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569B1 -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 Google Patents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569B1
KR102496569B1 KR1020210047638A KR20210047638A KR102496569B1 KR 102496569 B1 KR102496569 B1 KR 102496569B1 KR 1020210047638 A KR1020210047638 A KR 1020210047638A KR 20210047638 A KR20210047638 A KR 20210047638A KR 102496569 B1 KR102496569 B1 KR 102496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esponse
electrolyte
signal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1471A (en
Inventor
정윤영
김영석
윤인열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569B1/en
Priority to PCT/KR2021/007758 priority patent/WO2022220335A1/en
Publication of KR2022014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5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05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hase or frequency of 2 mutually independent oscillations in demod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01R23/15Indicating that frequency of pulses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by making use of non-linear or digital elements (indicating that pulse width is above or below a certain lim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임피던스 특성 결정 방법에 있어서,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테스트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내는 임펄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임펄스 신호를 전해질에 부착된 제 1 전극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해질에 부착된 제 2 전극에서 획득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해질 사이의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method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includes determining a test signal in a frequency domain representing an energy level for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cquiring an impulse signal representing the test signal in the time domain; applying the impulse signal to a first electrode attached to an electrolyte; obtaining a response magnitude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based on a response signal obtained from a second electrode attached to the electrolyte; And determining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including, a method is provided.

Description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본 개시는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테스트 신호를 결정하고, 테스트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내는 임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관심 주파수 영역에 대한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함으로써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and more particularly, by determining a test signal in a frequency domain representing an energy level for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nd using an impulse signal representing the test signal in a time domain. A method and device capable of improving efficiency in terms of cost and time by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for a frequency region of interest.

종래 기술에 따라 전극의 전기적 특성을 구하는 방법으로 생체 신호의 신호 대 잡음 비를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측정자의 인체 특성에 따라 전극의 성능이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을 수 있어 측정자 개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신호 대 잡음 비를 정의하는 방법 또한 차이가 존재하여 이에 따라 차이가 크게 발생하였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method of comparing signal-to-noise ratios of biological signals as a method of obtain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de. However, this prior art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may not be accurately ref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of the measurer, so that a large difference occur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measurer. In addition,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defining the signal-to-noise ratio. A large difference occurred.

종래 기술 중에서 EIS(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기술은 전극 표면의 전기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보통 3-전극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극의 특성 추출을 위해 측정하고자 하는 작업 전극(Working electrode) 뿐만 아니라 별도의 레퍼런스(Reference) 및 카운터 전극(Counter electrode)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또한, 세 전극이 모두 전해질에 담겨져 있는 정적인 상황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Among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EIS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technology is the most representative method for quantitatively extract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de surface. Since it usually uses a 3-electrode system, the working electrode to be measured for the extrac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de In addition, a separate reference and counter electrode are essentially required,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measurement is possible only in a static situation in which all three electrodes are immersed in electrolyte.

또한, EIS 기술은 측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별로 일일이 개별 신호를 발생시킨 후 각 신호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정확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측정 및 분석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장비 가격이 수천만원에 이르는 등 고가로 구현될 수밖에 없어 비용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EIS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high accuracy because it generates individual signals for each frequency to be measured and then goes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each signal, bu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takes a long time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and accordingly the equipment price increases. It is inevitable to be implemented at a high price, such as tens of thousands of won, and has a disadvantage of low efficiency in terms of cost.

이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분석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n analysis technology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improving efficiency in terms of cost and tim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테스트 신호를 결정하고, 테스트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내는 임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관심 주파수 영역에 대한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함으로써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determining a test signal in the frequency domain representing the energy level for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nd using an impulse signal representing the test signal in the time domai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capable of improving efficiency in terms of cost and time by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for a frequency region of interest.

본 개시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purp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 결정 방법은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테스트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내는 임펄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임펄스 신호를 전해질에 부착된 제 1 전극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해질에 부착된 제 2 전극에서 획득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해질 사이의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 impedance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determining a test signal in a frequency domain representing an energy level for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cquiring an impulse signal representing the test signal in the time domain; applying the impulse signal to a first electrode attached to an electrolyte; obtaining a response magnitude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based on a response signal obtained from a second electrode attached to the electrolyte; and determining an impedance characteristi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또한, 상기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determining of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may include determining a magnitude of impedance according to a frequency.

또한, 상기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에 따른 커패시턴스 또는 리액턴스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determining of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may include determining a magnitude of capacitance or reacta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또한, 상기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크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결정되는 제 1 함수 및 기설정 제 2 함수와의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에 따른 커패시턴스, 리액턴스 및 레지스턴스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may include obtaining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 first function determined through analysis of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and a preset second function; and determining magnitudes of capacitance, reactance, and resista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 중 기설정 저주파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에 기초하여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한 정도를 나타내는 노이즈 정량화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noise quantification index representing a degree of occurrence of motion-induced noise based on a response level for a preset low frequency range among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또한,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전해질이 정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전극에서 획득되는 제 1 응답 신호 및 상기 전해질이 동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전극에서 획득되는 제 2 응답 신호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제 1 응답 크기 및 제 2 응답 크기 각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화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주파 범위에서 상기 제 1 응답 크기 및 상기 제 2 응답 크기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노이즈 정량화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btaining of the response size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may include a first response signal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when the electrolyte is in a static state and a response signal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when the electrolyte is in a dynamic state. Based on each second response signal, obtaining a first response magnitude and a second response magnitude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respectively, wherein the determining of the quantification index determines the first response magnitude in the low frequency range. The method may include determining the noise quantification index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magnitude and the second response magnitude.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노이즈 정량화 지수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message warning of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motion when the noise quantification inde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또한,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는 기설정 수 헤르츠(Hz)에서 수백 킬로헤르츠(kHz) 또는 수 메가헤르츠(MHz) 사이일 수 있다.Also,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may be between a preset number of hertz (Hz) and several hundred kilohertz (kHz) or several megahertz (MHz).

