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548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548B1
KR102490548B1 KR1020160008869A KR20160008869A KR102490548B1 KR 102490548 B1 KR102490548 B1 KR 102490548B1 KR 1020160008869 A KR1020160008869 A KR 1020160008869A KR 20160008869 A KR20160008869 A KR 20160008869A KR 102490548 B1 KR102490548 B1 KR 10249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pplication
user terminal
output
peripher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675A (ko
Inventor
이윤경
김병오
김철주
이상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8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548B1/ko
Priority to US16/072,804 priority patent/US10455073B2/en
Priority to PCT/KR2016/013676 priority patent/WO2017131335A1/ko
Publication of KR2017008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675A/ko
Priority to US16/572,741 priority patent/US10880425B2/en
Priority to KR1020230006248A priority patent/KR20230012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in-vehicl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안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스피커 및 주변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의 출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는 네비게이션, 뮤직 플레이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콜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중지하고, 콜을 요청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오디오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콜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재생 중인 경로 안내 음성 출력을 중단하고, 콜을 요청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성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량을 운전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경로 안내 맵에만 의존하여 차량을 운전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나아가, 현재 사용자 단말 장치는 네비게이션, 뮤직 플레이어와 같은 다양한 멀티 미디어 관련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동시에 음성 오디오를 출력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안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 중 등록된 다른 주변 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된 다른 주변 기기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UI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는 장치의 아이콘이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가 미등록된 경우,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가 미등록된 경우, 볼륨 조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상기 주변 기기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주변 기기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3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재설정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액세서리 기기와 케이블을 통해 물리적으로 통신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액세서리 기기와 통신 연결된 동안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는 동안,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동안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 중 등록된 다른 주변 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된 다른 주변 기기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UI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을 위한 장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UI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는 장치의 아이콘이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가 미등록된 경우,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가 미등록된 경우, 볼륨 조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상기 주변 기기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주변 기기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3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재설정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커넥터를 통해 액세서리 기기와 통신 연결된 동안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주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스피커 및 주변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별 오디오 출력을 위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1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2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3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4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5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복수의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예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 상에서 기설정된 장치를 변경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가 미등록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라 타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별 오디오 출력을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별 오디오 출력을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주변 기기(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 폰, 테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를 출력하는 기기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주변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TV, 차량용 단말 장치, 스피커 등의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2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신호를 주변 기기(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고, 주변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이 될 수 있으며, 제2 어플리케이션은 미디어 플레이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각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200)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기기(200)는 차량 내에 탑재되어 카 오디오를 출력하는 차량용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네비게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동시에 경로 안내 관련 오디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네비게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제2 어플리케이션인 미디어 플레이를 실행하고, 실행된 미디어 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통신 가능한 기기로 검색된 주변 기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 가능한 기기로 검색된 주변 기기(2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로 설정된 차량용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기기(200)는 주변 기기(200) 내에 탑재된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실행된 네비게이션을 통해 차량을 운전하면서, 차량에 탑재된 차량용 단말 장치인 주변 기기(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미디어 플레이를 통해 재생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별 오디오 출력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오디오 출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주변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오디오 출력부(120)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안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200)로 전송하는 동안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스피커를 통해 지속적으로 출력되도록 오디오 출력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의 출력은 유지되면서, 주변 기기(200)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주변 기기(2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200)를 검색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 중 등록된 다른 주변 기기(이하 제2 주변 기기라 함)(200)가 존재하면, 제어부(13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신호를 제2 주변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신호를 제2 주변 기기(200)로 전송한다.
한편, 제2 주변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에 대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한 후, 신호 처리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제2 주변 기기(200) 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는 장치의 아이콘이 서로 매핑될 수 있다.
