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630B1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630B1
KR102482630B1 KR1020220043603A KR20220043603A KR102482630B1 KR 102482630 B1 KR102482630 B1 KR 102482630B1 KR 1020220043603 A KR1020220043603 A KR 1020220043603A KR 20220043603 A KR20220043603 A KR 20220043603A KR 102482630 B1 KR102482630 B1 KR 102482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creen
displaying
touch displa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6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7556A (en
Inventor
윤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4445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78676B1/en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630B1/en
Publication of KR2022004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6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조작부 창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에 표시된 조작부 창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 중 제1 항목에 입력 발생 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조작부 창의 상기 제1 항목을 제외한 적어도 일부 또는 나머지 부분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displaying a user interface, comprising: displaying a window of a manipulation unit including one or more setting items on a screen; Including a process of not displaying at least a part or the remaining part of the operation unit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except for the first item when an input occurs in a first item among the one or more setting items of the operation unit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to be characterized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화면 표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display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최근 들어, 전자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Tablet) PC,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휴대폰 등의 전자 기기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현재 출시되는 전자 기기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간편한 조작을 통해 빠르고 직관적인 정보 전달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the function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laptops, tablet PCs, navigation, smart phones, and mobile phones are diversifying, and currently released electronic devices have various user interfaces for user convenience. (UI; User Interface) is provided. The user interface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fast and intuitive information through simple manipulation.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user interface-related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developed so that users can conveniently use electronic devices.

현재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와 관련된 기술에는 사용자가 작업환경에 필요한 조작부를 띄우면 전체화면 또는 부분화면으로 상기 조작부를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이 있다.Among currently generally applied user interface technologies, technologies related to displaying a user interface include a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to display a control panel in a full screen or a partial screen when a user launches a control panel necessary for a working environment.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와 관련된 종래 기술에는 국내공개특허 제 2010-0041444호(명칭; 터치 스크린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투명 팝업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발명자; 조태균, 출원인; 삼성전자, 공개일; 2011년 11월 09일)가 있으며, 이는 표시된 팝업을 닫지 않으면서 표시된 팝업과 동일한 영역에 위치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투명 팝업을 표시하는 기술을 개시한다.In addition, prior art related to user interface display includ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1444 (title: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transparent pop-up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selected on a touch screen, inventor; Cho Tae-gyun, applicant; Samsung Electronics). , Publication date; November 09, 2011), which discloses a technique of displaying a transparent pop-up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located in the same area as the displayed pop-up without closing the displayed pop-up.

