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787B1 -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notific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notifica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787B1
KR102486787B1 KR1020220071236A KR20220071236A KR102486787B1 KR 102486787 B1 KR102486787 B1 KR 102486787B1 KR 1020220071236 A KR1020220071236 A KR 1020220071236A KR 20220071236 A KR20220071236 A KR 20220071236A KR 102486787 B1 KR102486787 B1 KR 10248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ge
information
statement
wage statement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102022007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7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provided by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installed and implemented on an administrator computer.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which is installed at a work site, is linked to a worker access management device that can generate access information on the attendance and closing time of commuting workers by date to receive and collect the acces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worker access management device, and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that is a standard for setting wage statement items input and generated by an administrator through the ERP program implemented on the administrator computer; a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which sets items that form the format of a wage statement and a calculation method for each item, and generates a wage statement for each worker by reflecting information values according to the set calculation method for each item,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a wage statement guide unit which transmits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including link information, through which the output of the wage statement for each worker generated by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can be confirmed, to each registered worker terminal. Therefore, in relation to various items that form the format of wage statements and a calculation method for the items, the administrator can implement the format of wage statements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workers.

Description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구비한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NOTIFICATION FUNCTION}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with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guidance function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NOT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구비한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a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a guidance function.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전사적 자원관리 라고 불리며 기업활동을 위해 쓰이고 있는 기업 내의 모 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통합정보시 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is called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and is a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that effectively manages all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ithin a company used for business activities and ultimately strengthens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there is.

국내의 많은 대형 건설사들은 급변하는 국내외 건설시 장의 기업환경과 무한경쟁체계의 시장 환경에 다른 새로 운 개념의 글로벌 전략 자원관리 및 공급업체 구축의 필 요성과 기업 내부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원가절감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CALS/EC 체제를 바탕으로 한 정보를 종합한 ERP 시스템을 도입하였다.Many domestic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are competitive with the need for a new concept of global strategic resource management and supplier establishme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of domestic and foreign construction markets and the market environment of unlimited competition, and cost reduction through systematic management within the company. In order to secure the information, an ERP system that synthesized information based on the CALS/EC system was introduced.

이러한 건설 ERP 시스템 도입업체를 중심으로 실시한 ERP 시스템 도입효과에 대해 정량적 요인과 정성적 요인 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ERP 시스템의 도입이 건설회사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According to a study that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 of ERP system adoption by dividing it in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actors, which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se construction ERP system adopters, it was foun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ERP syste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construction companies. It became.

그 중에서도 건설 ERP 시스템은 현장에서 관리되고 있는 작업인력의 전반적인 관리를 하며 우수한 인력들의 자료를 방대하게 구축하기 위한 일반사항/급여/평가/세금/퇴직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다양한 노무관리 기능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Among them, the construction ERP system performs the overall management of the work force managed at the site, handles general matters/salary/evaluation/tax/retirement, etc. to build a vast amount of data on excellent manpower, and develops various labor management functions. This is currently in progress.

특히, 임금명세서의 생성에서부터 근로자들로의 교부까지의 과정에 있어 자동화 및 전자화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요구들이 계속 증가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근로자는 자신의 급여명세서를 언제 어디서든 열람할 수 있도록 하며, 고용주는 보다 편리하게 급여명세서를 근로자에게 교부하여 궁극적으로 근로자 및 고용주 모두 급여명세서의 관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0348호의 "급여명세서 교부 방법 및 장치, 및 급여명세서 관리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In particular, various demands that require automation and electronicization continue to increase in the process from creation of pay slips to delivery to workers, and in this regard, workers can view their pay slips anytime, anywher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70348 in the prior art for the prior art prepared so that employers can more conveniently deliver payslips to workers so that both workers and employers can ultimately manage payslips more systematically. "Pay slip issuance method and device, and pay stub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n No.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건설 ERP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와 관련 기술들의 경우, 단순히 일정 문서형태로 작성된 임금명세서를 전자문서화하여 해당 전자문서를 근로자에게 발송하는 1차원적인 형태에 그침에 따라 임금명세서의 관리 기능이 실질적으로 공사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다양한 근로계약형태 및 임금명세서 교부요구 형태를 고려하여 기능적 효율성 및 범용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wage slip management and related technologies in the existing construction ERP system, including the prior art, wage slips written in a certain document form are simply converted into electronic documents and the electronic documents are sent to workers, which is only a one-dimensional form.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unctional efficiency and versatility of the management function of the statement was very low considering the various types of labor contracts and the form of request for issuance of the wage statement of workers actually working at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다양한 항목 및 해당 항목의 산출방식과 관련하여 근로자별로 관리자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근로자의 근로계약유형에 따른 노무비의 세부적인 자동 산출 기능이 모든 유형에 걸쳐 신뢰성있게 수행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y the manager for each worker in relation to various items constitu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corresponding item, It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reliably perform detailed automatic calculation of labor costs according to the type of labor contract across all typ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금명세서의 교부와 관련하여 근로자별로 각기 다양한 교부방법 중 선택적인 선택 및 관리가 가능하며, 임금명세서의 교부를 통한 열람에 있어 보안성을 충분히 갖출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selectively selecting and managing various delivery methods for each worker in relation to the delivery of wage statements, and having sufficient security in reading through the delivery of wage statements. there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구비한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컴퓨터에 설치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출, 퇴근하는 근로자들의 날짜별 출근 및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 가능한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에 연동되어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 제공받아 수집하며,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 생성하는 임금명세서 항목설정에 기준이 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유닛;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항목 및 항목별 산출방식을 설정하고, 상기 정보 수집유닛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항목별 산출방식에 따라 정보값을 반영하여 근로자별 임금명세서를 생성하는 임금명세서 관리유닛; 및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을 통해 생성된 근로자별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기 등록된 근로자별 단말에 전송하는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a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a guid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ge statement provided by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installed and implemented on a manager's computer. In the management system, it is linked to a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installed at a work site and capable of generating access information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times for each day of workers entering and exiting, receiving and receiving the access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nd collects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hat is a criterion for setting items of a wage statement input and generated by a manager through an 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program implemented in the manager's computer; Wage statement that creates wage statements for each worker by setting the items constitu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and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item, and reflecting the inform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item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management unit; and a wage statement guiding unit for transmitting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including link information enabling output confirmation of the wage statement for each worker generated through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to a pre-registered terminal for each worker.

여기서, 상기 정보 수집유닛은,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출입정보 관리부; 상기 출입정보 관리부에 저장 관리되는 근로자별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근로일수, 총 근로시간,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근로시간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입력 생성되는 항목 기준정보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한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금액에 관한 기준금액정보 및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비율에 관한 기준비율정보를 생성하여 사업장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기준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Here,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ncludes: an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stores and manages a database for each worker;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stored and managed in the above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e number of working days, total working hours, basic working hours, weekly vacation hours, overtime working hours, holiday working hours, annual vacation hours and night working hours for each worker are calculated. Working hour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creates and stores detailed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nto a database; and standard amount information regarding the standard amount of a specific detailed item that can be used to set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wage item constitu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based on the item standard information generating signal input and generate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and the standard of the specific detailed item A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reference ratio information on ratios, stores and manages the database for each business site.

또한,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 가능한 임금항목들에 관한 항목정보와 상기 항목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하며 특정 시간, 금액 또는 비율 중 하나로 정의되는 세부항목들에 관한 세부항목정보가 각각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기 설정 저장되는 항목정보 저장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항목의 선택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이 상기 항목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 반영되도록 하는 임금항목 설정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항목의 산출방식 설정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금항목 설정부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포맷 상에 선택 반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금항목 각각에 대한 산출방식이 상기 항목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세부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수로 포함하는 특정 수식으로 설정 반영되도록 하는 산출방식 설정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can be used to set item information on wage items that can configure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and a calculation method for each item corresponding to each item information, and is defined as one of a specific time, amount, or ratio an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pre-setting and storing detailed item information on each of the detailed items in a database; Wage items constitu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based on the first format setting signal input and generated for selection of wage items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are selected and reflected at least one of the item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item setting unit; and a calculation method for each of at least one wage item that is selectively reflected on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based on the second format setting signal input and generated for setting the wage item calculation metho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and a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d reflect a specific formula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etailed item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as a variable.

아울러,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포맷 설정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설정내역 저장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금항목 설정부를 통해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도록 선택된 임금항목 및 상기 산출방식 설정부를 통해 임금항목별로 설정된 산출방식에 대한 내역을 설정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사업장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기 저장된 포맷 설정내역을 타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 동일하게 반영시키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설정내역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내역 정보 중 대응되는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타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져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과 동일하게 반영되도록 하는 제1설정내역 변경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기 저장된 포맷 설정내역을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 동일하게 반영시키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설정내역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내역 정보 중 대응되는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져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과 동일하게 일괄 반영되도록 하는 제2설정내역 변경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is selected to configure the format of the daily wage statement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based on the setting details storage signal input and generated to database the format setting details of the wage statement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A setting detail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the details of the calculation method set for each wage item through the wage item and the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after generating setting detail information and then making a database for each business site; The corresponding setting among the setting details stored in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first setting details change signal that is input and generated to reflect the format setting details previously store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to other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s and to be equally reflected. A first setting details change unit for attaching information detail information to other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s to be reflected in the same format as the daily wage statement; And the target selection signal generated in order to select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who wan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and the previously stored format setting details to the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or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second setting details change signal generated to paste and reflect the same, among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details information is a wage statement for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It includes a second setting detail change unit that is attached to the format setting and is collectively reflected in the same format as the daily wage statement.

