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617B1 -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617B1
KR102496617B1 KR1020160000425A KR20160000425A KR102496617B1 KR 102496617 B1 KR102496617 B1 KR 102496617B1 KR 1020160000425 A KR1020160000425 A KR 1020160000425A KR 20160000425 A KR20160000425 A KR 20160000425A KR 102496617 B1 KR102496617 B1 KR 10249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device
help
sentence
video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418A (ko
Inventor
문지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617B1/ko
Priority to US15/340,347 priority patent/US10298873B2/en
Publication of KR2017008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04N21/835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using a structured language for describing usage rules of the content, e.g. R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2015/088Word spo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도움말을 포함하는 사용 가이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도움말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카테고리 및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움말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화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TV(television)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TV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친숙한 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 가이드를 제공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도움말을 포함하는 사용 가이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도움말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카테고리 및 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움말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움말 카테고리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동작의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채널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분석하여 문장에 대응되는 도움말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문장으로부터 추출한 키워드를 결정된 도움말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내용이 성공적으로 처리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키워드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최근에 발화된 기설정된 수의 키워드를 저장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키워드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움말을 생성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모든 도움말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도움말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는 단계, 도움말 카테고리 및 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움말을 생성하는 단계, 및 도움말을 포함하는 사용 가이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를 카테고리에 따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애니메이션 형태의 사용 가이드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사용 가이드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평면(flat) 영상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영상 표시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영상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20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포인팅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는, 특정 키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포인팅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소정의 문장을 발화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발화하는 문장은, 영상 표시 장치(10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문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는 “Search A”, “Find A”, “A”, “Search A on web” 중 하나의 문장을 발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인식하고 처리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 표시 장치(100)가 제공하는 음성 인식 기능이 사용자에게 친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사용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Tune to channel 10”, 및 “Change channel to channel 10”와 같은 문장을 도움말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움말은, 영상 표시 장치(10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발화할 수 있는 문장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une to channel 10", 또는 "change channel to channel 10"은,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발화해야 하는 문장의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친숙한 키워드(keyword)를 사용하여 도움말을 생성하고 생성된 도움말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 가이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자주 시청하는 채널 번호를 이용하여 도움말을 생성하고, 생성된 도움말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도움말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내용이 성공적으로 처리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문장이 영상 표시 장치(100)에 의해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동작의 종류에 기초하여 도움말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응답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채널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SEARCH, APPLICATION LAUNCH, 및 CHANNEL TUNE 중 적어도 하나를 도움말 카테고리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수행되는 동작 및 도움말 카테고리의 종류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추출된 키워드를 설정된 도움말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Search Olympic game"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 "Olympic game"은 "SEARCH"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움말 카테고리에 따라 키워드를 저장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최근에 발화된 기설정된 수의 키워드만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도움말 카테고리별로 최근에 발화된 10개의 키워드만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SEARCH” 카테고리에 이미 10개의 키워드가 저장된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가장 오래 저장된 키워드를 삭제하고 새로운 키워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키워드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최근에 검색한 단어, 최근에 시청한 채널 번호, 및 최근에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키워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최근 관심도를 반영하여 키워드를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도움말 카테고리 및 추출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움말을 생성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저장된 복수의 키워드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키워드와 도움말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도움말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EARCH” 카테고리에 “Olympic game” 및 “Seoul”이 키워드로 저장된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Olympic game”과 “Seoul”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도움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Seoul”이 선택된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Find Seoul”, “Search Seoul”, 및 “Search Seoul on web”과 같이 “SEARCH”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도움말을 생성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230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도움말을 포함하는 사용 가이드를 표시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사용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의 기설정된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 가이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저장된 키워드 및 도움말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도움말을 표시할 수 있다. 