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647B1 - Wearable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Wearable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647B1
KR102489647B1 KR1020210061956A KR20210061956A KR102489647B1 KR 102489647 B1 KR102489647 B1 KR 102489647B1 KR 1020210061956 A KR1020210061956 A KR 1020210061956A KR 20210061956 A KR20210061956 A KR 20210061956A KR 102489647 B1 KR102489647 B1 KR 102489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sor
wearable
fatigue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4427A (en
Inventor
유재관
박정재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9647B1/en
Publication of KR20220154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4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6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20Wo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ome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사용자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 착용부에 내장되며, 착용부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위치 별 신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소프트 센서 및 소프트 센서와 연결되어 측정된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며, 피로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를 분석하는 통합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s, in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wearable by a user, a wearable part worn on the user's body, a soft sensor built into the wearable part and measuring body movement for each position where the wearable part is worn on the user's body, and a soft sensor We propose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that includes an integrated module that measures the user's fatigue using the movement measured in connection with and analyzes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based on the fatigue.

Description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Wearable monitoring system}Wearable monitoring system {Wearabl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ies of a use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part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prior art.

고중량물 또는 많은 양의 중량물을 장시간 운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로도 증가와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장시간 작업을 이어가게 되어 사고 또는 부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으로 물류나 택배 등 물량 증가로 인해 업무 부하가 크게 증가되고 있으며, 관련 종사자들의 부상이나 사고로 인해 발생되는 산재나 인력 손실 등이 현재 사회의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In the case of carrying a heavy weight or a large amount of weight for a long time, the user's fatigue increases and the user continues to work in an incorrect posture for a long time, which can lead to an accident or injury. In addition, recently, with the growth of the e-commerce market, the workload ha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increase in the volume of logistics and parcel delivery, and industrial accidents and manpower loss caused by injuries or accidents of related workers are currently emerging as a major issue in society. .

일반적으로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고 내리거나 운반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가 작업시간을 제외한 작업 관련 정보를 스스로 획득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관리자 역시 개개인의 작업자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when a heavy object is repeatedly lifted, lowered, or transported, it is difficult for a worker to independently obtain work-related information other than working hours. In addition, it is also difficult for managers to grasp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workers, and accordingly,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injuries often occur in workers.

종래에는 IMU, 엔코더 등의 센서를 활용하여 사람의 움직임을 측정하거나, 근전도 센서, 토크 센서, 힘 센서 등을 사용하여 사람의 근력 또는 힘을 측정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상용 센서들은 유연하지 않고 단단한 소재로 제작되어, 유연한 의류와 같은 형태로 통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사람이 착용하는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부수적인 구조와 장치들이 필요하다. 부수적인 구조와 장치들은 착용자의 움직임이 제한을 줄 수 있으며, 착용자로 하여금 불편함과 이질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Conventionally, a person's movement is measured using a sensor such as an IMU or an encoder, or a person's muscular strength or strength is measured using an electromyogram sensor, a torque sensor, or a force sensor. However, most commercial sensors are made of inflexible and hard materials, making it difficult to integrate them into flexible clothing, and additional structures and devices are required to manufacture them in a form worn by a person. Supplementary structures and devices may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wearer, and may cause the wearer to feel discomfort and heterogeneity.

또한, 하나의 시스템이 사용자의 움직임만을 측정하거나, 힘만을 측정하는 등 한 가지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시스템이 복잡하여 통제된 실험 환경이 아닌 실제 작업 환경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one system is used for only one purpose, such as measuring only a user's movement or measuring only force, and the system is complex, making it difficult to use in a real working environment other than a controlled experimental environment.

한국등록특허 제10-1815640호 (2017.12.29)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15640 (2017.12.2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자의 근력 사용 정도에 따른 작업 강도,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작업량 등의 정보를 측정한 후, 작업자에게 피드백을 줌으로써,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과 상해를 예방하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injuries of workers by measuring information such as work intens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muscle power use of the worker and amount of work according to joint movement, and then providing feedback to the worker. there is.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Other non-specifi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착용부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위치 별 상기 신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소프트 센서; 및 상기 소프트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며, 상기 피로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를 분석하는 통합 모듈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wearable by a user, comprising: a wearing unit worn on the user's body; a soft sensor built into the wearable part and measuring movement of the user's body for each position where the wearable part is worn on the user's body; and an integrated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soft sensor, measures the user's fatigue level using the measured motion, and analyzes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based on the fatigue level.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용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며, 상기 통합 모듈이 적어도 하나 장착되는 허리 착용부; 상기 허리 착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상기 소프트 센서가 내장되는 다리 착용부; 및 상기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되며, 상기 소프트 센서가 내장되는 발목 착용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wearing unit is worn on the user's waist and includes a waist wearing unit on which at least one integrated module is mounted; a leg wearable part connected to the waist wearable part and worn on the user's lower body, in which the soft sensor is embedded; and an ankle wearable part worn on the user's ankle and in which the soft sensor is embed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리 착용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뒤쪽의 좌측 또는 우측에 상기 통합 모듈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에 내장되는 상기 소프트 센서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에 내장된 상기 소프트 센서에서 측정된 움직임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의 상기 피로도를 각각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waist wearable part, the integrated module is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ack of the user's waist and is connected to the soft sensor built i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user, respectively, and the integrated module is install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user's wai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gree of fatigue of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user is respectively measured through movements measured by the soft sensor built into the right 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프트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를 측정하는 근경도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무릎 중앙 또는 상기 무릎 중앙의 양 옆에 구비되며, 무릎 관절의 굽힘 동작을 측정하는 무릎 관절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경도 센서 및 상기 무릎 관절 센서는 상기 다리 착용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oft sensor includes: a muscle hardness sensor provid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user's thigh and measuring the hardness of the thigh muscle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And a knee joint senso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ser's knee or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knee and measuring a bending motion of the knee joint, wherein the root hardness sensor and the knee joint sensor are embedded in the leg wearing unit. to be characteriz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근경도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 근력의 세기를 확인하며, 상기 허벅지 근력의 세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작업 강도를 파악하고, 상기 무릎 중앙의 양 옆에 구비되는 상기 무릎 관절 센서의 신호 차이를 이용하여 무릎 관절을 굽힘 동작 시 나타나는 비틀림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grated module checks the strength of the thigh muscle strength of the user using the hardness of the front or rear thigh muscle measured by the muscle hardness sensor, and the user's strength through the strength of the thigh muscle streng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intensity is identified and the torsion occurring during the bending motion of the knee joint is corrected by using the signal difference of the knee joint senso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knee.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프트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발등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목의 굽힘-폄(Flexion-Extension)에 의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발등 관절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복사뼈의 전후 또는 상하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목의 내전-외전(Adduction-Abduction) 또는 내번-외번(Inversion-Eversion)에 의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복사뼈 관절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등 관절 센서 및 상기 복사뼈 관절 센서는 상기 발목 착용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oft sensor includes: an instep joint senso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step of the user and measuring a motion by flexion-extension of the user's ankle; and an ankle joint sensor provided to cross the front and back or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user's ankle, and measur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ankle by adduction-abduction or inversion-eversion. And, the instep joint sensor and the tarsal joint sensor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embedded in the ankle wearing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용부는, 천 재질의 원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실리콘 및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하체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센서는 특정 패턴으로 프린팅된 액체금속 회로를 실리콘으로 봉제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wearing part is formed of a fabric material, includes silicon and a pa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nd is fixed, and includes a fastening part to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ser's lower body, and the soft sens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metal circuit printed in a specific pattern is implemented in a form sewn with silic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허리의 속도와 방향, 중력 및 가속도에 따른 상기 허리의 굽히고 펴는 동작을 측정하는 관성 측정부; 상기 관성 측정부 및 상기 소프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 및 상기 관성 측정부 및 상기 소프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을 전달 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소프트 센서와 도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grated module comprises: an inerti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bending and straightening motion of the user's waist according to the speed, direction, gravity, and acceleration of the user's waist; a signal processing unit measuring and analyzing fatigu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movement measured through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the soft sensor; a location tracking unit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motions measured through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the soft sensor and transmitting the user's position, wherein at least one integration module is provided on the user's waist, and connects the soft sensor and the wir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nected through.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처리부는, (i) 상기 착용부의 다리 착용부의 근경도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에 따른 작업 강도 및 (ii) 상기 다리 착용부의 무릎 관절 센서, 상기 관성 측정부 및 상기 발목 착용부의 발등 관절 센서와 복사뼈 관절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자세 및 작업량을 이용하여 피로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피로도가 일정 피로도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분석하여 상기 작업 중단 알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ignal processing unit comprises (i) work strength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thigh muscles of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user measured by the root hardness sensor of the leg wearable part of the wearable part, and (ii) the knee joint of the leg wearable part. Fatigue is analyzed using the posture and workload of the user according to at least one signal obtained through the sensor,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the instep joint sensor and the ankle joint sensor of the ankle wearable unit, and the analyzed fatigue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of fatigue. In this c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stop notification is generated by analyzing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possibility.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피로도를 통해 분석한 상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작업 중단 알림을 전송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 중단 알림은, 상기 작업 강도 또는 상기 작업량이 일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grated module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unit that transmits a work stop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a musculoskeletal disorder or injury of the user analyzed through the degree of fatigue, and the work stop notification includes the work stop notific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when the intensity or the amount of work exceeds a certain threshold value.

