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279B1 -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279B1
KR102484279B1 KR1020200075913A KR20200075913A KR102484279B1 KR 102484279 B1 KR102484279 B1 KR 102484279B1 KR 1020200075913 A KR1020200075913 A KR 1020200075913A KR 20200075913 A KR20200075913 A KR 20200075913A KR 102484279 B1 KR102484279 B1 KR 10248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information
virtual space
processor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738A (ko
Inventor
황두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몬드
Priority to KR102020007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279B1/ko
Priority to US16/951,576 priority patent/US11153084B1/en
Priority to US17/462,483 priority patent/US11909875B2/en
Publication of KR2021015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738A/ko
Priority to KR1020220188677A priority patent/KR20230011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279B1/ko
Priority to US18/411,565 priority patent/US2024015480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물리공간 상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나 공간을 가상공간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 형태로 등록하고, 오프라인 디바이스나 공간과 가상공간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 간의 연계를 통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CERTIFICATING AND SYNCHRONIZING VIRTUAL WORLD AND PHYSICAL WORLD}
아래의 설명은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 브라우징 환경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체를 운영하는 사업자와 외부 사업자인 제3자 사업자가 각각 자신의 쿠키를 활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록 및 활용하였다. 예를 들어, 제3자 사업자는 쿠키를 통해 얻어지는 정보에 기반한 프로그래매틱 비딩(Programmatic Bidding)이나 RTB(real time bidding)등을 이용하여 사업자의 매체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알맞은 정보를 노출하였다.
그러나 가상공간의 경우, 특정 가상공간의 공급자 중심의 환경에서 사용자의 모든 경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3자 사업자의 입장에서 사용자의 경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및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기술에서 제3자 사업자는 단순히 가상공간 상에서의 사용자의 활동과 무관하게 일반적인 정보를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노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등과 같이 가상공간 상에서의 사용자의 활동 외적인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선행문헌번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07892호
가상세계와 물리세계 간의 상호 연계 시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서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TS(Digital Twin Space) 상에 등록하고자 하는 공간을 인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인증된 공간(certified space)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user check-in)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가상공간의 정보와 물리공간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공간과 상기 물리공간 간의 상호 연결관계를 관리하고, 상기 물리공간 상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나 공간을 상기 가상공간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 형태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오프라인 디바이스 또는 오프라인 상점과 상기 가상공간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 간의 연계를 통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기화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가상공간과 상기 물리공간 간에 사용자 정보와 활동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의 정보로서 상기 가상공간의 디지털 오브젝트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의 정보로서 상기 가상공간의 에이전트와 관련된 정보를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의 정보로서 상기 가상공간의 통화(currency) 관련 정보를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디바이스 정보 또는 사전 인증을 통해 발급받은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공간에서 인식 가능한 디바이스를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맵 기반 데이터 또는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공간에서 인식 가능한 공간을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고유 키 값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상기 가상공간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 형태로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복수의 에이전트로 구성된 그룹을 상기 가상공간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 형태로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과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경우 디바이스 생산 시점에 사전 인증 형태로 해당 디바이스를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또는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에 바인딩되는 상기 물리공간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공간과 연계된 사용자 출입 및 방문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물리공간으로부터 전달되는 트래픽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공간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퍼링 또는 큐잉하고 상기 데이터를 라우팅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물리공간의 정보로서 상기 공간과 관련된 지역 정보와 소유주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과 상기 물리공간 간의 연계 서비스에 사용되는 키를 발급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과 상기 물리공간 간의 연계 서비스에 참여하는 개별 서비스 주체 별 승인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상세계와 물리세계 간의 상호 연결 관계를 인증 및 동기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상세계와 물리세계 간의 상호 연계를 위하여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서 디바이스를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상세계와 물리세계 간의 상호 연계를 위하여 DTS 상에 등록하고자 하는 공간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증된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세계의 공간들간의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세계의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 디지털 오브젝트가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세계의 공간에서 에이전트에게 디지털 오브젝트들의 노출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구성 시스템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물리공간(PS)과 가상공간(VS)을 연결하는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물리공간(PS)과 가상공간(VS) 간의 연계 기능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대상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공간(VS)의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물리공간(PS)과 가상공간(VS) 간의 연결을 위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인증 과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이전트 등록 과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간 인증 과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증된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 과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증된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 과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PS와 VS 간의 연계 시 동기화 승인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가상공간에 기반한 서비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 게임 서비스, 그룹 통화 서비스(또는 음성 컨퍼런스 서비스), 메시징 서비스, 메일 서비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도 서비스, 번역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결제 서비스, 검색 서비스, 콘텐츠 제공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하나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이 터치스크린, 마이크, 스피커 등이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세계의 공간인 PS(Physical Space, 310)와 가상세계의 공간인 VS(Virtual Space, 320), MS(Mixed Space, 330) 및 DTS(Digital Twin Space, 340)를 나타내고 있다.