생성된 도움말은 사용자가 실제 발화했던 키워드에 기초하여 생성되므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형태의 도움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 가이드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사용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고, 도움말 카테고리별로 생성된 복수의 도움말을 나열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도움말 모두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키워드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SEARCH” 카테고리와 관련된 키워드를 저장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문장 “Search Olympic game”(300)이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인식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Olympic game"을 검색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Olympic game"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가 발화하는 문장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Olympic game”, "Find Olympic game ", 및 "Search Olympic game on web"와 같은 문장이 될 수도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대응되는 동작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에,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Search Olympic game"(300)을 발화함에 따라 "Olympic game을 검색하는 동작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Search Olympic game"(300)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Search" 또는 "Find"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검색과 관련된 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한 단어이고, “Olympic game” (331)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Olympic game”(331)을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동작에 따라 도움말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응답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채널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SEARCH(311), APPLICATION LAUNCH(312), 및 CHANNEL TUNE(313) 중 적어도 하나를 도움말 카테고리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동작 및 도움말 카테고리의 종류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움말 카테고리가 SEARCH(311), APPLICATION LAUNCH(312), 및 CHANNEL TUNE(313)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추출된 키워드를 도움말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추출된 키워드 “Olympic game”(331)을 SEARCH(311)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SEARCH(311)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키워드는 TV 프로그램, 영화 제목, 영화 배우, 감독 이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SEARCH 카테고리에 “Seoul” 및 “Olympic game” 두 개의 키워드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Seoul”이 "Olympic game"보다 먼저 저장되었다는 것은, "Seoul"이 “Olympic game”보다 사용자에 의해 먼저 발화되어 "Seoul"을 검색하는 동작이 수행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도 3b를 참조하면, 채널을 22번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Tune to channel 22", "Change channel to channel 22" 와 같은 문장(301)을 발화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문장 “Tune to channel 22”(301)이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인식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22번 채널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Tune to" 또는 "Change channel to"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채널 변경과 관련된 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한 단어이고, "channel 22"(332)는 사용자가 변경하려는 채널이다. 그러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channel 22"(332)를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추출된 "channel 22"(332)를 CHANNEL TUNE(313)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CHANNEL TUNE(313)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키워드는 채널 이름 또는 채널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ABC gam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Run ABC game", "Start ABC game"과 같은 문장(302)을 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문장 "Start ABC game"이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인식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ABC gam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Run" 또는 "Start"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한 단어이고, "ABC game"(333)은 사용자가 실행시키려는 어플리케이션 이름이다. 그러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ABC game"(333)을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추출된 "ABC game"(333)을 APPLICATION LAUNCH(312)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APPLICATION LAUNCH(312)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키워드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이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했던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도움말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에게 친숙한 키워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하여 성공적으로 기능이 수행된 문장에 대해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Search New York”을 발화하였으나, 발화한 문장이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New York”이 검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New York”을 키워드로 추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하여 기능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문장에 대해서 키워드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키워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애니메이션 형태의 사용 가이드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 가이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애니메이션 형태의 사용 가이드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이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은, 제어 장치(200)에서 소정의 버튼을 선택하는 입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의 VOICE 버튼(201)을 한 번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401 내지 404)를 순차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애니메이션 형태의 사용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도움말(410)을 표시할 때, 저장된 키워드 및 도움말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생성된 도움말(41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SEARCH" 카테고리 및 "SEARCH" 카테고리에 저장된 "Olympic game"에 기초하여, "Search Olympic game", "Find Olympic game", "Search Olympic game on web"과 같은 도움말(410)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애니메이션 형태의 사용 가이드를 제공할 때 생성된 도움말(410)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도움말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키워드 및 도움말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다양한 도움말을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사용 가이드를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에서 사용 가이드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발화할 수 있는 다양한 문장들을 도움말(510 및 520)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각각의 도움말 카테고리에 대하여 복수의 도움말(510 및 52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저장된 키워드 “Olympic game”(331)을 사용하여 "SEARCH" 카테고리(311)에 대응되는 도움말(51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Olympic game”, “Find Olympic game”, “Search Olympic game”, “Search Olympic game on web”을 포함하는 도움말(510)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생성된 복수의 도움말(510)을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CHANNEL TUNE" 카테고리(313)에 저장된 키워드 "Channel 22"(332)를 사용하여 "CHANNEL TUNE" 카테고리(313)에 대응되는 도움말(42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가 발화할 수 있는 다양한 문장들을 도움말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Tune to Channel 22”, “Change channel to channel 22”을 포함하는 도움말들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모든 도움말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키(20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다른 도움말(530)을 더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Channel 22” 또는 “Olympic game”은 사용자가 과거에 발화했던 키워드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키워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할 때 어떻게 발화해야 하는지,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이 켜진 후에(S600),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 가이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S601)에 응답하여, 사용 가이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S610). 이때, 사용 가이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S601)은, 제어 장치(200)의 특정 키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00)의 “VOICE” 키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 가이드를 표시할 때, 사용자가 과거에 발화했던 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움말을 생성하고, 생성된 도움말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했던 키워드 중에서 최근에 발화된 기설정된 수의 키워드를 저장할 수 있다(S620).
