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216B1 - 폐기물 선별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선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216B1
KR102498216B1 KR1020220043739A KR20220043739A KR102498216B1 KR 102498216 B1 KR102498216 B1 KR 102498216B1 KR 1020220043739 A KR1020220043739 A KR 1020220043739A KR 20220043739 A KR20220043739 A KR 20220043739A KR 102498216 B1 KR102498216 B1 KR 102498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rushing
sorting
buoyanc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산업
Priority to KR1020220043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6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2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non-movable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회에 걸쳐 매트리스와 같은 부피가 큰 폐기물을 잘게 파쇄하여 자력 및 부력에 의해 폐기품과 재활용품으로 신속하게 분리하여 개별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회에 걸쳐 폐기물을 파쇄하여 폐기품과 재활용품으로 분리시키는 파쇄부와, 분리된 폐기품과 재활용품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부와, 상기 파쇄부에 폐기물을 공급하되 서로 분리된 폐기품과 재활용품을 상기 선별부에 공급하며, 선별된 폐기품과 재활용품을 서로 독립되게 배출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파쇄부, 상기 선별부 및 상기 이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선별시스템{The separat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본 발명은 복수회에 걸쳐 매트리스와 같은 부피가 큰 폐기물을 잘게 파쇄하여 자력 및 부력에 의해 폐기품과 재활용품으로 신속하게 분리하여 개별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폐기물 선별방법은 폐기물 수거차량에 의해 수거된, 봉지에 담긴 폐기물을, 저장실에 투입하여 저장실에 저장하였다가 크레인과 같은 투입기로 파봉하면서 선별장치에 투입되는 폐기물을 사람과 자력선별기에 의해 재활용될 수 있는 철금속류, 비철금속류, 초자기류, 비닐, 종이류,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류 및 유기성분류로 선별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기물 선별방법은 사람이 육안으로 확인하여 수작업으로 분리하였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낮으며, 특히 먼지와 악취가 많은 작업환경으로 인하여 장시간 작업이 곤란하게 되었다.
상기 종래의 폐기물 선별방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폐기물 수거차량에 의해 수거된, 봉지에 담긴 폐기물을, 저장실에 저장하였다가 크레인과 같은 투입기로 파봉하면서 선별장치에 투입되는 폐기물을 자력선별기에 의해 철금속을 선별시킨 뒤에 탈수 또는 건조시킨 후 풍력 선별하여 비닐, 종이류를 선별하고, 그 다음 진동 선별하여 비철금속을 선별하고, 풍력에 의해 초자기류를 선별할 수 있는 선별방법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상기 개발된 종래의 선별방법은 전처리 공정에서 단지 파쇄처리 및 건조처리만 수행된 폐기물을 비중에 의하여 선별하는 것이어서, 파쇄된 형상크기에 따라 그 중량을 달리하는 비철금속류, 초자기류 및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류와 그리고 함수율에 따라 그 중량을 달리하는 유기성분류(음식물 등)을 세밀하게 선별할 수 없어서, 비철금속류, 초자기류 및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류는 재활용되기에 부적합하게 되었고, 유기성분류를 폐기물 고형연료나 건조사료로 만들 경우에 원하는 품질을 얻을 수 없었고, 유기성분류를 소각처리시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류가 상기 유기성분류에 함유되어 대기를 오염시켰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22-33374호(공개일:2022.03.16.) 국내등록특허 제10-1257940호(공고일:2013.04.24.) 국내공개실용 제20-2021-857호(공개일:2021.04.21.)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각이나 재활용이 가능한 비금속재료와 금속재료의 선별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선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시스템은 복수회에 걸쳐 폐기물(W)을 파쇄하여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으로 분리시키는 파쇄부(100)와, 분리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부(200)와, 상기 파쇄부(100)에 폐기물(W)을 공급하되 서로 분리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을 상기 선별부(200)에 공급하며, 선별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을 서로 독립되게 배출시키는 이송부(300) 및 상기 파쇄부(100), 상기 선별부(200) 및 상기 이송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부(200)는 자력선별부재(210)와 부력선별부재(220)를 포함하되, 상기 자력선별부재(210)는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 중 철재료로 이루어진 재활용품(W-2)만을 자력에 의해 선별하며, 상기 