가상세계의 공간은 해당 가상세계의 공급자(사업자)가 디자인하거나, 사용자 또는 외부 사업자인 제3자 사업자가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세계의 공간은 공간의 특징에 따라 VS(320), MS(330) 및/또는 DTS(340)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VS(320)는 CPS(Cyber Physical System)와 연동될 수 있는 순수 디지털 기반의 공간일 수 있으며, DTS(340)는 실세계 기반의 가상의 공간으로서 CPS와 연동된 공간일 수 있으며, MS(330)는 VS(320)와 DTS(340)가 혼합된 공간일 수 있다. MS(330)의 경우, 실세계의 환경에 사용자의 객체인 에이전트(Agent)가 적응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실세계의 환경을 가상세계상에서 렌더링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가상세계의 공간은 사용자의 에이전트가 활동할 수 있는 기본 가상공간의 개념으로, 공간별로 에이전트의 활동과 정보 활용 및/또는 노출 등에 대한 정책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에이전트가 특정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서비스 제공의 주체에 따라 각각의 개인정보 및 이용약관(Privacy & Terms)이 존재함을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가상세계의 공간은 공급자 또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생성 및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가상세계의 공간들간의 에이전트의 이동을 위해 별도의 게이트(gate)가 인터페이스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세계의 공간들간의 이동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두 개의 가상공간들인 VS #1(410)과 VS #2(420)간의 이동을 위한 게이트 #1(430)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게이트'는 가상세계의 공간들간의 이동을 제공하는 기본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는 가상세계의 공간들간의 이동뿐 아니라 가상세계의 공간과 비-가상세계의 공간간의 이동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VS#1(410)의 에이전트가 웹페이지(web page), 스트리밍 채널, 스트리밍 콘텐츠, 게임 환경, 실제 오프라인의 비디오 콜 등과 같은 비-가상세계의 공간으로서의 이동 대상으로도 이동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가상세계의 공간을 구분 짓는 방법은 해당 가상세계의 공간의 공급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에이전트는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또는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으로서의 에이전트는 인공지능 에이전트의 형태로, 제3자 사업자를 대신하여 존재하는 가상의 아바타 또는 페르소나(persona)일 수 있다. 이러한 에이전트에는 해당 에이전트가 속한 가상세계의 공간의 물리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으며, 해당 가상세계의 공간에 설정된 서비스 규약(service profile)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물리적인 장치의 정보에 기반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이전트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물리적인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특징에 따른 시야각을 갖거나 또는 해당 물리적인 장치의 컨트롤러에 따른 제어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후 설명될 디지털 오브젝트(digital object)는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서 세계정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서 에이전트와의 상호 인터랙션 기능을 제공하는 오브젝트들을 총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세계의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 디지털 오브젝트가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VS(320), MS(330) 및/또는 DTS(340)와 같은 가상세계의 공간(500)이 디지털 오브젝트(Digital Object, 510)를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디지털 오브젝트(510)는 가상세계의 공간(500)이 포함하는 에어리어인 오브젝트 에어리어(Object Area, OA)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오브젝트(510)는 디스플레이 오브젝트(Display Object, DO, 511), 인터랙션 오브젝트(Interaction Object, IO, 512), 웹 오브젝트(Web Object, WO, 513) 및 스트리밍 오브젝트(Streaming Object, SO, 5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오브젝트(511), 인터랙션 오브젝트(512), 웹 오브젝트(513) 및 스트리밍 오브젝트(514) 각각은 콘텐츠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에어리어(Display Area)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가상세계의 공간(600)상에 형성된 오브젝트 에어리어(610 내지 640)에 디지털 오브젝트들이 배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디지털 오브젝트들은 디스플레이 오브젝트인 DO(651 내지 654), 인터랙션 오브젝트인 IO(661 내지 663), 웹 오브젝트인 WO(671) 및/또는 스트리밍 오브젝트인 SO(68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점선 화살표들(691 및 692)은 에이전트의 이동 가능 동선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예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은 정해진 조건에 의해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때 디지털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에어리어 상에 생성될 수 있다. 가상세계의 공간이 DTS(일례로, 도 3의 DTS(340))와 같이 실세계를 모사한 경우, 정해진 실세계의 물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오브젝트 에어리어의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세계의 특정 쇼핑몰 또는 유적지 등을 가상화하는 경우, 실제의 위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오브젝트 에어리어의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DO(Display Object)는 가상세계의 공간에 공간적 형태(구조물적 형태)로 노출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으며, 단순한 제어 기능을 에이전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 IO(Interactive Object)는 가상세계의 공간에 공간적 형태를 가지고 노출될 수 있으며 에이전트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렉티브 특징을 가진 오브젝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O는 에이전트와의 다양한 인터랙션 특징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WO(Web Object)는 웹 상의 콘텐츠를 가상세계의 공간을 통해 노출하는 형태의 오브젝트일 수 있다. 또한, SO(Streaming Object)는 비디오, 오디오 등의 스트리밍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노출 가능한 형태의 오브젝트일 수 있다.
OA는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서 가상의 오브젝트인 디지털 오브젝트를 생성할 수 있는 공간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OA 상에 존재하는 디지털 오브젝트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기능은 디지털 오브젝트의 소유주와 가상세계의 공간의 공급자간의 계약을 기반으로 제공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1. 에이전트 연동 관련 기능
1) 인터랙션 기능: 에이전트가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
2) 히스토리 기능: 에이전트의 방문 및 인터랙션 관련 정보 추적(tracking)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능
3) 관심 정보 저장(Favorite/Like) 기능: 에이전트가 디지털 오브젝트에 대해 관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4) 팔로우미(follow me) 기능: OA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를 스몰 윈도우(small windows)화 또는 아이콘(icon)화 하여 에이전트 주변을 따라다니게 하는 기능
2. 외부 API 연동 관련 기능
1)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 디지털 오브젝트의 생성 시점 및 종료 시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
2) OA상에서의 디지털 오브젝트들이 수집한 에이전트 관련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3) 실세계 정보를 반영하여 DO 또는 IO상에 표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일례로, 실제 상점의 주문 대기(order waiting), 매장 내 혼잡도, 주차 상황 등의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기능)
3. 게이트 연동 관련 기능
1) 게이트 연결 기능: OA 상에 존재하는 디지털 오브젝트에서 에이전트를 다른 VS나 PS로 연결하기 위한 기능
4. 디스플레이 에어리어(Display Area, DA) 관련 기능
1) DA 기능: 디지털 오브젝트의 소유주가 자신의 의사에 따라 콘텐츠를 노출할 수 있는 영역으로, 에이전트에게 노출될 수 있다.