또한,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생성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임금명세서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금항목 설정부를 통해 선택된 임금항목이 구성으로 포함되며 상기 산출방식 설정부를 통해 임금항목별로 설정된 산출방식에 따라 상기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기준금액정보와 기준비율정보를 이용해 임금항목별 금액을 산출한 결과가 반영된 포맷의 임금명세서가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임금명세서로 일괄 생성되도록 하는 임금명세서 생성부; 및 상기 임금명세서 생성부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임금명세서의 생성여부, 임금명세서의 생성횟수, 임금명세서 생성신호 입력을 수행한 관리자 이름, 임금명세서의 생성시간에 관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generates wage statements for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and the target selection signal generated to select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who wan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Based on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signal generated for the input, the wage item selected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is included as a configuration, and the labor stored in the working time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method set for each wage item through the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A wage statement in a format in which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amount for each wage item is reflected using the time breakdown information and the standard amount information and standard ratio information stored in the standar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to be collectively generated as; And in conjunction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the generation of wage statements, the number of times the wage statements were generated, the name of the manager who performed the input of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signal, and the wage statement creation details information about the creation time of the wage statement were generated. Then, a wage statement cre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a database for each worker.

또한, 상기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은, 근로자별 이메일 주소 및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안내주소 정보가 기 등록 저장된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안내를 위한 메시지 형태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내용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안내정보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 안내 메시지 내용 및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의 임금명세서 안내 메시지 내 배치위치에 관한 설정이 반영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안내정보 생성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안내방법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이 이메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 중 하나의 방법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제1안내방법 설정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에 대한 임금면세서 안내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안내방법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이 이메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 중 하나의 방법으로 일괄 설정되도록 하는 제2안내방법 설정부; 상기 제1안내방법 설정부 또는 제2안내방법 설정부를 통해 근로자별로 설정된 안내방법을 통해 상기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된 근로자별 안내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개별 전송하는 안내정보 전송부; 및 상기 안내정보 전송부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횟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을 수행한 관리자 이름,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시간에 관한 안내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안내내역 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ge statement guide unit includes a guide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guide address information for each worker's e-mail address and phone number of a mobile terminal is pre-registered and stored; Based on the input and generated guidance information setting signal to set the contents of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message for guidance of the wage statement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the contents of the wage statement guide message and the output of the wage statement can be confirmed. a guid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in which settings for a placement position within a wage statement guide message are reflected; Based on the first guidance method setting signal input and generated to set the wage statement guidance metho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the wage statement guidance method for each worker uses e-mail, SMS (Short Message Service) of the mobile terminal, or messenger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first guide method setting unit that allows one of the method to be set through Notification Talk; Create an input to set a target selection signal generated to select at least one worker target who wants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and a wage exemption guidance method for at least one worker target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The method of guiding wage statements for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second guidance method setting signal is one of notification talk through e-mail, short message service (SMS) of mobile terminals, or messenger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s. a second guide method setting unit for collectively setting a method;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using the guide addres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pre-stored in the guide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through the guide method set for each worker through the first guide method setting unit or the second guide method setting unit.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individually transmitting the; And in conjunction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guide information on the wage statement, the name of the manager who performed the transmission of the guide information on the wage statement, and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guide information on the wage statement are created, and then each worker It includes; a guide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a database.

또한, 상기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은, 상기 안내정보 전송부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상기 안내정보 전송부를 통해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진 안내주소의 이메일 서비스 관리서버 또는 휴대단말로부터 피드백으로 전송 성공여부, 전송 후 이메일 또는 휴대단말을 통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확인 시간 및 횟수에 관한 확인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age statement guidance unit interlocks with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of the gui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and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success or failure of the feedback from the e-mail service management server or mobile terminal of the guidance address to which the guidance information of the wage statement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the gui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 After transmission, a guide information confirmation status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confirmation status information on the confirmation time and frequency of wage statement guidance information through e-mail or mobile terminal, stores and manages a database for each worker.

여기서, 상기 안내정보 전송부는 상기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로 제공되는 확인현황 정보 중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으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이 수행된 후 전송 실패가 이루어진 근로자의 휴대단말이 존재할 경우 해당 근로자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재전송한다.Here,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among the confirmation statu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uide information confirmation status management unit, has a mobile terminal of a worker whose transmission has failed after transmission of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to AlimTalk through a messenger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worker's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is retransmitted through SMS (Short Message Service) of the mobile terminal.

아울러, 상기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은, 근로자별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식별정보가 기 등록 저장된 식별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정보 생성부는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를 근로자별로 생성함에 있어, 링크 정보로의 접속 후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을 위한 열람의 인증절차로서 임금명세서에 대응되는 근로자별 고유식별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정보 입력창이 선 출력되도록 설정한다.In addition, the wage statement guide unit further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worker is pre-registered and stored, and the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es link information for each worker that can check the output of the wage statement. In this case, a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reading to check the output of the wage statement after connecting to the link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nput window requesting the input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worker corresponding to the wage statement is set to be displayed first.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다양한 항목 및 해당 항목의 산출방식과 관련하여 근로자별로 관리자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First, managers can implement in various forms for each worker in relation to various items constitu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and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corresponding item.

둘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 임금명세서의 포맷 설정을 저장하고, 저장된 포맷 설정을 다시 불러와 간단히 다른 근로자의 임금명세서 포맷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며, 이러한 기능의 수행에 있어 복수의 대상에 일괄 적용 또한 가능하다.Second, the format settings of wage statements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can be saved, and the saved format settings can be recalled to simply apply the same to other workers' wage statements formats, and collectively apply to multiple targets in performing these functions. It is possible.

셋째, 임금명세서의 교부를 통한 안내에 있어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관리자가 선택적으로 근로자별로 달리 설정 가능하며, 각각의 임금명에서 안내 내용 역시 관리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Third, the manager can selectively set one of the various methods for guidance through the issuance of wage statements for each worker, and the manager can also freely set the contents of guidance in each wage name.

넷째, 임금명세서의 교부를 통한 안내가 이루어지는 내용에 포함되는 접속링크 정보를 근로자가 클릭하여 자신의 임금명세서를 확인함에 있어 별도의 인증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서 보안성의 수준을 높게 갖추고 있다.Fourth, when a worker clicks on the access link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issuance of the wage statement and checks his or her wage statement, a separate authentication procedure is required, so the level of security is high.

다섯째, 공사 현장에서 근무하는 일용직 근로자를 비롯한 다양한 근로자들 각각의 근로계약 유형에 대응되어 전체 월 근무시간을 기준으로 노무비 산정에 기초가 되는 세부항목별 월환산비율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고, 이를 기반으로 노무비의 자동 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Fifth, it is possible to set the monthly conversion ratio for each detailed item, which i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labor cost based on the total monthly working hours, in response to each type of labor contract for various workers, including daily workers working at construction sites. As a result, automatic calculation of labor cost can be made.

여섯째, 임금명세서의 생성에서부터 교부, 그리고 근로자의 임금명세서의 확인에 이르는 일련의 모든 과정에서의 현황을 정보화하여 저장 관리하고, 이를 관리자가 언제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출력 제공 가능하다.Sixth, the current status of all processes ranging from the creation of the pay slip to the issuance and confirmation of the worker's pay slip is stored and managed in information, and output can be provided so that the manager can easily grasp it at any tim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항목 및 산출방식 설정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설정내역 일괄변경 및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관리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명세서 안내내역 관리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 확인내역 관리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근로시간 역산을 통한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 산출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11 및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 생성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 내 링크정보로의 접속 후 인증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 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임금명세서 생성기능의 결과물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setting wage items and calculation methods performed by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i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collectively changing setting details and managing details of creation of wage statements performed by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i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wage statement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performed by the wage statement guidance unit i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management function of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confirmation details performed by the wage statement guidance unit i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setting function performed by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i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function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wage items related to labor costs through inverse calculation of working hours performed by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i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generating wage statement guidance information performed by the wage statement guidance unit i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authentication function after accessing link information in wage statement guidance information performed by a wage statement guide unit in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result of a payslip generating function performed by a payslip management unit in a payslip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lready well-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conciseness of description.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 및 기능형태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and functional forms of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먼저, 관리자 컴퓨터(1)에 설치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이하에서 도1 내지 도2의 구성도 및 블록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First, for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installed and implemented on the manager computer 1, the configuration diagram and blocks of FIGS. 1 to 2 below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igur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수집유닛(110); 임금명세서 관리유닛(120); 및 임금명세서 안내유닛(13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as shown in FIGS. 1 and 2;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120; and a wage statement guide unit 130.

우선적으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자 컴퓨터(1)로 내부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며, 각 구성부가 모듈로서 기능하는 시스템의 형태를 갖출 수도 있고, 프로그램의 형태를 갖추어 각 구성부가 프로그램 세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First of all,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is provided by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implemented internally by the manager computer 1, and may have the form of a system in which each component functions as a module. 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gram so that each component performs detailed program functions.

