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920B1 - Folda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olda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920B1
KR102487920B1 KR1020160054432A KR20160054432A KR102487920B1 KR 102487920 B1 KR102487920 B1 KR 102487920B1 KR 1020160054432 A KR1020160054432 A KR 1020160054432A KR 20160054432 A KR20160054432 A KR 20160054432A KR 102487920 B1 KR102487920 B1 KR 102487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s
display device
foldable
folda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24715A (en
Inventor
김종일
박용철
김재영
서영민
이영수
이진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4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920B1/en
Publication of KR2017012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9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간 서로 인접한 부분들이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 간 경계부의 화면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몸체부가 접히는 제1 위치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가 외측을 향하고, 제1 및 제2 몸체부가 펼쳐지는 제2 위치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의 서로 인접한 부분들이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 foldable display device for improving screen visibility at a boundary between displays by overlapping adjacent portions between displays. A first body portion including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body including a second displa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face outward at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folded,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unfol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djacent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overlap each other at the location.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Foldable display device {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의 경계부를 최소화하여 시인성을 개선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visibility by minimizing a border of a display.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보급에 따라, 많은 휴대기기가 보급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점 휴대용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커지면서, 그만큼 휴대성은 떨어지게 되는데, 휴대성과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만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렇게 휴대성을 유지하면서도 큰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기술로써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는 휴대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With the spread of portable display devices, many portable devices are becoming popular. As display technology develops, the size of portable display screens gradually increases, and portability decreases accordingly. Various methods for simultaneously satisfying portability and large-screen displays are being studied. As a technology that provides a large-screen display while maintaining portability, a foldable display device technology that can fold and store the display to secure portability when not in use has been developed.

이와 같은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호 힌지 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거나, 한 쌍의 몸체 넓이에 대응하는 단일 디스플레이를 한 쌍의 몸체가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such a conventional foldable display device, a display is mounted on a pair of bodies that are hinged to each other, or a pair of bodies support a singl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air of bodies.

그런데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한 쌍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경우, 접었다가 펼쳤을 때 힌지 부분으로 인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 간 경계면이 시인됨에 따라 펼쳐진 화면을 볼 때에 시인성을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a conventional foldable display device has a pair of displays, when folded and unfolded, the pair of displays remain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ue to a hinge portion.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visibility is significantly deteriorated when viewing an unfolded screen as the interface between the pair of displays is recognized.

또한, 종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경우, 한 쌍의 몸체가 접혀질 수 있도록 단일 디스플레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습기 또는 표면 경도 등에 대한 신뢰성에 문제가 있고, 접혀지는 절곡 부분의 저항이 작아질 경우 화면 패널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a conventional foldable display device has a single display, the single display is applied as a flexible display so that a pair of bodies can be folded. However, the flexible display has a problem in reliability against moisture or surface hardness, and may damage the screen panel when the resistance of the bent portion is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간 서로 인접한 부분들을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 경계부 사이의 화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screen visibility between display boundaries by overlapping adjacent portions between display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가 접히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가 외측을 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가 펼쳐지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의 서로 인접한 부분들이 오버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ody portion including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body including a second displa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face outward at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folded, an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unfolded. may provide a foldable display device in which adjac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overlap each other at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은,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각각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를 펼칠 때 일부가 서로 오버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body portion including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body portion including a second displa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disposed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respectively,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are unfolded, so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ldable display device that overlaps with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의 저면도이다.
도 7 및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olded state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bottom views of FIGS. 3 and 4 .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connection parts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A to 13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most suitable embo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llustrate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such as the following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these modified embodiments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aid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related components among components having the same action in each embodiment are indicated with the same or extended numeral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해서 만들 수 있지만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디스플레이(100, 200)를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는 간략화해서 도시한다.Hereinafter,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foldable display device can be made by connecting several displays that display images in various ways, but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wo displays 100 and 200 are connect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lso, a display implementing an image is shown in a simplified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a folded state, and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an unfolded state.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1 to 4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folding process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0)는 제1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100)와, 제2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가 힌지축(310, 도7 참조)을 중심으로 이동하고 접고 펼칠 수 있는 폴딩 타입으로 연결되어 멀티 화면을 이루게 된다. 즉, 도 1과 같이 접혀있다가 후술하는 도 4와 같이 펼쳐지면 두 디스플레이(110, 210)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foldabl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 including a first display 110 and a second display 210. It may be composed of two body parts (200). In the foldable display devic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move around a hinge axis 310 (see FIG. 7) and are connected in a folding type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to form a multi-screen. . That is, when folded as shown in FIG. 1 and unfolded as shown in FIG. 4 described later, the two displays 110 and 210 may be disposed on a straight lin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10, 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in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0 and 21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o enable a user's touch input.

