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247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QoE i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QoE i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247B1
KR102491247B1 KR1020160049605A KR20160049605A KR102491247B1 KR 102491247 B1 KR102491247 B1 KR 102491247B1 KR 1020160049605 A KR1020160049605 A KR 1020160049605A KR 20160049605 A KR20160049605 A KR 20160049605A KR 102491247 B1 KR102491247 B1 KR 10249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acket
auxiliary information
informa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0972A (en
Inventor
이종민
서덕영
조용우
조복연
허윤석
박수경
김태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247B1/en
Publication of KR2017012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2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5Shortest path evaluation based on throughput or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02Route determination based on requeste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중간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현재 서비스 환경에 부합하는 컨텐츠의 패킷을 수신하여 재생하면서, 단말장치의 연산 능력과 단말장치와 컨텐츠 제공 장치 간의 네트워크 전송 능력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로 보조 정보 생성, FEC 패킷 생성, 필터링 등의 다양한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요청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일시적인 끊김 현상이 없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in the middle of a network and an apparatus for the same, wherein a terminal apparatus receives and reproduces packets of contents suitable for a current service environment in a streaming manner from a contents providing apparatus, and the computing capability of the terminal apparatus By measuring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requesting various operations such as generating auxiliary information, generating FEC packets, filtering, etc.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and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according to the request, Conten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without a temporary interruption caused by a change in the service environment.

Description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품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QoE in Real-time Multimedia Service}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QoE i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on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중간에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기반으로 보조 정보를 만들거나 FEC 패킷 생성, 또는 필터링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컨텐츠의 해상도 및 품질을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컨텐츠를 끊김 없이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on a network and an apparatus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by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such as creating auxiliary information based on a real-time streaming service in the middle of a network, generating an FEC packet, or filtering,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efficiently changing the resolution and quality of content and providing content seamlessly.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part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prior art.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 방식 중 하나로, 음성 및 영상의 컨텐츠를 재생 또는 소비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대화형 서비스, 인터랙티브 서비스, 스트리밍 서비스로 나눌 수 있고, 이 중 스트리밍 서비스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부 다운로드 하지 않고, 현재 재생하려고 하는 일부 데이터만 수신되면 즉시 실시간으로 재생이 가능하다.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is one of multimedia data transmission methods, and refers to a method of reproducing or consuming audio and video content. These real-time multimedia services can be divided into interactive services, interactive services, and streaming services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Among them, the streaming service does not download all of the large-capacity multimedia data, and when only some of the data to be played is received, real-time can be played with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로 인하여, 생중계, 생방송과 같은 라이브 방송 서비스에서는 기존의 다운로드 형태에 비해 실시간성을 더욱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Due to such a streaming service, real-time performance can be further guaranteed in a live broadcasting service such as live broadcasting or live broadcasting, compared to a conventional download type.

그런데, 컨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은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도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VoD 형태로 재생하는 경우와 같이 고화질의 컨텐츠를 끊김 없이 안정되게 제공받기를 원하지만, 고화질의 컨텐츠를 끊김 없이 제공받기 위해서는 고화질의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율이 충분해야 하며, 가용 비트율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 고화질의 컨텐츠를 끊김 없이 제공하는데 한계가 발생한다.However, consumers who consume content want to receive high-definition content stably and without interruption, as in the case of downloading content from a streaming service and playing it in the form of VoD. The available bit rate of the network for transmitting must be sufficient, and if the available bit rate is not sufficient, there is a limit to providing high-definition content without interruption.

이는 상기와 같이 충분하지 못한 가용 비트율 또는 혼잡으로 인하여 전송 패킷이 손실되고 결과적으로 서비스 컨텐츠의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This results in loss of transport packets due to insufficient available bit rate or congestion,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service contents.

또한,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율이 고화질의 컨텐츠를 전송하기에는 낮으나 저화질의 컨텐츠를 전송하기에는 높은 경우, 혹은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가용 비트율의 변동이 심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는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저화질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되며, 이는 가용 비트율을 전부 사용하지 못하여 대역폭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vailable bit rate of the network is low enough to transmit high-quality content but high enough to transmit low-quality content, or when the available bit rate fluctuates greatly depending on the network situatio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provides low-quality content to provide stable service. It is transmitted to the user, which causes a waste of bandwidth because the available bit rate cannot be fully used.

그 외에도 컨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들과 컨텐츠 제공 장치를 연결해주는 통신 네트워크가 끊겨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또는 특정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급격히 많아져서 컨텐츠 제공 장치의 로드율이 증가하고 부하율이 높아짐으로써 속도가 저하되는 경우 등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at connects consumers consuming content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s disconnected and the service cannot be stably provided, or when the traffic for a specific service increases rapidly, the load rate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ncreases and the load rate increases. There is a case where the speed de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

따라서, 이런 다양한 문제점들을 네트워크 중간에서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사용자의 QoE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methods capable of improving the user's QoE by adaptively responding to these various problems in the middle of the network.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5663호 (명칭: 저지연 서비스를 위한 MMT 장치 및 방법, 공개일: 2016.01.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05663 (Name: MMT device and method for low-latency service, publication date: 2016.01.15)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보조 정보의 선별적 추가 전송, 우선 순위에 따른 기본 패킷 제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가용 비트율을 최대한 사용하거나 서비스 도중 연결이 실패한 경우, 다중 경로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 또는 특정 서비스의 트래픽이 급격히 많아져 서버의 로드율 및 부하율이 높아져 속도가 저하되는 경우, 서버 분산 처리 즉, 로드 밸런싱을 통해 효율을 높이는 기능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QoE 증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atisfy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uses the maximum available bit rate of the network by using selective additional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and basic packet control according to priority, or multipath when connection fails during service. When the server load rate and load rate increase due to a rapid increase in traffic of a specific service and the server speed decreases, various methods such as a function to increase efficiency through server distributed processing, that is, load balancing, are provide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user QoE increas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service quality by using the.

특히, 단말장치가 단말장치의 연산능력과 단말장치와 컨텐츠 제공 장치 간의 네트워크 전송 능력에 따라 컨텐츠의 해상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제공된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서비스 중인 컨텐츠의 해상도를 향상시키며, 컨텐츠 수신에 있어서 끊김 없으면서, 사용자에게 고 해상도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해상도 증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particular, the terminal device requests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terminal device's computing capability and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uses the auxiliary information provided according to the request to provide current ser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content that can provide high-resolution content to a user while improving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being played and without interruption in receiving the content.

또한, 본 발명에서 명명하고 있는 컨텐츠 제공 장치는 기본 패킷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최초로 보유하고 있는 메인 서버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중간에 존재하는 하나의 엔터티일 수 있다. 이 엔터티는 MMT MANE가 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CDN 등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ent providing device nam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ntity existing in the middle of a network as well as a main server initially holding content composed of basic packets. This entity could be an MMT MANE, it could be a cloud, a CDN, etc.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품질을 제어 방법은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의 기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에서의 패킷 처리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패킷 처리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에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따라,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변경된 기본 패킷을 수신하거나 상기 기본 패킷과 함께 보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변경 기본 패킷 또는 기본 패킷과 보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on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a multimedia service in a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and plays content in a streaming manner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 basic packet of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n a streaming manner; measuring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n a streaming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content is received and reproduc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the measure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f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ransmitting a feedback message including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for controlling service quality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receiving a changed basic packe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or The method may include receiving auxiliary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basic packet and reproducing the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changed basic packet or basic packet and auxiliary information.

