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117B1 - Running machine - Google Patents

Runn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117B1
KR102498117B1 KR1020210026010A KR20210026010A KR102498117B1 KR 102498117 B1 KR102498117 B1 KR 102498117B1 KR 1020210026010 A KR1020210026010 A KR 1020210026010A KR 20210026010 A KR20210026010 A KR 20210026010A KR 102498117 B1 KR102498117 B1 KR 10249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driven roller
roller
horizontal bar
walk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0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1650A (en
Inventor
이병돈
Original Assignee
한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서 filed Critical 한준서
Priority to KR1020210026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117B1/en
Priority to PCT/KR2022/002721 priority patent/WO2022182170A1/en
Publication of KR2022012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6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1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85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elt, e.g. material, surface,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63B2220/35S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2Testing, calibrating or measuring of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보정 및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런닝머신은 데크보드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 상기 데크보드,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피동롤러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움직이는 워킹벨트;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피동롤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2 동력전달부에 체결된 동력전달체;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제 1 동력전달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제 1 동력전달부 사이에 형성된 클러치; 상기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감지하고, 상기 슬립현상이 감지되면 상기 동력전달체를 통해서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동력을 상기 피동롤러에 전달하도록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correct and prevent the slip phenomenon of a walking belt, and the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roller and a driven roller formed with a deck board interposed therebetween; a walking belt configured to surround the deck board, the drive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nd moved by rotation of the drive roller; a power transmission body fastened to a first power transmission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roller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en roller; a clutch formed between the drive roll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to selectively connect the drive roll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and controlling the clutch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roller to the driven roll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body when the slip phenomenon is detected.

Description

슬립현상 보정 및 방지를 위한 전후륜 구동 런닝머신{RUNNING MACHINE}Front and rear wheel drive treadmill for correction and prevention of slip phenomenon {RUNNING MACHINE}

본 발명은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보정 및 방지할 수 있는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admi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eadmill capable of correcting and preventing a slip phenomenon of a walking belt.

런닝머신은 걷기나 달리기를 실내에서 하기 위한 운동기구로서, 2개의 원통형 롤러에 감긴 워킹벨트를 회전시키면 그 위에서 사용자가 제자리에서 걷기나 달리기를 할 수 있게 해준다.A treadmill is an exercise device for walking or running indoors. When a walking belt wound around two cylindrical rollers is rotated, a user can walk or run in place thereon.

종래의 런닝머신의 경우, 워킹벨트가 회전하는 동안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워킹벨트가 눌리면서 아래의 받침판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워킹벨트와 받침판 사이에 마찰에 따른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의 몸무게가 무겁거나 런닝머신이 노후화된 경우에는 워킹벨트와 받침판 사이의 마찰계수가 높아지고, 높아진 마찰계수로 인해서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readmill, while the walking belt rotates, the walking belt is pressed by the user's loa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below, thereby generating a loa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walking belt and the support plate. In particular, when the user's weight is heavy or the treadmill is outdated, the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walking belt and the support plate increases, and a slip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increased friction coefficient.

슬립현상이란, 워킹벨트가 원활히 순환하지 못하고 멈칫거리거나 워킹벨트에 편평하지 못한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운동중 슬립현상의 발생은 안전사고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슬립현상의 보정과 방지가 반드시 필요하다.The slip phenomenon means that the walking belt does not circulate smoothly and stops or an uneven area occurs on the walking belt. Since occurrence of slip phenomenon during exercise is also related to safety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correct and prevent slip phenomenon.

또한, 런닝머신을 사용하다 보면 워킹벨트가 늘어나 장력이 약해지거나 워킹벨트의 좌우 장력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워킹벨트의 약해진 장력과 워킹벨트의 좌우 장력차는 슬립현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런닝머신의 워킹벨트, 롤러, 베어링 등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된다.In addition, while using the treadmill, the tension of the walking belt may be weakened due to an increase in the walking belt, or a difference in tens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lking belt may occur. The weakened tension of the walking belt and the difference in tens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lking belt may cause a slip phenomenon and shorten the life of the walking belt, roller, bearing, etc. of the treadmil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보정 및 방지할 수 있는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eadmill capable of correcting and preventing the slip phenomenon of a walking belt.

또한, 워킹벨트의 전체 장력 조절과 좌우 장력차를 보정할 수 있는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is to provide a treadmill capable of adjusting the total tension of the walking belt and correcting the difference in tens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은 데크보드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 상기 데크보드,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피동롤러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움직이는 워킹벨트;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피동롤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2 동력전달부에 체결된 동력전달체;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제 1 동력전달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제 1 동력전달부 사이에 형성된 클러치; 상기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감지하고, 상기 슬립현상이 감지되면 상기 동력전달체를 통해서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동력을 상기 피동롤러에 전달하도록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tread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rive roller and a driven roller formed with a deck board interposed therebetween; a walking belt configured to surround the deck board, the drive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nd moved by rotation of the drive roller; a power transmission body fastened to a first power transmission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roller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en roller; a clutch formed between the drive roll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to selectively connect the drive roll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and controlling the clutch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roller to the driven roll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body when the slip phenomenon is detected.

상기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 2 동력전달부 각각은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피동롤러 간의 회전비 변경을 위해 2단 이상의 기어를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two or more gears for changing a rotation ratio between the drive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속도를 상기 피동롤러의 회전속도와 비교하고, 상기 회전속도들 간의 차이를 근거로 상기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mpar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roller wit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n roller, and detect a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speeds.

본 발명의 런닝머신은 상기 워킹벨트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워킹벨트와 접촉하는 센싱롤러와, 상기 센싱롤러 및 상기 워킹벨트의 밀착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센싱롤러의 위치를 조정하는 센싱롤러 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속도를 상기 센싱롤러의 회전속도와 비교하고, 상기 회전속도들 간의 차이를 근거로 상기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감지한다.The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roller in contact with the walking belt to sense the speed of the walking belt, and a sensing roller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nsing roller to adjust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sensing roller and the walking belt.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roller wit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nsing roller, and detects the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speeds.

본 발명의 런닝머신은 상기 데크보드,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피동롤러를 수용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워킹벨트의 내면(inner surface)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오일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현상이 감지되면 이용자가 기기사용을 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여 상기 오일공급부를 통해서 상기 워킹벨트의 내면에 윤활유를 도포한다.The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accommodating the deck board,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I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and further includes an oil supply unit for applying lubricating oi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king belt, wherein the control unit uses the time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device when the slip phenomenon is detected.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frame,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king belt through the oil supply unit.

상기 오일공급부는, 길이가 있는 관의 형태로 일단에 오일주입구가 오일관보다 높게 기울어져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평행하게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경사에 따라 윤활유를 배출하는 오일통; 오일 배출을 조절하도록 상기 오일통의 타단에 형성된 밸브; 상기 데크보드의 하면 및 상기 워킹벨트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벨브를 통해 배출된 윤활유를 상기 워킹벨트에 도포하는 오일관(oil pipe)을 포함하되, 상기 오일관은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분사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들은 상기 오일통에서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다.The oil supply part has an oil inlet inclined higher than the oil pipe at one end in the form of a long pipe,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in parallel with the lower frame, and discharges lubricating oil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frame. an oil barrel; a valv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il container to control oil discharge; An oil pipe is inser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board and the walking belt and applies the lubricating oil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to the walking belt, but the oil pipe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having different sizes. Including, the size of the nozzles increases as they move away from the oil container.