부력선별부재(220)는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 중 물의 밀도차이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浮上)하는 폐기품(W-1)만을 부력에 의해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력선별부재(210)는 자력선별몸체(211)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R) 외면에 감겨지되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함께 이송되는 제1컨베이어벨트(212)와,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자력선별몸체(211)에 고정 설치되되 자력에 의해 재활용품(W-2)을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에 부착시키는 자석체(213) 및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 상부에 위치하되 일 방향으로 바람을 분사하여 상기 자석체(213)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에 부착되지 않은 폐기품(W-1)을 밀어내는 분사노즐(2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선별부재(220)는 순환 가능한 물이 소정의 높이로 수용되는 부력선별조(221)와, 상기 부력선별조(221) 일측에 설치되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R)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감겨지며, 부력에 의해 상기 부력선별조(221)에서 공급되는 폐기물(W)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벨트(222) 및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2)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부력선별조(221)에서 넘치는 물을 수용하며, 순환펌프(P)에 의해 수용된 물이 상기 부력선별조(221)에 재공급될 수 있게 상기 부력선별조(221)와 관(PIPE) 연결된 보조수조(223)를 포함하되,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2)는 메쉬(Mesh)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부력선별조(221)의 개방된 상부로 물넘침에 의해 공급되는 폐기물(W)이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2)에 걸러지고 물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2)를 관통하여 상기 보조수조(223)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복수회에 걸쳐 매트리스와 같은 부피가 큰 폐기물을 잘게 파쇄하여 폐기품과 재활용품으로 분리되면 자력 및 부력에 의해 해당 폐기품과 재활용품을 신속하게 분리하여 개별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시스템에 대한 제1파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제1파쇄롤러와 제1가이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시스템에 대한 제2파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제2파쇄롤러와 제2가이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시스템에 대한 자력선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시스템에 대한 부력선별부재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시스템(이하, 간략하게 '선별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 기재된 폐기물(W)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비금속소재이되 재활용이 불가하여 소각 등에 의해 폐기해야 하는 폐기품(W-1)과 스프링 등과 같은 금속소재이되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W-2)으로 구성된 매트리스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별시스템(1)은 크게 파쇄부(100), 선별부(200), 이송부(300), 집진부(500) 및 이들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30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 외면에 감겨져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벨트식이나 체인식인 통상의 컨베이어(conveyor)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력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파쇄부(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기물(W)을 복수회에 걸쳐 나누어 파쇄함에 따라 후에 설명하는 선별부(200)를 통해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용이하게 선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파쇄부재(110)와 제2파쇄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파쇄부재(110)는 상기 제2파쇄부재(120)와 대히여 비교적 파쇄물의 크기를 크게 하여 상기 제2파쇄부재(120)에서 더욱 작은 크기의 파쇄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대 제1파쇄부재(110)는 이송부(300)를 통해 폐기물(W)인 매트리스 본연의 형상으로 공급받아 파쇄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몸체(111), 제1파쇄롤러(114) 및 제1가이드(115)를 포함한다.
스틸재질로 성형되는 제1몸체(1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체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그 외면에는 집진부(500)와 관(PIPE) 연결되는 제1흡입공(112)이 형성된다.
