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155B1 - Wireless charger,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er,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155B1
KR102486155B1 KR1020170171954A KR20170171954A KR102486155B1 KR 102486155 B1 KR102486155 B1 KR 102486155B1 KR 1020170171954 A KR1020170171954 A KR 1020170171954A KR 20170171954 A KR20170171954 A KR 20170171954A KR 102486155 B1 KR102486155 B1 KR 10248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vehicle
terminal
coi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1171A (en
Inventor
김승우
류광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1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155B1/en
Publication of KR2019007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1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가 마련된 차량과, 그 차량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에 마련된 무선 충전 장치는,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코일; 차량으로부터 사용자의 하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코일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검출하는 전계 검출부; 사용자의 하차 전에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하차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하차 후에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하차 전후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면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il for wirelessly charging a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an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il; Check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before the user gets off, and when the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is received, check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or after the user gets off, and check the electric field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user gets off. If is the sam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s absence; and a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as a sound.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Wireless charger,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ireless charging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ireless charger,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으로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a terminal,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차량은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를 위를 이동하는 기계로, 엔진과,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차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 장치와, 주행 중 노면의 충격이 차량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현가장치 등을 포함한다.A vehicle is a machine that moves on a road by driving wheels, and includes an engin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engine and transmits it to the wheels, a steering device that adjust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mpact on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It includes a suspension device that blocks transmission to the vehicle.

이러한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GPS 수신기, 블루투스 장치 및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하고, 외부의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외부의 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충전 장치를 더 포함한다.Such a vehicle further include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hands-free device, a GPS receiver, a Bluetooth device, and a high-pass device installed for the driver's convenien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and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an external terminal more includes

기존의 충전 장치는 유선 방식의 충전 장치로, 케이블에 의해 외부의 단말기가 연결되면 케이블을 통해 충전을 위한 전력을 단말기에 공급하였다.A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is a wired charging device, and when an external terminal is connected by a cable, power for charging is supplied to the terminal through a cable.

이러한 유선 방식의 충전 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외부의 단말기를 케이블을 통해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Such a wired charging device has the inconvenience of requiring a user to manually connect an external terminal through a cable.

이로 인해 최근에는 선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선 방식의 충전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For this reason, in recent years,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wire has been actively developed.

일 측면은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기와의 통신 신호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무선 충전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is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terminal, recognizes the location of a terminal based on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of a communication signal with the terminal, and outputs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thereof. provides a way

다른 측면은 시동 오프, 도어의 개방 및 도어의 잠금 여부에 기초하여 충전 모드를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무선 충전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provid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switching a charging mode to a communication mode based on ignition off, door opening, and door locking, a vehicle hav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코일; 차량으로부터 사용자의 하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코일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검출하는 전계 검출부; 사용자의 하차 전에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하차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하차 후에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하차 전후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면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coil for wirelessly charging a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an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il; Check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before the user gets off, and when the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is received, check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or after the user gets off, and check the electric field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user gets off. If is the sam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s absence; and a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as a sound.

사용자의 하차 정보는, 차량의 도어의 개폐 정보, 차량의 도어의 잠금/잠금 해제 정보, 차량의 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vehicle door opening/closing information, vehicle door locking/unlocking information, and vehicle start information.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부는, 도어의 개방 정보가 수신되면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를 수행하고, 통신 모드 수행 중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제1세기로 저장하고, 도어의 폐쇄 정보가 수신되면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제2세기로 저장하고, 제1세기와 제2세기가 동일하면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When door open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erforms a communication mode using a coil, store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or during the communication mode as a first strength, and stores the door closing information as a first strength. When receive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is stored as a second strength, and if the first strength and the second strength are identical,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nknown location of the terminal is controlled.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부는, 도어의 잠금 해제 정보가 수신되면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를 수행하고, 통신 모드 수행 중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제1세기로 저장하고, 도어의 잠금 정보가 수신되면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제2세기로 저장하고, 제1세기와 제2세기가 동일하면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When door unlock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erforms a communication mode using a coil, store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or during the communication mode as a first strength, and stores the door lock information. When is receive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is stored as a second strength, and if the first strength and the second strength are the same, controlling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부는, 차량의 시동 온 상태에 대응하는 시동 정보가 수신되면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performing a charging mode using a coil when star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gnition-on state of the vehicle is received.

일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terminal's non-possession.

일 측면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코일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와,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교류 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교류 전압이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로 방출되도록 하고,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자기파를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의 수행 시에 제1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의 수행 시에 제2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generates an AC voltage corresponding to a control command of a first driv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a current to a coil so that an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coil, and the generated AC voltage is passed through the coil. A second driving unit configured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and converting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waves into AC voltage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s are received through the coil,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when performing a charging mode using the coil,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second driver when performing a communication mode using a coil.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 시동 오프 정보를 수신하는 시동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코일과, 코일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검출하는 전계 검출부를 포함하고, 시동 오프 정보가 수신되면 개폐 검출부에서 검출된 도어의 개폐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시에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와 도어의 폐쇄 시에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획득하고, 획득된 두 개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면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n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opening/closing of a door; a starting unit receiving start-off information; It includes a coil for wirelessly charging the terminal and an electric field detector for detect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il, and when the ignition off information is received, the door is opened based on the door open/clos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pen/close detector. Obtain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at the time of closing the door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when the door is closed,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s absence when the obtained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two received signals is the same. charging device; and a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as a sound.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시동 오프 정보가 수신되면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를 수행하고, 통신 모드의 수행 중 단말기에 응답 신호의 출력을 요청하고,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performs a communication mode using a coil when ignition-off information is received, requests output of a response signal from a terminal during execu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 and receives a received signal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It includes check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의 시동 온 정보가 수신되면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performing a charging mode using a coil when vehicle start-on information is received.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terminal's absence.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코일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와,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교류 전압이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로 방출되도록 하고,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자기파를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구동부와,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의 수행 시에 제1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의 수행 시에 제2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first driving unit for applying a current to a coil so that an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coil, an AC voltage corresponding to a control command is emitted as electromagnetic waves through the coil, and When an electromagnetic wave is received through a second driving unit that converts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wave into an AC voltage, controls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when performing a charging mode using a coil, and performs a communication mode using a coil, the second driving unit converts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wave into an AC voltag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is included.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검출하는 잠금 검출부; 시동 오프 정보를 수신하는 시동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코일과, 코일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검출하는 전계 검출부를 포함하고, 시동 오프 정보가 수신되면 잠금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잠금 해제 시에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와 도어의 잠금 시에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획득하고, 획득된 두 개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면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lock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locking and unlocking of a door; a starting unit receiving start-off information; It includes a coil for wirelessly charging the terminal and an electric field detector for detect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il, and when the ignition off information is received, the door is unlock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ock detector.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detected received signal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when the door is locked are acquired, and if the obtained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two received signals is the same, wireless charging controls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bsence of the terminal. Device; and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bsence of a terminal through sound.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시동 오프 정보가 수신되면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를 수행하고, 통신 모드의 수행 중 단말기에 응답 신호의 출력을 요청하고,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performs a communication mode using a coil when ignition off information is received, requests output of a response signal from a terminal during execu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from the terminal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It involves check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sig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의 시동 온 정보가 수신되면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performing a charging mode using a coil when vehicle start-on information is received.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absence of the termi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온 정보가 수신되면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모드를 제어하고,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무선 충전 장치의 통신 모드를 제어하고, 무선 충전 장치에 마련된 코일을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하차 시에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을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하차 전후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a terminal, controlling a charging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vehicle start-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vehicle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controlle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il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getting off or no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getting off, the user's When getting off,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check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before and after getting off the user is the same,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bsence of the terminal is output.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에 마련된 도어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고, 도어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gets off includes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and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got off when the door is switch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차량에 마련된 도어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를 검출하고,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got off the vehicle includes detecting the locked and unlocked state of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and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gotten off the vehicle when the door is switched from an unlocked state to a locked state.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시동 오프 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includes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when vehicle ignition off information is received.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주행 속도와 변속 레버의 위치를 확인하고, 차량의 주행 속도가 영이고 변속 레버의 위치가 주차 단(P단)이면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 state includes checking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of the shift lever, and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 state when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is zero and the position of the shift lever is in the parking stage (P range). do.