구체적으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자 컴퓨터(1) 내부의 기억장치(10)에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되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성적서 작성자 컴퓨터(1)의 입력장치(20), 출력장치(30), 연산장치(40) 및 제어장치(50)와 상호 연동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에 따라 상호 신호 및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가능하다.Specifically,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program in the storage device 10 inside the manager computer 1 to build a system, and the input device 20 and the output device ( 30),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data to each other by constructing an interface to interwork with the arithmetic device 40 and the control device 50.

예를 들어,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20)를 통해 관리자가 특정 신호를 입력하면, 이는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에 전달되어 특정 단계의 진행 혹은 특정 기능의 수행에 연동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manager inputs a specific signal through an input device 20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it is transmitted to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and linked to the progress of a specific step or the performance of a specific function.

아울러,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특정 단계의 진행 혹은 특정 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장치(30)에 전달되어 정보의 시각적 출력 수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specific step is performed or a specific function is performed from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information may be visually output by being transferred to an output device 30 such as a display.

그리고 실시에 따라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자 컴퓨터(1) 내부의 기억장치(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자체로서 해석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may be interpreted as a program itself installed in the storage device 10 inside the manager computer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정보수집유닛(110)은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출, 퇴근하는 근로자들의 날짜별 출근 및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 가능한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200) 및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 자체에 해당하는 관리자 컴퓨터(1)에 설치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과 상호 연동되어 임금명세서의 생성 및 제공과 관련한 각종 기능 수행에 요구되는 기초정보들을 수집한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corresponds to the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200 and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itself capable of generating access information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times for each day of workers who are installed at the work site. It interworks wit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installed and implemented in the manager computer 1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the creation and provision of wage statements.

우선, 정보수집유닛(110)은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200)로부터 생성되는 출입정보를 관리서버(S)를 중계하거나, 사전에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200)로부터 관리서버(S)에 전송되어 관리되고 있던 출입정보를 제공받아 수집하게 된다.First of all,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relays the access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200 to the management server (S), or is transmitted from the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200 to the management server (S) in advance for management. Access information is provided and collected.

또한, 정보수집유닛(110)은 관리자 컴퓨터(1)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 생성하는 임금명세서 항목설정에 기준이 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at are standards for setting items of a wage statement input and generated by a manager through an 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program implemented in the manager computer 1 .

더 나아가, 정보수집유닛(110)은 관리자 컴퓨터(1)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 생성하는 근로자의 근로계약 내용에 대한 계약정보를 수집하게 된다.Furthermore,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contract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of labor contracts of workers input and generated by the manager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program implemented in the manager computer 1 .

여기서, 관리자가 입력장치(20)를 이용해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생성되는 임금명세서 항목설정에 기준이 되는 각종 정보 및 계약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수정, 삭제, 갱신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contract information that are standards for setting items in the wage statement generated as the manager inputs a signal using the input device 20 may be modified, deleted, or updated by the manager.

결국 이를 위해, 정보수집유닛(110)은 출입정보 관리부(111), 근로시간 내역정보 관리부(112), 계약정보 관리부(113) 및 기준정보 관리부(114)를 포함한다.Ultimately, for this purpose,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includes an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1, a working time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2, a contra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3, and a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4.

여기서, 출입정보 관리부(111)는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200)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며, 이러한 출입정보는 근로자가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200)를 거쳐 작업현장에 출근, 퇴근, 외근, 외출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작업현황을 반영하고 있어 구체적인 근무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Here, the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1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200, stores and manages the database for each worker, and such access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by the worker at the work site through the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200. It reflects the work status in the process of going to work, leaving work, going out, going out, etc., so you can check specific work details.

다음으로, 근로시간 내역정보 관리부(112)는 출입정보 관리부(110)에 저장 관리되는 근로자별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근로일수, 총 근로시간,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근로시간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Next, the working hours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2 determines the number of working days for each worker, total working hours, basic working hours, weekly vacation hours, overtime working hours, and holidays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stored and managed in the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Create a working hours detail information on working hours, annual leave hours, and night working hours, store and manage them in a database for each worker.

이를 통해, 관리자는 근로시간 내역 정보를 확인할 경우 해당 근로자의 근로일수, 총 근로시간,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임금의 산출에 이용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manager checks the details of working hours, the worker can check the tim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orking days, total working hours, basic working hours, weekly vacation hours, overtime working hours, holiday working hours, annual vacation hours, and night working hours. and can be used to calculate wages.

또한, 계약정보 관리부(113)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입력 생성되는 계약정보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의 근로계약 내용에 대한 계약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In addition, the contra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3 generates contract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the labor contract of the worker based on the contract information generation signal input and generate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stores and manages the database for each worker.

이를 통해, 관리자는 계약정보를 확인할 경우 해당 근로자의 계약유형이 어떤 형태이고, 급여와 관련한 시간, 금액, 세부 조건들이 있는지 등에 관한 구체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임금의 산출에 이용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a manager checks contract information, he can check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contract of the worker and whether there are time, amount, and detailed conditions related to the salary, and can use it to calculate wages based on this.

예를 들어, 일용직 근무자의 계약정보 내 계약유형은 포괄임금형 근로계약인지, 시급제형 근로계약인지 등을 정의하고 있으며, 각각의 유형에 대응되어 포괄임금에 따른 일일 기준근무시간, 총 지급급여액, 통상시급, 계약기간 등의 정보 혹은 시급제에 따른 통상시급, 계약기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contract type in the contract information of daily workers defines whether it is an inclusive wage type labor contract or an hourly wage type labor contract. It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normal hourly wage and contract period, or information such as normal hourly wage and contract period according to the hourly wage system.

마지막으로, 기준정보 관리부(114)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입력 생성되는 항목 기준정보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한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금액에 관한 기준금액정보 및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비율에 관한 기준비율정보를 생성하여 사업장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Finally, the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4 is based on the item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signal input and generate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the reference amount of a specific detailed item available for setting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wage item constitu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Create a database for each business site and store and manage standard amount information and standard ratio information about the standard ratio of specific details.

여기서, 기준비율정보 내 세부항목의 기준금액이라 함은 예를 들어 일반 근무자(일용직 근무자를 제외한 유형)별 특정기준에 따른 통상시급액, 간이세액, 고용보수월액, 연금소득월액, 건강보수월액, 근로소득금액, 건강과세금액, 연금과세금액, 고용과세금액, 국민연금하한금액, 국민연금상한금액, 건강보험하한금액, 건강보험상한금액 등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standard amount of detailed items in the standard ratio information refers to, for example, ordinary hourly wage, simplified tax amount, monthly employment remuneration, pension income, monthly health remuneration, Information on earned income, health tax, pension tax, employment tax, national pension lower limit, national pension upper limit, health insurance lower limit, health insurance upper limit can be included.

또한, 기준비율정보 내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비율이라 함은 예를 들어 건강보험요율, 요양보험요율, 국민연금요율, 고용보험요율, 근로시간별 기본근로시간 대시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주휴시간 각각의 환산계수 및 할증률 등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ard ratio of specific details in the standard ratio information refers to, for example, health insurance premium rate, nursing insurance premium rate, national pension rate, employment insurance premium rate, basic working hours by working hour, dash overtime, night work, holiday work, weekdays. Information on the conversion factor and premium rate for each time may be included.

임금명세서 관리유닛(120)은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항목 및 항목별 산출방식을 설정하고, 정보 수집유닛(110)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항목별 산출방식에 따라 정보값을 반영하여 근로자별 임금명세서를 생성한다.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120 sets the items constitu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and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item, and reflects the information valu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alculation method for each item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to generate wage statements for each worker.

이를 위해, 임금명세서 관리유닛(120)은 항목정보 저장부(121),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122),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123), 임금항목 설정부(124), 산출방식 설정부(125),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126), 제1설정내역 변경부(127a), 제2설정내역 변경부(127b), 임금명세서 생성부(128) 및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 관리부(129)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120 includes an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a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setting unit 122, a working hour inverse calculation detail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3, a wage category setting unit 124, and a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125),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age unit 126, first setting details change unit 127a, second setting details change unit 127b,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128, and wage statement creation detail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9 includes

우선, 항목정보 저장부(121)는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 가능한 임금항목들에 관한 항목정보와 항목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하며 특정 시간, 금액 또는 비율 중 하나로 정의되는 세부항목들에 관한 세부항목정보가 각각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기 설정 저장되도록 한다.First of all,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can be used to set item information on wage items that can configure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and a calculation method for each item corresponding to each item information, and is defined as one of a specific time, amount, or ratio. The detailed item information on the detailed items is databased, respectively, so that the preset settings are stored.