제1몸체(111)의 개방된 상부에는 컨베이어 형태의 이송부(300) 출구측과 연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폐기물(W)을 공급받아 상기 제1몸체(11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제1파쇄롤러(114) 사이에 해당 폐기물(W)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몸체(111) 하부 일측에는 제1파쇄부재(110)를 통해 1차로 폐기물(W)이 파쇄되어 분리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제2파쇄부재(120) 방향으로 이송되기 위한 이송부(300)의 입구측과 연통하는 제1개구부(11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파쇄롤러(114)는 하나의 모터(M)를 통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도록 제1몸체(111) 내부와 축 결합하며, 각각의 상기 제1파쇄롤러(114) 외면에는 축 결합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태의 돌출날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하여, 한 쌍의 제1파쇄롤러(114)의 외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날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회전하여 한 쌍의 상기 제1파쇄롤러(114) 사이오 인입되는 폐기물(W)이 해당 돌출날들에 의해 찢겨져 파쇄되면서 소각을 위한 폐기품(W-1)과 녹임 등에 의한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W-2)이 서로 분리되어 제1개구부(113)를 통해 인입된 이송부(300)의 회전을 통해 제2파쇄부재(120) 방향으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제1몸체(111) 내면에는 공급되는 폐기물(W)이 한 쌍의 제1파쇄롤러(114) 사이로만 인입될 수 있게 안내하는 제1가이드(115)가 상기 제1몸체(111)의 서로 마주보는 내벽에 대칭되게 구비된다.
또한, 제2파쇄부재(120)는 상술한 제1파쇄부재(110)를 통해 분리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의 크기가 감소됨과 동시에 더욱 확실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몸체(121), 제2파쇄롤러(123). 제2가이드(124) 및 걸름망(125)을 포함한다.
스틸재질로 성형되는 제2몸체(1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체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그 외면에는 집진부(500)와 관(PIPE) 연결되는 제2흡입공(12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때, 제2흡입공(122)의 형성 위치는 메쉬 형태의 걸름망(125) 내측과 서로 연통되게 제2몸체(121)에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121) 내부에서 파쇄시에 발생하는 이물질이 집진부(500)의 강제 흡입에 의해 집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몸체(121)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술한 제1파쇄부재(110)에 의해 1차 파쇄가 이루어져 서로 분리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컨베이어 형태의 이송부(300) 출구측과 연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1차 파쇄에 의해 분리된 폐기물(W)을 공급받아 상기 제2몸체(12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제2파쇄롤러(123) 사이에 해당 폐기물(W)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몸체(121) 하부에는 제2파쇄부재(120)를 통해 더 작은 크기로 2차 파쇄되어 분리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후에 설명하는 선별부(200)를 구성하는 자력선별부재(210)에 공급되기 위한 제2개구부(1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파쇄롤러(123)는 하나의 모터(M)를 통해 다수가 회전하는 구조를 갖도록 제2몸체(121) 내부와 축 결합하며, 각각의 상기 제2파쇄롤러(123) 외면에는 축 결합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태의 돌기날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이때, 제2파쇄롤러(123)는 상술한 제1파쇄롤러(114)와 달리, 하나의 상기 제2파쇄롤러(123) 양측으로 제2가이드(124)가 배치될 수 있게 제2몸체(121) 내부에 설치되어 1차 파쇄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더 작은 크기로 2차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제1파쇄롤러(114)에 의한 폐기물(W)은 한 쌍의 상기 제1파쇄롤러(114) 사이로 해당 폐기물(W)이 인입되어 비교적 큰 크기의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분리되게 파쇄 후, 제1몸체(111)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임에 반하여, 제2파쇄롤러(123)는 1차 파쇄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의 크기가 더 작게 2차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몸체(121) 내부에 적어도 3개 이상의 제2파쇄롤러(12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제2파쇄롤러(123) 양측으로 제2가이드(124)가 배치되어 상기 제2파쇄롤러(123)와 상기 제2가이드(124) 사이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인입 후, 2차 파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제1파쇄부재(110)의 경우, 한 쌍의 제1파쇄롤러(114) 사이인 한 곳에서 폐기물(W)의 파쇄가 이루어지는 반면에, 제2파쇄부재(120)는 제2파쇄롤러(123) 양측으로 배치되는 제2가이드(124) 사이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인입되기에 도면상에서와 같이, 총 6군데에서 2차 파쇄가 한번에 이루어져 신속하게 더 작은 크기의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의 파쇄물을 획득하게 된다.