사용자의 하차 전후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은, 사용자의 하차 전후의 전계 세기의 차이를 확인하고, 전계 세기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면 사용자의 하차 전후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that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before and after the user gets off is the same is to check the difference in electric field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user gets off, and if the difference in electric field strength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before and after the user gets off is the same. including judging that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차량 내부에 마련된 사운드 출력부 및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여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includes controlling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by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 sound output unit and a display unit provided inside the vehicle.

본 발명은 별도의 안테나를 장착하지 않고도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을 방사체로 활용하여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기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제조 시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ion between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terminal can be performed by using a coil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s a radiator without mounting a separate antenn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installing an antenna for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when manufacturing a vehicle.

본 발명은 시동 오프, 차량의 도어 개방 또는 차량의 도어 잠금 시에 무선충전 장치의 충전 모드를 통신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단말기와의 통신에 따른 수신 신호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단말기 위치 인식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해 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by switching the charging mode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to a communication mode when the ignition is turned off, the vehicle door is opened, or the vehicle door is lock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field strength according to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Thu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recognized, and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output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terminal location recognition result.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에 단말기를 두고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user from leaving the terminal in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을 이용하여 단말기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 장치(예, 스마트 키, 포브 키 등)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차량의 시동 오프, 차량의 도어 개방, 또는 차량의 도어 잠금 시에 원격 제어 장치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의 위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해 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eg, smart key, fob key, etc.) as well as a terminal using a coil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so that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the vehicle door is opened, or the vehicle door is locked.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can be recognized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can be output to the user.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원격 제어 장치를 두고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user from leav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inside the vehicle.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안테나의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an antenna for recognizing a remote control devi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 및 그를 가진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quality and marketability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and secure product competitivenes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무선 충전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무선 충전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원리 설명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무선 충전 장치의 제2구동부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1 is an exemplary external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emplary interior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n exemplary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charging principles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driving unit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control flowchar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s omitted. The term 'unit, module, member, o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units, modules, members, or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being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for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ere i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 예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external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n exemplary internal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차량(100)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The vehicle 100 includes a body having an interior and an exterior, and a chassis on which mechanical devices necessary for driving are installed except for the body.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전후좌우 도어(116)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7)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exterior 110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front panel 111, a bonnet 112, a roof panel 113, a rear panel 114, a trunk 115, front and rear doors 116, front and rear A window glass 117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doors 116 to be openable and closed.

전후좌우 도어(116)에는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부와,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잠금부가 마련될 수 있다.An opening/closing unit for opening or closing the door and a locking unit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door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oors 116 .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8)와,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9)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front panel, a bonnet, a roof panel, a rear panel, a trunk, and a pillar 118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window glasse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oors, and a side mirror that provides a driver with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100 ( 119) is further includ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기기가 배치된 센터 페시아(12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interior 120 of the vehicle body includes a seat 121 on which the occupant sits, a dashboard 122, and a tachometer, speedometer, coolant temperature gauge, fuel gauge, direction change indicator, etc. , high beam indicator, warning lamp, seat belt warning lamp, odometer, odometer, automatic shift selection lever indicator, door open warning lamp, engine oil warning lamp, instrument panel (ie, cluster, 123) arranged with low fuel warning lamp, air conditioner It includes a center fascia 124 in which an air outlet and a control plate are disposed and an audio device is disposed.

센터 페시아(124)에는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유닛(125)과, 외부 단말기가 연결되는 멀티단자(126) 등이 설치될 수 있다.A head unit 125 for controlling an audio device, an air conditioner, and a heater, and a multi-terminal 126 to which external terminals are connected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fascia 124.

멀티단자(126)는 헤드 유닛(125)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USB 포트, AUX단자를 포함하고, SD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ulti-terminal 126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head unit 125, include a USB port and an AUX terminal, and may further include an SD slot.

이러한 멀티 단자(126)는 차량과 외부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외부 단말기를 유선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기능도 수행한다.This multi-terminal 126 functions as a communication interfac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and an external terminal, and also performs a charging function for charging the external terminal in a wired manner.

차량(100)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7)와, 각종 기능의 동작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127 for receiving operation commands of various functions and a display unit 128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various functions and information input by a user.

입력부(127)는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한다. The input unit 127 includes at least one physical button, such as an on/off button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and a button for changing set values of various functions.

차량의 차대는 차체를 지지하는 틀로, 복수 개의 차륜(131)과, 차량의 내부로 연결된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휠(132)과, 사용자의 제동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브레이크 페달(133)과, 사용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엑셀러레이터 페달(134)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assis of the vehicle is a frame supporting the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s 131, a steering wheel 132 of a steering devic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 brake pedal 133 that is press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will to brake, and , an accelerator pedal 134 that is press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will to accelerate.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등과 같이 전후좌우 차륜에 구동력과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한다.The chassis of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driving devices for applying driving force and braking force to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wheels, such as a power generating devic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a steering device, a braking device, a suspension device, and a transmission device.

여기서 동력 발생 장치는 엔진, 연료장치, 냉각 및 급유 장치, 전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wer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n engine, a fuel device, a cooling and refueling device, and an electric device.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safety devices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for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차량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장치(TPMS)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Vehicle stability devices include an airbag control device for the purpose of safety of passengers such as the driver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an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device that controls the vehicle posture during vehicle acceleration or cornering, and tire air pressure. There are several types of safety devices such as monitoring devices (TPMS).

이러한 차량(100)은 구동 장치와 여러 가지 안전 장치 및 각종 검출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The vehicle 100 includes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at controls driving of a driving device, various safety devices, and various detection devices.

차량(100)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1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may further include a start button 129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to a starter motor (not shown).

이러한 차량(100)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When the start button is turned on, the vehicle 100 operates a starter motor (not shown) and drives an engine (not shown), which is a power generating devic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arter motor.