이때, 상기 요청 상세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해상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컨텐츠의 시점(視)을 늘리기 위한 보조 정보 전송 요청,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일정 데이터 영역을 제외하고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일정 데이터 비 전송 요청, 컨텐츠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필터링 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필터링 요청, 기 수행중인 특정 기능을 정지하도록 요청하는 기능 정지 요청 및 비트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오류 검출 패킷 전송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따라 보조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본 패킷에 상기 보조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컨텐츠의 해상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컨텐츠의 시점을 늘려 재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패킷 처리 능력을 고려하여, 공간적 해상도 증가를 위한 제1 보조 정보 및 시간적 해상도 증가를 위한 제2 보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정보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includes a request to transmit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or increasing the viewpoint of the content, a request for non-transmission of certain data requesting transmission except for a certain data area of the multimedia content, and content Among one or more frame types constituting , a filtering request requesting filtering and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frame type, a function stop request requesting stopping a specific function already being performed, and an error detection packet transmission request for correcting a bit err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and the reproducing may, when auxiliary information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combine the auxiliary information with the basic packet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or increase the time of the content. The transmitting may request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the spatial resolution and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the temporal resolu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easure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A feedback message containing request details may be sent.

또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보조 정보를 이용한 보간법(interpolation)을 통해 상기 컨텐츠의 공간적 해상도를 증가시켜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의 기본 패킷과 제2 보조 정보를 시간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컨텐츠의 시간적 해상도를 증가시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정된 패킷 처리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기본 패킷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패킷 ID, 요청 수행 여부 정보 및 요청 수행 시작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producing step may include, when the first auxiliary information is received, reproducing by increasing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content through interpolation using the first auxiliary information, and when receiving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and reproducing a temporal resolution of the content by temporally combining a basic packet of the content and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and if the measure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does not satisfy a preset condition, the recep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producing content based on one basic packet, and the feedback messag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packet ID, request execution information, and request execution start time information.

또한, 상기 패킷은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최소 디코딩 단위인 적어도 하나의 MFU(Media Fragment Unit)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MF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MPU(Media Processing Unit)로 구성되는 MMT(MPEG Media Transport) 패킷일 수 있고, 상기 재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측정된 패킷 처리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따른 패킷 전송 중단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패킷 처리 능력은 상기 단말장치의 연산능력 및 상기 단말장치와 컨텐츠 제공 장치 간의 네트워크 전송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cke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Media Fragment Unit (MFU), which is the minimum decoding unit included in the payload of the packet, or at least one Media Processing Unit (MPU) including the at least one MFU. Media Transport) packet, and if the measure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does not satisfy a preset condition after the reproducing step, the step of requesting to stop transmission of the packet according to th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rithmetic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또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연산능력과 기본 패킷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연산능력의 차이가 상기 보조 정보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연산능력보다 큰 경우인 제1 조건 및 상기 측정된 네트워크 전송 능력과 기본 컨텐츠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전송 능력의 차이가 상기 보조 정보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전송 능력보다 큰 경우인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정보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questing step may include a first condition in which a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computing power and the computing power required to process the basic packet is greater than the computing power required to process the auxiliary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and basic content When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ditions, which is a case in which a difference in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required to transmit is greater than a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required to transmit the auxiliary information, is satisfied, the transmission of the auxiliary information may be requested.

한편, 상술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제공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may be provid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and is implemented to execute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t may also be provided as a stored computer program.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면서, 상기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통신망과 연동되어 컨텐츠 재생 장치와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의 기본 패킷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에서의 패킷 처리 능력을 측정하여, 상기 패킷 처리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따른 컨텐츠의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 상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erminal device that controls the service quality of the content while receiving and playing content through a streaming service. By measuring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n a streaming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a basic packet of the content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ent is received and reproduc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n a streaming manner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When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a feedback message including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for controlling service quality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when a packet of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is received, the request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the content based on detailed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현재 서비스 환경에 부합하는 컨텐츠의 패킷을 수신하여 재생하면서, 단말장치의 연산 능력과 단말장치와 컨텐츠 제공 장치 간의 네트워크 전송 능력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로 보조 정보 생성, FEC 패킷 생성, 필터링 등의 다양한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요청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일시적인 끊김 현상이 없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 terminal device receives and reproduces packet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rvice environment in a streaming manner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measuring the computing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requests various operations such as auxiliary information generation, FEC packet generation, and filtering, and performs various operations according to the request,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content without temporary interruption due to changes in the service environment. can provide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ffects other than the above effects may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detailed descrip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T 패킷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 내지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implementing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MMT p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owev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drawings as much as possible.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mmon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for explaining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o limit the components. Not used. For example,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and similarly,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ing"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th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lso, "a or an", "one", "the" and similar related words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claims below) Unless indicated or otherwise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can be used.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terms, specific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these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readable media having or convey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stored thereon. Such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By way of example, such computer readable media may be in the form of RAM, ROM, 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agnetic disk storage or other magnetic storage, or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physical storage media such as, but not limited to, any other medium that can be used to store or convey any program code means in a computer system and which can be accessed by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

이하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에 따른 패킷 전송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적인 배경은 MMT(MPEG Media Transport) 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claims, the technical background for implementing the packet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MMT (MPEG Media Transport) is used.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의 MANE(MMT Aware Network Entity)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패킷은 MMT 패킷이 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ANE (MMT Aware Network Entity) of MMTP (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and the packe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MMT packet. It can be.

한편, 이러한 MMT 패킷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Meanwhi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such an MMT packet will be described later.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편의상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MMT 기술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MT technology.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n,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밍 서비스, 즉,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controlling service quality in a streaming service, that is,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은 단말장치(200) 및 컨텐츠 제공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통신망(100)을 통해서 연동된다.Referring to FIG. 1 , a system for controlling service quality in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device 200 and a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nd the terminal device 200 )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re link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그러면 도1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n, with reference to FIG. 1, each component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먼저, 통신망(100)은 단말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서버(300)간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serves to transmit data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300, and depending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Ethernet, xDSL (ADSL, VDSL), HFC (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 (Fiber to The Curb), FTTH (Fiber To The Home), etc.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 communication methods, other widely known or future It can include all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o be developed.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10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The terminal device 200 refers to a user's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types of data with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이러한 단말장치(200)는 통신망(100)을 통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송수신 및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장치(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장치(2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200)로 이용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200 can perform voice 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protocol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processing data, and a microprocessor for calculating and controlling various programs by executing them. etc.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200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n MP3 player. Of course, a fixed terminal such as a smart TV, a laptop computer, or a desktop computer may be used, and any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as a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 컨텐츠 전송 요청을 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quest content transmission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ccording to a user's input and receive the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in a streaming manner.