구체적으로, 항목정보 저장부(121) 내 항목정보가 설정 저장된 데이테베이스 내에는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고용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과 같은 선택적으로 임금명세서 내 설정여부가 결정되거나 산출방식의 수정이 가능한 항목들에서부터 실시에 따라 항목설정 여부와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포함되거나 산출방식의 수정이 요구되지 않고 일정 금액으로 고정되는 기본급, 직무수당, 차량보조금, 성과급, 직책수당, 식대 등의 항목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in the database in which item information is set and stored in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overtime work allowance, night work allowance, holiday work allowance, earned income tax, local income tax, employment Items such as insurance, national pension, health insurance, and long-term care insurance, which can be selectively set in the wage statement or whose calculation method can be modified, are basically included regardless of whether items are set or modified according to implementation Items such as basic salary, job allowance, vehicle subsidy, performance pay, job title allowance, and meals may be included that are not required and are fixed at a certain amount.

또한, 항목정보 저장부(121) 내 세부항목정보가 설정 저장된 데이테베이스 내에는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 및 날짜와 관련한 년, 월, 성명, 부서, 직급, 회사명, 지급입, 시번, 생년월일 등의 세부항목, 근로시간 내역과 관련한 근로일수, 총근로시간, 기본근로시간, 연장근로시간, 야간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등의 세부항목, 소득금액과 관련한 통상시급, 고용보수월액, 연금소득월액, 건강보수월액, 근로소득월액, 건강과세금액, 연금과세금액, 고용과세금액 등의 세부항목, 공제금액과 관련한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건강보험료, 요양보험료, 국민연금, 고용보험료, 건강보험요율, 요양보험요율, 국민연금요율, 고용보험요율, 국민연금하한금액, 국민연금상한금액, 건강보험하한금액, 건강보험상한금액 등의 세부항목 및 종합금액과 관련한 지금액계, 공제액계, 차인지급액, 기지급액, 실수령액 등의 세부항목이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atabase in which detailed item information is set and stored in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year, month, name, department, position, company name, payment related to workers and dates Detailed items such as occupation, time number, date of birth, number of working days related to working hours details, total working hours, basic working hours, overtime working hours, night working hours, holiday working hours, etc., regular hourly wages related to income amount, employment Detailed items such as monthly remuneration, pension income, monthly health allowance, earned income, health tax, pension tax, employment tax, earned income tax related to deductions, local income tax, health insurance premium, nursing care insurance premium, national pension, Employment insurance premium, health insurance premium rate, nursing care insurance premium rate, national pension rate, employment insurance premium rate, minimum amount of national pension, upper limit of national pension, lower limit of health insurance, upper limit of health insurance, etc. , deduction amount, debit payment amount, base payment amount, actual income amount, etc. may be included.

이와 관련하여, 임금항목 설정부(124)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임금항목의 선택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이 항목정보 저장부(121)에 저장된 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 반영되도록 한다.In this regard, the wage item setting unit 124 sets the wage item constitu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based on the first format setting signal input and generated for selection of the wage item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to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At least one of the item information stored in (121) is selected and reflected.

구체적으로, 임금항목 설정부(124)를 통해 임금항목 설정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질 경우,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임금항목 설정화면은 도3과 같으며, 임금항목 설정 리스트(IS)에서 제1포맷 설정신호를 통해 하나씩 임금항목이 선택 반영되며, 이와 같이 반영된 임금항목(IL)들은 최종적으로 진행되는 임금명세서의 포맷 내에 포함된다.Specifically, when the wage item setting fun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124, the wage item setting screen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is As shown in FIG. 3, wage items are selected and reflected one by one through the first format setting signal in the wage item setting list (IS), and the reflected wage items (IL) are included in the format of the final wage statement.

다음으로, 산출방식 설정부(125)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임금항목의 산출방식 설정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항목 설정부(123)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포맷 상에 선택 반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금항목 각각에 대한 산출방식이 항목정보 저장부(121)에 저장된 세부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수로 포함하는 특정 수식으로 설정 반영되도록 한다.Next, the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125 formats the wage statement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123 based on the second format setting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to set the wage item calculation method.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wage item selected and reflected on the image is set and reflected in a specific formula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of the detailed item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as a variable.

구체적으로, 산출방식 설정부(125)를 통해 임금항목별 산출방식의 설정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질 경우,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산출방식 설정화면은 도4와 같으며, 세부항목정보 리스트(SL)에서 제2포맷 설정신호를 통해 특정 세부항목정보가 선택되고 특정 수식 혹은 숫자가 입력 반영된다.Specifically, when the function of setting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wage item is performed through the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125, the calculation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The method setting screen is as shown in FIG. 4, and specific detailed item information is selected from the detailed item information list (SL) through the second format setting signal, and a specific formula or number is input and reflected.

이를 통한 산출방식의 설정내용은 우선적으로 도4와 같은 산출방식 설정화면 내 설정내용 출력영역(T1)에서 확인 가능하며, 산출방식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수치가 대응 적용된 결과는 도4와 같은 산출방식 설정화면 내 미리보기 출력영역(T2)에서 확인 가능하다,The settings of the calculation method through this can be checked first in the setting content output area (T1) in the calculation method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ure 4, and the result of applying the actual numerical value based on the calculation method is set as shown in Figure 4 It can be checked in the preview output area (T2) in the screen.

예를 들어, '국민연금'의 임금항목의 산출방식을 설정함에 있어 관리자는 도4와 같은 산출방식 설정화면 내 세부항목정보 리스트(SL)에서 '연금소득월액'의 금액 관련 세부항목을 선택한 뒤, '×'의 수식을 입력하고, 다시 '국민연금요율'의 비율 관련 세부항목을 선택한다.For example, in setting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wage item of the 'National Pension', the manager selects the detailed item related to the amount of 'monthly pension income' from the detailed item information list (SL) in the calculation method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 Enter the formula of 'x', and select the ratio-related details of 'National Pension Rate' again.

그 결과, 도4와 같은 산출방식 설정화면 내 설정내용 출력영역(T1)에는 '<<연금소득월액>>×<<국민연금요율>>'의 산출방식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도4와 같은 산출방식 설정화면 내 미리보기 출력영역(T2)에는 '3,000,000×4.5%'의 수치가 대응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lculation method of '<<monthly pension income>> × <<national pension rate>>' was applied to the setting contents output area T1 in the calculation method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value of '3,000,000 × 4.5%' is correspondingly applied to the preview output area (T2) in the same calculation method setting screen.

여기서 더 나아가,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122)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 중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계약 유형별로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해당하는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을 설정하고,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전체의 월 기준 환산시간의 합 대비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의 비율에 해당하는 산정비율을 계산하여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로 생성한다.Furthermore, based on the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setting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to set the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the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setting unit 122 determines the basic working hours, Set the monthly conversion time for each subcategory related to labor costs corresponding to weekly holiday hours, overtime working hours, holiday working hours, annual vacation hours, and night working hours, Calculate the calculation rate corresponding to the rate of conversion hours on a monthly basis and create labor cost calculation rate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labor contract.

여기서,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계약 유형은 예를 들어, 포괄임금형 근로계약 혹은 시급제형 근로계약 등이 있으며, 이러한 근로계약 유형의 경우 세부적으로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해당하는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각각의 정보가 수집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합산된 정보가 수집되기 때문에 이를 다세 구분하여 산정할 필요가 요구된다.Here, the types of labor contracts for daily workers include, for example, comprehensive wage-type labor contracts or hourly wage-type labor contracts. Since information on each detailed item related to labor costs corresponding to annual leave hours and night work hours is not collected, but aggregated information is collected,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m separately.

이에 따라,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122)는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계약 유형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에 관해 설정할지를 구분하여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setting unit 122 may separately determine how to set the monthly standard conversion time for each detailed item related to labor costs according to the type of labor contract of the daily worker.

구체적으로,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122)를 통해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 설정기능의 수행이 이루어질 경우,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월 기준 환산시간 설정화면은 도8과 같으며,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EL) 별로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CT)이 특정시간 수치로 설정되면 자동으로 전체 합산시간 대비하여 비율(CR)이 결정된다.Specifically, when the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setting unit 122 performs the monthly conversion time setting function for each detailed labor cost related item,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 the monthly conversion time setting screen provided is shown in Fig. CR) is determined.

예를 들어, 1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한 포괄임금형 근로계약의 경우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EL) 각각의 월 기준 환산시간을 기본근로시간을 174시간, 주휴시간을 35시간, 연장근로시간을 65.1시간, 휴일근로시간을 69.44시간, 연차휴가시간을 8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을 0시간으로 설정하면, 이에 따라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 전체의 월 기준 환산시간의 합 대비 기본근로시간의 비율이 49.49%, 주휴시간의 비율이 9.96%, 연장근로시간의 비율이 18.52%, 휴일근로시간의 비율이 19.75%, 연차휴가시간의 비율이 2.28% 및 야간근로시간의 비율이 0%로 자동 산출되어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로 생성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mprehensive wage labor contract based on a 10-hour workday, the monthly conversion hours for each item related to labor cost (EL) are 174 hours for basic working hours, 35 hours for weekly holidays, and 65.1 hours for overtime hours. If we set the hours and holiday working hours to 69.44 hours, annual leave hours to 8 hours, and night working hours to 0 hours, the ratio of basic working hours to the sum of monthly converted hours for all detailed items related to labor costs is 49.49%, The rate of weekly rest hours is 9.96%, the rate of overtime hours is 18.52%, the rate of holiday work hours is 19.75%, the rate of annual vacation hours is 2.28%, and the rate of night work hours is 0%. It is created with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information.

