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845B1 - Air purifying system - Google Patents

Air purify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845B1
KR102486845B1 KR1020150129569A KR20150129569A KR102486845B1 KR 102486845 B1 KR102486845 B1 KR 102486845B1 KR 1020150129569 A KR1020150129569 A KR 1020150129569A KR 20150129569 A KR20150129569 A KR 20150129569A KR 102486845 B1 KR102486845 B1 KR 10248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air cleaning
sensor
cleaning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1949A (en
Inventor
홍현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845B1/en
Publication of KR2017003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9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공기 청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공기 청정 시스템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 및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센싱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n air cleaning system is disclosed. The air cleaning system may include at least one air cleaning device performing an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and a sensing and control device for measuring ambient air quality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air cleaning device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Description

공기 청정 시스템 {AIR PURIFYING SYSTEM}Air Purifying System {AIR PURIFYING SYSTEM}

본 출원은 공기 청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n air cleaning system.

공기청정기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이다. 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purifies pollutants contained in air and converts them into fresh air.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본체 내에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와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공기 청정 기능뿐만 아니라 제습 기능, 가습 기능 등을 위한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처럼 공기청정기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제품 단가가 올라가게 된다.A conventional air purifier has various sensors for measuring air quality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in a main body, and is configured to additionally include modules for not only an air cleaning function but also a dehumidifying function and a humidifying function. As the air purifier has various functions, the unit price of the air purifier increases.

한편, 주거 공간 등과 같이 복잡한 실내 환경에서는 한 대의 공기청정기만으로 충분한 공기질 개선 효과를 얻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complex indoor environment such as a residential space, there are case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air quality improvement effect with only one air purifier, and the use of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is increasing.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한 공간에서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 공간의 공기질에 따라 효율적으로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제어하면서도 이를 위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related art, when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are used in one space,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for minimizing costs while efficientl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according to the air quality of the spa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 청정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lean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은,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 및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센싱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air cleaning device performing an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and a sensing and control device for measuring ambient air quality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air cleaning device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does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will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와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를 센싱 및 제어장치로 통합하고,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의 구성 및 기능을 단순화함으로써, 제품 단가를 줄이면서도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공기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를 센싱 및 제어장치에 의해 통합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various sensors for measuring air quality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operation into a sensing and control device, and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while reducing product unit cost, multiple You can get the same air quality improvement effect as using an air purifier. In addition, more efficient control is possible by integrating and controlling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through a sensing and contro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의 구현 및 운영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은 센싱 및 제어 장치(100),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 및 휴대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and a portable terminal 300.

센싱 및 제어 장치(100)는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measures ambient air quality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measured air quality, and includes a sensor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d a communication unit ( 130) may be configured.

센서부(110)는 센싱 및 제어 장치(100)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서, 공기 중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센서(VOC 센서), 공기 중의 CO2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CO2 센서,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센서,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등과 같이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is for measuring the air quality around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for example, a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 gas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gas in the air (VOC sensor) ), CO 2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O 2 in the air, radon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radon in the air,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humidity in the air, and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various types of sensors that can

제어부(120)는 후술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ncludes,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d an application specific semiconduct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일 예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실내 공기 오염도가 기 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한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가 청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실내 공기의 습도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가 제습 기능 또는 가습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센싱 및 제어 장치(100)와 통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based on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clean the air. Actions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function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umidity of the indoor air does not fall within a preset range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the controller 120 controls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to perform a dehumidifying function. Alternatively, the operation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a humidifying function. As such, the controller 120 may simultaneously control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connected to the sensing and controlling device 100 through communication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로부터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공기 청정 장치(200)로부터 동작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감지 결과 해당 공간에 사람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공기 청정 장치(20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따라 이에 적합하게 해당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부(120)는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가 설치된 공간의 국부적인 공기질 및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여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receiv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from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air cleaning device 200 and 200N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ay b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may receive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air purifier 200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erson in the corresponding space as a result of the motion detection. In this way,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according to the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respectively.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by more accurately reflecting the local air quality and situa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air purifier is installed.