또한,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통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허리의 속도와 방향, 중력 및 가속도에 따른 상기 허리의 굽히고 펴는 동작을 측정하는 관성 측정부; 상기 관성 측정부 및 상기 상용자가 착용한 착용부에 내장된 소프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 및 상기 관성 측정부 및 상기 소프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을 전달 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합 모듈을 제안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module for monitoring the user's condition, inertia for measuring the bending and straightening motion of the user's waist according to the speed, direction, gravity, and acceleration of the user's waist. measuring unit;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degree of fatigu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movement measured through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the soft sensor built into the wearing unit worn by the user; a location tracking unit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motion measured through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the soft sensor and transmitting the user's lo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처리부는, (i) 상기 착용부의 다리 착용부의 근경도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에 따른 작업 강도 및 (ii) 상기 다리 착용부의 무릎 관절 센서, 상기 관성 측정부 및 상기 발목 착용부의 발등 관절 센서와 복사뼈 관절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자세 및 작업량을 이용하여 피로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피로도가 일정 피로도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분석하여 상기 작업 중단 알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ignal processing unit comprises (i) work strength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thigh muscles of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user measured by the root hardness sensor of the leg wearable part of the wearable part, and (ii) the knee joint of the leg wearable part. Fatigue is analyzed using the posture and workload of the user according to at least one signal obtained through the sensor,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the instep joint sensor and the ankle joint sensor of the ankle wearable unit, and the analyzed fatigue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of fatigue. In this c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stop notification is generated by analyzing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possibility.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로도를 통해 분석한 상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작업 중단 알림을 전송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 중단 알림은, 상기 작업 강도 또는 상기 작업량이 일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vibr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work stop notific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order or injury possibility analyzed through the fatigue degree, wherein the work stop notification is at a certain threshold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when it is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천 재질의 원단으로 구성된 착용부를 통해 착용자가 느끼는 이질감 및 저항이 적으며, 착용부에 센서가 통합된 형태로 별도의 기구나 장치 없이 착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sense of difference and resistance felt by the wearer through the wearing part composed of fabric material, and a separate mechanism or device in the form of a sensor integrated into the wearing part. can be worn without

또한, 본 발명은 좌/우 또는 부위 별로 독립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원하는 부위의 동작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easuring only the operation of a desired part because it can be used independently for each part or left/right.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작업 강도와 작업량이 과할 경우 작업자에게 진동으로 피드백을 줄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해 발생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관리자가 파악하여 구조를 실시함에 따라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ive feedback to the operator by vibration when the worker's work intensity and workload are excessive, and when the worker cannot move due to injury, the manager identifies and rescues, thereby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ies. It works.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Even if the effects are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provisional effects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의 착용부의 허리 착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의 착용부의 다리 착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의 착용부의 발목 착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합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ist wearing part of a wearing part of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eg wearable part of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nkle wearable part of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integrated modules of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arable monitoring method by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and first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and similarly,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본 발명은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육체 근로자의 신체 움직임을 모니터링 하여 작업 강도, 작업량 등의 정보를 획득하고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작업자의 실내 위치를 추적하여 상해 발생 시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monitors the body movements of manual workers to obtain information such as work intensity and amount of work, and to provide feedback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ies. In addition,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may facilitate rescue in the event of an injury by tracking a worker's indoor location.

일반적으로 물품을 반복적으로 들고 내리거나 운반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가 작업시간을 제외한 작업 관련 정보를 스스로 획득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관리자 역시 개개인의 작업자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실제로 어느 정도의 근력을 사용하고(작업 강도), 허리를 굽히거나 앉았다 일어나는 등의 행동을 얼마나 반복하는지(작업량) 등의 정보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후 피드백을 줌으로써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과 상해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repeatedly lifting and lowering or transporting items, it is difficult for workers to obtain work-related information on their own, except for working hours, and it is also difficult for managers to grasp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workers. Workers often suffer from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ies. The present invention quantitatively measures information such as how much muscle strength a worker actually uses (work intensity) and how many repetitions of actions such as bending down or sitting down (workload), and then giving feedback to the worker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revent injuri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물류 창고, 공장, 건설 현장 등 다양한 물품을 취급하는 작업 환경에서 작업 강도, 작업량 등 정보를 파악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grasping information such as work intensity and workload in a work environment handling various items such as a distribution warehouse, a factory, and a construction site.

또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파악한 작업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으며,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를 예방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작업자의 실내 위치를 파악하여 상해 발생 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조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can give feedback to workers or managers based on the identified work information, can be used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ies, and can quickly and quickly detect injuries in the event of injury by identifying the indoor location of the worker. The structure can be easily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착용부(100), 소프트 센서(200) 및 통합 모듈(300)을 포함한다.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includes a wearable part 100, a soft sensor 200, and an integrated module 300.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may omit some of the various components exemplarily shown in FIG. 1 or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components.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사용자에 착용 가능할 수 있다.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may be worn by a user.

착용부(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The wearable part 100 may be worn on a user's body.

착용부(100)는 천 재질의 원단으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실리콘 및 패드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하체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part 100 is formed of a cloth material, includes silicon and a pad so that it is closely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user's body, and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ser's lower body.

소프트 센서(200)는 착용부(100)에 내장되며, 착용부(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위치 별 신체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The soft sensor 200 is built into the wearable part 100 and can measure body movements for each position where the wearable part 100 is worn on the user's body.

소프트 센서(200)는 특정 패턴으로 프린팅된 액체금속 회로를 실리콘으로 봉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ft sensor 200 may be implemented by sewing a liquid metal circuit printed in a specific pattern with silicon.

통합 모듈(300)은 좌측 또는 우측에 내장된 소프트 센서(200)에서 측정된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의 상기 피로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The integration module 300 may measure the fatigue of the user's left side or right side, respectively, through the movement measured by the soft sensor 200 built in the left or right side.

통합 모듈(300)은 소프트 센서(200)와 연결되어 측정된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며, 피로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를 분석할 수 있다.The integration module 300 is connected to the soft sensor 200 to measure the user's fatigue using the measured motion, and analyzes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based on the fatigue.

착용부(100)는 허리 착용부(110), 다리 착용부(120) 및 발목 착용부(130)를 포함한다.The wearing part 100 includes a waist wearing part 110 , a leg wearing part 120 and an ankle wearing part 130 .

허리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며, 통합 모듈(300)이 적어도 하나 장착될 수 있다.The waist wearable unit 110 is worn on a user's waist, and at least one integration module 300 may be mounted thereto.

허리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허리 뒤쪽의 좌측 또는 우측에 통합 모듈(300)이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에 내장되는 소프트 센서(20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waist wearable unit 110 may have the integrated module 300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ack of the user's back and connected to the soft sensor 200 embedded in the user's left or right side, respectively.

다리 착용부(120)는 허리 착용부(11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소프트 센서(200)가 내장될 수 있다.The leg wearable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waist wearable part 110 and is worn on the user's lower body, and a soft sensor 200 may be incorporated therein.

소프트 센서(200)는 근경도 센서(210) 및 무릎 관절 센서(220)를 포함한다. 이때, 근경도 센서(210) 및 무릎 관절 센서(220)는 다리 착용부(120) 내장될 수 있다.The soft sensor 200 includes a root hardness sensor 210 and a knee joint sensor 220 . At this time, the root hardness sensor 210 and the knee joint sensor 220 may be embedded in the leg wearer 120 .

근경도 센서(210)는 사용자의 허벅지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며,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muscle stiffness sensor 210 is provid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user's thigh, and can measure the stiffness of the front or rear thigh muscles.

무릎 관절 센서(220)는 사용자의 무릎 중앙 또는 무릎 중앙의 양 옆에 구비되며, 무릎 관절의 굽힘 동작을 측정할 수 있다.The knee joint sensor 22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ser's knee or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knee, and can measure a bending motion of the knee joint.

통합 모듈(300)은 근경도 센서(210)를 통해 측정한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벅지 근력의 세기를 확인하며, 허벅지 근력의 세기를 통해 사용자의 작업 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The integration module 300 checks the strength of the user's thigh muscle strength using the hardness of the front or rear thigh muscles measured by the muscle hardness sensor 210, and can determine the user's work intensity through the strength of the thigh muscle strength. there is.

또한, 통합 모듈(300)은 무릎 중앙의 양 옆에 구비되는 무릎 관절 센서(220)의 신호 차이를 이용하여 무릎 관절을 굽힘 동작 시 나타나는 비틀림을 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odule 300 may correct the torsion that occurs when the knee joint is bent using a signal difference between the knee joint sensors 2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knee.

발목 착용부(130)는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되며, 소프트 센서(300)가 내장될 수 있다.The ankle wearable part 130 is worn on the user's ankle, and the soft sensor 300 may be embedded therein.

소프트 센서(300)는 발등 관절 센서(230) 및 복사뼈 관절 센서(240)를 포함한다.The soft sensor 300 includes an instep joint sensor 230 and an ankle joint sensor 240 .

발등 관절 센서(230)는 사용자의 발등 중앙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발목의 굽힘-폄(Flexion-Extension)에 의한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The instep joint sensor 23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ser's instep, and can measure movement by flexion-extension of the user's ankle.

복사뼈 관절 센서(240)는 사용자의 복사뼈의 전후 또는 상하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사용자의 발목의 내전-외전(Adduction-Abduction) 또는 내번-외번(Inversion-Eversion)에 의한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The malleolus joint sensor 240 is provided to cross the front and back or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user's ankle, and can measure the movement of the user's ankle by adduction-abduction or inversion-eversion. there is.