이 같은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는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200)가 미등록된 경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은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200)가 미등록된 경우, 볼륨 조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주변 기기(20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동안, 해당 주변 기기(200)에서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제3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재설정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는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어부(13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주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실행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면서, 주변 기기(200)를 통해 타 사용자와 음성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13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주변 기기(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통신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111), 무선 랜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113)과,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tronics Engineers) 1394 등의 유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커넥터(115)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1)은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100)와 주변 기기(200)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161)은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와이파이(WIFI)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113)이란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이 밖에 무선 통신 모듈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통신부(110)는 상술한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본 명세서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통신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15)는 USB 2.0, USB 3.0, HDMI, IEEE 1394 등 다양한 소스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 같은 커넥터(115)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영상 촬영을 위한 액세서리 기기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커넥터(11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기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외부 기록 매체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15)는 커넥터(115)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컨텐츠 서버(미도시)와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혹은 기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는 후술할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입력부(153)와 함께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 장치인 경우, 전술한 구성 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50), 신호 처리부(160), 촬영부(170), 감지부(180) 및 저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써, 마이크(151), 조작부(153), 터치 입력부(155) 및 사용자 입력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51)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받으며, 조작부(153)는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입력부(155)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40)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40)와 상호 레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입력부(155)는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관련 아이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7)는 원격 제어 장치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미도시)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IR 신호 혹은 RF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신호 처리부(160)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혹은 저장부(190)에 저장된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60)는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60)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디코딩,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촬영부(17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8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써, 움직임 센서(181), 지자기 센서(183), 중력 센서(185) 및 자이로 센서(18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81)는 이동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가속도나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가 될 수 있다.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83)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하여 방위각을 탐지할 수 있는 전자 나침판으로써, 위치 추적, 3D 영상 게임 등에 사용되거나, 스마트 폰, 무전기, GPS, PDA, 네비게이션 항법 장치 등에 사용되는 센서이다.
중력 센서(Gravity Sensor)(185)는 중력이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지 탐지하는 센서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여 방향을 감지하는데 이용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185)는 기존의 움직임 센서(181)에 각각 회전을 넣어 6축 방향을 인식하여 하여 좀더 세밀하고 정밀한 동작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센서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감지부(180)가 움직임 센서(181), 지자기 센서(183), 중력 센서(185) 및 자이로 센서(18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에 대해서만 한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감지부(180)는 사물이 다른 사물에 접촉되기 이전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근접 센서(미도시), 수광을 빛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 센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프로그램, 컨텐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다양한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19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운용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턴 온(Turn On)되는 경우, 저장부(190)에서 읽혀지고, 컴파일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저장부(190)는 롬(ROM), 램(RAM)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탈착/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거나 혹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부(130)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혼용될 수 있으며, 저장부(19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램에 복사하고, 램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CPU(131), GPU(133), ROM(135) 및 RAM(137)을 포함할 수 있으며, CPU(131), GPU(133), ROM(135) 및 RAM(137)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31)는 저장부(190)를 액세스하여, 저장부(19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또한 CPU(131)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GPU(133)는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GPU(133)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고, 연상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한다.
ROM(135)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31)는 ROM(135)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90)에 저장된 OS를 RAM(137)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31)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37)에 복사하고, RAM(137)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 같은 제어부(140)는 전술한 각 구성들과 결합되어, 단일칩 시스템(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설정된 장치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네비게이션 관련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사용자 간 음성 통화를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제1 주변 기기(200-1)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변 기기(200-1)는 무선 헤드셋이 될 수 있다.
이 같이,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장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경로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1 주변 기기(200-1)와 통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주변 기기(200-1)와 통신 가능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제1 주변 기기(200-1)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네비게이션의 경로 안내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하면서, 제1 주변 기기(200-1)로 콜을 요청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는 네비게이션의 오디오 및 맵 영상으로부터 경로 안내를 제공받으면서, 동시에 제1 주변 기기(200-1)를 통해 콜을 요청한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네비게이션 관련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미디어 플레이 관련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이 제2 주변 기기(200-2)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변 기기(200-2)는 사용자의 차량 내 탑재된 카 오디오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제1 및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장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는 목적지에 대한 경로 안내를 제공받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같은 실행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경로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음악 재생 이벤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음악 재생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2 주변 기기(200-2)와 통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주변 기기(200-2)와 통신 가능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제2 주변 기기(200-2)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네비게이션의 경로 안내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하면서, 제2 주변 기기(200-2)로 사용자가 요청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출력되는 네비게이션의 오디오 및 맵 영상으로부터 경로 안내를 제공받으면서, 동시에 차량 내 탑재된 카 오디오 출력 장치인 제2 주변 기기(200-2)를 통해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3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관련 제4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알림 오디오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미디어 플레이 관련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이 제2 주변 기기(200-2)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변 기기(200-2)는 사용자의 차량 내 탑재된 카 오디오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제3 및 제4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장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음악 재생 명령에 따라, 미디어 플레이 관련 제3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2 주변 기기(200-2)와 통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2 주변 기기(200-2)와 통신 가능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제2 주변 기기(200-2)로 전송한다.