차량(100)은 오디오 기기,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자체 발전기 또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한다.The vehicle 100 further includes a battery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audio devices, interior lights, a starting motor,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to supply driving power. The battery is charged using its own generator or engine power while driving.

또한 차량(100)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 GPS 수신기, 오디오 기기 및 블루투스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의 전자 장치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100 further include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hands-free device installed for the driver's convenience, a GPS receiver, an audio device, a Bluetooth device, and a high-pass devic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외부의 단말기 및 스마트 키 중 적어도 하나를 충전시키기 위한 무선 충전 장치(20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3 ,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or charging at least one of an external terminal and a smart key.

무선 충전 장치(200)는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으로서,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명 방식,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wirelessly charges a terminal, and may employ at least one of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a microwave method.

본 실시 예에서는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a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charging device will be described.

무선 충전 장치(200)는 단말기(300)를 무선으로 충전 시 전자기장을 발생시킴으로써 단말기(300)와 사이의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단말기(300)가 충전되도록 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when charging the terminal 300 wirelessly, so that the terminal 300 is charg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between the terminal 300 and the terminal 300 .

무선 충전 장치(200)는 단말기(300)와 통신 시 신호를 송신할 때에는 송신부에 의해 변조된 교류 전압을 전자기파로서 대기 중에 방사하고, 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전자기파를 수신부에 의해 평가된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안테나 타입의 통신 모듈로 동작한다.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300, the AC voltage modulated by the transmitting unit is radiated into the air as electromagnetic waves, and when receiving a signal, the electromagnetic wave is converted into an AC voltage evaluated by the receiving unit. It operates as a communication module of an antenna type that

무선 충전 장치(200)는 사용자용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기와 통신 시 수신 신호의 신호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호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인식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300, checks the signal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he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recognizes a positional change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checked signal electric field strength.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무선 충전 장치(200)의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provided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무선 충전 장치(200)는 센터페시아(124)의 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안착부가 형성되는 본체(210)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ncludes a main body 210 that is rec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center fascia 124 to form a seating portion.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210)는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되되, 단말기 또는 스마트 키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 형성된 일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21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center fascia 124, and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formed in a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terminal or smart key can be stably seated.

여기서 수평면으로 형성된 일부분은, 센터페시아의 영역 중 변속 레버의 주변의 위치일 수 있다.Here, the part formed on the horizontal plane may be a position around the shift lever in the area of the center fascia.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210)는 바닥면을 형성하고 충전 가능한 기기가 안착되는 패드(211)와, 패드(211)의 외곽과 센터페시아의 일면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21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pad 211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on which a chargeable device is seated, and a side surface connecting the outer edge of the pad 211 and one surface of the center fascia.

여기서 측면은 패드(211)의 형상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ide surfac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a polygonal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d 211 .

무선 충전 장치(200)는 패드의 하측 내부에 매립 설치된 코일부(2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코일부(220)는 제1코일(221)과, 제1코일(221)의 일 측에 마련된 제2코일(222)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coil unit 220 buried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pad. Here, the coil unit 220 includes a first coil 221 and a second coil 22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il 221 .

본 실시 예에서 코일부부는 코일이 두 개이나, 실시 예에 따라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il couple has two coils, but may include one or three or more coil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이러한 코일부(220)의 코일은 무선 충전 장치가 충전 모드를 수행할 때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킨다.The coil of the coil unit 220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when a current is applied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erforms a charging mode.

즉 코일부(220)의 제1코일과 제2코일은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각각 전자기장을 형성시킨다.That is,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of the coil unit 220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form electromagnetic fields, respectively.

코일부(220)의 코일은 무선 충전 장치가 통신 모드를 수행할 때 전자기파를 발생시킨다. The coil of the coil unit 220 generates electromagnetic waves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erforms a communication mode.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를 갖는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5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hav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차량은 개폐 검출부(140), 잠금 검출부(150), 시동부(160) 및 무선 충전 장치(200)를 포함한다. The vehicle includes an open/close detection unit 140, a lock detection unit 150, a starting unit 160,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개폐 검출부(140), 잠금 검출부(150), 시동부(160)는 사용자, 즉 운전자의 하차 의지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는 구성부이다.The opening/closing detector 140, the lock detector 150, and the starter 160 are components that recognize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in order to determine the user's intention to get off the vehicle.

개폐 검출부(140)는 전후좌우 도어의 개폐부에 각각 마련되고, 각 개폐부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고, 각 개폐부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도어의 개폐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한다. 즉 개폐 검출부(140)는 각 도어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에 대한 개폐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한다.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40 is provided in each of the opening/closing part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oors, detects the operating state of each opening/closing unit, and transmits door opening/clo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each opening/closing unit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That is, the open/close detection unit 140 transmits open/closed information about the open state and closed state of each door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본 실시 예는 운전석에 마련된 도어의 개폐부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is embodiment may include only an open/clos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an open/close unit of a door provided in a driver's seat.

잠금 검출부(150)는 전후좌우 도어의 잠금부에 각각 마련되고, 각 잠금부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고, 각 잠금부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도어의 잠금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한다. 즉 잠금 검출부(150)는 각 도어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에 대한 도어의 잠금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한다. The lock detection unit 150 is provided in each of the locking part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oors, detects the operating state of each locking unit, and transmits door lock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each locking unit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That is, the lock detection unit 150 transmits door lock information about the locked and unlocked states of each door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본 실시 예는 운전석에 마련된 도어의 잠금부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잠금 검출부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only a lock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a lock unit of a door provided in a driver's seat.

시동부(160)는 시동 버튼(129)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시동 온 상태 및 시동 오프 상태를 획득하고, 획득된 시동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한다. The starter 160 acquires a start-on state and a start-off stat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art button 129, and transmits the obtained start-up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시동부(160)는 키 박스(미도시)에 삽입된 키의 동작 상태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arting unit 160 may also obtain an operating state of a key inserted into a key box (not shown).

무선 충전 장치(200)는 개폐 검출부(140), 잠금 검출부(150) 및 시동부(15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며, 개폐 검출부(140)의 개폐 정보, 잠금 검출부(150)의 잠금 정보 및 시동부(150)의 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하차를 인식하며, 운전자의 하차로 인식되면 단말기(300)의 위치 변화를 확인하여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한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40, the locking detection unit 150, and the starting unit 150, and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40 and the lock information of the locking detection unit 150. and at least one of the starting information of the starter 150 to recognize the driver's getting off, and if it is recognized as the driver's getting off, the location change of the terminal 300 is checked and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output. .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200)는 코일부(220), 통신부(230), 전계 검출부(240), 제어부(250), 저장부(251), 제1구동부(260), 제2구동부(270), 표시부(280) 및 사운드 출력부(290)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ncludes a coil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n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240, a control unit 250, a storage unit 251, a first driving unit 260, a second driving unit 270, A display unit 280 and a sound output unit 290 are included.

