 단말기(4)는 제1 판매자가 생산 및/또는 공급하고 있는 상품의 판매를 제1 판매자로부터 위탁받은(수탁한) 제2 판매자가 보유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제1 판매자의 위탁 상품을 제2 판매자를 통해 판매를 수행하기 위해 제2 판매자가 보유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판매자 단말기(3) 및/또는 제2 판매자 단말기(3)는 위탁 판매 관리 서버(1)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위탁 판매 관리 서버(1)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PC,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매자 및/또는 제2 판매자는, 제1 판매자 단말기(3) 및/또는 제2 판매자 단말기(4) 각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미도시)을 통해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확인하거나 소정의 명령을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의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는 제어부(10), 저장부(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품관리부(11), 주문처리부(12), 업데이트 처리부(13), 및 취소처리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는 화면을 통해 관리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아 대응되는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의 동작을 설명하는 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순서도에 있어서, 각 단계는 일예이며, 각 순서를 다르게 변경 및/또는 조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상품관리부(11)는 제1 판매자 단말기(3)로부터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
상품관리부(11)는 상품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상품이 위탁 상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탁 상품인 것으로 판단하면 위탁 상품으로 분류하여 등록하고 아닌 경우 일반 상품으로 분류하여 등록할 수 있다(s, s2-1, s2-2). 이 때, 카테고리 별로 위탁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상품관리부(11)는 위탁 상품으로 등록 시,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상품 정보 DB(21)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는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 및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는 위탁 상품의 묶음번호, SKU(Stock Keeping Unit)코드, 제1 판매자(이하, 도면에서 '원셀러'로 명명) 아이디, 재고단위상품명, 옵션, 판매가, 공급원가, 재고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는 제2 판매자(이하, 도면에서 '판매셀러'로 명명)의 아이디, 제2 판매자가 가입한 쇼핑몰, 해당 쇼핑몰에서의 상품 번호, 판매가, 판매상태, 상품등록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와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하나의 DB(상품정보 DB)로 통합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제1 판매자와 제2 판매자는 서로 동일한 정보를 혼동되지 않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는 저장부(20)에 저장된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를 제1 판매자 단말기(3)로 전송하여 도 5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미도시)을 제공하고, 도 5의 화면 상의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 중 일부 항목인 SKU코드 항목의 제1 판매자에 의한 선택 입력(예>클릭)을 제1 판매자 단말기(3)로부터 수신하면, 도 6과 같은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를 제1 판매자 단말기(3)로 전송하여 제1 판매자 단말기(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관리부(11)는 제1 판매자/제2 판매자가 제1 판매자 단말기(3)/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처리 권한이 상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판매자에게는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 중 일부 정보(예> 재고단위상품명, 가격 등)를 수정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반면, 제2 판매자에게는 도 7과 같이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수정이 불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예> 수정/복사 버튼 비활성화). 즉, 위탁 상품의 등록 및 위탁의 주체는 제1 판매자이기 때문에, 제1 판매자만이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처리 권한을 상이하게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1 판매자 단말기(3)와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동일 상품정보 DB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해당 내용에 대한 처리 권한은 상이하게 설정하여 정보의 오류나 이로 인한 혼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관리부(11)는 상품 등록 요청을 제1 판매자 단말기(3)로부터 직접 수신하여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관리부(11)는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제1 판매자의 웹사이트 등으로부터 웹페이지를 크롤링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크롤링한 웹페이지에 포함된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텍스트 또는 이미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상품관리부(11)는 위탁 상품으로 등록하여 위탁 상품의 재고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면 재고 상태의 변경이 반영된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현 재고 상태가 반영된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쇼핑몰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s3, s3-1, s3-2)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판매자 단말기(3)가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로 전송하여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를 통해 등록, 변경 등을 수행 시, 위탁 판매 관리 서버(1)에서 해당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이를 쇼핑몰 서버(2)로 자동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일일이 제1 판매자 단말기(3)로부터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받은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제2 판매자에 의해 수동으로 다시 쇼핑몰 서버(2)로 해당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보다 관리가 자동화되고 편리해질 수 있다.
