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908B1 - Knee joint assistant device for radiographic - Google Patents

Knee joint assistant device for radiograph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908B1
KR102497908B1 KR1020210026268A KR20210026268A KR102497908B1 KR 102497908 B1 KR102497908 B1 KR 102497908B1 KR 1020210026268 A KR1020210026268 A KR 1020210026268A KR 20210026268 A KR20210026268 A KR 20210026268A KR 102497908 B1 KR102497908 B1 KR 10249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frame
knee joint
kne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2086A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908B1/en
Publication of KR20220122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0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9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87Motor-assisted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nipulator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자의 의지 또는 검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감에 의존할 필요 없이,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하중 부하 자세를 항상 일률적이고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피검자의 자세를 제공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and more particularly, by always uniformly and easily inducing a load-bearing posture of a subject's knee joint without relying on a subject's will or a sense based on an examiner's experie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that provides a posture of a subject optimized for a general radiographic examination of a knee joint based on the Rosenberg method.

Description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KNEE JOINT ASSISTANT DEVICE FOR RADIOGRAPHIC}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KNEE JOINT ASSISTANT DEVICE FOR RADIOGRAPHIC}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자의 의지 또는 검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감에 의존할 필요 없이,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하중 부하 자세를 항상 일률적이고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피검자의 자세를 제공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and more particularly, by always uniformly and easily inducing a load-bearing posture of a subject's knee joint without relying on a subject's will or a sense based on an examiner's experie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that provides a posture of a subject optimized for a general radiographic examination of a knee joint based on the Rosenberg method.

임상에서 무릎관절통을 포함한 각종 무릎 관련 질환에 대한 병변 유무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으로, 방사선을 이용한 일반 방사선 검사, MRI 검사, 골주사 검사, 관절액 검사, 관절경 진단을 이용하는 검사 등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 중, 비용적인 측면과 검사 효율성을 고려해 저렴하고 피검자의 신체에 부담이 적은 일반 방사선 검사가 주로 이용된다.As a method for observ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esions for various knee-related diseases including knee joint pain in clinical practice, general radiographic examination using radiation, MRI examination, bone scan examination, joint fluid examination, and examination using arthroscope diagnosis are being performed. However, considering the cost and efficiency of the examination, general radiographic examination is mainly used, which is inexpensive and does not burden the subject's body.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는 체중 부하 검사 기법의 하나인 Rosenberg Method(이하, 로젠버그 법이라 한다)를 토대로 이루어진다.General radiographic examination of the knee joint is performed based on the Rosenberg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osenberg method), which is one of the weight bearing examination techniques.

로젠버그 법은 무릎 관절에 하중을 주어 경골대퇴골의 관절 사이에 관절염 유무를 확인하는 기법으로, 통상, 피검자를 방사선 검출기와 발생기 사이에서 무릎을 일정 각도로 구부리게 한 뒤 검사를 진행하는 방식이다.The Rosenberg method is a technique for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rthritis between the joints of the tibia and femur by applying a load to the knee joint. In general, the test is performed after bending the knee at a certain angle between the radiation detector and the generator.

로젠버그 법은 피검자의 무릎을 구부리는 정도, 방사선의 방향 등을 결정하는 기준이 모두 방사선사의 경험을 토대로 결정되기 때문에 객관성 문제로, 의학적 진단 가치 및 신뢰도를 보장하기 힘들었으며 이에, 정확한 무릎 병변 진단에 한계가 있었다.The Rosenberg method is a problem of objectivity because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ubject's knee and the direction of radiation are all determin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radiologist, and it was difficult to guarantee the medical diagnostic value and reliability. There were limits.

또한, 로젠버그 법으로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피검자가 무릎을 구부린 엉거주춤한 상태에서 방사선 촬영을 위해 소정 시간 버티고 있어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들 뿐 아니라 피검자가 자세 유지가 버거워 몸이 흔들리거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방사선 촬영이 이뤄질 수 없고 방사선 촬영이 이뤄진다 해도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없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duct the examination with the Rosenberg method, the subject must hold out for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for radiography in a crouched state with the knee bent, which is not only very difficult, but also requires a lot of strength and makes it difficult for the subject to maintain the posture so that the body does not shake or maintain a fixed state. If not, radiography cannot be performed, and even if radiography is performed, clear images cannot be obtained.

또한, 무릎 관절을 검사하는 피검자의 대부분은 무릎 통증을 수반하므로, 이러한 자세가 피검자에게는 부담이 되거나, 자의적으로 이러한 자세를 취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subjects who examine the knee joint are accompanied by knee pain, such a posture is burdensome to the subject, or in most cases, such a posture cannot be taken voluntarily.

이를 개선하기 위해 피검자의 무릎을 소정 각도로 기울이게 하는 절곡형 판상의 보조기구가 사용되기도 하나, 피검자마다 신장, 체형이 상이하고 그에 따라 맞춤으로 검사가 진행되어야 하는데 상기 보조기구는 획일화된 각도로 고정된 기구로써 피검자마다의 각기 다른 촬영 조건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improve this, a bending plate-shaped assistive device that tilts the subject's knee at a predetermined angle is sometimes used, but each subject has a different height and body shape, and the test must be tailored accordingly. As a fixed instrument, it does not meet the different shooting conditions for each subject.