코일부(2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고, 제1구동부의 구동 명령에 따라 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전자기장을 형성하거나, 또는 제2구동부의 구동 명령에 따라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전자기파를 방출 및 수신한다.The coil unit 220 includes one or more coils, and forms an electromagnetic field for charging the terminal according to a driving command of the first driving unit, or generates electromagnetic waves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ccording to a driving command of the second driving unit. Emit and receive.

통신부(230)는 개폐 검출부(140), 잠금 검출부(150), 시동부(16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고, 개폐 검출부(140)의 개폐 정보, 잠금 검출부(150)의 잠금 정보, 시동부(160)의 시동 정보를 제어부(250)에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communicates with at least one of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40, the lock detection unit 150, and the starter 160, and provides opening/closing information from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40, lock information from the lock detection unit 150, and start-up. The start information of the unit 16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50.

통신부(230)는 개폐 검출부(140)의 개폐 정보, 잠금 검출부(150)의 잠금 정보, 시동부(160)의 시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운전자의 하차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140, the locking information of the locking detection unit 150, and the starting information of the starting unit 160 as driver's getting off information.

이러한 통신부(230)는 차량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also perform communication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통신부(230)는 차량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enabling communication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side the vehicl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 communication module, an NFC communication module, and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signals at a short distance. It may include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that transmit and receive.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Wired communication modules include various wired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modules, Local Area Network (LAN) modules, Wide Area Network (WAN) modules, or Value Added Network (VAN) modules.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modules, various cable communications such as USB (Universal Serial Bu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power line communication, or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modules may be included.

전계 검출부(240)는 무선 충전 장치의 통신 모드 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검출한다.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240 detect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n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이러한 전계 검출부(240)는 코일부에 유기된 기전력의 세기를 검출하는 전계 강도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240 may include an electric field strength measurer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f the electromotive force induced in the coil unit.

제어부(250)는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일 때 운전자의 하차를 판단하며, 운전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인식하며, 단말기의 위치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단말기 미소지 하차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표시부 및 사운드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25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gets off when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recognizes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has gotten off, and recognizes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the same.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is controlled to output no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getting off the vehicle without a driver.

제어부(250)는 시동부의 시동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시동부(160)의 시동 정보에 기초하여 시동 오프 상태를 판단하고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라고 판단되면 차량이 정지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5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based on start information of the start unit. That is, the control unit 25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stopped based on the starting information of the starting unit 160 and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the off state.

제어부(250)는 도어의 개폐 상태 및 잠금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하차 의지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50 may determine whether the driver intends to get off based on at least one of an open/closed state and a locked state of the door.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개폐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개폐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판단하고, 도어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운전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25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open or closed based on the open/clos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pen/close detection unit 140, and determines that the driver has gotten off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switch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

제어부(250)는 잠금 검출부(150)에서 검출된 잠금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 상태를 판단하고,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운전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25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locked or unlocked based on the lock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ock detection unit 150, and determines that the driver has gotten off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switched from the unlocked state to the locked state.

제어부(250)는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이면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고, 도어가 개방 상태라고 판단되면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모드를 통신 모드로 제어하고, 통신 모드 중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단말기와의 통신 중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계 세기를 제1세기로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250 check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when the vehicle is in an off state, controls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a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open,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during the communication mode,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is checked, and the check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stored as the first strength.

제어부(250)는 개폐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가 폐쇄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와의 통신 중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며, 확인된 전계 세기를 제2세기로 저장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changed to the closed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pen/close detection unit 140, the control unit 250 check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or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nd confirms the check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stored as the second century.

제어부(250)는 도어의 개폐 상태의 변화에 대응하는 제1세기와 제2세기를 비교하여 제1세기와 제2세기의 차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세기의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단말기의 위치가 변화하였다고 판단하고, 획득된 세기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면 단말기의 위치가 동일하다고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250 compares the first strength and the second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to obtai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 and if the obtained difference exceeds a reference valu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s chang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has chang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quired intensiti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are the same.

제어부(250)는 단말기의 위치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하여 단말기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ocations of the terminals are the same, the controller 250 determines that the terminals are located inside the vehicle and controls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absence of the terminals.

아울러 제어부(250)는 차량의 상태가 시동 오프 상태라고 판단되면 도어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라고 판단되면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모드를 통신 모드로 제어하고, 통신 모드 중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며, 단말기와의 통신 중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계 세기를 제1세기로 저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checks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n off state, and controls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a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unlocked, and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during the communication mod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or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s checked, and the check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stored as the first strength.

제어부(250)는 잠금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가 잠금 상태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와의 통신 중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며, 확인된 전계 세기를 제2세기로 저장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changed to the locked stat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ock detector, the control unit 250 check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or dur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and converts the checked electric field strength into a second Save as century.

제어부(250)는 도어의 잠금 상태의 변화에 대응하는 제1세기와 제2세기의 차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세기의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단말기의 위치가 변화하였다고 판단하고, 획득된 세기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면 단말기의 위치가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250 obtain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trength and the second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and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has changed when the obtained difference in strength exceeds a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acquired strength difference If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are the same.

제어부(250)는 단말기(300)와 통신 시 단말기(300)에 응답 신호의 출력을 요청하고, 단말기(300)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응답 신호에 대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한다. 즉 제어부(250)는 전계 검출부(240)에서 검출된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한다.Whe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300, the controller 250 requests the terminal 300 to output a response signal, and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300, check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for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That is, the controller 250 check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or 240 .

제어부(250)는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의 수행 시에 제1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의 수행 시에 제2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when performing a charging mode using a coil, and controls driving of a second driving unit when performing a communication mode using a coil.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모드가 충전 모드일 때 전원부(미도시)와 제1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코일부의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the charging mode,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nd the first driving unit so that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coil unit.

도 6a, 6b를 참조하여 무선 충전 장치(200)를 이용한 단말기의 무선 충전 원리를 설명한다. The principle of wireless charging of a terminal us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and 6B.

도 6a 및 도6b 는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단말기의 코일의 구조 및 이러한 구조에서의 전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6A and 6B are diagrams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il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coil of a terminal and directions of electromagnetic fields in these structures.

무선 충전 장치(200)는 단말기(300)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221)을 포함하고, 단말기(300) 역시 무선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310)을 포함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ncludes at least one coil 221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to the terminal 300, and the terminal 300 also includes at least one coil 310 for generating wireless power. .

차량의 무선 충전 장치(200)는 전원부의 전력을 코일부(220)의 코일(221)에 전달한다. 이때 코일부의 코일(221)에는 전류가 흐르며,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코일(221)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of the vehicle transfers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coil 221 of the coil unit 220 . At this tim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221 of the coil unit, and an electro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coil 221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il.

단말기(300)가 무선 충전 장치의 전자기장에 접근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221)의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단말기의 코일부(310)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발생되고, 이 전자기장에 의해 코일부(310)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유도 전류에 의해 단말기(300)가 충전된다. When the terminal 300 approaches the electromagnetic fiel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around the coil unit 310 of the terminal under the influen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of the coil 221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by this electromagnetic field, the coil unit ( 310), an induced current flows, and the terminal 300 is charged by this induced current.

이러한 단말기(300)는 무선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terminal 300 may include a battery (not shown) for storing wireless power.