2) 디스플레이 콘텐츠 요청 기능: 실세계 콘텐츠 제어 모듈(Real Time Content Control Module)을 통해 외부 콘텐츠를 공급 받을 수 있는 기능
한편, DO와 IO는 가상세계의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 일부로 OA 상에 존재할 수 있다. DO와 IO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일정한 규격을 가진 구조물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DO의 외형적 정보는 DO의 소유주가 가상세계의 공간의 공급자측에게 제공하거나 공급자측에서 제공하는 템플릿을 활용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툴을 이용하여 직접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DO 및 IO는 소유주가 직접 제어 가능한 DA를 가질 수 있다. DA 상에서 노출되는 콘텐츠는 DO 및/또는 IO의 소유주와 공간의 공급자간의 정책에 기반한 적정 범위 내에서 DO 및/또는 IO의 소유주의 선택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DA는 에이전트의 시야각에 따른 노출 특징(원근감, 또는 원근감을 무시하고 강조하기 위한 특징 등) 및 인터랙션 특징을 개별적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IO는 IO의 소유주가 직접 제어 가능한 인터렉티브한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IO는 에이전트의 인터랙션 특징 활성화 정보를 기반으로 에이전트의 상황에 알맞은 인터랙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HMD(Head Mounted Display)만 착용한 경우 IO는 DO와 동일한 형태의 동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HDM와 결합된 컨트롤러를 가진 경우, 해당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서 제공하는 에이전트와의 인터랙션 피처(일례로, 잡기(grabbing), 당기기(pulling, drawing)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추가적인 모션인식 컨트롤러 등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특징을 활용할 수 있다. DO의 경우에는 기본적인 제어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제어 특징들은 공급자측이 설정한 가상세계의 공간의 기본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제어 기능은 히스토리 설정 및/또는 관심 정보 설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상세계의 공간에서 에이전트에게 디지털 오브젝트들을 노출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가상세계의 공간(700)에 오브젝트 에어리어(710)와 디지털 오브젝트(720) 및 에이전트(730)가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가상세계의 공간(700)은 물리 세계(실세계, 740)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오브젝트(720)의 특징(Digital Object Features)은 오브젝트 에어리어(710)의 특징(Object Area Features)을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에어리어(710)의 특징은 가상세계의 공간(700)내의 특정 영역에 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세계의 공간(700) 내에는 다수의 서브-디지털 오브젝트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다수의 서브-디지털 오브젝트들 각각은 대응하는 오브젝트 에어리어의 기존 정책을 따를 수 있다. 또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오브젝트(720)는 DO, IO, WO 및 SO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오브젝트(720)의 특징은 DO의 특징, IO의 특징, WO의 특징 및 SO의 특징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오브젝트(720)의 특징은 디지털 오브젝트(720)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에어리어(750)의 특징(Display Area Features) 및 에이전트(730)에 대한 추적 특징(Tracking Features, 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상세계의 공간(700)에서 에이전트(730)에게 디지털 오브젝트(720)를 노출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1) 디지털 오브젝트(720)의 특징, (2) 오브젝트(730)의 시야각(Field of View, FoV) 및 (3) 에이전트(730)와 디스플레이 에어리어(750)간의 거리(distance)를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구성 시스템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가상공간 구성 시스템(800)은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VR(Virtual Reality) Client Device, 810), 모바일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Mobile Edge Computing Device, 820),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Edge Computing Device, 830)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Cloud Computing System, 8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 모바일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20),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30) 및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 각각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컴퓨터 장치(2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이 둘 이상의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는 사용자에게 가상세계의 공간을 표시하기 위한 물리적인 장치일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더링 머신(Rendering Machine, 811), 렌더링 머신(811)이 포함할 수 있는 가상공간 컨트롤러(Virtual Space Controller, 이하 "VSC", 812),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이하 "HMD", 813) 및 컨트롤러 및 센서(Controllers & Sensors, 814)를 포함할 수 있다. 렌더링 머신(811)은 VSC(812)를 통해 가상세계의 공간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813)에 표시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 및 센서(814)의 출력값은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의 에이전트를 제어하거나 및/또는 가상세계의 공간에 배치된 디지털 객체와 인터랙션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VSC(812)는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나 렌더링 머신(811)이 직접 포함하지 않고, 모바일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20) 또는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3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가 가상세계의 공간을 직접 렌더링할 수 있는 수준의 장치인 경우에는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의 VSC(812)를 이용하여 가상세계의 공간이 렌더링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의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가 가상세계의 공간을 직접 렌더링할 수 없는 경우,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는 액세스 포인트(822)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20)의 VSC(821)를 통해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30)의 VSC(831)를 통해 가상세계의 공간을 렌더링하여 HMD(813)에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20)와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30)가 모두 지원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이 포함하는 가상공간 컨트롤러 팜(Virtual Space Controller farm, 842)을 이용하여 가상세계의 공간을 렌더링할 수 있다. 가상공간 컨트롤러 팜(842)은 사용자를 위한 VSC의 인스턴스(instance)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렌더링된 가상세계의 공간을 HMD(813)에 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VSC들(812, 821 및 831)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이 가상공간 컨트롤러 팜(842)을 통해 생성 및 제공하는 VSC 인스턴스들일 수 있다.
VSC들(812, 821 및 831)은 에이전트를 위한 가상세계의 공간에 디지털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에어리어와 관련하여 전달된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도록 가상세계의 공간을 렌더링할 수 있다. VSC들(812, 821 및 831)은 가상세계의 공간을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에 의해 에이전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를 위해 생성될 수 있으며,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 모바일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20),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30)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 중 적어도 하나에 런칭되어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를 위한 가상세계의 공간의 렌더링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는 직접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에 연결되거나 또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20) 또는 엣지 컴퓨팅 디바이스(830)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에 연결되어 가상세계의 공간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은 가상세계의 공간을 구성하고, 가상세계의 공간과 관련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업자의 시스템일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공간 관리 시스템(841) 및 가상공간 컨트롤러 팜(84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공간 컨트롤러 팜(842)은 가상공간 관리 시스템(841)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상공간 관리 시스템(841)에 대해서는 이후 도 9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관리 시스템(841)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관리 시스템(84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Client I/F, 910), 에이전트 추적 관리 모듈(Agent Tracking Management Module, 920), 에이전트 정보 관리 모듈(Agent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930), 가상세계 정보 관리 모듈(Virtual World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940), 실시간 콘텐츠 제어 모듈(Real Time Content Control Module, 950), 물리세계 인터페이스 모듈(Physical World Interface Module, 960) 및 가상공간 컨트롤러 팜(8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공간 관리 시스템(841)의 구성요소들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200)가 포함하는 프로세서(220)의 기능적 표현(functional expression)들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910)는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910)는 사용자가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840)이 제공하는 가상세계의 공간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가상세계의 공간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에이전트 추적 관리 모듈(920)은 가상세계의 공간 상에 배치 및 이동하는 에이전트를 추적할 수 있다. 에이전트를 추적함에 따라 얻어지는 정보는 추적 데이터베이스(Tracking DB)에 해당 에이전트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실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에이전트에 대한 추적 이력 정보가 추적 이력 데이터베이스(Tracking History DB)에 해당 에이전트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저장될 수 있다.
에이전트 정보 관리 모듈(930)은 에이전트의 프로파일 및 에이전트의 동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이전트 정보 관리 모듈(930)은 에이전트의 프로파일을 해당 에이전트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에이전트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Agent Profile 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에이전트의 동의 내용을 을 해당 에이전트의 식별자와 연관하여 에이전트 동의 데이터베이스(Agent Consent DB)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의는 개인정보 및 이용약관에 대한 동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세계 정보 관리 모듈(940)은 가상세계의 공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세계 정보 관리 모듈(940)은 가상세계의 공간의 정책(Policy)에 대한 정보, 가상 맵 정보(Virtual Map Information), 가상세계의 공간의 위치 정보(일례로, 가상세계의 공간에 대한 GPS 정보), 가상세계의 공간에 배치된 디지털 오브젝트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다른 모듈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간 콘텐츠 제어 모듈(950)은 가상세계의 공간 내에서 표시될 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콘텐츠 제어 모듈(950)은 가상세계 공간 내에 구성된 디지털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에어리어를 통해 표시될 콘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간 콘텐츠 제어 모듈(950)은 콘텐츠 비딩(bidding)을 위한 기능과 표시할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콘텐츠 제어 모듈(950)은 제3자 디스플레이 콘텐츠 제공자(970)에 대한 비딩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에어리어를 통해 표시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물리세계 인터페이스 모듈(960)은 물리 리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 및 물리 리소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공간 컨트롤러 팜(84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의 렌더링을 돕기 위해, VSC의 인스턴스를 생성, 제공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공간 관리 시스템(841)은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로부터 HMD 정보 및 제어/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HMD 정보는 3-DoF(Degrees of Freedom) 또는 6-DoF의 디바이스 모션 추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 모션 추적 정보는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에 대한 모션 추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MD 정보는 VR 클라이언트 디바이스(810)로부터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머리의 회전, 사용자의 몸의 이동, 사용자의 시선정보(eye-gaze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MD 정보는 렌더링 지연, 온도 등과 같은 렌더링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센서 정보는 사용자의 몸의 이동에 대한 정보나, 키 이벤트, 이동 등과 같은 실시간 컨트롤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VR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와 장치 및 공간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가상세계와 실세계의 연계 기능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오브젝트와 에이전트 간의 신뢰가 요구된다.