또한, 상기 임펄스 신호는 신호 발생기에 의해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고, 상기 응답 신호는 오실로스코프에 의해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ulse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by a signal generator, and the response signal may be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by an oscilloscope.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디바이스는 테스트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내는 임펄스 신호를 전해질에 부착된 제 1 전극으로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전해질에 부착된 제 2 전극에서 획득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를 획득하는 수신부; 및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상기 테스트 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응답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해질 사이의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transmitter for outputting an impulse signal representing a test signal in the time domain to a first electrode attached to an electrolyte; a receiver for obtaining a response level for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based on a response signal obtained from a second electrode attached to the electrolyte; and a processor determining the test signal in a frequency domain representing an energy level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nd determining an impedance characteristi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based on the response level.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제 4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in a computer. Alternatively,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o imple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심 주파수 영역에 대한 임피던스 특성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quickly determine impedance characteristics of a frequency region of interest.

또한, 신호 발생기를 통해 임펄스 신호를 인가하고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응답 신호를 측정할 수 있어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효율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n impulse signal can be applied through a signal generator and a response signal can be measured through an oscilloscope,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terms of cost and time.

또한, 인체를 대상으로 측정을 하는 경우, 신속하게 측정이 완료됨에 따라 인체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동질적(inhomogeneous) 특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human body, as the measurement is quickly completed, the influence of inhom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changing over time can be minimized.

또한, 움직이는 상태일 때에도 임피던스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한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mpedance characteristics can be accurately measured even in a moving state, and the degree of noise caused by the movement can be quantified.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테스트 신호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시간 도메인에서의 임펄스 신호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 표면의 특성 분석 결과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전극 표면의 특성 분석 결과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한 정도를 분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the device 100 to determine imped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test signal in the frequency domain by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cquiring an impulse signal in the time domain by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obtaining a response size for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based on a response signal by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device 100 operat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graph comparing a result of characterization of the surface of an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result of characterization of the electrode surface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alyzing a degree of noise caused by motion by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have been selected as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 wealth", "… A term such as “module” refers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전해질(electrolyte)(200)에 부착된 제 1 전극(electrode)(10) 및 제 2 전극(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을 통해 전해질(200)에 대해 송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에 대한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evice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10 and a second electrode 20 attached to an electrolyte 200, and the first electrode 10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ment target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to and received from the electrolyte 200 through the second electrode 20 .

여기에서, 측정 대상은 전해질(200)에 부착된 전극과 전해질(2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며, 일 실시 예에서, 제 1 전극(10)과 전해질(200) 사이의 임피던스 특성, 예컨대, 제 1 전극(10)과 제 2 전극(20)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200)의 일면 또는 일부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measurement target represents an interface between an electrode attached to the electrolyte 200 and the electrolyte 200, and in one embodiment,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electrolyte 200, for example, the first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of one side or part of the electrolyte 200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may be shown.

일 실시 예에서, 전해질(200)은 배터리 모듈에 포함되는 전해질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유기용매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액체 전해질이거나, 고분자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일 수 있으나,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밖에도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전해질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은 배터리 모듈에 포함되어 전해질(200)에 담기는 두 개의 전극(예: 양극, 음극)에 대응할 수 있고, 또는, 전해질(200)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전극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들을 통해 결정되는 임피던스 특성은 배터리의 전극과 전해질 사이에서 발생하는 인터페이스 반응을 분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ectrolyte 200 may be an electrolyte included in a battery module, and may be, for example, a liquid electrolyte containing an organic solvent and a lithium salt, or a solid polymer electrolyte containing a polymer and a lithium salt. It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may be carried out through various other known electrolytes.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may correspond to two electrodes (eg, an anode and a cathode)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and dipped in the electrolyte 200, or the electrolyte ( 20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electrod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Impedance characteristics determined through these can be used to analyze the interface reaction occurring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of the battery.

다른 일 실시 예에서, 전해질(200)은 인체에 포함되는 전해질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하는 신체의 일부를 국부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은 측정 또는 분석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예: 심장, 안구, 근육 등) 부근의 피부 표면 상에 기설정 거리 이내로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부착될 수 있고, 피부용 전극(예: Ag/AgCl)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을 통해 결정되는 임피던스 특성은 심전도를 나타내는 ECG(electrocardiogram) 신호, 안구 전위도를 나타내는 EOG(electrooculogram) 신호, 근전도를 나타내는 EMG(electromyography) 신호 등 다양한 인체 신호의 특성을 측정하거나 분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lectrolyte 200 may be an electrolyte included in the human body, for example, it may mean a part of the body including sodium chloride (NaCl) locally.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are positioned adjacentl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skin surface near a body part (eg, heart, eyeball, muscle, etc.) to be measured or analyzed. It can be attached and implemented as an electrode for skin (eg Ag/AgCl). Impedance characteristics determined through these can be used to measure or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human body signals, such as an ECG (electrocardiogram) signal representing an electrocardiogram, an EOG (electrooculogram) signal representing an ocular electrogram, and an EMG (electromyography) signal representing an electromyogram. .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of a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by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스(110), 송신부(120) 및 수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device 100 may include a process 110 , a transmitter 120 and a receiver 130 .