이와 같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10,210)는 제1 몸체부(100)의 내부에 수납된 패널 구동 회로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패널 구동 회로부는 제1 몸체부(100) 대신 제2 몸체부(200) 내부에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0 and 21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image according to driving of a panel driving circuit unit (not shown)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body part 100 . Of course, the panel driving circu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body 200 instead of the first body 100 .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의 내부에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수단들(예를 들어, 통신 회로, 전원 회로, 배터리, 제어 회로, 메모리, 연산 회로 등)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Insid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driving means (eg, a communication circuit, a power supply circuit, a battery, a control circuit, a memory, an arithmetic circuit, etc.) necessary for driving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re installed. Can be stored. In addition, a connection part 300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may be includ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

제1 몸체부(1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제1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고, 제1 몸체부(1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몸체부(100)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110)를 지지한다. 일례로, 제1 몸체부(10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하는 제1 위치에서 제2 몸체부(200)와 대향하는 일면에 제1 몸체부(100)는 제1 경사면(130)이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portion 100 includes a first display 110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xel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the first body portion 100 may be made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The first body part 100 supports the first display 110 . For example, the first body portion 100 may have a square shape. A first inclined surface 130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facing the second body 200 at a first posi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몸체부(2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210)를 지지한다. 후술하는 제1 위치에서 제1 몸체부(100)와 대향하는 일면에 제2 몸체부(100)는 제1 경사면(130)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2 경사면(230)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portion 200 includes a second display 210 for displaying an image and supports the second display 210 . A second inclined surface 23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 of the second body part 100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part 100 at a first position described later.

제1 디스플레이(110)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가 서로 인접한 측의 에지(edge)에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는 에지에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에지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The first display 1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100 and 200 adjacent to each other have curvature. The first display 110 may be an edge display having a constant curvature at the edge.

제2 디스플레이(120)는 평면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The second display 120 may be a flat display.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가 접히는 위치를 제1 위치라고 말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제1 몸체부(100)의 제1 경사면(130)과 제2 몸체부(200)의 제2 경사면(230)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한다(도 1 참조).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제1 및 제2 경사면(130, 230)에 의해 제1 위치에 유지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면(130, 230) 에 의해 서로 지지됨으로써 제2 몸체부(2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A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folded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osition. In the first position, 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 of 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of the second body part 200 face each other. (See Figure 1).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may be fixed to be maintained in the first position by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30 and 230 . Since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30 and 230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upport each other, rotation of the second body 200 can be prevented.

제1 위치에서, 제1 몸체부(1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측면에 위치하고, 제2 몸체부(2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10, 210)는 외측을 향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접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가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구조에 따라, 접힌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화면을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고, 커버를 제거하거나 디스플레이를 외측에 배치하도록 펼치는 별도의 과정 없이 접힌 상태에서도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할 수 있어 작동에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body 10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oldable display 10, and the second body 200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foldable display 1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0 and 210 face outward. According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faces outward in the folded state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 the user can conveniently recognize the screen even in the folded state, and remove the cover or separate the display to be unfolded to dispose the outside. Since the foldable display device can be driven even in a folded state without any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operate.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110, 120)에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영상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 및 측면에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영상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양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110)에는 보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용 정보 기기일 경우, 상기 보조 영상은 배터리 잔량, 무선 통신 감도, 시간 정보, 및 메시지 수신아이콘 등이 될 수 있다.The same or different images may be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0 and 120. In this cas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ach other on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 A double-sided display device that simultaneously or selectively displays the same or different images may be provided. An auxiliary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10 located on the side. For example, i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the auxiliary image may be battery level, wireless communication sensitivity, time information, and a message reception ic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가 펼쳐지는 위치를 제2 위치라고 말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210)가 동일 수직선 상에 일치되도록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가 배치된다(도 4 참조). 제1 디스플레이(110)의 에지부분(B)이 제2 몸체부(200)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즉, 1 디스플레이(110)의 에지부분(B)이 제2 디스플레이(210)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에지부분(B)은 제2 디스플레이(210)의 아래측에 접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110)의 일부와 제2 디스플레이(210)의 일부가 오버랩되는 부분(A)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10, 210)의 경계부를 수직 상방에서 봤을 때 디스플레이의 일부끼리 겹쳐지게 함으로써 화면이 연속된 것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디스플레이(110)는 에지 디스플레이로서, 제2 디스플레이(210)의 아래쪽에 배치되더라도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110)의 에지 부분(B)을 제2 디스플레이(110, 210)의 두께방향으로 일부 오버랩 시켜서 장치 전체의 두께를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4 , a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unfolded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osition.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arranged so that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210 are alig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see FIG. 4 ). The edge portion B of the first display 110 is disposed to contact the second body portion 200 . That is, the edge portion B of the first display 11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display 210 . The edge portion B is loca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isplay 210 . At this time, a portion A overlapping a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110 and a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210 is formed. This is to make the screen appear continuous by overlapping parts of the displays when the user views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0 and 210 from a vertical upward direction. The first display 110 is an edge display, and has an advantage of not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foldable display even when disposed below the second display 210 .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overlaps the edge portion B of the first display 1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econd displays 110 and 210 to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evice.

곡률이 형성된 에지 부분(B)은 제2 디스플레이(210)의 아래쪽인 제2 몸체부(200)와 접촉하도록 위치시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10, 210)가 한 화면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제1 디스플레이(110)의 에지 부분(B)의 곡률 정도에 따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10, 210)가 오버랩(A)되어, 사용자가 경계부에서 화면이 연속될 것처럼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 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에지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10, 210)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들이 인접한 부분에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The curved edge portion B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body 200 below the second display 21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0 and 210 are connected as one screen.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0 and 210 overlap (A) according to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edge portion (B) of the first display 110,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screens as if they are continuous at the boundary. To this end, although the first display 110 has been described as an edge display in this embodiment, it is sufficient i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0 and 210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at adjacent portions of the displays.