걸름망(125)은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를 통해 회전할 수 있게 제2몸체(121) 내측 바람직하게는 제2파쇄롤러(123)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작게 2차 파쇄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상기 걸름망(125) 내에서 회전하면서 비산 가능한 이물질이 분리되어 제2흡입공(122)을 통해 집진부(500)로 강제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필요에 따라 제2몸체(121) 내부에는 걸름망(125) 방향으로 소정의 물을 분무형태로 방출하여 비산되는 이물질이 제2몸체(121)의 개방된 상부나 하부를 통해 작업현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파쇄부(100)를 통해 복수회에 걸친 파쇄로 인하여 서로 분리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서로 섞이지 않게 선별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력선별부재(210)와 부력선별부재(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자력선별부재(210)는 자력(磁力)에 의해 금속재질인 재활용품(W-2)만을 폐기품(W-1)에서 선별하기 위한 구성으로 자력선별몸체(211), 제1컨베이어벨트(212), 자석체(213) 및 분사노즐(214)을 포함한다.
자력선별몸체(2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제1컨베이어벨트(21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A-A' 단면에서 알 수 있듯이 상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며, 내측에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R)가 회전가능하게 축으로 결합한다.
이때, 자력선별몸체(211) 내부에는 롤러는 물론, 제1컨베이어벨트(212)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는 선에서 자석체(213) 양측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그 결합위치는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 상부와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여, 재활용품(W-2)이 제1컨베이어벨트(212)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석체(213)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에 부착되어 이송되며, 부착된 재활용품(W-2)은 상기 자석체(213)의 자력이 미치지 않는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 하면에 위치하는 시작부분에서 흡착력이 저하되어 부력선별부재(220)에 투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분사노즐(214)은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콤프레셔를 통해 에어를 공급받으며, 공급된 에어는 소정의 배출압력으로 상기 분사노즐(214)을 통해 제1컨베이어벨트(212) 상면측 방향으로 배출되어 재활용품(W-2) 이외에 해당 재활용품(W-2)과 대비하여 하중이 가벼운 폐기품(W-1)이 에어의 배출압력에 밀려 부력선별부재(220)에 가급적 수집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노즐(214)의 에어를 통해 밀려난 폐기품(W-1)은 자력선별몸체(211) 내측으로 유입되어 집진부(500)의 흡입력에 의해 수거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술한 제2몸체(121) 하부 즉, 상기 제2몸체(121)의 개방된 하부와 제1컨베이어벨트(212) 상면 간의 이격부를 통해 별도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력선별부재(220)는 상술한 제1컨베이어벨트(212)의 출구 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분사노즐(214)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못한 소량의 폐기품(W-1)을 재활용품(W-2)에서 완전히 분리하여 선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부력선별조(221), 제2컨베이어벨트(222) 및 보조수조(223)를 포함한다.
부력선별조(2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벨트(212) 출구측 하부에 위치하되 상부가 개방되어 재활용품(W-2)과 폐기품(W-1)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는 개방된 상부 일측으로 넘쳐흘러내릴 정도의 물이 수용된다.