또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 또는 통신부(130)를 통해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그룹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및 제어 장치(100)와 통신으로 연결된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는 소정의 기준(예를 들어, 설치 위치, 공기 청정 장치의 기능 등)에 따라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사무실 층별, 제습/가습 기능 구비 등), 제어부(120)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는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그룹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a plurality of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based on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or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It is also possible to group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device.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200 and 200N connected to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through communication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eg, installation position,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etc.). They may be grouped (eg, by office floor, with dehumidification/humidification functions, etc.), and the controller 120 may group-control the operation of air purifiers belonging to one or more groups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또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서버(미도시) 등으로부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ler 120 receives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from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converts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into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or one of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Compared with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the operation of the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한편,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관련 정보(예를 들어, 동작 모드 및 풍량, 동작 시간 정보 등), 센서부(110)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통신부(130)를 통해 휴대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휴대단말(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신호를 해당 공기 청정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eg, operation mode, air volume, operation time information, etc.) of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or 200N, the sensor unit 110 or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 200N) may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one or more air purifiers 200, 200N from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air purifier, thereby controlling the one or more air purifiers 200, 200N.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통신부(13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 휴대단말(300), 외부 서버(미도시) 등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부(13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이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air purifiers 200 and 200N,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for examp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can be implemented However,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u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또한, 통신부(130)는 각각 상이한 통신 기술에 의해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 휴대단말(300) 및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부(130)는 휴대단말(300)과 직접 통신할 수도 있고, 서버(미도시)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Also,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an external server by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portable terminal 300 or may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a server (not shown).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는 센싱 및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 제습 기능 및 가습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부(210), 송풍부(220) 및 청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제습부(240), 가습부(250) 및 센서부(260)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The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are for selectively performing at least one of an air cleaning function, a dehumidifying function, and a humidifying fun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blower unit ( 220) and a cleaning unit 230, and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of a dehumidifying unit 240, a humidifying unit 250, and a sensor unit 260, if necessary.

통신부(210)는 센싱 및 제어 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부(21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이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21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and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for example. However,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u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송풍부(220)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공기 청정 장치(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lower 220 is for forming an air flow so that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ing device 200, and may include a blower fan and a motor for driving the blower.

여기서, 송풍팬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회전속도(즉, 분당 회전수(revolutions per minute; RPM))는 통신부(210)를 통해 센싱 및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blowing fan may be rotated by a motor to form an air flow. In addition, the rotation speed (ie, revolutions per minute; RPM) of the moto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

청정부(230)는 공기 청정 장치(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기 청정 장치(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방식 등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230 filters out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cleaning device 200, and, for example, absorbs pollutants in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cleaning device 200. Contaminants can be removed in this way.

예를 들어, 청정부(230)는 하나 이상의 필터로 구성되어 공기 청정 장치(200)의 흡기구에 위치하거나, 공기 청정 장치(200)의 흡기구와 배기구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필터는 예를 들어 전처리 필터(prefilter), 기능성 필터,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 탈취 필터 등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처리 필터는 비교적 큰 먼지,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기능성 필터는 항균, 꽃가루, 집진드기, 세균,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고, 헤파 필터는 미세한 먼지, 실내 곰팡이와 같은 각종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탈취 필터는 실내의 각종 악취와 유해가스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For example, the cleaning unit 23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filters and may be positioned at an intake port of the air cleaning device 200 or may be positioned at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of the air cleaning device 200, respectively. Here, the one or more filters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filters, such as, for example, a prefilter, a functional filter, a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and a deodorization filter. Here, the pretreatment filter is for removing relatively large dust, hair, pet hair, etc., the functional filter is for removing antibacterial, pollen, house mites, germs, bacteria, etc., and the HEPA filter is for removing fine dust, indoor mold, etc. It is for removing various bacteria such as, and the deodorizing filter is for removing various odors and harmful gases in the room.

제습부(240)는 송풍부(220)에 의해 공기 청정 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제습 방식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The dehumidifying unit 240 is for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ing device 200 by the blowing unit 220, and one of various dehumidifying meth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employed. .