따라서 종래 보조기구는 단지 무릎을 구부린 상태를 기댈 수 있는 거치의 기능에 한정될 뿐 정작 피검자에 맞춰 정확한 방사선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것에는 불가한 실상이므로, 피검자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각기 다른 피검자의 체형에 맞춰 정확한 무릎 관절의 방사선 촬영을 할 수 있는 촬영 보조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conventional assistive devices are only limited to the function of standing on which the bent knee can be leaned, and it is impossible to acquire accurate radiographic images according to the subject. There is a need for an imaging aid capable of performing accurate radiography of the knee joint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person.

등록특허 10-1425316Registered Patent No. 10-1425316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피검자의 의지 또는 검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감에 의존할 필요 없이,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하중 부하 자세를 항상 일률적이고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를 제공하고, 아울러, 피검자의 체형, 신체조건, 질환 상태 등에 따라 무릎 관절의 굽힘 정도와 무릎 관절이 거치되는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의 편의를 보장하며, 나아가, 정확한 검사를 통해 무릎관절증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신뢰도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무릎 자세 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without the need to rely on the will of the subject or a sense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examiner, the load-bearing posture of the subject's knee joint can always be uniformly and easily By inducing, it provides an optimal posture for general radiological examination of the knee joint based on the Rosenberg method, and also flexibly adjusts the bending degree of the knee joint and the position where the knee joint is mounted according to the subject's body shape, physical condition, disease state, etc. Its purpose is to provide a knee posture aid capable of obtaining reliable images for objectively diagnosing knee arthrosis through an accurate examination and guaranteeing the convenience of the examination by enabling the examination.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사선 발생기와 방사선 검출기 사이에서 기립한 상태의 피검자의 무릎 관절부위를 일정 각도로 고정 지지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있어서, 일정 각도로 굽혀진 무릎 관절의 전방위 부위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하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that fixes and supports the knee joint of a subject in a standing state between a radiation generator and a radiation detector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knee joint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omnidirectional portion of the is mounted; And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ortion to be adjustable in height up and down.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지지프레임부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가동프레임을 위치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unit, a fixed fram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unit; a movable frame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rame on the fixed frame.

또,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장착되는 고정대; 상기 가이드홀에 접속되어 가동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대; 및 내각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져 내각 부위로 무릎 관절 부위를 수용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대와 가동대에 연결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olding unit, a fixing tabl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frame; a movable table connected to the guide hole and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frame; and a cradle whose center is foldable to form an inner angle to accommodate the knee joint portion with the inner angle portion and which ends are installed connected to the fixed base and the movable base, respectively.

또한, 상기 고정대의 전방에는 하부볼삽입구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동대는, 내부로 상기 가동프레임을 수용하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는 가동브라켓; 및 상기 가동브라켓과 가동프레임의 가이드홀을 상호 관통해 체결되며 전방에는 상부볼삽입구가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ower ball insertion hole is recessed at the front of the fixing table, and the movable table includes: a movable bracket made of a hollow shape for accommodating the movable frame therein; and a guide cylinder fastened by mutually penetrating the guide holes of the movable bracket and the movable frame and having an upper ball inlet recessed at the front.

또, 상기 거치대는, 일단에 상기 상부볼삽입구에 접속되는 상부볼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상판이 결합되는 상부암; 및 일단에 상기 하부볼삽입구에 접속되는 하부볼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하판이 결합되는 하부암;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타단은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radle includes an upper arm having an upper ball connected to the upper ball insertion hole at one end and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a lower arm having a lower ball connected to the lower ball insertion hole at one end and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other side, wherein the other end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rotatably installed via a hinge pin. .

본 발명은 피검자의 의지 또는 검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감에 의존할 필요 없이,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하중 부하 자세를 항상 일률적이고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를 제공하고, 아울러, 피검자의 체형, 신체조건, 질환 상태 등에 따라 무릎 관절의 굽힘 정도와 무릎 관절이 거치되는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의 편의를 보장하며, 나아가, 정확한 검사를 통해 무릎관절증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신뢰도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optimized for general radiological examination of the knee joint based on the Rosenberg method by always uniformly and easily inducing the load-bearing posture of the knee joint of the subject without relying on the will of the subject or the sense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examiner. In addition,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knee joint and the location where the knee joint is mounted can be flexi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ubject's body shape, physical condition, disease state, etc., thereby ensuring the convenience of the examin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ly reliable images for objectively diagnosing knee arthropath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거치부의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가동대의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가동대와 지지프레임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가동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가동대의 하방이동에 따라 거치대의 내각이 조절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가이드실린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isassembly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a movable table;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cross-sectional configurations of a movable table and a support frame part.
6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movable frame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way of example;
7 is a view illustratively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an interior angle of a cradle according to a downward movement of a movable table.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cylinder.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s are sometime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본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f a non-strict direction standard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up and down (y), left and right (x), front and back (z) in the state shown in FIG. Divide and specify the direction according to this standard in descriptions related to other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이하, 무릎 자세 보조기라 함)은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를 하기 위해 피검자의 무릎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방사선 발생기(R2)와 방사선 검출기(R1) 사이에서 기립한 상태의 피검자의 무릎 관절부위를 일정 각도로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knee posture aid) is for assisting in maintaining the correct posture of a subject's knee in order to perform a general radiographic examination of the subject's knee joint based on the Rosenberg method, and includes a radiation generator ( It serves to fix and support the knee joint of the subject in a standing state between R2) and the radiation detector R1 at a certain angle.