(1) 사용예1: 오프라인 상점과 디지털 오브젝트 간의 연계를 통한 에이전트 서비스를 차별화할 수 있다.
디지털 오브젝트가 에이전트를 대상으로 이벤트를 진행하는 경우 가상공간 컨트롤러(VSC(812, 821, 831)) 상에 디지털 오브젝트 형태로 실세계의 상점이 입점해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점을 방문해서 구입한 이력이 있으면 VS 상에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디지털 오브젝트가 개별 서비스 주체로서 에이전트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서비스, 이벤트 등을 진행하고자 할 때 디지털 오브젝트와 에이전트 간의 신뢰 기반의 데이터 제공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디지털 오브젝트 입장에서는 수집하는 에이전트의 프로파일이 신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2) 사용예2: 오프라인 디바이스와 VS 상의 가상 디바이스 간의 상호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오프라인 피트니스 센터에 해당되는 PS(1010) 및 PS(1010) 내 디바이스를 VS(1020) 및 VS(1020) 내 디지털 오브젝트와 연결하는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현실 세계인 PS(1010) 상의 피트니스 센터에 사용자가 방문하여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형태로 인증 받은 디바이스에서 운동을 함에 따라 VS(1020)의 에이전트 또한 VS(1020) 상의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여 운동을 함으로써 에이전트의 상태(shape)에 변화가 발생하고 그에 따른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실제 오프라인 상에서 운동을 할 때 PS(1010) 피트니스 센터가 VS(1020)와의 디지털 트윈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그리고 사용자의 에이전트가 사이버 상에서 동시성을 나타내기를 원하는 경우, 해당 에이전트가 VS(1020) 상에서 해당 디바이스를 통해 운동을 하는 모습을 모사할 수 있다.
또는, 피트니스 센터 측면에서 VS(1020) 상에서의 오프라인 가입자들이 얼마나 활동적인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실제 사용자의 에이전트가 아닌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임의의 에이전트가 운동하는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VS(1020) 상의 피트니스를 방문한 일반 에이전트는 등록된 사용자의 디지털 트윈 기반의 에이전트가 현재 이용하는 가상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오프라인 환경의 활성화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VS(1020) 상의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는 미가입 에이전트는 해당 피트니스의 활성화된 수준을 보고 실세계에서의 가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기록은 실시간으로 반영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VS(1020) 상에서 사용자의 결정에 의해 반영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피트니스 센터 사업자는 디지털 트윈의 가입 모델에 따라 실시간 혹은 비실시간의 연동을 선택할 수 있다.
(3) 사용예3: VS 상에서 데이팅(dating)을 진행할 때 해당 에이전트의 신분을 인증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도 11은 실세계인 PS(1110)를 모사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하는 쇼핑몰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PS(1110) 상의 쇼핑몰에 입점된 상점들은 개별 상점의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VS(1120)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로 표현될 수 있다. VS(1120) 상에는 쇼핑몰에 입출입한 사용자의 수를 기준으로 생성된 가상의 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 등 위치 파악이 가능한 경우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 처리가 가능하다. VS(1120) 상에는 특정 상점에서 체크인한 사용자 중 자신의 정보를 표현하고자 하는 에이전트, 또는 특정 상점에서 체크인한 정보를 기반으로 VS(1120) 상의 가상 고객으로 생성된 에이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에이전트 간의 차이는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얼굴, 옷, 상태 등 사용자 특징을 이미지적으로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다. 특정 상점에서 체크인한 사용자가 VS(1120)에 자신의 에이전트 노출을 허용한 경우 해당 에이전트는 고스트 에이전트(ghost agent)와는 달리 사용자 정보가 포함된 명시적인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도 12는 PS와 VS 간의 연계 기능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대상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PS와 VS 간에 상호 연계하고 인증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각 영역에서 연동 가능한 정보를 조직화하고 이를 연동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때, PS와 VS 간의 상호 연계를 위한 정보를 상황에 맞춰 노출 또는 제어할 수 있고 해당 정보를 원하는 수요처에 공급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인증 컨트롤러(Certification Controller, 1210)는 VS와 PS를 연결함에 있어 상호 연결관계를 관리하는 핵심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인증 컨트롤러(1210)는 VS 상에서 PS 상의 정보를 연결하기 위한 등록 과정을 제공하며, 실세계에 존재하는 공간인지에 대한 인증 등을 제공한다. PS와 VS 간의 상호 연계를 위한 정보는 VSC(1220)(812, 821 및 831 중 하나와 대응됨)가 제어할 수 있으며, 데이터 생성기(Data Creator)(1230)와 같은 신뢰성있는 실세계 데이터 수집 시스템과의 연계 및 이를 활용한 기관으로서 인증된 데이터 소비자(Certified Data Consumer, 1240)와의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다.
물리적인 디지털 요소(Digital Element with Physical, 1250)에는 VS 환경에서 환경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공기, 바람, 온도 등)와 같이 공간 정보와 연결되는 기타의 정보(예컨대, 쇼핑몰의 체크인 정보 또는 근접 센서 정보, 트래픽 잼 등) 등이 포함된다. 물리적인 디지털 요소(1250)는 디지털 오브젝트(DO, IO 등)(1260)와 같이 별도의 소유주가 존재하는 개체가 아닌, 기타 개체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PS와 연결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기(1230)는 실제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는 외부 API로서 VS 상에서 반영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인증된 피트니스 앱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3은 VS의 예시들을 나타내고 있다. VS(1310) 상에서 각각의 공간은 디지털 트윈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실제 PS와 유사한 공간적 특수성을 가진다.
VS(1310) 중 하나인 공공장소(Public Space, 1311)는 광장, 공원 등과 같이 VS(1310)의 에이전트를 위해 공용으로 만들어진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공공장소(1311)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에이전트 승인(permission)이 필요하지 않으며 공공장소(1311)과 연결된 실세계의 디바이스들은 VSC(812, 821 및 831 중 하나와 대응됨)가 제어한다.