단계 S310에서 프로세스(110)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테스트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스트 신호는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에너지 크기를 나타낸다. 또한, 관심 주파수 범위는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심 주파수 범위는 기설정 수 헤르츠(Hz)에서 수백 킬로헤르츠(kHz) 또는 수 메가헤르츠(MHz) 사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측정 대상이 피부인 경우에는 약 90kHz까지의 주파수 범위로 설정될 수 있고, 측정 대상이 리튬 이온 배터리인 경우에는 4Hz ~ 5MHz 주파수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수 메가헤르츠에서 수십 메가헤르츠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범위의 값이 이용될 수 있다.At step S310, process 110 may determine a test signal in the frequency domain. Here, the test signal represents an energy level for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lso,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represents a frequency range for which impedance characteristics are to be determined, and may be set by a user. In one embodiment,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may be between a preset number of hertz (Hz) and several hundred kilohertz (kHz) or several megahertz (MHz),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measurement target is the skin, It can be set to a frequency range of up to about 90 kHz, and if the measurement target is a lithium ion battery, it can be set to a frequency range of 4 Hz to 5 MHz, and in some cases, it can be set to a value between several megahertz and several tens of megahertz. A range of values may be used.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스(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관심 주파수 범위 및 에너지 크기를 각각 획득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테스트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스(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테스트 신호의 결정에 이용되는 함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함수에 대한 퓨리에(Fourier) 변환을 통하여 단위 주파수당 에너지의 분포를 결정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테스트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process 110 may obtain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nd an energy level, respectively, based on a user input, and determine a test signal representing an energy level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in the frequency domain. In another embodiment, process 110 obtains information about a function used to determine a test signal based on a user input, and calculates a distribution of energy per unit frequency through a Fourier transform of the obtained func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est signal in the frequency domain by determining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스(11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테스트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a)는 관심 주파수 범위가 0 이상 f0 이하이고 에너지 크기에 대응하는 PSD(power spectral density)의 크기가 E0 인 경우의 테스트 신호를 주파수(F)에 대한 X축 및 에너지(PSD)에 대한 Y축 상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관심 주파수 범위가 0 이상 f1 이하이고 PSD의 크기가 E1 인 경우의 테스트 신호를 주파수(F)에 대한 X축 및 에너지(PSD)에 대한 Y축 상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Process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a test signal in the frequency domain as shown in FIG. 4 . For example, FIG. 4(a) shows a test signal in the case where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0 and less than or equal to f 0 and the size of power spectral density (PS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energy is E 0 , and the X-axis and energy for frequency (F) It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n on the Y-axis for (PSD), and FIG. 4 (b) shows the test signal in the case where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is 0 or more and f 1 or less and the size of the PSD is E 1 as X for frequency (F). It is a conceptual diagram on the Y axis for Axis and Energy (PSD).

단계 S320에서 프로세스(110)는 테스트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내는 임펄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테스트 신호에 나타나는 관심 주파수 범위 및 에너지 크기로부터 관심 주파수 범위 내에 있는 주파수 성분을 가지고 있는 임펄스 신호의 파형 및 출력 전압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320, process 110 may obtain an impulse signal representing the test signal in the time domain. In an embodiment, the waveform of the impulse signal having a frequency component within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nd the magnitude of the output voltage may be determined from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nd the magnitude of energy appearing in the test signal.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스(110)는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시간 도메인에서 무한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임펄스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는 관심 주파수 범위가 무한대(예: 도 4(a)에서 f0 가 무한대인 경우)이고 PSD의 크기가 E0 인 테스트 신호로부터 결정되어 모든 주파수 성분을 다 가지고 있는 임펄스 신호를 시간(T)에 대한 X축 및 출력 전압의 크기(V)에 대한 Y축 상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수학식 1에 기초하여 단위 임펄스 함수인 δ(0) = ∞ (t0=0)에 대응하도록 임펄스 신호의 파형 및 출력 전압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process 110 may determine an impulse signal that outputs a voltage of infinite magnitude in the time domain, as shown in FIG. 5(a). For example, FIG. 5(a) shows an impulse having all frequency components determined from a test signal whos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is infinite (eg, when f 0 is infinite in FIG. 4(a)) and whose PSD size is E 0 . It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signal on the X-axis for time (T) and the Y-axis for the magnitude (V) of the output voltage, and based on Equation 1, the unit impulse function δ (0) = ∞ (t 0 = 0), the waveform of the impulse signal and the size of the output voltage may be determined.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21042803914-pat00001
Figure 112021042803914-pat00001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스(110)는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시간 도메인에서 유한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임펄스 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b)는 관심 주파수 범위가 0 이상 f1 이하이고 PSD의 크기가 E1 인 테스트 신호로부터 결정되어 0 이상 f1 이하의 유한한 주파수 성분을 가지고 있는 임펄스 신호를 시간(T)에 대한 X축 및 출력 전압의 크기(V)에 대한 Y축 상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프로세스(110)는 0 이상 f1 이하의 관심 주파수 범위 및 E1의 에너지 크기를 이용하여 임펄스 신호의 전압 크기(V1) 및 시간 폭을 결정하고, 예컨대, 관심 주파수의 최대값 (f1)에 따라 임펄스 신호의 시간 폭 (“t1 ~ (t1 + t0)” 또는 “-t0/2 ~ t0/2”)을 결정하고, 전압 크기 및 시간 폭에 따라 정해진 면적을 갖는 임펄스 신호의 파형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process 110 may determine an impulse signal that outputs a voltage of finite magnitude in the time domain, as shown in FIG. 5(b). For example, FIG. 5(b) shows an impulse signal having a finite frequency component of 0 or more f 1 or less determined from a test signal having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of 0 or more f 1 or less and a PSD size E 1 at a time (T) It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n on the X-axis for and the Y-axis for the magnitude (V) of the output voltage. That is, the process 110 determines the voltage magnitude (V 1 ) and time width of the impulse signal using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from 0 to less than f 1 and the energy magnitude of E 1 , for example, the maximum value of the frequency of interest (f 1 ), determine the time width (“t 1 ~ (t 1 + t 0 )” or “-t 0 /2 ~ t 0 /2”) of the impulse signal,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waveform of the impulse signal having

이처럼, 일 실시 예에 따른 임펄스 신호는 이론적으로 모든 주파수 성분을 다 가지고 있어 무한대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일반적인 임펄스 신호가 아닌, 측정하고자 하는 관심 주파수 영역 내 주파수 성분만 가지고 있어 유한한 크기(예: V1)의 전압을 출력하는 임펄스 신호를 나타낸다. 이론적으로 무한대의 크기를 갖는 임펄스 신호를 생성하고자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만들 수 있는 임펄스에는 한계가 있으며, 설계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관심 주파수 영역은 수백 킬로 내지 수 메가 헤르츠까지인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적인 주파수 성분을 갖는 임펄스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분석에 이용함으로써 비용 및 소요 시간 측면에서 현저하게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As such, the impulse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not a general impulse signal that theoretically has all frequency components and outputs an infinitely large voltage, but has only frequency components within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to be measured and has a finite size (e.g., It represents an impulse signal outputting a voltage of V 1 ). Even if you want to generate an impulse signal with an infinite size theoretically, there is a limit to the impulse that can be practically created, and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that designers want to measure is in most cases from hundreds of kilohertz to several megahertz, so the part to be measured By generating an impulse signal having a positive frequency component and using it for signal analysis,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in terms of cost and required time.