다시 말해, 무릎 자세 보조기 전방으로 방사선 검출기(R1)가, 후방으로 방사선 발생기(R2)가 위치하고, 피검자는 무릎 자세 보조기의 후방에서 기립한 상태로 방사선 촬영을 위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radiation detector R1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knee posture aid and the radiation generator R2 is positioned behind the knee posture aid, and the subject assumes a posture for radiography in a standing state at the rear of the knee posture ai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자세 보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거치부(100) 및 지지프레임부(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More specifically, the knee posture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efined as including a mounting portion 100 and a support frame portion 200 as shown in FIG. 1 .

먼저, 지지프레임부(200)는 해부학적인 무릎 관절의 높이를 고려하여 촬영실 지면에 상기 거치부(100)를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히. 거치부(100)를 상하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First, the support frame part 200 is a means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art 100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ground of the recording room in consideration of the anatomical height of the knee joint, in particular. The mounting portion 100 may be supported so as to be height-adjustable up and down.

지지프레임부(200)는 좌우로 일정 거리 평행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거치부(100)의 좌우 양 측을 각각 지지한다.The support frame unit 200 may be provided as a pair spaced apart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side to side, and suppor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unit 100, respectively.

각각의 지지프레임부(200)는 지지프레임부(200)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210), 상기 고정프레임(210) 상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홀(221)이 형성되는 가동프레임(220) 및 상기 고정프레임(210) 상에 가동프레임(220)을 위치고정하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Each support frame part 200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fixed frame 210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frame part 200 and the fixed frame 210, and the guide hole 221 in the vertical direction ) It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movable frame 220 formed and a fixing member 230 for fixing the movable frame 220 on the fixed frame 210.

고정프레임(210)은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가동프레임(220)의 하단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210)의 하단에는 무릎 자세 보조기가 지면에서 전도되지 않도록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지지다리(211)가 분기 형성되어 지면과의 지지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지지다리의 하면에는 지면에 흡착되기 위한 흡착판이 형성되어 지지다리(211)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The fixed frame 21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mpty pipe and may accommodate a lower part of the movable frame 220 therein.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frame 210, support legs 211 are branched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knee posture aid does not fall on the ground, and is configured to sufficiently secure a support area with the ground. If necessary, a suction plate for adsorption to the groun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leg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upport leg 211 .

고정프레임(210)에는 나사산을 가지는 고정구(212)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230)가 상기 고정구(212)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되어 고정프레임(210)에 수용된 가동프레임(220)의 외면을 압입할 수 있다.A fixture 212 having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through the fixed frame 210, and the fixing member 230 is fixed to the fixture 212 by a screwing method, and the movable frame 220 accommodated in the fixed frame 210. ) can be press-fitted.

가동프레임(220)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부 공간과 상보적인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프레임(210)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전, 후 면에 각각 상기 가이드홀(221)이 관통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movable frame 2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complementary to the inner space of the fixed frame 210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ner space of the fixed frame 210,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facing each other are respectively It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guide hole 221 is formed through.

상기 가이드홀(221)은 가동프레임(22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후술 될 가동대(120)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며, 특히, 상기 가이드홀(221)에는 후술 될 가동대(120)의 세부 구성 중 가이드실린더(122)가 관통 결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The guide hole 221 extends along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frame 220 to guide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movable table 120 to be described later. In particular, the guide hole 221 has the movable table 120 to be described later. )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the guide cylinder 122 may be gu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 through-coupled state.

가동프레임(220)은 고정프레임(210)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상대회전하지 않도록, 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210)의 내부 또한 이와 상보적인 각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movable frame 2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angular pipe so as not to arbitrarily rotate relatively while being coupled to the fixed frame 210, and the inside of the fixed frame 210 may also form a complementary angular space therewith.

고정부재(230)는 상기 고정구(212)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프레임(210)을 관통해 고정프레임(210) 내부로 삽입된 가동프레임(220)의 표면을 압입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볼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member 230 is coupled to the fixture 212 in a screw manner and passes through the fixing frame 210 to press-fit the surface of the movable frame 220 inserted into the fixing frame 210, and is a conventional bolt. can be made in the form

즉, 고정부재(230)를 고정구(212)에 가동프레임(220) 방향으로 깊게 삽입할 경우, 고정구(212)에 삽입된 고정부재(230)의 단부가 고정프레임(210)에 삽입된 가동프레임(220)의 외면을 보다 강하게 압입하여 가동프레임(220)의 위치가 구속되고, 반대로, 고정부재(230)를 가동프레임(220)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고정구(212)에서 풀어줄 경우 고정부재(230)의 단부가 가동프레임(220)에서 이격되어 가동프레임(220)의 구속이 풀리고, 이에, 가동프레임(220)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fixing member 230 is deeply inserted into the fixture 212 in the direction of the movable frame 220,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230 inserted into the fixture 212 is inserted into the movable frame 210.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rame 220 is constrained by press-fit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220 more strongly, and conversely, when the fixing member 230 is released from the fixture 212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able frame 220, the fixing member 230 The end of the movable frame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movable frame 220 to release the constraint of the movable frame 220, and thus, the movable frame 220 can freel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가동프레임(220)은 거치부(100)를 지지한 채로 상기 고정프레임(2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프레임(220)의 높낮이 조절으로 거치부(100)의 상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movable frame 220 moves up and down in the fixed frame 210 while supporting the holder 100, so that the relative height of the holder 10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ovable frame 220.