상기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기술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화면을 전체화면 또는 부분화면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공되는 조작 화면을 닫거나 이동시켜 조작화면 아래의 내용을 확인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홈 화면에서 알림바(Notification-bar)를 내려 화면의 밝기를 조작하는 경우, 실제로 설정한 밝기의 홈 화면을 확인할 수 없어서, 다시 밝기를 조작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도 2와 같이, 사각형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해 팝업 메뉴를 생성하면 전체 또는 일부를 가리게 되어 적용하고자 하는 색상이 제대로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팝업 메뉴를 이동시키는 부가적인 동작이 필요하다.In the conventional user interface display technology, a screen for a user to manipulate is provided as a full screen or a partial screen, and the user needs to close or move the provided manipulation screen to check the contents under the manipulation screen. For example, whe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manipulated by lowering the Notification-bar from the home screen as shown in FIG.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a pop-up menu is created to change the properties of a rectangle, the whole or part of the pop-up menu is covered, so an additional operation of moving the pop-up menu is required to check whether the color to be applied is properly reflec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화면 위에 조작을 위한 화면을 띄웠을 때, 조작을 위한 화면으로 가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작업 화면 위에 추가적인 조작을 위한 화면을 띄웠을 때, 상기 추가적인 조작을 위한 화면을 이동시키는 별도의 수고 없이 원하는 조작을 하고, 그 조작이 반영되는 화면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a portion covered by a screen for manipulation when a user displays a screen for manipulation on the screen. Accordingly, when the user opens a screen for additional manipulation on the work screen, the user can perform the desired manipulation without additional effort to move the screen for additional manipulation and immediately check the screen on which the manipulation is reflected.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조작부 창을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에 표시된 조작부 창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 중 제1 항목에 입력 발생 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조작부 창의 상기 제1 항목을 제외한 적어도 일부 또는 나머지 부분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manipulation unit window including one or more setting items on a screen; Including a process of not displaying at least a part or the remaining part of the operation unit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except for the first item when an input occurs in a first item among the one or more setting items of the operation unit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to be characteriz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과 동작 상태 및 메뉴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조작부 창을 표시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조작부 창의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 중 제1 항목에 상기 입력 발생 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조작부 창의 상기 제1 항목을 제외한 적어도 일부 또는 나머지 부분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user interface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manipula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execution image of an application program, an operating state, and a menu state; A manipulation unit window including one or more setting item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first item among the one or more setting items of the operation uni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input according to a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he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not to display at least a portion or remaining portions of the window of the manipulation unit except for the first item on the display uni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사용자가 화면 위에 조작을 위한 화면을 띄웠을 때, 조작을 위한 화면으로 가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팝업 메뉴가 아래그림을 가리지 않도록 이동하는 조작과 같은 부가적인 사용자의 동작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조작과 실제 반영되는 화면을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displays a screen for manipulation on the screen, a portion covered by the screen for manipulation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dditional user operations such as moving the pop-up menu so that the lower picture is not covered.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mmediately check the operation and the actual reflected screen.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동작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터치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user interface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user interface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r interface display according to a hand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 according to mous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 according to a mouse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조작부 창, 제1 항목 등과 같은 명칭, 구성 소자 등의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pecific details such as a specific control panel window, a name such as the first item, and componen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specific details do no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may be ma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및 표시부(19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 입력부/출력부라고도 함)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user interface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a multimedia module 140, a camera module 150, a GPS module 155, It includes an input/output module 160, a sensor module 170, a storage unit 175, a power supply unit 180 and a display unit 190.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wireless LAN module 131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and the multimedia module 140 includes a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an audio playback module 142, and a video playback module. (143). The camera module 1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first camera 151 and a second camera 152, and the input/output module 160 (also referred to as an input/output unit) includes a button 161 and a microphone 162. , At least one of a speaker 163, a vibration motor 164, a connector 165, a keypad 166, and an earphone connecting jack (Earphone Connecting Jack, 167). Hereinafter, a case where the display unit 190 and the display controller 195 are a touch screen and a touch screen controller, respectively,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 단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supply power to one or a plurality of batteries (not shown) disposed in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One or a plurality of batteries (not shown)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supply power inpu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80 may supply power wirelessly inpu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irst camera 151 and a second camera 152 that captures still images or video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include a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an audio playback module 142, or a video playback module 143. The broadcasting communication module 141 controls broadcasting signals (eg, TV broadcasting signals, radio broadcasting signals, or data broadcasting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through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antenna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and broadcasting unit information. (eg, EPS (Electric Program Guide) or ESG (Electric Service Guide)) may be received. The audio playback module 142 may reproduce stored or received digital audio files (eg, files having file extensions of mp3, wma, ogg, or wav)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video playback module 143 may play stored or received digital video files (eg, files having mpeg, mpg, mp4, avi, mov, or mkv file extens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video playback module 143 can play digital audio files.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include an audio playback module 142 and a video playback module 143 except for the broadcast communication module 141 . Also, the audio playback module 142 or video playback module 143 of the multimedia module 1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10 .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휴대 단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와이파이(Wi-Fi), 3G/4G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무선 인터넷 등과 연결되거나, 주변 장치들과 무선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connect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r a plurality of antennas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is a mobile phone (not shown) having a phone number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a smart phone (not shown), a tablet PC or another device (not shown) and voice calls, video calls It can transmit/receive wireless signals for calls, text messages (SMS) or multimedia messages (MMS).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at a place where a wireless access point (AP) is installed through a Wi-Fi or 3G/4G data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or Wireless signals can be transmitted/received wirelessly with devices.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LAN module 131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32 .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간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The wireless LAN module 131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at a place where a wireless access point (AP) (not shown) is install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 The wireless LAN module 131 supports the wireless LAN standard (IEEE802.11x)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32 may wirelessly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s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휴대 단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wireless LAN module 131, and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32 according to performance.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wireless LAN module 131, and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32 according to performance.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휴대 단말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The GPS module 155 receives radio waves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not shown) in earth orbit, and determines the time of arrival of radio waves from the GPS satellites (not shown)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can be calculated using the .