단계 S330에서 송신부(120)는 임펄스 신호를 전해질(200)에 부착된 제 1 전극(10)에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전극(10), 전해질(200) 및 제 2 전극(20)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커패시턴스 성분이 형성될 수 있고, 송신부(120)는 제 1 전극(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임펄스 신호를 AC 신호로서 제 1 전극(10)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 1 전극(10)에 출력된 임펄스 신호는 제 1 전극(10), 전해질(200) 및 제 2 전극(20)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턴스 성분들을 통과하며 출력 크기 및 파형이 변화하게 된다.In step S330, the transmitter 120 may apply an impulse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10 attached to the electrolyte 200. For example, a capacitance component may be formed at an interf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0, the electrolyte 20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and the transmission unit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0 and receives a user input. According to this, the impulse signal shown in FIG. 5 (b) can be output as an AC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impulse signal output to the first electrode 10 in this way can be output to the first electrode 10, electrolyte ( 20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the output size and waveform change.

일 실시 예에서, 송신부(120)는 기설정 파형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 발생기를 포함하고, 예컨대, 함수 발생기(Function generator)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120 includes a signal generator capable of generating a signal having a preset waveform,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for example, a function generator.

단계 S340에서 수신부(130)는 전해질(200)에 부착된 제 2 전극(20)에서 획득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부(130)는 제 2 전극(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1 전극(10)에 임펄스 신호가 출력된 이후로 기설정 시간 구간(예: 5초) 내에 제 2 전극(20)에서 응답 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시간 도메인에서의 응답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여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응답 크기는 테스트 신호와 비교하여 제 1 전극(10), 전해질(200) 및 제 2 전극(20)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턴스 성분들을 통과하며 진폭(Magnitude) 및 위상(Phase)이 변화될 수 있다.In step S340, the receiver 130 may obtain a response level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20 attached to the electrolyte 200. For example, the receiving unit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2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in a preset time interval (eg, 5 seconds) after the impulse signal is output to the first electrode 10. ), and converting the measured response signal in the time domain into the frequency domain to determine the response size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For example, compared to the test signal,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may change in amplitude and phase while passing through capacitance components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0, the electrolyte 20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

일 실시 예에서, 수신부(130)는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커패시턴스 성분들을 통과하며 변화된 응답 신호를 측정하고, 도 (b)에 도시된 것처럼 측정된 응답 신호에 대해서 기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퓨리에 변환 및 신호 분석을 수행하여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진폭(M) 및 위상(P)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ceiving unit 130 passes through the capacitance components as shown in FIG. 6(a) and measures a changed response signal, and as shown in FIG. A Fourier transform and signal analysis can b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mplitude (M) and phase (P)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일 실시 예에서, 수신부(130)는 시간에 따른 입력 신호의 변화를 측정하는 신호 측정기를 포함하고, 예컨대,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ceiver 130 includes a signal measurer that measures a change of an input signal over time,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for example, an oscilloscope.

단계 S350에서 프로세스(110)는 응답 크기에 기초하여 제 1 전극(10)과 전해질(200) 사이의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스(110)는 응답 크기로부터 결정되는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진폭(M) 및 위상(P)에 따라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크기를 결정하고, 예컨대, 주파수에 따른 커패시턴스 또는 리액턴스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S350 , the process 110 may determine impedan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electrolyte 200 based on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In one embodiment, process 110 determines a magnitude of impedance over frequency according to amplitude (M) and phase (P) for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determined from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e.g., magnitude of capacitance or reactance over frequency. can decide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스(110)는 응답 크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 1 함수를 결정하고, 제 1 함수 및 기설정 제 2 함수와의 비교 결과를 획득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주파수에 따른 커패시턴스, 리액턴스 및 레지스턴스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임펄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분석을 통해 시스템 함수로서 제 1 함수를 도출하고, 시스템 함수를 기저장된 이론적인 시스템 함수와 비교하여 제 1 전극(10) 내지 제 2 전극(0)의 접촉 저항과 접촉 커패시턴스를 추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 110 determines the first function through analysis of the magnitude of the response, obtains a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function and a preset second function, and calculates a capacitance according to frequency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 the magnitude of the reactance and resistance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a first function is derived as a system function through analysis of a response signal to an impulse signal, and the contact resistance of the first electrode 10 to the second electrode 0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ystem function with a previously stored theoretical system function. and contact capacitance can be extracted.

이에 따라, 프로세스(110)는 별도의 레퍼런스(Reference) 및 카운터(Counter) 전극 없이도 전극 표면의 특성을 빠르고 간편하게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배터리에 포함된 전극-전해질-전극과 같은 시스템에서뿐만 아니라 피부 상에서도 피부용 전극을 부착하여 간편하게 임피던스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cess 110 can quickly and simply quantitatively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de surface without a separate reference and counter electrode, and can be used not only in a system such as electrode-electrolyte-electrode included in a battery but also in the skin Impedance characteristics can be easily measured by attaching electrodes for skin on the top.

또한, 송신부(120)를 통해 제 1 전극(10), 전해질(200) 및 제 2 전극(20)에 대해서 한 쪽 전극으로 임펄스 신호를 보낸 후, 수신부(130)를 반대쪽 전극에서 임펄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전극의 전기적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sending an impulse signal to one electrode for the first electrode 10, the electrolyte 20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through the transmitter 120, the receiver 130 transmits the impulse signal from the opposite electrod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de can be extracted efficiently in terms of cost and time by measuring the response signal.

도 7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동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극 표면의 특성 분석 결과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전극 표면의 특성 분석 결과를 비교하는 그래프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perates, and FIG. 8 shows a characteristic analysis result of an electrode surfa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de surface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is is a graph comparing analysis results.