제1 몸체부(200)와 제2 몸체부(200)가 접히는 제1 위치에서 제1 경사면(130)과 제2 경사면(230)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도1 참조), 제1 몸체부(200)와 제2 몸체부(200)가 펼쳐지는 제2 위치에서 제1 경사면(130)과 제2 경사면(230)은 이격 되도록 배치된다(도 4 참조).At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first body part 200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are folded,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see FIG. 1), and the first body part ( 20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00 are unfold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ee FIG. 4).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몸체부(200)의 일측을 잡아당겨 제1 위치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1 몸체부(100)와 힌지 결합된 제2 몸체부(200)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2 디스플레이(210)와 제1 디스플레이(110)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제2 몸체부(200)를 제1 몸체부(100) 방향으로 푸시하여 제2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록킹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 the user may unlock the display device at the first position by pulling one side of the second body 200 . Next, the user rotates the second body 200 hinged with the first body 100 about the hinge axis so that the second display 210 and the first display 110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can do. Next, the user may lock the display device in the second position by pushing the second body 200 toward the first body 100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접힌 제1 위치에서 펼쳐진 제2 위치로의 전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transition process of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 from a first folded position to an unfolded second posi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위치에서, 제1 및 제2 경사면(130, 230)은 서로 접하고 있어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가 접힌 상태로 로킹된다(도 1 참조). 제1 위치에서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도를 형성한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210)는 각각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과 제2에 배치되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접힌 상태로 고정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펼치기 위해 제1 경사면(130)과 제2 경사면(230)이 서로 이격되어야 한다. 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30 and 2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are locked in a folded state (see FIG. 1). In the first position, an angle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forms approximately 90 degrees. In this case,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2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sides of the foldable display 10 to display information. In order to unfold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 fixed in a folded stat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must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경사면(130)과 제2 경사면(230)을 이격시키기 위해 제2 몸체부(200)는 제1 몸체부(100)의 반대 방향인 제3 위치로 이동한다(도 2 참조). 제2 몸체부(200)의 이동으로 제1 위치에서의 로킹이 해제된다. 제3 위치에서 제1 및 제2 경사면(130, 230)에 의한 로킹이 해제되므로 제2 몸체부(200)의 회전이 가능하다. In order to separate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the second body 200 moves to a third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body 100 (see FIG. 2). The locking in the first position is released by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dy part 200 . Since the locking by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30 and 230 is released at the third position,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200 is possible.

제2 몸체부(200)는 제1 몸체부(10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4 위치로 이동한다(도 3 참조). 제4 위치에서,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210)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사이의 각도는 대략 180도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 방향은 제1 경사부(130)와 제2 경사부(230)가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제2 몸체부(200)는 제3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90도 회전한다. The second body 200 rotat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first body 100 and moves to the fourth position (see FIG. 3 ). In the fourth position, the angle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is approximately 180 degrees so that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210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form The rotation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nclined portion 130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30 become closer. In addition, the second body portion 200 preferably rotates 90 degrees in the third position.

제4 위치에서 제2 몸체부(200)가 제1 몸체부(100) 방향으로 제1 몸체부(100)와 접촉되도록 제2 위치로 이동한다(도 4 참조). 제2 위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펼쳐진 상태이다. 제2 몸체부(200)의 제2 경사면(230)은 제1 몸체부(100)의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경사면(230)이 제1 디스플레이(110)의 일부에 간섭하고 있어 펼쳐진 상태로 로킹된다. The second body 200 moves from the fourth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so a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body 100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00 (see FIG. 4 ). The second position is a state in which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 is unfolde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of the second body 200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display 110 of the first body 100 .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interferes with a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110 and is locked in an unfolded state.

이때,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110, 210)의 서로 인접한 부분들이 오버랩된다. 제1 디스플레이(110)의 곡률이 형성된 에지부분(B)이 제2 디스플레이(210)의 아래쪽으로 삽입된다. 삽입된 제1 디스플레이(110)의 일부는 제2 디스플레이(210)의 일부와 오버랩되어 오버랩 부분(A)이 형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210)를 겹쳐서 2개의 별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어 붙인 하나의 큰 디스플레이로 보여지게 된다.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210) 사이의 경계에서도 디스플레이가 끊기지 않고 상기 오버랩 부분(A)에 의해서 연결되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가 펼쳐진 화면을 볼 때,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210)가 연결된 부분에서도 그 경계에 각 디스플레이(110, 210)의 일부가 오버랩되어 화면이 인식되므로 화면시인성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오버랩 부분(A)은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210) 사이의 경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여 경계의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djac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110 and 210 overlap each other. The curved edge portion B of the first display 110 is inserted below the second display 210 . A portion of the inserted first display 110 overlaps a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210 to form an overlap portion A. By overlapping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210, the two separate displays are connected and displayed as one large display. Eve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21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isplay is connected by the overlap portion A without being disconnected. When the user sees the unfolded screen, even in the part where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210 are connected, a part of each of the displays 110 and 210 overlaps the boundary and the screen is recognized, so that the screen visibility is not disturbed. don't The overlap portion A serves to connec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display 210 to improve visibility of the boundary.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의 저면도이다.5 and 6 are bottom views of FIGS. 3 and 4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제4 위치에서 펼쳐진 제2 위치로의 전환을 나타낸다. 제2 몸체부(200)가 제1 몸체부(100)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은 하기에서 설명할 연결로드(320)의 슬라이딩 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로드(320)는 구멍(385)에 삽입되어 제2 몸체부(200)의 내측에 형성된 힌지로드 수용부(3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연결로드(320)에 의해 제2 몸체부(200)가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 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몸체부(100)가 제2 몸체부(200)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 shows transition from a fourth position to an unfolded second position. The second body part 2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is movement can be made by a sliding structure of the connecting rod 320 to be described below. The connecting rod 320 is inserted into the hole 385 and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hinge rod accommodating portion 380 formed inside the second body portion 200 so that the first body portion 10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 200) can be adjusted. In FIG. 5 , the second body 200 is illustrated as being moved by the connecting rod 32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body 100 ma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200 .

