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460B1 -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460B1
KR102498460B1 KR1020197021071A KR20197021071A KR102498460B1 KR 102498460 B1 KR102498460 B1 KR 102498460B1 KR 1020197021071 A KR1020197021071 A KR 1020197021071A KR 20197021071 A KR20197021071 A KR 20197021071A KR 102498460 B1 KR102498460 B1 KR 102498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mber
absorbent article
fixing
release sheet
adhesi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7215A (en
Inventor
세이 이시카와
유키 노다
겐이치로 구로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2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4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56Applying tabs, strips, tapes, loops; Knotting the ends of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47Folding; Pleating; Coiling; Stacking;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1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astening strips, e.g. adhesive, on the undergarment-facing 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via ad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의 고정 상태 및 기능을 유지하여, 폐기 시에 적절히 테이프 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흡수체(30)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와, 이면 시트에 고정된 고정부(62)를 갖는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와,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형성된 점착부(70)와, 점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71)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한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테이프 부재의 고정부를 이면 시트 상에 고정하는 테이프 고정 단계(S2)와, 테이프 고정 단계 후에,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점착부와 박리 시트를 배치하는 점착부 배치 단계(S4)를 갖는다.[PROBLEMS]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properly using the tape member at the time of disposal while maintaining the fixed state and function of the tape member for post-process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tape member 60 for post-processing having an absorbent body 30, a topsheet 20, a backsheet 22, and a fixing portion 62 fixed to the backsheet; An absorbent article is manufactured which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70) form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backsheet and a release sheet (71)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tape fixing step (S2) of fixing a fixing portion of a tape member on a back sheet, and, after the tape fixing step, an adhesive portion and a release sheet disposing an adhesive portion and a release sheet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back sheet. It has a disposition step (S4).

Figure R1020197021071
Figure R1020197021071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갖는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tape member for post-processing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생리용 냅킨이나 팬티 라이너와 같은 흡수성 물품은, 사용 시에,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착용 물품의 내측에 부착되는 흡수성 물품은, 착용 물품에 대한 흡수성 물품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점착부를 갖는다. 이 점착부는,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측(착용자의 피부에 면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폐기 시에 착용 물품으로부터 벗긴 착용 물품을 길이 방향으로 말면, 점착부가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에 닿는다. 그러나, 폐기 시의 흡수성 물품의 피부 대향면(표면 시트)에는 체액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이 점착부와 표면 시트와의 접합을 저해하여, 흡수성 물품을 컴팩트하게 만 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or panty liner, in use, adheres to the inside of a wearable article worn on a wearer. Generally, an absorbent article attached to the inside of a wearable article has an adhesive portion for preventing the absorbent article from slipping relative to the wearable article. This adhesive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the side facing the wearer's skin) of the absorbent article. In such an absorbent article, when the worn article removed from the worn article is ro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ime of disposal, the adhesive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facing surface of the absorbent article. However, since bodily fluid adheres to the skin facing surface (topsheet) of the absorbent article at the time of disposal, there are cases where the bodily fluid inhibits the bond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topsheet, making it impossible to keep the absorbent article in a compactly folded state. there was.

특허문헌 1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의 테이프 부재는, 흡수성 물품의 이면 시트에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을 폐기할 때에, 이면 시트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흡수성 물품을 접은 상태에서 테이프 부재를 점착부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접혀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n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a tape member for post-processing. The tape member of Patent Literature 1 is attached to the backsheet of an absorbent article. When discarding the absorbent article, the user can hold the absorbent article in the folded state by fixing the tape member on the adhesive portion in the folded state so that the backsheet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 제4-11431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4-114317

특허문헌 1의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는, 속옷에 흡수성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점착부와,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점착부는, 일반적으로, 사용 전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박리 시트에 의해 덮여 있다. 박리 시트는,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이면 시트로부터 박리된다. 한편, 테이프 부재는, 폐기 시에 사용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이면 시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조 시의 부착 오차에 의해, 테이프 부재의 이면 시트에 대한 고정부가 박리 시트에 겹치면, 박리 시트를 박리했을 때에 테이프 부재도 박리되어 버려, 폐기 시에 테이프 부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sheet of Patent Literature 1, an adhesive portion for fixing an absorbent article to an undergarment and a tape member for post-processing are formed. The adhesive portion is generally covered with a release sheet in order to suppress deterioration before use. The release sheet is peeled off from the backsheet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wor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ape member is used when discarding, it is necessary to remain fixed to the backsheet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worn. However, if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to the back sheet overlaps the release sheet due to an attachment error during manufacturing, the tape member may also be peeled off when the release sheet is peeled off, and the tape member may not be usable at the time of disposal.

그래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의 고정 상태 및 기능을 유지하여, 폐기 시에 적절히 테이프 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이 요망된다.Therefore, an absorbent article capable of properly using the tape member at the time of disposal, while maintaining the fixed state and function of the tape member for post-processing, is desired.

본 개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흡수체(흡수체(30))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표면 시트(20))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이면 시트(22))와,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된 고정부(고정부(62))를 갖는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테이프 부재(60))와, 상기 이면 시트에 형성된 점착부(점착부(70))와, 상기 점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박리 시트(71))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고정부를 상기 이면 시트 상에 고정하는 테이프 고정 단계(테이프 고정 단계(S2))와, 상기 테이프 고정 단계 후에,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상기 점착부 및 상기 박리 시트를 배치하는 점착부 배치 단계(점착부 배치 단계(S4))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absorber (absorber 30), a topsheet (topsheet 2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kin facing surface of the absorber, and a surface sheet position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absorber. A back sheet (back sheet 22), a post-processing tape member (tape member 60) having a fixing portion (fixing portion 62) fixed to the back sheet, and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the back shee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dhesive portion (70)) and a release sheet (release sheet (71))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wherein the tape fixing step of fixing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on the back sheet. (tape fixing step (S2)) and, after the tape fixing step, an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of disposing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release sheet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back sheet make it a point

본 개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전후 방향(L))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폭 방향(W))과, 흡수체(흡수체(30))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표면 시트(20))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이면 시트(22))와,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된 고정부(고정부(62))를 갖는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테이프 부재(60))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형성된 점착부(점착부(70))와, 상기 점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박리 시트(71))를 갖고, 상기 박리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ront-back direction (front-back direction L),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width direction W), an absorbent body (absorbent body 30), and the absorbent body facing the skin. A topsheet (topsheet 20) positioned on the face side, a backsheet (backsheet 22) position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absorber, and a fixing portion (fixing portion 62) fixed to the backsheet ), a tape member for post-processing (tape member 60), an adhesive portion (adhesive portion 70) formed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side of the back sheet, and a release sheet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release sheet 71 )), and at least a part of the release sheet is arrang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tape mem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흡수체(흡수체(30))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표면 시트(20))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이면 시트(22))와,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된 고정부(고정부(62))를 갖는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테이프 부재(60))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형성된 점착부(점착부(70))와, 상기 점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박리 시트(71))를 갖고, 상기 박리 시트는, 상기 테이프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Another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ront-back directio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an absorbent body (absorbent body 30), and a topsheet (topsheet 20) positioned on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nt body. And, a tape member (tape member (tape member ( 60)), an adhesive portion (adhesive portion 70) formed on the side of the back sheet opposite to the skin, and a release sheet (release sheet 71)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wherein the release sheet comprises the tape member It is the gist that it is arrange|positioned in the area|region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thickness direction.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전후 방향으로 말린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테이프 고정 단계 및 점착부 배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1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테이프 고정 단계 및 점착부 배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변형예 2에 있어서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테이프 고정 단계 및 점착부 배치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rear view of an absorbent article in one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along line AA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in a rolled state in the front-back direc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n absorbent articl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tape fixing step and an adhesive part arranging step of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6 is a rear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in Modification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taken along line BB shown in FIG. 6;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ape fixing step and the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of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in Modification Example 1. FIG.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tape fixing step and the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of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in Modification 2;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From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at least the following matters become clear.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된 고정부를 갖는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와, 상기 이면 시트에 형성된 점착부와, 상기 점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고정부를 상기 이면 시트 상에 고정하는 테이프 고정 단계와, 상기 테이프 고정 단계 후에,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상기 점착부 및 상기 박리 시트를 배치하는 점착부 배치 단계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A tape member for post-processing having an absorber, a topsheet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a backsheet positioned on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and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backsheet;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a sheet and a release sheet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comprising: a tape fixing step of fixing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on the back sheet; An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n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of arranging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release sheet on the side of the backsheet opposite to the skin.