도 7을 참조하면, 송신부(120)는 함수 발생기로 구현되고, 수신부(130)는 오실로스코프로 구현되고,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함수 발생기의 출력 단자와 제 1 전극(10)을 연결하여 전극-전해질-전극 시스템의 한 쪽 전극으로 임펄스 신호를 보낸 후, 오실로스코프의 입력 단자와 제 2 전극(20)을 연결하여 전극-전해질-전극 시스템의 반대쪽 전극에서 임펄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측정된 응답 신호 및 이로부터 도출되는 관심 주파수 영역에 대한 응답 크기의 특성을 분석하여 전극 표면에 대한 임피던스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transmitter 120 may be implemented as a function generator, the receiver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oscilloscope, and the processor 11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the like. For example, after sending an impulse signal to one electrode of an electrode-electrolyte-electrode system by connecting the output terminal of the function generator and the first electrode 10, connecting the input terminal of the oscilloscope and the second electrode 20 to A response signal to the impulse signal may be measured at the opposite electrode of the electrolyte-electrode system, and the processor 110 analyzes the measured response sign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magnitude for the frequency region of interest derived therefrom to determine the response signal for the electrode surface. Impedance characteristics can be extracted.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분석 결과는 종래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EIS(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방법과 비교하여 10.7%의 오차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it can be seen that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shows an error rate of 10.7% compared to the conventionally commonly use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method.

구체적으로, 도 8(a)는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이 대표적인 피부용 전극으로 이용되는 Ag/AgCl인 경우, 종래 기술에 따라 분석된 주파수에 따른 진폭(Magnitude) 및 위상(Phase)의 크기를 각각 나타내는 제 1-1 그래프(811) 및 제 1-2 그래프(812)와, 디바이스(100)에 의해 분석된 주파수에 따른 진폭 및 위상의 크기를 각각 나타내는 제 2-1 그래프(821) 및 제 2-2 그래프(822)를 도시하고 있다.Specifically, FIG. 8(a) shows the amplitude and phas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z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are Ag/AgCl used as representative skin electrodes. The 1-1st graph 811 and the 1-2nd graph 812 respectively indicate the size of (Phase), and the 2-1st graph 811 and 2-1st graph 812 respectively indicate the size of the amplitude and phas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zed by the device 100. A graph 821 and a 2-2 graph 822 are shown.

또한, 도 8(b)는 제 1 전극(10) 및 제 2 전극(20)이 내식성 강철인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인 경우, 종래 기술에 따라 분석된 주파수에 따른 진폭 및 위상의 크기를 각각 나타내는 제 1-3 그래프(813) 및 제 1-4 그래프(814)와, 디바이스(100)에 의해 분석된 주파수에 따른 진폭 및 위상의 크기를 각각 나타내는 제 2-3 그래프(823) 및 제 2-4 그래프(824)를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FIG. 8(b) shows the magnitudes of the amplitude and phas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z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second electrode 20 are made of stainless steel, which is corrosion-resistant steel. 1-3 graphs 813 and 1-4 graphs 814 and 2-3 graphs 823 and 2 respectively show amplitude and phase amplitude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zed by the device 100. A -4 graph 824 is shown.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기존에 전극 표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EIS 기술과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매우 낮은 오차율을 보이며 상호 유사한 분석 결과를 도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S. 8(a) to 8(b), the EIS technology most commonly used to analyz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an existing electrode and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show a very low error rate and are similar to each other. It can be seen that the analysis results are derived.

일반적으로 EIS 기술은 상대적으로 측정 정확성이 높은 장점을 갖는 대신, 장비를 구현하기 위해 상당한 비용이 요구되고 그 측정 시간 또한 약 10분 이상 길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the EIS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relatively high measurement accuracy,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considerable cost is required to implement the equipment and the measurement time is also longer than about 10 minutes.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비용 측면에서 현저하게 효율적인 신호 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 장비를 이용하여 전극의 전기적 특성 분석 결과를 EIS 기술과 유사한 정확성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약 5초 이내에 신속하게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100 can implemen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analysis result of the electrode with an accuracy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EIS technology using a signal generator and oscilloscope equipment that are remarkably cost-effective, and about 5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measured quickly within seconds.

또한, 인체를 대상으로 측정을 하는 경우, 전술한 것처럼 신속하게 측정이 완료됨에 따라 인체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비-동질적(inhomogeneous) 특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measuring the human body, as described above, as the measurement is quickly completed,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influence of inhomogeneous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that change over time.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한 정도를 분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nalyzing a degree of noise caused by motion by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스(110)는 관심 주파수 범위 중 기설정 저주파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에 기초하여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한 정도를 나타내는 노이즈 정량화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임펄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획득 되면, 응답 신호를 기설정 주파수(예: 10Hz) 이하의 저주파 범위에서 분석하여 움직임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한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 process 110 may determine a noise quantification index indicating a degree of noise caused by motion based on a response level for a predetermined low frequency range among frequency ranges of interest. For example, when a response signal to the impulse signal is obtained, the degree of noise caused by motion may be quantified by analyzing the response signal in a low frequency range below a predetermined frequency (eg, 10 Hz).

도 9(a)는 전해질(200)이 정적 상태에 있을 때 제 2 전극(20)에서 획득되는 제 1 응답 신호(911) 및 전해질(200)이 동적 상태에 있을 때 제 2 전극(20)에서 획득되는 제 2 응답 신호(921) 각각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9(b)는 제 1 응답 신호(911) 및 제 2 응답 신호(921) 각각으로부터 분석되는 관심 주파수 영역에 대한 PSD의 크기를 나타내는 제 1 응답 크기(912) 및 제 2 응답 크기(922) 각각의 일 예를 나타낸다.9(a) shows the first response signal 911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20 when the electrolyte 200 is in a static state and the second electrode 20 when the electrolyte 200 is in a dynamic state. An example of each of the obtained second response signals 921 is shown, and FIG. 9(b) shows the size of the PSD for the frequency region of interest analyzed from each of the first response signal 911 and the second response signal 921. An example of each of the first response size 912 and the second response size 922 is shown.