도 6을 참고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 몸체부(100)가 제2 몸체부(200)의 저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110)의 일부가 제2 디스플레이(210) 일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가 오버랩 되는 부분(A)이 형성된다. 상기 오버랩 되는 부분(A)은 제1 디스플레이(100)와 제2 디스플레이(200) 사이 경계의 화면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when the foldable display 10 is unfolded, the first body 100 is position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200 . Accordingly, a part of the first display 110 is positioned below a part of the second display 210 to form a portion A where the displays overlap. The overlapped portion (A) can improve screen visibil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splay 100 and the second display 200 .

도 7 및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connection parts of 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접힌 제1 위치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펼쳐진 제2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결부(300)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제3 위치 및 제4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300 inter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 The connector 300 may maintai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00 and 200 at a first position where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 is folded and a second position where the foldable display device 10 is unfolded. Additionally, the connection part 300 may mainta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t the third and fourth positions during the trans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연결부(300)는 일단부가 제1 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 몸체부(200)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로드(320)와 힌지로드(320)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톱퍼(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00)는 몸체부의 일측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00 includes a hinge rod 320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e other e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part 200 and a part of the hinge rod 320 It may include a stopper 350 for selectively fixing.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first body part 100 and the second body part 200 . 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disposed in plurality along one side of the body part.

제1 몸체부(100)에 연결된 힌지로드(320)의 일단부는 회전부재(330)를 포함한다. 제2 몸체부(200)는 회전부재(330)에 의해 회전축(310)을 기준으로 제1 몸체부(10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로드(320)는 0도 이상 90도 이하의 각도(θ)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로드(320)에 의해서 제2 몸체부(200)는 제3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제4 위치로 전환 가능하다.One end of the hinge rod 320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0 includes a rotating member 330 . The second body 200 may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0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310 by the rotation member 330 . The hinge rod 320 may rotate in an angle θ ranging from 0 degrees to 90 degrees. By the hinge rod 320, the second body portion 200 can be switch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by rotating 90 degrees clockwise.

제1 몸체부(100)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고정되며 회전되지 않는 부분이다. 제2 몸체부(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하여 스윙 회전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몸체부(200)는 회전부재(330)의 회전축(310)을 통해 제1 몸체부(100)에 스윙 회전하도록 체결된다.The first body portion 100 is fixed by a user's hand and is not rotated. The second body portion 200 is a part that swings and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310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Therefore, the second body por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00 through the rotation shaft 310 of the rotating member 330 so as to swing and rotate.

회전부재(330)는 제2 몸체부(200)를 양 방향(시계 방향, 반 시계 방향)으로 모두 스윙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330)는 제2 몸체부(200)가 스윙 회전될 때,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2 몸체부(200)를 반자동으로 스윙 외전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재(33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캠, 회전축, 고정판, 가이드핀 및 탄성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330 may swing and rotate the second body 200 in both direction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When the second body 200 is swing-rotated, the rotating member 33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semi-automatically swing and abduct the second body 200 . To this end, although not shown, the rotating member 330 may include a rotating cam, a rotating shaft, a fixing plate, a guide pin, and an elastic unit.

제1 몸체부(100)의 내부에 가이드 홈(311)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311)은 힌지 로드(32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3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가이드 홈(311)에는 제1 위치에서 제2 몸체부(200)를 유지하기 위한 제1 정지홈(미도시) 및 제2 위치에서 제2 몸체부(200)를 유지하기 위한 제2 정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재(330)는 제2 몸체부(200)가 회전되는 범위를 90도로 유지 및 한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몸체부(200)가 스윙 회전되어 제1 위치에서 90도가 회전되면, 제2 위치에서 제2 몸체부(200)의 회전을 억제하는 정지홈(미도시)에 의해 제2 몸체부(20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 반대인 제4 위치에서 제3 위치로의 전환도 마찬가지이다.A guide groove 311 is formed inside the first body portion 100 . The guide groove 311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310 so that the hinge rod 320 can rotate easily. In the guide groove 311, a first stop groove (not shown) for holding the second body portion 200 in the first position and a second stop groove (not shown) for holding the second body portion 200 in the second position ( not shown) may be formed. The rotating member 330 may be formed to maintain and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second body 200 at 90 degrees. That is,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200 is swing-rotated and rotated 90 degrees in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body portion is provided by a stop groove (not shown) for suppressing rota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200 in the second position. (200) will no longer rotate. Conversely, the transition from the fourth position to the third position is also the same.