테이프 고정 단계 후에 점착부 배치 단계를 실행하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의 고정부가 박리 시트 상에 겹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박리 시트를 박리했을 때에 박리 시트와 함께 테이프 부재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폐기 시까지 테이프 부재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적절히 테이프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is performed after the tape fixing step, overlapping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on the release sheet can be suppres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ape member from peeling together with the release sheet when the release sheet is peeled off, maintain the fixed state of the tape member until disposal, and appropriately use the tape member.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점착부 배치 단계는, 상기 테이프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 상기 점착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n absorbent article,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adhesiv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dispose the adhesive portion in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tape mem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테이프 부재에 의해 점착부를 덮지 않고, 폐기 전에 테이프 부재가 점착부에 접하기 어렵다. 폐기 시에 테이프 부재를 인장했을 때에 테이프 부재가 점착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파단되거나, 점착부의 점착제가 테이프 부재에 부착되어 속옷에 대한 어긋남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없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의 기능과 점착부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Without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with a tape member, it is difficult for the tape member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dhesive portion before disposal.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blem that when the tape member is pulled at the time of disposal, the tape member does not separate from the adhesive portion and breaks, or the adhesive portion of the adhesive portion adheres to the tape member and the slip-preventing effect on the underwear cannot be exhibi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tape member and the function of the adhesive part.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점착부 배치 단계는, 상기 박리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테이프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배치해도 좋다.In such an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at least a part of the release sheet may be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tape mem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테이프 부재를 박리 시트에 의해 덮기 때문에, 제조 시에 테이프 부재를 박리 시트에 의해 보호할 수 있고, 테이프 부재가 의도하지 않게 말리거나, 접히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반송 시의 테이프 부재의 말림 등에 의해 이면 시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테이프 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tape member is covered with the release sheet, the tape member can be protected by the release sheet during manufacture, and unintentional curling or folding of the tape member can be suppress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ce acting on the tape member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cksheet due to curling of the tape member during conveyance or the like, and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tape member is fixed to the backsheet.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고정 단계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고정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를, 이격 가능하게 상기 이면 시트 상에 배치하고, 상기 점착부 배치 단계는, 상기 비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박리 시트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n absorbent article, the tape fixing step includes disposing a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located downstream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n the conveying direction on the back shee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adhesive In the sub-arranging step, it is preferable to dispose the release sheet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non-fixing portion.

비고정부가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고정부가 반송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반송 시에 비고정부가 고정부를 기점으로 하여 말리기 쉽다. 그러나, 박리 시트에 의해 비고정부를 덮기 때문에, 반송 시에 비고정부가 말리거나,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가 펄럭거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반송 시의 테이프 부재의 말림 등에 의해 이면 시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테이프 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non-fixed part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fixed part is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e non-fixed part is easily rolled up from the fixed part at the time of conveying. However, since the non-fixed portion is covered with the release shee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non-fixed portion from being rolled up or the non-fixed portion of the tape member fluttering during conveyan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ce acting on the tape member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cksheet due to curling of the tape member during conveyance or the like, and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tape member is fixed to the backsheet.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상기 반송 방향의 외연(外緣)을 상기 박리 시트에 의해 덮고 또한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교차 방향의 길이보다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교차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박리 시트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absorbent article, at least an outer edge of the tape member in the conveying direction is covered with the release sheet, and a length of the tape member in a cros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release sheet in the convey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dispose the release sheet so that the length in the cross direction is long.

테이프 부재의 전폭을 박리 시트에 의해 덮음으로써, 테이프 부재의 전폭에 걸쳐 박리 시트에 의해 보호할 수 있고, 테이프 부재가 의도하지 않게 말리거나, 접히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반송 시의 테이프 부재의 말림 등에 의해 이면 시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테이프 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By covering the entire width of the tape member with the release sheet, the entire width of the tape member can be protected with the release sheet, and unintentional curling or folding of the tape member can be further suppress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ce acting on the tape member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cksheet due to curling of the tape member during conveyance or the like, and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tape member is fixed to the backsheet.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 상기 박리 시트를 배치해도 좋다.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absorbent article, the release sheet may be disposed in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tape mem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박리 시트에 의해 테이프 부재가 덮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박리 시트의 조작 시에 테이프 부재를 시인하기 쉽다. 따라서, 박리 시트를 박리할 때에, 잘못해서 테이프 부재를 인장해 버리는 등의 오조작을 방지하여, 폐기 전에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로부터 박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폐기 시까지 테이프 부재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테이프 부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tape member is not covered by the release sheet, it is easy for the user to visually recognize the tape member when operating the release sheet. Therefore, when peeling the release sheet, erroneous operation such as pulling the tape member by mistake can be prevented, and the problem of the tape member being peeled from the back sheet before disposal can be prevented. The fixed state of the tape member is maintained until disposal, and the tape member can be used appropriately.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고정 단계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고정부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를, 이격 가능하게 상기 이면 시트 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n absorbent article, in the tape fixing step, it is preferable to dispose a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located upstream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n the conveying direction on the back shee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고정부가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고, 비고정부가 반송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반송 시에 비고정부가 고정부를 기점으로 하여 말리기 어렵다. 따라서, 반송 시의 테이프 부재의 말림 등에 의해 이면 시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테이프 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fixed part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non-fixed part is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it is difficult for the non-fixed part to roll from the fixed part at the time of convey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ce acting on the tape member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cksheet due to curling of the tape member during conveyance or the like. The tape member can remain fixed to the back sheet.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고정 단계 전에,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적층하는 적층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laminating step of laminating the backsheet and the absorbent body before the tape fixing step.

흡수체는, 흡수 재료가 적층되어 있고, 이면 시트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다. 흡수체와 이면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테이프 부재의 고정처인 이면 시트가 펄럭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면 시트의 펄럭거림에 기인하여, 이면 시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테이프 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프 부재의 고정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쉽다.The absorber is laminated with an absorbent material and has higher rigidity than the backsheet. By laminating the absorber and the backsheet, it is possible to suppress fluttering of the backsheet, which is the fixing point of the tape member. The action of the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cksheet on the tape member due to flapping of the backsheet is suppressed, so that the tape member is more easily maintained in a fixed state.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고정 단계는, 상기 비고정부의 일부인 가고정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보다 낮은 접합력으로 상기 테이프 부재를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n absorbent article, in the step of fixing the tape, it is preferable to fix the tape member to the backsheet with a bonding force lower than that of the fixing part in the temporary part, which is a part of the non-fixing part.

흡수체는, 흡수 재료가 적층되어 있고, 이면 시트와 비교하여 두께를 갖는다. 이면 시트와 흡수체를 적층할 때나 흡수성 물품을 절첩할 때에, 흡수성 물품에는, 두께 방향으로 압박되는 힘이 가해진다. 이때, 테이프 부재의 고정부가 흡수체에 겹쳐 있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테이프 부재와 이면 시트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의 사용 시에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로부터 박리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The absorbent body is laminated with an absorbent material and has a thickness compared to that of the backsheet. When laminating the backsheet and the absorbent body or 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a force to be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applied to the absorbent article. 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overlaps the absorber, a pressing for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strong, so that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ape member and the backsheet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problem of peeling of the tape member from the back sheet at the time of use of the tape member can be suppressed.

이러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이면 시트, 상기 흡수체 및 상기 표면 시트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 단계 후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를 접합하는 외연 접합부를 형성하는 외연 접합 단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n absorbent article, the laminating step includes laminating the backsheet, the absorbent body, and the topsheet, and bonding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together at least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bsorbent article after the laminating step. It is preferred to have an external junction step forming an external junction.