예를 들어, 제습부(240)는 압축기, 응축기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냉매가스의 상변화를 유도하고 냉매가스의 상변화에 따른 흡열반응을 이용하여 공기 청정 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압축하고,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하며, 액화된 냉매가스는 열교환기에서 기화 및 팽창되면서 주변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냉각을 통해 유입된 공기 중의 수분을 물로 응결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후, 냉매가스는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humidifier 240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 heat exchanger, induces a phase change of the refrigerant gas, and flows into the air cleaning device 200 by using an endothermic reaction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of the refrigerant gas. air can be cooled. In other words, the compressor compresses the refrigerant gas, the condenser liquefi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gas, and the liquefied refrigerant gas is vaporized and expanded in the heat exchanger to cool the surrounding air. Moisture can be removed by condensation with water. Thereafter, the refrigerant gas is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again, and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repeated.

가습부(250)는 송풍부(220)에 의해 공기 청정 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가습 방식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The humidifying unit 250 supplies moisture to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ing device 200 by the blowing unit 220, and one of various humidifying meth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employed.

예를 들어, 가습부(250)는 공기 청정 장치(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가습 필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자연기화식으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umidifier 250 allows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leaning device 200 to pass through a humidifying filter, thereby supplying moisture to the air in a natural evaporation manner.

센서부(260)는 공기 청정 장치(200)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센싱 및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센서부(110)에 비해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60)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서 및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동작을 감지하여 주변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 감지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부(260)에 의해 출력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는 통신부(210)를 통해 센싱 및 제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260 is for measuring the air quality around the air cleaning device 200 and can be configured more simply than the sensor unit 110 included in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 For example, the sensor unit 260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humidity in the air, and detects an operation within a preset distance to detect a surrounding area.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person is present may be further included.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output by the sensor unit 26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

휴대단말(300)은 센싱 및 제어장치(100)로부터 공기질 측정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관련 정보(예를 들어, 동작 모드 및 풍량, 동작 시간 정보 등)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부(310), 정보생성부(320), 디스플레이부(330) 및 제어입력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300 receives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and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eg, operation mode, air volume, operation time information, etc.) of one or more air purifiers 200 and 200N from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Provided to the user and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information generator 320, and the display unit 33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input unit 340.

통신부(310)는 센싱 및 제어장치(1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통신부(31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이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310)는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and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for example. However,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used by 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정보생성부(320)는 통신부(310)를 통해 센싱 및 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20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sensing and controlling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or the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of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is to create

일 예로, 정보생성부(320)는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공기 오염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직선 바, 원형 그래프, 색상 등)로 가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20 may process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into a form (eg, a straight bar, a circular graph, a color, etc.) that can intuitively determine the air pollution level.

다른 예로, 정보생성부(32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관련 정보(예를 들어, 동작 모드 및 풍량, 동작 시간 정보 등)를 기초로, 소비 전력 정보, 소비 전력에 따른 예상 전기료 정보, 필터 청소(재생) 또는 교체 주기 알람 등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formation generator 320 determines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and power consumption based on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eg, operation mode, air volume, and operation time information) of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It is possible to generate information such as expected electricity cost information, filter cleaning (regeneration) or replacement cycle alarm.

디스플레이부(330)는 각종 정보 디스플레이를 위한 것으로, 통신부(310)를 통해 센싱 및 제어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관련 정보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정보생성부(320)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30 is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displays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or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of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as they are. Alternativel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20 may be displayed.

제어입력부(340)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한 것이다. 제어입력부(3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는 통신부(310)를 통해 센싱 및 제어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The control input unit 340 is to receive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from a user. A control signal input from a user through the control input unit 340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

휴대단말(300)에는 센싱 및 제어장치(100)와의 연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n application for interworking with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300, and through thi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y be perform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의 구현 및 운영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an air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 및 제어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와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단말(300)와 연동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is connected to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through communication to control its operation, and is interlock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300 possessed by the user. It may operat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뿐만 아니라, 센싱 및 제어장치(100)는 해당 공간(예를 들어, 가정, 사무실 등)에 설치된 환기장치(400), 냉방장치(500) 및 난방장치(600) 중 하나 이상과 연동하여 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one or more of the ventilation device 400, the cooling device 500, and the heating device 600 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space (eg, home, office, etc.) can also control.