힌지로드(320)는 타단부는 고정홈(307)을 포함하고, 제2 몸체부(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307)은 스톱퍼(350)에 대응되는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부(200)는 힌지로드(320)를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hinge rod 320 includes a fixing groove 307 and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200 . The fixing groove 307 may be concave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350 . The second body 200 may linearly move along the hinge rod 320 .

스톱퍼(350)는 힌지로드(320)를 따라 회전 가능한 제2 몸체부(200)를 특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탄성부재(354, 355, 356)와 상기 탄성부재(354, 355, 356)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볼(357, 358, 359)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로드(320)의 고정홈(370)에 볼(357, 358, 359)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2 몸체부(200)를 고정할 수 있다. The stopper 350 is for maintaining the rotatable second body part 200 at a specific position along the hinge rod 320, and the elastic members 354, 355, and 356 and the elastic members 354, 355, and 356 It includes balls (357, 358, 359) that ar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The balls 357 , 358 , and 359 ar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70 of the hinge rod 320 to fix the second body portion 200 .

제2 몸체부(200)는 복수의 스톱퍼(351, 352, 35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몸체부(200)는 내측에 힌지로드(3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멍(385)을 형성하는 힌지로드 수용부(380)를 구비할 수 있다. 힌지로드 수용부(380)는 힌지로드(32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힌지 로드(320)가 용이하게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힌지 로드(320)보다 크게 형성된다. 힌지로드 수용부(380)의 상단부에는 스톱퍼(350)가 배치될 수 있는 스톱퍼 수용부(385)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 수용부(385)는 볼(357, 358, 359)이 스톱퍼 수용부(385)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스톱퍼 수용부(385)는 볼(357, 358, 359)의 아래측을 지지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볼(357, 358, 359)은 일부만 힌지로드 수용부(380)에 노출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portion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oppers 351, 352, and 353,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00 has a hole 385 into which the hinge rod 320 is slidably inserted. A hinge rod accommodating portion 380 may be formed. The hinge rod accommodating portion 38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inge rod 320 and is larger than the hinge rod 320 so that the hinge rod 320 can easily move in a straight line. A stopper accommodating portion 385 in which a stopper 350 can be dispos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hinge rod accommodating portion 380 . The stopper accommodating portion 385 is formed so that the balls 357, 358, and 359 do not escape from the stopper accommodating portion 385. The stopper accommodating portion 385 is concavely formed to support the lower sides of the balls 357, 358, and 359, so that only a portion of the balls 357, 358, and 359 may be exposed to the hinge rod accommodating portion 380.

제1 스톱퍼(351)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제1 위치에서 로킹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스톱퍼(351)는 제2 경사면(230)의 반대측에 위치한다.The first stopper 351 is for locking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stopper 351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

제2 스톱퍼(352)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제2 위치에서 로킹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스톱퍼(352)는 제1 스톱퍼(351)보다 제2 경사면(230)에 가깝게 위치한다. The second stopper 352 is for locking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in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stopper 352 is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than the first stopper 351 .

제3 스톱퍼(353)는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를 제3 및 제4 위치에서 로킹하기 위한 것이다. 제3 스톱퍼(353)는 제2 경사면(230)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다.The third stopper 353 is for locking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t the third and fourth positions. The third stopper 353 is located closest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힌지로드(320)의 고정홈(370)에 스톱퍼(350)의 볼(357, 358, 359)이 삽입되면, 제1 내지 제4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고정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balls 357, 358, and 359 of the stopper 350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70 of the hinge rod 320,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positioned at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positions. It can be kept fixed in one.

제1 위치에서 제1 및 2 몸체부(100, 200)는 제1 및 제2 경사면(130, 230)이 서로 접하여 1차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스톱퍼(351)의 볼(357)이 힌지로드(320)의 고정홈(370)에 끼워져 2차적으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위치에서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는 제2 경사면(230)이 제1 디스플레이(110)의 일부에 간섭되어 1차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스톱퍼(352)의 볼(358)이 힌지로드(320)의 고정홈(370)에 끼워져 2차적으로 고정된다.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primarily fixed by contacting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130 and 230, and the ball 357 of the first stopper 351 is hinged. I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70 of the rod 320 and is secondarily fixed. Similarly,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00 and 200 are primarily fixed by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0 interfering with a part of the first display 110, and the second stopper 352 The ball 358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370 of the hinge rod 320 and is secondarily fixed.