이때, 부력선별조(221) 상부는 일측 즉, 보조수조(223) 방향으로만 물이 넘쳐 흘러내릴 수 있도록 타면과 대비하여 일면의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여, 분사노즐(214)을 통해서도 분리되지 못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함께 부력선별조(221)로 공급되면 물의 밀도 차이로 인하여 수면에 부상(浮上)할 정도의 하중을 갖는 폐기품(W-1)은 보조수조(223) 방향으로 공급되고, 수중에 가라앉을 정도의 무게를 갖는 재활용품(W-2)은 상기 부력선별조(221) 바닥면에 가라 앉는 선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컨베이어벨트(222)는 상술한 제1컨베이어벨트(212)와 동일한 구조를 갖되 보조수조(223)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부력선별조(221)에서 넘쳐 흐르는 물에 포함된 폐기물(W)은 걸러지고 해당 물은 보조수조(223)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컨베이어벨트(222)에 걸러진 폐기물(W)은 일 방향으로 이송되어 별도 폐기될 수 있도록 수집되며,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2)는 상술한 제1컨베이어벨트(212)와 달리 메쉬(Mesh)의 형태로 성형되어 넘쳐흐른 물은 관통하여 보조수조(0에 수용되고, 폐기물(W)만 걸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선별조(221)에서 넘쳐 흐른 물을 수용하는 보조수조(22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펌프(P)를 통해 상기 부력선별조(221) 내부로 재공급되어 별도의 물이 공급되지 않고도 지속적인 부력의 선별이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별시스템(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복수회에 걸쳐 폐기물(W)을 잘게 파쇄하여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으로 분리되면 자력 및 부력에 의해 해당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을 신속하게 분리하여 개별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선별시스템
100: 파쇄부
110: 제1파쇄부재 111: 제1몸체
112: 제1흡입공 113: 제1개구부
114: 제1파쇄롤러 115: 제1가이드
120: 제2파쇄부재 121: 제2몸체
122: 제2흡입공 123: 제2파쇄롤러
124: 제2가이드 125: 걸름망
126: 제2개구부
200: 선별부
210: 자력선별부재 211: 자력선별몸체
212: 제1컨베이어벨트 213: 자석체
214: 분사노즐 220: 부력선별부재
221: 부력선별조 222: 제2컨베이어벨트
223: 보조수조
300: 이송부
400: 제어부
500: 집진부
W: 폐기물
W-1: 폐기품 W-2: 재활용품

Claims (4)

  1. 복수회에 걸쳐 폐기물(W)을 파쇄하여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으로 분리시키는 파쇄부(100);
    분리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부(200);
    상기 파쇄부(100)에 폐기물(W)을 공급하되 서로 분리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을 상기 선별부(200)에 공급하며, 선별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을 서로 독립되게 배출시키는 이송부(300); 및
    상기 파쇄부(100), 상기 선별부(200) 및 상기 이송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파쇄부(100)는,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폐기물(W)을 공급 받아 파쇄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고,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제1파쇄롤러(114)가 배치된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외면에 구비되어 집진부(500)와 관(PIPE) 연결되는 제1흡입공(112)과,
    상기 제1몸체(111)의 내면에는 공급되는 폐기물(W)이 상기 한 쌍의 제1파쇄롤러(114) 사이로만 인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1가이드(115)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게 구비된 제1파쇄부재(110)와,
    상기 제1파쇄부재(110)에서 파쇄되어 서로 분리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를 전달 받아 파쇄하는 것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속이 빈 함체 형상을 갖고, 내부에 축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외면에 방사형태의 돌기날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제2파쇄롤러(123)가 구비된 제2몸체(121)와,
    상기 제2몸체(121)의 외면에 구비되어 집진부(500)와 관(PIPE) 연결되어 파쇄시 발생하는 이물질이 상기 집진부(500)로 강제 흡입에 의해 집진되도록 하는 제2흡입공(122)과,
    상기 다수 형성된 제2파쇄롤러(123) 사이에 형성되어 인입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를 제2파쇄롤러(123)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가이드(124)가 배치된 제2파쇄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부(200)는
    자력선별부재(210)와 부력선별부재(220)를 포함하되,
    상기 자력선별부재(210)는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 중 철재료로 이루어진 재활용품(W-2)만을 자력에 의해 선별하며,
    상기 부력선별부재(220)는
    상기 이송부(300)를 통해 이송된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 중 물의 밀도차이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浮上)하는 폐기품(W-1)만을 부력에 의해 선별하고,
    상기 자력선별부재(210)는
    자력선별몸체(21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R) 외면에 감겨지되 폐기품(W-1)과 재활용품(W-2)이 함께 이송되는 제1컨베이어벨트(212);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자력선별몸체(211)에 고정 설치되되 자력에 의해 재활용품(W-2)을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에 부착시키는 자석체(213); 및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 상부에 위치하되 일 방향으로 바람을 분사하여 상기 자석체(213)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212)에 부착되지 않은 폐기품(W-1)을 밀어내는 분사노즐(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선별부재(220)는
    순환 가능한 물이 소정의 높이로 수용되는 부력선별조(221);
    상기 부력선별조(221) 일측에 설치되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R)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감겨지며, 부력에 의해 상기 부력선별조(221)에서 공급되는 폐기물(W)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벨트(222); 및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2)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부력선별조(221)에서 넘치는 물을 수용하며, 순환펌프(P)에 의해 수용된 물이 상기 부력선별조(221)에 재공급될 수 있게 상기 부력선별조(221)와 관(PIPE) 연결된 보조수조(223);를 포함하되,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2)는
    메쉬(Mesh)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부력선별조(221)의 개방된 상부로 물넘침에 의해 공급되는 폐기물(W)이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2)에 걸러지고 물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22)를 관통하여 상기 보조수조(223)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선별시스템.