사용자는 사용 가이드를 확인한 후에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거나, 또는 사용 가이드를 확인하지 않고 바로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S611 및 S612)에 응답하여, 음성 인식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S630).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어 장치의 특정 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S611 및 S612)에 응답하여, 음성 인식 UI를 제공할 수 있다(S630).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ICE”키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VOICE” 키를 한 번 누르는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 가이드 UI를 제공하고, “VOICE” 키를 길게 누르는 입력에 응답하여 음성 인식 UI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소정의 문장을 발화할 수 있다(S640).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음성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발화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신호가 영상 표시 장치(100)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VOICE” 키를 누른 상태에서 소정의 문장을 발화하고, 발화가 종료되면 “VOICE” 키를 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텍스트로 표시하고(S650),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내용을 처리할 수 있다(S660).
또한,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내용이 성공적으로 처리된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S670), 추출된 키워드를 도움말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S620).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내용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지 못한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지 않을 수 있다(S680).
도 7은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어부(1100) 및 디스플레이부(1200)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영상 표시 장치(100)는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제어부(1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도움말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한다. 이때, 도움말 카테고리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동작의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행되는 동작은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채널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키워드는 사용자가 발화한 내용에 대응되는 동작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문장으로부터 추출되는 키워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0)는,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대응되는 도움말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를 결정된 도움말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제어부(1100)는, 카테고리 및 도움말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도움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0)는, 저장된 키워드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움말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0)는 도움말을 포함하는 사용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0)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사용 가이드를 표시하거나 또는 생성된 복수의 도움말을 나열하는 형태로 사용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된 도움말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0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표시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00)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a)는, 제어부(1100) 및 디스플레이부(120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3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및 메모리(1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100) 및 디스플레이부(1200)에 대하여,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도 8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1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음성 인식 모듈(1730) 및 음성 인식 사용 가이드 제공 모듈(174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의 키워드로부터 생성된 도움말을 기초로 음성인식 사용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0)는, 사용자가 영상 표시 장치(100a)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3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게 사용 가이드를 요청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이드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입력부(1300)의 특정 키를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0)가 키 패드 또는 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 가이드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특정 키를 클릭(click)하거나 누르는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부(1300)가 터치 패드로 구성되는 경우, 특정 키를 터치하는 입력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0)는, 전술한 제어 장치(200)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영상 표시 장치(100a)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출력부(1210)는, 디스플레이부(1200) 이외에 음향 출력부(1220) 및 진동 모터(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영상 표시 장치(100a)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00)는, 사용 가이드가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시될 때, 사용 가이드와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200)는, 생성된 도움말을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0)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0)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0)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센싱부(1400)는, 영상 표시 장치(100a)의 상태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a)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1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0), 온/습도 센서(1430), 적외선 센서(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145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기압 센서(1470), 근접 센서(1480),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500)는, 영상 표시 장치(100a)가 외부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100a)가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1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영상 표시 장치(100a)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1620)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마이크로폰(1620)으로부터 처리된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신호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제어부(1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영상 표시 장치(100a)로 입력되거나 영상 표시 장치(100a)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0), 터치 스크린 모듈(1720), 음성 인식 모듈(1730), 음성 인식 사용 가이드 제공 모듈(1740)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UI 모듈(1710)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영상 표시 장치(100a)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0)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듈(1730)은 영상 표시 장치(100a)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모듈(1730)은, 수신된 음성 신호의 특징을 추출하고 분석하여 음성 신호의 의미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인식 사용 가이드 제공 모듈(1740)은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키워드를 도움말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고, 카테고리 및 키워드에 기초하여 도움말을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사용 가이드 제공 모듈(1740)은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대응되는 도움말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를 결정된 도움말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8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 및 100a)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장치(100 및 100a)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도움말을 포함하는 사용 가이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가 발화한 키워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분석된 문장에 포함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명령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명령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분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도움 문장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결정된 명령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명령어 중 하나와 상기 저장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움 문장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도움 문장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카테고리는,
    상기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동작의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채널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상기 문장이 성공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상기 문장으로부터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영상 표시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근에 발화된 기설정된 수의 키워드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는, 영상 표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키워드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키워드와 상기 선택된 키워드에 관련된 명령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명령어 중 하나를 결합하여, 상기 도움 문장을 생성하도록 더 구성되는, 영상 표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된 모든 도움 문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영상 표시 장치.
  10.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분석된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분석된 문장에 포함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명령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결정된 명령 카테고리에 따라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분류하여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도움 문장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저장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기 결정된 명령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명령어 중 하나와 상기 저장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도움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하나 이상의 도움 문장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카테고리는,
    상기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에 응답하여 수행되는 동작의 종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영상 표시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검색,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채널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3. 삭제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상기 문장이 성공적으로 처리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상기 문장으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5. 삭제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최근에 발화된 기설정된 수의 키워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움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된 키워드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된 키워드와 상기 선택된 키워드에 관련된 명령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명령어 중 하나를 결합하여, 상기 도움 문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생성된 모든 도움 문장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방법.