VS(1310) 중 다른 하나인 상업공간(Commercial Space, 1312)은 상점과 같이 특정 사업자가 비용을 지불한 디지털 오브젝트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실세계의 오프라인 상점을 모사한 공간을 의미한다. 상업공간(1312)은 기본적으로 익명의 에이전트(anonymous agent)의 입장이 가능하나, 해당 공간 소유주의 특성에 따라 일부 디지털 오브젝트의 공간은 등록된 에이전트만 접근할 수 있다. 상업공간(1312)과 연결된 디바이스는 VSC(812, 821 및 831 중 하나와 대응됨)를 통해 연동되며, 공간 소유주는 상업공간(1312)에 대한 제어 권한을 VSC로부터 위임받을 수 있다.
VS(1310) 중 또 다른 하나인 개인공간(Home(Personal) Space, 1313)은 개인이 구성한 디지털 오브젝트로 사유 공간을 의미한다. 개인공간(1313)은 기본적으로 해당 공간의 소유주만 접근이 가능하며, 해당 공간 소유주의 요청에 따라 등록된 에이전트가 접근할 수 있다. 개인공간(1313)과 연결된 디바이스는 VSC(812, 821 및 831 중 하나와 대응됨)를 통해 연동되며, 공간 소유주는 개인공간(1313)에 대한 제어 권한을 VSC로부터 위임받을 수 있다.
상기한 VS(1310)와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이용하는 에이전트의 경우, 에이전트가 소유한 VS 정보 및 VS 상의 연동 중인 디바이스 정보를 승인 기반으로 노출할 수 있다. VSC(812, 821 및 831 중 하나와 대응됨)는 VS 정보와 디바이스 정보를 비식별화 또는 익명화된 형태로 활용할 수 있다.
VS 정보와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에이전트가 VS(1310) 상의 상업공간(1312)에 해당되는 특정 상점에 방문하는 경우 해당 상점은 VS(1310) 상의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맞춤형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업공간(1312)에 커피머신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즐겨찾는 원두를 추천할 수 있고, 오디오북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선호하는 유사 장르의 오디오북을 추천할 수 있다.
인증된 공간(certified space)이라 함은, VS(1310) 상에 실세계에 존재하는 공간(상점, 브랜드 등)을 모사한 공간이 존재하며 실세계와 상호 연결된 기능을 제공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인증된 공간의 요구사항(Requirements)은 (1) 사용자 체크인, (2) 회원 가입, 구매, 포인트 적립 등을 위한 POS(point of sales)와의 연계, (3)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로서 인증된 디바이스와의 연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된 공간 상에서 매장 BGM, 피트니스 GYM 등 인증된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추가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Certification and Synchronous System)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PS(1401)와 VS(1402) 간의 연결을 위한 인증 및 동기화(연동) 과정을 제공한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컴퓨터 장치(2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도 8을 통해 설명한 가상공간 관리 시스템(841)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개의 시스템으로서 가상공간 관리 시스템(841)과 연동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도 12를 통해 설명한 서비스 대상(인증 컨트롤러(1210), VSC(1220), 데이터 생성기(1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VS 연결부(Virtual Space Connector, 1410), 등록 제어부(Registration Control, 1420), 공통 제어부(Common Control, 1430), 공간 제어부(Space Control, 1440), 및 PS 연결부(Physical Space Connector, 14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VS 연결부(1410)는 VS 서비스와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간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오브젝트 연결부(Object Connector, 1411), 에이전트 활동 연결부(Agent Activity Connector, 1412), 및 사이버 통화 연결부(Cyber Currency Connector, 1413)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연결부(1411)는 VS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DO, IO 등)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 연결부(1411)는 온/오프라인의 광고 연계 및 이벤트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실환경에서의 비디오 스트림을 활용할 수 있다.
에이전트 활동 연결부(1412)는 VS 상의 에이전트와 관련된 정보를 연결할 수 있다. 오프라인으로 체크인한 사용자의 에이전트 정보를 온라인 상에 가상으로 노출하는 형태 등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에이전트 활동 연결부(1412)는 실세계의 피트니스 GYM 등에서 사용자가 실제 운동하는 경우 해당 모션을 VS의 가상 에이전트 상에 노출할 수 있으며, 운동량 등에 따른 시각적 효과를 VS 상의 에이전트에 반영할 수 있다.
사이버 통화 연결부(1413)는 VS 상의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사이버 통화 연결부(1413)는 상점 POS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연동하고 VS 상의 포인트 등을 연동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 제어부(1420)는 사전 인증 관리부(Pre-Certification Manager, 1421), 상태 체크 관리부(Health Check Manager, 1422), 및 등록 관리부(Registration Manager, 14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 인증 관리부(1421)는 디바이스 생산 시점 또는 소프트웨어 상의 API 기능이 내장될 경우 생산 시점에 사전 등록 가능한 코드(예컨대, OTP 등)를 발급할 수 있다. 사전 인증 관리부(1421)는 디지털 트윈 디바이스의 생산 업체 또는 소프트웨어 업체에서 VS와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증받은 디바이스를 대량 생산하는 경우 사전 인증 형태로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인 디바이스, POS 디바이스, 대기 큐 모듈(Waiting Queue Module) 등이 이에 해당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무관하다.
상태 체크 관리부(1422)는 등록된 디바이스의 상태 체크를 담당할 수 있다. 상태 체크 관리부(1422)는 주기적으로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VS 측에서의 요청에 의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상태 체크 동작이 가능하다.
등록 관리부(1423)는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의 개별 등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경우, 등록 관리부(1423)는 디바이스 정보(예를 들어, UUID, 고유 IME, MAC 주소 등)를 활용하거나 사전 인증 관리부(1421)를 이용해 발급 받은 OTP 기반의 등록 코드 등을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경우, 등록 관리부(1423)는 고유 키 값을 이용하여 인증할 수 있으며, 별도의 인증 모듈을 VS 상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공간의 경우, 등록 관리부(1423)는 맵 기반의 데이터(예컨대, 지적 데이터, 로드 뷰 데이터, 인공위성 사진 등 식별 가능 정보) 또는 별도의 인증 방식(예컨대, 가맹점 정보, 토지 등록 대장 등)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등록 관리부(1423)는 제3자 사업자가 제공하는 공간 정보를 연동하여 공간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그룹의 경우, 등록 관리부(1423)는 특정 인원 이상의 등록된 에이전트 정보를 가지며, VS 상에 해당 그룹명(Group name) 소유에 따른 비용을 납부하는 경우 부여할 수 있다. 인증된 그룹은 특정 관심 그룹 및 실세계의 그룹 중 VS(1402) 상에 인증을 통해 VS(1402) 상에서 실세계와 동일한 환경(권리)을 이용하고자 하는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소셜 서비스 페이지 형태를 그룹으로 확산될 수 있다. 네이밍(naming) 등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실세계 또는 VS(1402) 상의 인증된 정보를 기준으로 그룹을 구성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조건은 VS(1402) 상의 인증 에이전트가 N명 이상이라는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VS(1402)가 요구하는 일정의 비용을 납부하는 경우 도메인과 같이 해당 VS(1402) 내의 그룹 이름이 고유하게 부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등록 관리부(1423)는 VS(1402) 상의 인증된 정보로서 조건을 만족하는 그룹을 구성함으로써 해당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에이전트와의 차별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공통 제어부(1430)는 키 관리부(Key Manager, 1431), 승인 관리부(Permission Manager, 1432), 및 보안 관리부(Security Manager, 1433)를 포함할 수 있다.