한편,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의 오디오가 제2 주변 기기(200-2)를 통해 출력되도록 있는 상태에서,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4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오디오를 출력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주변 기기(200-2)로 사용자가 요청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알림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 내 탑재된 카 오디오 출력 장치인 제2 주변 기기(200-2)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 오디오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4 예시도이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관련 제4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알림 오디오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미디어 플레이 관련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이 제2 주변 기기(200-2)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변 기기(200-2)는 사용자의 차량 내 탑재된 카 오디오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미디어 플레이 관련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이 오디오가 제3 주변 기기(200-3)에서 출력되도록 제3 주변 기기(200-3)를 제3 어플리케이션(200-2)의 오디오 출력을 장치로 추가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주변 기기(200-3)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외부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제3 및 제4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장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음악 재생 명령에 따라, 미디어 플레이 관련 제3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기기로 검색된 주변 기기(200) 중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주변 기기(200)가 검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3 주변 기기(200-3)가 검색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제3 주변 기기(200-3)로 전송한다.
한편,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의 오디오가 제3 주변 기기(200-3)를 통해 출력되도록 있는 상태에서,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4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오디오를 출력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3 주변 기기(200-3)로 사용자가 요청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알림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스피커인 제3 주변 기기(200-3)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 오디오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5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에서 음성 메시지로의 자동 변환이 가능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제5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환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가 제1 주변 기기(200-1)에서 출력되고, 미디어 플레이 관련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이 제3 주변 기기(200-3)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주변 기기(200-3)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외부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제3 및 제5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장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음악 재생 명령에 따라, 미디어 플레이 관련 제3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기기로 검색된 주변 기기(200) 중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3 주변 기기(200-3)가 검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3 주변 기기(200-3)가 검색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제3 주변 기기(200-3)로 전송한다.
한편,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의 오디오가 제3 주변 기기(200-3)를 통해 출력되도록 있는 상태에서,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5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제5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텍스트 형태의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기기로 검색된 주변 기기(200) 중 제5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환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1 주변 기기(200-1)가 검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5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환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1 주변 기기(200-1)가 검색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5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환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제1 주변 기기(200-1)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3 주변 기기(200-3)로 사용자가 요청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면서, 제1 주변 기기(200-1)로 음성 메시지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스피커인 제3 주변 기기(200-3)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면서, 무선 헤드셋인 제1 주변 기기(200-1)를 통해 출력된 오디오로부터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사용자 간 음성 통화를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제1 주변 기기(200-1)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변 기기(200-1)는 무선 헤드셋이 될 수 있다.
이 같이,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장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어폰 잭이 연결되는 커넥터를 통해 물리적으로 영상 촬영을 위한 액세서리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같이, 영상 촬영을 위한 액세서리 기기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1 주변 기기(200-1)와 통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주변 기기(200-1)와 통신 가능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제1 주변 기기(200-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유선 연결된 액세서리 기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면서, 동시에 제1 주변 기기(200-1)를 통해 콜을 요청한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1 주변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1 주변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면서, 동시에 제1 주변 기기(200-1)를 통해 콜을 요청한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1 주변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게임을 하면서, 동시에 제1 주변 기기(200-1)를 통해 콜을 요청한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복수의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관련 제4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알림 오디오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내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미디어 플레이 관련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이 제2 및 제3 주변 기기(200-2,200-3)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변 기기(200-2)는 사용자의 차량 내 탑재된 카 오디오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제3 주변 기기(200-3)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외부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이 같이, 제3 및 제4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장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음악 재생 명령에 따라, 미디어 플레이 관련 제3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기기로 검색된 주변 기기(200) 중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2 주변 기기(200-2)가 검색되면,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제2 주변 기기(200-2)로 전송한다.