거치부(100)는 일정 각도로 굽혀진 무릎 관절의 전방위 부위가 거치되는 부위로, 피검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무릎 관절 부위의 상대 높이도 피검자들마다 각기 다른바, 가동프레임(220)의 상하 높낮이 조절을 통해 거치부(100)의 상대 높낮이가 피검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조절 가능하게 된다.The mounting part 100 is a part where the omnidirectional part of the knee joint bent at a certain angle is mounted. The relative height of the knee joint part is different for each subject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subject, so the vertical height of the movable frame 220 Through the adjustment, the relative height of the holder 1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ubject's physical condition.

즉, 다양한 연령대 및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가진 피검자의 일반 방사선 검사시, 무릎 관절의 위치에 대응해 거치부(100)의 상하 높낮이를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피검자의 무릎 부위를 최적의 위치에서 보조하여, 피검자가 보다 편히 검사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That is, during a general radiographic examination of subjects of various ages and various physical conditions, the vertical height of the mounting unit 100 can be more easily adjusted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knee joint, and the subject's knee is assisted in an optimal position. , the subject can take the examination posture more comfortably.

거치부(100)는 검사 목적 등에 따라 피검자의 무릎 관절이 설정된 각도로 자연스럽게 굽혀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방사선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유지토록 할 수 있다.The mounting unit 100 guides the subject's knee joint to naturally bend at a set angl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examination, etc., so that the posture optimized for general radiological examination of the knee joint based on the Rosenberg method is maintained without any difficulty while the radiographic examination is in progress. can keep it

피검자가 거치부(100)의 후방에 기립한 상태에서 거치부(100)에서 향해 무릎 관절을 미세하게 굽혀 무릎 관절의 전방위 부위를 거치부(100)에 밀착하게 되면 설정된 거치부(100)의 내각 각도(θ)에 맞게 무릎 관절이 자연스럽게 굽혀질 수 있다.When the testee bends the knee joint finely toward the holding part 100 in a state of standing behind the holding part 100 so that the omnidirectional part of the knee join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olding part 100, the inner angle of the holding part 100 is set. The knee joint may be naturally bent according to the angle θ.

즉,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자세 보조기의 경우 피검자를 별도 의자에 앉히거나 또는 침대에 뉘여 방사선 검사를 위한 자세를 취하도록 보조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방사선 검출기(R1) 후방에 선 상태에서도 무릎 관절에 부하가 가해지는 자세를 간편하게 취할 수 있도록 피검자를 보조하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knee posture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is applied to the knee joint even while standing behind the radiation detector R1, rather than assisting the subject to take a posture for the radiation examination by sitting on a separate chair or lying on a bed. It is to assist the subject so that he can easily take the posture that is applied.

즉, 피검자가 휠체어를 탄다거나, 특별한 사정, 예컨대, 거동에 제한이 있어 의료용 침대나 의자에 쉽게 오르내릴 수 없는 케이스의 방사선 검사에 있어 보다 효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effective in radiological examinations in cases where the examinee is in a wheelchair or cannot easily get on and off a medical bed or chair due to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for example, mobility limitations.

그리고, 피검자가 의자에 앉거나 침대에 누워 무릎 관절을 검사하게 될 경우, 무릎 관절에 피검자의 체중 부하가 실리지 못하게 되는 관계로, 정확한 영상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bject sits on a chair or lies on a bed and examines the knee joint, there is a limit to obtaining an accurate image because the subject's weight is not loaded on the knee joint.

아울러, 무릎 관절 보조기에 부수적으로 수반되는 의자나 침대 등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점유공간을 보다 작게 차지하고, 구조가 대폭 간소화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omit a chair or bed incidentally accompanied by the knee joint brace, it occupies a smaller space and greatly simplifies the structur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전방위란 무릎 관절의 전방 부위를 의미하며, 여기에, 슬개골과 같은 골조직도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omnidirectional position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means the anterior part of the knee joint, and includes bone tissue such as the patella.

이에, 거치부(100)에 피검자의 무릎 관절을 굽혀 거치하게 되면 슬개골이 거치부(100)에 밀착 고정되므로, 가동관절인 슬개골의 위치고정에 보다 탁월하여, 전체적인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방사선 영상의 노이즈 발생을 줄여 정확한 진단을 위한 자료로서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ubject's knee joint is bent and placed on the holding part 100, the kneecap is closely fixed to the holding part 100, so it is more excellent in fixing the position of the patella, which is a movable joint, and effectively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entire knee joi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objectivity as data for accurate diagnosis by reducing noise in the radiographic image.

이러한 거치부(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프레임(220)의 하부 외측에 장착되는 고정대(110), 가이드홀(221)에 접속되어 가동프레임(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대(120) 및 내각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져 내각 부위로 무릎 관절 부위를 수용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대(110)와 가동대(120)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거치대(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As shown in Figs. The center of the movable table 120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e center is foldable to form an inner angle to accommodate the knee joint portion with the inner angle portion, and both ends are attached to the fixing table 110 and the movable table 120, respectively. It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cradle 130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ball joint manner.