본 발명의 런닝머신은 상기 피동롤러의 양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피동롤러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정하는 피동롤러 위치조절부와, 상기 피동롤러 위치조절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피동롤러 간의 간격 변화에 따른 상기 동력전달체의 가압상태를 현재 가압상태로 자동 유지시키는 어드져스터(adjuster)와, 상기 동력전달체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셔너(tensioner)를 더 포함한다.The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driven roller, and a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riven roll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An adjuster automatically maintains a pressurized state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to a current pressurized state, and a tensioner adjusts the tens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상기 피동롤러 위치조절부는, 상기 피동롤러와 평행하게 형성된 이동수평바; 회전을 통해서 상기 이동수평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기; 상기 이동수평바의 양단을 상기 피동롤러의 양측면에 연결하고, 상기 이동수평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피동롤러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브라켓; 상기 이동수평바를 관통한 상기 조절기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조절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수평바; 상기 이동수평바 및 상기 고정수평바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기의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센서와; 상기 조절기의 이동거리를 한정하기 위해 홈을 포함한다.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may include a moving horizontal bar formed in parallel with the driven roller; an adjuster for moving the movable horizontal b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rough rotation; a pair of bracket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movable horizontal bar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riven roller and moving the driven roll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horizontal bar; a stopper supporting one end of the adjuster penetrating the movable horizontal bar and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adjuster; a fixed horizontal ba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stopper;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movable horizontal bar and the fixed horizontal bar.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a moving distance of the controller; A groove is included to limit the travel distance of the adjuster.

상기 어드져스터(adjuster)는, 가압롤러; 고정된 제 1 이음부재; 일단은 상기 가압롤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이음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이음부재; 일단은 상기 이동수평바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이음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수평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체의 길이 보정을 하도록 상기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The adjuster may include a pressure roller; a fixed first joint member; a second joint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pressure roller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joint member;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horizontal bar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joint member, and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for moving the pressure roller to correct the length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horizontal bar .

본 발명의 런닝머신은 상기 워킹벨트의 좌우 장력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피동롤러의 타측면에 형성된 피동롤러 각도조절부와, 상기 피동롤러의 위치 및 각도, 슬립현상의 빈도, 현재 오일량을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와, 상기 인디케이터에 표시된 정보를 외부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The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driven roller angle adjusting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n roller to correct the difference in left and right tension of the walking belt,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driven roller, the frequency of slip phenomena, and the current amount of oil It further includes an indicator for doing so,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dicator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은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슬립현상을 보정 및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슬립현상을 극복하여 실제 걷기나 뛰기와 유사한 운동감을 제공한다.The tread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in real time and takes measures to correct and prevent the slip phenomenon, thereby overcoming the slip phenomenon and providing a feeling of movement similar to actual walking or running.

또한, 워킹벨트의 전체 장력 조절과 좌우 장력차를 보정함으로써, 슬립현상을 방지하고 런닝머신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otal tension of the walking belt By adjusting and correcting the tension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slip phenomenon can be prevented and the life of the treadmill can be exten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런닝머신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부 프레임(20)에 수용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일공급부(2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동롤러(320) 및 그 주변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동롤러(330) 및 피동롤러 위치조절부(37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동롤러(330) 및 어드저스터(36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조절기(372)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동롤러(330) 및 피동롤러 각도조절부(380)를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싱롤러(410) 및 센싱롤러 조절부(42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싱롤러(410) 및 센싱롤러 조절부(42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샤프트(600) 및 샤프트기어(601, 603)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treadmi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treadmill of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lower frame 20 of FIG. 1 .
4 is a view showing the oil supply unit 2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drive roller 320 and its surrounding compone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driven roller 330 and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370 in det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etailed view of the driven roller 330 and the adjuster 36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view of the first regulator 37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the driven roller 330 and the driven roller angle adjusting unit 38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sensing roller 410 and the sensing roller adjusting unit 4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the sensing roller 410 and the sensing roller adjusting unit 4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the indicator 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treadmil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the shaft 600 and shaft gears 601 and 603 of FIG. 14 in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 1No. 1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을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런닝머신의 일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1 shows a treadmil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treadmill of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은 전방 프레임(10) 및 하부 프레임(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treadmi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frame 10 and a lower frame 20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10)은 제어패널(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손잡이(140)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며, 그 외에 영상 표시를 위한 모니터(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입출력 포트(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ront frame 10 includes a control panel 110, a control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nd a handle 140, or is configured in a form combined with them, and displays other images.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monitor (not shown), a speaker (not shown), an input/output port (not shown), and the like.

제어패널(110)은 런닝머신의 동작이나 기능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 및 제어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패널(110)을 통해서 워킹벨트(30)의 회전속도 및 하부 프레임(20)의 기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패널(110)은 런닝머신의 동작이나 기능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음성 인식을 위해서 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110 provides at least one of buttons and a control screen for controlling operations or functions of the treadmill. For example, the user can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alking belt 30 and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frame 20 through the control panel 110 .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110 may include a memory (not shown) for storing application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treadmill, and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for recognizing a user's voice. there is.

제어부(120)는 런닝머신의 전반적인 동작과 런닝머신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패널(110)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다른 위치에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120 i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readmill and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treadmill, and may be included inside the control panel 110 or configured in another location.

통신부(130)는 외부의 서버, PC, 무선단말기 등과 유무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 근거리 통신모듈 및 유무선 인터넷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유무선 인터넷 모듈은 유무선 모뎀이나 Wi-Fi 등을 이용한 유무선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for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server, PC, wireless terminal, etc.,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d/wireless Internet modu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he wired/wireless Internet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at least one of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ing a wired/wireless modem or Wi-Fi.

하부 프레임(20)은 전방 프레임(10)의 아래에서 전방 프레임(10)을 지지 및 고정한다. 또한, 하부 프레임(20)은 워킹벨트(30) 및 그 구동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며 그 좌우 내측면에 오일공급부(230)를 포함하고, 그 후단은 인디케이터(50)와 결합된다.The lower frame 20 supports and fixes the front frame 10 under the front frame 10 . In addition, the lower frame 20 accommodates the walking belt 30 and components necessary for its driving, and includes oil supply parts 230 on its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and its rear end is coupled with the indicator 5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공급부(230)는 워킹벨트(30)의 안쪽면에 윤활유를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하부 프레임(20)의 전단이 상승하면 하부 프레임(20)의 경사로 인해 윤활유를 분사하게 된다. 하부 프레임(20)의 경사를 조정하는 구성요소는 잘 알려진 종래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3 and 4, the oil supply unit 230 is for applying lubrica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king belt 30, and the front end of the lower frame 20 ris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When the lower frame 20 is tilted, the lubricating oil is sprayed. Since the component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frame 20 is a well-known conventional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오일공급부(230)는 주기적으로 윤활유를 분사할 수 있고 워킹벨트(30)의 슬립현상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윤활유를 분사할 수도 있다. 오일공급부(230)는 윤활유를 저장하는 오일통(231), 윤활유를 분사하는 오일관(oil pipe)(235), 오일통(231)에서 오일관(235)으로 유입되는 윤활유의 양을 조절하거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233)를 포함한다. The oil supply unit 230 may periodically inject lubricating oil, and may inject lubricating oil even when slipping of the walking belt 30 is detected. The oil supply unit 230 controls the amount of lubricating oil introduced into the oil pipe 235 from the oil container 231 for storing the lubricating oil, an oil pipe 235 for spraying the lubricating oil, or the oil container 231, or It includes a valve 233 to control the flow.