센서 모듈(170)은 휴대 단말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7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 또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동작(예, 휴대 단말 장치(100)의 회전, 휴대 단말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모듈(170)은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도시되지 아니함), 어떤 정해진 방향에서의 각변위 또는 그 변화율을 계측하는 관성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7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that detects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170 may be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user is approach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or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eg, rot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A motion sensor (not shown) detecting acceleration or vibration appli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an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detecting the amount of ambient light, and a gravity sensor (gravity sens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gravity sensor), and an altimeter that detects altitude by measuring atmospheric pressure. 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170 includes a geomagnetic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a point of the compass using the earth's magnetic field, and an inertial sensor for measuring angular displacement or its rate of change in a given direction. can include

상기 센서모듈(170)의 센서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Sensors of the sensor module 170 may be added or delet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At least one sensor may detect a state,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0 .

입/출력 모듈(160; 입력부/출력부라고도 함)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output module 160 (also referred to as an input/output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uttons 161, a microphone 162, a speaker 163, a vibration motor 164, a connector 165, and a keypad 166. may contain one.

버튼(161)은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tton 16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r rea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and includes a power/lock button (not shown), a volume button (not shown), a menu button, a home button, At least one of a back button and a search button 161 may be included.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The microphone 162 receives voice or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스피커(163)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 단말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휴대 단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One or a plurality of speakers 163 may be formed at appropriate positions or positions of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The speaker 163 transmits various signals (e.g., radio signals, broadcast signals, A sound corresponding to a digital audio file, a digital video file, or taking a picture, etc.)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The speaker 163 may output a sound corresponding to a function performed by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eg, a button operation sound corresponding to a phone call or a ringback sound).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 단말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The vibration motor 164 ma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mechanical vib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 For example, when a voice call is received from another device (not shown)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in vibration mode, the vibration motor 164 operates. One or a plurality of them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The vibration motor 164 may operate in response to a user's touch operation touching the touch screen 190 and a continuous movement of the touch on the touch screen 190 .

커넥터(165)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The connector 165 may be used a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and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or a power source (not show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5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It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may receive power from a power source (not shown)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5, or may charge a battery (not shown) using the power source.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휴대 단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The keypad 166 may receive a key input from a user to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The keypad 166 includes a physical keypad (not shown)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or a virtual keypad (not show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 A physical keypad (not shown) formed o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may be exclud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An earphone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earphone connecting jack 167 and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으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영상과 동작 상태 및 메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90 may receive a user's manipulation and display an execution image of an application program, an operating state, and a menu state. That is, the touch screen 19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various services (eg, call, data transmission, broadcasting, and photography) to the user. The touch screen 190 may transmit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touch input to the user interface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 The touch screen 190 may receive at least one touch through a user's body (eg, a finger including a thumb) or a touchable input means (eg, a stylus pen). Also, the touch screen 190 may receive a continuous motion of one touch among at least one touch. The touch screen 190 may transmit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an input touch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 가능한 간격은 휴대 단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이벤트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예컨대, 호버링(Hovering)) 이벤트를 구분하여 검출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이벤트와 호버링 이벤트에 의해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이 다르게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검출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다르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ouch is not limited to direct contact between the touch screen 190 and the user's body or a touchable input means, but may include non-contact. Intervals detectable by the touch screen 19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190 responds to a touch event by contact with the user's body or a touchable input means and , the touch event and the value detected by the hovering event (eg, current value) can be output differently so that the input (eg, hovering) event to the non-contact state can be distinguished and detected.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190 preferably outputs a detected value (eg, a current value) differently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touch screen 190 and the space where the hovering event occurs.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전자기 유도(Electro Magnetic Resonance; EMR)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190 may be implemented in, for example, a resistive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EMR) method, an infrared method, or an ultrasonic wave method. can