거치대(130)는 중앙 부분이 방사선 검출기(R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자 형태로 이루어져 후방으로 내각을 형성하고, 이 내각 부위로 무릎 관절을 수용한다.The cradle 130 has a '<' shape with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radiation detector R1 to form an inner angle toward the rear, and the inner angle accommodates the knee joint.

거치대(130)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반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어 내각의 각도조절을 가능케 하며 통상의 로젠버그 법에 있어 수평선에 대해 대퇴부가 이루는 각을 45°로, 수평선에 대해 하퇴부가 이루는 각을 45°도로 유도해야 하는바, 내각은 대략 90°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이러한 내각을 조절할 수도 있다. 내각의 조절을 위한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cradle 130 is configur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arts can be folded in half based on the center, allowing the angle adjustment of the inner angle. The angle to be formed should be induced at 45°, and the interior angle may be set to an angle of approximately 90°, and this interior angl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A detailed structure for the control of the cabinet will be described later.

다시, 거치대(130)의 상단은 가동대(120)에, 하단에 고정대(110)에 각각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고정대(110)의 경우 가동프레임(220) 상에 위치고정되고, 가동대(120)의 경우 가동프레임(220)에서 상하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가동대(120)를 상하로 움지일 경우, 이와 연동해 거치대(130)의 상단이 상하로 위치이동하면서 거치대(130)의 중앙이 접히거나 또는 전개되며 거치대(130)의 내각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거치대(130)의 양 단이 각각 고정대(110)와 가동대(120)에 볼조인트 방식으 연결 구성되므로, 내각이 변화함에 따라 거치대(130)의 양 단 위치이동을 탄력적으로 수용 가능한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Again, the upper end of the cradl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movable base 120 and the lower end to the fixed base 110. In the case of the fixed base 110, the position is fixed on the movable frame 220, and the movable base ( 12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movable frame 220, so when the movable table 120 is moved up and down, the upper end of the cradle 130 moves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is, and the cradle 130 The center of the folds or unfolds, and the inner angle of the cradle 130 can be adjusted. In addition, since both ends of the cradle 130 are connected to the fixed pedestal 110 and the movable pedestal 120 in a ball joint manner, a structure capable of flexibly accommodating the positional movement of both ends of the cradle 130 as the interior angle changes. will be equipped

고정대(110)는 가동프레임(220)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외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전방에는 거치대(130)의 하단이 연결되는 하부볼삽입구(11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The holder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able frame 220 or may be fixed to the outside, and a lower ball insertion port 11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older 130 may be recessed in the front.

가동대(120)는 전술한 고정대(110)와 달리, 가동프레임(220)에서 상하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가동프레임(220)의 특정 높이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동시에, 거치대(130)의 상단을 견인하여 거치대(13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써 거치대(130)의 내각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Unlike the aforementioned fixing table 110, the movable table 120 may be guided up and down on the movable frame 220 and may be fixed at a specific height of the movable frame 220. At the same time, the upper end of the cradle 130 is tow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radle 130 move away from or come closer to each other, so that the inner angle of the cradle 130 can be adjusted.

이를 위해, 가동대(120)는 내부로 상기 가동프레임(220)을 수용하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는 가동브라켓(121) 및 상기 가동브라켓(121)과 가동프레임(220)의 가이드홀(221)을 상호 관통해 체결되며 전방에는 상부볼삽입구(122a)가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실린더(1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To this end, the movable table 120 has a hollow movable bracket 121 accommodating the movable frame 220 therein and guide holes 221 of the movable bracket 121 and the movable frame 220 mutually. It is fastened through and illustrated as including a guide cylinder 122 in which the upper ball insertion port 122a is recessed in the front.

가동브라켓(121)은 가동프레임(220)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후면에는 가이드실린더(122)의 일부가 통과되는 통과홀(121a)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movable bracket 121 has a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movable frame 22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through hole 121a through which a part of the guide cylinder 122 passes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가동브라켓(121)이 가동프레임(220)의 외측으로 결합되면 상기 통과홀(121a)과 가이드홀(221)은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서로 연통된 지점으로 가이드실린더(122)가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movable bracket 121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ovable frame 220, the passage hole 121a and the guide hole 221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guide cylinder 122 can be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point. .

가이드실린더(122)의 후단은 가동브라켓(121)의 후방으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으며, 이 노출부위를 검사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가동대(120)를 상하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guide cylinder 122 may be completely exposed to the rear of the movable bracket 121, and the inspector may move the movable table 120 up and down by gripping the exposed portion with his hand.