오일통(231)은 하부 프레임(20)과 평행하게 하부 프레임(20)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하부 프레임(20)의 경사에 따라 윤활유를 배출하며, 그 전단에는 윤활유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32)가 포함된다. 오일통(231)은 길이가 있는 관의 형태로 구성되며, 투입구(232)가 오일관(235) 보다 높게 기울어져 있다.The oil container 231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0 in parallel with the lower frame 20, discharges lubricating oil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frame 20, and has an inlet for injecting lubricating oil at the front end ( 232) are included. The oil container 23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ong pipe, and the inlet 232 is inclined higher than the oil pipe 235.

오일관(235)은 데크보드(310)의 하면(下面) 및 워킹벨트(30) 사이에 삽입되도록 오일통(231)의 후단에 결합되고, 오일통(231)에서 배출된 윤활유를 워킹벨트(30)에 도포한다. 오일관(235)은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분사구들(236, 238)을 포함하는데, 분사구들(236, 238)은 오일통(231)에서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다. 분사구들(236, 238)은 오일통(231)에서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분사구들(236, 238)에서 분사되는 윤활유의 양이 서로 비슷하다.The oil pipe 235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oil container 231 to be inser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board 310 and the walking belt 30, and the lubricating oil discharged from the oil container 231 is transferred to the walking belt ( 30) is applied. The oil pipe 235 include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36 and 238 having different sizes, and the size of the injection holes 236 and 238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oil container 231 increases. Since the size of the nozzles 236 and 238 increases as they move away from the oil container 231, the amount of lubricating oil injected from the nozzles 236 and 238 is similar to each other.

데크보드(310)는 하부 프레임(20) 내부에 수용되며 하부 프레임(20)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고, 구동롤러(320) 및 피동롤러(330)는 데크보드(310)를 사이에 두고 하부 프레임(20) 내부에 배치된다. 구동롤러(320)는 데크보드(310)의 전방에 위치하며 모터(210)로부터 제공된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피동롤러(330)는 데크보드(310)의 후방에 위치하며, 모터(210)로부터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지 않고 별도의 동력전달체(340)를 통해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동력전달체(340)는 동력 전달이 가능한 벨트, 체인, 프로펠러 샤프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피동롤러(330)의 위치조절 방식은 벨트 또는 체인을 이용한 회전방식과 프로펠러 샤프트를 이용한 직진방식이 가능하다. 동력전달체(340)가 벨트로 이루어지고 피동롤러 위치조절부(370)가 회전형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구동롤러(320) 및 피동롤러(330)는 동일한 직경을 갖고, 이들의 직경은 데크보드(310)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ck board 310 is accommodated inside the lower frame 20 and supported and fixed by the lower frame 20, and the driving roller 320 and the driven roller 330 interpose the lower frame with the deck board 310 therebetween. (20) is placed inside. The drive roller 3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deck board 310 and rotates by power provided from the motor 210 . The driven roller 33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deck board 31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separate power transmission unit 340 without directly receiving power from the motor 210 .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belt, a chain, and a propeller shaft that can transmit power, and the position control method of the driven roller 330 can be a rotation method using a belt or chain and a straight method using a propeller shaft. do. A cas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is formed of a belt and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370 is of a rotary ty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roller 320 and the driven roller 330 have the same diameter, and thei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eck board 310 .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벨트(30)는 데크보드(310), 구동롤러(320) 및 피동롤러(330)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워킹벨트(30)는 구동롤러(320)의 회전에 의해 움직이고 피동롤러(330)는 워킹벨트(30)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워킹벨트(30)는 데크보드(310)와는 접촉하지 않고 일정간격(15~20mm)을 두고 데크보드(310)의 윗면과 아랫면을 지나가도록 구성된다. 다만, 워킹벨트(30)에 하중이 가해질 때에 워킹벨트(30)의 안쪽면 일부만 데크보드(310)와 접촉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s 5 and 6, the walking belt 3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deck board 310, the driving roller 320 and the driven roller 330, the walking belt 30 is the driving roller 320 )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en roller 330 is rotated by the movement of the working belt (30). The walking bel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eck board 310 at regular intervals (15 to 20 mm) without contact with the deck board 310. However,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alking belt 30, only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alking belt 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eck board 310.

제 1 동력전달부(323) 및 제 2 동력전달부(333)는 풀리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전달체(340)가 벨트인 경우에 제 1 동력전달부(323) 및 제 2 동력전달부(333)는 풀리로 구성되고, 동력전달체(340)가 프로펠러 샤프트인 경우에 제 1 동력전달부(323) 및 제 2 동력전달부(333)는 기어로 구성된다. 제 1 실시예는 동력전달체(340)가 벨트이고 제 1 동력전달부(323) 및 제 2 동력전달부(333)가 풀리로 이루어진 경우를 보여준다.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may be composed of pulleys or gears. For example, whe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40 is a belt,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are composed of pulleys, and whe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40 is a propeller shaft, the firs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are composed of gears. The first embodiment shows a case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is a belt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part 3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part 333 are made of pulleys.

제 1 동력전달부(323)는 구동롤러(320)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구동롤러(320) 및 제 1 동력전달부(323)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클러치(321)가 구동롤러(320) 및 제 1 동력전달부(323) 사이에 형성된다. 클러치(321)는 구동롤러(320)의 회전동력을 제 1 동력전달부(323)에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구동롤러(320)의 회전동력이 제 1 동력전달부(323)에 전달되면, 제 1 동력전달부(323)의 회전에 의해 동력전달체(340)가 움직이게 되고 제 2 동력전달부(333)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roller 320, and the clutch 321 is connected to the driving roller 320 to selectively connect the driving roller 320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The clutch 321 may transmit or block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roller 320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 When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roller 32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the rotation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causes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to move,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also moves. rotate together.

제 2 동력전달부(333)는 피동롤러(330)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피동롤러(33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감지센서(331)가 피동롤러(330) 및 제 2 동력전달부(333) 사이에 형성된다. 속도감지센서(331)는 피동롤러(33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encoder)나 다른 회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동력전달부(333)의 바깥쪽 측면에는 제 2 동력전달부(33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335)가 형성되고, 피동롤러(330)의 타측면에는 피동롤러 각도조절부(380)가 형성된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iven roller 330, and a speed sensor 331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n roller 330 is connected to the driven roller 330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It is formed between the parts 333. The speed sensor 331 may be composed of an encoder or another rotation sensor for sen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n roller 330 . A support 335 for supporting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and a driven roller angle adjusting unit 38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n roller 330. is formed

제 1 동력전달부(323) 및 제 2 동력전달부(333)는 각각 회전비 변경을 위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2단 이상의 기어나 2개 이상의 휠(wheels)를 포함하고, 동력전달체(340)에 함께 체결되는 제 1 동력전달부(323)의 휠과 제 2 동력전달부(333)의 휠도 서로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구동롤러(320)의 회전 시 피동롤러(330)의 빠른 반응을 위해서, 제 1 동력전달부(323)의 첫번째 휠보다 제 2 동력전달부(333)의 첫번째 휠의 직경을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each include two or more gears or two or more wheels having different diameters to change the rotation ratio,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340 The wheels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and the wheels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are also formed to have different diameters. For example, for a quick reaction of the driven roller 330 when the drive roller 320 rotates, the diameter of the first wheel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wheel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It is desirable to make it large.