제어부(250)는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모드가 충전 모드일 때 단말기에서 요청된 송신 전력을 확인하고 확인된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전류를 확인하며 확인된 전류가 발생되도록 전원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s the charging mode, the control unit 250 checks the transmission power requested by the terminal, checks the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checked transmission pow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so that the checked current is generated. You can control it.

제어부(250)는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이면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모드를 충전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제1구동부(260)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25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the charging mode when the vehicle is in an on-stat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260 .

제어부(250)는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이면 무선 충전 장치의 동작 모드를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250)는 제2구동부(270)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250 may also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o the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ehicle is in an off stat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270 .

본 실시 예의 제어부는 무선 충전 장치에 마련된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차량에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Although the controller of this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t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즉 제어부(250)는 차량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250 includes a memory (not shown) storing data for an algorithm or a program reproducing the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in the vehicle, and a process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sing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In this cas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저장부(251)는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기(300)와 통신 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251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store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whe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300 .

즉 저장부(251)는 도어 개방 시의 전계 세기를 제1세기로 저장하고, 도어 폐쇄 시의 전계 세기를 제2세기로 저장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unit 251 may stor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when the door is opened as the first strength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when the door is closed as the second strength.

아울러 저장부(251)는 도어 잠금 해제 시의 전계 세기를 제1세기로 저장하고, 도어 폐잠금 시의 전계 세기를 제2세기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51 may stor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when the door is unlocked as the first strength and stor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when the door is closed and locked as the second strength.

저장부(251)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는 제어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251 may include nonvolatile memory devices such as cache,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flash memory or RAM. It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may be a memory implemented as a separate chip from the processor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control unit,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제1구동부(260)는 풀 브리지 또는 하프 브리지의 정류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갖는 인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260 may include a full-bridge or half-bridge rectification unit and an inverter unit having at least one switch element.

제1구동부(260)는 제어부(250)의 명령에 기초하여 인버터부의 스위칭 소자를 턴 온 및 턴 오프시킴으로써 전원부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제어부(25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스위칭 소자의 듀티비를 조절함으로써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221)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260 converts the DC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into AC power by turning on and off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inverter unit based on the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50, and converts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switching element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50. By adjusting the duty ratio, the intensity of current supplied to at least one coil 221 of the coil unit may be adjusted.

제1구동부(260)는 코일부(220)의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first driving unit 260 forms an electromagnetic field through at least one coil of the coil unit 220 .

본 실시 예의 전원부(미도시)는 코일부(220)의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되, 제어부(250)의 명령에 기초하여 단말기에서 요청한 송신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supply power to the coil of the coil unit 220, but may supply power capable of generating transmission power requested by the terminal based on a command of the control unit 250.

이러한 전원부는 차량에 마련된 배터리에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nected to a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전원부는 코일부의 제1코일과 제2코일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코일과 제2코일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코일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ower supply unit may simultaneously supply power to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of the coil unit, or may supply power only to a coil selected by a user among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그리고 전원부는 제어부(250)에 의해 선택된 코일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원부는 제1코일과 제2코일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power supply unit may supply power only to the coil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250 . The pow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제2구동부(270)는 제어부(2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코일부의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가 방출되도록 하고, 코일부의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를 수신한다.The second driving unit 270 emits electromagnetic waves through the coil of the coil unit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250 and receives the electromagnetic waves through the coil of the coil uni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부(270)는 신호처리부(271), 송신부(272), 수신부(27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 the second driving unit 270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271 , a transmission unit 272 and a reception unit 273 .

신호처리부(271)는 제어부(250)에서 전송된 디지털의 통신 신호를 아날로그의 통신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아날로그의 통신 신호를 송신부(272)에 전달한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271 converts the digital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250 into an analog communica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analog communication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272 .

여기서 디지털의 통신 신호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igital communication signal may include data.

아날로그의 통신 신호는 저주파의 통신 신호일 수 있다.The analog communication signal may be a low frequency communication signal.

신호처리부(271)는 수신부(273)에서 전송된 아날로그의 통신 신호를 디지털의 통신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의 통신 신호를 제어부(250)에 전달한다.The signal processor 271 converts the analog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273 into a digital communication signal, and transfers the converted digital communic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50 .

이러한 신호처리부(271)는 아날로그의 통신 신호를 디지털의 통신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AD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unit 271 may include an ADC that converts an analog communication signal into a digital communication signal.

신호처리부(271)는 수신된 통신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271 may also remove noise of the received communication signal.

송신부(272)는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 미도시)의 고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이용하여 저주파수의 통신 신호를 고주파수의 통신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고주파수의 통신 신호를 코일부의 코일을 통해 출력한다.The transmitter 272 use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of a local oscillator (not shown) to modulate a low-frequency communication signal into a high-frequency communication signal, and converts the modulated high-frequency communication signal into a coil of the coil unit. output through

수신부(273)는 국부 발진기(local oscillator)의 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고주파수의 통신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저주파수의 통신 신호를 신호 처리부(271)에 출력한다.The receiver 273 demodulates the received high-frequency communication signal using a radio frequency (RF) signal of a local oscillator, and outputs the demodulated low-frequency communication signal to the signal processor 271.

즉 코일부의 코일은 송신부(272)를 통해 통신 신호를 자유 공간으로 방사하고, 자유 공간으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수신부(273)에 전송한다.That is, the coil of the coil unit radiates th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free space through the transmitter 272 and transmits th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ree space to the receiver 273 .

즉 제2구동부는 송신부(272)에 의해 변조된 교류 전압을 전자기파로서 대기 중에 방사하고, 수신부(273)를 통해 수신할 때에는 전자기파를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제어부(250)에 전송한다.That is, the second driver radiates the AC voltage modulated by the transmitter 272 into the air as an electromagnetic wave, and converts the electromagnetic wave into AC voltage when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273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50.

이러한 제2구동부(270)는 선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270 may further include a selection unit (not shown).

선택부는 제어부(250)의 선택 신호에 따라 송신부 또는 수신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부를 통해 통신 신호를 제공받아 코일에 제공하거나, 선택된 수신부를 통해 코일의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The selection unit selects the transmission unit or the reception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250, receives the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the selected transmission unit and provides it to the coil, or receives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coil through the selected reception unit.

여기서, 신호 처리부(271), 송신부(272), 수신부(273)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signal processing unit 271, the transmitting unit 272, and the receiving unit 273 may be implemented as one processor.

제2구동부(270)는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주파수의 파장을 조절함으로써 통신 가능 영역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driving unit 270 may also adjust the communicable area by adjusting the wavelength of the frequency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표시부(280)는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단말기를 두고 내릴 때 단말기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소지하고 하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80 may allow the user to carry the terminal and get off the vehicle by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absence of the terminal when the user leaves the terminal in the vehicle.

표시부(280)는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램프,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80 may include a lamp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a flat panel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like.

표시부(280)는 램프의 점멸 또는 점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80 may turn on or off a lamp.

단말기 미소지를 위한 알림 정보는, 차량에 마련된 표시부(128)를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not holding the terminal through the display unit 128 provided in the vehicle.