외연 접합부가 형성된 영역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가 접합되어 있어, 상기 외연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다. 접합처인 이면 시트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반송 시에 펄럭거림이 발생하기 쉬운 외연에 있어서 이면 시트가 펄럭거리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프 부재의 고정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쉽다.The region in which the outer joint is formed has a top sheet and a back sheet joined thereto, and the rigid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region in which the outer joint is not form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backsheet to be bonded, flapping of the backsheet at the outer edge where flapping tends to occur during conveyance is suppressed, and the fixed state of the tape member is more easily maintained.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고정된 테이프 부재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형성된 점착부와, 상기 점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고, 상기 박리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A front-back directio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an absorber, a topsheet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a backsheet positioned on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and a skin ratio of the backsheet A tape member fixed to an opposing surface,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a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sheet, and a release sheet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release sheet is in a region overlapping the tape member in a thickness direction. A disposed absorbent article.

테이프 부재를 박리 시트에 의해 덮기 때문에, 박리 시트에 의해 테이프 부재를 보호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사용 전에, 테이프 부재가 의도하지 않게 말리거나, 접히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Since the tape member is covered with the release sheet, the tape member can be protected by the release sheet. Unintentional curling or folding of the tape member before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suppressed. It is easy to keep the tape member fixed to the back sheet.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박리 시트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프 부재의 단 가장자리를 덮고 있고,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ease sheet covers an end edge of the tape memb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releas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ape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do.

박리 시트의 폭 방향의 길이가, 테이프 부재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는, 전폭에 걸쳐 박리 시트에 의해 보호된다. 흡수성 물품의 사용 전에 테이프 부재가 의도하지 않게 접히거나 구부러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length of the releas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ape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tape member is protected by the release sheet over the entire width. Unintentional folding or bending of the tape member before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suppressed.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고정된 테이프 부재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형성된 점착부와, 상기 점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고, 상기 박리 시트는, 상기 테이프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A front-back direction,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an absorber, a topsheet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a backsheet positioned on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and a skin ratio of the backsheet a tape member fixed to an opposing surface,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a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sheet, and a release sheet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wherein the release sheet is disposed in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tape member in a thickness direction, absorbent articles.

박리 시트에 의해 테이프 부재가 덮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박리 시트의 조작 시에 테이프 부재를 시인하기 쉽다. 따라서, 박리 시트를 박리할 때에, 잘못해서 테이프 부재를 인장해 버리는 등의 오조작을 방지하여, 폐기 전에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로부터 박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폐기 시까지 테이프 부재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tape member is not covered by the release sheet, it is easy for the user to visually recognize the tape member when operating the release sheet. Therefore, when peeling the release sheet, erroneous operation such as pulling the tape member by mistake can be prevented, and the problem of the tape member being peeled from the back sheet before disposal can be prevented. The fixed state of the tape member can be maintained until disposal.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테이프 부재는,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된 고정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체와 두께 방향으로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absorbent art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 member has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backsheet, and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portion overlaps the absor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테이프 부재의 고정부가 흡수체에 겹쳐 있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테이프 부재와 이면 시트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의 사용 시에 테이프 부재가 이면 시트로부터 박리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s overlapped with the absorber, a pressing for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strong, and bonding force between the tape member and the backsheet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problem of peeling of the tape member from the back sheet at the time of use of the tape member can be suppressed.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About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code|symbol is attached|subjected to the same or similar par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the ratio of each dimension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one. Therefore, specific dimensions and the like must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Further, even between the drawings, parts having different dimensional relationships or ratios may be included.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예컨대, 생리용 냅킨, 팬티 라이너, 및 흡수 패드를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생리용 냅킨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Examples of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ed by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 sanitary napkins, panty liners, and absorbent pads. In this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manufacturing a sanitary napkin is demonstrated.

흡수성 물품은, 전후 방향(L) 및 폭 방향(W)을 갖는다. 전후 방향(L)은, 착용자의 전측(배측)으로부터 후측(등측)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착용자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이다. 폭 방향(W)은,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The absorbent article has a front-back direction (L) and a width direction (W). The front-back direction L is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wearer's front side (ventral side) to the rear side (dorsal side), or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wearer's rear side to the front side. The width direction W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L.

흡수성 물품(10)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와, 표면 시트(20)와 이면 시트(22) 사이의 흡수체(30)를 갖는다. 표면 시트(20)는,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고,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 쪽을 향한다. 이면 시트(22)는,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배치되고,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는 반대측으로 향해진다. 흡수체(30)는, 흡수성 물품(10)의 전후 방향(L)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 topsheet (20), a backsheet (22), and an absorbent body (30) between the topsheet (20) and the backsheet (22). The topsheet 20 is disposed on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absorber and faces the wearer's skin during use. The backsheet 22 is dispos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T2 of the absorber, and is direct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wearer's skin during use. The absorbent body 30 extends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흡수성 물품(10)은, 힙 플랩(50)을 가져도 좋다. 힙 플랩(50)은, 흡수성 물품의 후측에 있어서 흡수체(30)의 외연보다 폭 방향(W) 외측으로 불룩해진 부분이다. 한편, 흡수성 물품은, 윙을 가져도 좋다. 윙은, 사용 시에 착용 물품의 크로치부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 접힌다. 힙 플랩(50)은, 윙보다 후방에서, 폭 방향(W)으로 불룩해진 부분이다.The absorbent article 10 may have hip flaps 50 . The hip flap 50 is a portion that bulges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W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body 30 on the rear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On the other hand, the absorbent article may have wings. The wing is folded to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crotch portion of the wearing article during use. The hip flap 50 is a part that bulges in the width direction W at the rear of the wing.

흡수성 물품(10)은, 사용 중에 착용자의 배설구(예컨대 질구)에 대향하는 배설구 대향 영역(R1)을 갖는다. 배설구 대향 영역(R1)은, 착용자의 가랑이, 즉 착용자의 양다리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고, 흡수체(30)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 한편, 윙을 갖는 흡수성 물품(10)에서는, 배설구 대향 영역(R1)은, 윙끼리의 사이이며, 흡수체(30)가 존재하는 영역에 상당한다.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n excretory orifice facing region R1 that faces the wearer's excretory orifice (for example, the vaginal orifice) during use. The excretory facing region R1 is a region disposed between the wearer's crotch, that is, between the wearer's legs, and corresponds to the region where the absorber 30 exists. On the other hand, in the absorbent article 10 having wings, the excretory facing region R1 is between the wings and corresponds to the region where the absorber 30 exists.

흡수성 물품(10)은,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형성된 점착부(70)를 갖는다. 점착부(70)는, 착용 물품에 대한 흡수성 물품(10)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점착제가 형성된 영역이다. 점착부(70)는, 흡수성 물품(10)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흡수체(30)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점착부(70)는, 전후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n adhesive portion 70 form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T2 of the backsheet 22 . The adhesive portion 70 is an area where an adhesive is formed to prevent the absorbent article 10 from slipping relative to the wearable article. The adhesive portion 70 is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bent body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The adhesion part 70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and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W.

점착부(70)는, 박리 시트(71)에 의해 덮여 있다. 박리 시트(71)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전에 점착부(70)가 열화되지 않도록, 점착부(70)를 보호한다. 박리 시트(71)의 면적은, 점착부(70) 전체를 덮기 위해서 점착부(70)의 면적보다 크다. 흡수성 물품의 사용 시에 박리 시트(71)가 박리됨으로써, 점착부(70)가 노출되고, 점착부(70)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착용 물품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adhesive portion 70 is covered with a release sheet 71 . The release sheet 71 protects the adhesive portion 70 so that the adhesive portion 70 is not deteriorated prior to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The area of the release sheet 71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adhesive portion 70 in order to cover the entire adhesive portion 70 .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in use, the peeling sheet 71 is peeled off, so that the adhesive portion 70 is exposed, and the absorbent article 10 can be fixed to the wearable article by the adhesive portion 70 .

박리 시트(71)의 적어도 일부는, 테이프 부재(60)와 두께 방향(T)으로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박리 시트(71)는, 테이프 부재(60)의 전후 방향(L)의 단 가장자리인 전단 가장자리를 덮고 있다. 박리 시트(71)의 폭 방향(W)의 길이는, 테이프 부재(60)의 폭 방향(W)의 길이보다 길다. 테이프 부재(60)는, 전폭에 걸쳐 박리 시트에 의해 보호되고, 흡수성 물품의 사용 전에 테이프 부재(60)가 의도하지 않게 접히거나 구부러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t least part of the peeling sheet 71 is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tape member 6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peeling sheet 71 covers the front edge, which is the edge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The length of the release sheet 71 in the width direction W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tape member 60 is protected over the entire width by the release sheet, and unintentional folding or bending of the tape member 60 before use of the absorbent article can be suppressed.