이 때, 컨텐츠는 패킷 단위로 수신할 수 있으며, 패킷은 MMT 패킷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may be received in units of packets, and the packets may be MMT packets.

한편,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 데이터의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terminal device 200 may receive a packet of content data requested by the user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이때, 단말장치(200)의 연산 능력 또는 단말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0)간의 네트워크 전송 능력 등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체감하는 서비스 품질, 즉, QoE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하는 패킷을 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experienced by the user in a streaming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content is received and play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such as the computing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200 or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In order to increase quality, that is, QoE, there is a need to adjust packet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

한 가지 대표적인 예시로서, 패킷 처리 능력이 고해상도의 컨텐츠를 그대로 전송 받기 어려운 경우, 즉, 고해상도의 컨텐츠를 전송 받으려면 일시적인 끊김 현상이 다수 발생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저해상도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끊김 없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저해상도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중에 다시 네트워크 전송 능력 또는 단말장치(200)의 연산 능력 등의 패킷 처리 능력이 좋아져, 고해상도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일시적인 끊김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끊김 현상을 발생하지 않기 위해 저해상도의 컨텐츠를 지속하여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 전송 능력의 낭비가 발생함과 함께, 사용자는 고해상도의 컨텐츠를 수신하지 못하여, 사용자의 QoE(Quality of Experience)가 하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s one representative example, when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s difficult to receive high-resolution content as it is, that is, when a number of temporary interruptions occur to receive high-resolution content, low-resolution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 To provide content to the user without interruption, in the case of transmitting high-resolution content becaus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or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such as computing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200 improves again while transmitting low-resolution content, temporary A disconnection phenomenon occurs, and when low-resolution content is continuously transmitted in order not to cause a disconnection phenomenon, a waste of network transmission capacity occurs and the user cannot receive high-resolution content, and the user's QoE (Quality of Experience) is declining.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HD 급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전송하기는 어려운 환경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단말장치(200)로 SD급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전송하는데, 다시 컨텐츠 전송 환경이 호전된 경우, HD급 컨텐츠를 전송하면, 일시적인 끊김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SD급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계속 전송하면 네트워크 전송 능력의 낭비와 함께, 사용자는 HD급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in an environment where it is difficult to transmit content with HD resolutio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ransmits content with SD resolution to the terminal device 200. In the case of improvement, when HD-level content is transmitted, a temporary disconnection occurs, and when content with SD-level resolution is continuously transmitted, network transmission capacity is wasted and the user cannot receive HD-level content. is to do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말장치(200)는 단말장치(200)의 연산능력과 네트워크 전송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킷 처리 능력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결과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비스 품질을 제어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rminal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uting capability and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measured result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If satisfied, a feedback message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requested for controlling the QoS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o control the QoS.

상술한 예시에 있어서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보조 정보 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요청에 따른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e above example, when a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is requested to transmit auxiliary information and the auxili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is received, the content resolution can be increased using the auxiliary information.

즉, SD급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던 단말장치(200)가 전송환경이 호전되었음을 인지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보조 정보 전송을 요청하여 수신하고, 상기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SD급 컨텐츠를 HD급 컨텐츠로 해상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terminal device 200 receiving SD-level content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transmission environment has improved, it requests and receives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nd uses the auxiliary information to transmit the SD-level content. It is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content to HD level content.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단말장치(200)는 기존에 수신하던 SD급 해상도의 컨텐츠를 지속하여 받아, HD급 컨텐츠로 교체하여 수신하는 경우 발생하는 끊김 현상을 해결하면서도 사용자에게 HD급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QoE를 높일 수 있다.Through this method, the terminal device 200 can provide HD-level content to the user while solving the disconnection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previously received content of SD-level resolution is continuously received and replaced with HD-level content.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QoE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만약, 측정된 결과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보조 정보 전송을 요청 등의 요청 상세 정보가 포함된 피드백 메시지 내의 정보를 통해 요청을 중단하여, 저해상도의 컨텐츠(상술한 예에서는 SD급 해상도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If the measured result does not satisfy the preset condition, the request is stopped through the information in the feedback message including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such a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and the low-resolution content (SD-class resolution in the above example) content) to the user.

이러한 단말장치(200)의 컨텐츠 해상도 증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A detailed method for increasing the content resolu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단말장치(200)의 연산 능력과 단말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0) 간의 네트워크 전송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킷 처리 능력은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에서의 패킷 처리 능력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uting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receives and reproduces content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It may refer to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n a streaming service environment.

즉, 단말장치(200)가 컨텐츠를 요청하여, 해당 컨텐츠를 패킷 단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까지의 전 과정에 있어서의 패킷 처리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패킷 처리 능력에는 대표적으로 단말장치(200)의 연산 능력과 단말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0) 간의 네트워크 전송 능력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t means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n the entire process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requesting the content, receiving the content in packet units,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 of computing power and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may be included.

마지막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한 동영상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통신망(100)을 통해서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Finally,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is used to transmit content data such as videos stored i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or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o the terminal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It is a device.

본 발명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단말장치(200)가 보조 정보 전송 요청 등의 요청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따른 컨텐츠의 패킷(일 예로, 상세 요청 정보에 따른 보조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장치(200)에 전송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when the terminal device 200 transmits a feedback message including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such a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a packet of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for exampl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Auxiliary information according to)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200.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또한 후술하도록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also be described later.

한편,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단말장치(200)에 패킷 단위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패킷은 상술한 바와 같이 MMT 패킷일 수 있다.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ransmits content data in packet units to the terminal device 20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et may be an MMT packet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300)가 단말장치(200)에 전송하는 MMT 패킷의 구조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refore, 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an MMT packet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o the terminal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2를 참조하면, MMT 패키지(10)는 MMT 기능 영역에서 정의하는 데이터 모델 중 논리적으로 구조화된 가장 큰 MMT 개체(entity)로서 영화 한편과 같은 하나의 독립적인 컨텐츠를 의미한다. 동영상 등의 스트리밍 컨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이러한 MMT 패키지를 생성하여 단말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는데, MMT 패키지(10)는 여러 개체들의 모음으로 구성되는 논리적으로 구조화된 컬렉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MMT 패키지(10)는 하나 이상의 애셋(20), 프리젠테이션 정보(11), 트랜스포트 특성(13) 및 설명적인(descriptive) 정보, 예컨대, 패키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MMT package 10 is the largest logically structured MMT entity among the data models defined in the MMT functional domain, and means one independent content such as a movi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hat provides a streaming content providing service such as a video may generate such an MMT package and provide it to the terminal device 200. The MMT package 10 is logically structured consisting of a collection of various entities. can be a collection of Such an MMT package 10 may include one or more assets 20, presentation information 11, transport characteristics 13, and descriptive information, for example, package information.