키 관리부(1431)는 서비스 전반에서 서비스에 사용되는 키의 발급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승인 관리부(1432)는 개별 서비스 주체(예컨대, 에이전트, 디바이스, 디지털 오브젝트 등의 공간 소유주, 그룹 소유주) 별 승인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안 관리부(1433)는 PS(1401)와 VS(1402) 간의 연동에 따른 각 모듈에 대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제어부(1440)는 VS(1402)에 바인딩되는 PS(1401)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POS 관리부(POS Manager, 1441), 마켓팅 관리부(Marketing Manager, 1442), 및 체크인 관리부(Check-in Manager, 1443)를 포함할 수 있다.
POS 관리부(1441)는 POS 판매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POS 관리부(1441)는 판매 정보 이외에도 포인트, 쿠폰 등의 보상 정보를 함께 관리할 수 있다.
마켓팅 관리부(1442)는 PS(1401)와 VS(1402) 간의 연동된 이벤트를 진행하는 경우 활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오프라인 체크인 시 온라인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체크인 관리부(1443)는 공간(PS(1401) 및 VS(1402))과 연계된 사용자 출입 및 방문 기록에 대한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PS 연결부(1450)는 실세계인 PS(1401) 상의 정보를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연결 대상은 디바이스 형태는 물론이고 소프트웨어 형태 또한 포함할 수 있다. PS 연결부(1450)는 네트워크 어댑터(Network Adaptor, 1451), 스트림 관리부(Stream Manager, 1452), 위치 정보 제공부(Location Information Provider, 1453), 및 체크인 모듈(Check-in Module, 1454)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1451)는 PS(1401)로부터 전달되는 트래픽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1451)는 디바이스별 또는 서비스별 호환을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예컨대, TCP, HTTP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스트림 관리부(1452)는 디바이스나 PS(1401)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스트림 관리부(1452)는 대규모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를 버퍼링 또는 큐잉(Queuing)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후 수신 스트림을 라우팅하는 기능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부(1453)는 지역 정보를 공급하는 서비스 사업자와 연결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부(1453)는 공간 관리를 위해 부동산이나 상가 정보 등 주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공간의 소유주 정보를 제공하는 사업자들이 관리 대상에 해당될 수 있다.
체크인 모듈(1454)는 체크인 관리부(1443)와의 연동을 통해 공간과 연계된 사용자 출입 및 방문 기록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인증 과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 과정은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151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바이스 소유주의 요청에 따라 디바이스 등록 절차에 진입하여 해당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152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바이스에 대한 개별 등록 기능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정보는 VS 상에서 해당 디바이스를 인식하기 위한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VS 상에서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소유주와 VS 간의 데이터 접근에 관련된 승인을 상호 설정하여야 하며, VS 서비스 공급자는 해당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에이전트에게 고지하여야 한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바이스 정보로서 디바이스명(Device Name), 디바이스 아이디(시리얼 번호 또는 고유 키), 디바이스 데이터 인터페이스(Device Data Interface)(예컨대, API 등), 추적 승인 정보(Tracking Permission Information), 디바이스 UI(예컨대, 3D Rendering Information)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 아이디의 경우 디바이스 생산자가 VS 서비스 사업자에게 고유 등록 기능을 제공할 경우 사전에 등록할 필요가 있다. 추적 승인 정보에 대해서는 VS가 취득한 데이터 중 디바이스 소유주 및 에이전트가 데이터의 개방 여부를 승인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153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단계(1520)에서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해 공간 연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공간 연계 정보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소유주가 VS 서비스 공급자와 계약을 맺어 등록하거나 혹은 개인 사용자들이 개별로 등록할 수 있다. 디지털 오브젝트의 소유주는 VS 상의 공간 간의 연계 또는 다수의 오프라인 지점과의 연계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VS 서비스 제공자는 등록에 대한 비용을 추가적으로 요청할 수 있으며, 등록에 대한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공간 연계 정보로서 공간 당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수, 디바이스 당 연동 가능한 에이전트의 수, 동시 업데이트 가능한 디바이스의 수, 동시 노출 가능한 디바이스의 수, 동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의 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154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단계(1520)에서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한 에이전트 접근 권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VS와 연계된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에이전트 각각에 대해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단계(155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바이스 정보와 공간 연계 정보가 설정된 VS에 대한 검토 및 응답을 검증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등록된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VS 측에서의 요청에 의해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단계(156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바이스 소유주인 등록자로부터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최종 검토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157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바이스 등록이 완료되면 VS 상의 디바이스와 에이전트 간의 연동을 통해 디지털 트윈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에이전트 등록 과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등록 과정은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161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지털 오브젝트의 소유주를 인증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VS 상의 공간 간의 연계 또는 다수의 오프라인 지점과의 연계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오브젝트의 소유주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162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지털 오브젝트와 연동할 에이전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163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상기 입력된 에이전트 정보에 해당되는 에이전트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디지털 오브젝트와 연동 가능한 에이전트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164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지털 오브젝트와 연동 가능한 에이전트의 범위 이내로 해당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된 에이전트 정보에 따라 해당 에이전트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단계(165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지털 오브젝트와 연동 가능한 에이전트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디지털 오브젝트에 대한 예상 비용을 산출하여 추가적인 비용을 요청할 수 있고 해당 비용에 대한 지불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166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비용 지불에 따른 공간 연계 정보를 입력하여 디지털 오브젝트와 연동 가능한 에이전트의 범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167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지털 오브젝트와 연동 가능한 에이전트의 범위가 업데이트됨에 따라 해당 에이전트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기 등록된 디지털 오브젝트에 추가적인 에이전트 연동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자는 해당 디바이스에 대해 에이전트의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판매자의 경우, 해당 제품에 대한 등록 권리를 인증 컨트롤러(1210)를 통해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최대 등록 가능한 에이전트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디바이스 코드에 대해 최대 2명의 에이전트까지 등록 가능하다.