흡수성 물품(10)의 외연에는, 적어도 표면 시트(20) 및 이면 시트(22)를 접합한 외연 접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외연 접합부(35)는, 흡수성 물품(10)의 외연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n outer joint 35 where at least the topsheet 20 and the backsheet 22 are joined is formed. The outer joint portion 35 is form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흡수성 물품(10)은,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T2)에 고정된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60)를 갖는다. 테이프 부재(60)는, 피부 대향면측(T1)에서 보면, 흡수성 물품(10)에 가려진 상태가 된다.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뭉친 상태에서 점착부(70)에 부착되고,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접혀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된다.The absorbent article 10 has a post-processing tape member 60 fixed to the non-skin facing side T2 of the backsheet 22 . The tape member 60 is covered by the absorbent article 10 when viewed from the skin facing surface side T1. The tape member 6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70 whil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up, and is used to hold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folded state after use.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에 고정된 고정부(62)와, 이면 시트(22)에 대해 이격 가능한 비고정부(63)를 갖는다. 고정부(62)는, 테이프 부재(60)의 길이 방향의 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비고정부(63)보다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10R)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부재(60)의 길이 방향은,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L)을 따른다. 테이프 부재(60)는, 점착부(70)와 두께 방향(T)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 부재(60)는, 점착부(70)와 겹치지 않고, 폐기 전에 점착부(70)에 접하기 어렵다. 폐기 전에 의도하지 않게 테이프 부재(60)가 점착부(70)에 부착되지 않고, 폐기 시에 테이프 부재(60)를 인장했을 때에, 테이프 부재(60)가 점착부(70)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파단되거나, 점착부(70)의 점착제가 테이프 부재(60)에 부착되어 속옷에 대한 어긋남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없거나 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60)의 기능과 점착부(70)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The tape member 60 has a fixing portion 62 fixed to the backsheet 22 and a non-fixing portion 63 spaced apart from the backsheet 22 . The fixing portion 62 is formed on the end edge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disposed closer to the rear edge 10R of the absorbent article than the non-fixing portion 63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e member 60 of this embodiment follows the front-rear direction L of an absorbent article.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in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adhesive portion 7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tape member 60 does not overlap with the adhesive portion 70 and is difficul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adhesive portion 70 before disposal. The tape member 60 is not unintentionally attached to the adhesive portion 70 before disposal, and when the tape member 60 is pulled at the time of disposal, the tape member 60 does not separate from the adhesive portion 70 and breaks, or ,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blem that the adhesive of the adhesive portion 70 adheres to the tape member 60 and the slip-preventing effect on the underwear cannot be exhibited. Therefore, the function of the tape member 60 and the fun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70 can be maintained.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3)의 적어도 일부는, 박리 시트(71)에 의해 덮여 있다.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시에 박리 시트(71)를 박리함으로써, 테이프 부재(60) 전체가 노출된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의 사용 시에 테이프 부재(60)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후에 흡수성 물품(10)의 피부 대향면측(T1)이 내측이 되도록 흡수성 물품(10)을 전후 방향(L)으로 만 후, 비고정부(63)를 잡고, 고정부(62)를 기점으로 하여 비고정부(63)를 후측을 향해 접는다. 비고정부(63)가 접힘으로써, 접기 전의 상태의 비고정부(63)의 피부 비대향면이, 둥글게 뭉쳐진 상태의 흡수성 물품의 점착부(70)와 대향한다. 사용자가 비고정부(63)를 점착부(70)에 고정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10)이 둥글게 뭉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테이프 부재(60)에 경혈과 같은 체액이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와 점착부(70)와의 접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흡수성 물품(10)을 작게 둥글게 뭉친 상태로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흡수성 물품(10)은, 경혈 등의 체액이 부착된 면을 내측으로 하여 말리기 때문에, 말린 흡수성 물품(10)의 표면에는, 체액은 부착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non-fixed portion 63 of the tape member 60 is covered with the release sheet 71 . When the user peels off the release sheet 71 when using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entire tape member 60 is exposed. The user can recognize the existence of the tape member 60 when using the absorbent article. After using the absorbent article 10, the user folds the absorbent article 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so that the skin-facing surface side T1 of the absorbent article 10 is on the inside, then holds the non-fixed portion 63, Using the fixing part 62 as the starting point, the non-fixing part 63 is folded toward the rear side. When the non-fixed portion 63 is folded, the skin non-facing surface of the non-fixed portion 63 in a state before folding faces the adhesive portion 70 of the absorbent article in a rolled-up state. By fixing the non-fixing part 63 to the adhesive part 70 by the user, as shown in FIG. 3 , the absorbent article 10 can maintain a rounded state. Here, since bodily fluid such as menstrual blood does not adhere to the tape member 60, a decrease in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ape member 60 and the adhesive portion 70 can be prevented, thereby forming the absorbent article 10 into a small round ball. can be easily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bsorbent article 10 is rolled with the side to which bodily fluids such as menstrual blood adhered is turned inside, the bodily fluid does not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10. In this way, the user can cleanly treat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또한, 사용자는,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작게 둥글게 뭉친 상태로 일단 근처의 작은 스페이스 상에 놓아 둘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흡수성 물품(10)을 속옷과 같은 착용 물품에 부착하고, 속옷이나 옷을 착용한 후에, 사용 후의 흡수성 물품(10)을 쓰레기통 등에 폐기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10)을 폐기하는 쓰레기통이 근처에 없는 상황하에 있어서, 사용자는, 작게 둥글게 뭉친 흡수성 물품(10)을 가방에 넣어 가지고 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place the absorbent article 10 after use in a small, rounded state once on a nearby small space. Accordingly, the user can attach the new absorbent article 10 to a wearable article such as underwear, wear the underwear or clothes, and then dispose of the used absorbent article 10 in a trash can or the like. Further,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trash can for discarding the absorbent article 10 nearby, the user can carry the small round absorbent article 10 in a bag.

테이프 부재(60)는,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부재(60)는, 고정부(62)를 기점으로 비고정부(63)가 접힘으로써, 비고정부(63)의 적어도 일부가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연장된다. 다른 예로서, 테이프 부재는, 신축성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착용자가 테이프 부재를 인장함으로써, 테이프 부재가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연장된다.The tape member 6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In the tape member 60 of this embodiment, when the non-fixed portion 63 is folded from the fixed portion 62 as a starting point, at least a part of the non-fixed portion 63 extends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As another example, the tape member may be composed of an elastic sheet. In this case, when the wearer pulls the tape member, the tape member extends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또한 다른 예로서, 테이프 부재는, Z형으로 절첩된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착용자가 테이프 부재의 선단을 인장함으로써, 절첩된 테이프 부재가 전개되고, 이에 의해 테이프 부재가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연장된다.As another example, the tape member may be composed of a sheet folded in a Z shape. In this case, when the wearer pulls the front end of the tape member, the folded tape member is unfolded, whereby the tape member extends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

또한, 흡수성 물품(10)의 사용 중에 있어서는, 테이프 부재(60)는, 이면 시트(22)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형성되고, 흡수성 물품(10)의 외연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부재(60)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 중의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sorbent article 10 is in use, the tape member 60 is form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backsheet 22 and does not extend outward from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10, so that the tape member 60 The member 60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wearer's skin. Therefore, a sense of incongruity or discomfort during use can be reduced.

테이프 부재(60)는, 점착부(70)에 부착 가능한 재료이면, 어떠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부재(60)는, 표면 시트(20)보다 점착부(70)에 점착하기 쉬운 재료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플라스틱 필름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부재(60)는, 폐기 시에 테이프 부재(60)를 이면 시트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제를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다른 형태로서, 테이프 부재(60)는, 점착부(70) 등에 테이프 부재(6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점착제를 갖고 있어도 좋다.The tape member 6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as long as it can be adhered to the adhesive portion 70 . Preferably, the tape member 60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more easily adhered to the adhesive portion 70 than the topsheet 20, and a plastic film can be exemplified. The tape member 60 of this embodiment does not need to have an adhesive for fixing the tape member 60 to the back sheet or the like at the time of disposal. As another aspect, the tape member 60 may have an adhesive for fixing the tape member 60 to the adhesive portion 70 or the like.