구체적으로, 프로세스(110)는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전해질(200)이 정적 상태에 있을 때 제 1 전극(10)에 임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제 2 전극(20)에서 제 1 응답 신호(911)를 획득하고, 전해질(200)이 동적 상태에 있을 때 제 1 전극(10)에 임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제 2 전극(20)에서 제 2 응답 신호(921)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110)는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응답 신호(911) 및 제 2 응답 신호(921) 각각에 기초하여,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제 1 응답 크기(912) 및 제 2 응답 크기(922) 각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전술한 실시 예에 따라 제 1 응답 크기(912) 및 제 2 응답 크기(922) 각각을 분석해 관심 주파수 영역(예: 0~100Hz)에서 주파수에 따른 PSD 크기를 연산하여 제 1 응답 크기(912) 및 제 2 응답 크기(922)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 110 generates a first response signal from the second electrode 20 by applying an impulse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10 when the electrolyte 200 is in a static state, as shown in FIG. 9(a). 911 may be obtained, and the second response signal 921 may be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20 by applying an impulse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10 when the electrolyte 200 is in a dynamic state. In addition, the process 110 determines the first response magnitude 912 and the second response signal 912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based on the first response signal 911 and the second response signal 921,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9(b). Each of the two response magnitudes 922 may be obtained.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response magnitude 912 and the second response magnitude 922 is analyzed in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eg, 0 to 100 Hz). The first response size 912 and the second response size 922 may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PSD size according to the frequency.

프로세스(110)는 제 1 응답 크기(912) 및 제 2 응답 크기(922) 각각에 기초하여 전해질(200)이 정적 상태에 있을 때 제 1 전극(10) 및 전해질(200) 사이의 제 1 임피던스 특성 및 전해질(200)이 동적적 상태에 있을 때 제 1 전극(10) 및 전해질(200) 사이의 제 2 임피던스 특성을 각각 결정하고, 제 1 응답 크기(912)와 제 2 응답 크기(922) 간의 비교 결과 및 제 1 임피던스 특성과 제 2 임피던스 특성 간의 비교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 110 determines the first impedan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electrolyte 200 when the electrolyte 200 is in a static state based on the first response magnitude 912 and the second response magnitude 922, respectively. Characteristics and second impedanc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0 and the electrolyte 200 are determined respectively when the electrolyte 200 is in a dynamic state, and the first response magnitude 912 and the second response magnitude 922 Information including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mpedance characteristics and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first impedance characteristic and the second impedance characteristic may be output.

프로세스(110)는 저주파 범위에서 제 1 응답 크기(912) 및 제 2 응답 크기(922)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노이즈 정량화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가 주로 형성되는 10 Hz 이하의 주파수 범위를 저주파 범위로 결정하고, 10 Hz 이하에서 제 1 응답 크기(912) 및 제 2 응답 크기(922) 간의 신호 세기 비율 또는 제 1 응답 신호(911) 및 제 2 응답 신호(921) 간의 신호 세기 비율을 연산하여 노이즈 정량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Process 110 may determine a noise quantification factor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response magnitude 912 and the second response magnitude 922 in the low frequency range. For example, a frequency range of 10 Hz or less, in which motion-induced noise is mainly formed, is determined as a low frequency range, and a signal strength ratio between the first response magnitude 912 and the second response magnitude 922 or the first response magnitude 922 at 10 Hz or less A noise quantification index may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a signal intensity ratio between the signal 911 and the second response signal 921 .