한편,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converts analog signals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190 into digital signals (eg, X and Y coordinates) and transmits the converted signals to the controller 110 .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touch screen 190 using a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select a shortcut icon (not show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or execute a shortcut icon (not shown) in response to a touch event or a hovering event. Als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10 .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호버링 이벤트가 발생되는 공간과 터치스크린(190)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may detect a value (eg, a current value, etc.) output through the touch screen 190 to check the distance between the space where the hovering event occurs and the touch screen 190, and check. The converted distance value may be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eg, Z coordinate) and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10 .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및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의 터치나 근접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값을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스크린으로부터의 입력이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입력인지,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uch screen 190 includes at least two touch screen panels capable of detecting the touch or proximity of the user's body and touchable input means, respectively, so that inputs from the user's body and the touchable input means can be received simultaneously. can include The at least two touch screen panels provide different output values to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recognizes input values from the at least two touch screen panels differently,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an input is an input by the user's body or an input by a touchable input means.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휴대 단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75 includes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the sub communication module 130, the multimedia module 140, the camera module 150, the GPS module 155, and the input/output modu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160, the sensor module 170, and input/output signals or data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190 may be stored. The storage unit 175 may store control programs and applications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or the control unit 110 .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휴대 단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 "storage unit" refers to the storage unit 175, the ROM 112 in the control unit 110, the RAM 113, or a memory card (not shown) mount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eg, an SD card, memory stick).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non-volatile memory, a volatile memory, a hard disk drive (HDD), or a solid state drive (SSD).

제어부(110)는 CPU(111),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휴대 단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10 stores the CPU 111, a ROM 112 in which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is stored, and signals or data input from the out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or A RAM 113 used as a storage area for tasks perform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included. The CPU 111 may include a single core, dual core, triple core, or quad core. The CPU 111, ROM 112, and RAM 113 may be interconnected through an internal bus.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20, a sub-communication module 130, a multimedia module 140, a camera module 150, a GPS module 155, an input/output module 160, a sensor module 170 , The storage unit 175, the power supply unit 180, the touch screen 190,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95 can be controlled.

또한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동작의 특징에 따라, 터치스크린(190)을 통한 입력에 따라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조작부 창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 중 제 1항목에 입력 발생 시,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을 제외한 적어도 일부 또는 나머지 부분을 터치스크린(190)에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을 제외한 적어도 일부 또는 나머지 부분을 터치스크린(190)에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 이후, 제 1항목에 입력 종료 시,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을 제외한 적어도 일부 또는 나머지 부분을 다시 터치스크린(19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interface display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190, when an input occurs in a first item among one or more setting items of the control unit window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 It is possible to control not to display on the touch screen 190 at least a part or the remaining part except for the first item of the window of the manipulation uni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after an operation of not displaying at least a part or the remaining part of the operation unit window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except for the first item on the touch screen 190, upon completion of input to the first item, the touch screen ( 190), it is possible to control displaying at least a part or remaining parts of the window of the manipulation uni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90 again, except for the first ite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조작부 창을 화면에 표시한 후, 사용자가 실제로 조작하는 부분에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조작부 창에서 입력이 발생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이 종료되면(선택완료 또는 다른 조작을 하기 위해 포커스가 벗어나게 되면) 최초에 제공된 조작부 창을 화면에 복원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조작부 창과 조작이 반영되는 화면을 동시에 제공한다.4 is a flowchart of a user interface display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splaying a window of the manipulation unit on the screen, when an input occurs in a part actually manipulated by a user, a part of the window of the manipulation unit other than the part where the input occurs disappears from the screen. In addition, when the user's input ends (when selection is completed or focus is removed for other manipulations), the initially provided manipulation unit window is restored to the scree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provides a manipulation unit window that can be changed by the user and a screen on which the manipulation is reflected.