이와 같이 설정 생성된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는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계약 유형별로 각기 달리 설정됨은 물론이고 구분되어 관리됨으로서, 도8과 같은 월 기준 환산시간 설정화면에서 근로계약유형의 선택버튼을 관리자가 클릭하면 도9와 같이 근로계약유형 선택창(TS)이 활성화되고, 이 중에서 관리자가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의 설정을 통한 생성 혹은 재설정(수정)을 통한 재성을 수행할 수 있다.The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information for each type of labor contract created in this way is not only set differently for each type of labor contract for daily workers, but also separately managed. When is clicked, the labor contract type selection window (TS) is activated as shown in FIG.

이에 이어,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123)는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112)에 저장 관리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의 근로시간 내역 정보 및 계약정보 관리부(113)에 저장 관리된 계약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의 계약정보를 기반으로 월 기준 총 근로시간을 산출한다.Following this, the working hours inverse calculation detail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3 includes working hours details information of daily workers and contract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in the contra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3 among the working hours details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in the working hours detail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2 Calculate the total working hours per month based on the contract information of daily workers.

또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123)는 산출된 월 기준 총 근로시간을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122)를 통해 생성된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 중 일용직 근로자 각각의 계약정보에 대응되는 근로계약 유형별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를 이용해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 각각으로 역산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In addition, the working hour inverse calculation detail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3 calculates the calculated total working hours on a monthly basis, and the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setting unit 122. By using the calculated ratio information, work hour inverse calculation information is created by basic working hours, weekly vacation hours, overtime working hours, holiday working hours, annual vacation hours, and night working hours, respectively, and stored and managed in a database for each worker.

예를 들어,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10과 같은 근로자별 노무내역 출력화면에서 근로시간 역산내역 출력영역(T9)를 참고하면, 1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한 포괄임금형 근로계약이 이루어진 첫째줄의 근로자의 경우 월 총 근로일수가 13일로 월 총 근로시간은 13일에 8시간의 기본근로시간을 곱한 104시간이 기준이 되며, 계약정보에 따라 총 지급급여는 2,080,000원이며, 통산시급은 월 총 근로시간을 통해 20,000원이 기준이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the output area T9 of inverse calculation of working hours on the output screen for labor details for each worker as shown in FIG. 10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 In the case of the worker in the first line under the comprehensive wage labor contract based on 10 hours of work, the total number of working days per month is 13 days, and the total working hours per month is 104 hours multiplied by 13 days by 8 hours of basic working hours. According to the contract information, the total wage is 2,080,000 won, and the standard hourly wage is 20,000 won based on the total monthly working hours.

이 경우, 1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한 포괄임금형 근로계약의 노무비 산정비율 정보를 기준으로 기본근로시간은 104시간의 49.49% 인 51.47시간으로, 주휴시간은 104시간의 9.96% 인 10.36시간으로, 연장근로시간은 104시간의 18.52% 인 19.26시간으로, 휴일근로시간은 104시간의 18.52% 인 19.26시간으로, 연차휴가시간은 104시간의 2.28% 인 2.37시간으로 역산하여 자동 산출된다,In this case, based on the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information of the comprehensive wage labor contract based on 10 hours of work, the basic working hours are 51.47 hours, or 49.49% of 104 hours, and the weekly vacation hours are 10.36 hours, or 9.96% of 104 hours, Overtime hours are 18.52% of 104 hours, or 19.26 hours, holiday work hours are 18.52% of 104 hours, or 19.26 hours, and annual leave hours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by back-calculating 2.28% of 104 hours, or 2.37 hours.

또한, 자동 산출된 1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한 포괄임금형 근로계약의 경우 노무비 관련 세부항목별 시간 각각에 20,000원의 통산시급을 곱하여 기본급은 1,029,400원, 주휴수당은 207,200원, 연장근로수당은 385,200원, 휴일근로수당은 410,800원, 연차휴가수당은 47,400원으로 자동 산출되며, 그 결과는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10과 같은 근로자별 노무내역 출력화면 내 노무비 세부항목별 금액 출력영역(T10)에 출력 표시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mprehensive wage-type labor contract based on an automatically calculated 10-hour workday, each hour in each detail item related to labor costs is multiplied by a total hourly wage of 20,000 won, resulting in a base wage of 1,029,400 won, weekly holiday pay of 207,200 won, and overtime work pay of 385,200 won. KRW, holiday work allowance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s 410,800 won, and annual leave allowance is 47,400 won, and the result is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as shown in FIG. It is output and displayed in the amount output area (T10) for each labor cost detailed item on the output screen of labor details for each worker.

더 나아가,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10과 같은 근로자별 노무내역 출력화면 내에는 총지급액, 공제액계, 차인지급액을 비롯해, 근로자별 월 총 근로일수 및 월 총 근로시간에 대한 정보가 출력 표시되는 노무 종합영역(T8) 또한 포함된다.Furthermore, in the labor details output screen for each worker as shown in FIG. 10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the total payment amount, deduction amount, and difference payment amount, The total number of working days per month and the total number of working hours per month are printed out and displayed in the Labor Comprehensive Area (T8).

다음으로,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126)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포맷 설정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설정내역 저장신호를 기반으로 임금항목 설정부(124)를 통해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도록 선택된 임금항목 및 산출방식 설정부(124)를 통해 임금항목별로 설정된 산출방식에 대한 내역을 설정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사업장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Next,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age unit 126 works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124 based on the setting details storage signal input and generated to database the format setting details of the wage statement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wage item and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124 selected to configure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the details of the calculation method set for each wage item are created, and then databased for each workplace to be stored and managed.

예를 들어,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3과 같은 임금항목 설정화면에서 임금항목 및 산출방식의 설정이 완료된 특정 임금명세서 포맷은 복사 버튼(B1)을 클릭하거나 별도의 저장기능을 활성화하여 포맷형태별로 정보화가 가능하다.For example, on the wage item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3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the specific wage statement format in which the wage item and calculation method have been set is completed. By clicking the copy button (B1) or by activating a separate storage function, information can be converted to each format type.

이와 관련하여, 제1설정내역 변경부(127a)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기 저장된 포맷 설정내역을 타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 동일하게 반영시키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설정내역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126)에 저장된 설정내역 정보 중 대응되는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타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져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과 동일하게 반영되도록 한다.In this regard, the first setting details changing unit 127a is based on the first setting details change signal input and generated to attach the format setting details previously store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to other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s and reflect them identically. As a result, among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age unit 126, the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detail information is attached to the format setting of other wage statements so that it is reflected in the same format as the daily wage statement.

구체적으로,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3과 같은 임금항목 설정화면에서 붙이기 버튼(B2)을 클릭하거나 포맷형태의 순번 변환버튼(B3)을 클릭하여 특정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별도의 반복전인 설정과정 없이 그대로 동일하게 임금명세서 포맷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click the paste button (B2) on the wage item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3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or the format sequence conversion button ( Click B3) so that the specific setting information detail information can be reflected in the wageslip format as it is without a separate prior setting process.

또한, 제2설정내역 변경부(127b)는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기 저장된 포맷 설정내역을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 동일하게 반영시키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설정내역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126)에 저장된 설정내역 정보 중 대응되는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져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과 동일하게 일괄 반영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etting details changing unit 127b converts the target selection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to select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who wan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format setting details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second setting details change signal generated in order to attach to the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s for one or more workers and reflect the same, among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age unit 126, the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details information is targeted It is attached to the format setting of at least one worker's wage statemen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so that it is collectively reflected in the same format as the daily wage statement.

예를 들어,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5와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에서 제2설정내역 변경부(127b)의 기능을 적용받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근로자를 클릭을 통해 선택한 뒤, 일괄변경 창(CT)에서 임금명세서 설정 탭에서 특정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을 선택하고 나서 일괄변경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모든 근로자의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이 일괄적으로 변경된다.For example, the function of the second setting details changing unit 127b on the output screen for details of wage statements for each worker as shown in FIG. 5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After selecting the target workers to be applied by clicking, select the specific payslip format setting in the payslip setting tab in the batch change window (CT), and then click the batch change button to set the payslip format for all selected workers. This is collectively changed.

다음으로, 임금명세서 생성부(128)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생성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임금명세서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임금항목 설정부(124)를 통해 선택된 임금항목이 구성으로 포함되며, 산출방식 설정부(125)를 통해 임금항목별로 설정된 산출방식에 따라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112)에 저장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기준정보 관리부(113)에 저장된 기준금액정보와 기준비율정보 및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123)에 저장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를 이용해 임금항목별 금액을 산출한 결과가 반영된 도14와 같은 포맷의 임금명세서가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들의 경우 일괄적으로 대응되어 생성되도록 한다.Next,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128 targets at least one worker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and the target selection signal generated to select at least one worker targe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Based on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signal input and generated for the generation of the wage statement, the wage item selected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124 is included as a configuration, and the calculation method set for each wage item through the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125 Using the working hours details information stored in the working hours detail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2, the standard amount information and standard ratio information stored in the standar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3, and the working hours inverse calculation details information stored in the working hours inverse calculation detail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3 In the case of at least one worker target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the wage statement in the format shown in FIG.