이후, 실제 구입이 이루어진 상황에서 사용자는 실제 상품의 등록 코드와 사용 에이전트의 인증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초기 인증 후 해당 디지털 오브젝트의 소유주는 추가적인 사용자 에이전트를 정해진 에이전트 등록 가능 범위 내에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오브젝트의 소유주 권한은 위임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상업공간(1312) 또는 개인공간(1313)의 소유주가 자신의 PS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를 다수의 에이전트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권한을 인증 컨트롤러(1210)로부터 획득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공간 인증 과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 인증 과정은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디지털 트윈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을 DTS 상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171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공간 등록을 위해 DTS 상의 OA(오브젝트 에어리어) 또는 디지털 오브젝트(DO, IO 등)를 선택할 수 있다. DTS 상의 OA 또는 디지털 오브젝트를 실세계 소유주가 검색하기 위해서는 주소, 전화번호 등을 입력해 찾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VS 상의 정보가 맵 데이터와 연계된 경우) 또는 지도 등을 이용하여 직접 핀잇(pin it)하는 형태로 선택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172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단계(1710)에서 선택된 OA 또는 디지털 오브젝트에 해당되는 PS의 소유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 공간의 소유주 인증을 위해서 VS 관리자는 맵 기반의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맵 상의 상호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프렌차이즈 등과 같이 특정 소유주가 맵핑 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관련된 정보를 OCR 등을 이용해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173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상기한 과정(1710, 1720)을 통해 인증된 공간의 서비스 범위, 즉 실제 공간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맵 데이터의 지적 범위를 이용하여 서비스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실공간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식을 통해 서비스 범위를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드론 등을 이용한 스캐닝 또는 깊이 센서(depth sensor) 등을 이용하여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합성한 후 해당 공간에 대한 권리 요구를 적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등록 비용, 광고 노출 공간 등에 따른 차등 등급 등을 바탕으로 공간 설정 범위에 따른 차등화된 요구를 적용할 수 있다.
단계(174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인증된 공간과 연동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연동 공간 내의 디바이스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디바이스에 대한 추가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175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인증된 공간에 대해 에이전트 노출(viewing) 및 추적 승인을 설정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연동 공간과 에이전트 간의 정보로서 연동 공간에서 취득하고자 하는 에이전트 정보 등을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비용에 따라 연동 공간 내에서의 에이전트 추적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증된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 과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체크인 과정은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과정 1)은 사용자가 인증된 공간에 해당되는 PS(1810) 상에 도착한 후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체크인을 진행한다. 체크인 방법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획득 가능한 신호, 예컨대 GPS, WiFi, 비콘 등을 이용하여 체크인을 처리하는 방식, QR 코드를 이용하여 체크인을 처리하는 방식, AR 기반 공간 인식 기술을 바탕으로 체크인을 처리하는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과정 2)는 사용자가 VS(1820) 상의 에이전트와의 연동을 위해 인증된 공간과 VS(1820) 간의 체크인 동기화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과정 3)은 VS(1820) 상의 에이전트 입장을 승인할 수 있다. 에이전트가 VS(1820) 상의 특정 공간 범위에 접속하면 사용자 인증/미인증 후 해당 공간의 VS(1820)로 진입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사용자의 체크인을 위한 일회성 체크인 코드(Onetime Check-in Code)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체크인 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일회성 체크인 코드를 통해 인증된 공간에 접속할 수 있다. 인증된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체크인 정보가 VS(1820) 상에 기록되며, 인증된 공간 상에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한 이용 시 이용 정보 또한 함께 기록될 수 있다.
VS(1820)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의 소유주 선택에 따라 오프라인 상에서 GPS와 같은 매크로(macro) 기반의 체크인 방식과 WiFi나 비콘 등의 체크인 방식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인증된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 과정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체크인 과정은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191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PS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192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사용자 체크인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체크인 방식을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 체크인 방식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QR 코드, 바코드, 개인 비밀번호(pin number) 등 일회성 코드를 이용한 체크인 방식, GPS, WiFi, 비콘 등 위치 기반 인증을 이용한 체크인 방식, AR 기반 공간 또는 외형(예컨대, 특정 상점을 인증하기 위한 오브젝트나 조형물 등) 인식을 통한 체크인 방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193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단계(1920)에서 별도의 일회성 코드를 사용하는 체크인 방식이 선택된 경우 체크인 관리부(1443)를 통해 인증 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코드 요청은 PS의 정보와 함께 제공되어야 하며, 해당 정보는 위치 기반, 등록된 SSID(서비스 세트 식별자) 기반, 비콘 ID 기반, QR 코드나 바코드 기반 또는 별도의 개인 비밀번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AR 기반의 인증 인식 오브젝트(Certification Recognition Object)의 외형 검출 포인트(Surface Detection Point)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194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인증 코드 요청에 포함된 PS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체크인을 요청한 PS에 대해 등록 관리부(1423)를 통해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맵 기반의 데이터(예컨대, 지적 데이터, 로드 뷰 데이터, 인공위성 사진 등 식별 가능 정보) 또는 별도의 인증 방식(예컨대, 가맹점 정보, 토지 등록 대장 등)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체크인하고자 하는 PS에 대한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195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사용자 체크인을 요청한 PS가 사전에 등록된 공간에 해당되는 경우 사용자 체크인을 위한 인증 코드를 발급할 수 있다.
단계(196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별도의 디바이스를 통한 코드 접속, 즉 단계(1950)에서 발급된 인증 코드의 접속을 인식할 수 있다.