한편,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의 오디오가 제3 주변 기기(200-3)를 통해 출력되도록 있는 상태에서, 메시지 수신 이벤트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내 스피커를 통해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4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 내 탑재된 카 오디오 출력 장치인 제2 주변 기기(200-2)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면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 오디오를 통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차량을 주차한 후, 자신의 집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제2 주변 기기(200-2) 간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에 대한 제2 주변 기기(200-2)로의 전송을 중단한다.
한편, 사용자가 집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3 주변 기기(200-3)가 검색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3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된 음악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제3 주변 기기(200-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3 주변 기기(200-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하여 신호 처리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의 카 오디오 출력 장치인 제2 주변 기기(200-2)를 통해 재생되는 음악을 자신의 집에 배치된 외부 스피커인 제3 주변 기기(200-3)를 통해 연속해서 청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주변 기기(200)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를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11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보이스 콜 관련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1 어플리케이션, 미디어 관련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 이벤트 알림 관련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3 어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알림 관련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4 어플리케션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1110)과, 제1 내지 제4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장치에 대응되는 아이콘(1120)을 포함하는 UI(11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내지 제4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과 제1 내지 제4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장치의 아이콘을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미디어 관련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제2 어플리케이션은 뮤직 플레이, 네비게이션, 게임 등의 다양한 하위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다양한 하위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실행 중인 적어도 하나의 하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하위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장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UI(1100) 상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직 플레이와 네비게이션 관련 하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되는 주변에 뮤직 플레이와 네비게이션 관련 하위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되는 아이콘(1130)과, 뮤직 플레이와 네비게이션 관련 하위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UI(1100) 상에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 상에서 기설정된 장치를 변경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11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1100)로부터 각 어플리케이션별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뮤직 플레이와 네비게이션 관련 하위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실행 중이며, 사용자는 현재 실행 중인 하위 어플리케이션 중 뮤직 플레이 관련 하위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장치의 변경을 위하여 해당 장치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같은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현재 사용 가능한 장치를 검색하고, 현재 사용 가능한 장치로 검색된 장치에 대한 리스트 UI(1210)를 UI(110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록 설정된 장치에 대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기기로 검색된 주변 기기 중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장치와 관련된 주변 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주변 기기를 현재 사용 가능한 장치로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 가능한 장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리스트 UI(1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UI(121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뮤직 플레이 관련 하위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에 대한 출력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가 미등록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볼륨 조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13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UI(1310)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UI(131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도록 설정된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같은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아이콘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될 장치를 변경하기 위한 리스트 UI(1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UI(121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주변 기기(2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주변 기기(2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실행된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한다(S1410).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는 동안,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20).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200)로 전송한다(S1430). 이에 따라, 주변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이 오디오의 출력을 유지하면서, 주변 기기(200)를 통해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주변 기기(2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은 전화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주변 기기(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는 동시에, 주변 기기(200)를 통해 콜을 요청한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주변 기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동시에, 주변 기기(200)를 통해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라 타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주변 기기(2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10). 판단 결과, 주변 기기(200)와의 통신 연결이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주변 기기(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주변 기기(2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를 검색한다(S1530).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신 가능한 주변 기기 검색은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주변 기기(2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200)가 검색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검색된 주변 기기(200) 중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하도록 등록된 주변 기기(제2 주변 기기라 함)(2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40).
판단 결과,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하도록 등록된 제2 주변 기기(200)가 존재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하도록 등록된 제2 주변 기기(200)로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2 주변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된 UI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 출력을 위한 장치를 설정한다(S1610,S1620).