통합 모듈(300)은 관성 측정부(310), 신호 처리부(320), 위치 추적부(330), 통신부(340) 및 진동부(350)를 포함한다. 통합 모듈(300)은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odule 300 includes an inertia measurement unit 310, a signal processing unit 320, a location tracking unit 330, a communication unit 340 and a vibration unit 350. The integrated module 300 may omit some of the various components exemplarily shown in FIG. 1 or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components.

관성 측정부(310)는 사용자의 허리의 속도와 방향, 중력 및 가속도에 따른 허리의 굽히고 펴는 동작을 측정할 수 있다.The inertia measurement unit 310 may measure the bending and straightening motion of the user's waist according to the speed and direction, gravity, and acceleration of the user's waist.

신호 처리부(320)는 관성 측정부(310) 및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may measure and analyze the user's fatigue according to the movement measured through the inertia measuring unit 310 and the soft sensor 200 .

통합 모듈(300)은 사용자의 허리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소프트 센서(200)와 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one integration module 300 is provided on the user's waist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oft sensor 200 through a conducting wire.

신호 처리부(320)는 (i) 착용부(100)의 다리 착용부(120)의 근경도 센서(210)를 통해 측정한 사용자의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에 따른 작업 강도 및 (ii) 다리 착용부(120)의 무릎 관절 센서(220), 관성 측정부(310) 및 발목 착용부(130)의 발등 관절 센서(230)와 복사뼈 관절 센서(240)를 통해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 및 작업량을 이용하여 피로도를 분석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is configured to (i) work intensity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user's front or back thigh muscles measured through the root hardness sensor 210 of the leg wearable part 120 of the wearable part 100 and (ii) In at least one signal obtained through the knee joint sensor 220 of the leg wearer 120,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310, and the instep joint sensor 230 and ankle joint sensor 240 of the ankle wearer 130 Fatigue can be analyzed using the user's posture and amount of work.

신호 처리부(320)는 분석된 피로도가 일정 피로도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분석하여 작업 중단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or 320 may generate a work stop notification by analyzing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possibility when the analyzed fatigue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of fatigue.

위치 추적부(330)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The location tracker 330 may track a user's location.

통신부(340)는 관성 측정부(310) 및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을 전달 받으며, 사용자의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40 may receive motion measured through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310 and the soft sensor 200 and transmit the user's location.

진동부(350)는 피로도를 통해 분석한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작업 중단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중단 알림은 작업 강도 또는 작업량이 일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생성될 수 있다.The vibrator 350 may transmit a work stop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a musculoskeletal disorder or injury of the user analyzed through the degree of fatigue. Here, the work stop notification may be generated when work intensity or work amount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체 동작 분석을 위한 종래 기술은 인체에 부착하는 기계 관절과 같은 장치들 또는 인체 동작을 관측하는 카메라, 음파/자기장 발생장치 등의 별도 장비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인체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방해하고, 장소를 이동해가며 활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측정 장소에 제약이 많다. 따라서 종래 기술을 활용해 실제 현장에서 작업자의 인체 동작을 분석하기는 어렵다. 반면,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의류(혹은 보호대)와 같은 형태로 착용하기만 하면 착용자의 위치와 인체 동작을 측정할 수 있어 착용자가 장소를 바꾸어가며 작업하더라도 작업자의 인체 동작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Conventional techniques for analyzing human body motion require devices such as mechanical joints attached to the human body, or separate equipment such as a camera for observing human body motion, and a sound wave/magnetic field generating device. Since these devices interfere with the free movement of the human body and are difficult to use while moving from place to place,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measurement plac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nalyze a human body motion of a worker in an actual field using the prior art. On the other hand,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can measure the wearer's position and human body motion simply by wearing it in the same form as clothing (or guard), so even if the wearer works while changing places,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operator's human body motion Do.

따라서,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인체 동작 분석을 가능하게 하므로 작업 중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을 사전에 분석하고 작업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since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enables analysis of human body motions of workers at work sites, it is possible to analyze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injuries during work in advance and give feedback to workers.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육체 근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현된 시스템이다. 이에,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착용부(100), 소프트 센서(200) 및 통합 모듈(300)로 구현될 수 있다.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is a system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injuries of physical workers. Accordingly,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with the wearable part 100 , the soft sensor 200 and the integrated module 300 .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작업자의 작업 강도, 작업량, 실내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허리, 허벅지/무릎 및 발목에 착용된 각각의 착용부가 연결되어 하나의 하반신 전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can determine the worker's work intensity, workload, indoor location, etc., and can configure one entire lower body system by connecting each wearable part worn on the waist, thigh/knee, and ankle.

허리 착용부(110)는 허리 벨트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aist wearing unit 110 may be implement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waist bel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허리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허리 뒤쪽에서 통합 모듈(30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리 착용부(110)는 허리 뒤쪽에 2개의 통합 모듈(300)이 구비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좌우 양쪽에 구비되어 다리 착용부(120) 및 발목 착용부(130) 각각의 좌/우에 구비되는 소프트 센서(2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waist wearable part 110 may be coupled with the integration module 300 at the back of the user's waist. For example, the waist wearable part 110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wo integrated modules 300 are provided at the back of the waist, and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g wearable part 120 and the ankle wearable part 130, respectively. / It can be connected to the soft sensor 200 provided on the right.

다리 착용부(120)는 사용자의 허벅지와 무릎에 착용되며, 소프트 센서(200)가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리 착용부(120)는 사용자의 무릎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위와 아래까지 덮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leg wearable part 120 is worn on the user's thighs and knees, and a soft sensor 200 may be incorporated therein. Specifically, the leg wearable part 120 may be implemented to cover a certain range above and below the user's knee.

다리 착용부(120)에 내장되는 소프트 센서(200)는 근경도 센서(210) 및 무릎 관절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ft sensor 200 embedded in the leg wearer 120 may include a root hardness sensor 210 and a knee joint sensor 220 .

발목 착용부(130)는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되며, 소프트 센서(200)가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목 착용부(130)는 사용자의 발목을 포함하도록 사용자의 발 전체에 덮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ankle wearable part 130 is worn on the user's ankle, and the soft sensor 200 may be embedded therein. Specifically, the ankle wearing unit 130 may be implemented to cover the entire foot of the user to include the user's ankle.

발목 착용부(130)에 내장되는 소프트 센서(200)는 발등 관절 센서(230) 및 복사뼈 관절 센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ft sensor 200 embedded in the ankle wearer 130 may include an instep joint sensor 230 and an ankle joint sensor 240 .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여러 명의 작업자가 각각 본 발명품을 착용하고 작업을 하면, 각 인원에 대한 작업 강도, 작업량, 실내 위치 데이터가 측정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작업 강도나 작업량이 과하다고 판단되면 통합 모듈(300)이 진동부(350)를 통해 진동을 일으켜 작업자에게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 센서(200) 및 통합 모듈(30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무선 통신으로 관리 시스템에 전송되어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다.In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when several workers wear the present invention and work, work intensity, workload, and indoor location data for each worker can be measured. At this time, each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may transmit feedback to the operator by causing the integrated module 300 to vibrate through the vibration unit 3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 intensity or workload is excessive. In addition, the data measured by the soft sensor 200 and the integrated module 300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ystem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monitor 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의 착용부의 허리 착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aist wearing part of a wearing part of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허리 착용부(110)는 허리를 둘러싸며, 천 재질의 원단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waist wearing unit 110 surrounds the waist and may be made of a cloth material.

허리 착용부(110)는 통합 모듈(300)이 결합될 수 있다.The integrated module 300 may be coupled to the waist wearable part 110 .

도 3을 참조하면, 허리 착용부(110)는 허리 뒤쪽에 2개의 통합 모듈(300)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합 모듈(300)이 구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waist wearable unit 110 is illustrated as having two integrated modules 300 at the back of the wais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at least one integrated module 300 is provided. can

허리 착용부(110)는 허리 뒤쪽 별도의 끈을 통해 다리 착용부(120)와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waist wearable part 110 may be implemented to be connected to the leg wearable part 120 through a separate string behind the wais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허리 착용부(110)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는 벨크로, 벨트, 지퍼, 똑딱이 단추 등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waist wearable par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stening part so as to be detachable.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may be implemented as Velcro, a belt, a zipper, a snap button, et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a detachable form.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의 착용부의 다리 착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eg wearable part of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착용부의 전면과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leg wear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리 착용부(120)는 천 재질의 원단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무릎과 허벅지를 감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leg wearable part 120 may be made of fabric, and may be implemented to cover the user's knees and thighs.

구체적으로, 다리 착용부(120)는 천 재질의 원단(122)으로 구현되며, 천 재질의 원단(122)에 마찰 증대용 실리콘(124) 및 마찰력 패드(126)가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eg wear unit 120 is implemented with a fabric 122 made of a cloth material, and a silicone 124 for increasing friction and a friction pad 126 may be provided on the fabric 122 made of a cloth material.

도 4를 참조하면, 다리 착용부(120)의 전면에는 마찰 증대용 실리콘(124)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다리 착용부(120)의 후면에는 마찰력 패드(1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마찰 증대용 실리콘(124) 및 마찰력 패드(126)는 천 재질의 원단(122)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고 밀리거나, 쓸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silicone 124 for friction increas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g wear part 120, and a friction pad 126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eg wear part 120. At this time, the silicone for increasing friction 124 and the friction pad 126 may adhere the fabric 122 made of cloth to the user's body and fix it so as not to be pushed or rubbed.