먼저 201 단계에서는 음성 명령, 터치, 버튼 누름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을 통해 조작부를 실행하며, 이후 203 단계에서는 실행된 조작부 창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의 조작부는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의 환경설정, 알림바(Notification Bar)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 창은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의 설정 항목은 예를 들어, 화면의 밝기 설정, 글자 크기 설정, 음량 설정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표시되는 조작부 창은 휴대 단말 장치의 전체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부분화면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First, in step 201, the control unit is executed through a user manipulation such as a voice command, a touch, or a button press, and then, in step 203, the executed control unit window is displayed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for example, an environment setting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a notification bar, and the like, and the operation unit window may include one or more setting items. Setting items at this time may be various, such as, for example, screen brightness setting, text size setting, and volume setting. Also, the operation unit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r may be displayed on a partial screen.

이후 205 단계에서는 조작부 창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 중 하나인 제1 항목에 입력의 발생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의 입력은 제1 항목을 활성화하기 위한 버튼 누름, 터치, 호버링, 음성 입력 등일 수 있다.Subsequently, in step 20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input has occurred in a first item, which is one of one or more setting items of the window of the control panel. The input at this time may be a button press, touch, hovering, or voice input for activating the first item.

205 단계의 판단 결과,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에 입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207 단계로 진행하고,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에 입력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동작을 종료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205, if it is determined that an input is generated in the first item of the manipulation unit window,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7,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no input is generated in the first item of the manipulation unit window,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rminated.

이후 207 단계에서는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실제로 조작하는 부분에 입력이 발생하면, 조작부 창의 제1 항목 이외의 나머지 부분들이 표시되지 않도록 화면 설정을 변경하여 제1 항목만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In step 207 thereafter, parts other than the first item of the window of the control panel are not displayed on the screen. This is to change the screen setting so that only the first item is displayed on the screen by changing the screen setting so that the remaining parts of the window other than the first item are not displayed when an input occurs in a part that the user actually manipulates.

이후 209 단계에서는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에 발생된 입력에 따라 화면의 설정 변경 유무를 판단한다. 209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에 발생된 입력에 따라 화면의 설정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되면 211 단계로 진행하고,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에 발생된 입력에 따라 화면의 설정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213 단계로 진행한다.After that, in step 209,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tting of the screen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input generated in the first item of the window of the control pane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209,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creen setting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put generated in the first item of the control panel window,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1, and the screen setting is not changed according to the input generated in the first item of the control panel window.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3.

이후 211 단계에서는 설정 변경을 화면에 적용한다.After that, in step 211, the setting change is applied to the screen.

이후 213 단계에서는 제1 항목의 입력 종료 유무를 판단한다. 이때의 입력 종료는 제1 항목의 설정 완료한 경우일 수 있으며, 종료 버튼의 선택 또는 취소 버튼의 선택, 되돌리기 버튼의 선택 등으로 제1 항목의 설정을 종료하는 경우 일 수 있다. 또한, 입력 종료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입력 종료일 수 있으며, 제 1항목 이외의 부분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 213 단계에서 제1 항목의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215 단계로 진행하고, 213 단계에서 제1 항목의 입력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207 단계로 다시 돌아간다.After that, in step 21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put of the first item has been completed. End of input at this time may be when setting of the first item is completed, and may be when setting of the first item is ended by selecting an end button, selecting a cancel button, or selecting a return button. In addition, the input termination may be an input termination according to a lapse of a preset time, or may be a case in which an input occurs in a part other than the first item.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3 that the input of the first item is finish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15,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213 that the input of the first item is not finish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207.