차량에 마련된 표시부(128)는 헤드 유닛에 마련된 표시부, 클러스터에 마련된 표시부일 수 있고, 사이드 미러에 마련된 표시부일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28 provided in the vehicle may be a display unit provided on a head unit, a display unit provided on a cluster, or a display unit provided on a side mirror.

아울러 차량은 헤드 램프 등을 이용하여 단말기 소지를 위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vehicle may output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possession of the terminal using a headlamp or the like.

사운드 출력부(290)는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단말기를 두고 내릴 때 단말기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를 소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290 may allow the user to carry the terminal by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absence of the terminal through sound when the user leaves the terminal in the vehicle.

사운드 출력부(980)는 경고음, 멜로디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980 may include a speaker that outputs a warning sound or melody.

단말기 미소지를 위한 알림 정보는, 차량에 마련된 사운드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not holding the terminal through a sound output unit (not shown) provided in the vehicle.

본 실시 예의 단말기(300)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코일을 포함하고,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용 단말기로,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300 of this embodiment is a user terminal including a coil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and 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vehicle through a network. Here, a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 tablet PC, a slate PC,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WEB Browser), and a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As a communication devic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 phone, etc. It may include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such as watches, rings, bracelets, anklets, necklaces, glasses, contact lenses, or head-mounted-devices (HMDs).

단말기(300)는 무선 충전 장치(200)로부터 응답 신호의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한다.When the output request signal of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the terminal 30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단말기(300)는 무선 충전 장치(200)로부터 페어링 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충전 장치와의 페어링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페어링 시 무선 충전 장치에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erminal 300 may perform pairing with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a pair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nd may transm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uring pairing.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8 is a control flowchar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차량은 시동부의 시동 정보에 기초하여 시동 온 상태인지 판단하고, 시동 온 상태라고 판단(401)되면 시동 온 상태에 대한 시동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에 전송한다.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engine is in an on-state based on the starting information of the starter uni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n on-start state (401), it transmits the startup information for the on-start state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여기서 시동 온 상태인지 판단하는 것은, 시동 버튼의 온 동작에 의한 시동 온 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whether the ignition is in the on state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n ignition on signal is generated by an on operation of the start button.

무선 충전 장치는 시동 온 상태에 대한 시동 정보가 수신되면 충전 모드를 수행(402)한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erforms a charging mode when starting information about the starting-on state is received (402).

여기서 충전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통해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Here, performing the charging mode includes forming an electromagnetic field through at least one coil provided in the coil unit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무선 충전 장치의 패드 상에 단말기가 안착된 경우, 단말기는 단말기의 코일에서 발생되는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When a terminal is seated on a pad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terminal may perform charging using an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a coil of the terminal.

차량은 무선 충전 장치(200)의 충전 모드 중 시동부(160)의 시동 정보에 기초하여 시동 오프 상태인지 판단하고, 시동 오프 상태라고 판단(403)되면 개폐 검출부에서 검출된 개폐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판단(404)하고,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되면 도어의 개방 상태에 대한 개방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한다. 아울러 차량은 시동 오프 상태에 대한 시동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 an ignition-off state based on the startup information of the starter 160 in the charging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oor is opened (404),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opened, open information on the open state of the door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In addition, the vehicle may transmit starting information about the ignition off state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여기서 시동 오프 상태인지 판단하는 것은, 시동 버튼의 오프 동작에 의한 시동 오프 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whether the ignition is off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startup off signal is generated by an off operation of the start button.

그리고 도어가 개방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개폐 검출부에 의해 도어 개방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And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ope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door open signal is generated by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무선 충전 장치는 시동 오프 상태에 대한 시동 정보 및 도어 개방 상태에 대한 개방 정보가 수신되면 통신 모드를 수행(405)한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erforms a communication mode when starting information about the ignition off state and open information about the door open state are received (405).

여기서 도어가 개방되었다는 것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하차 의지가 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도어가 개방되지 않았다는 것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차량 내에 머물러 있음을 의미한다. Here, that the door is open means that the driver intends to get out of the vehicle while turning off the engine. In addition, if the door is not opened, it means that the driver stays in the vehicle with the ignition of the vehicle turned off.

무선 충전 장치는 통신 모드 수행 중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while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mode.

이때 무선 충전 장치는 단말기에 응답 신호의 출력을 요청하고,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406)하고 확인된 전계 세기를 제1세기로 저장한다.At this ti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quests output of a response signal from the terminal, and when a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s checked (406), and the check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stored as the first strength.

여기서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는 것은, 전계 검출부(240)에서 검출된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Check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signal here includes check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or 240 .

차량은 개폐 검출부에서 검출된 개폐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가 폐쇄되었는지 판단(407)하고, 도어가 폐쇄되었다고 판단되면 도어의 폐쇄 상태에 대한 폐쇄 정보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한다. The vehicle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closed based on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407), and transmits closing information about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closed.

여기서 도어가 폐쇄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개폐 검출부에 의해 도어 폐쇄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closed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a door clos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무선 충전 장치는 통신 모드 수행 중 도어의 폐쇄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에 응답 신호의 출력을 요청하고,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408)하고 확인된 전계 세기를 제2세기로 저장한다.When the door closing information is received during the communication mod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quests the terminal to output a response signal, and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check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408) and removes the checked electric field strength. Save as 2nd century.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는 제2구동부의 송신부를 통해 응답 신호의 출력을 요청하고, 제2구동부의 수신부를 통해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uch a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request an output of a response signal through the transmitter of the second driver and receive the response signal through the receiver of the second driver.

여기서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는 것은, 전계 검출부(240)에서 검출된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Check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signal here includes check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or 240 .

무선 충전 장치는 시동 오프 후 도어의 개폐 상태의 변화에 대응하는 제1세기와 제2세기를 비교하여 제1세기와 제2세기가 동일한지 판단(409)하고, 제1세기와 제2세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차량 내부에 단말기를 두고 운전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한다.After the ignition is turned of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ares the first and second intensities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intensities are the same (409), and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intensities are the sa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y are the same,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has gotten off the vehicle by placing the terminal inside the vehicle.

즉 무선 충전 장치는 제1세기와 제2세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단말기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410)함으로써 운전자가 단말기를 미소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rmines that the first intensity and the second intensity are the sam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utputs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not holding the terminal (410) so that the driver can know that the terminal is not held.

단말기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무선 충전 장치의 표시부(280)를 통해 알림 정보를 표시하거나, 차량 내부에 마련된 표시부(128)를 통해 알림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이드 미러에 마련된 램프(미도시)를 통해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not being present can be done by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28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28 provided inside the vehicle, or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lamp provided on a side mirror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no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단말기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무선 충전 장치의 사운드 출력부(290)를 통해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거나, 차량 내부에 마련된 사운드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 not being present is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s soun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290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or outputting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s sound through a sound output unit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do

무선 충전 장치는 도어 개폐 전후의 전계의 세기가 변화하였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소지하고 하차하였다고 판단하고, 동작 모드를 충전 모드로 전환하거나,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rength of the electric field before and afte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has changed,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rmines that the user is holding the terminal and gets off the vehicle, and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a charging mode or to a standby mode.