다리 착용부(120)는 소프트 센서(200)가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리 착용부(120)에 내장되는 소프트 센서(200)는 근경도 센서(210) 및 무릎 관절 센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g wearable part 120 may have a soft sensor 200 embedded therein. Specifically, the soft sensor 200 embedded in the leg wearer 120 may include a root hardness sensor 210 and a knee joint sensor 220 .

도 4를 참조하면, 근경도 센서(210)는 다리 착용부(120)를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근경도 센서(210)는 전면 근경도 센서(212) 및 후면 근경도 센서(21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when the leg wearable part 120 is worn on the user's leg, the near longitude sensor 210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on the user's thigh, and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The near longitude sensor 210 may include a front near longitude sensor 212 and a back near longitude sensor 214 .

전면 근경도 센서(212)는 사용자의 무릎에서 일정 부분 위쪽 허벅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내장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ront near longitude sensor 212 may be built in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thigh above a certain portion of the user's kne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전면 근경도 센서(212)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 증대용 실리콘(124)이 형성되는 부분에 내장될 수 있다.The front near-hardness sensor 212 may be embedded in a portion where the silicone 124 for increasing friction is formed to prevent movement by a user's movement.

전면 근경도 센서(212)는 허벅지 근육 Vasti(VA)의 경도를 측정하며, 이를 통해 허벅지 근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허벅지 근육 Vasti(VA)는 허벅지 앞쪽 부분의 근육을 나타낸다.The front muscle hardness sensor 212 measures the hardness of the thigh muscle Vasti (VA), and through this, the strength of the thigh muscle strength can be measured. Here, the thigh muscle Vasti (VA) represents the muscle of the front part of the thigh.

후면 근경도 센서(214)는 사용자의 다리 오금 부분에서 일정 부분 위쪽에서 좌측 또는 우측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내장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후면 근경도 센서(214)가 한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내장되는 것은 사용자가 허벅지 근육에 힘을 주었을 경우, 근육의 경도 변화가 두드러지는 부분에 내장한 것이다.The rear near longitude sensor 214 may be built in so as to be biased to one side of the left or right side above a certain portion in the crook of the user's le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Specifically, the reason why the rear muscle hardness sensor 214 is built in such a way that it is biased to one side is that it is built in a part where a change in muscle hardness is noticeable when a user applies force to the muscle of the thigh.

따라서, 전면 근경도 센서(212)는 허벅지 앞쪽을 지나가는 Vasti(VA)와 Rectus femoris(RF) 두 근육을 타겟으로 하고 있으며, 후면 근경도 센서(214)는 허벅지 뒤쪽으로 지나가는 Hamstrings(HA)를 타겟으로 하고 있다.Therefore, the anterior musculoskeletal sensor 212 targets the Vasti (VA) and Rectus femoris (RF) muscles passing through the front of the thigh, and the posterior musculoskeletal sensor 214 targets the Hamstrings (HA) passing through the back of the thigh. is doing

후면 근경도 센서(214)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에 구현된 마찰력 패드(126)가 형성되는 부분에 내장될 수 있다.The rear near-hardness sensor 214 may be embedded in a portion where the friction pad 126 implemented on the rear surface is formed to prevent movement by a user's movement.

후면 근경도 센서(214)는 허벅지 근육 Hamstrings(HA)의 경도를 측정하며, 이를 통해 허벅지 근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허벅지 근육 Hamstrings(HA)은 허벅지 뒤쪽의 근육을 나타낸다.The rear muscle strength sensor 214 measures the hardness of the thigh muscle Hamstrings (HA), and through this, the strength of the thigh muscle strength can be measured. Here, the thigh muscle Hamstrings (HA) represents the muscles of the back of the thigh.

근경도 센서(210)는 전면 근경도 센서(212) 및 후면 근경도 센서(214)를 사용자의 다리 전면과 후면에 각각 내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허벅지 근육의 경도를 측정하도록 천 재질의 원단(122)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내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muscle hardness sensor 210 is shown as having a front muscle hardness sensor 212 and a rear muscle hardness sensor 214 built into the front and back of the user's leg, respective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easures the hardness of the thigh muscles. It may be formed to be embedded at least one or more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fabric 122 made of cloth material so as to do so.

도 4를 참조하면, 무릎 관절 센서(220)는 전면에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무릎 관절 센서(220)는 사용자의 무릎 중앙부와, 그 양 옆에 각각 구비되어 총 3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릎 관절의 굽힘 동작을 측정하도록 천 재질의 원단(12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내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ree knee joint sensors 22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The knee joint sensor 220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ser's knee and on both sides thereof, and is shown as having a total of thre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fabric material 122 made of cloth to measure the bending motion of the knee joint. ) It may be formed to be embedded in at least one or more.

무릎 관절 센서(220)는 무릎 중앙부에 위치하고, 무릎 중앙의 양 옆쪽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통합 모듈(300)은 무릎 중앙부에 구비되는 무릎 관절 센서(220)를 통해 획득한 센서 값으로 무릎 동작의 굽힘 동작을 측정하고, 무릎 중앙의 양 옆쪽에 구비되는 무릎 관절 센서(220)를 통해 획득한 센서 값으로 각각의 두 신호 차이를 이용하여 무릎 관절의 굽힘 동작 시 미세한 비틀림을 보정할 수 있다.The knee joint sensors 220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knee and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knee,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integration module 300 measures the bending motion of the knee motion with the sensor value obtained through the knee joint sensor 220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knee, and the knee joint sensors 2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knee.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als with the sensor value obtain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fine twist during the bending motion of the knee joi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 착용부의 전면, 내측면, 외측면 및 후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front, inner, outer and rear surfaces of the leg wearabl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5를 참조하면, 다리 착용부(120)에 구성된 체결부(127)는 지퍼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 사용자의 다리 둘레와 상관없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27)는 다리 착용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5 , the fastening part 127 configured in the leg wearable part 120 is shown t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zipper, and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elastic force so that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regardles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s leg. At this time, the fastening part 12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g wear part 1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다리 착용부(120)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는 벨크로, 벨트, 지퍼, 똑딱이 단추 등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leg wearable part 120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so as to be detachable.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may be implemented as Velcro, a belt, a zipper, a snap button, et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a detachable form.

도 5를 참조하면, 다리 착용부(120)는 복수의 손잡이(12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손잡이(128)는 허벅지 상부 손잡이(128a), 무릎 상부 손잡이(128b) 및 무릎 하부 손잡이(128c)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5 , the leg wearable par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andles 128 .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handles 128 may include upper thigh handles 128a, upper knee handles 128b, and lower knee handles 128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허벅지 상부 손잡이(128a)는 사용자의 허벅지 상부에 형성되고, 무릎 상부 손잡이(128b)는 사용자의 무릎 상부에 형성되며, 무릎 하부 손잡이(128c)는 사용자의 무릎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손잡이(128) 각각은 무릎 관절 센서(220)와 연결된 연결선을 통과시켜 정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upper thigh handle 128a may be formed above the user's thigh, the upper knee handle 128b may be formed above the user's knee, and the lower knee handle 128c may be formed below the user's knee.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handles 128 may play a role of arranging by passing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knee joint sensor 220 .

다리 착용부(120)는 외측면에 근경도 센서(210) 및 무릎 관절 센서(220)와 연결된 연결선(129)이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연결선(129)은 근경도 센서 연결선(129a)과 무릎 관절 센서 연결선(129b)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비되는 센서에 따라 서로 다른 연결선을 형성할 수 있다.A connection line 129 connected to the rhizome sensor 210 and the knee joint sensor 220 may pass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leg wearable part 12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line 129 connects the rhizome sensor connection line 129a and the knee A joint sensor connection line 129b may be included, and different connection lines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ensors provided.

연결선(129)은 통합 모듈(300)과 연결되어 근경도 센서(210) 및 무릎 관절 센서(220) 각각에서 측정한 값을 통합 모듈(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다리 착용부(120)는 연결선(129)을 포함하지 않고 무선으로 통합 모듈(300)에 센서 값을 전달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line 129 may b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odule 300 and transmit values measured by the rhizome sensor 210 and the knee joint sensor 220 to the integrated module 300 . In this case, the leg wearable part 120 may wirelessly transmit the sensor value to the integration module 300 without including the connection line 129 .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의 착용부의 발목 착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ankle wearable part of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목 착용부(130)는 천 재질의 원단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목과 발등 및 발바닥을 감싸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ankle wearing unit 130 may be made of a cloth material, and may be implemented to cover the user's ankle, instep, and sole.

구체적으로, 발목 착용부(130)는 천 재질의 원단(132)으로 구현되며, 천 재질의 원단(132)에 마찰 증대용 실리콘(134) 및 마찰력 패드(136)가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nkle wearing unit 130 is implemented with a fabric 132 made of a cloth material, and a silicon 134 for increasing friction and a friction pad 136 may be provided on the fabric 132 made of a cloth material.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발목 착용부(130)의 후면에는 마찰 증대용 실리콘(134)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발목 착용부(130)의 양 측면에는 마찰력 패드(13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은 사용자의 아킬레스 건이 위치하는 면을 나타내며, 양 측면은 후면과 연결되어 발등을 감싸는 부분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a silicone 134 for increasing frictio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nkle wearable part 130, and friction pads 136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nkle wearable part 130. there is. Here, the back side represents a side where the user's Achilles tendon is located, and both side surfaces are connected to the back side and represent a portion surrounding the instep.