동력전달체(340)는 제 1 동력전달부(323) 및 제 2 동력전달부(333)에 체결된다. 동력전달체(340)의 장력을 조절하고 동력전달체(340) 및 제 1, 2 풀리(323, 333) 사이의 밀착도(adhesion)를 높이기 위해서, 제 1 동력전달부(323) 및 제 2 동력전달부(333) 사이에 텐셔너(tensioners)(350) 및 어드저스터(adjuster)(360)가 동력전달체(340) 밑에 형성된다. 텐셔너(350)는 제 1 동력전달부(323)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어드저스터(360)는 제 2 동력전달부(333)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다. 동력전달체(340)의 장력이 크고 동력전달체(340) 및 제 1, 2 풀리(323, 333) 사이의 밀착도가 높을수록 제 1 동력전달부(323)에서 제 2 동력전달부(333)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is fastened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 In ord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and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and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323 and 333,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parts 333, tensioners 350 and an adjuster 360 are formed below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The tensioner 350 is located close to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and the adjuster 360 is located near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As the tens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increases and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and the first and second pulleys 323 and 333 increases, the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23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power loss can be reduc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롤러 위치조절부(370)는 워킹벨트(30)의 장력 조절을 위해서 피동롤러(330)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방식과 같이 워킹벨트(30)의 좌측 장력과 우측 장력을 따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370 is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driven roller 33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alking belt 30, and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Likewise, the left tension and the right tension of the walking belt 30 can be adjusted simultaneously rather than separately.

피동롤러 위치조절부(370)는 이동수평바(371), 볼스크류 형태의 제 1 조절기(adjuster)(372), 한 쌍의 브라켓(373), 제 1 스토퍼(374), 제 1 고정수평바(377), 탄성부재(378)를 포함한다.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370 includes a movable horizontal bar 371, a first adjuster 372 in the form of a ball screw, a pair of brackets 373, a first stopper 374, and a first fixed horizontal bar. (377) and an elastic member (378).

이동수평바(371)는 피동롤러(330) 아래에서 피동롤러(330)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is formed under the driven roller 330 in parallel with the driven roller 330 and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제 1 조절기(372)는 이동수평바(371)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제 1 조절기(37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센서(376) 또는 위치센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조절기(372)는 모터나 사용자에 의한 회전을 통해서 이동수평바(37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동수평바(371)를 이동시키거나 또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수평바(371)를 이동시킨다. The first adjuster 37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and a distance sensor 376 or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djuster 372 is formed at its end. The first controller 372 moves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rotation by a motor or a user.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is moved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motor (not shown) It is connected to and automatically moves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73)은 이동수평바(371)의 양단을 피동롤러(330)의 양측면에 연결하고, 이동수평바(371)의 이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피동롤러(330)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수평바(37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지렛대 효과에 의해 브라켓(373)은 피동롤러(330)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이때, 브라켓(373)의 중심은 회전축으로써 기능을 하게 되고, 어드저스터(360)는 이동수평바(371)와 연동되어 피동롤러(330)의 이동거리 만큼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이동수평바(37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브라켓(373)은 피동롤러(330)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어드저스터(360)는 이동수평바(371)와 연동되어 피동롤러(330)의 이동거리 만큼 동력전달체(340)를 가압하도록 이동한다.8, the bracket 373 connects both ends of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to both sides of the driven roller 330, and the driven roller 330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 is moved. For example, when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moves forward, the bracket 373 pushes the driven roller 330 backward by a lever effect. 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bracket 373 functions as a rotating shaft, and the adjuster 360 moves downward by the moving distance of the driven roller 330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 Conversely, when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moves backward, the bracket 373 pushes the driven roller 330 forward, and the adjuster 360 interlocks with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to move the driven roller 330 forward. It moves to pressurize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by the moving distance.

제 1 스토퍼(374)는 이동수평바(371)를 관통한 제 1 조절기(372)의 일단을 지지하고 제 1 조절기(372)의 이동을 한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1 스토퍼(374)는 제 1 고정수평바(377)와 평행한 회전축(375)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이는 이동수평바(371)가 일직선으로 움직이지 않고 브라켓(373)의 중앙을 회전축으로 하여 움직이기 때문이다.The first stopper 374 is configured to support one end of the first adjuster 372 penetrating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and limit the movement of the first adjuster 372 . In addition, the first stopper 374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375 parallel to the first fixed horizontal bar 377, which means that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does not move in a straight line and the bracket This is because it moves with the center of (373) as the axis of rotation.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절기(372)의 홈(A)이 제 1 스토퍼(374)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조절기(372)는 일정 범위만큼 움직임이 허용되는데, 워킹벨트(30) 위에서 걷거나 뛸 때 워킹벨트(30) 및 데크보드(310) 사이의 공간만큼 워킹벨트(30)가 내려가면 연동해서 피동롤러(330) 및 이동수평바(371)도 이동하고 동시에 어드저스터(360)도 이동하면서 동력전달체(340)의 현재 가압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한다. 이후 탄성부재(378)에 의해서 피동롤러(330), 이동수평바(371), 어드저스터(360)는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예를 들어, 워킹벨트(30)에 하중이 가해지면, 워킹벨트(30)의 장력에 의해 워킹벨트(30) 및 데크보드(310)의 사이의 공간만큼 피동롤러(330)는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이동수평바(371)는 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데, 이때 제 1 스토퍼(374) 내부에서 허용된 제 1 조절기(372)의 홈(A)의 넓이만큼 피동롤러(330) 및 이동수평바(371)의 이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in a state where the groove A of the first adjuster 372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pper 374, the first adjuster 372 is allowed to move within a certain range. When walking or running on the belt 30, when the walking belt 30 goes down as much as the space between the walking belt 30 and the deck board 310, the driven roller 330 and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als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While the juster 360 also moves, the current pressurized state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is automatically maintained. Then, the driven roller 330,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and the adjuster 360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member 378. For example,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walking belt 30, the driven roller 330 moves forward as much as the space between the walking belt 30 and the deck board 310 by the tension of the walking belt 30 and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tries to move backward. At this time, the driven roller 330 and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are moved by the width of the groove A of the first adjuster 372 allowed inside the first stopper 374. ) can be moved.

제 1 고정수평바(377)는 하부 프레임(20)의 좌우 내측면에 결합 및 고정되고, 제 1 스토퍼(374)를 지지한다. 탄성부재(378)는 이동수평바(371) 및 제 1 고정수평바(377)의 사이의 일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이동수평바(371) 및 제 1 고정수평바(377)에 결합되고, 더불어 워킹벨트(30)의 늘어남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킨다.The first fixing horizontal bar 377 is coupled and fixed to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lower frame 20 and supports the first stopper 374 . The elastic member 378 is coupled to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and the first fixed horizontal bar 377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and the first fixed horizontal bar 377, together with To prevent the stretching of the walking belt 30 to extend the life.

어드저스터(360)는 피동롤러 위치조절부(370)의 움직임에 따라 구동롤러(320) 및 피동롤러(330)의 간격 변화에 따른 동력전달체(340)의 가압상태를 현재 가압 상태로 자동 유지시키는데, 특히 이동수평바(371)와 연동하여 동력전달체(34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어드저스터(360)는 관절형태의 제 1, 2 이음부재(361, 362), 가압롤러(363) 및 연결부재(364)를 포함한다.The adjuster 360 automatically maintains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 roller 320 and the driven roller 33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370 at the current pressurized state. , In particular, it is configured to press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The adjuster 360 includes joint-shaped first and second joint members 361 and 362, a pressure roller 363, and a connecting member 364.

제 1 이음부재(361)는 제 1 고정수평바(377)에 결합 및 고정되므로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제 2 이음부재(362)는 그 일단이 가압롤러(363)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제 1 이음부재(3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Since the first coupling member 361 is coupled and fixed to the first fixing horizontal bar 377, it does not move. However, the second joint member 362 has one end coupled to the pressure roller 363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joint member 361 .