여기서, 임금명세서 생성부(128)는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112)에 저장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중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정보 및 기준정보 관리부(113)에 저장된 기준금액정보 중 통상시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하는 제1노무비 산출방식에 따라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128 includes information on basic working hours, weekly vacation hours, extended working hours, holiday working hours, annual vacation hours, and night working hours among the working hour detailed information stored in the working hour detaile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2 And the amount of the labor cost-related wage item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irst labor cost calculation method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the labor cost-related wage item using information on the normal hourly wage among the standard amou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andar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3 .

또한, 임금명세서 생성부(128)는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123)에 저장된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에 따라 계약유형별로 역산된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계약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계약정보에 따른 통상시급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하는 제2노무비 산출방식에 따라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128 inversely calculates basic working hours, weekly vacation hours, overtime working hours, and holidays for each contract type according to the working hours inversion details information stored in the working hours inverse calculation detail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3, as described above. Labor cost-related wages according to the second labor cost calculation method that calculates the amount of labor cost-related wage items using information on working hours, annual leave hours, and night work hours and information on ordinary hourly wages according to the contr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ra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e amount of an item can be calculated.

예를 들어, 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임금명세서 생성부(128)는 계약유형에 따라 임금명세서 내 노무비 관련 임금항목의 금액 산출이 제2노무비 산출방식을 기반으로 산출되도록 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aily worker,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128 calculates the amount of the labor cost-related wage item in the wage statement according to the contract type based on the second labor cost calculation method.

마지막으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 관리부(129)는 임금명세서 생성부(128)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임금명세서의 생성여부, 임금명세서의 생성횟수, 임금명세서 생성신호 입력을 수행한 관리자 이름, 임금명세서의 생성시간에 관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Finally, the wage statement creation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9 is linked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128, whether or not the wage statement is generated, the number of times the wage statement is generated, the name of the manager who performed the input of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signal, Create a database for each employee after generating the information on the creation time of the pay slip, and store and manage it.

구체적으로,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5와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 내에는 근로자 별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설정의 기준이 되는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어떤 것인지를 표시한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내역 출력영역(T3)을 비롯해 근로자 별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를 표시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출력영역(T5) 또한 포함된다.Specifically, within the output screen of the wage statement details for each worker as shown in Figure 5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which is the standard for set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for each worker A wage slip format setting details output area (T3), which indicates what setting information detail information is, and a wage slip creation detail output area (T5), which displays wage slip creation detail information for each worker, are also included.

임금명세서 안내유닛(130)은 임금명세서 관리유닛(120)을 통해 생성된 근로자별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기 등록된 근로자별 단말에 전송한다.The wage statement guide unit 130 transmits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including link information enabling output confirmation of the wage statement generated by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120 to the registered terminal for each worker.

이를 위해, 임금명세서 안내유닛(130)은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131), 식별정보 저장부(132), 안내정보 생성부(133), 제1안내방법 설정부(134), 제2제1안내방법 설정부(135), 안내정보 전송부(136), 안내내역 정보 관리부(137) 및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138)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wage statement guide unit 130 includes a guide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1,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2, a guide information generator 133, a first guidance method setting unit 134, a second first It includes a guide method setting unit 135, a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6, a guide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7, and a guide information confirmation status management unit 138.

우선,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131)는 근로자별 이메일 주소 및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안내주소 정보가 기 등록 저장된다.First of all, the guide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1 registers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guide address for the e-mail address of each worker and the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식별정보 저장부(132)는 근로자별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식별정보(주민등록번호 혹은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분)가 기 등록 저장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2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or part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for each worker's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lready registered.

다음으로, 안내정보 생성부(133)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안내를 위한 메시지 형태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내용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안내정보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 안내 메시지 내용(TI) 및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RI)의 임금명세서 안내 메시지 내 배치위치에 관한 설정이 반영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생성한다.Next, the guida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3 guides the wage statement based on the input and generated guidance information setting signal to set the contents of the wage statement guidanc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message for guidance of the wage statement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Generates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that reflects the settings for the arrangement location within the message content (TI) and the link information (RI) that can check the output of the wage statement.

예를 들어,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11과 같은 임금명세서 안내정보 생성창 내에서는 관리자가 원하는 안내 메시지 내용(TI)을 입력하는 것은 물론이고,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RI)의 생성에서부터 배치형태까지도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window as shown in FIG. 11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the manager inputs the content (TI) of the guide message desir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et up the creation of link information (RI) that can check the output of the payslip, as well as the arrangement type.

여기서, 안내정보 생성부(133)는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RI)를 근로자별로 생성함에 있어, 링크 정보로(RI)의 접속 후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을 위한 열람의 인증절차로서 임금명세서에 대응되는 근로자별 고유식별번호(주민등록번호 혹은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분)의 입력을 요구하는 정보 입력창이 도13에 도된 바와 같이 선 출력되도록 설정한다.Here, the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3 generates link information (RI) for each worker that can check the output of the wage statement, as a reading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checking the output of the wage statement after connecting to the link information (RI). An information input window requesting input of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or part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for each worker corresponding to the wage statement is set to be output first as shown in FIG.

이를 통해, 실질적인 임금명세서의 대상이 되는 근로자 외에 타인이 쉽게 임금명세서의 열람 및 확인을 하지 못하도록 보안성을 갖추게 된다.Through this, security is secured so that others other than the workers who are the actual targets of the wage statement cannot easily read and confirm the wage statement.

또한, 제1안내방법 설정부(134)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안내방법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이 이메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 중 하나의 방법으로 설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guide method setting unit 134 sets the wage statement guide method for each worker based on the first guide method setting signal input and generated to set the wage statement guide metho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It should be set in one of the methods of SMS (Short Message Service) or AlimTalk through the messenger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이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이 설정된 내역은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5와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 내 임금명세서 안내방법 설정내역 출력영역(T4)에 출력 표시된다.In this way, the details of setting the wage statement guide method for each worker are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It is output and displayed in the method setting details output area T4.

아울러, 제2안내방법 설정부(135)는 관리자 컴퓨터(1)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에 대한 임금면세서 안내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안내방법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이 이메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 중 하나의 방법으로 일괄 설정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guide method setting unit 135 is input to select at least one worker targe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1 and at least one worker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and the target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second guidance method setting signal that is input and generated to set the wage exemption guidance method for the target, the wage statement guidance method for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is e-mail or SMS (Short Message Service) of the mobile terminal ) or AlimTalk through the mobile terminal's messenger application.

구체적으로,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5와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에서 제2안내방법 설정부(135)의 기능을 적용받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근로자를 클릭을 통해 선택한 뒤, 일괄변경 창(CT)에서 임금명세서 설정 탭에서 특정 임금명세서 안내방법 설정을 선택하고 나서 일괄변경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모든 근로자의 임금명세서 안내방법 설정이 일괄적으로 변경된다.Specifically, the function of the second guide method setting unit 135 is displayed on the output screen for details of wage statements for each worker as shown in FIG. 5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After selecting the workers to be applied by clicking, select the specific wage statement guidance method setting in the wage statement setting tab in the collective change window (CT), and then click the collective change button to guide the wage statement of all selected workers. Settings are changed collectively.

그리고 안내정보 전송부(136)는 제1안내방법 설정부(134) 또는 제2안내방법 설정부(135)를 통해 근로자별로 설정된 안내방법을 통해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131)에 기 저장된 근로자별 안내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안내정보 생성부(132)가 생성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개별 전송한다.And the guidanc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6 is pre-stored in the guidance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1 for each worker through the guidance method set for each worker through the first guidance method setting unit 134 or the second guidance method setting unit 135.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uid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32 is individually transmitted using the guide address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안내정보 전송부(136)를 통해 전송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는 도12(a)와 같이 SMS(Short Message Service) 형태이거나 도12(b)와 같이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카카오톡)을 통한 알림톡 형태일 수 있으며, 해당 임금명세서 안내정보 내 링크정보가 표시된 링크영역(RA)를 근로자가 터치하여 임금명세서를 열람하고자 하면,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람의 인증절차로서 임금명세서에 대응되는 근로자별 고유식별번호(주민등록번호 혹은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분)의 입력을 요구하는 정보 입력창이 도13에 도된 바와 같이 선 출력되어 정보 입력창 내에 입력영역(T11)에 근로자가 자신의 고유식별번호(주민등록번호 혹은 주민등록번호의 일부분)의 입력 후 인증이 되어야 도14와 같은 임금명세서의 열람이 가능해진다.Specifically,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6 is in the form of SMS (Short Message Service) as shown in FIG. 12 (a) or a messenger application (for example, It can be in the form of Notification Talk through Kakao Talk), and if a worker touches the link area (RA) in which the link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relevant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to view the wage statement, as described above, a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reading, the wage statement An information input window requesting input of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or part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for each worke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ation is output as shown in FIG. After entering the number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or part of th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it is possible to view the wage statement as shown in FIG. 14 only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또한, 안내내역 정보 관리부(137)는 안내정보 전송부(136)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횟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을 수행한 관리자 이름,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시간에 관한 안내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In addition, the guide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7 is interlocked with the performance of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6, and transmits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the name of the manager who performed the transmission of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of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After creating information on time information, it is stored and managed in a database for each worker.