도 9a 내지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쳐진 상태 및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9A to 13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of a foldable display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생략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Hereinafter, differences from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omitted descriptions may be replaced with the above description.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110)는 평면 디스플레이이고, 제2 디스플레이(12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210)는 제1 디스플레이(1110)와 상호 인접한 측의 에지에 곡률부(1215)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 디스플레이(1210)를 지지하기 위해 제2 디스플레이(1210)의 에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곡률부(1205)를 가진 제2 몸체부(120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A and 9B , the first display 1110 may be a fla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1210 may be a flexible display. The second display 1210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portion 1215 at an edge adjacent to the first display 1110, and has the same edge as the edge of the second display 1210 to support the second display 1210. The second body portion 1200 having a curvature portion 1205 formed with a curvature may be provided.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접힌 제1 위치에서, 제1 디스플레이(1110)와 제2 디스플레이(1210)는 외측을 향해 배치된다. In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foldable display 20 is folded, the first display 1110 and the second display 1210 are disposed toward the outside.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20)가 펼쳐진 제2 위치에서, 곡률이 형성된 제2 디스플레이(1210)의 일부는 제1 디스플레이(1110)의 일부와 오버랩되어 오버랩 부분(A)이 형성되도록 배치하여 한 화면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두 디스플레이(1110, 1210)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두 디스플레이(1110, 1210) 사이의 경계에는 오버랩 부분(A)이 배치되어 경계부의 시인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foldable display device 20 is unfolded, a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1210 having a curvature overlaps a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1110 to form an overlapping portion A so as to form one screen. configure to connect. The two displays 1110 and 1210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nd the overlap portion A is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displays 1110 and 1210 to improve visibility of the boundary.

제2 디스플레이(1210)는 제1 몸체부(1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200)의 일부(1202)는 연질이고, 다른 일부(1201)는 경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0)에 연결되는 제2 몸체부(1200)의 일부(1202)가 연질로 형성되어 제2 디스플레이(121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부(1200)에서 연질로 형성된 일부(1202)는 생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몸체부(1200)는 전체가 경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몸체부(11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제2 몸체부(120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구동을 할 때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제1 몸체부(1100)의 내부에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1210 may be positio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100 . A part 1202 of the second body 1200 may be soft, and the other part 1201 may be hard. A portion 1202 of the second body 1200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0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second display 1210 can be folded or unfolded. In this case, the soft part 1202 of the second body 1200 may be omitted. As another example, the entirety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00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In this case, the guide groove ( not shown) may be formed.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두 디스플레이(110, 210) 중 하나를 에지 디스플레이로 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두 디스플레이(1110, 1210) 중 하나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연결한 것이다.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e of the two displays 110 and 210 was used as an edge display, but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two displays 1110 and 1210 is connected as a flexible display.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도 9a 및 도 9b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2110)가 에지 디스플레이 인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2110, 2210)의 서로 인접한 부분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2110, 2210) 모두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Referring to FIGS. 10A and 10B ,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S. 9A and 9B , the first display 2110 is an edge display.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2110 and 2210 are formed to have curvatures at adjac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2110 and 2210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30)가 펼쳐진 제2 위치에서, 제2 디스플레이(2210)의 곡률부(2215)는 제1 디스플레이(2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 디스플레이(2110)의 곡률이 형성된 에지 부분과 오버랩되어 오버랩 부분(A)이 형성되도록 배치하여 한 화면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2110, 2210)가 인접한 측에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2110, 2210) 모두 곡률이 형성되어, 두 디스플레이(2110,2210) 사이의 경계가 더욱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다. 오버랩 부분(A)에 의해 경계부의 시인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foldable display 30 is unfolded, the curved portion 2215 of the second display 2210 is inserted inside the first display 2110 to form a curved edge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2110. It overlaps with and arranges to form an overlapping part (A)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one screen. Since both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2110 and 2210 have curvatures on the side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2110 and 2210, a boundary between the two displays 2110 and 2210 may be more naturally connecte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boundary portion by the overlap portion (A).