마찰 증대용 실리콘(134) 및 마찰력 패드(136)는 천 재질의 원단(132)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시키고 밀리거나, 쓸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The silicone for increasing friction 134 and the friction pad 136 may adhere the fabric material 132 to the user's body and fix it so as not to be pushed or rubbed.

발목 착용부(130)는 소프트 센서(200)가 내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목 착용부(130)에 내장되는 소프트 센서(200)는 발등 관절 센서(230) 및 복사뼈 관절 센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ft sensor 200 may be embedded in the ankle wearable part 130 . In detail, the soft sensor 200 embedded in the ankle wearer 130 may include an instep joint sensor 230 and an ankle joint sensor 240 .

발등 관절 센서(230)는 발등 중앙부에 위치하는 센서로, 발목의 굽힘-폄(Flexion-Extension)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굽힘-폄(Flexion-Extension)은 발의 위쪽면(발등)과 아래 다리의 앞쪽면 사이의 각이 감소, 증가 하는 움직임을 나타낸다.The instep joint sensor 230 is a senso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instep and can measure the flexion-extension movement of the ankle. Here, flexion-extension represents a movement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oot (instep) and the front side of the lower leg decreases or increases.

복사뼈 관절 센서(240)는 복사뼈를 전후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제1 복사뼈 관절 센서(242) 및 복사뼈를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제2 복사뼈 관절 센서(2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lleolus joint sensor 240 may include a first malleolus joint sensor 242 positioned to cross the malleolu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second malleolus joint sensor 244 positioned to cross the malleolus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 복사뼈 관절 센서(242)는 발목의 내전-외전(Adduction-Abduction)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내전-외전(Adduction-Abduction)은 각각 내전과 외전을 나타낸다. 발의 외전은 중심선 또는 수직축에 대해 바깥으로 돌아가는 것을 나타내며, 발의 내전은 중심선 또는 수직축에 대해 안쪽으로 돌아가는 것을 나타낸다.The first malleolus joint sensor 242 may measure an adduction-abduction motion of the ankle. Here, adduction-abduction refers to adduction and abduction, respectively. Abduction of the foot indicates an outward rotation of the centerline or vertical axis, and adduction of the foot indicates an inward rotation of the centerline or vertical axis.

제2 복사뼈 관절 센서(244)는 발목의 내번-외번(Inversion-Eversion)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내번-외번(Inversion-Eversion)에서, 외번은 발목을 중립자세가 되게 하고 발을 바깥쪽면으로 구부리는 것을 나타내며, 내번은 발목을 중립자세가 되게 하고 발을 안쪽면으로 구부리는 것을 나타낸다.The second malleolus joint sensor 244 may measure an inversion-eversion motion of the ankle. Here, in inversion-eversion, eversion represents bringing the ankle into a neutral posture and bending the foot to the outside, and inversion represents bringing the ankle into a neutral posture and bending the foot to the insid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motion of an an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는 발목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Figure 8 (a) shows a state without movement of the ankle.

도 8의 (b)는 발목의 발의 위쪽면과 아래 다리의 앞쪽면 사이의 각이 증가하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이때, 도 8의 (b)와 같은 움직임은 발등 관절 센서(230)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Figure 8 (b) shows a movement in which the angl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of the ankl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leg increases. At this time, the movement as shown in (b) of FIG. 8 may be measured through the instep joint sensor 230.

도 8의 (c)는 발이 중심선 또는 수직축에 대해 안쪽으로 돌아가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이때, 도 8의 (c)와 같은 움직임은 제1 복사뼈 관절 센서(242)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Figure 8 (c) shows the movement of the foot turning in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r vertical axis. At this time, the movement as shown in (c) of FIG. 8 may be measured through the first malleolus joint sensor 242 .

도 8의 (d)는 발목이 중립자세에서 발을 안쪽면으로 구부리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이때, 도 8의 (d)와 같은 움직임을 제2 복사뼈 관절 센서(244)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Figure 8 (d) shows the movement of the ankle bending the foot inward in a neutral posture. At this time, the movement as shown in (d) of FIG. 8 may be measured through the second malleolus joint sensor 244 .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합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integrated modules of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합 모듈(300)은 관성 측정부(310), 신호 처리부(320), 위치 추적부(330), 통신부(340) 및 진동부(350)를 포함한다. 통합 모듈(300)은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module 300 includes an inertia measurement unit 310, a signal processing unit 320, a location tracking unit 330, a communication unit 340 and a vibration unit 350. The integration module 300 may omit some components or additionally include other components among various components shown as example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통합 모듈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며, 도 9의 (b)는 통합 모듈을 분해한 형상을 나타낸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shows the overall shape of the integrated module, and FIG. 9(b) shows the disassembled shape of the integrated module.

도 9를 참조하면, 통합 모듈(300)은 본체부(370)에 복수의 구성 요소들이 구비되어 커버(380)를 통해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integration module 300 may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by hav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provided in the main body 370 and blocking them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380 .

이때, 메인 PCB에는 관성 측정부(310), 신호 처리부(320), 위치 추적부(330), 통신부(340)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main PCB may include an inertia measurement unit 310, a signal processing unit 320, a location tracking unit 330, a communication unit 340, and the lik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PCB는 도 10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CB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10 .

또한, 통합 모듈(300)은 배터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360)는 메인 PCB가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원 스위치(374)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360 . At this time, the battery 360 may supply power so that the main PCB operates, and may be charged through the power switch 374.

통합 모듈(300)의 커버(380)에는 상태 LED(38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상태를 LED 색상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LED(382)는 배터리 부족과 같은 통합 모듈(30) 자체 문제에 따른 상태를 나타내거나, 사용자의 작업 강도 또는 작업량이 과한 경우에 따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A status LED 382 may be formed on the cover 380 of the integrated module 300, and various states may be indicated through LED colors. For example, the status LED 382 may indicate a state according to a problem of the integrated module 30 itself, such as low battery, or a state according to a user's work intensity or workload.

위치 추적부(330)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작업 중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The location tracking unit 330 may track the user's location, and may be used to check the user's location when a problem occurs while the user is working.

진동부(350)는 사용자의 작업 강도 또는 작업량이 과한 경우 진동을 통해 피드백을 줄 수 있다. 이때, 진동부(350)는 진동 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vibrator 350 may give feedback through vibration when the user's work intensity or workload is excessive. In this case, the vibration unit 350 may be implemented as a vibration moto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capable of giving feedback to a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2개의 통합 모듈(300)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허리 뒤쪽 허리 착용부(110)의 좌/우에 부착되어 좌/우 각각에 위치한 소프트 센서(200)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합 모듈(300)과 소프트 센서(20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includes two integrated modules 300, and is attached to the left/right side of the waist wearable part 110 behind the user's waist, and the software located on the left/right side respectively.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s 200 . In this case, the integrated module 300 and the soft sensor 200 may b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모듈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functions of an integrate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통합 모듈(300)은 전원 스위치가 입력되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integrated module 300 may perform an operation when a power switch is input.

관성 측정부(310)는 사용자의 허리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The inertia measuring unit 310 may measure the movement of the user's wa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성 측정부(310)는 IMU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MU는 속도와 방향, 중력,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310 may be implemented as an IMU,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IMU can measure speed, direction, gravity, and acceleration.

신호 처리부(320)는 전체 시스템의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관성 측정부(310)를 통해 측정한 허리의 움직임과,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허벅지, 무릎, 발목 등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의 작업 강도 또는 작업량을 확인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is a device that processes signals of the entire system, and measures the movement of the waist measured through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310 and the movements of the thighs, knees, ankles, etc., measured through the soft sensor 20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user's work intensity or workloa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320)는 MCU(WTM3F)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may be implemented as an MCU (WTM3F),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위치 추적부(330)는 실내 위치 추적을 할 수 있으며, 통신부(34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location tracking unit 330 may perform indoor location tracking, and the communication unit 340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추적부(330) 및 통신부(340)는 UWB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UWB, 블루투스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WB는 단거리 구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tracking unit 3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340 may be implemented as a UWB module and may perform UWB,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lik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UWB can transmit data over a short d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320)는 사용자의 피로도를 분석하고, 분석된 피로도에 따른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부(320)는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각각 분석하여 작업 중단 알림을 생성하여 진동부(350)에 작업 중단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may analyze a user's fatigue level and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according to the analyzed fatigue level. 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may generate a work stop notification by analyzing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order or injury possibility, and transmit the work stop notification to the vibration unit 3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작업 동선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 거리와 방문하는 구역에 따른 작업 종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 허벅지의 근경도 센서(210)를 통해 측정한 값을 통해 사용자가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작업 중 얼마나 강한 힘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작업 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허리와 무릎 및 발목 관절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가 어떤 자세를 몇 회 반복하는지에 따라 자세 및 작업량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상술한 파악한 정보를 점수로 변환하고 합산하여 피로도에 해당하는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피로도는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analyzes the work movement line to determine the type of work according to the user's moving distance and the area visited, and the root hardness of the user's thigh is measured through the sensor 210 Through one value, the work intensity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how strong the user is using during the work of lifting a heavy object. In addition, the posture and amount of work can be grasp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a certain posture by the user through movements of the waist, knee, and ankle joints. Therefore,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may calculate a scor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fatigue by converting and summing the above-identified information into a score. Fatigue can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Figure 112021055441400-pat00001
Figure 112021055441400-pat00001

상술한 수학식 1을 참조하면, Score피로도는 피로도에 해당하는 점수를 합산한 값을 나타낸다. S이동거리는 이동 거리에 따른 피로도를 나타내고, S작업 강도는 작업 강도에 따른 피로도를 나타내며, S작업량은 작업량에 따른 피로도를 나타낸다. 또한, X는 소프트 센서(200) 또는 위치 추적부(330)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내고, T작업 종류는 작업 종류에 따른 변수를 나타내며, C는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계수를 나타낸다. 또한, F와 G는 사전에 정의된 함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T작업 종류는 작업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변수이다. 이때, 작업 종류는 중량물의 무게, 이동 거리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1 above, Score fatigue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summing scores corresponding to fatigue. S movement distance represents fatigue according to movement distance, S work intensity represents fatigue according to work intensity, and S workload represents fatigue according to workload. In addition, X represents a value measured through the soft sensor 200 or location tracking unit 330, T work type represents a variable according to the work type, and C represents a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effect on fatigue. Also, F and G represent predefined functions. Here, T task type is a variable preset according to the task type. At this time, the type of work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the moving distance, and the like.