단계(197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코드 접속에 따른 사용자 정보 또는 디바이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체크인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1920)에서 선택된 체크인 방식이 별도의 일회성 코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코드 생성 과정을 스킵하고 단계(1970)로 바로 진입하여 사용자 체크인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1980)에서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사용자 체크인에 따라 VS 상의 에이전트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체크인 정보를 실시간 연동할 수 있다. 체크인 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른 디지털 오브젝트 또는 에이전트에게 노출될 수도 있고 혹은 노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세계에서 체크인을 하더라도 VS 상의 에이전트에 대한 설정 값을 기반으로 해당 체크인 정보가 VS의 사용자 에이전트에 업데이트 되지 않을 수 있다.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PS와 VS 간의 연계 시 에이전트의 승인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PS와 VS 상에서의 사용자 정보와 활동 정보가 연계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해당 정보의 동기화 여부, 노출(반영)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인증 및 동기화 시스템(1400)은 동기화 승인 화면(2000)을 통해 동기화 승인을 위한 동기화 대상 목록(201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기화 대상 목록(2010)을 통해 체크인, 결제, 활동, 디바이스 사용 등 동기화 대상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고 선택된 대상에 대한 PS와 VS 간의 동기화를 승인할 수 있다. 디지털 오브젝트의 소유주는 등록된 오프라인 상점 및 온라인 상점을 연계하는 경우 해당 공간 간의 동기화와 관련된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동기화에 대한 제어 포인트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및 VS 상의 컨트롤 패널에서 제공되는 동기화 승인 화면(2000)에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상세계와 물리세계 간의 상호 연결 관계를 인증 및 동기화할 수 있으며, 가상세계와 물리세계 간의 상호 연계를 위하여 공간 인증 및 디바이스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증된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가상공간의 정보와 물리공간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가상공간과 상기 물리공간 간의 상호 연결관계를 관리하고,
    상기 물리공간 상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를 상기 가상공간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로서 등록하고,
    상기 가상공간의 정보, 상기 물리공간의 정보 및 상기 가상공간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 사이의 연결에 기반하여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통해, 상기 물리공간에서의 사용자와 상기 디바이스 간의 인터랙션을 상기 가상공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에이전트와 상기 디지털 오브젝트 간의 인터랙션으로 모사하고,
    상기 가상공간에서의 상기 에이전트와 상기 디지털 오브젝트 간의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상기 물리공간에 대한 활성화 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고유 키 값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상기 가상공간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 형태로 등록하고,
    상기 가상공간에 바인딩되는 상기 물리공간의 정보를 관리하고, 공간과 연계된 사용자 출입 및 방문 기록을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기화 승인 여부에 따라 상기 가상공간과 상기 물리공간 간에 사용자 정보와 활동 정보를 동기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의 정보로서 상기 가상공간의 디지털 오브젝트와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연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의 정보로서 상기 가상공간의 에이전트와 관련된 정보를 연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의 정보로서 상기 가상공간의 통화(currency) 관련 정보를 연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디바이스 정보 또는 사전 인증을 통해 발급받은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공간에서 인식 가능한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맵 기반 데이터 또는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공간에서 인식 가능한 공간을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복수의 에이전트로 구성된 그룹을 상기 가상공간 상의 디지털 오브젝트 형태로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과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의 경우 디바이스 생산 시점에 사전 인증 형태로 해당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된 데이터 또는 상기 가상공간에서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체크를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물리공간으로부터 전달되는 트래픽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와의 연결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 또는 공간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버퍼링 또는 큐잉하고 상기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물리공간의 정보로서 공간과 관련된 지역 정보와 소유주 정보를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과 상기 물리공간 간의 연계 서비스에 사용되는 키를 발급하고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가상공간과 상기 물리공간 간의 연계 서비스에 참여하는 개별 서비스 주체 별 승인을 관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00075913A 2020-06-22 2020-06-22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KR10248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13A KR102484279B1 (ko) 2020-06-22 2020-06-22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US16/951,576 US11153084B1 (en) 2020-06-22 2020-11-18 System for certificating and synchronizing virtual world and physical world
US17/462,483 US11909875B2 (en) 2020-06-22 2021-08-31 System for certificating and synchronizing virtual world and physical world
KR1020220188677A KR20230011261A (ko) 2020-06-22 2022-12-29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US18/411,565 US20240154801A1 (en) 2020-06-22 2024-01-12 System for Certificating and Synchronizing Virtual World and Physical Wor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13A KR102484279B1 (ko) 2020-06-22 2020-06-22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677A Division KR20230011261A (ko) 2020-06-22 2022-12-29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738A KR20210157738A (ko) 2021-12-29
KR102484279B1 true KR102484279B1 (ko) 2023-01-04

Family

ID=791768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913A KR102484279B1 (ko) 2020-06-22 2020-06-22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220188677A KR20230011261A (ko) 2020-06-22 2022-12-29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677A KR20230011261A (ko) 2020-06-22 2022-12-29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4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985B1 (ko) * 2021-12-30 2023-01-31 주식회사 닷밀 디지털 트윈 기반의 메타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테마파크 구현 시스템
WO2023183433A1 (en) * 2022-03-22 2023-09-28 Jabi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device mirroring for holistic supply chain modelling
KR20230147891A (ko) 2022-04-15 2023-10-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트윈 구현시스템 및 디지털 트윈 구현방법
KR20230170999A (ko) 2022-06-12 2023-12-19 민경권 가상세계의 아바타정보와 현실세계의 개인정보가 동치적으로 상호연동하는 가상세계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1693A1 (en) 2006-03-31 2010-09-02 Rakesh Kumar Gupta Instant Messaging For A Virtual Learning Community
US20160263477A1 (en) 2015-03-10 2016-09-15 LyteSho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gaming with non-player eng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615A (ko) * 2015-05-12 2016-11-23 주식회사 퓨쳐시스템 사물 인터넷을 위한 사물기기 제어 시스템과 가상화 사물 서버에서 실행되는 사물기기 제어방법
US20180095635A1 (en) * 2016-10-04 2018-04-05 Facebook, Inc. Controls and Interfaces for User Interactions in Virtual Spa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1693A1 (en) 2006-03-31 2010-09-02 Rakesh Kumar Gupta Instant Messaging For A Virtual Learning Community
US20160263477A1 (en) 2015-03-10 2016-09-15 LyteSho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gaming with non-player eng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261A (ko) 2023-01-20
KR20210157738A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279B1 (ko) 가상세계와 물리세계를 인증 및 동기화하기 위한 시스템
US202102796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tem acquisition by selection of a virtual object placed in a digital environment
KR102419656B1 (ko)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JP6542470B2 (ja) 識別及び位置特定及び認証システムと方法
JP7182352B2 (ja) 付与プログラム、付与装置及び付与方法
CN111427534A (zh) 能够实现可动作的消息传送的虚拟助理系统
CN107113326A (zh) 基于规则的设备注册
KR20110063629A (ko) 실세계에서의 물리적 아날로그와 연관된 가상 공간에 대한 액세스 제공
CN109565640A (zh) 安全的基于私有位置的服务
US11329800B2 (en) Proof of dynamic quorum for blockchain consensus
US20240154801A1 (en) System for Certificating and Synchronizing Virtual World and Physical World
US20230230066A1 (en) Crypto Wallet Configuration Data Retrieval
KR20210157739A (ko) 가상현실 공간에서의 장치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57741A (ko) 인증된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 체크인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57740A (ko) 가상현실 공간에서의 공간 인증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0842841B1 (ko) 서비스에 독립적인 아바타 제공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9057011A (ja)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KR102520142B1 (ko) 가상공간 구성 방법 및 시스템
US117630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space
KR102102525B1 (ko) 게임서버 독립형 게임 아이템 거래소 구조 및 작동 방법
KR20230079328A (ko) 가상공간 구성 방법 및 시스템
JP202313624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313582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31358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