이와 관련하여,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6과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 내에는 근로자 별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를 표시한 임금명세서 안내내역 출력영역(T6) 또한 포함된다.In this regard, in the wage statement details output screen for each worker as shown in FIG. 6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wage statement generation detail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s displayed. A wage statement guide detail output area (T6) is also included.

마지막으로,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138)는 안내정보 전송부(136)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안내정보 전송부(136)를 통해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진 안내주소의 이메일 서비스 관리서버 또는 휴대단말로부터 피드백으로 전송 성공여부, 전송 후 이메일 또는 휴대단말을 통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확인 시간 및 횟수에 관한 확인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한다.Finally, the guide information confirmation status management unit 138 interlocks with the performance of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6, and the e-mail service management server of the guide address to which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through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6. Alternatively, it is provided with confirmation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was successful as feedback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firmation time and frequency of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through e-mail or mobile terminal after transmission, and is stored and managed in a database for each worker.

이와 관련하여,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 컴퓨터(1)의 출력장치(30)에 제공되는 도7과 같은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내역 출력화면 내에는 근로자 별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확인내역 정보를 표시한 임금명세서 안내내역 출력영역(T7) 또한 포함된다.In this regard, in the wage statement details output screen for each worker as shown in FIG. 7 provided to the output device 30 of the manager computer 1 throug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confirmation details of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for each worker A wage statement guide detail output area T7 displaying is also included.

여기서, 안내정보 전송부(136)는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138)로 제공되는 확인현황 정보 중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으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이 수행된 후 전송 실패가 이루어진 근로자의 휴대단말이 존재할 경우 해당 근로자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재전송하여 근로자가 임금명세서의 안내를 전송 오류로 인해 받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한다.Here,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6 sends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to AlimTalk through the messenger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mong the confirmation statu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uide information confirmation status management unit 138, and then the worker whose transmission fails. If there is a mobile terminal of the worker,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of the worker is retransmitted through SMS (Short Message Service) of the mobile terminal to prevent the situation in which the worker does not receive the wage statement guide due to a transmission error.

앞 서 설명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 내 정보수집유닛(110); 임금명세서 관리유닛(120); 및 임금명세서 안내유닛(130);의 구성적 특징은 각 시스템이 수행하는 임금 명세서 관리 방법 혹은 임금 명세서 관리기능을 갖춘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실시 될 경우 방법적 특성 혹은 기능적 특성과 대응되어 마련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withi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120; And the wage statement information unit 130;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each system or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having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func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this case, it is prepared in correspondence with methodological or functional characteristic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임금 명세서 관리 방법은 단계적으로 수행되는 세부적 방법상의 역할이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 및 역할에 대응된다.Accordingly, i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e of the detailed method performed step by step corresponds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role of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

아울러, 본 발명의 임금 명세서 관리기능을 갖춘 전사적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세부 기능적으로 수행되는 역할이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100)의 세부 구성 및 역할에 대응된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having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corresponds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role of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00. do.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관리자 컴퓨터
10 : 기억장치 20 : 입력장치 30 : 출력장치
40 : 연산장치 50 : 제어장치
100 :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110 : 정보수집유닛
111 : 출입정보 관리부 112 : 근로시간 내역정보 관리부
113 : 계약정보 관리부 114 : 기준정보 관리부
120 : 임금명세서 관리유닛
121 : 항목정보 저장부 122 : 노무비 산정비율 설정부
123 : 근로시간 역산내역 정보 관리부
124 : 임금항목 설정부 125 : 산출방식 설정부
126 :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
127a : 제1설정내역 변경부 127b : 제2설정내역 변경부
128 : 임금명세서 생성부
129 :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 관리부
130 : 임금명세서 안내유닛
131 :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
132 : 식별정보 저장부 133 : 안내정보 생성부
134 : 제1안내방법 설정부 135 : 제2제1안내방법 설정부
136 : 안내정보 전송부 137 : 안내내역 정보 관리부
138 :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
200 :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1: Administrator computer
10: storage device 20: input device 30: output device
40: arithmetic device 50: control device
100: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110: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1: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2: Working hours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3: contract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4: standar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0: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121: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122: labor cost calculation ratio setting unit
123: Working hours inverse calcul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24: wage item setting unit 125: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126: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age unit
127a: first setting details change unit 127b: second setting details change unit
128: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129: Wage statement creation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30: wage statement guidance unit
131: guide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2: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33: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4: first guide method setting unit 135: second first guide method setting unit
136: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37: guide detail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38: Guidance information confirmation status management department
200: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Claims (9)