이 중, 프리젠테이션 정보(Presentation Information, 11)은 복수의 애셋(20)들 사이의 관계(relationship), 즉 공간적 및 시간적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하나의 컨텐츠(content)가 복수개의 MMT 패키지로 이루어질 경우 복수의 MMT 패키지간의 관계(relationship)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젠테이션 정보(11)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와 구성 정보(Composition Information) 도큐먼트들의 조합이 프리젠테이션 정보(11)의 예라 할 수 있다. Among them, the presenta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Information, 11)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urality of assets 20, that is,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hips, and one content includes a plurality of MMT packages. When made of , information for indic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MMT packages may be further included. The presentation information 11 may be a combination of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and composition information documents as an example of the presentation information 11 .

트랜스포트 특성(ADC; Asset Delivery Characteristics, 13)은 애셋(20)의 전달을 위한 QoS(Quality of Service) 요구 및 통계를 나타낸다. 복수의 애셋(20)은 하나의 트랜스포트 특성(13)에 관련될 수 있다. 이때의 트랜스포트 특성(전송 특성)(13)은 애셋(20)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패키지를 캡슐화하는 개체에 의해 MMT 페이로드 및 MMT 프로토콜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트 특성(13)은 MMT 애셋(20) 또는 MMT 패킷의 전달 조건(delivery condition)을 결정하기 위해 필요한 전달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래픽 기술 파라미터(traffic description parameter) 및 QoS 기술자(QoS 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 특성 정보는 통신망 환경에 무관한 파라미터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Transport characteristics (ADC; Asset Delivery Characteristics, 13) represent QoS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and statistics for delivery of the asset 20. A plurality of assets 20 may be related to one transport characteristic 13 . At this time, the transport characteristics (transport characteristics) 13 may be used to set parameters of the MMT payload and MMT protocol by an entity that encapsulates the package for effective delivery of the asset 20 . In addition, the transport characteristics 13 may include delivery characteristic information required to determine delivery conditions of the MMT asset 20 or the MMT packet, for example, traffic description parameters and QoS. A descriptor (QoS descriptor) may be included. This transf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parameters irrelevant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애셋(20)은 타임드 또는 넌 타임드 성질을 가진 오디오, 비디오 또는 웹페이지 데이터와 같은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터를 캡슐화하는 패키지의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큰 논리적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애셋(20)은 동일한 전달 특성으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개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MMT 패키지(10)는 MMT 기능 영역에서 정의하는 데이터 모델 중 가장 큰 개체(entity)로서 영화 한편과 같은 하나의 독립적인 컨텐츠를 의미한다면, 애셋(20)은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스크립트 데이터와 같은 MMT 패키지(10)를 구성하는 데이터 단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애셋(20)은 동일한 애셋 ID를 공유하는 MPU들을 논리적으로 그룹화하게 된다.The asset 20 refers to an element of a package that encapsulates encoded media data such as audio, video, or web page data having timed or non-timed properties, and refers to the largest logical data unit. These assets 20 refer to data entities that include data with the same transfer characteristics. For example, if the MMT package 10 is the largest entity among the data models defined in the MMT functional area and means one independent content such as a movie, the asset 20 is audio data, video data, and script data. It means a data unit constituting the MMT package 10 such as These assets 20 logically group MPUs sharing the same asset ID.

아울러, 본 발명의 MMT 패킷은 실질적으로는 MMT 패킷 헤더와 MMT 페이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MT p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ctually include an MMT packet header and an MMT payload.

그러면 이제 본격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3 내지 도8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The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method will be reviewed through FIGS. 3 to 8.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3은 단말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4는 단말장치(200)가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5는 단말장치(200)가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 전송하는 보조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 구문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200, and FIG. 4 is the terminal device 20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service of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and FIG. 5 describes an embodiment of the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syntax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It is a drawing for

또한, 도6은 단말장치(200)가 컨텐츠의 해상도 증가를 위한 보조 정보 생성을 요청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erminal device 200 requests generation of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content.

도3을 살펴보면, 단말장치(200)는 통신모듈(210), 저장모듈(230) 및 제어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terminal device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210 , a storage module 230 and a control module 250 .

통신모듈(210)은 통신망(100)을 통해 컨텐츠 제공 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모듈(210)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른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아울러, 보조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따른 보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10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quests the provision of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provid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and receive auxiliary information accordingly.

저장모듈(230)은 통신모듈(210)을 통해 수신한 컨텐츠 또는 보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230 may store content or auxiliary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

한편, 도3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저장모듈(230)은 상기 수신한 컨텐츠 또는 보조 정보 등의 패킷을 일정 시간 동안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FIG. 3 , the storage module 230 may include a buffer (not shown) for temporarily storing packets such as the received content or auxiliary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어모듈(250)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동작과정 전반을 제어하는 장치이다.The control module 250 is a device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process of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제어모듈(250)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장치(200)의 동작과정 전반을 도4를 통해 살펴보면, 단말장치(200)는 현재의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에 대한 패킷(이하, '기본 패킷'이라 한다)을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지속하여 수신하면서(S0),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에서의 패킷 처리 능력을 측정한다(S1).Looking at the overall operation process of the terminal device 200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250 through FIG. 4, the terminal device 200 is a pac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즉, 상기 기본 패킷은 고정된 해상도의 패킷일 수도 있고, 서비스 개시 전 적응적으로 설정된 해상도의 패킷일 수도 있다.That is, the basic packet may be a packet with a fixed resolution or a packet with a resolution adaptively set before starting a service.

그리고 상기 측정된 패킷 처리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여(S3), 상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요청 상세 정보가 포함된 피드백 메시지를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전송하고(S5), 이에 따라 변경된 기본 패킷을 수신하거나, 기본 패킷과 함께 보조 정보를 더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S7), 이렇게 상기 요청 상세 정보를 기반으로 수신된 패킷들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재생한다(S9).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easure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S3), and if the set condition is satisfied, a feedback message including request detail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S5), Accordingly, the changed basic packet may be received, or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ogether with the basic packet (S7), and content may be reproduced based on the received packets based on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S9).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란, 서비스 환경에서의 패킷 처리 능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단말장치(200)의 연산 능력 또는 네트워크 전송 능력(예를 들어, 네트워크 리소스)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의 일 실시 예로는 상기 단말장치(200)의 현재 연산 능력과 단말장치(200)가 기본 패킷을 수신하여 처리하는데 필요한 연산 능력의 차가 변경된 기본 패킷 또는 기본 패킷과 보조 정보를 함께 처리하는데 필요한 연산 능력보다 큰 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로는 현재 네트워크 전송 능력과 기본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전송 능력의 차가 변경된 기본 패킷을 전송하거나 기본 패킷과 보조 정보를 함께 처리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전송 능력보다 큰 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to determine whether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n the service environment is above a certain level, and may be the computing capability or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eg, network resource) of the terminal device 200, etc. , As an example of the above con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computing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computing capability required for the terminal device 200 to receive and process the basic packet is changed to process the basic packet or the basic packet and auxiliary information togethe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computing power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computing power, and in another embodiment, a basic packet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network transmission capacity and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city required to transmit the basic packet is changed is transmitted, or a basic packet and a basic packet are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network is greater than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required to process the auxiliary information together.

물론, 상기의 두 가지 실시 예, 즉, 단말장치(200)의 연산 능력과 네트워크 전송 능력에 관한 실시 예를 모두 만족하여야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Of cours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preset condition is satisfied only when both of the above two embodiments, that is, an embodiment relating to the computing capability and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200 are satisfied.