일반적으로 움직임에 의한 잡음은 웨어러블 센서에서 생체 전기 신호의 측정을 방해하는 매우 치명적인 요소인 반면, 종래 기술은 장비 안에 측정 대상을 넣어 측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움직이는 대상을 측정할 수 없으며 전극의 성능에 따라 움직임에 의한 잡음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도 없는 한계도 있었다. In general, noise caused by movement is a very fatal factor that interferes with the measurement of bioelectrical signals in wearable sensors, whereas in the prior art, since the measurement object is put in the equipment and measured, the moving object cannot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there was also a limitation that the noise caused by motion could not be quantitatively analyzed.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측정 대상에 접촉하는 전극과 함수 발생기 및 오실로스코프 간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움직이는 환경에서 피부 위에 부착되는 전극과 피부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임펄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가 주로 형성되는 약 10 Hz 이하의 신호 세기 비율을 계산하여 움직임에 의한 잡음을 정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100 can measure impedance between an electrode attached to the skin and the skin in a moving environment by connecting an electrode contacting the measurement target, a function generator, and an oscilloscope with a wire. There is an effect of quantifying noise caused by motion by analyzing the response signal to the impulse signal and calculating the signal intensity ratio of about 10 Hz or less, where noise due to motion is mainly formed.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스(110)는 노이즈 정량화 지수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펄스 신호에 대하여 정적 상태와 동적 상태 각각에서 측정한 응답 신호를 비교하여 산출된 노이즈 정량화 지수가 설정값을 넘어서는 경우, 동적 상태에 따른 노이즈의 과다 발생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 또는 경고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정적 상태 또는 동적 상태가 결정되지 않은 전해질(200)에 대하여, 임펄스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저주파 범위(예: 0~10Hz)에서 분석하여 저주파 범위에서 PSD의 크기(예: 평균값, 최대값 등)와 기설정값(예: 3 V2/Hz) 간의 비교 결과(예: 비율)에 따라 노이즈 정량화 지수를 산출하고, 노이즈 정량화 지수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동적 상태에서 측정되어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가 상당량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 및 정적 상태에서 재측정을 권장하는 권장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 110 may output a warning message about generation of noise due to motion when the noise quantification index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For example, when the noise quantification index calculated by comparing response signals measured in each of the static state and the dynamic state with respect to the impulse signal exceeds a set value, a warning message or warning sound notifying excessive noise according to the dynamic state is generated. can be printed out. For another example, for the electrolyte 200 whose static or dynamic state is not determined, the response signal to the impulse signal is analyzed in a low frequency range (eg, 0 to 10 Hz), and the size of the PSD (eg, average value) in the low frequency range , maximum value, etc.) and the preset value (eg, 3 V 2 /Hz) to calculate the noise quantification index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eg ratio), and if the noise quantification inde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it is measured in a dynamic state A warning message notifying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noise has occurred due to motion and a recommendation message recommending re-measurement in a static state may be output.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전해질 종류 및 전극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해질 종류에 부여되는 제 1 가중치 및 전극 종류에 부여되는 제 2 가중치를 기설정된 기본값에 반영하여 상기 기설정값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노이즈 정량화 지수를 비교하여 메시지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해질(200)에 대응하는 전해질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제 1 가중치가 부여되고, 제 1 전극(10) 내지 제 2 전극(20)에 대응하는 전극 종류에 따라 상이한 제 2 가중치가 부여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해질 종류 및 전극 종류가 결정되면 각각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제 1 가중치 및 제 2 가중치를 가져와 제 1 가중치 및 제 2 가중치에 비례하도록 상기 기설정값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해질(200)이 사람의 피부인 경우가 배터리 전해질인 경우보다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제 1 전극(10) 내지 제 2 전극(20)이 피부용 전극인 경우가 배터리 전극인 경우보다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으며, 제 1 가중치가 제 2 가중치보다 클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10 may determine the preset value based on the type of electrolyte and the type of electrode. For example, the preset value may be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first weight assigned to the type of electrolyte and the second weight assigned to the type of electrode to the preset default value, and accordingly, whether to output a message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a noise quantification index. For example, a different first weight is given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lyte 200, and a different second weight is given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de 10 to the second electrode 20, , When the type of electrolyte and the type of electrod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e preset values may be updated in proportion to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by bringing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previously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electrolyte 200 is human skin may be given a higher weight than the case where the electrolyte 200 is a battery electrolyte, and the case where the first electrode 10 to the second electrode 20 is a skin electrode is a battery electrode. A higher weight may be assigned than the case of , and the first weight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weight.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송신기(120), 수신기(130) 및 그 밖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10 may perform a series of operations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central processor unit (CPU) that controls overall operations of the device 100, and may include a transmitter. 120, the receiver 130 and other component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trol data flow between them.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 송신기(120) 및 수신기(130) 각각은 독립적인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술한 것처럼 송신기(120) 및 수신기(130)는 각각 함수 발생기 및 오실로스코프로로 구현되고, 프로세서(110)는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등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의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통합된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processor 110, the transmitter 120, and the receiver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device.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er 120 and the receiver 130 are a function generator and an oscilloscope, respectively. , and the processor 11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desktop PC, tablet PC, or laptop PC.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ponents of the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tegrated device.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100)는 다른 디바이스에 임피던스 특성을 포함하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제 1 전극(10) 또는 제 2 전극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보조하는 케이블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 For example, the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to other devices, a cable for assis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the first electrode 10 or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like. .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storage media such as magnetic storage media (eg, ROM, RAM, USB,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optical reading media (eg, CD-ROM, DVD, etc.) do.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개시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100: 디바이스
110: 프로세서 120: 송신부
130: 수신부
10: 제 1 전극 20: 제 2 전극
200: 전해질
100: device
110: processor 120: transmitter
130: receiver
10: first electrode 20: second electrode
200: electrolyte

Claims (10)