즉, 본 실시예에서는 두 디스플레이(2110, 2210) 중 하나는 에지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다른 하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연결한 것이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two displays 2110 and 2210 is an edge display and the other is a flexible displ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세 개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nect two or more displays.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ree displays are connect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3110)는 에지 디스플레이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3210, 3310)는 평면 디스플레이다. 제1 디스플레이(3110)의 에지에는 곡률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3110)는 상기 제2 및 제3 몸체부(3200, 3320)와 상호 인접한 양측의 에지(3151, 3153)에 각각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 the first display 3110 is an edge display, and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3210 and 3310 are flat displays. A curvature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first display 3110 . The first display 3110 may be formed to have curvature at edges 3151 and 3153 on both sides adjacent to the second and third body parts 3200 and 3320, respectively.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40)가 접힌 제1 위치에서, 제1 디스플레이(3110)와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3210, 3310)는 외측을 향해 배치된다. 제1 몸체부(3100)는 제2 및 제3 몸체부(3200, 3320)와 인접한 일면에 각각 경사면(3131, 31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1 몸체부(3100)와 대향하는 제2 및 제3 몸체부(3200, 3320)의 일면에 각각 경사면(3230, 333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1 디스플레이(3110)의 각 경사면(3131, 3133)은 각각 제2 몸체부(3200)의 경사면(3230) 및 제3 몸체부(3320)의 경사면(3330)과 마주하도록 위치한다.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 각 경사면들에 의해 서로 지지됨으로써 제2 및 제3 몸체부(3200, 33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foldable display 40 is folded, the first display 3110 and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3210 and 3310 are disposed toward the outside. The first body portion 3100 may have inclined surfaces 3131 and 3133 formed on surfaces adjacent to the second and third body portions 3200 and 3320, respectively. Inclined surfaces 3230 and 3330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and third body parts 3200 and 3320 facing the first body part 3100 at the first position. In the first position, the inclined surfaces 3131 and 3133 of the first display 3110 are positioned to face the inclined surface 3230 of the second body 3200 and the inclined surface 3330 of the third body 3320, respectively. do. Rot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body parts 3200 and 3320 can be prevented by being mutually supported by respective inclined surfaces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40)가 펼쳐진 제2 위치에서, 제1 디스플레이(3110)는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3210, 3310)의 아래측에 위치하여, 제1 디스플레이(3110)의 에지 부분과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3210, 3310)의 일부가 오버랩되어 오버랩 부분(A)이 형성되도록 두 디스플레이(3210, 3310)를 배치하여 한 화면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세 디스플레이(3110, 3210, 3310)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두 디스플레이(2110,2210) 사이의 경계에는 오버랩 부분(A)이 배치되어 경계부의 시인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세 디스플레이(3110, 3210, 3310)의 연결은 상기에서 설명한 연결부(300)와 같은 구조의 연결부들(3420, 34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3100)는 상기 제2 또는 제3 디스플레이(3310, 3210)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In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foldable display device 40 is unfolded, the first display 3110 is located below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3210 and 3310, and is locat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3110 and the first display 3110. The two displays 3210 and 3310 are arranged so that por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3210 and 3310 overlap to form an overlap portion A, and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as one screen. The three displays 3110, 3210, and 3310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nd the overlap portion A is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displays 2110 and 2210,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of the boundary. The three displays 3110, 3210, and 3310 may b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s 3420 and 343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nection part 300 described above. The first body portion 31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or third displays 3310 and 3210 in a foldable manner.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세 디스플레이(3110, 3210, 3310) 중 가운데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3110)는 에지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연결한 것이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among the three displays 3110, 3210, and 3310, the first display 3110 located in the middle is connected as an edge display.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4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4210, 4310)는 에지 디스플레이다.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4210, 4310)와 제1 디스플레이(4100)가 서로 인접한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4210, 4310)의 에지에는 곡률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4100)는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4210, 4310)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Referring to FIGS. 12A and 12B , the first display 4100 is a flexible display, and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4210 and 4310 are edge displays. Curvature is formed at the edges of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4210 and 4310 where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4210 and 4310 and the first display 4100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display 41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4210 and 4310 in a foldable manner.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50)가 접힌 제1 위치에서, 제1 디스플레이(4100)와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4210, 4310)는 외측을 향해 배치된다. In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foldable display 50 is folded, the first display 4100 and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4210 and 4310 are disposed toward the outside.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50)가 펼쳐진 제2 위치에서, 제1 디스플레이(4100)는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4210, 4310)의 아래측에 위치하여,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4210, 4310)의 에지 부분과 제1 디스플레이(3110)의 일부가 오버랩되어 오버랩 부분(A)이 형성되도록 세 디스플레이(4100, 4210, 4310)를 위치하여 한 화면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세 디스플레이(4100, 4210, 4310)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각 경계에는 오버랩 부분(A)이 배치되어 경계부의 시인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foldable display 50 is unfold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display 4100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4210 and 4310, and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4210 and 4310 The three displays 4100, 4210, and 4310 are positioned so that an overlap portion A is formed by overlapping an edge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3110 and a portion of the first display 3110, and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one screen. The three displays 4100, 4210, and 4310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nd the overlapping portion A is disposed at each boundary between the displays, so that visibility of the boundary portion is improved.

제1 디스플레이(1210)및 제1 몸체부(4100)는 제2 및 제3 몸체부(4200, 43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4100)은 연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몸체부(4200, 4300)에 연결되는 제1 몸체부(4100) 가 연질로 형성되어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4210, 431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이때, 연질로 형성된 제1 몸체부(1200)는 생략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1210 and the first body portion 410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and third body portions 4200 and 4300 to be positioned. The first body portion 410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The first body 4100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bodies 4200 and 4300 is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4210 and 4310 can be folded or unfolded. In this case, the first body portion 1200 formed of soft material may be omitted.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세 디스플레이(4100, 4210, 4310) 중 가운데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4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4210, 4310)는 에지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연결한 것이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among the three displays 4100, 4210, and 4310, the first display 4100 positioned in the middle is a flexible display, and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4210 and 4310 are edge displays.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도 12a 및 도 12b의 일 실시예에서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5210, 5310)가 평면 디스플레이인 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5100)는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5210, 5310)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Referring to FIGS. 13A and 13B ,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S. 12A and 12B ,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5210 and 5310 are flat displays. The first display 51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5210 and 5310 in a foldable manner.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60)가 펼쳐진 제2 위치에서, 제1 디스플레이(5100)는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5210, 5310)의 아래측에 위치하여,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5210, 5310)의 일부와 제1 디스플레이(5100)의 일부가 오버랩되어 오버랩 부분(A)이 형성되도록 세 디스플레이(5100, 5210, 5310)를 배치하여 한 화면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세 디스플레이(5100, 5210, 5310)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각 경계에는 오버랩 부분(A)이 배치되어 경계부의 시인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foldable display 60 is unfold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display 5100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5210 and 5310, and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5210 and 5310 The three displays 5100, 5210, and 5310 are arranged so that a part of the first display 5100 overlaps with a part of the first display 5100 to form an overlapping portion A,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one screen. The three displays 5100, 5210, and 5310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nd overlap portions A are disposed at each boundary between the displays to improve visibility of the boundary.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세 디스플레이(5100, 5210, 5310) 중 가운데 위치한 제1 디스플레이(5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고,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5210, 5310)는 평면 디스플레이인 것으로 연결한 것이다. That is, in this embodiment, among the three displays 5100, 5210, and 5310, the first display 5100 located in the middle is a flexible display, and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5210 and 5310 are flat display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00 : 제1 몸체부
110 : 제1 디스플레이 130 : 제1 경사면
200 : 제2 몸체부 210 : 제2 디스플레이
230 : 제2 경사면 300 : 연결부
320 : 힌지로드 350 : 스톱퍼
A : 오버랩 부분
10: foldable display device 100: first body
110: first display 130: first slope
200: second body 210: second display
230: second slope 300: connection
320: hinge rod 350: stopper
A: Overlap part