단말장치(200)가 요청한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면(S11), 해당 동작은 종료되겠지만, 컨텐츠 수신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시 S1 단계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When the reception of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terminal device 200 is completed (S11),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terminated.

한편, S1 단계에서 측정한 패킷 처리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으며, 현재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패킷, 즉 기본 패킷을 그대로 수신하여 재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measured in step S1 does not satisfy the preset condition, the feedback message is not transmitted, and the content packe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current service environment, that is, the basic packet, is received and reproduced as it is. will do

한편,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해 단말장치(20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전송하는 피드백 메시지에는 요청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요청 상세 정보는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장치(200)의 요청 사항이 포함되는데, 이에 대하여 도5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a feedback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o control the quality of service may includ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and th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erminal device 200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service. ) is includ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도5를 참조하면, 상기의 피드백 메시지는 VNF_Request_Message로 명명될 수 있고, 이러한 VNF_Request_Message는 MMT CLI(Cross Layer Interface) 내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bove feedback message may be named VNF_Request_Message, and this VNF_Request_Message may be included in an MMT Cross Layer Interface (CLI).

한편, 이러한 피드백 메시지에 대한 구문(Syntax)는 16비트로 이루어진 message_id 정보와 8비트로 이루어진 vers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message_id와 version 정보는 MMT CLI 내에 포함된 NAM Feedback message와 동일할 수 있다.Meanwhile, the syntax of this feedback message may include message_id information consisting of 16 bits and version information consisting of 8 bits. The message_id and version information may be the same as the NAM Feedback message included in the MMT CLI.

패킷 ID(packet_id) 정보는 전송되는 패킷이 어떤 패킷인지 구별하는 식별자로서, MMTP(MMT Protocol)에서 16비트의 packet_id나 7비트의 flow_label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Packet ID (packet_id) information is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a packet to be transmitted, and can be expressed using a 16-bit packet_id or a 7-bit flow_label in MMTP (MMT Protocol).

요청 상세 정보(VNF_number)는 단말장치(200)가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요청하는 내용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로써, 7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VNF_number) is a field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content requested by the terminal device 200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nd may consist of 7 bits.

상기 요청 상세 정보가 포함할 수 있는 상세 정보에 대한 예를 들면, 값이 '001'인 경우, 공간적 해상도 증가를 위한 보조 정보(이하, '제1 보조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As for the detailed information that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when the value is '001', it may be to request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spatial resolu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uxiliary information'). .

이 때, 상기 '001'의 값이 기록된 요청 상세 정보가 담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상기 제1 보조 정보 전송 요청에 맞춰 영상 컨텐츠의 경계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보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보조 정보를 수신한 단말장치(200)는 원본 SD 영상 컨텐츠를 보간법을 이용하여 HD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hat has received the request message containing th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in which the value of '001' is recorde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boundary of video content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After generating 1 auxiliary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first auxiliary information, the terminal device 200 may provide HD video to the user by interpolating the original SD video content.

또한, 요청 상세 정보 값이 '010'인 경우, 시간적 해상도 증진을 위한 보조 정보(제2 보조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value is '010', it may be a value requesting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for temporal resolution enhancement.

이러한 '010'값의 요청 상세 정보가 포함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상기 제2 보조 정보 전송 요청에 맞춰 영상 컨텐츠의 움직임 벡터 및 블록의 크기,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보조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보조 정보를 수신한 단말장치(200)는 제2 보조 정보와 원본 영상 컨텐츠의 패킷을 결합하여 증가된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receiving the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of the '010' valu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motion vector of video content and the size and ratio of blocks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After generating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the terminal device 200 that has received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may combine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and original video content packets to provide content having an increased resolution to the user.

만약, 요청 상세 정보 값이 '011'이면, 해당 밀터미디어 서비스의 일정 데이터 영역을 제외하고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If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value is '011', transmission can be requested except for a certain data area of the corresponding miltermedia service.

예를 들어, 동영상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동영상 컨텐츠는 영상 데이터 부분, 음성 데이터 부분, 자막 부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자막 부분을 제외하고 전송하도록 요청하거나, 음성 데이터 부분을 제외하고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video content for providing a video multimedia service may be divided into a video data part, an audio data part, a subtitle part, etc., and request transmission except for the subtitle part or transmission except for the audio data part may be requested. There is.

한편, 상기 값이 '100'이면, 컨텐츠의 패킷 중 B 프레임을 필터링하여 I 프레임과 P프레임을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으며, '101'이면, 컨텐츠의 패킷 중 P 프레임을 필터링하여, I 프레임과 B프레임을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value is '100', it is possible to request transmission of I frames and P frames by filtering B frames among packets of content, and if it is '101', filtering P frames among packets of contents to request transmission of I frames. and B frames may be requested to be transmitted.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패킷을 구성하는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 타입으로 구분 될 수 있고, 이중 특정 프레임 타입을 필터링하고 나머지 프레임 타입만을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frames constituting the multimedia content packet may be divided into one or more frame types, filtering a specific frame type among them and requesting transmission of only the remaining frame types.

하지만, 상술한 요청 상세 정보의 값 및 각각의 값에 따른 요청 정보는 경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However, the value of the above-described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and request information according to each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ase.

구체적으로 이미 수행중인 특정 기능을 정지하도록 요청하는 상세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비트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요청을 위한 오류 검출 패킷 전송 요청이 될 수 있다.Specifically, detailed information requesting to stop a specific function already being performed may be included, and an error detection packet transmission request for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request for correcting a bit error may be included.

이를테면, 일반적으로 컨텐츠 패킷 사이에 비트 오류 검출을 위한 FEC 패킷을 삽입하여, 상기 FEC 패킷을 통해 비트 오류를 검출하게 되는데, 패킷 처리 능력이 일정치 이하이면, 상기 FEC 패킷을 삽입하지 않고, 즉, FEC 패킷을 제외한 순수한 컨텐츠 패킷 만을 수신하여,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부하를 줄이려고 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general, an FEC packet for bit error detection is inserted between content packets to detect a bit error through the FEC packet. If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s less than a certain value, the FEC packet is not inserted, that is, By receiving only pure content packets excluding FEC packets and providing cont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of the terminal device.

이때, 패킷 처리 능력을 지속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한다면, 즉, 패킷 처리 능력이 호전된다면, 다시 FEC 패킷을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s continuously measured and the measured result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that is, if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s improved, it is possible to request transmission of the FEC packet again.

또 다른 예로는 시점(視)을 늘리기 위한 보조 정보(이하, '제3 보조 정보')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값을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value requesting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a viewpoint may be additionally set.

즉, 2D 화면으로 제공되던 컨텐츠를 3D 화면으로 제공하기 위한 보조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t is possible to request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for providing content provided on a 2D screen on a 3D screen.