구체적으로, F는 두 변수 X와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S 를 도출하는 함수를 나타내며, 이는 계수 C와 X, 함수 G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함수 G는 변수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값을 도출하는 함수이며, 사전에 수집한 데이터로 정의하는 함수이다.Specifically, F represents a function that derives S by receiving two variables X and T, the type of work , as factors, and can be expressed as the product of coefficients C, X, and function G. Here, the function G is a function that derives a value by receiving the variable T type of work as an argument, and is defined with data collected in advance.

따라서, S이동 거리는 위치 추적부(330)를 통해 측정한 이동 거리 값을 나타내는 X이동 거리와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S이동 거리를 도출하는 함수 F1에 의해 산출되며, 이는 이동 거리가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계수와 위치 추적부(330)를 통해 측정한 이동 거리 값과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값을 도출하는 함수 G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S movement distance is calculated by a function F 1 that derives the S movement distance by receiving the X movement distance representing the movement d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location tracking unit 330 and the type of work T as factors, which is It can be calculated by a function G that derives a value by receiving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effect on fatigue, the movement distance value measured through the location tracking unit 330, and the type of work T as factors.

S작업 강도는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내는 X작업 강도와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S작업 강도를 도출하는 함수 F2에 의해 산출되며, 이는 작업 강도가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계수와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센서 값과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값을 도출하는 함수 G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X작업 강도는 소프트 센서(200)의 근경도 센서(210)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S work intensity is calculated by a function F 2 that derives the S work intensity by receiving the X work intensity and T work type , which represent values measured through the soft sensor 200, as factors, which is related to the effect of work intensity on fatigue. It can be calculated by a function G that derives a value by receiving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soft sensor 200 and the type of operation T as factors. At this time, the work intensity X may be calculated using the near hardness sensor 210 of the soft sensor 200.

S작업량은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내는 X작업량과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S작업량을 도출하는 함수 F3에 의해 산출되며, 이는 작업량이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계수와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센서 값과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값을 도출하는 함수 G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X작업량은 소프트 센서(200)의 무릎 관절 센서(220), 발등 관절 센서(230) 및 복사뼈 관절 센서(240)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S workload is calculated by a function F 3 that derives the S workload by receiving the X workload representing the value measured through the soft sensor 200 and the type of T work as factors, which is a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effect of workload on fatigue and soft It can be calculated by a function G that derives a value by receiving the sensor value measured through the sensor 200 and the type of task T as factors. In this case, the X workload may be calculated using the knee joint sensor 220, the instep joint sensor 230, and the ankle joint sensor 240 of the soft sensor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환경에서,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착용한 후, 데이터를 수집하여 (i) 어느 정도의 작업 강도로 얼마만큼의 작업량을 수행할 때 상해 발생이 잦은지 또는 (ii) 작업 시 어떤 자세가 사용자에게 부담이 적은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작업 강도, 작업량의 임계치와 기본 자세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작업 중 임계치를 넘는 정도와 기본 자세를 벗어나는 정도에 따라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수학식 2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working environment, after being worn by a user,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collects data to determine (i) how much work is done at what intensity and how much injury occurs. It is possible to analyze whether it is frequent or (ii) which posture is less burdensome to the user during work.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et the threshold of work intensity, workload and basic posture. Thereafter, the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ease and injury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ceeding the threshold value and the degree of deviation from the basic posture during work, which can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2.

Figure 112021055441400-pat00002
Figure 112021055441400-pat00002

상술한 수학식 2에서, Probability상해는 상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값을 나타낸다. P작업 강도는 작업 강도에 따른 상해 가능성을 나타내며, P작업량은 작업량에 따른 상해 가능성을 나타내고, P자세는 자세에 따른 상해 가능성을 나타낸다. 또한, Xcritical는 위험한 값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Xcritical 이동 거리, 작업량에 따른 위험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C4는 작업 강도가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계수를 나타내고, C5는 작업량이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계수를 나타내며, C6는 자세가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계수를 나타낸다.In Equation 2 above, Probability injury represents a value re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injury. P work intensity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injury according to work intensity, P work amount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injury according to work amount, and P posture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injury according to posture. Also, X critical represents a critical value. Specifically, it may be a preset value as a dangerous criterion value according to the X critical movement distance and workload. C 4 represents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effect of work intensity on the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y, C 5 represents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effect of workload on the likelihood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y, and C 6 represents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effect of posture on the likelihood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y. Indicates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effect.

따라서, P작업 강도는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내는 X작업 강도와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P작업 강도를 도출하는 함수 F4에 의해 산출되며, 이는 작업 강도가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계수를 나타내는 C4와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X작업 강도와 작업 강도에 따른 위험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미리 설정된 X작업 강도critical을 뺀 값과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값을 도출하는 함수 G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X작업 강도는 소프트 센서(200)의 근경도 센서(210)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refore, P work intensity is calculated by a function F 4 that derives P work intensity by receiving X work intensity and T work type , which represent values measured through the soft sensor 200, as factors, which indicates that the work intensity is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 X work intensity measured through C 4 and the soft sensor 200, which represents the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effect on the possibility of injury, and the value that is the dangerous criterion according to the work intensity,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eset X work intensity critical and the type of T work It can be calculated by a function G that takes as a factor and derives a value. At this time, the work intensity X may be calculated using the near hardness sensor 210 of the soft sensor 200.

P작업량은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내는 X작업량과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P작업량을 도출하는 함수 F5에 의해 산출되며, 이는 작업량이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계수를 나타내는 C5와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X작업량과 작업량에 따른 위험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미리 설정된 X작업향critical을 뺀 값과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값을 도출하는 함수 G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X작업량은 소프트 센서(200)의 무릎 관절 센서(220), 발등 관절 센서(230) 및 복사뼈 관절 센서(240)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P workload is calculated by a function F 5 that derives the P workload by receiving the X workload representing the value measured through the soft sensor 200 and the type of T work as factors, which is A function that derives a value by receiving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eset X work direction critical as a value that is a dangerous criter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X work measured through C 5 and the soft sensor 200 and the work type T as factors It can be calculated by G. In this case, the X workload may be calculated using the knee joint sensor 220, the instep joint sensor 230, and the ankle joint sensor 240 of the soft sensor 200.

P작업 강도와 P작업량은 각각 X작업 강도가 X작업 강도critical보다 큰 경우에 계산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P work intensity and P work amount may be calculated when X work intensity is greater than X work intensity critical , respectively,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P자세는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내는 X자세와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P자세를 도출하는 함수 F6에 의해 산출되며, 이는 자세가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계수를 나타내는 C6과 소프트 센서(200)를 통해 측정한 X자세와 사용자의 기본 자세로 미리 설정된 X기본 자세를 뺀 값과 T작업 종류를 인자로 받아 값을 도출하는 함수 G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X자세는 소프트 센서(200)의 무릎 관절 센서(220), 발등 관절 센서(230) 및 복사뼈 관절 센서(240)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P posture is calculated by a function F 6 that derives the P posture by receiving the X posture and the type of T work as factors representing the value measured through the soft sensor 200, which is related to the effect of the posture on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injury It is calculated by a function G that derives a value by subtracting the X posture measured through the C 6 and the soft sensor 200 and the basic posture X preset as the user's basic posture and the type of work T as factors. can At this time, the X postur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knee joint sensor 220, the instep joint sensor 230, and the ankle joint sensor 240 of the soft sensor 200.

사용자의 피로도 분석은 사용자의 작업 동선, 작업 강도, 자세 및 작업량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320)는 작업 동선을 통해 사용자가 총 움직인 거리를 파악하고, 허벅지의 근경도를 통해 사용자가 수행한 작업 강도를 파악하고, 허리와 무릎 및 발목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 및 작업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피로도 분석에 있어서, 총 근로 시간을 누적하여 분석을 수행하거나, 일정 시간 단위 별로 나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시간 별로 피로도 임계치를 각각 설정하여 계산된 피로도와 비교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별 및 누적 별로 각각 확인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320)는 일정 시간 별 및 누적 별로 각각 서로 다른 작업 중단 알림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기 위해 작업 중단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The user's fatigue analysi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user's work flow, work intensity, posture, and amount of work. Specifically, 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determines the total movement distance of the user through the work movement line, determines the intensity of the work performed by the user through the root hardness of the thigh, and determines the user's movement through the movement of the waist, knee, and ankle. posture and workload can be identified. At this time, in the fatigue analysis, the analysis may be performed by accumulating the total working time or the analysis may be performed by dividing the total work time by unit. This can be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fatigue by setting the fatigue threshold for each time, and the user's fatigue can be analyzed by checking each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umulatively. 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may generate different work suspension notifications for each specific time and accumulation, and transmit the work suspension notification to give feedback to the user.