점착부(70)는, 테이프 부재(60)를 전후 방향(L)으로 연장한 가상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테이프 부재(60)를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10R)보다 후측으로 연장시키고, 말린 흡수성 물품(10)에 똑바로 테이프 부재(60)를 따르게 하면, 테이프 부재(60)에 점착부(70)가 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를 점착부(70)의 위치를 향해 비스듬히 인장하지 않고 용이하게 흡수성 물품(10)을 둥글게 뭉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portion 70 is formed on an imaginary line extending the tape member 60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In this way, when the tape member 60 is extended rearward from the trailing edge 10R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tape member 60 is straight along the rolled absorbent article 10, the adhesive portion 70 is attached to the tape member 60. ) is attached.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hold the absorbent article 10 in a rounded state without pulling the tape member 60 obliquely toward the position of the adhesive portion 70 .

계속해서, 이러한 흡수성 물품(10)을 구성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적층 단계(S1)와, 테이프 고정 단계(S2)와, 외연 접합 단계(S3)와, 점착부 배치 단계(S4)와, 및 절단 단계(S5)를 적어도 갖는다.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단계 외에, 흡수체를 형성하는 단계, 흡수체 등에 엠보스 가공을 형성하는 단계 등, 주지의 제조 단계를 가져도 좋다.Subsequently,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sorbent article constituting the absorbent articl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has at least a laminating step (S1), a tape fixing step (S2), an outer bonding step (S3), an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and a cutting step (S5).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may include known manufacturing steps such as a step of forming an absorbent body and a step of forming embossing on the absorbent body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steps described above.

또한, 본 실시형태는, 이면 시트(22)가 전후 방향(L)으로 연속된 이면 연속체(22C) 및 표면 시트(20)가 전후 방향(L)으로 연속된 표면 연속체(20C)를 이용하고 있다. 이면 연속체(22C)는, 이면 시트(22)를 구성하고, 이면 연속체(22C)의 피부 대향면(23)은, 이면 시트(22)의 피부 대향면에 대응한다. 또한, 표면 연속체(20C)는, 표면 시트(20)를 구성하고, 표면 연속체(20C)의 피부 대향면은, 표면 시트(20)의 피부 대향면에 대응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back surface continuum 22C in which the back sheet 22 is continuous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and a surface continuum 20C in which the top sheet 20 is continuous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 The back continuum 22C constitutes the back sheet 22, and the skin facing surface 23 of the back continuum 22C corresponds to the 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 sheet 22. The surface continuum 20C constitutes the topsheet 20, and the skin facing surface of the surface continuum 20C corresponds to the skin facing surface of the topsheet 20.

적층 단계(S1)에서는, 이면 연속체(22C), 흡수체(30) 및 표면 연속체(20C)를 적층하여, 물품 연속체를 형성한다.In the lamination step S1, the back continuum 22C, the absorber 30 and the surface continuum 20C are laminated to form an article continuum.

도 5는 테이프 고정 단계(S2) 및 점착부 배치 단계(S4)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물품 연속체의 단면도이다. 테이프 고정 단계(S2)에서는, 이면 시트(22)를 구성하는 이면 연속체(22C)를 반송 방향(MD)을 따라 반송하면서, 이면 연속체(22C)의 피부 비대향면(24) 상에 테이프 부재(60)를 고정한다. 테이프 고정 단계(S2)에서는, 테이프 부재(60)와 이면 연속체(22C)가 겹치는 영역의 일부인 고정부(62)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60)를 이면 연속체(22C)에 고정하고, 비고정부(63)에 있어서 테이프 부재(60)를 이격 가능하게 이면 연속체(22C) 상에 배치한다. 비고정부(63)는, 이면 시트(22)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폐기 시에 사용자가 잡기 쉽다. 사용자가 비고정부(63)를 잡음으로써, 테이프 부재(60)의 조작 시에 잘못해서 고정부(62)를 인장하여, 고정부(62)가 이면 시트(22)로부터 박리되거나, 테이프 부재(60)와 이면 시트(22)의 접합력이 약해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60)가 폐기 시에 벗겨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inuum of articles schematically showing a tape fixing step (S2) and an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In the tape fixing step S2, the tape member ( 60) is fixed. In the tape fixing step S2, the tape member 60 is fixed to the back continuum 22C at the fixing portion 62, which is a part of the region where the tape member 60 and the back continuum 22C overlap, and the non-fixing portion 63 ),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on the back continuum 22C so as to be spaced apart. The non-fixing portion 63 is not bonded to the back sheet 22 and is easy to be grasped by the user when discarding. By holding the non-fixing portion 63, the user mistakenly pulls the fixing portion 62 when operating the tape member 60, and the fixing portion 62 peels off from the backsheet 22, or the tape member 60 ) and the backsheet 22, the weakening of the bonding force can be suppressed. Therefore, the problem that the tape member 60 peels off at the time of disposal can be suppressed.

한편,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는, 예컨대, 접착제, 엠보스 가공, 열용착 및 초음파 용착에 의해 이면 연속체(22C)에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프 부재(60)를 이면 연속체(22C)에 접촉하기 전에, 테이프 부재(60)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제에 의해 테이프 부재(60)의 고정부(62)를 이면 연속체(22C)에 고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is fixed to the back continuum 22C by, for example, adhesive, embossing, thermal welding, or ultrasonic welding. In this embodiment, before bringing the tape member 60 into contact with the back continuum 22C,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tape member 60, and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 is fixed to the back continuum by the adhesive. Fix to (22C).

테이프 고정 단계(S2)는, 적층 단계(S1) 후에 실행된다. 흡수체(30)는, 흡수 재료가 적층되어 있고, 이면 연속체(22C)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다. 흡수체와 이면 연속체를 적층함으로써, 테이프 부재(60)의 고정처인 이면 연속체가 펄럭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면 연속체(22C) 시트의 펄럭거림에 기인하여, 이면 연속체(22C)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테이프 부재(60)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프 부재(60)의 고정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쉽다.The tape fixing step (S2) is executed after the lamination step (S1). The absorber 30 is laminated with absorbent materials, and has higher rigidity than the back surface continuum 22C. By laminating the absorber and the back continuum, it is possible to suppress fluttering of the back continuum, which is the fixing point of the tape member 60. The force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ck continuum 22C due to fluttering of the sheet of the back continuum 22C is suppressed from acting on the tape member 60, so that the fixed state of the tape member 60 is more easily maintained.

테이프 고정 단계(S2)는, 고정부(62)보다 반송 방향(MD) 하류측에 비고정부(63)를 형성한다.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3)는, 이격 가능하게 이면 연속체(22C) 상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테이프 고정 단계(S2)는, 점착부 배치 단계(S4)보다 반송 방향(MD) 상류측이면 되고, 적층 단계(S1)보다 반송 방향(MD) 상류측이어도 좋다.In the tape fixing step (S2), the non-fixing portion 63 is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xing portion 62 in the transport direction MD. The non-fixed portion 63 of the tape member 60 is disposed on the back continuum 22C so that it can be spaced apart. On the other hand, the tape fixing step (S2) may be upstream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from the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or may be upstream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from the lamination step (S1).

계속해서, 외연 접합 단계(S3)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있어서 표면 시트(표면 연속체)와 이면 시트(이면 연속체)를 접합하는 외연 접합부(35)를 형성한다. 외연 접합 단계(S3)는, 적층 단계(S1)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이면 되고, 테이프 고정 단계(S2)보다 반송 방향(MD) 상류측이어도 좋으며, 점착부 배치 단계(S4)보다 반송 방향(MD) 하류측이어도 좋다.Subsequently, in the outer edge bonding step S3, an outer edge bonding portion 35 for bonding the top sheet (surface continuum) and the back sheet (rear continuum)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absorbent article. The outer edge bonding step (S3) may be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transport direction from the lamination step (S1), or may be on the upstream side in the transport direction (MD) from the tape fixing step (S2), and may be on the transport direction (MD) from the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 may be downstream.