요청 수행 여부 정보(VNF_mode)는 단말장치(200)가 요청 상세 정보에 따른 요청을 수행할 것인지, 상기 요청 수행을 중단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필드 값으로서, 1비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quest performance information (VNF_mode) is a field value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 device 200 performs a request according to th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or suspends the execution of the request, and may consist of 1 bit.

즉, 상기의 값이 1이라면, 요청 상세 정보에 따른 요청을 수행하는 것이 되고, 상기의 값이 0이라면, 상기 요청 수행을 중단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 될 수 있다.That is, if the above value is 1, a request according to request detailed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and if the above value is 0, a request to stop performing the request may be made.

한편, 상기 요청 상세 정보의 설정된 값에 의하여, 상기 요청의 수행 및 중단 여부를 알 수 있다면, 요청 수행 여부 정보 필드는 필요 없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request has been performed or stopped based on the set value of th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the request performance information field will not be necessary.

요청 수행 시작 시간 정보(VNF_start_time)는 상기 요청 메시지가 포함하는 요청 행위의 시작시간을 나타낼 수 있고, MMT에서는 절대 시간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The request execution start time information (VNF_start_time) may indicate the start time of the request action included in the request message, and an absolute time unit may be used in MMT.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을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도6을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보조 정보 전송을 요청하여, 컨텐츠의 해상도를 조정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단말장치(200)는 저해상도의 컨텐츠에 대한 패킷(이하, '기본 패킷'이라 함)을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지속하여 수신하면서, 단말장치(200)의 연산능력(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1
) 및 단말장치(200)와 컨텐츠 제공 장치(300) 간의 네트워크 전송 능력(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2
)을 포함하는 패킷 처리 능력을 측정한다(S101).In order to help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by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6, an implementation of adjusting the resolution of content by requesting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Looking at an example, while the terminal device 200 continuously receives packets for low-resolution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sic packets')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he terminal device 200 has an arithmetic capability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1
) and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2
) is measured (S101).

이후, 단말장치(200)는 측정된 패킷 처리 능력, 즉, 측정된 연산 능력과 네트워크 전송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조건에 대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측정된 연산 능력과 현재 단말장치(200)가 수신하고 있는 기본 패킷, 즉, 저해상도의 컨텐츠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연산능력(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3
)의 차이가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보조 정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연산능력(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4
)보다 큰지, 즉,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5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6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7
인지를 판단하고(이하, 제1 조건, S103), 측정된 네트워크 전송 능력과 기본 패킷으로 이루어진 컨텐츠, 즉, 저해상도의 컨텐츠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전송 능력(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8
)의 차이가 컨텐츠 재생 장치(300)가 보조 정보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전송 능력(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9
)보다 큰 지, 즉,
Figure 112016039141021-pat00010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11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12
인지를 판단하여(이하, 제2 조건, S105), 상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보조 정보 전송을 요청하기 않고, 저해상도의 컨텐츠만을 지속하여 수신하여 재생하고, 상기 두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보조 정보 전송을 요청한다(S107).Thereafter, the terminal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that is, the measured computing capability and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satisfy a preset condition. Specifically, looking at an embodiment of the condition, the measured computing capability And the basic packet currently being received by the terminal device 200, that is, the computing power required to process the low-resolution content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3
The difference in ) is the computational power required to process the auxiliary information to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4
), that is,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5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6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7
It is determined (hereinafter, the first condition, S103), and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required to transmit the measured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and the content consisting of basic packets, that is, the low-resolution content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8
) is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required for the content playback device 300 to transmit auxiliary information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09
), that is,
Figure 112016039141021-pat00010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11
>
Figure 112016039141021-pat00012
It is determined (hereinafter, the second condition, S105), and if the set condition is not satisfied,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is not requested, and only low-resolution content is continuously received and reproduced, and at least one of the two conditions is satisfied. If s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is requested to transmit auxiliary information (S107).

이때, 단말장치(200)는 측정된 네트워크 전송 능력 및 연산능력을 고려하여, 공간적 해상도 증가를 위한 제1 보조 정보와 시간적 해상도 증가를 위한 제2 보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정보에 대한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device 200 requests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uxiliary information for spatial resolution increase and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for temporal resolution increase in consideration of the measured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and computational capability. can

즉, 단말장치(200)는 측정된 네트워크 전송 능력 및 연산능력 등의 패킷 처리 능력을 고려하여, 시간적으로 컨텐츠의 해상도를 증가(예를 들면, 30fps에서 60fps로 증가)시키기 위해, 컨텐츠의 움직임 벡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요청하거나, 공간적으로 컨텐츠의 해상도를 증가(예를 들면, SD급 영상을 HD급 영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영상의 경계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조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요청할 수 있다.That is, the terminal device 200 considers the measured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an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such as computing capability, to temporally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for example, from 30 fps to 60 fps) to increase the motion vector of the content. In order to request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o transmit auxiliary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or to spatially increase the resolution of content (eg, SD-level video to HD-level video), the boundary of the video A request may be made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o transmit auxiliary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part.

또한, 상기의 요청하는 보조 정보는 시점(視)을 늘리는 보조 정보(이하, 제3 보조 정보)일 수도 있다.Also, the requested auxiliary information may be auxiliary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auxiliary information) that increases a viewpoint.

즉, 현재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제공 받는 컨텐츠가 양안식 컨텐츠라면, 2개의 시점(視)을 더 늘려, 4개의 시점(視)으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3 보조 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That is, if the content currently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is binocular content, a request to transmit third auxiliary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content with four more points of view by increasing two more points of view. can request

그 이후,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S109), 상기 수신한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장치(200)가 현재 수신하는 컨텐츠의 해상도를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S111), 수신한 보조 정보가 제1 보조 정보라면, 제1 보조 정보를 이용한 보간법(interpolation)을 통해 상기 컨텐츠의 공간적 해상도를 증가시키고, 수신한 보조 정보가 제2 보조 정보라면, 상기 수신 중인 컨텐츠의 패킷과 제2 보조 정보를 시간적으로 결합하여 새로운 패킷을 생성함으로써, 컨텐츠의 시간적 해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After that, when auxiliary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S109), using the received auxiliary information, the terminal device 200 increases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currently received and provides it to the user (S111). , If the received auxiliary information is first auxiliary information,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content is increased through interpolation using the first auxiliary information, and if the received auxiliary information is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the packet of the content being received Temporal resolution of the content may be increased by temporally combining the P and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to generate a new packet.

이후,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의 수신이 완료되거나, 사용자가 컨텐츠 전송 중단 요청을 입력한 경우, 즉, 컨텐츠 재생을 중단한 경우에는 상기 과정을 종료하고, 사용자의 컨텐츠 전송 중단 요청없이 컨텐츠 수신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S101 단계로 돌아가 전 과정을 반복하는데(S113),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는 중에 S103 또는 S105 단계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태가 되면, 단말장치(200)는 보조 정보 전송을 중단할 것을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요청한다(S115).Thereafter, when reception of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is completed, or when the user inputs a request to stop content transmission, that is, when content playback is stopped, the above process is terminated and content reception is not completed without the user's request to stop content transmission. If not, return to step S101 and repeat the entire process (S113). If the condition of step S103 or step S105 is not satisfied while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he terminal device 200 is instructed to stop transmitting auxiliary information. A request is made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S11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도3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요청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모듈(미도시), 컨텐츠 전송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또는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해상도를 증가시킨 컨텐츠 등을 재생하는 출력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input module (not shown) for receiving a user's request, content or auxiliar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device 300, and resolution. It may include an output module (not shown) for reproducing content or the like with increased .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termina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review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구성 및 동작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7은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8은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nd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도7을 보면,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통신모듈(310), 저장모듈(330) 및 제어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310 , a storage module 330 and a control module 350 .