신호 처리부(320)는 피로도와 상관없이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은 소프트 센서(200) 및 관성 측정부(310)를 통해 측정한 값 각각을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질환 및 상해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부(320)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10)을 착용한 사용자 별로 각각 소프트 센서(200) 및 관성 측정부(310)를 통해 측정한 값을 누적함에 따라 활동 시 기본 자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 활동 시 기본 자세와의 측정된 차이를 통해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320 may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regardless of the level of fatigue. At this time, the possibility of disease or injury to the user's musculoskeletal system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values measured through the soft sensor 200 and the inertial measurement unit 310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At this time, the signal processor 320 may set the basic posture during activity by accumulating values measured through the soft sensor 200 and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310 for each user wearing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 The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measured difference from the basic posture during this activity.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웨어러블 모니터링 방법은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며,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이 수행하는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earable monitoring method by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monitoring method is performed by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operations performed by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웨어러블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허리 착용부부터 발목 착용부까지 연결하여 하반신 전체에 착용한 후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wearable monitoring method, a user connects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from a waist wearable part to an ankle wearable part and wears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on the entire lower body, and then monitors the user's movement.

웨어러블 모니터링 방법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210), 근육 세기를 분석하는 단계(S1220), 사용자의 작업 수행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S1230), 사용자의 피로도를 분석하는 단계(S1240),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을 분석하는 단계(S1250),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60)를 포함한다.The wearable monitoring method includes acquir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S1210), analyzing muscle strength (S1220), identifying the user's work performance (S1230), and analyzing the user's fatigue (S1240). ),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ease and injury (S1250), and check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ease and injury (S1260).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210)는 위치 추적부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212), 근경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허벅지의 근경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214), 관성 측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216), 무릎 관절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무릎 관절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218), 발등 관절 센서 및 복사뼈 관절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발목 관절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219)를 포함할 수 있다.Acquiring a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S1210) includes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a location tracking unit (S1212), obtaining a near-longitude signal of the user's thigh through a near-longitude sensor (S1214), Acquiring the user's waist motion signal through the inertial measuring unit (S1216), obtaining the user's knee joint signal through the knee joint sensor (S1218), and obtaining the user's ankle joint signal through the instep joint sensor and the ankle joint sensor. It may include obtaining (S1219).

근경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허벅지의 근경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214)는 사용자가 허벅지에 힘을 주면 근경도 센서를 통해 허벅지의 근력을 측정할 수 있다.In step S1214 of obtaining a muscle strength signal of the user's thigh through the muscle hardness sensor, when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thigh, the muscle strength of the thigh can be measured through the muscle hardness sensor.

근육 세기를 분석하는 단계(S1220)는 근경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허벅지의 근경도 신호를 통해 허벅지 근육 세기를 분석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nalyzing the muscle strength ( S1220 ), the muscle strength of the thigh may be analyzed through the muscle strength signal of the user's thigh through the muscle strength sensor.

관성 측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216)는 허리를 굽히고 펴는 동작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허리 움직임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Obtaining the user's waist motion signal through the inertia measuring unit (S1216) may obtain the user's waist motion signal by measuring motions of bending and straightening the waist.

무릎 관절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무릎 관절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218)는 사용자가 무릎을 굽히는 경우, 무릎이 굽은 정도를 측정하여 무릎 관절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cquiring the user's knee joint signal through the knee joint sensor (S1218), when the user bends the knee, the knee joint signal may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knee.

발등 관절 센서 및 복사뼈 관절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발목 관절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219)는 사용자가 발목을 움직이는 경우, 발목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발목 관절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In step S1219 of obtaining an ankle joint signal of the user through the instep joint sensor and the ankle joint sensor, when the user moves the ankle, the ankle joint signal may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motion of the ankle.

사용자의 작업 수행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S1230)는 작업 동선을 파악하는 단계(S1232), 작업 강도를 파악하는 단계(S1234) 및 자세와 작업량을 파악하는 단계(S1236)를 포함한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user's work performance level (S1230) includes the step of identifying the work flow (S1232), the step of determining the work intensity (S1234), and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osture and amount of work (S1236).

작업 동선을 파악하는 단계(S1232)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 강도를 파악하는 단계(S1234)는 사용자의 허벅지 근육 세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자세와 작업량을 파악하는 단계(S1236)는 허리 움직임 신호, 무릎 관절 신호 및 발목 관절 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 step of identifying the work flow (S1232) can be checked through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e step of figuring out the work intensity (S1234) can be checked through the strength of the user's thigh muscles, and the step of figuring out the posture and amount of work (S1236 ) can be confirmed through a waist motion signal, a knee joint signal, and an ankle joint signal.

웨어러블 모니터링 방법은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60)에서, 근골격계 질환 및 상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작업 중단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1270)를 수행할 수 있다.The wearable monitoring method may perform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is possible (S126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providing a work stop notification to the user (S1270).

사용자에게 작업 중단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S1270)는 사용자의 작업강도나 작업량이 과하다고 판단될 경우 통합 모듈의 진동부로 작업자에게 진동 피드백을 줄 수 있으며, 상해 발생 시 작업자의 실내 위치를 파악해 구조를 실시할 수 있다.In the step of providing work interruption notification to the user (S127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work intensity or workload is excessive, vibration feedback can be given to the worker with the vibration unit of the integrated module, and in the event of injury, the worker's indoor location is identified and rescued can be carried out.

상술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방법에서, 관리자는 무선으로 수집된 작업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wearable monitoring method, a manager may grasp job information wirelessly collected.

도 12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개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2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In FIG. 12, each process is described as sequentially executed,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hanges and executes the sequence described in FIG. It will be possible to appl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y executing one or more processes in parallel or adding another proces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100: 착용부
110: 허리 착용부
120: 다리 착용부
130: 발목 착용부
200: 소프트 센서
300: 통합 모듈
10: wearable monitoring system
100: wearing part
110: waist wearing part
120: leg wear part
130: ankle wearing part
200: soft sensor
300: integrated module

Claims (13)