Claims (20)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가 접히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가 외측을 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가 펼쳐지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의 서로 인접한 부분들이 오버랩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가 서로 인접한 측의 에지(edge)에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 first body portion including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body portion including a second display;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face outward at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folded,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unfolded. overlap,
The foldabl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display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at an edge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djacent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에지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rst display is an edge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평면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display is a fold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displ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에지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아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econd position is a fold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of the first display is located below the second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를 상기 제1 및 제2 위치에 유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The connection part maintains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in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중 나머지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로드; 및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힌지로드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connection part,
a hinge rod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nd having the other end slidably inserted in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nd
and a stopper for selectively fixing a portion of the hinge ro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볼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로드는 상기 볼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을 형성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topp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and a ball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The hinge rod forms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ball is detachably inserted.
A fold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제1 및 제2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톱퍼는,
상기 제1 위치에서 고정되는 제1 스톱퍼;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고정되는 제2 스톱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7,
The stopper is formed in plurality 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The plurality of stoppers,
a first stopper fixed at the first position; and
a second stopper fixed at the second position; A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톱퍼는, 제3 위치에서 고정되는 제3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9,
The plurality of stopper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topper fixed at a thir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는 일측에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몸체부의 경사면이 제1 몸체부의 일부에 면 접촉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제2 몸체부의 경사면이 제1 디스플레이의 일부에 간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ody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on one side,
In the first positi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body is in surface contact with a part of the first body,
The fold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body interferes with a part of the first display at the secon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에지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isplay is an edge display,
The second display is a foldab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display.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일부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 foldable display device, wherein a portion of the second display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항에 있어서,
제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몸체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디스플레이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third body portion including a third display,
The foldabl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or second display in a foldable manner.
제1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 일측에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 타측에 연결되는 제3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제3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몸체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접히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2 디스플레이 및 제3 디스플레이가 외측을 향하고,
상기 제2 및 제3 몸체부가 펼쳐지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의 서로 인접한 부분들이 오버랩되고, 상기 제1 및 제3 디스플레이의 서로 인접한 부분들이 오버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 first body having a first display;
a second body having a second displa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A third body having a third displa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dy; includes,
The first display, the second display, and the third display face outward at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second and third bodies are folded to face each other,
The foldable display device wherein adjac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overlap each other and adjacent portions of the first and third displays overlap each other at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second and third bodies are unfolded.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2 및 제3 몸체부와 상호 인접한 양측의 에지(edge)에 각각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foldable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display is formed to have a curvature at edges of both sides adjacent to the second and third body parts.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는 에지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fold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rst display is an edge display or a flexible display.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는 평면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are foldable display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flat displays.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9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에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의 아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6,
An edge of the first display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and third displays at the first position.
제1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1 몸체부; 및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에 각각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를 펼칠 때 일부가 서로 오버랩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 first body portion including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body portion including a second display;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are disposed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respectively, and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re unfolded.
KR1020160054432A 2016-05-03 2016-05-03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4879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432A KR102487920B1 (en) 2016-05-03 2016-05-03 Fold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432A KR102487920B1 (en) 2016-05-03 2016-05-03 Foldable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715A KR20170124715A (en) 2017-11-13
KR102487920B1 true KR102487920B1 (en) 2023-01-13

Family

ID=6038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432A KR102487920B1 (en) 2016-05-03 2016-05-03 Foldabl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9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066B1 (en) * 2023-02-06 2023-06-13 주식회사 파츠텍 Waterdrop type hinge module for foldable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685B1 (en) * 2009-02-12 201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Multi-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715A (en) 201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3935B1 (en) Portable device
EP2421231B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034585B1 (en) Display Device
CN105283004B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limiting structure
US9557772B1 (en) Electronic device
WO20180426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07102075A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8516480A (en)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hinged screen
CN105190470A (en) Hinge mechanism for rotatable component attachment
US20190186683A1 (en) Support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5947778B2 (en) Electronic device stand and electronic device with stand
US9304552B2 (en) Protection device capable of rotatably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9803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60011140A (en) Expansion screen type mobile terminal
KR102487920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JP2007328530A (en) Electronic equipment
CN110727311A (en) Fold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screen thereof
CN104166433A (en) Protecting cover device
KR20160136174A (en) Mobile terminal having expanding and multiple display
JP2017091150A (en)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KR20210016498A (en) Folding Hinge Module for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90108668A (en) Subsidary hinge system of portable device within flexible display
US20040257752A1 (en) Portable terminal
WO1998045772A1 (en) Connecting node between a computer body and a hinged cover plate with a built-in screen
TW201517767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