통신모듈(310)은 통신망(100)을 통해 단말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장치(200)로부터 보조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 및 컨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단말장치(200)에 보조 정보 및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10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terminal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ceives an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and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and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request. Auxiliary information and content may be transmitted to (200).

저장모듈(330)은 통신모듈(310)을 통해 단말장치(200)에 전송할 다양한 컨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330 may store data of various contents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

제어모듈(35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동작과정 전반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보조 정보 생성 모듈(35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정보 생성 모듈(351)은 단말장치(200)가 피드백 메시지를 통해 보조 정보 생성을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요청에 따라 보조 정보를 생성한다.The control module 35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process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351, the auxiliary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351 is a terminal device When 200 requests generation of auxiliary information through a feedback message, auxiliary inform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quest.

상기 제어 모듈(350)은 상기 통신모듈(310)을 통해 단말장치(200)로부터 피드백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피드백 메시지에 포함된 요청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 패킷 또는 프레임의 구성을 수정하거나, 보조 정보 등과 같이 새로운 패킷을 생성하여 단말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feedback message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10, the control module 350 checks th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eedback message, and the content packet or frame according to the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It can be controlled to modify the configuration of or create a new packet such as auxiliary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device 200.

또한, 단말장치(200)로부터 요청 상세 정보를 통해 요청을 중단할 것을 다시 요청하면, 이에 따라 보조 정보 생성을 중단 하거나 요청 상세 정보에 따라 수정하였던 컨텐츠 패킷 또는 프레임의 구성을 원래대로 되돌려서, 단말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device 200 again requests to stop the request through the request detailed information, the generation of auxiliary information is stopped accordingly o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packet or frame modified according to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is returned to the original, It can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device 200.

이러한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동작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컨텐츠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해 보조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장치(200)로 전송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도7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단말장치(200)에 기본 패킷, 즉, 낮은 해상도를 가지는 컨텐츠를 전송하는 중에 단말장치(200)로부터 보조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S201), 보조 정보 전송 요청에 따른 보조 정보를 생성한다(S203).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an embodiment in which auxiliary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200 to adjust the content resolu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The providing device 300 receives an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while transmitting a basic packet, that is, content having a low resolution, to the terminal device 200 (S201), and assists in response to the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S203).

이때, 상기 보조 정보 전송 요청 메시지의 값에 따라 공간적 해상도를 증가를 위한 제1 보조 정보, 시간적 해상도 증가를 위한 제2 보조 정보 및 컨텐츠의 시점을 늘리기 위한 제3 보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고, 제1 보조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현재 전송 중인 컨텐츠, 즉, 기본 컨텐츠 내의 경계의 위치, 경계의 성질 등, 경계 부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고, 제2 보조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현재 전송 중인 컨텐츠, 즉, 기본 컨텐츠 내의 움직임 벡터 정보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 및 블록의 크기 및 비율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at least one of first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spatial resolution,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temporal resolution, and third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the view of content may be generated. and, when generating the first auxiliary information, it may be generated by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boundary part, such as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in the content currently being transmitted, that is,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in the basic content, the nature of the boundary, etc., and generating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In this case, it can be generated by including motion information including motion vector information and block size and ratio information in the content currently being transmitted, that is, basic content.

단말장치(200)의 요청에 따른 보조 정보를 생성한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생성된 보조 정보를 단말장치(200)로 전송한다(S205).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00 that has generated auxili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erminal device 200 transmits the generated auxiliary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200 (S205).

이후,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면(S207), 상기 과정을 종료하게 되고,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시 S201 단계로 돌아가 전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만약, 단말장치(200)로부터 보조 정보 전송 중단 요청을 수신하면(S209), 보조 정보 전송을 중단하고(S211), 현재 전송 중인 컨텐츠를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 중에서 다시 단말장치(200)로부터 보조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다시 S201단계로 돌아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Thereafter,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user is completed (S207), the above process is terminated, and if the transmission of the content is not completed, the entire process is repeated again in step S201. When a request to stop transmitting information is received (S209),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is stopped (S211), and the content currently being transmitted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200. During this process, the transmission of auxiliary information is requested again from the terminal device 200 Upon reception, it returns to step S201 and repeats the above proces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s set forth above, while this specification contains many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they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as to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ables, but rather as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description of the features.

또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Further, whil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or that those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shown or in sequential order to obtain desired results.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Further, the separat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have to understand that you can.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The present description presents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invention. The specification thus prepared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Therefo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by the claims.

본 발명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기반으로 보조 정보를 만들거나 FEC 패킷 생성, 또는 필터링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컨텐츠의 해상도 및 품질을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컨텐츠를 끊김 없이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and an apparatus therefor, and more particularly, by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such as creating auxiliary information based on a real-time streaming service, generating an FEC packet, or filtering, the resolution and quality of content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changing and providing content without interrup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장치가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현재 서비스 환경에 부합하는 컨텐츠의 패킷을 수신하여 재생하면서, 단말장치의 연산 능력과 단말장치와 컨텐츠 제공 장치 간의 네트워크 전송 능력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로 보조 정보 생성, FEC 패킷 생성, 필터링 등의 다양한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요청에 따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비스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일시적인 끊김 현상이 없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 terminal device receives and reproduces packet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ervice environment in a streaming manner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measuring the computing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requests various operations such as auxiliary information generation, FEC packet generation, and filtering, and performs various operations according to the request,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content without temporary interruption due to changes in the service environment. can provide

따라서, 상기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을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고,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streaming service industry through the above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an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is not only sufficiently commercially available or commercially viable, but also realistically and clearly practicable. .