여기서, UI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는 아이콘이 매핑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UI를 통해 설정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주변 기기(2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가 미등록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같은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가 미등록된 경우, 볼륨 조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주변 기기(20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주변 기기(200)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3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재설정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같은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UI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110 : 통신부
111 : 근거리 통신 모듈 113 : 무선 통신 모듈
115 : 커넥터 120 : 오디오 출력부
130 : 제어부 131 : CPU
133 : GPU 135 : ROM
137 : RAM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입력부 151 : 마이크
153 : 조작부 155 : 터치 입력부
157 : 사용자 입력부 160 : 신호 처리부
170 : 촬영부 180 : 감지부
181 : 움직임 센서 183 : 지자기 센서
185 : 중력 센서 187 : 자이로 센서
190 : 저장부 200 : 주변 기기

Claims (20)

  1.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오디오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동안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는 복수의 장치가 표시된 리스트 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될 장치가 표시된 리스트 UI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를 검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 중 등록된 다른 주변 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된 다른 주변 기기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가 미등록된 경우,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가 미등록된 경우, 볼륨 조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상기 주변 기기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주변 기기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3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재설정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액세서리 기기와 케이블을 통해 물리적으로 통신 연결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넥터를 통해 상기 액세서리 기기와 통신 연결된 동안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1.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는 동안,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는 복수의 장치가 표시된 리스트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출력될 장치가 표시된 리스트 UI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상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주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주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변 기기 중 등록된 다른 주변 기기가 존재하면, 상기 등록된 다른 주변 기기로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오디오 출력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장치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하고자 하는 장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가 미등록된 경우,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출력할 주변 기기가 미등록된 경우, 볼륨 조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가 주변 기기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주변 기기에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제3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3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 재설정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커넥터를 통해 액세서리 기기와 통신 연결된 동안 콜 요청 이벤트가 입력되면, 상기 콜 요청 이벤트에 대응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오디오를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및 오디오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동안 외부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60008869A 2016-01-25 2016-01-2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69A KR102490548B1 (ko) 2016-01-25 2016-01-2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072,804 US10455073B2 (en) 2016-01-25 2016-11-25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6/013676 WO2017131335A1 (ko) 2016-01-25 2016-11-2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572,741 US10880425B2 (en) 2016-01-25 2019-09-17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230006248A KR20230012654A (ko) 2016-01-25 2023-01-1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69A KR102490548B1 (ko) 2016-01-25 2016-01-2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248A Division KR20230012654A (ko) 2016-01-25 2023-01-1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675A KR20170088675A (ko) 2017-08-02
KR102490548B1 true KR102490548B1 (ko) 2023-01-19

Family

ID=593988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869A KR102490548B1 (ko) 2016-01-25 2016-01-25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0006248A KR20230012654A (ko) 2016-01-25 2023-01-1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248A KR20230012654A (ko) 2016-01-25 2023-01-16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455073B2 (ko)
KR (2) KR102490548B1 (ko)
WO (1) WO2017131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20309363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Trigger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tasks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EP3809407A1 (en) 2013-02-07 2021-04-21 Apple Inc. Voice trigger for a digital assistant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10460227B2 (en) 2015-05-15 2019-10-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US20160378747A1 (en)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331312B2 (en)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KR102490548B1 (ko) * 2016-01-25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USD802622S1 (en) * 2016-08-29 2017-11-14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204787B2 (en) 2017-01-09 2021-12-21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K201770429A1 (en) 2017-05-12 2018-12-14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K179549B1 (en) 2017-05-16 2019-02-12 Apple Inc.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US11475898B2 (en) 2018-10-26 2022-10-18 Apple Inc. Low-latency multi-speaker speech recognition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KR20200124948A (ko) 2019-04-25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475884B2 (en) 2019-05-06 2022-10-18 Apple Inc. Reducing digital assistant latency when a language is incorrectly determined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423908B2 (en) 2019-05-06 2022-08-23 Apple Inc. Interpreting spoken requests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US11289073B2 (en) 2019-05-31 2022-03-29 Apple Inc. Device text to speech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DK201970511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496600B2 (en) 2019-05-31 2022-11-08 Apple Inc. Remote execution of machine-learned models