이후 215 단계에서는 조작모드 창의 제1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화면에 다시 표시되도록 한다. 이는 조작부 창을 다시 복원하는 것이다.After that, in step 215, the rest of the operation mode window except for the first item is displayed on the screen again. This is to restore the control panel window agai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터치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홈 화면 위에 조작부 창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도 5의 (a)와 같이,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스크롤바에 터치 입력 시, 도 5의 (b)와 같이 조작부 창에서 스크롤바 이외의 부분을 화면에서 모두 사라지게 하여, 홈 화면 위에 스크롤바 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터치 및/또는 드래그를 통해 스크롤바의 포인트를 이동시키면, 도 5의 (c)와 같이 스크롤바의 포인트 위치에 따라 화면의 밝기를 변경하여 적용한다. 스크롤바에서 터치를 놓으면 도 5의 (d)와 같이 홈 화면 위에 다시 조작부 창을 복원한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isplay according to a hand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 when a touch input is made to a scroll bar for adjusting the screen brightness as shown in FIG. 5 (a)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panel window is displayed in full screen on the home screen, the control panel window displays other than the scroll bar as shown in FIG. 5 (b). Make all the parts of disappear from the screen so that only the scroll bar is displayed on the home screen. At this time, when the point of the scroll bar is moved through touch and/or dragging,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is chang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int of the scroll bar as shown in FIG. 5(c). When the touch is released from the scroll bar, the control panel window is restored on the home screen as shown in FIG. 5(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나 노트북에서의 조작부는 배경 설정, 해상도 설정 등과 같은 설정 항목들을 포함하는 설정 메뉴이거나 문서 및 이미지의 편집 메뉴 등 일 수 있다. 또한 조작부 창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 중 하나인 제1 항목에 발생되는 입력은 마우스 오버, 마우스 클릭, 마우스 드래그 등 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f the computer or notebook computer may be a setting menu including setting items such as background setting, resolution setting, and the like, or a document and image editing menu. In addition, an input generated in the first item, which is one of one or more setting items of the manipulation unit window, may be a mouse over, a mouse click, a mouse drag, and the like.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를 나타내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a)와 같은 조작부 창이 이미지와 오버랩되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에 도형 채우기 효과를 적용하기 위해 테마 색 항목에 마우스 오버 시, 도 6의 (b)와 같이 조작부 창에서 테마 색 항목 이외의 부분을 화면에서 모두 사라지게 하여, 이미지 위에 테마 색 항목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후, 마우스 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미지는 마우스 오버가 위치한 해당 색상으로 색상이 변경되도록 한다. 이때, 마우스로 하나의 색상을 클릭 시, 해당 색상을 이미지에 적용하고, 테마 색 항목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여, 이미지만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mouse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panel window as shown in FIG. 6 (a) is overlapped with an imag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mouse is over a theme color item to apply a shape fill effect to the image, the theme in the control panel window as shown in FIG. 6 (b) is displayed. Make all parts other than the color items disappear from the screen so that only the theme color items are displayed on the image. Th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use over, the color of the image is changed to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use over. At this time, when one color is clicked with the mouse, the corresponding color is applied to the image, and the theme color item disappears from the screen so that only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입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를 나타내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작부 창이 이미지와 오버랩되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도 7의 (a)와 같이 상기 이미지에 3차원 회전을 적용하기 위해 3차원 회전 항목에 마우스 오버 시, 도 7의 (b)와 같이 조작부 창에서 3차원 회전 항목 이외의 부분을 화면에서 모두 사라지게 하여, 이미지 위에 3차원 회전 항목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후, 마우스 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이미지는 마우스 오버가 위치한 회전 항목의 해당 회전 방향으로 상기 이미지가 회전 한다. 이때, 마우스로 하나의 회전 항목을 클릭 시, 해당 회전 항목의 회전 방향으로 이미지를 회전시키고, 도 7의 (a)와 같은 조작부 창이 화면에 다시 표시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7 ,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mouse inp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the mouse is over the 3D rotation item to apply 3D rotation to the image as shown in FIG. All parts other than the 3D rotation item disappear from the screen so that only the 3D rotation item is displayed on the image. After that, the image is rotated in the corresponding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item where the mouse over is loc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use over. At this time, when one rotation item is clicked with the mouse, the image is rotated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item, and the control panel window as shown in FIG. 7 (a) is displayed on the screen again.