아울러 무선충전 장치는 제1세기와 제2세기를 비교하여 제1세기와 제2세기의 차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세기의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단말기의 위치가 변화하였다고 판단하고, 획득된 세기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면 단말기의 위치가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ares the first and second intensities to obtai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tensities,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tained intensities exceeds a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has changed, and the obtained If the difference between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are the same.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9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다른 실시 예의 차량은 무선 충전 장치(200)를 포함하고, 속도 검출부(170), 탑승자 검출부(180), 사운드 출력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of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speed detection unit 170, an occupant detection unit 180, and a sound output unit 190.

속도 검출부(170)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의 속도(즉, 차속)를 무선 충전 장치(200)에 전송한다.The speed detection unit 170 detects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detected speed of the vehicle (ie, vehicle speed) to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

이러한 속도 검출부(170)는 복수의 차륜에 각각 설치된 휠 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복수의 휠 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휠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The speed detector 170 may include wheel speed sensors installed on each of a plurality of wheels, and obtain the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wheel speeds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wheel speed sensors.

속도 검출부(170)는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때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peed detector 17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may obtain the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ed acceleration.

탑승자 검출부(180)는 차량의 시트 및 안전 벨트에 마련될 수 있다.The occupant detection unit 180 may be provided on a seat and seat belt of a vehicle.

탑승자 검출부(180)는, 무게 검출부, 압력 검출부, 정전용량 검출부 및 안전 벨트의 체결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occupant detection unit 18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eight detection unit, a pressure detection unit, a capacitance detection unit, and a safety belt fastening detection unit.

시동부(160)는 시동 버튼의 온 동작 및 오프 동작에 대응하는 시동 정보를 인식한다.The starter 160 recognizes start-u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n- and off-actions of the start button.

무선 충전 장치는 속도 검출부, 탑승자 검출부 및 시동부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a speed detection unit, an occupant detection unit, and a starting unit.

무선 충전 장치는 주행 속도가 영(zero)이거나, 변속 레버의 위치가 주차 단(P단)이라고 판단되면 차량이 정차하였다고 판단하고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also determine that the vehicle is stopped and perform the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ing speed is zero or the position of the shift lever is in the parking stage (P range).

무선 충전 장치(200)는 통신 모드 중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계 세기를 제1세기로 저장하며, 탑승자 검출부(180)에서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계 세기를 제2세기로 저장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check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n the communication mode, stores the checked electric field strength as the first strength,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gets off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occupant detection unit 18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has gotten off,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is checked and the checked electric field strength is stored as the second strength.

무선 충전 장치(200)는 운전자 하차 전후의 제1세기와 제2세기의 세기 변화를 판단하고, 두 전계의 세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 존재한다고 판단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200 determines the change in intensity between the first intensity and the second intensity before and after the driver gets off, and determines that the terminal exists inside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tensity of the two electric fields is the same.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고, 도어가 개방 상태라고 판단되면 통신 모드를 수행하고 도어 개방 시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며 도어가 폐쇄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도어 폐쇄 시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응하는 전계 세기의 변화에 기초하여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checks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performs a communication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open, checks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hen the door is open, and indicates that the door has been switched to the closed state. If it is determined,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hen the door is closed, and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exists inside the vehicle based on the change in electric field strength corresponding to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아울러 무선 충전 장치는 도어의 개폐 상태에 대응하는 제1세기와 제2세기의 차이를 획득하고 획득된 세기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면 단말기의 위치가 동일하다고 판단하고, 획득된 세기의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단말기의 위치가 변화하였다고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cquir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rengths corresponding to the open/closed state of the door,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quired strengths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are the same, and the obtained differences in strengths determine the reference values. If it exceeds,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has changed.

여기서 단말기의 위치가 동일하다는 것은, 운전자가 단말기를 미소지하고 하차하여 단말기가 차량 내부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Here, that the locations of the terminals are the same means that the terminal exists inside the vehicle when the driver gets off without holding the terminal.

그리고 단말기의 위치가 변화하였다는 것은, 운전자가 단말기를 소지하고 하차하여 단말기의 위치가 변화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changed means that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has changed because the driver got off the vehicle while carrying the terminal.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이면 통신 모드를 수행하고, 통신 모드 수행 중 단말기와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단말기 미소지 승차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may perform a communication mode when the vehicle is in an on-state, and output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riding without a terminal when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s impossible during the communication mode.

무선 충 전 장치는 통신 모드 수행 중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고, 인식된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이면 단말기가 차량의 내부에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인식된 거리가 기준 거리를 초과하면 단말기가 차량의 외부에 존재한다고 판단한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recognizes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terminal based on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hile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mode, and if the recognized distance is less than the reference dista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exists inside the vehicle, If the recognized distance exceeds the reference dista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exists outside the vehicle.

여기서 단말기가 차량의 외부에 존재한다는 것은, 운전자가 단말기를 소지하고 하차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Here, that the terminal exists outside the vehicle means that the driver got off the vehicle while carrying the terminal.

기준 거리는 무선 충전 장치와 운전석의 도어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The reference distance may be the distance betwee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the driver's seat door.

표시부(128)는 차량의 헤드 유닛 또는 클러스터에 마련된 표시부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28 may be a display unit provided on a head unit or cluster of a vehicle.

표시부(128)는 단말기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28 displays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possession of the terminal.

사운드 출력부(190)는 차량에 마련된 스피커일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190 may be a speaker installed in a vehicle.

사운드 출력부(190)는 단말기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 190 outputs no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terminal's non-possession through sound.

100: 차량 200: 무선 충전 장치
210: 본체 220: 코일부
300: 단말기
100: vehicle 200: wireless charging device
210: main body 220: coil part
300: terminal