연결부재(364)는 그 일단이 이동수평바(371)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은 제 2 이음부재(3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동수평바(371)의 움직임에 따라 동력전달체(340)를 가압하거나 동력절달벨트(340)에서 멀어지도록 가압롤러(36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수평바(37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연결부재(364)는 제 2 이음부재(362)를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로 인해서 가압롤러(363)는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동력전달체(340)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동수평바(37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피동롤러(33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력전달체(340)의 장력이 강해져 끊어질 수 있으므로, 가압롤러(363)는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동력전달체(340)에서 멀어져야 한다. 반대로, 이동수평바(37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연결부재(364)는 제 2 이음부재(362)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서 가압롤러(363)는 상승하면서 동력전달체(340)를 가압하게 된다.The connecting member 364 has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joint member 362, and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 or move the pressure roller 363 away from the power transmission belt 340. For example, when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moves forward, the connecting member 364 pushes the second joint member 362 forward, and as a result, the pressure roller 363 moves downward to move the power transmission body ( 340) away from it. When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moves forward, as the driven roller 330 moves backward, the tens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becomes strong and can be cut off, so the pressure roller 363 moves downward to move the power transmission body ( 340) and away from it. Conversely, when the moving horizontal bar 371 moves backward, the connecting member 364 pulls the second joint member 362 backward, and as a result, the pressure roller 363 presses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while rising. do.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롤러 각도조절부(380)는 워킹벨트(30)의 좌우 장력차를 보정하기 위해 피동롤러(330)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피동롤러 각도조절부(380)는 홀더(381), 스크류(382), 노브(knob)(383), 거리감지센서(384)를 포함한다. 또한, 피동롤러 각도조절부(380)는 피동롤러(330)를 기준으로 하여 데크보드(310)의 끝단에 현재 워킹벨트(30)가 좌우측으로 얼마나 치우쳐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는 눈금 표시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driven roller angle adjusting unit 38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n roller 330 to correct the difference in left and right tension of the walking belt 30. The driven roller angle adjusting unit 380 includes a holder 381, a screw 382, a knob 383, and a distance sensor 384. In addition, the driven roller angle adjusting unit 380 is a scale display device (not shown ) may further include.

홀더(381)는 스크류(38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홀더(381)의 하부는 브라켓(373)과 결합되고 홀더(381)의 양측벽은 스크류(382)의 양단과 각각 결합된다.The holder 381 is for supporting the screw 382, the bottom of the holder 381 is coupled to the bracket 373, and both side walls of the holder 381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crew 382, respectively.

스크류(382)는 피동롤러(330)의 타측에서 연장된 샤프트(337)를 관통하고, 그 양단이 각각 홀더(381)의 양측벽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스크류(382)의 회전에 의해서 샤프트(337)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screw 382 passes through the shaft 337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driven roller 330, and both ends thereof are rotatably formed while being supported on both side walls of the holder 381, respectively. The rotation of the screw 382 causes the shaft 337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노브(383)는 스크류(382)의 일단에 결합되며, 스크류(382)를 회전시킨다. 노브(383)는 사용자나 전동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스크류(382)가 함께 회전하면서 샤프트(337)를 이동시킨다.The knob 383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crew 382 and rotates the screw 382 . The knob 383 is rotated by a user or electric power, and as a result, the shaft 337 is moved while the screw 382 rotates together.

거리감지센서(384)는 스크류(382)의 타단에 결합되며, 샤프트(337)의 이동거리를 감지한다. 거리감지센서(384)는 스크류(382)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 등을 근거로 샤프트(337)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엔코더(encoder)나 다른 회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sensor 384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crew 382 and detects the moving distance of the shaft 337. The distance sensor 384 may be composed of an encoder or other rot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moving distance of the shaft 337 based on the rotation direction and number of rotation of the screw 382 .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피동롤러 각도조절부(380)를 이용하는 경우, 제 2 동력전달부(333)의 바깥쪽 측면은 피봇(336)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피동롤러 각도조절부(380)가 샤프트(337)를 앞 또는 뒤로 이동시키면 피동롤러(330)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로써, 워킹벨트(30)의 좌우 장력차를 보정하여 벨트 쏠림 현상을 방지한다.In the case of using the driven roller angle adjusting unit 380 having such a structure, since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is coupled with a pivot 336, the driven roller angle adjusting unit 380 is a shaft ( 337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the angle of the driven roller 330 is adjusted. Thereby, by correcting the tension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f the walking belt 30, the belt pull phenomenon is prevent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롤러(410)는 워킹벨트(30)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데크보드(310)의 아래에서 워킹벨트(30)의 내면(inner surface) 또는 외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센싱롤러(410)는 그 일단에 센싱롤러(41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415)를 포함한다. 속도감지센서(415)는 센싱롤러(41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encoder)나 다른 회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sensing roller 41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walking belt 30 under the deck board 310 to sense the speed of the walking belt 30. do. Sensing roller 410 includes a speed sensor 415 for detec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nsing roller 410 at one end thereof. The speed sensor 415 may be composed of an encoder or other rotation sensor for sen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sensing roller 410 .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롤러 조절부(420)는 센싱롤러(410) 및 워킹벨트(30) 사이의 밀착도를 조절하기 위해 센싱롤러(410)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를 위해, 센싱롤러 조절부(420)는 스크류 형태의 제 2 조절기(421), 연결바(422), 한 쌍의 브라켓(424), 제 2 스토퍼(425), 제 2 고정수평바(426), 탄성부재(42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1 and 12 , the sensing roller adjusting unit 42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sensing roller 410 to adjust the degree of contact between the sensing roller 410 and the working belt 30 . To this end, the sensing roller control unit 420 includes a screw-type second adjuster 421, a connecting bar 422, a pair of brackets 424, a second stopper 425, and a second fixed horizontal bar 426. , and includes an elastic member 427.

제 2 조절기(421)는 연결바(422)의 하부를 관통하고 그 일단은 제 2 스토퍼(425)에 결합된다. 제 2 조절기(421)는 사용자나 전동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연결바(422)의 하부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regulator 421 passe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422 and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425 . The second adjuster 421 is rotated by a user or electric power, and as a resul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422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연결바(422)의 상단은 센싱롤러(410)를 지지하기 위해서 센싱롤러(410)의 양단과 결합되고, 브라켓(424)은 연결바(422)의 중간 부분과 제 1 고정수평바(377)를 연결한다. 브라켓(424)의 일단은 연결바(422)의 중간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브라켓(424)의 타단은 제 1 고정수평바(377)에 고정 결합되므로, 연결바(422)는 브라켓(424)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 2 조절기(421)의 회전에 의해서 연결바(422)의 하부가 이동하면, 연결바(422)는 브라켓(424)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연결바(422)의 상단도 곡선궤도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센싱롤러(410)는 상하위치가 달라지면서 워킹벨트(30)와의 밀착도가 조절된다.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bar 422 is coupled with both ends of the sensing roller 410 to support the sensing roller 410, and the bracket 424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connecting bar 422 and the first fixed horizontal bar 377. connect Since one end of the bracket 42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422 and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424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fixed horizontal bar 377, the connecting bar 422 is connected to the bracket 424. ) can be rotated. That is,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422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adjuster 421, the connecting bar 422 rotates based on the bracket 424,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bar 422 also follows a curved track. will move along Due to this, the sensing roller 410 adjusts the degree of adhesion with the walking belt 30 while the vertical position is changed.