임피던스 특성 결정 방법에 있어서,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테스트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내는 임펄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임펄스 신호를 전해질에 부착된 제 1 전극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해질에 부착된 제 2 전극에서 획득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해질 사이의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펄스 신호는 신호 발생기에 의해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고,
상기 응답 신호는 오실로스코프에 의해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임펄스 신호가 상기 제 1 전극을 통해 상기 전해질에 인가된 이후 기설정 시간 내에 상기 응답 신호가 상기 제 2 전극에서 획득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피부용 전극 또는 배터리 전극 중 하나로 결정되는, 방법.
In the impedance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method,
determining a test signal in the frequency domain representing an energy level for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cquiring an impulse signal representing the test signal in the time domain;
applying the impulse signal to a first electrode attached to an electrolyte;
obtaining a response magnitude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based on a response signal obtained from a second electrode attached to the electrolyte; and
Determining an impedance characteristi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based on the response magnitude; Including,
the impulse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by a signal generator;
the response signal is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by an oscilloscope;
The response signal is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impulse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lyte through the first electrode,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determined to be one of a skin electrode or a battery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is
A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n impedance magnitude as a function of frequenc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파수에 따른 커패시턴스 또는 리액턴스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is
and determining a magnitude of capacitance or reactance as a function of the frequenc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크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결정되는 제 1 함수 및 기설정 제 2 함수와의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에 따른 커패시턴스, 리액턴스 및 레지스턴스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is
obtaining a comparison result between a first function determined through analysis of the response size and a preset second function; and
And determining magnitudes of capacitance, reactance and resista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 중 기설정 저주파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에 기초하여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한 정도를 나타내는 노이즈 정량화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a noise quantification index indicating a degree of noise generated by motion based on a response magnitude for a preset low frequency range among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전해질이 정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전극에서 획득되는 제 1 응답 신호 및 상기 전해질이 동적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전극에서 획득되는 제 2 응답 신호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제 1 응답 크기 및 제 2 응답 크기 각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량화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주파 범위에서 상기 제 1 응답 크기 및 상기 제 2 응답 크기 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노이즈 정량화 지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정량화 지수는 전해질 종류 및 전극 종류에 기초하여 기설정값이 결정되고,
기저장된 제 1 가중치 및 제 2 가중치에 기초하여 비례 관계에 따라 갱신된 제 1 가중치가 상기 전해질 종류에 부여되고, 갱신된 제 2 가중치가 상기 전극 종류에 부여되고,
상기 전해질 종류가 사람에 대응되는 경우 배터리에 대응되는 경우보다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고,
상기 제 1 가중치의 크기가 상기 제 2 가중치의 크기보다 큰, 방법.
According to claim 5,
Obtaining a response magnitude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Based on each of the first response signal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when the electrolyte is in a static state and the second response signal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when the electrolyte is in a dynamic state, Obtaining each of the first response size and the second response size;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quantification index is
Determining the noise quantification index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first response magnitude and the second response magnitude in the low frequency range;
The noise quantification index is determined based on the type of electrolyte and the type of electrode,
Based on the pre-stored first weight and second weight, a first weight updated according to a proportional relationship is assigned to the electrolyte type, and an updated second weight is assigned to the electrode type,
When the electrolyte type corresponds to a person, a higher weight is given than when it corresponds to a battery,
wherein the magnitude of the first weight is greater tha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weigh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정량화 지수가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움직임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정량화 지수는 상기 기설정값과 10HZ이하 범위에서의 PSD(power spectral density)의 평균값 또는 최대값의 신호 세기 비율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는
정적 상태에서의 재측정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5,
When the noise quantification index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outputting a message warning of the occurrence of noise due to the motion;
The noise quantification index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gnal intensity ratio of the preset value and the average value or maximum value of power spectral density (PSD) in the range of 10 HZ or less,
Outputting the warning message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a remeasurement request message in a static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는
기설정 수 헤르츠(Hz)에서 수백 킬로헤르츠(kHz) 또는 수 메가헤르츠(MHz) 사이인,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is
between a predetermined number of hertz (Hz) and hundreds of kilohertz (kHz) or several megahertz (MHz).
삭제delete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테스트 신호를 시간 도메인에서 나타내는 임펄스 신호를 전해질에 부착된 제 1 전극으로 출력하는 송신부;
상기 전해질에 부착된 제 2 전극에서 획득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응답 크기를 획득하는 수신부; 및
상기 관심 주파수 범위에 대한 에너지 크기를 나타내는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상기 테스트 신호를 결정하고, 상기 응답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전해질 사이의 임피던스 특성을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임펄스 신호는 신호 발생기에 의해 상기 제 1 전극에 인가되고,
상기 응답 신호는 오실로스코프에 의해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임펄스 신호가 상기 제 1 전극을 통해 상기 전해질에 인가된 이후 기설정 시간 내에 상기 응답 신호가 상기 제 2 전극에서 획득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피부용 전극 또는 배터리 전극 중 하나로 결정되는, 디바이스.
In the device for determining the impedance characteristics,
a transmitter for outputting an impulse signal representing the test signal in the time domain to a first electrode attached to the electrolyte;
a receiver for obtaining a response level for a frequency range of interest based on a response signal obtained from a second electrode attached to the electrolyte; and
A processor for determining the test signal in a frequency domain representing an energy level for the frequency range of interest and determining an impedance characteristic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based on the response level;
the impulse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by a signal generator;
the response signal is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by an oscilloscope;
The response signal is obtained from the second electrod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impulse signal is applied to the electrolyte through the first electrode,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determined as one of a skin electrode or a battery electrode.
KR1020210047638A 2021-04-13 2021-04-13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KR1024965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38A KR102496569B1 (en) 2021-04-13 2021-04-13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PCT/KR2021/007758 WO2022220335A1 (en) 2021-04-13 2021-06-21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38A KR102496569B1 (en) 2021-04-13 2021-04-13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71A KR20220141471A (en) 2022-10-20
KR102496569B1 true KR102496569B1 (en) 2023-02-06

Family

ID=8364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638A KR102496569B1 (en) 2021-04-13 2021-04-13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6569B1 (en)
WO (1) WO2022220335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9865A (en) * 2009-10-29 201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Frequency characteristic evaluating device, tdr waveform measuring instrument, and program for frequency characteristic evalu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6543B2 (en) * 2012-06-08 2018-12-18 Medtronic Minimed, Inc. Application of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in sensor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101355560B1 (en) * 2012-06-29 2014-01-27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interference conductor of multiconductor cable
KR20140085802A (en) * 2012-12-27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impedance for state diagnosis of fuel cell stack
JP6226261B2 (en) * 2012-12-27 2017-11-08 学校法人早稲田大学 Electrochemical system
KR101386344B1 (en) * 2013-05-10 2014-04-1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real-time monitoring device of fourier transform electrochemical impedance and method.
KR101759532B1 (en) * 2015-11-05 2017-07-19 주식회사 에스피엠 A method for estimating an internal impedance of a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9865A (en) * 2009-10-29 2010-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Frequency characteristic evaluating device, tdr waveform measuring instrument, and program for frequency characteristic evalu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71A (en) 2022-10-20
WO2022220335A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1005B2 (en) System for continuous cardiac pathology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US90429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quality
US20150080752A1 (en) Device for automatic mapping of complex fractionated atrial electrogram
KR102008196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of Potassium level determination model using ECG and method thereof
JP4881574B2 (en) Acupuncture point evaluation device
US20140207017A1 (en) Signal quality monitor for electromyographic sensors
CN1029491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electric signals
US20060173373A1 (en) Bio 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099614A (en) Accurate time annotation of intracardiac ECG signals
CN10330084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reshold for detecting peaks of physiological signals
CN111166306A (en) Physiological signal acquisition metho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9091142B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detecting muscle endogenous fatigue
Karlsson et al. A personal computer-based system for real-time analysis of surface EMG signals during static and dynamic contractions
KR20140089897A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bio signal with low power
KR102496569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impedance characteristics
Fraser et al. Biosignal quality analysis of surface EMG us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for normality
IL109721A (en) Analysis of heart wave forms
US8086303B2 (en) Cardiac arrhythmias analysis of electrophysiological signals based on symbolic dynamics
Altay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electrodes to estimate accuracy in recording long-term ECG signal parameters
CN106108885B (en) Method and instrument for evaluating body motion state and electrocardio interference
US20100312125A1 (en) System for Cardiac Pathology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Gan et al. A new method to reduce motion artifact in electrocardiogram based on an innovative skin-electrode impedance model
Olarte et al. Measurement and characterization of glucose in NaCl aqueous solutions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CN113679369B (en) Evaluation method of heart rate variability, intelligent wearable device and storage medium
JPWO2016039182A1 (en) Heart rate detection method and heart rate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