상기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나,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각각의 동작들은 그 전체 또는 일부가 병력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be made, whil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but in addition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or example, all or part of each of the opera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historically, some may be omitted, or other additional operations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에 입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했지만, 상기 제1 항목 이외의 조작부 창의 적어도 일부가 추가적으로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input has occurred in the first item of the window of the operation unit, an operation is performed to prevent the rest of the window except for the first item from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At least a part of the window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또한, 화면에 표시된 조작부 창의 하나 이상의 설정 항목들 중 제1 항목에 입력 발생 시, 화면에 표시된 조작부 창의 제 1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반투명 상태로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input occurs on a first item among one or more setting items of the window of the operation uni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window of the operation unit displayed on the screen except for the first item may be displayed in a translucent stat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에 입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제1 항목의 표시 위치의 변경이 없지만,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에 입력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조작부 창의 제1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화면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제1 항목의 표시 위치를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input has occurred in the first item of the window of the operation unit, the display position of the first item is changed while performing an operation to prevent the rest of the window except for the first item from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an input has occurred in the first item of the control panel window, the display position of the first item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while performing an operation to prevent the rest of the window except for the first item from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ny such software may include, for example,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whether removable or rewritable, or a memory such as a RAM, a memory chip, device or integrated circuit, or For example, it may be stored in an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CD,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 memory that may be included in a portable terminal is an example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a program or programs including instructions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including code for implementing an apparatus or method described in any claim of this specification and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uch a program. In addition, such a program may be transmitted electronically through any medium, such as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appropriately includes equivalents thereto.

Claims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디스플레이;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제 1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화면을 표시하는 중, 조작부 창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제 1 입력의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조작부 창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 중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상기 제 1 설정 항목과 연관된 제 2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조정하고-상기 제 2 화면의 일부는 상기 제 2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표시되지 않음-,
상기 제 2 입력의 해제의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화면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In electronic devices,
touch display; and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wherein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ntrol to display a first screen on the touch display;
While displaying the first screen, confirming a first input for displaying a manipulation unit window,
Based on the confirmation of the first input, control to display a second screen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window of the manipulati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tting item on the touch display;
While a second input associated with the first setting item for adjusting a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among the at least one setting item is received, the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is received. adjust settings - part of the second screen is not displayed while the second input is being received;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the second screen on the touch display based on confirmation of release of the second inpu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비쥬얼 오브젝트로서, 스크롤 바 및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ile the second input is received, as a visual object for adjusting a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a scroll bar and an indicator are display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t least one processor, as at least part of an operation of adjusting the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according to the second input,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touch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inpu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제 2 입력과 연관된 위치의 변경에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가리켜지는 상기 스크롤 바 상의 지점을 변경하도록 더 설정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at least one processor is:
As at least part of an operation of adjusting the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according to the second input,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a position associated with the second input on the touch display, the scroll bar indicated by the indicator Electronic devices further set to change point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조정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가리켜지는 상기 스크롤 바 상의 상기 지점에 따라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상기 밝기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at least one processor, as at least part of an operation of adjusting the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according to the second input,
A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touch display according to the point on the scroll bar indicated by the indic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은 터치의 해제가 없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input includes a continuous movement of the touch on the touch display without release of the tou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풀-다운 입력인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input is a user's pull-down input to the touch display.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제 1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 1 화면을 표시하는 중, 조작부 창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입력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제 1 입력의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조작부 창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 항목 중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상기 제 1 설정 항목과 연관된 제 2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화면의 일부는 상기 제 2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표시되지 않음-, 및
상기 제 2 입력의 해제의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화면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방법.
In the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displaying a first screen on the touch display;
checking a first input for displaying a manipulation unit window while displaying the first screen;
based on the confirmation of the first input, displaying a second screen including at least a part of the window of the manipulati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setting item on the touch display;
While a second input associated with the first setting item for adjusting a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among the at least one setting item is received, the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is received. An operation of adjusting settings—a part of the second screen is not displayed while the second input is being received—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second screen on the touch display based on confirmation of release of the second input
A display method of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비쥬얼 오브젝트로서, 스크롤 바 및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8,
A method of displaying a user interface in which a scroll bar and an indicator are displayed as visual objects for adjusting a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while the second input is receiv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9,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according to the second input,
A method of displaying a user interface in which brightness of the touch displa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econd inpu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제 2 입력과 연관된 위치의 변경에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가리켜지는 상기 스크롤 바 상의 지점을 변경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Changing a point on the scroll bar indicated by the indicator according to a change in a position associated with the second input on the touch display.
A display method of a user interface further comprising a.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설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조정하는 동작은,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하여 가리켜지는 상기 스크롤 바 상의 상기 지점에 따라서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의 상기 밝기를 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sett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ting item according to the second input,
A method of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touch display according to the point on the scroll bar indicated by the indicato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은 터치의 해제가 없는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second input includes a continuous movement of the touch on the touch display without release of the touch.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은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풀-다운 입력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first input is a user's pull-down input to the touch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 2 화면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화면의 부분이 표시되는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ile the second input is received, a portion of the first screen is displayed while a portion of the second screen is not display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입력의 해제의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화면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제 2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표시되지 않던 상기 제 2 화면의 일부를, 상기 제 2 입력의 해제의 확인에 기반하여 다시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processor, as at least part of an operation of controlling displaying the second screen on the touch display based on confirmation of release of the second input,
Th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a part of the second screen that was not displayed while the second input was received again based on confirmation of release of the second inpu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 2 화면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화면의 부분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8,
A method of displaying a user interface in which a portion of the first screen is displayed while a portion of the second screen is not displayed while the second input is receiv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의 해제의 확인에 기반하여 상기 제 2 화면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제 2 입력이 수신되는 동안 표시되지 않던 상기 제 2 화면의 일부를, 상기 제 2 입력의 해제의 확인에 기반하여 다시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o display the second screen on the touch display based on confirmation of release of the second input,
The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of displaying a part of the second screen that was not displayed while the second input was received again based on confirmation of cancellation of the second input.
KR1020220043603A 2021-04-06 2022-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1024826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603A KR102482630B1 (en) 2021-04-06 2022-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59A KR102278676B1 (en) 2020-12-01 2021-04-0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1020210158949A KR102385946B1 (en) 2021-04-06 2021-11-1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1020220043603A KR102482630B1 (en) 2021-04-06 2022-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949A Division KR102385946B1 (en) 2021-04-06 2021-11-1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556A KR20220047556A (en) 2022-04-18
KR102482630B1 true KR102482630B1 (en) 2022-12-30