관리자 컴퓨터에 설치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임금명세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출, 퇴근하는 근로자들의 날짜별 출근 및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 가능한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에 연동되어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 제공받아 수집하며, 상기 관리자 컴퓨터에 구현되는 전사적자원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자가 입력 생성하는 임금명세서 항목설정에 기준이 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유닛;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항목 및 항목별 산출방식을 설정하고, 상기 정보 수집유닛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항목별 산출방식에 따라 정보값을 반영하여 근로자별 임금명세서를 생성하는 임금명세서 관리유닛; 및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을 통해 생성된 근로자별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기 등록된 근로자별 단말에 전송하는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수집유닛은,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출입정보 관리부;
상기 출입정보 관리부에 저장 관리되는 근로자별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근로일수, 총 근로시간, 기본근로시간, 주휴시간, 연장근로시간, 휴일근로시간, 연차휴가시간 및 야간근로시간에 대한 근로시간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입력 생성되는 항목 기준정보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한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금액에 관한 기준금액정보 및 특정 세부항목의 기준비율에 관한 기준비율정보를 생성하여 사업장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기준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 가능한 임금항목들에 관한 항목정보와 상기 항목정보 각각에 대응되는 항목별 산출방식 설정에 이용 가능하며 특정 시간, 금액 또는 비율 중 하나로 정의되는 세부항목들에 관한 세부항목정보가 각각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기 설정 저장되는 항목정보 저장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항목의 선택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는 임금항목이 상기 항목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 반영되도록 하는 임금항목 설정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항목의 산출방식 설정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포맷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금항목 설정부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포맷 상에 선택 반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금항목 각각에 대한 산출방식이 상기 항목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세부항목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변수로 포함하는 특정 수식으로 설정 반영되도록 하는 산출방식 설정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포맷 설정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설정내역 저장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금항목 설정부를 통해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을 구성하도록 선택된 임금항목 및 상기 산출방식 설정부를 통해 임금항목별로 설정된 산출방식에 대한 내역을 설정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사업장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기 저장된 포맷 설정내역을 타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 동일하게 반영시키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설정내역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내역 정보 중 대응되는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타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져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과 동일하게 반영되도록 하는 제1설정내역 변경부; 및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기 저장된 포맷 설정내역을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 동일하게 반영시키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설정내역 변경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설정내역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내역 정보 중 대응되는 설정정보 내역 정보가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포맷 설정에 붙여져 일 임금명세서의 포맷과 동일하게 일괄 반영되도록 하는 제2설정내역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금 명세서 포맷 설정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In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provided by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program installed and implemented on the administrator's computer,
It is linked to a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that is installed at the work site and can generate access information on the arrival and departure times of workers entering and leaving work by date, and receives and collects the access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and the manager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at is a standard for setting items of a wage statement input and generated by a manager through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program implemented on a computer;
Wage statement that creates wage statements for each worker by setting the items constitu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and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item, and reflecting the information value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item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management unit; and
A wage statement guide unit for transmitting wage statement guidance information including link information enabling output check of each worker's wage statement generated through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to a pre-registered terminal for each worker; includes,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worker access control device, converts the access information into a database for each worker, and stores and manages the access information;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stored and managed in the above access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e number of working days, total working hours, basic working hours, weekly vacation hours, overtime working hours, holiday working hours, annual vacation hours and night working hours for each worker are calculated. Working hour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creates and stores detailed information for each worker into a database; and
Based on the item standard information generation signal input and generate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standard amount information and standard ratio of specific detailed items that can be used to set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wage item that constitutes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A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generating reference ratio information for each business site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database;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Item information on wage items that can compose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and detailed item information on detailed items that can be used to set calculation methods for each item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bove item information and are defined as either a specific time, amount, or ratio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s that are each databased and stored in advance;
Wage items constituting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based on the first format setting signal input and generated for selection of wage items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are selected and reflected at least one of the item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item setting unit;
Based on the second format setting signal input and generated for setting the calculation method of wage items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the calculation method for each of at least one wage item selected and reflected on the format of the wage statement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is a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configured to set and reflect a specific formul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detailed item information stored in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unit as a variable; and
Based on the setting details storage signal input and created to database the format setting details of the wage statement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selected to configure the format of the daily wage statement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and the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A setting detail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the details of the calculation method set for each wage item by generating a setting detail information and then converting the details into a database for each workplace;
The corresponding setting among the setting details stored in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first setting details change signal that is input and generated to reflect the format setting details previously store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to other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s and to be equally reflected. A first setting details change unit for attaching information detail information to other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s to be reflected in the same format as the daily wage statement; and
In order to select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who wan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the input and generated target selection signal and pre-stored format setting details are attached to the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or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second setting details change signal generated to reflect the same, among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tting details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details information is a wage statement format for at least one worker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A second setting details change unit that is attached to the setting and is collectively reflected in the same format as the daily wage statement;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a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guidance fun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금명세서 관리유닛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생성을 위해 입력 생성되는 임금명세서 생성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임금항목 설정부를 통해 선택된 임금항목이 구성으로 포함되며 상기 산출방식 설정부를 통해 임금항목별로 설정된 산출방식에 따라 상기 근로시간 내역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근로시간 내역 정보 및 상기 기준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기준금액정보와 기준비율정보를 이용해 임금항목별 금액을 산출한 결과가 반영된 포맷의 임금명세서가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 각각에 대응되는 임금명세서로 일괄 생성되도록 하는 임금명세서 생성부; 및
상기 임금명세서 생성부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임금명세서의 생성여부, 임금명세서의 생성횟수, 임금명세서 생성신호 입력을 수행한 관리자 이름, 임금명세서의 생성시간에 관한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임금명세서 생성내역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금 명세서 포맷 설정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age statement management unit,
An object selection signal input and generated to select at least one worker target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and a wage statement generation signal input and generated to generate wage statements for at least one worker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wage item selected through the wage item setting unit is included as a configuration, an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method set for each wage item through the calculation method setting unit, the working time detail information stored in the working time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nd the standard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 wage statement in a format in which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amount for each wage category is reflected using the stored standard amount information and standard ratio information as a wage statement corresponding to each of at least one worker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 and
In conjunction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the above-mentioned wage statement generation unit, after generating the wage statement creation detail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wage statement was generated, the number of times the wage statement was generated, the name of the manager who performed the input of the wage statement generation signal, and the time when the wage statement was gener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age statement creation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a database for each worker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a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guidance fun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은,
근로자별 이메일 주소 및 휴대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안내주소 정보가 기 등록 저장된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명세서의 안내를 위한 메시지 형태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내용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안내정보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임금명세서 안내 메시지 내용 및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의 임금명세서 안내 메시지 내 배치위치에 관한 설정이 반영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생성하는 안내정보 생성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1안내방법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이 이메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 중 하나의 방법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제1안내방법 설정부;
상기 관리자 컴퓨터를 통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을 선택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대상선택신호 및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에 대한 임금면세서 안내방법을 설정하기 위해 입력 생성되는 제2안내방법 설정신호를 기반으로 대상선택신호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로자 대상의 임금명세서 안내방법이 이메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 중 하나의 방법으로 일괄 설정되도록 하는 제2안내방법 설정부;
상기 제1안내방법 설정부 또는 제2안내방법 설정부를 통해 근로자별로 설정된 안내방법을 통해 상기 안내주소 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된 근로자별 안내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안내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개별 전송하는 안내정보 전송부; 및
상기 안내정보 전송부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횟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을 수행한 관리자 이름,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시간에 관한 안내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안내내역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금 명세서 포맷 설정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5,
The wage statement guidance unit,
A guide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guide address information for each worker's e-mail address and phone number of a mobile terminal is pre-registered and stored;
Based on the input and generated guidance information setting signal to set the contents of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message for guidance of the wage statement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the contents of the wage statement guide message and the output of the wage statement can be confirmed. a guid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in which settings for a placement position within a wage statement guide message are reflected;
Based on the first guidance method setting signal input and generated to set the wage statement guidance method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the wage statement guidance method for each worker uses e-mail, SMS (Short Message Service) of the mobile terminal, or messenger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first guide method setting unit that allows one of the method to be set through Notification Talk;
Create an input to set a target selection signal generated to select at least one worker target who wants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manager computer and a wage exemption guidance method for at least one worker target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The method of guiding wage statements for at least one or more workers according to the target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second guidance method setting signal is one of notification talk through e-mail, short message service (SMS) of mobile terminals, or messenger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s. a second guide method setting unit for collectively setting a method;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using the guide address information for each worker pre-stored in the guide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through the guide method set for each worker through the first guide method setting unit or the second guide method setting unit.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for individually transmitting the; and
Linked to the performance of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the name of the manager who performed the transmission of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time of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are created, and then a database for each worker is creat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detai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stores and manages by converting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a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guidance fun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은,
상기 안내정보 전송부의 기능 수행과 연동되어, 상기 안내정보 전송부를 통해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진 안내주소의 이메일 서비스 관리서버 또는 휴대단말로부터 피드백으로 전송 성공여부, 전송 후 이메일 또는 휴대단말을 통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확인 시간 및 횟수에 관한 확인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근로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금 명세서 포맷 설정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wage statement guidance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of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whether or not the transmission was successful as feedback from the e-mail service management server or mobile terminal of the guide address to which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was transmitted through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after transmission, through e-mail or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guide information confirmation status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confirmation status information on the confirmation time and number of wage statement guidance information, stores and manages a database for each worker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a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guidance fun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 전송부는 상기 안내정보 확인현황 관리부로 제공되는 확인현황 정보 중 휴대단말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알림톡으로 임금명세서 안내정보의 전송이 수행된 후 전송 실패가 이루어진 근로자의 휴대단말이 존재할 경우 해당 근로자의 임금명세서 안내정보를 휴대단말의 SMS(Short Message Service)를 통해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금 명세서 포맷 설정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Among the confirmation statu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uide information confirmation status management unit, the guid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transmits the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to AlimTalk through the messenger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f there is a worker's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transmission fails, the correspon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er's wage statement guide information is retransmitted through SMS (Short Message Service) of the mobile terminal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a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guidance fun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금명세서 안내유닛은,
근로자별 고유식별번호에 대한 식별정보가 기 등록 저장된 식별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내정보 생성부는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이 가능한 링크 정보를 근로자별로 생성함에 있어, 링크 정보로의 접속 후 임금명세서의 출력 확인을 위한 열람의 인증절차로서 임금명세서에 대응되는 근로자별 고유식별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는 정보 입력창이 선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금 명세서 포맷 설정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구비한 임금 명세서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The wage statement guidance unit,
It further inclu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i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worker is pre-registered and stored;
The guid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generates link information for each worker that can check the output of the wage statement. After connecting to the link information, as an authentication procedure for checking the output of the wage statement,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worker corresponding to the wage stat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input window requiring input is set to be output in advance
A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a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guidance function.
KR1020220071236A 2022-06-13 2022-06-13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notification function KR102486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236A KR102486787B1 (en) 2022-06-13 2022-06-13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notific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236A KR102486787B1 (en) 2022-06-13 2022-06-13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notification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787B1 true KR102486787B1 (en) 2023-01-09

Family

ID=8489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236A KR102486787B1 (en) 2022-06-13 2022-06-13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notifica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78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42A (en) * 2005-04-07 2006-10-12 박경서 Management system for human resource, wages and social security insurances in accordance with labor law, and management method therfor
KR20130089804A (en) * 2012-01-03 2013-08-13 (주)카카오 Method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for bussiness client and message server therefor
KR101688829B1 (en) * 2015-07-24 2016-12-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cuments reflecting user pattern
KR20170066121A (en) * 2015-12-04 2017-06-14 강미혜 Method for electronic issuing pay slip using mobile phone
KR102161844B1 (en) * 2019-10-22 2020-10-06 심왕섭 Time and Attendance Device for Foreign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242A (en) * 2005-04-07 2006-10-12 박경서 Management system for human resource, wages and social security insurances in accordance with labor law, and management method therfor
KR20130089804A (en) * 2012-01-03 2013-08-13 (주)카카오 Method for provid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for bussiness client and message server therefor
KR101688829B1 (en) * 2015-07-24 2016-12-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cuments reflecting user pattern
KR20170066121A (en) * 2015-12-04 2017-06-14 강미혜 Method for electronic issuing pay slip using mobile phone
KR102161844B1 (en) * 2019-10-22 2020-10-06 심왕섭 Time and Attendance Device for Foreign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8169A1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with barcode mapping and storing
US8869053B2 (en) Organizer for managing employee time and attendance
US97793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workflows and managing staff and engagements
US7305392B1 (en) Multi-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system
US20090182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employee shifts
US20040030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 virtual enterprise
US20080040173A1 (en) Merger integration toolkit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navigation hierarchy and workflow functionality
KR102105700B1 (en) System for providing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service integrating with erp and groupware
KR101635573B1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Personnel Benefits
CN101552842A (en) Call center application data and interoperation architecture for a telecommunication service center
KR102486787B1 (en)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wage statement format setting function and notification function
KR102494262B1 (en) Wage state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automatic labor cost calculation function
JP6836295B2 (en) Accounting system, accounting equipment, accounting program and accounting method
KR101895748B1 (e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With Automatic Interworking Function
KR1020614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comprising construction site managing function using computer-implemented calendar,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thereof
KR101895749B1 (e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With Unified Searching function
US202401271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abor Scheduling and Jobsite Management
KR101892414B1 (e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With Update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KR102669634B1 (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utomation device and method
US20110091845A1 (en) Implementation of Facility Management Programs
EP4328842A1 (en) Automated residential services and utilities management system
EP42581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enance calendaring
KR20230108242A (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utomation device and method
KR20180059986A (en) office automation
KR20150140596A (en) Smart Insurance App System for Insurance Mana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