또한, 상품 재고 및/또는 변경 등의 정보 또한 하나의 장치를 통해 통합 관리될 수 있으므로 통일된 정보를 모든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주문처리부(12)는 쇼핑몰 서버(2)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은 쇼핑몰, 주문 상태, 주문 번호, 배송 방법, 택배사, 송장번호, 공급원가, 상품명, 옵션, 주문 수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주문처리부(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의 화면을 통한 관리자의 입력(주문 버튼 입력)을 통해 쇼핑몰 서버(2)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바로 수집할 수 있다.
주문처리부(12)는 해당 상품이 위탁 상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위탁 상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일반 상품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따라 주문 처리를 관리할 수 있으나(s5-2), 위탁 상품인 것으로 판단하면 저장부(20)에 저장된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참조해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제2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 s5-1)
구체적으로, 주문처리부(12)는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 쇼핑몰, 주문 상태, 주문 번호, 배송 방법, 택배사, 송장번호, 공급 원가)와 저장부(20)에 저장된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 제1 판매자 아이디, 제2 판매자 아이디)를 결합해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제2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제2 주문 정보가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로부터 제2 판매자 단말기(4)로 전송되면, 제2 판매자는 도 8과 같이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제2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처리부(12)는 제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제1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6). 이 때, 제1 주문 정보를 제2 주문 정보와 거의 유사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도 9를 비교하면, 제2 주문 정보와 제1 주문 정보에서, 제2 판매자 아이디와 제1 판매자 아이디에 구분 식별자가 표기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정보가 동일하게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주문 정보가 생성되고 나서 즉시 제1 주문 정보가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이 제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제1 주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보여지는 제2 주문 정보와 제1 판매자 단말기(3)를 통해 보여지는 제1 주문 정보의 유사성으로 인해 서로 통일성 있게 관리되며, 이에 따라 제1 판매자와 제2 판매자는 서로 동일한 정보를 혼동되지 않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일일이 쇼핑몰 서버(2)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한 제2 판매자 단말기(4)의 보유자인 제2 판매자가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이용해 제1 판매자 단말기(3)로 다시 일일이 수동으로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고, 위탁 판매 관리 서버(1)가 쇼핑몰 서버(2)로부터 수집한 주문요청에 기초해 생성된 제2 주문 정보와 제1 주문 정보를 바로 제2 판매자 단말기(4) 와 제1 판매자 단말기(3)를 통해 확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관리가 자동화되고 편리해질 수 있다.
한편, 주문처리부(12)에 의한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제1 주문 정보가 생성된 이후, 취소처리부(14)가 제2 판매자 단말기(4)로부터 판매 취소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7)하고, 판매 취소 요청을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즉, 기존 제1 주문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업데이트 처리부(13)가 s10 내지 s13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데이트 처리부(13)는 제1 판매자 단말기로(3)부터 위탁 상품에 대한 발주 관련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
실시예에 따르면, 발주 관련 상태 정보는 발주 확인, 발주 지연, 송장 출력, 발주 처리, 송장 수정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 처리부(13)는 발주 관련 상태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1 주문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1-1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1).