100: 통신망 200: 단말장치 300: 컨텐츠 제공 장치
210: 단말장치의 통신모듈 230: 단말장치의 저장모듈
250: 단말장치의 제어모듈 310: 컨텐츠 제공 장치의 통신모듈
330: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저장모듈
350: 컨텐츠 제공 장치의 제어모듈
351: 보조 정보 생성 모듈
100: communication network 200: terminal device 300: content providing device
210: communication module of terminal device 230: storage module of terminal device
250: control module of terminal device 310: communication module of content providing device
330: storage module of content providing device
350: control module of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351: auxiliary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Claims (14)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의 기본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에서의 패킷 처리 능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패킷 처리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장치에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기본 패킷을 연속으로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따라, 서비스 품질 제어와 관련한 보조 정보를 더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기본 패킷과 보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A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in a terminal device that receives and reproduces content from a content providing device in a streaming manner,
receiving a basic packet of the content in a streaming manner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Measuring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n a streaming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content is received and reproduc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If the measure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transmitting a feedback message including detailed information requested for controlling service quality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further receiving auxiliary information related to QoS control according to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in a process of continuously receiving the basic packets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reproducing the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basic packet and auxiliary informatio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상세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해상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컨텐츠의 시점(視)을 늘리기 위한 보조 정보 전송 요청,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일정 데이터 영역을 제외하고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일정 데이터 비 전송 요청, 컨텐츠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레임 타입을 필터링 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필터링 요청, 기 수행중인 특정 기능을 정지하도록 요청하는 기능 정지 요청 및 비트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오류 검출 패킷 전송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Auxiliary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for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or increasing the viewpoint of the content, a certain data ratio transmission request requesting transmission except for a certain data area of the multimedia content, and one or more frame types constituting the content and at least one of a filtering request for filtering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the frame types, a function stop request for requesting to stop a specific func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and an error detection packet transmission request for correcting a bit error.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따라 보조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본 패킷에 상기 보조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컨텐츠의 해상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컨텐츠의 시점을 늘려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producing step
When auxiliary information is received according to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the auxiliary information is combined with the basic packet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content or increase the viewing time of the content to reproduce the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패킷 처리 능력을 고려하여, 공간적 해상도 증가를 위한 제1 보조 정보 및 시간적 해상도 증가를 위한 제2 보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정보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nsmitting step
Considering the measure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a feedback message including request detailed information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at least one auxiliary information of first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spatial resolution and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for increasing temporal resolution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보조 정보를 이용한 보간법(interpolation)을 통해 상기 컨텐츠의 공간적 해상도를 증가시켜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보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의 기본 패킷과 제2 보조 정보를 시간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컨텐츠의 시간적 해상도를 증가시켜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producing step
If the first auxiliary information is received, reproducing by increasing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content through interpolation using the first auxiliary information; and
If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is received, temporally combining the basic packet of the content and the second auxiliary information, and reproducing the content by increasing the temporal resolutio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패킷 처리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기본 패킷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laying content based on the received basic packet when the measure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does not satisfy a preset conditio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메시지는
패킷 ID, 요청 수행 여부 정보 및 요청 수행 시작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eedback message
A method for controlling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acket ID,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perform a request, and information on a start time of performing a reque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최소 디코딩 단위인 적어도 하나의 MFU(Media Fragment Unit)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MFU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MPU(Media Processing Unit)로 구성되는 MMT(MPEG Media Transport) 패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cket
MMT (MPEG Media Transport) packet composed of at least one Media Fragment Unit (MFU), which is the minimum decoding unit included in the payload of the packet, or at least one Media Processing Unit (MPU) including the at least one MFU A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측정된 패킷 처리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따른 패킷 전송 중단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fter the reproducing step,
requesting interruption of packet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when the measured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does not satisfy a preset conditio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 능력은
상기 단말장치의 연산능력 및 상기 단말장치와 컨텐츠 제공 장치 간의 네트워크 전송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The real-time multimedia service quality control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ng capability of the terminal device and a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연산능력과 기본 패킷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연산능력의 차이가 상기 보조 정보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연산능력보다 큰 경우인 제1 조건 및 상기 측정된 네트워크 전송 능력과 기본 컨텐츠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전송 능력의 차이가 상기 보조 정보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 전송 능력보다 큰 경우인 제2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보조 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equesting step
Condition 1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computing power and the computing power required to process the basic packet is greater than the computing power required to process the auxiliary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and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required to transmit the basic content and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auxiliary information when at least one condition of the second conditions is satisfied, in which the difference in is larger than the network transmission capability required to transmit the auxiliary information.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is recorded.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implemented to execute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and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면서, 상기 컨텐츠의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통신망과 연동되어 컨텐츠 제공 장치와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의 기본 패킷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에서의 패킷 처리 능력을 측정하여, 상기 패킷 처리 능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에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요청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따른 컨텐츠의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요청 상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기본 패킷을 연속으로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요청 상세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 제어와 관련한 보조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기본 패킷에 상기 보조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서비스 품질이 조절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In a terminal device that controls the service quality of the content while receiving and playing content through a streaming service,
A communication module interworking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packets with a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By measuring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n a streaming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a basic packet of the content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n a streaming manner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the content is received and reproduc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the packet processing capability is If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 feedback message including detailed request information for controlling service quality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nd when a packet of content according to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is received, based on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o play the content;
The control module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receiving the basic packets from the content providing device, auxiliary information related to QoS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detailed information is further received, and the QoS is adjusted by applying the auxiliary information to the basic packets.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o reproduce content.
KR1020160049605A 2016-04-22 2016-04-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QoE i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KR102491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605A KR102491247B1 (en) 2016-04-22 2016-04-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QoE i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605A KR102491247B1 (en) 2016-04-22 2016-04-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QoE i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972A KR20170120972A (en) 2017-11-01
KR102491247B1 true KR102491247B1 (en) 2023-01-25

Family

ID=6038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605A KR102491247B1 (en) 2016-04-22 2016-04-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QoE i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24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5675A (en) * 2001-12-26 2005-05-26 イェダ リサーチ アン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patial or temporal resolution of vide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23917B1 (en) * 2008-12-31 2021-05-25 Apple Inc MACHINE IMPLEMENTED METHOD, MACHINE-READABLE, NON TRANSIENT STORAGE MEDIUM, 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CONTINUOUS TRANSMISSION IN REAL-TIME OR NEAR REAL-TIME
KR20160005663A (en) 2014-07-07 2016-0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MT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delay ser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5675A (en) * 2001-12-26 2005-05-26 イェダ リサーチ アン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patial or temporal resolution of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972A (en)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9771B2 (en) Adaptive variable fidelity media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CA2878327C (en) Methods for quality-aware adaptive streaming over hypertext transfer protocol
CN102790925B (en) Method and VOD (Video On Demand) terminal for playing online streaming media
US11743518B2 (en) Player methods for chunked CMAF low latency playback
WO2019128800A1 (en) Content service implementation method and device, and content delivery network node
WO2018133601A1 (en) Streaming medi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server, and terminal
US107911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ud streaming service
JP5339007B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N1128682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data
US20220385989A1 (en) Video play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US11743535B2 (en) Video fragment file processing
JP2017536007A (en) Cloud streaming service system, cloud streaming service method using optimal GPU, and apparatus therefor
US2015034163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o select audio-video data for streaming
US20160029050A1 (en) Hybrid Stream Delivery
TW201601493A (en) Method for operating a network equipment arranged along a transmission path between a client terminal and at least one server, and corresponding network equipment
KR1024912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ser's QoE in Real-time Multimedia Service
US20190335218A1 (en) Method of real-time file format conversion streaming service
US9654533B2 (en) Method of adaptively delivering media based on reception status information from media clien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403176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contents in multimedia system
KR102511949B1 (en) Method of Efficient Video Pacing Considering User's Random Watching Point and Apparatus therefor
KR1025135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ents
KR102088294B1 (en) Method for delivering adaptive media based on received status information from media client and apparatus using thereof
JP2014090287A (en) Video reception terminal and video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