외연 접합부(35)는, 엠보스 가공, 히트 시일, 및 초음파 용착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외연 접합부(35)가 형성된 영역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가 접합되어 있어, 외연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다. 접합처인 이면 시트의 강성이 높아짐으로써, 반송 시에 펄럭거림이 발생하기 쉬운 외연에 있어서 이면 시트가 펄럭거리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프 부재(60)의 고정 상태를 보다 유지하기 쉽다.The outer joint 35 can be formed by embossing, heat sealing, and ultrasonic welding. The region in which the outer joint portion 35 is formed has a top sheet and a back sheet joined together, and thus has higher rigidity than a region in which no external joint portion is form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backsheet to be bonded, flapping of the backsheet at the outer edge where flapping tends to occur during conveyance is suppressed, and the fixed state of the tape member 60 is more easily maintained.

또한, 외연 접합 단계(S3)는, 고정부(62)의 적어도 일부에 겹치도록 외연 접합부(35)를 형성한다. 외연 접합부(35)에 의해, 이면 시트(22)와 테이프 부재(60)를 더욱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면 시트(22)와 테이프 부재(60)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ternal bonding step (S3), the external bonding portion 35 is formed so as to overlap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portion 62 . Since the back sheet 22 and the tape member 60 can be further joined by the outer joint portion 35,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ack sheet 22 and the tape member 60 can be increased.

계속해서, 점착부 배치 단계(S4)에서는, 이면 연속체(22C)의 피부 비대향면(24)에, 착용 물품에 대한 흡수성 물품(10)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점착부(70)와, 점착부(70)를 덮는 박리 시트(71)를 형성한다. 점착부 배치 단계(S4)는, 테이프 고정 단계(S2)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이면 되고, 적층 단계(S1)보다 반송 방향(MD) 상류측이어도 좋으며, 외연 접합 단계(S3)보다 반송 방향(MD) 상류측이어도 좋다.Subsequently,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adhesive portion (S4), the adhesive portion 70 for preventing the deviation of the absorbent article 10 from the wearable article is attached to the non-skin facing surface 24 of the back continuous body 22C, and A release sheet 71 covering the portion 70 is formed. The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may be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from the tape fixing step (S2), may be upstream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from the lamination step (S1), or may be on the conveying direction (MD) from the outer edge bonding step (S3). ) may be upstream.

테이프 부재(60), 점착부(70), 및 박리 시트(71)는, 모두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24)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가 근접하여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테이프 고정 단계(S2) 후에 점착부 배치 단계(S4)를 실행하기 때문에, 제조 시의 부착 오차에 의해 박리 시트(71)와 테이프 부재(60)가 겹친 경우라도, 테이프 부재의 고정부(62)가 박리 시트(71) 상에 겹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박리 시트(71)를 박리했을 때에 박리 시트(71)와 함께 테이프 부재(60)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폐기 시까지 테이프 부재(6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적절히 테이프 부재(60)를 사용할 수 있다.The tape member 60, the adhesive portion 70, and the release sheet 71 are all formed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24 of the back sheet, and may be arranged close to each other. Since the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is performed after the tape fixing step (S2), even when the release sheet 71 and the tape member 60 overlap due to an adhesion error during manufacturing,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Overlapping on the temporary peeling sheet 71 can be suppressed. Therefore, when the peeling sheet 71 is peeled off, the peeling of the tape member 60 together with the peeling sheet 71 is prevented, the fixed state of the tape member 60 is maintained until disposal, and the tape member 60 is appropriately removed. ) can be us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부 배치 단계(S4)는, 박리 시트(71)의 적어도 일부를 테이프 부재(60)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배치한다. 테이프 부재(60)를 박리 시트(71)에 의해 덮기 때문에, 제조 시에 테이프 부재(60)를 박리 시트(71)에 의해 보호할 수 있고, 테이프 부재(60)가 의도하지 않게 말리거나, 접히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반송 시의 테이프 부재(60)의 말림 등에 의해 이면 시트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테이프 부재(60)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프 부재(60)가 이면 시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in step S4 of arranging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a part of the peeling sheet 71 is dispos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tape member 60 in the thickness direction. Since the tape member 60 is covered by the release sheet 71, the tape member 60 can be protected by the release sheet 71 during manufacture, and the tape member 60 is not unintentionally rolled or folded. You can refrain from doing anything. The force acting on the tape member 60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cksheet due to the curling of the tape member 60 during conveyance or the like can be suppressed, and the state in which the tape member 60 is fixed to the backsheet can be maintained.

점착부 배치 단계(S4)는, 비고정부(63)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박리 시트(71)를 배치한다. 비고정부(63)가 고정부(62)보다 반송 방향(MD) 하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반송 시에 비고정부(63)가 고정부(62)를 기점으로 말릴 우려가 있다. 비고정부(63)를 덮도록 박리 시트(71)를 배치함으로써, 반송 시에 비고정부(63)가 말리거나, 테이프 부재(60)의 비고정부(63)가 펄럭거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한다.In step S4 of arranging the adhesive portion, the release sheet 71 is disposed so as to cover at least a part of the non-fixed portion 63 . Since the non-fixed portion 63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fixed portion 62 in the transport direction (M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on-fixed portion 63 is rolled around the fixed portion 62 at the time of conveyance. By disposing the peeling sheet 71 so as to cover the non-fixed portion 63, the non-fixed portion 63 is rolled up during conveyance and the non-fixed portion 63 of the tape member 60 is prevented from fluttering.

점착부 배치 단계(S4)는, 테이프 부재(60)와 두께 방향(T)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 점착부(70)를 배치한다. 점착부 배치 단계(S4)는, 테이프 부재(60)의 적어도 반송 방향(MD)의 외연을 박리 시트(71)에 의해 덮고, 테이프 부재(60)의 교차 방향(CD)의 길이보다 박리 시트(71)의 교차 방향(CD)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박리 시트(71)를 배치한다. 테이프 부재(60)의 전폭을 박리 시트(71)에 의해 덮음으로써, 테이프 부재(60)의 전폭에 걸쳐 박리 시트(71)에 의해 테이프 부재(60)를 보호할 수 있고, 테이프 부재(60)가 의도하지 않게 말리거나, 접히거나 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반송 시의 테이프 부재(60)의 말림 등에 의해 이면 연속체(22C)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테이프 부재(60)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테이프 부재(6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rranging the adhesive portion (S4), the adhesive portion 70 is disposed in an area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tape member 6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adhesive part (S4), at least the outer edge of the tape member 60 in the transport direction (MD) is covered with the release sheet 71, and the release sheet ( The release sheet 71 is disposed so that the length of the cross direction CD of 71 is long. By covering the entire width of the tape member 60 with the release sheet 71, the tape member 60 can be protected by the release sheet 71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tape member 60, and the tape member 60 Unintentional curling or folding can be more suppress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ce acting on the tape member 60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ck continuum 22C due to the curling of the tape member 60 during conveyance, etc., and the tape member 60 can b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계속해서, 절단 단계(S5)에서는, 개개의 흡수성 물품의 외연을 따라 물품 연속체를 절단한다. 절단 단계(S5)에 의해 물품 연속체를 절단함으로써, 개개의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절단 단계(S5)는, 적층 단계(S1) 및 외연 접합 단계(S3)보다 반송 방향(MD) 하류측이면 되고, 테이프 고정 단계(S2) 및 점착부 배치 단계(S4)보다 반송 방향(MD) 상류측이어도 좋다.Subsequently, in the cutting step S5, the continuum of articles is cut along the periphery of each absorbent article. By cutting the continuum of articles by the cutting step S5, individual absorbent articles can be obtained. The cutting step (S5) only needs to be on the downstream side in the transport direction (MD) of the lamination step (S1) and the external bonding step (S3), and the transport direction (MD) of the tape fixing step (S2) and the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It may be upstream.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변형예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10A)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B-B선을 따른 흡수성 물품(10A)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 1에 따른 테이프 고정 단계(S2) 및 점착부 배치 단계(S4)를 설명하기 위한 물품 연속체의 단면도이다.Subsequently, based on Figs. 6 to 9,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modified exampl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s are omitted. FIG. 6 is a rear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10A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1,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bsorbent article 10A along line B-B shown i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inuum of articles for explaining a tape fixing step (S2) and an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1.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점착부 배치 단계(S4)는, 테이프 부재(60A)와 두께 방향(T)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 박리 시트(71)를 배치한다. 박리 시트(71)와 테이프 부재(60A)는, 전후 방향(L)으로 이격되어 있다. 박리 시트(71)에 의해 테이프 부재(60)가 덮이지 않기 때문에, 박리 시트(71)의 조작 시에 사용자가 테이프 부재(60A)를 시인하기 쉽다. 따라서, 박리 시트(71)를 박리할 때에, 잘못해서 테이프 부재(60A)를 인장해 버리는 등의 오조작을 방지하여, 폐기 전에 테이프 부재(60A)가 이면 시트(22)로부터 박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폐기 시까지 테이프 부재(60A)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of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1, the release sheet 71 is disposed in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tape member 60A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release sheet 71 and the tape member 60A are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L. Since the tape member 60 is not covered by the release sheet 71, the user can easily visually recognize the tape member 60A when operating the release sheet 71. Therefore, when peeling off the release sheet 71, erroneous operation such as pulling the tape member 60A by mistake is prevented, and the problem that the tape member 60A is peeled from the back sheet 22 before disposal is prevented. can do. The fixed state of the tape member 60A can be maintained until discarded.