제 2 스토퍼(425)는 연결바(422)를 관통한 제 2 조절기(421)의 일단을 지지하고 제 2 조절기(42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스토퍼(425)는 제 2 고정수평바(426)와 평행한 회전축(428)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이는 연결바(422)의 하부가 일직선으로 움직이지 않고 곡선궤도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이다. The second stopper 425 supports one end of the second adjuster 421 penetrating the connection bar 422 and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econd adjuster 421 . The second stopper 425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 rotational axis 428 parallel to the second fixed horizontal bar 426, which means tha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bar 422 does not move in a straight line but moves along a curved trajectory. because it does

제 2 고정수평바(426)는 하부 프레임(20)의 좌우 내측면에 결합 및 고정되고, 제 2 스토퍼(425)를 지지한다. 탄성부재(427)는 제 1 고정수평바(377) 및 연결바(422)의 사이의 일정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제 1 고정수평바(377) 및 연결바(422)에 결합된다.The second fixing horizontal bar 426 is coupled and fixed to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lower frame 20 and supports the second stopper 425 . The elastic member 427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horizontal bar 377 and the connecting bar 422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ed horizontal bar 377 and the connecting bar 422 .

도 13은 본 발명의 인디케이터(indicator)(50)의 일 예를 나타낸다.13 shows an example of an indicato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50)는 런닝머신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하부 프레임(20)의 후단에 형성된다. 인디케이터(50)는 다수개의 표시창(51, 52, 53, 54)을 포함하는데, 표시창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13 , the indicator 50 indicates the state of some components of the treadmill an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frame 20 . The indicator 50 includes a plurality of display windows 51, 52, 53, and 54, and the number or position of the display windows can be variously modified.

제 1 표시창(51)은 거리감지센서(384)에서 감지된 값을 기초로 피동롤러(330)의 각도를 나타내고, 제 2 표시창(52)은 제 1 조절기(372)의 회전수를 기초로 워킹벨트(30)의 장력을 수치로 나타낸다. 종래의 경우, 워킹벨트의 장력을 조절 시 현재 장력을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장력 조절이 용이치 않았으나 제 2 표시창(52)을 통해서 현재 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window 51 shows the angle of the driven roller 330 based on the value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384, and the second display window 52 shows the walking speed based on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irst adjuster 372. The tension of the belt 30 is expressed as a numerical value. In the prior art, it was not easy to adjust the tension because the current tension could not be checked when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alking belt, but the current tension can be check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window 52.

또한, 제 3 표시창(53)은 현재의 워킹벨트(30)의 운행상태를 표시한다. 즉, 슬립 현상이 발생되면 발생 빈도에 따라 상, 중, 하의 등급을 표시한다. 이를 통해 워킹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할지, 오일을 주입할지, 워킹벨트(30)를 교체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판단 근거로 삼는다. 제 4 표시창(54)은 오일통(231) 내의 윤활유 잔량을 나타내거나 또는 경고하는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display window 53 displays the current running state of the walking belt 30. That is, when a slip phenomenon occurs, a grade of high, medium, or low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frequency. Through this, it is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alking belt 30, to inject oil, or to replace the walking belt 30. The fourth display window 54 may indicate the remaining amount of lubricating oil in the oil container 231 or display a warning signal.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treadmi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제어부(120)는 워킹벨트(30)의 슬립현상을 감지하는데, 아래의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서 슬립현상을 감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detects the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30, and can detect the slip phenomenon using any one of the following methods.

감지방법 1. Detection method 1.

제어부(120)는 구동롤러(320)의 회전속도 및 피동롤러(330)의 회전속도를 비교하고, 두 회전속도들 간의 차이를 근거로 워킹벨트(30)의 슬립현상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두 회전속도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슬립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구동롤러(320)의 회전속도는 모터(210)로부터 측정되거나 또는 구동롤러(32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속도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피동롤러(330)의 회전속도는 속도감지센서(331)에 의해 측정된다.The control unit 120 compar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roller 320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n roller 33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30 has occurr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otational speeds.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a slip phenomenon has occurr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otational speeds is out of a preset range. Her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roller 320 may be measured from the motor 210 or may be measured by a separate speed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roller 320 .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n roller 330 is measured by the speed sensor 331 .

감지방법 2. Detection method 2.

제어부(120)는 구동롤러(320)의 회전속도 및 센싱롤러(410)의 회전속도를 비교하고, 이들간의 차이를 근거로 슬립현상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두 회전속도들 간의 차이가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슬립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센싱롤러(410)의 회전속도는 속도감지센서(415)에 의해 측정된다.The control unit 120 may compar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roller 320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nsing roller 410, and determine whether a slip phenomenon has occurr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m.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a slip phenomenon has occurr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rotational speeds is out of a preset range. Her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nsing roller 410 is measured by the speed sensor 415 .

감지방법 3.Detection method 3.

제어부(120)는 3가지의 회전속도, 즉 구동롤러(320)의 회전속도, 피동롤러(330)의 회전속도 및 센싱롤러(410)의 회전속도를 각각 비교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슬립현상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3가지의 회전속도들 간의 차들 중 하나라도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슬립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20 compares three rotational speeds, that i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roller 320,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n roller 330,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nsing roller 410, respectively, and the slip phenomenon occurs based on the results. occurrence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a slip phenomenon has occurred if even on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rotational speeds is out of a preset range.

이어, 제어부(120)는 워킹벨트(30)의 슬립현상이 감지되면, 보정조치를 실행한다. 보정조치는 클러치(321)의 구동(동력전달체(340)의 회전), 오일공급부(230)의 윤활유 분사, 피동롤러 위치조절부(370)에 의한 워킹벨트(30)의 장력 조절, 제 1 동력전달부(323) 및 제 2 동력전달부(333)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비 조절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한다.Subsequently, when the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3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20 executes a corrective action. Corrective measures include drive of the clutch 321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injection of lubricating oil from the oil supply unit 230, tension adjustment of the walking belt 30 by the driven roller position control unit 370, and first power At least one of gear ratio adjustment of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unit 3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3 is performed.

필수적 보정조치로써, 클러치(321)의 구동 및 오일공급부(230)의 윤활유 분사가 함께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워킹벨트(30)의 슬립현상이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동력전달체(340)를 통해서 구동롤러(320)의 회전동력을 피동롤러(330)에 전달하도록 클러치(321)를 제어하고 더불어 이용자가 런닝머신을 사용하지 않는 시기를 판단한 후 하부 프레임(20)의 경사를 조절하여 오일공급부(230)를 통해서 워킹벨트(30)에 윤활유를 도포한다. 구동롤러(320)와 피동롤러(330)가 함께 회전하면 워킹벨트(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슬립현상이 개선된다. 더불어, 워킹벨트(30)에 윤활유가 분사되면, 워킹벨트(30) 및 데크보드(310) 사이의 마찰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슬립현상이 개선된다.As an essential correction meas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of the clutch 321 and the injection of the lubricating oil of the oil supply unit 230 are executed together. That is, when the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30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clutch 321 to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roller 320 to the driven roller 33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body 340, and In addition, after determining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treadmill, lubricating oil is applied to the walking belt 30 through the oil supply unit 230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frame 20 . When the drive roller 320 and the driven roller 330 rotate together, the slip phenomenon is improved because the walking belt 30 rotates stably. In addition, when the lubricating oil is sprayed on the walking belt 30, the slip phenomenon is improved becau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alking belt 30 and the deck board 310 is reduced.

부가적 보정조치로써, 워킹벨트(30)의 장력 조절 및 워킹벨트(30)의 좌우 장력차 보정은 제어부(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행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As an additional correction measure, the tension adjustment of the walking belt 30 and the cor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tension difference of the walking belt 30 may be selectively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20 or manually executed by the user.