US11360641B2 (en) 2019-06-01 2022-06-14 Apple Inc. Increasing the relevance of new available information
US11468890B2 (en) 2019-06-01 2022-10-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WO2021056255A1 (en) 2019-09-25 2021-04-01 Apple Inc. Text detection using global geometry estimators
CN111556467B (zh) * 2020-03-31 2023-08-08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互联音频播放处理方法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038934B1 (en) 2020-05-11 2021-06-15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755276B2 (en) 2020-05-12 2023-09-12 Apple Inc. Reducing description length based on confidence
US11456006B2 (en) * 2020-05-14 2022-09-27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dio output device type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CN116886967A (zh) * 2021-03-30 2023-10-1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音箱模式下自动开关屏的方法及智能终端、显示设备
USD1019676S1 (en) * 2021-11-19 2024-03-26 Changefly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30111093A (ko) * 2022-01-17 2023-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96364A1 (ko) * 2022-11-04 2024-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호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368B1 (ko) * 2005-12-29 201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오디오 신호 출력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및 그의 운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6257B2 (en) 2001-01-19 2017-12-05 Flexiworld Technologies, Inc. Mobile information apparatus that includes intelligent wireless display, wireless direct display, or transfer of digital content for playing over air the digital content at smart televisions, television controllers, or audio output devices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8295766B2 (en) * 2007-08-31 2012-10-2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multiple pairing of Bluetooth devices
KR20110072650A (ko) * 2009-12-23 201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그리고 오디오 시스템
KR101790042B1 (ko) 2010-04-30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이어폰 운용 방법
WO2012070250A1 (ja) * 2010-11-25 2012-05-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機器
US8774955B2 (en) 2011-04-13 2014-07-08 Google Inc. Audio control of multimedia objects
US9247492B2 (en) 2011-12-29 2016-01-2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network audio control
KR101911252B1 (ko) 2012-08-13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578407B2 (en) 2012-11-30 2017-02-21 Mattel, Inc. Multi-mode audio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KR101483213B1 (ko) 2013-03-29 2015-01-26 주식회사 팬택 오디오 출력경로를 제어하는 단말기 및 단말기 간 오디오 출력경로 제어방법
US10469624B2 (en) 2013-10-07 2019-11-05 Bose Corporation User interface control in a networked audio system
KR102228396B1 (ko) 2014-03-05 202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의 스피커 제어 방법
KR20150104985A (ko) 2014-03-07 2015-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오디오 시스템, 그리고 이의 스피커 제어 방법
US9928029B2 (en) * 2015-09-08 2018-03-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udiovisual feedback
KR102490548B1 (ko) * 2016-01-25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368B1 (ko) * 2005-12-29 2013-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오디오 신호 출력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및 그의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45040A1 (en) 2019-02-07
KR20230012654A (ko) 2023-01-26
US10455073B2 (en) 2019-10-22
US10880425B2 (en) 2020-12-29
US20200014784A1 (en) 2020-01-09
KR20170088675A (ko) 2017-08-02
WO2017131335A1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5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34355B2 (en) Audio content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CN107005739B (zh) 用于基于语音的设备的外部视觉交互
EP3214894B1 (e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changing task-performing subjects
KR102381369B1 (ko)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장치 네트워크 설정 방법
JP6373576B2 (ja) 端末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507161B1 (ko)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275033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869095B1 (ko)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40337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nic device
KR2012009231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JP2013258699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モバイルデバイスを含む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2014519084A (ja) ネットワーク電子機器間のデータ共有方法および装置
CN110996305B (zh) 连接蓝牙设备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TWI559759B (zh) 進度指示列的顯示方法和相關裝置
EP4318199A1 (en) Method for interac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KR20210058908A (ko) 오디오 재생 및 수집 방법, 장치 및 디바이스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37844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
KR20140028267A (ko)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060646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97797B1 (ko) 전자 장치간 트리거 동작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잭 액세서리
KR10219788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5870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40311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