테이프 고정 단계(S2)는, 테이프 부재(60A)의 고정부(62)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체(30)와 두께 방향(T)으로 겹치는 영역에 형성한다. 흡수체(30)는, 흡수 재료가 적층되어 있고, 이면 시트와 비교하여 두께를 갖는다. 이면 시트와 흡수체를 적층할 때나 흡수성 물품을 절첩할 때에, 흡수성 물품에는, 두께 방향으로 압박되는 힘이 가해진다. 이때, 테이프 부재의 고정부(62)가 흡수체에 겹쳐 있기 때문에, 두께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여, 테이프 부재(60A)와 이면 시트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 부재의 사용 시에 테이프 부재(60A)가 이면 시트로부터 박리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tape fixing step (S2),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60A is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ber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 The absorber 30 is laminated with an absorbent material and has a thickness compared to that of the backsheet. When laminating the backsheet and the absorbent body or folding the absorbent article, a force to be pr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applied to the absorbent article. At this time, since the fixing portion 62 of the tape member is overlapped with the absorber, a pressing for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strong, and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tape member 60A and the backsheet can be incr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roblem that the tape member 60A peels off from the back sheet at the time of use of the tape member.

변형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흡수성 물품의 후단 가장자리(10R)가 반송 방향(MD)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흡수성 물품을 반송한다. 테이프 고정 단계(S2)는, 테이프 부재(60A)의 고정부(62)보다 반송 방향(MD) 상류측에 비고정부(63)를 배치한다. 고정부(62)가 비고정부(63)보다 반송 방향(MD) 하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반송 시에 비고정부(63)가 고정부(62)를 기점으로 말리기 어렵다. 반송 시의 테이프 부재(60A)의 말림 등에 의해 이면 시트(2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테이프 부재(60A)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테이프 부재(60A)가 이면 시트(2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Modification 1, the absorbent article is conveyed so that the rear edge 10R of the absorbent article is positioned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MD. In the tape fixing step (S2), the non-fixing part 63 is disposed upstream in the conveyance direction (MD) from the fixing part 62 of the tape member 60A. Since the fixed portion 62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non-fixed portion 63 in the transport direction (MD), it is difficult for the non-fixed portion 63 to roll from the fixed portion 62 at the time of conveyan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orce acting on the tape member 60A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cksheet 22 due to the curling of the tape member 60A during conveyance or the like. The state in which the tape member 60A is fixed to the back sheet 22 can be maintained.

계속해서,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변형예 2에 따른 테이프 고정 단계(S2) 및 점착부 배치 단계(S4)를 설명하기 위한 물품 연속체의 단면도이다. 변형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테이프 고정 단계(S2)는, 테이프 부재(60B)의 비고정부(63)가 고정부(62)보다 반송 방향(MD) 하류측에 위치한 상태로 테이프 부재(60B)를 반송하고, 비고정부(63)의 일부인 가고정부(64)에 있어서, 고정부(62)보다 약한 접합력으로 이면 연속체(22C)와 테이프 부재(60B)를 고정한다. 가고정부(64)를 형성함으로써, 반송 시에 비고정부(63)가 말리거나, 테이프 부재(60B)의 비고정부(63)가 펄럭거리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반송 시의 테이프 부재(60B)의 말림 등에 의해 이면 시트(2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테이프 부재(60B)에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프 부재(60B)가 이면 연속체(22C)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Modification 2 will be describ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inuum of articles for explaining a tape fixing step (S2) and an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S4)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2. In the tape fixing step (S2) of 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Modification 2, the non-fixing portion 63 of the tape member 60B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fixing portion 62 in the conveying direction MD, the tape member 60B is transported, and the back continuum 22C and the tape member 60B are fixed with a bonding force weaker than that of the fixing portion 62 in the fastening portion 64, which is a part of the non-fixing portion 63. By forming the temporary portion 64,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olling of the non-fixed portion 63 or fluttering of the non-fixed portion 63 of the tape member 60B during conveyance. A state in which the tape member 60B is fixed to the back continuum 22C by suppressing the force acting on the tape member 60B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ck sheet 22 due to the curling of the tape member 60B during conveyance or the like. can keep

가고정부(64)의 접합력이 고정부(62)의 접합력보다 약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테이프 부재(60B)의 사용 시에 용이하게 가고정부(64)를 박리하고, 비고정부(63)를 잡고 테이프 부재(60B)를 조작할 수 있다. 가고정부(64)의 고정 수단으로서는, 접착제, 엠보스 가공, 열용착, 초음파 용착을 예시할 수 있고, 고정부(62)보다 접착제의 도포량을 적게 하거나, 고정부(62)보다 엠보스 가공의 압착을 약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가고정부(64)는, 외연 접합부(35)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Since the bonding force of the temporary portion 64 is weaker than that of the fixing portion 62, the user can easily peel off the temporary portion 64 when using the tape member 60B, hold the non-fixing portion 63, and tape the tape member 60B. The member 60B can be manipulated. As the fixing means of the temporary part 64, adhesive, embossing, thermal welding, and ultrasonic welding can be exemplified, and the amount of adhesive applied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xing part 62, or the embossing is better than the fixing part 62. The compression can be weakened or reduced. Moreover, the gong part 64 may be comprised by the outer joint part 35.

접합력은, 인장 시험기(인스트론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 제조, 형식 5543)로 측정 가능하다. 예컨대, 접합력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먼저, 인장 시험기의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에, 테이프 부재의 시험편과 이면 시트의 시험편을 고정한다. 상부 고정부 및 하부 고정부에 고정하는 시험편은 폭 10 ㎜로 한다. 상부 고정부에 고정하는 시험편과 하부 고정부에 고정하는 시험편 사이에는, 고정부(62)에 상당하는 고정면이 형성되어 있다. 인장 시험기의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와의 상대 변위 속도를 100 ㎜/분으로 설정하고, 접합부를 박리하고 있는 동안의 최대 하중점을 접합력(접착 강도)으로 한다.Bonding force can be measured with a tensile tester (model 5543 manufactured by Instron Japan Co., Ltd.). For example, bonding force is measured as follows. First, the test piece of the tape member and the test piece of the backsheet are fixed to the upper fixing part and the lower fixing part of the tensile tester. The width of the test piec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is 10 mm. A fix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art 62 is formed between the test piece fixed to the upper fixing part and the test piece fixed to the lower fixing part. The relative displacement speed of the upper fixed part and the lower fixed part of the tensile tester is set to 100 mm/min, and the maximum load point while peeling the bonded part is taken as the bonding force (adhesive strength).

이상, 실시형태 및 변형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조금도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embodiments and modified examples above, 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Therefore, the description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ve explanation, and does not have any limiting mean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물품이 전후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지만, 다른 예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이 폭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면 연속체 및 표면 연속체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면 연속체를 이면 시트로 치환하고, 또한 표면 연속체를 표면 시트로 치환하여, 흡수성 물품을 제조해도 좋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in a state where the absorbent articles are lined up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described, but in another example, the absorbent article may be manufactured in a state where the absorbent article is lined up in the width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back continuum and the front continuum are used, but the back continuum may be replaced with the back sheet, and the front continuum may be replaced with the top sheet to produce an absorbent article.