가이드실린더(122)의 전방에 형성된 상부볼삽입구(122a)는 가동브라켓(121)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여기로 거치대(130)의 상단,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 될 상부볼(131a)이 연결된다.The upper ball insertion port 122a formed in front of the guide cylinder 122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movable bracket 121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der 130, more specifically, the upper ball 131a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거치대(130)는 일단에 상기 상부볼삽입구(122a)에 접속되는 상부볼(131a)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상판(132)이 결합되는 상부암(131) 및 일단에 상기 하부볼삽입구(111)에 접속되는 하부볼(133a)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하판(134)이 결합되는 하부암(133)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radle 130 has an upper ball 131a connected to the upper ball inlet 122a at one end and an upper arm 131 to which the upper plate 132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the lower ball inlet 111 at one end. ) It is made of a structure including a lower ball (133a) connected to is formed and a lower arm 133 to which the lower plate 134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이때, 상부암(131)과 하부암(133)은 상판(132)과 하판(134)을 각각 가동대(120)와 고정대(110)에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부(200)에 대응하여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판(132)의 좌우 양 측에 상부암(131)이, 하판(134)의 좌우 양 측에 하부암(133)이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암(131)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볼(131a)은 가이드실린더(122)의 상부볼삽입구(122a)에, 하부암(133)의 일단에 형성된 하부볼(133a)은 고정대(110)의 하부볼삽입구(111)에 각각 볼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arm 131 and the lower arm 133 are configured to connect the upper plate 132 and the lower plate 134 to the movable table 120 and the fixed table 110, respectively, and a pair of support frame parts 200 Corresponding to each may be made of a pair. Accordingly, the upper arm 131 is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late 132 and the lower arm 133 is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late 134, and the upper ball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rm 131. (131a) is formed in the upper ball insertion hole (122a) of the guide cylinder 122, and the lower ball (133a)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arm 133 is ball-jointed to the lower ball insertion hole 111 of the fixing table 110, respectively. can be connected

상판(132)과 하판(134)은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판(132)에는 피검자의 대퇴부가, 하판(134)에는 하퇴부가 각각 지지될 수 있다.The upper plate 132 and the lower plate 134 ar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at this time, the upper plate 132 may support the subject's thigh and the lower plate 134 may support the lower leg, respectively.

상판(132)과 하판(134)의 일단은 서로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힌지핀(135)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구조를 이룬다.One ends of the upper plate 132 and the lower plate 134 are formed in the form of free ends, and the other ends form a structure in which a hinge pin 135 is rotatably connected and installed.

상판(132)과 하판(134)의 타단에는 각각 상부힌지대(132a)와 하부힌지대(13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핀(135)이 상기 상부힌지대(132a)와 하부힌지대(134a)에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판(132)과 하판(134)이 힌지핀(135)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서로 접철 가능한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An upper hinge 132a and a lower hinge 134a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upper plate 132 and the lower plate 134, respectively, and the hinge pin 135 is the upper hinge 132a and the lower hinge 134a ) By being mutually fastened to each other, the upper plate 132 and the lower plate 134 are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with each other with the hinge pin 135 as the center of rotation.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판(132)과 하판(134) 사이에는 상판(132)과 하판(134) 사이의 내각을 측정하는 각도기가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protractor for measuring an interior angle between the upper plate 132 and the lower plate 13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132 and the lower plate 134 .

상기 상부볼(131a)과 하부볼(133a)은 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볼(131a)과 하부볼(133a)이 각각 접속되는 상부볼삽입구(122a)와 하부볼삽입구(111)는 상부볼(131a)과 하부볼(133a)이 구름될 수 있도록 구 형태와 상보적인 공간으로 형성된다.The upper ball 131a and the lower ball 133a ar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the upper ball insertion hole 122a and the lower ball insertion hole 111 to which the upper ball 131a and the lower ball 133a are respectively connected are (131a) and the lower ball (133a)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a complementary space so that it can be rolled.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대(120)의 상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부암(131) 및 하부암(133)의 각도변화가 수반되면 상부암(131)과 하부암(133)의 일단이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지점,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볼(131a)은 상부볼삽입구(122a)에서, 하부볼(133a)은 하부볼삽입구(111)에서 각각 구름되어 상부암(131)과 하부암(133)의 각도변화를 탄력적으로 수용 가능한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 when the angle change of the upper arm 131 and the lower arm 133 is accompanied by the vertical height adjustment of the movable table 120, the upper arm 131 and the lower arm 133 Each connection point where one end is connected, more specifically, the upper ball 131a is rolled in the upper ball insertion port 122a and the lower ball 133a is rolled in the lower ball insertion port 111, respectively, to form the upper arm 131 and the lower arm (133) has a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the angle change elastically.

정리하면, 가동대(120)를 고정대(11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로 이동시게 되면 상판(132)과 하판(134)이 힌지핀(135)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여 전개되면서 내각의 각도(θ)가 커지게 되며, 반대로, 가동대(120)를 고정대(110)와 근접 위치하도록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판(132)과 하판(134)이 힌지핀(135)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여 접혀지면서 내각의 각도(θ)가 작아지게 된다.In summary, when the movable base 120 is moved upward to be separated from the fixed base 110, the upper plate 132 and the lower plate 134 are develop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135, and the angle θ of the interior angle is increased,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movable table 120 is moved downward to be close to the fixed table 110, the upper plate 132 and the lower plate 134 are fol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hinge pin 135, and the interior angle The angle (θ) of becomes small.

한편, 가동대(120)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지만, 가동프레임(220)의 특정 높이에서 반드시 위치구속이 이루어져야 거치대(130)에 피검자의 무릎 관절이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table 120 is free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rame 220 must be restricted at a specific height so that the subject's knee joint can be more stably placed on the cradle 130 .