예를 들어, 업데이트 처리부(13)는 도 9의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제1 주문 정보에 포함된 항목 중 주문 상태가 변경된 제1-1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1 주문 정보가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로부터 제1 판매자 단말기(3)로 전송되면, 제1 판매자는 도 10과 같이 제1 판매자 단말기(3)를 통해 제1-1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업데이트 처리부(13)는 제1-1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2 주문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2-1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데이트 처리부(13)는 도 10의 제1-1 주문 정보를 참조해(주문 상태가 변경됨), 도 8과 같은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제2 주문 정보에 포함된 항목 중 주문 상태가 변경된 제2-1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1 주문 정보가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로부터 제2 판매자 단말기(4)로 전송되면, 제2 판매자는 도 11과 같이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제2-1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1 주문 정보가 생성되고 나서 즉시 제2-1 주문 정보가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주문 정보 및/또는 제2-1 주문 정보를 쇼핑몰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s13).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이 제1-1 주문 정보를 참조해 제2-1 주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제1 판매자 단말기(3)를 통해 보여지는 제1-1 주문 정보와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보여지는 제2-1 주문 정보의 유사성으로 인해 서로 통일성 있게 관리되며, 이에 따라 제1 판매자와 제2 판매자는 서로 동일한 정보를 혼동되지 않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일일이 제1 판매자 단말기(3)로부터 발주 관련 상태 정보를 수신한 제2 판매자 단말기(4)의 보유자인 제2 판매자가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이용해 쇼핑몰 서버(2)로 다시 일일이 수동으로 발주 관련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고, 위탁 판매 관리 서버(1)가 제1 판매자 단말기(3)로부터 수신한 발주 관련 상태 정보에 기초해 생성한 제1-1 주문 정보와 제2-1 주문 정보를 바로 쇼핑몰 서버(2)로 전송하면서도, 제1 판매자 단말기(3)와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확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관리가 자동화되고 편리해질 수 있다.
한편, 취소처리부(14)가 제2 판매자 단말기(4)로부터 판매 취소 요청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취소처리부(14)가 s8 내지 s9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취소처리부(14)는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2 주문 정보가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2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8).
예를 들어, 취소처리부(14)는 도 8과 같은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제2 주문 정보가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지시자가 항목에 새롭게 추가된 제2-2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2 주문 정보가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로부터 제2 판매자 단말기(4)로 전송되면, 제2 판매자는 도 12와 같이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제2-2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취소처리부(14)는 제2-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1 주문 정보가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2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9).
예를 들어, 취소처리부(14)는 도 12의 제2-2 주문 정보를 참조해(판매 취소 항목 생성), 도 9와 같은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제1 주문 정보가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지시자가 항목에 새롭게 추가된 제1-2 주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2 주문 정보가 위탁 판매 관리 서버(1)로부터 제1 판매자 단말기(3)로 전송되면, 제1 판매자는 도 13과 같이 제1 판매자 단말기(3)를 통해 제1-2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2 주문 정보가 생성되고 나서 즉시 제1-2 주문 정보가 순차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 주문 정보 및/또는 제1-2 주문 정보를 쇼핑몰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s9-1).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이 제2-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제1-2 주문 정보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통해 보여지는 제2-2 주문 정보와 제1 판매자 단말기(3)를 통해 보여지는 제1-2 주문 정보의 유사성으로 인해 서로 통일성 있게 관리되며, 이에 따라 제1 판매자와 제2 판매자는 서로 동일한 정보를 혼동되지 않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일일이 제2 판매자가 제2 판매자 단말기(4)를 이용해 제1 판매자 단말기(3)로 다시 일일이 수동으로 판매 취소 요청을 전송하는 작업이 요구되지 않고, 위탁 판매 관리 서버(1)가 제2 판매자 단말기(4)로부터 수신한 판매 취소 요청에 기초해 생성된 제2-2 주문 정보와 제1-2 주문 정보를 바로 제2 판매자 단말기(4)와 제1 판매자 단말기(3)를 통해 확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관리가 자동화되고 편리해질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 형태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의 양상들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 함)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구현 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구현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위탁 판매 관리 서버에 있어서,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DB에 저장하는 상품관리부;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을 수집하고, 상기 상품이 상기 위탁 상품인 경우 상기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를 참조해 제1 판매자로부터 상품 판매를 위탁 받은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제2 주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제1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주문처리부;
    상기 주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1 주문 정보 생성 이후, 상기 제1 판매자가 보유한 제1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탁 상품에 대한 발주 관련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발주 관련 상태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1 주문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1-1 주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1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2 주문 정보가 업데이트된 제2-1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업데이트 처리부; 및