Family

ID=7712742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137A KR102329890B1 (en) 2021-04-06 2021-07-12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1020210158949A KR102385946B1 (en) 2021-04-06 2021-11-1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1020220043603A KR102482630B1 (en) 2021-04-06 2022-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137A KR102329890B1 (en) 2021-04-06 2021-07-12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1020210158949A KR102385946B1 (en) 2021-04-06 2021-11-1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2989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76408A (en) 2005-11-28 2007-06-06 海信集团有限公司 Display method applied to TV menu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3141A (en) * 1998-01-05 1999-08-03 Gateway 2000, Inc. Mutatably transparent displays
US6982695B1 (en) * 1999-04-22 2006-01-03 Palmsou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control of viewing paramet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76408A (en) 2005-11-28 2007-06-06 海信集团有限公司 Display method applied to TV menu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946B1 (en) 2022-04-14
KR20210090593A (en) 2021-07-20
KR20210143705A (en) 2021-11-29
KR102329890B1 (en) 2021-11-23
KR20220047556A (en) 202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3200B2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EP27969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nged shortcut icon corresponding to a status thereof
KR1021580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layout using image recognition
KR102064836B1 (en) An apparatus displaying a menu for mobile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KR201401393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US201803295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play box management
KR201400640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rough proximity touch input
US20140281962A1 (en)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25450A (en) Method, apparatus and recovering medium for clipping of contents
KR20140110646A (en) User termi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the user terminal
KR102482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201401233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color of image
KR1022786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1022390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1021878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KR201400493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s display according to handwriting
KR20140117092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240176457A1 (en)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20140126506A (en) electro device for measuring input position of stylus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30123794A (en) Memo application
KR20190135958A (en) User interface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object in image and image input device
KR201400898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