제 2No. 2 실시예Example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은 제 1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제 1, 2 동력전달부(623, 633), 동력전달체(600), 피동롤러 위치조절부(770)의 구성 및 구조가 제 1 실시예와 상이하고 제 1 실시예의 텐셔너(tensioners) 및 어드저스터(adjuster)가 제외된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14 and 15, the treadmi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but includes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s 623 and 633, a power transmission body 600,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77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tensioners and adjuster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exclud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identical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제 2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체(600)가 프로펠러 샤프트인 경우에 제 1 동력전달부(623) 및 제 2 동력전달부(633)는 기어로 각각 구성된다. 동력전달체(600)는 그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2 샤프트 기어(601, 603)를 포함한다. 제 1, 2 샤프트 기어(601, 603)는 각각 제 1 동력전달부(623) 및 제 2 동력전달부(633)와 90도로 교차하여 결합되고 제 1 동력전달부(623) 및 제 2 동력전달부(633)와 함께 회전한다. 특히, 제 2 샤프트 기어(603)는 피동롤러(330)가 전후 움직일 때 제 2 동력전달부(633)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다. 동력전달체(600)의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전달체(600)를 지지하는 다수의 홀더(610)가 형성된다.Whe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6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 propeller shaft,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6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633 are each composed of gears. The power transmission body 600 includes first and second shaft gears 601 and 603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shaft gears 601 and 603 cross and engage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6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633 at 90 degrees, respectively,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623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It rotates with part 633. In particular, the second shaft gear 603 has a certain length so as to maintain a coupled state with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633 when the driven roller 330 moves back and forth. A plurality of holders 610 supporting the power transmission body 600 are formed to enable stabl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600 .

또한, 피동롤러(33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 2 동력전달부(633)의 기어와 제 2 샤프트 기어(603)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gear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633 and the second shaft gear 603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angle of the driven roller 330 can be adjusted.

제 2 실시예에 따른 피동롤러 위치조절부(770)는 이동수평바(771), 볼스크류 형태의 제 1 조절기(772), 한 쌍의 브라켓(373), 제 1 스토퍼(374), 제 2 조절기(774), 가이딩바(775), 압축스프링(778)을 포함한다.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77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moving horizontal bar 771, a first controller 772 in the form of a ball screw, a pair of brackets 373, a first stopper 374, a second It includes an adjuster 774, a guiding bar 775, and a compression spring 778.

이동수평바(771)는 피동롤러(330) 아래에서 피동롤러(330)와 함께 평행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moving horizontal bar 771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parallel with the driven roller 330 under the driven roller 330 .

제 1 조절기(772)는 이동수평바(371)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제 1 조절기(77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센서(376) 또는 위치센서와, 이동수평바(371)의 이동거리를 한정하는 홈(A)을 포함한다. The first adjuster 77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movable horizontal bar 371, and at its end, a distance sensor 376 or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adjuster 772 and a movable horizontal bar ( 371) includes a groove (A) that limits the movement distance.

제 2 조절기(774)는 고정수평바(377)와 결합되고 가이딩바(guiding bar)(775)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딩바(775)는 이동수평바(771)가 평행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가이드한다. 압축스프링(778)은 가이딩바(775)의 둘레에 형성되어 이동수평바(771)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제공한다.The second adjuster 774 is coupled to the fixed horizontal bar 377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a guiding bar 775. The guiding bar 775 guides the movement path so that the moving horizontal bar 771 can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parallel. The compression spring 778 is formed around the guiding bar 775 to provide elasticity so that the movable horizontal bar 771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전방 프레임 20: 하부 프레임
30: 워킹벨트 50: 인디케이터
110: 제어패널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손잡이
210: 모터 230: 오일공급부
231: 오일통 235: 오일관
233: 밸브 310: 데크보드
320: 구동롤러 321: 클러치
323, 623: 제 1 동력전달부 330: 피동롤러
331: 속도감지센서 333, 633: 제 2 동력전달부
335: 지지대 340, 600: 동력전달체
350: 텐셔너 360: 어드저스터
361, 362: 제 1, 2 이음부재 363: 가압롤러
364: 연결부재 370, 770: 피동롤러 위치조절부
371, 771: 이동수평바 372, 772: 제 1 조절기
373: 브라켓 374: 제 1 스토퍼
377: 제 1 고정수평바 378, 427: 탄성부재
380: 피동롤러 각도조절부 381: 홀더
382: 스크류 383: 노브
384: 거리감지센서 410: 센싱롤러
415: 속도감지센서 420: 센싱롤러 조절부
10: front frame 20: lower frame
30: walking belt 50: indicator
110: control panel 120: control unit
130: communication unit 140: handle
210: motor 230: oil supply unit
231: oil bottle 235: oil pipe
233: valve 310: deck board
320: drive roller 321: clutch
323, 623: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330: driven roller
331: speed sensor 333, 633: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335: support 340, 600: power transmission body
350: tensioner 360: adjuster
361, 362: first and second joint members 363: pressure roller
364: connecting member 370, 770: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371, 771: moving horizontal bar 372, 772: first regulator
373: bracket 374: first stopper
377: first fixed horizontal bar 378, 427: elastic member
380: driven roller angle adjusting unit 381: holder
382: screw 383: knob
384: distance sensor 410: sensing roller
415: speed sensor 420: sensing roller control unit

Claims (17)