사용자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착용부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위치 별 상기 신체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소프트 센서; 및
상기 소프트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된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며, 상기 피로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를 분석하는 통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를 측정하는 근경도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무릎 중앙 또는 상기 무릎 중앙의 양 옆에 구비되며, 무릎 관절의 굽힘 동작을 측정하는 무릎 관절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경도 센서 및 상기 무릎 관절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는 다리 착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근경도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 근력의 세기를 확인하며, 상기 허벅지 근력의 세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작업 강도를 파악하고, 상기 무릎 중앙의 양 옆에 구비되는 상기 무릎 관절 센서의 신호 차이를 이용하여 무릎 관절을 굽힘 동작 시 나타나는 비틀림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In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wearable by the user,
a wearing part worn on the user's body;
a soft sensor built into the wearable part and measuring movement of the user's body for each position where the wearable part is worn on the user's body; and
An integrated module connected to the soft sensor to measure the degree of fatigue of the user using the measured movement and analyzing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based on the degree of fatigue;
The soft sensor may include: a muscle hardness sensor provid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user's thigh and measuring the hardness of the thigh muscles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And a knee joint senso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ser's knee or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knee and measuring a bending motion of the knee joint,
The root hardness sensor and the knee joint sensor are embedded in a leg wearable part worn on the user's lower body,
The integrated module checks the strength of the user's thigh muscle strength using the hardness of the front or rear thigh muscle measured by the muscle hardness sensor, and grasps the user's work intensity through the strength of the thigh muscle strength. And,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rrecting the torsion that appears during the bending motion of the knee joint using the signal difference of the knee joint senso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kn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며, 상기 통합 모듈이 적어도 하나 장착되는 허리 착용부;
상기 허리 착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상기 소프트 센서가 내장되는 다리 착용부; 및
상기 사용자의 발목에 착용되며, 상기 소프트 센서가 내장되는 발목 착용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ing part,
a waist wearing unit worn on the user's waist and to which at least one integrated module is mounted;
a leg wearable part connected to the waist wearable part and worn on the user's lower body, in which the soft sensor is embedded; and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n ankle wearable part worn on the user's ankle and in which the soft sensor is embed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착용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뒤쪽의 좌측 또는 우측에 상기 통합 모듈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에 내장되는 상기 소프트 센서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좌측 또는 우측에 내장된 상기 소프트 센서에서 측정된 움직임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좌측 또는 우측의 상기 피로도를 각각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waist wearing part,
The integration module is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ack of the user's back and connected to the soft sensor built i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user, respectively;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ted module measures the fatigue of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user through the movement measured by the soft sensor built into the left or right side,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발등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목의 굽힘-폄(Flexion-Extension)에 의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발등 관절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복사뼈의 전후 또는 상하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의 발목의 내전-외전(Adduction-Abduction) 또는 내번-외번(Inversion-Eversion)에 의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복사뼈 관절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등 관절 센서 및 상기 복사뼈 관절 센서는 상기 발목 착용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soft sensor,
an instep joint sensor provided at the center of an instep of the user and measuring a motion caused by flexion-extension of the user's ankle; and
It is provided so as to cross the front and back or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user's ankle, and includes an ankle joint sensor for measuring movement by adduction-abduction or inversion-eversion of the user's ankle, ,
The instep joint sensor and the tarsal joint sensor are wearable monitoring systems, characterized in that built into the ankle wear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천 재질의 원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실리콘 및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하체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센서는 특정 패턴으로 프린팅된 액체금속 회로를 실리콘으로 봉제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wearing part,
It is formed of a cloth material, includes silicone and a pad so that it is closely adhered to and fixed to the user's body, and includes a fastening part so that it is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ser's lower body,
The soft sensor is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in the form of sewing a liquid metal circuit printed in a specific pattern with silic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허리의 속도와 방향, 중력 및 가속도에 따른 상기 허리의 굽히고 펴는 동작을 측정하는 관성 측정부;
상기 관성 측정부 및 상기 소프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 및
상기 관성 측정부 및 상기 소프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을 전달 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소프트 센서와 도선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module,
an inerti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bending and straightening motion of the user's waist according to the speed, direction, gravity, and acceleration of the user's waist;
a signal processing unit measuring and analyzing fatigu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movement measured through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the soft sensor;
a location tracking unit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movement measured by the inertia measuring unit and the soft sensor and transmitting the user's location;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of claim 1 , wherein at least one integrated module is provided on the user's waist and is connected to the soft sensor through a conducting wi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i) 상기 착용부의 다리 착용부의 근경도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에 따른 작업 강도 및 (ii) 상기 다리 착용부의 무릎 관절 센서, 상기 관성 측정부 및 발목 착용부의 발등 관절 센서와 복사뼈 관절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자세 및 작업량을 이용하여 피로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피로도가 일정 피로도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분석하여 작업 중단 알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signal processing unit,
(i) the work intensity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thigh muscles on the front or back of the user measured through the root hardness sensor of the leg wearable part of the wearer, and (ii) the knee joint sensor of the leg wearer,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the ankle wear Fatigue is analyzed using the user's posture and workload according to at least one signal obtained through a negative instep joint sensor and an ankle joint sensor,
The wearabl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work stop notification by analyzing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possibility when the analyzed fatigue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of fatigu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피로도를 통해 분석한 상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작업 중단 알림을 전송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 중단 알림은, 상기 작업 강도 또는 상기 작업량이 일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9,
The integrated module,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unit that transmits a work stop notification to the user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a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of the user analyzed through the degree of fatigue,
The work stop notification is a wearabl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ed when the work intensity or the work amount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통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허리의 속도와 방향, 중력 및 가속도에 따른 상기 허리의 굽히고 펴는 동작을 측정하는 관성 측정부;
상기 관성 측정부 및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착용부에 내장된 소프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여 분석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부; 및
상기 관성 측정부 및 상기 소프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움직임을 전달 받으며,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 전면 또는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를 측정하는 근경도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무릎 중앙 또는 상기 무릎 중앙의 양 옆에 구비되며, 무릎 관절의 굽힘 동작을 측정하는 무릎 관절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경도 센서 및 상기 무릎 관절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는 다리 착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통합 모듈은, 상기 근경도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상기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허벅지 근력의 세기를 확인하며, 상기 허벅지 근력의 세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작업 강도를 파악하고, 상기 무릎 중앙의 양 옆에 구비되는 상기 무릎 관절 센서의 신호 차이를 이용하여 무릎 관절을 굽힘 동작 시 나타나는 비틀림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모듈.
In the integrated module for monitoring the user's status,
an inerti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bending and straightening motion of the user's waist according to the speed, direction, gravity, and acceleration of the user's waist;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measures and analyzes fatigue of the user according to motions measured through the inertia measuring unit and a soft sensor built into the wearing unit worn by the user;
a location tracking unit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the movement measured by the inertia measuring unit and the soft sensor and transmitting the user's location;
The soft sensor may include: a muscle hardness sensor provid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user's thigh and measuring the hardness of the thigh muscles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And a knee joint senso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ser's knee or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knee and measuring a bending motion of the knee joint,
The root hardness sensor and the knee joint sensor are embedded in a leg wearable part worn on the user's lower body,
The integrated module checks the strength of the user's thigh muscle strength using the hardness of the front or rear thigh muscle measured by the muscle hardness sensor, and grasps the user's work intensity through the strength of the thigh muscle strength. and correcting the torsion that occurs when the knee joint is bent using a signal difference between the knee joint senso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knee.
제11항에 있어서,
(i) 상기 착용부의 다리 착용부의 근경도 센서를 통해 측정한 상기 사용자의 전면 또는 후면의 허벅지 근육의 경도에 따른 작업 강도 및 (ii) 상기 다리 착용부의 무릎 관절 센서, 상기 관성 측정부 및 발목 착용부의 발등 관절 센서와 복사뼈 관절 센서를 통해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자세 및 작업량을 이용하여 피로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피로도가 일정 피로도 이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분석하여 작업 중단 알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모듈.
According to claim 11,
(i) the work intensity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thigh muscles on the front or back of the user measured through the root hardness sensor of the leg wearable part of the wearer, and (ii) the knee joint sensor of the leg wearer, the inertia measurement unit, and the ankle wear Fatigue is analyzed using the user's posture and workload according to at least one signal obtained through a negative instep joint sensor and an ankle joint sensor,
An integrated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work stop notification by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a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of the user when the analyzed fatigue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vel of fatigu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도를 통해 분석한 상기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또는 상해 가능성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작업 중단 알림을 전송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 중단 알림은, 상기 작업 강도 또는 상기 작업량이 일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모듈.
According to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vibr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work stop notific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user's musculoskeletal disease or injury possibility analyzed through the fatigue,
The work stop notification is integrated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ed when the work intensity or the work amou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KR1020210061956A 2021-05-13 2021-05-13 Wearable monitoring system KR1024896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56A KR102489647B1 (en) 2021-05-13 2021-05-13 Wearabl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956A KR102489647B1 (en) 2021-05-13 2021-05-13 Wearable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427A KR20220154427A (en) 2022-11-22
KR102489647B1 true KR102489647B1 (en) 2023-01-17

Family

ID=8423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956A KR102489647B1 (en) 2021-05-13 2021-05-13 Wearable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64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577B1 (en) * 2016-05-03 2016-11-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ensor module for sensing stiffness of muscle
KR101695568B1 (en) * 2015-09-30 2017-01-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function sensor module
KR102157526B1 (en) 2019-03-13 2020-09-21 국방과학연구소 Motion assis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515B1 (en) * 2010-08-23 2013-09-1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ensing bio-signal and method thereof
KR20160016925A (en) * 2013-05-31 2016-02-15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Soft exosuit for assistance with human motion
KR101560668B1 (en) * 2013-10-10 2015-10-16 국방과학연구소 Integrated evaluating system for muscle fatigue and muscle force
KR101689467B1 (en) * 2015-05-08 2017-01-02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and method of calculating muscle fatigue
KR101815640B1 (en) 2017-06-30 2018-01-08 이동찬 Soft exoskeleton apparatus
KR102164898B1 (en) * 2018-02-13 2020-10-19 윤일환 Training suit and information aquisition system using therof
KR102265265B1 (en) * 2019-06-14 2021-06-1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lexible sensor apparatus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568B1 (en) * 2015-09-30 2017-01-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function sensor module
KR101675577B1 (en) * 2016-05-03 2016-11-1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sensor module for sensing stiffness of muscle
KR102157526B1 (en) 2019-03-13 2020-09-21 국방과학연구소 Motion assis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427A (en)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7874A1 (en) Wearable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musculoskeletal injuries and enhancing performance
US20190282131A1 (en) Management of biomechanical achievements
US9582072B2 (en) Motion recognition clothing [TM] with flexible electromagnetic, light, or sonic energy pathways
US10234934B2 (en) Sensor array spanning multiple radial quadrants to measure body joint movement
US20200170547A1 (en) A human intention detection system for motion assistance
US20190374161A1 (en) Exosuit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analyzing lifting and bending
CN105263448B (en) For aiding in the soft machine armor of human motion
US20190224841A1 (en) Exosuit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working safety and performance
Manto et al. Dynamically responsive intervention for tremor suppression
EP2801318B1 (en) Ergonomic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EP3297520A1 (en) Devices for measuring human gait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120165704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habilitation robot
US10821047B2 (en) Method for automatic alignment of a position and orientation indicator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movements of a body part
Chinmilli et al. A review on wearable inertial tracking based human gait analysis and control strategies of lower-limb exoskeletons
KR102489647B1 (en) Wearable monitoring system
KR20180031610A (en) Band-type motion and bio-information measuring device
JP2020146344A (en) State detection device, stat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2331549B1 (en) Glove for assisting finger movement
KR102571008B1 (en) Knee joint motion measurement system
Hafez Input Variables for Manual Material Handling Assessment Methods Obtained Using Body Worn Sensors
KR20230011533A (en) Ankle joint motion measurement system
Horiba et al. Prediction of clothing mobility using a musculoskeletal simulator
Panariello The Academic Faculty
US11832934B1 (en) Joint monitoring
US11589782B2 (en) Movement analysis and feedback systems, applications, device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