    상기 주문처리부에 의한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1 주문 정보 생성 이후, 상기 제2 판매자가 보유한 제2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탁 상품의 판매 취소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2 주문 정보가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2-2 주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기 제1 주문 정보가 취소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2 주문 정보를 생성하는 취소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처리부는, 상기 제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 주문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1 주문 정보가 상기 제2 주문 정보와 거의 유사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업데이트 처리부는, 상기 제1-1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2-1 주문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2-1 주문 정보가 상기 제1-1 주문 정보와 거의 유사하도록 생성되며,
    상기 취소처리부는, 상기 제2-2 주문 정보를 참조해 상기 제1-2 주문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1-2 주문 정보가 상기 제2-2 주문 정보와 거의 유사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위탁 상품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를 함께 포함하고,
    상기 상품관리부는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와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가 서로 연계되도록 상기 DB를 하나의 DB로 통합 관리하고,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 중 일부 항목에 대한 상기 제1 판매자의 선택 입력을 상기 제1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를 상기 제1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탁 판매 관리 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는 위탁 상품의 묶음번호, SKU(Stock Keeping Unit)코드, 제1 판매자 아이디, 재고단위상품명, 옵션, 판매가, 공급원가, 및 재고수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탁 판매 관리 서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관련 정보는 제2 판매자 아이디, 제2 판매자가 가입한 쇼핑몰 정보, 상기 쇼핑몰에서의 상품 번호, 판매가, 판매상태, 및 상품등록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탁 판매 관리 서버.


KR1020220066191A 2022-05-04 2022-05-30 위탁 판매 관리 서버 KR102498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630 2022-05-04
KR20220055630 2022-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821B1 true KR102498821B1 (ko) 2023-02-10

Family

ID=8522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191A KR102498821B1 (ko) 2022-05-04 2022-05-30 위탁 판매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342B1 (ko) 2016-03-28 2017-06-16 이상규 네트워크 마케팅 방식으로 위탁판매서비스를 제공하는 위탁판매시스템
KR102094690B1 (ko) * 2019-07-12 2020-03-30 주식회사 중고나라 위탁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34336B1 (ko) * 2020-06-16 2021-12-06 히든커머스 (주) 온라인 공유판매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342B1 (ko) 2016-03-28 2017-06-16 이상규 네트워크 마케팅 방식으로 위탁판매서비스를 제공하는 위탁판매시스템
KR102094690B1 (ko) * 2019-07-12 2020-03-30 주식회사 중고나라 위탁 판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34336B1 (ko) * 2020-06-16 2021-12-06 히든커머스 (주) 온라인 공유판매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069B1 (ko)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663647B2 (en) User-specific rule-based database querying
JP2023038353A (ja) 配送ネットワークを管理および最適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245291B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purchase requisition importation
US8069096B1 (en) Multi-constituent attribution of a vendor's product catalog
US86351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upplier information between an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and buyers' supplier management systems
US8694429B1 (en) Identifying and resolving discrepancies between purchase documents and invoices
US8112317B1 (en) Providing substitute items when ordered item is unavailable
US8756117B1 (en) Sku based contract management in an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US200701564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nally ordering goods and services
US2020033462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quality analysis of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US20210241357A1 (en) Customizable and extensible managed integration platform
AU2018201995A1 (en)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quote-to-cash system
US11636407B2 (en) Framework for classifying forms and processing form data
US1115799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accessing vendor master data records in a cloud network via a proxy vendor system
CN112950311A (zh) 一种电商化企业采购解决方法和装置
US20230419387A1 (en) User-Specific Rule-Based Database Querying
KR102498821B1 (ko) 위탁 판매 관리 서버
KR102498822B1 (ko) 위탁 판매 관리 서버
KR102422808B1 (ko) 반환 사기 감지 및 예방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9289A (ko) 제품 등록을 위한 메타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1144A (ko) 작업 흐름 편집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02074B1 (ko) 이벤트 저장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319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inting of shipping labels for orders bypassing stowage in a warehouse
US20210334867A1 (en) Service bundles in service orde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