이를 위해, 가이드실린더(122)는 전방으로 상기 상부볼삽입구(122a)가 형성되며 상기 통과홀(121a)에 삽입되지 아니하고, 가동브라켓(121)의 전면에 걸림 지지되는 헤드(122b), 상기 헤드(122b)에서 상기 통과홀(121a)과 가이드홀(221)을 관통해 연장되는 바디(122c) 및 상기 바디(122c)에서 가동브라켓(12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스크류핸들(122d)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스크류핸들(122d)에는 상기 가동브라켓(121)의 후면에 접하는 플랜지(122g)가 형성된 너트부재(122e)가 체결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guide cylinder 122 has the upper ball insertion port 122a formed in the front, is no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1a, and has a head 122b that is caugh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bracket 121, the head In (122b), a body 122c extending through the passage hole 121a and the guide hole 221 and extending from the body 122c to the rear of the movable bracket 12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has a screw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nut member 122e having a flange 122g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ovable bracket 121 may be fastened to the externally exposed screw handle 122d.

즉, 검사자는 내각 조절을 위해 후방으로 노출된 스크류핸들(122d)을 손으로 파지한 뒤, 가동대(120)를 상하로 이동시켜 내각의 각도(θ)를 결정하고, 특정 높이에서 가동대(120)의 위치고정을 위해 너트부재(122e)를 스크류핸들(122d)에 체결하게 되면 너트부재(122e)가 헤드(122b)를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면서 너트부재(122e)의 플랜지(122g)가 가동브라켓(121)의 후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That is, the inspector grips the screw handle 122d exposed to the rear by hand to adjust the interior angle, moves the movable table 120 up and down to determine the angle θ of the interior angle, and determines the angle θ of the movable table 120 at a specific height ( When the nut member 122e is fastened to the screw handle 122d to fix the position of 120), the flange 122g of the nut member 122e is movable while the nut member 122e is fasten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head 122b. The back of the bracket 121 is strongly pressed.

동시에, 가이드실린더(122) 자체가 너트부재(122e) 방향으로 견인되므로 헤드(122b)가 가동브라켓(121)의 전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즉, 헤드(122b)와 너트부재(122e)가 각각 가동브라켓(121)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박하게 되어 가동대(120)가 가동프레임(220) 상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히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At the same time, since the guide cylinder 122 itself is pulled toward the nut member 122e, the head 122b strongly presses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bracket 121. That is, the head 122b and the nut member 122e press the movable bracket 121 in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movable table 120 can be more stably and firmly fixed on the movable frame 220. do.

한편, 상기 헤드(122b)에는 상부볼삽입구(122a)에서부터 외곽을 향해 절개된 상부절개구(122f)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122b may be formed with an upper cutout 122f cut from the upper ball insertion port 122a toward the outer periphery.

상부절개구(122f)는 상부볼삽입구(122a)에서 하방을 향해 일정 부분 절개 형성되어 상부암(131)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upper incision 122f is partially cut downward in the upper ball insertion port 122a to provide a space into which the upper arm 131 can be inserted.

가동대(120)가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 경우 가동대(120)와 고정대(110)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고, 상부암(131)과 하부암(133) 사이의 내각 각도(θ)도 이와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2점쇄선과 같이 상부암(131)의 기울기가 가파르게 형성되어 상부암(131)의 일단이 헤드(122b)에 간섭될 우려가 있다.When the movable table 120 is located relatively high,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vable table 120 and the fixed table 110 increases, and the interior angle θ between the upper arm 131 and the lower arm 133 is proportional to this. will increase In this case, as shown in the two-dotted chain line shown in FIG. 8, the slope of the upper arm 131 is formed steeply, so that one end of the upper arm 131 may interfere with the head 122b.

이때, 상부암(131)이 상부절개구(122f)에 삽입되도록 하도록 함으로써 상부암(131)이 헤드(122b)에 간섭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by inserting the upper arm 131 into the upper cutout 122f,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upper arm 131 from interfering with the head 122b.

이와 동일하게, 고정대(110)에는 하부볼삽입구(111)에서부터 외곽을 향해 절개된 하부절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Similarly, a lower incision 112 cut from the lower ball insertion hole 111 toward the outer periphery may be formed in the fixing table 110 .

하부절개구(112)는 하부볼삽입구(111)에서 상방을 향해 일정 부분 절개 형성되어 하부암(133)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lower incision 112 is partially incised upward in the lower ball insertion port 111 to provide a space into which the lower arm 133 can be inserted.

하부절개구(112)의 작용 효과는 전술한 상부절개구(122f)와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operation effect of the lower incision 112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upper incision 122f,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자세 보조기는 피검자의 의지 또는 검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감에 의존할 필요 없이,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굽힘 정도를 항상 일률적이고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를 제공하고, 아울러, 피검자의 체형 및 신체조건, 질환 상태에 따라 무릎 관절의 굽힘 정도와 무릎 관절이 거치되는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의 편의를 보장하며, 나아가, 정확한 검사를 통해 무릎관절증을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In summary, the knee posture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uniformly and easily induces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ubject's knee joint without relying on the subject's will or the sense based on the examiner's experience, thereby providing a knee joint based on the Rosenberg method. It provides an optimal posture for general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also ensures the convenience of examination by flexibly adjusting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knee joint and the position where the knee joint is placed according to the subject's body shape, physical condition, and disease stat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ly reliable images that can objectively diagnose knee arthrosis through accurate examination.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거치부
200: 지지프레임부
110: 고정대
120: 가동대
130: 거치대
210: 고정프레임
220: 가동프레임
111: 하부볼삽입구
121: 가동브라켓
122: 가이드실린더
221: 가이드홀
100: mounting part
200: support frame part
110: fixture
120: movable table
130: cradle
210: fixed frame
220: movable frame
111: lower ball inlet
121: movable bracket
122: guide cylinder
221: guide hole