Claims (23)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코일;
차량으로부터 사용자의 하차 정보 및 시동 온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코일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검출하는 전계 검출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시동 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 모드의 수행 시에,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정보가 수신되기 전 상기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정보가 수신된 후 상기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정보의 수신 전후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면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A coil for wirelessly charging a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receiving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and start-on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an electric field detector detecting an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il;
When the start-on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harging mode using the coil is performed, and when the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ommunication mode using the coil is performed, and when the communication mode is performed , check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before the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is received, and check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after the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is receive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when the electric field strength before and after receiving the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is the same;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comprising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as a sou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정보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폐 정보 및 상기 차량의 도어의 잠금/잠금 해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s getting off information comprises:
A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door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locking/unlock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do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드의 수행 중 상기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제1세기로 저장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제2세기로 저장하고, 상기 제1세기와 제2세기가 동일하면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During the communication mod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is stored as the first strength, and when the door clos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is stored as the second strength.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non-possession of the terminal when the first intensity and the second intensity are the s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드의 수행 중 상기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제1세기로 저장하고, 상기 도어의 잠금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전계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제2세기로 저장하고, 상기 제1세기와 제2세기가 동일하면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During the communication mod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is stored as the first strength, and when the door lock information is receive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by the electric field detection unit is stored as the second strength. and controlling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non-possession of the terminal when the first intensity and the second intensity are the sam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ireless charg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absence of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코일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교류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교류 전압이 상기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자기파를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의 수행 시에 상기 제1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의 수행 시에 상기 제2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driving unit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coil to form an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the coil;
A second driving unit that generates an AC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causes the generated AC voltage to be emitted as an electromagnetic wave through the coil, and converts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wave into an AC voltage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is received through the coil. including,
The control unit controls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when performing a charging mode using the coil, and controls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when performing a communication mode using the coil.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
시동 온 정보 및 시동 오프 정보를 수신하는 시동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코일과, 상기 코일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검출하는 전계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 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시동 오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 모드의 수행 시에 상기 개폐 검출부에서 검출된 도어의 개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 시에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와 상기 도어의 폐쇄 시에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두 개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면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
an opening/clos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of a door;
a starting unit receiving start-on information and start-off information;
A coil for wirelessly charging a terminal and an electric field detector for detecting an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il, and when the start-on information is received, a charging mode using the coil is performed, and the start-off information When is received, a communication mode using the coil is performed, and based on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the door detected by the opening/closing detecting unit during the communication mod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door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obtains electric field strengths of received signals detected at the time of closing, and controls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when the obtained electric field strengths of the two received signals are the same; and
A vehicle comprising a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as a soun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드의 수행 중 상기 단말기에 응답 신호의 출력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requesting output of a response signal from the terminal while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mode, and checking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8,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absence of the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코일의 주변에 전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와,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교류 전압이 상기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코일을 통해 전자기파가 수신되면 수신된 전자기파를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구동부와,
상기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의 수행 시에 상기 제1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의 수행 시에 상기 제2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 first driving unit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coil to form an electromagnetic field around the coil;
a second drive unit that emits an AC voltage corresponding to a control command as an electromagnetic wave through the coil and converts the received electromagnetic wave into an AC voltage when the electromagnetic wave is received through the coil;
A vehicle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unit when a charging mode using the coil is performed and controls driving of the second driving unit when performing a communication mode using the coil.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검출하는 잠금 검출부;
시동 온 정보 및 시동 오프 정보를 수신하는 시동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코일과, 상기 코일에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검출하는 전계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 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코일을 이용한 충전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시동 오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코일을 이용한 통신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 모드의 수행 시에 상기 잠금 검출부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시에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와 상기 도어의 잠금 시에 검출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두 개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면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
a lock detection unit that detects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a starting unit receiving start-on information and start-off information;
A coil for wirelessly charging a terminal and an electric field detector for detecting an electric field strength of a received signal received by the coil, and when the start-on information is received, a charging mode using the coil is performed, and the start-off information When is received, a communication mode using the coil is performed,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detected when unlocking the door and the lock of the door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lock detection unit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ommunication mo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acquires electric field strengths of the received signals detected at the time of day, and controls the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unknown location of the terminal when the obtained electric field strengths of the two received signals are the same; and
A vehicle comprising a sound output unit that outputs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terminal's absence as a soun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드의 수행 중 상기 단말기에 응답 신호의 출력을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requesting output of a response signal from the terminal while performing the communication mode, and checking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when the respon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삭제delet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im 13,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absence of the terminal.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모드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통신 모드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 장치에 마련된 코일을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하차 시에 상기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을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전후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a terminal,
Controlling the charging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the start-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received;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Checking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il provided i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has exi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got off, check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il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when the user got off;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bsence of the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s before and after the user gets off the vehicle is the sam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에 마련된 도어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gets off,
Detecting an operating state of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and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exited the vehicle when the door is switch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하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에 마련된 도어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도어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사용자가 하차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gets off,
Detecting a locked state and an unlocked state of a door provided in the vehicle;
and determining that the user has exited the vehicle when the door is switched from an unlocked state to a locked stat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comprises:
and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when the vehicle ignition off information is receive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은,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와 변속 레버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영이고 상기 변속 레버의 위치가 주차 단(P단)이면 상기 차량이 정차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comprises:
Check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position of the shift lever;
and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when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is zero and the position of the shift lever is in the parking range (P rang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전후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전후의 전계 세기의 차이를 확인하고,
상기 전계 세기의 차이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의 하차 전후의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determining that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received signal before and after the user gets off is the same,
Checking the difference in electric field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user gets off;
and determining that electric field strengths of received signals before and after the user gets off the vehicle are the same when the difference in electric field strength is equal to or less than a reference valu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차량 내부에 마련된 사운드 출력부 및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단말기의 미소지에 대한 알림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non-possession of the terminal comprises:
and controlling an output of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absence of the terminal by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of a sound output unit and a display unit provided inside the vehicle.

KR1020170171954A 2017-12-14 2017-12-14 Wireless charger,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861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954A KR102486155B1 (en) 2017-12-14 2017-12-14 Wireless charger,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954A KR102486155B1 (en) 2017-12-14 2017-12-14 Wireless charger,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171A KR20190071171A (en) 2019-06-24
KR102486155B1 true KR102486155B1 (en) 2023-01-10

Family

ID=6705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954A KR102486155B1 (en) 2017-12-14 2017-12-14 Wireless charger,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1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71635A (en) * 2022-07-20 2022-09-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Vehicle star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7194A (en) * 2007-12-18 2009-10-22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charger cradle
JP2013038870A (en) * 2011-08-05 2013-02-21 Panasonic Corp Charger
JP2013119304A (en) * 2011-12-07 2013-06-17 Panasonic Corp Automobi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7194A (en) * 2007-12-18 2009-10-22 Sanyo Electric Co Ltd Battery charger cradle
JP2013038870A (en) * 2011-08-05 2013-02-21 Panasonic Corp Charger
JP2013119304A (en) * 2011-12-07 2013-06-17 Panasonic Corp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171A (en)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6076B1 (en) Communication modul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9646436B1 (en) Gesture controls for remote vehicle access systems
KR102394578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JP6372688B2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6003938B2 (en) Electronic key system
KR101915420B1 (en) Communication system,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US9266503B2 (en) Vehicular control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CN110834601B (en) Remote controller, vehicle communicating with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US20170160786A1 (en) Smart key, control method of the smart key, and vehicle including the smart key
US9377764B2 (en) Plug lock device
US20160304052A1 (en) Door unlocking system
US10112580B2 (en) Vehicle key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vehicle key control method
JP6347762B2 (en) Vehicle control device
KR10166429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adaptively controlling lamp
US9758128B2 (en) Keyless entry system
KR20190047776A (en) Wireless charing apparatu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display method for wireless charing apparatus
WO2017018349A1 (en)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s
US20200304943A1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method
KR102486155B1 (en) Wireless charger,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4025312A (en) Electronic key system
JP689434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16407B1 (en) Auto unfolding system of side mirror for car
JP2010018225A (en) Smart starting system
KR101889056B1 (en) An automobile
JP6998983B2 (en) Failure determination device and failure determination method for relative position acquis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