  19. 제 10항 내지 제 12항, 제 14항, 제 16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의 영상 표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000425A 2016-01-04 2016-01-04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10249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25A KR102496617B1 (ko) 2016-01-04 2016-01-04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US15/340,347 US10298873B2 (en) 2016-01-04 2016-11-0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425A KR102496617B1 (ko) 2016-01-04 2016-01-04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18A KR20170081418A (ko) 2017-07-12
KR102496617B1 true KR102496617B1 (ko) 2023-02-06

Family

ID=5922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425A KR102496617B1 (ko) 2016-01-04 2016-01-04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98873B2 (ko)
KR (1) KR102496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164B1 (ko) * 2013-12-27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컨텐츠 제공 방법들
CN108600796B (zh) 2018-03-09 2019-11-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智能电视的控制模式切换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547840A (zh) * 2018-12-03 2019-03-29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影视作品搜索引导方法、电视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6023A (ja) * 2008-02-28 2008-08-14 Pioneer Electronic Corp 音声操作装置及び音声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3221A (en) * 1995-03-20 1996-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the creation of personalized movie presentations and personalized movie collections
US6658662B1 (en) * 1997-06-30 2003-12-02 Sun Microsystems, Inc. Retrieving information from a broadcast signal
US7000242B1 (en) * 2000-07-31 2006-02-14 Jeff Haber Directing internet shopping traffic and tracking revenues generated as a result thereof
US20020133562A1 (en) * 2001-03-13 2002-09-19 Newnam Scott 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nternet-based events
US20020162117A1 (en) * 2001-04-26 2002-10-31 Martin Pearson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synchronized interactive content interrelated to broadcast content
US7886003B2 (en) * 2001-07-06 2011-02-08 Ericsson Televi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interactive events
EP1422936B1 (en) * 2001-08-28 2012-03-21 Panasonic Corporation Broadcast reception method
US7996232B2 (en) * 2001-12-03 2011-08-09 Rodriguez Arturo A Recognition of voice-activated commands
EP1518409B1 (en) * 2002-07-01 2019-01-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ontrol over repeating objects embedded in a stream
US8209724B2 (en) * 2007-04-25 2012-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information of potential interest to a user
US8412021B2 (en) * 2007-05-18 2013-04-02 Fall Front Wireless Ny, Llc Video player user interface
US9318108B2 (en) *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000972B2 (en) * 2007-10-26 2011-08-16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with speech recognition
US8079054B1 (en) * 2008-04-14 2011-12-13 Adobe Systems Incorporated Location for secondary content based on data differential
US20090293081A1 (en) * 2008-05-22 2009-11-26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erforming searches at a plurality of content storing locations
CN102598109A (zh) * 2009-10-29 2012-07-18 汤姆森特许公司 多屏幕的交互屏幕架构
US20110283189A1 (en) * 2010-05-12 2011-11-17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media guide interaction modes
KR101262700B1 (ko) * 2011-08-05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및 모션 인식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장치
US9462340B1 (en) * 2011-10-13 2016-10-04 Trevor Mathurin Voice/manual activated and integrated audio/video multi-media, multi-interface system
US20140373082A1 (en) * 2012-02-03 2014-12-18 Sharp Kabushiki Kaisha Output system, control method of output system,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4126600A (ja) * 2012-12-25 2014-07-07 Panasonic Corp 音声認識装置、音声認識方法、およびテレビ
US20140278834A1 (en) * 2013-03-14 2014-09-18 Armchair Sports Productions Inc. Voting on actions for an event
KR101456974B1 (ko) 2013-05-21 2014-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 음성인식 서버 및 음성인식 가이드 방법
US9888279B2 (en) * 2013-09-13 2018-02-06 Arris Enterprises Llc Content based video content segmentation
US9510030B2 (en) * 2014-02-13 2016-11-29 Piksel, Inc. Delivering media content to a content consuming user
KR102098894B1 (ko) * 2014-05-13 2020-04-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리모콘을 이용한 음성인식 방송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6023A (ja) * 2008-02-28 2008-08-14 Pioneer Electronic Corp 音声操作装置及び音声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95610A1 (en) 2017-07-06
US10298873B2 (en) 2019-05-21
KR20170081418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6111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19269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111030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528466B1 (ko) 복수 화자의 음성 신호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US2013003594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2013003364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U201229306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CN105452983A (zh) 可折叠装置及其控制方法
US10250935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ed by a user's vo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636749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EP3528245A1 (en) User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acoustic features
KR10249661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80054362A (ko)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1695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567003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80380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3017410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53290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06054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