Claims (5)

방사선 발생기와 방사선 검출기 사이에서 기립한 상태의 피검자의 무릎 관절부위를 일정 각도로 고정 지지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있어서,
일정 각도로 굽혀진 무릎 관절의 전방위 부위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하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지지프레임부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가동프레임을 위치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장착되는 고정대;
상기 가이드홀에 접속되어 가동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대; 및
내각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져 내각 부위로 무릎 관절 부위를 수용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대와 가동대에 연결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대의 전방에는 하부볼삽입구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동대는,
내부로 상기 가동프레임을 수용하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는 가동브라켓; 및
상기 가동브라켓과 가동프레임의 가이드홀을 상호 관통해 체결되며 전방에는 상부볼삽입구가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In the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knee joint of a subject in a standing state between a radiation generator and a radiation detector at a predetermined angle,
A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omnidirectional portion of the knee joint bent at a certain angle is mounted; and
Including;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mounting portion to be adjustable in height up and down,
The support frame part,
A fixed fram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 movable frame installed on the fixed frame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guide hol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t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movable frame on the fixed frame;
The holding part,
a fixing tabl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movable frame;
a movable stand connected to the guide hole and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frame; and
A cradle that is foldable in the center to form an inner angle to accommodate the knee joint portion with the inner angle portion and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fixed base and the movable base, respectively,
A lower ball insertion hole is recessed at the front of the fixing table,
The movable table,
A movable bracket made of a hollow shape for accommodating the movable frame inside; and
A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comprising: a guide cylinder fastened by mutually penetrating the guide holes of the movable bracket and the movable frame and having an upper ball inlet recessed at the fro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일단에 상기 상부볼삽입구에 접속되는 상부볼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상판이 결합되는 상부암; 및
일단에 상기 하부볼삽입구에 접속되는 하부볼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하판이 결합되는 하부암;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타단은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radle,
an upper arm having an upper ball connected to the upper ball insertion hole at one end and an upper plate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A lower arm having a lower ball connected to the lower ball insertion hole at one end and a lower plate coupled to the other side;
The other end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a knee posture aid for radiography,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rotatably connected via a hinge pin.
KR1020210026268A 2021-02-26 2021-02-26 Knee joint assistant device for radiographic KR1024979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268A KR102497908B1 (en) 2021-02-26 2021-02-26 Knee joint assistant device for radiograph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268A KR102497908B1 (en) 2021-02-26 2021-02-26 Knee joint assistant device for radiograph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086A KR20220122086A (en) 2022-09-02
KR102497908B1 true KR102497908B1 (en) 2023-02-09

Family

ID=8328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268A KR102497908B1 (en) 2021-02-26 2021-02-26 Knee joint assistant device for radiograph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90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786B1 (en) 2023-02-17 2023-12-1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Supporting device for intercondyloid PA axil proj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587A (en) 2001-02-28 2002-09-10 Takazono Sangyo Co Ltd Medical crus holding device
JP2011101662A (en) * 2009-11-10 2011-05-26 Osakafu Keisatsu Kyokai Osaka Keisatsu Byoin Rack for imaging knee joint
JP2013255536A (en) 2012-06-11 2013-12-26 Konica Minolta Inc Radi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JP2017006398A (en) * 2015-06-23 2017-01-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X-ray talbot imag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316B1 (en) 2013-03-06 2014-08-0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Auxillary Equipment for Multi Angles X-ray Table Integral Type in the Patella Radiographs
KR102179353B1 (en) * 2019-02-27 2020-11-16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Radiographic assistant device for patella imaging and radiographic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587A (en) 2001-02-28 2002-09-10 Takazono Sangyo Co Ltd Medical crus holding device
JP2011101662A (en) * 2009-11-10 2011-05-26 Osakafu Keisatsu Kyokai Osaka Keisatsu Byoin Rack for imaging knee joint
JP2013255536A (en) 2012-06-11 2013-12-26 Konica Minolta Inc Radi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JP2017006398A (en) * 2015-06-23 2017-01-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X-ray talbot ima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086A (en)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57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ligaments
US8840570B2 (en) Multi-section limb and ligament evalu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ing same
US10925519B2 (en) Robotic knee testing (RKT) device having decoupled drive capability and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the same
NL1041488B1 (en) Device for fixating a medical instrument.
JP4409806B2 (en) Lower limb compression device for medical development
US11484254B2 (en) Floating patella sensor, knee stabilizer with same and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with same
KR102497908B1 (en) Knee joint assistant device for radiographic
JP4378552B1 (en) Ultrasonic probe support device
EP3484361A1 (en) Device for the examination of limb joints
US20210251566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80333318A1 (en) Positioning System for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4374470B1 (en) Acoustic matching device for knee for ultrasonic probe
JP2005168881A (en) Subject supporting device
US20180333096A1 (en) Thigh Immobilizer for a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KR200450657Y1 (en) knee joint relaxation measurement chair
JP4495692B2 (en) Biological fixation device
CN216535332U (en) X-ray shooting auxiliary device for stress position of knee joint of lower limb
US20220409142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WO2024059568A1 (en) Weightbearing simulation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o image a subject
JP2003180692A (en) Bone density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