데크보드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구동롤러 및 피동롤러;
상기 데크보드,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피동롤러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움직이는 워킹벨트;
상기 구동롤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피동롤러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 2 동력전달부에 체결된 동력전달체;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제 1 동력전달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제 1 동력전달부 사이에 형성된 클러치;
상기 피동롤러의 양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피동롤러의 좌우측을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정하는 피동롤러 위치조절부;
상기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감지하고, 상기 슬립현상이 감지되면 상기 동력전달체를 통해서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동력을 상기 피동롤러에 전달하도록 상기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동롤러 위치조절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피동롤러 간의 간격 변화에 따른 상기 동력전달체의 길이를 보정하는 어드져스터(adjuster)와 상기 동력전달체의 길이와 장력을 조절하는 텐셔너(tensione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런닝머신.
Drive rollers and driven rollers formed with the deck board interposed therebetween;
a walking belt configured to surround the deck board, the drive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nd moved by rotation of the drive roller;
a power transmission body fastened to a first power transmission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ing roller and a second power transmission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en roller;
a clutch formed between the drive roll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to selectively connect the drive roller and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that is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riven roller and adjusts the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iven roll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t the same time;
A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and controlling the clutch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roller to the driven roll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body when the slip phenomenon is detected,
An adjuster for correcting the length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and a tensioner for adjusting the length and tens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A treadmill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 2 동력전달부 각각은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피동롤러 간의 회전비 변경을 위해 2단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two or more gears for changing a rotation ratio between the drive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속도를 상기 피동롤러의 회전속도와 비교하고, 상기 회전속도들 간의 차이를 근거로 상기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roller wit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n roller, and detects a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spee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벨트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워킹벨트와 접촉하는 센싱롤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롤러의 회전속도를 상기 센싱롤러의 회전속도와 비교하고, 상기 회전속도들 간의 차이를 근거로 상기 워킹벨트의 슬립현상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roller in contact with the walking belt to sense the speed of the walking belt,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roller wit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nsing roller, and detects a slip phenomenon of the walking bel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speed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롤러 및 상기 워킹벨트의 밀착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센싱롤러의 위치를 조정하는 센싱롤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4,
The treadmil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roller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position of the sensing roller to adjust a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sensing roller and the walking be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보드,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피동롤러를 수용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워킹벨트의 내면(inner surface)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오일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립현상이 감지되면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경사를 조절하여 상기 오일공급부를 통해서 상기 워킹벨트의 내면에 윤활유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frame accommodating the deck board, the drive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It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and further comprises an oil supply unit for applying lubricating oi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king belt,
The control unit, when the slip phenomenon is detected, adjusts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frame and applies lubrica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king belt through the oil supply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부는,
길이가 있는 관의 형태로 일단에 오일주입구가 오일관보다 높게 기울어져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과 평행하게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의 경사에 따라 윤활유를 배출하는 오일통;
오일 배출을 조절하도록 상기 오일통의 타단에 형성된 밸브;
상기 데크보드의 하면 및 상기 워킹벨트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밸브를 통해 배출된 윤활유를 상기 워킹벨트에 도포하는 오일관(oil pipe)을 포함하되,
상기 오일관은 크기가 서로 다른 다수의 분사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구들은 상기 오일통에서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6,
The oil supply unit,
An oil container having an oil inlet inclined higher than the oil pipe at one end in the form of a long pip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in parallel with the lower frame, and discharging lubricating oil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lower frame;
a valv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il container to control oil discharge;
An oil pipe inser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eck board and the walking belt and applying the lubricating oil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to the walking belt,
The oil pipe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having different sizes, and the nozzles have a larger size as the distance from the oil container increas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롤러 위치조절부는,
상기 피동롤러와 평행하게 형성된 이동수평바;
모터 또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이동수평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기;
상기 이동수평바의 양단을 상기 피동롤러의 양측면에 연결하고, 상기 이동수평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피동롤러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a moving horizontal bar formed in parallel with the driven roller;
a controller that is rotated by a motor or a user to move the moving horizontal bar forward and backward;
and a pair of bracket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movable horizontal bar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riven roller and moving the driven roll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horizontal ba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롤러 위치조절부는,
상기 이동수평바를 관통한 상기 조절기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조절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수평바;
상기 이동수평바 및 상기 고정수평바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9,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a stopper supporting one end of the adjuster penetrating the movable horizontal bar and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adjuster;
a fixed horizontal bar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stopper;
The treadmill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coupled to the movable horizontal bar and the fixed horizontal ba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기의 이동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센서와;
상기 이동 수평바의 이동거리를 한정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9,
the controller,
a distance sensor for sensing a moving distance of the controller;
A treadmill comprising a groove defining a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horizontal bar.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져스터(adjuster)는,
가압롤러;
고정된 제 1 이음부재;
일단은 상기 가압롤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이음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 2 이음부재;
일단은 상기 이동수평바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이음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수평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피동롤러간의 간격 변화에 따른 상기 동력전달체의 길이를 보정하고 가압상태를 현재 가압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9,
The adjuster,
pressure roller;
a fixed first joint member;
a second joint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pressure roller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joint member;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movable horizontal bar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joint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power transmission body is correct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horizontal bar. and a connecting member for moving the pressure roller to maintain the current pressure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킹벨트의 좌우 장력차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피동롤러의 타측면에 형성된 피동롤러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부는,
스크류와;
거리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riven roller angle adjusting uni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iven roller to correct the difference in left and right tension of the walking belt,
The angle adjustment unit,
with screw;
A treadmill comprising a distanc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롤러의 위치 및 각도, 슬립현상의 빈도, 현재 오일량을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와,
상기 인디케이터에 표시된 정보를 외부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1,
An indicator for displaying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driven roller, the frequency of slip phenomenon, and the current amount of oil;
The treadmi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dicator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체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 2 동력전달부와 각각 교차하여 회전하는 제 1, 2 샤프트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샤프트 기어는 상기 피동롤러가 전후 움직일 때 상기 제 2 동력전달부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제 1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 2 동력전달부는 각각 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피동롤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동력전달부의 기어와 상기 제 2 샤프트 기어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shaft;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shaft gear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haft and rotating while crossing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respectively,
The second shaft gear has a certain length to maintain a state coupled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when the driven roller moves back and forth,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each consist of a gear,
Treadmill,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 of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second shaft gea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angle of the driven roller is adjust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롤러 위치조절부는,
상기 피동롤러와 평행하게 형성된 이동수평바;
상기 이동수평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기;
상기 이동수평바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딩바;
상기 가이딩바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수평바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n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a moving horizontal bar formed in parallel with the driven roller;
an adjuster for moving the moving horizontal b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guiding bar for guiding a moving path of the moving horizontal bar;
and a compression spring formed around the guiding bar to provide elasticity so that the movable horizontal ba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KR1020210026010A 2021-02-25 2021-02-25 Running machine KR1024981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10A KR102498117B1 (en) 2021-02-25 2021-02-25 Running machine
PCT/KR2022/002721 WO2022182170A1 (en) 2021-02-25 2022-02-24 Front-rear wheel drive treadmill for correcting and preventing slipp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010A KR102498117B1 (en) 2021-02-25 2021-02-25 Runn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650A KR20220121650A (en) 2022-09-01
KR102498117B1 true KR102498117B1 (en) 2023-02-08

Family

ID=8304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010A KR102498117B1 (en) 2021-02-25 2021-02-25 Runn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8117B1 (en)
WO (1) WO202218217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3722A1 (en) * 2015-12-15 2017-06-22 Sgolastra S.R.L. Motorised treadmill with slipping torque limi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573B1 (en) * 2003-01-16 2005-08-17 임정수 Apparatus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running belt of running machine
WO2008099429A1 (en) * 2007-02-14 2008-08-21 Cammax S.A. Treadmill with endless belt tension adjusting device
KR101575558B1 (en) * 2015-03-12 2015-12-22 허민 Treadmill for fall induction and fall induction method
KR102021236B1 (en) * 2017-12-22 2019-11-04 이병돈 The treadmill which prevent slip-walk on the walking belt and remote-maintenance of 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3722A1 (en) * 2015-12-15 2017-06-22 Sgolastra S.R.L. Motorised treadmill with slipping torque lim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650A (en) 2022-09-01
WO2022182170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68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ighing a product flow
US9988217B2 (en) Conveyor belt wear monitoring system
US20100162694A1 (en) Depalleting unloading conveyor
KR102498117B1 (en) Running machine
EP3024983B1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measuring geometric and/or structural parameters of a railway track and/or switch
CA2066101A1 (en) Wide belt alignment system
KR100810610B1 (en) Belt tention tuning apparatus and robot arm having the same
EP1109006B1 (en) Friction test apparatus
KR102021236B1 (en) The treadmill which prevent slip-walk on the walking belt and remote-maintenance of it
KR102501879B1 (en) Tension Controlling Device of Moving Conveyor System
CN104692068A (en) Indentation resistance experiment table of rubber conveying belt
GB2405626A (en) Friction-drive carriage type conveyor
US20100122894A1 (en) Curved belt conveyor
KR101183951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werving of conveyor belt
CN214633676U (en) Running belt tightness detection and adjustment mechanism and sports equipment
CN108483096A (en) A kind of detection device for carrier band
CN210914623U (en) Cloth arranging mechanism
KR101516626B1 (en) Conveyor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6062453A (en) Active disk guide
CN208234222U (en)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of packaging film film roll
KR102501880B1 (en) Realtime Tension Measurig Device of Moving Conveyor System
CN113620136B (en) Gravity self-driven elevator guide rail detection device
CN112642103A (en) Running belt tightness detection and adjustment mechanism and sports equipment
CN219448264U (en) Manual deviation correcting device for belt deviation
JP2022099484A (en) Belt meandering adjustment device in belt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