한편, 2016년 12월 22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6-250148호의 모든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In addition, all the contents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250148 filed on December 22, 2016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개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의 고정 상태 및 기능을 유지하여, 폐기 시에 적절히 테이프 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sorbent artic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that can properly use the tape member at the time of disposal while maintaining the fixed state and function of the tape member for post-treatment.

10, 10A: 흡수성 물품 20: 표면 시트
22: 이면 시트 23: 피부 대향면
24: 피부 비대향면 30: 흡수체
35: 외연 접합부 60, 60A, 60B: 테이프 부재
62: 고정부 63: 비고정부
64: 가고정부 70: 점착부
71: 박리 시트 S1: 적층 단계
S2: 테이프 고정 단계 S3: 외연 접합 단계
S4: 점착부 배치 단계 S5: 절단 단계
10, 10A: Absorbent article 20: Top sheet
22: back sheet 23: skin facing surface
24: non-skin facing surface 30: absorber
35: external joint 60, 60A, 60B: tape member
62: fixed part 63: non-fixed part
64: temporary part 70: adhesive part
71: release sheet S1: lamination step
S2: tape fixing step S3: external bonding step
S4: adhesive part arrangement step S5: cutting step

Claims (14)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에 고정된 고정부를 갖는 후처리용의 테이프 부재와, 상기 이면 시트에 형성된 점착부와, 상기 점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고정부를 상기 이면 시트 상에 고정하는 테이프 고정 단계와,
상기 테이프 고정 단계 후에,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상기 점착부 및 상기 박리 시트를 배치하는 점착부 배치 단계를 갖고,
상기 점착부 배치 단계는, 상기 테이프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에 상기 점착부를 배치하며,
상기 점착부 배치 단계는, 상기 박리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테이프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배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A tape member for post-processing having an absorber, a topsheet positioned on the 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a backsheet positioned on the non-skin-facing surface side of the absorber, and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backshee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a sheet and a release sheet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comprising:
a tape fixing step of fixing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on the back sheet;
After the tape fixing step, an adhesive portion arranging step of disposing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release sheet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back sheet,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adhesive portion, the adhesive portion is disposed in a reg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tape mem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adhesive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release sheet is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tape member in a thicknes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고정 단계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고정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비고정부를, 이격 가능하게 상기 이면 시트 상에 배치하고,
상기 점착부 배치 단계는, 상기 비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박리 시트를 배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 wherein the step of fixing the tape comprises disposing a non-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tape member in a conveying direction on the back shee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tep of arranging the adhesive portion, the release sheet is disposed so as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non-fixing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 배치 단계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적어도 반송 방향의 외연(外緣)을 상기 박리 시트에 의해 덮고 또한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교차 방향의 길이보다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교차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상기 박리 시트를 배치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tep of arranging the adhesive portion includes covering at least an outer edge of the tape member in the conveying direction with the release sheet and crossing the tape member in a crossing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and disposing the release sheet so that the length of the release sheet in the cross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release she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고정 단계 전에, 상기 이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를 적층하는 적층 단계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The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laminating step of laminating the backsheet and the absorbent body before the tape fixing ste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고정 단계는,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흡수체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형성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in the step of fixing the tape, at least a part of the fixing part is form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absorber in a thickness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이면 시트, 상기 흡수체 및 상기 표면 시트를 적층하고,
상기 적층 단계 후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외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를 접합하는 외연 접합부를 형성하는 외연 접합 단계를 갖는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aminating step comprises laminating the backsheet, the absorbent body, and the topsheet;
An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fter the lamination step, an outer joining step of forming an outer joining portion for joining at least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bsorbent article.
전후 방향과,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과,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이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고정된 테이프 부재와,
상기 이면 시트의 피부 비대향면에 형성된 점착부와,
상기 점착부를 덮는 박리 시트를 갖고,
상기 박리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테이프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width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back direction;
absorber,
a topsheet positioned on the skin facing side of the absorber;
a back sheet positioned on the non-skin facing side of the absorber;
a tape member fixed to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 sheet;
An adhesive portion formed on the non-skin facing surface of the back sheet;
a release sheet covering the adhesive portion;
The absorbent article of claim 1 ,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release sheet is disposed in a region overlapping the tape member in a thickness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는 상기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테이프 부재의 단 가장자리를 덮고 있고,
상기 박리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테이프 부재의 상기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인 흡수성 물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release sheet covers an end edge of the tape memb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absorbent article, wherein the length of the release sheet in the width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ape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7021071A 2016-12-22 2017-09-15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KR1024984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50148 2016-12-22
JP2016250148A JP6352378B2 (en) 2016-12-22 2016-12-22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PCT/JP2017/033470 WO2018116551A1 (en) 2016-12-22 2017-09-15 Absorbent article and production method for absorbent art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215A KR20190097215A (en) 2019-08-20
KR102498460B1 true KR102498460B1 (en) 2023-02-09

Family

ID=6262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071A KR102498460B1 (en) 2016-12-22 2017-09-15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352378B2 (en)
KR (1) KR102498460B1 (en)
CN (1) CN110087597B (en)
BR (1) BR112019012175A2 (en)
TW (1) TWI756269B (en)
WO (1) WO201811655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94542B (en) * 2019-07-30 2023-04-1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Absorbent art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456B1 (en) * 1992-09-04 2000-12-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Method for continuously attaching a restrained elastic material to an absorbent article
JP2010220747A (en) * 2009-03-23 2010-10-07 Daio Paper Corp Absorbing pad
WO2010117314A1 (en) * 2009-04-09 2010-10-14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integrated tab in order to facilitate disposa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4119U (en) * 1986-10-31 1988-05-18
US5358499A (en) * 1987-07-16 1994-10-25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with disposal means
JPH04114317A (en) 1990-09-04 1992-04-15 Mitsubishi Electric Corp Magnetic disk and production thereof
JP3007564B2 (en) * 1995-03-17 2000-02-07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3623288B2 (en) * 1995-10-13 2005-02-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diapers
JP3566461B2 (en) * 1996-06-28 2004-09-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body fluid absorbent articles
JP3876198B2 (en) * 2002-07-16 2007-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MX2007014702A (en) * 2005-06-01 2008-02-15 Sca Hygiene Prod Ab Absorbent article having disposal fastening means.
KR20110011466U (en) * 2010-06-07 2011-12-14 이하영 sanitary pad
JP5882105B2 (en) * 2012-03-30 2016-03-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Disposable wearing items
JP6121214B2 (en) * 2013-03-29 2017-04-26 大王製紙株式会社 Individual absorbent articles
WO2016047319A1 (en) * 2014-09-26 2016-03-31 大王製紙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456B1 (en) * 1992-09-04 2000-12-15 데이비드 엠 모이어 Method for continuously attaching a restrained elastic material to an absorbent article
JP2010220747A (en) * 2009-03-23 2010-10-07 Daio Paper Corp Absorbing pad
WO2010117314A1 (en) * 2009-04-09 2010-10-14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with integrated tab in order to facilitate dispos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87597B (en) 2021-10-29
TW201825063A (en) 2018-07-16
TWI756269B (en) 2022-03-01
KR20190097215A (en) 2019-08-20
WO2018116551A1 (en) 2018-06-28
JP2018102433A (en) 2018-07-05
BR112019012175A2 (en) 2019-11-05
CN110087597A (en) 2019-08-02
JP6352378B2 (en)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0388B2 (en) absorbent article
WO2013146289A1 (en) Absorbent article wrapping body
CN111511329A (en) Absorbent article
KR102498460B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WO2017115761A1 (en) Absorbent article
CN111565691B (en) Absorbent article
JP7174532B2 (en) absorbent article
JP6146783B1 (en) Absorbent articles
JP6866285B2 (en) Absorbent article
JP2006288865A (en) Absorbent article
JP663350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bsorbent article
CN110087603B (en) Absorbent article
JP4762057B2 (en) Absorbent packaging structure
WO2019131995A1 (en) Absorbent article
JP4901493B2 (en) Sanitary napkin packaging structure
WO2019131183A1 (en) Absorbent article
JP2020188998A (en) Absorbent article
JP2020188997A (en) Absorbent article
JP2021065398A (en) Absorbent article
CN111511328A (en) Absorbent article
JP2019180951A (en) Absorbent article
JP2019180951A5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