예를 들어, 센싱 및 제어장치(100)는 센서부(110)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청정 장치(200, 200N)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환기 필요 여부, 냉방 또는 난방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장치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ventilation is required, cooling or heating is required based on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10 or one or more air cleaning devices 200 and 200N, and , the operation may be controlled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센싱 및 제어 장치
110: 센서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200: 공기청정장치
210: 통신부
220: 송풍부
230: 청정부
240: 제습부
250: 가습부
260: 센서부
300: 휴대단말
310: 통신부
320: 정보생성부
330: 디스플레이부
340: 제어입력부
400: 환기장치
500: 냉방장치
600: 난방장치
100: sensing and control device
110: sensor unit
120: control unit
130: communication department
200: air cleaning device
210: communication department
220: blower
230: cleaning unit
240: dehumidification unit
250: humidifying unit
260: sensor unit
300: mobile terminal
310: communication department
320: information generating unit
330: display unit
340: control input unit
400: Ventilator
500: air conditioner
600: heating device

Claims (17)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및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센싱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기 정해진 기준 - 상기 기 정해진 기준은 설치 위치 및 공기 청정 장치의 기능을 포함함 - 에 따라 그룹핑된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그룹 중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는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그룹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은,
상기 센싱 및 제어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청정 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청정부; 및 주변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은, 포함된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상기 센싱 및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에 구비된 센서부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서와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싱 및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 및 제어 장치에 구비된 센서부는,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센서; 공기 중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스센서; 공기 중의 CO2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CO2 센서;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센서; 공기 중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센서; 및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a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performing an air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and
A sensor unit for measuring ambient air quality,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It includes a sensing and control device having a control unit,
The controller is one of a plurality of air purifier groups group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wherein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ncludes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a function of the air purifier. Group control of the operation of air purifiers belonging to the above groups,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a blowing unit including a blowing fan and a motor for driving the blowing fan, and forming an air flow by rotation of the blowing fan to introduce external air into the air cleaning device; a cleaning unit filter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by the blowing unit; And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surrounding air quality,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transmits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an included sensor unit to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The sensor unit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includes a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in the air,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The sensor unit provided in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dust sen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the air; a gas sensor for measuring the gas concentration in the air; a CO 2 sensor for measuring the CO 2 concentration in the air; Radon sensor for measuring the radon concentration in the air;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in the air; and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ir temperatur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은,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 및
상기 송풍부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a dehumidifying unit that removes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by the blowing unit; and
The air cleaning system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humidifiers supplying moisture to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by the blowing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unit,
An air clea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mo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s an operation of each air cleaning device based on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으로부터 동작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 감지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ntroller receives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s an operation of each air purifier based on the motion detection information.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실외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s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outdoor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with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환기, 냉방 또는 난방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환기장치, 냉방장치 또는 난방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ventilation, cooling, or heating is necessary based 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and controls operations of a ventilation device, a cooling device, or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휴대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으로 전송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및 제어장치로부터 공기질 측정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휴대단말을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ortable terminal that receives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and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from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provides the information to a user, and remot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according to a user's input. Air purif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센싱 및 제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공기질 측정 데이터 또는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제어입력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nsing and control device;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air quality measurement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and
An air cleaning system comprising a control input unit receiving a user's inpu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leaning device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복수의 공기 청정 장치 각각의 동작 관련 정보를 기초로 소비 전력 정보, 소비 전력에 따른 예상 전기료 정보, 필터 청소 또는 교체 주기 알람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 청정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n informat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t least one of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estimated electricity cost information according to power consumption, and a filter cleaning or replacement cycle alarm based on the operation-related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purifier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ir purifying system.
KR1020150129569A 2015-09-14 2015-09-14 Air purifying system KR1024868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69A KR102486845B1 (en) 2015-09-14 2015-09-14 Air purify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69A KR102486845B1 (en) 2015-09-14 2015-09-14 Air purify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49A KR20170031949A (en) 2017-03-22
KR102486845B1 true KR102486845B1 (en) 2023-01-10