KR1020220043739A 2022-04-08 2022-04-08 폐기물 선별시스템 KR102498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739A KR102498216B1 (ko) 2022-04-08 2022-04-08 폐기물 선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739A KR102498216B1 (ko) 2022-04-08 2022-04-08 폐기물 선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216B1 true KR102498216B1 (ko) 2023-02-10

Family

ID=8522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739A KR102498216B1 (ko) 2022-04-08 2022-04-08 폐기물 선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21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904A (ja) * 2006-06-15 2007-12-27 Nippon Steel Corp 風力選別装置及び廃プラスチック選別システム
KR100797116B1 (ko) * 2007-05-16 2008-01-22 홍민기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257940B1 (ko) 2012-08-02 2013-04-24 이장호 폐기물 선별장치
KR20210000857U (ko) 2019-01-07 2021-04-21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102320965B1 (ko) * 2021-06-14 2021-11-02 김문섭 Pvc 분쇄물 선별 장치
KR102355048B1 (ko) * 2021-04-22 2022-01-24 (주)신대양 부유물 처리가 향상된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20220033374A (ko)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명일산업개발 효율적인 폐기물 선별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904A (ja) * 2006-06-15 2007-12-27 Nippon Steel Corp 風力選別装置及び廃プラスチック選別システム
KR100797116B1 (ko) * 2007-05-16 2008-01-22 홍민기 스프링코일 내장형 매트리스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257940B1 (ko) 2012-08-02 2013-04-24 이장호 폐기물 선별장치
KR20210000857U (ko) 2019-01-07 2021-04-21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20220033374A (ko)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명일산업개발 효율적인 폐기물 선별방법
KR102355048B1 (ko) * 2021-04-22 2022-01-24 (주)신대양 부유물 처리가 향상된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2320965B1 (ko) * 2021-06-14 2021-11-02 김문섭 Pvc 분쇄물 선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59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w ash content refuse fuel, paper and plastic products from municipal solid waste and said products
US6045070A (en) Materials size reduction systems and process
US4264352A (en) Solid waste treatment system
KR100918710B1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및 파쇄장치
KR100918711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101814123B1 (ko) 폐기물 복합 자원화 방법과 장치
KR1008665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CN107282597B (zh) 一种用于厨余垃圾的处理系统
CN107470319A (zh) 一种生活垃圾分类处理装置
US4134731A (en) Composting apparatus with comminution, moisture control, and mascerator means
KR100676729B1 (ko)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1591343B1 (ko) 가연성쓰레기의 고순도 선별 연료화 시스템
US3565350A (en) Comminuting apparatus
CN2774666Y (zh) 城市生活垃圾处理设备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10178642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98216B1 (ko) 폐기물 선별시스템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JP3509714B2 (ja) 生ごみ破砕分別装置および生ごみ処理装置
KR101614503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자동 선별 파쇄장치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KR0123017B1 (ko) 폐건축물의 분리방법 및 장치
CN110434151B (zh) 循环式生活垃圾分离系统
KR101910463B1 (ko)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비닐류를 제거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방법
KR100465313B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골재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