Family

ID=5849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569A KR102486845B1 (en) 2015-09-14 2015-09-14 Air purify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8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154A1 (en) * 2017-09-05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576035B1 (en) * 2017-09-05 2023-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purifi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0017741A1 (en) * 2018-07-17 2020-01-23 주식회사 미로 Intelligent humidification system in which humidifier and remote control having built-in sensor are linked
KR20200010013A (en) * 2018-07-17 2020-01-30 주식회사 미로 System for intelligent humidifier interlocking with remote controller built-in sensor
CN109539519A (en) * 2018-11-21 2019-03-29 合肥林夏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door air quality intelligent detection and control system
WO2020130192A1 (en)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세스코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KR102287675B1 (en) * 2019-10-24 2021-08-10 주식회사 아이자랩 System for simultaneous air cleaning at multi points
KR102311194B1 (en) * 2019-10-29 2021-10-13 주식회사 베터라이프 Ventilation system for indoor radon reduction
KR102365503B1 (en) * 2019-12-24 2022-02-21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A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odor
KR102346882B1 (en) * 2020-01-23 2022-01-04 나기원 Stand type air sterilizer using electrolyzed water
KR102346883B1 (en) * 2020-01-23 2022-01-04 나기원 Mobile air sterilizer using electrolyzed water
KR102352817B1 (en) * 2021-06-23 2022-01-19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Clean room system using photocatalytic hybrid materi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31B1 (en) * 2007-01-23 2008-04-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urifying indoor atmosphere
JP2009002601A (en) 2007-06-22 2009-01-08 Panasonic Corp Air-conditioner
KR101238958B1 (en) 2011-03-21 2013-03-04 최병희 Air cleaning and energy saving system
JP5334706B2 (en) 2009-06-25 2013-11-0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Air conditioner
KR101461849B1 (en) 2014-04-15 2014-11-20 박진영 Rotatable ai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512A (en) * 2004-03-08 2005-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 and the control method
KR100884644B1 (en) * 2007-01-29 2009-02-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Air cleaner capable of interworked driving
KR20140003760A (en) * 2012-06-28 2014-01-10 주식회사 세스코 Control system for air qual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431B1 (en) * 2007-01-23 2008-04-2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urifying indoor atmosphere
JP2009002601A (en) 2007-06-22 2009-01-08 Panasonic Corp Air-conditioner
JP5334706B2 (en) 2009-06-25 2013-11-0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Air conditioner
KR101238958B1 (en) 2011-03-21 2013-03-04 최병희 Air cleaning and energy saving system
KR101461849B1 (en) 2014-04-15 2014-11-20 박진영 Rotatable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949A (en)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6845B1 (en) Air purifying system
KR102572499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ir quality, and analyzing server
KR20170086246A (en) Movable air purify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A2918085C (en) An hvac system and an hvac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the hvac system based on air pollutant data and user comfort
US20050277381A1 (en) System to contro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living space
US20150140919A1 (en) Techniques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US20190056126A1 (en)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2473894B1 (en) Air quality display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JP2012149879A (en) Ai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002459B2 (en)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air treatment apparatuses
JPWO2020255875A5 (en)
KR20210045738A (en) A system for ventilat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107636392B (en) Ai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KR20170027917A (en) Air purifying system having supplementary fa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020660A (en) Air conditioner
JP7187926B2 (en) Ventilator and ventilation system
CN206831721U (en) Fan coil pipe type air purifier
KR20170026869A (en) Air purifier capable of identifying filter and contol setting method thereof
KR102502947B1 (en) Air purifier and method of displaying efficiency thereof
JP2002061930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ffecting integrated control of ventilation fan,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JP2015161478A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blower
CN204593686U (en) A kind of Ecology domestic air concentrates sub-prime conditioning equipment
KR102328819B1 (en) Apparatus for dehumid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94869B1 (en)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system having ventilation notification function, and ventilation notification server
KR102472460B1 (en) Air purifying system having supplementary fa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